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주 변씨는 은나라 왕족의 후예로, 고려 시대에 변안렬이 공민왕을 따라 고려에 들어와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한 공으로 부원군에 봉해지면서 시작되었다. 변씨는 장연, 황주를 거쳐 원주 변씨로 이어졌으며, 변안렬은 원주 변씨의 시조로 여겨진다. 조선 시대에는 변수 등이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고, 32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원주 변씨는 전서공파, 첨지공파 등 다양한 분파로 나뉘며, 항렬자를 사용하여 족보를 관리한다. 주요 집성촌은 강원특별자치도, 경상북도, 황해도, 제주도 등에 있으며, 2015년 기준 약 4만 7천여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원주 변씨 간재 종택 및 간재정, 원천군 변수 영정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주 변씨 - 변영훈
변영훈은 1989년 KBS 드라마 《울밑에 선 봉선화》로 데뷔하여 다수의 드라마에 출연하며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1991년 KBS 연기대상 신인연기상과 1992년 한국방송연기대상 신인상을 수상했다. - 원주 변씨 - 변웅전
변웅전은 KBS와 MBC 아나운서 출신으로, MBC 아나운서실장, MBC 방송위원, MBC 프로덕션 대표이사 사장을 역임한 언론인이자, 자유민주연합, 국민중심당, 자유선진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등에서 제15대, 16대, 18대 국회의원,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위원장, 자유선진당 대표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원주 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씨족 |
국가 | 한국 |
민족 | 한국 민족 |
지역 | 원주시 |
창시자 | 변안렬(邊(邉)安烈) |
연결된 인물 | 변백현 변우석 변숙(邊(邉)肅) 변량보(邊(邉)良輔) 변량걸(邊(邉)良傑) 변이진(邊(邉)以震) 변희풍(邊(邉)熙豊) 변응주(邊(邉)應周) |
웹사이트 | 원주 변씨 대종회 웹사이트 |
한자 표기 | |
한글 | 원주 변씨 |
한자 | 原州 邊(邉)氏 |
로마자 표기 | |
로마자 표기 | Wonju Byeon ssi |
2. 기원
邊氏중국어는 은나라(동이족) 왕족 미중의 후예이다. 『문헌비고(文獻備考)』에 따르면, 송나라 평공 시대에 어융의 자(字)가 변(邊)이었는데 후손이 어융의 자(字)를 성(姓)으로 삼았다. 어융의 성씨는 자(子)씨였다. 은나라 29대 왕 제을 아들인 미중 후손이 어융이다. 미중은 상나라의 왕족이자, 서주의 제후국인 송나라의 제2대 공작이다. 성(姓)은 자(子), 씨(氏)는 송(宋), 이름은 연(衍)이다. 미중은 미(微)나라에 봉해졌고 호는 중사(仲思)이다. 공자의 15세조이다. 미자의 동생이고, 제을의 아들이다. 상나라의 형제상속제 따라 미중이 왕위를 이었다.[2]
변(邊)씨 성의 기원은 은나라(동이족) 미중(微仲)의 왕족 후손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송나라 평공 시대에 어용(御戎) 왕족의 자(字)가 변(邊)이었고, 후손들이 이를 성씨로 삼았다.[2]
고대 동아시아 대륙에서 중국 한족 이외의 동쪽에 거주하는 민족을 중국 한족이 동이족이라 불렀다. 동이족의 갈래로는 구이가 있다고도 했고 예맥, 말갈, 한(韓), 왜 등으로 나누어 부르기도 한다. 치우, 공자, 순임금 등은 모두 동이족이었다. 동이족이라는 개념은 불변의 '고정'된 개념이 아니라 역사 시기에 따라 변화해온 '역사적 개념'이었다. 하지만, 한국 역사의 왕조 국가는 동이족의 왕조 국가와 일치한다.[2]
3. 역사
한국 변씨의 역사는 고려 시대 변유영을 시조로 하는 장연 변씨(함경도, 1100년경)에서 시작한다. 이후 변려를 시조로 하는 황주 변씨(황해도, 1200년경)가 분파되었고, 변안렬은 황주 변씨 8세손으로 원주 변씨(강원도, 1300년경)의 시조가 되었다.
