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사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사회는 인류의 사회 발전 단계를 다룬 저술로, 주로 사회 진화론적 관점에서 인류의 역사를 분석한다. 루이스 헨리 모건은 이 책에서 인류의 발전을 야만, 미개, 문명의 세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를 다시 세분화하여, 생활 자료 생산 방식, 가족 형태, 정치 조직 등의 변화를 추적했다. 그는 '신분에서 계약으로'의 발전 경로를 제시했으며, 3시대 구분법을 보완하여 민족 시대를 구분했다. 이 책은 사회 진화론 연구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번역본을 통해 널리 읽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논픽션 책 - 정의론
정의론은 존 롤스가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이라는 개념을 통해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를 위한 정의의 원칙을 제시하며, 최대 자유 평등 원칙, 차등 원칙 및 기회균등 원칙을 포함하는 사회 정의 이론으로,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이념의 핵심으로 평가되어 사회 개혁 논의에 철학적 기반을 제공한다. - 미국의 논픽션 책 - 열린 사회와 그 적들
《열린 사회와 그 적들》은 칼 포퍼가 1945년에 출판한 저서로, 플라톤, 헤겔, 마르크스의 역사주의와 전체주의 사상을 비판하며 민주주의와 자유주의 가치를 옹호한다. - 인류학 - 성인식
성인식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알리는 의례로, 역사적으로 교육의 시작을 알리고 고대 사회에서 성인과 어린이를 구분하며 다양한 문화권과 종교적 의례로 나타난다. - 인류학 - 민족지
민족지는 특정 문화, 사회, 집단에 대한 연구 방법이자 결과물을 의미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용되어 사람들의 사회적 의미와 일상 활동을 포착하고 문화의 보편성과 변이를 연구, 해석하는 학문이다.
| 고대 사회 - [서적]에 관한 문서 | |
|---|---|
| 고대 사회 (Ancient Society) | |
| 저자 | 루이스 H. 모건 |
| 국가 | 미국 |
| 언어 | 영어 |
| 출판년도 | 1877년 |
| 주제 | 인류학 |
2. 모건의 진보 개념
모건 사상의 핵심 개념은 진보였다.[7] 그는 진보를 인류가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며 거쳐온 사회적 '상태'의 '단계'들로 구성된 일종의 '경력'으로 보았다. 이러한 진보는 '전 인류 가족에게 역사적으로 사실'이지만, 모든 사회에 균일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고 생각했다. 즉, 인류의 여러 갈래는 서로 다른 조건 속에서 각기 다른 '인류 발전'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모건은 발전의 단계들이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본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믿었고, '균일성에서 벗어난 것은 ... 특별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인류 발달의 주요 단계'를 밝히고자 했다.[1][8]
모건 사상의 핵심 개념은 진보였다. 그는 인류 사회가 마치 개인이 성장하듯 일정한 단계를 거쳐 발전해왔다고 보았다. 모건은 이러한 인류의 발전을 "바닥"에서부터 "올라온" 사회적 "상태"의 "단계"로 구성된 "경력"으로 묘사했다.[1][7] 그는 진보가 모든 인류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지만, 그 속도나 양상은 지역이나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모건은 이러한 관점에서 "인류 발달의 주요 단계"를 규명하고자 했다.[1][8]
모건은 사회의 진보라는 개념을 부분적으로 개인의 발달 과정에 빗대어 설명했다. 그는 사회의 발전을 '지구상의 인간 지배'로 나아가는 '상승' 과정으로 이해했다. 이러한 생각은 사회에서 자신의 길을 개척해 나가는 개인의 모습, 특히 고전 교육을 받은 모건에게 익숙했던 로마의 '쿠르수스 호노룸(cursus honorum, 공직 진출 경로)' 개념이나 삶을 '사다리(scala)' 오르기에 비유하는 합리주의적 사고방식에서 영향을 받았다. 그는 사회 역시 개인의 삶처럼 발전하고 성장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유추에 더해, 모건은 당시 다른 학문 분야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비교 방법을 인류학에 도입했다. 그는 '에트나(ethna)'라는 비교 단위를 설정했는데, 이는 특정 사회의 '발명', '발견', 그리고 '국내 제도(가족, 정부 등)'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모건은 이러한 '에트나'들을 서로 비교하고 평가하여 어떤 사회가 더 발전했는지 판단하려 했다. 그의 '에트나' 개념은 동시대 인류학자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가 제시한 문화적 요소들과 일부 겹치는 것으로 보인다. 모건은 자신의 저서에서 타일러를 여러 차례 언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모건이 어떤 기준으로 사회의 우열, 즉 상위와 하위를 나누었는지는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대체로 환경에 대한 통제력이 높거나, 경쟁에서 승리하거나, 인구 확산에 더 유리한 사회를 더 발전된 것으로 보았던 것 같다. 흥미롭게도 모건 자신은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다윈은 자신의 저서에서 모건의 연구를 인용하며 주목했다.
