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락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락까는 시리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셀레우코스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동로마 제국, 압바스 왕조를 거치며 군사적, 상업적 요충지로 발전했다. 13세기 몽골 침략으로 파괴된 후 오스만 제국 시대에 세관이 설치되며 부활했고, 1950년대 면화 산업의 호황으로 도시가 성장했다. 2011년 시리아 내전 발발 이후 ISIL의 수도가 되었으나, 2017년 시리아 민주군에 의해 탈환되었다. 현재는 재건 사업이 진행 중이며, 고대 유적과 함께 시리아 정교회와 이슬람교 문화가 공존하는 곳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락까주 - 로자바 분쟁
    로자바 분쟁은 시리아 북동부 지역에서 쿠르드족, 시리아 정부, 이슬람주의 세력, 터키 간에 벌어진 복잡한 갈등으로, 쿠르드족의 자치 정부 수립 과정에서 사회 개혁을 시도했으나, 터키의 적대적 입장으로 인해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다.
  • 락까주 - 코바니주
    코바니주는 시리아 북부에 위치한 쿠르드족 자치 지역으로, 시리아 내전 중 자치 칸톤으로 선포되었으며, ISIL과의 전투 끝에 YPG가 방어에 성공했고, 농업 기반 경제와 다중 언어 교육을 특징으로 한다.
  • 시리아의 도시 - 타르투스
    타르투스는 지중해 동부 해안에 위치한 시리아의 도시로, 고대 페니키아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주요 항구이자 러시아 해군 해외 기지가 위치하고 관광 및 경제적으로 중요한 도시이다.
  • 시리아의 도시 - 알레포
    알레포는 시리아 북부의 도시로, 고대부터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치며 동서양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나 시리아 내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 정부군에 장악됐다가 시리아 반군에 재점령되며 내전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았다.
락까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위치시리아 내 위치
기본 정보
라카 시가지
쿠르드어레케
아랍어아르-라카 (الرقة)
지위도시
행정 구역
국가시리아
라카 주
라카 군
소구라카 소구
통제북동 시리아 자치 행정부
역사
설립기원전 244–242년
면적
도시 면적35 제곱킬로미터
고도
해발 고도245 미터
인구
총 인구 (2021년 추정치)531,952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내전 이전불명
인구 통계()
민족아랍인
식별 번호
우편 번호C5710
지역 번호22
지오코드SY110100
시간대
시간대EET
협정 세계시 오프셋+2
하계 시간 (DST)EEST
하계 시간 협정 세계시 오프셋+3

2. 역사

락까는 고대부터 여러 문명의 지배를 거치며 역사의 부침을 겪었다. 셀레우코스 제국의 셀레우코스 2세가 도시를 건설하고 '칼리니쿰'이라 명명했으며, 이후 동로마 제국 시기에는 레오 1세 황제에 의해 '레온투폴리스'로 불리기도 했다. 542년 사산 왕조호스로 1세 침공으로 파괴되었으나,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에 의해 재건되기도 했다.

639년 이슬람 세력에게 정복된 후에는 압바스 왕조의 궁전이 들어서며 동로마 제국에 대항하는 군사적 요충지로 기능했다. 그러나 13세기 몽골 제국의 침공으로 큰 피해를 입고 쇠퇴하였다가, 16세기 오스만 제국 시대에 유프라테스강변의 세관으로 다시 등장했다.

시리아 독립 이후에는 중동 전쟁 등 이스라엘과의 분쟁에서 비교적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2011년 발발한 시리아 내전은 락까의 운명을 크게 바꾸었다. 2014년 8월, 이라크에서 세력을 확장한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 IS아사드 정권의 마지막 거점이었던 타브카 공군 기지를 점령하고 도시 전체를 장악한 뒤, 이곳을 자신들의 수도로 선포하였다.

IS의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2017년 미군의 지원을 받는 시리아 민주군(SDF)이 락까 탈환 작전을 개시하자, IS는 같은 해 4월 수도를 마야딘으로 옮겼다. 결국 2017년 10월 17일, 시리아 민주군은 락까를 IS로부터 완전히 해방시켰다.[90] 락까의 역사는 고대 도시의 건설과 파괴, 이슬람 제국의 중심지, 그리고 현대의 내전과 해방이라는 극적인 사건들로 점철되어 있다.

2. 1. 고대 도시

락까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텔인 텔 자이단(시가지에서 5km 동쪽)과 탈 알비아(시가지 동쪽 인접)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다. 특히 탈 알비아는 청동기 시대 중기(기원전 2000년~기원전 1600년)의 바빌론 도시 투툴(Tuttul)로 확인되었다.

현대 도시의 기원은 헬레니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니케포리온'''(Νικηφόριον|니케포리온grc, 라틴어화: ''Nicephorium'')이라는 이름의 도시가 이곳에 세워졌는데, 건립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플리니우스는 박물지에서[3] 유리한 위치를 근거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세웠다고 보았고, 카락스의 이시도르 역시 파르티아 역정에서 알렉산드로스를 건립자로 언급했다.[4][5][6] 반면, 아피아노스[7] 니케포리온을 셀레우코스 왕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기원전 301–281년 재위)가 세운 정착지 중 하나로 기록했다.[6] 타키투스에 따르면 니케포리온은 안테무시아스와 같은 다른 도시들과 함께 마케도니아인들이 세운 그리스 이름의 도시였다.[8][6]

셀레우코스 1세의 후계자인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기원전 246–225년 재위)는 도시를 확장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칼리니코스'''(Καλλίνικος|칼리니코스el, 라틴어화: ''Callinicum'')로 개명했다. 기원전 1세기 중반, 크라수스가 카르해 전투를 위해 파르티아인을 상대로 원정을 준비할 때, 니케포리온(칼리니코스)은 그를 지원한 그리스 폴리스 중 하나였다.[6]