변(邉)은 변(邊)의 이체자로, '가장자리' 또는 '측면'이라는 뜻 외에 성씨로도 사용된다. 이체자는 특정 의미를 강조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데, 성씨 변(邉)은 '순수하고 깨끗한 마음을 가진 사람의 모습'을 의미한다.[2]
1390년 1월 16일, 변안렬은 김저의 우왕 복위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불분명한 자백으로 처형되었으나, 그의 가족들은 사면되었다. 이성계는 1392년에 왕위에 올라 조선을 건국했다. 대은 변안렬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에 있으며, 2002년 9월 2일 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116호로 지정되었다. 변안렬은 2014년 드라마 ''정도전''에서 배우 송금식이 연기했다.
3. 1. 고려 시대
시조 '''변안렬'''은 원나라 심양 출신으로, 공민왕을 따라 고려로 들어왔다.[7] 변안렬은 홍건적을 격퇴하여 경성수복 1등공신이 되었고, 왜구를 격퇴하여 원천부원군에 봉해졌으며, 판삼사사와 영삼사사를 역임하였다.[7]
변안렬은 형인 변안백의 아들 변숙과 동생 변안서와 함께 원에서 노국대장공주를 수행하고 고려로 왔다.[1] 이때 3명의 대장군과 8명의 관료도 같이 고려로 왔다.
변안렬은 원주 원씨와 혼인하여 3형제를 두었는데, 장남 변현은 봉상시사, 차남 변이는 도총제, 삼남 변예는 훈련원사를 역임하였다. 변이의 아들 중 변상복은 덕천옹주와 혼인하여 원주위에 봉해졌고, 변상회는 호조참판에 이르렀다.
변려는 황주 변씨의 시조이며, 변안렬은 황주 변씨 8세손이자 원주 변씨의 시조이다. 변안렬의 조부 변순부터 변안렬까지 원나라에서 관직을 하다 변안렬이 고려로 이주하게 된다.
1352년, 변안렬은 고려 공민왕에게 시집간 몽골 출신 노국대장공주를 아버지처럼 모시고, 변숙과 함께 고려로 들어왔다.[1] 변숙은 변안렬의 형인 변안백의 차남이며, 변안서는 변안렬의 이복동생이다. 그는 동료 고려 장군 최영과 함께 제주도에서 수행한 군사 징벌 원정에서 세운 공로로 고려 우왕 재위 기간 동안 칭찬을 받았다. 1361년, 변안렬은 부대를 이끌고 반원 세력인 홍건적을 격퇴하여 공로를 인정받아 승진했다. 1374년에는 동료 고려 장군 이성계와 함께 왜구를 성공적으로 격퇴하여 명예로운 칭호를 받았다.
3. 2. 조선 시대
변안렬은 원나라 심양 출신으로, 공민왕을 따라 고려로 들어와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경성수복 1등공신으로 원천부원군(原川府院君)에 봉해졌으며, 판삼사사와 영삼사사를 역임했다.[7]
변안렬은 원주 원씨와 혼인하여 3형제를 두었는데, 이들 모두 관직에 진출했다. 장남 변현은 봉상시사, 차남 변이는 도총제, 삼남 변예는 훈련원사를 역임했다. 변이의 아들 변상복은 덕천옹주와 혼인하여 원주위에 봉해졌고, 변상회는 호조참판에 이르렀다. 변상회의 아들 변수는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 2등에 책록되고 원천군에 봉해졌으며, 이조참판을 역임했다.
