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콘은 항해, 항공, 군사, 차량,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신호 장치이다. 항해에서는 목적지 안내를 위해, 항공에서는 공항 위치 표시 및 항공기 유도를 위해 사용되며, 군사적으로는 아군 식별 및 야간 작전에 활용된다. 차량에는 긴급 차량의 경고등으로, 통신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및 위치 기반 서비스에 사용된다. 또한, 역사적으로는 봉화와 같이 경고 신호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조난 신호, 행사 기념, 분실 방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비콘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정의 | 주의를 끌기 위해 설계된 장치 |
목적 | 위치 알림, 항해 지원, 위험 경고 등 |
유형 | 다양한 형태 (불, 빛, 소리, 전파 등) |
역사 | |
기원 | 고대부터 사용 (불, 연기 신호 등) |
발전 |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진화 |
주요 용도 | |
항해 | 선박 항해 지원 (등대, 무선표지 등) |
항공 | 항공기 항해 지원 (무선표지, ILS 등) |
구조 | 조난자 위치 표시 (EPIRB, PLB 등) |
군사 | 위치 식별, 통신 (레이더 비콘, IFF 등) |
기타 | 과학 연구, 기상 관측 등 |
기술적 특징 | |
신호 유형 | 가시광선, 전파, 음파 등 |
전송 방식 | 연속 신호, 간헐적 신호, 변조 신호 등 |
전원 | 배터리, 태양광, 외부 전원 등 |
범위 | 수 미터 ~ 수백 킬로미터 |
예시 | |
등대 | 해안가에 설치된 빛을 이용한 항해 보조 시설 |
무선표지 | 전파를 이용하여 선박이나 항공기의 위치를 알려주는 장치 |
EPIRB | 비상 위치 지시 무선표지 (Emergency Position Indicating Radio Beacon) |
레이더 비콘 | 레이더 신호를 반사하여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 |
아이비콘 | 저전력 블루투스 (BLE)를 이용한 근거리 위치 인식 기술 |
관련 기술 | |
레이더 | 전파를 이용하여 물체의 위치를 탐지하는 기술 |
GPS |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시스템 |
AIS | 선박 자동 식별 장치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
RFID | 무선 주파수 식별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
참고 자료 | |
관련 문서 | 등대, 무선항행, 위치기반서비스 |
2. 항법
비콘은 항해사나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 이동체의 운전자가 목적지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시설이다. 지상에 설치된 무선국 등에서 발사되는 전파나 적외선(IR)과 같은 전자기파를 이동체에 탑재된 수신 장치로 받아 위치를 파악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항법에 사용되는 비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대표적으로 레이더 신호를 반사하여 위치를 표시하는 레이더 반사기, 특정 전파 신호를 보내는 무선 비콘, 소리를 이용하는 음향 신호, 그리고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시각 신호 등이 있다.
시각 신호를 이용하는 비콘은 가장 직관적인 형태로, 작은 단일 말뚝 구조물부터 크고 잘 보이는 등대까지 다양하며, 육지나 물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중 조명이 설치되어 밤에도 식별 가능한 것을 등대 또는 조명 표지(lighted beacon)라 부르며, 조명 없이 낮에만 식별 가능한 것을 주간 표지(daybeacon)라고 한다.
현대에는 항공기와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해 더욱 정교한 비콘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2. 1. 항공
항공 분야에서는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과 이착륙을 돕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비콘이 활용된다. 주요 항공용 비콘은 다음과 같다.- 무지향성 무선 표지 (NDB): 항공기를 특정 지점으로 유도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무선 표지이다.
- 초단파 전방향식 무선 표지 (VOR): NDB보다 정밀하게 항공기의 방위를 알려주는 무선 표지이다.
- 거리 측정 장치 (DME): DME 송신소로부터 항공기까지의 직선 거리를 측정하여 제공한다.
- 전술 항법 장치 (TACAN): 주로 군용으로 사용되며, VOR의 방위 정보와 DME의 거리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한다. 민간에서는 VOR과 DME를 함께 설치한 VOR/DME 또는 VOR과 TACAN을 병설하여 거리 측정에는 TACAN을, 방위 측정에는 VOR을 사용하는 VORTAC 시설을 이용하기도 한다.
- 계기 착륙 장치 (ILS)의 마커 비콘: 활주로 접근 시 특정 지점 상공을 통과하고 있음을 조종사에게 알려준다.
