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은 1945년 12월 창설되어, 1947년 8월 20일 조선인민군 공군으로 재편성되었다. 한국 전쟁에서 소련의 지원을 받아 한국 공군 및 미 공군과 대치했으며, 이후 냉전과 경제난을 거치며 전력이 약화되었다. 현재는 노후화된 장비와 연료 부족으로 인해 전투 능력이 제한적이나, 다양한 기종의 전투기, 공격기, 헬리콥터, 무인기 등을 운용하고 있으며, 고밀도의 방공망을 구축하고 있다. 조직은 장성급, 영관급, 위관급, 부사관, 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대 사령관으로는 왕련, 조명록, 리병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 미림비행장 평양 동쪽 대동강변에 위치한 미림비행장은 활주로와 유도로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는 김일성 광장 열병식 훈련장으로 주로 활용되지만,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 사용, 미림 비행 클럽의 경량 항공기 시내 관광 운영, 그리고 과거 무수단 미사일 발견 및 정치범 공개 처형 장소 이용 등 다양한 사건과 관련되어 있다.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 덕산비행장 덕산 비행장은 05/23 방향의 콘크리트 활주로 1개를 갖춘 군 비행장이며, 2,484 x 49m 크기의 활주로를 가지고, 지형적 특성상 방어에 유리한 계곡에 위치해 있고, 현재는 군사 공항으로 사용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통제를 받으며 군내 당 조직 및 근로 단체 활동 지도, 정치사상 교육, 선전, 선동을 담당하는 핵심 기관으로, 조직부가 군 간부 인사권을 행사하고 판문점대표부는 대남 정책 및 군사 전략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국무위원장의 직접 지시를 받는 군사 지휘 기관으로서, 인민무력성과 별도로 13개 직속국과 각종 사령부를 지휘하며, 국방 정책 기획, 군사 작전, 대남 공작 등 한반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1945년 설립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여운형이 건국동맹을 모체로 일본 패망 직후 조선총독부로부터 치안권과 행정권을 이양받아 발족한 단체로, 일제 타도와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전국적인 치안 유지와 행정 공백 해소에 기여했으나 미군정의 불인정으로 해체되었다.
1945년 설립 -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은 1948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이후 전력을 구축하고 율곡 계획과 군 현대화 정책을 통해 현대화되었으며, 국제 사회에 기여하고 대양해군 건설을 목표로 함정 및 항공기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며 해군본부, 해군작전사령부, 해병대사령부 등을 운영하고 약 7만 명의 병력과 170여 척의 함정, 60여 대의 항공기를 운용하는 대한민국의 해상 및 상륙 작전을 담당하는 군대이다.
1945년 12월 김일성은 평양과 신의주에 있던 항공대를 통합하여 조선 항공대를 창설하고, 1947년8월 20일조선인민군 공군으로 재편성하였다. 조선인민군 공군은 소련의 물자와 전술을 전수받았으며, 한국 전쟁에서 미국 공군의 폭격기를 격추하는 임무를 맡았다.[84]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은 1949년 12월 항공사단 창설 이후, 1950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한국 공군 및 미국 공군과 대치하였다. 개전 초기에는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은 Yak-9, La-9 전투기 등을 운용하여 서울과 김포, 수원 비행장을 공습하였으나, 미 극동 공군의 전면적인 개입과 유엔군의 항공 우세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1950년 10월 중국 인민 지원군의 참전 이후, 만주에서 재정비를 거쳐 1951년 1월 공군 사령부를 설치하고, 3월에는 중국 인민 지원군 공군과 연합작전사령부를 설립하였다. 이후 MiG-15를 비롯한 신형 전투기를 도입하고, 소련과 중국의 지원 하에 조종사 양성에 힘썼다. 12월에는 평양으로 사령부를 이전하고 전선에 복귀하여 유엔군의 F-86 등과 공중전을 벌였으나, 조종사 숙련도 부족으로 항공 우세를 확보하지는 못했다.
1950년 11월부터 Po-2를 이용한 야간 폭격을 실시하여 1953년 6월에는 경무대를 폭격하는 등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휴전 당시에는 5개 사단을 보유하고, MiG-15, Yak-9, La-11, Tu-2, Il-28 등의 항공기를 운용하였다.
냉전 기간 동안에는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아 MiG-19/J-6, MiG-21/J-7 등을 도입하였고,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북베트남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1969년에는 미 해군 EC-121기 격추 사건을 일으키는 등 강력한 전투력을 과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경제난과 소련 붕괴, 중국의 개혁 개방으로 인해 지원이 감소하면서 군사력이 약화되었다. 1990년대 초반 비무장지대 인근으로 비행기지를 전진 배치하였으나,[84]MiG-29를 마지막으로 신형기 도입이 중단되고, 훈련 연료 부족과 정비 불량으로 전투 능력이 저하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도 기체 노후화와 연료 부족 문제가 지속되었으나, 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 당시 MiG-23을 출격시키는 등 제한적인 작전 능력을 유지하고 있다. 2016년에는 원산시에서 최초의 에어쇼를 개최하여 MiG-29, Su-25 등의 기동 비행을 선보이기도 했다.
