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독교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기독교주의는 기독교에 대한 반대 또는 적대적인 태도와 관련된 용어이다. 고대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가 로마의 전통 종교와 사회 질서에 위협이 된다고 여겨 박해가 시작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십자군 전쟁을 거치며 이슬람 세계에서 반기독교 정서가 나타났다. 근대 초기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탈기독교화 운동이 일어났고, 근대 후기에는 아르메니아인 학살 등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한 학살이 발생했다. 현대에도 북한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기독교 박해가 지속되고 있으며, 일부 국가와 사회에서는 반기독교적 편견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1920년대 사회주의 운동가들이 일제 협력과 민중 억압의 도구로 기독교를 비판하며 반기독교 운동을 시작했으며, 1980년대 민주화 운동과 함께 기독교 근본주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반기독교주의는 예수에 대한 시각, 기독교계의 반응 등 다양한 논쟁과 쟁점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반기독교주의 | |
---|---|
개요 | |
유형 | 종교적 편견, 차별, 적대감 |
대상 | 기독교 신자, 기독교 신앙 |
동기 | 종교적, 정치적, 이념적, 철학적 |
표현 | 언어적 학대 사회적 차별 폭력 (신체적 공격, 재산 파괴) 법적 차별 박해 |
역사적 배경 | |
고대 로마 | 기독교 박해 (로마 제국) |
중세 시대 | 이단 심문, 종교 전쟁 |
현대 | 공산주의 국가에서의 종교 탄압 무신론 운동 반종교주의 |
원인 및 요인 | |
종교적 차이 | 기독교 교리에 대한 반감, 다른 종교와의 충돌 |
정치적 이유 | 기독교 세력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반발 |
사회적 이유 | 기독교의 보수적인 가치관에 대한 반감, 사회 변화에 대한 저항 |
심리적 이유 | 집단 심리, 편견, 혐오 |
현대의 반기독교주의 | |
서구 사회 | 세속주의 확산 다문화주의에 따른 종교적 갈등 표현의 자유 논쟁 (신성 모독) |
비서구 사회 | 이슬람 국가에서의 기독교 박해 힌두교 극단주의 불교 극단주의 |
논쟁 및 비판 | |
반기독교주의의 정의 | 기독교 비판과의 구분 혐오 발언과의 연관성 |
반기독교주의의 실재 여부 | 기독교 세력의 과장 주장 소수자 혐오 문제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종교 혐오 기독교 혐오 반종교주의 신성모독 |
2. 역사
로마 제국 시대에 기독교는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로 이어질 정도로 심한 반(反)기독교 정서에 직면했다. 이는 기독교의 성장이 로마 당국과 백성들에게 의심을 샀기 때문이다. 신약 성서에는 예수가 반기독교 정서를 예상하고 복음서 저자들이 이를 기록했다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1세기의 반기독교 정서는 로마 당국뿐만 아니라 유대인들도 표출했다. 당시 기독교는 유대교에서 파생된 종파였기 때문에, 기존 유대교는 새롭고 혁명적인 믿음에 분노했다.[4]
시드니 H. 그리피스 교수는 무슬림들이 기독교의 십자가와 성상을 혐오했는데, 이는 꾸란에서 부정하는 기독교 신앙, 즉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이며 십자가에서 죽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드러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6] 이러한 이유로 무슬림들은 기독교의 상징, 특히 이전 기독교 국가였던 이집트와 시리아 등에서 십자가를 지우려는 노력을 계속했다.
