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스토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스토랄은 문학, 음악,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는 전원적이고 목가적인 주제를 다루는 개념이다. 문학에서는 전원의 이상향을 배경으로 목동들의 사랑과 삶을 노래하는 형식을 취하며, 작가가 복잡한 삶을 단순하게 표현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파스토랄은 시골의 삶을 묘사하거나 도시와 대비되는 자연을 배경으로 하며, 낭만적이고 이상화된 목동의 삶을 다룬다. 음악에서는 전원적인 분위기를 담은 곡을 의미하며, 특히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와 협주곡에 삽입되기도 한다. 미술에서는 이상화된 전원 풍경을 묘사하며,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에서 부활하여 클로드 로랭, 니콜라 푸생 등의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기독교에서는 '선한 목자'로 묘사되는 예수와 목회, 목사 등의 단어에서 목가적 이미지를 사용하며, 목회 서신에서 기독교 생활과 리더십 문제를 논의한다. 파스토랄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문학, 예술, 종교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술 장르 - 디오라마
    디오라마는 역사적 사건, 자연 풍경 등을 실물 크기 또는 축소 모형으로 3차원 재현하여 교육, 오락 목적으로 활용되는 전시 기법이다.
  • 예술 장르 - 풍경화
    풍경화는 자연 또는 변형된 자연을 주요 주제로 하는 회화 장르로, 미노스 문명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문화권에서 발전했으며, 중국의 산수화, 17세기 네덜란드 황금기의 전문 풍경화가, 19세기 유럽의 낭만주의와 자연주의 영향, 그리고 지역적 특징을 지닌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 음악 장르 - 잼 밴드
    잼 밴드는 그레이트풀 데드에서 시작되어 즉흥 연주와 다양한 장르 혼합을 특징으로 하며 라이브 공연 녹음 및 배포를 허용하는 문화를 공유하지만, 정의가 모호하여 일부 아티스트는 이 분류를 꺼리기도 하는 밴드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 음악 장르 - 래그타임
    래그타임은 19세기 후반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가들이 창조한 싱코페이션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장르로, 피아노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여러 작곡가들의 활동을 통해 대중화되었고, 1차 세계 대전 이후 쇠퇴했지만, 1940년대 이후 부흥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문학 장르 - 기사 문학
    기사 문학은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유행한 문학 장르로, 기사도, 궁정 연애, 모험 등을 주제로 하며 아서왕 이야기, 샤를마뉴 이야기, 고대 그리스·로마 영웅 이야기 등을 주요 소재로 다룬다.
  • 문학 장르 - 모험 소설
    모험 소설은 기사도 소설에서 현대 영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19세기 이후 이국적인 배경, 영웅, 과학 기술 등을 담은 소설로 발전하여 스파이 소설 등의 하위 장르를 포함하고 쥘 베른, 알렉상드르 뒤마, 클라이브 쿠슬러 등 다양한 작가들에 의해 쓰여졌다.
파스토랄
음악 장르
정의양치기 생활과 시골의 여러 면을 이상화하여 묘사하는 문학 및 음악 작품
특징전원적 배경
양치기 또는 농부 등장인물
자연에 대한 향수
단순하고 목가적인 삶에 대한 찬양
기원고대 그리스의 목가시
역사
고대 그리스기원: 기원전 3세기경 테오크리토스의 목가시에서 유래
특징: 양치기들의 대화, 사랑, 음악, 자연 묘사
로마 시대영향: 베르길리우스의 《목가》 (Eclogues)
특징: 정치적, 개인적 주제를 목가적 배경에 결합
르네상스 시대부활: 목가 문학의 부흥
특징: 이상화된 시골 풍경, 궁정 문화 반영
바로크 시대발전: 목가극 (pastoral opera) 탄생
특징: 음악과 연극 결합, 전원적인 배경, 신화적 요소
18세기변화: 산업화에 대한 반발,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
특징: 목가적 주제가 예술, 문학, 음악 전반에 확산
현대지속: 현대 문학, 영화, 음악에서 목가적 주제의 변형된 형태
특징: 자연과의 조화, 단순한 삶에 대한 갈망
문학
주요 작가 및 작품테오크리토스: 《목가》
베르길리우스: 《목가》
에드먼드 스펜서: 《양치기의 달력》 (The Shepheardes Calender)
필리스 휘틀리: 다양한 목가시
음악
주요 작곡가 및 작품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아치스와 갈라테아》 (Acis and Galatea)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양들은 평화롭게 풀을 뜯고》 (Sheep May Safely Graze)
루트비히 판 베토벤: 《전원 교향곡》 (Pastoral Symphony)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오르페오》 (L'Orfeo)
장-필리프 라모: 《플라테》 (Platée)
관련 개념
관련 용어전원시
아이딜 (Idyll)
목가극 (Pastoral opera)
주제자연
사랑
단순한 삶
이상향
영향예술
문학
음악
정원 디자인

2. 문학

파스토랄은 작가가 복잡한 삶을 단순화하는 기법을 사용하는 문학 양식이다. 폴 앨퍼스는 파스토랄 문학이 자연에 대해 겸손한 관점을 가진다는 점을 들어 파스토랄을 장르보다는 양식으로 구별한다. 파스토랄은 시, 드라마 등 다양한 종류의 문학과 장르(특히 파스토랄 비가)에서 나타난다.

테리 기포드는 그의 비평서 ''파스토랄''에서 파스토랄을 세 가지 방식으로 정의한다.


  • 첫째, 작가가 시골에서의 삶, 특히 목동의 삶을 인식하고 논의하는 역사적 문학적 관점을 강조한다.[4] 이는 레오 마르크스에 의해 "목동 없이는 파스토랄도 없다"라는 구절로 요약된다.
  • 둘째, 도시와 명시적 또는 암묵적 대비를 이루는 시골을 묘사하는 문학이다.
  • 셋째, 시골 생활을 경멸적으로 묘사하는 것이다.


헤시오도스의 ''일과 날''은 사람들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았던 '황금 시대'를 제시한다. 이는 알렉산드리아 시대 이전 고대 그리스인들이 이미 잃어버린 이상적인 파스토랄적 삶에 대한 감정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며, 파스토랄 전통의 시작을 알린다.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는 ''일과 날''과 유사하게 시대를 묘사하지만, 더 많은 시대를 다루고 신과 그들의 처벌에 대한 강조는 덜하다. 인간과 자연 사이의 완벽한 관계는 테오크리토스의 시 ''목가 1''에서 목동과 염소치기의 만남에서도 나타난다.

