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권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권제는 어머니나 여성, 또는 여성의 통치를 의미하는 사회 조직 형태를 지칭하며, 부권제의 반대말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 용어는 문화 인류학, 여성주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여성의 역할과 지위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 왔다. 역사적으로는 모권제 사회의 존재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며, 주류 인류학계에서는 명확한 모권제 사회가 존재했다는 증거를 찾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인다. 하지만 여성주의에서는 여전히 유효한 개념으로, 여성의 정치적,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논의에 기여하고 있다.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묘사되며, 종교적 관점에서는 여성의 지도력에 대한 제한적인 시각이 존재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권제 - 아마조네스
아마조네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 전사 부족으로, 트로이아 전쟁 시기 흑해 연안에 여인 왕국을 건설한 것으로 전해지며, 다양한 어원 설과 함께 예술 작품 및 현대 매체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모권제 - 아서 에번스
아서 에번스는 영국의 고고학자로서 크레타 크노소스 유적을 발굴하여 미노아 문명을 세상에 알렸으며, 옥스퍼드 대학교 애슈몰린 박물관 학예관을 역임했고, 크노소스에서 발굴된 선문자 A와 B 연구에 기여했지만, 선문자 B 해독을 독점하려 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어머니 - 시부모
시부모는 배우자의 부모를 칭하는 의친의 일종으로, 민법상 친족이자 인척에 해당하며, 전통적인 고부 갈등은 현대 사회에서도 결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 어머니 - 산후우울증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 나타나는 우울 증상으로, 슬픔, 불안, 피로 등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자해 또는 자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심리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치료한다. - 여성주의 이론 - 부권제
부권제는 가부장제라고도 불리며 남성이 권력을 쥐고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제도로,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여성을 억압하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로 규정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고 비판적으로 고찰된다. - 여성주의 이론 - 흑인 여성주의
흑인 여성주의는 1960-70년대 민권 운동과 2세대 여성주의 운동에서 흑인 여성들이 겪은 배제와 차별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인종, 젠더, 계급 등 다양한 억압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흑인 여성의 특수한 경험을 분석하고 사회 불평등에 저항하며 권익을 옹호하는 사상 및 운동이다.
모권제 | |
---|---|
개요 | |
정의 | 여성의 지배 또는 여성 중심의 사회 구조를 의미한다. |
어원 | 'Matriarchy'는 어머니를 뜻하는 라틴어 'mater'와 지배를 뜻하는 그리스어 'archē'에서 유래했다. |
반대 개념 | 부권제 |
이론적 논쟁 | |
실재 여부 | 진정한 의미의 모권제가 역사적으로 존재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여성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사회는 존재했지만, 남성을 완전히 배제한 여성 지배 사회는 없었다고 주장한다. |
아마존 사회 | 일부 연구자들은 아마존 사회와 같은 신화적인 여성 전사 집단이 모권제의 증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문화적 맥락 | |
모계 사회 | 모권제와 혼동되는 개념으로, 혈통이 어머니를 통해 이어지고 여성의 역할이 중요한 사회를 의미한다. 모계 사회는 모권제와 달리 여성이 직접적인 정치적 권력을 행사하지 않을 수 있다. |
성 역할 | 모권제 사회에서는 여성의 역할이 강조되고, 남성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축소될 수 있다. |
신화와 전설 | 많은 문화권에서 여신 숭배와 관련된 신화와 전설이 존재하며, 이는 여성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예시로 해석될 수 있다. |
사회적 영향 | |
가족 구조 | 모권제 사회에서는 어머니 중심의 가족 구조가 일반적이며, 여성의 역할이 가족 내에서 매우 중요하다. |
정치적 영향력 | 여성의 정치 참여가 활발하며, 여성 지도자가 사회를 이끌어가는 경우가 많다. |
경제적 영향력 |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율이 높고, 여성의 경제적 지위가 높다. |
비판적 시각 | |
성 불평등 | 모권제가 여성 우월주의로 이어져 또 다른 형태의 성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
이상향적 개념 | 현실적으로 완전한 모권제가 존재하기 어렵다는 주장이 있다. |
같이 보기 | |
관련 문서 | 가부장제 모계 사회 여성주의 |
2. 정의, 함의, 어원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은 모권제를 "어머니 또는 가장 연장자인 여성이 가족의 수장이고, 계승과 관계가 여성 계통을 통해 계산되는 사회 조직의 형태" 또는 "여성 또는 여성에 의한 통치"로 정의한다.[2] 이 단어는 라틴어 ''māter''(어머니)와 그리스어 ἄρχειν(통치하다)에서 유래되었으며,[26] 1885년에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일반적으로 모권제는 여성의 지배를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지만,[3] 문화 인류학에서는 "그러한 시스템이 우세한 문화 또는 공동체" 또는 법률에 관계없이 "여성 또는 여성에 의해 지배되는 가족, 사회, 조직 등"으로 정의되기도 한다.[2] 하이드 괴트너-아벤드로트는 모권제가 평등주의적인 사회를 의미한다고 보았으며,[6][8] 모권 연구 학파는 모권제를 "비부권적 사회의 조사 및 제시"로 정의하기도 한다.[20] 마고 애들러는 모권제를 "문자 그대로 어머니의 통치, 또는 더 넓게는 여성의 손에 있는 정부와 권력"이라고 정의했다.[13]
2. 1. 용어 정의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에 따르면, 모권제는 "어머니 또는 가장 연장자인 여성이 가족의 수장이고, 계승과 관계가 여성 계통을 통해 계산되는 사회 조직의 형태" 또는 "여성 또는 여성에 의한 통치"이다.[2] 제임스 피플스와 개릭 베일리는 대중적인 정의로 "여성의 지배"를 제시한다.[3] 문화 인류학에서 모권제는 "그러한 시스템이 우세한 문화 또는 공동체"이거나,[2] 법률과 관계없이 "여성 또는 여성에 의해 지배되는 가족, 사회, 조직 등"을 의미한다.[2] 윌리엄 A. 헤빌랜드는 일반 인류학에서 모권제를 "여성의 통치"로 정의한다.[4]대부분의 학자들은 평등주의적인 비부권적 시스템을 엄격한 의미의 모권제에서 제외한다. 하이드 괴트너-아벤드로트는 모권제에 대한 거부감이 특정 문화적 편견에 기반한다고 지적한다. 부권제에서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므로 모권제를 여성이 남성을 지배하는 것으로 오해하지만,[6][7] 그녀는 모권제가 평등주의라고 믿었다.[6][8]
모권제는 여성이 정치적으로 이끄는 사회, 특히 어머니들이 정치적으로 이끄는 사회, 그리고 재산을 통제하는 사회를 의미하며, 부권제의 반대말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해 반대말은 아니다.[9][10][11] 인류학자 페기 리브스 샌데이는 모권제가 부권제의 반전된 형태가 아니라, "모성적 의미를 강조하며, '모성적 상징'이 두 성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행과 연결되고, 여성이 이러한 관행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12] 저널리스트 마고 애들러는 모권제를 "문자 그대로 어머니의 통치, 또는 더 넓게는 여성의 손에 있는 정부와 권력"이라고 정의한다.[13]
신시아 엘러는 "'모권제'는 여성의 권력이 남성과 같거나 우월하고, 문화가 '여성적' 가치와 삶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를 의미한다"고 설명한다.[15]
모권제는 종종 부권제와 대조적으로 부정적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괴트너-아벤드로트가 이끄는 모권 연구 학교는 모권제를 "비부권적 사회의 조사 및 제시"로 정의하며, 두 성별 간의 권력 공유가 동등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다.[20][21] 다이앤 르보우는 "모권 사회는 종종 평등주의로 묘사된다"고 말한다.[22]
모권제는 가족 내에서 여성이 통치자 지위를 차지하는 경우도 포함한다.[2]
어원적으로, 모권제는 라틴어 ''māter''(어머니)와 그리스어 ἄρχειν(통치하다)에서 유래되었다.[26]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에 따르면, '모권제'라는 단어는 1885년에 처음 등장했다.[2]
모권제는 '여성 지배', '여성 통치', '모권제', '여성 중심 사회' 등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이 용어들은 모성을 강조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2. 2. 관련 개념
모권제는 모계 사회나 모거주 사회와 혼동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모권제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모계 사회: 여성 계통을 통해 혈통을 추적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즉, 어머니의 성씨와 재산이 자녀에게 상속되는 사회이다. 19세기에는 "친족 관계를 통해 경제적 및 사회적 권력이 전달"되었기 때문에[57] 모계 사회에서는 모든 권력이 여성을 통해 전달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여성은 그러한 사회에서 모든 권력과 권위를 유지하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권력을 통제하고 분배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을 것이다.[57] 샌디는 특히 미낭카바우족과 같은 현대 모계 사회와 관련하여 "모권제"라는 단어를 재정의하고 재도입하는 것을 선호한다.[56]
- 모거주 사회: 부부가 신부 가족 근처에 거주하는 사회를 의미한다.[58]
이러한 용어들은 세대 간의 관계를 지칭하지만, 어머니 쪽 친척의 관점에서 아들과 딸 모두에게 적용되는 특정 배치의 범위 내에서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은 모권제를 '남성에 대한 여성의 권력'으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가족 역학을 나타낸다.[50]
인류학자들은 "모성 중심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모성 중심성"과 "모권제" 사이에는 용어적 경계에 대한 논쟁이 있다. 모성 중심 사회는 여성, 특히 어머니가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사회이다. 인류학자 R. T. 스미스는 "모성 중심성"을 어머니가 구조적 우위를 차지하는 사회 시스템의 친족 구조로 언급한다.[51] 이 용어는 반드시 여성이나 어머니의 지배를 의미하지는 않는다.[51] 또한, 일부 저자는 인간 집단의 핵심을 어머니-자녀 이원론으로 보는 전제에서 벗어나, 조모가 중심 조상으로서 그녀의 자녀와 손주들이 확장된 가족 내에서 그녀를 중심으로 모여 있는 경우로 본다.[52]
"모성 중심적"이라는 용어는 '어머니가 가족 또는 가구의 우두머리인 것'을 의미한다.

