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수마트라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수마트라주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서부에 위치한 주로, 미낭카바우족의 고향이다. 1347년 파가루융 왕국이 성립되었으며, 14세기부터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다가 16세기부터 이슬람교가 전파되어 이슬람 술탄국으로 변모했다. 17세기에는 아체 술탄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지원으로 독립했다. 이후 파드리 전쟁과 네덜란드의 식민 지배를 거쳐 일본 점령기를 겪고, 인도네시아 독립 후에는 중앙 수마트라주의 일부가 되었다가 1957년 주(州)로 승격되었다.
서수마트라는 면적이 42,119.54 km²이며, 바리산 산맥과 멘타와이 제도를 포함한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 열대 우림 기후이며, 멘타와이 제도에는 멘타와이족이 거주한다. 12개의 군(郡)과 7개의 시(市)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도는 파당이다. 주민의 대다수는 미낭카바우족이며, 미낭카바우어와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다.
경제는 농업, 소규모 산업, 서비스업, 광업, 은행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자연 경관, 미낭카바우족과 멘타와이족의 문화와 역사 등이 있으며, 파당 요리는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인기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수마트라주 - 파야쿰부
파야쿰부는 인도네시아 서수마트라에 위치한 도시로, 교통 수단으로 사고와 벤디를 이용하며, 하라우 계곡 등 관광 명소로 유명하고, 중국 난퉁 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서수마트라주 - 부키팅기
부키팅기는 서수마트라 주 아감 고원에 위치한 도시로, 아름다운 산악 경관과 온화한 기후를 자랑하며 식민지 시대 요새, 일본군 사령부, 독립 전쟁 임시 수도로서 역사적 중요성을 지니고, 현재는 미낭카바우 문화 체험과 다양한 명소를 제공하는 관광지이다. - 인도네시아의 주 - 자카르타
자카르타는 인도네시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고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며, 동남아시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이다. - 인도네시아의 주 - 서파푸아주
서파푸아주는 뉴기니섬 서쪽 지역에 위치한 인도네시아의 주로, 4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하며 다양한 문화와 언어가 발달했고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과 술탄국의 지배를 거쳐 네덜란드 식민 지배를 받았으며, 인도네시아에 편입되었지만 분리 독립 운동이 이어지고 있다.
| 서수마트라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 |
| 기본 정보 | |
| 공식 명칭 | 서수마트라 주 |
| 별칭 | (미낭카바우의 땅) |
| 표어 | (합의된 결과를 실행하는 데 동의) |
| 국가 | 인도네시아 |
| 지역 | 수마트라 |
| 주 승격일 | 1957년 8월 10일 |
| 중심지 | 파당 |
| 면적 | 42,119.54 km² |
| 인구 (2023년 추정치) | 5,757,210명 |
| 민족 구성 | 88% 미낭카바우족 4% 자바족 4% 바탁족 (주로 만달링족) 3% 기타 (멘타와이족, 화교 등) |
| 종교 | 97.4% 이슬람교 2.20% 기독교 0.35% 힌두교 0.06% 불교 |
| 언어 | 인도네시아어 (공용어) 미낭카바우어 (토착어) 멘타와이어 |
| 시간대 | 인도네시아 서부 표준시 (UTC+7) |
| ISO 코드 | ID-SB |
| 웹사이트 | 서수마트라 주 공식 웹사이트 |
| 행정 구역 | |
| 정부 | 서수마트라 주 정부 |
| 주지사 | 마힐디 안샤룰라 (PKS) |
| 지리 | |
| 최고 고도 | 3,805 m (크린치 산) |
| 경제 | |
| 명목 GDP (2022년) | Rp 285.4조 (13위) US$ 192억 Int$ 600억 (PPP) |
| 1인당 명목 GDP (2022년) | Rp 5,060만 (22위) US$ 3,407 Int$ 10,632 (PPP) |
| 경제 성장률 | 4.36% (증가) |
| 인적 개발 지수 (2024년) | 0.764 (높음) (6위) |
| 유네스코 세계유산 | |
| 유산 명칭 | 옴빌린 탄광 유산 |
| 등재 기준 | (ii), (iv) |
| ID | 1610 |
| 등재 연도 | 2019년 |
| 면적 | 268.18 ha |
| 완충 구역 | 7,356.92 ha |
2. 역사
1347년 파가루융 왕국(1347년~1833년)이 성립했다.[1]

