마치무라 노부타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치무라 노부타카는 1944년생으로, 일본의 정치인이자 전 중의원 의원, 문부과학대신, 외무대신, 내각관방장관 등을 역임했다. 도쿄 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통상산업성에서 근무하다 1983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된 후 10번 재선되었다. 문부대신, 외무대신, 내각관방장관을 거치며, 납치 문제, 외교, 안보 분야에서 활동했다. 2014년 중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나 건강 문제로 사임했으며, 2015년 뇌경색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치무라가 - 마치무라 긴고
마치무라 긴고는 도쿄제국대학 출신으로 내무성 관료, 도야마현지사, 니가타현지사, 경시총감 등을 지낸 후 중의원 의원, 홋카이도 지사, 참의원 의원을 역임하며 자치상 겸 국가공안위원장 겸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자유민주당 참의원 의원회장을 지낸 일본의 정치인이자 관료이다. - 일본의 문부과학대신 - 다나카 고타로
다나카 고타로는 일본의 법학자이자 판사로,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상법 연구와 정치 활동을 거쳐 최고재판소 장관과 국제사법재판소 판사를 역임했으며, 1974년에 사망했다. - 일본의 문부과학대신 - 가와무라 다케오
가와무라 다케오는 야마구치현 출신으로 게이오기주쿠 대학을 졸업하고 야마구치현 의회 의원과 중의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문부과학대신과 내각관방장관, 자민당 선거대책위원장 등 주요 당직을 지냈으나 정치자금 문제 등 논란 속에 2021년 정계를 은퇴한 일본의 정치인이다.
마치무라 노부타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종2위 |
이름 | 마치무라 노부타카 |
원어 이름 | 町村 信孝 |
원어 이름 (로마자 표기) | Machimura Nobutaka |
정치 경력 | |
직책 | 일본 중의원 의장 |
임기 시작 | 2014년 12월 24일 |
임기 종료 | 2015년 4월 21일 |
군주 | 아키히토 |
이전 | 이부키 분메이 |
이후 | 오시마 다다모리 |
직책 1 | 내각관방장관 |
총리 1 | 후쿠다 야스오 |
임기 시작 1 | 2007년 9월 26일 |
임기 종료 1 | 2008년 9월 24일 |
이전 1 | 요사노 가오루 |
이후 1 | 가와무라 다케오 |
직책 2 | 외무대신 |
총리 2 | 아베 신조 |
임기 시작 2 | 2007년 8월 27일 |
임기 종료 2 | 2007년 9월 26일 |
이전 2 | 아소 타로 |
이후 2 | 고무라 마사히코 |
임기 시작 3 | 2004년 9월 27일 |
임기 종료 3 | 2005년 9월 21일 |
총리 3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이전 3 | 가와구치 요리코 |
이후 3 | 아소 타로 |
직책 4 | 문부과학대신 |
임기 시작 4 | 2001년 1월 6일 |
임기 종료 4 | 2001년 4월 26일 |
총리 4 | 모리 요시로 |
이전 4 | 사무실 설립됨 |
이후 4 | 도야마 아쓰코 |
직책 5 | 문부대신 |
임기 시작 5 | 2000년 12월 5일 |
임기 종료 5 | 2001년 1월 6일 |
총리 5 | 모리 요시로 |
이전 5 | 오시마 다다모리 |
이후 5 | 사무실 폐지됨 |
임기 시작 6 | 1997년 9월 11일 |
임기 종료 6 | 1998년 7월 30일 |
총리 6 | 하시모토 류타로 |
이전 6 | 고스기 다카시 |
이후 6 | 아리마 아키토 |
직책 7 | 중의원 의원 |
임기 시작 7 | 2010년 10월 25일 |
임기 종료 7 | 2015년 6월 1일 |
선거구 7 | 홋카이도 5구 |
이전 7 | 고바야시 지요미 |
이후 7 | 와다 요시아키 |
임기 시작 8 | 1983년 12월 19일 |
임기 종료 8 | 2010년 10월 1일 |
선거구 8 | 홋카이도 1구 (1983–1996) 홋카이도 5구 (1996–2009) 홋카이도 PR (2009–2010)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44년 10월 17일 |
출생지 | 누마즈, 일본 |
사망일 | 2015년 6월 1일 |
사망지 | 도쿄, 일본 |
정당 | 자유민주당 |
학력 | 도쿄 대학 웨슬리언 대학교 |
![]() | |
기타 정보 | |
종교 | 알 수 없음 |
배우자 | 마치무라 준코 |
자녀 | 2명 (2녀) |
친족 (정치인) | 조부: 町村金弥 조부: 桑田熊蔵 부: 町村金五 백부: 町村敬貴 의붓 삼촌: 河合良成 사위: 와다 요시아키 |
웹사이트 | 町村信孝 공식 홈페이지 |
2. 어린 시절과 교육
1944년 10월 17일 시즈오카현 누마즈시에서 내무 관료인 마치무라 킹고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마치무라 킨고는 후에 홋카이도 지사(1959년–1971년)를 역임했으며, 할아버지 마치무라 킨야는 홋카이도 낙농 산업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 마치무라 가문은 아버지가 시즈오카현 수산과장으로 재직하던 시절의 인연으로 누마즈시 교외에 있던 어업조합장의 별채로 피난해 있었다.[14]
초등학교 4학년 때는 키 160cm, 몸무게 60kg의 건장한 체격으로 스모 대회에서 우승하여 스모 방에서 스카우트 제의를 받기도 했다.[16] 고등학교 시절에는 럭비부에서 활동하며 와세다, 게이오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다.[16]
학교급 | 학교명 |
---|---|
초등학교 | 도쿄가쿠게이대학 부속 세타가야 초등학교 |
중학교 | 도쿄가쿠게이대학 부속 세타가야 중학교 |
고등학교 | 도쿄도립 히비야 고등학교 |
대학교 | 도쿄 대학 경제학부 졸업[15] |
유학 | 미국 웨슬리언 대학교 (대학교 3학년 때 산케이 신문사 장학금 지원)[18] |
1983년 12월 제3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구 홋카이도 1구에 자민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처음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1][21] 이후 10회 연속 당선되었다.
