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NMDA 수용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MDA 수용체는 글루탐산과 글리신에 의해 활성화되는 이온 채널형 수용체로, 뇌의 시냅스 가소성과 흥분독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1960년대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후 뇌전증,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등 다양한 신경 질환과의 관련성이 밝혀졌다. NMDA 수용체는 GluN1, GluN2, GluN3의 소단위체 조합으로 구성되며, 위치와 소단위체 구성에 따라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와 흥분독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NMDA 수용체 길항제는 마취, 해리성 약물, 신경 보호제로 사용되며, 우울증, 조현병, 항 NMDA 수용체 뇌염과 같은 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자신경과학 - 오렉신
    오렉신은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신경 펩타이드로, 각성, 식욕 조절, 에너지 소비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관여하며, 오렉신-A와 오렉신-B 두 종류가 OX1, OX2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면-각성 주기를 안정화하는 데 기여하고, 기능 장애 시 기면증과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약물 조절을 통해 불면증 치료 등에 활용될 수 있다.
  • 분자신경과학 - 리간드 개폐 이온 통로
    리간드 개폐 이온 통로는 신경전달물질과 같은 리간드에 결합하여 열리는 이온 통로로, 리간드 결합에 의해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이온이 세포 안팎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신경계의 시냅스 전달, 신경 회로 발달, 시냅스 가소성과 같은 생리적 과정에 관여하고, 마취제, 에탄올,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항우울제와 같은 약물의 작용 기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수용체 - 광수용체
    광수용체는 망막의 빛을 감지하는 세포로, 간상세포, 원추세포, ipRGCs로 구성되어 명암, 색깔, 생체 리듬 조절 등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며, 이 과정의 이상은 시각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수용체 -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세포 내에서 에스트로겐과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ERα와 ERβ의 두 가지 주요 아이소폼이 존재하며, 유방암, 폐경, 비만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되어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의 표적이 되고 비유전체적 신호 전달 경로에도 관여한다.
  • 세포 신호 - 수용체
    수용체는 세포 내외의 신호 분자를 인식하여 세포 반응을 유발하는 단백질로, 이온 채널형, G 단백질 연결형, 효소 연결형, 핵 수용체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리간드 결합 친화도와 효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질병과 관련되어 구조와 기능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세포 신호 - 호르몬
    호르몬은 특정 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정보 전달 물질로, 다양한 화학적 구조와 신호 전달 방식을 가지며, 척추동물의 성장, 발달, 생식, 신진대사 등 생리 과정에 관여하고, 의약품으로도 사용되지만 부작용의 위험이 있다.
NMDA 수용체
개요
유형이온 통로
리간드글루탐산
글리신
기질신경세포
명명법
다른 이름N-메틸-D-아스파르트산 수용체
구조
소단위GluN1 (NR1)
GluN2 (NR2)
GluN3 (NR3)
기능
역할시냅스 가소성
기억
학습
신경 발달
활성화 조건글루탐산 결합
글리신 결합
세포막 탈분극
약리학
작용제글루탐산
글리신
D-세린
NMDA
길항제케타민
메만틴
MK-801
APV
조절 물질마그네슘 이온 (차단)
아연 이온 (억제)
폴리아민 (증진 또는 억제)
임상적 중요성
관련 질병알츠하이머병
정신 분열증
뇌졸중
간질
치료 표적메만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2. 역사

1960년대 제프 와킨스 연구팀이 NMDA를 합성하면서 NMDA 수용체가 발견되었다.[152] 1980년대 초, NMDA 수용체가 중추 시냅스 경로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52][21][22] 1990년대 초, GluN2B 소단위체에 대한 선택적 결합 및 억제 기전이 밝혀지면서 제약 업계의 연구가 활발해졌다.[153][10] 이후 뇌전증,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 등 다양한 신경 질환과의 관련성이 밝혀졌다.[154][7]

2002년, 힐마 바딩 연구팀은 NMDA 수용체의 위치(시냅스/시냅스 외)에 따라 세포 내 결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발견했다.[23][24] 시냅스 NMDA 수용체는 유전자 발현, 가소성 관련 사건 및 획득된 신경 보호를 촉진하는 반면, 시냅스 외 NMDA 수용체는 세포사멸 신호를 촉진한다.[23][24] 2020년, 힐마 바딩 연구팀은 독성 시냅스 외 NMDA 수용체 신호 전달의 분자적 기반(TRPM4와의 복합체 형성)을 밝혀냈다.[26]

3. 구조

NMDA 수용체는 단백질 영역, 막횡단 영역, 세포질 영역으로 구성된다.

기능적인 NMDA 수용체는 GluN1, GluN2(A-D), GluN3(A-B) 서브유닛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된 이종사량체이다. 모든 NMDAR에는 필수적인 GluN1 서브유닛 두 개가 포함되며, GluN2 서브유닛과 조립되어 이종이량체 NMDAR (예: GluN1-2A-1-2A)을 형성하거나, 세 가지 다른 유형의 서브유닛 (예: GluN1-2A-1-2B)으로 구성된 삼중이종체 NMDAR을 형성한다.[28] GluN1 유전자는 하나, GluN2 유전자는 넷, GluN3 유전자는 둘이며, 각 유전자는 둘 이상의 스플라이스 변형체를 생성할 수 있다.

종류유전자
GluN1GRIN1
GluN2GRIN2A
GRIN2B
GRIN2C
GRIN2D
GluN3GRIN3A
GRIN3B



NMDA 수용체는 NR1과 NR2 이종 이량체 2세트로 구성된 4개의 서브유닛으로 구성되며, 모든 NMDA 수용체는 NR1 서브유닛을 포함한다 (다만 여러 개의 스플라이스 변이체가 보고됨). NR2 서브유닛에는 NR2A, NR2B, NR2C, NR2D의 4종류가 클로닝되었으며, 각각 생체 내 발현 부위와 발현 시기가 다르다. NR2D 서브유닛은 태생기에 선택적으로 발현된다. NR2 서브유닛에 글루탐산결합 부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NR3A, NR3B 서브유닛은 글루탐산 결합 부위를 갖지 않고, NR1과 이종 다량체를 형성하여 양이온을 통과시키는 흥분성 글리신 수용체로 작용한다는 보고도 있다.

3. 1. 단백질 영역

NMDA 수용체는 구조적으로 단백질 영역, 막횡단 영역, 세포질 영역으로 나뉜다. 단백질 영역은 시냅스후 막 외부에 있으며, 글루탐산, 글리신 등의 리간드와 결합하여 NMDA 수용체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NMDA 수용체는 글루탐산으로 조절되는 양이온 채널로, 칼슘 투과도를 증가시키며, 글리신과 글루탐산의 결합으로 활성화된다.

3. 2. 막횡단 영역

오른쪽


사람 NMDA 수용체의 만화 표현. 각 서브유닛은 개별적으로 무지개색으로 칠해져 있다.


NMDA 수용체의 막횡단 영역은 시냅스후 막을 통과하는 형태의 단백질 영역이다. 구조는 하나의 막횡단나선을 갖는 일자원통형, 세 개의 막횡단나선을 갖는 교차형, 베타배열 구조를 가진 입체나선형이 존재한다. 소단위체 운반 등을 담당한다.[28]

4. 소단위체 구성

NMDA 수용체는 GluN1, GluN2, GluN3의 세 가지 주요 단백질 소단위체(Subunit)로 구성된다. GluN2는 GluN2A, GluN2B, GluN2C, GluN2D로, GluN3는 GluN3A, GluN3B로 나뉘어 총 일곱 종류의 GluN 소단위체가 존재한다. 각각의 GluN은 고유한 GRIN 유전자를 형성한다.