전통적으로 파스토랄은 목동들의 삶을 낭만적이고 과장되게 묘사한다. 문학에서 '파스토랄'이라는 형용사는 시골의 대상과 목동, 소치기 및 기타 농부들의 삶을 지칭하며, 종종 낭만주의적으로 묘사된다. 파스토랄적인 삶은 일반적으로 황금 시대에 더 가깝다고 특징지어진다. 배경은 로쿠스 아무에누스la 즉, 자연 속의 아름다운 장소이며, 때로는 에덴 동산과 연결된다.[5]

파스토랄 목동과 처녀들은 일반적으로 그리스어 이름을 가지는데, 이는 파스토랄 장르의 기원을 반영한다. 파스토랄시는 아름다운 시골 풍경을 배경으로 하며, 그리스의 시골 지역인 아르카디아는 신 판의 신화적 고향으로, 시인들에 의해 일종의 에덴 동산으로 묘사되었다. 목동들은 예쁜 소녀들이나 소년들을 쫓아다니며 시간을 보낸다. 베르길리우스의 두 번째 시선집 ''Formosum pastor Corydon ardebat Alexin''(Formosum pastor Corydon ardebat Alexin|목동 코리돈은 아름다운 알렉시스를 향한 열정에 불탔다la)의 에로티시즘은 동성애적이다.[6]

2. 1. 파스토랄 문학 개관

파스토랄은 작가가 복잡한 삶을 단순한 삶으로 바꾸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는 문학의 양식이다. 폴 앨퍼스는 파스토랄을 장르보다는 양식으로 구별하는데, 이는 권력의 반복적인 태도, 즉 파스토랄 문학이 자연에 대해 겸손한 관점을 가진다는 점에 근거한다. 따라서 파스토랄은 다양한 종류의 문학(시, 드라마 등)과 장르(특히 파스토랄 비가)에서 나타난다.

테리 기포드는 그의 비평서 ''파스토랄''에서 파스토랄을 세 가지 방식으로 정의한다. 첫째는 작가가 시골에서의 삶, 특히 목동의 삶을 인식하고 논의하는 파스토랄의 역사적 문학적 관점을 강조하는 것이다.[4] 이는 레오 마르크스에 의해 "목동 없이는 파스토랄도 없다"라는 구절로 요약된다. 둘째는 "도시와 명시적 또는 암묵적 대비를 이루는 시골을 묘사하는" 문학이다. 셋째는 시골 생활을 경멸적인 분류로 묘사하는 것이다.

헤시오도스의 ''일과 날''은 사람들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함께 살았던 '황금 시대'를 제시한다. 이 황금 시대는 알렉산드리아 시대 이전에도 고대 그리스인들이 이미 잃어버린 이상적인 파스토랄적 삶에 대한 감정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파스토랄적인 감정을 가진 문학의 첫 번째 예이며 파스토랄 전통을 시작했을 수 있다.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는 시대를 묘사하는(황금, 은, 청동, 철, 인간) ''일과 날''과 매우 유사하지만, 논의할 시대가 더 많고 신과 그들의 처벌에 대한 강조는 덜하다. 이 인위적으로 구성된 세계에서 자연은 주요 처벌자 역할을 한다. 인간과 자연 사이의 이러한 완벽한 관계의 또 다른 예는 테오크리토스의 시 ''목가 1''에서 목동과 염소치기가 목초지에서 만나는 만남에서 분명하다.

전통적으로 파스토랄은 낭만적이고 과장되었지만 대표적인 방식으로 목동들의 삶을 지칭한다. 문학에서 '파스토랄'이라는 형용사는 시골의 대상과 목동, 소치기 및 기타 농부들의 삶의 측면을 지칭하며, 이는 종종 낭만주의적으로 묘사되고 매우 비현실적인 방식으로 묘사된다. 파스토랄적인 삶은 일반적으로 나머지 인간의 삶보다 황금 시대에 더 가깝다고 특징지어진다. 배경은 로쿠스 아무에누스la 즉, 자연 속의 아름다운 장소로, 때로는 에덴 동산의 이미지와 연결된다.[5]

크리스토퍼 말로우의 ''연인에게 바치는 열정적인 목동''의 유명한 구절은 다음과 같다.

"연인에게 바치는 열정적인 목동"은 기포드의 '파스토랄'에 대한 두 번째 정의의 개념을 보여준다. 이 시의 화자는 도시적 물질적 쾌락을 이상화하여 연인을 사로잡으려 한다. 이는 "안감 있는 슬리퍼", "가장 순수한 금", "은 접시", "상아 테이블"(13, 15, 16, 21, 23행)에 나열된 항목에서 볼 수 있다.

파스토랄 목동과 처녀들은 일반적으로 그리스어 이름(예: 코리돈, 필로멜라)을 가지는데, 이는 파스토랄 장르의 기원을 반영한다. 파스토랄시는 아름다운 시골 풍경을 배경으로 하는데, 이의 문학적 용어는 "로쿠스 아무에누스"(라틴어로 "아름다운 장소")이다. 그리스의 시골 지역인 아르카디아는 신 판의 신화적 고향으로, 시인들에 의해 일종의 에덴 동산으로 묘사되었다. 목동들은 예쁜 소녀들을 쫓아다니며 시간을 보낸다. 그리스와 로마 버전에서는 예쁜 소년들도 마찬가지다. 베르길리우스의 두 번째 시선집, ''Formosum pastor Corydon ardebat Alexin''(Formosum pastor Corydon ardebat Alexinla, "목동 코리돈은 예쁜 알렉시스에 대한 열정으로 불탔다")의 에로티시즘은 완전히 동성애적이다.[6]

2. 2. 파스토랄 시 (전원시)

파스토랄은 작가가 복잡한 삶을 단순한 삶으로 바꾸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는 문학의 양식이다. 폴 앨퍼스는 파스토랄을 장르보다는 양식으로 구별하는데, 그는 이러한 구별을 권력의 반복적인 태도를 근거로 한다. 즉, 파스토랄 문학은 자연에 대해 겸손한 관점을 가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파스토랄은 많은 종류의 문학(시, 드라마 등)과 장르(특히 파스토랄 비가)에서 나타난다.[3]

저명한 문학 이론가인 테리 기포드는 그의 비평서 ''파스토랄''에서 파스토랄을 세 가지 방식으로 정의한다. 첫 번째 방식은 작가가 시골에서의 삶, 특히 목동의 삶을 인식하고 논의하는 파스토랄의 역사적 문학적 관점을 강조한다.[4] 이는 레오 마르크스에 의해 "목동 없이는 파스토랄도 없다"라는 구절로 요약된다. 파스토랄의 두 번째 유형은 "도시와 명시적 또는 암묵적 대비를 이루는 시골을 묘사하는" 문학이다. 파스토랄의 세 번째 유형은 시골 생활을 경멸적인 분류로 묘사한다.