종교 개혁 시기에 무신론이 부상하면서 반기독교 정서가 확산되었다.[12] 프랑스 혁명 시기 공포 정치 동안, 급진적인 혁명가들과 그 지지자들은 프랑스에서 기독교의 영향력을 제거하고자 하는 문화 혁명을 시도하였다.[13] 1793년 동안 반기독교 정서는 더욱 심화되어 탈기독교화 운동이 발생하였고, 이신론의 최고 존재 숭배와 무신론적인 이성 숭배를 포함한 새로운 형태의 도덕적 종교가 등장하였다.[15]
오스만 제국 말기에는 아르메니아인 학살, 그리스인 학살, 아시리아인 학살 등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학살이 발생했다.[16]
멕시코 혁명 이후 크리스테로 전쟁에서 정부는 가톨릭 교회의 권력을 제한하고 종교 활동을 억압하려 했으며, 이는 반가톨릭주의 정책으로 이어졌다.[26] 스페인 내전 중 스페인 적색 공포 기간 동안 공화파는 교회와 성직자를 공격하고 많은 기독교인을 학살했다.[31]
나치 독일은 기독교의 가르침을 비판하고, 교회 투쟁을 통해 교회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 했다.[33] 나치 이데올로기는 다양한 면에서 전통적인 기독교 신념과 충돌했다.
소련 역사 (1917–1991) 전반에 걸쳐, 소련 당국은 국가의 이익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기독교를 서로 다른 정도로 잔혹하게 탄압하고 박해했던 시기가 있었다.[34] 국가는 종교의 파괴를 옹호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종교적 신념을 미신적이고 뒤떨어진 것으로 비난했다.[35][36]
냉전 종식 이후에도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 등 여러 지역에서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에 의한 박해가 심각하다. 북한은 세계에서 기독교 박해가 가장 심한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39][40]
2. 1. 고대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는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로 이어질 정도로 심한 반(反)기독교 정서에 직면했다. 이는 기독교의 성장이 로마 당국과 백성들에게 의심을 샀기 때문이다. 2세기 동안 기독교는 로마인들의 원칙에 따른 비난과 지적 시대에 촉발된 논란으로 인해 부정적으로 여겨졌다.[3]신약 성서에는 반기독교 정서가 언급되어 있으며, 예수는 이를 예상하고 복음서 저자들은 이를 기록했다. 1세기의 반기독교 정서는 로마 당국뿐만 아니라 유대인들도 표출했다. 당시 기독교는 유대교에서 파생된 종파였기[4] 때문에, 기존 유대교는 새롭고 혁명적인 믿음에 분노했다. 바울로스는 기독교인이 되기 전 기독교인을 박해했으며, 예수의 십자가형을 유대인에게 '걸림돌'로 강조했다. 메시아가 십자가에서 죽었다는 믿음은 다른 메시아를 기다리던 일부 유대인들에게는 거슬리는 것이었다.[5]
2. 2. 중세
시드니 H. 그리피스 교수는 무슬림들이 기독교의 십자가와 성상을 혐오했는데, 이는 꾸란에서 부정하는 기독교 신앙, 즉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이며 십자가에서 죽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드러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이유로 무슬림들은 기독교의 상징, 특히 이전 기독교 국가였던 이집트와 시리아 등에서 십자가를 지우려는 노력을 계속했다. 초기 이슬람 시대에 무슬림과의 갈등으로 인해 기독교 이미지와 십자가가 파괴되고 훼손된 고고학적 증거가 존재한다.[6]안달루시아의 법학자 이븐 루시드는 금으로 된 십자가는 전리품으로 분배하기 전에 부숴야 하며, 기독교 성서는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기독교 경전을 불태워야 한다고 명시했다.[7] 알-안달루스에서는 "십자가를 부수는 망치"라는 제목의 반기독교 논문이 출판되기도 했다.[8]