하나의 NMDA 수용체는 이들 중 네 가지 소단위체가 결합하여 사중합체(Tetramer) 형태를 이루는데, 이때 반드시 두 개의 GluN1 소단위체가 결합해야 한다. 즉, 두 개의 소단위체 결합 부위에는 일곱 종류의 소단위체가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으며, 이 조합에 따라 NMDA 수용체의 특성이 결정된다.[155]

기능적인 NMDA 수용체는 서로 다른 유전자군(''Grin1''-''Grin3'')에서 유래된 GluN1, GluN2(A-D), GluN3(A-B) 소단위체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된 이종사량체이다. 모든 NMDA 수용체에는 필수적인 GluN1 서브유닛 두 개가 포함되어 있으며, 동일한 유형의 GluN2 서브유닛과 조립되면 전형적인 이종이량체(''d''-) NMDA 수용체(예: GluN1-2A-1-2A)가 생성된다. 반대로 삼중이종체 NMDA 수용체에는 세 가지 서로 다른 유형의 서브유닛(예: GluN1-2A-1-2B)이 포함되어 있으며, 세 유전자군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유닛으로 구성된 수용체, 즉 ''t''-NMDA 수용체(예: GluN1-2A-3A-2A)도 포함된다.[28] GluN1 유전자는 하나, GluN2 유전자는 넷, GluN3 유전자는 둘이며, 각 유전자는 둘 이상의 스플라이스 변형체를 생성할 수 있다.

최근에는 GluN3A, GluN3B라는 두 개의 새로운 소단위체가 클로닝되었지만, 이들은 글루탐산 결합 부위를 갖지 않고, GluN1과 이종 다량체를 형성하여 양이온을 통과시키는 흥분성 글리신 수용체로 작용한다는 보고도 있다.

4. 1. GluN1

GRIN1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GluN1 소단위체는 GRIN1의 선택적 스플라이싱(alternative splicing)에 의해 생성된 8가지 변이체가 있다.[35]

  • GluN1-1a, GluN1-1b; GluN1-1a가 가장 풍부하게 발현되는 형태이다.
  • GluN1-2a, GluN1-2b;
  • GluN1-3a, GluN1-3b;
  • GluN1-4a, GluN1-4b;

4. 2. GluN2

GluN2는 GluN2A, GluN2B, GluN2C, GluN2D의 네 가지 종류로 나뉘며, 각각 GRIN2A, GRIN2B, GRIN2C, GRIN2D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36] 이들은 글루탐산 결합 부위를 포함하며, 각 GluN2 소단위체는 서로 다른 세포 내 C-말단 도메인을 통해 다양한 신호 분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37] 척추동물에서는 네 가지 형태(GluN2A-D)로 발현되는 반면, 무척추동물에서는 단일 GluN2 소단위체가 발견된다.[36] GluN1 소단위체와 달리, GluN2 소단위체는 다양한 세포 유형과 발달 시기에 따라 다르게 발현되며, NMDA 수용체의 전기생리학적 특성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GluN2B는 주로 미성숙 뉴런과 성장 원추와 같은 시냅스 외부 위치에 존재하며,[38] 선택적 억제제인 이펜프로딜의 결합 부위를 포함한다.[39] 그러나 새롭게 진화한 영장류 배외측 전전두피질의 피라미드 세포 시냅스에서는 GluN2B가 시냅스후 밀도 내에 독점적으로 존재하며 작업 기억과 같은 고차 인지 작용을 매개한다.[40]

척추동물(왼쪽)과 무척추동물(오른쪽)의 NR2 소단위체. Ryan 등, 2008

4. 2. 1. GluN2B에서 GluN2A로의 전환

초기 발달 과정에서는 GluN2B가 우세하지만, 성장하면서 GluN2A 비율이 증가한다. 이러한 현상은 수용체의 개방 시간 등 기능적 특성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155] 소뇌의 과립 세포 전구체(GCP)는 외부 과립 세포층(EGL)에서 대칭적인 세포 분열[51]을 거친 후 내부 과립 세포층(IGL)으로 이동하여 GluN2B를 하향 조절하고 GluN2C를 활성화하는데, 이는 ErbB2 및 ErbB4 수용체를 통한 뉴레귤린 베타 신호 전달과는 독립적인 과정이다.[52]

4. 2. 2. GluN2B에서 GluN2C로의 전환

소뇌의 과립 세포 전구체(GCP)는 외부 과립 세포층(EGL)에서 대칭적인 세포 분열[51]을 거친 후 내부 과립 세포층(IGL)으로 이동하여 GluN2B를 하향 조절하고 GluN2C를 활성화하는데, 이는 ErbB2 및 ErbB4 수용체를 통한 뉴레귤린 베타 신호 전달과는 독립적인 과정이다.[52]

4. 3. GluN3

GluN3는 GluN3A와 GluN3B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각 GRIN3A, GRIN3B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28] 이들은 글루탐산 결합 부위는 없지만, GluN1과 함께 이종 다량체를 형성하여 양이온을 통과시키는 흥분성 글리신 수용체로 작용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5. 작동 기전

NMDA 수용체는 글루탐산과 이온 채널 단백질 수용체로, 글리신과 글루탐산이 결합할 때 활성화된다.[29] 이 수용체는 GluN1, GluN2, GluN3의 세 가지 다른 서브 유닛을 통해 수많은 세포 내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는 복잡한 헤테로머 단백질이다. GluN1 서브 유닛은 8개의 이소형을, GluN2 서브 유닛은 4가지 유형(A-D), GluN3 서브 유닛은 2가지 유형(A 및 B)을 가진다. 이러한 다양성은 수용체가 신경계 내에서 광범위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30][31]

각 서브 유닛은 세포 외 N-말단, 막 횡단 세그먼트, 재진입하는 기공 루프, 세포 외 루프 및 세포 내 C-말단을 가진다.[30][32]

'''그림 1:''' NR1/NR2 NMDA 수용체
그림 1은 메만틴, Mg2+케타민에 대한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GluN1/GluN2 서브 유닛의 기본 구조를 보여준다.

Mg2+는 전압 의존적으로 NMDA 수용체 채널을 차단하며, Ca2+에 대한 투과성이 높다. 수용체 활성화는 글루탐산 결합, D-세린 또는 글리신 결합, 그리고 AMPA 수용체 매개 탈분극에 의존하며, 이는 Mg2+ 차단을 완화시킨다. 수용체 채널이 활성화되면 K+, Na+, Ca2+ 이온이 흐르고, Ca2+ 유입은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유발한다.[13][33] 아연, 단백질, 폴리아민 스페르미딘 및 스페르민에 대한 알로스테릭 수용체 결합 부위는 NMDA 수용체 채널의 조절제이다.[34]

GluN2B 서브 유닛은 학습, 기억 등 활동 조절에 관여하며, 글루탐산 결합 부위와 Mg2+ 차단 제어는 GluN2B 서브 유닛에 의해 형성된다. 글리신 길항제에 대한 높은 친화도 부위는 GluN1/GluN2B 수용체에 의해서만 표시된다.[31] GluN1/GluN2B 막 횡단 세그먼트는 경쟁적이지 않은 NMDA 수용체 길항제에 대한 결합 포켓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32]

NMDA 수용체는 두 개의 GluN1과 두 개의 GluN2 서브 유닛 사이의 헤테로테트라머를 형성한다. GluN3 A 및 B 서브 유닛은 수용체 활성에 억제 효과가 있다. GluN1 전사체의 선택적 스플라이싱과 GluN2 서브 유닛의 차등 발현에 의해 서로 다른 뇌 분포와 기능적 특성을 가진 여러 수용체 이소형이 발생한다.

각 수용체 서브 유닛은 모듈식 설계를 가지며, 각 구조 모듈은 기능적 단위이다.