로마 시대에 칼리니코스는 로마 속주 오스로에네의 일부였으나 4세기에 쇠퇴했다. 비잔틴 제국 황제 레오 1세(재위 457–474년)가 466년에 도시를 재건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레온토폴리스'''(Λεοντόπολις|레온토폴리스el, "레오의 도시")라고 명명했지만, 여전히 ''칼리니코스''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었다. 이 도시는 비잔틴 제국과 사산 제국의 관계 및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조약에 따라 칼리니코스는 니시비스, 아르타샤타와 함께 두 제국 간의 몇 안 되는 공식적인 국경 무역 거점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

531년에는 도시 근처에서 로마군과 사산 제국군 사이에 칼리니쿰 전투가 벌어졌다. 사산 제국군은 이베리아 전쟁의 흐름을 바꾸기 위해 시리아를 침공했으나, 전투에서 승리했음에도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다. 542년, 사산 제국의 황제 호스로 1세(재위 531–579년)가 도시를 침공하여 요새를 파괴하고 주민들을 페르시아로 강제 이주시켰다. 하지만 이후 비잔틴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재위 527–565년)에 의해 재건되었다. 580년, 페르시아와의 또 다른 전쟁 중, 훗날 황제가 되는 마우리키우스크테시폰 원정 실패 후 철수하는 과정에서 도시 근처에서 페르시아군에게 승리를 거두었다.

6세기경 칼리니코스는 시리아 수도원 제도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특히 시가지 북쪽 언덕의 성 자카이 수도원(Deir Mār Zakkā)이 유명했다. 이곳에서는 509년모자이크 비문이 발견되어 수도원의 창설 시기를 짐작게 한다. 이슬람 통치 하에 들어가기 전, 칼리니코스는 이 지역의 중요한 도시 중심지였으며, 면적은 다마스쿠스보다 약간 작은 정도였다.[9]

2. 2. 이슬람 시대

역사적인 바그다드 문 잔해




639년 또는 640년, 이슬람 세력의 장군 이야드 이븐 가넘이 당시 기독교 도시였던 칼리니쿰을 정복했다. 이후 이 도시는 주변의 늪지대 환경 때문에 아랍어로 '늪'을 의미하는 '''알-라카'''(الرقة)로 불리게 되었다.[9] 항복 당시 기독교 주민들은 이븐 가넘과 조약을 맺어 기존 교회의 예배 자유는 허용되었으나 새로운 교회 건설은 금지되었다. 라카에는 중세까지 활발한 기독교 공동체가 유지되었으며(미카엘 시리아인은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20명의 시리아 정교회 주교를 기록했다[10]), 최소 4개의 수도원이 있었다. 유대인 공동체 또한 최소 12세기까지 존속했으며, 여행가 투델라의 벤자민이 방문하여 회당에 참석하기도 했다. 또한 우마이야 시대에는 작은 사비안 공동체도 존재했다.[11]

이븐 가넘의 후임 총독인 사'이드 이븐 아미르 이븐 히드얌은 라카 최초의 모스크를 건설했다. 이 모스크는 나중에 약 73m × 108m 크기로 확장되었고, 10세기 중반에는 사각형 벽돌 미나렛이 추가되었다. 이 모스크는 20세기 초까지 남아 있었으나 이후 사라졌다. 무함마드의 여러 동료들이 라카에 거주하기도 했다.

656년, 제1차 피트나 중 알리우마이야 칼리파국무아위야 사이의 결정적인 전투인 시핀 전투가 라카 서쪽 약 45km 지점에서 벌어졌다. 알리의 추종자였던 아마르 이븐 야시르와 우와이스 알-카라니 등의 무덤이 라카에 있어 순례지가 되었다. 한때 알리의 친필이 새겨진 기둥이 있었으나, 12세기에 알레포의 가우트 모스크로 옮겨졌다.

이슬람 정복 이후에도 기존의 무역로는 크게 방해받지 않았으며, 새로운 비잔틴 동전이 약 655-658년까지 라카로 계속 유입되었다.[12] 비잔틴 주화는 적어도 690년대까지 유통된 것으로 보인다.[12] 우마이야 칼리파국 통치 하에서 라카는 중요한 지역 중심지로 남았으며,[12] 왕조는 이 지역의 농업에 투자하여 관개 농지를 늘리고 경제적 번영의 기반을 마련했다.[12] 라카의 전략적 중요성은 우마이야 왕조 말기와 아바스 왕조 초기의 전쟁 동안 더욱 커졌다. 라카는 시리아와 이라크 사이의 교차로에 위치했으며, 다마스쿠스, 팔미라, 칼리파국의 임시 수도였던 레사파, 알-루하 등을 잇는 중요한 길목이었다.

771년(이슬람력 155년),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만수르는 제국의 방어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라카 서쪽 약 200m 지점에 '동반자'라는 뜻의 '''알-라피카'''(الرافقة)라는 새로운 주둔 도시 건설을 결정했다.[9][11] 이 도시는 비잔티움 제국과의 북서부 국경을 방어하기 위한 가장 크고 중요한 요새였으며,[9] 현재까지 유일하게 남아있는 아바스 왕조의 국경 요새 건축물이기도 하다.[9] 알-라피카는 약 2660m 길이의 거대한 성벽과 집회 모스크를 특징으로 하며, "일관되고 통합된 계획"에 따라 처음부터 건설된 초기 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9] 건설은 772년에 시작되어 칼리프의 아들 알-마흐디가 감독했으며, 메소포타미아 전역의 노동자들이 동원된 대규모 공사였다.[9] 알-타바리에 따르면 알-라피카의 계획은 수도 바그다드와 기본적으로 동일했지만, 실제로는 바그다드보다 약간 작고 더 견고하게 요새화되었으며, 원형 도시인 바그다드와 달리 남북으로 길쭉한 형태였다.[9] 건설은 적어도 774-775년까지 계속되었다.[9] 알-라피카 건설 초기, 라카 원주민들은 물가 상승을 우려하여 새로운 군사 정착지에 적대적이었다. 새로운 정착민들은 주로 호라산 출신 군인들이었다.[11] 785년, 기존 라카 시장이 두 도시의 수요를 감당하기에 작아지자, 총독 알리 이븐 술라이만은 시장을 두 도시 사이의 농지로 옮겼는데, 이는 이후 산업 및 상업 교외 지역인 알-무흐타리카(al-Muḥtariqa)의 시작으로 여겨진다.[11]