미낭카바우 ''탐보(Tambo)''에 따르면, 서기 1세기부터 16세기 사이에 현재 서수마트라주에 존재했던 많은 소규모 왕국들은 단명했으며, 일반적으로 말라유 왕국 및 파가루융 왕국과 같은 더 큰 왕국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22]
말라유 왕국은 바탕 하리 강 상류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며, 서기 645년에 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케두칸 부킷 비문에 따르면, 이 왕국은 서기 682년에 스리위자야에 의해 정복되었다. 싱가사리 왕국의 파말라유 군사 원정 이후, 다라 징가는 아드와야와르만과 결혼했다. 아디티야와르만은 다라 징가와 아드와야와르만의 아들로, 나중에 파가루융 왕국의 왕이 되었다.[22]
서수마트라 지역의 힌두교-불교 영향은 13세기경 싱가사리 왕국의 케르타나가라에 의해 파말라유 원정 동안 시작되었고, 나중에 아디티야와르만과 그의 아들 아난가와르만의 통치 기간 동안 나타났다.[22] 아디티야와르만의 왕국은 중앙 수마트라 지역과 그 주변을 지배할 힘을 가지고 있었다.[23]
14세기 말 이후 이슬람의 전파는 미낭카바우 내륙 지역 사람들에게 비교적 새로운 현상을 가져왔다. 16세기 초, 1513년에서 1515년 사이에 쓰여진 ''수마 오리엔탈''은 세 명의 미낭카바우 왕 중에서 15년 전에 무슬림으로 개종한 한 명만 기록했다.[27] 17세기까지 파가루융 왕국은 이슬람 술탄국으로 변모했다. 미낭카바우 전통 문화에서 최초의 이슬람 왕은 술탄 알리프였다.[28]
이슬람이 들어오면서, 이슬람 가르침에 반하는 관습법은 이슬람 기반 관습법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부 아닷 시스템과 방법은 여전히 유지되어 파드리 전쟁으로 알려진 내전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처음에는 울라마와 미낭카바우 귀족, 전통 지도자인 ''아닷'' 사이에서 일어났으며, 나중에는 네덜란드가 이 전쟁에 참여했다.[29]

17세기 초, 파가루융 왕국은 아체 술탄국의 주권을 인정하고 수마트라 서해안에 지정된 아체 총독을 인정해야 했다.[30] 1666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서수마트라 해안에서 아체 술탄국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고, 아체의 영향력은 파가루융에서 약화되었다.[34]
나폴레옹 전쟁에서 네덜란드가 프랑스 편에 서면서 영국과 프랑스 간의 갈등이 발생했고, 영국은 네덜란드와 싸워 1795년에서 1819년 사이에 서수마트라 해안을 통제했다. 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 영국 총독은 파드리 전쟁이 시작된 1818년 파가루융을 방문하여 왕국의 수도가 전쟁으로 불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41] 1814년 영국과 네덜란드 간의 평화 협정 체결 후, 네덜란드는 1819년 5월 파당으로 재진입했고, 1824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을 통해 수마트라 섬과 파가루융에 대한 영향력을 재확인했다.
19세기 초, 파드리와 아다트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다. 파가루융 왕국은 혼란에 빠졌고, 1815년 투앙쿠 파사만의 지도하에 파드리가 파가루융을 공격하면서 전쟁이 절정에 달했다. 술탄 아리핀 무닝샤는 퇴위하여 수도에서 루북 잠비로 탈출해야 했다.[42][43] 파드리의 압력으로 파가루융 왕가는 네덜란드에 도움을 요청했다.[34] 1821년 2월 10일, 술탄 탕칼 알람 바가르샤는 파당에서 다른 19명의 전통 지도자들과 함께 파드리와 싸우기 위해 네덜란드와 협력하기로 합의했지만, 파가루융 왕국을 대신하여 합의할 자격은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44][32] 이 합의로 네덜란드는 파가루융 왕국이 네덜란드 정부에 항복한 것으로 간주했다.[29] 1833년 5월 2일, 술탄 탕칼 알람 바가르샤는 반역 혐의로 바투상카르에서 체포되어 바타비아(현재의 자카르타)로 유배되었다.[46]
서수마트라라는 이름은 베레에니그데 오스트인디스케 콤파니(VOC) 시대에 유래되었으며, 수마트라 서해안 지역에 대한 명칭은 "호프트콤토르 반 수마트라의 웨스트쿠스트(Hoofdcomptoir van Sumatra's Westkust)"였다. 파가루융 왕국의 몰락과 파드리 전쟁에 네덜란드가 개입하면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는 미낭카바우 내부를 "팍스 네덜란디카(Pax Nederlandica)", 즉 네덜란드의 감독하에 있는 지역으로 만들기 시작했고, 미낭카바우 지역은 ''레지던시 파당스체 베넨란덴''과 ''레지던시 파당스체 보벤란덴''으로 나뉘었다.[34]
일본령 동인도 시대 일본 점령기 동안, '레지던시 수마트라 스베스트코스트'는 '수마토라 니시 카이간 슈'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45년 인도네시아 독립 초기, 서수마트라 지역은 부키팅기에 기반을 둔 수마트라주에 편입되었다. 4년 후, 수마트라주는 북수마트라, 중앙 수마트라, 남수마트라의 세 주로 나뉘었다. 서수마트라, 리아우, 잠비는 중앙 수마트라주 내의 레지던시의 일부였다. PRRI 반란 동안, 1957년 중앙 수마트라주는 서수마트라주, 리아우주, 잠비주로 더욱 세분화되었다.
