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 저자 논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셰익스피어 저자 논쟁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실제로 그가 쓴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일련의 논쟁이다. 셰익스피어는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 출신으로 런던에서 배우와 극작가로 활동했지만, 그의 배경과 작품에 나타나는 지식의 불일치, 개인적인 정보 부족 등을 근거로 다른 사람이 작품을 썼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사람들을 반 스트랫퍼드파라고 하며, 옥스퍼드 백작 에드워드 드 비어, 프랜시스 베이컨, 크리스토퍼 말로 등을 대안 저자로 제시한다. 반면, 셰익스피어의 저작을 옹호하는 측은 스트랫퍼드 학파라고 불리며, 동시대 기록과 문체론적 연구를 통해 셰익스피어의 저작을 옹호한다. 이 논쟁은 셰익스피어의 교육, 지식, 사생활 등에 대한 다양한 증거를 통해 진행되고 있으며, 암호, 작품의 지리적 오류, 소네트집 헌사 등 다양한 쟁점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윌리엄 셰익스피어 -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
1919년 실비아 비치가 파리에 설립한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는 유명 작가들의 사랑방이자 문학적 교류 중심지였으며, 나치 점령으로 폐업 후 조지 휘트먼에 의해 재개장하여 저소득 작가들에게 무료 숙식을 제공하는 텀블위드 프로그램으로 유명해졌고, 현재는 딸 실비아 휘트먼이 운영하며 문학 발전과 대중문화에 기여하고 있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 -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1961년 셰익스피어 기념 극단에서 명칭을 변경하여 발족한 영국의 대표적인 극단으로, 셰익스피어 작품을 중심으로 고전 및 현대극을 공연하며 혁신적인 공연과 셰익스피어 연극 교육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문학계 논란 - 발가락이 닮았다
김승옥의 소설 《발가락이 닮았다》는 성병으로 생식 능력을 잃은 M과 그의 아내 사이의 비극을 통해 인간의 고독과 슬픔을 그린 작품이다. - 문학계 논란 - 나니아 연대기
《나니아 연대기》는 C. S. 루이스의 판타지 소설 시리즈로, 나니아라는 가상의 세계를 배경으로 기독교적 상징과 알레고리를 담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1억 2천만 부 이상 판매되고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 음모론 - 세계 정복
세계 정복은 특정 국가나 세력이 지구상의 모든 영토와 인류를 지배하려는 목표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이 넓은 지역을 통치했지만 지구 전체를 정복한 사례는 없고, 현대에는 다자주의와 국제기구의 발전으로 영토 정복을 통한 세계 지배는 사실상 어려워 경제적, 문화적 영향력을 통한 지배 시도가 논의된다. - 음모론 - 나의 투쟁
《나의 투쟁》은 아돌프 히틀러가 집필한 자서전이자 나치즘의 핵심 이념을 담은 책으로, 히틀러의 유년 시절, 나치당 창당 과정,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레벤스라움 등의 정치적 신념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셰익스피어 저자 논쟁 | |
---|---|
개요 | |
주제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의 실제 저자에 대한 의문 |
대안적 후보 | 프랜시스 베이컨 옥스퍼드 백작 에드워드 드 베어 크리스토퍼 말로 윌리엄 스탠리, 6대 더비 백작 로저 매너스, 러틀랜드 백작 5세 메리 시드니, 펨브로크 백작 부인 월터 롤리 경 풀크 그레빌 아메리아 바사노 다른 사람들 |
성격 | 음모론, 주변 과학, 역사 수정주의 |
영향 | 셰익스피어 연구, 문학사, 대중문화 |
역사 | |
시작 | 19세기 중반 |
발단 | 셰익스피어의 삶에 대한 기록 부족 셰익스피어의 사회적 배경과 교육에 대한 의문 작품의 복잡성과 지식의 깊이 |
주장 | |
셰익스피어 전기의 부재 | 셰익스피어의 삶에 대한 확실한 기록 부족 |
사회적 배경의 부적합성 | 셰익스피어가 귀족 사회와 궁정 생활을 묘사할 자격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 |
작품의 지적 깊이 | 작품에 나타난 광범위한 지식과 경험을 셰익스피어가 가질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 |
작품의 모호한 출처 | 작품의 출판과 관련된 불확실성과 모호성 |
우연의 일치와 암호 | 대안적 저자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발견한 작품 속의 암호와 숨겨진 메시지 |
반론 | |
역사적 증거 | 셰익스피어가 배우이자 극작가로 활동했다는 동시대 증거 존재 |
전기적 해석의 오류 | 작품의 의미를 작가의 삶과 연결하려는 시도의 문제점 |
사회적 이동성 | 셰익스피어 시대에는 사회적 상승이 가능했으며, 셰익스피어는 성공적인 사업가였다는 점 |
음모론의 문제점 | 음모론이 과학적 증거 없이 추측에 의존한다는 비판 |
주요 지지자 | |
초기 지지자 | 델리아 베이컨 이그나티우스 도넬리 에드윈 더닝로렌스 경 |
현대 지지자 | 마크 트웨인 시그문트 프로이트 찰리 채플린 오손 웰스 존 오르슨 |
학계의 입장 | |
대다수 학자 | 셰익스피어가 작품의 저자라는 데 동의 |
비주류 이론 | 셰익스피어 저자 논쟁은 주류 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비주류 이론으로 간주 |
학문적 연구 부족 | 셰익스피어 저자 논쟁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제한적이며, 주로 대중적 관심에 의존 |
영향 | |
문화적 영향 | 셰익스피어 저자 논쟁은 다양한 소설, 영화, 연극의 주제가 됨 |
셰익스피어 연구에 대한 영향 | 셰익스피어 저자 논쟁은 셰익스피어의 삶과 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낳기도 함 |
대중의 인식 | 셰익스피어 저자 논쟁은 셰익스피어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형성하는 데 기여 |
2. 셰익스피어 저자 논쟁의 배경
반(反) 스트랫퍼드 학파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아닌 다른 인물이 셰익스피어 작품의 진정한 저자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진정한 저자의 정체를 숨기기 위한 음모가 있었다고 보며, 셰익스피어의 생애에 대한 기록 부족과 작품에 나타나는 방대한 지식 및 어휘력을 그 근거로 제시한다.[24]
반 스트랫퍼드 학파는 셰익스피어 정경이 폭넓은 지식, 외국어 및 지리에 대한 지식, 엘리자베스 시대와 제임스 1세 시대의 궁정 및 정치에 대한 친숙함을 보여주기 때문에, 고도로 교육받은 개인이나 궁정 내부인만이 그것을 쓸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25] 셰익스피어에 대해 알려진 것은 세례, 결혼, 사망 기록, 세금 기록, 소송, 부동산 거래 등 평범한 개인적 세부 사항뿐이며, 교육이나 책 소유를 증명하는 문서는 없다.[26] 또한 셰익스피어가 쓴 것으로 확실한 개인 서신이나 문학 원고도 남아 있지 않다. 이들은 이러한 기록의 공백이 극작가이자 시인으로서의 셰익스피어와는 다른 인물의 모습을 암시한다고 주장한다.[27] 월트 휘트먼, 마크 트웨인, 헬렌 켈러 등 저명인사들도 셰익스피어 저자설에 의문을 제기했다.[19][28][29][30]
반 스트랫퍼드 학파는 작품을 특정 저자에게 귀속시키는 데 사용되는 증거의 본질에 주목하며, 정황 증거에 의존한다. 작품에 묘사된 등장인물과 사건, 후보의 전기 및 작품과의 문학적 유사성, 숨겨진 암시 및 암호 코드 등이 그 예이다.[33]
반면, 셰익스피어 연구자들은 표제지 및 궁정 연회 사무소 계정과 같은 정부 기록, 동시대인들의 증언, 현대의 문체 연구 등 직접적인 문서 증거를 중시하며, 이러한 증거들이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저작을 확인시켜 준다고 말한다.[34][35] 이러한 기준은 다른 저자의 작품 귀속에도 사용되는 표준 방법론이다.[36]
2. 1. 셰익스피어에 대한 정보 부족
셰익스피어의 개인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반(反) 스트랫퍼드파 지지자들은 이것을 셰익스피어의 저작에 대한 정황 증거로 간주한다.[37] 예를 들어, 셰익스피어가 직접 쓴 편지는 존재하지 않으며, 상세하게 쓰인 유언장에도 책이나 희곡, 시 등에 대한 언급이 없다.[280] 자신의 예술에 관한 지론을 표명한 적도 없다.[280] 서명은 4가지나 되지만, 서체가 모두 다르다.[280] 셰익스피어의 인물 됨에 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280]이러한 자서전적 정보 부족은, 진정한 저자의 정체를 숨기기 위해 셰익스피어의 흔적(학교 기록까지도)을 제거하려는 정부 관리들의 조직적인 시도로 해석되기도 한다.[38][39]
존 미첼은 저서 『셰익스피어는 어디에 있는가?』에서 "셰익스피어의 생애에 관해 알려진 사실은 편지지 한 장의 한 면에 모두 적을 수 있다"고까지 말했다.[280] 미첼은 같은 책에서 마크 트웨인이 『셰익스피어는 죽었는가?』(''Is Shakespeare Dead?'', 1909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취지의 풍자를 인용했는데, 트웨인은 셰익스피어에 관해 확실히 알려진 사실만 나열하여 빈약한 전기를 쓰고, 웅대한 셰익스피어 연구의 역사 전체를 풍자했다.[280]
반 스트랫퍼드파는 셰익스피어에 관한 정보 부족을 주목할 만한 점으로 본다. 그들은 셰익스피어에 대해 얻을 수 있는 정보로 판단할 때, "윌리엄 셰익스피어 작"이라고 여겨져 온 작품들을 쓸 만한 능력을 실제로 셰익스피어가 가지고 있었는지 의심한다.[280]
2. 2. 작품에 나타나는 지식과 어휘력
반-스트랫퍼드 학파는 셰익스피어 정경이 폭넓은 지식, 외국어 및 지리에 대한 지식, 엘리자베스 시대와 제임스 1세 시대의 궁정 및 정치에 대한 친숙함을 보여주기 때문에, 고도로 교육받은 개인이나 궁정 내부인만이 그것을 쓸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25]반-스트랫퍼드파(정의는 후술)는 셰익스피어에 관한 정보 부족을 주목할 만한 점으로 생각한다. 이들은 셰익스피어에 대해 알려진 정보로 판단할 때, 기존에 "윌리엄 셰익스피어 작"이라고 여겨져 온 작품들을 쓸 만한 능력을 실제로 셰익스피어가 가지고 있었는지 의심한다. 셰익스피어 작품의 저자는 셰익스피어 본인이 갖추었다고 생각되는 교양을 훨씬 뛰어넘는 학식(법률, 외국어, 근대 과학 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2. 3. 당대 사회상과의 불일치
반스트랫퍼드 학파는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지리적 묘사 등이 당대 사회상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22] 예를 들어, 『오셀로』나 『베니스의 상인』에는 베네치아의 명물인 운하가 등장하지 않는다.[389] 또한 『겨울 이야기』에서는 내륙국인 보헤미아에 해안이 있는 것처럼 묘사하고, 『뜻대로 하세요』에서는 파리에서 스페인 북부로 가는 경로를 엉뚱하게 제시하는 등 명백한 오류도 발견된다.[389]이에 대해 정통파 학자들은 셰익스피어 작품의 무대가 원본에서 빌려온 것이며, 다른 극작가들도 외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많이 썼다는 점을 들어 셰익스피어가 이러한 유행을 따랐을 뿐이라고 반박한다.[389] 또한 '보헤미아의 해안'은 보헤미아 왕국이 아주 짧은 기간 동안 아드리아 해까지 영토를 넓혔던 사실을 셰익스피어가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제시된다.[390]
한편, 셰익스피어 희곡에 등장하는 동식물 이름에 워릭셔 지방 특유의 표현이 사용된 점은 작가가 워릭셔 출신임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된다.[391] 『한여름 밤의 꿈』에 언급된 팬지의 이칭인 ''"Love in Idleness"''가 그 예이다.[391]
3. 셰익스피어 저자 논쟁의 주요 용어
"스트랫퍼드파(Stratfordians)"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셰익스피어 작품의 저자라는 기존 견해를 지지하는 사람들이고, "반 스트랫퍼드파(anti-Stratfordians)"는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번 출신 배우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셰익스피어 작품의 저자임을 의심하는 사람들이다. 다만, 스트랫퍼드파는 이 문제가 오래전에 결론이 났다고 보므로, 스스로 스트랫퍼드파를 자처하며 이 논쟁에 참여하지는 않는다.[74]
3. 1. 스트랫퍼드파와 반 스트랫퍼드파
스트랫퍼드파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작품의 저자라는 전통적인 견해를 지지하는 입장이고, 반 스트랫퍼드파는 다른 인물이 진정한 저자라고 주장하는 입장이다. "'''반 스트랫퍼드파'''(anti-Stratfordians)"는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번 출신 배우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셰익스피어 작품의 저자"임을 의심하는 사람들이고, "'''스트랫퍼드파'''(Stratfordians)"는 기존 견해에 의문을 품지 않는 사람들이다. 다만, "스트랫퍼드파"로 불리는 사람들 입장에선 이 문제는 오래 전에 결론이 난 것이므로, 그들 스스로 "스트랫퍼드파"를 자처하며 이 논쟁에 참여하는 것은 아니다.[74]반 스트랫퍼드파가 제시하는 주장들은 몇 가지 특징을 공유한다.[22] 그들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저자 자격을 부정하려 하며, 대개 대체 후보에 대한 지지 주장을 제시한다. 그들은 종종 저자의 진정한 정체를 보호한 어떤 종류의 음모를 상정하며,[23] 이는 후보에 대한 문서 증거가 없는 이유와 역사적 기록이 셰익스피어의 저작을 뒷받침하는 이유를 설명한다고 주장한다.[24]
대부분의 반 스트랫퍼드 학파는 셰익스피어 정경이 폭넓은 지식, 외국어 및 지리에 대한 지식, 엘리자베스 시대와 제임스 1세 시대의 궁정 및 정치에 대한 친숙함을 보여주기 때문에 고도로 교육받은 개인이나 궁정 내부인만이 그것을 쓸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25] 이들은 "축적의 수사"라고 불리는 것,[32] 또는 정황 증거에 의존한다. 즉, 작품에 묘사된 등장인물과 사건의 유사성과 그들이 선호하는 후보의 전기, 후보의 알려진 작품과의 문학적 유사성, 동시대인과 셰익스피어 자신의 작품에 있는 문학적 및 숨겨진 암시 및 암호 코드이다.[33] 월트 휘트먼, 마크 트웨인, 헬렌 켈러, 헨리 제임스, 지그문트 프로이트, 존 폴 스티븐스, 에든버러 공작 필립 공 및 찰리 채플린을 포함한 몇몇 저명한 공인들은 셰익스피어의 저작에 반대하는 주장이 설득력이 있다고 판단했으며, 그들의 지지는 많은 반 스트랫퍼드 학파의 주장에서 중요한 요소이다.[19][28][29][30]
반면에, 학술 셰익스피어 전문가와 문학 역사가들은 주로 직접적인 문서 증거(예: 표제지 귀속 및 출판업자 등록소 및 궁정 연회 사무소 계정과 같은 정부 기록)와 시인, 역사가, 그와 함께 일했던 배우 및 극작가들의 동시대 증언, 그리고 현대의 문체 연구에 의존한다. 기록의 공백은 이 시기의 문서 생존율이 낮기 때문에 설명된다.[34] 학자들은 이 모든 것이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저작을 확인하기 위해 수렴한다고 말한다.[35] 이러한 기준은 다른 저자에게 작품을 귀속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며 저작 귀속에 대한 표준 방법론으로 받아들여진다.[36]
대부분의 셰익스피어 학자들은 "셰익스피어"라고 불리는 작가가 1564년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에서 태어나 1616년에 사망한 윌리엄 셰익스피어와 동일인이라고 믿는다. 그는 체임벌린 경의 극단 (후에 킹스 맨)의 배우이자 주주가 되었으며, 이 극단은 글로브 극장, 블랙프라이어스 극장을 소유했고, 1594년부터 1642년까지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독점적으로 제작할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74] 셰익스피어는 또한 그의 아버지가 문장을 부여받은 1596년 이후 명예 칭호인 "신사"를 사용할 수 있었다.[75]
문학 학자들은 시인 겸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에게 작품을 귀속시키기 위해 당시 다른 작가들에게 사용한 것과 동일한 역사적 방법론을 사용한다. 즉, 역사적 기록과 문체론적 연구를 활용하며,[77] 셰익스피어의 저작권에 대한 증거가 없다는 주장은 증거의 부재를 부재의 증거로 간주하는 오류, 즉 ''침묵의 논거'' 또는 침묵의 논거의 한 형태라고 말한다.[78]
3. 2. 반 스트랫퍼드파의 분파
반스트랫퍼드파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셰익스피어 작품의 진정한 저자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진정한 저자로 거론되는 인물에 따라 여러 분파로 나뉜다. 대표적인 분파로는 베이컨을 지지하는 베이컨파, 옥스퍼드를 지지하는 옥스퍼드파, 말로를 지지하는 말로파 등이 있다.[22]3. 3. 셰익스피어와 셰익스피어
반 스트랫퍼드파는 극작가 셰익스피어와 스트랫퍼드 출신의 윌리엄 셰익스피어를 구분하기 위해 표기에 차이를 두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셰익스피어의 존칭 "Master"는 ''루크리스의 능욕''(O5, 1616)의 표지에서 "Mr."로 표시되었다.[75]역사적 기록은 셰익스피어 작품의 저자를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로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82] 시와 희곡의 표지에 이름이 나타나는 것 외에도, 스트랫퍼드의 윌리엄 셰익스피어라는 이름은 셰익스피어 생전에 최소 23번이나 유명한 작가의 이름으로 언급되었다.[83]
1598년, 프랜시스 메레스는 그의 저서 ''팔라디스 타미아''에서 셰익스피어를 극작가이자 시인으로 언급하며, 그를 "영국어를 크게 풍요롭게 한" 작가 중 한 명으로 칭했다.[86] 그는 셰익스피어가 쓴 12편의 희곡을 언급했는데, 여기에는 4편의 희곡이 사절판으로 출판되지 않았다.