라카와 알-라피카는 하나의 도시 단지로 합쳐져 이전 우마이야 왕조의 수도였던 다마스쿠스보다 더 커졌다. 796년, 칼리프 하룬 알-라시드는 라카/알-라피카를 자신의 황실 거주지로 삼았다. 약 13년 동안 라카는 북아프리카에서 중앙 아시아에 이르는 아바스 제국의 수도 역할을 했지만, 주요 행정 기관은 바그다드에 남아 있었다. 궁전 지역은 두 도시 북쪽에 약 10km2의 면적을 차지했다. 하나피 학파 법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무함마드 아쉬-샤이바니는 라카의 수석 카디(판사)였다. 라카 궁정의 화려함은 아부 알-파라지 알-이스파하니의 《노래의 책》(''Kitāb al-Aghānī'')에 수록된 여러 시에 묘사되어 있다. 현재는 궁전 지역 외곽에 복원된 작은 건물인 소위 '동궁전'만이 아바스 건축의 흔적을 보여준다. 이 시기에 두 도시 사이에는 번성하는 산업 단지가 있었으며, 발굴을 통해 도자기유리 생산의 증거(가마 잔해 등)가 발견되었다.[13]

라카 서쪽 약 8km 지점에는 하룬 알-라시드 시대의 미완성 승리 기념물인 헤라클라가 있다. 이는 806년 소아시아의 비잔틴 도시 헤라클레아를 정복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고 여겨지나, 우주론적 사건과 연관 짓는 다른 이론도 있다. 지름 500m의 원형 담장 안의 사각형 건물 기단 형태로 남아있지만, 하룬 알-라시드가 호라산에서 갑자기 사망하면서 상부 건축은 완성되지 못했다. 하룬 알-라시드는 라카의 상수도 시설에도 투자하여 유프라테스강과 발리흐강을 따라 운하를 파고, 사루지 주변 지역의 물을 끌어와 가정용, 농업용, 궁전 정원용으로 사용했다.[17] 인구 유입은 식량, 물품, 서비스 수요를 증가시켜 경제를 활성화했고, 라카 주변 농촌 지역의 활동도 강화되었다.[17] 히스 마슬라마, 탈 마흐라, 알-자루드 같은 농촌 마을들이 번성했으며, 이 시기 주변 시골은 "광범위한 관개 시스템을 갖춘 제국의 가장 부유한 농업 지역 중 하나"였다.[17]

809년 궁정이 바그다드로 돌아간 후에도 라카는 아바스 제국 서부 지역의 수도 역할을 유지했다. '라카'라는 이름은 전체 도시 지역을 지칭하거나, 구체적으로는 옛 칼리니쿰 도시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 옛 도시는 '''알-라카 알-바이다'''(하얀 라카)로도 불렸다.[12] 아바스 시대 라카는 유리도자기 생산의 중요한 중심지였다.[11] 알-무카다시는 라카의 비누 제조 산업도 언급했는데, 이는 유리 산업과 마찬가지로 알칼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연관이 있었을 수 있다.[11] 유리 제조나 도자기 유약에 필요한 광물은 남쪽의 자발 비쉬르에서 조달했을 가능성이 있다.[11] 특히 9세기 전환기(약 800년경) 라카는 유리 제조 기술에 중요한 변화가 일어난 곳으로 추정된다. 기존의 광물 알칼리 대신 식물 재를 플럭스(융제)로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비용을 절감하고 칼륨 함량으로 융점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11] 일부 학자들은 이 기술 변화를 당시 유리 제조에 관심을 보였던 연금술사 자비르 이븐 하얀과 연관 짓기도 한다.[11]

라카 항구는 북부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의 식량과 상품이 바그다드 등지로 운송되기 전 집결하는 주요 중계 무역 항구였을 것이다.[17] 예를 들어, 북부 시리아산 올리브 오일이 라카에서 거래된 후 하류의 이라크와 걸프 지역으로 운송되었다는 기록이 있다.[17] 라카는 또한 조폐국을 보유했으며, 하룬 알-라시드 시대부터 이 지역의 중요한 조폐 도시였다.[12] 마지막 구리 동전은 892년에 주조되었지만, 금화와 은화는 적어도 934-935년까지 계속 주조되었다.[12]

2. 3. 중세 및 오스만 제국 시대

9세기 말, 이집트시리아에서 자립한 툴룬 왕조가 자지라 지역을 침공하면서 압바스 왕조와의 전투가 이어졌다. 또한 시아파 과격파인 카르마타파가 시리아에서 반란을 일으키는 등 전란이 계속되면서 라카의 번영은 끝을 맞이했다.[11] 아흐마드 이븐 알-타이이비 알-사라크시는 884-5년에 라카를 방문했을 때 이미 성벽 일부가 폐허가 되었다고 기록했다.[11]

940년대 하므단 왕조 치하에서 도시는 급격히 쇠퇴했다.[17] 아바스 왕조의 주둔지로서의 지위를 잃으면서 군인들의 부재로 상품 수요가 감소하는 등 경제적 타격을 입었다.[17] 이 시기 라카는 하란에 지역 중심지 자리를 내주게 된다.[17]

10세기 말부터 12세기 초까지 라카는 베두인 계열 왕조들의 지배를 받았다. 바누 누마이르와 바누 우카일 등이 이 지역을 통치했으며, 이들은 주로 유목 생활을 유지하며 도시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15] 이들은 도시 외곽의 유목민 캠프에 거주하며 도시 행정은 ''굴람''(군사 노예) 총독에게 맡겼다.[15] 이 시기에는 정착 농업이 위축되고 무역로는 베두인들의 습격으로 위협받았다.[15] 11세기 중반에는 누마이르 왕조와 알레포의 미르다시 왕조 사이에 라카를 둘러싼 분쟁이 있었다.[15] 누마이르의 아미르 마니가 잠시 라카를 통치하며 파티마 왕조와 연대하고 도시 재건을 시도하기도 했으나,[15]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1062년) 이후 누마이르 왕조는 쇠퇴했다.[15]

12세기 중반 장기 왕조와 13세기 전반 아이유브 왕조 시대에 라카는 농업과 산업 생산을 기반으로 두 번째 번영기를 맞이했다. 이 시기에 제작된 청색 유약을 칠한 도자기인 '락까 웨어'(Raqqa ware)는 유명하며, 이슬람 도예의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였다. 현재 남아있는 '''바브 바그다드'''(바그다드 문)와
카스르 알 바나트
'''카스르 알-바나트'''(Qasr al-Banāt, 숙녀의 성)는 당시 라카의 번영을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건축물이다. 장기 왕조의 이마드 앗딘 장기는 처음 라카에 묻혔으나 그의 무덤은 후에 파괴되었다.