2022년에는 대규모 항공 훈련을 실시하고, 한미 연합 훈련에 대응하여 다수의 항공기를 동원하는 등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방백서와 국제전략연구소의 분석에 따르면, 실제 운용 가능한 전투기는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2. 1. 창설 (1945~1949)
1945년 10월(9월이라고도 함)[59], 소련 항공학교 출신인 왕련과 나고야 항공학교 출신인 리활을 중심으로 일본 항공학교 출신 20명, 중국 비행학교 출신 약 10명, 만주국군 출신과 각 항공대에서 근무한 20명, 총 약 50명이 모여 민간 조직으로 신의주 항공대를 발족시켰다.[59][61] 이 조직은 조선인민군 공군의 모체가 되었으며, 군사 고문으로 소련에서 마이오리 마크심 소령을 맞이하고, 사용 기종은 일본의 95식 1형 연습기 3대였다.[62]
10월 25일, 각 지역의 열성 분자 중에서 학력 우수자를 선발하여 조종 교육대(30명), 정비 교육대(30명), 통신 교육대(20명)에 입대시켜 본격적으로 교육을 시작했다.[63] 이들은 신의주 항공대 제1기생으로서 이듬해 1월에 교육을 마쳤다.[63]1946년 2월 23일, 제2기생 160명이 입대했다.[63] 이 당시에 일본이나 중국, 만주, 소련에서 귀국한 항공 관계자가 약 400명에 달했기 때문에, 제2기생은 훈련 및 경비 관계상 5월부터 평양 학원으로 이동하여 항공 중대를 편성[62], 학원 내에 항공과를 설립했다. 제2기생은 6월에 졸업했다.[63] 제3기생부터는 항공대가 평양 학원에 흡수되었기 때문에, 제3기생은 평양 학원 항공 제1기생으로서 같은 해 10월에 졸업했다.[63] 공군 건설은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으며 제1기생부터 제3기생까지 중에서 성적 우수자 300명을 선발하여 소련으로 유학 보냈다.[63] 그들은 1947년 초에 귀국했다.[62] 항공 중대는 항공 대대로 승격, 항공과는 항공부가 되고 왕련이 부장, 리활이 부부장이 된다.[62]
1947년8월 20일에 조선인민군의 정규 조직으로 최초의 항공대를 편성했고, 이 날이 1972년 정령으로 공군 기념일이 된다.[62]
1948년 2월 8일 조선인민군이 성립, 1948년 9월 18일, 항공 대대는 인민 무력성의 지휘하에 들어간다. 같은 해 말까지 약 900명의 항공 관계자를 모스크바로 유학 보내 재교육을 실시했다.[61] 1948년 말에 소련군이 한반도에서 철수하자 Yak-9와 La-7, Il-10 등의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개발된 기체를 이어받아 본격적인 확장을 시작했다.
1949년 1월에 항공 대대는 평양으로 이전하여 제25비행연대로 승격[62]되었다. 3월에 김일성이 소련을 방문하자 Yak-9와 Il-10 등의 각종 항공기 30대가 추가 도입되었고, 1949년 12월에 추격기, 습격기, 교도의 3개 연대 및 공병 대대로 편성된 항공 사단이 창설되었다.[61] 사단장은 왕련, 부사단장은 리활, 각 연대장은 서주필(추격기), 최현옥(습격기) 등 육군 소년 비행병 15기 출신이었다.[61]1950년 4월, Yak-9와 Il-10을 추가로 60대 도입했다.[62]
1945년 12월, 김일성은 평양과 신의주의 항공대를 통합하여 조선 항공대를 창설하고, 2년 뒤인 1947년 8월 20일 조선인민군 공군으로 재편성하였다. 조선인민군 공군은 소련의 물자와 전술을 전수받아 한국 전쟁에서 미국 공군의 폭격기를 격추하는 임무를 맡았다.[84]
전쟁 초기, Il-10 슈토르모빅은 한국의 비행장을 공격하는 데 사용된 주요 폭격기였으며, Yak-9/9P 프랭크 및 기타 훈련기 및 전투기가 방공 및 기총 소사 공격에 사용되었다. 당시 북한 공군은 Ki-54 수송기를 포함한 많은 일본 항공기도 보유하고 있었다.[9]
1950년 6월 27일, USAF F-82가 네 대의 Yak-9의 호위를 받던 Yak-11 훈련기를 격추했다. 29일, 서울이 함락된 후, 3대의 Il-10과 6대의 Yak-9가 수원 비행장을 공격하여 지상에 있던 미국 C-54 스카이마스터를 파괴했다. 그러나 수원에 대한 두 번째 공격은 F-80C 슈팅스타에 의해 요격되었다.[9]
1950년 7월 3일, USS ''밸리 포지'' CV-45 소속 VF-51은 F9F-3 팬서가 북한 공군 Yak-9P를 격추하면서 해군 제트기의 첫 격추를 기록했다.[10] 그날, 평양 공군기지, 평양 동부 비행장 및 온정리 비행장이 성공적으로 타격을 받았고 북한 공군은 많은 항공기를 잃었다.[10]
7월과 8월 동안, 북한 공군은 부산 교두보 근처의 지상 공세를 계속 지원했지만, USAF 및 USN 제트 항공기와 접촉이 늘면서 더 많은 손실을 입었다.[10] 소련 측은 북한 공군이 8월 10일 이후 더 이상 작전을 수행하지 않았으며, 8월 22일 USN 항공기의 공격으로 전멸했다고 보고했다. 북한 공군은 공중전에서 3대의 미국 항공기(B-29, L-4 및 L-5)만 격추했다. 1950년 11월 6일, 제67 FBS 소속 F-51D에 의해 두 대의 Yak-9P가 격추되면서, 북한 공군 프로펠러 항공기의 마지막 손실이 발생했다.[10]
1950년에 시작된 한국 전쟁(조국 해방 전쟁)에서는 병력 약 2,000명(조종사 200명, 정비사 400명), 항공기 약 200대(1선급 150대)로[62]한국 공군 및 미국 공군과 대치했다. 개전 당시에는 Yak-9나 La-9 전투기 등을 사용했다.[64]
