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리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리알은 히브리어 성경에서 '불량한 자' 또는 '쓸모없는 자'를 의미하는 단어로, 제2성전 시대 유대교 문헌과 사해 문서에서도 등장하며 악의 존재로 묘사된다. 기독교 신약성경에서는 단 한 번 언급되며, 사탄의 별칭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악마학에서는 강력한 악마로 묘사되며, 문학 작품, 특히 존 밀턴의 《실낙원》에서 타락한 천사로 묘사된다. 현대 대중문화에서는 영화, 소설,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악마 또는 악의적인 존재로 등장하며, 특히 비디오 게임에서 자주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솔로몬의 72악마 - 아스모데우스
    아스모데우스는 조로아스터교의 악신에서 기원하여 분노와 욕망을 이용하는 악마로, 유대교와 기독교 전승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문학 작품과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 솔로몬의 72악마 - 아스타로트
    아스타로트는 본래 풍요와 성애의 여신 아스타르테에서 기원했지만, 기독교 전파 후 악마로 격하되어 오컬트 문헌과 악마학에서 고위 악마이자 솔로몬 왕에게 봉인당한 72기둥의 마신 중 하나로 묘사되며 대중문화에도 자주 등장하는 존재이다.
  • 천사 - 야자타
    야자타는 조로아스터교에서 숭배의 대상이 되는 존재들을 지칭하는 아베스타어 단어로, 아후라 마즈다 외에도 신성한 불꽃 등 다양한 존재들에게 적용되며, 우주론적, 종말론적 역할을 수행한다.
  • 천사 - 아스타로트
    아스타로트는 본래 풍요와 성애의 여신 아스타르테에서 기원했지만, 기독교 전파 후 악마로 격하되어 오컬트 문헌과 악마학에서 고위 악마이자 솔로몬 왕에게 봉인당한 72기둥의 마신 중 하나로 묘사되며 대중문화에도 자주 등장하는 존재이다.
  • 유대교의 악마 - 사탄
    사탄은 원래 "적대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였으나,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악마, 유혹자, 또는 인간 내면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존재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악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유대교의 악마 - 바알
    바알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숭배된 폭풍, 다산, 풍요를 관장하는 신으로, 히브리 성경에서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기독교에서는 악마를 상징한다.
벨리알
개요
고야의
고야의 "마녀들의 비행"에 등장하는 악마
다른 이름
히브리어벨리알 (בְּלִיַּעַל)
영어Belial
특성
유형악마, 타락천사
문화권유대교, 기독교
관련 인물사탄, 악마
추가 정보벨리알은 히브리어 성경/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용어이며, 후에는 악마나 타락천사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2. 히브리어 성경/구약

벨리알은 히브리어 성경에서 '불량한 자', '쓸모없는 자' 등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었다.[5] 이 단어는 마소라 본문에 27번 등장하며,[8][9] '벨리알의 아들들'이라는 관용구는 주로 우상 숭배자들(신명 13:13), 기브아 사람들(판관 19:22, 20:13), 엘리의 아들들(1사무 2:12), 나발, 시므이 등 가치 없는 사람들을 가리킨다.[10]

"벨리알"이라는 단어는 토라에서 여러 번 "사악한 자" 혹은 "무가치한 것"을 가리키는 용도로 나타나는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되었다.


  • 우상 숭배자 (신명 13:13)
  • 기브아의 남자들 (판관 19:22, 20:13)
  • 엘리의 아들들 (1사무 2:12), 나발 (1사무 25:17), 시므이 (2사무 20:1)


KJV에서는 "벨리알의 아들들"을 "벨리알"로 대문자 처리하여 번역했지만, 현대 번역본에서는 "쓸모없는 사람들"(1사무 2:12, NRSV 및 NIV), "그 도시의 악한 사람들"(판관 19:22, NIV) 등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벨리알은 또한, 다른 신을 숭배하도록 유도하는 사람들, 기브아에서 성범죄를 저지른 베냐민 사람들, 엘리의 악한 아들들, 오만한 나발, 하나님의 기름 부음받은 자 다윗에 반대하는 자들, 르호보암의 불안정한 동료들, 이세벨이 나봇을 상대로 꾸민 음모, 그리고 논쟁을 일으키는 일반 사람들과 같은 가장 낮은 부류의 가치 없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된다.