2. 1. 1. 비행장 비콘
비행장 비콘은 공항 및 헬리패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미국에서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항공 우편을 배달하는 조종사를 돕기 위해 전국에 일련의 비콘이 건설되었다. 이 비콘들은 서로 약 약 40.23km 간격으로 배치되었으며, 이를 비추는 조명과 함께 커다란 콘크리트 화살표가 포함되어 있었다.[1]
휴대용 비콘은 항공기 유도에도 사용되며, 유도원이 활성 공항, 헬리패드 또는 항공모함 주변을 이동하는 항공기 승무원에게 지침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2. 1. 2. 항공 우편 비콘 (미국, 1920-30년대)
미국에서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항공 우편을 배달하는 조종사를 안내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일련의 비콘이 건설되었다. 이 비콘들은 서로 약 약 40.23km 간격으로 배치되었으며, 비콘을 비추는 조명과 함께 커다란 콘크리트 화살표가 포함되어 있었다.[1]2. 2. 선박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비콘이 사용된다. 이러한 항해용 비콘에는 레이더 반사기, 무선 비콘, 음향 신호 및 시각 신호 등이 포함된다. 시각 신호를 이용하는 비콘은 조명이 있는 등대와 조명이 없는 주간 표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선박의 위치 파악과 항로 안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선박의 항해를 지원하는 주요 항로 표지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종류 | 간단 설명 |
---|---|
데카 항법 | 선박의 위치 측정을 위한 시스템 |
무선 방위 신호소 | 전파를 이용하여 인근 선박에 방위와 위치 정보를 제공 |
자동 선박 식별 장치 (AIS) | VHF대를 이용한 선박 간 상호 통신 및 식별 장치 |
드리프트 넷 부이 무선 비콘 (라디오 부이) | 어업 등에서 어망이나 특정 장비의 위치를 표시 |
안개 신호소 | 짙은 안개 발생 시 경적 소리를 이용해 위치 정보를 제공 |
이 외에도 알파 항법, 오메가 항법, LORAN과 같은 전파를 이용한 항법 시스템도 선박 항해에 사용되었다.
2. 2. 1. 등대

비콘은 항해사가 목적지로 가는 것을 돕는 시설이다. 항해용 비콘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레이더 반사기, 무선 비콘, 음향 신호, 그리고 시각 신호 등이 있다.
시각 신호를 이용하는 비콘은 그 형태가 다양하다. 작은 단일 말뚝 구조물부터 크고 웅장한 등대까지 여러 형태가 있으며, 육지나 물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중 조명이 있는 시각 비콘을 등대라고 부르며, 조명이 없는 것은 주간 표지라고 구분한다. 등대는 주로 빛을 이용하여 선박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안전한 항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2. 2. 2. 데카 항법
데카 항법은 선박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항로 표지의 일종이다.2. 2. 3. 무선 방위 신호소
인근 선박에 방위와 위치를 알려주고, 그 항행을 보조하는 전파 표지이다.2. 2. 4. 자동 선박 식별 장치 (AIS)
자동 선박 식별 장치(AIS)는 선박용 항로 표지의 한 종류로, VHF대를 이용한 상호 통신 장비이다. 인공위성을 통한 통신도 가능하며, 긴급 상황 시에도 활용된다.2. 2. 5. 드리프트 넷 부이 무선 비콘 (라디오 부이)
드리프트 넷 부이 무선 비콘은 라디오 부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어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바다에 설치된 어망이나 특정 장비의 위치를 표시하여 선박이 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특히 트롤 어업과 같은 특정 어업 방식에서는 넷 존데와 같은 유사한 목적의 장비가 사용되기도 한다.2. 2. 6. 안개 신호소
안개 신호소는 짙은 안개가 발생했을 때 일정 간격으로 경적 (소리)을 울려 선박에게 고정된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3. 조난 신호
조난 상황이 발생했을 때 구조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비콘을 통칭한다. 다양한 환경과 목적에 맞게 여러 종류의 조난 신호용 비콘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 항공기: 사고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조난 신호를 발신하는 항공기용 비상 무선 송신기(ELT)나, 항공기가 물에 빠졌을 경우 위치를 알리는 수중 로케이터 비콘(ULB) 등이 사용된다.
