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사회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터넷 사회학은 인터넷 및 디지털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사회학의 한 분야이다. 1969년 ARPANET의 개발과 1990년대 중반 월드 와이드 웹의 등장 이후,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사회학적 관심을 증대시켰다. 디지털 사회학은 사이버 사회학, 인터넷 사회학 등과 같은 기존의 연구 분야를 포괄하며, 디지털 기술의 광범위한 영향을 다룬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불평등, 사회적 자본, 정치 참여, 조직 및 경제, 문화 다양성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데이터 분석, 디지털 감시, 공공 사회학 등 다양한 하위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셜 네트워크 - 사회 연결망
사회 연결망 분석은 개인이나 집단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적 구조와 행동을 이해하는 학제 간 연구 방법론으로, 다양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내 위치와 정보 접근의 중요성을 분석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소셜 네트워크 -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유형적, 정보적, 교우적 지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개인의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 완화, 질병 예방 및 회복에 기여하는 개념이다. - 사회 영향 - 필터 버블
필터 버블은 인터넷 정보제공자가 사용자 맞춤형으로 정보를 필터링하여 사용자가 기존 관점에 맞는 정보만 접하게 되는 현상으로, 개인을 특정 정보에 가두고 사회적으로 시민 담론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사회 영향 - 카리스마
카리스마는 특정 개인의 비범한 능력이나 그에 대한 숭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막스 베버는 이를 사회학적 개념으로 정립하여 지배의 한 유형으로 제시했으며, 종교적, 정신의학적 용어로도 사용된다.
인터넷 사회학 | |
---|---|
인터넷 사회학 개요 | |
![]() | |
주요 연구 분야 | 온라인 커뮤니티 소셜 네트워크 가상세계 디지털 문화 온라인 게임 인터넷 중독 사이버 범죄 인터넷 검열 디지털 불평등 온라인 개인 정보 보호 온라인 사회 운동 인터넷 거버넌스 |
학문 분야 | 사회학의 한 분야 |
핵심 주제 | 인터넷의 사회적 영향 온라인 상호작용 디지털 사회 정보화 사회 기술 사회 커뮤니케이션 사회 변동 |
연구 방법 | 양적 연구 질적 연구 네트워크 분석 온라인 설문 조사 인터뷰 민족지학적 연구 디지털 인문학 |
인터넷의 사회적 영향 | |
긍정적인 측면 | 정보 접근성 증가 의사소통의 용이성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 사회 운동과 정치 참여 활성화 교육 및 문화 교류 기회 확대 |
부정적인 측면 | 온라인 괴롭힘 및 사이버 폭력 증가 개인 정보 침해 및 감시 우려 허위 정보 확산 및 가짜 뉴스 문제 디지털 격차 심화 사회적 고립 및 외로움 증가 인터넷 중독과 건강 문제 발생 |
디지털 문화 | |
주요 요소 | 인터넷 밈 온라인 커뮤니티 문화 디지털 언어와 표현 방식 온라인 정체성 형성 및 관리 디지털 에티켓 온라인 게임 문화 |
주요 학자 및 연구자 | |
인터넷 사회학의 선구자 | 마누엘 카스텔 배리 웰먼 마크 포스터 셜리 터클 |
주요 연구자 | 제인 메이슨 줄리아나 라치에리 조앤 베일리 레이몬드 슈리더 바네사 바스 |
연관 분야 | |
연관 분야 | 커뮤니케이션학 미디어 연구 정보학 컴퓨터 과학 인류학 심리학 정치학 경제학 법학 교육학 철학 |
주요 학술지 | |
학술지 | 뉴 미디어 & 사회 정보, 커뮤니케이션 & 사회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저널 소셜 미디어 + 사회 퍼스트 먼데이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인터넷 사회학 (Sociology of the Internet) - 영어 위키백과 참고 인터넷 (Internet) - 한국어 위키백과 참고 사회학 (Sociology) - 한국어 위키백과 참고 사회학 이론 (Sociological Theory) - 한국어 위키백과 참고 |
2. 규율의 출현
인터넷은 비교적 새로운 현상이다. Robert Darnton이 썼듯이, "측정 방법에 따라 어제 또는 그 전날에 발생한" 혁명적인 변화라고 볼 수 있다.[64] 1969년 ARPANET에서 개발되었으며, 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74년에 만들어졌다. 우리가 알고 있는 월드 와이드 웹은 1990년대 중반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이메일과 같은 서비스가 대중화되고 더 광범위한(비과학적 및 비군사적) 청중과 상거래에 도달하면서 형성되었다.[64][65]
Internet Explorer는 1995년에 처음 출시되었고, Google은 1998년에 설립되었다.[64][65] 위키피디아는 2001년에,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유튜브는 2000년대 중반에 등장했다. 웹 2.0은 여전히 등장하고 있으며, 인터넷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보의 양과 전 세계 인터넷 사용자 수는 계속해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65]
이러한 발전과 함께, '디지털 사회학'이라는 용어는 웹 2.0 이후 디지털 기술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나타내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1. 디지털 사회학의 정의
''디지털 사회학''이라는 용어가 제목에 포함된 최초의 학술 논문은 2009년에 등장했다.[66] 저자는 디지털 기술이 사회학적 연구와 교육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식에 대해 고찰한다. 2010년에 리처드 닐은 '디지털 사회학'을 글로벌 비즈니스의 관심 증가와 학문적 초점을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했다.[67] 2013년이 되어서야 '디지털 사회학'이라는 주제를 다루는 최초의 순수 학술 서적이 출판되었다.[68] 2015년에 최초의 단독 저서인 ''디지털 사회학''이 출판되었고[69], 같은 해 뉴욕에서 "디지털 사회학"에 대한 첫 번째 학술대회가 열렸다.[70]''디지털 사회학''이라는 용어가 아직 문화 사전에 완전히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사회학자들은 인터넷이 시작된 이래로 인터넷과 관련된 연구에 참여해 왔다. 이 사회학자들은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버 공간 및 사이버 정체성과 관련된 많은 사회적 문제들을 다루었다. 이와 유사한 연구는 ''사이버 사회학'', ''인터넷 사회학'', ''온라인 커뮤니티 사회학'', ''소셜 미디어 사회학'', ''사이버 문화 사회학'' 등의 다양한 연구를 이끌어냈다.