마치무라가 도쿄 대학에 재학하던 시기는 도쿄 대학 투쟁이 한창일 때였다. 그는 논폴리 학생 리더 중 한 명으로서, 도쿄 대학 투쟁을 종결시키기 위한 학생 운동을 이끌었다.[17] 1968년 11월에는 도쿄대 경제학부 파업 실행 위원으로 약 한 달간의 파업에 참여했으며,[19] 1969년 1월 지치부노미야 럭비장에서 열린 학생과 교직원 9천여 명이 참여한 “대중 단체 교섭”에서는 의장 역할을 맡아 대학 자치의 의정서인 ‘도쿄대 확인서’에 경제학부 대표로 서명했다.[19] 대학 시절에도 럭비부 소속으로 활동했다.[19]
1969년 도쿄 대학을 졸업하고, 통상산업성(현 경제산업성)에 입성했다. 입성 동기들과 함께 ‘사자의 모임’이라는 모임을 결성하여, 에너지 문제 등에 관해 혈판장 (연판장)을 만들어 대신, 사무 차관 등을 압박한 적도 있었다.[19] 그 후, 미국 제트로에 파견된 경험을 거쳐, 1982년 4월에 통상산업성을 퇴관했다.
3. 정치 경력
정계 입문 후 1997년 제2차 하시모토 개조 내각에서 문부대신으로 처음 입각하였고,[1] 이후 오부치 내각에서 외무 정무 차관을 지냈다. 2000년에는 모리 요시로 내각에서 문부대신 겸 과학기술청 장관을 맡았고, 2001년 중앙 성청 개편으로 초대 문부과학대신이 되었다.[1]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재임 시기인 2004년 9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외무대신을 역임했으며,[1] 2006년에는 자민당 내 최대 파벌인 세이와 정책 연구회(통칭 마치무라 파)의 회장으로 취임하여 파벌을 이끌었다.[4]
2007년 8월 제1차 아베 개조 내각에서 다시 외무대신으로 임명되었고,[3] 같은 해 9월 출범한 후쿠다 야스오 내각에서는 내각관방장관 겸 납치 문제 담당 대신을 맡아 2008년 9월까지 재임했다.[7][8]
2009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지역구에서 낙선했으나 비례대표로 부활 당선했으며, 2010년 보궐선거를 통해 다시 지역구 의석을 확보했다. 2012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014년 12월 중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나, 건강 악화로 2015년 4월 사임했다.[26][27] 이후 2015년 6월 1일 뇌경색으로 사망했다.[13][28] 그는 일중 우호 의원 연맹의 부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3. 1. 초기 정치 경력
마치무라는 아버지 마치무라 긴고(金五)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계 입문을 결심했고, 부인에게는 여러 번 낙선하더라도 함께 해달라고 설득했다.[20] 1983년 12월 제3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구 홋카이도 1구에서 자민당 공천으로 입후보하여 처음 당선되었다.[1][21] 이후 모든 선거에서 재선되었다. 당선 동기로는 다나카 나오키, 구마가이 히로시, 니카이 도시히로, 노로타 요시나리, 누카가 후쿠시로, 에토 세이시로, 다나카 히데유키, 오미 고지, 키타가와 마사야스, 이부키 분메이, 지미 쇼자부로, 나카가와 쇼이치, 오시마 리모리, 노로 아키히코, 스즈키 무네오, 아마리 아키라 등이 있다.
1989년 6월 우노 내각에서 문부정무차관에 임명되었고, 1990년 3월에는 자민당 문화국장을 맡았다. 1991년 홋카이도 지사 선거에서는 당시 압도적인 지지를 받던 현직 요코미치 다카오에 맞서, 하토야마 유키오, 마스조에 요이치 등과 함께 당시 선거구 라이벌이었던 사토 시즈오를 지원했으나 큰 차이로 패배했다. 4년 뒤인 1995년 홋카이도 지사 선거에서도 자민당 등이 추천한 이토 히데코를 지원했지만, 일본사회당 등이 추천한 전 부지사 호리 타츠야에게 패배했다.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가 도입되면서, 당초 국정 복귀를 노리던 요코미치가 출마하는 홋카이도 1구에서의 출마가 검토되었으나, 선거구 조정을 통해 선조 대대로 운영해 온 마치무라 농장이 있는 홋카이도 5구에서 출마하게 되었다. 이 선거에서 신진당 당수 오자와 이치로의 조카인 신인 오노 겐타로에게 압승하며 소선거구에서 처음 승리했다.