- 선박: 비상 위치 지시 무선 표지 장치(E-PIRB)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조난 신호를 보내고, 수색 구조용 레이더 트랜스폰더(SART)는 수색대의 레이더 신호에 응답하여 위치를 알리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 개인 휴대: 등산객이나 탐험가 등이 조난 상황에 대비해 휴대하는 비콘(Personal Locator Beacon|퍼스널 로케이터 비콘영어, PLB)도 있다. 스팟(SPOT)이나 AIS-SART 등이 대표적이다. 휴대 전화나 위성 전화도 내장된 GPS 기능이나 통신망 접속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조난 신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23] 산악 구조 활동에 특화된 COCOHELI와 같은 비콘도 개발되었다.
- 특수 상황: 눈사태가 발생했을 때 눈 속에 묻힌 사람의 위치를 신속하게 찾기 위한 눈사태 비콘(아발란체 트랜시버)이나 RECCO 시스템이 사용된다. 또한, 건물 붕괴 등 재난 현장에서 생존자를 수색하는 데 전자기파 인명 탐사 장치와 같은 특수 비콘이 활용되기도 한다.
3. 1. 항공
항공 분야에서는 항공기용 비상 무선 송신기(ELT)나 수중 로케이터 비콘(ULB)과 같은 비상용 비콘이 사용된다.3. 1. 1. 항공기용 비상 무선 송신기 (ELT)
항공기용 비상 무선 송신기 (ELT)는 항공기 사고 시 무선으로 조난 신호를 발신하는 장치이다.3. 1. 2. 수중 로케이터 비콘 (ULB)
수중 로케이터 비콘(ULB, Underwater Locator Beacon)은 주로 항공기가 사고로 물에 빠졌을 때 그 위치를 찾기 위해 사용되는 수중 비콘이다. 선박에도 탑재된다.3. 2. 선박
비콘은 선박의 항해를 돕고 목적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선박 항해에 사용되는 비콘에는 레이더 반사경, 무선 비콘, 음파 및 시각 신호 등이 있다. 시각적 비콘은 작은 구조물부터 큰 등대까지 다양하며, 육지나 물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빛을 내는 비콘은 '조명', 빛이 없는 비콘은 '데이비콘(daybeacon)'이라고 부른다.
특히 조난 상황에서 선박의 위치를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콘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비상 위치 지시 무선 표지 장치(E-PIRB)
- 수색 구조용 레이더 트랜스폰더(SART)
3. 2. 1. 비상 위치 지시 무선 표지 장치 (E-PIRB)
비상 위치 지시 무선 표지 장치(E-PIRB)는 선박이 조난을 당했을 때 인공위성을 통해 조난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장치이다.3. 2. 2. 수색 구조용 레이더 트랜스폰더 (SART)
SART(Search and Rescue Radar Transponder)는 선박 등에 탑재되어 조난 시 수색 레이더의 전파에 반응하여 조난 위치를 알리는 비콘이다. AIS-SART는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기술을 이용하여 인공위성을 통해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개인 휴대용 통신기기 형태의 비콘이다.3. 3. 휴대용 비콘
휴대용 비콘은 Personal Locator Beacon|퍼스널 로케이터 비콘영어(PLB)이라고도 불리며, 최근 다양한 종류의 기기가 등장하고 있다.[23]휴대 전화나 위성 전화는 기지국에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내장된 GPS 수신기로 위치를 특정하거나, Bluetooth나 Wi-Fi 기능을 통해 위성 측위 시스템(GNSS) 기기와 연동될 수 있다. 애플 워치(Apple Watch)의 경우, 4세대 모델부터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한 긴급 통보 기능이 탑재되었다.[23]
눈사태 비콘은 적설 시 등산이나 산악 스키와 같이 눈사태 위험이 있는 활동 중에 휴대하는 소형 기기이다. 전파를 보내고 받을 수 있어 "아발란체 트랜시버"라고도 불린다. 만약 동행자가 눈사태에 휩쓸려 눈 속에 묻히면, 묻힌 사람이 가진 비콘이 보내는 전파를 구조자의 비콘으로 수신하여 위치를 찾아낼 수 있다. 스웨덴에서 개발된 RECCO 시스템도 눈사태 구조에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이다.
재난 상황에서는 전자기파 인명 탐사 장치와 같은 특수 비콘이 활용되기도 한다.