헤시오도스의 ''일과 날''은 사람들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함께 살았던 '황금 시대'를 제시한다. 이 황금 시대는 알렉산드리아 시대 이전에도 고대 그리스인들이 이미 잃어버린 이상적인 파스토랄적 삶에 대한 감정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파스토랄적인 감정을 가진 문학의 첫 번째 예이며 파스토랄 전통을 시작했을 수 있다.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는 시대를 묘사하는(황금, 은, 청동, 철, 인간) ''일과 날''과 매우 유사하지만, 논의할 시대가 더 많고 신과 그들의 처벌에 대한 강조는 덜하다. 이 인위적으로 구성된 세계에서 자연은 주요 처벌자 역할을 한다. 인간과 자연 사이의 이러한 완벽한 관계의 또 다른 예는 테오크리토스의 시 ''목가 1''에서 목동과 염소치기가 목초지에서 만나는 만남에서 분명하다.

''젊은 목동'', 줄리오 캄파뇰라의 점묘법을 사용한 판화, c. 1510


전통적으로 파스토랄은 낭만적이고 과장되었지만 대표적인 방식으로 목동들의 삶을 지칭한다. 문학에서 '파스토랄'이라는 형용사는 시골의 대상과 목동, 소치기 및 기타 농부들의 삶의 측면을 지칭하며, 이는 종종 낭만주의적으로 묘사되고 매우 비현실적인 방식으로 묘사된다. 파스토랄적인 삶은 일반적으로 나머지 인간의 삶보다 황금 시대에 더 가깝다고 특징지어진다. 배경은 로쿠스 아무에누스la 즉, 자연 속의 아름다운 장소로, 때로는 에덴 동산의 이미지와 연결된다.[5] 이 장르의 사용 예시는 15세기 스코틀랜드의 마카르 로버트 헨리슨의 단편시 ''로베네와 매킨''으로, 이 시 역시 이 장르에 종종 나타나는 상반된 감정을 담고 있다. 더 평온한 분위기는 크리스토퍼 말로우의 1588년 작품 ''연인에게 바치는 열정적인 목동''의 유명한 구절에 의해 설정된다.

"연인에게 바치는 열정적인 목동"은 기포드의 '파스토랄'에 대한 두 번째 정의의 개념을 보여준다. 이 시의 화자, 즉 제목의 목동은 파스토랄 이데올로기의 단순화된 기쁨에 의존하기보다는 연인을 사로잡기 위해 도시적 물질적 쾌락의 이상화를 활용한다. 이는 "안감 있는 슬리퍼", "가장 순수한 금", "은 접시", "상아 테이블"(13, 15, 16, 21, 23행)에 나열된 항목에서 볼 수 있다. 화자는 연인과 함께 관음적인 관점을 취하며 다른 진정한 목동과 자연과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파스토랄 목동과 처녀들은 일반적으로 그리스어 이름, 예를 들어 코리돈 또는 필로멜라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파스토랄 장르의 기원을 반영한다. 파스토랄시는 아름다운 시골 풍경을 배경으로 하는데, 이의 문학적 용어는 "로쿠스 아무에누스"(라틴어로 "아름다운 장소")로, 그리스의 시골 지역인 아르카디아는 신 판의 신화적 고향으로, 시인들에 의해 일종의 에덴 동산으로 묘사되었다. 양과 기타 시골 일과 관련된 그들의 고용 업무는 환상 속에서 거의 모든 것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며 배경에 남겨져 목동과 그의 연인들이 거의 완벽한 여가 상태에 있도록 한다. 이것은 그들이 영원한 에로티카적 판타지를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목동들은 예쁜 소녀들을 쫓아다니며 시간을 보낸다. 또는 적어도 그리스와 로마 버전에서는 예쁜 소년들도 마찬가지다. 베르길리우스의 두 번째 시선집, ''Formosum pastor Corydon ardebat Alexin''("목동 코리돈은 예쁜 알렉시스에 대한 열정으로 불탔다")의 에로티시즘은 완전히 동성애적이다.[6]

Georgics 3권, ''양떼와 함께 있는 목자'', 베르길리우스 (바티칸 도서관)


목가 문학은 헤시오도스 이후 헬레니즘 시대 그리스의 테오크리토스의 시로 이어졌다. 그의 여러 ''전원시''는 시골을 배경으로 하며(아마도 시인이 살았던 코스 섬의 풍경을 반영), 목동들 간의 대화를 담고 있다.[7] 테오크리토스는 시칠리아 목동들의 진정한 민간 전통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다. 그는 도리아 방언으로 글을 썼지만, 그가 선택한 운율은 그리스 시의 가장 권위 있는 형태인 서사시와 관련된 장단 6보격이었다. 이러한 단순함과 세련됨의 조화는 이후의 목가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테오크리토스는 그리스 시인 비온과 모스쿠스에게 모방되었다.

로마 시인 베르길리우스는 그의 영향력 있는 ''목가시집''으로 목가를 라틴어로 각색했다. 베르길리우스는 도시와 시골의 생활 방식의 대조와 정치적 우화라는 두 가지 매우 중요한 목가의 용법을 소개했는데,[8] 이는 각각 제1시와 제4시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렇게 함으로써 베르길리우스는 전통적인 테오크리토스의 목가적 관습을 여전히 사용하면서 목동들의 삶을 더욱 이상적으로 묘사한다. 그는 자신의 시를 아르카디아에 설정한 최초의 시인이었으며, 이후의 많은 목가 문학이 그 곳을 언급하게 된다.

호라티우스의 ''풍자시'' 2권, 컨트리 조이스에는 분주한 도시 생활에서 평화로운 시골로 벗어나기를 꿈꾸는 "꿈을 꾸는 남자" 알피우스가 등장한다. 그러나 "꿈을 꾸는 남자"가 암시하듯이, 이것은 알피우스에게는 단지 꿈일 뿐이다. 그는 시골을 위해 떠나기에는 고리대금업자로서의 그의 직업에 너무 몰두해 있다.[9]

베르길리우스의 목가시집을 모델로 한 후기 은세기 라틴 문학 시인으로는 칼푸르니우스 시쿨루스와 네메시아누스, 그리고 아인지델른 목가의 저자가 있다.