개전 후 6월 25일, 서울과 김포 비행장을 공습했고, 27일에는 수원 비행장을 공습했다.[62] 7월 7일, 점령 직후의 김포에 전진했다.[66]극동 공군이 전면 동원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7월 4일까지 47대의 항공기가 파괴되었고, 7월 첫째 주 시점에서는 한국 지역에 출격할 수 없었다.[65] 이는 물리적인 피해와 더불어 미국 공군 개입과 평양 폭격에 따른 심리적인 충격이 있었다.[65] 소련의 자료에 따르면, 7월에 들어 공군은 대부분의 전투 능력을 상실했다.[65]
1950년 10월 19일에 중국 인민 지원군(항미원조 의용군)이 참전하자, 공군은 만주에서 재정비를 했다. 1951년 1월 공군 사령부를 설치, 3월 15일에는 랴오닝성 안둥 쓰다오거우에 중국 인민 지원군 공군과 조선 인민군 공군 연합작전사령부(사령원: 류전)가 설립, 옌지에 항공학교를 창설하고 탑승원을 양성했으며, 소련으로부터 전투기를 지원받아 형세를 재건했다.[66]
파일럿 양성은 옌지의 항공학교, 만주에 주둔하고 있던 제64전투비행군단, 소련 연해주, 그 외의 소련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1951년 12월, 사령부를 평양으로 옮기고, 중국 인민 지원군 공군 소속의 MiG-15와 함께 전선에 복귀했다.[66] 미국군 중심의 유엔군도 이미 F-80이나 F-84 등의 제트 전투기로 갱신했고, 또한 MiG-15와 같은 후퇴익 제트 전투기 F-86 전투기와도 공중전을 벌였다.[67]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일럿의 숙련도 부족으로 인해, 유엔군이 항공 우세를 이어갔다.[67]
북한 공군은 소련 공군이 독소전 때 사용한 전술을 따랐고, 그 일환으로 Po-2에 의한 야간 폭격이 1950년 11월경부터 실시되었다. 1953년 6월 15일에는 경무대에 폭탄을 투하했다. 이 야간 폭격은 한국 전쟁에서 북한 공군의 가장 효과적인 작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Po-2 외에 Yak-18도 사용되었고, 1953년 6월에 4~5대의 Yak-18이 인천의 유류 야적장을 폭격하여 5500000gal의 연료를 불태웠다.
휴전 시점에는 5개 사단을 보유했고, 전투기는 MiG-15, Yak-9, La-11, 폭격기는 Il-10, Tu-2 외에 소수의 Il-28을 보유했다.[68]
2. 3. 냉전 시기 (1953~1991)
김일성은 1945년 12월 평양과 신의주에 있던 항공대를 통합하여 조선 항공대를 창설하고, 2년 뒤인 1947년 8월 20일 조선인민군 공군으로 재편성하였다. 조선인민군 공군은 소련의 물자와 전술을 전수받았으며, 한국 전쟁에서 미국 공군의 폭격기를 격추하는 임무를 맡았었다.
1950년 7월과 8월에 겪은 큰 손실 이후, 소련은 MiG-15를 조종하는 북한 조종사들을 훈련시키기 시작했다.[11] 소련은 대부분의 북한 조종사들이 MiG-15 조종 경험이 매우 미숙하다고 인정했다.[12]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은 때때로 해외에 전개되기도 했다.[13]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전투기 비행대를 북베트남에 파견했다.[14]김일성은 북한 조종사들에게 "베트남 하늘이 마치 자기 하늘인 것처럼 싸우라"고 말했다고 한다.[15] 1966년 말에 파견된 제203항공대는 베트남 인민 공군 지휘 하의 제923연대로 1967년 5월까지 배치되어, 상시 24명의 파일럿을 포함한 150명의 병사가 베트남에 주둔했다.[70] 조선인민군 공군 파일럿은 미군기 26기를 격추했으나, 14명이 전사[71]하여 현지에 매장되었다. 2002년에는 전사자들의 묘가 북한의 인민군 영웅 열사 묘역으로 이장되었고, 현지에 기념비가 세워졌다.[7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참조)
1969년 4월 15일,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소속 MiG-21이 동해의 국제 수역에서 록히드 EC-121 Warning Star를 격추했다.[16] (미 해군 EC-121기 격추 사건) 1973년에는 북한의 MiG-21 비행대가 1973년 10월 전쟁 기간 동안 남부 이집트를 방어하기 위해 비르 아리다에 배치되었다.[17]
냉전 시대에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은 소련과 중국으로부터 막대한 지원을 받아 MiG-19/J-6, MiG-21/J-7, Il-28 등을 수입했다. 1990~91년에는 한반도 비무장 지대 근처에 4개의 전진 공군 기지를 활성화했다.[84]
2. 4. 냉전 이후 (1991~)
1990년대 초반 이후 비행기지를 비무장지대 인근으로 이동하여 전진 배치하였다.[84] 1990~91년에는 한반도 비무장 지대 근처에 4개의 전진 공군 기지를 활성화했다.
MiG-29와 같은 비교적 새로운 작전기도 소수 보유하고 있지만, 군용기의 현대화가 경제 제재로 인해 진전되지 않아, 모두 냉전 시대에 개발・운용된 구 소련제・미국제・중국제 기종만 보유하고 있다.[57][58] 방공이 주 임무이지만, 그 외에 수송・정찰・대지 공격, 더 나아가 특수 부대의 잠입 지원도 임무로 하고 있다.[57][58]
1980년대 이후 경제 침체로 인한 군사력 저하와 물자 부족에 더해, 소련 붕괴와 중국의 개혁 개방으로 중소로부터의 지원이 급격히 감소했다. 1980년대 말 도입한 MiG-29를 마지막으로, 신예기 구매는 물론 훈련 연료조차 부족한 상태가 되었고, 더욱이 만성적인 식량 부족으로 사기나 정비도 부족하여 전투 능력은 현저히 저하되었다.