디지털 사회학은 인터넷이나 사이버 문화뿐만 아니라 21세기의 첫 10년 이후 등장한 다른 디지털 미디어 및 장치의 영향을 다루며 범위가 더 넓다는 점에서 이러한 용어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일상생활과 연결되면서 사회과학에서의 '사이버'에 대한 언급은 이제 '디지털'로 대체된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사회학'은 디지털 인문학, 디지털 인류학과 같은 다른 하위 학문과 관련이 있다. 그것은 웨어러블 기술, 증강 현실, 스마트 개체, 사물 인터넷 및 빅 데이터와 같은 최신 Web 2.0 디지털 기술을 포함하는 것뿐만 아니라 위의 다른 항목들을 대체하고 통합하기 시작하고 있다.
3. 주요 연구 동향
DiMaggio 등(1999)은 인터넷 사회학 연구가 주로 다음 다섯 가지 영역에 초점을 맞춘다고 보았다.[65][2]
# 불평등 (디지털 격차 문제)
# 사회적 자본 (시간 대체 문제)
# 정치 참여 (공적 영역, 심의 민주주의, 시민 사회 문제)
# 조직 및 기타 경제 기관
# 참여문화 와 문화다양성
초기에는 인터넷이 모든 것을 바꾸거나 아무것도 바꾸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터넷이 기존 매체를 대체하기보다는 보완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65][2] 이는 1990년대 "신구 매체의 융합" 개념을 재고하게 하였다. 또한, 인터넷은 새롭게 등장하여 진화하는 정보 통신 기술 (ICT)로 인한 변화를 연구할 기회를 제공한다.[65][2]
3. 1. 정보 격차와 불평등
디지털 사회학은 데이터 및 데이터 감정과 연결된다.[83] 데이터 감정은 사람들이 의사 결정 기술이나 감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을 사용할 때 발생한다. 인스타그램,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시에 감정 상태에 영향을 미쳐 사용자 간의 연대 또는 사회적 참여를 유발하며, 사랑, 애정, 공감의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2014 아이스 버킷 챌린지[83] 와 같은 바이러스성 도전과 바이러스성 밈은 문화적 지식과 자기 이해를 보여주는 대중 참여를 통해 사람들을 하나로 모았다. 바이러스성 이벤트에 대한 대량 참여는 사용자가 마음과 감정의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데이터)를 서로 전파하도록 유도한다. 디지털 사회학과 데이터 감정 사이의 연결은 일상 생활과 활동 내에서 기술 장치의 통합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4. 사회적 영향
인터넷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회적 상호 작용과 사회 관계 형성에 기여해왔다.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밋업, 카우치서핑과 같은 서비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호작용을 촉진한다.
가상 공동체가 온라인 상의 관계로만 여겨지던 과거와 달리, 최근 연구들은 가상 공간에서 형성된 관계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유지되는 경향을 보여준다.[71][72] 인터넷이 강한 유대 관계와 약한 유대 관계, 사회적 자본, 사회적 고립, 그리고 다양한 사회적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73][74][75]
인터넷은 19세기 미국 서부 개척 시대와 유사한 무정부적이고 폭력적인 프런티어와 같다는 주장도 제기된다.[76]
2014년 애리조나주 메사 소재 베네딕트 대학교(Benedictine University at Mesa) 연구팀은 온라인 상호작용이 대면 만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사이버심리학, 행동 및 사회 네트워킹(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77] 사회적 불안감을 느끼는 사람들은 온라인 상호작용을 선호하며, 대면 만남 전에 사진을 보는 것이 생리적 각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사물 인터넷이 기술 발전의 다음 단계로 주목받고 있다.[78] 삼성(Samsung), 시그폭스(Sigfox)와 같은 기업들이 이 분야에 투자하고 있으며, 사회학자들은 인간과 기술 시스템 간의 사회 기술 네트워크 형성에 주목하고 있다.[80][81] 이러한 기술 변화에 따라 개인 정보 보호, 정보 접근권과 같은 문제들이 중요해질 것이다.[79][82]
4. 1.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어린이는 기술 장치를 사용하면서 중독될 수 있으며, 이는 우울증, 주의력 문제, 외로움, 불안, 공격성, 고독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84] 비만 또한 어린이가 신체 활동보다 기술 장치 사용을 선호하게 되면서 나타나는 또 다른 문제이다.[84] 부모는 자녀의 기술 장치 사용을 통제하고 제한하여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기술은 어린이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온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읽기나 수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사이버 괴롭힘의 위험성도 존재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85] 사이버 괴롭힘은 인터넷을 통해 아이들을 괴롭히는 사람들로 인해 발생하며, 학업 및 심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85]