  • ''세포 외 단백질 도메인''은 조절 도메인과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두 개의 구형 구조를 포함한다. GluN1 서브 유닛은 글리신에, GluN2 서브 유닛은 글루탐산에 결합한다.[1][2]
  • ''작용제 결합 모듈''은 막 도메인에 연결된다.
  • ''막 도메인''은 채널 기공에 잔기를 제공하며, 높은 칼슘 투과성 및 전압 의존적 마그네슘 차단을 담당한다.
  • 각 서브 유닛에는 광범위한 ''세포질 도메인''이 있다.


NMDA 수용체의 I-V 플롯 이미지


NMDA 수용체는 일반적으로 비활성 상태를 보인다. 이는 세포 밖의 마그네슘 이온이 수용체의 활동을 억제하기 때문이다(마그네슘 차단).

5. 1. 활성화 조건

NMDA 수용체는 글루탐산과 글리신이 결합해야 활성화되는 이온 채널 단백질 수용체이다.[29] 이와 더불어, 세포막의 탈분극이 동시에 일어나야 한다.[13][33]

Mg2+는 전압 의존적인 방식으로 NMDA 수용체 채널을 차단한다.[13] 채널은 Ca2+에 대한 투과성이 높다. 수용체 활성화는 글루탐산 결합, D-세린 또는 GluN1에 연결된 결합 부위에서 글리신 결합, 그리고 AMPA 수용체 매개 탈분극에 의존하며, 이는 Mg2+에 의한 전압 의존적 채널 차단을 완화시킨다.[13][33]

휴지 막 전위에서 NMDA 수용체 구멍은 열려 있지만, 외부 마그네슘 이온(Mg2+)이 유입되어 추가적인 이온 투과를 방지한다.[119] 마그네슘 차단 해제는 즉각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며, 시냅스 후 세포가 충분히 긴 시간(밀리초 단위) 동안 탈분극되어야 한다.[117]

따라서 NMDA 수용체는 "분자적 동시 감지기"로 기능한다. 즉, 글루탐산이 수용체에 결합하고, 시냅스 후 세포가 탈분극되어 Mg2+가 제거되는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될 때만 이온 채널이 열린다.[118]

5. 2. 이온 투과성

NMDA 수용체는 비특이적 양이온 채널로, 칼슘 이온(Ca)과 나트륨 이온(Na)을 세포 안으로, 칼륨 이온(K)을 세포 밖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NMDA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EPSP)가 생성되어 세포 내 칼슘 이온 농도가 증가한다. 칼슘 이온은 다양한 신호 전달 경로에서 2차 전달자로 기능할 수 있다.[116] 칼슘 이온 유입은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킨다.

그러나 NMDA 수용체 양이온 채널은 휴지 막 전위에서 마그네슘 이온(Mg)에 의해 차단된다.[116] 휴지 막 전위에서 NMDA 수용체 구멍이 열리면 외부 마그네슘 이온이 유입되어 추가적인 이온 투과를 방지한다.[119] 마그네슘 차단 해제는 즉각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며, 시냅스 후 세포가 충분히 긴 시간(밀리초 단위) 동안 탈분극되어야 모든 채널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117]

따라서 NMDA 수용체는 "분자적 동시 감지기"로 기능한다. 이온 채널은 글루탐산이 수용체에 결합하고, 시냅스 후 세포가 탈분극되어 채널을 막고 있는 마그네슘 이온이 제거되는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될 때만 열린다. 이러한 특성은 장기 기억 강화(LTP)와 시냅스 가소성의 많은 측면을 설명한다.[118]

NMDA 수용체는 일반적으로 비활성 상태를 보인다. 이는 세포 밖의 마그네슘 이온이 수용체의 활동을 억제하기 때문이다(마그네슘 차단). 단, 이는 막 전위가 크게 음전하를 띨 때로 제한된다. 막 전위가 양전하를 띠거나, -10~-20 mV 정도의 범위에서는 마그네슘 이온 억제가 걸리지 않으며, 그 결과 수용체의 전기 생리학적 특성은 옴의 법칙을 따른다. 막 전위가 크게 음전하를 띠게 되면 마그네슘 이온의 억제가 시작되어, -60~-70 mV 정도의 정지 막 전위에서는 거의 전류를 흐르게 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들로부터 NMDA형 수용체는 외향 정류성을 가진다고 일컬어진다. 또한, 자극에 따라 흐르는 전류는 AMPA 수용체에 비해 느리고, 지속적이다.

5. 3. 동시 검출기로서의 기능

NMDA 수용체는 "분자적 동시 감지기"로 기능한다. 이온 채널은 글루탐산이 수용체에 결합하고, 시냅스 후 세포가 탈분극되어 채널을 막고 있는 Mg2+가 제거되는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될 때만 열린다.[118] 이러한 NMDA 수용체의 특성은 장기 기억 강화(LTP)와 시냅스 가소성의 많은 측면을 설명한다.[118]

휴지 막 전위에서 NMDA 수용체 구멍은 외부 마그네슘 이온에 의해 차단되어 이온 투과를 방지한다.[119] 마그네슘 차단 해제는 즉각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며, 시냅스 후 세포가 충분히 탈분극되어야 한다.[117]

NMDA 수용체는 일반적으로 비활성 상태를 보인다. 이는 세포 밖의 마그네슘 이온이 수용체의 활동을 억제하기 때문이다(마그네슘 차단). 그러나 이는 막 전위가 크게 음전하를 띨 때로 제한된다. 막 전위가 양전하를 띠거나, -10~-20mV 정도의 범위에서는 마그네슘 이온 억제가 걸리지 않으며, 그 결과 수용체의 전기 생리학적 특성은 옴의 법칙을 따른다. 막 전위가 크게 음전하를 띠게 되면 마그네슘 이온의 억제가 시작되어, -60~-70mV 정도의 정지 막 전위에서는 거의 전류를 흐르게 하지 않는다.

6. 조절 기전

NMDA 수용체는 칼슘 이온(Ca2+)과 나트륨 이온(Na+)을 세포 안으로, 칼륨 이온(K+)을 세포 밖으로 통과시키는 비특이적 양이온 채널이다. NMDA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EPSP)가 발생하여 세포 내 Ca2+ 농도가 증가한다. Ca2+는 다양한 신호 전달 경로에서 2차 전달자로 작용한다. 그러나 NMDA 수용체는 휴지 막 전위에서 마그네슘 이온(Mg2+)에 의해 차단된다.[116] 이 마그네슘 이온에 의한 차단은 즉시 해제되지 않으며, 시냅스 후 세포가 충분히 탈분극되어야(밀리초 단위) 차단이 해제된다.[117]

이러한 특성 때문에 NMDA 수용체는 "분자적 동시 감지기"로 불린다. 즉, 글루탐산이 수용체에 결합하고 시냅스 후 세포가 탈분극되는 두 가지 조건이 모두 만족되어야만 이온 채널이 열린다. 이러한 NMDA 수용체의 특성은 장기 기억 강화(LTP)와 시냅스 가소성의 여러 측면을 설명한다.[118] 휴지 막 전위 상태에서는 NMDA 수용체 구멍이 열려 있어도 외부에서 유입되는 마그네슘 이온이 이온 투과를 막는다.[119]

6. 1. 알로스테릭 조절

NMDA 수용체는 아연, 단백질, 폴리아민(스페르미딘, 스페르민) 등 다양한 물질에 의해 채널 활성이 조절된다. H+ 농도 변화는 다양한 생리적 조건에서 NMDA 수용체의 활성을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119]

6. 2. 산화환원 조절

NMDA 수용체는 여러 내인성외인성 화합물에 의해 조절되며, 광범위한 생리학적 (예: 기억) 및 병리학적 과정 (예: 흥분 독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그네슘은 양성 막 전위에서 NMDA 유도 반응을 증폭시키는 동시에 NMDA 채널을 차단한다. 칼슘, 칼륨 및 나트륨은 NMDA 막을 통과하는 NMDAR의 활성을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H+ 농도의 변화는 다양한 생리적 조건에서 NMDA 수용체의 활성을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6. 3. pH 조절

수소 이온(H+) 농도 변화는 다양한 생리적 조건에서 NMDA 수용체의 활성을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119]

7. 리간드

NMDA 수용체는 다양한 작용제, 부분 작용제, 길항제, 조절제에 의해 조절된다.