수마트라의 공산주의는 역사적으로 수마트라의 정치와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서수마트라의 파당, 파리아만, 실룽강, 사와흐 룬토, 알라한 판장 및 술리키는 특히 공산주의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으로 언급되었다.[52] PRRI 반란 동안, 반군들은 좌익 활동가들을 체포하여 서수마트라의 구금 캠프에 수용했다.
2. 1. 어원
서수마트라주는 미낭카바우족의 고향이자 기원지이므로 "부미 미낭카바우"(Bumi Minangkabau, 미낭카바우의 땅)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미낭카바우"라는 이름은 "미낭"(Minang, 이기다)과 "카바우"(Kabau, 소)라는 두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이 이름은 "탐보"(Tambo)로 알려진 미낭카바우 전설과 관련이 있다. "탐보"에 따르면, 한때 바다에서 온 외세 왕국(일반적으로 마자파힛 제국으로 해석됨)이 현재 서수마트라주를 정복하려 했다. 이 지역에서의 전쟁을 막기 위해, 지역 주민들은 외세 군대와 소 경주 대회를 제안했다. 외세 군대는 동의하고 크고 공격적인 소를 경주에 보낸 반면, 지역 사회는 젖을 먹고 있는 송아지를 경주에 보냈다. 경주에서 젖을 먹고 있던 송아지는 크고 공격적인 소를 어미로 생각했다. 그래서 송아지는 젖을 찾기 위해 즉시 크고 공격적인 소에게 달려들어 큰 소의 배를 찢어버렸다. 이 승리는 지역 주민들에게 "미낭카바우"라는 이름을 사용하도록 영감을 주었는데, 이는 "''마낭 카바우''"(Manang kabau, 소가 이기다)라는 구절에서 유래되었다.[11]"탐보"의 이야기는 파사이 왕들의 이야기|Hikayat Raja-raja Pasaims에서도 발견되며, 이 이야기는 이 승리로 인해 이전에는 "파리앙안"(Pariangan)이라고 불리던 나라가 "미낭카바우"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고 언급하고 있다.[12] 또한, "미낭카바우"라는 이름은 나가리 (마을), 즉 타나 다타르 군의 수낭양 구역에 위치한 "나가리 미낭카바우"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1365년에 기록된 마자파힛 제국의 역사 기록인 나가라크레타가마|Nagarakretagamakaw에도 "미낭카바와"(Minangkabwa)라는 이름이 마자파힛에 정복된 말레이 국가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다.[13] 마찬가지로 1405년의 명나라 연대기에도 영락제를 만나기 위해 난징으로 사절을 보낸 6개 왕국의 "미-낭-게-부"(Mi-nang-ge-bu)라는 왕실 이름이 등장한다.[14] 한편, "미낭"(Minang, 미낭가 왕국)이라는 이름 자체는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682년의 케두칸 부킷 비문에도 언급되어 있다. 비문에는 스리위자야 제국의 창시자 스리 자야나사가 "미낭가"(Minānga)라는 곳에서 출발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5] 이 비문의 출처를 참조하는 일부 전문가들은 4번째 줄의 단어(...''minānga'')와 5번째 줄의 단어(''tāmvan''...)이 실제로 통합되어 ''mināngatāmvan''이 되고, 쌍둥이 강이 만나는 지점으로 번역된다고 추측한다. 쌍둥이 강은 캄파르 강의 두 수원, 즉 캄파르 키리 강과 캄파르 카난 강의 합류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6] 그러나 이러한 가설은 네덜란드 인도학자 요하네스 하이스베르투스 데 카스파리스에 의해 부정되었는데, 그는 ''tāmvan''이 "만나는 지점"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이는 다른 스리위자야 유물에서도 발견될 수 있기 때문이다.[17]
