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방법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법론은 방법, 연구 분야, 철학적 논의 등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방법론은 연구 프로젝트 수행 방식을 결정하는 연구 전략을 의미하며, 과학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이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혼합 연구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과학적 방법, 설문 조사, 면접 등 분야별로 다양한 방법론이 사용된다. 방법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효율적인 연구 수행과 지식 검증에 중요하지만, 지나친 집착은 창의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법론 - 궤변
    궤변은 발언자가 유리한 결론을 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잘못된 논리를 전개하는 것으로, 소피스트로부터 발전하여 정치, 설득 등에 이용되었으며, 다양한 논리적 오류를 포함하고 비판적 사고 능력 향상에 기여한다.
  • 방법론 - 진리와 방법
    한스-게오르크 가다머의 대표작인 진리와 방법은 철학적 해석학의 개념을 설명하고, 진리와 방법의 대립을 통해 과학적 방법론의 한계를 지적하며, 인간 의식의 역사적, 문화적 뿌리와 텍스트 해석의 지평 융합을 강조하는 책이다.
  • 인식론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인식론 - 마르크스-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레닌과 후계자들이 재해석하고 발전시킨 이념으로, 생산수단의 공동소유와 계급투쟁을 중시하며 공산당 주도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평등 사회를 목표로 했으나, 권위주의 통치, 냉전, 소련 붕괴 등으로 영향력이 감소했고 현재 일부 국가에서만 권력을 유지하며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방법론
방법론
학문 분야메타 방법론
관련 학문인식론
과학 철학
연구
연구 방법
유형질적 연구
양적 연구
혼합 방법 연구
관련 개념데이터
표본
변수
타당성
신뢰도
기타
관련 용어방법
이론
모델
패러다임
주의 사항방법론은 특정 연구 분야나 접근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음

2. 정의

"방법론"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의미와 관련되어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될 때는 방법, 방법을 연구하는 탐구 분야 또는 이러한 과정에 관련된 배경 가설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지칭한다.[1][2][3] 일부 연구자들은 방법을 데이터 수집의 방식으로, 방법론은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더 일반적인 연구 전략으로 간주하여 방법과 방법론을 구별한다.[1][31] 이러한 의미에서 방법론은 조사의 의도된 결과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약속을 포함한다.[4]

많은 과학은 고유한 방법으로 구성되며, 해당 과학은 해당 방법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방법론"에 의해 기초가 다져진다. 예를 들어, 사회학은 "방법론"으로 사례 연구, 조사 연구, 통계 분석, 기타 모델 빌딩을 포함하는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을 다양하게 활용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프로젝트 관리 등에서 "방법론"이라는 용어는 일련의 체계화된 방법을 의미한다. 여기서의 "방법론"은 단순히 "방법"이지만, 널리 "방법론"이라고 불린다. 또한, 이 의미에서의 "방법론"에 대한 논의도 통틀어 "방법론"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의미에서의 "방법론"에는 때로는 훈련 자료, 정식 교육 프로그램, 워크시트, 다이어그램 작성 도구가 포함된다.

2. 1. 방법 (Method)

방법은 미리 정의된 목표에 도달하는 방식이다.[18][5][58] 이는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되고 구조화된 절차이며, 일반적으로 반복 가능한 일련의 지침으로 표현될 수 있다. 방법의 단계를 따르는 목표는 방법이 약속한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술 통계는 데이터 분석의 방법이고,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은 유기물체의 연대를 결정하는 방법이며, 볶음은 요리 방법이고, 프로젝트 기반 학습교육 방법이다.[5]

탐구의 맥락에서 방법은 자연, 사회, 사고의 규칙성과 규칙을 발견하기 위한 규칙 및 절차 시스템으로 정의될 수 있다.[18][5] 이러한 의미에서 방법론은 새로운 지식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차 또는 기존 지식 주장을 검증하고 반증하는 기술을 지칭할 수 있다.[19] 여기에는 데이터 수집 및 분석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가 포함된다. 수집과 관련하여 표본 추출 문제와 설문 조사, 인터뷰 또는 관찰과 같은 데이터 수집 자체의 방법에 관한 문제가 포함된다. 또한 통계 또는 기타 방식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흥미로운 결론을 도출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54]

공정 시스템 공학 분야에서 Viknesh Andiappan과 Yoke Kin Wan은 "방법론"이라는 용어를 "접근법", "방법", "절차", "기술"과 구별한다.[20] 그들은 "접근법"을 가장 일반적인 용어로 보며, "일련의 가정을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또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방법론은 접근법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일반적인 전략이며, 선택을 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방법은 접근법을 실제로 구현하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이며, 방법론은 연구자가 어떤 방법을 따라야 할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침을 제공한다. 방법 자체는 일련의 기술로 이해될 수 있으며, 기술은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는 단계이다. 전체 단계 시퀀스는 "절차"라고 한다.[20][21]

방법론의 정의와 관련된 한 가지 질문은 방법론을 기술적인 학문으로 이해해야 하는지, 아니면 규범적 학문으로 이해해야 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많은 방법론 학자들은 규범적인 의미에서 자신의 기술을 적용하는데, 이는 서로 다른 방법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명확한 의견을 표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방법론은 연구자가 실제로 "하는 일"뿐만 아니라 연구자가 "해야 하는 일" 또는 "좋은"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53][58]

많은 과학은 고유한 방법으로 구성되며, 해당 과학은 해당 방법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방법론"에 의해 기초가 다져진다. 예를 들어, 사회학은 "방법론"으로 사례 연구, 조사 연구, 통계 분석, 기타 모델 빌딩을 포함하는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을 다양하게 활용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프로젝트 관리 등에서 "방법론"이라는 용어는 일련의 체계화된 방법을 의미한다.