NR1 서브 유닛에는 글리신 결합 부위가 있으며, 글리신이 결합되지 않은 NMDA형 수용체는 글루탐산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는다. 또한, 세포외 마그네슘 이온(Mg2+)에 의해 채널 활성이 억제되어 있어, 탈분극 자극 등으로 Mg2+을 제거해야 활동할 수 있다. 즉, NMDA 수용체가 활동하려면 2종류의 리간드와 Mg2+ 제거가 필요하다.

NMDA형 수용체는 시냅스 전 종말의 글루탐산 자극과 시냅스 후막의 탈분극이 동시에 일어날 때 활성화되어, 시냅스 후막에서 칼슘 이온 유입을 일으킨다. 이는 시냅스 전 종말과 시냅스 후막의 신경 활동 동시 검출기(coincidence detector)로 기능함을 의미한다.

연구 현장에서는 세포외 Mg2+과 글리신 농도를 조작하여 NMDA 수용체 유래 신경 활동을 조작하기도 한다.

약물명(약칭)결합 부위친화성(nM)작용
미노사이클린불명 (IC50)[133]10[133]기능적 길항제(글루탐산 억제)[133]
미노사이클린불명 (IC50)[134]20[134]기능적 길항제(NMDA 억제)[134]
WIN 55,212-2칸나비노이드 수용체20[135]기능적 길항제(NMDA 억제)
CP 55,940칸나비노이드 수용체20[135]기능적 길항제(NMDA 억제)
미노사이클린불명 (in vivo)[136]?[136]기능적 길항제(PCP 길항)[136]
아리피프라졸불명 (in vivo)[137]?[137]기능적 길항제[137]
디조실핀개구 채널 억제 (Ki)30.5[138]기능적 길항제[138]
3-MeO-PCPPCP 결합 부위(Ki)20길항제
펜시클리딘PCP 결합 부위(Ki)59길항제
메톡세타민(별칭: 3-MeO-2'-Oxo-PCE)PCP 결합 부위(Ki)259길항제
펜시클리딘[3H]-MK-801 (Ki)[139]313[139]길항제[139]
케타민PCP 결합 부위(Ki)659길항제
메만틴PCP 결합 부위 (Ki)[140]670[140]길항제[140]
메만틴[3H]-MK-801 (IC50)[140]1470[140]길항제[140]
케타민 R(-)체개구 채널 억제[146], 알로스테릭 기구[146] (Ki)1100[147]기능적 길항제[147]
D-AP5NMDA 치환 (Kd)[141]1400[141]길항제[141]
할로페리돌NR1A/NR2B (IC50)[142]2000[142]작용제[137]
아토목세틴개구 채널 억제 (IC50)[143]3000[143]기능적 길항제[143]
오셀타미비르PCP 결합 부위 (IC14)[144][145]3000[144][145]길항제[144][145]
오셀타미비르 카르복실레이트PCP 결합 부위 (IC21)[144][145]3000[144][145]길항제[144][145]
케타민 S(+)체개구 채널 억제[146], 알로스테릭 기구[146] (Ki)3200[147]기능적 길항제[147]
덱스트로메토르판PCP 결합 부위 (Ki)[148]7253[148]길항제[148]


7. 1. 작용제 (Agonists)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글리신, D-세린 등이 대표적인 내인성 작용제이다. NMDA, 이보텐산, 퀴놀린산 등은 합성 작용제이다.

NMDA 수용체의 활성화는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의 결합을 필요로 한다(아스파르트산은 수용체를 강하게 자극하지 않는다).[74] 또한, 이온 채널의 효율적인 개방을 위해 공동 작용제 글리신의 결합도 필요하다.

D-세린은 글리신보다 훨씬 더 강력하게 NMDA 수용체에 공동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75] D-세린을 제거하면 많은 영역에서 NMDA 매개 흥분성 신경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D-세린은 뉴런과 성상 세포 모두에서 방출되어 NMDA 수용체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D-세린은 또한 ''t''-NMDA 수용체의 길항제/역 공동 작용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76][67]

NMDA 수용체(NMDAR) 매개 전류는 막 탈분극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따라서 NMDA 작용제는 빠른 Mg2+ 비결합 동역학을 나타내어 탈분극과 함께 채널 열림 확률을 증가시킨다.

알려진 NMDA 수용체 효능제는 다음과 같다.

종류물질설명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글루탐산 결합 부위)아스파르트산 (D-아스파르트산, L-아스파르트산)내인성 글루탐산 결합 부위 효능제. "N"-메틸-D-아스파트산(NMDA)이라는 단어는 D-아스파르트산에서 부분적으로 파생되었다.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글루탐산 결합 부위)글루탐산내인성 글루탐산 결합 부위 효능제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글루탐산 결합 부위)테트라졸릴글리신합성 글루탐산 결합 부위 효능제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글루탐산 결합 부위)호모시스테인산내인성 글루탐산 결합 부위 효능제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글루탐산 결합 부위)이보텐산광대버섯(Amanita muscaria)에서 발견되는 천연 글루탐산 결합 부위 효능제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글루탐산 결합 부위)퀴놀린산내인성 글루탐산 결합 부위 효능제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글리신 결합 부위)글리신내인성 글리신 결합 부위 효능제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글리신 결합 부위)알라닌 (D-알라닌, L-알라닌)내인성 글리신 결합 부위 효능제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글리신 결합 부위)밀라세미드합성 글리신 결합 부위 효능제; 글리신의 프로드러그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글리신 결합 부위)사르코신 (모노메틸글리신)내인성 글리신 결합 부위 효능제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글리신 결합 부위)세린 (D-세린, L-세린)내인성 글리신 결합 부위 효능제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세레브로스테롤내인성 약한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콜레스테롤내인성 약한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데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DHEA)내인성 약한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데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 (DHEA-S)내인성 약한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네보스틴넬 (네보글라민)글리신 부위의 합성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프레그네놀론 설페이트내인성 약한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
폴리아민스페르미딘내인성 폴리아민 결합 부위 효능제
폴리아민스페르민내인성 폴리아민 결합 부위 효능제


7. 2. 부분 작용제 (Partial agonists)

N-메틸-D-아스파르트산(NMDA), NMDA 수용체의 주요 부위에 작용하는 합성 부분 작용제


N-메틸-D-아스파르트산(NMDA)은 NMDA 수용체의 활성 또는 글루탐산염 인식 부위의 부분 작용제이다.[156]

3,5-디브로모-L-페닐알라닌은 L-페닐알라닌의 자연 발생 할로겐화 유도체이며, 글리신 부위에 작용하는 약한 부분 NMDA 수용체 효능제이다.[77] 3,5-디브로모-L-페닐알라닌은 정신분열증과 같은 신경정신과 질환 및 질병,[78] 허혈성 뇌졸중 및 간질 발작과 같은 신경 질환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 약물 후보로 제안되었다.[79]

라파스티넬(GLYX-13) 및 아피모스티넬(NRX-1074)과 같이 새로운 부위에 작용하는 NMDA 수용체의 다른 부분 효능제는 명백한 정신병적 활동 없이 항우울 및 진통 효과가 있는 새로운 약물 개발을 위해 현재 연구되고 있다.[80]

부분 작용제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아미노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ACC) – 합성 글리신 부위 부분 효능제
  • 사이클로세린(D-사이클로세린) – ''스트렙토마이세스 오키데아세우스''에서 발견되는 천연 글리신 부위 부분 효능제
  • HA-966 – 합성 글리신 부위 약한 부분 효능제
  • 호모퀴놀린산 – 합성 글루탐산 부위 부분 효능제
  • N-메틸-D-아스파르트산(NMDA) – 합성 글루탐산 부위 부분 효능제
  • 젤퀴스티넬(GATE-251) – 합성 새로운 부위 부분 효능제
  • 아피모스티넬(GATE-202) – 합성 새로운 부위 부분 효능제
  • 라파스티넬(GLYX-13) – 합성 새로운 부위 부분 효능제[81]

7. 3. 길항제 (Antagonists)

NMDA 수용체 길항제는 동물과 때로는 인간의 마취제로 사용되며, 환각 특성으로 인해 오락용 약물로 자주 사용되고, 해리와 같이 높은 복용량에서 독특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정 NMDA 수용체 길항제를 쥐에게 대량 투여하면 올니 병변이라는 형태의 뇌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82]

케타민, 합성 전신 마취제이자 가장 잘 알려진 NMDAR 길항제 중 하나


대부분의 NMDAR 길항제는 채널 구멍의 비경쟁적 또는 비경쟁적 차단제이거나 활성/글루탐산염 부위의 길항제가 아닌 글리신 공동 조절 부위의 길항제이다.