- 모성주의: 마리자 김부타스, 거다 러너, 리안 아이슬러와 같은 페미니스트 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선사 시대(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유럽)와 고대 문명에서 여신 숭배를 중심으로 한 그들의 "여성 중심" 사회 개념에 대해 "모권제" 대신 "모성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한다.[53] 마리자 김부타스는 "모성주의"라는 용어를 "모계 사회를 포함한다는 이해를 가지고 단순히 모권제라는 용어를 피하기 위해" 사용한다고 말한다.[54]
2. 3. 어원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에 따르면, 모권제는 "어머니 또는 가장 연장자인 여성이 가족의 수장이고, 계승과 관계가 여성 계통을 통해 계산되는 사회 조직의 형태, 여성 또는 여성의 통치"이다.[2] 제임스 피플스와 개릭 베일리에 따르면, 대중적인 정의는 "여성의 지배"이다.[3] 문화 인류학에서 모권제는 "그러한 시스템이 우세한 문화 또는 공동체"[2] 또는 여성이 지배해야 하는 법률에 관계없이 "여성 또는 여성에 의해 지배되는 가족, 사회, 조직 등"이다.[2]대부분의 학자들은 엄격하게 정의된 모권제에서 평등주의적인 비부권적인 시스템은 제외한다. 하이드 괴트너-아벤드로트는 모권제를 평등주의라고 믿었다.[6][8]
모권제는 여성이 정치적으로 이끄는 사회, 특히 어머니들이 정치적으로 이끄는 사회에서 재산을 통제하는 사회를 의미하며, 종종 부권제의 반대말로 해석되지만, 반대말은 아니다.[9][10][11]
마고 애들러는 "문자 그대로, ... [''모권제'']는 어머니의 통치, 또는 더 넓게는 여성의 손에 있는 정부와 권력을 의미한다"라고 썼다.[13]
괴트너-아벤드로트가 이끄는 모권 연구 학교는 이 용어에 대한 더욱 포괄적인 재정의를 요구한다. 괴트너-아벤드로트는 ''현대 모권 연구''를 "비부권적 사회의 조사 및 제시"로 정의하여, 모권제를 비부권제로 정의한다.[20] 그녀는 또한 모권제를 두 성별 간의 권력 공유가 동등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의했다.[21]
모권제는 가족 내에서 여성이 통치자의 지위를 차지하는 공적 형성이기도 하다.[2]
어원적으로, 모권제는 라틴어 ''māter''(속격 ''mātris''), "어머니"와 그리스어 ἄρχειν ''arkhein'', "통치하다"에서 유래되었다.[26]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에 따르면, 모권제라는 단어의 가장 초기의 알려진 증거는 1885년이다.[2]
3. 신화 속의 사례
신화 속 모권 사회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아마조네스가 있다.
Cherríe Moraga와 같은 일부 페미니스트 학자들은 코요르사우키와 그녀의 형제 우이칠로포치틀리를 둘러싼 신화를 멕시카 사회에서 모권제에서 부권제로의 실제 생활 변화에 대한 우화로 해석하였다.[132]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주요 문화 변화로 가부장제가 모권제를 대체하면서 바뀌어야 했던 초기 신화가 신화에 의해 대체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는 딸인 아테나를 임신한 연인인 티탄 여신 메티스를 삼켰다. 어머니와 아이는 제우스의 몸 안에서 혼란을 일으켰고, 헤르메스 또는 헤파이스토스가 제우스의 머리를 갈라 아테나가 완전한 갑옷을 입은 채로 그의 이마에서 터져 나오게 했다. 따라서 아테나는 제우스에게서 "태어났다"고 묘사되었다.
3. 1. 아마조네스
필리스 체슬러에 따르면 "아마존 사회에서 여성은 ... 어머니이자 사회의 유일한 정치 및 종교 지도자"였으며,[354] 전사와 사냥꾼이기도 했다.[355] 헤로도토스는 사르마티아인이 아마조네스와 스키타이인의 후손이며, 그들의 여성은 고대 모계 관습을 따라 "남편과 함께 말을 타고 자주 사냥을 하고, 전쟁에 참여하며, 남성과 똑같은 옷을 입었다"고 보고했다. 또한 헤로도토스는 "어떤 소녀도 전투에서 남자를 죽이기 전에는 결혼할 수 없다"고 말했다.[137]아마조네스는 고대 후기까지 그리스-로마인들에게 역사적 실체로 생각되었다.[356] 중세에는 아마조네스가 유럽 북부에 존재했었다고 믿었는데, 아다무스 브레멘시스는 발트해, 파울루스 디아코누스는 게르마니아 중심지로 그 위치를 비정했다.[357]
4. 역사적 실증
역사적으로 '모권제' 사회가 실제로 존재했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19세기에는 여성의 사회 지배가 남성의 사회 지배에 앞섰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20세기에는 페미니즘, 특히 제2세대 여성주의의 영향으로 원주민 및 젠더 연구가 발전하면서 이러한 주장이 다시 주목받기도 하였다. 피플스와 베일리에 따르면 "가족 및 친족 집단의 개별 모권자"는 존재한다.[3]
1950년대부터 마리야 김부타스는 신석기 시대 유럽의 '구 유럽 문화'가 모권적 특성을 가졌으며, 이는 청동기 시대에 원시 인도유럽인의 남성 중심 체제에 의해 대체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른 인류학자들은 여신 숭배나 모계제 사회가 반드시 여성이 남성을 지배하는 모권제와 연관된 것은 아니라고 경고한다.[112]
4. 1. 주류 인류학계의 견해
주류 인류학계에서는 명확한 모권제 사회가 존재했다는 증거가 없다고 본다.[358][359][360] 아도바시오, 소퍼, 페이지는 지금까지 알려진 사회 중 진정한 의미의 모권 사회는 없었다고 주장한다.[361] 인류학자 뱀버거 역시 어떤 사료에도 여성이 우월한 위치에 있던 사회가 존재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말한다.[362] 해빌랜드(Haviland)는 남성 지배 이전에 여성 지배가 있었다는 주장이 "19세기 지식인들" 사이에서 지지를 받았다고 설명한다.[351] 이 주장은 20세기까지 페미니즘, 특히 제2세대 여성주의 맥락에서 사용되었으나, 오늘날 대부분 평가절하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이 가설이 완전히 틀렸다고 말한다.[363]대부분의 인류학자들은 명백하게 모권적인 사회가 알려진 바 없으며, 적어도 권위 역할에서 반대 성별을 완전히 배제하는 모권 사회는 없다고 본다.[59][60][61] 아도바시오, 소퍼, 페이지는 배제적 요소를 가진 모권 사회는 존재한 적이 없다고 주장한다.[55] 인류학자 도널드 브라운은 인간 문화 보편성 목록(대부분의 현존하는 인간 사회가 공유하는 특징)에 공공 정치 문제에서 남성이 "지배적 요소"를 차지한다는 점을 포함하며,[62] 이것이 주류 인류학의 현대적 견해라고 말한다.[63] 다만, 일부 이견과 예외는 존재한다.
하빌랜드에 따르면, 여성 통치가 남성 통치에 선행했다는 믿음은 "19세기 많은 지식인"들이 가지고 있었다.[4] 이 가설은 페미니즘, 특히 제2 물결 페미니즘 맥락에서 두드러지게 제기되었고, 원주민 및 젠더 연구가 발전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4. 2. 바흐오펜의 모권론
1861년 요한 야코프 바흐오펜은 『모권: 고대 여성 지배의 종교적 및 법적 성격 연구』에서 부권제 사회 이전에 모권제 사회가 존재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권제 원시사회가 사랑과 모성에 기반한 반면, 부권제 사회는 이성에 기반하여 문명사회로 발전했다고 보았다. 바흐오펜의 사회진화론은 제인 엘런 해리슨을 비롯한 여러 민족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은 신화, 구전 전승, 신석기 시대 여성 우상 등을 근거로 고대 사회가 모권제였거나, 적어도 그 이전에 모권제 사회가 존재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우베 베젤은 바흐오펜의 신화 해석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364] 아서 에번스, 월터 버켓, 제임스 멜라르트 등 그리스로마학자들은 바흐오펜의 영향을 받아[365] 그리스 원시 사회에서 모권종교의 증거를 찾으려 했다.[366] 역사학자 수전 맨에 따르면, 2000년 현재 원시모권사회 단계의 실존을 믿는 학자는 거의 없다.[367]
4. 3. 소수민족 사회
모쒀족을 비롯한 일부 소수민족들이 가모장제 사회로 알려져 있지만, 많은 학자들은 이들이 가모장제 사회라기보다 단순 모계제 사회라고 판단한다.[50]4. 4. 고고학적 증거
바흐오펜은 1861년 『모권: 고대 여성지배의 종교적 및 법적 성격 연구』에서 부권제 사회 이전에 모권제 사회가 존재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권제 원시사회가 사랑과 모성에 기반했지만, 이성에 기반하는 부권제 문명사회로 진화하며 대체되었다고 보았다.[364] 바흐오펜의 사회진화론은 해리슨 등 여러 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이들은 신화, 구전 전승, 신석기 시대 여성 우상 등을 근거로 고대 사회가 모권제였거나 그 이전에 오랫동안 모권제 사회가 존재했다고 주장했다.[365]
1950년대부터 마리야 김부타스는 모권적 특성을 가진 신석기 시대 유럽의 '구 유럽 문화' 이론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청동기 시대에 원시 인도유럽인의 남성 중심 체제에 의해 대체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른 인류학자들은 여신 숭배나 모계 사회가 반드시 여성이 남성을 지배하는 모권제와 연관된 것은 아니라고 경고했다.[112]
5. 지역 및 문화별 사례
모권제라는 용어는 가족 관계 및 가족 생활 조직과 관련된 인류학적 개념으로, 모계 사회나 모계 거주와 혼동되기도 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세대 간의 관계를 나타내지만, 어머니 쪽 친척의 관점에서 아들과 딸 모두에게 적용되며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권제는 '남성에 대한 여성의 권력'이 아니라 가족 역학을 나타내는 개념이다.[50]
대부분의 인류학자들은 명백하게 모권적인 사회가 알려진 바 없으며, 권위 역할에서 반대 성별을 완전히 배제한 모권 사회는 없다고 본다.[59][60][61] J. M. 아도바시오, 올가 소퍼, 제이크 페이지에 따르면, 배제적 요소를 가진 모권 사회는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진 바 없다.[55] 인류학자 도널드 브라운은 공공 정치 문제에서 남성이 "지배적 요소"를 차지하는 것이 인간 문화 보편성 목록에 포함된다고 주장하며,[62] 이것이 주류 인류학의 현대적인 의견이라고 말한다.[63] 하빌랜드에 따르면, 여성의 통치가 남성의 통치에 앞섰다는 믿음은 "19세기 많은 지식인들이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4] 이 가설은 제2 물결 페미니즘 맥락에서 두드러지게 제기되었으며, 원주민 및 젠더 연구가 발전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피플스와 베일리에 따르면 모권자는 존재하며, "가족 및 친족 집단의 개별 모권자"가 있다.[3]
- '''아메리카 원주민'''
- 호피족(현재 애리조나주 북동부에 위치한 호피 보호구역에 거주)은 앨리스 슐레겔(Alice Schlegel)에 따르면 여성 우월주의를 기반으로 한 성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있었고, 이는 성적 평등이라는 사회적 현실 내에서 작동했다.[87] 르보는 슐레겔의 연구를 기반으로 호피족의 성 역할은 평등주의적이며 어떤 성도 열등하지 않다고 설명했다.[88] 호피 여성들은 정치적 의사 결정에 완전히 참여했다.[89] 슐레겔은 호피족이 모계 사회였고, 여전히 그렇다[91]고 언급하며, 가정 또한 모계 사회였다고 덧붙였다.[91]
- 이로쿼이 연맹은 미국이 국가가 되기 전에 5~6개의 아메리카 원주민 Haudenosaunee 국가 또는 부족을 결합한 것으로, 평화 대법전(The Great Binding Law of Peace)에 따라 운영되었다. 이 헌법은 여성들이 전쟁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연맹의 정치적 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94] 이는 모계 사회[95] 또는 여성 지배 사회[96]였을 수 있다. 더그 조지-카넨티오(Doug George-Kanentiio)에 따르면, 이 사회에서 어머니는 중심적인 도덕적, 정치적 역할을 수행한다.[97]
- '''아시아'''
- 방글라데시 실렛 및 마이멘싱 지역에는 카시와 가로이라는 주요 모계 사회가 두 곳 있다.[50]
- 중국 남서부에 거주하는 모쒀족은 대표적인 모권 사회 중 하나로 알려져 왔으나, 많은 학자들은 이들을 모계 사회로 본다.