1997년 9월 11일 제2차 하시모토 개조 내각에서 문부대신으로 임명되어 처음으로 각료가 되었다.[1] 하지만 1998년 7월 31일 오부치 내각에서는 각료 경험자임에도 불구하고 고무라 마사히코 외무대신 아래에서 외무 정무 차관을 맡는 이례적인 행보를 보였다.[1] 2000년 3월에는 오부치 총리와 그의 후임인 모리 요시로 총리 밑에서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교육 개혁 담당)을 지냈다.[1] 같은 해 제4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민주당의 고바야시 치요미와 오자와 자유당의 오노가 출마하여 야당 표가 분산된 덕분에 소선거구에서 승리했다.
2000년 12월 5일 제2차 모리 개조 내각에서 문부대신 겸 과학기술청 장관, 원자력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고,[1] 2001년 1월 6일 중앙 성청 개편에 따라 초대 문부과학대신이 되었다.[1] 고이즈미 정권 초기인 2002년 10월에는 자민당 총무국장, 이후 간사장 대리를 역임했다. 2003년 홋카이도 지사 선거에서는 통상산업성 후배인 다카하시 하루미를 옹립하여 홋카이도 최초의 여성 지사 탄생에 기여했다. 그러나 같은 해 삿포로시 시장 재선거에서는 홋카이도 방송 캐스터 출신인 이시자키 가쿠를 지원했으나, 요코미치 다카오 후원회가 지원한 우에다 후미오에게 패배했다. 한편, 정치인의 연금 미납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었을 때 마치무라 본인의 연금 미납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그는 일중 우호 의원 연맹의 부회장이었다.
3. 2. 각료 경력
1997년 9월 11일, 제2차 하시모토 개조 내각에서 문부대신으로 처음 입각했다. 1998년 7월 31일에는 오부치 내각에서 각료 경험자임에도 불구하고 고무라 마사히코 외무대신 아래에서 외무 정무 차관을 맡았다.[1]
2000년 12월 5일, 제2차 모리 개조 내각에서 문부대신, 과학기술청 장관, 원자력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으며, 2001년 1월 6일 중앙 성청 개편에 따라 초대 문부과학대신이 되었다.[1]
2004년 9월 27일부터 2005년 10월 31일까지 제2차 고이즈미 개조 내각과 제3차 고이즈미 내각에서 외무대신을 역임했다.[1] 같은 파벌 후배인 아베 신조의 강력한 추천으로 임명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외무대신 재임 중에는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ODA 중단, 센카쿠 열도의 등대 관리 문제 등을 다루었으며, 러시아와의 영토 문제 해결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한 일본인 납치 사건의 진상 규명 등을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2005년 9월 11일 중의원 선거 후 내각 개편에서 아소 다로에게 외무대신 자리를 넘겨주었다. 또한 이 시기 정치인의 연금 미납 문제가 불거졌을 때 연금 미납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2007년 8월 27일, 제1차 아베 개조 내각에서 다시 외무대신으로 임명되었다.[3] 당초 내각관방장관으로 유력시되었으나, 최종 조율 과정에서 요사노 가오루가 내각관방장관으로 낙점되면서 두 번째 외무대신직을 맡게 되었다. 외무대신 재임 중에는 아소 다로가 제기했던 북방 영토 면적 이등분론을 비판하며 4개 섬 일괄 반환이라는 기존 일본 정부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아베 신조 총리의 사임 후 치러진 2007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는 당초 출마 의욕을 보였으나, 같은 파벌의 후쿠다 야스오가 출마하자 이를 지지하며 자신의 출마는 보류했다.[5] 2007년 9월 25일 출범한 후쿠다 야스오 내각에서는 외무대신에서 자리를 옮겨 내각관방장관 겸 납치 문제 담당 대신으로 임명되었다.[7] 자민당 파벌 영수가 관방장관을 맡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후쿠다 야스오 개조 내각에서도 유임되었으며, 2008년 9월에는 오타 세이이치 농림수산대신의 사임으로 잠시 농림수산대신 임시 대리를 겸임하기도 했다. 2008년 9월 24일 출범한 아소 내각에서는 가와무라 다케오에게 내각관방장관 자리를 넘겨주었다.[8]
3. 3. 당내 활동
1983년 12월 제3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구 홋카이도 1구에 자유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처음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다.[21] 아버지 마치무라 긴고(町村金五)는 그의 정계 입문을 강하게 반대했다고 전해진다.[20] 이후 1986년부터 2012년까지 10회 연속으로 당선되었다. 당선 동기로는 다나카 나오키, 구마가이 히로시, 니카이 도시히로, 누카가 후쿠시로, 이부키 분메이, 나카가와 쇼이치, 스즈키 무네오, 아마리 아키라 등이 있다.
1989년 6월 우노 내각에서 문부 정무차관으로 임명되었고, 1990년 3월에는 자유민주당 문화국장을 맡았다. 1991년 홋카이도 지사 선거와 1995년 홋카이도 지사 선거에서는 각각 사토 시즈오와 이토 히데코 등 자민당 추천 후보를 지원했으나, 두 번 모두 요코미치 다카히로와 호리 타츠야에게 패배하였다.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가 도입된 1996년 제4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부터는 선조 대대로 운영해 온 마치무라 농장이 있는 홋카이도 5구에서 출마하여 신진당 후보 오노 겐타로에게 승리했다. 이후 홋카이도 5구에서 계속 출마하였다.