3. 3. 1. 스팟 (SPOT)
스팟(SPOT)은 휴대식 비콘의 한 종류로, 인공위성을 이용한 통신기기이다.3. 3. 2. AIS-SART
AIS-SART는 인공위성을 통해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개인용 통신기기이다.3. 3. 3. COCOHELI
산악 구조용 비콘이다.4. 역사적 방어 통신
역사적으로 봉화는 언덕이나 높은 곳의 잘 알려진 장소에 불을 피워 적군이 접근하고 있음을 육지에 알리는 방어 통신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항로 표지로서 해상 항해에도 활용되었다. 이러한 신호 체계는 고대 형태의 시각 전신으로, 여러 봉화를 연결하여 먼 거리까지 정보를 전달하는 중계 리그의 일부였다. 이러한 종류의 봉화 시스템은 고대부터 세계 여러 지역에서 수 세기 동안 존재해왔다.
4. 1.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에서도 봉화 시스템이 사용되었으며, 이를 프릭토리아이라고 불렀다. 투키디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동안, 코르키라에 있던 펠로폰네소스인들이 아테네 선박 60척이 레프카다에서 접근한다는 것을 밤의 봉화 신호로 알게 되었다고 기록했다.[5]4. 2. 중국
중국 제국 시대에 만리장성 근처의 보초들은 낮에는 연기를, 밤에는 불꽃을 사용하여 장거리 봉화 탑 체인으로 신호를 보내는 정교한 시스템을 사용했다.[2]전설에 따르면, 주 유왕은 자주 우울해하는 후궁을 즐겁게 하기 위해 여러 번 장난을 쳤고, 가신들과 병사들을 속이기 위해 봉화 탑에 불을 지르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신후가 이끄는 적들이 실제로 성벽에 도착했을 때, 탑에 불이 켜졌음에도 불구하고 수비군은 나타나지 않아 주 유왕의 죽음과 서주의 붕괴를 초래했다.[2][3][4] 중국의 봉화 탑 시스템은 한나라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기록도 있다.[2]
4. 3. 비잔틴 제국
10세기 아랍-비잔틴 전쟁 동안 비잔틴 제국은 봉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아바스 칼리파국과의 국경에서 아나톨리아를 거쳐 비잔틴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황궁으로 메시지를 전송했다. 이 시스템은 레오 수학자가 황제 테오필로스를 위해 고안했지만, 테오필로스의 아들이자 계승자인 미하일 3세에 의해 폐지되거나 대폭 축소되었다.[6] 봉화는 나중에 그리스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아나톨리아의 봉화 시스템 잔해는 12세기에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에 의해 재활성화된 것으로 보인다.[6]4. 4. 스칸디나비아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많은 언덕 요새가 침략하는 약탈자들을 경고하기 위한 봉화 네트워크의 일부로 사용되었다. 특히 핀란드에서는 이러한 봉화를 vainovalkeat|바이노발케아트fin("박해의 불") 또는 vartiotulet|바르티오툴레트fin("경비의 불")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임박한 바이킹의 습격으로부터 핀란드 정착지를 보호하기 위한 경고 시스템이었다.4. 5. 웨일스
웨일스에서는 브레콘 비콘스가 영국 침략자들의 접근을 경고하는 데 사용된 봉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6. 잉글랜드

잉글랜드에서 봉화가 사용된 가장 유명한 사례는 엘리자베스 시대 영국 때 스페인 무적함대의 접근을 알리는 데 사용된 것이다. 당시 봉화가 설치되었던 많은 언덕들은 그 이름을 따서 비콘 힐(Beacon Hill)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잉글랜드에서 봉화를 설치할 수 있는 권한은 원래 국왕에게 있었으나, 나중에는 해군 제독에게 위임되었다. 봉화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Beaconagium''이라고 불렸으며, 각 카운티의 보안관이 이를 징수했다.[7]
4. 7.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 국경 지역에서는 과거 잉글랜드의 침입을 경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봉화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이 봉화 네트워크에는 흄과 에거스톤 성, 솔트라 엣지가 포함되어 있었다.[8]4. 8. 스페인
스페인에서는 그라나다와 카스티야 왕국 사이의 국경 지역에서 무어인 침략자와 군사 작전을 경고하기 위해 복잡한 봉화 네트워크를 운영했다.[9] 레콩키스타 과정에서 국경선이 점차 남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페인 전역에는 서로 시야가 확보되는 위치에 성, 탑, 요새를 건설하여 요새화된 봉화 역할을 하는 방어선이 구축되었다. 이러한 예로는 비날로포 성의 길이나 하엔 지역의 성 분포를 들 수 있다.5. 군사적 사용 (20-21세기)