페르시아 시인 무이치는 알프 아르슬란의 손자에게 대량 학살을 통해 세상의 모든 기독교인을 뿌리 뽑으라고 촉구했다.[9]
13세기에 동방을 여행한 마르코 폴로는 아라비아 사람들이 기독교인을 몹시 싫어하며, 세상의 모든 사라센인(무슬림)들이 세상의 모든 기독교인에게 불행이 닥치기를 바라는 데 동의한다고 기록했다.[10][11]
2. 3. 근대 초기
종교 개혁 시기에 무신론이 부상하면서 반기독교 정서가 확산되었다.[12] 프랑스 혁명 시기 공포 정치 동안, 급진적인 혁명가들과 그 지지자들은 프랑스에서 기독교의 영향력을 제거하고자 하는 문화 혁명을 시도하였다.[13] 1789년에는 교회 토지가 몰수되었고, 사제들은 살해되거나 프랑스에서 추방되었다.[13] 1792년 후반에는 "저항 사제"들이 표적이 되었고, 자코뱅 클럽 출신의 세속적인 인물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였다.[14] 1793년 동안 반기독교 정서는 더욱 심화되어 탈기독교화 운동이 발생하였고, 이신론의 최고 존재 숭배와 무신론적인 이성 숭배를 포함한 새로운 형태의 도덕적 종교가 등장하였다.[15] 낭트의 익사는 많은 가톨릭 사제와 수녀들을 대상으로 자행되었다. 최초의 익사는 1793년 11월 16일 밤에 발생했으며, 희생자들은 국민 공회에 의해 "저항 성직자"로 분류된 160명의 가톨릭 사제들이었다.2. 4. 근대 후기
오스만 제국 말기에는 아르메니아인 학살, 그리스인 학살, 아시리아인 학살 등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학살이 발생했다.[16] 베니 모리스와 드로르 제에비는 아르메니아인 학살과 그 당시 오스만 제국 내 기독교 박해 (그리스인 학살 및 아시리아인 학살)가 오스만 제국이 자신들의 기독교 신민에 대해 수행한 집단 학살 또는 대량 학살이라고 주장한다.[19][20][21]프랑스에서는 카드 사건을 통해 기독교인 군 장교들이 승진에서 불이익을 받는 등 반기독교적 차별이 존재했다.[22][23][24][25] 1900년부터 1904년까지, 지방 행정부, 프랑스 그랑 오리앙의 프리메이슨 로지 및 기타 정보 네트워크는 기독교인이 군대 계급 승진에서 배제되고 "자유 사상" 장교가 대신 승진하도록 하기 위해 모든 육군 장교의 데이터 시트를 만들고 비밀 감시 시스템을 구축했다.
멕시코 혁명 이후 크리스테로 전쟁에서 정부는 가톨릭 교회의 권력을 제한하고 종교 활동을 억압하려 했으며, 이는 반가톨릭주의 정책으로 이어졌다.[26] 멕시코 대통령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는 헌법 제130조를 엄격하게 시행하라는 행정 명령을 내렸는데, 이 결정은 카예스 법으로 알려져 있다. 카예스는 멕시코 내 가톨릭 교회의 권력과 그 관련 조직을 제거하고 대중의 종교성을 억압하려 했다. 법을 시행하기 위해 카예스는 교회 재산을 압수하고, 외국인 사제를 추방하고, 수도원, 수녀원 및 종교 학교를 폐쇄했다.
포르투갈 제1공화국은 반성직주의 정책을 추진하여 종교 단체를 추방하고 재산을 몰수했다.[30] 아폰수 코스타 법무부 장관의 지도 아래, 혁명은 즉시 가톨릭 교회를 겨냥했으며, 임시 정부는 반종교 정책에 모든 관심을 쏟기 시작했다. 10월 8일, 포르투갈의 종교 단체가 추방되었고 그들의 재산이 몰수되었다.