2000년대에도 기재 노후화와 연료 부족은 이어졌지만, 2003년에는 미군 정찰기를 MiG-29가 추적했고, 2009년에는 위성 발사를 지키기 위해 MiG-23ML이 출격했으며, 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 당시에도 MiG-23이 출격하여 한국군기를 노리는 등의 움직임을 보였다. 2012년에 개최된 김일성 생일 100주년 군사 퍼레이드에서 MiG-29가 5기 편대로 김일성 광장 상공에서 축하 비행을 실시했다. 그 외에도 조선중앙텔레비전에서 MiG-29와 Su-25가 편대를 이루어 기동 비행하는 모습을 빈번하게 공개하고 있다. 2015년 10월 1일 조선로동당 창립 70주년 기념 군사 퍼레이드에서는 An-2의 편대 비행이 공개되었다. 2016년 9월 24일·25일에는 원산시의 원산 공항에서 북한 최초의 항공 쇼인 원산 국제 친선 항공 축전이 개최되어 해외 언론에도 공개되었다. 축전에서는 MiG-29와 Su-25, MiG-21, MD500의 곡예 비행과 낙하산 부대에 의한 퍼포먼스가 행해진 외에, 여성 파일럿의 존재도 공표하고 있다.[73] 2016년 10월에는 항공 쇼 확인에 P-700이 등장했다.
대한민국 국방백서에 따르면, 2020년 12월 기준 보유 전투기 수는 약 800대이다. 그러나 기체 갱신 및 필요한 정비가 이루어지지 않아, 2021년영국 국제전략연구소의 분석에서는 동원 가능한 공격기는 75대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2022년10월 8일, 공군은 대규모 항공 종합 훈련을 실시했으며, 약 150대가 참가했다고 발표했다. 여기에는 구식 전투기인 미그-15도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74] 이 훈련에 대해 한국 측에서는 "실제 비행이 가능했던 것은 훈련기를 포함하여 40대 정도였다", "4대는 정상적인 비행을 하지 못하고 추락한 전투기가 있었다", "실전 훈련이 충분하지 않아 편대 비행 등에서 우왕좌왕했다", "엔진에서 검은 연기를 내뿜는 기체가 로동신문에 게재되었다" 등의 혹평으로 볼 때, 보여주기식 훈련이었다고 보도했다.[75]
2022년 11월 4일, 한미 연합 군사 훈련에 대한 대응 조치로 다수의 항공기를 상공에 전개했다.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약 4시간 동안 약 180개의 항적을 확인했으며, 전투기 및 폭격기는 공대지 사격 등을 실시했다고 전했다.[76] 항적에 대해서는 이착륙을 반복하면 여러 번 기록되므로, 한 번에 180대가 동원되었다는 의미는 아니다.
3. 조직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은 육군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방공 임무를 수행한다.[57][58] 이외에도 수송, 정찰, 대지 공격, 특수 부대 잠입 지원 등의 임무를 맡는다.[57][58] 경제 제재로 인해 군용기 현대화가 어려워, 대부분 냉전 시대에 개발된 구 소련제, 미국제, 중국제 기종을 보유하고 있다.[57][58]MiG-29와 같은 비교적 신형 작전기도 소수 보유하고 있다.[57][58]
조선인민공화국은 4개의 비행 사단과 2개의 전술 수송 여단, 그리고 2개의 공군 저격 여단(특수부대)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유 기체는 1,300대 이상으로,[58] 2013년 기준으로 MiG-29 (추정 보유 기수 18대), MiG-23 (56대), Su-25 (34대)가 주력 기종이다.[57] 그러나 MiG-17, MiG-19, MiG-21 등 구형 기종이 다수를 차지하며, 특수부대 잠입용 An-2도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다.[58] 기체 노후화로 인해 방공 임무에는 지대공 미사일과 고사 화기가 중요하게 사용된다.[5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유일의 항공사인 고려항공은 사실상 조선인민군 공군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에 의한 제재 대상이다.[77]
장비는 대부분 소련제와 중국제이지만, 일부는 미국이나 뉴질랜드 등 서방 국가의 장비도 있다.[78] 일부 작전기는 위장이 변경되었다.