2. 2. 방법론 (Methodology) 연구

방법론은 방법에 대한 연구, 분석, 설명을 의미한다.[1][5][2][8] 방법론은 특정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는 방법, 규칙, 공리를 분석하고,[6][7] 연구 설계 및 가설 검증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다.[6][7] 또한 데이터 수집, 측정 전략, 데이터 분석 방법 등을 평가하고, 서로 다른 연구 목표와 상황에 따른 장단점을 비교한다.[6][7] 방법론은 효율적인 연구 수행에 필요한 기술, 지식,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며, 연구자가 과학적 과정에서 내려야 할 다양한 결정에 대한 지침 역할을 한다.[53][54]

방법론은 구체적인 방법과 과학 철학에서 논의되는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문제 사이의 중간 지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8][9] 연구 질문을 공식화한 후, 연구자는 방법론을 통해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특정 경우에 왜 한 표집 방법을 다른 방법보다 선호하는지, 어떤 형태의 데이터 분석이 최상의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는지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9][8]

알렉산드르 게오르기예비치 스피르킨은 방법론을 "이론적 및 실천적 활동을 조직하고 구조화하는 원칙 및 일반적인 방식의 시스템이며, 또한 이 시스템의 이론"이라고 정의했다.[44][38] 헬렌 카라는 방법론을 "연구를 위한 맥락적 프레임워크, 연구자가 내리는 선택을 안내하는 관점, 신념 및 가치에 기반한 일관되고 논리적인 계획"으로 정의한다.[10] 기니 E. 가르시아와 더들리 L. 포스톤은 방법론을 연구를 안내하는 규칙과 공리의 복잡한 집합 또는 그러한 규칙과 절차의 분석으로 이해한다.[28][11]

공정 시스템 공학 분야에서는 "방법론"이라는 용어를 "접근법", "방법", "절차", "기술"과 구별한다.[20] "접근법"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또는 방향을, 방법론은 접근법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일반적인 전략을 의미한다. 방법은 접근법을 실제로 구현하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이며, 기술은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는 단계이다. 전체 단계 시퀀스는 "절차"라고 한다.[20][21] 언어 교수 분야에서도 유사한 개념 구분이 발견된다.[22]

방법론의 정의와 관련하여, 방법론을 기술적인 학문으로 이해해야 하는지, 아니면 규범적 학문으로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다. 많은 방법론 학자들은 규범적인 의미에서 자신의 기술을 적용하여 서로 다른 방법의 장단점에 대해 명확한 의견을 표현한다.[53][58]

협의의 방법론은 방법에 대한 연구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 내의 방법을 가리킨다. 광의의 의미로는 "누구누구의 방법"에 대한 논의를 "누구누구의 방법론"이라고 부른다.

2. 3. 배경 가정에 대한 논의

방법론은 방법의 선택과 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철학적 배경 가정을 포함한다.[53][8][12] 연구 목표, 현상에 대한 개념화, 증거 구성 방식 등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견해 차이를 다룬다.[53][13][14] 이러한 관점에서 방법론은 철학과 겹치며, 분석할 데이터의 구조를 명확히 하고 연구자가 새로운 시각으로 현상을 볼 수 있도록 돕는다.[3][9] 모든 방법론의 핵심적인 측면은 그것과 함께 오는 세계관이다.[44]

배경 가정에 대한 논의에는 형이상학존재론적 문제가 포함될 수 있다.[4][15][16] 예를 들어, 관찰된 현상을 외부적이고 독립적인 현실로 간주하는 실재론적 관점은 경험적 데이터 수집을 강조하는 반면, 관념론자들은 외부 현실이 마음과 완전히 독립적이지 않다고 주장하며, 연구 과정에 더 많은 주관적인 경향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양적 연구의 경우, 방법론에 대한 철학적 논쟁에는 과학적 방법의 귀납 추론과 가설-연역적 방법 해석 간의 구분이 포함된다. 질적 연구의 경우, 많은 기본 가정은 해석학, 실용주의, 마르크스주의, 비판 이론, 포스트모더니즘과 같은 철학적 입장과 관련이 있다.[53][17] 토마스 쿤은 그의 저서 ''과학 혁명의 구조''에서 과학이 어떤 질문을 할 것인지, 무엇을 좋은 과학으로 간주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틀 또는 패러다임 내에서 작동한다고 주장한다. 쿤에 따르면, 이러한 논쟁에서 중요한 요소는 서로 다른 패러다임이 공약불가능하다는 것이다.[53][13]

과학 철학의 추상적 이론적 문제에 대한 다른 논의도 때때로 포함된다.[18][19] 여기에는 과학 연구가 허구의 글쓰기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연구가 객관적인 사실을 연구하는지, 아니면 연구 대상이라고 주장하는 현상을 구성하는 것인지 등의 질문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방법론자들은 과학의 목표가 사회의 억압받는 집단을 위해 어떤 종류의 사회적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53]

3. 유형

이론가들은 방법론에 대한 다양한 일반적인 유형 또는 접근 방식을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가장 영향력 있는 분류는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을 대조한다.[31][30][28][44]

;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양적 연구는 객관적인 측정과 수치 데이터를 통해 현상을 설명하고 일반 법칙을 발견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방법론이다. 자연 과학에서 주로 사용되며, 정확한 수치 측정에 기반하여 연구자가 예측을 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31][58] 거대 강입자 가속기의 물리학자들이 새로 생성된 입자의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나, 긍정 심리학에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소득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그 예시이다.[23]

질적 연구는 현상의 의미와 맥락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목표로 한다.[31] 표적 집단 면접을 통해 신제품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을 파악하거나, 비구조화된 심층 면접을 통해 새로운 치료법의 장단점을 평가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30] 질적 연구는 기존 지식이 불충분한 분야에서 사용될때, 분야와 잠재적 이론에 대한 첫인상을 얻고 추가 연구를 위한 길을 열 수 있다.[27][30]

양적 방법은 자연 과학에서 지배적이지만, 사회 과학에서는 두 가지 방법론 모두 사용된다.[31] 어떤 방법이 더 적절한지는 연구 목표에 따라 달라지는데, 양적 방법은 명확하게 공식화된 가설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며, 질적 방법은 복잡한 문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새로운 가설을 세우는 데 적합하다.[30] 양적 방법의 장점은 정밀성과 신뢰성이지만, 복잡한 현상을 연구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31]

혼합 방법 연구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장점을 결합하여 복잡한 현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두 가지 접근 방식은 서로를 보완할 수 있으며, 어떤 문제들은 한 가지 방법보다 다른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동일한 문제에 대해 두 가지 접근 방식을 모두 적용하여 포괄적인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31][32][33]

; 기타 유형

실질적 방법론은 특정 연구 분야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는 반면, 형식적 방법론은 다양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다른 분야에 적용되는 더 일반적인 원칙에 도달하려고 시도한다.[35][44][36] 철학적 방법, 일반 과학적 방법, 특수 과학적 방법을 구분하기도 한다.[44][37][38]

절차주의는 연구 과정을 일련의 간단한 규칙 또는 레시피로 축약하는 방법론적 관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양적 연구에는 허용될 수 있지만 질적 연구에는 실패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연구는 기술이 아니라 방법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기술이며, 좋은 과학이 되기 위해 창의성과 즉흥성에 의존한다.[53][39][40]