엘리자베스 시대 영국의 엄격한 사회 구조에서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1601년 그의 아버지가 사망한 후 "신사"라는 존칭을 사용할 자격이 있었다. 그의 아버지가 1596년에 문장을 받았기 때문이다.[88] 이 존칭은 일반적으로 이름 앞에 붙는 "Master" 또는 약어 "Mr." 또는 "M."으로 지정되었다.[75]

셰익스피어 생애의 예로는 두 개의 공식적인 출판인 등록 기록이 있다.
- 1600년 8월 23일 앤드류 와이즈와 윌리엄 애슬리가 등록
- 1607년 11월 26일 너새니얼 버터와 존 버스비가 등록
''리어왕'' Q1 (1608)의 표지에 "M. 윌리엄 셰익-스피어: ''HIS'' 진실한 연대기, 킹 LEAR와 그의 세 딸의 삶과 죽음의 역사"로 나타났다.[93]
셰익스피어 사후 벤 존슨은 퍼스트 폴리오(1623)에 출판된 그의 찬사, "'사랑하는 저자, 미스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기억을 기리며, 그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의 제목에서 윌리엄 셰익스피어 신사임을 저자로 명시했다.[97]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번 출신 배우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셰익스피어 작품의 저자"임을 의심하는 사람들을 스스로 "'''반 스트랫퍼드파'''(anti-Stratfordians)", 기존 견해에 의문을 품지 않는 사람들을 "'''스트랫퍼드파'''(Stratfordians)"라고 부른다.
4. 반 스트랫퍼드파의 공통 논점
반스트랫퍼드파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작품의 저자가 아니라는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여러 가지 공통된 논점을 제시한다. 이들은 셰익스피어의 생애 기록이 부족하고, 작품에 나타난 지식과 경험이 평민 출신인 셰익스피어와 어울리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반스트랫퍼드파는 셰익스피어의 저작 능력을 의심하며, 대개 다른 후보를 지지하는 주장을 함께 제시한다. 이들은 종종 진정한 저자의 정체를 숨기기 위한 음모가 있었다고 가정하며,[23] 이 음모론을 통해 후보에 대한 문서 증거가 부족한 이유와 역사적 기록이 셰익스피어의 저작을 뒷받침하는 이유를 설명하려 한다.[24]
대부분의 반스트랫퍼드파는 셰익스피어 정경에 나타난 폭넓은 지식, 외국어 및 지리에 대한 지식, 엘리자베스 시대와 제임스 1세 시대의 궁정 및 정치에 대한 친숙함을 근거로, 고도로 교육받은 개인이나 궁정 내부인만이 작품을 쓸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25] 셰익스피어의 생애에 관한 기록은 평범한 개인적 세부 사항(세례, 결혼, 사망 기록, 세금 기록, 소송, 부동산 거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이나 책 소유를 증명하는 문서는 없다.[26] 스트랫퍼드의 셰익스피어가 쓴 것으로 확실한 개인 서신이나 문학 원고도 남아 있지 않다. 이러한 기록의 공백은 극작가이자 시인과는 다른 인물의 프로필을 암시한다고 이들은 주장한다.[27] 월트 휘트먼, 마크 트웨인, 헬렌 켈러 등 저명한 인사들이 셰익스피어 저작에 반대하는 주장이 설득력이 있다고 판단한 점도 강조한다.[19][28][29][30]
반스트랫퍼드파 주장의 핵심은 작품을 저자에게 귀속시키는 데 사용되는 증거의 본질이다.[31] 이들은 정황 증거에 의존하는데, 작품에 묘사된 등장인물과 사건의 유사성과 그들이 선호하는 후보의 전기, 후보의 알려진 작품과의 문학적 유사성, 동시대인과 셰익스피어 자신의 작품에 있는 문학적 및 숨겨진 암시 및 암호 코드 등이다.[33]
반면, 학술 셰익스피어 전문가와 문학 역사가들은 주로 직접적인 문서 증거(예: 표제지 귀속, 출판업자 등록소 기록, 궁정 연회 사무소 계정과 같은 정부 기록)와 시인, 역사가, 그와 함께 일했던 배우 및 극작가들의 동시대 증언, 그리고 현대의 문체 연구에 의존한다. 기록의 공백은 이 시기의 문서 생존율이 낮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34] 학자들은 이 모든 것이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저작을 확인하기 위해 수렴한다고 말한다.[35] 이러한 기준은 다른 저자에게 작품을 귀속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며 저작 귀속에 대한 표준 방법론으로 받아들여진다.[36]
셰익스피어의 사생활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는 점은 반스트랫퍼드파 지지자들에게 그의 저작에 대한 정황 증거로 간주된다.[37] 더 나아가, 이러한 자서전적 정보의 부족은 때때로 셰익스피어의 모든 흔적, 어쩌면 그의 학교 기록까지 제거하려는 정부 관리들의 조직적인 시도로, 진정한 저자의 정체를 숨기기 위한 시도로 해석되기도 한다.[38][39]
대부분의 셰익스피어 학자들은 "셰익스피어"라고 불리는 작가가 1564년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에서 태어나 1616년에 사망한 윌리엄 셰익스피어와 동일인이라고 믿는다. 그는 체임벌린 경의 극단(후에 킹스 맨)의 배우이자 주주였으며, 이 극단은 글로브 극장, 블랙프라이어스 극장을 소유했고, 1594년부터 1642년까지 셰익스피어 작품을 독점적으로 제작할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74] 셰익스피어는 또한 그의 아버지가 문장을 부여받은 1596년 이후 젠트리 계급으로 인정받았다.[75]
셰익스피어 학자들은 그 이름이 가명이었다거나, 배우가 작가를 위한 위장막이었다는 의심을 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동시대 기록은 셰익스피어를 작가로 식별하고 있으며, 벤 존슨과 크리스토퍼 말로와 같은 다른 극작가들도 비슷한 배경을 가지고 있었고, 동시대인 중 셰익스피어의 저작권에 의문을 제기한 사람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셰익스피어의 삶의 일부 측면에 대한 정보가 불확실하지만, 이는 당시 다른 많은 극작가들에게도 해당된다. 존슨, 말로, 존 마스턴과 같은 다른 작가들은 그들의 교육, 궁정과의 긴밀한 관계, 또는 법과의 연루로 인해 더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76]
문학 학자들은 시인 겸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에게 작품을 귀속시키기 위해 당시 다른 작가들에게 사용한 것과 동일한 역사적 방법론을 사용한다. 즉, 역사적 기록과 문체론적 연구를 활용하며,[77] 셰익스피어의 저작권에 대한 증거가 없다는 주장은 증거의 부재를 부재의 증거로 간주하는 오류, 즉 ''침묵의 논거''의 오류라고 말한다.[78] 그들은 대안 후보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이 신뢰할 수 없고 비학문적이라고 비판하며, 최소 80명이나 되는 후보[10]가 "진정한" 작가로 제안된 이유를 그들의 주관성으로 설명한다고 주장한다.[79] 그들은 셰익스피어가 자신의 작품에서 자전적으로 자신을 드러냈다는 생각을 문화적 시대착오로 간주한다. 이는 19세기 이후 일반적인 작가적 관행이었지만, 엘리자베스 시대와 제임스 시대에는 그렇지 않았다.[80] 19세기에도, 최소한 윌리엄 해즐릿과 존 키츠부터 시작하여, 비평가들은 셰익스피어의 천재성의 본질이 그의 등장인물들이 주어진 극적 성격에 따라 말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에 있다는 점을 자주 언급했으며, 이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에서 그의 저자 정체성을 결정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81] 동시대인들의 명확한 증언과 배우이자 극작가로서 그와 교류했던 사람들과의 개인적인 관계에 대한 강력한 정황 증거는 셰익스피어의 저작을 뒷받침한다.[99]
1602년, 랄프 브룩, 요크 헤럴드는 가터 문장관인 윌리엄 데딕 경이 23명의 부적격자를 젠트리로 승격시켰다고 비난했다.[102] 이들 중 한 명은 셰익스피어의 아버지였는데, 그는 34년 전에 문장을 신청했지만 1596년 아들의 성공을 기다려야 했다.[103] 브룩은 "가터가 지은 셰익스피어 선수"라는 캡션과 함께 셰익스피어 문장의 스케치를 포함시켰다.[104] 존 셰익스피어를 포함한 보조금은 데딕과 당시 최고의 고고학자인 클라렌스 문장관인 윌리엄 캠던에 의해 옹호되었다.[105] 1605년에 출판되었지만, 2년 전에 완성되었고 1604년 옥스퍼드 백작이 사망하기 전에 쓰여진 그의 ''영국에 관한 유물''에서 캠던은 셰익스피어를 "우리 시대의 가장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들 중 한 명이며, 후세가 정당하게 존경할 수 있는 인물"이라고 칭했다.[106]
4. 1. 셰익스피어의 교육 수준
반스트랫퍼드 학파는 셰익스피어 정경이 폭넓은 지식, 외국어 및 지리에 대한 지식, 엘리자베스 시대와 제임스 1세 시대의 궁정 및 정치에 대한 친숙함을 보여주기 때문에 고도로 교육받은 개인이나 궁정 내부인만이 그것을 쓸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25] 이들은 셰익스피어가 교육을 받았거나 책을 소유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문서는 없다고 말한다.[26] 또한, 스트랫퍼드의 셰익스피어가 쓴 것으로 확실한 개인 서신이나 문학 원고는 남아 있지 않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기록의 공백은 극작가이자 시인과 현저하게 다른 인물의 프로필을 암시한다고 본다.[27] 월트 휘트먼, 마크 트웨인, 헬렌 켈러 등 저명한 인사들이 셰익스피어 저작에 반대하는 주장이 설득력이 있다고 판단한 점을 강조한다.[19]반면, 학술 셰익스피어 전문가와 문학 역사가들은 셰익스피어의 저작을 확인하기 위해 주로 직접적인 문서 증거와 동시대 증언, 현대의 문체 연구에 의존하며, 기록의 공백은 이 시기의 문서 생존율이 낮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34]
셰익스피어는 런던에서 활동하는 동안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그곳에 가정을 유지했다. 런던에서 북서쪽으로 약 약 160.93km 떨어진 인구 약 1,500명의 시장 도시인 스트랫퍼드는 양의 도살, 판매, 유통의 중심지였으며, 가죽 무두질과 양모 거래도 이루어졌다. 반스트랫퍼드 학파는 종종 이 도시를 천재성을 키울 환경이 부족한 문화적 후미진 곳으로 묘사하고, 셰익스피어를 무지하고 문맹인으로 묘사한다.[40]
반스트랫퍼드 학파는 셰익스피어가 그의 이름을 딴 작품에 나타나는 교육과 교양 있는 배경에 대한 기록이 없는데, 어떻게 그가 작품과 시에서 발견되는 17,500~29,000 단어에 달하는 광범위한 어휘를 습득할 수 있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51]
대부분의 셰익스피어 학자들은 "셰익스피어"라는 작가가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에서 태어나 1616년에 사망한 윌리엄 셰익스피어와 동일인이라고 믿는다. 그는 체임벌린 경의 극단(후에 킹스 맨)의 배우이자 주주였으며, 이 극단은 글로브 극장, 블랙프라이어스 극장을 소유했고, 1594년부터 1642년까지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독점적으로 제작할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74]
셰익스피어 학자들은 셰익스피어의 이름이 가명이었다거나, 배우가 작가를 위한 위장막이었다는 의심을 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동시대 기록은 셰익스피어를 작가로 식별하고 있으며, 벤 존슨과 크리스토퍼 말로와 같은 다른 극작가들도 비슷한 배경을 가지고 있었고, 동시대인 중 셰익스피어의 저작권에 의문을 제기한 사람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1. 1. 기초 교육
반스트랫퍼드파 학자들은 셰익스피어의 배경이 셰익스피어 정경의 저자에게서 기인하는 것과 양립할 수 없다고 여긴다. 그 이유로 궁정 정치와 문화, 외국, 그리고 귀족 스포츠인 사냥, 매사냥, 테니스, 잔디 볼링과의 친밀함을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한다.[44] 셰익스피어의 아버지와 아내는 공문서에 서명할 때 자신의 이름을 쓰는 대신 기호를 사용했기 때문에, 그들은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이 없었을 것이라고 반스트랫퍼드파는 추정한다.[287] 딸 주디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므로, 셰익스피어는 딸에게 글을 읽고 쓰는 것을 가르치지 않았을 것이라고 그들은 생각한다(17세기 중산층 여성의 문맹은 매우 흔한 일이었다).[288]이에 대해 스트랫퍼드파는 몇몇 서명이 현존하고 있고, 대본을 읽을 수 없다면 배우를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점에서, 셰익스피어 자신은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셰익스피어의 두 딸이 글을 읽을 수 있었다는 증거도 없는데, 수재너가 쓴 두 개의 서명이 능숙한 솜씨로 쓰여졌다기보다 "그려진" 것처럼 보일 뿐이고, 그의 다른 딸인 주디스는 법적 문서에 표시로 서명했다.[42]
반스트랫퍼드파는 희곡을 쓰는 데 필요한 교육을 셰익스피어가 받았다는 증거가 없다는 점을 종종 지적한다. 한편, 스트랫퍼드파는 셰익스피어가 14세까지 스트랫퍼드의 킹스 스쿨(에드워드 6세 학교, King Edward VI School Stratford-upon-Avon)에 다닐 자격이 있었고, 그곳에서 라틴 시인이나 플라우투스(Plautus)와 같은 극작가에 대해 배웠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당시의 학적부는 분실되었기 때문에 셰익스피어가 이 학교에 다녔는지는 불분명하다.[290]
스트랫퍼드파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반드시 뛰어난 교양을 가진 사람만이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벤 존슨이 퍼스트 폴리오의 헌사에서 셰익스피어를 ''"And though thou hadst small Latine, and lesse Greeke,"'' 즉 "라틴어를 조금, 그리스어는 더 조금"(밖에 몰랐지만, 그 작품은 매우 위대하다는 내용으로 이어진다)이라고 평한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며, 셰익스피어의 교양에 관한 이야기에서 반드시 인용되는 사실이다.
4. 1. 2. 전문 교육
반 스트랫퍼드 학파는 셰익스피어가 대학 교육을 받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한다. 1553년에 설립된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의 킹스 뉴 스쿨은 셰익스피어 집에서 약 0.8km 떨어진 곳에 있었지만,[46] 당시 학생 등록부가 남아 있지 않아 셰익스피어의 출석 여부는 불분명하다.[50] 엘리자베스 시대 문법 학교는 왕의 칙령에 의해 표준화된 라틴어 텍스트를 바탕으로 라틴어 문법, 고전, 수사학 등을 가르쳤다.[48]반 스트랫퍼드 학파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나타나는 17,500~29,000 단어에 달하는 방대한 어휘[51]와, 6개의 현존하는 서명이 "문맹 낙서"처럼 보인다는 점[53] 등을 근거로 셰익스피어가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셰익스피어가 작가임을 명시하는 기록이 없고, 오히려 사업가로서의 경력을 뒷받침하는 증거만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64]
이들은 동시대인들의 풍자적인 언급을 셰익스피어가 익명의 저자를 위한 겉치레였다는 암시로 해석한다. 예를 들어, 벤 존슨의 시에 등장하는 문학적 도둑 '시인원숭이'나, 퍼스트 폴리오에 나오는 "셰익스피어"에 대한 찬사를 실제 저자가 아닌 필명에 대한 언급으로 본다.[66][67]
반면, 스트랫퍼드 학파는 벤 존슨과 프랜시스 보몬트가 셰익스피어의 고전 지식 부족을 언급한 점,[124]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나타나는 고전적 실수[125] 등을 들어 셰익스피어가 독학으로 지식을 습득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새뮤얼 존슨은 셰익스피어의 천재성이 박식함이 아닌 "관찰력과 구별의 정확성"에 있다고 평가했다.[128]
셰익스피어의 희곡은 대학교재치와 달리 고전적 원리를 과시하지 않고, 엘리자베스 시대 문법 학교 교과 과정에 의존한다.[132] 윌리엄 릴리의 라틴어 문법 ''Rudimenta Grammatices''를 비롯해 카이사르, 오비디우스, 플라우투스 등 문법 학교에서 배우는 작가들을 인용했다.[132]
벤 존슨은 셰익스피어에게 "예술"이 부족하다고 비판했지만,[107] 셰익스피어를 "진실하고, 솔직하며, 자유로운 본성"을 지닌 인물로 칭찬했다.[108] 존 웹스터는 ''백마귀'' 헌사에서 셰익스피어를 데커, 토마스 헤이우드와 함께 언급하며 "M."(주인)이라는 호칭을 사용했는데, 이는 스트랫퍼드의 윌리엄 셰익스피어에게 적절한 호칭이었다.[112]
4. 2. 셰익스피어의 유언장
반스트랫퍼드파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1616년 4월 23일 스트랫퍼드에서 사망하며 남긴 유언장에 주목한다. 셰익스피어의 유언장에는 개인 서류, 책, 시, 또는 사망 당시 미출판된 18편의 희곡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다.[68] 유언장 행간 삽입에는 동료 배우들에게 애도 반지를 사도록 금전적 선물을 언급한 내용만이 있을 뿐이었다.[68]반스트랫퍼드파는 셰익스피어가 작가로서의 활동과 관련된 어떠한 유품도 남기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셰익스피어가 실제 작가가 아니라는 주장의 근거로 제시한다.