스페인 내전 중 스페인 적색 공포 기간 동안 공화파는 교회와 성직자를 공격하고 많은 기독교인을 학살했다.[31] 1936년 7월의 실패한 쿠데타는 공화주의 지역의 혁명가들이 적으로 간주한 사람들에 대한 폭력적인 공격을 촉발했다. "반란이 실패한 곳에서는, 몇 달 동안 사제, 수도자, 또는 단순히 기독교 신자나 어떤 사도적 또는 경건한 조직의 구성원으로 확인되는 것만으로도 재판 없이 처형하기에 충분했다."[32]
나치 독일은 기독교의 가르침을 비판하고, 교회 투쟁을 통해 교회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 했다.[33] 나치 이데올로기는 다양한 면에서 전통적인 기독교 신념과 충돌했다. 나치는 "열등한 인종이 아리아인을 지배하는 것을 막는 데 필요한 폭력적인 본능을 억압한다"는 이유로 "온유함과 죄책감"에 대한 기독교적 개념을 비판했다. 알프레드 로젠버그와 마르틴 보어만과 같은 공격적인 반교회 급진주의자들은 교회와의 갈등을 최우선적인 문제로 간주했으며, 반교회 및 반성직주의 감정은 당 활동가들 사이에서 강했다.[33] 아돌프 히틀러 자신은 기독교를 경멸했는데, 앨런 불록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소련 역사 (1917–1991) 전반에 걸쳐, 소련 당국은 국가의 이익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기독교를 서로 다른 정도로 잔혹하게 탄압하고 박해했던 시기가 있었다.[34] 국가는 종교의 파괴를 옹호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종교적 신념을 미신적이고 뒤떨어진 것으로 비난했다.[35][36] 소련 공산당은 교회를 파괴하고, 종교 지도자를 조롱하고, 괴롭히고, 투옥하고, 처형했으며, 학교와 언론에 반종교적 가르침을 쏟아붓고, 자체적인 의식, 약속 및 선교사를 갖춘 "과학적 무신론"이라는 신념 체계를 도입했다.[37][38] 일부 자료에 따르면, 소련 정권 하의 기독교 희생자 총수는 약 1,200만에서 2,000만 명으로 추정된다.[39][40] 1937년에서 1941년 사이에 최소 106,300명의 러시아 성직자가 처형되었다.[41]
2. 5. 현대
냉전 종식 이후에도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 등 여러 지역에서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에 의한 박해가 심각하다. 북한은 세계에서 기독교 박해가 가장 심한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39][40]서구 사회에서도 할리우드 영화 등 대중 매체에서 반기독교적 편견이 나타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캐나다에서는 원주민 기숙학교 부지에서 아동 유해가 발견된 후, 68개 이상의 교회가 방화 또는 훼손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3. 한국의 반기독교주의
조선 영조 때 천주교가 전래되면서 한국에서는 반기독교 운동이 나타났다. 이때의 반기독교 운동은 유교 성리학이나 실학과 결합한 형태였다.
1930년대 이후 기독교 계열의 탄압으로 주춤하던 반기독교운동은 1980년대 후반 다시 나타났다. 1920년대의 반기독교운동은 사회주의자, 무신론자 위주였으나, 1980년대 후반의 한국 반기독교운동은 반기독교주의자, 무신론자, 자연주의자, 인본주의자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였다.
3. 1. 조선시대
조선 영조 때 이후 천주교가 전파되면서 야당 정파인 근기남인의 이익과 그 문하생들을 중심으로 예수, 천주교를 접하게 되었다. 성호 이익의 문하생 중에는 천주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신서파가 나왔고, 다른 문인은 안정복, 신후담을 중심으로 예수와 기독교 교리의 허구성, 사후세계를 비판하는 공서파가 형성되었다.3. 2. 일제강점기
1920년대 사회주의 운동가들은 기독교가 일제에 협력하고 민중을 억압하는 도구로 사용된다고 비판했다.[66] 박헌영, 김단야 등은 반기독교 강연회를 개최하고 기독교의 문제점을 지적했다.[67][68]1923년 3월 전조선청년당대회, 1924년 1월 경성신흥청년동맹회 등 사회주의계 청년단체로부터 본격적인 반기독교운동이 시작되었다.[66] 1925년 10월 25일에는 한양청년동맹 등의 주최로 '반기독교대강연회'가 개최되었으나,[67][68] 기독교 계열의 밀고로 일제 경찰에 의해 해산되었다. 사회주의 계열에서는 일제와 기독교가 유착되었다고 비판하며 기독교계와 갈등이 깊어졌다.[66]
당시 한국교회는 기독교인들조차도 비판할 만큼 심각한 문제점들을 갖고 있었다. 이상재는 선교사들의 백인우월주의를 비판하였으며,[69] 이광수는 1920년 《금일 조선야소교회의 결점》에서 조선교회의 권위주의, 기복신앙, 개신교 목사들의 낮은 학문 수준, 성서 해석 독점 등을 비판했다.