MiG-23ML|MiG-23MLru/MiG-23UB|MiG-23UBru/Mig-29Bs|MiG-29Bsru/MiG-29SEs|MiG-29SEsru/MiG-15UTI|MiG-15UTIru/Mig-21|MiG-21ru[35]H500D|H500D영어/H500E|H500E영어/500D|500D영어. 이 기지는 1960년대에 대부분의 새로운 소련 전투기가 인도된 곳이다.[36]
북창 동부 - 제65 항공 연대 {헬리콥터} (Mi-8T|Mi-8Tru, Mi-26|Mi-26ru), 제64 항공 연대 {헬리콥터} (MD-500|MD-500영어)
평양 순안 국제공항 - 특별 수송 항공 비행단 (조선인민군 공군-CAAK) (고려항공) (Tu-134B|Tu-134Bru/Tu-154B-2|Tu-154B-2ru/Il-62M|Il-62Mru/Il-76MD|Il-76MDru/Il-18|Il-18ru/An-24|An-24ru/An-148|An-148ru)
미림 비행장 - ?? VIP 부대 (Mi-17|Mi-17ru) (1990년대 폐쇄, 현재 조선인민군 훈련 시설)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은 광범위한 종류의 전투기와 공격기를 운용한다. MiG-17, MiG-19, MiG-21 및 MiG-23 등 구식 전투기를 아직도 운용하고 있지만, 비교적 현대적인 MiG-29도 보유하고 있다.[20]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은 구식 MiG-21이다.[18]
Su-25
대공 방어 장비는 단거리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MANPADS)인 9K34 스트렐라-3, 9K38 이글라와 ZPU-4 중기관총부터, 고고도 S-75 드비나,[19] 장거리 SA-5 감몬 및 폰개-5 지대공 미사일(SAM) 시스템, 대구경 대공포까지 다양하다.[20][21]
Il-28 폭격기는 구식이지만, Kh-35와 P-15 테르밋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22] 지상 공격 항공기 상당수는 핵 공격에도 견딜 수 있는 격납고에 보관되어 있으며, 레이더 흡수 페인트 연구 및 기만 전술을 통해 스텔스 능력을 확보하려는 노력도 하고 있다.[23]
MD-500 헬리콥터는 1980년대에 서독 상인들이 수출한 것으로, AT-3 대전차 미사일을 장착한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24][25] 원산 항공 축제에서 An-2, Mi-17과 함께 새로운 위장 도색을 한 모습으로 공개되었다.[26]
Kh-25, Kh-29 공대지 미사일, 재밍 포드(SPS-141) 등 정밀 유도 무기도 보유하고 있다.[27]금성-3 대함 순항 미사일의 공중 발사형은 Il-28/H-5 폭격기에서 발사 가능하며, 지상 발사형은 240km의 사거리를 갖는다.[28][29]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은 다양한 종류의 전투기와 전폭기를 운용하고 있다. 주요 기종은 다음과 같다.
MiG-29A/C/UB : 40대를 보유했으나, 현재는 정비 불량, 기체 결함, 추락 등으로 인해 16대 정도만 운용 가능한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평양 방공 임무를 맡고 있다.[79]
MiG-23ML : 56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F-16급에 비견되는 북한 공군의 실질적인 주력 기종이다. 가변익을 수동으로 조종할 수 있으며, 경량화 개량을 통해 비행 특성이 향상되어 근접 공중전에도 대응 가능하다. 구 소련 방공군이 운용하던 기체로, 외부 수출이 드물었다.[79]
MiG-21F/PF/PFM/bis, F-7(MiG-21 계열) : MiG-21 150대, F-7 40대를 보유하고 있다. MiG-21 PFM형은 AA-2 Atol/K-13A 미사일, 127mm 로켓런처, 23mm Gsh-23 기관포를 탑재하고 있다.[79]
MiG-21 이하 기종들은 노후화되어 현대 전투기에 대항하기 어렵고, 한국 공군의 F-5에도 밀리는 수준이다. 그러나 숫자가 많아 방공용으로는 어느 정도 위협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정비 부족으로 비행 가능 비율은 절반 이하로 추정된다.
대한민국 공군의 F-4, F-5와 교전 가능한 기체조차 많지 않으며, KF-16, F-15K를 이길 수 있는 기체는 거의 없다. F-35A 60여대는 탐지조차 어렵고, 향후 도입될 KFX 120대를 고려하면 조선인민군 공군이 제공권을 장악하기는커녕 요격 임무 수행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전쟁 초기에는 Il-10이 주요 폭격기로 사용되었고, Yak-9/9P 등이 방공 및 기총 소사 공격에 사용되었다.[9] 당시 Ki-54 등 일본 항공기도 보유하고 있었다.[9]
Il-28 비글 폭격기는 일반적으로 구식이지만 중거리 공격 플랫폼을 제공하며, Kh-35와 P-15 테르밋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22] 최소한 일부 Il-28/H-5 폭격기는 2008년과 2011년에 알려진 비행 테스트를 통해 금성-3 대함 순항 미사일의 공중 발사형을 발사할 수 있다.[28] 금성-3의 지상 발사형 해안 방어형은 240km의 사거리를 가지고 있다.[29]
1980년대에 서독 상인들이 소련 선박을 통해 북한에 수출한 몇 대의 MD-500 헬리콥터를 북한 공군이 운용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24] 한국 전쟁 정전 60주년을 기념하는 군사 퍼레이드에서 여러 대가 소련 AT-3 대전차 미사일을 장착한 채로 목격되었다.[25] 이후 원산 항공 축제에서 다시 공개적으로 등장했는데, 여기서 그들은 An-2와 Mi-17에도 적용된 새로운 녹색 위장 도색을 하고 있는 모습이 보이기도 했다.[26]
4. 7. 무인 항공기 (UAV)
중국제 UV-10 계열
중국제 SKY-09 계열
Pchela - 1T|프첼라-1Tru
VR-3 레이
북한제 방현계열
미국 국방정보국의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은 특수부대를 한국에 침투시키기 위한 An-2 수송기와 정보 수집 및 공군 지상 공격 능력을 보완하기 위한 UAV에 주로 의존하며, 한국의 방공망에 대해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라고 한다.[18]
4. 8. 지대공 미사일 (SAM)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은 다양한 종류의 지대공 미사일(SAM) 체계를 갖추고 있다.
고고도 방공망은 최근까지 약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2010년 S-300 계열 미사일인 KN-06(번개 5호)이 공개되면서 상황이 변화하였다. KN-06은 자주사격통제장치, 자주위상배열 레이다, 원통형 발사대를 갖춘 발사기를 사용하며, 외관상 S-300 또는 중국의 FT-2000과 유사하다. FT-2000은 최대 사거리 100km, 요격 고도 3~20km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고고도 방공망 무기체계를 '번개'라는 호칭으로 분류하며, KN-06은 '번개 5호'로 불린다.