- 인도 메갈라야 주에 거주하는 카시족은 대부분 모계 사회로 여겨지지만,[128] 일부 여성학 학자들은 카시족을 모권 사회로 간주한다.[128]
- '''유럽'''
- 타키투스는 저서 『게르마니아』에서 "시토네스족은 여성이 지배한다"고 주장했다.[65]
- 안네 헬레네 젤스타드는 에스토니아의 키흐누와 마니야 섬의 여성들을 "유럽의 마지막 모권 사회"라고 묘사했는데, "이곳의 나이 많은 여성들이 남편들이 바다를 여행하는 동안 육지에서 거의 모든 것을 돌보기" 때문이다.[66][67]
- 철기 시대부터 중세 시대에 걸쳐 나타난 여러 북서유럽 신화는 원초적인 여성 권력에 대한 모호한 에피소드를 담고 있으며, 이는 철기 시대의 기독교 이전 유럽 사회에서 모계 사회적 태도를 보여주는 민속적 증거로 해석되어 왔다.
- '''기타'''
- 1995년, 케냐에서 에밀리 왁스에 따르면, 약 36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한 부족의 여성들만 사는 마을인 우모자가 한 모권을 중심으로 설립되었다.[124]
- 유엔 및 기타 장소에서 다양한 토착 민족의 대변인들은 그들의 사회에서 여성의 중심적인 역할을 강조하며, 그들을 모권 사회로 칭하고, 가부장제에 의해 전복될 위험에 처해 있거나, 모권적 특성을 지닌다고 언급했다.[130][131]
5. 1. 고대 근동
''케임브리지 고대사''(1975)에 따르면 "최고 여신의 우세는 엘람 문명이 항상 어느 정도 특징으로 삼았던 모권제의 관행이 부계 사회에 의해 전복되기 전까지 반영된 것일 수 있다."[118]로흘리치에 따르면 "초기 수메르 도시 국가에서 '모권제는 흔적 이상을 남긴 것으로 보인다."
라파엘 파타이는 ''히브리 여신''에서 유대교는 순수한 일신교와는 거리가 멀며, 초기부터 강력한 다신교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 중 으뜸은 어머니 여신인 아세라 숭배였다고 썼다. 성경 《판관기》는 기원전 12세기에 아세라 숭배를 언급한다. 원래 가나안 여신이었던 아세라의 숭배는 가나안인과 통혼한 히브리인들에게 채택되었다. 아세라는 공개적으로 숭배되었고 조각된 나무 기둥으로 표현되었다. 고대 팔레스타인 전역에서 수많은 소형 누드 여성 조각상이 발견되었으며, 7세기 히브리어 텍스트는 아세라에게 출산을 돕도록 요청한다.[119]
쉐키나는 신성한 빛과 자비를 모두 구현하는 여성적 성령의 이름이다. 쉐키나는 어머니와 관련된 다양한 특성을 보여주며, 병들고 낙담한 사람들을 위로하고, 유대인들이 추방될 때마다 동행하며, 죄인들에게 보복을 가하기보다는 자비를 베풀도록 신에게 중재한다. 파타이에 따르면 쉐키나는 히브리 성경의 창조물은 아니지만, 서기 1~2세기에 성경의 약간 늦은 아람어 번역본에 나타난다. 처음에는 하나님의 임재로 묘사되었지만, 나중에는 하나님과 구별되어 더 많은 물리적 속성을 갖게 된다.[120]
5. 2. 유럽
타키투스는 저서 『게르마니아』에서 "시토네스족은 여성이 지배한다"고 주장했다.[65] 시토네스|la는 서기 1세기에 북유럽에 살았던 게르만족 또는 핀족이다.안네 헬레네 젤스타드는 에스토니아의 키흐누와 마니야 섬의 여성들을 "유럽의 마지막 모권 사회"라고 묘사했는데, "이곳의 나이 많은 여성들이 남편들이 바다를 여행하는 동안 육지에서 거의 모든 것을 돌보기" 때문이다.[66][67]
철기 시대부터 중세 시대에 걸쳐 나타난 여러 북서유럽 신화, 즉 아일랜드 신화(예: 마하와 스카하크), 브리튼어(예: 리안논), 게르만족(예: 그렌델의 어머니와 네르투스) 신화는 원초적인 여성 권력에 대한 모호한 에피소드를 담고 있으며, 이는 철기 시대의 기독교 이전 유럽 사회에서 모계 사회적 태도를 보여주는 민속적 증거로 해석되어 왔다. 종종 회고적이고 가부장적이며, 로마화되고 가톨릭적인 관점에서 기록되었지만, 여성 권력이 우세했던 이전 시대를 암시한다. 1세기 영국의 역사적 인물인 부디카는 브리튼 사회가 명시적인 여성 자치나 당시 이를 전복한 가부장적 지중해 문명과는 매우 대조적인 형태의 성 평등을 허용했음을 보여준다.
5. 3. 아시아
방글라데시의 실렛 및 마이멘싱 지역에는 카시와 가로이라는 주요 모계 사회가 두 곳 있다.[50] 이들은 가족 관계와 생활을 모계 중심으로 조직한다. 모계 사회는 어머니 쪽 친척을 중심으로 아들과 딸 모두에게 적용되지만,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지 않아 '남성에 대한 여성의 권력'을 의미하는 모권제와는 다르다.중국 남서부에 거주하는 모쒀족은 대표적인 모권 사회 중 하나로 알려져 왔으나, 많은 학자들은 이들을 모계 사회로 본다. 현재도 가족 내 유일한 상속자는 딸이다.[122][123] 1990년 이후 외국 관광이 허용되면서 관광객들이 모쒀족을 방문하기 시작했고, 관광 산업은 경제를 부흥시키고 빈곤에서 벗어나게 했지만, 외부인들이 모쒀족의 문화를 경멸하면서 사회 구조 또한 변화했다.[122][123]
인도 메갈라야 주에 거주하는 카시족은 대부분 모계 사회로 여겨지지만,[128] 일부 여성학 학자들은 카시족을 모권 사회로 간주한다.[128] 카시족은 가족의 모계를 통해 혈통을 추적하며, 남편은 보통 아내의 집으로 이사하고, 부부는 자녀 양육에 동등하게 참여한다.[128] 전통적으로 막내딸이 조상의 재산을 물려받아 관리하며, 2021년 현재도 재산은 가족의 여성에게 상속되는 등 여성 중심의 관습이 이어지고 있다.[129]
5. 4. 아메리카 원주민
앨리스 슐레겔(Alice Schlegel)에 따르면, 호피족(현재 애리조나주 북동부에 위치한 호피 보호구역에 거주)은 여성 우월주의를 기반으로 한 성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있었고, 이는 성적 평등이라는 사회적 현실 내에서 작동했다.[87] 르보(Schlegel의 연구에 기반)는 호피족의 성 역할은 평등주의적이며 어떤 성도 열등하지 않다고 설명했다.[88] 호피 여성들은 정치적 의사 결정에 완전히 참여했다.[89] 슐레겔은 호피족이 모계 사회였고, 여전히 그렇다[91]고 언급하며, 가정 또한 모계 사회였다고 덧붙였다.[91]슐레겔은 여성 우월주의가 존재했던 이유를 호피족이 생명을 최고의 선으로 믿었고, 여성과 어머니 지구에서 활성화된 여성 원리를 그 근원으로 삼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93] 또한 호피족은 이웃과의 경쟁 관계가 없었기 때문에 군대가 필요하지 않았다.[92] 여성은 씨족과 가정 제도의 중심이었으며, (정치 및 의례 시스템 내에서의 남성 주도와는 대조적으로) 경제 및 사회 시스템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92] 예를 들어, 씨족 어머니는 남성이 토지 분배를 부당하게 한다고 판단하면 이를 뒤집을 권한을 가졌는데, 이는 강력하게 중앙집권화된 남성 중심의 정치 구조가 없었기 때문이다.[93]
미국이 국가가 되기 전에 5~6개의 아메리카 원주민 Haudenosaunee 국가 또는 부족을 결합한 이로쿼이 연맹은 평화 대법전(The Great Binding Law of Peace)에 따라 운영되었는데, 이 헌법은 여성들이 전쟁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연맹의 정치적 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94] 이는 모계 사회[95] 또는 여성 지배 사회[96]였을 수 있다. 더그 조지-카넨티오(Doug George-Kanentiio)에 따르면, 이 사회에서 어머니는 중심적인 도덕적, 정치적 역할을 수행한다.[97] 이 헌법이 시행된 정확한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연맹은 약 1000년에서 1450년 사이에 형성되었지만, 헌법은 1880년경에 기록되기 전까지 구전으로 전해졌다.[98] 연맹은 여전히 존재한다.