귀납적 방법은 많은 특정 관찰에서 시작하여 일반적인 결론에 도달하는 귀납적 추론을 통해 진행된다.[41] 연역적 방법은 기하학과 같은 형식 과학에서 종종 발견되며, 자명한 공리에서 시작하여 연역법을 사용하여 결론을 추론한다.[42] 초월적 방법은 칸트와 칸트 이후 철학에서 흔히 사용되며, 특정 관찰에서 시작하여 그 현상의 존재 조건을 탐구하여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한다.[43]

3. 1.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양적 연구는 객관적인 측정과 수치 데이터를 통해 현상을 설명하고 일반 법칙을 발견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방법론이다. 자연 과학에서 주로 사용되며, 정확한 수치 측정에 기반하여 연구자가 예측을 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31][58] 거대 강입자 가속기의 물리학자들이 새로 생성된 입자의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나, 긍정 심리학에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소득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그 예시이다.[23]

질적 연구는 현상의 의미와 맥락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목표로 한다.[31] 표적 집단 면접을 통해 신제품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을 파악하거나, 비구조화된 심층 면접을 통해 새로운 치료법의 장단점을 평가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30] 질적 연구는 기존 지식이 불충분한 분야에서 사용될때, 분야와 잠재적 이론에 대한 첫인상을 얻고 추가 연구를 위한 길을 열 수 있다.[27][30]

양적 방법은 자연 과학에서 지배적이지만, 사회 과학에서는 두 가지 방법론 모두 사용된다.[31] 어떤 방법이 더 적절한지는 연구 목표에 따라 달라지는데, 양적 방법은 명확하게 공식화된 가설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며, 질적 방법은 복잡한 문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새로운 가설을 세우는 데 적합하다.[30] 양적 방법의 장점은 정밀성과 신뢰성이지만, 복잡한 현상을 연구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31]

혼합 방법 연구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장점을 결합하여 복잡한 현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두 가지 접근 방식은 서로를 보완할 수 있으며, 어떤 문제들은 한 가지 방법보다 다른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동일한 문제에 대해 두 가지 접근 방식을 모두 적용하여 포괄적인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31][32][33]

3. 2. 기타 유형

실질적 방법론은 특정 연구 분야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는 반면, 형식적 방법론은 다양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다른 분야에 적용되는 더 일반적인 원칙에 도달하려고 시도한다.[35][44][36] 철학적 방법, 일반 과학적 방법, 특수 과학적 방법을 구분하기도 한다.[44][37][38]

절차주의는 연구 과정을 일련의 간단한 규칙 또는 레시피로 축약하는 방법론적 관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양적 연구에는 허용될 수 있지만 질적 연구에는 실패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연구는 기술이 아니라 방법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기술이며, 좋은 과학이 되기 위해 창의성과 즉흥성에 의존한다.[53][39][40]

귀납적 방법은 많은 특정 관찰에서 시작하여 일반적인 결론에 도달하는 귀납적 추론을 통해 진행된다.[41] 연역적 방법은 기하학과 같은 형식 과학에서 종종 발견되며, 자명한 공리에서 시작하여 연역법을 사용하여 결론을 추론한다.[42] 초월적 방법은 칸트와 칸트 이후 철학에서 흔히 사용되며, 특정 관찰에서 시작하여 그 현상의 존재 조건을 탐구하여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한다.[43]

4. 중요성

방법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다른 사람의 지식 주장을 검증하는 데 중요하다.[3] 방법은 과학 발전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간주되며, 특히 과학 혁명 시기 실험적 방법의 발전은 자연 과학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쳤다.[53] 방법론의 선택은 연구 결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동일한 자료에서도 선택된 방법론에 따라 상반된 결론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44]

알렉산드르 게오르기예비치 스피르킨은 세상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단순화하기 위해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44] 이론적 측면에서 방법론은 참된 믿음을 형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관련되며,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자연과 인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과 관련된다. 이러한 방법은 세대 간 전승되며, 방법론에 대한 추상적 관심은 기술을 개선하고 전달하기 쉽게 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연구 분야에서 방법론은 지식 획득의 신뢰할 수 있는 수단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44][37]

20세기에는 방법론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했으며, 이는 학술 간행물 및 교육 프로그램 설립으로 이어졌다.[44][53] 막스 베버는 방법론에 대한 과도한 집중을 비판하면서도 방법론 발전에 기여했다.[53][45] 스피르킨은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해 여러 분야의 협력적 노력이 필요하며, 학제 간 연구는 방법론적 발전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44][46]

5. 비판

방법론에 대한 비판은 주로 특정 방법론의 한계나 오용에 대한 지적이다.[53][54] 방법론에 대한 과도한 집착은 창의성과 유연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50][53] 예를 들어, 케리 체임벌린은 좋은 해석은 도발적이고 통찰력이 있기 위해 창의성이 필요하며, 이는 엄격하게 성문화된 접근 방식으로는 금지된다고 보았다.[50][53] 폴 파이어아벤트는 저서 "방법에 반대한다"에서 유사한 주장을 제시했다.[51][53]

방법론이 연구자의 자유를 제약하고, 획일적인 접근 방식을 강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50] C. 라이트 밀스는 방법론의 실천이 종종 "방법과 기술에 대한 숭배"로 타락한다고 비판했다.[53][48]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방법론자들을 "안경을 너무 깨끗하게 닦아서 안경을 통해 볼 시간이 없는 사람들"에 비유하기도 했다.[53][47]

일부에서는 방법론적 성찰이 시간 낭비일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부작용을 낳는다고 주장한다. 길버트 라일은 "우리는 일반적으로 발에 대해 많이 생각할수록 더 나아지는 것이 아니라 더 나빠진다"고 언급하며, 성찰이 과정에 방해가 되어 피할 수 있는 실수를 초래할 수 있다고 보았다.[49][88]

문학 평론가 고야노 아쓰시는 "방법론"이라는 용어가 오용되고 있으며, 여기서의 "방법론"은 단순한 "방법"일 뿐, "방법의 연구"라는 의미의 "방법론"이 아니라고 주장한다.[133][134]

하지만, 이러한 비판이 항상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 많은 방법론자들은 방법론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통해 연구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53][54]

6. 다양한 분야에서의 방법론

방법론의 중요성은 자연 과학, 사회 과학, 철학, 수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수에 반영되어 있다.[88][58][28]

천연 과학(natural science) 분야에서 지배적인 방법론은 과학적 방법이다.[58][55] 과학적 방법은 문제가 명확하게 공식화되고, 이론에 대한 증거가 공개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재현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58][57][56] 다른 연구자들이 초기 연구를 확인하거나 반증하기 위해 실험을 반복할 수 있도록 상황의 다양한 요인과 변수를 제어해야 한다.[58][57][56][53]