R-73은 러시아의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조종사의 헬멧에 연동되어 적 항공기가 옆에 있더라도 발사가 가능하다. R-73A(초기형)는 탐지거리가 30km이며, 최신형인 R-73M의 사정거리는 40km이다. R-73은 Vympel에서 개발되었으며, 1984년에 실전배치 되었다. R-73은 MIG-23MLD, MIG-29, Su-27, Mi-24, Mi-28, Ka-50과 같은 헬리콥터에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12G까지 견딜 수 있으며 전파방해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파이어 앤 포겟(Fire and Forget) 기능이 있다.
5. 반항공 전력
한국 전쟁에서 미군 공군력에 크게 패배한 경험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정규군과 준군사조직 모두 방공(반항공)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공군력이 약해 방공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4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방공 체계는 공군사령부 예하에 항공기, 지대공 미사일, 고사포, 레이더 탐지 부대 등으로 통합 구성되어 있다.[49] CIA는 이 방공망을 세계 최고 수준의 고밀도 방공망이라고 평가했는데, 이는 성능이 아닌 순수한 밀집도를 의미한다.[4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공은 4개 구역으로 나뉘며, 1차 방공 임무는 비행사단에 위임되어 있다.[49]
5. 1. 지대공 미사일
한국 전쟁에서 미군의 압도적인 공군력에 완전히 격파당한 경험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방공(반항공)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공군력이 약하기 때문에 지대공 미사일에 더욱 의존하고 있다.
1962년부터 SA-2 중거리-저고도 미사일을 주요 도시, 군사시설, 침공 예상 경로에 배치했다. 1985년부터는 SA-3 단거리-저고도 미사일을 도입해 평양 근교와 주요 군사시설에 배치했다.
과거에는 SA-1, SA-6을 수입한 기록이 있고 SA-17 500여 발을 가지고 있다.
2010년 10월 10일 군사 퍼레이드에서 KN-06(번개 5호) 미사일이 공개되었다. 이 미사일은 외관상 S-300 또는 중국제 FT-2000 지대공미사일 시스템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형으로 추정된다. 중국이 수출용으로 개발한 FT-2000은 최대 수평 사거리가 100km이고 요격 고도는 3~20km에 이른다.
한국전쟁에서 미군의 압도적인 공군력에 완전히 격파당한 경험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모든 정규군과 준군사조직들이 방공(반항공)에 큰 노력을 기울인다. 특히 공군력이 약하여 방공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
전술 고사포는 지상군 기동부대를 방호하고, 전략 고사포는 주요 도시, 항만, 군수산업시설 등을 방호하기 위해 집중 배치되어 있다. 고사포는 최대 14,000문 정도로 추정된다.
고사포에는 ZPU-4 14.5mm 4연장 고사기관총, 23mm 2/4연장 고사기관포, M-1939 37mm, S-60 57mm, KS-19 100mm 대공포 등이 있다. ZSU-23-4 쉴카와 같이 장갑차에 자주화된 것도 있다.
평양의 경우, 424곳 중 100mm 고사포가 11곳(3%), 57mm 고사포가 49곳(12%), 37mm 고사포가 114곳(27%), 14.5mm 고사포가 250곳(59%)이 발견되었다.
5. 3. 방공 체계
한국전쟁에서 미군의 압도적인 공군력에 완전히 격파당한 경험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모든 정규군과 준군사조직들이 방공(반항공)에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공군력이 약하기 때문에 방공에 더욱 신경을 쓸 수밖에 없다.
1962년부터 SA-2 중거리-저고도 미사일을 주요 도시, 군사 시설, 침공 예상 경로에 배치했다. 50개 포대에 180~240개의 발사기가 배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1985년부터는 SA-3 단거리-저고도 미사일을 도입해 평양 근교와 주요 군사 시설에 배치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방공 체계는 공군사령부 예하에 항공기, 지대공 미사일, 고사포, 레이다 탐지 부대 등으로 통합 구성되어 있다. CIA는 세계 최고 수준의 고밀도 방공망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는데, 이는 순수하게 밀도가 세계 최고로 높다는 의미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공은 4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1차적인 방공 임무는 비행사단에 위임되어 있다.
전술 고사포는 지상군 기동 부대를 방호하고, 전략 고사포는 주요 도시, 항만, 군수 산업 시설 등을 방호하기 위해 집중 배치되어 있다. 고사포는 최대 14,000문 정도로 추정된다.
고사포의 종류로는 ZPU-4 14.5mm 4연장 고사기관총, 23mm 2/4연장 고사기관포, M-1939 37mm, S-60 57mm, KS-19 100mm 대공포 등이 있다. ZSU-23-4 쉴카와 같이 장갑차에 자주화된 것도 있다.
평양의 경우를 보면, 424곳 중 100mm가 11곳(3%), 57mm 49곳(12%), 37mm 114곳(27%), 14.5mm 250곳(59%)이 발견되었다.
과거에는 SA-1, SA-6을 수입한 기록이 있고 SA-17 500여 발을 보유하고 있다.
2010년 10월 10일 군사 퍼레이드에서 공개된 미사일은 KN-06(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명칭 번개 5호)으로 명명되었다. 이때 자주사격통제장치와 자주위상배열 레이다, 원통형 발사대를 탑재한 발사기가 공개되었다. 전문가들은 이 미사일이 외관상 S-300 또는 중국제 FT-2000 지대공미사일 시스템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형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국이 수출용으로 개발한 FT-2000은 최대 수평 사거리가 100km이고 요격 고도는 3~20km에 이른다.