조지-카넨티오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우리 사회에서 여성은 모든 것의 중심입니다. 우리는 자연이 여성에게 창조 능력을 부여했다고 믿습니다. 따라서 여성이 이 기능을 보호하기 위해 권력의 자리에 있는 것은 당연합니다. ... 우리는 여성을 통해 씨족을 추적했습니다. 세상에 태어난 아이는 어머니의 씨족 구성원을 따랐습니다. 우리 젊은 여성들은 신체적으로 강해야 했습니다. ... 젊은 여성들은 전통적인 작물 재배에 대한 공식적인 교육을 받았습니다. ... 이로쿼이족은 그들이 재배한 작물에 절대적으로 의존했기 때문에, 이 중요한 활동을 통제하는 사람은 우리 공동체 내에서 큰 권력을 행사했습니다. 우리는 여성이 생명을 주는 자이므로 자연스럽게 우리 국민의 식량을 조절한다고 믿었습니다. ... 모든 나라에서 진정한 부는 토지와 그 자원의 통제에서 비롯됩니다. 우리 이로쿼이 철학자들은 이것을 자연법을 아는 것처럼 잘 알고 있었습니다. 우리에게는 여성이 어머니 지구의 리듬에 훨씬 더 민감하기 때문에 여성이 땅을 통제하는 것이 합리적이었습니다. 우리는 땅을 소유하지 않고 그것의 관리인이었습니다. 우리 여성들은 공동체를 어디에 건설할지, 땅을 어떻게 사용할지 등 영토와 관련된 모든 문제를 결정했습니다. ... 우리 정치 시스템에서 우리는 완전한 평등을 명령했습니다. 우리의 지도자들은 임명이 대중의 검토를 받기 전에 여성 회의에서 선택되었습니다. ... 우리의 전통적인 정부는 남성과 여성의 동일한 수로 구성됩니다. 남자는 추장이고 여성은 씨족 어머니입니다. ... 지도자로서 여성은 남성의 행동을 면밀히 감시하고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모든 법률에 거부권을 행사할 권리를 보유합니다. ... 우리 여성은 정치적, 경제적 권력의 고삐를 쥐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명을 앗아가는 모든 문제를 결정할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쟁 선포는 여성의 승인을 받아야 했고, 평화 조약은 그들의 심의를 거쳐야 했습니다.[97]
5. 5. 한국
모권제라는 용어는 가족 관계 및 가족 생활 조직과 관련된 인류학적 개념으로, 모계 사회나 모계 거주와 혼동되기도 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세대 간의 관계를 나타내지만, 어머니 쪽 친척의 관점에서 아들과 딸 모두에게 적용되며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권제는 '남성에 대한 여성의 권력'이 아니라 가족 역학을 나타내는 개념이다.[50]대부분의 인류학자들은 명백하게 모권적인 사회가 알려진 바 없으며, 권위 역할에서 반대 성별을 완전히 배제한 모권 사회는 없다고 본다.[59][60][61] J. M. 아도바시오, 올가 소퍼, 제이크 페이지에 따르면, 배제적 요소를 가진 모권 사회는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진 바 없다.[55] 인류학자 도널드 브라운은 공공 정치 문제에서 남성이 "지배적 요소"를 차지하는 것이 인간 문화 보편성 목록에 포함된다고 주장하며,[62] 이것이 주류 인류학의 현대적인 의견이라고 말한다.[63]
하빌랜드에 따르면, 여성의 통치가 남성의 통치에 앞섰다는 믿음은 "19세기 많은 지식인들이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4] 이 가설은 제2 물결 페미니즘 맥락에서 두드러지게 제기되었으며, 원주민 및 젠더 연구가 발전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피플스와 베일리에 따르면 모권자는 존재하며, "가족 및 친족 집단의 개별 모권자"가 있다.[3]
6. 여성주의에서의 사용
모권제 개념은 인류학에서는 거의 폐기되었지만, 여성주의에서는 여전히 유효한 개념으로 남아있다.[368][369]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 마거릿 풀러 등(둘 중 누가 먼저인지는 불확실함) 제1세대 여성주의 담론에서 모권제를 처음 소개했고,[370] 이 담론에 마틸다 조슬린 게이지도 참여했다.[371] 샬럿 퍼킨스 길먼은 "여성 중심적인, 보다 어머니 중심적인 세상"을 주장했다.
문화 여성주의에는 "모권 숭배"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381]
급진적 여성주의에서는 가부장제를 모든 악의 근원으로 보았다.[382] 극소수 여성주의자(대개 급진적 여성주의자들)는 남녀 양성으로 이루어진 사회를 통치하는 것은 여성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68][369] 페미니스트 문학 목록에서 모권제와 부계제는 서로의 단순한 거울상으로 여겨지지 않는다.[157] "모권제"가 때때로 "여성의 정치적 지배"를 의미하지만,[158] 그러한 의미는 모권제가 부계제의 거울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종종 거부된다.[159] 스타호크는 부계제는 타인에 대한 권력에 관한 것이고 모권제는 내부로부터의 권력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는 옹호의 한 형태이다. 티네케 빌레멘에 따르면,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는 ... 적어도 여성들이 살고 싶어하는 곳에 대한 묘사가 될 것이다."[163]
일부 페미니스트들은 과거의 모권제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모권제를 옹호하기도 한다.
- 린다 제릴리 교수에 따르면, "고대 모권제 ... [는 '2차 페미니즘 초기에'] 여성의 자유의 잃어버린 대상이었다."[193]
- 질 존스턴은 미래에 "과거 모권제의 영광과 현명한 평정을 회복"하는 것을 상상했고[200], "레즈비언을 상상의 급진적 국가로 구성하는 것을 상상하고 국가와 생물학의 조화로의 복귀를 외쳤다."[201]
- 엘리자베스 굴드 데이비스는 "구[옛] 부계적 혁명을 대체하는 모권적 반혁명이 인류 생존의 유일한 희망"이라고 믿었다.[204]
평등주의적 모권제에 대해[218], 하이데 굣트너-아벤드로트의 현대 모권제 연구 및 모권적 영성에 관한 국제 학술원(HAGIA)은 컨퍼런스를 개최했다.[219][220][221]
엘러에 따르면, 미래 모권제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 남성의 능력에 대한 깊은 불신"은 "부계적 통제로의 복귀를 막기 위해 적어도 어느 정도 여성 지배권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226] "페미니스트 ... [는] 여성의 지배가 현재의 세계 질서보다 사회에 더 좋고 남성에게 더 좋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으며"[227], 평등주의도 마찬가지다.
"인구 통계학적으로"[228], "페미니스트 모권주의자들은 전반에 걸쳐 활동한다"[228] 그러나 주로 "백인, 교육 수준이 높고, 중산층 서클에 있다"[228]
남성 또는 여성이 서로보다 우월하다는 근거로 생물학을 주장하는 것은 앤드리아 드워킨[229]과 로빈 모건[230]에 의해 무효로 비판되었다.
페미니스트인 크리스틴 스탠셀 교수는 페미니스트가 국가 권력을 획득하려면 여성이 남성과 민주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썼다.
6. 1. 제1세대 여성주의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과 마거릿 풀러는 제1세대 여성주의 담론에서 모권제 개념을 처음 소개한 인물들이다.[370] 이들 중 누가 먼저 이 개념을 제시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마틸다 조슬린 게이지 역시 이 담론에 참여했다.[371]
1871년, 빅토리아 우드헐은 미국 정부가 여성에게 개방되지 않으면 1년 안에 새로운 헌법과 정부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372] 그녀는 평등권을 주장하며 1872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373][374]
1911년과 1914년, 샬롯 퍼킨스 길먼은 "여성 중심적, 또는 더 나아가 어머니 중심의 세상"[376]과 "여성이 운영하는 정부"[377]를 만들자고 주장했다. 길먼은 남성과 여성이 서로 다른 특질을 가지고 있어[378] 양성 모두 "유용"하며[379], 정부 운영에 있어 상호 협력해야 한다고 보았다.[380]
6. 2. 제2세대 여성주의
모권제 개념은 인류학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여성주의에서는 여전히 유효한 개념으로 남아있다.[368][369]제2세대 여성주의에서는 모권제 신화가 널리 받아들여졌다.[194] 린다 제릴리 교수에 따르면, "고대 모권제는 제2세대 여성주의 초기에 여성의 자유의 잃어버린 대상이었다."[193]
급진적 여성주의에서는 가부장제를 모든 문제의 근원으로 보았다.[382] 극소수의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이 남녀 양성으로 이루어진 사회를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68][369]
일부 페미니스트들은 과거의 모권제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모권제를 옹호했다.
- 엘리자베스 굴드 데이비스는 "옛 부계적 혁명을 대체하는 모권적 반혁명이 인류 생존의 유일한 희망"이라고 믿었다.[204]
- 질 존스턴은 미래에 "과거 모권제의 영광과 현명한 평정을 회복"하는 것을 상상했다.[200]
문화 페미니즘에는 "모권 숭배"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는 주장도 있다.[381]
하지만, 모권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 캐서린 라운트리에 따르면, 부계제 이전의 "황금 시대"에 대한 믿음은 학문적 기반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196]
- 하비 C. 맨스필드 교수는 "증거는 ... 거의 모든 시대에 모든 사회를 지배하는 남성에 대한 것이다"라고 썼다.[197]
6. 3. 급진적 여성주의
급진적 여성주의는 가부장제를 모든 문제의 근원이라고 본다.[382] 이들은 사회가 남녀 양성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여성이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368][369]일부 페미니스트들은 멕시카 사회가 모권제에서 부권제로 변화했다는 우화로 코요르사우키와 그녀의 형제 우이칠로포치틀리를 둘러싼 신화를 해석하기도 한다.[132]
급진 페미니스트에게 모권제의 중요성은 "여성 원칙에 대한 존경 ... 억압적인 시스템을 다소 완화한다"는 것이다.[162]
여러 급진적 여성주의자들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 앤드리아 드워킨은 저서 『희생양: 유대인, 이스라엘, 여성 해방』에서 이스라엘과 유사하게 "잠재적 피난처" 역할을 할 "여성의 땅"인 "여성국"을 여성들이 갖기를 원한다고 밝혔다.[165][166]
- 스타호크는 소설 『다섯 번째 성스러운 것』(1993)에서 "여성이 사회를 이끌지만 남성의 동의를 얻는 유토피아"에 대해 썼다.[168]
- 필리스 체슬러는 『여성과 광기』(2005년 및 1972년)에서 페미니스트 여성은 "공공 및 사회 기관을 ''지배''해야 한다"고 썼다.[169]
- 모니크 위티그는 허구(사실이 아님)로 "여성 국가"라고 주장하는 묘사와 함께 『레 게릴리에르』를 저술했다.[175][176]
- 메리 데일리는 1990년대에 (출판된 경우) 여성들이 다스리는 "장소"인 해그-오크라시(hag-ocracy)에 대해 썼고,[187] 남근 중심적 규칙을 뒤집는 것에 대해 썼다.[188][189]
- 라사 폰 베르더는 또한 오랫동안 부계제에 의해 전복되기 전의 모권제 복귀와 관련 저자 윌리엄 본드와 함께 그 지위를 회복할 것을 옹호해 왔다.[192]
- 엘리자베스 굴드 데이비스는 "정신적 힘",[205] "정신적 및 영적 선물",[205] "초감각적 지각"[205]이 더 중요할 것이고 따라서 "여성이 ... 우세할 것"이며,[205] 그녀가 존재한다고 믿었던 과거처럼, "다음 문명이 ... 회전할 ["여성"에 관한] 것"이라고 믿었다.[205]
- 로빈 모건은 여성이 "여성 지배적 ''세상''"을 위해 싸우고 만들었다고 썼다.[212]
6. 4. 문화 여성주의
문화여성주의에는 제임스 페너 교수에 따르면 "모권 숭배"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381]6. 5. 현대 여성주의 논의
모권제 개념은 인류학에서는 거의 폐기되었지만, 여성주의에서는 여전히 유효한 개념으로 남아있다.[368][369]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 마거릿 풀러 등 1세대 여성주의 담론에서 모권제 개념이 처음 소개되었고,[370] 마틸다 조슬린 게이지도 이 담론에 참여했다.[371] 빅토리아 우드헐은 1871년 미국 정부가 여성에게 개방되지 않으면 1년 안에 새로운 헌법과 정부를 만들겠다고 주장하며,[372] 1872년 평등권을 근거로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다.[373][374] 샬럿 퍼킨스 길먼은 1911년과 1914년에[375] "여성 중심적인, 보다 어머니 중심적인 세상,"[376] "여성이 운영하는 정부"를 만들자고 주장했다.[377] 길먼은 남성과 여성이 서로 다른 특질을 가지고 있어[378] 양성이 모두 "유용"하며,[379] 정부를 운영하며 상호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80]
문화여성주의에는 제임스 페너 교수에 따르면 "모권 숭배"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381]
급진적 여성주의에서는 가부장제를 모든 악의 근원으로 본다.[382] 극소수 여성주의자(대개 급진적 여성주의자들)는 여성이 남녀 양성으로 이루어진 사회를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68][369]
코요르사우키와 그녀의 형제 우이칠로포치틀리를 둘러싼 신화는 Cherríe Moraga와 같은 일부 페미니스트 학자들에 의해 초기 멕시카 사회에서 모권제에서 부권제로의 실제 생활 변화에 대한 우화로 해석되었다.[132]
1차 페미니즘 담론에서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 또는 마거릿 풀러 (누가 먼저였는지는 불분명)가 모권제 개념을 도입했으며[145], 이 담론에는 마틸다 조슬린 게이지가 참여했다.[146] 빅토리아 우드헐은 1871년에 미국 정부가 여성에게 개방되지 않으면 1년 안에 새로운 헌법과 정부가 구성될 것이라고 요구했고,[147] 평등을 기반으로 1872년에 대통령에 출마했다.[148][149] 샬럿 퍼킨스 길먼은 1911년과 1914년에[150] "여성 중심, 또는 더 나아가 어머니 중심의 세상"[151]을 주장하며 "여성에 의한 정부"를 묘사했다.[152] 그녀는 어느 성별에 의해 이끌어지는 정부든 다른 성별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153] 남성과 여성은 서로 다른 자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155], 두 성별 모두 "유용하며 ... 우리의 정부에서 똑같이 사용되어야 한다"[154]고 주장했다.
