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망은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어 왔다. 가장 오래된 어망은 기원전 8300년경 핀란드에서 발견된 안트레아 그물이며, 한국에서는 기원전 27,000년경의 어망 추들이 발견되었다. 어망은 낚싯줄의 재료 변화를 겪으며 발전해왔으며, 현대에는 합성 섬유가 주로 사용된다. 어망은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분류되며, 저인망, 투망, 자망 등이 있다. 어망은 해양 생물 혼획 및 유령 그물 문제와 같은 환경 문제를 야기하며, 해양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망 - 자망
    자망은 물고기 아가미에 걸리도록 설계된 어구로, 상업적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혼획 및 유령 어업 문제가 발생하여 그물코 크기 규제, 대체 어구 개발, 친환경 소재 사용 등 다양한 해결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어망 - 저인망
    저인망은 그물을 끌어 물고기를 잡는 어업 방식으로, 해양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규제가 이루어지고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
  • 어로 장비 - 작살
    작살은 뾰족한 촉을 가진 사냥 도구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고래잡이와 우주 탐사 등 다방면으로 사용된다.
  • 어로 장비 - 잠수복
    잠수복은 수중 활동 시 체온 유지와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의류로, 네오프렌 소재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보온성과 유연성은 네오프렌 두께, 소재, 봉제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어망
개요
종류어구
용도어획
관련 활동어업, 낚시
구조 및 종류
형태그물코가 있는 넓은 천
종류자망
지인망
투망
트롤망
들망
승망
채롱망
정치망
삼중자망
재료
재료나일론
기타 합성 섬유

2. 역사

어망은 석기 시대를 포함한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해 온 중요한 도구이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어망 관련 유물 중 하나로 기원전 27,0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어망 추가 한국에서 발견되었으며,[2] 핀란드에서는 기원전 8300년경의 버드나무로 만든 안트레아 그물이 발견되기도 했다.[1] 고대 이집트고대 로마 등 여러 문명에서도 어망 사용 기록이 확인되는 등,[7][8][9][10] 어망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인류의 어업 활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어망의 기본적인 형태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재료는 아마, 대마, 과 같은 자연 섬유에서 1950년대 이후 나일론 등 합성 섬유로 발전해왔다.[1][16]

2. 1. 한국의 역사

(내용 없음)

2. 2. 세계의 역사

안트레아 그물의 조각, 기원전 8,300년 경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어망 중 하나


레티아리우스("그물 검투사"), 삼지창과 투망을 들고 세쿠토르와 싸우는 모습 (모자이크, 기원전 4세기)


쿠쿠테니-트리폴리 문화의 도자기 추


어망은 석기 시대 사회를 포함하여 과거부터 널리 사용된 도구이다. 가장 오래된 어망 유물 중 하나는 1913년 핀란드 카렐리아의 안트레아 마을에서 다른 낚시 장비와 함께 발견된 안트레아 그물이다. 이 그물은 버드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기원전 83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된다.[1] 그러나 최근 한국에서는 기원전 27,000년경의 것으로 보이는 어망 추가 발견되어,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낚시 도구 유물로 여겨진다.[2] 이 외에도 후기 중석기 시대의 어망 잔해가 과거 바다였던 곳의 바닥에서 추와 함께 발견되기도 했다.[3][4]

기원전 4200년에서 500년 사이의 알타 암각화 중 일부에는 수평 및 수직선이 복잡하게 얽힌 문양이 나타나는데, 이를 어망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컬럼비아 강 유역에 살았던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가문비나무 뿌리 섬유나 야생 풀을 엮어 끌그물을 만들었으며, 돌을 추로 사용했다. 또한 삼나무 막대기를 부표로 사용하여 물고기를 놀라게 하고 한 곳으로 모으는 데 활용했다.[5]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은 길이가 1,000미터가 넘는 거대한 끌그물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 그물은 녹색 아마로 엮고 돌 추와 가벼운 나무 또는 박 부표를 달았으며, 그물을 끌어올리는 데 수백 명의 인원이 필요할 정도였다.[6]