이탈리아 시인들은 14세기부터 목가를 부활시켰으며, 처음에는 라틴어로(예: 페트라르카, 폰타노, 만투안의 작품), 그 다음에는 이탈리아 방언으로(예: 산나차로, 보이아르도). 목가에 대한 유행은 르네상스 시대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주요 프랑스 목가 시인으로는 프랑스 궁정의 시인 마로[10]와 당시 "시인들의 왕자"로 불렸던 피에르 드 롱사르가 있다.[11][12]



영어 최초의 목가시는 알렉산더 바클레이의 ''전원시''(c. 1515)였으며, 만투안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영국 목가시의 획기적인 작품은 에드먼드 스펜서의 ''목자의 달력'' (1579)으로, 1년의 각 달마다 하나씩, 총 12편의 전원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언으로 쓰여졌다. 여기에는 비가, 우화, 그리고 당대 영국 시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어 있다. 스펜서와 그의 친구들은 다양한 필명으로 등장한다(스펜서 자신은 "콜린 클라우트"이다). 스펜서의 예는 마이클 드레이턴 (''아이디어, 목자의 화환'')과 윌리엄 브라운 (''브리타니아의 목가시'')과 같은 시인들이 모방했다. 영국 역사상 이 시기에 많은 작가들이 "반목가"적 주제를 탐구했다.[14] 이의 두 가지 예로, 필립 시드니 경의 "스물세 번째 시편"과 "나이팅게일"은 현실을 매우 반목가적인 관점으로 보여준다. "스물세 번째 시편"에서 자연은 우리가 보호받아야 할 대상처럼 묘사되며, "나이팅게일"에서는 필로멜라의 비애가 화자의 고통에 비유된다. 시드니는 또한 풍경에 대한 목가적인 묘사로 가득 찬 ''아르카디아''를 썼다. 월터 롤리 경의 "양치기에게 보내는 요정의 답변" (1600) 또한 요정이 그녀의 사랑을 위한 열정적인 양치기의 이상화된 양치기에게 현실적으로 응답함으로써 반목가에 대해 논평하며, 자연의 진정한 흐름과 양치기가 요정에게 갈망하는 사랑과의 양립성을 설명하고 있다. 테리 기포드는 2012년 에세이 "목가, 반목가 및 후기 목가: 읽기 전략"에서 종종 목가의 명시적인 수정으로 반목가를 정의하며, 낭만주의보다 "현실주의"를 강조하고, 문제적 요소(긴장, 무질서, 불평등 제시)를 강조하고, 문학적 구성을 거짓 왜곡으로 비판하며, 아르카디아 및 샹그릴라와 같은 신화적 장소를 신화화하는 것을 강조했다.[15]

17세기에는 컨트리 하우스 시가 등장했다. 이 장르에는 1611년 에밀리아 라니에르의 ''쿡-햄의 묘사''가 포함되어 있는데, 여기서 한 여인은 그녀의 저택과의 관계과 그녀가 떠날 때 그녀를 애도하는 방식으로 묘사된다. 1616년 벤 존슨은 시드니 가문이 소유한 저택을 언급하며 그 아름다움을 말하는 시 ''펜스허스트에게''를 썼다. 이 시의 기초는 존슨이 그 저택에서 가졌던 기억들의 조화롭고 기쁜 고양이다. 이는 존슨이 펜스허스트의 문화를 묘사하기 위해 웅변적으로 사용하는 운율시, 즉 5보격으로 아름답게 쓰여졌다. 여기에는 목가적 세계의 그리스 신인 판과 바쿠스가 저택의 주목할 만한 손님으로 포함되어 있다. 반은 사냥과 목동과 관련된 반인반수의 목가적 세계의 그리스 신이었고, 바쿠스는 술, 취함, 의례적 광기의 신이었다. 목가적인 관점에서 판과 바쿠스에 대한 이러한 언급은 펜스허스트가 신들과 함께 할 만큼 얼마나 명망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캐서린 필립스의 또 다른 17세기 작품인 "컨트리 라이프" 또한 컨트리 하우스 시였다. 필립스는 시골의 기쁨에 초점을 맞추고, 그것에 수반되는 삶의 방식을 "인간이 자신을 즐겼던 첫 번째이자 가장 행복한 삶"으로 바라본다. 그녀는 물질적인 것에서 벗어나 살고, 주변 세상에 과도하게 관심을 두지 않음으로써 이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는 것에 대해 쓴다. 앤드루 마블의 "애플턴 하우스 위에서"는 마블이 1651년 로드 페어팩스의 딸 메리의 가정교사로 일했을 때 쓰여졌다. 이 시는 종교, 정치, 역사와 관련된 은유로 매우 풍부하다. 존슨의 "펜스허스트에게"와 마찬가지로 마블의 시는 목가적인 저택을 묘사하고 있다. 그것은 집 자체, 그 역사, 정원, 초원 및 기타 부지, 숲, 강, 그의 제자 메리, 그리고 미래를 거쳐 이동한다. 마블은 자연을 인간을 중심으로 한 시를 엮는 실로 사용했다. 우리는 다시 한번 자연이 인간에게 완전히 제공하는 것을 본다. 마블은 또한 자연을 예술에 지속적으로 비교하고, 예술이 의도적으로 달성할 수 없는 것을 자연이 우연히 또는 자발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는 듯하다.

체임벌린 공장, 우스터, c. 1805. 목가적 장면이 있는 커들 컵 유형의 뚜껑이 있는 손잡이 두 개 달린 컵.


로버트 헤릭의 ''호크-카트, 또는 추수감사절''도 17세기에 쓰여졌다. 이 목가적인 작품에서 그는 독자에게 노고에서 얻는 혜택을 다채로운 그림으로 그려낸다. 이는 중앙 인물들이 여가를 즐기고 자연이 독자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노동의 축하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전형적이지 않은 목가의 해석이다. 이 시는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시골과 도시''에서 언급되었다. 헤릭의 작품에 대한 이러한 인정은 윌리엄스와 헤릭 모두 목가적 라이프스타일에서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적절하다.

목가적 비가는 죽음이나 상실을 애도하기 위해 목가적 요소를 사용하는 하위 장르이다. 영어에서 가장 유명한 목가적 비가는 존 밀턴의 "리시다스" (1637)로, 케임브리지 대학교 동료 학생이었던 에드워드 킹의 죽음을 애도하며 쓰여졌다. 밀턴은 작가로서의 자신의 소명을 탐구하고 교회의 남용이라고 생각했던 것을 공격하기 위해 이 형식을 사용했다. 또한 토머스 그레이의 "컨트리 교회 묘지에서 쓴 비가" (1750)도 포함된다.