20세기와 21세기 군사 작전에서 비콘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야간 작전 시 아군의 위치를 표시하고 IFF(Identify Friend or Foe)을 돕기 위해 적외선 비콘 등이 활용된다. 이는 아군 오사를 방지하고 작전 조율에 기여한다.[10][11]
군사적으로 활용되는 주요 비콘 관련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 '''트랜스폰더''': 외부(주로 레이더)에서 발신된 특정 신호(질의파)를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응답 신호를 자동으로 발신하는 장치이다. 이 응답 신호에는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어, 질의 측에서 목표물을 인식하고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 '''적아 식별 장치'''(IFF): 전장에서 항공기, 차량, 병력 등이 적인지 아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트랜스폰더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아군 간의 오인 공격을 방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5. 1. 적외선 마커

적외선 스트로브와 기타 적외선 비콘은 야간 투시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기 때문에 현대 전투의 야간 작전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아군의 위치를 표시하여 아군 오사를 방지하고 작전을 조율하는 IFF의 한 형태로 자주 활용된다. 군인들은 일반적으로 전투 헬멧이나 다른 장비에 적외선 마커를 부착하여, 야간 투시경을 사용하는 다른 보병, 지상 차량, 항공기(드론, 헬리콥터, 비행기 등)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10]
수동형 적외선 마커로는 적외선을 반사하는 IR 패치나 케미라이트 등이 있다. 초기에는 헬멧에 테이프로 고정된 IR 케미라이트가 사용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헬멧이나 장비에 부착할 수 있는 특정 마운트를 갖춘 전자식 적외선 스트로브와 같이 더 정교한 장비들이 등장했다. 이러한 스트로브는 지속적으로 켜져 있거나 깜빡이는(스트로브) 설정을 가질 수 있다.[11]
하지만 기술 발전에는 위험도 따른다. 아군이 야간 투시경으로 스트로브를 볼 수 있다면, 야간 투시 장비를 갖춘 적군 역시 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부 미군 관계자들은 빛 규율(적외선 및 가시광선 포함)과 부대의 가시적인 신호를 줄이는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10]
적외선 비콘은 변조된 적외선 광선을 방출하여 쉽고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장애물이 없는 시선(Line of Sight) 확보가 필수적이다. IR 비콘은 로봇 공학 및 전투 식별(CID, Combat Identification)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또한, 적외선 비콘은 일본의 UTMS(Ubiquitous Traffic Management System)의 핵심 기반 시설로 사용된다. 고도로 지향적인 적외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중인 차량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고, 차량 감지 기능을 통해 더 정확한 교통 정보를 제공한다.[19]
6. 차량
차량용 비콘은 주변 차량과 보행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차량 상단에 부착하는 회전 또는 점멸등이다. 주로 긴급 차량 등에 장착되어 긴급 상황이나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임을 알리는 데 사용된다. 비콘의 색상이나 종류는 사용 목적과 규정에 따라 다양하다.
6. 1. 긴급 차량

차량용 비콘은 주변 차량과 보행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차량 상단에 부착하는 회전 또는 점멸등이다. 소방차, 구급차, 경찰차, 견인차, 건설 차량, 제설차와 같은 긴급 차량에 주로 비콘 조명이 장착된다.
램프의 색상은 관할 구역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경찰, 소방, 의료 응급 차량에는 파란색 및/또는 빨간색이 사용된다. 위험 요소(저속 차량, 광폭 화물, 견인차, 보안 요원, 건설 차량 등)를 알릴 때는 황색, 자원 봉사 소방관이나 의료 요원은 녹색, 장의 차량에는 보라색을 사용하기도 한다.