박헌영, 허정숙, 김단야 등의 사회주의자들은 기독교는 정치와 결탁하여 봉건주의, 자본주의와 제국주의를 옹호하며, 미신적 믿음을 갖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장로교의 김익두 목사는 사회주의자들로부터 "고등무당"이라는 비판을 받았다.[70] 한국교회가 이들의 비판을 경청하기보다는 반(反)사회주의운동으로 사회주의자들을 배척하면서, 한국교회와 사회주의자들과의 관계는 악화되었다.[71]
3. 3. 현대
1980년대 민주화 운동과 함께 기독교 근본주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반기독교 정서가 다시 확산되었다. 1992년경 PC통신을 중심으로 '개독', '먹사'와 같은 신조어가 등장하며 기독교에 대한 비판적인 담론이 형성되었다.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온라인 공간에서 반기독교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기독교인들의 비윤리적 행위, 배타적인 태도, 사회적 문제에 대한 부적절한 대응 등이 반기독교 정서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4. 논쟁과 쟁점
반기독교주의는 다양한 논쟁과 쟁점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논쟁점 중 하나는 기독교의 교리와 신념 체계에 대한 비판이다. 일부 반기독교주의자들은 기독교의 특정 교리가 비합리적이거나 비도덕적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기독교 역사 속에서 발생한 종교 전쟁, 마녀사냥, 종교 재판 등과 같은 사건들은 반기독교주의의 주요 비판 대상이 되기도 한다.
4. 1. 예수에 대한 시각
반기독교주의 내에서 예수의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의견은 통일되지 않고 다양하다. 예수를 실존 인물로 보는 입장과 신화적 존재로 보는 입장이 모두 존재한다. 이는 기독교의 배타성, 폐쇄성, 권위주의에 대한 반감과 더불어 자유주의, 무신론, 민족주의, 인본주의 등 다양한 사상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반기독교 운동에 참여했기 때문이다.4. 2. 기독교계의 반응
반기독교주의에 대한 기독교 측의 견해는 다양하며, 반기독교인을 포용하자는 입장과 반기독교주의자들을 박멸해야 한다는 공격적인 대응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기독교 측에서는 반기독교주의를 기독교 개혁의 수단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61] 2000년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원작인 영화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 상영을 놓고 반기독교주의 집단과 개신교인, 천주교인 사이의 갈등이 있었다. 2004년 9월 댄 브라운의 《다빈치 코드》 국내 번역본 출간과 2006년 《다빈치 코드》 영화 상영에 반대를 제기한 기독교 단체들과 표현의 자유와 신성모독 문제를 놓고 한동안 논쟁과 갈등이 있었다.[62][63][64][65] 예수를 인성으로 표현한 방송과 예술 등에 대해서도 논쟁의 불씨가 있다.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ANTI-CHRISTIAN
https://www.merriam-[...]
2021-05-20
[2]
웹사이트
ANTI-CHRISTIAN {{!}} Definition of ANTI-CHRISTIAN by Oxford Dictionary on Lexico.com also meaning of ANTI-CHRISTIAN
https://www.lexico.c[...]
2021-05-20
[3]
간행물
Incest, Infanticide, and Cannibalism: Anti-Christian Imputations in the Roman Empire
https://www.jstor.or[...]
2010
[4]
웹사이트
Religion:Christianity
https://www.jewishvi[...]
2021-11-09
[5]
웹사이트
Religions: Paul
https://www.bbc.co.u[...]
2021-11-09
[6]
서적
The church in the shadow of the mosque: Christians and Muslims in the world of Isla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7]
서적
The Myth of the Andalusian Paradise
https://books.google[...]