인터넷 연결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어린이들의 일상에도 변화가 생겼다. 사회 정책 연구원 자넷 히튼(Janet Heaton)은 "아이들의 건강과 삶의 질은 기술의 혜택을 받았지만 돌봄 루틴의 요구 시간과 호환성 부족은 다른 사회적 및 제도적 기간과 함께 일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라고 말했다. 즉, 기술의 잦은 사용은 의미 있는 우정, 취미, 잠재적 직업 선택과 같이 가치있는 활동에 사용될 수 있는 시간을 줄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기술은 어린이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인지, 언어, 사회적 발달을 촉진하는 좋은 학습 도구가 될 수도 있다. 2010년 뉴햄프셔 대학의 연구에서는 기술 장치를 사용한 어린이가 그렇지 않은 어린이에 비해 문제 해결, 지능, 언어 기술, 구조적 지식에서 더 큰 향상을 보였다는 결과가 나왔다.[26] 1999년 논문에서는 "연구는 컴퓨터 지원 교육 패키지에서 다루는 자료와 밀접하게 관련된 시험에서 학생 점수의 향상을 발견했다"고 결론지었는데, 이는 기술이 학습 능력을 향상시켜 어린이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27] 그러나 부모가 자녀의 기술 기기 사용, 특히 시청 가능한 콘텐츠를 제한할 때 갈등이 발생하여 자녀가 좌절감을 느낄 수 있다.[28]
4. 2. 정치 조직과 검열
인터넷은 새로운 정치적 도구로서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2004년 미국에서 있었던 하워드 딘의 대통령 선거 운동은 인터넷을 통한 모금 능력으로 유명해졌고, 2008년 버락 오바마의 선거 운동은 그보다 더욱 성공적이었다.[1] 점점 더 많은 사회 운동과 다른 조직들이 기존 방식과 새로운 인터넷 활동주의를 수행하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1]일부 정부 또한 온라인으로 진출하고 있다. 쿠바, 이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얀마, 중화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등 일부 국가는 필터링 및 검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국민들이 인터넷에서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제한한다.[2] 영국에서는 특정 개인을 위협으로 인식하고 이들을 찾아 체포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미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은 아동 포르노와 같은 특정 자료의 소지 또는 배포를 불법으로 규정하는 법률을 제정했지만, 필터링 소프트웨어는 사용하지 않는다. 일부 국가에서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가 경찰이 지정한 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데 동의했다.[2]
4. 3. 경제와 불평등
인터넷 기반 상거래의 경제적 이점에 대해 많은 글이 작성되었지만, 지도 및 위치 인식 서비스와 같은 인터넷의 일부 측면이 경제적 불평등과 정보 격차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88][29] 전자 상거래는 소규모 기업의 합병 및 쇠퇴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소득 불평등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89][30]4. 4. 자선과 기부
개발도상국에서 저비용 인터넷 접속이 확산되면서, 개인이 소액을 기부하여 다른 사람의 자선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P2P(Peer-to-Peer) 자선 단체가 새롭게 등장하였다. 도너스 초이스(Donors Choose)나 글로벌 기빙(Global Giving) 같은 웹사이트는 소규모 기부자가 자신이 선택한 프로젝트에 직접 자금을 지원할 수 있게 해준다.인터넷 기반 자선 활동의 또 다른 형태는 자선 목적의 P2P 대출이다. 키바는 2005년에 이 개념을 처음 도입하여, 개별 대출 프로필을 게시하는 최초의 웹 기반 서비스를 제공했다. 키바는 현지 중개 마이크로파이낸스 기관에 자금을 모금하고, 이 기관들은 대출자를 대신하여 이야기와 업데이트를 게시한다. 대출자는 자신이 선택한 대출에 최소 25달러를 기부할 수 있으며, 대출자가 상환하면 돈을 돌려받는다. 그러나 키바는 대출금이 대출자에 의해 자금 조달되기 전에 지급되고, 대출자와 대출자가 직접 소통하지 않기 때문에 순수한 P2P 자선 단체라고 보기 어렵다.[90][91]
최근 개발도상국에서 저렴한 인터넷 접속이 확산되면서 진정한 P2P 연결이 가능해졌다. 2009년 미국의 비영리 단체 지디샤(Zidisha)는 현지 중개 기관 없이 대출자와 대출자를 직접 연결하는 최초의 P2P 마이크로 대출 플랫폼을 제공했다. 페이스북(Facebook)이나 이베이(eBay)와 같은 대화형 웹사이트에서 영감을 얻은 지디샤의 플랫폼은 대출자와 대출자 간의 직접적인 대화와 대출자에 대한 성과 평가 시스템을 지원한다. 전 세계 웹 사용자는 최소 1달러부터 대출 자금을 지원할 수 있다.[92]
4. 5. 여가와 엔터테인먼트
인터넷은 월드 와이드 웹 이전부터 여가의 주요 기반이었다. MUD 및 MOO와 같은 사회적 실험이 대학 서버에서 수행되었고, 유머 관련 유즈넷 그룹이 주요 트래픽을 수신했다. 오늘날 많은 인터넷 포럼에는 게임과 재미있는 비디오에 관한 섹션이 있다. 플래시 무비 형식의 짧은 만화도 인기가 있으며, 6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의사소통 및 아이디어 공유의 수단으로 블로그나 게시판을 사용한다.음란물과 도박 산업은 월드 와이드 웹을 최대한 활용했으며, 종종 다른 웹 사이트에 상당한 광고 수입원을 제공한다. 정부가 인터넷 포르노를 검열하려고 시도했지만,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는 정부에 이러한 계획이 실현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93] 많은 정부가 두 산업의 인터넷 사용을 제한하려고 시도했지만,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인기를 막지 못했다.