고대 시대의 어망 사용 기록은 더욱 풍부하다.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 무덤 벽화에 어망이 등장하며, 고대 로마 문학에서는 시인 오비디우스가 코르크 부표와 납 추가 달린 어망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7][8][9] 고대 로마의 어업 활동은 그물이 그려진 모자이크를 통해 시각적으로도 확인된다.[10] 심지어 검투사의 한 종류인 레티아리우스는 삼지창투망으로 무장하고, 물고기 문양이 새겨진 투구를 쓴 세쿠토르나 무르밀로와 싸우기도 했다.[11] 기원후 177년에서 180년 사이, 그리스 작가 오피아누스는 낚시에 관한 교훈시 ''할리에우티카''에서 다양한 어망 사용법을 설명했다. 여기에는 배에서 던지는 투망, 고리로 입구를 열어두는 그물, 그리고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물고기를 잡는 덫 등이 포함된다. 오피아누스는 고정된 그물을 이용한 낚시 방법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어부들은 부력이 있는 아마로 만든 가벼운 그물을 설치하고, 노로 바다 표면을 세게 치며 원을 그린다. 빠른 노젓기와 소리에 놀란 물고기들은 안전한 곳이라 생각하고 정지된 그물 안으로 뛰어든다. 소리에 겁먹고 스스로 멸망의 문으로 들어가는 어리석은 물고기들이다. 그러면 양쪽의 어부들은 재빨리 밧줄을 당겨 그물을 해안으로 끌어올린다.



노르드 신화에서는 바다 거인 이 어망을 사용해 조난당한 선원들을 가둔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어망은 신약 성경에도 언급되며,[12] 예수 그리스도가 어망 사용에 능숙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미국 원주민미국 중서부의 초기 정착민들은 삼잎의 질긴 섬유를 이용해 밧줄과 어망을 만들었다.[13][14] 니카라과의 레온 비에호 유적(1524–1610)에서는 어망 추로 사용된 도자기 조각 등 어망 관련 유물이 출토되기도 했다.

어망의 기본적인 형태는 크게 변하지 않아, 현대의 많은 어망도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보면 알아볼 수 있을 정도이다. 하지만 어망을 구성하는 낚싯줄의 재료는 크게 발전했다. 프랑스 라스코 동굴에서는 기원전 15,0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직경 약 7mm의 아마 섬유를 꼬아 만든 밧줄" 조각이 발견되었다.[15]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4000년에서 3500년 사이에 주로 물풀 갈대 섬유로 밧줄을 만들었다. 그 외 고대 시대에는 대추 야자 섬유, 아마, , 파피루스, 가죽, 동물의 털 등이 밧줄 재료로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800년경부터 대마 섬유로 만든 밧줄이 사용되었다.

근대에 이르러 1900년대까지 대마는 어망 제작에 가장 중요한 재료였으나, 이후 면과 경쟁하게 되었다. 1950년대까지 면이 어망 재료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지만, 대마 그물도 여전히 많이 사용되었다.[1] 최초의 나일론 어망은 1949년 일본에서 등장했으며(비슷한 시기 전 세계적으로 실험이 진행됨), 1950년대에는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어 기존의 면이나 대마 그물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1950년대 이후 합성 섬유의 등장은 수천 년간 이어져 온 자연 재료 사용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후 수십 년 동안(예: 1975년 노르웨이에서는 모든 어구의 95%가 합성 섬유로 제작됨) 새로운 합성 재료가 어망 시장을 주도하게 되었다.[16]

독일의 어부, 1568년, 그물과 덫


일본의 유리 부자


그물, 특히 자망과 같은 일부 어망은 물속에서 수직으로 펼쳐지도록 위쪽에 부자를 달아야 한다. 과거에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가벼운 나무(코르크나무 등)가 부자 재료로 사용되었다. 부자는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며, 현대에는 눈에 잘 띄도록 밝은 색으로 칠하는 경우가 많다.

  • 작은 부자는 주로 코르크로 만들었지만, 코르크를 구하기 어려운 지역에서는 다른 재료를 사용했다. 스웨덴, 핀란드, 러시아에서는 자작나무 껍질을, 동남아시아에서는 맹그로브 사과의 기근(뿌리)을 사용했다.[36] 현재는 이러한 자연 재료 대신 플라스틱 폼이 주로 사용된다.
  •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의 자급어업 어부들은 여전히 맹그로브 사과의 기근을 가공하여 작은 부자로 사용한다.[36]
  • 인도-태평양 지역에서는 많은 자급 어부들이 버려진 쪼리를 부자로 재활용한다. 이는 특히 인도양 서부 지역에서 모기장으로 만든 끌그물에 흔히 사용된다.[37]
  • 엔텔리아 나무는 마오리족이 어망 부자로 사용했던 재료이다.
  • 하와이 원주민들은 밀도가 낮은 윌리윌리 나무로 부자를 만들었다.[38]
  • 유리 부자는 과거 대양에서 사용하는 긴 그물에 달았던 큰 유리 공이었으나, 현재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대체되었다. 유리 부자는 어망을 띄우는 역할 외에도 낙하식 낚시나 연승 낚시에도 사용되었으며, 전 세계 어부들이 사용했다. 큰 부자에는 위치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 깃발 표식을 달기도 했다. 현재 유리 부자는 수집가들의 수집품이 되었다.