DNA 염기 서열 분석(DNA sequencing)의 한 유형을 뒷받침하는 방법론


과학적 방법은 수치 데이터를 얻는 양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며, 이 데이터는 종종 수학 공식으로 설명된다. 목표는 실험의 인위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일반화를 도출하는 것이다. 일부 데이터는 고급 측정 장비를 사용해야만 얻을 수 있으며, 매우 복잡한 데이터는 정교한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58][57][56]

과학적 방법은 일반적으로 정기적인 관찰과 정보 수집으로 시작된다. 과학자는 관찰된 현상을 설명하는 가설을 공식화하고, 이 가설을 위해 설계된 실험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는 가설에 따른 예상 결과와 비교되어 초기 가설의 확인 또는 반증으로 해석되고 게시될 수 있다.[57][58][56]

과학적 방법의 중심적인 두 가지 측면은 관찰과 실험이다.[58] 실험은 연구된 현상을 능동적으로 생성하거나 형성하는 반면, 순수한 관찰은 수동적인 방식으로 독립적인 실체를 연구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생물학자가 세균에 바이러스 DNA를 삽입하는 것은 실험이고, 천문학자가 멀리 떨어진 천체의 궤도를 관찰하는 것은 순수한 관찰에 해당한다.[62] 고대 과학에서는 관찰이 주요 역할을 했지만, 16세기와 17세기의 과학 혁명은 실험에 더 중심적인 역할을 부여하는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왔다.[59][58]

과학적 방법론에는 귀납적 방법론과 가설-연역적 방법론이 있다. 귀납적 접근 방식은 이론이 모든 긍정적 사례를 통해 확인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많은 흰색 백조의 관찰은 "모든 백조는 흰색이다"라는 가설을 확인한다.[63][64][65] 반면, 가설-연역적 접근 방식은 이론의 연역적 결과에 초점을 맞추고, 반증에 기반한 부정적인 형태를 취한다. 즉, 긍정적 사례는 가설을 확인하지 않지만 부정적 사례는 이를 반증한다.[66][67][68][69][71] 가설이 참이라는 긍정적인 징후는 반례를 찾으려는 많은 시도가 실패한 경우에만 간접적으로 제공된다.[71] 연구자는 자신의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명확하고 재현 가능한 프로세스로 문서화해야 하며, 그렇지 못하면 귀무 가설이 거짓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72]

사회 과학에서는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이 모두 사용되며, 설문조사, 면접, 집단 면접, 명목 집단 기법, 참여 관찰 등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방법이 활용된다.[31][30][28][73] 설문 조사는 양적 연구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개인에게 제공되는 폐쇄형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면접은 개인 참가자에게 더 많은 비중을 두며, 개방형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면접은 구조화된 면접, 비구조화된 면접, 반구조화된 면접으로 나뉜다.[31][74][75] 구조화된 면접은 미리 계획된 고정된 질문 세트를 사용하며, 비구조화된 면접은 자유로운 대화에 가깝고, 반구조화된 면접은 이 둘의 중간 지점을 구성한다.[31][30]

집단 면접은 마케팅 조사에 자주 사용되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소수의 인구 통계적으로 유사한 사람들의 상호 작용과 응답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31][30][79] 명목 집단 기법은 집단 면접과 유사하지만, 참가자 간의 상호 작용이 더 구조화되어 있고, 전문가들 사이의 합의 정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30][81][82]

관찰은 자연 환경('현장') 또는 통제된 환경(실험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제된 환경은 결과를 왜곡할 위험이 있지만, 관련 요소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관찰을 신뢰할 수 있게 만든다. 비참여적 관찰은 외부적인 접근 방식을 포함하며, 참여 관찰은 연구자가 관찰된 현상에 참여한다.[31][83][84]

사회 과학의 방법론적 논쟁은 자연 과학처럼 엄격하고 객관적인 사실을 다루는지에 대한 것이다. 실증주의자는 사회 과학이 확률적 인과 관계 법칙을 발견하고 확인하기 위해 정확한 경험적 관찰과 연역적 논리를 결합한다고 본다.[28][85][86] 반면, 반실증주의막스 베버와 같이 자연 과학의 방법이 사회 과학에 부적절하다고 주장하며, 사람들의 의미와 사회적 세계 창조 방식에 더 큰 중요성을 부여한다. 사회 과학의 비판 이론 방법론은 칼 마르크스와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연관되며, 표면적 환상 뒤에 숨겨진 더 깊은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28][85][86]

철학적 방법론은 철학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연구하는 메타철학의 분야이다. 철학자들은 측정 장비를 통해 얻은 실험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연구를 수행하고, 지식을 습득하며, 경쟁 이론 중에서 선택한다.[87][88][89][90][91][92] 어떤 방법을 따르느냐에 따라 철학적 이론이 구성되고, 명제가 옹호되며, 주장이 인용되는 방식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88][93][94]

역사적으로 방법론적 회의론과 현상학과 같은 새로운 방법의 발견은 철학적 담론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95][89][88] 방법론적 회의론은 체계적인 의심을 통해 의심할 여지없는 절대적으로 확실한 제1원리를 발견하고자 한다.[96] 기하학적 방법은 이러한 제1원리에서 시작하여 연역적 추론을 통해 철학적 체계를 구축한다.[97][98] 현상학은 사물이 어떻게 보이는지에 주목하며, 에포케를 통해 현상을 연구한다.[99][89]

개념 분석 방법은 개념을 구성 요소로 분해하여 의미를 명확히 한다.[100][101][102] 상식 철학은 널리 받아들여지는 믿음을 철학적 도구로 사용하며, 일상 언어 철학은 일상 언어에서의 용어 사용을 통해 철학적 질문에 접근한다.[92][103][104][89][105][106]

직관사고 실험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철학적 이론을 확인하거나 반박하기 위해 상황을 상상하여 결과를 평가한다.[107][108][100] 반성적 평형 방법은 모든 관련 믿음과 직관을 검토하고 재평가하여 일관된 관점을 형성한다.[95][109][110] 실용주의자들은 철학적 이론의 실질적인 결과를 중시하며, 실험 철학은 사회 심리학과 인지 과학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철학적 주장을 정당화한다.[111][112][113][114]