NMDA 수용체 길항 작용이 주요 또는 주요 작용 기전인 일반적인 약물은 다음과 같다:

약물설명
4-클로로키누레닌 (AV-101)글리신 부위 길항제; 7-클로로키누렌산의 프로드러그[83][84]
7-클로로키누렌산글리신 부위 길항제
아그마틴내인성 폴리아민 부위 길항제[85][86]
아르기톡신-636Argiope 독에서 발견되는 천연 디조실핀 또는 관련 부위 길항제
AP5글루탐산 부위 길항제
AP7글루탐산 부위 길항제
CGP-37849글루탐산 부위 길항제
D-세린t-NMDA 수용체 길항제/역 코-작용제[76][67]
델루세민 (NPS-1506)디조실핀 또는 관련 부위 길항제; 아르기톡신-636에서 파생됨[87][88]
덱스트로메토르판 (DXM)디조실핀 부위 길항제; 덱스트로판의 프로드러그
덱스트로판 (DXO)디조실핀 부위 길항제
덱사비놀디조실핀 관련 부위 길항제[89][90][91]
디에틸 에테르미상의 부위 길항제
디펜디닌디조실핀 부위 길항제
디조실핀 (MK-801)디조실핀 부위 길항제
엘리프로딜이펜프로딜 부위 길항제
에스케타민디조실핀 부위 길항제
호지킨신정의되지 않은 부위 길항제
이펜프로딜이펜프로딜 부위 길항제[92]
카이토세팔린Eupenicillium shearii에서 발견되는 천연 글루탐산 부위 길항제
케타민디조실핀 부위 길항제
키누렌산내인성 글리신 부위 길항제
라니세민낮은 트래핑 디조실핀 부위 길항제
LY-235959글루탐산 부위 길항제
메만틴낮은 트래핑 디조실핀 부위 길항제
메톡세타민디조실핀 부위 길항제
미다포텔글루탐산 부위 길항제
아산화 질소 (N2O)정의되지 않은 부위 길항제
PEAQX글루탐산 부위 길항제
페르진포텔글루탐산 부위 길항제
펜시클리딘 (PCP)디조실핀 부위 길항제
페닐알라닌천연 아미노산, 글리신 부위 길항제[93][94]
사이코트리딘정의되지 않은 부위 길항제
셀포텔글루탐산 부위 길항제
틸레타민디조실핀 부위 길항제
트라족소프로딜이펜프로딜 부위 길항제
제논미상의 부위 길항제



약한 NMDA 수용체 길항 작용이 부차적이거나 추가적인 작용인 일반적인 약물은 다음과 같다:



니트로메만틴은 메만틴의 2세대 유도체로, 안전성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NMDA 수용체를 차단하여 글루탐산 시스템의 과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흥분독성을 감소시킨다. 동물 모델에서의 예비 연구에 따르면 니트로메만틴은 생체 외 및 생체 내 모두에서 메만틴보다 신경보호제로서 더 효과적이다.[17]

음성 알로스테릭 조절제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25-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 – 내인성 약한 음성 알로스테릭 조절제
  • 코난토킨 – ''지리 달팽이''에서 발견되는 폴리아민 부위의 자연 발생 음성 알로스테릭 조절제[98]


선택적 안타고니스트로는 경쟁적 저해제인 D-AP5나 아캄프로세이트, 개구 채널 저해제(기능적 안타고니스트)인 디조실핀나 메만틴 등이 알려져 있다. 그 외, 기능적 안타고니스트로는 미노사이클린과 아리피프라졸 등이 있다. 또한, 합성 칸나비노이드류(WIN 55,212-2나 CP 55,940)도 NMDA 억제가 나타난다.

7. 4. 조절제 (Modulators)

폴리아민은 NMDA 수용체를 직접 활성화시키지 않지만, 글루탐산 매개 반응을 증폭시키거나 억제한다.[99] 렐린은 Src 계열 키나아제 및 DAB1을 통해 NMDA 기능을 조절하며, 해마에서 LTP를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Src 키나아제는 NMDA 수용체 전류를 증가시킨다.[103]

Na+, K+ 및 Ca2+은 NMDA 수용체 채널을 통과할 뿐만 아니라 NMDA 수용체의 활성을 조절한다.[104] Zn2+Cu2+는 일반적으로 비경쟁적이고 전압 독립적인 방식으로 NMDA 전류 활성을 차단하지만, 아연은 신경 활성에 따라 전류를 증폭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다.[105] Pb2+는 강력한 NMDAR 길항제이다.[106]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MHC) 클래스 I 단백질은 성체 해마에서 NMDAR 매개 전류의 내인성 음성 조절 인자이며,[107] NMDAR 의존적 시냅스 가소성학습기억에서 적절한 NMDAR 유도 변화에 필요하다.[108][109]

8. 흥분독성과의 관련성

NMDA 수용체의 과도한 활성화는 칼슘 이온(Ca2+)의 과도한 유입을 유발하여 흥분독성을 초래할 수 있다.[15][16][17][18] 흥분독성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과 같은 일부 신경퇴행성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16][17]

NMDA 수용체는 뉴런의 건강과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냅스 외 NMDA 수용체의 자극은 세포 사멸을 유도하지만, 시냅스 NMDA 수용체의 자극은 세포의 건강과 수명을 돕는다. NMDA 수용체의 위치에 따른 이중성은 "국소화 가설"로 설명된다. 또한, NMDA 수용체를 구성하는 소단위체 중 GluN2A와 GluN2B의 구성 비율 차이도 흥분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측두엽 간질에서 흥분독성 매개 뉴런의 사멸은 t-NMDA 수용체와 관련이 있다.[67]

8. 1. 위치 가설

최근 증거는 시냅스 외 NMDA 수용체의 과도한 자극이 시냅스에 위치한 NMDA 수용체의 자극보다 흥분독성과 더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68][23] 시냅스 외 NMDA 수용체의 자극은 세포 사멸에 기여하지만, 시냅스 NMDA 수용체의 자극은 세포의 건강과 수명에 기여한다는 증거도 있다. 이처럼 위치에 따라 NMDA 수용체의 이중적 성격을 뒷받침하는 충분한 증거가 있으며, 두 가지 다른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가설은 "위치 가설"로 알려져 있다.[68][55]

위치 가설을 뒷받침하려면 NMDA 수용체가 세포막 내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세포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68] 이를 위해 시냅스 NMDA 수용체 또는 비시냅스 NMDA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실험이 설계되었다. 이러한 실험은 신호 발생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가 활성화되거나 조절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6] 이 경로들은 동일한 단백질 신호를 사용하지만, NMDA 수용체의 위치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조절된다. 예를 들어, 시냅스 NMDA 흥분은 세포 내 p38 유사분열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p38MAPK)의 농도를 감소시켰다. 반면 비시냅스 NMDA 수용체 자극은 p38MAPK를 반대 방식으로 조절하여 세포 내 농도를 증가시켰다.[57][58]