한편, 그물을 가라앉히기 위한 추 역시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졌다. 동유럽의 쿠쿠테니-트리폴리 문화(기원전 약 5500년~기원전 2750년)에서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도자기 추를 만들어 직물을 짤 때 추로 사용하거나 어망에 부착했다.[39] 장식적 가치도 있는 개고둥 껍데기는 전통적으로 지역 어부들이 어망 추로 사용하기도 했다.[40][41]

3. 종류



어망은 사용하는 방식, 대상 어종, 설치 장소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크게 그물을 던져서 사용하는 방식, 끌어서 사용하는 방식, 특정 장소에 고정해두는 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은 다양한 어망의 종류들이다.


  • 저층 저인망 (Bottom trawl)
  • 투망 (Cast net)
  • 코러클 망
  • 저인망 (Trawl)
  • 유자망 (Drift net)
  • 몰이그물 (Drive-in net)
  • 고정 자망 (Fixed gillnet)
  • 호망승망 (Fyke net)
  • 자망 (Gillnet)
  • 유령 그물 (Ghost net)
  • 쪽지그물 (Landing net) / 뜰채 (Landing net)
  • 레이브 네트 (Lave net)
  • 부망 / 들어올림 그물 (Lift net) - 뜬그물
  • 중층 트롤 (Midwater trawl)
  • 플랑크톤 네트 (Plankton net)
  • 선망 (Purse seine)
  • 외손반디그물 (Push net)
  • 후릿 그물 (Seine net)
  • 해안 설치 들어올림 그물 (Shore operated stationary lift net)
  • 두릿그물 (Surrounding net)
  • 전락망 (Tangle net)
  • 얽애그물 (Trammel net)
  • 해프 그물 (Haaf net)
  • 손그물 (Hand net)


각 어망의 구체적인 형태와 사용 방법, 장단점 등은 하위 분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1. 형태 및 사용 방법에 따른 분류

어망은 실의 매듭(결절) 유무에 따라 크게 유결절망과 무결절망 두 가지로 나뉜다.[53] 이 외에도 수지를 연신하여 그물 모양으로 만든 성형망이 있으며, 이는 안전망이나 방풍망 등에 사용된다.

  • 유결절망: 실(삭)을 묶어서(결절하여) 만든 그물이다.

수작업으로 그물 제작을 설명하는 그림

  • -
  • 무결절망: 실을 묶지 않고 꼬아서 그물 모양으로 만든다.


타나베 사토루는 어망을 사용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56]

  • 채망류・취망류
  • 덮개 그물류 -- 투망
  • 자망
  • 개망류
  • 끌 그물류 -- 저인망 참조.
  • 끌어올림 그물류
  • 선망류・돌림 그물류
  • 건망류