수학 분야에서는 종합적 방법, 해석적 방법, 연역적 방법, 귀납적 방법, 발견적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구별할 수 있다.[115][116][117] 종합적 방법과 해석적 방법의 차이점은 전자는 알려진 것에서 시작하여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진행하는 반면, 후자는 알려지지 않은 것에서 알려진 것으로 가는 경로를 찾으려고 한다는 것이다.[115][116][117] 기하학 교과서는 종종 종합적 방법을 사용하여 진행된다.[115] 알려진 정의공리를 나열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한 번에 하나씩 추론 단계를 거쳐 초기 문제의 해답을 찾는다.[115] 종합적 방법의 중요한 장점은 명확하고 간결한 논리적 설명이다.[115] 단점은 처음에 취한 단계가 의도한 결론으로 이어진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115] 이로 인해 독자는 수학자가 처음에 어떤 단계를 거쳐야 할지 어떻게 알았는지 설명하지 않기 때문에 놀라움을 느낄 수 있다.[115] 해석적 방법은 종종 수학자들이 실제로 발견을 하는 방식을 더 잘 반영한다.[115][116] 이러한 이유로 수학을 가르치는 더 나은 방법으로 여겨진다.[115][116] 의도된 결론에서 시작하여 이를 유추할 수 있는 다른 공식을 찾으려고 한다.[115] 그런 다음 이미 증명된 정리까지 모든 경로를 거슬러 올라갈 때까지 이 새로운 공식에 동일한 과정을 적용한다.[115] 두 방법의 차이점은 주로 수학자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증명을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이다.[117] 두 가지는 동일한 증명을 어느 쪽으로든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117]

통계학은 자료의 분석, 해석 및 제시를 연구하며, 다수의 관찰과 측정 데이터를 다루는 많은 형태의 계량 연구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118][119][120] 자료 분석은 실질적으로 유용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자료를 정제, 변환,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118][119][120] 자료 분석에는 수많은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술 통계학과 추론 통계학으로 나뉜다. 기술 통계학은 현재 가지고 있는 자료에 국한되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을 요약하고 통찰력 있는 방식으로 제시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자료의 분포를 시각화하거나 지표를 계산하여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평균 또는 표준 편차와 같은 방식이다.[118][119][120] 반면에 추론 통계학은 표본을 기반으로 이 자료를 사용하여 전체 모집단에 대해 추론한다. 이는 일반화 및 예측을 하거나 구체적인 가설의 확률을 평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118][119][120]

교육학은 교수-학습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121][122]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방법과 실천을 연구하며,[123][122][1] 지식 전달뿐만 아니라 기술과 성격 특성 함양도 목표로 한다.[123][124] 교수법은 교사가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을 연구한다.[123][122]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된 정신 훈련 이론은 지적 능력 훈련을 교육의 주된 목표로 삼았다.[123][122] 자연주의 이론은 아이들의 타고난 발달 경향을 존중하고, 필요한 외부 조건을 제공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123][122] 헤르바르트주의는 준비, 제시, 연상, 일반화, 적용의 5단계 교육 과정을 제시한다.[126] 학습 이론은 학습 발생 원리에 기반하여 교수법을 제시하며, 연상주의와 행동주의 등이 있다.[123][122][127] 연상주의는 마음을 아이디어와 경험 사이의 연상으로 이해하고, 행동주의는 학습을 자극-반응 패턴으로 설명한다.[123][122][127]

최적의 교수법은 과목, 학습자의 나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123][122] 학습 성공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학생의 관심과 호기심이며, 교수법은 이러한 동기 부여를 유지하는 것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123] 또한, 시험 등을 통해 학습자의 진척 상황을 정기적으로 평가하여 교수법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조정을 해야 한다.[123]

6. 1. 자연 과학

천연 과학(natural science) 분야에서 지배적인 방법론은 과학적 방법이다.[58][55] 과학적 방법은 문제가 명확하게 공식화되고, 이론에 대한 증거가 공개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재현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58][57][56] 다른 연구자들이 초기 연구를 확인하거나 반증하기 위해 실험을 반복할 수 있도록 상황의 다양한 요인과 변수를 제어해야 한다.[58][57][56][53]

과학적 방법은 수치 데이터를 얻는 양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며, 이 데이터는 종종 수학 공식으로 설명된다. 목표는 실험의 인위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일반화를 도출하는 것이다. 일부 데이터는 고급 측정 장비를 사용해야만 얻을 수 있으며, 매우 복잡한 데이터는 정교한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58][57][56]

과학적 방법은 일반적으로 정기적인 관찰과 정보 수집으로 시작된다. 과학자는 관찰된 현상을 설명하는 가설을 공식화하고, 이 가설을 위해 설계된 실험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는 가설에 따른 예상 결과와 비교되어 초기 가설의 확인 또는 반증으로 해석되고 게시될 수 있다.[57][58][56]

과학적 방법의 중심적인 두 가지 측면은 관찰과 실험이다.[58] 실험은 연구된 현상을 능동적으로 생성하거나 형성하는 반면, 순수한 관찰은 수동적인 방식으로 독립적인 실체를 연구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생물학자가 세균에 바이러스 DNA를 삽입하는 것은 실험이고, 천문학자가 멀리 떨어진 천체의 궤도를 관찰하는 것은 순수한 관찰에 해당한다.[62] 고대 과학에서는 관찰이 주요 역할을 했지만, 16세기와 17세기의 과학 혁명은 실험에 더 중심적인 역할을 부여하는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왔다.[59][58]

과학적 방법론에는 귀납적 방법론과 가설-연역적 방법론이 있다. 귀납적 접근 방식은 이론이 모든 긍정적 사례를 통해 확인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많은 흰색 백조의 관찰은 "모든 백조는 흰색이다"라는 가설을 확인한다.[63][64][65] 반면, 가설-연역적 접근 방식은 이론의 연역적 결과에 초점을 맞추고, 반증에 기반한 부정적인 형태를 취한다. 즉, 긍정적 사례는 가설을 확인하지 않지만 부정적 사례는 이를 반증한다.[66][67][68][69][71] 가설이 참이라는 긍정적인 징후는 반례를 찾으려는 많은 시도가 실패한 경우에만 간접적으로 제공된다.[71] 연구자는 자신의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명확하고 재현 가능한 프로세스로 문서화해야 하며, 그렇지 못하면 귀무 가설이 거짓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72]

6. 2. 사회 과학

사회 과학에서는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이 모두 사용되며, 설문조사, 면접, 집단 면접, 명목 집단 기법, 참여 관찰 등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방법이 활용된다.[31][30][28][73] 설문 조사는 양적 연구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개인에게 제공되는 폐쇄형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면접은 개인 참가자에게 더 많은 비중을 두며, 개방형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면접은 구조화된 면접, 비구조화된 면접, 반구조화된 면접으로 나뉜다.[31][74][75] 구조화된 면접은 미리 계획된 고정된 질문 세트를 사용하며, 비구조화된 면접은 자유로운 대화에 가깝고, 반구조화된 면접은 이 둘의 중간 지점을 구성한다.[31][30]