문화 페미니즘은 제임스 페너 교수에 따르면 "모권제 숭배"를 포함한다.[156]
페미니스트 문학 목록에서 모권제와 부계제는 서로의 단순한 거울상으로 여겨지지 않는다.[157] "모권제"가 때때로 "여성의 정치적 지배"를 의미하지만,[158] 그러한 의미는 모권제가 부계제의 거울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종종 거부된다.[159] 부계제는 타인에 대한 권력에 관한 것이고 모권제는 내부로부터의 권력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하며,[157] 스타호크는 그 구분에 대해 글을 썼고[157][160], 아들러는 모권적 권력이 소유적이지 않고 통제적이지 않으며 자연과 조화를 이룬다고 주장하며, 여성은 착취적인 목적 없이 권력을 사용하는 능력이 독특하다고 주장했다.
급진 페미니스트에게 모권제의 중요성은 "여성 원칙에 대한 존경 ... 억압적인 시스템을 다소 완화한다"는 것이다.[162]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는 옹호의 한 형태이다. 티네케 빌레멘에 따르면,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는 ... 적어도 여성들이 살고 싶어하는 곳에 대한 묘사가 될 것이다."[163] 빌레멘은,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강조하는 페미니스트에서 비롯된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유형들 중 하나는 여성의 지위가 남성의 지위보다 더 나은 사회를 이상적인 세상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다양한 형태의 모권제가 있으며, 심지어 그리스 신화의 아마존과 유사한 유토피아도 있다.... [현대의] 유토피아 중 여성들이 절대적인 독재자인 경우는 거의 없다."라고 덧붙였다.[164]
일부 페미니스트, 일반적으로 급진 페미니즘,[143][144]은 여성이 여성과 남성의 사회를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모든 옹호에서 통치하는 여성은 어머니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 앤드리아 드워킨은 저서 『희생양: 유대인, 이스라엘, 여성 해방』에서 이스라엘과 유사하게 "잠재적 피난처" 역할을 할 "여성의 땅"인 "여성국"을 여성들이 갖기를 원한다고 밝혔다.[165][166]
- 스타호크는 소설 『다섯 번째 성스러운 것』(1993)에서 "여성이 사회를 이끌지만 남성의 동의를 얻는 유토피아"에 대해 썼다.[168]
- 필리스 체슬러는 『여성과 광기』(2005년 및 1972년)에서 페미니스트 여성은 "공공 및 사회 기관을 ''지배''해야 한다"고 썼다.[169]
- 모니크 위티그는 허구(사실이 아님)로 "여성 국가"라고 주장하는 묘사와 함께 『레 게릴리에르』를 저술했다.[175][176]
- 메리 데일리는 1990년대에 (출판된 경우) 여성들이 다스리는 "장소"인 해그-오크라시(hag-ocracy)에 대해 썼고[187], 남근 중심적 규칙을 뒤집는 것에 대해 썼다.[188][189]
- 라사 폰 베르더는 또한 오랫동안 부계제에 의해 전복되기 전의 모권제 복귀와 관련 저자 윌리엄 본드와 함께 그 지위를 회복할 것을 옹호해 왔다.[192]
그러한 옹호 중 일부는 과거의 모권제에 대한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
- 린다 제릴리 교수에 따르면, "고대 모권제 ... [는 '2차 페미니즘 초기에'] 여성의 자유의 잃어버린 대상이었다."[193]
- 질 존스턴은 미래에 "과거 모권제의 영광과 현명한 평정을 회복"하는 것을 상상했고[200], "레즈비언을 상상의 급진적 국가로 구성하는 것을 상상하고 국가와 생물학의 조화로의 복귀를 외쳤다."[201]
- 엘리자베스 굴드 데이비스는 "구[옛] 부계적 혁명을 대체하는 모권적 반혁명이 인류 생존의 유일한 희망"이라고 믿었다.[204]
- 페미니스트라는 이름의 한 단체는 모권제에 관심을 가졌으며[208] 1960년대 급진 페미니스트 여성 해방 그룹 중 가장 큰 그룹 중 하나였다.[209]

- 로빈 모건은 여성이 "여성 지배적 ''세상''"을 위해 싸우고 만들었다고 썼다.[212]
일부 소설은 반드시 그것을 옹호하지 않으면서, 뒤집힌 모권적 대안을 묘사함으로써 현재의 성별 계층을 희화화했다. 카린 쇤플루크에 따르면, "게르트 브란텐베르그의 『에갈리아의 딸들』은 권력 관계가 완전히 뒤집힌 희화화로, 여성은 최고이며 남성은 비하되고 억압된 그룹이다"[214]
평등주의적 모권제에 대해[218], 하이데 굣트너-아벤드로트의 현대 모권제 연구 및 모권적 영성에 관한 국제 학술원(HAGIA)은 2003년 룩셈부르크에서[219], 2005년 텍사스에서 컨퍼런스를 개최했으며,[220][221] 논문이 출판되었다.[222]
엘러에 따르면, 미래 모권제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 남성의 능력에 대한 깊은 불신"은 "부계적 통제로의 복귀를 막기 위해 적어도 어느 정도 여성 지배권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226] "페미니스트 ... [는] 여성의 지배가 현재의 세계 질서보다 사회에 더 좋고 남성에게 더 좋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으며"[227], 평등주의도 마찬가지다.
"인구 통계학적으로"[228], "페미니스트 모권주의자들은 전반에 걸쳐 활동한다"[228] 그러나 주로 "백인, 교육 수준이 높고, 중산층 서클에 있다"[228]
남성 또는 여성이 서로보다 우월하다는 근거로 생물학을 주장하는 것은 앤드리아 드워킨[229]과 로빈 모건[230]에 의해 무효로 비판되었다.
페미니스트인 크리스틴 스탠셀 교수는 페미니스트가 국가 권력을 획득하려면 여성이 남성과 민주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썼다.
7. 대중문화 속 모권제
현대 페미니즘에서 '모권제'는 인류학적 설명보다는 여전히 하나의 개념으로 통용된다.[143][144] 1차 페미니즘 담론에서는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이나 마거릿 풀러가 모권제 개념을 도입했으며,[145] 마틸다 조슬린 게이지 등이 이 담론에 참여했다.[146] 샬럿 퍼킨스 길먼은 1911년과 1914년에 "여성 중심, 또는 더 나아가 어머니 중심의 세상"[151]을 주장하며 "여성에 의한 정부"를 묘사했다.[150][152]
문화 페미니즘은 제임스 페너 교수에 따르면 "모권제 숭배"를 포함한다.[156] 페미니스트 문학 목록에서 모권제와 부계제는 서로의 단순한 거울상이 아니다.[157] 스타호크는 부계제는 타인에 대한 권력, 모권제는 내부로부터의 권력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하며,[157][160] 모권적 권력은 소유적이지 않고 통제적이지 않으며 자연과 조화를 이룬다고 설명한다.