어망의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유형이미지대상 어종설명환경 영향
저인망 어업]]저서어류, 대구, 오징어, 넙치 및 쏨뱅이저인망은 해저를 따라 끌도록 설계된 원뿔 모양의 대형 그물이다. 이 그물은 저인망 어선 또는 한 척 이상의 배에 의해 물 속으로 끌려간다. 그물을 물 속으로 끌어당기는 행위를 저인망질 또는 끌어당기기라고 한다.저인망 어업은 많은 혼획을 발생시키고 해저 생태계를 심각하게 손상시킬 수 있다. 해저를 한 번 훑는 것만으로도 해저 생물의 5~25%를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7] 이러한 파괴적인 영향 때문에 UN 밀레니엄 프로젝트는 2006년까지 공해상에서의 저인망 어업 중단을 권고했으며, 국제 사회에서도 심해 저인망 어업에 대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다.
투망]]떼지어 다니는 물고기 및 기타 작은 물고기투망(던지기 그물)은 어부가 던지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가장자리에 추가 달린 작은 둥근 그물이다. 크기는 보통 지름 4m 정도까지 다양하다. 손으로 던지면 물 위로 퍼져 가라앉으며, 물고기가 그물 안에 갇히면 다시 끌어올려 잡는다.[18]비교적 선택성이 높아 목표하지 않은 어종은 해를 입히지 않고 방생할 수 있다.
코러클 그물 어업]]코러클 어업은 두 사람이 각자 코러클(작고 둥근 배)에 앉아 한 손으로는 노를 젓고 다른 한 손으로는 그물을 공유하며 잡는 방식이다. 물고기가 잡히면 각자 그물 끝을 끌어올려 두 코러클을 맞닿게 하고 물고기를 확보한다.
끌그물]]강, 호수 또는 바다 바닥을 가로질러 끌거나 당겨서 물고기를 잡는 모든 그물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대표적인 예로 후릿 그물(seine net)이 있으며, 이미지에 보이는 것이 그것이다. 그물의 깊이는 바닥에 추를 추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유자망]]유자망은 닻으로 고정하지 않고 조류에 따라 표류하도록 설치하는 그물이다. 주로 자망이나 얽애그물의 형태이며, 많은 국가의 연안 해역에서 흔히 사용된다. 공해에서의 사용은 금지되어 있지만, 불법적인 사용이 여전히 문제되고 있다.혼획 위험이 높고, 유령 그물이 되어 해양 생태계에 지속적인 위협을 가할 수 있다.
몰이그물 (Drive-in net)꼬치고기 등 암초 서식 어류, 사료어몰이그물은 일본동남아시아, 특히 필리핀의 소규모 어부들이 사용하는 고정 그물이다. 긴 날개가 달린 굴뚝 모양으로, 저인망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그물 앞부분을 해저에 놓고 물고기 떼가 들어오기를 기다리거나, 소리를 내어 물고기를 그물 안으로 몰아넣는다. 물고기가 들어오면 그물 앞쪽 끝을 들어 올려 가둔다.[19]
고정 자망 (Fixed gillnet)]]고정 자망[20]은 얕은 조간대에서 물고기를 잡기 위해 사용되는 그물이다. 땅에 박은 말뚝이나 닻 사이에 그물을 펼쳐 설치하며, 주로 강이나 바다에서 밀물과 썰물 때 물고기가 걸리도록 한다.
호망승망 (Fyke net)]]장어호망승망은 고리(후프)로 입구를 벌려 놓은 자루 모양의 그물이다. 여러 개를 길게 연결하여 강에서 장어 등을 잡는 데 사용된다. 날개와 길잡이 그물(리더)을 달아 식물이 많은 호수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대형 함정을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 수백 개의 호망승망을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21]
자망 (Gillnet)]]정어리, 연어, 대구자망은 물고기가 그물코를 통과하려다 아가미 덮개에 걸리도록 하여 잡는 방식이다. 물고기는 그물코에 끼이면 앞으로 나아가거나 뒤로 물러서기 어렵게 된다. 부표와 추를 이용하여 그물을 수중에 수직으로 펼치며, 해저에 닻으로 고정하거나 표층에 띄워 사용한다.물고기가 그물을 잘 인식하지 못해 걸려들기 때문에 혼획 위험이 높다. 특히 해양 포유류나 바다거북 등이 의도치 않게 걸리는 경우가 많아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령 그물 (Ghost net)]]모든 해양 생물유령 그물은 어업 중 유실되어 바다에 버려진 그물을 말한다. 이러한 그물은 수년 동안 바다를 떠다니거나 가라앉아 해양 생물을 계속해서 얽히게 하여 죽음에 이르게 하는 심각한 위협이 된다.해양 플라스틱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물고기뿐만 아니라 바다거북, 바닷새, 해양 포유류 등 다양한 해양 생물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입힌다.
해프 그물 (Haaf net)]]연어해프 그물은 일반적으로 길이 약 4m~5m, 너비 2m 정도의 직사각형 나무 프레임에 그물을 고정한 형태이다. 세 개의 다리가 있으며, 중앙 기둥은 긴 가장자리 중 하나에서 직각으로 뻗어 있다. 어부는 깊은 물에 들어가 그물을 세우고 중앙 기둥으로 지탱한다. 물고기가 그물 안으로 헤엄쳐 들어오면 기둥을 뒤로 기울여 그물을 들어 올려 잡는다.[22][23] 스코틀랜드 등 일부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된다.
손그물 (Hand net)]]표층 가까이 헤엄치는 물고기손그물은 뜰채 또는 반두라고도 불리며, 고리로 입구를 벌리고 짧거나 긴 손잡이를 부착한 형태이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머스키나 노던 파이크처럼 물 표면 근처에 있는 물고기를 떠서 잡는 데 사용된다. 낚시꾼이 잡은 물고기를 물 밖으로 건져 올릴 때 사용하는 것은 뜰채라고 한다.[24] 잉글랜드의 파렛 강과 세번 강에서는 수천 년 동안 장어를 잡는 유일한 합법적인 방법으로 손그물질이 행해져 왔다.