하지만 스트랫퍼드파는 당시 연극계의 저작권 관행을 들어 반박한다. 당시 희곡의 저작권은 극단이나 출판업자에게 귀속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셰익스피어가 유언장에 희곡을 언급하지 않은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것이다. 또한, 셰익스피어의 유언장은 개인적인 재산 처분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기 때문에 문학 작품에 대한 언급이 없을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4. 3. 셰익스피어의 계급
반스트랫퍼드 학파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귀족 출신이 아니라는 점을 들어 그의 저자 자격을 부정한다. 이들은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폭넓은 지식, 외국어, 지리, 엘리자베스 시대와 제임스 1세 시대의 궁정 및 정치에 대한 친숙함은 고도로 교육받은 귀족이나 궁정 내부인만이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25] 셰익스피어의 생애 기록은 평범한 개인의 세부 사항(세례, 결혼, 사망 기록, 세금 기록, 소송, 부동산 거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가 교육을 받았거나 책을 소유했다는 증거는 없다.[26]반면, 스트랫퍼드 학파는 셰익스피어가 체임벌린 경의 극단(후에 킹스 맨)의 배우이자 주주였으며, 이 극단은 글로브 극장, 블랙프라이어스 극장을 소유했고, 1594년부터 1642년까지 셰익스피어 작품을 독점적으로 제작할 권리를 가졌다는 점을 강조한다.[74] 셰익스피어는 1596년 이후 젠트리 계급으로 인정받았다.[75]
스트랫퍼드 학파는 벤 존슨, 크리스토퍼 말로와 같은 다른 극작가들도 셰익스피어와 비슷한 배경을 가지고 있었으며, 동시대인 중 셰익스피어의 저작권에 의문을 제기한 사람은 없었다고 주장한다.[76] 셰익스피어의 삶에 대한 정보가 불확실한 것은 당시 다른 극작가들에게도 해당되는 사항이며, 존슨, 말로, 존 마스턴과 같은 작가들은 교육, 궁정과의 관계, 법적 문제 등으로 인해 더 자세히 기록되었다고 설명한다.[76]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보면, 셰익스피어 작품에 등장하는 하층 계급 인물들에 대한 묘사는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는 셰익스피어가 평민 출신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그의 작품이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는 이유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4. 4. "Shake-Speare"라는 이름의 하이픈
반스트랫퍼드 학파는 셰익스피어의 성이 문학 및 비문학 문서에서 일관되지 않게 표기되었고, 특히 손으로 쓴 문서에서 가장 많은 변형이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한다.[56] 그들은 이것이 셰익스피어가 작품을 쓴 사람이 아니며, 그 이름이 진정한 저자의 필명으로 사용되었다는 증거라고 주장한다.[57]셰익스피어 희곡의 32개 개별 사분면판 (또는 ''Q'') 판본 중 15개와 퍼스트 폴리오 이전에 출판된 시집 5개 판본 중 2개의 표지에서 셰익스피어의 성은 "Shake-speare" 또는 "Shak-spear"로 하이픈으로 연결되어 표기되었다. 특히 ''리처드 2세'', ''리처드 3세'', ''헨리 4세 1부''의 표지에 하이픈이 자주 사용되었다.[58] 또한 1594년에서 1623년 사이에 출판된 6개의 문학적 암시와 하나의 배역 목록에도 하이픈이 나타난다.

반스트랫퍼드파는 "마스터 슈-타이"와 "서 럭클리스 우-올"과 같은 허구적인 묘사 이름이나, "톰 텔-트루스"와 같은 필명이 희곡에서 종종 하이픈으로 연결된 점을 들어, 이 하이픈이 필명을 나타낸다고 해석한다.[59][60]
"셰익스피어"를 필명으로 사용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주장이 있는데, 후보자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다양하다. 더비나 옥스퍼드와 같은 귀족들은 당시 지배적이었던 "인쇄의 낙인" 때문에 필명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1] 이 사회적 관습은 문학 작품을 상업적인 노력이 아닌, 사적이고 궁정적인 독자층으로 제한했으며, 이를 어기면 사회적 수치를 초래할 위험이 있었다. 평민의 경우에는 당국의 기소를 피하기 위해 필명을 사용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예를 들어 베이컨은 공화주의적인 형태의 정부를 옹호했기 때문에, 마를로는 죽음을 위장하고 국외로 도주한 후 투옥 또는 그 이상의 결과를 피하기 위해서였다.[62][63]
4. 5. 동시대인들의 증언
벤 존슨과 셰익스피어의 관계는 매우 복잡했다. 존슨은 셰익스피어와 친구였으며 "나는 그를 사랑했다"는 말을 남겼고, 퍼스트 폴리오의 서문으로 셰익스피어에게 헌시를 보냈다. 그러나 셰익스피어가 매우 장황하다고도 썼는데, 배우들이 "한 줄도 낭비된 것이 없다"며 셰익스피어를 칭찬하는 것을 들은 존슨은 "1000줄은 잘라냈어야 했다", "그에게는 넘치는 재능이 있었지만, 때로는 절제가 필요했다"고 말했다.[303]같은 저서에서 그는 셰익스피어가 "시저가 된 것처럼" (아마 무대 위에서) 말한 대사를 조롱했다. "시저는 정당하지 않은 일은 하지 않는다. 정당한 이유가 있을 때 외에는" (''"Caesar never did wrong but with just cause"'' , 『줄리어스 시저』 제3막 제1장)라는 구절에 대해 존슨은 셰익스피어가 종종 이런 "바보 같은" 이야기를 썼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퍼스트 폴리오에 수록된 문구는 "시저는 정당하지 않은 일은 하지 않으며, 정당한 이유 없이 보상하지도 않는다"(''Know, Caesar doth not wrong, nor without cause / Will he be satisfied'')인데, 마지막에 다른 어구가 추가되어 의미가 통하도록 편집자가 덧붙인 것이다. 그러나 원래의 모순된 표현이 시저의 웅대한 야망을 더 잘 나타낼 수 있다는 해석에 따라 다시 추가되었다.) 존슨은 자신의 희곡 ''"The Staple of News"'' (1626년)에서 셰익스피어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다시 이 부분을 조롱했다. 반 스트랫퍼드 학파는 존슨의 이러한 코멘트를 셰익스피어가 진정한 저자라는 것에 대한 의구심의 표현으로 해석하기도 한다.[304]
로버트 그린이 죽은 후 출판된 저서 『삼 문의 지혜』(''"Greene's Groatsworth of Wit"'' , 1592년. 출판자인 동료 극작가 헨리 체틀(Henry Chettle)의 작품이라는 설도 있다)에서 셰익스피어를 흉내 낸 "셰이크-신"(무대를 흔드는 자)이라는 극작가를 이솝 우화를 인용하여 "우리 깃털로 치장한 벼락 출세한 까마귀"라고 불렀으며, 『헨리 6세 3부』 제1막 제4장의 요크 공의 대사 ''"O tiger's heart wrapt in a woman's hide!"''("여자의 가죽을 쓴 호랑이의 심장이여!")를 비틀어 "배우의 가죽을 쓴 호랑이의 심장"이라는 풍자를 이어갔다. 그린의 초기 저작 ''"Mirror of Modesty"'' (1584년)의 서문에서도 "다른 새의 깃털로 자신을 치장한 까마귀"라는 비슷한 비유로 자신의 공도 아닌 것을 자랑하는 사람들을 비판했다. 이는 셰익스피어를 표절 작가로 중상모략한 것으로 해석된다. 런던의 극단이 셰익스피어를 언급한 문헌 중 가장 초기로 알려져 있지만, 악의적인 암시만 있을 뿐 구체적으로 셰익스피어의 어떤 점이 표절이며 무엇을 비난하려는 것인지 명시되어 있지 않다. 고등 교육을 받은 당시 일류 극작가 그린이, 하층 계급 출신 배우 주제에 주제넘게 희곡을 써서 자신의 영역에 들어온 정체 모를 작가가 마음에 안 들었을 것이라는 견해에 대다수의 연구자가 일치하고 있다. (셰익스피어의 『겨울 이야기』는 그린의 소설 『판도스토 왕』(''"Pandosto"'' , 1588년)을 원본으로 했다는 설도 있어, 이를 표절로 여겨 분개했을 가능성도 있다.) 반 스트랫퍼드 학파는 이것 또한 당시부터 셰익스피어가 가짜라고 의심하는 사람이 있었다는 증거라고 주장한다.[304]
카와이 쇼이치로는 "벼락 출세한 까마귀"는 셰익스피어가 아니라 배우 제임스 알렌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305]
존 마스턴은 풍자시 『악행의 채찍』(''"The Scourge of Villainy"'' , 1598년)에서 하층 계급과 육체 관계를 맺어 "오염"된 상류 계급을 맹렬히 비난하며 성적인 비유를 섞어가며 묻는다.
''"gloomy"''라는 단어는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가 가장 좋아하는 배우를 통렬하게 풍자하는 시를 썼기 때문에 조국에서 추방된 시인 유베날리스가 후에 어두운 인간이 되었다는 전승에 근거한다.[306] 즉, 마스턴의 시는 어떤 배우를 겨냥한 것이며, 그러한 하층 계급의 "노예"가 저지른 "루크리스 강간"의 죄가 참작되어야 하는지 묻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시는 『루크리스의 능욕』을 언급하며 "매춘 중개인" 셰익스피어가 사우샘프턴 백작과 같은 "귀족을 유혹하여" 보호를 받을 자격이 있는지 이의를 제기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反) 스트랫퍼드파는 셰익스피어가 "대리인"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기 위해, 사회적 지위가 높은 인물들의 익명 또는 변명(變名) 출판을 둘러싸고 동시대 엘리자베스 시대 사람들이 주고받았던 논쟁을 예로 들고 있다. 로저 애스컴은 저서 ''"The Schoolmaster"'' (1570년)에서 로마의 극작가 테렌티우스가 쓴 것으로 알려진 희곡 중 두 편은 테렌티우스와 같은 "노예 출신 이방인"이 썼다고 하기에는 격조가 너무 높으므로, 테렌티우스와도 친했던 "용사 스키피오와 현자 레일리우스"가 진짜 작가임에 틀림없다고 주장했다.[307] 동시대 작가에 대해, 앞서 언급한 로버트 그린은 "명성과 위엄을 지키기 위해 통속적인 팸플릿을 손댈 수 없는 자들은 게재할 이름으로 Batillus(아우구스투스 시대의 무명 시인)를 찾아낸다. 비밀 거래로 명예를 부여받은 바보 같은 존재인 셈이다"라고 썼다. 이 바보란 예수 그리스도가 예루살렘에 입성할 때 탔기 때문에 예수와 함께 환호를 받은 나귀를 가리킨다. 즉, 등에 태워 운반한 자(신분이 높은 진짜 작가)가 받아야 할 찬사의 몫을 얻어간 하등한 존재(셰익스피어)라는 통속적인 비유이다.[308]
4. 6. 르네상스 시대 영국의 익명 출판
르네상스 시대 영국에서는 사회적 지위가 높은 인물들이 익명 또는 가명으로 작품을 출판하는 관행이 있었다. 반(反) 스트랫퍼드파는 이 점을 들어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아닌 다른 인물이 작품을 썼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폭넓은 지식, 외국어, 지리, 엘리자베스 시대와 제임스 1세 시대의 궁정 및 정치에 대한 친숙함을 보여주기 때문에 고도로 교육받은 귀족이나 궁정 내부인만이 쓸 수 있다고 보았다.[25]반면, 스트랫퍼드파 학자들은 당시 다른 작가들에게 사용한 것과 동일한 역사적 방법론, 즉 역사적 기록과 문체론적 연구를 통해 셰익스피어의 저작권을 확인한다.[77] 그들은 셰익스피어의 저작권에 대한 증거가 없다는 주장은 ''침묵의 논거''의 오류라고 비판하며,[78] 셰익스피어가 자신의 작품에서 자전적으로 자신을 드러냈다는 생각은 19세기 이후의 작가적 관행이며, 엘리자베스 시대와 제임스 시대에는 그렇지 않았다고 본다.[80]
스트랫퍼드파는 셰익스피어의 주요 시 작품인 『루크리스 능욕』이나 『비너스와 아도니스』는 고전적 주제를 다룬 장편 서사시로, 귀족 문학으로 인정받았기 때문에 익명으로 출판할 이유가 없었다고 주장한다. 엘리자베스 시대 귀족에게 시를 쓰는 재능은 바람직한 일이었다는 것이다. 또한, 셰익스피어의 시 작품들이 페스트 유행으로 극장이 폐쇄된 직후에 출판되었다는 점을 들어, 일자리를 잃은 극작가가 수입을 위해 집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4. 7. 시에 나타난 증거
다른 여자를 제쳐두고, 당신은 자신의 ''Will''을 얻었다.
덤으로 ''Will''에, 남은 ''Will''까지.
당신을 방해하기만 하는 저 따위가,
당신의 부드러운 뜻에 보탬이 될 뿐이네.
이 말장난은 소네트 136번에서 "And then thou lovest me, for my name is ''Will''" ("그렇다면 당신은 나를 사랑하게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내 이름이 "Will"이기 때문입니다")라는 구절로 이어진다. 이러한 ''"Will"''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말장난은 다음 두 가지 가능성을 제시한다.
# 저자의 이름은 윌리엄이며, 자신의 애칭 "Will"을 작품에 넣고 싶었다.
# 저자의 이름은 윌리엄이 아니지만, 그렇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시적 기교를 사용했다.
반면 옥스퍼드 학파는 셰익스피어 작품의 진정한 저자가 귀족이며, 희곡과 같은 대중적인 연예에 관여하는 것을 숨기기 위해 신분을 감추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정통파 연구자들은 셰익스피어의 『루크리스 능욕』이나 『비너스와 아도니스』와 같은 장편 서사시가 귀족 문학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익명으로 출판할 이유가 없었다고 반박한다. 옥스퍼드 학파는 소네트집의 내용이 개인적, 정치적 추문과 관련되어 있어 필명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하며, 소네트 76번을 그 증거로 제시한다.
Why write I still all one, ever the same,영어
And keep invention in a noted weed,영어
That every word doth almost tell my name,영어
Showing their birth, and where they did proceed?영어
왜 나는 언제나 같은 것만 계속 쓰는가,
그리고 왜 내 상상력에 상복을 입히는가?
마치 모든 단어가 내 이름을 말하고,
자신의 탄생과 출처를 이야기하는 것 같다.
또한 소네트 145번에는 셰익스피어의 아내 앤 해서웨이의 이름을 이용한 말장난이 있다는 앤드루 거(Andrew Gurr)의 학설도 있다. "hate away"라는 구절이 엘리자베스 시대 발음으로 "해서웨이"와 유사하며, 다음 행의 "And saved my life,"는 "Anne saved my life"처럼 들린다는 것이다.
정통파 연구자들은 셰익스피어의 주요 시 작품이 페스트 유행으로 극장이 폐쇄된 직후에 출판되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일자리를 잃은 극작가가 다른 수입원을 찾기 위해 집필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익명의 귀족이 갑자기 많은 시를 쓰기 시작한 이유를 설명하지는 못한다고 주장한다.
5. 셰익스피어 저자 후보와 각 학설
셰익스피어 저자 논쟁에서는 프랜시스 베이컨, 제17대 옥스퍼드 백작 에드워드 드 비어, 크리스토퍼 말로, 헨리 네빌 등 여러 인물들이 셰익스피어 작품의 진정한 작가로 거론되어 왔다. 각 후보를 지지하는 학설(베이컨설, 옥스퍼드설, 말로설, 네빌설)은 각기 다른 근거를 제시한다.
- 베이컨설: 프랜시스 베이컨이 셰익스피어 작품을 썼다는 주장이다. 베이컨의 지성, 희곡의 법률 관련 내용, 베이컨 저서와 셰익스피어 작품 간 유사한 어구 등이 논거로 제시된다.
- 옥스퍼드설: 에드워드 드 비어가 셰익스피어 작품을 썼다는 주장이다. 옥스퍼드 백작의 개인사와 희곡 내용의 유사성, 옥스퍼드 백작과 극장 및 극작가들과의 관계 등이 논거로 제시된다.
- 말로설: 크리스토퍼 말로가 1593년에 죽음을 위장하고 '셰익스피어'라는 이름으로 작품 활동을 계속했다는 주장이다. 말로의 죽음 관련 의문점, 말로와 셰익스피어 작품 간 문체적 유사성 등이 논거로 제시된다.
- 네빌설: 헨리 네빌이 셰익스피어 작품을 썼다는 주장이다. 네빌의 외교관 경력, 네빌의 생애와 셰익스피어 작품 속 사건 간의 유사성 등이 논거로 제시된다.
각 학설은 나름의 논거를 제시하지만, 비판도 존재한다. 베이컨설은 암호 해독에 의존한다는 비판, 옥스퍼드설은 옥스퍼드 백작 사망(1604년) 이후 발표된 작품에 대한 설명 부족, 말로설은 죽음 위장에 대한 명확한 증거 부족, 네빌설은 비교적 최근에 제기되어 연구 부족 등의 지적을 받는다.
메리 시드니, 제6대 더비 백작 윌리엄 스탠리, 에드워드 다이어 경 등 50명이 넘는 다양한 인물들이 후보로 거론되었으며, 엘리자베스 1세나 제임스 1세까지 후보로 제시되기도 했다.