급진 페미니즘에서 모권제는 "여성 원칙에 대한 존경"을 통해 억압적인 시스템을 완화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162] 일부 급진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이 사회를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했다.[143][144] 앤드리아 드워킨은 "여성의 땅"인 "여성국"을 원했고,[165][166] 스타호크는 소설 『다섯 번째 성스러운 것』(1993)에서 "여성이 사회를 이끌지만 남성의 동의를 얻는 유토피아"를 썼다.[168] 필리스 체슬러는 여성이 생산 수단을 통제할 때 더 잘 된다고 썼고,[170] 모니크 위티그는 『레 게릴리에르』에서 "여성 국가"를 묘사했다.[175][176] 메리 데일리는 여성들이 다스리는 "장소"인 해그-오크라시(hag-ocracy)를 언급했다.[187]
하이데 굣트너-아벤드로트의 현대 모권제 연구 및 모권적 영성에 관한 국제 학술원(HAGIA)은 모권제가 성별 측면에서 평등주의적이며, 성별 계층이 없다고 주장했다.[223]
일부 소설은 모권적 대안을 묘사함으로써 현재의 성별 계층을 희화화한다. 카린 쇤플루크에 따르면, 게르트 브란텐베르그의 『에갈리아의 딸들』은 권력 관계가 완전히 뒤집혀 여성이 최고이고 남성은 비하되고 억압된 그룹이다.[214]
7. 1. 고대 연극
기원전 390년경, 아리스토파네스는 여성들이 입법 권력을 얻어 제한적인 평등 원칙에 따라 아테네를 통치하는 내용의 희극, ''여인들의 축제''를 썼다.[325] 이 극에서 여성 등장인물 프락사고라는 여성들이 남성보다 우월하기 때문에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선출되어 직무를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공개적으로 통치할 권리를 주장하지는 않는다.[325] 이 희극은 여성들이 실망을 막기 위해 정치를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통치하고, 긍정적 차별 조치가 이성 관계에 적용될 것이라고 시사한다.[325] 아테네가 여성이 투표하거나 통치할 수 없는 남성만의 민주주의였을 때 쓰여진 이 희극에서 여성들은 소극적이고 비현실적으로 묘사되어 통치할 자격이 없는 것으로 그려졌다.[325] 이 희극은 여성이 집에 머물러야 한다는 주제에 대한 우화였다.[326]7. 2. 문학
코요르사우키와 그녀의 형제 우이칠로포치틀리를 둘러싼 신화는 Cherríe Moraga와 같은 일부 페미니스트 학자들에 의해 초기 멕시카 사회에서 모권제에서 부권제로의 실제 생활 변화에 대한 우화로 해석되었다.[132]작가 | 작품명 | 출판 연도 | 내용 |
---|---|---|---|
엘리자베스 버고인 코베트 | 미래의 맛보기 | 1889 | 뉴 아마조니아의 모든 정치 지도자 역할은 여성만 맡도록 되어 있다는 점에서 모권적이다.[327] |
로키아 사카와트 후세인 | 술타나의 꿈 | 1905 | 여성에 의해 개발된 첨단 과학 기술을 기반으로 한 초기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로, 여성들이 운영하는 사회인 레이디랜드가 배경이다. "남성의 권력은 빼앗겨 여성에게 주어지고" 남성은 격리되어 주로 가사 업무를 수행한다.[328] |
마리온 짐머 브래들리 | 이시스의 폐허 | 1978 | "여성 우월주의 세계"를 배경으로 한다.[329] |
마리온 짐머 브래들리 | 아발론 연대기 | 1983 | 아발론은 모권 문화가 있는 섬이다.[330] |
오슨 스콧 카드 | 죽은 자의 대변인 | 1986 | 숲 속의 외계 종족인 페키니뇨는 모두 모권적이다.[331] |
셰리 S. 테퍼 | 여인의 나라로 가는 문 | 1988 | 여성의 나라에 사는 유일한 남자는 여성의 하인인 "종사자"이다.[332] |
엘리자베스 보나르부르 | 크로니클 드 페이 데 메르 (영문: 어머니의 땅에서) | 1992 | 유전적 돌연변이로 인해 여성이 남성보다 70대 1로 많은 모권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333] |
N. 리 우드 | Master of None | 2004 | "남성이 법적 권리가 없는 닫힌 모권 세계"를 배경으로 한다.[334] |
웬 스펜서 | A Brother's Price | 2005 | "여성이 지배하고", "소년은 드물고 가치 있지만 자유롭지 않으며", "소년은 결혼할 때까지 요리와 육아를 위해 집에 갇혀 있는" 세계를 배경으로 한다.[335] |
엘리자베스 베어 | 카니발 | 2006 | 엄격하고 무자비한 인구 통제와 지구에서 시행된 환경 보호를 피하는 모권적이고 주로 레즈비언 인구가 있는 식민 행성인 뉴 아마조니아를 소개한다. 아마존족은 공격적이고 호전적이며, 생식과 봉사를 위해 용인하는 소수의 남성을 예속시키지만, 또한 실용적이고 남성 중심의 연합으로부터의 자유를 옹호한다.[336] |
나오미 올더먼 | 더 파워 | 2016 | 여성은 손가락에서 전기 충격을 방출하는 능력을 갖게 되어 지배적인 성이 된다.[337] |
진 M. 오엘 | 지구의 아이들 | 1980–2011 | |
SCP 재단 | Daevites는 여성이 종교 및 정치 지도자 역할을 맡고 남성이 노예 역할을 하는 고대 사회이다.[338] |
7. 3. 영화
- 2011년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화성이 필요해》에서 화성은 감독관으로만 알려진 여성 화성인이 통치하는데, 그녀는 오래전에 모든 남성 화성인을 지하 쓰레기통으로 보내고 모든 여성을 기능하는 사회에 두었다. 이 영화는 감독관이 설명할 수 없는 이유로 화성 사회가 운영되는 방식을 (부모가 아이를 양육하는 방식에서) 화성 아이가 "보모봇"에 의해 양육되는 방식으로 바꾼다는 것을 보여준다. 감독관은 25년마다 한 명의 지구 엄마를 희생시켜 그 엄마의 질서, 훈련, 통제에 대한 지식을 보모봇에게 전달하여 여성 화성인을 양육하게 한다.
- 2023년 영화 《바비》는 의사, 과학자, 변호사, 정치인과 같은 직책을 가진 바비들이 전적으로 지배하고, 켄들이 해변에서 시간을 보내는 세계(바비랜드)를 묘사한다.
- 스페셜 에피소드 파워퍼프 걸의 《파워퍼프 걸 규칙!!!》에서, 블로섬은 여성만이 투표하고 "냄새나고 멍청한" 남자는 집안일에 전념하는 아프리카 코끼리를 기반으로 한 사회를 원했다.
- 《퓨처라마》 에피소드 《기분 좋은 아마존 여성》에서, 승무원들은 거대한 근육질 여성들이 지배하는 행성에 착륙한다.
- 요시나가 후미의 만화 《오오쿠: 대내》는 2004년부터 2020년까지 출판되었으며, 남성 인구의 대부분이 질병으로 사망하여 모계 사회가 되는 일본의 대체 역사를 따른다. 이 작품은 미국에서는 2023년 넷플릭스에서 동명의 제목으로 각색되어 가장 잘 알려져 있다.[339]
8. 종교적 관점
일부 신학과 신정 정치 체제는 여성의 공직, 공공 지도자 역할, 투표를 제한하거나 금지하여 모권제를 비판하고 금지한다.[269]
- 이슬람교에서는 일부 학자들이 여성의 정치 지도력을 제한해야 한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270] 이는 무함마드의 하디스에서 비롯된 것으로, "지도자가 여성이면 번성하지 못할 것이다"라는 말이 있다.[271] 그러나 하디스의 전승, 맥락, 의미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었다.[275] 이 금지는 "혼합된 모임"에서 여성의 기도 인도 금지에서 확장된 것으로 여겨지며, 국가 원수에 대해서만 적용된다는 언급도 있다.[276] 예외적으로 여성의 정치 지도력이 일반적인 수용 없이 받아들여진 경우도 있다.[278] 무슬림 형제단은 여성은 대통령이나 국가 원수가 될 수 없지만 다른 공직은 맡을 수 있다고 밝혔다.[280] 유럽의 이슬람주의자 8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80%는 여성이 국가 지도자가 될 수 없다고 답했고, 75%는 여성이 다른 고위직을 맡을 수 있다고 답했다.[281] 이란에서는 법이나 이슬람교에 따라 내려진 판결로 인해 여성이 때때로 일부 정치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금지되었다.[285][286]
- 랍비 유대교에서는 정통파 지도자들 사이에서 여성의 공직 진출이 국가의 존립을 위협할 것이라는 입장이 있었다.[288] 이스라엘이 CEDAW를 비준했을 때, 여성의 종교 법정 출석을 금지하는 종교 공동체에 대해서는 그 시행을 유보했다.[290] 결혼 문제를 심판하는 재판소는 종교법과 관습에 따라 전적으로 남성으로 구성되어 있다.[291]
- 불교에서는 일부에서 "부처가 여성의 승가 입회를 망설였다"고 주장하며,[294] 이는 수도 공동체와 불교 자체의 가르침의 종말을 앞당길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버마, 캄보디아, 라오스, 스리랑카, 태국과 같은 특정 불교 국가에서는 여성의 승가 입회를 범주적으로 거부한다.[295]
- 인도의 힌두교에서는 라슈트리야 스와얌세바크 상그가 여성이 힌두 민족주의 정치 지도자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였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297] 여성 단체인 라슈트리야 세비카 사미티는 여성이 힌두 민족주의 정치 지도자가 될 수 있다고 믿으며, 의회에서 두 명을 훈련시켰지만, 여성을 예외로만 간주한다.[299]
- 개신교 기독교에서는 존 녹스가 ''여성의 괴물 같은 통치에 반대하는 첫 번째 나팔''을 썼다.[300] 그는 여성의 통치가 신학적으로 자연에 반한다고 주장했다.[302] 사도 바울의 가르침에 근거하여 여성의 가르침이나 남성에 대한 권한 찬탈에 반대했다.[303] 존 칼빈은 여성의 통치가 자연의 질서에서 벗어난 것이라고 말했지만, 여성의 왕국 통치 상속권에 항상 의문을 제기하지는 않았다.[316] 하인리히 불링거는 여성의 통치가 하나님의 율법에 반한다고 주장했지만, 그러한 통치에 반대하는 데 항상 그 이유를 사용하지는 않았다.[317]
페미니스트 여신학은 인류가 "여성 통치 또는 평등주의 사회"로 시작되었다가 가부장제에 의해 대체되었고, 미래에는 "여성 중심적이고 생명을 사랑하는 가치관"이 다시 부각될 것이라고 본다.[323]
비판 중에는 미래의 모권제가 영성의 반영으로서 비역사적으로 여겨져 세속적 페미니스트에게는 비현실적인 목표일 수 있다는 점이 있다.[227]
참조
[1]
서적
Women at the Center: Life in a Modern Matriarchy
Cornell University Press
2002
[2]
웹사이트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3-11-03
[3]
간행물
2012
[4]
서적
Anthropology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1997
[5]
서적
Reclaiming a Scientific Anthropology
AltaMira Press (div. of Sage Publications)
1997
[6]
웹사이트
Matriarchal Society: Definition and Theory
http://www.gift-econ[...]
[7]
논문
Matriarchal studies: Past debates and new foundations
2017
[8]
서적
Fruit of the Motherland: Gender in an Egalitarian Societ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9]
웹사이트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3-11-03
[10]
간행물
1995
[11]
간행물
2009
[12]
간행물
2012
[13]
간행물
2006
[14]
간행물
1983
[15]
간행물
2000
[16]
간행물
2011
[17]
간행물
1991
[18]
간행물
2006
[19]
간행물
1983
[20]
웹사이트
Introduction, in Second World Congress on Matriarchal Studies
http://www.second-co[...]
[21]
웹사이트
The Investigator (review of Juchitán, City of Women)
http://matriarchy.in[...]
2011-02-06
[22]
간행물
1984
[23]
간행물
1977
[24]
웹사이트
The Negro Family: The Case For National Action
http://www.dol.gov/d[...]
U.S. Department of Labor
2013-11-02
[25]
간행물
2000
[26]
웹사이트
matriarchy
http://www.etymonlin[...]
[27]
서적
The History of Human Marriage, Vol. 3
https://archive.org/[...]
Macmillan
1921
[28]
웹사이트
An Intermediate Greek–English Lexicon, for γυναικοκρατία
https://www.perseus.[...]
[29]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for γυ^ναικο-κρα^τέομαι
https://www.perseus.[...]
[30]
서적
The Classical Trad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31]
논문
'Matriarchy' and Contemporary Khasi Society
https://www.jstor.or[...]