2. 2. 선사 시대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지는 ''탐보'' 이야기에 따르면, 미낭카바우족의 조상은 이스칸다르 줄카르나인의 후손이었다고 한다.[18] 이 탐보 이야기는 미낭카바우족이 이스칸다르 줄카르나인의 후손 중 한 명인 상 사푸르바를 왕으로 모시기 위해 대표자를 보냈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말레이 연대기와 거의 유사하다.[19]미낭 공동체는 약 2,500~2,000년 전 남중국에서 수마트라섬으로 이주한 데우트로-말레이 공동체의 일부이다. 이 공동체는 수마트라 섬 동쪽에서 캄파르 강을 따라 미낭카바우족의 고향이 된 ''다레크''라고 불리는 고지대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20] 이 ''다레크'' 지역 중 일부는 ''루학''이라고 알려진 일종의 연합을 형성하며, 이는 ''루학 난 티고''로 불린다. ''루학 난 티고''는 ''루학 타나 데이터'', ''루학 아감'', ''루학 리모풀루 코토''로 구성된다. 네덜란드령 동인도 시대 동안 ''루학'' 지역은 미낭카바우족이 ''투안 루학''이라고 부르는 레지던트가 이끄는 ''아플델링''이라는 영토 정부 구역이 되었다.[18] 처음에는 미낭카바우족이 말레이족의 하위 그룹으로 포함되었지만, 19세기부터 미낭카바우족과 말레이족은 구별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말레이 사회가 채택한 부계 문화에 비해 지속된 미낭카바우족의 모계 문화 때문이다.[21]
2. 3. 식민지 이전 시대
미낭카바우 ''탐보(Tambo)''에 따르면, 서기 1세기부터 16세기 사이에 현재 서수마트라주에 존재했던 많은 소규모 왕국들은 단명했으며, 일반적으로 말라유 및 파가루융과 같은 더 큰 왕국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22]
말라유 왕국은 바탕 하리 강 상류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며, 서기 645년에 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케두칸 부킷 비문에 따르면, 이 왕국은 서기 682년에 스리위자야에 의해 정복되었다. 1183년에 캄보디아의 그라히 비문에 다시 등장했으며, ''네가라케르타가마''와 ''파라라톤''은 다르마스라야에 수도를 둔 말레이 왕국의 존재를 기록했다. 싱가사리 왕국 케보 아나브랑의 지휘하에 1275–1293년에 서수마트라에 대한 군사 원정인 파말라유가 있었다. 파당 로코 비문에 새겨진 ''아모가파사''에 기록된 왕국의 항복 이후, 파말라유는 다르마스라야 왕의 딸인 다라 페탁과 다라 징가와 함께 자바로 돌아갔다. 다라 페탁은 마자파힛의 왕이자 싱가사리 왕국의 후계자인 라덴 위자야와 결혼했으며, 다라 징가는 아드와야와르만과 결혼했다. 자야나가라는 라덴 위자야와 다라 페탁의 결혼에서 태어났으며, 그는 마자파힛의 두 번째 왕이 되었고, 아디티야와르만은 다라 징가와 아드와야와르만의 결혼에서 태어났으며, 그는 나중에 파가루융 왕국의 왕이 되었다.[22]
서수마트라 지역의 힌두교-불교의 영향은 13세기경 싱가사리 왕국의 케르타나가라에 의해 파말라유 원정 동안 시작되었고, 나중에 아디티야와르만과 그의 아들 아난가와르만의 통치 기간 동안 나타났다.[22] 아디티야와르만의 왕국은 중앙 수마트라 지역과 그 주변을 지배할 힘을 가지고 있었다.[23] 이는 바탕 하리 강 상류 (현재 다르마스라야 현의 일부)에서 발견된 아모가파사 조각의 뒷면에 기록된 아디티야와르만이 소유한 ''마하라자디라자''라는 칭호로 입증되었다. 바투상카르 비문은 아난가와르만을 불교의 탄트라 가르침 의식을 수행하는 유바라자로 언급했는데, 이는 헤바즈라라고 불리며, 아디티야와르만에서 그의 왕세자로의 권력 이양 의식이었다. 이는 1377년 중국 황제에게 ''산포치'' 지역의 통치자로서 인정을 요청한 산-포-치 사절에 관한 중국 연대기에 기인할 수 있다.[24] 중앙 수마트라의 일부 내륙 지역은 여전히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파당로코 사원, 파당라와스 사원, 무아라 타쿠스 사원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다. 이 지역은 이전에 아디티야와르만의 영토의 일부였다.[25]