3. 제2성전 시대

벨리알은 제2성전 시대의 유대교 텍스트(기독교에서 구약 위경외경으로 분류하는 텍스트)와 1948년 쿰란에서 발견된 사해 문서에 자주 등장한다.[5] 이 시기 문헌에서 벨리알은 좀 더 구체적인 악의 세력으로 묘사된다.

요벨서에 따르면, 벨리알은 노아보다 수 세대 전에 지상에 지식을 전하고자 하늘에서 내려온 천사들의 우두머리 가운데 하나였다(다른 하나는 마스테마). 그러나 그들은 사람 여자에게 미혹되어 관계를 맺고 천사와 사람의 혼혈인 나필족을 낳았다. 이 죄로 인해 벨리알은 하늘로 돌아가지 못하고 타락천사가 되었다. 일설에 따르면 천사 시절 그는 사타나일(''Satanail''), 즉 ‘하느님의 심부름꾼’이라고 불렸다고 한다.[44] 모세에 대항한 이집트 마법사들을 부추긴 것도 벨리알이었다고 하며, 강령술사와 마법사의 영혼은 저주를 받아 벨리알의 지배 아래 놓여 있다고 알려졌다.

벨리알의 책략이 가장 성공한 경우는 사해 근처 소돔 마을을 혼란에 빠뜨렸던 일이다. 창세기에 따르면 이 마을에서는 온갖 악행, 특히 동성애수간 등의 성적 문란이 극에 달했다. 하느님은 이에 진노하여 하늘에서 유황과 불을 쏟아부어 마을을 멸망시켰다. 소돔 사람들이 죄악을 범한 것은 벨리알의 덫에 걸렸기 때문이며, 고모라 역시 같은 죄로 심판받았다. '소돔과 고모라' 이야기는 오늘날에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영어 단어 소도미(''Sodomy''=남색, 수간)는 이 마을 이름에서 유래했다.[45]

유빌리서에서 할례받지 않은 이스라엘 사람들은 "벨리알의 아들들"이라고 불린다.[19] 열두 족장의 유언에서 벨리알은 하나님의 적대자로 묘사된다.[20][21][22][23] ''벤야민의 증언''에서는 벨리알이 따르는 자에게 칼을 주며, 그 칼은 질투, 파괴, 압제, 유배, 기근, 소요, 황폐함 등 일곱 가지 악의 어머니라고 경고한다.

이사야의 승천에서 벨리알은 무법의 천사이자 "이 세상의 통치자"로 묘사되며, 사마엘사탄과 동일시된다.[2] 그는 유다 왕국므나쎄 왕에게 빙의하여 하느님이 금지하는 여러 악행을 일삼게 하고, 유대교도를 박해하며 신앙을 깨뜨리게 했다. 또한 위대한 유대인 예언자 이사야를 살해하도록 조종했다.[45]

3. 1. 사해 문서

사해 문서 중 하나인 ''빛의 아들들과 암흑의 아들들의 전쟁''(1QM)에서 벨리알은 어둠의 아들들의 지도자로 묘사된다.[11] 벨리알은 적의를 품은 천사로, 그의 영역은 어둠 속에 있으며, 사악함과 죄를 초래하는 것이 그의 의도이다. 그에게 속한 파멸의 천사들은 어둠의 법을 따르며, 그들의 갈망 또한 오직 어둠에만 향한다.[12]

공동체 규약에서 하느님은 "그들의 길이 완전해질 때까지 고통받는 자들을 위로하지 않을 것이다. 벨리알을 내 마음에 두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한다. 벨리알은 많은 악마들을 통제하며, 그들은 사악함을 수행할 목적으로 하느님에 의해 그에게 특별히 할당되었다.[13] 악의적인 성향에도 불구하고 벨리알은 천사로 간주된다.[14]

''전쟁 두루마리''와 ''감사 찬송가''는 벨리알이 하느님과 그의 백성에게 저주받았다고 말하며, 하느님이 벨리알의 악행을 허용하는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이는 하느님의 신비에 기인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사해 문서''에서 벨리알은 빛의 천사(하느님 자신으로 동일시)와 대비되는 어둠의 천사로 나타난다.[12]

모세의 아버지 아므람이 꾼 꿈에 대한 이야기가 ''사해 문서''에 있는데, 그는 자신을 두고 다투는 두 명의 감시자를 발견한다. 그중 한 명이 악의 왕이자 어둠의 왕자로 묘사되는 벨리알이다. 자독 문헌의 단편 (다마스쿠스 문서 (CD)라고도 함)에서는 종말론 시대에 "벨리알이 하느님께서 예언자 이사야를 통해 말씀하신 것처럼 이스라엘에 맞서 풀려날 것이다."라고 언급한다.[17] ''단편''은 또한 음행, 부, 성소의 오염으로 여겨지는 "벨리알의 세 그물"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18]