원주 변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32명을 배출하여 명문가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조선 건국 이후에도 원주 변씨 가문은 여러 인물들을 배출했다. 그 중 변수는 1891년 미국 대학에서 학위를 받은 최초의 한국인 외교관이었다.[3] 그는 1883년 미국 특명 사절단의 일원으로 미국 대통령 체스터 A. 아서를 만났으며, 갑신정변에 관여하기도 했다. 변수는 일본과 미국에서 생활하며 미국 농무부에서 잠시 일하기도 했으나, 1891년 기차 사고로 사망했다.[3]
변숙(邊(邉)肅, ?-1399)은 정몽주와 함께 고려 말의 충신으로, 고려 멸망 후 두문동 72현 중 한 명으로 절개를 지켰다. 변량보(邊(邉)良輔, ?-?)는 첨중추(僉中樞, 현재의 행정관 또는 육군 소장)를 지냈다. 변량걸 (邊(邉)良傑, 1546-1610)은 1572년(선조 5년) 무과에 급제한 후, 임진왜란 당시 강화도 방어에 기여했다. 변이진(邊(邉)以震, 1596-1640)은 1620년(조선 광해군) 무과에 급제, 이괄의 난을 격파하였고, 1640년 일본군과 맞서 싸우다 순국했다.
3. 3. 현대
변수(邊燧, Penn Su, 1861-1891)는 1891년 미국 대학에서 학위를 받은 최초의 한국인 외교관이었다. 메릴랜드 농업 대학(MAC, 현재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다.[3] 1883년 7월, 조선 고종은 서구의 산업화와 근대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1883년 미국 특명 사절단을 파견했는데, 변수는 이 사절단의 일원이었다. 이들은 당시 미국 대통령 체스터 A. 아서를 만났다. 변수는 19세기 말 한국의 급진 개혁 정치 운동에 참여했고, 실패한 갑신정변(1884)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후 한국을 탈출하여 일본과 미국으로 건너가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농무부에서 잠시 일했다. 그는 중국어, 일본어, 영어에 능통했다.[3]
변수는 1891년 기차 사고로 사망하여 메릴랜드주 벨츠빌에 묻혔다.[3] 2020년 12월 21일, 메릴랜드 대학교는 변수와 1915년 MAC에 입학한 최초의 중국인 학생 천준첸을 기리기 위해 새로운 기숙사의 이름을 "변-첸 홀"로 명명한다고 발표했다.[3]
변응주(邊應周, 1929-2016)는 한국 전쟁 당시 8240 육군 부대(한국 연락 사무소)에서 군인으로 복무한 원주 변씨 22세손이다. 1951년부터 1954년까지 휴전선 인근 지역에서 북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강화중학교(현 강화여자중학교, 인천 강화군 강화읍 갑룡길 11)에서 수학 교사로 위장 근무하며 북한 군사 기밀을 대한민국 군에 전달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1955년부터 1969년까지 아모레퍼시픽에서 근무했고, 1969년부터 2016년까지 아모레퍼시픽 고문 및 선임 고문을 역임했다. 그는 아모레퍼시픽 회장 서경배의 아버지 서성환과 함께 회사의 기반을 다졌다. 1971년 10월 1일부터 1993년 12월 31일까지 OB식품공업이 설립 및 운영되었다. OB식품공업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위치했으며, 과자를 생산하여 전국으로 판매를 확대하고 식품 안전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품질 관리를 시행하는 회사로 성장했다. OB식품의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다.
제품 종류 | 제품명 |
---|---|
샌드 | OB샌드, 코코아맛 샌드, 뉴샌드 |
기타 | 히비조, 엘도라도 새러바, 꼬꼬, 코코아맛 쿠키, 참깨도리, 버터 코코넛 빙그레, 꽃마을, 뉴타운, 캔디 |
OB식품공업은 군대에 군용 과자를 제공하기도 했다. OB식품공업은 두산그룹 OB맥주와는 별개의 회사이다. 변응주의 묘소는 국립이천호국원(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노성로 260번지 1085번지 대죽리)에 있다.