인터넷상의 여가 영역 중 하나는 온라인 게임이다. 이러한 형태의 여가는 커뮤니티를 만들어 연령과 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빠르게 진행되는 멀티플레이어 게임의 세계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MMORPG에서 1인칭 슈팅 게임,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에서 온라인 도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에서 상호 작용하고 자유 시간을 보내는 방식에 혁명을 일으켰다.
온라인 게임은 1970년대부터 있었지만, 현대적인 온라인 게임 모드는 GameSpy 및 MPlayer와 같은 서비스로 시작되었으며, 게임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구독해야 했다. 비구독자는 특정 유형의 게임 플레이 또는 특정 게임으로 제한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음악, 영화 및 기타 작품에 액세스하고 다운로드하여 즐거움과 휴식을 취하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한다. 중앙 집중식 서버와 분산 P2P 기술을 사용하여 유료 및 무료 소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스 중 일부는 다른 소스보다 원본 아티스트의 권리와 저작권법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기 때문에 재량권이 필요하다.
많은 사람들이 월드 와이드 웹을 사용하여 뉴스, 날씨 및 스포츠 보고서에 액세스하고, 휴가를 계획 및 예약하고, 임의의 아이디어와 일상적인 관심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사람들은 전 세계의 친구를 사귀고 연락하기 위해 채팅, 메시징 및 이메일을 사용한다. 때로는 이전에 펜팔을 가졌던 것과 같은 방식이다.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및 이와 유사한 다른 많은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도 사람들이 즐거움을 위해 연락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은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파일, 폴더 및 설정에 액세스할 수 있는 웹 데스크톱의 수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사이버 슬랙킹(직장에서의 인터넷 딴짓)은 기업 자원의 심각한 고갈이 되었다. 페닌슐라 비즈니스 서비스의 조사에 따르면 영국 직원은 직장에서 웹 서핑에 하루 평균 57분을 소비한다.[94]
5. 하위 분야
디지털 사회학은 다음과 같은 하위 분야를 포함한다.
하위 분야 | 설명 |
---|---|
전문적인 디지털 실천 | 전문적인 목적을 위해 디지털 미디어 도구를 사용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전자 프로필을 구성하고, 연구를 홍보 및 공유하며, 학생들을 교육한다. |
디지털 미디어 사용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 사람들이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는 방식이 자아감, 구현 및 사회적 관계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연구한다. |
디지털 데이터 분석 | 양적 또는 질적 사회 연구에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한다. |
비판적 디지털 사회학 | 사회 및 문화 이론에 입각하여 디지털 미디어에 대해 성찰적이고 비판적인 분석을 수행한다. |
"디지털 사회학"이라는 용어는 아직 문화적 어휘에 완전히 자리 잡지는 않았지만, 사회학자들은 인터넷이 등장한 이후부터 인터넷과 관련된 연구에 참여해 왔다. 이들은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버 공간 및 사이버 정체성과 관련된 많은 사회적 문제들을 다루었다. 이와 유사한 연구는 "사이버 사회학", "인터넷 사회학", "온라인 커뮤니티 사회학", "소셜 미디어 사회학", "사이버 문화 사회학"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 왔다.[66][67][68][69][70]
디지털 사회학은 인터넷이나 사이버 문화뿐만 아니라 21세기 첫 10년 이후 등장한 다른 디지털 미디어 및 기기의 영향까지 다루는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용어들과 다르다. 인터넷이 더욱 광범위해지고 일상생활과 연결됨에 따라 사회 과학에서 '사이버'라는 용어는 '디지털'로 대체되는 것처럼 보인다. '디지털 사회학'은 디지털 인문학 및 디지털 인류학과 같은 다른 하위 학문과 관련이 있으며, 웨어러블 기술, 증강 현실, 스마트 객체, 사물 인터넷 및 빅데이터와 같은 최신 웹 2.0 디지털 기술도 포함한다.
5. 1. 전문적인 디지털 실천
사회학자들은 전문적인 학문 목적을 위해 소셜 미디어 및 기타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을 꺼려왔지만, 최근에는 교육과 연구에 이를 점차 활용하기 시작하고 있다.[96][37] 점점 더 많은 사회학 블로그가 등장하고 있으며, 더 많은 사회학자들이 트위터에 가입하고 있다. 일부 사회학자들은 사회학자들이 학문적 활동의 일환으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최선의 방법과 자기 보존 및 사회학 연구의 오픈 액세스의 중요성, 그리고 Wikipedia에 글을 쓰는 것에 대해 논하고 있다.5. 2. 디지털 미디어 사용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디지털 사회학은 사람들이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는 방식과 그것이 개인의 정체성, 사회적 관계, 신체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한국 사회의 특수한 문화적 맥락에서 디지털 미디어 사용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사회학자들은 인터넷 초기부터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버 공간, 사이버 정체성 등 인터넷 관련 사회 현상을 연구해 왔다. 이러한 연구는 '사이버 사회학', '인터넷 사회학', '온라인 커뮤니티 사회학', '소셜 미디어 사회학', '사이버 문화 사회학'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66][67][68][69][70]
디지털 사회학은 인터넷뿐만 아니라 21세기 이후 등장한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와 장치의 영향까지 포괄하여 연구 범위가 더 넓다. '사이버'라는 용어가 '디지털'로 대체되면서, 디지털 사회학은 디지털 인문학, 디지털 인류학과 같은 학문 분야와 연관되어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술, 증강 현실, 스마트 객체, 사물 인터넷, 빅 데이터와 같은 최신 Web 2.0 기술을 포함한다.