3. 2. 유빌리서

유빌리서에서 할례받지 않은 이스라엘 사람들은 "벨리알의 아들들"이라고 불린다.[19]

3. 3. 열두 족장의 유언

열두 족장의 유언에서 벨리알은 하나님의 적대자로 묘사된다.[20][21][22][23] ''벤야민의 증언''에서는 벨리알이 따르는 자에게 칼을 주며, 그 칼은 질투, 파괴, 압제, 유배, 기근, 소요, 황폐함 등 일곱 가지 악의 어머니라고 경고한다. 특히 간음, 부유함, 성역을 더럽히는 행위는 '벨리알의 세 개의 덫'으로, 주의해야 한다고 말한다.

시므온 5:3은 음행이 인간을 하느님에게서 멀어지게 하고 벨리알에게 가까이 가게 한다고 말한다. 레위는 자녀들에게 하느님의 율법과 벨리알의 행위 사이에서 선택하라고 말하며,[20] 영혼이 끊임없이 불안하면 주님이 떠나고 벨리알이 지배한다고 경고한다. 납달리는 하느님의 율법과 뜻을 벨리알의 목적과 대조한다.[21] 요셉은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떠날 때 빛 가운데 하느님과 함께하고 벨리알은 이집트인들과 어둠 속에 남을 것이라고 예언한다. 유언은 메시아가 오면 천사들이 속임수의 영과 벨리알을 벌하고,[22] 메시아는 벨리알을 결박하고 그의 자녀들에게 악령을 짓밟을 권능을 줄 것이라고 묘사한다.[23]

3. 4. 이사야의 승천

이사야의 승천에서 벨리알은 무법의 천사이자 "이 세상의 통치자"로 묘사되며, 사마엘사탄과 동일시된다.[2] 그는 유다 왕국므나쎄 왕에게 빙의하여 하느님이 금지하는 여러 가지 악행을 일삼게 하고, 유대교도를 박해하며 신앙을 깨뜨리게 했다. 또한 위대한 유대인 예언자 이사야를 살해하도록 조종했다.[45]

4. 기독교/신약

신약성경에서 벨리알이라는 단어는 고린도후서 6장 15절에 한 번 등장한다.[25][26][27] 사도 바울로는 그리스도와 벨리알을 대립되는 존재로 묘사하며, "그리스도와 벨리알이 어찌 조화되겠느냐?"라고 묻는다. 대부분의 2 고린도서 필사본에는 '벨리알'(Βελιάρ)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는 아람어 발음의 영향으로 보인다.

일부 학자들은 벨리알을 사탄의 다른 이름으로 보기도 한다.[32][35]

4. 1. 바르톨로메오 복음서 (외경)

벨리알은 에서 크게 다루어진다. 이 책에 따르면, 벨리알은 바르톨로메오에게 자신이 하느님에 의해 창조된 첫 번째 천사이며, 미카엘, 가브리엘, 우리엘, 라파엘, 나타나엘 등이 뒤이어 창조되었다고 말한다.[33] 과거에는 '신의 사자'라는 의미인 사타나엘이라고 불렸지만, 신의 형상을 거부한 후에는 지옥(타르타로스)을 관리하는 천사를 의미하는 사타나스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33]

4. 2. 예수에 대한 소송 (벨리알의 서)

법률에 정통했던 벨리알은 자신의 교묘한 변설을 무기로 예수를 고소했다.

신과 악마의 재판이라는 테마는 중세 시대에 널리 행해졌다. 이는 신 및 그리스도의 권위의 정당성이라는 신학적 문제를 소송 형태로 해결하여 기독교회의 권위와 정당성을 확립하려는 것이었다. 이 테마에 따라 기록된 문서 중 가장 유명한 것은 1382년 야코부스 데 테라모가 쓴 "이 불쾌한 벨리알의 서", 통칭 "'''벨리알의 서'''"이다.