1260년대 레반트 지역에 대한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도시는 철저히 파괴되었고, 1288년에는 마지막 남은 주민들마저 살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 파괴 이후 라카는 수 세기 동안 폐허로 남았으며, 인근의 레사파(세르지오폴리스)나 하란과 같은 고대 도시들도 비슷한 운명을 맞았다.

16세기오스만 제국유프라테스강 연안의 라카에 세관을 설치하면서 다시 역사에 등장했다. 1586년 라카를 중심으로 한 에얄레트(주)가 설치되었으나, 주의 실제 중심지는 라카에서 북쪽으로 약 160km 떨어진 알-루하(현재의 샨리우르파)였다. 17세기 오스만 여행가 에블리야 첼레비는 폐허 근처에 아랍인과 투르크멘 유목민들의 텐트만 있다고 기록했다.[18] 1683년 요새가 일부 복원되고 예니체리 부대가 주둔했으며, 이후 라카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부족 정착 정책(''이스칸'')의 중심지가 되었다.[18] 1800년에서 1803년 사이에는 쿠르드 밀리 부족의 지도자 밀리 티무르 파샤가 이 지역을 통치하기도 했다.[19]

1864년 오스만 제국이 옛 압바스 왕조 시절 구역 남동쪽에 예니체리 수비대(카라쿨)를 설치하면서 현대 도시 라카가 재건되기 시작했다.[20] 처음에는 군사 전초 기지로 시작되었고, 이후 북캅카스에서 러시아 제국을 피해 온 체첸인 무슬림 난민들과 베두인 출신 유목민들이 정착했다. 초기 정착민들은 주변 아랍 부족들로부터 거주 권리를 사들여 ''굴''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크게 두 개의 동맹(밀란 동맹과 아샤린 동맹)을 형성했다.[20] 밀란 부족 계열의 쿠르드족과 둘라임 부족의 아랍인, 그리고 투르크멘 등은 주로 샨리우르파에서 북동쪽으로 20km 떨어진 ''나히드 알-질라브''라는 지역에서 이주해 왔으며 수비대 서쪽 지역에 자리 잡았다.[20][21] 알-아샤라 마을에서 온 알-부 바드란과 마왈리 부족 등 아랍 부족들은 동쪽 지역에 자리 잡았다.[20]
라까 박물관 (시리아 내전 이전)
현재 라까 박물관으로 사용되는 건물은 1861년에 오스만 정부 청사로 지어졌다.[22]

2. 4. 시리아 독립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 지역이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가 되면서 행정부 건물이 세워졌으며, 이 건물은 현재 라카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20] 1946년 시리아가 독립한 후, 1950년대에는 한국 전쟁으로 인한 세계적인 면화 호황 덕분에 라카의 농업은 큰 성장을 이루었고, 유프라테스강 중류 유역의 재경작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면화는 이후 라카 지방의 주요 농산물로 자리 잡았다.

라카 시가지 (2009년)


그러나 이러한 도시의 성장은 과거의 고고학적 유물이 파괴되거나 사라지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아바스 왕조 시대의 궁전 지역은 현재 대부분 주택가로 덮여 있으며, 고대 알라까(오늘날의 미슐라브 지구 Mishlab)와 아바스 왕조의 산업 지구(오늘날의 알묵탈타 지구 al-Mukhtalţa) 역시 주택화되어 고고학적 발굴은 일부 지역에서만 이루어졌다. 12세기에 지어진 성채는 1950년대에 철거되어 현재는 시계탑이 있는 광장(Dawwār as-Sā'a)이 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야 궁전 지구에 대한 긴급 발굴과 함께 아바스 왕조 시대의 성벽, 바브 바그다드(바그다드 문), 압바스 왕조 모스크, 카스르 알바나트 등의 주요 기념물 보존 작업이 시작되었다.

시리아 독립 이후 라카는 다른 주요 도시들과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어 중동 전쟁이나 이스라엘과의 분쟁 등 외부적 충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하지만 2011년 발발한 시리아 내전은 라카의 상황을 급변시켰다.

락까 시 지도


2013년 3월, 시리아 내전자유 시리아군, 아흐라르 알샴, 알누스라 전선 등 여러 반군 단체[26]는 2013년 락까 전투에서 정부군을 몰아내고 도시를 장악했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중앙 광장을 점령하고 시리아의 전 대통령 하페즈 알 아사드의 동상을 철거했다.[23] 이로써 락까는 시리아 반군에게 함락된 최초의 주도가 되었다. 알 카에다와 연계된 알누스라 전선은 스포츠 센터에 샤리아 법정을 설치했으며,[24] 2013년 6월 초에는 IS가 락까 본부에서 민원을 접수하겠다고 발표하며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25] 내전으로 인해 알레포, 홈스, 이드리브 등 다른 지역에서 많은 피난민이 락까로 몰려들면서, 일부 사람들은 락까를 '혁명의 호텔'이라고 부르기도 했다.[26]

아사드 정권과 반정부 세력이 홈스알레포 등 다른 지역에서의 전투에 집중하는 사이, 락까에서는 권력 공백 상태가 발생했다. 이 틈을 타 IS는 세력을 급격히 확장하여 2014년 1월, 락까를 포함한 지역 일대에 소위 '이슬람 국가' 수립을 선언하고 락까를 수도로 삼았다. 같은 해 8월 말, IS는 아사드 정권의 라카주 내 마지막 거점이었던 타브카 공군 기지마저 점령하며 락까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확립했다. 이후 락까는 IS의 주요 거점이 되었고, 이 때문에 러시아군과 프랑스군을 중심으로 한 국제 동맹군의 격렬한 공습 대상이 되었다.