2015
[32]
문서
untitled comment
1977-11-18
[33]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993
[34]
서적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Unabridged
G. & C. Merriam (Merriam-Webster)
1966
[35]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oughton Mifflin
1992
[36]
서적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Random House
2001
[37]
서적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Unabridged
G. & C. Merriam (Merriam-Webster)
1966
[38]
간행물
OED
1993
[39]
간행물
OED
1993
[40]
간행물
OED
1993
[41]
간행물
Scalingi
1978
[42]
간행물
Scalingi
1978
[43]
간행물
Scalingi
1978
[44]
간행물
Scalingi
1978
[45]
간행물
Diner
1965
[46]
간행물
Diner
1965
[47]
간행물
Diner
1965
[48]
간행물
Adler
2006
[49]
서적
Breaking up [at] totality: A rhetoric of laughter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00
[50]
서적
Anthropology: An Applied Perspective
West Publishing Co.
1992
[51]
서적
Matrifocality
Smelser & Baltes, 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002
[52]
서적
Goddesses and the Divine Feminine: A Western Religious History
https://books.google[...]
Rosemary Radford Ruether
[53]
웹사이트
The Chalice and the Blade
http://www.rianeeisl[...]
2011-01-26
[54]
서적
The Civilization of the Goddess: The World of Old Europe
Harper
[55]
서적
The Invisible Sex: Uncovering the True Roles of Women in Prehistory
Smithsonian Books & Collins (HarperCollinsPublishers)
2007
[56]
서적
Woman at the Center: Life in a Modern Matriarchy
Cornell University Press
2004
[57]
간행물
Eller
1995
[58]
서적
Sanctifying Misandry: Goddess Ideology and the Fall of Man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59]
서적
The Inevitability of Patriarchy
William Morrow & Co.
1973
[60]
간행물
Eller
2000
[61]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62]
서적
Human Universals
Temple University Press
1991
[63]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64]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1975
[65]
웹사이트
Germania
http://www.ourcivili[...]
98
[66]
서적
Big heart, strong hands
2020-01
[67]
뉴스
Where women rule: the last matriarchy in Europe – in pictur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0-02-26
[68]
서적
Why Buddha Smiles
[69]
서적
The Trouser People: A Story of Burma in the Shadow of the Empire
[70]
뉴스
In China, a Matriarchy Under Threat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2011-08-15
[71]
웹사이트
Lugu Lake Mosuo Cultural Development Association, ''The Mosuo: Matriarchal/Matrilineal Culture''
http://www.mosuoproj[...]
2006
[72]
논문
Women's Empowerment and Gender Bias in the Birth and Survival of Girls in Urban India
[73]
논문
Women's Empowerment and Gender Bias in the Birth and Survival of Girls in Urban India
[74]
뉴스
Let's Anger Her!
http://www.thehindu.[...]
The Hindu
2012-07-25
[75]
서적
Women at the Center: Life in a Modern Matriarchy
Cornell University Press
2002
[76]
논문
Women in the Communist Revolution in Vietnam
1972-09
[77]
harvp
[78]
harvp
[79]
harvp
[80]
harvp
Following the Trail of the Fairy-Bird: The Search For a Uniquely Vietnamese Women's Movement
[81]
harvp
[82]
harvp
[83]
harvp
[84]
harvp
[85]
서적
Trung Sisters, Rebellion of (39–43)
ABC-Clio
2002
[86]
서적
"Vietnam" as a Women's War
Blackwell
2002
[87]
harvp
[88]
harvp
[89]
harvp
[90]
harvp
[91]
harvp
[92]
harvp
[93]
harvp
[94]
harvp
[95]
harvp
[96]
harvp
[97]
서적
Iroquois Culture & Commentary
Clear Light Publishers
2000
[98]
harvp
[99]
서적
Goddesses and the Divine Feminine: A Western Religious History
https://books.google[...]
[100]
서적
Myth, Religion, and Mother Right
https://books.google[...]
[101]
서적
Ancient Society Or Researches in the Lines of Human Progress from Savagery through Barbarism to Civilization
http://www.marxists.[...]
[102]
서적
Der Mythos vom Matriarchat. Über Bachofens Mutterrecht und die Stellung von Frauen in frühen Gesellschaften
Suhrkamp
1980
[103]
논문
Presidential Address: Myths of Asian Womanhood
2000-11
[104]
서적
Gender, Tradition and Renewal
Peter Lang
2005
[105]
harvp
[106]
서적
Das Mutterrecht. Eine Untersuchung über die Gynaikokratie der alten Welt nach ihrer religiösen und rechtlichen Natur. Eine Auswahl herausgegeben von Hans-Jürgen Heinrichs
Suhrkamp
1975
[107]
서적
1984
[108]
서적
1984
[109]
서적
2011
[110]
서적
Die Frau und der Sozialismus. Als Beitrag zur Emanzipation unserer Gesellschaft, bearbeitet und kommentiert von Monika Seifert
Dietz
1974
[111]
웹사이트
Elizabeth A. Sackler Center for Feminist Art: The Dinner Party: Heritage Floor: Helen Diner
Brooklyn Museum
2008-03
[112]
서적
1991
[113]
서적
1991
[114]
서적
Goddess Unmasked
http://www.encyclope[...]
Spence Publishing
1998
[115]
서적
The Oldest Europeans
A.J.Place
2006
[116]
서적
1977
[117]
서적
1977
[118]
서적
1977
[119]
서적
1990
[120]
서적
1990
[121]
웹사이트
Plutarch • Sayings of Spartans — Lycurgus
https://penelope.uch[...]
2019-02-21
[122]
뉴스
The Place In China Where The Women Lead
https://www.npr.org/[...]
2021-05-11
[123]
뉴스
Mosuo People Maintain Rare Matriarchal Society (2).
Xinhua News Agency – CEIS
2000-06-11
[124]
뉴스
A Place Where Women Rule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5-07-09
[125]
뉴스
She grew up in a community where women rule and men are banned
https://edition.cnn.[...]
CNN
2019-01-30
[126]
웹사이트
In Kenya's Umoja Village, a sisterhood preserves the past, prepares the future
https://www.nbcnews.[...]
2016-09-09
[127]
뉴스
A Place Where Women Rule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5-07-09
[128]
간행물
'Matriarchy' and Contemporary Khasi Society
2015
[129]
웹사이트
Khasis: India's indigenous matrilineal society
https://www.bbc.com/[...]
2021-05-17
[130]
간행물
Indigenous Affairs
[131]
간행물
Six Nations Women's Traditional Council Fire Report to CEDAW
[132]
서적
Latino and Latina Writers: Cuban and Cuban American authors; Dominican and other authors; Puerto Rican authors. Volume 2
https://books.google[...]
Charles Scribner's Sons
2020-10-08
[133]
서적
2005
[134]
서적
2005
[135]
서적
2005
[136]
서적
2005
[137]
웹사이트
History of Iran: Histories of Herodotus, Book 4
http://www.iranchamb[...]
2020-08-30
[138]
문서
Strabo
[139]
간행물
Die Amazonen
1849
[140]
서적
2006
[141]
서적
Euskal Herriko Mitoak
Gipuzkoako Kutxa
[142]
논문
The Myth of Matriarchy: Why Men Rule in Primitive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4
[143]
서적
Applications of Feminist Legal Theory to Women's Lives: Sex, Violence, Work, and Reproduction
Temple University Press
1996
[144]
서적
Feminists and State Welfare
Routledge and Kegan Paul
1986
[145]
기타
2000
[146]
기타
2000
[147]
기타
A Lecture on Constitutional Equality
1998
[148]
기타
1998
[149]
서적
The Woman Who Ran for President: The Many Lives of Victoria Woodhull
Bridge Works
1995
[150]
문서
The dates are those of two original editions of the same work, both cited herein.
[151]
기타
2000
[152]
기타
2000
[153]
기타
2001
[154]
기타
2001
[155]
기타
2001
[156]
서적
Pinks, Pansies, and Punks: The Rhetoric of Masculinity in American Literary Cultur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1
[157]
기타
1991
[158]
기타
2000
[159]
기타
2000
[160]
서적
Dreaming the Dark: Magic, Sex, and Politics
Beacon Press
1997
[161]
기타
2006
[162]
기타
1990
[163]
기타
1997
[164]
기타
1997
[165]
뉴스
Take No Prisoner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0-05-13
[166]
서적
Scapegoat: The Jews, Israel, and Women's Liberation
Free Press
2000
[167]
웹사이트
Dworkin's Scapegoating
https://web.archive.[...]
PSR
2005
[168]
기타
2008
[169]
기타
2005
[170]
기타
2005
[171]
기타
2005
[172]
기타
1985
[173]
기타
1985
[174]
기타
1985
[175]
기타
1985
[176]
harvp
[177]
harvp
[178]
서적
Sexual/Textual Politics: Feminist Literary Theory
Routledge
[179]
서적
Communities of Women: An Idea in Fi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80]
harvp
[181]
harvp
[182]
harvp
[183]
harvp
[184]
harvp
Introduction
[185]
harvp
[186]
harvp
[187]
harvp
[188]
harvp
[189]
harvp
[190]
harvp
[191]
harvp
[192]
웹사이트
Embodiment of God
http://embodimentofg[...]
University of Mother God Church
2022-04-25
[193]
harvp
[194]
harvp
[195]
harvp
[196]
harvp
[197]
harvp
[198]
harvp
[199]
harvp
[200]
서적
Lesbian Nation: The Feminist Solution
Simon & Schuster
[201]
웹사이트
Lesbians, Legal Theory and Other Superheroes
https://web.archive.[...]
[202]
harvp
[203]
journal
A Psychological Retrospective on Power in the Contemporary Lesbian-Feminist Community
1979
[204]
harvp
[205]
harvp
[206]
harvp
[207]
harvp
[208]
harvp
[209]
서적
Feminist Thought: A More Comprehensive Introduction
Westview Press
[210]
harvp
[211]
harvp
Echols
[212]
서적
Going Too Far: The Personal Chronicle of a Feminist
Random House
[213]
harvp
Adler
[214]
harvp
Schönpflug
[215]
harvp
Schönpflug
[216]
harvp
Schönpflug
[217]
웹사이트
WorldCat entry
http://www.worldcat.[...]
[218]
웹사이트
Matriarchal Studies (International Academy HAGIA)
http://www.hagia.de/[...]
2011-07-19
[219]
웹사이트
1st World Congress on Matriarchal Studies
http://www.second-co[...]
2011-02-17
[220]
웹사이트
Societies of Peace: 2nd World Congress on Matriarchal Studies (home page)
http://www.second-co[...]
2014-12-18
[221]
뉴스
Khasi Matriliny Has Many Parallels
http://matriarchy.in[...]
2005-10-15
[222]
harvp
Goettner-Abendroth
[223]
harvp
Goettner-Abendroth
[224]
harvp
Goettner-Abendroth
[225]
harvp
Goettner-Abendroth
[226]
harvp
Eller
[227]
harvp
Eller
[228]
harvp
Eller
[229]
웹사이트
Biological Superiority: The World's Most Dangerous and Deadly Idea
http://www.nostatusq[...]