집단 면접은 마케팅 조사에 자주 사용되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소수의 인구 통계적으로 유사한 사람들의 상호 작용과 응답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31][30][79] 명목 집단 기법은 집단 면접과 유사하지만, 참가자 간의 상호 작용이 더 구조화되어 있고, 전문가들 사이의 합의 정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30][81][82]

관찰은 자연 환경('현장') 또는 통제된 환경(실험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제된 환경은 결과를 왜곡할 위험이 있지만, 관련 요소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관찰을 신뢰할 수 있게 만든다. 비참여적 관찰은 외부적인 접근 방식을 포함하며, 참여 관찰은 연구자가 관찰된 현상에 참여한다.[31][83][84]

사회 과학의 방법론적 논쟁은 자연 과학처럼 엄격하고 객관적인 사실을 다루는지에 대한 것이다. 실증주의자는 사회 과학이 확률적 인과 관계 법칙을 발견하고 확인하기 위해 정확한 경험적 관찰과 연역적 논리를 결합한다고 본다.[28][85][86] 반면, 반실증주의막스 베버와 같이 자연 과학의 방법이 사회 과학에 부적절하다고 주장하며, 사람들의 의미와 사회적 세계 창조 방식에 더 큰 중요성을 부여한다. 사회 과학의 비판 이론 방법론은 칼 마르크스와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연관되며, 표면적 환상 뒤에 숨겨진 더 깊은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28][85][86]

6. 3. 철학

철학적 방법론은 철학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연구하는 메타철학의 분야이다. 철학자들은 측정 장비를 통해 얻은 실험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연구를 수행하고, 지식을 습득하며, 경쟁 이론 중에서 선택한다.[87][88][89][90][91][92] 어떤 방법을 따르느냐에 따라 철학적 이론이 구성되고, 명제가 옹호되며, 주장이 인용되는 방식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88][93][94]

역사적으로 방법론적 회의론과 현상학과 같은 새로운 방법의 발견은 철학적 담론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95][89][88] 방법론적 회의론은 체계적인 의심을 통해 의심할 여지없는 절대적으로 확실한 제1원리를 발견하고자 한다.[96] 기하학적 방법은 이러한 제1원리에서 시작하여 연역적 추론을 통해 철학적 체계를 구축한다.[97][98] 현상학은 사물이 어떻게 보이는지에 주목하며, 에포케를 통해 현상을 연구한다.[99][89]

개념 분석 방법은 개념을 구성 요소로 분해하여 의미를 명확히 한다.[100][101][102] 상식 철학은 널리 받아들여지는 믿음을 철학적 도구로 사용하며, 일상 언어 철학은 일상 언어에서의 용어 사용을 통해 철학적 질문에 접근한다.[92][103][104][89][105][106]

직관사고 실험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철학적 이론을 확인하거나 반박하기 위해 상황을 상상하여 결과를 평가한다.[107][108][100] 반성적 평형 방법은 모든 관련 믿음과 직관을 검토하고 재평가하여 일관된 관점을 형성한다.[95][109][110] 실용주의자들은 철학적 이론의 실질적인 결과를 중시하며, 실험 철학은 사회 심리학과 인지 과학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철학적 주장을 정당화한다.[111][112][113][114]

6. 4. 수학

수학 분야에서는 종합적 방법, 해석적 방법, 연역적 방법, 귀납적 방법, 발견적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구별할 수 있다.[115][116][117] 종합적 방법과 해석적 방법의 차이점은 전자는 알려진 것에서 시작하여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진행하는 반면, 후자는 알려지지 않은 것에서 알려진 것으로 가는 경로를 찾으려고 한다는 것이다.[115][116][117] 기하학 교과서는 종종 종합적 방법을 사용하여 진행된다.[115] 알려진 정의공리를 나열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한 번에 하나씩 추론 단계를 거쳐 초기 문제의 해답을 찾는다.[115] 종합적 방법의 중요한 장점은 명확하고 간결한 논리적 설명이다.[115] 단점은 처음에 취한 단계가 의도한 결론으로 이어진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115] 이로 인해 독자는 수학자가 처음에 어떤 단계를 거쳐야 할지 어떻게 알았는지 설명하지 않기 때문에 놀라움을 느낄 수 있다.[115] 해석적 방법은 종종 수학자들이 실제로 발견을 하는 방식을 더 잘 반영한다.[115][116] 이러한 이유로 수학을 가르치는 더 나은 방법으로 여겨진다.[115][116] 의도된 결론에서 시작하여 이를 유추할 수 있는 다른 공식을 찾으려고 한다.[115] 그런 다음 이미 증명된 정리까지 모든 경로를 거슬러 올라갈 때까지 이 새로운 공식에 동일한 과정을 적용한다.[115] 두 방법의 차이점은 주로 수학자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증명을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이다.[117] 두 가지는 동일한 증명을 어느 쪽으로든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117]

6. 5. 통계학

통계학은 자료의 분석, 해석 및 제시를 연구하며, 다수의 관찰과 측정 데이터를 다루는 많은 형태의 계량 연구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118][119][120] 자료 분석은 실질적으로 유용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자료를 정제, 변환,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118][119][120] 자료 분석에는 수많은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술 통계학과 추론 통계학으로 나뉜다. 기술 통계학은 현재 가지고 있는 자료에 국한되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을 요약하고 통찰력 있는 방식으로 제시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자료의 분포를 시각화하거나 지표를 계산하여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평균 또는 표준 편차와 같은 방식이다.[118][119][120] 반면에 추론 통계학은 표본을 기반으로 이 자료를 사용하여 전체 모집단에 대해 추론한다. 이는 일반화 및 예측을 하거나 구체적인 가설의 확률을 평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118][119][120]

6. 6. 교육학

교육학은 교수-학습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121][122]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방법과 실천을 연구하며,[123][122][1] 지식 전달뿐만 아니라 기술과 성격 특성 함양도 목표로 한다.[123][124] 교수법은 교사가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을 연구한다.[123][122]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된 정신 훈련 이론은 지적 능력 훈련을 교육의 주된 목표로 삼았다.[123][122] 자연주의 이론은 아이들의 타고난 발달 경향을 존중하고, 필요한 외부 조건을 제공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123][122] 헤르바르트주의는 준비, 제시, 연상, 일반화, 적용의 5단계 교육 과정을 제시한다.[126] 학습 이론은 학습 발생 원리에 기반하여 교수법을 제시하며, 연상주의와 행동주의 등이 있다.[123][122][127] 연상주의는 마음을 아이디어와 경험 사이의 연상으로 이해하고, 행동주의는 학습을 자극-반응 패턴으로 설명한다.[123][122][127]