뜰채 (Landing net)]]낚시로 잡은 물고기뜰채는 낚시로 잡은 물고기를 물 밖으로 안전하게 들어 올리는 데 사용되는 큰 휴대용 그물이다. 특히 잉어와 같은 큰 물고기를 다룰 때 흔히 사용된다.
레이브 그물 (Lave net)]]연어, 철갑상어레이브 그물은 큰 손그물의 일종으로, 현재는 잉글랜드웨일스의 세번 강 등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사용된다. Y자 모양의 큰 나무 프레임에 그물을 고정하여 물속에 설치하고, 어부는 물고기가 그물에 부딪히는 것을 느끼면 재빨리 들어 올려 잡는다. 과거에는 철갑상어와 같이 매우 큰 물고기도 이 그물로 잡혔다고 한다.[25]
들어올림 그물 (Lift net)]]들어올림 그물은 수평으로 펼쳐진 그물을 물속 원하는 깊이까지 내렸다가 들어 올려 그 위에 있는 물고기를 잡는 방식이다. 사람이 직접 들어 올리거나(수동), 기계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기계식). 배 위에서 조작하는 경우도 있다.[26]
중층 트롤 (Midwater trawl)]]원양 어류 (예: 멸치, 새우, 참치, 고등어)중층 트롤은 바닥이 아닌 물의 중간층을 대상으로 하는 저인망의 일종이다. 원뿔 모양의 그물을 한 척의 배가 끌거나(트롤 도어로 그물 입구를 벌림), 두 척의 배가 양쪽에서 끄는 방식(쌍끌이 트롤)으로 조업한다.해저면에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저인망 어업에 비해 해저 생태계 파괴 문제는 적은 편이다. 하지만 혼획의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플랑크톤 그물 (Plankton net)]]플랑크톤플랑크톤 그물은 매우 미세한 그물코를 가진 원뿔 또는 원통 모양의 그물로, 연구 선박 등에서 플랑크톤을 채집하는 데 사용한다. 배가 그물을 끌고 가거나, 해수를 펌프로 끌어올려 그물을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플랑크톤을 걸러낸다.[27]
선망 (Purse seine)]]떼지어 다니는 물고기 (예: 참치, 고등어, 정어리)선망은 상업 어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거대한 그물을 이용하여 물고기 떼 전체를 둘러싸는 방식이다. 그물 아랫부분에 있는 조임줄(purse line)을 당겨 그물 밑을 오므려서 물고기가 도망가지 못하게 가둔 후 끌어올린다. 후릿그물에서 발전한 형태이다.조업 방식의 특성상 목표 어종 외에 다른 해양 생물(돌고래, 바다거북 등)이 함께 잡히는 혼획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혼획을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과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외손반디그물 (Push net)]]새우, 작은 저서 어류밀어 그물은 딱딱한 프레임이 달린 작은 삼각형 모양의 그물로, 얕은 물의 바닥을 밀면서 새우나 작은 저서 어류를 잡는 데 사용된다. 주로 동남아시아태평양 일부 지역에서 볼 수 있다.[28]
후릿그물 (Seine net)]]연안 어류후릿그물은 긴 사각형 모양의 그물로, 양쪽 끝에 긴 밧줄(끌줄)을 달아 넓게 펼쳐 물고기를 둘러싼 후 육지나 배 위로 끌어당겨 잡는 방식이다. 그물 윗부분에는 부표를 달아 뜨게 하고 아랫부분에는 추를 달아 가라앉힌다. 해안에서 사용하는 것을 비치 세인(beach seine)이라고 하며, 가장 간단하고 오래된 어법 중 하나이다. 덴마크식 세인(Danish seine)은 저인망과 유사한 방식으로 운용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특정 어종(예: 영국연어, 바다송어)에 한해 엄격한 규제 하에 후릿그물 어업을 허용하기도 한다.[29]
해안 설치 들어올림 그물 (Shore operated stationary lift net)]]원양 종해안에 설치된 대형 고정 구조물에 수평으로 매달린 큰 그물을 주기적으로 물속에 내렸다가 들어 올려 물고기를 잡는 방식이다. 지름이 20m가 넘는 거대한 그물을 기계 장치로 작동시킨다. 그물 자체는 움직이지 않고 오르내리기만 한다. 때로는 미끼를 달거나 조명을 설치하여 물고기를 유인하기도 한다.[30][31] 인도 코치의 중국식 어망(Cheena vala)이 유명하지만, 이 방식은 전 세계 여러 곳에서 사용된다. 프랑스 대서양 연안의 카렐레(carrelets)나 이탈리아 아드리아 해안의 트라부코(trabucco)도 유사한 형태이다.
둘러싸는 그물 (Surrounding net)]]물고기 떼를 사방에서 둘러싸서 잡는 그물을 통칭한다. 선망이 대표적인 예이며, 상업 어업에서 주로 사용된다.[32]
전락망 (Tangle net)]]가시복, 전락망은 이빨 그물이라고도 불리며, 자망과 유사하지만 그물코가 더 작아 물고기가 아가미가 아닌 이빨이나 턱뼈, 몸의 돌기 등에 걸리도록 설계되었다.[33] 주로 특정 형태의 어류나 갑각류를 잡는 데 사용된다.
얽애그물 (Trammel net)]]저서종, 어류 및 갑각류.얽애그물은 세 겹의 그물로 이루어져 물고기나 갑각류를 얽어 잡는 방식이다.[34] 가운데에는 성기고 그물코가 작은 그물(속그물)을 두고, 양쪽에는 팽팽하고 그물코가 큰 그물(겉그물)을 배치한다. 물고기가 겉그물을 통과하여 속그물에 닿으면, 속그물이 겉그물의 큰 그물코를 통해 밀려나가면서 주머니 모양이 되어 물고기를 가두게 된다. 윗줄에는 부표를, 아랫줄에는 추를 달아 수직으로 설치한다.[34]유령 어업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자망에 비해 선택성이 낮아 목표하지 않은 작은 생물이나 비대상종의 혼획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그물코 크기를 조절하여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4. 구성