벨리알은 지옥의 이익을 공인 대표로서 신에게 "예수라는 개인이 지옥의 권리에 간섭하여 지옥, 지상 및 그곳에 사는 자들의 지배권을 강탈했다"라고 소송했다. 예수는 모세를 변호인으로 세웠고, 소송은 재판관인 솔로몬이 재결하기로 했다. 벨리알은 재판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솔로몬의 비위를 맞추려 했지만, 판결은 예수에게 유리하게 났고, 벨리알은 항소했다.

야코부스 데 테라모의 『벨리알의 서』(1473년 판) 삽화. 솔로몬, 모세, 벨리알이 그려져 있다.


항소심에서 또 다른 재판관인 이집트 왕의 대리 요셉이 아우구스투스, 아리스토텔레스, 예레미야, 이사야로 구성된 위원회와 함께 문제를 논의했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예수는 무죄가 되었지만, 사탄에게는 최후의 심판 이후 지옥에 떨어질 불선한 자 모두에게 권위를 휘두를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5. 랍비 문학

탈무드와 랍비 문학에서 벨리알은 일반적으로 초자연적인 존재가 아닌, 악에 대한 비유적인 의인화로 해석된다. 이는 랍비의 악에 대한 해석과 같다. 토라에 나오는 "벨리알의 아들들"이라는 구절은 계속해서 널리 사용되었다.[31]

《텔리야 예슈》에서 벨리알이라는 이름은 미리암 막달라의 아들 예슈에게 부여되었으며, 이는 탈무드에서와 마찬가지로 바겐세일 판본에서 벤 스타다와 벤 판테라스라고도 불린다.

6. 오컬트

벨리알은 17세기 마법서인 『솔로몬의 작은 열쇠』에서 서열 68위의 강력한 왕으로, 80개 군단을 거느린 악마로 묘사된다.[36][37] 루시퍼 다음으로 창조된 천사이며, 불타는 전차를 타고 아름다운 천사의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한다.[39] 벨리알은 지위, 적과 아군의 도움, 훌륭한 사역마를 제공하지만, 소환자가 생명을 바치지 않으면 진실을 말하지 않는다고 한다.

하인리히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의 『은비철학』에서는 '부정의 그릇'이라 불리는 악마 위계의 제3위 군주로,[40] 『마법사 아브라멜린의 성스러운 마술서』에서는 루시퍼, 레비아탄, 사탄과 함께 4명의 상위 군주 중 하나로 언급된다.[41] 콜랭 드 플랑시의 『지옥 사전』에서는 벨리알을 지옥 궁정의 터키 대사라고 묘사한다.[42]

7. 영문학

존 밀턴실낙원에서 벨리알은 가장 음란하고 사악하며 폭력적인 타락천사 중 하나로 묘사된다.[43] 겉으로는 아름답고 위엄 있는 모습이지만, 실제로는 거짓과 허식으로 가득 차 있으며, 간악한 지혜에 능하다.[43] 밀턴은 "하늘에서 떨어진 천사들 가운데 그보다 더 수려한 천사는 없었다. 그는 태어나면서부터 위엄에 차있으며 고귀하고 용감한 행동을 과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모두 꾸며낸 허식에 지나지 않았다. …악덕함에는 약삭빠르나, 선행에는 게으르고 소심했다. 하지만, 다른 이를 선동하는 기술은 그야말로 따라올 이가 없었다."라고 표현했다.[43] 그는 어떤 저열한 내용이라도 교묘한 말재주로써 훌륭한 논리로 바꾸며, 사람의 귀를 간지럽게 하는 데 천재적이었다.[43]

로버트 브라우닝의 시 스페인 수도원의 독백에서 벨리알은 악마적인 존재로 언급된다.[3] 시의 여덟 번째 연에서 화자는 옴이 있는 프랑스 소설을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벨리알의 손아귀에 들어가는 것이라고 표현하며, 이는 벨리알이 악하고 유혹적인 존재임을 나타낸다.[3]

7. 1. 존 밀턴, 실낙원

존 밀턴실낙원에서 벨리알은 가장 음란하고 사악하며 폭력적인 타락천사 중 하나로 묘사된다.[43] 겉으로는 아름답고 위엄 있는 모습이지만, 실제로는 거짓과 허식으로 가득 차 있으며, 간악한 지혜에 능하다고 묘사된다.[43] 밀턴은 "하늘에서 떨어진 천사들 가운데 그보다 더 수려한 천사는 없었다. 그는 태어나면서부터 위엄에 차있으며 고귀하고 용감한 행동을 과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모두 꾸며낸 허식에 지나지 않았다. …악덕함에는 약삭빠르나, 선행에는 게으르고 소심했다. 하지만, 다른 이를 선동하는 기술은 그야말로 따라올 이가 없었다."라고 표현했다.[43] 그는 어떤 저열한 내용이라도 교묘한 말재주로써 훌륭한 논리로 바꾸며, 사람의 귀를 간지럽게 하는 데 천재적이었다. 그러나 그의 궤변은 그의 저속한 사상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한다.[43] 또한, 독자적인 신전을 갖지 않고 교회를 더럽혀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버린다고 나온다.[43]