파괴된 라카 (2017년 8월)


2017년에 들어 미군의 지원을 받는 시리아 민주군(SDF)이 락까 탈환을 위한 공세를 본격화했다.[83] 4월, IS는 수도를 마야딘으로 옮긴다고 발표했으며, 6월 29일 시리아 민주군은 IS의 마지막 퇴로를 차단하고 락까를 완전히 포위했다고 발표했다.[84] 9월 1일, 시리아 민주군 대변인은 IS가 요새화하여 격렬하게 저항하던 락까 구시가지를 해방했다고 발표했다.[85][86][87] 9월 20일, 영국에 본부를 둔 NGO인 시리아 인권 관측소는 시리아 민주군이 락까의 90%를 장악했다고 발표했으며,[88] 마침내 2017년 10월 17일, 시리아 민주군은 락까를 IS로부터 완전히 해방했다고 선언하고 군사 작전 종료를 발표했다.[89][90]

2. 5. IS 통치와 해방

2011년 시작된 시리아 내전의 혼란 속에서 락까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아사드 정권과 반정부 세력이 다른 지역 전투에 집중하는 동안, 락까에서는 권력 공백이 발생했다. 2013년 3월, 자유 시리아군, 아흐라르 알샴, 알카에다와 연계된 알누스라 전선 등 여러 반군 단체들이 2013년 락까 전투를 통해 정부군을 몰아내고 도시를 장악했다. 이들은 하페즈 알 아사드 전 대통령의 동상을 철거하며 승리를 자축했고,[23] 락까는 시리아 반군에게 함락된 최초의 주도가 되었다. 알누스라 전선은 스포츠 센터에 샤리아 법정을 설치했으며,[24] 2013년 6월에는 ISIL이 락까에 본부를 마련하고 활동을 시작했다.[25]

결국 ISIL은 2014년 1월 13일까지 락까를 완전히 장악했고,[27] 같은 해 8월 말에는 아사드 정권의 마지막 거점이었던 타브카 공군 기지마저 점령하며 도시 전체를 수중에 넣었다. ISIL은 락까를 자신들의 수도로 선포하고 주요 거점으로 삼았다. ISIL 통치 하에서 락까는 극심한 폭력과 억압에 시달렸다. ISIL은 알라위파 신자나 아사드 정권 지지자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처형했으며,[29] 시아파 사원과 기독교 교회를 무참히 파괴했다.[29][30][31] 특히 유서 깊은 아르메니아 가톨릭 순교자 교회는 파괴된 후 ISIL 경찰 본부와 신병 모집을 위한 이슬람 센터로 개조되는 수모를 겪었다.[31] 내전 발발 전 도시 인구의 약 10%를 차지했던 기독교 공동체는 대부분 도시를 떠나야만 했다.[32][33][34]

ISIL의 잔혹한 통치에 맞서 국제 사회와 시리아 내 세력들의 반격이 시작되었다. 2015년 11월, 프랑스2015년 11월 파리 테러에 대한 보복으로 락까의 ISIL 시설에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다.[35] 2016년 10월에는 미국 국방장관 애슈턴 카터가 락까 탈환 작전이 임박했음을 공식 발표했다.[37]

본격적인 해방 작전은 미군의 지원을 받는 시리아 민주군(SDF)이 주도했다. 2017년 4월, SDF의 공세가 거세지자 ISIL은 수도를 마야딘으로 옮긴다고 발표했다. 2017년 6월 6일, SDF는 락까 해방을 위한 대규모 전투를 개시했으며, 같은 달 29일에는 도시를 완전히 포위하는 데 성공했다.[84] ISIL은 특히 락까 구시가지를 요새화하고 격렬하게 저항했으나,[87] SDF는 9월 1일 구시가지 해방을 선언했다.[85][86] 9월 20일경에는 도시의 90%가 SDF의 통제 하에 들어갔으며,[88] 마침내 2017년 10월 17일, SDF는 락까 완전 해방을 선언하고 군사 작전 종료를 발표했다.[90][89]

그러나 해방의 대가는 컸다. 미국 주도 연합군의 공습과 치열한 시가전으로 인해 도시의 대부분, 특히 민간 기반 시설이 심각하게 파괴되었다.[38][39][40] 약 27만 명의 주민들이 고향을 떠나 난민이 된 것으로 추산된다.[41] 시리아 정부는 2017년 10월 말, 미국의 해방 주장은 도시 파괴라는 범죄를 은폐하기 위한 거짓말이며, 락까는 여전히 점령된 상태이고 시리아 정부군이 진입해야만 진정한 해방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42]

2. 6. SDF 통치 이후

시리아 민주군(SDF)의 통치 아래 락까는 재건 과정을 밟고 있다. 2019년 6월까지 약 30만 명의 주민이 도시로 돌아왔으며, 이 중 9만 명은 국내실향민(IDP)이었다. 도시의 많은 상점들도 다시 문을 열었다.[43]

RISF이 검문소에서 차량을 검사하고 있다, 2018년 8월 18일


글로벌 연합과 라카 민사 위원회의 노력으로 여러 공립 병원과 학교가 다시 문을 열었다.[44][45] 또한 경기장, 라카 박물관, 모스크, 공원과 같은 공공 건물이 복원되었고,[46][47][48] 청소년을 위한 반극단주의 교육 센터가 설립되었다.[49] 도로, 로터리, 교량의 재건 및 복원, 태양광 가로등 설치, 수도 시설 복원, 지뢰 제거, 대중교통 재개, 잔해 제거 등 사회 기반 시설 복구 작업도 진행되었다.[50][51][52][53][54][55]