디지털 사회학자들은 웨어러블 기술을 통해 신체를 정량화하고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알고리즘의 사회적 의미를 연구한다.[38][39] 또한, CCTV 카메라, 고객 로열티 프로그램 등을 통한 감시와 NSA와 같은 정보 기관의 인터넷 감시에도 주목한다.[40]
소득, 교육 수준, 성별, 연령 등에 따라 디지털 기술 접근성의 차이를 보이는 '디지털 격차'는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그러나 일부 사회학자들은 디지털 격차가 디지털 기술 접근 및 지식의 복잡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하며, 구조적 불평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41]
셰리 터클과 같은 사회학자들은 소셜 미디어가 친밀한 관계와 자아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42][43] 터클은 소셜 미디어 관계가 "실생활"의 만남만큼 진정성이 없다고 주장하지만,[44] 다른 학자들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관계도 '실제 세계'의 일부라고 반박한다.[47] 시각 매체를 통해 수동적으로 정보를 소비하고 온라인 페르소나를 개발하는 경향은 '디지털 이원론'으로 비판받기도 한다.[45][46]
사회 운동에서 트위터, 유튜브,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하는 사례는 디지털 사회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48][49][50]
소수 인종, 소수 집단의 기술 사용 방식, 즉 "디지털 실행" 연구는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거나 재생산하는 방식을 탐구한다.[51][52]
5. 3. 디지털 데이터 분석
디지털 사회학자들은 사람들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을 질적 및 양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여기에는 민족지학적 연구, 기술 사용자와의 인터뷰 및 설문 조사, 그리고 페이스북, 레딧, 4chan, 텀블러 및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게시물이나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의 소비 습관과 같이 기술과 사람들의 상호 작용에서 생성된 데이터 분석이 포함된다. 데이터 스크래핑, 소셜 네트워크 분석, 시계열 분석 및 텍스트 분석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미디어와 상호 작용하여 부산물로 생성된 데이터와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데이터를 모두 분석한다.[112]소셜 미디어의 출현은 사회학자에게 사회 현상을 연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했다. 페이스북 및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는 점점 더 연구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트위터 데이터는 Twitter API를 통해 연구원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Twitter는 연구자들에게 인구 통계 데이터, 시간 및 위치 데이터, 사용자 간의 연결을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에서 연구원은 사용자 기분과 사용자가 서로 소통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를 그래프로 표시하고 시각화할 수 있다.[113]
트위터에서 얻은 것과 같은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우선 연구자들은 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효과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내야 한다. 빅 데이터 분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몇 가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113] 대용량 데이터 세트는 다루기 힘들고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예: 사진, 비디오, GIF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연구원은 데이터를 MongoDB 및 Hadoop과 같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113] 이 데이터를 처리하고 쿼리하는 것은 추가적인 과제이다. 그러나 연구원이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옵션이 있다. 일반적인 옵션 중 하나는 Hive와 같은 쿼리 언어를 Hadoop과 함께 사용하여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분석하는 것이다.[113]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사회학자는 논란이 되는 주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논의되는지(이슈 매핑이라고도 함) 연구할 수 있다.[114] 사회학자는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예: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에서 뜨거운 논쟁 주제와 관련된 게시물을 검색한 다음 텍스트를 구문 분석하고 분석한다.[114] 그런 다음 사회학자는 MentionMapp 또는 Twitter 스트림그래프와 같이 쉽게 액세스할 수 있는 여러 도구를 사용하여 이 데이터를 시각화할 수 있다. MentionMapp은 해시태그의 인기도를 보여주고 Twitter Streamgraph는 특정 단어가 함께 짝지어지는 빈도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어의 관계가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준다.[114]
5. 4. 비판적 디지털 사회학
디지털 사회학은 디지털 기술이 사회학 연구와 사회학 지식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사회학자들은 사회학적 실천 자체에 대한 디지털 기술의 의미를 다루며, 사회적 관계와 그 분석 사이의 변화하는 관계를 탐구한다. 이는 사회 연구와 사회학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며, 특히 사회 관계와 사회 자체가 디지털 기술에 의해 매개되는 현실에서 더욱 중요해진다.[115]한국 사회학계는 사람들이 디지털 기술과 상호작용하며 방대한 양으로 수집되는 '스몰 데이터'와 '빅 데이터'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데이터 산업의 일부로 자체적인 사회 연구에 활용되기도 한다. 이는 "경험적 사회학의 위기"가 다가오고 있음을 암시할 수 있다.[116] 또한, 사회학자 자신의 정체성과 업무 관행이 인용 지표와 같은 디지털 기술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고 규율되는지에 대한 문제도 제기된다.[117]
이러한 연구 질문들은 디지털 기술 분석에서 사회학의 역할과 디지털 기술이 사회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반영하는 비판적 디지털 사회학의 핵심 과제이다.[118]