1997년 9월 11일 제2차 하시모토 개조 내각에서 문부대신으로 임명되어 처음 입각했다.[1] 1998년 7월 31일 오부치 내각에서는 각료 경험자임에도 불구하고 고무라 마사히코 외무대신 아래에서 외무 정무 차관을 맡았다.[1] 2000년 3월에는 오부치 게이조 총리와 후임 모리 요시로 총리 밑에서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교육 개혁 담당)을 지냈다. 같은 해 12월 5일 제2차 모리 개조 내각에서 문부대신 겸 과학기술청 장관, 원자력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고,[1] 2001년 1월 6일 중앙 성청 개편에 따라 초대 문부과학대신이 되었다.[1]
고이즈미 정권 하에서는 2002년 10월 자유민주당 총무국장, 이후 간사장 대리를 역임했다. 2003년 홋카이도 지사 선거에서는 통상산업성 후배인 다카하시 하루미를 지원하여 홋카이도 최초의 여성 지사 탄생에 기여했다. 그러나 같은 해 삿포로시 시장 재선거에서는 이시자키 가쿠를 지원했으나 우에다 후미오에게 패배했다. 2004년 9월 27일 제2차 고이즈미 개조 내각에서 외무대신에 임명되어[1] 2005년 10월 31일까지 재임했다. 이 시기 정치인의 연금 미납 문제가 불거졌을 때 연금 미납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2006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는 아베 신조의 선거대책본부장 대리를 맡아 아베의 당선을 도왔다. 선거 후 제1차 아베 내각에서는 요직 기용이 예상되었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대신 같은 해 10월, 모리 요시로의 뒤를 이어 자민당 내 최대 파벌인 세이와 정책 연구회(통칭 모리파)의 회장으로 취임하며 '마치무라 파'를 이끌게 되었다.[4]
2007년 8월 27일 제1차 아베 개조 내각에서 다시 외무대신으로 임명되었다.[3] 당초 내각관방장관 기용설도 있었으나 최종 조율 과정에서 외무대신으로 결정되었다. 같은 해 9월 아베 총리가 사임하자, 마치무라는 2007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출마 의욕을 보였으나 같은 파벌의 후쿠다 야스오가 출마를 선언하자 이를 지지하며 자신의 출마는 보류했다.[5] 9월 25일 출범한 후쿠다 야스오 내각에서는 내각관방장관 겸 납치 문제 담당 대신으로 자리를 옮겼다.[7] 파벌 영수가 관방장관을 맡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관방장관직 수행으로 파벌 운영에 시간을 내기 어려워지자, 마치무라 파는 회장직을 폐지하고 마치무라, 나카가와 히데나오, 타니가와 슈젠 3인의 대표 간사가 운영하는 집단 지도 체제로 전환했다.[6] 2008년 8월 후쿠다 야스오 개조 내각에서도 관방장관으로 유임되었다.
2009년 2월 5일, 파벌 내 영향력이 강했던 전 회장 모리 요시로의 의중으로 마치무라는 다시 파벌 회장으로 복귀했다. 이는 당시 아소 다로 총리에게 비판적이었던 나카가와 히데나오의 파벌 내 영향력을 약화시키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마치무라 본인도 나카가와와 관계가 원만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해 8월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민주당의 고바야시 치요미에게 홋카이도 5구에서 3만 표 이상의 차이로 패배했다. 그러나 중복 입후보했던 비례 홋카이도 블록에서 석패율에 따라 부활 당선되어 9선에 성공했다. 야당이 된 자민당 내에서 10월 15일 중의원 예산위원회 필두 이사로 임명되어,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의 후텐마 기지 이전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하는 역할을 맡았다.[22]
2010년 6월 상대 후보였던 고바야시 치요미가 선거법 위반 및 정치자금 문제로 의원직을 사퇴하자, 마치무라는 10월 보궐선거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했다.[23] 보궐선거에서 민주당 신인 나카마에 시게요키를 누르고 승리하여 10선 고지에 올랐다.
2012년 9월 14일 2012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출마했으나, 선거 운동 중인 9월 18일 컨디션 난조로 입원했고,[24] 9월 26일 투표에서 34표를 얻는 데 그쳐 낙선했다. 이후 11월 22일 뇌경색 진단을 받았다.[25]
2014년 12월 24일 중의원 의장에 선출되었으나, 건강 문제로 2015년 4월 21일 가벼운 뇌경색 재발을 이유로 의장직을 사임했다.[26][27]
그는 일중 우호 의원 연맹의 부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3. 4. 중의원 의장 및 사망
2014년 12월 24일, 중의원 의장에 취임했다.[26] 하지만 건강 문제로 인해 오래 활동하지 못하고, 2015년 4월 21일 가벼운 뇌경색 발병을 이유로 의장직에서 물러났다.[26][27]
의장직 사임 약 두 달 뒤인 2015년 6월 1일, 도쿄 도내 병원에서 뇌경색으로 사망했다.[11][13][28] 향년 70세였다. 사망 이틀 후인 6월 3일, 일본 정부는 고인에게 종2위를 추서하고 기화대수장을 추증하기로 결정했다.[29][30]
마치무라의 사망으로 공석이 된 홋카이도 제5구에서는 2016년 4월 24일 보궐선거가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는 마치무라의 사위인 와다 요시아키가 자유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민진당, 일본 공산당, 사민당, 생활의 당과 야마모토 타로와 동료들 4당의 추천을 받은 무소속 이케다 마키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마치무라의 묘소는 도쿄도 분쿄구의 깃쇼지와 후쿠이현 에치젠시의 류몬지에 있다.