이러한 서로 다른 세포 반응을 담당하는 주요 경로에는 ERK1/2와 Jacob이라는 두 가지 특정 단백질이 관여한다.[68] ERK1/2는 시냅스 NMDA 수용체에 의해 흥분될 때 Jacob의 인산화를 담당한다. 이 정보는 핵으로 수송된다. Jacob의 인산화는 비시냅스 NMDA 자극에서는 일어나지 않으며, 핵 내 전사 인자는 Jacob의 인산화 상태에 따라 다르게 반응한다.[59]

실험 데이터에 따르면 시냅스 외 NMDA 수용체는 장기 기억 증진(LTP)를 억제하는 반면 장기 기억 저하(LTD)를 생성한다.[61] LTP 억제는 NMDA 길항제를 투여하여 예방할 수 있다.[68] 일반적으로 시냅스 NMDAR을 사용하여 LTP를 유도하는 세타 버스트 자극은 시냅스 외 NMDAR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때 LTD를 생성한다.[62]

8. 2. 소단위체 구성의 역할

NMDA 수용체는 두 개의 GluN1 소단위체와 두 개의 가변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종사량체이다.[68][64] 이 중 GluN2A와 GluN2B는 각각 세포 생존과 세포 사멸 연쇄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luN2A와 GluN2B 소단위체는 모두 시냅스 및 시냅스 외 NMDA 수용체에서 발견되지만, GluN2B 소단위체가 시냅스 외 수용체에서 더 자주 발견된다는 증거가 있다. 이러한 사실은 NMDA 수용체가 흥분독성에서 이중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65][66]

9. 임상적 의의

NMDA 수용체 길항제는 마취제(케타민, 아산화 질소), 해리성 약물, 신경보호제(메만틴) 등으로 사용된다.


  • 마취: 케타민, 에스케타민, 틸레타민, 펜시클리딘, 아산화 질소, 제논과 같은 NMDA 수용체 길항제는 전신 마취제로 사용된다.[83][84]
  • 해리성 약물: 덱스트로메토르판, 메톡세타민과 같은 NMDA 수용체 길항제는 해리성, 환각, 행복감 효과를 나타내며 오락용 약물로 사용된다.[83][84]
  • 신경보호제: 메만틴은 신경퇴행성 질환인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사용되는 비경쟁적 NMDA 수용체 길항제이다. 2015년에는 다른 신경학적 질병에 대한 임상 시험도 진행되었다.[32][114]


NMDA 수용체는 우울증, 조현병, 이명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제 개발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 우울증: 케타민, 에스케타민(JNJ-54135419), 라파스티넬(GLYX-13), 아피모스티넬(NRX-1074), 젤퀴스티넬(AGN-241751), 4-클로로키뉴레닌(AV-101), 리슬레넴다즈(CERC-301, MK-0657) 등 NMDAR 표적 화합물이 주요 우울 장애 및 치료 저항성 우울증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83][84][120] 케타민은 이미 일부 클리닉에서 승인되지 않은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다.[121][122] 티아넵틴은 글루탐산(신경전달물질) 수용체 활성 및 뇌 유래 신경 영양 인자(BDNF) 방출을 간접적으로 변경, 억제하여 항우울 효과를 생성하고 신경 가소성에 영향을 미친다.[123][124][125][126][127] 티아넵틴은 NMDA 및 AMPA 수용체에도 작용한다.[123][127]
  • 알츠하이머병: 메만틴은 중등도에서 중증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미국과 유럽에서 승인되었으며,[128] 다른 치료 옵션에 실패한 환자를 위해 영국의 국립 보건 및 임상 우수 연구소에서 제한적인 권고를 받았다.[129]
  • 이명: 달팽이관 NMDAR은 이명 치료를 위한 약리학적 솔루션을 찾기 위한 집중적인 연구 대상이다.
  • 조현병: 메스암페타민과 같은 도파민성 흥분제와 비교할 때, NMDAR 길항제인 펜시클리딘은 건강한 지원자에게 조현병과 유사한 더 광범위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조현병의 글루탐산 가설로 이어졌다.[131] 설치류를 NMDA 수용체 길항제로 치료하는 실험은 조현병 치료법을 테스트하거나 조현병 치료를 위해 이미 승인된 약물의 정확한 메커니즘을 탐구할 때 가장 일반적인 모델이다.
  • 신경독성 치료: 엘리프로딜, 가베스티넬, 리코스티넬, 셀포텔과 같은 NMDAR 길항제는 허혈성 뇌졸중 및 외상성 뇌 손상과 같은 상황에서 흥분 독성 매개 신경 독성 치료를 위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지만, 임상 시험에서 성공하지 못했다.[132] 하지만 NMDAR 길항제는 동물 및 뇌 손상 환자에서 피질 확산 억제를 차단할 수 있다.[132]


항 NMDA 수용체 뇌염은 NMDA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에 의해 발생하는 자가면역 질환이다. NMDAR 뇌염이라고도 불리는[130] 이 질환은 일반적으로 면역 체계가 기형종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이소성 뇌 조직에 대해 생성하는 항체의 교차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러한 항체는 항 글루탐산 수용체 항체라고 알려져 있다.