최근 연구에서는 여러 작가가 셰익스피어 작품에 참여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공저설'''이 유력하게 부상하고 있다.[355][356]
5. 1. 여러 학설의 역사
대부분의 셰익스피어 학자들은 "셰익스피어"라고 불리는 작가가 1564년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에서 태어나 1616년에 사망한 윌리엄 셰익스피어와 동일인이라고 믿는다.[74] 셰익스피어 학자들은 그 이름이 가명이었다거나, 배우가 작가를 위한 위장막이었다는 의심을 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76]문학 학자들은 시인 겸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에게 작품을 귀속시키기 위해 당시 다른 작가들에게 사용한 것과 동일한 역사적 방법론을 사용한다.[77] 셰익스피어의 저작권에 대한 증거가 없다는 주장은 증거의 부재를 부재의 증거로 간주하는 오류, 즉 ''침묵의 논거''라고 말한다.[78] 동시대인들의 명확한 증언과 배우이자 극작가로서 그와 교류했던 사람들과의 개인적인 관계에 대한 강력한 정황 증거는 셰익스피어의 저작을 뒷받침한다.[99]
역사학자이자 고고학자인 조지 벅 경은 1603년부터 1622년까지 궁정 연회원 부국장을, 1610년부터는 국장을 역임했다. 벅은 익명의 희곡인 ''웨이크필드의 핀너 조지'' (1599)의 표지에 셰익스피어와 저작권에 대해 상의했음을 언급했다. 벅은 책과 연극의 저자를 정확하게 밝히는 데에 꼼꼼했으며,[100] 1607년에는 "윌리엄 셰익스피어 선생"이 쓴 ''리어 왕''의 출판을 직접 허가했다.[101]
1602년, 랄프 브룩, 요크 헤럴드는 가터 문장관인 윌리엄 데딕 경이 23명의 부적격자를 젠트리로 승격시켰다고 비난했다.[102] 이들 중 한 명은 셰익스피어의 아버지였는데, 그는 34년 전에 문장을 신청했지만 1596년 아들의 성공을 기다려야 했다.[103] 1605년에 출판되었지만, 2년 전에 완성되었고 1604년 옥스퍼드 백작이 사망하기 전에 쓰여진 그의 ''영국에 관한 유물''에서 윌리엄 캠던은 셰익스피어를 "우리 시대의 가장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들 중 한 명이며, 후세가 정당하게 존경할 수 있는 인물"이라고 칭했다.[106]

셰익스피어의 저작권은 처음으로 조지프 C. 하트의 ''요트의 로맨스''(1848)에서 공개적으로 의문을 제기했다. 하트는 희곡에 여러 작가가 참여했다는 증거가 담겨 있다고 주장했다. 4년 후, 로버트 W. 제임슨 박사는 익명으로 ''챔버스 에든버러 저널''에 "셰익스피어는 누가 썼는가?"를 발표하여 비슷한 견해를 밝혔다. 1856년에는 델리아 베이컨의 서명 없는 기사 "윌리엄 셰익스피어와 그의 희곡; 그들에 관한 질문"이 ''퍼트넘 매거진''에 게재되었다.[153]
1845년 이른 시기에 오하이오에서 태어난 델리아 베이컨은 셰익스피어에게 귀속된 희곡은 실제로 프랜시스 베이컨 경을 중심으로 월터 롤리가 주 작가로서 이끄는 그룹이 썼다는 이론을 세웠다.[154]
프랜시스 베이컨은 1856년 9월에 출판된 윌리엄 헨리 스미스의 팸플릿('셰익스피어의 희곡의 작가는 베이컨 경인가? 엘스미어 경에게 보내는 편지')에 의해 인쇄물에 처음으로 제안된 단일 대안 작가였다.[157] 다음 해 델리아 베이컨은 자신의 이론을 설명하는 책: ''셰익스피어 희곡의 철학 해설''을 출판했다.[158] 10년 후, 나다니엘 홈즈(판사)는 스미스의 이론을 지지하는 600페이지 분량의 책 ''셰익스피어의 저작권''을 출판했고,[159] 그 아이디어는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 1884년까지 이 문제로 250권 이상의 책이 출판되었고, 스미스는 30년의 싸움 끝에 셰익스피어 헤게모니에 대한 전쟁이 베이컨주의자들에 의해 거의 승리했다고 주장했다.[160] 2년 후, 프랜시스 베이컨 협회가 이 이론을 홍보하기 위해 영국에서 설립되었다. 그 협회는 여전히 존속하며 그 사명을 증진하기 위해 ''베이코니아''라는 저널을 발행하고 있다.[161]
셰익스피어의 저작권에 대한 이러한 주장에 학자들이 답했다. 1857년 영국의 비평가 조지 헨리 타운젠드는 대안 저작권 후보의 가장 초기의 옹호자들의 부주의한 학문, 잘못된 전제, 그럴듯한 병렬 구절 및 잘못된 결론을 비판하는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사기꾼이 아니다''를 출판했다.[162]

1853년, 델리아 베이컨은 랄프 왈도 에머슨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이론을 뒷받침할 증거를 찾기 위해 영국으로 여행했다.[163]
암호는 베이컨 학설에서 중요해졌으며, 나중에는 다른 저자 후보들의 옹호에도 중요해졌고, 이그나티우스 L. 도넬리의 『위대한 암호문』(1888)과 같은 책은 이러한 접근 방식을 홍보했다. 오빌 워드 오웬 박사는 셰익스피어와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붙여넣고 두 개의 평행한 바퀴에 장착하여 해독을 위해 돌릴 때 핵심 단어를 가진 페이지를 빠르게 대조할 수 있도록 1,000피트 길이의 캔버스 띠인 "암호 휠"을 제작했다.[166]

1907년, 오웬은 베이컨의 저작권 증거가 담긴 상자가 듀크 오브 보퍼트의 영지인 체스터우 성 근처 와이 강에 묻혀 있다는 지시를 해독했다고 주장했다. 그의 준설 기계는 숨겨진 필사본을 회수하는 데 실패했다.[169] 같은 해 그의 전 조수 엘리자베스 웰스 갤럽은 조지 패비안의 자금 지원을 받아 영국으로 여행을 갔다. 그녀는 이중자 암호를 통해 베이컨의 비밀 필사본이 이즐링턴의 캐논버리 하우스 및 캐논버리 타워의 패널 뒤에 숨겨져 있다는 메시지를 해독했다고 믿었다.[170]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았다. 2년 후, 미국의 유머 작가 마크 트웨인은 『셰익스피어는 죽었는가?』(1909)에서 베이컨을 진정한 저자로 옹호하면서 오랫동안 지녀온 반 스트랫퍼드파의 신념을 공개적으로 밝혔다.[171]
1920년대에 월터 콘래드 아렌스버그는 베이컨이 자신의 암호의 열쇠를 장미십자회에 유증했다고 확신하게 되었다. 그는 이 협회가 여전히 활동 중이며, 그 회원들이 잉글랜드 교회의 후원 아래 서로 소통한다고 생각했다. 1938년 로데릭 이글은 베이컨이 셰익스피어라는 증거를 찾기 위해 에드먼드 스펜서의 무덤을 열도록 허가받았지만, 오래된 뼈만 발견했다.[175]
19세기 말에 다른 후보들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1895년, 변호사였던 윌버 G. 지글러는 소설 ''그것은 말로였다: 3세기 동안의 비밀 이야기''를 출판했는데, 이 소설은 크리스토퍼 말로가 1593년에 죽지 않고 살아남아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썼다는 가설을 제시했다.[176] 독일의 문학 평론가인 칼 블라이프트로이는 1907년에 로저 매너스, 5대 러틀랜드 백작을 지명했다.[178] 존 M. 로버트슨은 1913년에 ''베이컨주의 이단: 반박''을 출판하여 셰익스피어가 전문적인 법률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반박했는데, 이는 엘리자베스 시대와 제임스 시대의 문학에 법률 용어가 만연해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이루어졌다.[181] 1916년, 셰익스피어 사망 300주년에 The Courier-Journal의 오랜 편집자인 헨리 워터슨은 말로주의 이론을 지지하는 신문 1면 특집 기사를 광범위하게 배포했으며, 지글러와 마찬가지로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한 허구의 이야기를 만들었다.[18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및 영문학 권위자인 아벨 르프랑 교수는 희곡과 시에서 얻은 전기적 증거를 토대로 윌리엄 스탠리, 6대 더비 백작을 저자로 주장했다.[183]
J. 토머스 루니의 ''셰익스피어 확인'' (1920)이 등장하면서,[184] 에드워드 드 베어, 17대 옥스퍼드 백작이 가장 인기 있는 대체 저자로 급부상했다.[185] 2년 후, 루니와 그린우드는 저작권 문제를 논의하고 토론하기 위한 국제 단체인 셰익스피어 펠로우십을 설립했으며, 나중에 이 단체는 옥스퍼드주의 이론을 전파하는 것으로 목표를 변경했다.[186] 1923년, 아치 웹스터는 ''The National Review''에 "말로가 그 사람이었는가?"를 출판하여 지글러, 멘덴홀 및 워터슨과 마찬가지로 말로가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썼다고 주장했고, 특히 소네트가 그의 생존에 대한 자전적 기록이라고 주장했다.[187]
1943년에 작가 앨던 브룩스가 그의 저서 ''윌 셰익스피어와 염료공의 손''에서 에드워드 다이어 경을 지지하면서 또 다른 저자 후보가 등장했다.[19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옥스퍼드주의와 반-스트랫퍼드주의는 인기가 감소하고 가시성이 줄어들었다.[192]
옥스퍼드에 대한 관심을 되살리기 위해, 1952년에 도로시와 찰턴 오번 시니어는 1,300페이지 분량의 ''이 잉글랜드의 별''을 출판했고,[194] 이 책은 현재 옥스퍼드주의의 고전 텍스트로 간주된다.[195] 이로 인해 열광이 잠시 일어났고, 1957년 미국에 셰익스피어 옥스퍼드 협회가 설립되었다.[197]
1955년 브로드웨이 홍보 담당자 캘빈 호프만은 ''"셰익스피어"였던 남자의 살인''을 출판하면서 말로주의 이론을 부활시켰다.[198]
일련의 비판적인 학술 서적과 논문들은 반-스트랫퍼드주의의 상당한 성장을 억제했는데, 학자들이 그것의 결과와 방법론을 비학문적이라고 공격했기 때문이다.[200] 미국의 암호학자 윌리엄 F. 프리드먼과 엘리자베스 프리드먼은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숨겨진 암호가 포함되어 있다는 주장에 대한 연구로 폴저 셰익스피어 도서관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 연구는 작품에 암호가 포함되어 있다는 모든 주장을 반증했으며, 요약되어 ''셰익스피어 암호 검토'' (1957)로 출판되었다.
프리랜서 작가이자 1976년 셰익스피어 옥스퍼드 협회 회장으로 선출된 찰턴 오그번 주니어는 즉시 학계 기성 세력을 무시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1984년 오그번은 900페이지 분량의 저서 ''미스터리 윌리엄 셰익스피어: 신화와 현실''을 출판했고, 워터게이트 사건 이후 미국을 휩쓴 음모 분위기 속에서 이 문제를 공정성의 문제로 틀을 잡아 학계를 우회하고 대중에게 직접 호소하기 위해 미디어를 활용했다.[204]
오그번은 학계에 대한 최선의 도전은 법에 호소하는 것이라고 믿었고, 1987년 9월 25일 미국 연방 대법원의 세 명의 판사가 연합 감리교회의 모의 법정에서 옥스퍼드주의자들의 주장을 청취하기 위해 하루 동안 소집되었다. 이 재판은 문학 전문가가 대표되지 않도록 구성되었지만, 입증 책임은 옥스퍼드주의자들에게 있었다. 판사들은 이 사건이 음모론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 음모에 대한 이유는 일관성이 없고 설득력이 없다고 결정했다.[207] 다음 해 영국에서 결정 번복을 위한 재심이 조직되었다. 세 명의 상원의원이 주재하는 법정은 1988년 11월 26일 런던의 이너 템플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서 셰익스피어 학자들이 자신들의 주장을 펼쳤고, 그 결과는 미국 판결을 확정했다.[209]
저작권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논란에 대한 미디어 보도가 증가했으며, 많은 매체에서 옥스퍼드주의 이론에 초점을 맞췄다. 1989년 공영 방송 서비스 텔레비전 쇼 ''프론트라인''은 "셰익스피어 미스터리"를 방송하여 옥스퍼드를 셰익스피어로 해석하는 내용을 미국에서만 350만 명 이상의 시청자에게 노출했다.[210] 1990년대부터 옥스퍼드주의자와 다른 반-스트랫퍼드주의자들은 옥스퍼드와 기타 후보자 및 논쟁에 관한 여러 위키백과 문서를 만드는 것을 포함하여 자신들의 이론을 전파하기 위해 인터넷을 점점 더 많이 이용했고, 2010년의 한 연구에서는 위키백과에서의 그들의 존재가 "표준 자료에서 나타난 모든 것을 부끄럽게 만들 정도"라고 평가했다.[214]
2007년 4월 14일 셰익스피어 저작권 연합은 인터넷 청원인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정체성에 대한 합리적인 의심 선언"을 발표했다. 2007년 4월 22일 ''뉴욕 타임스''는 셰익스피어 저작권 문제에 대해 265명의 미국 셰익스피어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셰익스피어의 저작에 의문을 제기할 만한 타당한 이유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6%가 "그렇다"라고 답했고 11%가 "가능하다"라고 답했다.[216]
2010년 제임스 S. 샤피로는 ''논쟁의 대상: 누가 셰익스피어를 썼는가?''에서 저작권 문제를 조사했다. 샤피로는 옥스퍼드주의 운동의 부활을 워터게이트 스캔들 이후 정부의 음모와 은폐를 믿는 대중의 의지를 높인 문화적 변화와 연결하고,[218] 로버트 소여는 대중 문화에서 반-스트랫퍼드주의적 아이디어의 증가는 9.11 테러 이후 9/11 음모론의 확산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219]
2011년 9월, 존 올로프가 쓰고 롤랜드 에머리히가 감독한 옥스퍼드주의 이론의 "튜더 왕자" 변형을 기반으로 한 장편 영화 ''익명''이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초연되었다.
영화 개봉 두 달 전, 셰익스피어 출생지 신탁은 배우, 학자 및 기타 유명 인사가 녹음한 짧은 오디오 기여가 담긴 웹 사이트 ''셰익스피어와 함께하는 60분: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누구였나?''를 통해 반-스트랫퍼드주의적 주장을 공격하는 캠페인을 시작했고,[221] 이는 셰익스피어 저작권 연합의 반박으로 이어진다.[222] 그 이후, 폴 에드먼슨과 스탠리 웰스는 짧은 전자책 ''셰익스피어의 반격'' (2011)을 썼고,[223] 저명한 학계의 셰익스피어 학자들의 에세이집인 ''의심할 여지 없는 셰익스피어'' (2013)를 편집했다.[224]
셰익스피어 저작에 대한 의문을 처음으로 직접적으로 표명한 것은 18세기에 발표된 두 개의 우화였으며, 이 안에서 셰익스피어에 대한 비주류적인 견해가 언급되었다. 허버트 로렌스 저 ''"The Life and Adventures of Common Sense"''(1769년) 안에서, 셰익스피어는 "교활한 무대 깡패로, 구제 불능의 도둑이다"라고 깎아내려졌다[309]。또한 "영국 해군 장교"를 자칭하는 익명의 인물에 의한 ''"The Story of the Learned Pig"''(1786년)에서는, 셰익스피어는 그저 장식에 불과하며, "빌리라는 이름의 포주"가 진짜 작가라고 적었다.
같은 무렵, 역시 셰익스피어가 정전의 작가라고는 믿을 수 없었던 제임스 윌모트에 의해, 최초의 다른 인물 설이 되는 "프랜시스 베이컨 진실 작가 설"이 형성된다.
1980년대 이후, 가장 인기 있는 후보는, 1920년에 존 토마스 로니가 제안하고, 1984년에 찰턴 오그번도 지지한 제17대 옥스퍼드 백작 에드워드 드 비어이다. 시인이자 극작가이기도 한 크리스토퍼 말로 또한 인기 있는 후보이다. 2005년에 새롭게 후보자 목록에 추가된 서 헨리 네빌을 포함해, 그 외에도 상당수의 인물이 진짜 작가 후보로 제안되었지만, 이 3명만큼 큰 지지를 얻지는 못했다.
thumb의 초상. 클레어 하워드의 저서 "''English Travellers of the Renaissance''"에서. 옥스퍼드 백작은 "셰익스피어"의 필명을 사용한 익명 작가의 유력한 정체 후보이다.]]
셰익스피어가 쓴 것으로 여겨지는 작품을 실제로 집필한 사람은 제17대 옥스퍼드 백작 에드워드 드 비어 (1550년 - 1604년)라고 믿고 연구하는 반 스트랫퍼드파의 분파를 '''옥스퍼드파'''라고 부른다.
5. 2. 에드워드 드 비어 (옥스퍼드 백작)

'''옥스퍼드파'''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실제로 쓴 사람이 제17대 옥스퍼드 백작 에드워드 드 비어(1550년-1604년)라고 믿는 반(反) 스트랫퍼드파의 분파이다. 옥스퍼드 백작은 1980년대 이후 셰익스피어 작품의 진정한 작가로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인물이다.
옥스퍼드 백작 설은 1920년 존 토마스 로니(J. Thomas Looney)가 처음 제안했으며, 1984년 찰턴 오그번(Charlton Ogburn)이 추가 연구를 통해 강화했다. 이 학설은 옥스퍼드 백작의 개인사와 셰익스피어 희곡에 나타나는 사건들의 유사성, 옥스퍼드 백작과 런던 극장 및 동시대 극작가들과의 관계에 근거한다.
옥스퍼드 학파는 동시대인들이 백작의 시와 극작 재능을 칭찬했다는 점, 엘리자베스 1세와 궁정 생활에 가까웠다는 점, 박학다식한 지식과 교양, 백작의 서간과 희곡 간의 어휘, 관용 표현, 사고의 유사성, 백작이 소장했던 성경에 밑줄 친 부분이 셰익스피어 희곡에서 성경이 인용된 부분과 일치한다는 점 등을 증거로 제시한다.[311]
로니의 1920년 저서 ''Shakespeare Identified in Edward de Vere, 17th Earl of Oxford''[312]는 프로이트, 오손 웰스 등 20세기 초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이 책으로 옥스퍼드 백작을 진정한 작가로 보는 견해가 급부상했다.
1984년 찰턴 오그번의 저서 ''The Mysterious William Shakespeare''는 옥스퍼드 백작 설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정통 연구자들의 이론과 방법에 대한 비판도 담았다. 폴저 셰익스피어 도서관(Folger Shakespeare Library)의 연구지 ''Shakespeare Quarterly'' 서평에서, 리치몬드 크링크리(Richmond Crinkley)는 오그번의 연구 이념에 동의하며, "셰익스피어에 대한 의구심은 예전부터 존재했고, 빠르게 퍼져나갔다. 게다가 이러한 의심에는 단순하고 직설적인 그럴듯함이 있었다", "이러한 그럴듯함은 전통적인 학술 연구의 논조와 방법론에 의해 조장되었다"(Vol.36: p.518)고 말했다. 즉, 기존 보수적인 연구자들의 "진지하게 논할 가치가 없다"는 태도가 오히려 의구심을 증폭시켰다는 것이다.