18세기 동안 공식적인 영국 목가는 계속 번성하다가 결국 말년에 쇠퇴했다. 18세기 작품의 주목할 만한 예는 알렉산더 포프의 ''목가시'' (1709)이다. 이 작품에서 포프는 에드먼드 스펜서의 ''목자의 달력''을 모방하는 동시에 고전적인 이름과 암시를 사용하여 베르길리우스와 연결했다. 1717년, 포프의 ''목가시 담론''이 ''목가시''의 서문으로 출판되었다. 이 작품에서 포프는 목가 문학의 기준을 정하고 많은 인기 있는 시인들을 비판하는데, 그 중 한 명이 스펜서이며, 그의 동시대 반대자 엠브로즈 필립스도 비판한다. 이 기간 동안 엠브로즈 필립스는 포프 때문에 종종 간과되는데, 그는 목가의 진정한 본질과 인간의 갈망을 표현하는 매체로 사용하여 목가의 토착 영국 형식을 따라 자신의 시를 모델로 했다. 그는 이러한 방식으로 글을 써서 목가 문학의 원래 의도라고 생각하는 것에 순응하려고 노력했다. 따라서 그는 주제를 양치기의 단순한 삶을 중심으로 설정하고, 인간이 한때 자연과 맺었던 관계를 의인화했다. 조금 늦게 온 존 게이는 그의 시의 인위성 때문에 존슨 박사에게 비판을 받았고, 그의 시 ''마을''에서 시골 생활의 진정한 모습을 보여주려고 시도한 조지 크래브에게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1590년, 에드먼드 스펜서는 또한 유명한 목가적 서사시 ''요정 여왕''을 썼는데, 여기서 그는 시의 (초)자연 세계의 매력, 풍요로움, 화려함을 강조하기 위해 목가적 방식을 사용했다. 스펜서는 작품 전체에서 목가를 지속적으로 암시하고, 등장인물뿐만 아니라 환경을 통해 시에 우화를 만들기도 하며, 이는 모두 현실 세계에서 상징적 의미를 갖도록 의도되었다. 스펜서는 12권을 쓰려고 했지만, 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는 주로 엘리자베스 여왕을 기리기 위해 이 시를 썼다. 윌리엄 카우퍼는 그의 시 ''은퇴'' (1782)와 ''겨울 꽃다발'' (1782)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 생활의 인위성을 다루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가는 장르가 아닌 분위기로 살아남았으며, 이는 매튜 아놀드의 ''서시스'' (1867), 즉 그의 동료 시인 아서 휴 클러프의 죽음에 대한 비가와 같은 작품에서 볼 수 있다. 로버트 번스는 ''생쥐에게''와 ''농부의 토요일 밤''에서 시골 스코틀랜드와 단순한 농장 생활을 향수 어린 시선으로 묘사하여 목가 시인으로 읽힐 수 있다. 번스는 그의 ''목가시에 관한 시''에서 목가 형식을 명시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시에서 그는 동료 스코틀랜드인 앨런 램지를 테오크리토스 이후 최고의 목가 시인으로 옹호한다.

또 다른 하위 장르는 에덴적 목가인데, 이는 에덴 동산에서 하나님, 인간, 자연 사이의 완벽한 관계를 암시한다. 일반적으로 성서적 상징과 이미지가 포함된다. 1645년 존 밀턴은 행복한 사람을 의미하는 ''L'Allegro''를 썼다. 그것은 사랑과 연회에서 비롯된 의인화된 기쁨의 찬양이다. 원래는 우울과 고독의 삶을 찬양하는 ''Il Penseroso''의 자매 시로 작곡되었다. 밀턴의 ''그리스도의 탄생 아침에'' (1629)는 기독교적 이미지와 목가적 이미지를 혼합한다.

밀턴은 몇 안 되는 목가적 서사시 중 하나인 서사시 ''실낙원''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실낙원의 주목할 만한 부분은 사탄이 낙원을 침입하는 것을 기록한 4권이다. 밀턴이 묘사한 정원의 상징적인 묘사는 우리가 사탄의 관점에서 정원을 보게 되고, 따라서 그에게 동정심을 느끼게 된다는 사실에 의해 가려진다. 밀턴은 아담과 이브의 목가적이고 목가적인, 영원히 비옥한 생활 조건을 우아하게 제시하고 그들이 정원을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는 열매를 맺는 나무와 아담과 이브가 그들을 돌보는 데 많은 관심을 기울여 목가적인 조화의 이미지를 조각한다. 그러나 밀턴은 끊임없이 사탄에게로 돌아가 청중이 쉽게 동일시하고 심지어 좋아할 수 있는 인물로 그를 구축한다. 밀턴은 사탄을 청중의 자신과 그들을 둘러싼 세상에 대한 이해를 불안정하게 만들 의도로 만들어진 인물로 창조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밀턴은 텍스트와 청중 사이의 그들이 스스로를 위해 가지고 있는 '진실'에 대한 작동하는 대화를 창조할 수 있다.

2. 3. 파스토랄 로맨스

이탈리아 작가들은 목가시와 소설적 서사를 혼합한 새로운 장르인 파스토랄 로맨스를 창안했다.[50] 이 형식에 대한 고전적 선례는 없었지만, 다프니스와 클로에와 같이 시골을 배경으로 한 고대 그리스 소설에서 영감을 얻었다. 이 형식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이탈리아 예시는 산나차로의 《아르카디아》(1504)였다. 파스토랄 로맨스 유행은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 베르나르딤 히베이루의 포르투갈어 작품 "Menina e Moça"(1554), 몬테마요르의 《디아나》(1559) (스페인), 필립 시드니 경의 《아르카디아》(1590) (영국), 오노레 뒤르페의 《아스트레》(1607–27) (프랑스)와 같은 주목할 만한 작품들을 낳았다.