참조

[1] 논문 Molecular determinants of agonist discrimination by NMDA receptor subunits: analysis of the glutamate binding site on the NR2B subunit 1997-03
[2] 논문 Identification of amino acid residues of the NR2A subunit that control glutamate potency in recombinant NR1/NR2A NMDA receptors 1998-01
[3] 논문 Structure, function, and pharmacology of NMDA receptor channels 2014
[4] 간행물 Physiology, NMDA Receptor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03-04
[5] 논문 Memory and the NMDA receptors 2009-07
[6] 논문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rat NMDA receptor 1991-11
[7] 논문 The glutamate receptor ion channels http://pharmrev.aspe[...] 1999-03
[8] 논문 Recent development in NMDA receptors 2000-10
[9] 논문 NMDA receptor subunits: diversity, development and disease 2001-06
[10] 논문 NMDA receptor subunits: function and pharmacology https://hal.archives[...] 2007-02
[11] 논문 Cannabinoid receptors couple to NMDA receptors to reduce the production of NO and the mobilization of zinc induced by glutamate 2013-11
[12] 논문 Δ9-tetrahydrocannabinol prevents methamphetamine-induced neurotoxicity 2014-05-20
[13] 논문 Mechanism of action of memantine 2006-02
[14] 논문 Management of moderate to severe Alzheimer's disease: focus on memantine 2011-12
[15] 논문 The chemical biology of clinically tolerated NMDA receptor antagonists 2006-06
[16] 논문 NMDA receptor pathways as drug targets 2002-11
[17] 논문 Paradigm shift in neuroprotection by NMDA receptor blockade: memantine and beyond 2006-02
[18] 논문 NMDA-antagonism (memantine): an alternative pharmacological therapeutic principle in Alzheimer's and vascular dementia 2004-01-01
[19] 논문 Synaptic plasticity impairment and hypofunction of NMDA receptors induced by glutathione deficit: relevance to schizophrenia 2006-02
[20] 논문 Failures and successes of NMDA receptor antagonists: molecular basis for the use of open-channel blockers like memantine in the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neurologic insults 2004-01
[21] 논문 Subunit- and site-specific pharmacology of the NMDA receptor channel 1999-10
[22] 논문 The glutamate story 2006-01
[23] 논문 Extrasynaptic NMDARs oppose synaptic NMDARs by triggering CREB shut-off and cell death pathways 2002-05
[24] 논문 Synaptic versus extrasynaptic NMDA receptor signalling: implications for neurodegenerative disorders 2010-10
[25] 논문 Therapeutic targeting of the pathological triad of extrasynaptic NMDA receptor signaling in neurodegenerations 2017-03
[26] 논문 Coupling of NMDA receptors and TRPM4 guides discovery of unconventional neuroprotectants 2020-10
[27] 논문 The lipophilic bullet hits the targets: medicinal chemistry of adamantane derivatives 2013-05
[28] 논문 The t-N-methyl-d-aspartate receptor: Making the case for d-Serine to be considered its inverse co-agonist 2023-11
[29] 논문 Subunit arrangement and function in NMDA receptors 2005-11
[30] 논문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subunit NR2B: localization, functional properties, regulation, and clinical implications 2003-01
[31] 논문 NMDA receptors and schizophrenia 2007-02
[32] 논문 Key binding interactions for memantine in the NMDA receptor 2013-02
[33] 서적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
[34] 논문 The NMDA receptor antagonist memantine as a symptomatological and neuroprotective treatment for Alzheimer's disease: preclinical evidence 2003-09
[35] 논문 Structure and trafficking of NMDA and GABAA receptors 2006-11
[36] 논문 Evolutionary mode and functional divergence of vertebrate NMDA receptor subunit 2 genes 2010-10
[37] 논문 The origin and evolution of synapses 2009-10
[38] 논문 A critical importance of polyamine site in NMDA receptors for neurite outgrowth and fasciculation at early stages of P19 neuronal differentiation 2008-08
[39] 논문 Effect of the N-methyl-D-aspartate NR2B subunit antagonist ifenprodil on precursor cell proliferation in the hippocampus https://figshare.com[...] 2014-06
[40] 논문 NMDA receptors subserve persistent neuronal firing during working memory in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2013-02
[41] 논문 Core Differences in Synaptic Signaling Between Primary Visual and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2018-04
[42] 논문 Hierarchy of transcriptomic specialization across human cortex captured by structural neuroimaging topography 2018-09
[43] 논문 Analysis of synaptic gene expression in the neocortex of primates reveals evolutionary changes in glutamatergic neurotransmission 2015-06
[44] 논문 Gene Expression Switching of Receptor Subunits in Human Brain Development 2015-12
[45] 논문 Switching of NMDA receptor 2A and 2B subunits at thalamic and cortical synapses during early postnatal development 2004-10
[46] 논문 Building a brainier mouse 2000-04
[47] 논문 NMDA receptor subunits have differential roles in mediating excitotoxic neuronal death both in vitro and in vivo 2007-03
[48] 논문 Developmental changes in NMDA neurotoxicity reflect developmental changes in subunit composition of NMDA receptors 2006-03
[49] 논문 Importance of the intracellular domain of NR2 subunits for NMDA receptor function in vivo 1998-01
[50] 논문 NMDA receptor surface trafficking and synaptic subunit composition are developmentally regulated by the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Reelin 2007-09
[51] 논문 Timing neurogenesis and differentiation: insights from quantitative clonal analyses of cerebellar granule cells 2008-03
[52] 논문 Neuregulin signaling is dispensable for NMDA- and GABA(A)-receptor expression in the cerebellum in vivo 2009-02
[53] 논문 Pharmacology of glutamate neurotoxicity in cortical cell culture: attenuation by NMDA antagonists 1988-01
[54] 서적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Weill Medical College of Cornell University, Department of Neurology and Neuroscience
[55] 논문 The Yin and Yang of NMDA receptor signalling 2003-02
[56] 논문 Memantine preferentially blocks extrasynaptic over synaptic NMDA receptor currents in hippocampal autapses 2010-08
[57] 논문 Distinct roles for μ-calpain and m-calpain in synaptic NMDAR-mediated neuroprotection and extrasynaptic NMDAR-mediated neurodegeneration 2013-11
[58] 논문 Extrasynaptic NMDA receptors couple preferentially to excitotoxicity via calpain-mediated cleavage of STEP 2009-07
[59] 논문 Encoding and transducing the synaptic or extrasynaptic origin of NMDA receptor signals to the nucleus 2013-02
[60] 논문 Synaptic plasticity of NMDA receptors: mechanisms and functional implications 2012-06
[61] 논문 Soluble Aβ oligomers inhibit long-term potentiation through a mechanism involving excessive activation of extrasynaptic NR2B-containing NMDA receptors 2011-05
[62] 논문 Activation of extrasynaptic NMDA receptors induces LTD in rat hippocampal CA1 neurons 2013-04
[63] 논문 Synaptic and extrasynaptic NMDA receptors are gated by different endogenous coagonists 2012-08
[64] 논문 Diversity in NMDA receptor composition: many regulators, many consequences 2013-02
[65] 논문 Organization of NMDA receptors at extrasynaptic locations 2010-04
[66] 논문 Stroke intervention pathways: NMDA receptors and beyond 2011-05
[67] 논문 D-serine mitigates cell loss associated with temporal lobe epilepsy 2020-10
[68] 논문 Extrasynaptic NMDA receptor involvement in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2014-04
[69] 논문 The anchoring protein SAP97 influences the trafficking and localisation of multiple membrane channels 2014-02
[70] 논문 Visualizing the triheteromeric N-methyl-D-aspartate receptor subunit composition 2023
[71] 논문 The toxic effect of sodium L-glutamate on the inner layers of the retina 1957-08
[72] 논문 Early increase in extrasynaptic NMDA receptor signaling and expression contributes to phenotype onset in Huntington's disease mice 2010-01
[73] 논문 Ion Channel Functions in Early Brain Development 2020-02
[74] 논문 Structural features of the glutamate binding site in recombinant NR1/NR2A N-methyl-D-aspartate receptors determined by site-directed mutagenesis and molecular modeling 2005-05
[75] 논문 D-serine regulation of NMDA receptor activity 2006-10
[76] 논문 The t-N-methyl-d-aspartate receptor: Making the case for d-Serine to be considered its inverse co-agonist 2023-11
[77] 논문 Differential modulation of glutamatergic transmission by 3,5-dibromo-L-phenylalanine 2005-05
[78] 논문 Halogenated derivatives of aromatic amino acids exhibit balanced antiglutamatergic actions: potential ap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and neuropsychiatric disorders 2006-11
[79] 논문 Efficacy of 3,5-dibromo-L-phenylalanine in rat models of stroke, seizures and sensorimotor gating deficit 2009-12
[80] 간행물 Unlocking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the NMDA Receptor http://www.dddmag.co[...] 2010