5. 5. 공공 디지털 사회학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공공 사회학은 온라인에서 접근 가능한 공간에 사회학적 자료를 게시하고 이러한 공간에서 대중과 상호 작용하는 공공 사회학의 한 형태이다. 이는 "전자 공공 사회학"이라고도 불린다.[119]소셜 미디어는 공공 사회학이 인식되는 방식을 변화시켰고 이 분야에서 디지털 진화를 일으켰다. 소통의 광대한 개방형 플랫폼은 사회학자들이 소그룹 사회학이나 대중의 개념에서 벗어나 방대한 청중으로 나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블로그는 사회학자들이 활용하는 초기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었다. 에스터 하르기타이(Eszter Hargittai), 크리스 버트램(Chris Bertram), 키어런 힐리(Kieran Healy)와 같은 사회학자는 사회학에 블로그를 사용하기 시작한 사람들 중 소수였다. 사회학 및 관련 철학에 대한 새로운 토론 그룹은 소셜 미디어 영향의 결과였다. 따라서 수많은 논평과 토론은 사회학을 이해하는 일부가 되었다. 그러한 유명한 그룹 중 하나는 [http://crookedtimber.org/ Crooked Timber]였다. 이러한 소셜 사이트에서 피드백을 받는 것이 더 빠르고 효과적이다. 탈중개화, 가시성 및 측정은 전자 공공 사회학의 주요 효과이다. 트위터(Twitter) 및 페이스북(Facebook)과 같은 다른 소셜 미디어 도구도 사회학자를 위한 도구가 되었다. [https://kieranhealy.org/files/papers/soc-social-media.pdf "소셜 미디어 시대의 공공 사회학"].[120]
5. 6. 사회학 이론의 디지털 변환
정보 통신 기술과 디지털 데이터의 확산은 사회학 연구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디지털 인문학과 전산 사회과학에는 이미 많은 방법론적 혁신이 있었다. 하지만 사회 과학과 인문학의 이론 개발은 여전히 주로 컴퓨터 문화나 사회의 인쇄 이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변환의 아날로그 이론은 사회과학과 인문학의 디지털 변환이 이 분야의 인식론적 핵심을 얼마나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지 설명하지 못한다. 디지털 방법은 아날로그 이론을 테스트하기 위해 훨씬 더 큰 디지털 데이터 세트를 제공하는 것 이상을 구성하며,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이론을 요구한다.[121] 따라서 사회 이론의 디지털 변환에 관한 연구 프로그램의 목적은 아날로그를 디지털 사회 이론으로 번역하여 디지털 사회의 디지털 이론에 의한 디지털 변환의 전통적인 아날로그 사회 이론을 보완하는 것이다.[122]5. 7. 디지털 감시
디지털 감시는 디지털 기기가 사람들의 일상 활동을 기록하고 개인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여 사생활을 침해하는 행위를 말한다.[6] 2010년부터 2020년 사이 새로운 기술이 발전하면서 온라인에서 사람들을 감시하고 관찰하는 행위가 증가했다.[69] 사생활 침해와 동의 없는 개인 정보 기록은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지켜야 할 기술 사용에 대한 의구심을 갖게 만든다. 데이터 저장과 디지털 감시의 개입은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항상 감시당한다는 느낌에 대한 우려, 걱정 또는 두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6] 디지털 데이터는 보안 기술, 앱, 소셜 미디어 플랫폼 및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타 기술 장치 내에 저장된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사적 및 공적 기업, 친구 및 기타 알려진 또는 알려지지 않은 기관의 감시 및 열람 대상이 될 수 있다.[6]참조
[1]
웹사이트
The Library in the New Age
http://www.nybooks.c[...]
2008-06-12
[2]
논문
Social Implications of the Internet
http://arjournals.an[...]
2001-08-01
[3]
논문
Digital sociology: emergent technologies in the field and the classroom
[4]
서적
Expanding Sentience: Introducing Digital Sociology for moving beyond Buzz Metrics in a World of Growing Online Socialization
Lulu
[5]
서적
Digital Sociology: Critical Perspectives
Palgrave Macmillan
[6]
서적
Digital Sociology
Routledge
[7]
웹사이트
Digital Sociology MiniConference
http://digsoc.common[...]
2015-02-27
[8]
논문
How offline gatherings affect online community members: when virtual community members ‘meetup’
2010-04-01
[9]
논문
The mutual shaping of online and offline social relationships
[10]
간행물
The Strength of Internet Ties
Pew Internet and American Life Project
[11]
논문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12]
웹사이트
Social Isolation and New Technology
http://www.pewintern[...]
2009-11-04
[13]
논문
Military History on the Electronic Frontier: Wikipedia Fights the War of 1812
http://www.americanh[...]
2012-10-01
[14]
뉴스
Meeting Facebook Friends Face To Face Causes Anxiety (Study)
http://www.business2[...]
2014-03-07
[15]
논문
The Social Internet of Things (SIoT) – When social networks meet the Internet of Things: Concept, architecture and network characterization
[16]
웹사이트
Silicon Valley to Get a Cellular Network, Just for Things
http://www.technolog[...]
[17]
논문
Things that twitter: social networks and the internet of things
[18]
논문
From the Internet of Computers to the Internet of Things
[19]
논문
Internet of Things – New security and privacy challenges
[20]
논문
Digitizing Sociology: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Internet Era
2020-06-01
[21]
논문
Media and technology use predicts ill-being among children, preteens and teenagers independent of the negative health impacts of exercise and eating habits
[22]
문서
http://pediatrics.aa[...]
2022-03-01
[23]
논문
Download Limit Exceeded
[24]
논문
The Role of Children in the Design Technology
https://drum.lib.umd[...]