2. 4. 파스토랄 극 (목가극)

존 라인하드 웨구엘린의 ''목가극''(수채화, 1905)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에는 파스토랄 드라마(목가극)[51]도 나타났다. 이것은 그리스의 사튀로스극을 제외하면 고전에 선례가 없는 것이었다. 안젤로 폴리치아노의 『오르페오』(1480년)가 이 새로운 형식의 시작이지만, 그 전성기는 16세기 후반으로, 토르콰토 타소의 『아민타』(1573년), 조반니 바티스타 과리니의 『충실한 양치기[52]』(1590년) 등이 대표적이다. 존 릴리의 『Endimionit』(엔디미온)(1579년)은 이탈리아 양식의 파스토랄극을 영국에 도입했다. 존 플레처의 『The Faithful Shepherdess영어』(충실한 여양치기)나 벤 존슨의 『The Sad Shepherd영어』(슬픈 양치기)와 같은 작품이 나타났고,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극(특히 『뜻대로 하세요』와 『겨울 이야기』)에도 파스토랄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뜻대로 하세요』의 줄거리는 토마스 로지의 파스토랄 로맨스 『로잘린드』에서 가져온 것이다.

2. 5. 근대 이후의 파스토랄 문학

전원 SF(Pastoral science fiction)는 다른 전원 문학과 마찬가지로 목가적이고 시골 배경을 사용하는 SF의 하위 장르이다. SF의 하위 장르로서, 작가는 이야기를 지구 또는 다른 거주 가능한 행성이나 위성, 때로는 테라포밍된 행성이나 위성을 배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대부분의 SF 장르와 달리 전원 SF는 미래 기술의 역할을 축소한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클리포드 시맥(Clifford Simak)은 외계인 정체를 숨기는 외계 생명체와 접촉하는 시골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썼다.[17]

전원 SF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땅, 생명을 주는 수확물, 계절의 순환, 그리고 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경외심을 보여준다. 지구 또는 지구와 유사한 행성의 비옥한 농업 환경이 일반적인 배경이지만, 일부 작품은 해양 또는 사막 행성 또는 거주 가능한 달을 배경으로 할 수 있다. 농부와 소도시 사람들과 같은 시골 거주자는 동정심을 가지고 묘사되지만, 그들을 보수적이고 변화를 의심하는 경향이 있다. 단순하고 평화로운 시골 생활은 종종 시끄럽고 더럽고 빠르게 진행되는 도시의 부정적인 측면과 대조된다. 일부 작품은 러다이트적인 어조를 띠며 기계화와 산업화를 비판하고 도시화의 폐해와 첨단 기술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보여준다.

1994년, 영국의 문학 교수인 테리 기포드는 "탈-전원" 하위 장르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기포드는 접두사 "탈-"을 붙여 "이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원 장르의 제약에서 "벗어나는" 의미를 부여하면서, 전원 전통을 정의해 온 핵심 개념적 요소를 지속하고자 했다. 기포드는 탈-전원은 "인간/자연의 분열이 붕괴되는 것을 성공적으로 시사하면서 관련된 문제점을 인식하는 작품을 묘사하는 데 가장 적합하다"고 말하며, "전원에 필수적인 단절보다는 연결에 더 가깝다"고 언급했다.[18] 그는 코맥 매카시의 ''로드''(2006), 마거릿 애트우드의 ''홍수의 해''(2009), 매기 지의 ''아이스 피플''(1999)을 탈-전원 작품의 예로 들었으며, 이러한 작품들이 "새로운 조건에 직면하여 새로운 형태를 찾아야 할 필요가 있는 [레오] 막스의 전원에 대한 비전을 예시할 수 있는 윤리, 생존, 지속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고 지적했다.[18]

기포드는 그렉 개라드와 같은 영국의 생태 비평가들이 "탈-전원" 개념과 더불어 "게이 전원", 모순적으로 보이는 "도시 전원"[18], "급진적 전원"의 두 가지 변형을 사용했다고 언급했다.[19] 기포드는 그가 "접두사-전원"이라고 부르는 전원 변형의 추가적인 예시를 다음과 같이 나열했다. "포스트모던 전원, 하드 전원, 소프트 전원, 부엘의 혁명적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전원, 흑인 전원, 빈민가 전원, 프런티어 전원, 군사화된 전원, 가정 전원,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구체적으로 ‘아일랜드 전원’".[18]

2014년, ''케임브리지 문학 속 도시 동반자''에는 도시 전원 하위 장르에 대한 장이 실렸다.[20]

근대화에 의해 인간에 의한 자연의 개변이 진행되면서 아르카디아를 대신하여 전원의 가혹한 현실에도 눈길이 쏠리게 되었다. 윌리엄 워즈워스의 『마이클』(1800년)에서는 파스토랄의 불가능성이 표현되어 있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나 존 뮤어 등의 작품은 고전적인 파스토랄 작품과 구별하여 포스트 파스토랄 작품이라고도 불린다. 일본에서 파스토랄은 메이지 시대에 수용되었고, 국목전보는 『무사시노』(1901년)에서 도시부의 주변을 이상향으로 그렸다.

장르로서의 파스토랄은 20세기에 단절되었다는 논의나, 환경 문학 속에 계승되었다는 논의가 있다.

2. 6. 한국 문학에서의 파스토랄

Pastoral영어 문학은 한국 문학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서구의 전원 문학 전통과는 다른 한국 특유의 자연관과 정서가 반영된 작품들이 많이 창작되었다.

영국의 문학 교수 테리 기포드는 1994년에 "탈-전원"이라는 하위 장르 개념을 제안했다. 기포드는 "탈-"이라는 접두사를 통해 전원 장르의 제약에서 "벗어나는"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전원 전통의 핵심 개념을 유지하고자 했다. 그는 탈-전원이 "인간/자연의 분열이 붕괴되는 것을 성공적으로 시사하면서 관련된 문제점을 인식하는 작품을 묘사하는 데 가장 적합하다"고 말하며, "전원에 필수적인 단절보다는 연결에 더 가깝다"고 언급했다.[18]

기포드는 코맥 매카시의 ''로드''(2006), 마거릿 애트우드의 ''홍수의 해''(2009), 매기 지의 ''아이스 피플''(1999)을 탈-전원 작품의 예로 들었다.[18]

그렉 개라드와 같은 영국의 생태 비평가들은 "탈-전원" 개념 외에도 "게이 전원", "도시 전원",[18] "급진적 전원"과 같은 변형된 개념들을 사용했다.[19] 기포드는 "포스트모던 전원, 하드 전원, 소프트 전원, 부엘의 혁명적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전원, 흑인 전원, 빈민가 전원, 프런티어 전원, 군사화된 전원, 가정 전원,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구체적으로 ‘아일랜드 전원’"등의 예를 추가적으로 제시했다.[18]

2014년, ''케임브리지 문학 속 도시 동반자''에는 도시 전원 하위 장르에 대한 장이 실렸다.[20]

3. 음악

파스토랄은 전원풍, 목가적인 곡을 가리키며, 그리스도 탄생 시 목동의 고사(故事)에서 유래한 완만한 크리스마스 전원 음악을 의미하기도 한다.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나 크리스마스 협주곡에는 파스토랄이 삽입되는 경우가 많다.