14세기 말 이후 이슬람의 전파는 특히 부계 사회와 관련하여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미낭카바우 내륙 지역 사람들에게 비교적 새로운 현상을 가져왔다. 16세기 초, 1513년에서 1515년 사이에 쓰여진 ''수마 오리엔탈''은 세 명의 미낭카바우 왕 중에서 15년 전에 무슬림으로 개종한 한 명만 기록했다.[27] 파가루융에서의 이슬람의 영향은 16세기경 아체와 말라카에서 온 여행자와 종교 교사들을 통해 발전했다. 아체의 유명한 울라마 중 한 명인 압드 알-라우프 알-싱킬리는 파가루융에서 처음으로 이슬람을 전파한 것으로 여겨지는 성직자였다. 17세기까지 파가루융 왕국은 이슬람 술탄국으로 변모했다. 미낭카바우 전통 문화에서 최초의 이슬람 왕은 술탄 알리프였다.[28]
이슬람이 들어오면서, 이슬람의 가르침에 반하는 관습법이 이슬람 기반의 관습법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아닷 바산디 샤라크, 샤라크 바산디 키타불라''"라는 유명한 미낭카바우 관용구가 있는데, 이는 미낭카바우 아닷은 이슬람을 기반으로 하고, 이슬람은 꾸란을 기반으로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몇몇 경우, 몇몇 아닷의 시스템과 방법이 여전히 유지되어 파드리 전쟁으로 알려진 내전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처음에는 울라마와 미낭카바우 귀족과 전통적인 지도자였던 ''아닷'' 사이에서 일어났으며, 나중에는 네덜란드가 이 전쟁에 참여했다.[29]
이슬람은 또한 ''투안 카디''와 이슬람과 관련된 몇몇 다른 용어와 같은 정부 요소를 추가하면서 파가루융 왕국의 정부 시스템에 영향을 미쳤다.
2. 4. 식민지 시대
17세기 초, 파가루융 왕국은 아체 술탄국의 주권을 인정하고 수마트라 서해안에 지정된 아체 총독을 인정해야 했다.[30] 1665년경, 서해안의 미낭카바우인들은 아체 총독에 반란을 일으켰고, 미낭카바우 통치자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에 도움을 요청했다. VOC는 당시 금과 후추에 대한 아체의 독점을 종식시킬 기회를 잡았다.[31] 1666년, VOC는 서수마트라 해안에서 아체 술탄국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고, 아체의 영향력은 파가루융에서 약화되었다.[34]
1750년경, 파가루융 왕국은 파당에 있는 VOC의 존재를 싫어하기 시작했고, 벵쿨루에 있던 영국에게 네덜란드를 이 지역에서 몰아내도록 설득하려 했지만 영국은 응하지 않았다.[36] 1781년, 영국은 짧은 기간 동안 파당을 통제했고, 파가루융의 사신들은 영국이 파당에서 네덜란드를 몰아낸 것을 축하했다.[37][38]
나폴레옹 전쟁에서 네덜란드가 프랑스 편에 서면서 영국과 프랑스 간의 갈등이 발생했고, 영국은 네덜란드와 싸워 1795년에서 1819년 사이에 서수마트라 해안을 통제했다. 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 영국 총독은 파드리 전쟁이 시작된 1818년 파가루융을 방문하여 왕국의 수도가 전쟁으로 불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41] 1814년 영국과 네덜란드 간의 평화 협정 체결 후, 네덜란드는 1819년 5월 파당으로 재진입했고, 1824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을 통해 수마트라 섬과 파가루융에 대한 영향력을 재확인했다.