3. 진보의 궤적
모건은 사회의 진보라는 생각을 부분적으로 개인의 발달 과정에 빗대어 설명했다. 이는 마치 한 개인이 사회에서 자신의 길을 개척하며 성장하는 과정과 유사하다고 본 것이다. 특히 고전에 능통했던 그는 고대 로마의 공직 진출 경로인 cursus honorum|쿠르수스 호노룸la 개념을 차용하여 사회가 단계를 밟아 발전한다는 생각을 구체화했다.
그는 이러한 사회 발전을 설명하기 위해 당시에 다른 학문 분야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비교 방법을 인류학에 도입했다. 모건은 사회 발전을 비교하는 단위로 에트나(ethna영어)라는 개념을 제시했는데, 이는 특정 사회의 "발명", "발견", "제도" 등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그는 다양한 사회의 에트나를 비교하여 어떤 것이 더 진보된 형태인지를 평가하고자 했다. 모건에게 있어 더 진보된 에트나는 환경에 대한 더 나은 통제력을 의미하거나, 경쟁에서의 승리, 인구 확산에 더 유리한 특성을 갖는 것이었다.
모건은 인류 사회의 진보를 측정하는 기준으로 다음 일곱 가지 측면, 즉 에트나를 제시했다.[2][3]
# ''생계''
# ''정부''
# ''언어''
# ''가족''
# ''종교''
# ''주거 생활 및 건축''
# ''재산''
모건은 이러한 여러 측면에서의 발전을 통해 인류 사회가 원시적인 '신분' 중심 사회에서 점차 복잡하고 합리적인 '계약' 중심 사회로 진보해왔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가족 형태가 근친 결혼에서 일부일처제로 발전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보았다.[3] 또한 재산 제도가 원시 공산제에서 사유 재산제로 발전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류의 발전 단계를 크게 야만, 미개, 문명의 세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를 다시 하위 단계로 세분화하여 설명했다. 예를 들어, 모계 씨족제를 유지했던 이로쿼이족은 미개 단계의 하기에, 부계 씨족 사회였던 고대 그리스나 고대 로마는 미개 단계의 상기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3. 1. 생계 기술
루이스 H. 모건은 인류 사회의 진보 단계를 설명하면서 생계 기술의 발전을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2] 그가 제시한 생계 기술의 발전 단계는 다음과 같다.
3. 2. 언어의 기원
모건은 언어의 기원을 다음과 같은 단계로 추측했다.
그러나 모건 자신도 언어 발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을 인정했으며, 그의 이러한 구분은 추측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예를 들어, 한장어족 언어나 타이어족 언어처럼 단음절로 보이는 언어도 실제로는 성조를 통해 의미를 구별하는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에는 어떤 특정 언어가 다른 언어보다 더 원시적이라고 여기지 않는다. 언어의 초기 단계는 정확히 알 수 없으며, 아주 먼 선사 시대에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몸짓 언어는 여전히 상징적 의사소통의 원초적인 형태로 여겨진다.