5. 3. 프랜시스 베이컨
옥스퍼드 학파와 더불어 지지자가 많은 반(反) 스트랫퍼드 학파는 프랜시스 베이컨(1561년 - 1626년)을 정전의 진정한 저자로 보는 베이컨 학파이다. 당대 일류 철학자였던 베이컨은 과학자, 궁정 신하, 외교관, 에세이스트, 역사가로서도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다. 또한 정치가로서 영국의 차관보(1607년), 법무 장관(1613년), 추밀원(1616년), 국새 상서(1617년), 대법관(1618년) 등을 역임했다.베이컨 학파가 제시하는 증거는 다음과 같다.
- 저자의 정체를 숨겨야 할 필요가 있었다는 점.
- 《실수 연발》의 초연 당시 상황.
- 《템페스트》의 원본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스트레이치 서한"을 베이컨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입장이었다는 점.
- 베이컨도 알고 있던 희곡 속에 법조 관련 인물에 대한 암시가 있다는 점.
- 베이컨의 출판된 저서와 《관용 표현과 고급어의 보고》(Promus of Formularies and Elegancies, 베이컨의 사적인 메모를 집대성한 것. 이하 《프로무스》로 약칭)에 정전과 유사한 어구가 발견된다는 점.
- 국가 정체사(政體史)를 쓰려는 의도를 베이컨이 품고 있었다는 점.
- 희곡 속에 자전적인 언급이 숨겨져 있다는 점.
- 베이컨은 정부의 암호 작성·해독법에 정통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정전 속에 자신의 이름을 숨길 수 있었다는 점 등.
변호사이자 시인이었던 헤리퍼드의 존 데이비스에게 보낸 1603년의 서한에서 베이컨은 국왕에게 데이비스에게 청탁하며 "모든 숨겨진 시인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시기를..."라고 쓰고, 자신을 익명의 시인이라고 칭했다. 따라서, 동시대의 몇몇 사람들은 베이컨이 비밀리에 쓴 작품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때때로 그것을 암시하고 있다고 베이컨 학파는 주장한다. 예를 들어, 조지프 홀(1574년 - 1656년)과 존 마스턴(1575년 - 1634년)의 풍자 시 응수[318][319]에서 두 사람은 레이비오라는 가명의 시인에 대해 논쟁을 벌였는데, 패러프레이즈되어 인용된 시구의 내용으로 볼 때, 이는 셰익스피어의 장시 《비너스와 아도니스》의 저자를 암시한 것으로 여겨진다. 홀이 이것을 외설적이라고 비난하자, 마스턴은 "자신의 앙심을 벗어나 중도를 걸을 수 없나?"("What, not ''mediocria firma from'' thy spight?")라고 답했는데, 이 "중도를 걸어라" "''mediocria firma from''"는 베이컨 가문의 가훈이다.
1781년, 워릭셔의 성직자이자 학자였던 제임스 윌모트는 셰익스피어의 전기 연구를 했다. 그는 스트랫퍼드를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반경 50마일에 있는 저택의 서고를 샅샅이 뒤지며, 조금이라도 셰익스피어와 관련이 있을 만한 기록이나 문서, 혹은 셰익스피어가 소유했던 장서 등을 찾아다녔다. 그 결과, 윌모트는 셰익스피어에 관한 증거가 너무나 적다는 것에 경악했고, 셰익스피어가 정전의 저자일 리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프랜시스 베이컨의 저서에 조예가 깊었던 윌모트는, 베이컨이야말로 셰익스피어 정전의 진정한 저자에게 적합하다는 견해를 정리하게 되었고, 이 착상을 제임스 카웰에게 털어놓았다. 그 후 1805년에 카웰은 이 학설을 입스위치 철학 협회가 발행하는 신문에 발표했다(이 신문이 재발견된 것은 1932년이다).
베이컨이 셰익스피어의 정전을 썼다는 아이디어는 그 후 한동안 잊혀졌지만, 1856년 윌리엄 헨리 스미스가 엘스미어 경에게 보낸 서한에 의해 다시 떠올랐다. 이는 《베이컨 경이 셰익스피어의 희곡의 저자인가?》[320]라는 16페이지짜리 팸플릿으로, 베이컨이 주고받은 편지 속에 베이컨이야말로 진정한 저자임을 암시하는 증거가 산재해 있다는 내용이었다. 이듬해 스미스와 델리아 베이컨은 베이컨 설을 담은 저서를 각각 발표했다.[321][322]. 델리아 베이컨의 《셰익스피어 극에 나타난 철학》에서 제시된 학설은 정전의 저자는 베이컨 외에 월터 롤리와 에드먼드 스펜서를 포함한 여러 명의 작가로 구성된 그룹이며, 희곡 속에 숨겨진 반 군주제적인 철학을 세상에 널리 퍼뜨림으로써 인류를 압제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이 그들의 목적이었다는 것이다.
1883년, 콘스턴스 메리 포트(1833년 - 1915년)는 베이컨 친필의 메모를 모아 《프로무스》로 편찬하고, 이를 면밀히 조사한 결과, 베이컨이 기록한 아이디어와 비유 표현의 많은 부분이 정전 속에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포트 부인은 베이컨 학파 지지자를 모으기 위해 1885년에 프랜시스 베이컨 협회를 설립했고, 1891년에는 자설을 저서로 출판했다.[323]. 이 책에서 포트는, 베이컨이 오컬트 학자들의 비밀 결사 장미십자회의 창립 멤버였다는 W.F.C. 윈스턴의 학설[324]을 널리 알리고, 베이컨 등의 작가 집단은 비밀리에 정전의 모든 희곡을 포함한 문학 작품과 미술 작품을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19세기 후반의 베이컨 학파의 논쟁은 정전 속에 숨겨진 "암호"를 둘러싼 것이 많았다(자세한 내용은 후술할 "암호" 절 참조). 이그나시우스 도넬리가 저서 《위대한 암호문》("''The Great Cryptogram''", 1888년)에서 베이컨이 진정한 저자임을 나타내는 암호가 정전에 포함되어 있다고 말한 것을 시작으로, 엘리자베스 웰스 갤럽은, 베이컨은 정전의 진정한 저자일 뿐만 아니라, 엘리자베스 여왕의 사생아라는 것이 암호에 의해 기록되어 있다는 설을 발표했다. 이러한 암호는 대체로 제창자 외에는 판독할 수 없는 것이었다.
독일의 수학자 게오르크 칸토어 또한 베이컨 학파의 한 사람이었다. 칸토어는 양극성 장애와 우울증을 앓았고, 이 문제에 대해 연구하던 중 1884년에는 질병의 발작에 시달리면서도, 1896년부터 1897년까지 베이컨 설을 지지하는 2권의 팸플릿을 자비 출판했다. 집합론에 대한 기여를 고려해 볼 때 칸토어가 천재 수학자라는 데 이견의 여지는 없지만, 전문 분야가 아닌 베이컨 설을 선전하고 다녔다(수학과 교수로 초빙된 대학 강단에서조차 베이컨 설을 강의했다)는 점 때문에 주변의 빈축을 샀고, 결국 정신 질환을 앓아 정신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미국의 의사 오빌 오웬은, 역시 독자적인 방법으로 암호를 해독하여, 베이컨의 정전 자필 원고가 체프스토 성 부근의 와이 강 강바닥에 잠들어 있다고 확신하고, 1909년에 발굴 작업을 시작했다. 1924년에 사망할 때까지, 그 누구도 그의 신념을 꺾을 수 없었다.
그 후의 베이컨 학파는 초기 지지자들이 매료되었던 난해한 연구법을 포기했다. 이전의 암호설은 "정체를 알고 싶지 않다면 왜 암호를 남겼는가", "암호를 남긴다면 왜 매우 해독하기 어려운 방법을 사용했는가"라는 의문에 답할 수 없었지만, 베이컨 학파가 새롭게 제시하는 "정체를 숨겨야 했던 이유"는 베이컨의 "대혁신"과 관련이 있다.[325][326]. 대혁신은 여러 학문의 재생을 의미하며, 모든 학문의 모든 대상은 자연을 관찰함으로써 밝혀낼 수 있으며,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인지(人知)의 모든 것을 종합적으로 체계화하려는 거대한 계획이다. 이 체계 속에서도 인간의 심리나 정동을 다룬 도덕학에 관한 부분은, 고대인들이 연극을 정서 교육의 수단으로 사용했던 것처럼[327], 희곡이라는 형식으로 셰익스피어의 이름 아래 세상에 보내졌고, "선한" 정체를 어떻게 세울 수 있는지를 연극을 통해 귀족들에게 호소했던 것이다(예를 들어 《헨리 4세 제1부》에서 할 왕자(웨일즈 공 헨리, 훗날 헨리 5세)와 고등법원장의 관계 등이 거론된다). 베이컨 학파의 주장에 따르면 이 계획을 추진하고 완성하기 위해서는 귀납법(저서 《노붐 오르가눔》에서 그 중요성을 설파하고 있다)을 이용하여 실험 과학적인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새로운 학회가 필요했고, 이를 설립하기 위해서는 정부 고위 관료의 지위에 있어야 한다.[328] 대중 연극 작가라는 하급 직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 계획에 방해가 되므로, 어떻게든 정체를 숨겨야만 했다고 베이컨 학파는 결론짓고 있다.
1595년경 베이컨이 대필 작가를 고용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329], 이 대필 작가가 베이컨의 정체를 숨기고 국왕 극단과 교섭한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국왕 극단의 동료이자 제1 폴리오 편집자인 헤밍스와 콘델은 서문에서 "우리가 받은 원고에는 거의 오자가 없었다"고 적었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셰익스피어는 제대로 읽고 쓰는 것조차 의심받을 정도이므로, 전문 대필 작가의 존재가 가정된다). 베이컨파가 강조하는 바에 따르면, 베이컨이 법무장관에 취임한 1613년은 셰익스피어가 작품 발표를 중단한 시기와 일치한다. 또한, 베이컨은 많은 후보자들 중에서 유일하게 제1 폴리오 간행 당시(1623년)에도 생존해 있었던 인물이며, 이는 베이컨이 정치적으로 실각하여 한가한 시간이 늘어난 탓에 후대를 위해 자신의 저서를 잇달아 공표했던 시기(1621년 - 1626년)와 일치한다.
『헨리 8세』는 1613년 작품이지만, 베이컨의 실각(1621년)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어, 셰익스피어가 1616년에 사망한 지 5년 이상 후에 개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해석이 있다. 이 논의는 등장인물인 추기경 울지의 국새 상서 해임이라는 극중 사건을 바탕으로, 이것이 베이컨 자신의 해임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다고 해석한 것이다. 베이컨은 수뢰 혐의로 실직한 반면, 울지 추기경이 죄를 받게 된 것은 국왕 헨리 8세와 왕비 캐서린의 이혼을 인가하는 것을 늦춰달라고 교황에게 청원했기 때문에 실각한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그러나 울지가 국새를 박탈당하기 직전의 제3막 제2장에서 헨리 8세는 우연히 손에 넣은 울지의 재산 목록에 관심을 보인다.
몇 줄 뒤의 지시문("노퍽 공, 서퍽 공, 서리 백작, 궁내 대신, 다시 울지 추기경에게 등장")에서 등장한 4명의 인물에 의해 울지는 국새를 박탈당한다.
그러나, 사실상 이 사건에 관여한 것은 노퍽 공과 서퍽 공 두 명뿐임에도 불구하고, 셰익스피어는 어째서인지 서리 백작과 궁내 대신을 동시에 등장시키고 있다. 베이컨의 경우에는 국왕 제임스 1세가 이 임무를 맡아달라고 의뢰한 것은 재무 장관, 왕실 집사 장, 궁내 대신, 아룬델 백작 토머스 하워드 이다. 아룬델 백작은 서리 백작이기도 하므로, 셰익스피어가 덧붙인 두 귀족은 베이컨을 몰락시킨 4명 중 2명과 일치한다.
베이컨이 정전의 작가로서 적합한 자질을 갖추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존재한다. 셰익스피어의 풍부한 어휘와 관련된 한 가지 예를 들자면, 최초의 영어 사전을 편찬한 새뮤얼 존슨의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영어 사전은 베이컨의 저서만으로도 편찬이 가능할지도 모른다"[330]。시인 P. B. 셸리는 베이컨의 꾸밈없는 정중한 문체에 대해 증언하고 있다.
벤 존슨은 퍼스트 폴리오에서 셰익스피어에게 바치는 헌사에서 "저 오만한 그리스나 거만한 로마가 만들어낸 모든 작품(Of all, that insolent Greece, or haughtie Rome...)"보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높이 평가했지만, 후년의 저작에서 존슨은 베이컨을 칭찬하는데 같은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베이컨이 국가의 역사를 쓰는 것에 관심을 가졌다는 것은, 1621년의 저서 ''"헨리 7세 통치 역사"''나 1608년의 논문 ''"엘리자베스 기념"''、그레이트 브리튼의 역사를 쓰기 위한 재정 지원을 구한 1610년의 제임스 국왕 앞으로 보낸 서한 등에서도 분명하다[333]。
베이컨과 셰익스피어는 모두 1377년부터 1603년까지의 군주와 그 치세를 (베이컨은 역사학으로서, 셰익스피어는 사극으로서) 서로 역사관을 겹치지 않고 그려냈다. 그리고 1623년 베이컨은 찰스 왕태자(후의 국왕 찰스 1세)에게 헨리 8세에 관한 논문 집필 의뢰를 거절한다는 답장을 보냈다(셰익스피어는 1613년 시점에서 이미 『헨리 8세』를 탈고했다)[333]。
그레이 법학원(Gray's Inn)에서 전통적으로 개최되던 크리스마스 파티에서는 무용과 연회 외에도 여흥으로 연극과 가면극을 상연하기로 되어 있었다. 1594년부터 이듬해 겨울에 걸쳐 개최된 축제에서는 상연된 아마추어 연극의 모든 내용이 기록으로 남아 있다[334]。이 기록 문헌 『그레이 법학원록』(''Gesta Grayorum'')에서 집필자인 데즈먼드 브랜드는 이것들은 모두 상류 계급의 인간이 몸에 익히는 댄스, 음악, 연설, 연기력 등의 훈련을 위한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다[335]。제임스 스페딩은 이 기사의 집필에 베이컨이 관여했다고 생각한다[336]。
『그레이 법학원록』은 1688년에 공표된 68페이지의 팸플릿이다[337]。여기에는 1594년12월 28일(어린이 날. 예수 그리스도 탄생 직후 이 날 헤로데 대왕의 명령으로 베들레헴의 유아가 대량 학살되었다)에 "플라우투스의 『메나에크미』와 매우 흡사한 『실수 연발』이라는 작품이 상연되었다"는 기술이 있으며, 이것이 기록에 남아 있는 한 『실수 연발』의 첫 상연이다(실제로 이 작품은 거의 동시기에 영문 번역되어 상연된 『메나에크미』를 원본으로 하여 쓰여졌다). 문제는 무대에 섰던 사람이 누구이든 셰익스피어와 그의 극단이 아니라는 증거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셰익스피어가 소속된 궁내 대신 극단은 같은 날 그리니치에서 여왕을 위한 상연을 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1595년3월 15일자 문서가 궁정에 남아 있다[338]。E・K・체임버스는 궁정에서의 상연은 항상 야간에 개최되어 오후 10시경에 시작하여 다음날 오후 1시까지 계속되었다고 하며, 궁내 대신 극단이 양쪽 공연에 출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한다[339]。 게다가 실행 위원회에 의한 모든 출납을 기록한 그레이 법학원의 장부에서는 이 희곡의 상연에 대해 작가나 극단에 보수를 지급한 흔적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340]。베이컨파 연구자들의 생각에 따르면, 이것은 『실수 연발』이 이 축제를 위한 행사로서 법학원 멤버들에 의해 집필, 상연되었기 때문이다. 이 논쟁의 난점은 『법학원록』의 기술에서 출연자들을 "본업의 극단과 일반 사람들"이라고 언급하고 있다는 점[341]이며, 이는 프로 극단을 가리키는 것은 있어도 법학도들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그러나 『법학원록』의 유쾌한 어조와, "마법사인지 마술사인지"가 "난장판 희극을 엉망으로 만들었다"고 비난받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본업의 극단"은 법학원의 학생 극단을 농담 삼아 표현한 것이라고 베이컨파 연구자들은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법학원은 축제 전후에 극단을 운영하고 있었고, 1595년 2월 11일의 출납 장부에도 "100마르크의 지출: 이 참회절(재의 수요일 전 3일)에서의 여왕 폐하 어전 운동 경기회와 공연에 대한 보상으로"라는 기록이 있다[340]。이 배우들이 베이컨의 지도하에 있었다는 증거가 있다. 버리 남작 윌리엄 세실에게 보낸 1598년 이전의 서한에서 베이컨은 "4개 법학원(그레이 법학원 외에 미들 템플, 이너 템플, 링컨 법학원의 4개 법학원이 존재했다)이 주최하는 가면극에 참가할 수 없어서 유감입니다…(중략)…그레이 법학원에서 12명이 참가하여 가면극을 할 예정입니다"라고 쓰고 있다[342]。 또한 1613년 화이트홀에서 상연된 가면극에서 프랜시스 보몬트가 쓴 헌사에서 베이컨은 그레이 법학원과 이너 템플 양 법학원의 상연의 "주요 입안자"라고 불리고 있다[343]。 또한 베이컨은 1594-95년 축제보다 전에 회계 계를 맡고 있기도 했다[340]。
한편, 『실수 연발』을 상연한 것은 역시 궁내 대신 극단이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연구자들은, 그 거처에 관한 모순은 궁정의 기록 오류라고 해석하고 있다. W・W・그레그는 다음과 같은 설을 제시했다. "궁정 재무관의 기록에 따르면, 궁내 대신 극단은 12월 26일과 12월 28일 어전 공연의 보수를 받았다. 그러나 이 기록에서는 해군 대신 극단에 대해서도 12월 28일에 지급이 이루어졌다. 어전 공연이 하룻밤에 두 번 열린 예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재무관이 27일이라고 써야 할 것을 28일로 잘못 기재했다고 생각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344]。

이제 신앙에 가깝다고도 할 수 있는 난해한 해석을 하는 연구자들은 셰익스피어 정전 속에 암호 형태로 숨겨진 비밀 메시지를 찾아내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그들이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암호의 대부분은 베이컨 설을 뒷받침하는 것이며, 이는 베이컨이 암호 해독법에 정통했다는 사실에 부합하는 것이다.