4. 분파
원주 변씨의 분파는 각 후손의 관직에 따라 형성되었다.
예를 들어, 변숙은 고려시대 가정대부(嘉靖大夫) 호부전서(戶部典書)라는 관직을 지냈기 때문에 전서공파(典書公派)의 시조가 되었다. 변량보는 조선시대 첨중추(僉中樞)라는 관직을 지냈기 때문에 첨지공파(僉知公派)의 시조가 되었다. 2023년 현재 전서공파는 23대, 첨지공파는 18대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원주 변씨 시조 변안열의 조카인 변숙의 전서공파와 변안열의 동생인 변안서의 사령공파는 변안열의 명으로 원주 변씨가 되었으나, 직계 후손이 아니므로 황주 변씨의 세대로 볼 수도 있다.
변숙의 후손들은 1950년 한국전쟁 이전까지 거의 600년간 황해도 개성에서 살았다. 변희풍(전서공파 20대)은 개성이 고향인데, 38선이 남북한의 경계였을 당시에는 남한 영토였지만, 한국전쟁 이후 휴전선이 그어지면서 북한 영토가 되었다. 변희풍은 한국전쟁 때 형제들과 함께 개성에서 서울로 이주하여 남한에서 원주 변씨 전서공파 및 첨지공파의 후손으로 세대를 이어갈 수 있었다.
별좌공파(別坐公派) 변극충(1434-?)은 변안열부터 경기도 양주(楊州)에 살았고, 원주 변씨 4세대 변처령부터 인천(仁川)에서 살았다. 참의공파(參議公派) 변극민은 평안도 태천에서 살았고, 원주 변씨 4세대 변재중부터 평북 태인(泰仁)에서 살았다.
첨추공파(僉樞公派) 변차희(1392-1462)는 경북 안동 금계, 예천, 용문, 봉화 거촌에서 살았다. 원주 변씨 5세대 변희리(1435-1506)가 연산군 무오사화(1498년) 때 경북 예천으로 옮겨갔다. 변희리의 후손인 원주 변씨 7세대 변영순부터 안동의 금계, 봉화, 군위 등지에 살았다. 원주 변씨 6세대 변점부터 강원도 원주에 살았다.
전주 변씨는 변이의 셋째 아들 변상근의 후손인 호군공파이다. 위키피디아의 전주 변씨 정보는 잘못된 것이다.
훈련공파(訓鍊公派)는 변안열의 셋째 아들 변예의 후손으로 제주에 살고 있다.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는 변예의 막내 손자인 변세청과 그 후손들이다. 변세청은 1405년(태종 5) 정국이 혼란하자 신변에 위험을 느끼고 제주에 입도하였다.
오른쪽 그림은 변안열의 후손은 H7-2, 변안서의 후손은 H7-3, 변숙의 후손은 H7-1-2로 표시되어 있다. H7-2는 황주변씨 7세대, 변량의 둘째 아들을 의미한다.
파명 | 시조 | 비고 |
---|---|---|
전서공파(典書公派) | 변숙 | 변안열의 조카 |
첨지공파(僉知公派) | 변량보 | [https://byunclanus.wixsite.com/wonju-byun-clan/ko/duke-cheomji-fracrion 첨지공파 직계 찾기] |
갑산공파(甲山公派) | 변량좌 | |
목사공파(牧使公派) | 변량우 | |
장사랑공파(將仕郞公派) | 변량언 | |
정의공파(貞毅公派) | 변량걸 | |
별좌공파(別坐公派) | 변극충(邊克忠) | |
참의공파(參議公派) | 변극민(邊克愍) | |
첨추공파(僉樞公派) | 변차희(邊次熹) | |
남부령공파(南部令公派) | 변상조(邊尙朝) | |
호군공파(護軍公派) | 변상근(邊尙覲) | |
참판공파(參判公派) | 변상회 | |
감찰공파(監察公派) | 변상동(邊尙同) | |
군수공파(郡守公派) | 변상빙(邊尙聘) | |
부마공파(駙馬公派) | 변상복 | |
사용공파(司勇公派) | 변영청 | |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 | 변세청(邊世淸) | |
훈련공파(訓鍊公派) | 변예(邊預) | 변안열의 셋째 아들 |
사령공파(寺令公派) | 변안서 | 변안열의 동생 |
5. 항렬자
원주 변씨는 5세대부터 항렬자를 사용하였다. 6, 8, 10, 12세대는 이름이 한 글자(외자)라서 항렬자를 사용하지 않았다. 16세대부터 5행(五行)을 따라 항렬자를 만들었다. 항렬자의 부수는 5행(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이다. 항렬자는 세대별로 번갈아가며 첫 번째 글자 또는 두 번째 글자로 쓰였다.