6. 계급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은 장군, 영관급 장교, 위관급 장교, 부사관, 병의 5개 계급 체계를 갖추고 있다.[53][54]
장성급 장교
영관급 장교
위관급 장교
선임 부사관
부사관
병
가끔 조선인민군 공군 장교는 공군 대장보다 더 높은 계급으로 진급하는데, 이때 부원수 이상의 계급은 육군, 해군, 공군으로 나뉘지 않기 때문에 육군 복장을 착용한다.[55]
조명록은 1978년부터 1995년까지 공군 사령관을 지냈다.[2] 1995년 10월, 차수(次帥)로 진급하여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에 임명되었고,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이 되었다.[2]오금철 대장(大將)이 그의 후임 공군 사령관을 맡았다.[2]
참조
[1]
웹사이트
Flightglobal - World Air Forces 2015 (PDF)
https://d1fmezig7cek[...]
Flightglobal.com
2015-06-07
[2]
웹사이트
Missiles and madness
http://www.atimes.co[...]
Asia Times
2011-08-11
[3]
웹사이트
Israeli F-4s Actually Fought North Korean MiGs During the Yom Kippur War
http://www.businessi[...]
Business Insider
2019-03-27
[4]
웹사이트
A KCNA Report calls Kim Kwang Hyok "Commander of the KPA Air Force"
https://dprktoday.co[...] [5]
웹사이트
North Korea Country Study
http://lcweb2.loc.go[...]
2005-02-26
[6]
웹사이트
North Korea's air force
https://www.iiss.org[...]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IISS)
2020-02-10
[7]
웹사이트
2022 Defense White Papers (South Korea)
https://web.archive.[...]
2023-11-26
[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Korean War
Scarecrow Press
[9]
간행물
The Korean People's Air Force in the Fatherland Liberation War: Part I
2012-09-22
[10]
간행물
The Korean People's Air Force in the Fatherland Liberation War: Part II
2012-12-22
[11]
웹사이트
The Russians in MiG Alley
https://www.airforce[...]
2022-04-04
[12]
웹사이트
"[1.0] Mikoyan MiG-15"
http://www.airvector[...]
2022-04-04
[13]
뉴스
Missiles and madness
http://news.naver.co[...]
2017-10-17
[14]
뉴스
War of the Dragons: Why North Korea Does Not Trust China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7-09-30
[15]
뉴스
N Korea admits Vietnam war role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3-08
[16]
뉴스
N Korea in 'US spy plane' warning
http://news.bbc.co.u[...]
2018-03-05
[17]
뉴스
An unknown story from the Yom Kippur war: Israeli F-4s vs North Korean MiG-21s
http://theaviationis[...]
2014-04-04
[18]
뉴스
North Korean air force faces resources, obsolescence issues: DIA
https://www.flightgl[...]
2021-10-18
[19]
뉴스
Developments of North Korea's Land-based Air Defense Systems
https://www.38north.[...]
The Henry L. Stimson Center
2024-07-30
[20]
보고서
North Korea Military Power: A growing regional and global threat
https://www.dia.mil/[...]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2023-09-24
[21]
웹사이트
North Korea Country Handbook 1997
https://archive.org/[...] [22]
웹사이트
ALCMs in Uiju
https://www.armscont[...]
2021-07-20
[23]
웹사이트
North Korea 'develops stealth paint to camouflage fighter jets'
https://www.telegrap[...]
2018-04-05
[24]
웹사이트
The Strange Story of How North Korea Smuggled in 87 U.S. Scout Helicopter
https://warisboring.[...]
2017-10-13
[25]
웹사이트
North Korea's (illegally supplied) armed Hughes 500E helicopters emerge after 30 years in the dark
https://theaviationi[...]
2013-07-30
[26]
웹사이트
Airshow Review – Wonsan Air Festival, North Korea
https://www.globalav[...]
2016-09-30
[27]
웹사이트
Rare photo of North Korean fighter jet firing air-to-air missile emerges after Kim Jong Un visits air base
https://www.business[...]
2021-07-20
[28]
웹사이트
Air-Launched Cruise Missiles in Uiju, DPRK
https://www.armscont[...]
2021-01-13
[29]
웹사이트
North Korea's New KN19 Coastal Defense Cruise Missile: More Than Meets the Eye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21-01-13
[30]
뉴스
Intelligence experts analyse 'North Korean fighter jet crash'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7-09-09
[31]
웹사이트
N.Korea Steps Up Air Force Training Flights
https://web.archive.[...]
2013-03-24
[32]
웹사이트
하루 700회 출격한 북한군 항공기
http://www.tongilnew[...]
2013-07-20
[33]
웹사이트
North Korean Special Weapons Facilities
http://www.fas.org/n[...]
2006-07-15
[34]
웹사이트
North Korean Air Forces
http://www.scramble.[...]
Scramble
2010-08-10
[35]
웹사이트
39°29'50.0"N 125°58'32.0"E · Pukchang Airport, South Pyongan, North Korea
https://www.google.c[...] [36]
간행물
Preliminary Assessment of BLACK SHIELD Mission 6847 over North Korea
http://www.foia.cia.[...]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68-01-29
[37]
웹사이트
MIG 29 in Sunchon
http://maps.google.n[...]
2011-08-12
[38]
서적
The air forces of the world, their history, development and present strength
https://books.google[...]