그러나 재건 과정에는 여러 어려움이 남아있다. 글로벌 연합의 자금 지원은 제한적이며, 연합은 제네바 프로세스를 통한 평화 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대규모 지원을 보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56] 이로 인해 주거용 건물과 상업용 건물의 재건은 대부분 민간의 노력에 의존하고 있다.[56] 도시 곳곳에 남은 잔해, 불안정한 전기 공급 및 일부 지역의 수도 접근성 문제, 기본적인 서비스가 부족한 학교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56] 무엇보다 ISIL의 슬리퍼 셀과 IED의 위협이 지속되고 있다.[56] 2018년 여름에는 SDF에 반대하는 산발적인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57][58][59][60]

SDF는 ISIL 잔존 세력 소탕에도 힘쓰고 있다. 2019년 2월 7일, SDF 미디어 센터는 도시 내에서 활동하던 ISIL 슬리퍼 셀 요원 63명을 24시간 작전 끝에 체포했다고 발표했다.[61] 같은 해 2월 중순에는 Al-Fukheikha 농업 교외 지역에서 약 3,500구의 시신이 묻힌 집단 매장지가 발견되었다. 이는 ISIL 통치 하에 처형된 희생자들의 것으로 추정되며, ISIL의 잔혹성을 보여주는 증거이다.[62]

국제기구들도 재건을 지원하고 있다. 2019년에는 라카 민사 위원회와 협력하여 "쉘터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파괴된 건물의 주민들에게 재건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63] 주요 기반 시설 복구도 진척을 보여, 2019년 4월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군이 건설했던 유프라테스 강의 구 라카 교량이 복구되었고,[64] 5월에는 라카 국립 병원이 재활 공사를 마치고 다시 문을 열었다.[65]

한편, 2019년 튀르키예의 시리아 북동부 공세 이후 SDF는 시리아 아랍군에게 라카를 포함한 SDF 통치 지역으로 진입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는 튀르키예군이 시리아 북부 영토를 추가로 점령하는 것을 막기 위한 협상의 일환이었다.[66][67]

3. 기후

락까는 건조하고 열대 사막 기후를 나타낸다.

락까의 기후 자료[91][92]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합계
역대 최고 기온 (°C)18°C22°C26°C33°C41°C42°C43°C47°C41°C35°C30°C21°C47°C
평균 최고 기온 (°C)12°C14°C18°C24°C31°C36°C39°C38°C33°C29°C21°C16°C26°C
평균 최저 기온 (°C)2°C3°C5°C11°C15°C18°C21°C21°C16°C12°C7°C4°C11°C
역대 최저 기온 (°C)-7°C-7°C-2°C2°C8°C12°C17°C13°C10°C2°C-2°C-5°C-7°C
강수량 (mm)22mm18.2mm24.3mm10.2mm4.5mm0mm0mm0mm0.1mm3.1mm12.4mm13.6mm108.4mm
평균 강수일수765520000.123636.1
평균 상대 습도 (%)76726053453438414449607354


4. 문화

락까는 역사적으로 큰 규모의 시아파 공동체가 있었던 곳은 아니다.[16] 하지만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이란 방문객들이 이라크나자프카르발라 같은 주요 시아파 성지를 방문하기 어려워지자, 터키를 거쳐 락까를 찾는 시아파 순례자들이 늘면서 그 중요성이 커졌다.[16] 이곳의 주요 명소는 시핀 전투에서 사망한 무함마드의 동료인 아마르 이븐 야시르와 우와이스 알-카라니의 무덤이다.[16] 1988년부터 2005년까지 이란의 지원으로 진행된 프로젝트를 통해 기존 무덤 자리에 두 개의 새로운 모스크가 건설되었고, 이는 시리아에서 가장 큰 시아파 영묘가 되었다.[16] 그러나 우와이스 모스크는 2014년 5월, 이슬람 국가(IS)에 의해 "이교도 이란 사당"이라는 이유로 폭파되는 비극을 겪었다.[76]

우와이스 알-카라니는 락까에서 매우 중요한 종교적 인물로, 도시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16] 도시 동쪽의 바브 바그다드와 시핀 묘지 사이에는 오랫동안 그에게 헌정된 큰 뽕나무가 있었는데, 이 나무는 우와이스의 보호를 받는 성스러운 장소로 간주되었다.[16] 1940년대까지만 해도 반유목민 가족들은 발리크 계곡으로 가축을 데리고 여름 이주를 떠나기 전, 이 나무 아래에 개인 물품을 맡겨두었다가 4개월 후에 돌아와 찾아가곤 했다.[16] 락까의 노인들에 따르면, 성인을 노하게 할까 두려워 아무도 다른 사람의 물건에 손대지 못했다고 한다.[16]

또한 우와이스는 락까 주민들에게 중재자로 여겨졌는데, 특히 해결되지 않은 도난 사건이나 귀중품 분실 시 그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믿었다.[16] 이런 경우 "우와이스 컵"이라 불리는 큰 구리 컵을 이용한 의식이 행해졌다. 녹색 천으로 덮인 이 컵은 피해 가족이 선정한 공공 고지자(''달랄'')가 들고 락까의 모든 거리를 행진했다.[16] 고지자는 행진하며 도난당하거나 잃어버린 물건에 대해 아는 사람은 "우와이스 컵에 의해 그것을 알리거나 돌려주도록 소환되었다"고 외쳤다.[16] 이 행렬이 진행되는 동안 도시 전체는 신성한 공간으로 여겨졌다.[16]

5. 미디어

이슬람 국가(IS)는 락까 점령 이후 자체 선전 활동 외의 모든 언론 보도를 엄격히 금지했으며, 이에 저항하는 기자들을 납치하고 살해하는 등 언론을 탄압했다.[77]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락까는 침묵 속에 학살당하고 있다(Raqqa Is Being Slaughtered Silently, RBSS)라는 이름의 시민 기자 그룹은 도시 안팎에서 비밀리에 활동하며 IS의 통치 하의 실상과 만행을 외부 세계에 알리기 위해 노력했다.[77] IS는 RBSS의 활동을 인지하고 조직원들을 색출하여 살해하는 등 보복을 가했다.[78]

RBSS의 용기 있는 활동은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으며, 이들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고스트 시티(Ghost City)가 제작되어 2017년에 국제적으로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2017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어 호평을 받으며 수상하기도 했다.