[81] 논문 Positive N-Methyl-D-Aspartate Receptor Modulation by Rapastinel Promotes Rapid and Sustained Antidepressant-Like Effects 2019-03
[82] 웹사이트 The Bad News Isn't In: A Look at Dissociative-Induced Brain Damage and Cognitive Impairment http://www.erowid.or[...] 2003-06-01
[83] 논문 Trial watch: phase II boost for glutamate-targeted antidepressants 2013-12
[84] 논문 Kynurenines in the CNS: recent advances and new questions 2013-01
[85] 논문 Is agmatine a novel neurotransmitter in brain? 2000-05
[86] 논문 Radioligand binding studies reveal agmatine is a more selective antagonist for a polyamine-site on the NMDA receptor than arcaine or ifenprodil 2002-10
[87] 논문 NPS 1506, a moderate affinity uncompetitive NMDA receptor antagonist: preclinical summary and clinical experience
[88] 논문 Neuroactive compounds obtained from arthropod venoms as new therapeutic platforms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89] 논문 Nonpsychotropic synthetic cannabinoids 2000-09
[90] 논문 Nonpsychotropic cannabinoid acts as a functional N-methyl-D-aspartate receptor blocker 1989-12
[91] 논문 Blockade of 45Ca2+ influx through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ion channel by the non-psychoactive cannabinoid HU-211 1993-09
[92] 논문 Subunit arrangement and phenylethanolamine binding in GluN1/GluN2B NMDA receptors 2011-06
[93] 논문 Specific inhibition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 function in rat hippocampal neurons by L-phenylalanine at concentrations observed during phenylketonuria
[94] 논문 Long-term changes in glutamatergic synaptic transmission in phenylketonuria 2005-02
[95] ClinicalTrialsGov Effects of N-Methyl-D-Aspartate (NMDA)-Receptor Antagonism on Hyperalgesia, Opioid Use, and Pain After Radical Prostatectomy
[96] 논문 Atomoxetine acts as an NMDA receptor blocker in clinically relevant concentrations 2010-05
[97] 논문 Minocycline targets multiple secondary injury mechanisms in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2017-05
[98] 논문 Noncompetitive inhibition of N-methyl-D-aspartate by conantokin-G: evidence for an allosteric interaction at polyamine sites 1992-10
[99] 논문 The function of the amino terminal domain in NMDA receptor modulation 2005-01
[100] 논문 Cyclin-dependent kinase 5 governs learning and synaptic plasticity via control of NMDAR degradation 2007-07
[101] 논문 Cdk5 regulates the phosphorylation of tyrosine 1472 NR2B and the surface expression of NMDA receptors 2008-01
[102] 논문 Reelin modulates NMDA receptor activity in cortical neurons 2005-09
[103] 논문 NMDA channel regulation by channel-associated protein tyrosine kinase Src 1997-01
[104] 논문 Na+/Ca2+ exchanger isoform 1 takes part to the Ca2+-related prosurvival pathway of SOD1 in primary motor neurons exposed to beta-methylamino-L-alanine 2022-01
[105] 논문 Zinc and copper influence excitability of rat olfactory bulb neurons by multiple mechanisms 2001-10
[106] 논문 Lead exposure during synaptogenesis alters vesicular proteins and impairs vesicular release: potential role of NMDA receptor-dependent BDNF signaling 2010-07
[107] 논문 MHC class I modulates NMDA receptor function and AMPA receptor trafficking 2010-12
[108] 논문 Functional requirement for class I MHC in CNS development and plasticity 2000-12
[109] 논문 MHC class I immune proteins are critical for hippocampus-dependent memory and gate NMDAR-dependent hippocampal long-term depression 2013-09
[110] 논문 Proton inhibition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s in cerebellar neurons 1990-05
[111] 논문 Selective modulation of NMDA responses by reduction and oxidation 1989-03
[112] 서적 Biology of the NMDA Receptor CRC Press 2009
[113] 논문 Dementia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neurodegenerative disorders--memantine, a new hope 2005-01
[114] 논문 Pathologically activated therapeutics for neuroprotection 2007-10
[115] 논문 Pharmacologically targeted NMDA receptor antagonism by NitroMemantine for cerebrovascular disease 2015-10
[116] 서적 Neuroscience http://www.sinauer.c[...] Sinauer Associates
[117] 논문 Fast and slow voltage-dependent dynamics of magnesium block in the NMDA receptor: the asymmetric trapping block model 2004-07
[118] 서적 Neuroscience http://www.sinauer.c[...] Sinauer Associates
[119] 논문 Magnesium gates glutamate-activated channels in mouse central neurones 1984-02
[120] 논문 Emerging Therapies for Treatment Resistant Depression
[121] 웹사이트 Growing Evidence That A Party Drug Can Help Severe Depression https://www.npr.org/[...] NPR
[122] 웹사이트 From Club to Clinic: Physicians Push Off-Label Ketamine as Rapid Depression Treatment http://blogs.scienti[...] Scientific American
[123] 논문 The neurobiological properties of tianeptine (Stablon): from monoamine hypothesis to glutamatergic modulation 2010-03
[124] 논문 Molecular mechanisms of neuroplasticity and pharmacological implications: the example of tianeptine 2004-12
[125] 논문 Neurobiology of mood, anxiety, and emotions as revealed by studies of a unique antidepressant: tianeptine 2005-06
[126] 논문 Tianeptine: a novel atypical antidepressant that may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biomolecular basis of depression http://www.bentham-d[...] 2020-04-12
[127] 논문 Neurobiological and clinical effects of the antidepressant tianeptine
[128] 논문 Alzheimer disease: progress or profit? 2006-07
[129] 간행물 Azheimer's disease - donepezil, galantamine, rivastigmine and memantine (review): final appraisal determination http://www.nice.org.[...] NICE technology appraisal 2011-01-18
[130] 논문 Atypical inflammatory demyelinating syndromes of the CNS https://ora.ox.ac.uk[...] The lancet neurology 2016-08
[131] 논문 Circuit-based framework for understanding neurotransmitter and risk gene interactions in schizophrenia 2008-05
[132] 논문 Lasting s-ketamine block of spreading depolarizations in subarachnoid hemorrhage: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2019-12
[133] 논문 Minocycline, a tetracycline derivative, is neuroprotective against excitotoxicity by inhibiting activation and proliferation of microglia. http://www.jneurosci[...] 2001-04-15
[134] 논문 Minocycline provides neuroprotection against N-methyl-D-aspartate neurotoxicity by inhibiting microglia. http://www.jimmunol.[...] 2001-06-15
[135] 논문 Cannabinoids produce neuroprotection by reducing intracellular calcium release from ryanodine-sensitive stores. http://www.sciencedi[...] 2005-01
[136] 논문 Phencyclidine-induced cognitive deficits in mice are improved by subsequent subchronic administration of the antibiotic drug minocycline. http://www.sciencedi[...] 2008-02-15
[137] 논문 Effects of chronic oral treatment with aripiprazole on the expression of NMDA receptor subunits and binding sites in rat brain. https://link.springe[...] 2011-09
[138] 웹사이트 (+)-MK 801 (Maleate) 詳細情報 http://www.namiki-s.[...] ナミキ商事株式会社
[139] 논문 Dopamine receptor contribution to the action of PCP, LSD and ketamine psychotomimetics. http://www.nature.co[...] 2005-09
[140] 웹사이트 メマンチン塩酸塩 国際共通化資料(CTD)神経細胞保護作用 https://www.pmda.go.[...] 第一三共株式会社 2016-08-03
[141] 웹사이트 D-AP5 Item № 14539 CAS № 79055-68-8 https://www.caymanch[...]
[142] 논문 Subtype-selective inhibition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s by haloperidol. http://molpharm.aspe[...]
[143] 논문 Atomoxetine acts as an NMDA receptor blocker in clinically relevant concentrations. https://onlinelibrar[...] 2010-05
[144] 논문 The mechanisms of sudden-onset type adverse reactions to oseltamivir. http://onlinelibrary[...] 2016-06-30
[145] 논문 The mechanisms of delayed onset type adverse reactions to oseltamivir. http://onlinelibrary[...] 2016-09
[146] 논문 Multiple mechanisms of ketamine blockade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s. http://anesthesiolog[...] 1997-04
[147] 논문 Ketamine: Its mechanism(s) of action and unusual clinical uses. http://bja.oxfordjou[...] 1996-10
[148] 논문 Antitussives and substance abuse.
[149] 저널 Molecular determinants of agonist discrimination by NMDA receptor subunits: analysis of the glutamate binding site on the NR2B subunit 1997-03
[150] 간행물 Subunit arrangement and function in NMDA receptors 2005-11
[151] 간행물 Recent development in NMDA receptors 2000-10
[152] 간행물 Subunit- and site-specific pharmacology of the NMDA receptor channel 1999-10
[153] 간행물 NMDA receptor subunits: function and pharmacology https://hal.archives[...] 2007-02
[154] 간행물 The glutamate receptor ion channels. https://www.ncbi.nlm[...] 1999-03
[155] 간행물 The origin and evolution of synapses 2009-10
[156] 간행물 D-serine regulation of NMDA receptor activity https://www.semantic[...] 20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