Macdonald
[39]
뉴스
57th Fighter Regiment reported at Onchon with 29 MiG-29s
Jane's Defence Weekly
1993-10-09
[40]
뉴스
Toksan reported as home to 56th Fighter Regiment with 49 MiG-21s
Jane's Defence Weekly
1993-10-09
[41]
웹사이트
The North Korean Air Force by Google Earth
http://freekorea.us/[...]
2007-04-29
[42]
웹사이트
North Korea's Secret Strategy in a War with America: Go Underground
http://nationalinter[...]
2017-05-06
[43]
웹사이트
North Korea's Thunderbird Runways
http://googlesightse[...]
2008-05-19
[44]
뉴스
World Air Forces 2024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com
2024-01-03
[45]
뉴스
Pacific Aerospace guilty of planning unlawful export to North Korea
https://i.stuff.co.n[...]
2017-10-11
[46]
웹사이트
North Korea's Illegally Supplied Helicopters Emerge
http://www.businessi[...]
businessinsider.com
2015-06-05
[47]
웹사이트
Inside North Korea's secret UAV program
https://www.defencet[...]
2022-12-03
[48]
웹사이트
North Korea plays an imitation game with new UAVs
https://www.iiss.org[...]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2024-01-06
[49]
간행물
Trade Registers
http://armstrade.sip[...]
Armstrade.sipri.org
2015-05-29
[50]
서적
Kim Jong Un and the Bomb: Survival and Deterrence in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7-15
[51]
웹사이트
Sudan says it has ceased all military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 NK News
https://www.nknews.o[...]
2018-06-07
[52]
서적
Kim Jong Un and the Bomb: Survival and Deterrence in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7-15
[53]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0
[54]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0
[55]
웹사이트
North Korea's baffling personalized rank insignia, explained
https://www.nknews.o[...]
NK News
2017-03-14
[56]
웹사이트
NK pilot defector promoted to colonel
https://koreatimes.c[...]
2010-11-16
[57]
문서
2013年版防衛白書 第I部わが国を取り巻く安全保障環境
http://www.mod.go.jp[...] [58]
문서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13 (アメリカ国防総省議会報告書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の軍事及び安全保障 2013年)
http://www.defense.g[...] [59]
서적
朝鮮戦争 休戦50周年の検証・半島の内と外から
[60]
뉴스
北朝鮮空軍創建の主役リ・ファルは、日本の操縦士出身
http://dailynk.jp/ar[...]
デイリーNKジャパン
2007-07-12
[61]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62]
서적
[63]
서적
朝鮮戦争 休戦50周年の検証・半島の内と外から
[64]
서적
Air Combat: A History of Fighter Pilots
Penguin
[65]
서적
전쟁과 평화 朝鮮半島1950
[66]
서적
[67]
서적
朝鮮戦争―38度線・破壊と激闘の1000日
学研マーケティング
[68]
서적
[69]
뉴스
北朝鮮空軍のベトナム戦争参戦 公式文書で初確認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12-05
[70]
뉴스
米軍機26機を撃墜した「北の戦闘機乗りたち」 朝鮮人民軍 海外戦記/ベトナム編(3)
http://dailynk.jp/ar[...]
デイリーNK
2014-12-31
[71]
뉴스
米軍機26機を撃墜した「北の戦闘機乗りたち」 朝鮮人民軍 海外戦記/ベトナム編(3)
http://dailynk.jp/ar[...]
デイリーNK
2014-12-31
[72]
뉴스
米軍機26機を撃墜した「北の戦闘機乗りたち」 朝鮮人民軍 海外戦記/ベトナム編(3)
http://dailynk.jp/ar[...]
デイリーNK
2014-12-31
[73]
뉴스
【写真特集】北朝鮮初の航空ショー
https://www.afpbb.co[...]
AFP BBNews
2016-09-26
[74]
웹사이트
爆撃機など北朝鮮軍用機 約180回飛行か=空対地射撃も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2-11-04
[75]
웹사이트
「150機出撃」と宣伝した北朝鮮…戦闘機はスクラップ同然、一部は墜落
https://www.chosunon[...]
朝鮮日報
2022-10-15
[76]
웹사이트
北朝鮮軍180機の航跡確認 韓国軍が80機緊急出動 米韓国防相会談「核攻撃なら体制終わる」と警告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2-11-04
[77]
뉴스
「世界最悪の航空会社」高麗航空、事実上北朝鮮軍の下部組織
http://s.japanese.jo[...]
朝鮮日報日本語版
2017-02-23
[78]
웹사이트
All-Time Aircraft Used List North Korean Air Force – Aeroflight
https://www.aeroflig[...]
2017-02-26
[79]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3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IISS)
2023-02-15
[80]
뉴스
Pacific Aerospace guilty of unlawful exports to North Korea
https://www.stuff.co[...]
2017-10-11
[81]
뉴스
北朝鮮でミグ19戦闘機の墜落相次ぐ 開発は半世紀以上前、老朽化
https://web.archive.[...]
2014-07-30
[82]
간행물
남북 군사력 현황
대한민국 국방부
2016
[83]
문서
[84]
웹인용
Korean People's Army Air Force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4-10-13
[85]
문서
[86]
문서
[87]
뉴스
북한 김정은, 또 공군부대 시찰…비행훈련 독려
https://news.naver.c[...]
KBS
[88]
뉴스
중국 언론, 북한 공군기지 사진 대거 공개…中 정부가 묵인?
https://news.naver.c[...]
MBC
[89]
문서
[90]
뉴스
<이슈분석> 北 김정은, 리설주와 동행…군부대 시찰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91]
뉴스
MIG-23기 있는 것으로 파악된 황주비행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92]
문서
[93]
뉴스
北, 공군력 확대..."활주로 5군데 확장, 보완공사"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