한편, 2016년 1월에는 소피 카시키(Sophie Kasiki)라는 필명을 사용하는 프랑스 작가가 IS에 속아 락까로 이주했다가 탈출한 경험을 담은 책을 출판하여 IS 치하 락까의 현실을 알리기도 했다.[79][80]

6. 교통

시리아 내전 이전에는 시리아 철도를 통해 운송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aqqa Population https://worldpopulat[...] 2023-03-19
[2] 웹사이트 2004 Census Data for ''ar-Raqqah nahiyah'' https://web.archive.[...] Syrian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15-10-15
[3] 문서 Natural History
[4] 문서 Parthian Stations
[5] 웹사이트 Périple de Marcien d'Héraclée, Épitome d'Artemidore, Isidore de Charax, etc., ou, Supplément aux dernières éditions des Petits géographes: d'après un manuscrit grec de la Bibliothèque Royale, avec une carte https://books.google[...] A L'Imprimerie Royale 1839-09-15
[6] 서적 The Hellenistic settlements in the East from Armenia and Mesopotamia to Bactria and Ind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3
[7] 문서 Syr. 57
[8] 문서 Ann 6.41
[9] 서적 Patterns of Stylistic Changes in Islamic Architecture: Local Traditions versus Migrating Artists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22-03-11
[10] 웹사이트 Revue de l'Orient chrétien http://catholicapedi[...] 1901
[11] 간행물 The History of the Industrial and Commercial Area of 'Abbāsid Al-Raqqa, Called Al-Raqqa Al-Muḥtariqa https://www.jstor.or[...] 2006
[12] 간행물 Settlement Patterns, Economic Development and Archaeological Coin Finds in Bilad al-Sham: the Case of the Diyar Mudar -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the 6th to the 10th Century A.D. https://www.aai.uni-[...] 2009
[13] 간행물 none
[14] 웹사이트 Ewer, late 12th–first half 13th century https://www.metmuseu[...]
[15] 간행물 Numayrid ar-Raqqa: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Evidence for a 'Dimorphic State' in the Bedouin Dominated Fringes of the Fatimid Empire https://www.academia[...] 2005
[16] 서적 Demystifying Syria Saqi Books 2009
[17] 서적 Le Proche-Orient de Justinien aux Abbasides: Peuplement et Dynamiques Spatiales https://www.academia[...] Brepols Publishers 2011
[18] 간행물 The Province of Raqqa under Ottoman Rule, 1535–1800 2009
[19] 간행물 The Other Nahdah: The Bedirxans, the Millîs, and the Tribal Roots of Kurdish Nationalism in Syria 2006
[20] 서적 Raqqa, territoires et pratiques sociales d'une ville syrienne http://books.openedi[...] Presses de l’Ifpo 2018-03-12
[21] 뉴스 لمحة عن تاريخ الرقة {{!}} موسوعة جياي كورمنج ™ https://ciyaye-kurme[...] 2018-07-04
[22] 뉴스 The Museum Of Raqqa Struggles To Recover Following ISIS Looting https://alshahidwitn[...] 2019-07-07
[23] 뉴스 Syria rebels capture northern Raqqa city https://www.aljazeer[...] 2019-09-15
[24] 뉴스 Under the black flag of al-Qaeda, the Syrian city ruled by gangs of extremists https://www.telegrap[...] 2013-06-03
[25] 뉴스 Al-Qaeda sets up complaints department https://www.telegrap[...] 2013-06-03
[26] 뉴스 Telling the Truth About ISIS and Raqqa http://www.newyorker[...] 2015-12-30
[27] 뉴스 Syria, anti-Assad rebel infighting leaves 700 dead, including civilians http://www.asianews.[...] AsiaNews 2014-01-13
[28] 뉴스 As jihadist rebels burn two Catholic churches in al-Raqqah, Assad's enemies openly split http://www.asianews.[...] Asia News 2013-09-27
[29] 뉴스 Inside ISIS: 2 women go undercover in Raqqa http://www.foreignde[...] 2017-05-30
[30] 뉴스 Life in a Jihadist Capital: Order With a Darker Side https://www.nytimes.[...] 2017-05-30
[31] 웹사이트 Armenian Catholic Church of the Martyrs | WORLD News Group http://www.worldmag.[...] 2015-08-15
[32] 뉴스 The Mysterious Fall of Raqqa, Syria's Kandahar http://english.al-ak[...] Al-Akhbar 2013-11-14
[33] 뉴스 Syrian activists flee abuse in al-Qaeda-run Raqqa https://www.bbc.co.u[...] 2013-11-14
[34] 뉴스 Islamic State torches churches in Al-Raqqa https://web.archive.[...] Syria Newsdesk 2013-11-14
[35] 뉴스 France Drops 20 Bombs on IS Stronghold Raqqa http://news.sky.com/[...] Sky News 2015-11-16
[36] 웹사이트 Civilians rise up against ISIS rule in Raqqa City: government https://www.almasdar[...] 2016-03-07
[37] 뉴스 Raqqa Offensive Against ISIS to Begin Within Weeks: Ash Carter http://www.nbcnews.c[...] 2016-10-26
[38] 간행물 The Islamic State Is Gone. But Raqqa Lies in Pieces https://time.com/syr[...] Time 2017-10-01
[39] 뉴스 Raqqa: US coalition 'wiped city off Earth', Russia says https://www.bbc.com/[...] 2017-10-22
[40] 뉴스 Raqqa: IS 'capital' falls to US-backed Syrian forces https://www.bbc.co.u[...] 2018-06-21
[41] 뉴스 Raqqa: Isis 'capital' liberated by US-backed forces - but civilians face months of hardship with city left devastated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7-10-17
[42] 뉴스 Foreign Ministry: Raqqa still occupied, can only be considered liberated when Syrian Army enters it http://sana.sy/en/?p[...] Syrian Arab News Agency 2017-10-29
[43] 뉴스 Ar-Raqqa Governorate Panoramic Report - December 2019 https://reliefweb.in[...] Assistance Coordination Unit 2020-03-10
[44] 웹사이트 Hospital In Raqqa Treats Women And Children Free Of Charge https://alshahidwitn[...] 2018-10-20