미국의 연방 의회 의원이자 SF 작가, 그리고 아틀란티스 대륙 이론가인 이그나시우스 도넬리는 저서 『위대한 암호문: 셰익스피어 작품이라고 칭해지는 희곡에 포함된 프랜시스 베이컨의 암호』(1888년)와 그 속편인 『희곡 및 묘비의 암호』(1899년)에서 셰익스피어의 희곡 속에 작가가 프랜시스 베이컨임을 나타내는 암호화된 메시지를 발견했다고 썼지만, 이 암호는 도넬리만 이해할 수 있는 것이었다.
19세기의 셰익스피어 다른 저자 설 논쟁의 많은 부분이 셰익스피어 작품 속에 숨겨진 진정한 작가를 밝히는 암호의 발견과 해독을 위해 할애되었다. 이 시기에 연구된 암호는 주로 크립토그램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문장 속 단어를 구성하는 알파벳을, 몇 글자씩 앞뒤 알파벳으로 치환하여 만들어진다(예를 들어,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등장하는 컴퓨터HAL 9000의 이름은, IBM의 3글자를, I 앞의 H, B 앞의 A, M 앞의 L로 치환한 것이라는 뿌리 깊은 풍설 등이 있다). 또한 엘리자베스 웰스 갤럽은, 베이컨에 의한 "바이리터럴 암호"가 퍼스트 폴리오에 포함되어 있다는 견해를 발표했다. 바이리터럴(이중 문자) 암호는 암호화 방법으로 2개의 서체를 사용한 것으로, 베이컨이 1605년에 저서 『학문의 진보』에서 기록한 "a와 b라는 두 개의 기호를 5개 조합함으로써 암호를 만들 수 있다"(2진법으로 5자리가 있으면 25 = 32가지 조합이 가능하므로, 그 중 26개 조로 알파벳 모두를 대응시킬 수 있다)라는 기술에 기반한 것이다[370]。이 암호는 "''g''re''at'' ''c''r''yp''t''og''r''a''m"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기울임꼴 문자를 0, 굵은 글자를 1로 치환하면 이 문자열은 "011000100100101"가 된다. 이를 5자씩 나누면 "01100 / 01001 / 00101"가 되며, 2진법의 수로 간주하여 10진법으로 치환하면 "12 / 9 / 5"이다. 알파벳으로 12번째, 9번째, 5번째 문자로 변환하면 "lie"라는 단어가 나타난다는 것이 이 암호법이다. 갤럽 부인은 정전 속 이러한 암호를 조사한 결과, 베이컨은 셰익스피어라고 여겨지는 작품의 진정한 저자이며, 게다가 베이컨과 에식스 백작은 엘리자베스 여왕과 레스터 백작더들리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라는 설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두 개의 서체"라는 것을 판별할 수 있는 것은 역시 갤럽 부인뿐이었다(애초에 퍼스트 폴리오에는 돌려쓰는 활자가 3종류 이상 사용되었다).
작품 속 암호 메시지(일지도 모르는 것)로 가장 유명한 예는, 『사랑의 헛수고』에 등장하는 "Honorificabilitudinitatibus|호노리피카빌리투디니타티부스영어"라는 불가사의한 단어이다. 이것이 다른 많은 "발견"된 암호 중에서도 특히 중요시되는 것은, 이 단어가 라틴어의 '''"HI LUDI F.BACONIS NATI TUITI ORBI"'''("이 희곡들은 F. 베이컨이 만들어 세상에 남긴 것이다")라는 문장의 애너그램이 된다는 것이 에드윈 더닝-로렌스에 의해 밝혀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컴퓨터가 없는 시대의 애너그램 연구는, 문자를 배열하는 순서가 해독자의 임의에 맡겨져 있다(예를 들어 B, A, C, O, N의 순서로 골라, 남은 문자로 앞뒤를 맞춘다)는 점, 해독자가 원하는 대로 답에 도달하기 쉽다는 점, 해답은 모든 가능한 배열 중 하나일 뿐이라는 점을 간과하기 쉽다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사실, 이 단어는 '''"UBI ITALICUS IBI DANTI HONOR FIT"'''(이탈리아인이 있으면, 명예는 단테의 것) 등과도 배열할 수 있으며, 이윽고 '''"ABI INIUIT F.BACON HISTRIO LUDIT"'''(베이컨이여 가라. 저 배우가 등장해서 연기 중이다)라는 별해를 제시받아 더닝-로렌스는 자설을 철회했다. 애초에 이 단어는 셰익스피어의 조어가 아니라, 셰익스피어 이전부터 아주 드물게 다른 작가에 의해서도 사용되었기 때문에, 베이컨 설을 강력하게 지지하는 것이 될 수 없다. ''Honorificabilitudo''라는 단어가 1187년에 쓰여진 라틴어 헌장에 있으며, 1300년에는 ''honorificabilitudinitas''라는 단어가 나타나고 있다(모두 의미는 "체면", "존경할 만한 것" 등). 단테의 『구어론』(1304년 - 1307년)에도, 긴 단어의 예로 ''honorificabilitudinitate''가 언급되어 있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셰익스피어와 동시대인(1599년)에는 토머스 내시가 같은 ''Honorificabilitudinitatibus''의 어형으로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스코틀랜드어로 쓰여진 작자 미상의 서적 ''"The Complaynt of Scotland"''(1549년)나, 존 마스턴의 희곡 ''"The Dutch Courtesan"''(1605년)에서도 사용되고 있지만, 이 작품들을 베이컨이 썼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없다.
『소네트』에도 비슷한 암호가 산견된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셰익스피어 자신을 나타내는 것[371]과 말로를 나타내는 것[372] 모두 발표되었다.
이러한 논쟁은, 정말로 "숨겨진 메시지"라는 것이 의도적으로 작품 속에 짜 넣어진 것인지, 그렇다고 해도 셰익스피어가 쓴 오리지널 텍스트에 교정자의 손길이 더해졌을 가능성을 일절 배제해도 되는지, 애초에 그러한 암호를 숨길 필요가 있었는지 등의 의문을 제쳐놓은 것이다.
5. 4. 크리스토퍼 말로
크리스토퍼 말로(1564년 - 1593년)는 엘리자베스 시대 연극의 기초를 다진 극작가 중 한 명으로, 셰익스피어의 진정한 작가로 여겨지기도 한다. 말로가 옥스퍼드 백작이나 프랜시스 베이컨과 다른 점은 셰익스피어와 동갑임에도 먼저 인기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했고, 셰익스피어가 극작을 시작한 1593년에 이미 사망했다는 것이다. 말로파는 이 죽음이 위장되었으며, 살아남은 말로가 "셰익스피어"라는 이름으로 극작을 계속했다고 주장한다.[347]마로 설은 1895년경 부상하여 20세기 초 아치 웹스터 등에 의해 널리 퍼졌다. 캘빈 호프만은 저서 ''"셰익스피어였던 남자의 살인"''(1955년)에서 마로우를 진정한 저자로 보는 상세한 이론을 제시했다. 마이클 루보의 다큐멘터리 영화 ''"Much Ado About Something"''(2001년)에서도 이 가능성을 검증한다.[348]
말로의 죽음에 대한 말로파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 1593년 선술집에서 인그램 프레이저와 싸우다 칼에 찔려 사망했다는 기록은 위장이다.[349]
- 무신론자 혐의로 체포, 사형될 가능성이 커지자 후원자 토머스 월싱엄이 위장 살인을 연출했다.[349]
- 이탈리아로 도망친 말로는 '셰익스피어'라는 필명으로 집필 활동을 계속했다.[349]
말로파가 제시하는 정황 증거는 다음과 같다.
- 살해범 프레이저가 토머스 월싱엄의 사용인이다.
- 토머스 월싱엄은 프랜시스 월싱엄 경의 사촌으로 정보 기관과 연계되었다.
- 말로 주변에 무대 관계자들이 많아 위장 살인 연출이 쉬웠다.
- 말로가 학생 시절부터 스파이로 활동했다는 소문도 있어, 월싱엄의 입막음 암살설도 있다.[350]
말로 생존 증거로 제시되는 문서는 다음과 같다.
- 1599년과 1602년 스페인 바야돌리드에서 '크리스토퍼 말로' 체포 기록이 담긴 외교 문서.
- 1604년 게이트하우스 감옥에 잠시 구금되었다가 솔즈베리 백작 로버트 세실에게 보석금을 받고 풀려난 '존 매튜'가 가명을 사용한 말로라는 주장.[351][352]
정통파 연구자들은 말로라는 이름이 흔하고, 문서 속 인물이 말로 본인인지 확인할 수 없다고 반박한다.
말로파는 셰익스피어와 말로가 동갑이고, 셰익스피어의 공식 경력 시작이 말로 사망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셰익스피어의 처녀 출판 『비너스와 아도니스』는 1593년 4월 4일 간행 허가를 받았고, 초판본에는 "William Shakespeare." 서명과 함께 사우샘프턴 백작에게 헌정되었다. 배우로서 셰익스피어 기록은 1594년 12월부터 시작된다.
말로파 연구자들은 계량 문헌학적 관점에서 말로와 셰익스피어 작품을 비교했다.
정통파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이 반박한다.
- 셰익스피어가 인기 있던 말로의 영향을 받아 유사점이 나타난 것이다.
- 『베니스의 상인』 등은 말로의 『몰타의 유대인』(1589년?)을 토대로 해 유사점이 당연하다.
- 두 작품은 어휘는 비슷해도 문체, 완성도가 다르다.
- 셰익스피어의 인물 형성, 운율 사용, 희극 작가로서의 재능은 말로 작품에서 찾을 수 없다.
말로파는 문체와 주제 불일치에 대해 말로가 야심 찬 작가였고, 대담한 문체 실험을 했으며, 당국 눈을 속이기 위해 문체를 바꿀 필요가 있었다고 설명한다.
5. 5. 헨리 네빌
21세기에 들어 셰익스피어의 먼 친척이자 동시대 외교관이었던 헨리 네빌이 새로운 후보로 등장했다. 포츠머스 대학교의 브렌다 제임스와 웨일스 대학교 아베리스트위스교의 윌리엄 루빈슈타인의 공저 ''"The Truth Will Out"''(2005년)에서 제창된 학설이다. 이들은 네빌의 경력을 조사하여, 많은 희곡이 쓰여진 시기에 작품 속 무대가 되는 장소를 네빌이 방문했다는 점과 네빌의 생애와 작품 속 사건에 유사성이 보인다는 점 등을 근거로 제시한다.[353]네빌은 1599년에 프랑스 대사를 역임했기 때문에, 같은 시기에 쓰여진 『헨리 5세』에 프랑스어가 자주 등장하는 사실과 부합한다. 외교관이었던 네빌은 셰익스피어가 갖추지 못했을 외국어나 궁정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또한 네빌은 빈(『뜻대로 하세요』), 베로나(『로미오와 줄리엣』, 『베로나의 두 신사』), 덴마크(『햄릿』) 등 셰익스피어 작품의 무대가 된 여러 국가를 공무로 방문했다.
제임스와 루빈슈타인은 셰익스피어의 사극이 은밀하게 전 왕조인 플랜태저넷 왕가를 지지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네빌은 1601년에 제2대 에식스 백작 로버트 데버루가 계획한 쿠데타에 연루되어 런던 탑에 유폐되었는데, 이는 작품 스타일이 무거워져 간 시기와 일치하며, 당시 현 체제인 튜더 왕조에 충실하지 않은 점도 설명된다. 네빌은 플랜태저넷 왕가의 혈통을 이어받았고, 정치범이었기 때문에 저자로서 이름을 낼 수 없게 되자, 먼 친척인 셰익스피어의 이름을 빌려 작품을 발표했다는 것이다.[353]
제임스와 루빈슈타인은 런던 탑 유폐 중에 네빌이 기록한 문서의 내용이 『헨리 8세』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계량 문헌학에 의한 양자의 문체 비교로부터 셰익스피어와 네빌의 문체, 어휘, 특수어 사용 빈도 등에서 유사성이 보인다고 주장한다.
5. 6. 기타 학설
메리 시드니(Mary Sidney)는 작가, 번역가이자 문학 후원자로 알려져 있었으며, 셰익스피어 작품의 진정한 작가 후보 중 한 명으로 거론된다. 윌리엄 스탠리(William Stanley), 서 에드워드 다이어(:en:Edward Dyer) 역시 후보로 거론되었다. 제5대 러틀랜드 백작 로저 매너스(Roger Manners)의 경우, 필립 시드니(Philip Sidney)의 딸인 부인 엘리자베스 시드니나 백모인 펨브로크 백작부인 메리 시드니와의 공저설도 제기되었다."평민이 이 정도로 훌륭한 작품을 쓸 수 있었을까"라는 의문 때문에, 후보로 거론된 인물들은 대부분 귀족이다. 윌리엄 누젠트(William Nugent)와 같은 특이한 경우를 포함하여 50명이 넘는 인물이 후보로 거론되었다. 말콤 X가 주장한 제임스 1세 설, 퍼스트 폴리오에 게재된 셰익스피어 초상화와 닮았다는 이유만으로 제시된 엘리자베스 1세 설[354]도 있다.
2016년 10월 25일 현재 연구에서는 '''공저설'''이 가장 유력하며,[355][356] 전집에도 그 부기가 붙는다.
6. 반 스트랫퍼드파 분파 간의 논점
반(反) 스트랫퍼드파는 여러 분파로 나뉘며, 이들 간에도 논쟁거리가 되는 증거들이 많다. 이는 특정 후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스트랫퍼드의 셰익스피어뿐만 아니라 다른 후보까지 부정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6. 1. 1604년 문제
1593년부터 1603년까지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적어도 1년에 1편, 많을 때는 4편의 비율로 출판되었지만, 1604년부터는 출판이 중단되었다. 초기 사극의 재판도 1604년을 기점으로 변화가 나타난다. 1593년부터 1604년까지는 셰익스피어 작품의 해적판이 많이 출판된 후 증보 또는 개정된 공식 재판본이 간행되었으나, 1604년 이후에는 이러한 증보 및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357]옥스퍼드 학파는 이러한 현상을 셰익스피어의 작품 활동이 1604년에 중단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1604년은 옥스퍼드 백작이 사망한 해이기도 하다. 옥스퍼드 학파는 1609년에 출판된 셰익스피어 소네트의 헌사에 포함된 "우리의 영원한 시인"이라는 구절이, 실제 시인이 그 당시에 이미 사망했음을 암시한다고 본다.[70] (자세한 내용은 소네트집 참조)
또한, 셰익스피어의 작품에서 과학적 지식에 대한 언급이 1604년을 기점으로 달라진다는 점도 지적된다. 16세기 말까지 셰익스피어는 작품에 최신 과학적 발견과 사건을 담아왔지만, 1604년 이후에는 초신성(SN 1604)이나 요하네스 케플러의 행성 궤도에 관한 연구와 같은 중요한 과학적 사건에 대해 침묵한다.[357]
스트랫퍼드 학파는 셰익스피어 작품의 집필 연대가 모두 추측이며, 1604년 이후에도 작품 활동을 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1590년 이후 매년 최소 1편의 작품을 집필했던 셰익스피어의 서지에서 1604년과 1605년이 공백으로 남아 있다는 점은 스트랫퍼드 학파 연구자들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6. 1. 1. 소네트집
옥스퍼드 이론은 1609년에 출판된 셰익스피어 소네트 헌사에 포함된 "우리의 영원한 시인"(사망한 시인이 불멸의 문학적 명성을 얻었다는 일반적인 찬사)이라는 구절이 실제 시인이 그 당시 사망했음을 알리는 신호라고 생각한다.[70] 옥스퍼드는 5년 전인 1604년에 사망했다.[70]
옥스퍼드 학파는 작가가 늦어도 1609년까지는 죽었을 것이라고 주장하는데, 1609년은 '''셰익스피어'''의 『소네트집』 출판 연도이며, 서두에 실린 헌사가 그 증거이다. 이 헌사는 저자가 아닌 "T.T."라는 이니셜을 가진 인물이 작성했으며, 출판인 토머스 소프(Thomas Thorpe)라는 데는 거의 모든 연구자가 동의하지만, 문제는 ''"'our ever-living Poet'"''라는 표현이다. 간행자가 저자인 "우리 불멸의 시인"에게 바치는 의미이지만, 이 "불멸의"라는 단어는 생존한 인물에게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고, 보통은 죽은 자에게만 사용되는 단어이며,[358] 1616년까지 생존한 스트랫퍼드의 셰익스피어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스트랫퍼드 학파 연구자는 그보다 더 이른 시기, 작가가 (그 정체가 누구든) 아직 살아 있었음을 옥스퍼드 학파도 인정할 수밖에 없는 1598년에, 명백히 셰익스피어를 언급한 시의 구절, "영원히 사세요. 적어도 명예 속에서 영원히. 육신은 죽을 수 있지만, 명예는 결코 죽지 않는다"를 인용하며 반박한다.[359]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유사한 표현일 뿐이며, 스트랫퍼드 학파 사람들은 "불멸의"라는 단어가 생존한 인물에게 사용된 사례를 발견하지 못했다.