19세기 초, 파드리와 아다트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다. 파가루융 왕국은 혼란에 빠졌고, 1815년 투앙쿠 파사만의 지도하에 파드리가 파가루융을 공격하면서 전쟁이 절정에 달했다. 술탄 아리핀 무닝샤는 퇴위하여 수도에서 루북 잠비로 탈출해야 했다.[42][43] 파드리의 압력으로 파가루융 왕가는 네덜란드에 도움을 요청했다.[34] 1821년 2월 10일, 술탄 탕칼 알람 바가르샤(술탄 아리핀 무닝샤의 조카)는 파당에서 다른 19명의 전통 지도자들과 함께 파드리와 싸우기 위해 네덜란드와 협력하기로 합의했지만, 파가루융 왕국을 대신하여 합의할 자격은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44][32] 이 합의로 네덜란드는 파가루융 왕국이 네덜란드 정부에 항복한 것으로 간주했다.[29] 1824년, 네덜란드가 파드리로부터 파가루융을 점령한 후 술탄 아리핀 무닝샤는 파가루융으로 돌아왔지만, 1825년 사망하여 파가루융에 묻혔다.[32]
자바 전쟁에서 승리한 후, 네덜란드는 파드리를 정복하려 했다.[45] 그러나 네덜란드의 식민주의적 야망으로 인해 아다트와 파드리는 비밀리에 차이를 잊고 네덜란드를 몰아내기 위해 힘을 합쳤다. 1833년 5월 2일, 술탄 탕칼 알람 바가르샤는 반역 혐의로 바투상카르에서 체포되어 바타비아(현재의 자카르타)로 유배되었다.[46]
서수마트라라는 이름은 베레에니그데 오스트인디스케 콤파니(VOC) 시대에 유래되었으며, 수마트라 서해안 지역에 대한 명칭은 "호프트콤토르 반 수마트라의 웨스트쿠스트(Hoofdcomptoir van Sumatra's Westkust)"였다. VOC의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18세기까지 이 행정 구역에는 바루스에서 인데라푸라까지 수마트라 서해안이 포함되었다.[49] 파가루융 왕국의 몰락과 파드리 전쟁에 네덜란드가 개입하면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는 미낭카바우 내부를 "팍스 네덜란디카(Pax Nederlandica)", 즉 네덜란드의 감독하에 있는 지역으로 만들기 시작했고, 미낭카바우 지역은 ''레지던시 파당스체 베넨란덴''과 ''레지던시 파당스체 보벤란덴''으로 나뉘었다.[34]
2. 5. 일본 점령과 독립
일본령 동인도 시대 일본 점령기 동안, '레지던시 수마트라 스베스트코스트'는 '수마토라 니시 카이간 슈'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군사 지리 전략에 따라 캄파르 지역은 '수마토라 니시 카이간 슈'에서 분리되어 '리오 슈'의 영토로 편입되었다.[50]1945년 인도네시아 독립 초기, 서수마트라 지역은 부키팅기에 기반을 둔 수마트라주에 편입되었다. 4년 후, 수마트라주는 북수마트라, 중앙 수마트라, 남수마트라의 세 주로 나뉘었다. 서수마트라, 리아우, 잠비는 중앙 수마트라주 내의 레지던시의 일부였다. PRRI 반란 동안, 1957년 비상 법률 19호에 따라 중앙 수마트라주는 서수마트라주, 리아우주, 잠비주로 더욱 세분화되었다. 이전에는 케린치의 남수마트라군에 포함되었던 케린치 지역은 별도의 군으로 잠비주에 편입되었다. 마찬가지로, 캄파르, 로칸 훌루 및 쿠안탄 싱잉기 지역은 리아우주의 일부로 지정되었다.[51]
수마트라의 공산주의는 역사적으로 수마트라의 정치와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서수마트라의 파당, 파리아만, 실룽강, 사와흐 룬토, 알라한 판장 및 술리키는 특히 공산주의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으로 언급되었다.[52] PRRI 반란 동안, 반군들은 좌익 활동가들을 체포하여 서수마트라의 구금 캠프에 수용했다. PKI 간부들은 시투주와 술리키에 구금되었고, 무르바 당의 추종자들과 다른 그룹들은 무아라 라부 캠프에 구금되었다.[53] 우연히, 저명한 반공주의자이자 종교 지도자인 하지 압둘라 아흐마드는 공산주의가 활발했던 미낭카바우 고원 출신이었다. 1965년-1966년 인도네시아 학살 동안에도 많은 반공주의적 불만이 발생했는데, 예를 들어 PKI가 조직한 불법 점유자 운동과 수마트라 농장의 외국 기업에 대한 캠페인은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빠른 보복을 유발했다. PKI 혐의자 및 동조자에 대한 탄압은 수년간 계속되었다. 1976년까지 수마트라에서는 공산주의 노동조합인 사르부프리의 전 구성원들에 대한 대규모 해고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조치는 이들의 공산주의 과거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
3. 지리
서수마트라는 수마트라 서부 해안 중앙에 위치하며 면적은 42119.54km2이다. 지형은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뻗어 있는 바리산 산맥에 의해 형성된 평야, 산악 화산 고원과 멘타와이 제도라고 불리는 해안 섬 군도로 이루어져 있다. 서수마트라 해안선은 인도양과 마주하며 북서쪽의 북수마트라 주에서 남동쪽의 벵쿨루까지 375km 뻗어 있다.