1999-10-02
[25]
문서
https://www.york.ac.[...]
2022-03-01
[26]
문서
https://files.eric.e[...]
2022-03-01
[27]
문서
https://files.eric.e[...]
2022-03-01
[28]
웹사이트
"Communication, Conflict, and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http://komunikasi.un[...]
Lawrence Erlbaum Aassociates, Publishers
[29]
웹사이트
How the Internet Reinforces Inequality in the Real World
http://www.theatlant[...]
2013-02-06
[30]
웹사이트
E-commerce will make the shopping mall a retail wasteland
https://www.zdnet.co[...]
2013-01-17
[31]
블로그
Kiva Is Not Quite What It Seems
http://blogs.cgdev.o[...]
2009-10-02
[32]
뉴스
Confusion on Where Money Lent via Kiva Goes
https://www.nytimes.[...]
2009-11-08
[33]
뉴스
Zidisha Set to "Expand" in Peer-to-Peer Microfinance
http://www.microfina[...]
2010-02-01
[34]
뉴스
Internet pornography block plans: other attempts to control the internet
https://www.telegrap[...]
2010-12-21
[35]
웹사이트
Scotsman.com News - Net abuse hits small city firms
http://news.scotsman[...]
[36]
웹사이트
Digital sociology: an introduction
http://ses.library.u[...]
University of Sydney
2012
[37]
웹사이트
The emergence of sociological media? Is social media becoming mainstream within UK sociology?
http://markcarrigan.[...]
Mark Carrigan.net
2013
[38]
웹사이트
Quantifying the body: monitoring and measuring health in the age of mHealth technologies
http://www.tandfonli[...]
2013
[39]
웹사이트
A new algorithmic identity: soft biopolitics and the modulation of control
http://lass312a14.pb[...]
2011
[40]
웹사이트
Digitizing surveillance: categorization, space, inequality
http://csp.sagepub.c[...]
2003
[41]
웹사이트
Beyond the 'digital divide': Internet diffusion and inequality in Australia
http://www.uk.sagepu[...]
2006
[42]
서적
The Second Self: Computers and the Human Spirit
http://monoskop.org/[...]
Simon & Schuster
1984
[43]
서적
Life on the Screen: Identity in the Age of the Internet
Simon & Schuster
1995
[44]
서적
Alone Together: Why We Expect More from Technology and Less from Each Other
Basic Books
2011
[45]
웹사이트
Digital Sociology: Emergent Technologies in the Field and the Classroom
https://www.academia[...]
2021-10-23
[46]
웹사이트
The Aura of the Digital
http://www.ctheory.n[...]
CTheory
2006
[47]
웹사이트
When atoms meet bits: social media, the mobile web and augmented revolution
http://www.mdpi.com/[...]
2012
[48]
논문
A movement of connected individuals: social media in the Austrian student protests 2009
2011
[49]
웹사이트
Clicks, cabs, and coffee houses: social media and oppositional movements in Egypt
http://cspo.org/lega[...]
2012
[50]
서적
Twitter: Social Communication in the Twitter Age
Polity Press
2013
[51]
서적
The Digital Practices of African Americans: An Approach to Studying Cultural Change in the Information Society
Peter Lang
2014
[52]
논문
The Content of Our #Characters: Black Twitter as Counterpublic
2016
[53]
논문
Leni Riefenstahl and German Expressionism: A Study of Visual Cultural Studies Using Transdisciplinary Semantic Space of Specialized Dictionaries
intellect
2008
[54]
논문
Big Data solutions on a small scale: Evaluating accessible high-performance computing for social research
2014-11-25
[55]
논문
Interface Methods: Renegotiating Relations between Digital Social Research, STS and Sociology
http://research.gold[...]
2015-08-14
[56]
웹사이트
What is digital sociology?
http://www.csisponli[...]
CSISP Online
2013
[57]
웹사이트
The coming crisis of empirical sociology
https://www.gold.ac.[...]
2007
[58]
논문
Living with the h-index? Metric assemblages in the contemporary academy
2012
[59]
웹사이트
Digital sociology part 3: digital research
http://simplysociolo[...]
This Sociological Life
2012
[60]
서적
Social Media and e-Public Sociolog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2014
[61]
논문
Public Sociology in the Age of Social Media
2015
[62]
논문
Big Data, new epistemologies and paradigm shifts
2014
[63]
웹사이트
Digital transformation of social theory
https://derroth.com/[...]
2019
[64]
뉴스
The Library in the New Age
http://www.nybooks.c[...]
2008-06-12
[65]
논문
Social Implications of the Internet
2001
[66]
논문
Digital sociology: emergent technologies in the field and the classroom
2009
[67]
서적
Expanding Sentience: Introducing Digital Sociology for moving beyond Buzz Metrics in a World of Growing Online Socialization
Lulu
2010
[68]
서적
Digital Sociology: Critical Perspectives
Palgrave Macmillan
2013
[69]
서적
Digital Sociology
Routledge
2015
[70]
간행물
Digital Sociology MiniConference
http://digsoc.common[...]
2015-02-27
[71]
저널
How offline gatherings affect online community members: when virtual community members ‘meetup’.
2010-04-00
[72]
저널
The mutual shaping of online and offline social relationships
2008-00-00
[73]
간행물
The Strength of Internet Ties
Pew Internet and American Life Project
2006-00-00
[74]
저널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2007-00-00
[75]
웹인용
Social Isolation and New Technology
http://www.pewintern[...]