Open Road Media
2016-02-09
[8]
서적
Medieval Iberia: Readings from Christian, Muslim, and Jewish Sourc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7
[9]
서적
Turkish Myth and Muslim Symbol: The battle of Manzikert
https://books.google[...]
2007-11-21
[10]
서적
The Travels of Marco Polo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2001-12-04
[11]
서적
World Communication: A Journal of the World Communication Association
https://books.google[...]
1991
[12]
서적
The Hexagon of Heresy: A Historical and Theological Study of Definitional Divine Simplicit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23-01-25
[13]
간행물
Politics, Culture, and Class in the French Revolution
[14]
문서
Report by the Jacobin Society of Besançon on Refractory Priests
https://revolution.c[...]
1792-01-08
[15]
서적
A Cultural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16]
서적
Turkish Atrocities: Statements of American Missionaries on the Destruction of Christian Communities in Ottoman Turkey, 1915–1917
Gomidas Institute
1998
[17]
서적
The Explorers: An Anthology of Discovery
https://books.google[...]
Casell
1962
[18]
서적
Travels in Arabia Deserta: Two Volumes in One
https://books.google[...]
Ravenio Books
2014-03-14
[19]
서적
The Thirty-Year Genocide: Turkey's Destruction of Its Christian Minorities, 1894–1924
"[[Harvard University Press]]"
[20]
간행물
The thirty year genocide: Turkey's destruction of its Christian minorities, 1894–1924
"[[Routledge]]"
[21]
뉴스
Then Came the Chance the Turks Have Been Waiting For: To Get Rid of Christians Once and for All
https://www.haaretz.[...]
2021-11-04
[22]
간행물
L'affaire des fiches dans le Nord
http://www.cairn.inf[...]
2010
[23]
간행물
Aux origines de l'affaire des fiches (1904) : Le cabinet du général André
2002
[24]
웹사이트
L'affaire des fiches et le grand mythe du complot franc-maçon : conférence du mardi 6 février 2007 / Serge Bernstein, aut. du texte ; Serge Bernstein, participant
https://gallica.bnf.[...]
2007
[25]
서적
L'affaire des fiches, 1900–1904: chronique d'un scandale
Editions universitaires
1989
[26]
서적
The Other Mexico: The North American Triangle Completed
https://books.google[...]
Black Rose Books, Ltd
1995
[27]
서적
Nationalism, Liberalism, and Progress: The dismal fate of new nation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 Press
2000
[28]
간행물
American Catholics and Mexican Anticlericalism, 1933–1936
1948-09
[29]
간행물
A Setback to Tomas Garrido Canabal's Desire to Eliminate the Church in Mexico
http://jcs.oxfordjou[...]
1971
[30]
웹사이트
Portugal – The First Republic, 1910–26
https://www.britanni[...]
2021-07-16
[31]
간행물
Religious Persecution, Anticlerical Tradition and Revolution: On Atrocities against the Clergy during the Spanish Civil War
[32]
서적
Gunpowder and Incense
[33]
서적
Hitler: A Biography
W. W. Norton
2008
[34]
웹사이트
Revelations from the Russian Archives: ANTI-RELIGIOUS CAMPAIGNS
https://www.loc.gov/[...]
US Government
2016-05-02
[35]
간행물
Father Aleksandr Men and the struggle to recover Russia's heritage
http://www.alexandrm[...]
Institute for European, Russian and Eurasian Studi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9
[36]
논문
"'I am an atheist and a Muslim': Islam, communism, and ideological competition."
2005
[37]
논문
Forced Secularization in Soviet Russia: Why an Atheistic Monopoly Failed.
2004-03
[38]
논문
"Russia's postcommunist past: the Cathedral of Christ the Savior and the reimagining of national identity."
2009
[39]
서적
Psychology, Religion, and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
[40]
간행물
Christian Martyrdom: A global demographic assessment
https://web.archive.[...]
[41]
서적
A Century of Violence in Soviet Russ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2
[42]
뉴스
Christian persecution 'at near genocide levels'
https://www.bbc.com/[...]