어망은 그물감, 밧줄, 부자와 침자(어망 등을 해중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 닻, 부이(표시가 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재료

어망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는 크게 천연 섬유 (식물 섬유, 동물 섬유)와 합성 섬유로 나눌 수 있다. 과거에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 목면, , 나무껍질 등 다양한 천연 재료를 이용해 어망을 만들었다. 하지만 천연 섬유는 물에 젖거나 시간이 지나면 썩기 쉽다는 단점이 있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기술의 발달로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터와 같은 합성 섬유가 주로 사용된다. 합성 섬유는 물에 강하고 잘 썩지 않으며, 천연 섬유보다 훨씬 튼튼하여 거친 조업 환경에서도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발달은 더 크고 효율적인 어망을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특히 그물을 구성하고 연결하는 로프나 낚싯줄과 같은 선재(線材)의 발달은 그물을 던지고 끌어올리는 방식, 그리고 어망 전체의 규모와 성능에 큰 영향을 미쳤다.[35]

오늘날 대부분의 어망은 공장에서 기계(제직기)를 이용해 대량으로 생산되지만, 일부 지역이나 특정 목적의 어망은 여전히 전통적인 방식으로 사람들이 직접 손으로 엮어 만들기도 한다.

어머니와 자녀가 어머니가 만들고 있는 어망을 보여주고 있다

5. 1. 전통 재료



어망은 석기 시대를 포함하여 오래전부터 널리 사용되었다. 핀란드 카렐리아의 안트레아 마을에서 발견된 안트레아 그물은 기원전 8300년경 버드나무로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어망 중 하나이다.[1] 하지만 최근 한국에서 기원전 27,000년의 어망 추가 발견되어,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낚시 도구로 기록되었다.[2] 후기 중석기 시대의 어망 잔해도 발견된 바 있다.[3][4]

과거 어망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다양한 천연 섬유로 만들어졌다. 컬럼비아 강 유역의 미국 원주민가문비나무 뿌리 섬유나 야생 풀로 끌그물을 만들고 돌을 추로, 삼나무 막대를 부표로 사용했다.[5]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아마 섬유로 그물을 엮고 돌 추와 박 부표를 사용했으며, 때로는 길이가 1km가 넘는 거대한 그물을 만들기도 했다.[6]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3000년경의 무덤 그림에도 어망이 등장하며, 고대 로마에서는 아마 섬유 그물에 코르크 부표와 추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7][8][9] 미국 중서부정착민들은 의 섬유로 밧줄과 어망을 만들었다.[13][14] 니카라과의 레온 비에호 유적지에서는 낚시 그물의 추로 사용된 도자기 조각이 발견되기도 했다.

합성 섬유 어망이 등장하기 전까지 사용된 대표적인 전통 재료로는 , 목면, 견사, 모시, , 칡 섬유, 누에실 등이 있다. 이러한 천연 섬유로 만든 그물은 물속의 유기물이나 온도, 습도 변화에 약하고, 여름철에는 플랑크톤과 같은 부착 생물로 인해 쉽게 썩거나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그물을 사용하고 보관하는 데 많은 주의가 필요했다.

어망을 구성하는 밧줄 역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프랑스 라스코 동굴에서는 기원전 15,0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아마 섬유 로프 조각이 발견되었으며,[15]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4000년에서 3500년경 물 갈대 섬유로 로프를 만들었다. 그 외에도 대추야자 섬유, , 파피루스, 가죽, 동물의 털 등이 로프 재료로 사용되었고, 중국에서는 기원전 2800년경부터 대마 섬유 로프를 사용했다.

5. 2. 현대 재료

어망 자체의 형태는 오랫동안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그물을 만드는 재료인 낚싯줄은 크게 발전해왔다. 과거에는 (대마), 목면(면), , 모시풀(저마), , , 누에 실과 같은 천연 섬유(식물 섬유, 동물 섬유)가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대마는 1900년까지 어망의 주요 재료였으며, 이후 과 경쟁하게 되었다. 1950년대 초반까지도 면이나 대마로 만든 그물이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1]