비콘은 차량 헤드램프에 쓰이는 것과 비슷한 할로겐 전구, 제논 플래시 튜브, 또는 LED로 만들 수 있다.[12] 백열등이나 제논 광원은 장시간 사용 시 배터리 방전을 막기 위해 차량 엔진을 계속 켜두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LED는 전력 소비가 낮아 조명을 켠 상태에서도 엔진을 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6. 2. 기타 차량
견인차, 건설 차량, 제설차와 같은 차량에도 비콘 조명이 장착된다. 이러한 차량이나 기타 위험 요소가 있는 차량에는 주로 황색 비콘이 사용되는데, 이는 저속 주행, 광폭 화물 운반, 견인 작업, 보안 활동, 건설 작업 등 주변에 주의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는 상황을 알리기 위함이다.[12]7. 기타 용도
비콘은 과거 선박 파괴자들이 악용했다는 주장도 있다. 고의로 잘못된 위치에 불을 피워 배를 여울이나 해변으로 유인한 뒤, 배가 좌초되면 화물을 약탈하려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의도적인 난파 행위에 대한 역사적 증거는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
컴퓨터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비코닝'''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네트워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의미하는데, 특정 스테이션이 전송을 받지 못하면 링 내의 다른 스테이션에 이를 알리는 방식이다. 비코닝은 토큰링이나 FDDI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비접촉 결제 시스템에서는 가게에 설치되어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를 읽는 장치를 비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눈사태 비콘처럼 고정되지 않은 특정 위치를 다른 사람에게 알리는 용도로 사용되는 장비에도 비콘이라는 이름이 붙는다.
7. 1. 행사 및 이벤트
비콘과 모닥불은 행사와 이벤트를 기념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7. 2.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간의 통신에서도 위치나 존재를 알리는 신호로서 '비콘'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비콘은 특정 기기나 서비스의 존재를 주변에 알리거나, 위치 기반 서비스와 같은 특정 정보를 전달하는 데 활용된다. 대표적인 예로는 무선 LAN 환경에서의 비콘, 블루투스 기반 비콘, 웹 비콘 등이 있다.7. 2. 1. 무선 LAN
무선 LAN 환경에서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와이파이 라우터는 자신이 활성화되어 있음을 알리기 위해 주기적으로 비콘이라는 특정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 비콘 신호(패킷)는 주변의 무선 LAN 어댑터를 갖춘 컴퓨터 기기들이 수신하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감지하고 접속하는 데 사용된다. 즉, 비콘은 무선 네트워크의 존재를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7. 2. 2. 블루투스
블루투스 기반 비콘은 주기적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며, 소프트웨어는 이를 이용해 비콘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는 주로 실내 내비게이션 및 측위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서 활용된다.[13]무선 표지 기술로서 블루투스는 무선 LAN보다는 좁고 근거리 무선 통신(NFC)보다는 넓은 범위를 가진다. 기본적으로 대상 발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거리나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이지만, 발신기의 식별 정보도 함께 얻을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기술 덕분에 저전력 및 저비용 구현이 가능해지면서, 근접 알림 기능으로서의 용도가 주목받고 있다.
7. 2. 3. 웹 비콘
인터넷 상에서 회원 등록이나 인증(로그인 등) 절차 없이도 서비스 제공자가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정보 내에 포함시키는 식별 정보 또는 기법이다. 이용자는 일반적으로 비콘의 존재를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제기된다.[25]7. 3. 적외선 (IR) 비콘
적외선 비콘(IR 비콘)은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표지 기술 중 하나이다. 변조된 적외선 광선을 전송하여, 이를 통해 대상을 쉽고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다. 다만,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적외선을 차단하는 장애물이 없는 가시선이 확보되어야 한다. IR 비콘은 로봇 공학이나 군사적 목적의 적아 식별 장치(CID)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일본의 신 교통 관리 시스템(UTMS)에서는 핵심 기반 시설로 사용된다. 지향성이 높은 적외선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이동하는 차량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차량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다양한 교통 정보를 제공한다.[19][24]
7. 4. 도로 교통

도로 교통 분야에서 비콘은 주로 고속도로나 간선도로 위에 설치된다. 도로 위에 설치된 비콘은 전파 또는 적외선을 발사하여 교통 규제, 사고, 교통 체증, 특정 구간 통과에 걸리는 소요 시간 등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자동차에 장착된 비콘 수신 장치는 이 정보를 받아 내비게이션과 같은 차량 탑재 장비 화면에 표시해 준다.
관련 기술 및 시스템으로는 도로 교통 정보 통신 시스템(VICS), 광학식 차량 감지기(광 비콘), 상용 텔레매틱스 서비스인 MIMAMORI 등이 있다.
7. 4. 1. 도로 교통 정보 통신 시스템 (VICS)
도로 교통 정보 통신 시스템(VICS, 道路交通情報通信システム|どうろこうつうじょうほうつうしんシステム일본어)은 주로 일본의 고속도로나 주요 간선도로에서 사용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이다. 도로 위에 설치된 비콘은 전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교통 규제, 교통 사고, 교통 체증 정보,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등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발신한다. 차량에 장착된 VICS 호환 내비게이션 등은 이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해 준다.