6. 1. 2. 템페스트
The Tempest|더 템페스트영어 (템페스트)의 집필 시기는 셰익스피어 저자 논쟁에서 중요한 쟁점 중 하나이다. 주류 연구자들은 『템페스트』가 1610년에 발생한 난파 사건 기록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본다. 1609년, 미국 식민지로 향하던 영국 선박 Sea Venture호가 폭풍을 만나 난파되어 소식이 끊겼으나, 이듬해 승무원들이 무사히 귀환하여 큰 화제가 되었다. 생존자 윌리엄 스트레이치(William Strachey)의 서한(1625년 출판) 사본과 실베스터 조던(Sylvester Jourdan)의 『버뮤다 섬 발견기』(''"A Discovery of the Bermudas"'' 통칭 "버뮤다 팜플렛")가 1610년에 널리 유통되었기 때문에, 셰익스피어가 이들을 참조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360]그러나 문학자 케네스 뮤어(Kenneth Muir)는 버뮤다 팜플렛의 영향이 과장되었다고 지적하며,[361] 스트레이치의 보고서보다 먼저 쓰여진 성 바울의 몰타 난파 보고서와 『템페스트』 사이의 유사점을 제시했다.[362]
옥스퍼드 학파는 『템페스트』의 단어와 이미지가 리처드 에덴(Richard Eden)의 ''"The Decades of the New Worlde Or West India"'' (1555년)와 에라스무스의 ''"Naufragium"''(''"The Shipwreck"'' 1523년)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이전부터 『템페스트』에 영향을 미쳤을 자료로 알려져 있었으나,[363] 옥스퍼드 학파는 이것들이 원본이었다는 것을 증명하려 한다.[364]
6. 1. 3. 헨리 8세
『헨리 8세』는 1613년 작품이지만, 프랜시스 베이컨의 실각(1621년)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어, 셰익스피어가 1616년에 사망한 지 5년 이상 후에 개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해석이 있다. 이 논의는 등장인물인 추기경 울지의 국새 상서 해임이라는 극중 사건을 바탕으로, 이것이 베이컨 자신의 해임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다고 해석한 것이다.[73] 베이컨은 수뢰 혐의로 실직한 반면, 울지 추기경은 국왕 헨리 8세와 왕비 캐서린의 이혼을 인가하는 것을 늦춰달라고 교황에게 청원했기 때문에 실각했다. 그러나 울지가 국새를 박탈당하기 직전의 제3막 제2장에서 헨리 8세는 우연히 손에 넣은 울지의 재산 목록에 관심을 보인다.몇 줄 뒤의 지시문("노퍽 공, 서퍽 공, 서리 백작, 궁내 대신, 다시 울지 추기경에게 등장")에서 등장한 4명의 인물에 의해 울지는 국새를 박탈당한다. 그러나, 사실상 이 사건에 관여한 것은 노퍽 공과 서퍽 공 두 명뿐임에도 불구하고, 셰익스피어는 서리 백작과 궁내 대신을 동시에 등장시키고 있다. 베이컨의 경우 국왕 제임스 1세가 이 임무를 맡긴 것은 재무 장관, 왕실 집사 장, 궁내 대신, 아룬델 백작 토머스 하워드(Thomas Howard)였다. 아룬델 백작은 서리 백작이기도 하므로, 셰익스피어가 덧붙인 두 귀족은 베이컨을 몰락시킨 4명 중 2명과 일치한다.[73]
스트랫퍼드 학파 연구자들은 『헨리 8세』가 1612년부터 1613년의 작품이라는 것이 통념이다. 1612년에 엘리자베스 공주의 결혼식을 위해 쓰인 것으로 보이며, 이듬해 1613년 공연 시 제3막 4장에서 축포를 쏘았는데, 튀어 오른 화약에서 불이 붙어 글로브 극장이 전소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옥스퍼드 학파 연구자들은 그로부터 50년 후인 1663년에 쓰인 새뮤얼 피프스의 일기에 『헨리 8세』를 "새로운" 작품이라고 칭하는 구절을 찾아냈다.[365] 즉, 오래전에 공연된 작품임을 모르는 사람이 많았던 것이다. 다시 말해, 1612년보다 전(구체적으로는 1604년 이전)에 쓰여진 작품일 가능성도 없는 것은 아니다. 18세기부터 19세기의 새뮤얼 존슨, 루이스 시오볼드(Lewis Theobald), 조지 스티븐스(George Steevens), 에드먼드 말론(Edmond Malone), 제임스 할리웰-필립스(James Halliwell-Phillipps) 등 대다수 연구자들은 모두 『헨리 8세』의 집필 연대를 1604년 이전으로 보고 있다.[357]
6. 1. 4. 맥베스
1605년 11월에 드러난 화약 음모 사건[366][367]의 여파 속에서 맥베스가 쓰여졌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스트랫퍼드 학파에서 제기되었다. 특히, 제3막에 나오는 문지기의 대사에서 "equivocation"(이중 언어)이 이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된 헨리 가넷(Henry Garnet)을 가리킬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지적된다[368].하지만 옥스퍼드 학파는 "equivocation"이 엘리자베스 1세의 재상 윌리엄 세실이 1583년에 쓴 정치 논문, 또는 1584년 스페인의 고위 성직자 마르틴 데 아스필쿠에타가 쓰고 유럽 전역으로 퍼져 1590년대 영국에 유입된 강령에서 다루어졌던 주제라고 반박한다[357]. 뉴 케임브리지 셰익스피어 전집의 A. R. 브라운뮬러(A. R. Braunmuller)도 1605년 이후 작품이라고 단정하기에는 근거가 희박하며, 늦어도 1603년 이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한다.
또한 옥스퍼드 학파는 왕의 살해와 왕위 찬탈을 주제로 하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맥베스』가 제임스 1세의 즉위(1603년)를 축하하기 위해 쓰여졌다는 정설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한다.
6. 1. 5. 기타 후기 작품
옥스퍼드 백작 이론은 1609년에 출판된 셰익스피어 소네트의 헌사에 포함된 "우리의 영원한 시인"이라는 구절이, 실제 시인이 그 당시 사망했음을 알리는 신호라고 생각한다. 옥스퍼드 백작은 5년 전인 1604년에 사망했다.[70]마크 앤더슨은 셰익스피어 작품의 각 집필 연대를 조사하고, 작가가 1604년에 수수께끼의 휴필을 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1593년부터 1603년까지 셰익스피어 작품은 적어도 1년에 1편, 많을 때는 4편의 비율로 출판되었지만, 1604년에 들어서자 셰익스피어는 돌연 침묵기에 들어가 약 5년간 신작 발표가 끊겼다. 초기 사극의 재판도 1604년을 하나의 전환점으로 삼고 있다. 1593년부터 1604년까지 셰익스피어 작품의 해적판이 많이 출판되자, 그 직후에 증보 또는 개정된 공식 재판본이 간행되는 숨바꼭질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1604년 이후에는 이러한 증보와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점에서도 셰익스피어의 작업이 1604년에 중단된 것을 알 수 있다.[357]
W. R. 체트우드는 1756년 저서에서 상연 기록에 근거하여 "1603년 말 또는 이듬해 초에 셰익스피어는 작가로서도 배우로서도 무대와 작별했다"고 결론지었다. 1874년 독일 문학사가 칼 엘체는 셰익스피어의 최후기 작품으로 여겨지는 『템페스트』와 『헨리 8세』는 모두 1603년부터 1604년에 걸쳐 쓰인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18세기부터 19세기의 많은 연구자들이 『헨리 8세』의 집필 연대를 1604년 이전으로 보고 있다.[357]
다만, 셰익스피어 작품의 집필 연대는 모두 추측이며, 완전히 연대가 특정된 작품은 극히 적다. 1969년과 1977년에 간행된 펠리컨 총서판 셰익스피어 전집의 편집 책임자인 하버드 대학교 교수 알프레드 하비지는, 셰익스피어의 후기 작품으로 여겨져 온 『맥베스』, 『아테네의 타이먼』, 『페리클레스』, 『리어왕』,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의 집필 연대는 모두 1604년을 넘지 않는다는 견해를 제시했다.[369]
옥스퍼드 학파 연구자 중에도 『헨리 8세』, 『아테네의 타이먼』, 『페리클레스』와 같은 후기 작품의 추정 집필 연대는 종래의 견해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는 자가 있다. 이들 희곡은 셰익스피어의 미완성 작품이며, 1604년에 작가가 사망한 후에 다른 인물이 보필하여 완성했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이들 작품이 셰익스피어 단독의 저작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손길이 들어갔다는 점(『헨리 8세』는 존 플레처, 『아테네의 타이먼』은 토머스 미들턴, 『페리클레스』는 조지 윌킨스에 의한 것)은 주류 학파 연구자 사이에서도 공통된 견해이다.
6. 2. 암호
오빌 워드 오웬은 프랜시스 베이컨이 셰익스피어 작품에 숨겨두었다고 믿는 암호를 찾기 위해 "암호 휠"을 만들었다.[166] 1853년, 델리아 베이컨은 셰익스피어의 스트랫퍼드 묘비 아래에 베이컨이 작품의 저자라는 증거가 되는 문서가 있다는 암호화된 지시를 베이컨의 편지에서 발견했다고 믿었지만, 묘비를 들추지 못하고 떠났다.[165]암호는 베이컨 학설에서 중요해졌고, 이그나티우스 L. 도넬리의 『위대한 암호문』(1888)과 같은 책이 이러한 접근 방식을 홍보했다. 오웬은 셰익스피어와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1,000피트 길이의 캔버스 띠에 붙여 돌리면서 해독하는 "암호 휠"을 제작했다.[166] 그는 베이컨이 셰익스피어 희곡에 담은 자서전에서 자신이 엘리자베스 여왕의 사생아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166]
1916년 시카고에서 열린 실제 재판에서, 리처드 터틸 판사는 베이컨 옹호자 조지 패비안의 분석가들이 확인한 암호가 프랜시스 베이컨이 셰익스피어 전집의 저자임을 증명한다고 판결하고 패비안에게 5000USD의 손해 배상을 판결했다. 그러나 소란이 일자 판결은 취소되었고, 다른 판사가 이 사건을 기각했다.[168]
1907년, 오웬은 베이컨의 저작권 증거가 담긴 상자가 와이 강에 묻혀 있다는 지시를 해독했다고 주장했지만, 준설 기계는 필사본을 회수하지 못했다.[169] 같은 해, 엘리자베스 웰스 갤럽은 이중자 암호를 통해 베이컨의 비밀 필사본이 캐논버리 하우스 및 캐논버리 타워에 숨겨져 있다는 메시지를 해독했다고 믿었지만,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았다.[170] 1909년, 마크 트웨인은 『셰익스피어는 죽었는가?』에서 베이컨을 진정한 저자로 옹호하는 자신의 신념을 밝혔다.[171]
1920년대에 월터 콘래드 아렌스버그는 베이컨이 자신의 암호의 열쇠를 장미십자회에 유증했다고 확신했다. 그는 베이컨과 그의 어머니가 셰익스피어 희곡 원고와 함께 리치필드 챕터 하우스에 비밀리에 묻혔다고 추론했지만, 리치필드 교구장에게 발굴 허가를 받지 못했다.[172][173] 마리아 바우어는 베이컨의 필사본이 버지니아주 윌리엄스버그의 브루튼 볼트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확신했지만, 발굴 허가는 곧 철회되었다.[174] 1938년, 로데릭 이글은 에드먼드 스펜서의 무덤을 열도록 허가받았지만, 오래된 뼈만 발견했다.[175]
이그네이셔스 도넬리는 저서 『위대한 암호문』과 『희곡 및 묘비의 암호』에서 셰익스피어 희곡에 프랜시스 베이컨이 작가임을 나타내는 암호화된 메시지를 발견했다고 썼지만, 이 암호는 도넬리만 이해할 수 있는 것이었다.
엘리자베스 웰스 갤럽은 베이컨의 "바이리터럴 암호"가 퍼스트 폴리오에 포함되어 있다고 발표했다. 바이리터럴 암호는 2개의 서체를 사용한 것으로, 베이컨이 1605년에 쓴 "a와 b라는 두 개의 기호를 5개 조합함으로써 암호를 만들 수 있다"는 기술에 기반한다.[370] 그러나 이 "두 개의 서체"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은 갤럽 부인뿐이었다.
『사랑의 헛수고』에 등장하는 "Honorificabilitudinitatibus"라는 단어는 라틴어 '''"HI LUDI F.BACONIS NATI TUITI ORBI"'''("이 희곡들은 F. 베이컨이 만들어 세상에 남긴 것이다")의 애너그램이 된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컴퓨터가 없는 시대의 애너그램 연구는 해독자가 원하는 대로 답에 도달하기 쉽다는 점을 간과하기 쉽다. 실제로 이 단어는 다른 배열도 가능하며, 셰익스피어 이전부터 다른 작가들도 사용했기 때문에 베이컨 설을 강력하게 지지하는 것이 될 수 없다.
『소네트』에도 비슷한 암호가 있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371][372] 이러한 논쟁은 "숨겨진 메시지"가 의도적으로 작품에 짜 넣어진 것인지, 셰익스피어가 쓴 원본 텍스트에 교정자의 손길이 더해졌을 가능성을 배제해도 되는지, 그러한 암호를 숨길 필요가 있었는지 등의 의문을 제쳐놓은 것이다.
6. 3. 스트레이치 서한
"스트레이치 서한"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템페스트에 영감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는 자료라고 학자들은 생각해 왔다.이 문서는 1609년 미국 버지니아 식민지로 향하던 영국 선박 Sea Venture호가 버뮤다 제도 해역에서 폭풍에 휘말려 난파된 상황을 묘사한다. 이 배의 생존자 중 한 명인 윌리엄 스트레이치(윌리엄 스트레이치)가 버지니아 회사와 관련 있는 "고귀한 여성"에게 보낸 서한으로, 1610년에 쓰였다. 같은 해에 이 서한(공개된 것은 1625년이지만, 사본이 유통되었다고 추정된다)과 실베스터 조던(실베스터 조던)의 '버뮤다 섬 발견기'( ''"A Discovery of the Bermudas"'', 일명 "버뮤다 팜플렛")가 널리 읽혔기 때문에, 폭풍 묘사의 유사성 등으로 셰익스피어가 이들을 참조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360][373] 그러나 1970년대에 문학 평론가 케네스 뮤어는 "내가 보기에는, 버뮤다 팜플렛이 이 작품에 미친 영향은 과장되었을 수 있다"고 의문을 제기했다.[374] 뮤어는 스트레이치의 보고서보다 먼저 쓰여진 성 바울의 몰타 난파 보고서와 '템페스트' 간의 13가지 공통 주제와 표현을 인용했다.[362]
스트레이치 서한이 '템페스트'의 자료였다면, 이 희곡은 옥스퍼드 백작의 사후에 쓰여진 것이 되므로, 옥스퍼드 학파에 대한 반증이 된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셰익스피어가 이 서한을 토대로 '템페스트'를 집필했다는 설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뉴 케임브리지판 전집 편집자 데이비드 린들리에 따르면 스트레이치 서한은 '템페스트'의 자료였을 가능성은 있지만, 오비디우스나 몽테뉴처럼 그것 없이는 쓸 수 없었던 정도의 자료는 아니다.[375] 옥스퍼드 학파 연구자들은 이에 동의하며, 그 외 선행 자료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특히 리처드 에덴의 ''"The Decades of the New Worlde Or West India"'' (1555년)[376]와 에라스무스의 ''"Naufragium"'' (''"The Shipwreck"''、1523년)[377]는 어휘나 이미지 측면에서 스트레이치 서한보다 더 많은 유사점을 보인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378]
옥스퍼드 학파는 리처드 해클루이트(리처드 해클루이트)의 ''"영국 국민의 항해, 항해, 교역 및 발견"'' (''"The Principal Navigations, Voyages, Traffiques and Discoveries of the English Nation"''、1598년 - 1600년)[379]에, 1593년 버뮤다 해역에서 발생한 에드워드 보나벤처호의 난파에 대한 헨리 메이 선장의 목격 증언이 실려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버뮤다 해역에서의 해난 사고는 다른 사례도 있었으며, 셰익스피어가 참조한 것은 스트레이치 서한이 아니라 이 사건 보고서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 배와 관련하여 마틴 프로비셔가 1582년 레스터 백작에게 보낸 편지에서 옥스퍼드 백작이 자신에게 투자하여 이 배를 사주었다는 사실, 즉 옥스퍼드 백작이 이 배의 소유자였던 시기가 있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380]
한편 베이컨 학파에게는, 1609년 당시 베이컨이 버지니아 식민지 통치 의회에 있었다는 사실 때문에, 이 스트레이치 서한이 중요하다. 베이컨 학파는 이 서한이 원래 기밀로 취급되어 의회 멤버 외에는 비밀에 부쳐졌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근거는 식민지 총독 토마스 게이츠(토마스 게이츠)가 1609년 버지니아로 출발할 때 정부가 내린 지시이다. "귀하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영국에 어떠한 교섭이 있었는가. 어떠한 문서가 작성되었는가. 어떠한 현지 생산품이 포장·봉인되어 본국 정부 수반 앞으로 보내졌는가"[381] 식민지 정부가 서한을 다 읽은 후에도 이 비밀 유지 의무를 따랐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즉, 기밀 문서를 접할 수 있는 입장에 있던 베이컨이었기에 스트레이치 서한의 영향 아래 '템페스트'를 집필할 수 있었다는 가설과, 셰익스피어의 지인들 중 다수가 버지니아 회사의 임원 또는 임원과 가까운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셰익스피어도 그 내용을 알 수 있었다는 가설[382]이 성립한다.
6. 4. 월터 롤리의 처형

제임스 스페딩(:en:James Spedding)은 빅토리아 시대의 베이컨 전집 편찬자이자 반 베이컨파였지만, 『맥베스』의 한 구절이 월터 롤리의 처형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냐는 새로운 설을 제기했다.[383] 롤리는 1618년에 처형되었는데, 이는 셰익스피어가 죽은 지 2년, 옥스퍼드 백작이 죽은 지 14년 후의 일이다. 문제의 구절은 맥베스에게 살해당하는 스코틀랜드 왕 던컨의 장남 맬컴이 "불성실한 배신자/코더 영주"("disloyall traytor / The Thane of Cawdor")가 처형되었을 때의 모습을 묘사한 제1막 4장의 첫 대사이다.