2009-11-04
[76]
저널
Military History on the Electronic Frontier: Wikipedia Fights the War of 1812
http://www.americanh[...]
2012-10-00
[77]
뉴스
Meeting Facebook Friends Face To Face Causes Anxiety (Study)
http://www.business2[...]
Business 2 Community
2014-03-07
[78]
저널
The Social Internet of Things (SIoT) – When social networks meet the Internet of Things: Concept, architecture and network characterization
2012-00-00
[79]
서적
From Active Data Management to Event-Based Systems and More
2010-00-00
[80]
웹인용
Silicon Valley to Get a Cellular Network, Just for Things
http://www.technolog[...]
Technology Review
2015-05-27
[81]
논문
Things that twitter: social networks and the internet of things
2010-00-00
[82]
저널
Internet of Things – New security and privacy challenges
2010-00-00
[83]
저널
Digitizing Sociology: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Internet Era
https://journals.sag[...]
2020-06-01
[84]
저널
Media and technology use predicts ill-being among children, preteens and teenagers independent of the negative health impacts of exercise and eating habits
2014-00-00
[85]
저널
Download Limit Exceeded
[86]
저널
The Role of Children in the Design Technology
https://drum.lib.umd[...]
1999-10-02
[87]
웹인용
"Communication, Conflict, and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by Alan Sillars, Daniel J. Canary and Melissa Tafoya in ''Handbook of Family Communication'', edited by Anita L. Vangelisti.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associates, Publishers, 2004.
http://komunikasi.un[...]
2022-12-25
[88]
뉴스
How the Internet Reinforces Inequality in the Real World
http://www.theatlant[...]
The Atlantic
2013-02-06
[89]
뉴스
E-commerce will make the shopping mall a retail wasteland
http://www.zdnet.com[...]
ZDNet
2013-01-17
[90]
블로그
Kiva Is Not Quite What It Seems
http://blogs.cgdev.o[...]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2009-10-02
[91]
뉴스
Confusion on Where Money Lent via Kiva Go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11-08
[92]
뉴스
Zidisha Set to "Expand" in Peer-to-Peer Microfinance
http://www.microfina[...]
Microfinance Focus
2010-02-00
[93]
뉴스
Internet pornography block plans: other attempts to control the internet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0-12-21
[94]
뉴스
Net abuse hits small city firms
http://news.scotsman[...]
Scotsman.com News
[95]
서적
Digital sociology: an introduction
http://ses.library.u[...]
University of Sydney
2012-00-00
[96]
웹사이트
The emergence of sociological media? Is social media becoming mainstream within UK sociology?
http://markcarrigan.[...]
2013-06-06
[97]
저널
Quantifying the body: monitoring and measuring health in the age of mHealth technologies
http://www.tandfonli[...]
2013-00-00
[98]
저널
A new algorithmic identity: soft biopolitics and the modulation of control
http://lass312a14.pb[...]
2011-00-00
[99]
저널
Digitizing surveillance: categorization, space, inequality
http://csp.sagepub.c[...]
2003-00-00
[100]
저널
Beyond the 'digital divide': Internet diffusion and inequality in Australia
http://www.uk.sagepu[...]
2006-00-00
[101]
서적
The Second Self: Computers and the Human Spirit
http://monoskop.org/[...]
Simon & Schuster
1984-00-00
[102]
서적
Life on the Screen: Identity in the Age of the Internet
Simon & Schuster
1995-00-00
[103]
서적
Alone Together: Why We Expect More from Technology and Less from Each Other
Basic Books
2011-00-00
[104]
저널
Digital Sociology: Emergent Technologies in the Field and the Classroom
https://www.academia[...]
[105]
웹사이트
The Aura of the Digital
http://www.ctheory.n[...]
2006-00-00
[106]
저널
When atoms meet bits: social media, the mobile web and augmented revolution
http://www.mdpi.com/[...]
2012
[107]
저널
A movement of connected individuals: social media in the Austrian student protests 2009
2011
[108]
저널
Clicks, cabs, and coffee houses: social media and oppositional movements in Egypt
http://cspo.org/lega[...]
2012
[109]
서적
Twitter: Social Communication in the Twitter Age
Polity Press
2013
[110]
서적
The Digital Practices of African Americans: An Approach to Studying Cultural Change in the Information Society
Peter Lang
2014
[111]
저널
The Content of Our #Characters: Black Twitter as Counterpublic
2016
[112]
저널
Leni Riefenstahl and German Expressionism: A Study of Visual Cultural Studies Using Transdisciplinary Semantic Space of Specialized Dictionaries
intellect
2008
[113]
저널
Big Data solutions on a small scale: Evaluating accessible high-performance computing for social research
2014-11-25
[114]
저널
Interface Methods: Renegotiating Relations between Digital Social Research, STS and Sociology
http://research.gold[...]
2015-08-14
[115]
웹사이트
What is digital sociology?
http://www.csisponli[...]
2013
[116]
저널
The coming crisis of empirical sociology
https://www.gold.ac.[...]
2007
[117]
저널
Living with the h-index? Metric assemblages in the contemporary academy
2012
[118]
블로그
Digital sociology part 3: digital research
http://simplysociolo[...]
2012
[119]
서적
Social Media and e-Public Sociolog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2014
[120]
저널
Public Sociology in the Age of Social Media
2015
[121]
저널
Big Data, new epistemologies and paradigm shifts
2014
[122]
저널
Digital transformation of social theory
https://derroth.com/[...]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