7. 4. 2. 광학식 차량 감지기 (광 비콘)
광학식 차량 감지기는 비콘의 한 종류로,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이는 도로 위에 설치되어 전파나 적외선을 이용해 교통 정보를 발신하는 일반적인 비콘과 구분되는 방식이다. 도로 교통 정보 통신 시스템(VICS) 등에서 활용되는 기술 중 하나로 언급된다.7. 5. 표준시와 표준 전파
정확한 시각과 주파수 기준(표준 전파)을 전송할 목적으로 세계 각지에 48개의 무선국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일본에도 이러한 목적의 송신소 2곳이 있다.7. 5. 1. 오타카도야산 표준 전파 송신소
정확한 시각과 주파수 기준(표준 전파)을 전송할 목적으로 운영되는 일본의 무선국이다.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목적의 무선국이 운영되고 있으며, 일본에는 다음 두 곳이 있다.송신소 명칭 |
---|
오타카도야산 표준 전파 송신소 |
하가네산 표준 전파 송신소 |
7. 5. 2. 하가네산 표준 전파 송신소
일본에 있는 2곳의 표준 전파 송신소 중 하나이다. 표준 전파는 정확한 시각과 주파수 기준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7. 6. 전자 기준점
전자 기준점은 GNSS 연속 관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측지 기준이 된다. 일본 국내에 1,300곳이 설치되어 있다.7. 7. 소매점
비콘은 때때로 매장을 지나가는 고객에게 디지털 쿠폰이나 초대장을 보내는 데 사용된다.[17][18]7. 8. 일상 생활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생략)7. 8. 1. 분실 방지 태그
에어태그는 애플이 개발한 분실 방지 태그이다. 스마트 태그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유사 상품이 판매되고 있다.8. 종류
비콘은 항해사가 목적지로 가는 것을 돕는다. 항해용 비콘의 종류에는 레이더 반사기, 무선 비콘, 음파 및 시각 신호 등이 있다.
시각 비콘은 작은 단일 말뚝 구조물부터 크고 웅장한 등대까지 다양하며, 육지나 물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조명이 있는 비콘은 '등대'라고 부르고, 조명이 없는 비콘은 '주간 표지'라고 부른다. 비행장 비콘은 공항 및 헬리패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항공 우편을 배달하는 조종사를 돕기 위해 전국에 일련의 비콘이 건설되었다. 이들은 서로 약 약 40.23km 간격으로 배치되었으며, 이를 비추기 위한 조명이 있는 대형 콘크리트 화살표가 포함되었다.[1]
휴대용 비콘은 항공기 유도에도 사용되며, 유도원이 활주로나 헬리포트, 항공모함 등에서 항공기 승무원에게 지침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8. 1. 적외선 비콘
적외선 비콘(IR 비콘)은 적외선 스펙트럼에서 변조된 빛을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 신호는 특수 수신기를 통해 쉽고 확실하게 식별될 수 있지만,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장애물이 없는 가시선(line-of-sight) 확보가 필수적이다.
적외선 비콘은 로봇 공학 분야나 군사 분야의 전투 식별(CID, Combat Identification)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된다.
특히 현대전에서는 야간 작전 시 야간 투시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적외선 스트로브나 비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아군의 위치를 표시하여 피아 식별(IFF, Identification Friend or Foe)을 돕고 아군 오사를 방지하며 작전을 조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0] 군인들은 주로 전투 헬멧이나 다른 장비에 적외선 비콘을 부착하여, 야간 투시 장비를 사용하는 다른 보병, 지상 차량, 항공기(드론, 헬리콥터, 비행기 등)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10]
적외선 마커에는 수동형과 능동형(전자식)이 있다.
- 수동형 마커: 적외선을 반사하는 IR 패치나 케미라이트 등이 있다. 초창기에는 헬멧에 테이프로 고정된 IR 케미라이트가 사용되었다.