서수마트라에는 마닌자우 (99.5km2), 싱카라크 (130.1km2), 디아타스 (31.5km2), 디바와 (14km2), 탈랑 (5km2) 등의 호수가 있다. 대부분의 강은 말라카 해협으로 흘러 들어가는데, 바탕하리, 캄파르, 옴빌린, 시나마르 등이 대표적이다. 쿠란지, 아나이, 아라우 등은 인도양으로 흘러 들어간다.
서수마트라의 주요 산과 화산으로는 케린치 (3805m), 탈라크마우 (2912m), 마라피 (2891m), 싱갈랑 (2877m), 탈랑 (2572m), 탄디카트 (2438m), 사고 (2271m) 등이 있다.
서수마트라는 유라시아 판과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이 만나는 지점과 그레이트 수마트라 단층 사이에 위치하여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다.[54] 2009년 수마트라 지진, 2010년 멘타와이 지진 및 쓰나미와 같은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으며,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의 피해를 입기도 했다.
3. 1. 기후
이 지역은 인도네시아의 다른 대부분의 주와 마찬가지로 열대 몬순 기후를 보인다. 일년 내내 우기와 건기의 두 계절의 영향을 받는다. 기온은 24.7°C~32.9°C이며, 습도는 82%에서 88% 사이이다. 우기는 10월에서 4월까지이다. 강수량은 2,100mm에서 3,264mm 사이로 변화하며, 12월이 강수량이 가장 많은 달이다. 건기는 보통 6월에서 9월 사이에 시작된다.서수마트라의 계절은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과 유사하며, 건기와 우기 두 계절만 있다. 6월부터 9월까지는 호주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으로 수증기가 적어 건기가 된다. 반대로 12월부터 3월까지는 아시아와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으로 수증기가 많아 우기가 된다. 이러한 조건은 4월-5월과 10월-11월 사이의 과도기를 거쳐 매 반년에 한 번씩 발생한다.
파당시는 연중 강수량이 잦아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습한 도시 중 하나이다.
서수마트라는 인도네시아의 다른 대부분의 주와 마찬가지로 열대 우림 기후(쾨펜 기후 구분 ''Af'')를 보이며 열대 몬순 기후와 인접해 있다. 기후는 주변 바다와 편서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평균 기온이 높고 평균 강수량이 많다.
3. 2. 동식물
서수마트라주는 울창한 열대 우림 지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곳에는 라플레시아 아르놀디(세계 최대의 꽃), 수마트라 호랑이, 시아망, 말레이맥, 수마트라 세로우, 러사 사슴, 말레이곰, 보르네오 구름표범 등 다양한 종과 수많은 조류, 나비가 서식한다.이 지역에는 시베루트 국립공원과 케린치 세블라트 국립공원 두 곳의 국립공원과 더불어, 림보 판티 자연 보호구역, 바탕 팔루푸 자연 보호구역, 렘바 아나이 자연 보호구역, 렘바 하라우 자연 보호구역, 붕 하타 대삼림 공원, 베링인 삭티 자연 보호구역 등 여러 자연 보호 구역이 있다.