4. 정책 및 활동
마치무라는 1983년 12월 총선에서 처음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된 이후 여러 차례 재선되었다. 그는 정치 경력 동안 다양한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 1997년 9월 11일: 하시모토 류타로 제2차 내각 문부대신 임명[1]
- 1998년 7월 31일: 오부치 게이조 제1차 내각 외무 정무 차관 임명[1]
- 2000년 3월: 오부치 및 모리 요시로 내각 총리 특별 보좌관[1]
- 2000년 12월 5일: 제2차 모리 내각 개조내각 문부대신 겸 과학기술청 장관[1]
- 2001년 1월 6일: 중앙 성청 개편 후 초대 문부과학대신[1]
- 2004년 9월 27일 ~ 2005년 10월 31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 외무대신[1]
- 2007년 8월 27일: 아베 신조 제1차 내각 개조내각 외무대신 재임명[3]
- 2007년 9월 16일: 후쿠다 야스오 내각 내각관방장관 겸 납치 문제 담당 국무대신[7]
또한 자유민주당 내 최대 파벌인 세이와 정책연구회의 회장을 2006년부터 맡았다.[4] 그는 일중 우호 의원 연맹의 부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4. 1. 표현 규제
- 영화 《배틀 로얄》 개봉 직전에 영화 업계 관계자를 문부과학성에 불러 자주 규제의 철저를 요청했다.[31]
- 만화·애니메이션·게임·영화를 규제하는 청소년 건전 육성 기본 법안의 입법화를 추진했다.[32]
- 국회에서 "정말로 하루라도 빨리 이런 것(마치무라 발언, '청소년에게 유해한 정보')이 국내에서 추방되는 날이 오기를 진심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라고 발언하며 표현 규제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33]
- 내각부 소관 '청소년 건전 육성 추진 위원회'에서 유해 지정된 일러스트나 텍스트 등을 삭제하지 않으면 1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는 '청소년 유해 정보 규제법'의 입안을 지시했다.[34]
4. 2. 외교 및 안보
1998년 7월 31일, 오부치 게이조 제1차 내각에서 외무 정무 차관으로 임명되었다.[1]이후 2004년 9월 27일부터 2005년 10월 31일까지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밑에서 외무대신을 지냈다.[1] 이 시기 그의 주요 외교 목표는 러시아와의 평화 조약 체결 추진, 중화인민공화국 및 대한민국과의 국경 분쟁 해결, 그리고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요원들에 의해 발생한 일본인 납치 문제의 진상 규명 등이었다. 외무대신 재임 중이던 2005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2005년 중국 반일 시위가 발생하여 일본 대사관이 공격받자, 재외 공관의 안전 확보를 위해 자위대 파견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당시 외무성은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위험 지역 공관에 자위대원 파견을 검토 중이었으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35] 그는 2005년 9월 11일 총선 이후 단행된 내각 개편에서 아소 다로에게 외무대신 자리를 넘겨주었다.
2007년 8월 27일, 아베 신조 총리에 의해 다시 외무대신으로 임명되었다.[3] 2006년부터는 자유민주당 내 최대 파벌인 세이와 정책연구회의 회장을 맡고 있었으며,[4] 2007년 9월 12일 아베 총리가 사임하자 후쿠다 야스오의 총리직 계승을 지지했다.[5] 2007년부터는 나카가와 히데나오, 다니가와 슈젠과 함께 파벌 공동 의장직을 수행했다.[6]
2007년 9월 16일 출범한 후쿠다 내각에서는 내각관방장관으로 자리를 옮겨 납치 문제 담당 국무대신을 겸임했다.[7] 2008년 9월 24일 아소 다로 내각이 출범하면서 가와무라 다케오에게 내각관방장관직을 인계했다.[8]
그는 일중 우호 의원 연맹의 부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4. 3. 독도 문제
미국 정부 기관이 독도의 귀속 표기를 '대한민국'으로 정정한 것에 대해, 마치무라는 "미국 정부의 한 기관이 하는 일에 너무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다"는 견해를 보였다.[38] 당시 총리였던 후쿠다가 항의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없다. 왜 필요한가"라고 일축했는데,[38] 이는 독도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를 드러내는 발언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한편, 2010년 2월 민주당 고바야시 치요미 진영의 불법 선거 자금 수수 사건과 관련하여, 자금을 제공한 북교조를 비판하면서 "연수 자료에 '독도는 한국의 영토라는 한국의 주장이 옳다고 가르칩시다'라고 (쓰여 있다). 이것이 일본의 홋카이도 선생님이다"라고 발언했다.[39]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비판한 이 발언은 일본 내 우익적 시각을 반영한다는 지적을 받았다.[39]