여러 자료에서 사형 집행을 앞둔 롤리의 태도가 가벼웠다는 것을 기록하고 있으며[384][385], "그의 심리를 담당할 위원회가 아직 돌아오지 않았다"는 구절에서 처형이 매우 신속하게 집행되었음(반역죄 혐의에 따른 재판 다음 날)을 알 수 있다. 『맥베스』의 주요 원본인 라파엘 홀린셰드(:en:Raphael Holinshed)의 『연대기』(''"The Chronicles of England, Scotland and Ireland"'')에는 "국왕에 대한 반역 혐의로 비난받은 코더 영주"[386]에 대한 특별한 세부 사항이 없으므로, 위와 같은 묘사는 셰익스피어(또는 다른 진정한 저자)의 창작일 것이다. 셰익스피어 작품에 롤리의 처형에 대한 언급이 있다면, 이는 베이컨파에게 특히 유리한 증거가 된다. 롤리의 처형은 셰익스피어와 옥스퍼드 백작을 비롯한 대부분의 후보자들이 죽은 후의 일이었으며, 베이컨은 추밀원에서 롤리의 신변 조사를 하도록 임명된 6명의 심의 위원 중 한 명이었기 때문이다.[387]
하지만 자신의 처형에 용감한 태도를 보인 엘리자베스 시대의 반역자는 롤리만이 아니다. 1793년 조지 스티븐스(:en:George Steevens)는 해당 대사가 스코틀랜드 왕과 공모하여 반란을 꾀한 죄로 처형된 제2대 에식스 백작 로버트 데버루(Robert Devereux)의 처형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냐는 견해를 밝혔다(에식스 백작의 처형은 1601년에 일어난 사건이다). 스티븐스는 "존 스토우(:en:John Stow)의 기술에 따르면, 코더 영주의 행동은 불운한 에식스 백작의 그것과 거의 모든 상황에서 일치한다. 여왕의 관용 요구, 자신의 변론과 고백, 사형대 위에서도 예절을 지키려는 염려, 이러한 그의 거동이 거기에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라고 지적했다.[388]。 그는 에식스 백작이 셰익스피어의 후원자 사우샘프턴 백작의 절친한 친구였으며, 베이컨이 의회에 직책을 얻은 지 얼마 되지 않아 베이컨을 고문으로 고용하기도 했다는 점을 덧붙였다.
그러나 이러한 학설은 셰익스피어 연구사에서 특이한 견해이며, 『맥베스』 주석가 대부분은 맬컴의 이 대사가 순수한 허구이며, 역사적 사건이나 실존 인물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6. 5. 지리적 지식
반(反) 스트랫퍼드 학자들은 셰익스피어 희곡 대부분이 유럽 국가를 배경으로 하고 지방의 특징을 자세히 묘사하므로, 평생 국외로 나간 적 없는 셰익스피어가 작가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희곡 작가가 여행 경험이 풍부한 인물이어야 한다고 본다.[389] 반면 정통파 학자들은 다른 극작가들도 외국 배경의 작품을 많이 썼다는 점을 들어 셰익스피어가 이러한 유행을 따랐을 뿐이라고 반박한다. 또한, 셰익스피어 작품의 배경은 그가 직접 구상한 것이 아니라, 작품 구상 단계에서 참고한 원본 자료에서 가져온 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제시한다.[389]셰익스피어 작품 속 지리적 지식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일부 학자들은 작품에 지형 정보가 거의 없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베네치아를 배경으로 한 『오셀로』나 『베니스의 상인』에는 베네치아의 명물인 운하가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겨울 이야기』에서는 내륙국 보헤미아에 해안을 묘사하고, 『뜻대로 하세요』에서는 파리에서 스페인 북부로 가는 데 이탈리아를 경유하는 엉뚱한 경로를 제시하는 등 명백한 오류도 있다.
이러한 불일치에 대해 정통파와 반 스트랫퍼드파는 각자의 입장에서 설명한다. 『베니스의 상인』의 경우, 운하는 없지만 베네치아 교통수단인 '트라게토'(페리의 현지 명칭)처럼 현지에서만 쓰이는 단어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베네치아에 대한 상세한 지식을 짐작할 수 있다는 견해가 있다.[390] '보헤미아의 해안'에 대해서는, 보헤미아 왕국이 아주 짧은 기간 아드리아 해까지 영토를 넓힌 적이 있다는 사실을 작가가 알고 있었다고 설명한다.[390] 옥스퍼드파는 이 시기에 옥스퍼드 백작이 아드리아 해 주변을 여행했다는 사실을 들어, 이 묘사를 자신들의 주장에 유리한 증거로 삼는다. 반 스트랫퍼드파는 작가가 이러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영토 문제 같은 민감한 정치 문제에 직접 참여할 수 있었던 외교관, 귀족, 정치인 같은 인물이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애초에 이 오류가 『겨울 이야기』의 원본인 로버트 그린의 『판도스토 왕』(''"Pandosto"'')에 이미 포함되어 있었고, 셰익스피어가 이를 그대로 가져왔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한편, 정통파 학자들은 셰익스피어 희곡에 등장하는 동식물 이름에 워릭셔 지방 특유의 표현이 사용된 점을 지적한다. 『한여름 밤의 꿈』에 언급된 ''"Love in Idleness"'' (팬지의 이칭) 등이 그 예이다.[391] 이는 작가가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을 포함한 워릭셔 출신임을 뒷받침하는 증거라는 주장이다. 옥스퍼드파는 백작 역시 워릭셔의 빌턴(Bilton)에 저택을 소유했었다는 점을 덧붙인다 (기록에 따르면 1574년에 임대하여 1581년에 매각).[392]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3]
간행물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7]
간행물
[8]
간행물
[9]
간행물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간행물
[18]
간행물
[19]
간행물
[20]
간행물
[21]
간행물
[22]
간행물
[23]
간행물
[24]
간행물
[25]
간행물
[26]
서적
Shakespeare's Library: Unlocking the Greatest Mystery in Literature
Counterpoint
2019
[27]
간행물
[28]
간행물
Justice Stevens's Dissenting Shakespeare Theory
https://www.newyorke[...]
2019-07-29
[29]
뉴스
The great Shakespeare authorship question
https://web.archive.[...]
2019-10-01
[30]
간행물
[31]
간행물
[32]
간행물
[33]
간행물
[34]
간행물
[35]
간행물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The Silent Shakespeare
https://archive.org/[...]
William J. Campbell
1915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간행물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161]
서적
[162]
서적
[163]
서적
[164]
서적
[165]
서적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170]
서적
[171]
서적
[172]
서적
[173]
서적
[174]
서적
[175]
서적
[176]
서적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서적
[186]
서적
[187]
서적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192]
서적
[193]
서적
[194]
서적
[195]
서적
[196]
서적
[197]
서적
[198]
서적
[199]
서적
[200]
서적
[201]
서적
[202]
서적
[203]
서적
[204]
서적
[205]
서적
[205]
서적
[205]
서적
[205]
서적
[205]
서적
[206]
서적
Oxfordian Myths
[207]
서적
[208]
서적
[209]
서적
[210]
서적
[211]
서적
[212]
서적
[213]
서적
[214]
서적
[215]
서적
[216]
서적
[217]
서적
[218]
서적
[219]
서적
[220]
서적
[221]
서적
[222]
서적
[223]
서적
[224]
서적
[225]
서적
[226]
서적
[227]
서적
[228]
서적
[229]
서적
[230]
서적
[231]
서적
[232]
서적
[233]
서적
[234]
서적
[235]
서적
[236]
서적
[237]
서적
[238]
서적
[239]
서적
[240]
서적
[241]
서적
[242]
서적
[243]
서적
[244]
서적
[245]
서적
[246]
서적
[247]
서적
[248]
서적
[249]
방송
The Shakespeare Mystery
PBS, Frontline
1989
[250]
서적
[251]
서적
[252]
서적
[253]
서적
[253]
서적
[253]
서적
[254]
서적
[255]
서적
[256]
서적
[256]
서적
[257]
서적
[258]
서적
[259]
서적
[260]
서적
[261]
서적
[262]
서적
[263]
서적
[264]
서적
[265]
서적
[266]
서적
[267]
서적
[267]
서적
[268]
서적
[269]
서적
[270]
서적
[270]
서적
[270]
서적
[271]
서적
[272]
서적
[273]
서적
[274]
서적
[275]
서적
[276]
서적
[276]
서적
[277]
서적
[278]
서적
[279]
서적
[280]
서적
Who Wrote Shakespeare
[281]
書籍
William Shakespeare: A Compact Documentary Life
OUP
1987
[282]
웹사이트
The Shakespeare Authorship Page
http://www.shakespea[...]
[283]
書籍
シェイクスピアの墓を暴く女
集英社
2002-10
[284]
논문
The Shakespeare Canon of Statutory Construction
1992-04
[285]
웹사이트
The Shakespeare Authorship Page
http://www.shakespea[...]
[286]
書籍
ウィリアム・シェイクスピア――記録を中心とする
[287]
웹사이트
Shakespeare's Unorthodox Biography
http://www.shakespea[...]
[288]
書籍
William Shakespeare: A Documentary Life
OUP
1975
[289]
웹사이트
Shakespeare VS. Shakespeare: Introduction to the Authorship Controversy
http://michaelpresco[...]
[290]
書籍
Past Masters: Shakespear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291]
간행물
The Ben Jonson Journal
1994
[292]
웹사이트
The Shakespeare Authorship Page
http://www.shakespea[...]
[293]
書籍
Shakespeare and Ovid
Clarendon Press
1993
[294]
웹사이트
The Earl of Oxford vs Shakespeare of Stratford
http://www.shaksper.[...]
[295]
書籍
The Life and Letters of Francis Bacon
1872
[296]
서적
The Profession of Dramatist in Shakespeare's Time: 1590-1642
Princeton UP
1971
[297]
웹사이트
Shakespeare-Oxford Society
http://www.shakespea[...]
[298]
웹사이트
Famous Shakespeare Authorship Skeptics
https://shakespeareo[...]
2024-05-29
[299]
書籍
The Genius of Shakespeare
Picador
1997
[300]
書籍
The Mysterious William Shakespeare
1984
[301]
書籍
The Mystery of William Shakespeare
1983
[302]
웹사이트
The Shakespeare Authorship Page
http://www.shakespea[...]
[303]
서적
Discoveries 1641
Barnes & Noble
1966
[304]
서적
The Shakespeare Enigma
Polair
2004
[305]
서적
謎ときシェイクスピア
新潮選書
2008
[306]
서적
The Scourge of Villanie 1599, Satire III, in The Poems of John Marston
Liverpool University Press
1961
[307]
웹사이트
Scholemaster
http://darkwing.uore[...]
[308]
서적
Farewell to Folly
1591
[309]
서적
Who Wrote Shakespeare
[310]
웹사이트
With Walt Whitman in Camden
http://www.shakespea[...]
[311]
학위논문
The Marginalia of Edward de Vere's Geneva Bible: Providential Discovery, Literary Reasoning, and Historical Consequence
2001
[312]
웹사이트
Shakespeare" Identified in Edward de Vere the Seventeenth Earl of Oxford
http://www.shakespea[...]
1920
[313]
웹사이트
The Arte of English Poesie
http://etext.virgini[...]
[314]
웹사이트
What Did George Puttenham Really Say About Oxford
http://shakespeareau[...]
[315]
웹사이트
Shakespeare-Oxford Society The Rest' is Not Silence: On Grammar and Oxford in The Art of English Poesie
http://www.shakespea[...]
[316]
웹사이트
The Shakespeare Authorship Page
http://shakespeareau[...]
[317]
웹사이트
The Shakespeare Authorship Page
http://shakespeareau[...]
[318]
서적
Virgidemarium
1597-1598
[319]
서적
The Metamorphosis of Pygmalion's Image And Certaine Satyres
1598
[320]
간행물
Was Lord Bacon the author of Shakespeare’s plays?, A pamphlet letter addressed to Lord Ellesmere
William Skeffington
1856
[321]
간행물
Bacon and Shakespeare: An Inquiry Touching Players, Playhouses, and Play-writers in the Days of Elizabeth
John Russell Smith
1857
[322]
웹사이트
The Philosophy of the Plays of Shakespeare Unfolded
http://www.gutenberg[...]
1857
[323]
서적
Francis Bacon and His Secret Society
http://www.sirbacon.[...]
Sampson, Low and Marston
1891
[324]
서적
Bacon, Shakespeare and the Rosicrucians
1890
[325]
서적
The Works of Francis Bacon
1872
[326]
논문
Sir Francis Bacon's theory of civil history writing
Sidwick & Jackson
1972
[327]
서적
Advancement of Learning
1640
[328]
서적
Of the Interpretation of Nature
1872
[329]
문서
Lambeth Palace MS 650.28
[330]
서적
The Life of Samuel Johnson 1740-1795
[331]
서적
Defense of Poetry
1821
[332]
서적
Timber: or, Discoveries; Made Upon Men and Matter
Cassell
1889
[333]
서적
The Works of Francis Bacon
1872
[334]
서적
The Elizabethan Stage
Clarendon Press
1945
[335]
서적
Gesta Grayorum
Liverpool University Press
1968
[336]
서적
The Life and Letters of Francis Bacon
1872
[337]
서적
Gesta Grayorum, The History Of the High and Mighty Prince Henry
W. Canning
1688
[338]
문서
Public Record Office, Exchequer, Pipe Office, Declared Accounts
[339]
서적
The Elizabethan Stage
Clarendon Press
1945
[340]
서적
The Gray's Inn Pension Book 1569-1669
London
1901
[341]
서적
Gesta Grayorum
[342]
문서
British Library, Lansdown MS 107, folio 8
[343]
서적
The Progresses, Processions, and Magnificent Festivities of King James the First
AMS Press Inc
1828
[344]
서적
Gesta Grayorum
Oxford University Press
1914
[345]
서적
A Brief Discourse tounching the Happy Union of the Kingdom of England and Scotland
1872
[346]
서적
De Augmentis
1623
[347]
웹사이트
Was Marlowe the Man?
http://www2.prestel.[...]
The National Review
1923
[348]
웹사이트
Much Ado About Something
http://www.muchadoab[...]
[349]
웹사이트
The Reckoning Revisited
http://www2.prestel.[...]
2000-2002
[350]
웹사이트
The Case for the [sic] Christopher Marlowe's Authorship of the Works attributed to William Shakespeare
http://www2.localacc[...]
2002
[351]
웹사이트
Primary Documents Relating to Christopher Marlowe
http://www2.localacc[...]
John Baker
2002
[352]
웹사이트
Marlowe Alive in 1599, 1602 and 1603???!!!
http://www2.localacc[...]
John Baker
2002
[353]
간행물
'"The Truth Will Out: Unmasking the Real Shakespeare: Media Pack"'
http://www.pearsoned[...]
[354]
웹사이트
'"The Droeshout Engraving of Shakespeare: Why It\'s NOT Queen Elizabeth"'
http://www.shakespea[...]
Terry Ross
[355]
뉴스
シェークスピア17作品は共著、ビッグデータで判明
https://archive.is/K[...]
2018-05-30
[356]
뉴스
シェークスピア「ヘンリー六世」は共同執筆、ビッグデータで証明
https://archive.is/z[...]
2018-05-30
[357]
서적
Shakespeare by Another Name
Anderson
2005
[358]
서적
Miller/Looney, Volume 2
[359]
웹사이트
Barksted and Shakespeare
http://shakespeareau[...]
Terry Ross, and David Kathman
[360]
웹사이트
Dating The Tempest
http://shakespeareau[...]
David Kathman
[361]
서적
'"The Sources of Shakespeaere\'s Plays"'
Kenneth Muir
1978
[362]
문서
'"Acts of the Apostles"'
[363]
문서
(Eden: Kermode 1958 xxxii-xxxiii; Erasmus: Bullough 1975 VIII: 334-339)
[364]
웹사이트
'"A Note on the Undocumented Influence of Erasmus\' "Naufragium" and Richard Eden\'s 1555 Decades of the New World on Shakespeare\'s Tempest"'
http://www.shakespea[...]
[365]
문서
Samuel Pepys' entry of Dec. 26, 1663
[366]
웹사이트
'"MACBETH AND THE GUNPOWDER PLOT"'
http://www.stjohns-c[...]
Robert Brooner
[367]
웹사이트
Macbeth-Dating the play
http://www.rsc.org.u[...]
Royal shakespeare Company
[368]
서적
Macbeth
Frank Kermode
1974
[369]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William Shakespeare"'
Alfred Harbage
1969
[370]
서적
'"Hostage to Fortune, The Troubled Life of Sir Francis Bacon"'
Jardine, Lisa, and Stewart, Alan
1999
[371]
웹사이트
'"Shakespeare vs. Edward De Vere and Francis Bacon"'
http://www.ziplink.n[...]
David Basch
[372]
웹사이트
'Shakespeare\'s Sonnets Written by Kit Marlowe'
http://www.masoncode[...]
Peter Bull
2004
[373]
서적
'"Shakespeare and the Founders of American Liberty,"'
C.M.Gayley
1917
[374]
서적
'"The Sources of Shakespeaere\'s Plays"'
Kenneth Muir
1978
[375]
웹사이트
'"Re/Kermode, Tempest References"'
http://www.shaksper.[...]
David Lindley
[376]
서적
'"The Tempest"'
Frank Kermode
1958
[377]
서적
'"Narrative and Dramatic Sources of Shakespeare"'
Geoffrey Bullough
1975
[378]
웹사이트
'"A Note on the Undocumented Influence of Erasmus\' "Naufragium" and Richard Eden\'s 1555 Decades of the New World on Shakespeare\'s Tempest"'
http://www.shakespea[...]
Lynne Kositsky, and Roger Stritmatter
[379]
서적
The Principal Navigations, Voyages, Traffiques and Discoveries of the English Nation
https://books.google[...]
[380]
서적
'"Shakespeare Identified"'
Miller/Looney
[381]
서적
'"The Three Charters of the Virginia Company of London"'
E. G. Swem
1957
[382]
서적
'"Shakespeare and the Founders of Liberty in America"'
C. M. Gayley
1917
[383]
서적
'"Life and Letters of Francis Bacon"'
James Spedding
[384]
서적
'"Sir Walter Raleigh"'
Norman Lloyd Williams
1962
[385]
서적
'"Life and Letters of Francis Bacon"'
James Spedding
[386]
서적
Chronicles
1587
[387]
서적
The Life and Letters of Francis Bacon
1872
[388]
서적
A New Variorum Edition of Shakespeare: Vol. 2: Macbeth
Lipincott
1873
[389]
웹사이트
Sources of Shakespeare's Works and Elizabethan Literature
http://www.elizabeth[...]
[390]
서적
The Winter's Tale
1962
[391]
웹사이트
A Modern Herbal: Heartsease
http://www.botanical[...]
[392]
서적
Shakespeare in Fact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