그러나 천연 섬유로 만든 어망은 물속의 유기물이나 습도 변화, 여름철에 달라붙는 플랑크톤과 같은 부착 생물 때문에 쉽게 썩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천연 섬유 어망은 사용과 보관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한 것이 합성 섬유이다. 1949년 일본에서 최초의 나일론 어망이 등장했으며[1] (1950년 일본 어업에 아미란(나일론) 어망 사용 시작[55]), 1950년대에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보급되어 기존의 면, 대마 그물을 대체하기 시작했다.[1][16] 합성 섬유 어망의 가장 큰 장점은 물속에서도 썩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강도가 뛰어나 거친 조업 환경을 견딜 수 있으며, 다양한 표면 가공을 통해 그물 조작을 더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오늘날 사용되는 합성 섬유 어망은 종류가 다양하며, 어업 방식의 특성에 맞춰 최적의 섬유 소재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바다 밑바닥을 끄는 저인망 어업에는 폴리에틸렌(하이제스 등) 계열 섬유가 주로 쓰인다. 물고기가 스스로 걸리게 하는 자망이나 일정한 구역에 설치하는 정치망에는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 계열 섬유가 적합하다. 낭장망 등에는 폴리에스터(테트론 등) 계열 섬유가 사용된다.[54]

1950년대 이후 합성 섬유의 도입은 수천 년간 이어져 온 천연 재료 중심의 어망 제작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었다. 그 결과, 노르웨이에서는 1975년에 이미 전체 낚시 도구의 95%가 합성 섬유로 만들어지는 등, 새로운 합성 재료가 그물 어업의 핵심 소재로 자리 잡게 되었다.[16]

6. 환경 문제 및 사회적 영향

어망의 사용은 혼획이나 유령 그물과 같은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며, 이는 해양 생태계 파괴뿐만 아니라 어업 자원의 고갈을 초래하여 인간 사회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43][44][45][46][47]

6. 1. 환경 문제

어업은 종종 목표 어종 외에 다른 생물까지 무분별하게 잡는 대규모 그물을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바다거북, 돌고래, 상어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이 함께 잡히는 혼획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혼획은 바다거북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43] 선상 자망, 트롤(저인망 어업),[44] 그리고 자망은 바다거북이 가장 많이 희생되는 어업 방식이다. 그물에 걸린 바다거북은 숨을 쉬기 위해 수면으로 올라오지 못해 익사하는 경우가 많다.[45] 멸종 위기에 처한 사이마고리무늬물범의 새끼들 역시 어망에 걸려 익사하는 피해를 입고 있다.[46]

또한, 어부들이 바다에 버리거나 잃어버린 플라스틱 재질의 어망은 유령 그물(Ghost net)이라고 불리며 심각한 환경 문제를 일으킨다. 유령 그물은 바다를 떠다니며 물고기, 고래, 돌고래, 바다거북, 상어, 듀공, 악어, 바닷새, 등 수많은 해양 생물을 옭아맨다. 그물에 걸린 동물들은 움직임이 제한되어 굶주림에 시달리거나, 그물에 쓸려 열상을 입고 감염되기도 한다. 특히 숨을 쉬기 위해 주기적으로 수면 위로 올라와야 하는 해양 포유류나 파충류는 그물에 걸리면 질식사할 위험이 크다.[47]