4. 4. 기타 정책
도로 예산을 일반 재원으로 전환할 경우, 그 일부를 홋카이도 신칸센 건설에 투입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도로 특정 재원 제도를 활용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이 문제에 대해 재무성 등과 진지하게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규제개혁담당상 겸 국가·지방 행정개혁담당상이었던 와타나베 요시미가 추진한 공무원 제도 개혁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특히 국가 공무원 제도 개혁 기본법안에 포함된 '내각 인사청' 창설 구상이 각료의 인사권을 약화시킬 수 있다며 반대했다. 또한, 국회의원과 공무원 간의 접촉을 제한하는 소위 '정관 접촉 제한' 규정 도입에도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반대하는 등, 개혁을 주도하던 와타나베와 여러 차례 대립했다.[37]
2008년 7월 18일, 일본 정부가 추진하는 사법 제도 개혁의 일환인 법조 인력 3,000명 증원 목표에 대해 일본 변호사 연합회(일변련)가 재검토를 요구하자, 이를 변호사 업계의 보수 하락을 우려한 이기적인 주장이라고 비판하며 "일변련의 식견을 의심스럽게 생각한다"고 지적했다.[40][41]
담배 한 갑 가격을 1,000엔으로 인상하는 담뱃세 인상안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제안이라고 생각한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42]
일본의 학교 제도와 관련해서는 "열 살짜리 대학생이 있어도 좋고, 스무 살짜리 중학생이 있어도 좋다"고 말하며, 나이에 따라 학년이 결정되는 연령주의를 비판했다.[43] 또한 대학의 9월 입학 제도를 일반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고등학교 졸업 후 6개월 동안 자위대에 입대하여 봉사 활동을 하는 방안도 제안했다.[44]
쌀의 감산 정책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을 갑작스럽게 제기하기도 했다. 그는 세계적인 식량 부족과 가격 급등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자민당 내에서는 아무런 사전 조율 없이 이루어진 발언이라며 강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농림수산대신 경험이 있는 야츠 요시오는 감산을 중단할 경우 농가가 큰 적자를 보게 될 것이며, 이를 보전하기 위해 필요한 약 8000억엔 규모의 보조금 마련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반박했다.[45]
5. 논란 및 비판
마치무라 노부타카는 정치 활동 기간 동안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정치자금 문제와 관련하여 여러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동료 정치인인 이시바 시게루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으로 구설에 오르기도 했다.
5. 1. 정치 자금 문제
- 일본공산당의 기관지인 『신문 아카하타』는 마치무라가 일본치과의사연맹으로부터 거액의 헌금을 받았다고 보도했다.[64]
- 또한 『신문 아카하타』는 마치무라가 삿포로시로부터 출자를 받고 있는 홋카이도 가스로부터 헌금을 받았다고 보도했는데, 이는 지방공공단체로부터 보조금을 받는 기업의 정치인 헌금을 제한하는 정치자금규정법에 저촉될 수 있는 사안이다.[65]
- 강철제 교량 공사 담합 사건에 연루된 기업들로부터도 헌금을 받았다는 보도가 『신문 아카하타』를 통해 나왔다.[66]
- 마치무라가 대표를 맡았던 정치단체 '신우회'의 정치자금 수지 보고서에 따르면, 2001년 7월 에베쓰시 내 부동산을 1000만엔에 취득했다가[51], 2008년 보고서에는 해당 부동산을 608만엔에 매각한 것으로 기재되었다.[67] 『주간 포스트』는 마치무라가 정치단체 명의로 부동산을 구입한 뒤 이를 다시 사들여 자택으로 사용했다며, 정치자금을 사적으로 유용한 혐의가 있다고 보도했다.[68]
- 한편, 마치무라는 민주당 대표 오자와 이치로가 제기한 "기업·단체로부터의 헌금 전면 금지" 주장에 대해 "정말로 뻔뻔한 이야기", "(오자와 씨의) 눈 가림 발언에 넘어가지 않도록 해 주길 바란다"고 강하게 비판했다.[46][47] 그러나 마치무라 자신도 정치자금규정법상 금지된 지방 공공 단체 관련 기업을 포함한 다수의 기업·단체로부터 정치 헌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비판을 받았다.