밀턴은 『실낙원』에서 벨리알을 다음과 같이 노래한다.[32]

  • 제1권:

Belial came last, then whom a Spirit more lewd Fell not from Heaven, or more gross to love Vice for it self: To him no Temple stood Or Altar smoak'd; yet who more oft then hee In Temples and at Altars, when the Priest Turns Atheist, as did Ely's Sons, who fill'd With lust and violence the house of God. In Courts and Palaces he also Reigns And in luxurious Cities, where the noyse Of riot ascends above their loftiest Towrs, And injury and outrage: And when Night Darkens the Streets, then wander forth the Sons Of Belial, flown with insolence and wine. Witness the Streets of Sodom, and that night In Gibeah, when the hospitable door Expos'd a Matron to avoid worse rape.|벨리알이 마지막으로 왔는데, 그보다 더 음탕한 정신은 없었으니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았고, 스스로를 위해 죄악을 사랑하는 정신은 더욱 혐오스러웠다. 그를 위한 신전은 없었고 제단도 연기를 뿜지 않았지만, 누가 그보다 더 자주 신전에서 그리고 제단에서, 사제가 무신론자가 될 때, 엘리의 아들들이 그랬듯이, 욕정과 폭력으로 하나님의 집을 채웠는가. 그는 또한 궁정과 궁전에서 통치하며 폭동의 소란이 그들의 가장 높은 탑 위로 솟아오르는 사치스러운 도시에서, 그리고 폭력과 난폭함 속에서 통치한다. 그리고 밤이 거리를 어둡게 하면, 벨리알의 아들들이 오만함과 술에 취해 나선다. 소돔의 거리와 그 밤을 증언하라 기브아에서, 환대하는 문들이 더 심한 강간을 막기 위해 그들의 부인을 내주었다.영어

  • 제2권:

... on the other side up rose Belial, in act more graceful and humane; A fairer person lost not Heav'n; he seemd For dignity compos'd and high exploit: But all was false and hollow; though his Tongue Dropt Manna, and could make the worse appear The better reason, to perplex and dash Maturest Counsels: for his thoughts were low; To vice industrious, but to Nobler deeds Timorous and slothful: yet he pleas'd the eare,...|... 다른 한편으로는 벨리알이 일어섰는데, 행동이 더 우아하고 인간적이었다; 더 아름다운 사람은 하늘을 잃지 않았다. 그는 보였다 위엄과 숭고한 업적을 위해 구성되었다: 그러나 모든 것이 거짓되고 텅 비어 있었다; 그의 혀가 만나를 떨어뜨리고, 최악을 더 나은 이유로 보이게 할 수 있어서, 가장 성숙한 조언을 당황시키고 깨뜨렸다: 왜냐하면 그의 생각은 낮았기 때문이다; 죄악에 부지런했지만, 더 고귀한 행위에는 소심하고 게으름뱅이였다: 그러나 그는 귀를 즐겁게 했다...영어

밀턴은 "하늘에서 잃은 자 중 그 이상으로 단려한 천사는 없었다. 천성적으로 위엄에 차고, 고매하다"라고 그 아름다움을 칭찬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모두 거짓된 허식에 지나지 않았다"라고 부정한다.[32]

7. 2. 로버트 브라우닝, 스페인 수도원의 독백

로버트 브라우닝의 시 스페인 수도원의 독백에서 벨리알은 악마적인 존재로 언급된다.[3] 시의 여덟 번째 연에서 화자는 옴이 있는 프랑스 소설을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벨리알의 손아귀에 들어가는 것이라고 표현하며, 이는 벨리알이 악하고 유혹적인 존재임을 나타낸다.[3]