- 전자식 스트로브: 시간이 지나면서 헬멧이나 장비에 부착할 수 있는 전용 마운트를 갖춘 전자식 적외선 스트로브가 등장했다. 이 장치들은 지속적으로 켜져 있거나 깜박이는(스트로브) 형태로 작동할 수 있다.[11]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아군뿐만 아니라 야간 투시 장비를 갖춘 적에게도 노출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내포한다. 따라서 빛 사용 규율(가시광선 및 적외선 포함)을 철저히 지키고 부대의 가시적인 신호를 줄이기 위한 훈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0]
군사적 용도 외에도, 일본의 신 교통 관리 시스템(UTMS, Universal Traffic Management Systems)에서는 적외선 비콘이 핵심 기반 시설로 사용된다. 고도로 지향적인 적외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 이동 중인 차량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차량 감지 기능을 통해 정확한 교통 정보를 제공한다.[19]
8. 2. 음향 비콘
음향 비콘은 방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음파 또는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수중 장치이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잠수함에 부착되어 보트의 전기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견고한 방수 음향 송신기이다. 이는 비상 시에 구조 선박이 고장난 잠수함의 위치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0]8. 3. 눈사태 비콘
적설 시 등산이나 산악 스키와 같이 눈사태 발생 위험이 있는 활동을 할 때 휴대하는 소형 기기이다. 이 기기는 전파를 발신하고 수신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아발란체 트랜시버"라고도 불린다. 만약 동행자가 눈사태에 휘말려 눈 속에 매몰되었을 경우, 구조자는 자신의 비콘을 이용해 매몰된 사람이 가진 비콘에서 나오는 전파를 수신하여 그 위치를 찾아낼 수 있다.RECCO는 스웨덴에서 개발된 관련 기술 중 하나로, 조난자의 위치 탐색을 돕는 시스템이다.
8. 4. 재해용 비콘
- 전자기파 인명 탐사 장치
참조
[1]
뉴스
The mysterious giant arrows used by airplanes
https://www.cnn.com/[...]
2024-08-27
[2]
웹사이트
China Great Wall Beacon Towers: Chinese Oldest Telegram System
https://www.travelch[...]
2020-04-26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4]
서적
The Civilization of China
Tutis Digital Publishing
[5]
문서
Thucydides, Peloponnesian War, 3.80
https://www.perseus.[...]
[6]
백과사전
Beacon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National Cyclopaedia of Useful Knowledge, Volume 3
https://granthsanjee[...]
[8]
서적
Scott and Scotland
Longman, Rees, Orme, Brown, Green, and Longman
[9]
문서
Els almogávers a la frontera amb el sarrains en el segle XIV. Maria Teresa Ferrer
[10]
웹사이트
We Don't Own the Night Anymore
https://mwi.usma.edu[...]
2021-01-22
[11]
웹사이트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IFF) Ballistic Helmet Markers
https://www.hardhead[...]
2022-07-05
[12]
간행물
Evaluation of Light-Emitting Diode Beacon Light Fixtures
https://www.dot.ny.g[...]
2010-06-05
[13]
웹사이트
What is a Beacon? - Beacon Basics
https://kontakt.io/b[...]
2017-04-05
[14]
문서
v. 281 ''et sqq.''
[15]
서적
The Lord of the Rings
Houghton Mifflin Company
[16]
서적
Colour Me English
Random House
[17]
웹사이트
How Beacons Can Reshape Retail Marketing – Think with Google
https://www.thinkwit[...]
2017-04-05
[18]
간행물
Analysis of Promising Beacon Technology for Consumers
https://eloncdn.blob[...]
2015-Spring
[19]
웹사이트
Infrared Beacon Overview
http://www.utms.or.j[...]
Universal Traffic Management Society of Japan
2008-04-27
[20]
웹사이트
The ELAC SBE distress sonar beacon
http://www.elac-naut[...]
2019-04-05
[21]
웹사이트
電波法施行規則
https://www.tele.sou[...]
総務省
2019-12-24
[22]
웹사이트
ネットゾンデ FNZ-38
https://www.furuno.c[...]
Furuno
2021-02-19
[23]
웹사이트
Apple Watch で転倒検出機能を使う
https://support.appl[...]
Apple
2022-04-04
[24]
웹사이트
Infrared Beacon Overview
http://www.utms.or.j[...]
Universal Traffic Management Society of Japan
2008-04-27
[25]
문서
'たとえば、[[메일 클라이언트]]で전자 메일에 묻힌 이미지를 자동으로 표시하지 않는 구조는, 웹 비콘에 의한 프라이버시 침해를 억제하는 목적으로 준비되어 있다(전자 메일의 이미지 표시를 요청하는 방법(URL 등)에, 웹 비콘이 묻혀져 있는 것이 있기 때문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