호메로스 시대부터 목동들은 시링크스와 같은 목가적인 악기를 연주했으며, 1세기 베르길리우스의 《목가》는 노래하는 마임으로 공연되기도 했다.

파스토랄 장르는 오페라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탈리아 시인과 작곡가들은 목가적 시를 다성 음악과 모노디 마드리갈로 설정했으며, 이는 칸타타와 세레나타로 이어졌다. 조반니 바티스타 과리니의 《충실한 목자》, 토르콰토 타소의 《아민타》 등이 인기를 끌었다. 오페라가 발전하면서 야코포 페리의 《다프네》,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와 같은 극적인 목가가 등장했다. 17세기에는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프랑스의 파스토랄 에로이카, 영국의 존 블로우의 《비너스와 아도니스》, 스페인의 사르수엘라 등 다양한 지역에서 목가 오페라가 인기를 누렸다.

이탈리아와 독일 작곡가들은 크리스마스 이브와 관련된 성악 및 기악 목가 장르를 개발했다. 18세기와 19세기에도 존 게이의 《거지 오페라》, 헨델의 《아치스와 갈라테아》,[21] 루소의 《마을의 점쟁이》, 모차르트의 《목동왕》, 라모의 프랑스 목가 오페라,[22] 베토벤의 전원 교향곡 등 다양한 작품에서 파스토랄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베토벤은 전원 교향곡을 통해 "그림보다 감정의 표현"에 더 관심을 가졌다고 밝혔다.

그랜드 오페라에서도 파스토랄은 중요한 특징으로 나타났으며,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 차이코프스키의 《스페이드 여왕》 등에서 그 예를 확인할 수 있다. 20세기에는 라벨의 《다프니스와 클로에》,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과 《결혼》[23] 등 발레 작품에서 새로운 목가적 해석이 시도되었다.

파스토랄레는 이탈리아 민요의 한 형태로, 잠포냐가 사용되는 이탈리아 남부 지역에서 여전히 연주된다.

4. 미술

이상화된 전원 풍경은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의 벽화에 나타난다. 예술의 주제로서 전원에 대한 관심은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에서 부활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야코포 산나차로가 그의 ''아르카디아''에 포함시킨 그림에 대한 묘사에 영감을 받았다.[24] 조르조네 또는 티치아노의 작품으로 알려진 루브르 박물관 소장의 ''전원 콘서트''는 아마도 이 스타일의 가장 유명한 그림일 것이다. 이후 프랑스 예술가들도 전원에 매료되었는데, 특히 클로드, 니콜라 푸생(예: Et in Arcadia ego)과 와토 (그의 ''우아한 축제''에서)가 그러했다.[24] 시골 사람들이 춤을 추는 장면을 담은 전원 축제는 플랑드르 회화에서 인기 있는 주제였다. 토머스 콜은 ''제국의 길''이라는 연작을 가지고 있는데, 이 그림들 중 두 번째 그림은 완벽한 전원 풍경을 묘사하고 있다.

니콜라 푸생 ''아르카디아의 목동들'', 1627, 채스워스 하우스

5. 종교적 용법

예수는 요한복음 10장 11절에서 자신을 "선한 목자"라고 칭하며, 하느님의 어린 양으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강조한다.[27] 많은 기독교 교파에서 "목사"라는 칭호를 사용하는데,[28] 이 단어는 목축이라는 성경적 은유에서 유래되었다. (라틴어로 ''Pastor''는 "목자"를 의미한다).

히브리 성경 (구약성경)은 히브리어 단어 רעה|rtl=yeshe (''roʿeh'')를 사용하는데, 이 단어는 "목자"와 같은 명사로, "양 떼를 돌보다"와 같은 동사로 사용된다.[29] 이 단어는 창세기를 포함하여 구약성경에 여러 번 등장한다.

목가적인 경제 시스템은 기록된 가장 초창기부터 유대인들에게 큰 문화적 의미를 지녔다. 아브라함은 가축 떼를 몰았으며, 이스라엘 자손에 대한 성경 기록 전반에 걸쳐 레반트의 혹독한 내륙 지방에서의 목축 생활은 야훼에게 순종하는 사회의 이상과 관련이 있었다. 건조한 언덕과 관련된 의로운 어린 양치기 소년인 다윗은 사치스러운 도시 엘리트의 대표자인 골리앗사울과 대조된다. 따라서 목자와 그들의 양에 대한 신약 성경의 이미지는 1세기 기독교의 기원 당시 유대 세계에 직간접적으로 친숙했던 확립된 문화적, 경제적 구분을 기반으로 한다.

목회 서한은 주교가 교구나 양쪽에 있는 성직자나 평신도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으로, 일반적인 훈계, 지시 또는 위로를 하거나, 특정 상황에서의 행동 지침을 포함한다.

5. 1. 기독교에서의 파스토랄

선한 목자로 묘사된 그리스도


예수는 요한복음 10장 11절에서 자신을 "선한 목자"라고 부르며, 하느님의 어린 양으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강조한다.[27] 많은 기독교 교파에서 "목사"라는 칭호를 사용하는데,[28] 이 단어는 목축이라는 성경적 은유에서 유래되었다. (라틴어로 ''Pastor''는 "목자"를 의미한다). 히브리 성경 (구약성경)은 히브리어 단어 רעה|rtl=yeshe (''roʿeh'')를 사용하는데, 이 단어는 "목자"와 같은 명사로, "양 떼를 돌보다"와 같은 동사로 사용된다.[29] 이 단어는 구약성경 144개 절에 173번 등장하며, 창세기 29:7과 같이 양을 실제로 먹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 예레미야서 23:4에서는 두 가지 의미가 모두 사용된다 (''ro'im''은 "목자"로, ''yir'um''은 "그들을 먹일 것이다"로 사용됨). "내가 그들을 다스릴 목자들을 세우리니 그들이 다시는 두려워하거나 놀라지 아니하며 하나도 잃지 아니하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KJV).