16世 | 17世 | 18世 | 19世 | 20世 | 21世 | 22世 | 23世 | 24世 | 25世 | 26世 | 27世 | 28世 | 29世 | 30世 | 31世 | 32世 |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목(木) | 화(火) | 토(土) |
5世 | 7世 | 9世 | 11世 | 13世 | 14世 | 15世 | 16世 | 17世 | 18世 | 19世 | 20世 |
---|---|---|---|---|---|---|---|---|---|---|---|
○정(靖) 순(純)○ | 량(良)○ 응(應)○ ○용(龍) ○수(秀) ○종(宗) | 이(以)○ | 상(尙)○ | ○국(國) | 경(慶)○ | ○화(和) | ○환(煥) | 규(圭)○ | 석(錫)○ | 영(永)○ 승(承)○ | ○식(植) ○근(根) ○상(相) |
21世 | 22世 | 23世 | 24世 | 25世 | 26世 | 27世 | 28世 | 29世 | 30世 | 31世 | 32世 |
---|---|---|---|---|---|---|---|---|---|---|---|
희(熙)○ 영(煐)○ 병(炳)○ | ○주(周) ○균(均) | 흠(欽)○ 용(鎔)○ 종(鍾)○ | ○제(濟) ○수(洙) ○호(浩) | 수(秀)○ 동(東)○ 근(根)○ | ○환(煥) ○돈(燉) ○찬(燦) | 규(圭)○ 재(在)○ 배(培)○ | ○현(鉉) ○진(鎭) ○용(鏞) | 태(泰)○ 구(求)○ | ○주(柱) ○재(栽) ○백(栢) | 경(炅) | ○재(在) |
6. 집성촌
7. 인구
연도 | 인구 |
---|---|
1985년 | 39,605명 |
2000년 | 37,505명 |
2015년 | 47,804명 |
8. 문화재
艮齋중국어 변수(邊修) 영정은 조선시대의 초상화로, 2008년 3월 1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559호로 지정되었다.[1]
명칭 | 지정 번호 | 지정일 | 링크 |
---|---|---|---|
원주 변씨 간재 종택 및 간재정 | 대한민국의 시도민속문화재 제131호 | 2004년 1월 14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1310000,37] |
원천군 변수 영정 | 대한민국의 보물 제1559호 | 2008년 3월 12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1180000,32] |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원주변씨 原州邊(邉)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서적
Wonju Byun Clan Cheomchugongpa (原州 邉氏 僉樞公派 duke Cheomchu fraction) Geochonmunjungbo (巨村門中譜文獻集 genealogy of Geochonmu fraction) Literature Collection
Yeolhwadang
2020
[3]
뉴스
University of Maryland to name new dorms after first Black student and others who helped diversify the campus
https://www.washingt[...]
2020-12-21
[4]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0
[5]
웹사이트
변씨(邊氏) 본관(本貫) 원주(原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6]
웹사이트
한자 바로잡기 나선 원주 변씨 종친회
http://weekly.chosun[...]
2015-03-20
[7]
웹사이트
『고려사』 권126, 열전39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