[45] 웹사이트 The First Functioning Hospital Opens In Raqqa After ISIS https://alshahidwitn[...] 2018-10-20
[46] 웹사이트 Raqqa Civil Council Rehabilitates Schools For The New Academic Year https://alshahidwitn[...] 2018-10-20
[47] 웹사이트 Newly Rebuilt Hospital In Raqqa Is Now Welcoming Patients https://alshahidwitn[...] 2018-10-20
[48] 웹사이트 Civil Society In Raqqa, Syria, Tackles Extremism Among Youth https://alshahidwitn[...] 2018-10-20
[49] 웹사이트 Raqqa Municipality Begins Rebuilding Roads In The City https://alshahidwitn[...] 2018-10-20
[50] 웹사이트 Local Authorities Rebuild Raqqa Bridge After ISIS Destruction https://alshahidwitn[...] 2018-10-20
[51] 웹사이트 Water crisis blights the lives of residents in Raqqa https://alshahidwitn[...] 2018-10-20
[52] 웹사이트 Irrigation Canals In Raqqa Provide Water To 10,000 Hectares Of Land https://alshahidwitn[...] 2018-10-20
[53] 웹사이트 Raqqa Stadium: From ISIS Prison To Centre Of Sports In The City https://alshahidwitn[...] 2018-10-20
[54] 웹사이트 Rehabilitation of amusement park in Raqqa https://sdf-press.co[...] 2018-10-20
[55] 웹사이트 Progress in The City Of Raqqa, One Year On From ISIS https://alshahidwitn[...] 2018-10-28
[56] 뉴스 Syria Crisis: Northeast Syria Situation Report No. 30 (1 November - 14 December 2018) https://reliefweb.in[...] UN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2019-03-15
[57] 뉴스 100,000 Return to Raqqa as UN Aid Reaches Syrian City https://aawsat.com/e[...] Asharq Al-Awsat 2018-10-20
[58] 웹사이트 One year after ISIS 'defeat', Syria's Raqqa still in fear http://www.rudaw.net[...] 2018-10-20
[59] 뉴스 U.S.-backed forces announce three-day curfew in Raqqa city https://www.reuters.[...] 2019-09-15
[60] 웹사이트 Despite ISIS' Destructive Legacy, Raqqa Experiences Peace Post-Liberation https://alshahidwitn[...] 2018-10-28
[61] 웹사이트 Over 60 ISIS operatives captured in Raqqa city https://www.almasdar[...] 2019-02-08
[62] 뉴스 Largest ISIS mass grave yet found outside Syria's Raqqa. 22 February 2019. Retrieved 26 February 2019 https://www.straitst[...] 2019-02-26
[63] 웹사이트 International Organisations Rebuild Houses In Raqqa As Part Of 'Shelter Project' https://alshahidwitn[...] 2019-05-08
[64] 웹사이트 Syria: 200,000 People Are Using The Newly Rebuilt Raqqa Bridge https://alshahidwitn[...] 2019-05-08
[65] 웹사이트 Weteni Hospital of Raqqa goes into service https://anfenglish.c[...] 2019-09-15
[66] 뉴스 Kurdish-Syrian Pact Scrambles Mideast Alliances https://www.wsj.com/[...] 2019-10-14
[67] 뉴스 New map of northern Syria after Turkish offensive and SDF-SAA agreement https://www.almasdar[...] 2019-10-30
[68] 웹사이트 Letter XL. http://www.ccel.org/[...]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2014-08-25
[69] 서적 A.D. Lee, ''From Rome to Byzantium AD 363 to 56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1-01
[70] 서적 Series episcoporum Ecclesiae Catholicae http://www.wbc.pozna[...] Pius Bonifacius Gams 1931-01-01
[71] 서적 Oriens christianus in quatuor Patriarchatus digestus https://books.google[...] 1740
[72] 간행물 p. 94 https://archive.org/[...] Échos d'Orient 1907
[73]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3
[74] 웹사이트 Titular See of Callinicum http://www.gcatholic[...] 2017-02-08
[75] 웹사이트 GCatholic http://www.gcatholic[...]
[76] 뉴스 Islamists bomb Shi'ite shrine in eastern Syria: activists https://www.reuters.[...] Reuters 2016-09-19
[77] 뉴스 Airstrikes have become routine for people in Raqqa, says activis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12-02
[78] 뉴스 Anti-Islamic State journalist murdered in Turkey https://www.bbc.co.u[...] BBC 2015-12-28
[79] 뉴스 I went to join Isis in Syria, taking my four-year-old. It was a journey into hell https://www.theguard[...] 2016-01-09
[80] 뉴스 Les femmes djihadistes étrangères se comportent comme des colons en Syrie http://www.franceint[...] 2016-01-08
[81] 웹사이트 Climate statistics for Ar-Raqqah http://www.worldweat[...] World Weather Online 2014-09-16
[82] 웹사이트 Averages for Ar-Raqqah http://www.weatherba[...] Weather Base 2014-09-16
[83] 뉴스 米支援の武装組織、初夏にIS「首都」へ最終攻勢へ https://www.afpbb.co[...] AFP 2017-05-12
[84] 뉴스 「イスラム国」の「首都」ラッカを完全に包囲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7-06-30
[85] 뉴스 クルド勢力、イスラム国「首都」ラッカの旧市街奪還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9-02
[86] 뉴스 北部ラッカ旧市街制圧=IS「首都」掃討戦-シリア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17-09-02
[87] 뉴스 シリア民主軍「ラッカ旧市街を奪還」 https://news.ntv.co.[...] 日本テレビ 2017-09-02
[88] 뉴스 米支援のシリア民主軍、ISの「首都」ラッカの9割制圧 監視団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17-09-20
[89] 뉴스 シリア民主軍、ISの「首都」ラッカを「完全制圧」と発表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 2017-10-17
[90] 뉴스 IS수도 락까 함락…동맹군 '해방' 선언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7-10-18
[91] 웹인용 Climate statistics for Ar-Raqqah http://www.worldweat[...] World Weather Online 2014-09-16
[92] 웹인용 Averages for Ar-Raqqah http://www.weatherba[...] Weather Base 2014-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