3. 3. 가족의 형태
루이스 헨리 모건은 인류 사회의 발달 단계에 따라 가족의 형태도 변화해왔다고 보았다. 그가 제시한 가족 형태의 발달 순서는 다음과 같다.[3]
| 형태 | 원어 표기 | 설명 |
|---|---|---|
| 근친 결혼 | Consanguine영어 | 형제자매 간의 혼인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
| 푸날루안 | Punaluan영어 | 하와이의 관습에서 유래한 형태로, 여러 형제가 서로의 아내와 결혼하고, 여러 자매가 서로의 남편과 결혼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형제나 자매는 단순히 친형제자매뿐만 아니라 확대 가족 내 같은 세대의 모든 남성과 여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
| 신디아스미안 | Syndyasmian영어 | 한 쌍의 남녀가 결혼하지만, 일부일처제와 달리 독점적인 동거가 보장되지는 않는 형태이다. |
| 가부장적 | Patriarchal영어 | 한 명의 남자가 여러 명의 아내와 결혼하는 형태이다. |
| 일부일처 | Monogamian영어 | 한 명의 남자와 한 명의 여자가 결혼하여 독점적으로 함께 사는 형태이다. 모건은 이를 문명 단계에서 나타난 가족 형태로 보았다. |
4. 민족 시대
모건은 선사 시대를 나누는 3시대 구분법(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이 인류의 진보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이 3시대 구분법은 크리스티안 쥐르겐센 톰센의 연구를 바탕으로 J. J. A. 보르소가 1849년 영어로 출판한 저서 『덴마크의 원시 유물』에서 설명된 것이다.[1] 톰센의 『스칸디나비아 고대 유물 안내서』(1836)는 1848년에 영어로 번역되어 영국과 북미 연구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
모건은 덴마크 학자들이 제시한 선사 시대 단계들이 서로 겹치고, 주로 도구나 도구 재료에만 초점을 맞추어 구별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다.[1] 또한, 그는 자신이 북미 원주민 사회를 연구하며 발견한 사회 구조 변화의 증거들과 이 단계들이 잘 맞지 않는다고 보았다.[1] 모건 이후에도 유럽의 3시대 구분법은 인류학과 고고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지만, 시대 구분 기준은 모건이 제시한 여러 요소를 포함하며 확장되었다.[1] 모건이 제시한 '야만'과 '미개' 단계는 이후 로버트 브레이드우드가 제시한 '식량 채집'과 '식량 생산' 단계와 유사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2]
대신 모건은 '진보의 궤적'을 따라 각기 '독특한 문화'와 '특정 생활 방식'을 가진 '민족 시대'라는 개념을 제시했다.[1] 그는 이러한 시대 구분에 예외가 있을 수 있고, 시대 간의 정확한 경계를 나누기 어렵다는 점을 인정했다.[1] 당시 과학적 고고학이 발전하던 초기 단계였기 때문에, 모건은 층위학이나 과학적인 연대 측정 방법을 사용하지 못했다. 대신 언어학적 분석과 역사적 추측에 의존하여 자신의 주장을 펼쳤다.[1]
4. 1. 야만 시대
| 시대 | 세부 시대 | 특징 |
|---|---|---|
| 야만 시대 (자연 상태에서의 생존, 최소 60,000년 지속) | 하위 야만 시대 | 인류가 다른 동물과 처음으로 구분되는 시기. 과일과 뿌리를 채집하며 생활했고, 열대 또는 아열대 기후 지역에 서식했다. 부분적으로 나무 위 생활을 했으며, 몸짓 언어를 사용하고 지능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가족 형태는 혈족 가족이었다. |
| 중위 야만 시대 | 어업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고 불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인류는 해안선을 따라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단음절 언어를 사용했으며, 가족 형태는 푸날루아 가족이었다. | |
| 상위 야만 시대 | 활과 화살, 곤봉, 창과 같은 무기를 사용했다. 식단에 사냥으로 얻은 고기가 추가되었고, 식인 풍습도 나타났다. 음절 언어를 사용했으며, 가족 형태는 신다스미아 가족이었다. 사회는 씨족, 부족 등으로 조직되었고, 원소 숭배가 이루어졌다. |
4. 2. 미개 시대
모건은 인류 발전 단계를 야만, 미개, 문명의 세 단계로 나누고, 미개 시대를 다시 하위, 중위, 상위로 세분하였다. 미개 시대는 주로 생활자료 생산의 진보, 특히 경작과 가축화를 기준으로 구분된다. 모건은 모계제를 따랐던 이로쿼이 연맹을 미개 하기 단계로, 부계제 씨족 사회였던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를 미개 상기 단계로 분류했다.- '''하위 미개 시대''': 원예가 시작되어 옥수수, 콩, 호박, 담배 등을 재배했다. 도자기 제작 기술이 등장했으며, 부족들이 연맹체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손가락을 이용한 직조 기술, 송곳니(도구 또는 상징물), 마을을 보호하기 위한 목책, 부족 단위의 놀이 등이 나타났다. 종교적으로는 원소 숭배와 '위대한 영혼'에 대한 믿음이 있었으며, 모건은 이 시기에 아리아인(인도유럽어족 사용자)과 셈족의 가족 형태가 형성되기 시작했다고 보았다.