8. 대중문화

20세기 이후 벨리알은 영화, 소설,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매체에서 자주 등장했다. 특히 비디오 게임에서 벨리알은 강력한 보스 몬스터나 중요한 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비디오 게임 ''디아블로 3''에서 벨리알은 2막의 최종 보스로 등장한다. "거짓말의 군주"이자 "기만의 대가"로 알려진 벨리알은 세상을 지옥의 전초 기지로 만들려는 악마 군주 중 하나이다.[14]
  • 스퀘어 에닉스의 게임 ''파이널 판타지 택틱스: 사자 전쟁''에서 비에그라프라는 캐릭터는 신비한 돌의 힘을 사용하고, 이후 악마 "벨리알"에게 빙의된다.[14]
  • 웨스트우드 스튜디오의 PC 게임 ''랜드 오브 로어: 가디언즈 오브 데스티니''에서 벨리알은 악마적인 외모를 가진 사악한 신으로 묘사되며 주요 적대자로 등장한다.[14]
  • ''진 여신전생''과 ''페르소나'' 게임에서 벨리알은 전투에서 사용되는 악마 및 페르소나로 등장한다.[14]
  • ''그랑블루 판타지''에서 벨리알은 "타락한 천사"로, 주요 적대자 중 한 명으로 등장하며, 소환수로도 등장한다. 격투 게임 ''그랑블루 판타지 버서스''와 그 속편 ''그랑블루 판타지 버서스: 라이징''에서 벨리알은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이다.[14]


몇몇 작품에서는 벨리알의 이름이 변형되거나, 그의 속성을 가진 캐릭터가 등장하기도 한다.

  • ''울트라 시리즈''에서 벨리알은 악의적인 울트라맨인 울트라맨 베리알의 이름으로 등장한다.[14]
  • 애니메이션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다이너마이트 배틀''에서 주인공 벨 다이코쿠텐은 자신의 베이블레이드 이름을 다이너마이트 벨리알이라고 지었다.[14]

참조

[1] 사전 Belial
[2] 웹사이트 EarlyChristianWritings.com http://www.earlychri[...]
[3] 서적 Minor Prophets: Volume 2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0
[4] 서적 The Gnostic Bible http://gnosis.org/na[...] Shambhala 2009-06-30
[5] 서적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1993
[6] 웹사이트 JewishEncyclopedia.com: Belial http://jewishencyclo[...]
[7] 서적 The Epistles to the Corinthians [Gr. text] with notes and ... 1855
[8] 서적 'Reformed' Is Not Enough Canon Books 2002
[9] 서적 Exploring People of the Old Testament Kregel Publishing 2006
[10] 기타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2007
[11] 문서 1QM, Col. XIII (=4Q495 2), 10–12
[12] 서적 The Dead Sea Scrolls: Study Edition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19
[13] 문서 Dead Sea Scrolls 1QS III 20–25
[14] 간행물 When did Angels Become Demons?
[15] 문서 1Q33;1:1
[16] 서적 Jewish Literature between the Bible and the Mishna
[17] 문서 CD 4:13
[18] 문서 CD 4:17–18
[19] 웹사이트 Jubilees 15:32 http://www.pseudepig[...]
[20] 문서 Levi 19:1
[21] 문서 2:6, 3:1
[22] 문서 3:3
[23] 문서 18:12
[24] 문서 4:7–8
[25] 문서 Metzger
[26] 서적 The Old Enemy: Satan and the Combat Myth Princeton 1987
[27] 서적 Word Studies in the New Testament Part Three 2004
[28] 기타 Septuagint 1 Samuel 1:16
[29] 서적 Complete Works of Geoffrey Chaucer 2008
[30] 서적 Chaucer name dictionary: a guide to astrological, biblical, ... 1995
[31] 서적 The censor, the editor, and the text: the Catholic Church and the ... 2007
[32] 서적 『天使事典』
[33] 서적 『天使事典』
[34] 서적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1993
[35] 서적 『悪魔の事典』
[36] 웹사이트 The Lesser Key of Solomon http://www.sacred-te[...]
[37] 서적 悪魔の偽王国
[38] 웹사이트 The Lesser Key of Solomon http://www.sacred-te[...]
[39] 웹사이트 The Lesser Key of Solomon http://www.sacred-te[...]
[40] 웹사이트 De occulta philosophia libri tres http://www.esoterica[...]
[41] 문서 Four Superior Princes
[42] 서적 地獄の辞典
[43] 서적 판타지의 마족들 도서출판 들녘
[44] 서적 판타지의 마족들 도서출판 들녘
[45] 서적 타락천사 도서출판 들녘
[46] 서적 판타지의 마족들 도서출판 들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