- 또한 오자와 이치로가 정치자금 단체 명의로 부동산을 구입한 것을 두고 TV 아사히 프로그램에서 "자신의 돈으로 자신의 이름으로 등기하면 됩니다. 굳이 왜 정치자금 단체라는 것을 통과시키는지 모르겠습니다."라고 비판했지만,[50] 정작 본인도 앞서 언급된 것처럼 정치단체 '신우회'를 통해 부동산을 거래한 사실이 있어 발언의 진정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51]
5. 2. 이시바 시게루 비판
마치무라는 2014년 9월 내각 개조 당시 지방 창생상이 된 이시바 시게루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시하며 비판했다. 그는 이시바가 특정 직책을 선호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에 대해 "이 자리가 좋다, 싫다 말하기 시작하면 자민당 인사는 할 수 없다. 저 남자는 도대체 뭐하는 놈인가. 내년 총재 선거에 나가고 싶다는 건 농담이 아니다"[59]라고 지적했다. 또한, 이시바가 맡은 지방 창생상 자리에 대해서도 "(지방 창생상은) 극단적으로 말하면 문외한이라도 할 수 있는 것 아니냐"[60]고 평가 절하하며, "내 안에서 저 남자에 대한 평가는 최저다"[61]라고 이름을 직접 언급하며 신랄하게 비판했다.6. 소속 정당 및 의원 연맹
- 자민당 담배 의원 연맹 (고문)[62]
- 일본 교직원 조합 문제 규명 의원 연맹 (고문)
- 천황 폐하 즉위 20년 봉축 국회의원 연맹 (상임 간사)
- 신도정치연맹 국회의원 간담회 (부회장)
- 일중 우호 의원 연맹 (부회장)
- 친학 추진 의원 연맹 (부회장)
- 한일 의원 연맹 (상임 간사)
- 일인 우호 의원 연맹 (회장)[63]
- 베이징 올림픽을 지원하는 의원 모임 (부간사장)
- 다 함께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
- TPP 교섭에서 국익을 지켜내는 모임
- 홋카이도 연합 유족회 (이사장)
- 홋카이도 스페이스 포트 연구회 (고문)
- 럭비 월드컵 2019 일본 대회 성공 의원 연맹 (회장)
7. 가족 관계
시즈오카현 누마즈시에서 내무 관료이자 정치인이었던 마치무라 킨고의 차남으로 태어났다.[14] 마치무라 가문은 아버지 킨고가 시즈오카현 수산과장이던 시절부터의 인연으로, 누마즈시 교외에 있던 시즈오카현 하라정 어업조합장 우에마츠 요자부로의 별저로 피난해 있었다.[14]
;마치무라 가문(후쿠이현 타케후시, 홋카이도 에베츠시)
:마치무라 가문은 에도 시대(1603년 - 1867년)에 대대로 에치젠번의 가로인 후추 영주 혼다가를 섬긴 무사 가문이다.
:*'''조부''': 마치무라 킨야 - 실업가, 정치인. 오쿠보정 정장.
:*'''부친''': 마치무라 킨고 - 내무 관료, 정치인. 경시총감, 홋카이도 지사, 중의원 의원, 참의원 의원, 자치대신.
:*'''모친''': 후타바 - 돗토리현 출신, 법학박사 쿠와타 쿠마조의 딸.
:*'''형제자매''': 형 1명, 누나 1명, 여동생 2명.
:*'''배우자 및 자녀''': 아내와 딸 2명이 있다.
:*'''사위''': 와다 요시아키 - 차녀의 남편. 마치무라 삿포로 사무소 부소장, 정치인.
8. 저서
- 『보수의 논리 - 「늠름하고 아름다운 일본」을 만든다』 PHP연구소 2005년
참조
[1]
웹사이트
Profile of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Nobutaka Machimura
http://www.mofa.go.j[...]
[2]
웹사이트
Lower House approves Machimura's resignation, selects Oshima as successor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15-04-30
[3]
뉴스
Abe Replaces Finance Minister; Aso to Rebuild LDP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07-08-27
[4]
웹사이트
Machimura takes top LDP faction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2009-02-02
[5]
뉴스
Fukuda Challenges Aso in Race to Be Prime Minister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07-09-14
[6]
웹사이트
Official faction website: List of chairmen
http://www.seiwaken.[...]
[7]
뉴스
Fukuda Cabinet launched / Changes minimized to reduce impact on Diet business
http://www.yomiuri.c[...]
The Yomiuri Shimbun
2007-09-26
[8]
뉴스
Aso elected premier / Announces Cabinet lineup himself; poll likely on 2 November
http://www.yomiuri.c[...]
The Yomiuri Shimbun
2008-09-25
[9]
뉴스
Japanse kabinetssecretaris gelooft in UFO's
http://www.nu.nl/new[...]
NU.nl
2007-12-19
[10]
뉴스
UFOs exist, says Japan official
http://news.bbc.co.u[...]
BBC
2010-05-20
[11]
뉴스
Ex-lower house Speaker Machimura dies at 70
http://the-japan-new[...]
The Japan News
2015-06-30
[12]
뉴스
あなたは大丈夫? 町村信孝 見逃された「死の前兆」
https://gendai.media[...]
週刊現代
2020-02-29
[13]
뉴스
町村前衆院議長 死去 NHKニュース
http://www3.nhk.or.j[...]
2015-06-01
[14]
서적
保守の論理 {{small|「凛として美しい日本」をつくる}}
[15]
웹사이트
選挙@HTB
https://web.archive.[...]
北海道テレビ放送
2023-08-11
[16]
서적
保守の論理 {{small|「凛として美しい日本」をつくる}}
[17]
서적
保守の論理 {{small|「凛として美しい日本」をつくる}}
[18]
문서
町村信孝ウェブサイト
[19]
서적
新・日本の官僚
文春文庫
1988
[20]
뉴스
日本経済新聞
2008-06-17
[21]
뉴스
衆院補選 北海道5区は自民 和田義明氏が当選
http://www3.nhk.or.j[...]
NHK
[22]
서적
民主党政権100日の真相
朝日新聞社
2010
[23]
문서
北海道11区で石川知裕に敗北した比例次点の中川昭一は既に死去していたため、北海道6区で敗北した今津寛が繰り上げ当選した。
[24]
뉴스
自民・町村氏が検査入院 総裁選の関連行事欠席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2-09-19
[25]
뉴스
入院中の町村氏、脳梗塞患う…本人不在で選挙戦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2-11-22
[26]
뉴스
町村議長辞表提出 脳梗塞理由に「仕事の悪影響避けたい」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04-20
[27]
웹사이트
衆議院歴代議長・副議長一覧
https://www.shugiin.[...]