최적의 교수법은 과목, 학습자의 나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123][122] 학습 성공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학생의 관심과 호기심이며, 교수법은 이러한 동기 부여를 유지하는 것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123] 또한, 시험 등을 통해 학습자의 진척 상황을 정기적으로 평가하여 교수법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조정을 해야 한다.[123]

7. 관련 개념

패러다임은 특정 학문 분야의 연구를 지배하는 개념적 틀, 이론, 방법론의 집합을 의미한다.[128][13] 과학의 맥락에서 패러다임은 개념적인 세계관이며, 연구 대상 현상을 개념화하는 방식과 이를 연구하는 데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을 결정하는 여러 기본적인 개념과 일반적인 이론으로 구성된다.[128][13] 여러 이론가들은 방법론과 유사하게 연구 대상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관점을 형성하고 연구자가 이를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을 강조한다.[3][9][44]

알고리즘은 컴퓨터 과학에서 유한한 단계로 문제 해결에 도달하기 위한 절차 또는 방법론이다.[129][130] 각 단계는 각 응용 분야에 대해 모호하지 않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정확하게 정의되어야 한다.[129][130] 예를 들어, 유클리드 호제법은 두 정수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이며, 두 숫자를 비교하고 하나를 다른 숫자에서 빼는 등 간단한 단계에 기반한다.[131]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Methodology SAGE 2012-11-13
[2] 웹사이트 methodology https://www.ahdictio[...] HarperCollins 2022-02-20
[3] 간행물 Fundamentals of Methodology - Part I: Definitions and First Principles 2009
[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Methodology SAGE 2012-11-13
[5] 서적 Enzyklopädie Philosophie und Wissenschaftstheorie https://www.springer[...] Metzler 2005
[6] 문서 Webster's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Second Edition, Unabridged http://www.merriam-w[...] G. & C. Merriam Company 1950
[7] 간행물 Risk Analysis as a Source of Professional Knowledge
[8] 서적 The SAGE Dictionary of Qualitative Inquiry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4-12-19
[9] 서적 Qualitative Methodology: A Practical Guide SAGE 2014-01-20
[10] 서적 Cre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a practical guide https://www.worldcat[...] Policy Press
[11] 서적 Social Foundations of Behavior for the Health Sciences Springer 2017-11-03
[12] 간행물 How biological background assumptions influence scientific risk evaluation of stacke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an analysis of research hypotheses and argumentations 2017-08-14
[13] 웹사이트 Thomas Kuhn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
[14] 서적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50th Anniversary Edi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04-18
[15] 간행물 Methodological Realism 1913-05
[16] 간행물 Realism v. Idealism https://www.jstor.or[...] 1986
[17] 간행물 Pragmatism vs interpretivism in qualitativ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http://urn.kb.se/res[...] 2012-03
[18] 서적 Enzyklopädie Philosophie https://meiner.de/en[...] Meiner 2010
[19] 서적 Enzyklopädie Philosophie und Wissenschaftstheorie https://www.springer[...] Metzler 2005
[20] 간행물 Distinguishing approach, methodology, method, procedure and technique in process systems engineering https://link.springe[...] 2020-04-01
[21] 간행물 Review of near-shore satellite derived bathymetry: Classification and account of five decades of coastal bathymetry research 2021-12
[22] 서적 Approaches and Methods in Language Teach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4-09
[23] 서적 OECD Guidelines on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https://www.ncbi.nlm[...] OECD Publishing 2013-03-20
[24] 서적 Challenging the qualitative-quantitative divide: explorations in case-focused causal analysis https://www.worldcat[...] A&C Black
[25] 서적 Qualitative-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exploring the interactive continuum https://www.worldca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98
[26] 문서 The Multidimensional Model of Research Methodology: An Integrated Set of Continua http://dx.doi.org/10[...] SagePublications, Inc. 2020-10-28
[27] 간행물 What is Qualitative in Qualitative Research 2019-06-01
[28]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https://www.encyclop[...] 2008
[29] 간행물 Are the Social Sciences Really Inferior? 1961-01
[30] 간행물 Focus Groups
[3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Methodology SAGE 2012-11-13
[32] 간행물 Mixed methods research: expanding the evidence base 2017-07
[33] 간행물 How to Construct a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 2017-10
[34]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https://www.routledg[...] Routledge Handbooks Online 2016-12-22
[35] 서적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https://www.taylorfr[...] 1999
[36] 논문 Developing substantive theories into formal theories via disruption https://www.emerald.[...] 2019-01-01
[37] 서적 Fundamentals of Philosophy https://books.google[...] Progress Publishers 1990
[38] 논문 Research Methodology in Philosophy within an Interdisciplinary and Commercialised African Context: Guarding Against Undue Influence from the Social Sciences 2010-08-10
[39] 논문 Methods we live by: Proceduralism, process, and pedagogy 2020
[40] 논문 Genre-Appropriate Judgments of Qualitative Research 2014-06
[41] 서적 Enzyklopädie Philosophie und Wissenschaftstheorie https://www.springer[...] Metzler 2005
[42] 서적 Enzyklopädie Philosophie und Wissenschaftstheorie https://www.springer[...] Metzler 2005
[43] 서적 Enzyklopädie Philosophie und Wissenschaftstheorie https://www.springer[...] Metzler 2005
[44] 서적 Dialectical Materialism https://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1983
[45] 서적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s: Max Weber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11-12-31
[46] 서적 Fundamentals of Philosophy https://books.google[...] Progress Publishers 1990
[47] 서적 Qualitative Analysis Using NVivo: The Five-Level QDA® Metho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9-20
[48] 서적 Sociologogically imagined: The decentering of C. Wright Mills, the postmodern cowboy https://core.ac.uk/d[...] Texas A&M University 2007
[49] 서적 Collected Essays 1929 - 1968: Collected Paper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9-06-16
[50] 논문 Methodolatry and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00-05
[51] 서적 Against Method https://books.google[...] Verso 1993
[52] 서적 Sociological Work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53] 서적 Methodology: Who Needs It? https://books.google[...] SAGE 2010-12-14
[54] 논문 Of methods and methodology 2008-08-22
[55] 서적 Philosophical papers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56] 웹사이트 Scientific Method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
[57] 웹사이트 scientific method https://www.britanni[...] 2022-07-17
[58]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hilpapers.o[...] Routledge 1996
[59] 논문 Observation Versus Experiment: An Adequate Framework for Analysing Scientific Experimentation? https://philpapers.o[...] 2017