참조

[1] 논문 The palaeoenvironment of the Antrea Net Find https://tuhat.halvi.[...] Finnish Antiquarian Society 2008
[2] 웹사이트 Cast from the past: World's oldest fishing net sinkers found in South Korea https://m.phys.org/n[...]
[3] 간행물 Stone age settlements in the lower reaches of the Narva River, north-eastern Estonia http://webdoc.sub.gw[...] Coastal Estonia: Recent Advances in Environmental and Cultural History 1996
[4] 간행물 Kiviaja võrgujäänuste leid Narvas http://erb.nlib.ee/?[...] Eesti Rahva Muuseumi Aastaraamat 1932
[5] 웹사이트 Seine fishing http://www.oregonenc[...] Oregon Encyclopedia 2012-03-23
[6] 웹사이트 Te hī ika – Māori fishing http://www.teara.gov[...] Te Ara -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09-03-02
[7] 서적 Fishing from the Earliest Times https://www.biodiver[...] John Murray, London 1926
[8] 간행물 Monk Seals in Antiquity http://www.monachus-[...] Fisheries, pp. 48–54. Netherlands Commission for International Nature Protection 1999
[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ilk, cotton, linen, wool, and other fibrous substances: including observations on spinning, dyeing and weaving http://www.ebooksrea[...] Harper & Brothers, Harvard University 1845
[10] 이미지 Image of fishing illustrated in a Roman mosaic http://museum.agropo[...]
[11] 서적 Cruelty and Civilization: The Roman Games Routledge 1994
[12] 성경 Luke 5:4-6; John 21:3-7a
[13] 서적 Some American Trees: An intimate study of native Ohio trees The Macmillan Company
[14] 웹사이트 Pawpaws: A paw for you and a paw for me http://www.fred.net/[...] 2011-07-21
[15] 서적 The History and Science of Knots World Scientific, Singapore 1996
[16] 간행물 Nylon Fever: Technological Innovation, Diffusion and Control in Norwegian Fishery during the 1950s https://www.marecent[...] MAST 2006
[17] 웹사이트 Australia State of the Environment Report 2001 - Coasts and Oceans Theme Report: Fisheries (Impacts of wild fish harvesting activity) http://www.deh.gov.a[...] 2012-05-12
[18] 웹사이트 Casting net http://www.nccoastal[...]
[19] 서적 Fish Catching Method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Blackwell
[20] 웹사이트 Fishing Gear Types : Fixed Gillnets (on stakes) http://www.fao.org/f[...] 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Department 2011
[21] 백과사전 fyke net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08-12-24
[22] 서적 Solway Country: Land, Life and Livelihood in the Western Border Region of England and Scotla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4
[23] 뉴스 Fight to save 1,000-year-old fishing technique https://www.bbc.com/[...] 2020-01-21
[24] 웹사이트 Fishing Tools - Landing Nets http://www.abc-of-fi[...]
[25] 웹사이트 Lave Net Fishing http://www.severnsid[...] 2010-07-08
[26] 웹사이트 Lift net http://www.fao.org/f[...] FAO 2013-10-12
[27] 웹사이트 Ichthyoplankton sampling methods http://swfsc.noaa.go[...] Southwest Fisheries Science Center, NOAA 2007-09-03
[28] 간행물 Multilingual dictionary of fishing gear http://www.hcg.gr/al[...]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92
[29] 웹사이트 TalkTalk Webspace is closing soon!! http://web.onetel.ne[...] 2010-04-23
[30] 간행물 Multilingual dictionary of fishing gear http://www.hcg.gr/al[...]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92
[31] 웹사이트 FAO Fisheries & Aquaculture - Fishing gear type http://www.fao.org/f[...] 2007-05-09
[32] 웹사이트 MONOGRAPH http://map.seafdec.o[...]
[33] 웹사이트 Selective Fishing Methods http://wdfw.wa.gov/f[...] 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34] 웹사이트 Fishing Gear Types: Trammel nets http://www.fao.org/f[...] 2010-09-27
[35] 웹사이트 Fishing nets and lines https://www.ikfounda[...] IK Foundation 2022-10-06
[36] 웹사이트 Wild Singapore - Berembang Sonneratia caseolaris http://www.wildsinga[...]
[37] 논문 The perverse fisheries consequences of mosquito net malaria prophylaxis in East Africa 2019-11-11
[38] 웹사이트 "Erythrina sandwicensis'' (Fabaceae)" http://ntbg.org/plan[...] National Tropical Botanical Garden 2009-01-31
[39] 서적 Prehistoric textiles: the development of cloth in the Neolithic and Bronze
[40] 서적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41] 논문 The marine shelled Mollusca of West Malaysia and Singapore. Part I. General introduction and account of the collecting stations https://web.archive.[...] 1981
[42] Youtube Fishing nets for a future: helping Syrian women in Lebanon https://www.youtube.[...] 2015-04-08
[43] 뉴스 Sea Turtles Suffer Collateral Damage From Fishing http://news.sciencem[...] Science AAAS 2010-04-07
[44] 논문 Seasonal sea turtle mortality risk from forced submergence in bottom trawls 2006
[45] 논문 Characteristics of sea turtles incidentally captured in the U.S. Atlantic sea scallop dredge fishery 2008
[46] 웹사이트 Finnish conservationists worry about Saimaa ringed seal as fishing net ban ends https://www.rcinet.c[...] 2020-07
[47] 뉴스 'Ghost fishing' killing seabirds http://news.bbc.co.u[...] 2008-04-01
[48] 간행물 意匠分類定義カード(K2) https://www.jpo.go.j[...] 특허청
[49] 뉴스 太平洋ゴミベルト、46%が漁網、規模は最大16倍に https://natgeo.nikke[...]
[50] 웹사이트 “最も危険”な幽霊 ~命を脅かす「ゴースト・ギア」~ https://www3.nhk.or.[...] 2021-08-20
[51] 뉴스 野付半島 羅網シカ救え/角に漁網やごみ 衰弱死も「いわば人災」NPOが清掃活動 北海道新聞 2021-12-11
[52] 뉴스 廃棄漁網からナイロン 気仙沼移住の加藤さん起業 漁師にも海にも優しく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12-14
[53] 문서 網地の種類については、野村、2000年、24-25頁、を参照。
[54] 문서 以上、合成繊維網については「野村、2000年」を参照。
[55] 서적 『現代日本産業発達史 水産』同研究会編
[56] 문서 田辺、2002年、14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