2019-05-03
[43]
웹사이트
Christians are the most persecuted religious group in the world
https://web.archive.[...]
[44]
웹사이트
Persecution of Christians 'coming close to genocide' in Middle East – report
https://www.theguard[...]
2019-05-02
[45]
웹사이트
The Fate of Egypt's Coptic Christians: Part One With Raymond Ibrahim
http://www.inquisitr[...]
2013-04-25
[46]
웹사이트
Persecution in Pakistan
https://web.archive.[...]
2015-03-24
[47]
웹사이트
117 Witnesses Detail North Korea's Persecution of Christians
https://www.christia[...]
2021-09-01
[48]
웹사이트
The World Must Not Forgot North Korea's Crimes Against Humanity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21-09-05
[49]
웹사이트
One in three Christians face persecution in Asia, report finds
https://www.theguard[...]
2021-09-05
[50]
웹사이트
Christian persecution reached record high in 2015, report says
https://edition.cnn.[...]
CNN
2021-09-05
[51]
웹사이트
Dying for Christianity: millions at risk amid rise in persecution across the globe
https://www.theguard[...]
2021-09-05
[52]
웹사이트
North Korea 'executes Christians'
http://news.bbc.co.u[...]
BBC
2021-09-06
[53]
웹사이트
World Watch List 2012: North Korea No. 1 Persecutor of Christians for 10th Straight Year
https://web.archive.[...]
2012-01-11
[54]
웹사이트
Christianophobia
https://hansard.parl[...]
Hansard
2022-09-19
[55]
웹사이트
Rainn Wilson Calls Out 'Anti-Christian Bias' in 'The Last of Us'
https://www.indiewir[...]
2023-03-13
[56]
뉴스
Matthew McConaughey Addresses Anti-Christian Bias in Hollywood
https://www.moviegui[...]
2020-10-27
[57]
뉴스
First Reading: The Canadian church arsons never stopped
https://nationalpost[...]
2024-02-14
[58]
뉴스
At least 33 Canadian churches have burned to the ground since May 2021. So far, 24 are confirmed arsons
https://www.cbc.ca/n[...]
2024-01-10
[59]
웹사이트
"'Unacceptable and wrong': Trudeau says vandalizing churches can hurt those seeking 'solace' {{!}} Globalnews.ca"
https://globalnews.c[...]
2024-05-01
[60]
Youtube
"'Unacceptable and wrong': PM Trudeau condemns church vandalism"
https://www.youtube.[...]
2024-05-01
[61]
뉴스
“기독교, 광신ㆍ짝퉁ㆍ개독ㆍ초딩 이미지를 벗어야"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09-06-26
[62]
뉴스
학교서 '다빈치코드' 단체관람 물의… 서울 금옥중 학부모 항의 잇따라
http://www.kukinews.[...]
국민일보
2009-11-23
[63]
뉴스
기독네티즌 57% "다빈치코드 부정적 영향"… 갓피플 3297명 설문조사
http://www.kukinews.[...]
국민일보
2009-11-23
[64]
뉴스
지방서도 다빈치·유다복음 비판 세미나
http://www.kukinews.[...]
국민일보
2009-11-23
[65]
뉴스
서울 첫날 매진 행렬…기독계는 '1인시위'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11-23
[66]
웹사이트
http://100.naver.com[...]
[67]
웹사이트
반기독교운동
http://100.naver.com[...]
[68]
웹사이트
http://weekly.khan.c[...]
[69]
서적
생활신앙으로 살아가기
대한기독교 서회
[70]
서적
주기철 (인물로 보는 한국사 54권)
파랑새
[71]
간행물
한국교회와 과거사고백:민주화시대 이후의 한국교회,조이제
《기독교사상》
2006-04
[72]
문서
[73]
서적
믿음 그리고 행함
합동신학대학원 대학교
[74]
서적
메가처치 논박
정연
[75]
서적
왜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믿지 않을까
위즈덤로드
[76]
뉴스
"제가 목사였던 사실이 슬픕니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