1977
[230]
서적
The Demon Lover: On the Sexuality of Terrorism
Norton
[231]
서적
Dead End Feminism
https://books.google[...]
Polity
[232]
harvp
Mansfield
[233]
harvp
Mansfield
[234]
harvp
Ross
[235]
harvp
Farley
[236]
서적
The Feminist Promise: 1792 to the Present
Modern Library (Random House)
[237]
서적
Feminist Utopia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38]
harvp
Donovan
[239]
harvp
Schönpflug
[240]
간행물
What is "Feminism"?
1916-09-03
[241]
harvp
Mansfield
[242]
harvp
Mansfield
[243]
harvp
Mansfield
[244]
harvp
Mansfield
[245]
harvp
Mansfield
[246]
서적
[247]
서적
Letters on Equality of the Sexes and the Condition of Woman
N.Y.: Burt Franklin
1970
[248]
서적
[249]
서적
[250]
서적
[251]
서적
[252]
서적
[253]
서적
[254]
서적
[255]
서적
[256]
서적
Random House Historical Dictionary of American Slang
N.Y.: Random House
1994
[257]
서적
[258]
서적
[259]
서적
[260]
서적
[261]
서적
[262]
서적
[263]
서적
The Praxis of Coequal Discipleship
Harrisburg, Pennsylvania: Trinity Press Intntl.
1997
[264]
서적
[265]
서적
[266]
서적
[267]
서적
[268]
서적
Sisterhood, Interrupted: From Radical Women to Grrls Gone Wild
N.Y.: Palgrave Macmillan
2007
[269]
간행물
Holy Scripture inculcates for women a sphere higher than and apart from that of public life; because as women they find a full measure of duties, cares and responsibilities and are unwilling to bear additional burdens unsuited to their physical organization.
1871-01-14
[270]
서적
[271]
서적
[272]
서적
[273]
서적
[274]
서적
[275]
서적
[276]
서적
[277]
서적
[278]
서적
[279]
서적
[280]
웹사이트
Muslim Brotherhood on Muslim women in Islamic Society
http://www.ikhwanweb[...]
2005-10-29
[281]
서적
Roald (2001, p. 198)
[282]
서적
Roald (2001, p. 197), quoting The Muslim Brotherhood, The Role of Women in Islamic Society According to the Muslim Brotherhood (London: International Islamic Forum, 1994), 14.
[283]
웹사이트
The document stating it was not available at its official English-language website advanced search page, as accessed March 5, 2011 (search for "Role of Women in Islamic Society" without quotation marks yielding no results), but a document with similar relevant effect is Ikhwan web, Muslim Brotherhood on Muslim women in Islamic Society (October 29, 2005) (trans.), as accessed March 5, 2011 ("social circumstances and traditions" as justifying gradualism, per [§] A General Remark).
http://www.ikhwanweb[...]
[284]
서적
Roald (2001, p. 34), citing Shafiq, Duriyya, al-Kitab al-abiyad lil-huquq al-mar'a al-misriyya (The White Paper on the Rights of the Egyptian Woman) (Cairo: n.p., 1953)
[285]
논문
Feminist Contestations of Institutional Domains in Iran
Feminist Review
2001
[286]
웹사이트
Saudi Women's Rights: Stuck at a Red Light
http://www.arabinsig[...]
Arab Insight (World Security Institute)
2008-01-08
[287]
서적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 Why Violence Has Declined
Viking
2011
[288]
서적
Hartman (2007, p. 105), attributing the argument to Rav Kook, or Rabbi Abraham Isaac Hacohen Kook; "a significant spiritual leader of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artman (2007, p. 101), citing, at Hartman (2007, pp. 101–102), Kook, Rav, Open Letter to the Honorable Committee of the "Mizrahi" Association (1919) ("In the Torah, in the Prophets and in the Writings, in the Halacha and in the Aggadah, we hear... that the duty of fixed public service falls upon men.").
[289]
서적
Hartman (2007, p. 106)
[290]
서적
Freeman (2003, pp. 59 & 65)
[291]
서적
Freeman (2003, p. 65) (the tribunal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marital law regime in each religion", including Judaism)
[292]
서적
Umanit (2003, p. 133)
[293]
서적
Freeman (2003, p. 60)
[294]
서적
Tsomo (1999, pp. 6–7)
[295]
서적
Tsomo (1999, p. 5)
[296]
서적
Bacchetta (2002, p. 157)
[297]
서적
Bacchetta (2002, p. 168)
[298]
서적
Bacchetta (2002, p. 168) (the 2 being Uma Bharti and Sadhvi Rithambara, both associated with the Bharatiya Janata Party (BJP)), all according to Bacchetta.
[299]
서적
Bacchetta (2002, loc. p. 168 & n. 76), citing Kelkar, Kakshmibai, Stri-Ek Urja Kendra: Strivishayak Vicharon Ka Sankalan (Nagpur: Sevika Prakashan, n.d.), ch. 2.
[300]
서적
de Abreu (2003, p. 167)
[301]
서적
Knox (1878)
[302]
서적
Knox (1878)
[303]
서적
Felch (1995, p. 806)
[304]
서적
de Abreu (2003, p. 169)
[305]
서적
Brammall (1996, p. 19)
[306]
서적
Brammall (1996, p. 20)
[307]
서적
Healey (1994, p. 376)
[308]
서적
John Knox
Oxford University Press
1968
[309]
서적
Trumpeter of God: A Biography of John Knox
Scribner
1974
[310]
서적
Lee (1990, p. 242)
[311]
서적
Richards (1997, p. 116)
[312]
서적
Preface
Knox (1878)
[313]
서적
Lee (1990, pp=250, 249), citing Goodman, Christopher, How Superior Powers Ought to be Obeyd (N.Y.: reprint, 1931, originally 1558)
[314]
서적
Richards (1997, p. 117)
[315]
서적
Healey (1994, pp=372, 373)
[316]
harvp
[317]
harvp
[318]
harvp
[319]
harvp
[320]
harvp
[321]
harvp
[322]
harvp
[323]
harvp
[324]
harvp
[325]
harvp
[326]
harvp
[327]
간행물
Overtaking Patriarchy: Corbett's and Dixie's Visions of Women
1993
[328]
간행물
Feminism and Feminist Utopia in Rokeya Sakhawat Hossain's Sultana's Dream
http://digital.libra[...]
APH Publishing Corp.
[329]
간행물
Sex-Role Reversal in the Thirties: Leslie F. Stone's 'The Conquest of Gola,#REDIRECT
[330]
간행물
Morgan's Queendom: The Other Arthurian Myth
Peter Lang International Academic Publishers
[331]
웹사이트
Bright Hub Education
http://www.brighthub[...]
[332]
논문
Reconsiderations of the Separatist Paradigm in Recent Feminist Science Fiction
1992
[333]
문서
Vonarburg (1992)
[334]
웹사이트
Publishers Weekly
http://www.publisher[...]
[335]
웹사이트
A Brother's Price
http://www.rtbookrev[...]
[336]
웹사이트
Environmental Fascists Fight Gun-Loving Lesbians for Alien Technology
http://io9.gizmodo.c[...]
io9
2016-01-19
[337]
뉴스
The Power by Naomi Alderman
http://www.thetimes.[...]
2016-10-15
[338]
웹사이트
Daevite Hub – SCP Foundation
https://scp-wiki.wik[...]
2022-04-29
[339]
뉴스
Ōoku: The Inner Chambers Anime's English-Subtitled Trailer Reveals June 29 Debut
https://www.animenew[...]
Anime News Network
2023-05-22
[340]
논문
Social and reproductive behaviour in elephants
https://www.jstor.or[...]
2005-10-10
[341]
서적
The Behaviour Guide to African Mammal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342]
뉴스
Beware the Bonds of Female Bonobos
https://www.nytimes.[...]
2016-09-10
[343]
웹사이트
Leśnicy wołają żubry na siano
https://tvnmeteo.tvn[...]
TVN Meteo
2019-12-02
[344]
AV media
Ocalony Świat – odc. 2 – Leśny majestat
TVP1
2014-09-24
[345]
뉴스
Żubr dostał kosza, więc uciekł z pszczyńskiego rezerwatu
https://dziennikzach[...]
2010-04-06
[346]
웹사이트
The Other Sister, Bonobos
https://www.research[...]
[347]
서적
Into the Hearts of the Amazons: In Search of a Modern Matriarchy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348]
서적
ジェンダーの社会学
新曜社
[349]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350]
서적
Humanity: An Introduction to Cultural Anthropology
Wadsworth (Cengage Learning)
[351]
서적
Anthropology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1997
[352]
서적
Reclaiming a Scientific Anthropology
AltaMira Press (div. of Sage Publications)
1997
[353]
웹인용
부권제[父權制, patriarchy]
https://web.archive.[...]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15-02-06
[354]
서적
Women and Madness
Palgrave Macmillan
2005
[355]
서적
Women and Madness
2005
[356]
문서
Strabo
[357]
간행물
Die Amazonen
Abhandlungen der philosophisch-philologischen Classe der Königlich Bayer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849
[358]
서적
The Inevitability of Patriarchy
William Morrow & Co.
1973
[359]
서적
The Myth of Matriarchal Prehistory: Why an Invented Past Won't Give Women a Future
Beacon Press
2001
[360]
간행물
Encyclopae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361]
서적
The Invisible Sex: Uncovering the True Roles of Women in Prehistory
Smithsonian Books & Collins (HarperCollinsPublishers)
2007
[362]
서적
The Myth of Matriarchy: Why Men Rule in Primitive Society
http://books.google.[...]
Stanford Univ. Press
1974
[363]
간행물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364]
서적
Der Mythos vom Matriarchat. Über Bachofens Mutterrecht und die Stellung von Frauen in frühen Gesellschaften
Suhrkamp
1980
[365]
서적
Goddesses and the Divine Feminine: A Western Religious History
https://www.google.c[...]
[366]
서적
Myth, Religion, and Mother Right
http://books.google.[...]
[367]
간행물
Presidential Address: Myths of Asian Womanhood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2000-11
[368]
서적
Applications of Feminist Legal Theory to Women's Lives: Sex, Violence, Work, and Reproduction
Temple Univ. Press
1996
[369]
서적
Feminists and State Welfare
Routledge and Kegan Paul
1986
[370]
서적
Feminist Theory
[371]
서적
Feminist Theory
[372]
서적
A Lecture on Constitutional Equality
Algonquin Books of Chapel Hill
1998
[373]
서적
Notorious Victoria
[374]
서적
The Woman Who Ran for President
[375]
문서
The dates are those of two original editions of the same work, both cited herein.
[376]
서적
Feminist Theory
[377]
서적
Feminist Theory
[378]
서적
The Man-Made World
2001
[379]
서적
The Man-Made World
2001
[380]
서적
The Man-Made World
Humanity Books
2001
[381]
서적
Pinks, Pansies, and Punks: The Rhetoric of Masculinity in American Literary Culture
Indiana Univ. Press
2011
[382]
서적
American Feminism: A Contemporary History
N.Y. Univ. Press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