- '''중위 미개 시대''': 가축화가 본격화되어 염소, 양, 말, 당나귀, 소, 개 등을 길렀고 우유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청동 제작 기술과 관개 농업이 발달했다. 주거 형태로는 방어 기능을 갖춘 요새화된 대규모 공동 주택이 나타났다. 모건은 이러한 발전이 주로 셈족과 아리아인 집단에서 이루어졌다고 분석했다.
- '''상위 미개 시대''': 곡물과 식물 재배가 더욱 발전하고 철광석 제련 기술이 등장하여 철기 시대로 진입하는 단계이다. 시와 신화가 발달했으며,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가 나타났다. 바퀴 달린 운송 수단, 청동 및 철로 만든 갑옷과 무기, 대장간, 도자기 제작용 물레, 곡물 제분기, 직조기, 단조 기술 등이 사용되었다. 사회적으로는 일부일처제 가족 형태와 사유 재산 개념이 등장했으며, 도시 생활과 민회(시민 회의)가 발달했다. 모건은 특히 아리아인(인도유럽어족 사용자)이 이러한 발전을 주도했으며, 호메로스의 시대를 이 시기의 기준으로 삼았다. 모건이 분류한 상위 미개 시대는 현대 고고학의 초기 철기 시대에 해당한다.
4. 3. 문명 시대
모건의 시대 구분에서 문명 시대는 들판 농업을 특징으로 하는 마지막 단계로, 약 5000년간 지속되었다고 보았다. 이 시대는 다시 고대, 중세, 현대로 세분된다.- '''고대 문명''': 철 재질의 날을 가진 쟁기, 철제 도구, 동물 동력의 사용, 식량 생산의 제약 없는 확대, 표음 문자와 문자 체계의 발달, 아라비아 숫자의 사용 등이 특징이다. 또한 군사 기술의 발전, 도시의 형성, 상업의 발달, 주화의 사용, 영토와 재산을 기반으로 한 국가의 등장, 다리, 아치, 크레인, 물레방아, 하수도와 같은 건설 기술이 나타났다. 모건은 이러한 고대 문명을 고대 그리스 및 고대 로마와 관련지었다.
- '''중세 문명''': 고딕 건축 양식, 세습 작위를 가진 봉건 귀족, 교황을 정점으로 하는 종교적 계층 구조가 특징이다. 모건은 중세 시대에 대해서는 상세히 다루지 않았다.[5]
- '''현대 문명''': 전신, 석탄 가스, 방적기, 역직기, 증기 기관, 망원경, 인쇄술, 운하 갑문, 나침반, 화약, 사진, 현대 과학의 발전, 종교의 자유, 공립학교 제도, 대의 민주주의, 계급 사회, 다양한 형태의 법 체계 등이 이 시대의 특징으로 제시되었다.
5. 야만에서 문명으로
존 웨슬리 파월은 『고대 사회』를 "지금까지 문화 단계를 구별하고 정의하려는 가장 주목할 만한 시도"라고 평가했다. 파월은 미개인이 인종과 문화의 혼합을 통해 문명으로 발전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파월은 문명인이 피를 흘리는 대신 피를 섞음으로써 미개인을 도울 수 있다고 생각했다. 파월은 또한 "인간의 진화는 동물의 진화의 특성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간이 생존 투쟁에서 성공하기 위해 생활 조건을 개선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적자생존 이론에 반대했다. 대신 파월은 "행복을 확보하려는 인간의 노력"이 문명의 원동력이라고 보았다.
6. 한국어 번역
최초의 완역본은 1924년 고하타 소시와 무라오 쇼이치가 공동 번역하여 이립사에서 상하 2권으로 출판한 『고대 사회』이다. 이후 1930년에는 야마모토 긴과 사사키 이와오가 번역한 『고대 사회』가 공생각에서 출간되었는데, 이는 야마모토 산고의 번역본이다[9]. 1931년에는 아라하타 칸손이 번역한 『고대 사회』가 개조사에서 출간되었다.
참조
[1]
문서
Chapter 1, initial
[2]
문서
Chapter 2
[3]
문서
Chapter 2, end
[4]
서적
History's Shadow: Native Americans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Nineteenth Centu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
문서
Chapter 3
[6]
서적
Anthropology and the Racial Politics of Culture
Duke University Press
[7]
문서
This article places words and phrases quoted from Morgan in Italics, rather than quotes, for the reader's visual convenience.
[8]
문서
Chapter 1, initial
[9]
간행물
山本琴子と『古代社会』の邦訳
女性史研究
1987-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