[60] 서적 New Methodological Perspectives on Observation and Experimentation in Science https://books.google[...] Netbiblo
[61] 웹사이트 Theory and Observation in Science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
[62] 논문 Experiment, Observation and the Confirmation of Laws https://philpapers.o[...] 2011
[63] 논문 Confirmation of Scientific Hypotheses as Relations https://philpapers.o[...] 2005
[64] 논문 Beyond Bootstrapping: A New Account of Evidential Relevance https://philpapers.o[...] 1995
[65] 논문 The Objective Confirmation of Hypotheses https://philpapers.o[...] 1981
[66] 웹사이트 Evidence https://iep.utm.edu/[...] 2021-06-11
[67] 웹사이트 Confirmation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
[68] 웹사이트 hypothetico-deductive method https://www.oxfordre[...] 2021-06-15
[69] 웹사이트 hypothetico-deductive method https://www.britanni[...] 2021-06-15
[70] 논문 Interpretation and the Hypothetico-Deductive Method: A Dilemma https://www.degruyte[...] 2016-03-01
[71] 웹사이트 Karl Popper: 4. Basic Statements, Falsifiability and Convention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2-07-18
[72] 간행물 What is Scientific Research and How Can it be Done? 2016
[73] 서적 The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 an introduction https://www.worldcat[...]
[74] 서적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Inc. 2015-10-14
[75] 서적 A Dictionary of Sociology https://www.encyclop[...]
[76] 간행물 It ain't just what you do and the way that you do it: why discourse matters in higher education communities of practice https://www.research[...]
[77] 간행물 Leaning in to "Muddy" Interviews https://www.research[...]
[78] 서적 Sensing the City https://www.degruyte[...] Birkhäuser 2016-01-29
[79] 간행물 Issues in the Analysis of Focus Groups: Generalisability, Quantifiability, Treatment of Context and Quotations 2014-11-19
[80] 서적 The Essential Role of Language in Survey Research https://www.rti.org/[...] RTI Press 2020-04-30
[81] 간행물 Not just another focus group: making the case for the nominal group technique in criminology 2015-03-04
[82] 간행물 Focus Group meets Nominal Group Technique: an effective combination for student evaluation? https://www.tandfonl[...] 2017-07-04
[83] 서적 A Dictionary of Sociology https://www.encyclop[...]
[84]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https://www.encyclop[...]
[85] 간행물 Integrating Positivist and Interpretive Approaches to Organizational Research https://www.jstor.or[...] 1991
[86] 간행물 Introduction to positivism, interpretivism and critical theory http://oro.open.ac.u[...] 2018-03-16
[87] 서적 New Catholic Encyclopedia https://www.encyclop[...]
[8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Philosophical Methodolog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89] 서적 Enzyklopädie Philosophie https://meiner.de/en[...] Meiner 2010
[90] 서적 An Introduction to Philosophical Methods https://books.google[...] Broadview Press 2010-07-20
[91] 서적 1. Introduction https://www.veryshor[...] Oxford University Press
[92] 간행물 Chris Daly: An Introduction to Philosophical Methods https://ndpr.nd.edu/[...] 2011-04-03
[93] 간행물 How To Think About Philosophical Methodology https://link.springe[...] 2017-09-01
[9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hilosophical Methodology https://www.oxfordha[...] 2016-05-19
[95]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Philosophical Methods Palgrave Macmillan UK 2015
[96] 간행물 Methodological scepticism, metaphysics and meaning https://www.tandfonl[...] 1993-09-01
[97] 웹사이트 Geometrical Method https://iep.utm.edu/[...] 2022-02-17
[98] 서적 Spinoza's 'Ethics': An Introduc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99] 웹사이트 Phenomenological Reduction, The https://iep.utm.edu/[...] 2022-02-27
[100] 간행물 Philosophical methods under scrutiny: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philosophical methods https://link.springe[...] 2020-03-01
[101] 간행물 The Problem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and Conceptual Analysis https://www.jstor.or[...] 2015
[102] 서적 Macmillan Encyclopedia of Philosophy, 2nd Edition https://www.encyclop[...] Macmillan 2006
[103] 간행물 Common Sense and Philosophical Methodology: Some Metaphilosophical Reflections on Analytic Philosophy and Deleuze https://onlinelibrar[...] 2010-08-04
[104] 웹사이트 philosophy of common sense https://www.britanni[...] 2022-02-27
[105] 웹사이트 Ordinary Language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2-02-28
[106] 웹사이트 ordinary language analysis https://www.britanni[...] 2022-02-28
[107] 웹사이트 Thought Experiment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9
[108] 논문 On the Very Idea of a Thought Experiment https://philpapers.o[...] Brill 2011
[109] 웹사이트 Reflective Equilibriu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
[110] 논문 Reflective Equilibrium and Justification https://philpapers.o[...] 1984
[111] 웹사이트 Pragmatism https://iep.utm.edu/[...] 2022-02-22
[112] 논문 What is Pragmatism? https://www.jstor.or[...] 1904
[113] 웹사이트 Experimental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
[114] 웹사이트 Experimental Philosophy https://www.oxfordha[...] 2015-02-03
[115] 논문 The Teaching of Mathematics https://www.jstor.or[...] 1968
[116] 서적 Enzyklopädie Philosophie und Wissenschaftstheorie https://www.springer[...] Metzler 2005
[117] 서적 Enzyklopädie Philosophie und Wissenschaftstheorie https://www.springer[...] Metzler 2005
[118] 논문 Selection of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is 2019
[119] 서적 Introduction to Probabilistic and Statistical Methods with Examples in 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0
[120] 논문 A Statistical Primer: Understanding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2007-03-14
[121] 서적 Understanding Pedagogy and its Impact on Learning https://sk.sagepub.c[...] 1999
[122] 서적 Equity in the Classroom: Towards Effective Pedagogy for Girls and Boy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123] 웹사이트 pedagogy https://www.britanni[...] 2022-08-15
[124] 서적 Principles and Pedagogies in Jewish Education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2-05-13
[125] 서적 Classroom Teaching: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05
[126] 웹사이트 Herbartianism https://www.britanni[...] 2022-08-20
[127] 웹사이트 Learning theory https://www.britanni[...] 2022-08-20
[128] 웹사이트 Thomas S. Kuhn https://www.britanni[...] 2022-08-21
[129] 웹사이트 The Philosophy of Computer Science: 3. Algorithm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
[130] 웹사이트 Algorithm https://www.britanni[...] 2022-08-21
[131] 웹사이트 Euclidean algorithm https://www.britanni[...] 2022-08-21
[132] 문서 Merriam–Webster
[133] 웹사이트 「美学」「右傾化」「方法論」 誤用が多い日本語を作家解説 https://www.news-pos[...] 2021-12-31
[134] 서적 頭の悪い日本語 新潮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