목가적인 경제 시스템은 기록된 가장 초창기부터 유대인들에게 큰 문화적 의미를 지녔다. 아브라함은 가축 떼를 몰았다. 이스라엘 자손에 대한 성경 기록 전반에 걸쳐, 레반트의 혹독한 내륙 지방에서의 목축 생활은 "애굽의 고기 냄비"(출애굽기 16:3), 비옥한 가나안 저지대의 "젖과 꿀이 흐르는"(출애굽기 3:8) 또는 이스라엘의 유배지인 "큰 도시" 바빌론에서 발견되는 부패와 우상 숭배와 대조적으로, 야훼에게 순종하는 사회의 이상과 관련이 있었다. 건조한 언덕과 관련된 의로운 어린 양치기 소년인 다윗은 사치스러운 도시 엘리트의 대표자인 골리앗사울과 대조된다. 따라서 목자와 그들의 양에 대한 신약 성경의 이미지는 1세기 기독교의 기원 당시 유대 세계에 직간접적으로 친숙했던 확립된 문화적, 경제적 구분을 기반으로 한다.

목회 서한은 주교가 교구나 양쪽에 있는 성직자나 평신도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으로, 일반적인 훈계, 지시 또는 위로, 또는 특정 상황에서의 행동 지침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주교 제도 교회 단체에서 성직자는 상급 주교의 목회 서한을 자신의 회중에게 읽도록 요구받는 경우가 많다. 목회 서신은 정경 신약 성경의 세 권의 책, 즉 디모데전서 (1 디모데), 디모데후서 (2 디모데) 및 디도서로 구성된 그룹이다. 이들은 사도 바울이 디모데와 디도에게 보낸 편지로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한 그룹으로 논의되며 (때로는 빌레몬서가 추가되기도 함) 목회적 돌봄이라는 제목을 부여받는데, 이는 교회를 목회적으로 감독하는 개인에게 보내지고 기독교 생활, 교리 및 리더십 문제를 논의하기 때문이다.

참조

[1] LSJ βουκολικόν
[2] OEtymD bucolic
[3] 서적 Handbook of Engraved Gems George Bell and Sons
[4] 서적 Pastoral https://archive.org/[...] Routledge
[5] 서적 The Medieval Calendar Year
[6] 서적 Goethe Yearbook Camden House
[7] 서적 The Eclogues Penguin Classics
[8] 문서 Article on "Bucolic poetry" in ''The 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Literature''
[9] 웹사이트 Horace's ''Delights of the Country'' Epode ii http://www.poetryint[...] 2011-10-14
[10] 간행물 Re-opening the Green Gabinet: Glément Marot and Edmund Spenser https://www.jstor.or[...] 1986
[11] 간행물 Pastoral Paratexts: The Political and the Lyrical in Garcilaso de la Vega and Pierre de Ronsard https://www.jstor.or[...] 2015
[12] 간행물 Pierre De Ronsard, 'Prince of Poets' https://www.jstor.or[...] 1893
[13] 웹사이트 Songs of Innocence, copy B, object 4 (Bentley 5, Erdman 5, Keynes 5) 'The Shepherd' http://www.blakearch[...] William Blake Archive 2014-01-17
[14] 웹사이트 Pastoral, Anti-Pastoral, and Post-Pastoral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15
[15] 문서 “Pastoral, Anti-Pastoral and Post-Pastoral as Reading Strategies” Salam Press
[16] 서적 A Library of the World's Best Literature – Ancient and Modern – Vol. XLIII https://books.google[...] Cosimo, Inc.
[17] 뉴스 Clifford D Simak: sci-fi in the countryside https://www.theguard[...] 2023-11-15
[18] 문서 The Cambridge Companion to Literature and the Enviro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문서 Radical Pastoral?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 문서 Some Versions of Urban Pastor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English Pastoral Music: From Arcadia to Utopia, 1900–1955
[22] 문서 Jean-Philippe Rameau: His Life and Work
[23] 웹사이트 Pastoral http://oxfordindex.o[...]
[24] 문서 Article on "Pastoral" in ''The Oxford Companion to Art''
[25] 웹사이트 From the Louvre Museum Official Website http://www.louvre.fr[...]
[26] 웹사이트 "THE LITERARY STUDY OF THE BIBLE AN ACCOUNT OF THE LEADING FORMS OF LITERATURE REPRESENTED IN THE SACRED WRITINGS INTENDED FOR ENGLISH READERS" By RICHARD G. MOULTON https://faculty.gord[...]
[27] 웹사이트 Christ as the Good Shepherd https://www.historia[...] 2021-09-15
[28] 웹사이트 pastor {{!}} Definition of pastor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s://en.oxforddic[...] 2018-06-10
[29] 뉴스 Genesis 1:1 (KJV) https://www.bluelett[...] 2018-06-10
[30] 문서 On Naive and Sentimental Poetry
[31] 문서 Arte of English Poesie
[32] 서적 Some Versions of Pastoral.
[33] 서적 English Pastoral Poetry: From the Beginnings to Marvell.
[34] 서적 The Country and the City. Oxford U P
[35] 서적 The Oaten Flute: Essays on Pastoral Poetry and the Pastoral Ideal. Harvard U P
[36] 서적 Pastoral and ideology : Virgil to Valéry. U of California P 1987
[37] 서적 What is Pastoral? U of Chicago P 1996
[38] 서적 What Else is Pastoral?: Renaissance Literature and the Environment. Cornell U P 2011
[39] 웹사이트 On Naïve and Sentimental Poetry http://schillerinsti[...] Translated by William F. Wertz, Jr 2016-03-14
[40] 문서 bucolic
[41] 문서 βουκóλος
[42] 서적 The Medieval Calendar Year
[43] 문서 ラテン語で「心地よい場」意味する。舞台は例えばギリシャの田園地方。またギリシア神話ではパーン (ギリシア神話)|パーン]]の故郷でもあるアルカディア]]のような場所である。
[44] 서적 The Eclogues Penguin Classics
[45] 문서 Bucolic poetry The 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Literature 1989
[46] 문서 Eclogues
[47] 문서 pastoral elegy
[48] 문서 パーシー・ビッシュ・シェリー]]がジョン・キーツ]]の死に寄せて書いたパストラル・エレジー『{{仮リンク|アドナイス|en|Adonaïs}}』も有名。
[49] 문서 Pastorals
[50] 문서 pastoral romance, romanzo pastorale
[51] 문서 Pastoral drama, dramma pastorale
[52] 문서 Il pastor fido
[53] 문서 Pastoral oper
[54] 문서 Pastorale héroïque
[55] 서적 Jean-Philippe Rameau: His Life and Work
[56] 간행물 Pastoral grovemusic.com Grove Music Online 2007-08-11
[57] 문서 Pastoral The Oxford Companion to A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