衆議院
[28]
뉴스
訃報:町村信孝さん70歳=前衆院議長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5-06-01
[29]
뉴스
故町村信孝氏に従二位と桐花章
https://web.archive.[...]
2015-06-04
[30]
문서
平成27年6月12日官報
[3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32]
웹사이트
https://kokkai.ndl.g[...]
[33]
웹사이트
https://www.shugiin.[...]
[34]
웹사이트
https://diamond.jp/a[...]
[35]
웹사이트
町村外相:反日デモ、在外公館警備に自衛隊員派遣も検討
https://web.archive.[...]
毎日新聞
2024-08-21
[36]
뉴스
null
読売新聞
2008-05-11
[37]
뉴스
公務員制度改革法案、今国会成立へ 渡辺氏は満足、町村氏は不満
https://web.archive.[...]
2008-05-28
[38]
뉴스
【竹島問題】町村長官「抗議は必要なし」 米の竹島「韓国領」表記再変更
https://megalodon.jp[...]
2008-07-31
[39]
뉴스
「北教組資料に『竹島は韓国領土』」 町村氏が批判強める
http://www.hokkaido-[...]
2010-02-19
[40]
뉴스
町村氏「日弁連の見識を疑う」
http://www.nikkanspo[...]
2008-07-18
[41]
웹사이트
日弁連提言「見識疑う」町村官房長官が批判
http://www.news24.jp[...]
日テレNEWS24
2008-07-19
[42]
웹사이트
【官房長官会見】「個人的には面白い たばこ税増税」(2日午後)
http://sankei.jp.msn[...]
2008-06-02
[43]
웹사이트
21世紀教育新生プラン 教育改革関連法案中心に 飛び入学など討議 分科会分属も決まる
https://web.archive.[...]
全私学新聞
2001-02-13
[44]
뉴스
null
朝日新聞
2001-02-05
[45]
웹사이트
コメ減反見直し発言…町村氏“暴走”に批判の声集中
http://www.iza.ne.jp[...]
2008-06-21
[46]
웹사이트
政府・与党「あの人にだけは言われたくない」 企業・団体献金禁止
http://sankei.jp.msn[...]
MSN産経ニュース
2009-03-19
[47]
웹사이트
企業・団体献金争点に 政治資金規制で与野党応酬
http://www.nikkei.co[...]
日経ネット
2009-03-20
[48]
뉴스
世襲制限提唱の菅氏を批判=町村氏
https://megalodon.jp[...]
2009-04-25
[49]
뉴스
「小泉さんらしからぬ」 町村氏が世襲批判
https://web.archive.[...]
2009-05-17
[50]
비디오
小沢氏資金問題 自民・町村氏「国会で追及する」(10/01/24)
https://www.youtube.[...]
テレビ朝日
2010-01-24
[51]
문서
「信友会」政治資金収支報告書 p32
https://web.archive.[...]
2008-03-17
[52]
연구자료
2014年衆院選、朝日・東大谷口研究室共同調査
朝日新聞
2014
[53]
웹사이트
野田聖子「選択的夫婦別姓制度」
https://megalodon.jp[...]
2001-11-06
[54]
웹사이트
清和政策研究会フォーラム
https://megalodon.jp[...]
2010-05-13
[55]
뉴스
null
毎日新聞
2004-10-16
[56]
웹사이트
「UFOの存在、確認していない」 閣議で答弁書を決定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07-12-18
[57]
뉴스
町村長官「UFO絶対いる」- 政府公式見解に『異議』
朝日新聞社, 로이터
2007-12-18
[58]
웹사이트
「労組がさぼっている」=郵政民営化でサービス低下-自民・町村氏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09-07-02
[59]
뉴스
首相と石破氏、きょう会談 地方創生相で調整、石破氏は受諾へ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4-08-29
[60]
뉴스
町村派、総裁派閥ながら改造へ期待薄 人材不足、会長の求心力も乏しく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4-09-01
[61]
뉴스
安倍首相と石破氏会談へ、内閣改造・党人事めぐり
http://news.tbs.co.j[...]
TBSnewsi
2014-08-28
[62]
웹사이트
タバコ販売&耕作者政治連盟から自民党議員への献金額 6年間の合計金額が多い順 2010年~2015年(平成22~27年)
http://notobacco.jp/[...]
日本禁煙学会
2017-02-21
[63]
뉴스
モディ首相「インドの友人だった」町村氏悼む声明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5-06-03
[64]
뉴스
13閣僚に日歯連マネー 小泉改造内閣 小泉首相、町村外相、北側国交相ら…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2004-09-28
[65]
뉴스
企業献金やめます/札幌市も出資 北海道ガス/外相らに毎年「適切さ欠く」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2005-07-05
[66]
뉴스
正副7大臣に談合企業が献金 不当利得の一部還流 穀田議員追及 4年間で八百万円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2005-07-23
[67]
문서
「信友会」政治資金収支報告書 p4
https://web.archive.[...]
2008-03-17
[68]
저널
小沢氏喚問を叫ぶ石原・町村・江田各氏の「政治とカネ」問題
https://www.news-pos[...]
小学館
2011-05-11
[69]
잡지
null
真光
199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