4. 행정 구역
서수마트라주는 12개의 군(kabupaten)과 7개의 시(kota)로 나뉜다. 주지사와 부지사는 5년 임기로 주민들이 직접 선출하며, 주지사는 지역 정부의 역할 외에도 주 내 중앙 정부의 대표 역할도 수행한다.[57]
1979년까지 서수마트라주의 가장 작은 행정 단위는 나자리였으나, 1979년 마을 통치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나자리는 폐지되고 마을로 대체되었다. 하지만 2001년 정부 개혁 이후 다시 '나자리'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나자리는 자율적인 정부 구조이며, 명확한 영토를 가지고, 구성원의 삶을 규제하는 관습법을 따른다. 나자리 수호자는 주민들이 6년 임기로 직접 선출한다.[57]
4. 1. 군
서수마트라주는 1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0년 인구 조사[58]와 2020년 인구 조사,[8] 그리고 2023년 중반 기준의 공식 추정 인구와 함께 면적은 아래 표에 나열되어 있다.[59]| 지역 코드 | 군 이름 | 군청 소재지 | 면적 (km2) | 2010년 인구 조사 | 2020년 인구 조사 | 2023년 중반 추정 인구 |
|---|---|---|---|---|---|---|
| 13.01 | 멘타와이 제도 군 | 투아 페자트 | 5983.22km2 | 76,173 | 87,623 | 91,427 |
| 13.02 | 페시시르 셀라탄 군 | 파이난 | 6045.65km2 | 429,246 | 504,418 | 525,355 |
| 13.03 | 솔록 군 | 아로 수카 | 3590.4km2 | 348,566 | 391,497 | 405,375 |
| 13.04 | 시준중 군 | 무아로 시준중 | 3150.58km2 | 201,823 | 235,045 | 243,709 |
| 13.05 | 타나 다타르 군 | 바투상카르 | 1377.19km2 | 338,494 | 371,704 | 383,676 |
| 13.06 | 파당 파리아만 군 | 파리트 말린탕 | 1342.27km2 | 391,056 | 430,626 | 451,388 |
| 13.07 | 아감 군 | 루부크 바숭 | 2226.27km2 | 454,853 | 529,138 | 530,123 |
| 13.08 | 리마 풀루 코타 군 | 사릴라막 | 3273.41km2 | 348,555 | 383,525 | 396,427 |
| 13.09 | 파사만 군 | 루부크 시카핑 | 3902.44km2 | 253,299 | 299,851 | 313,199 |
| 13.10 | 남솔록 군 | 파당 아로 | 3282.14km2 | 144,281 | 182,077 | 191,540 |
| 13.11 | 다르마스라야 군 | 풀라우 푼중 | 2920.93km2 | 191,422 | 228,591 | 239,918 |
| 13.12 | 서파사만 군 | 심팡 암펙 | 3852.99km2 | 365,129 | 431,672 | 450,050 |
4. 2. 시
서수마트라주에는 7개의 자치시가 있으며, 이들은 어떤 군에도 속하지 않는다. 2010년 인구 조사[58], 2020년 인구 조사[8], 2023년 중반 기준 공식 추정 인구[59]에 따른 각 시의 면적과 인구는 아래 표와 같다.| 지역 코드 | 도시 이름 | 면적 (km2) | 2010년 인구 조사 | 2020년 인구 조사 | 2023년 중반 추정 인구 |
|---|---|---|---|---|---|
| 13.71 | 파당 시 | 694.34km2 | 833,562 | 909,040 | 942,938 |
| 13.72 | 솔록 시 | 58.72km2 | 59,396 | 73,438 | 77,842 |
| 13.73 | 사와흘룬토 시 | 231.95km2 | 56,866 | 65,138 | 67,760 |
| 13.74 | 파당 판장 시 | 23.56km2 | 47,008 | 56,311 | 58,627 |
| 13.75 | 부키팅기 시 | 24.17km2 | 111,312 | 121,028 | 124,050 |
| 13.76 | 파야쿰부 시 | 74.55km2 | 116,825 | 139,576 | 144,830 |
| 13.77 | 파리아만 시 | 64.77km2 | 79,043 | 94,224 | 97,206 |
5. 인구
인도네시아 통계청에서 발행한 2020년 인도네시아 인간 개발 보고서에 따르면, 서수마트라 주의 도시 및 군의 HDI 순위는 다음과 같다.[60]
| 순위 | 도시 / 군 | HDI 점수 (2020) |
|---|---|---|
| 매우 높은 인간 개발 | ||
| 1 | 파당 시 | 0.828 |
| 2 | 부키팅기 시 | 0.805 |
| 높은 인간 개발 | ||
| 3 | 파야쿰부 시 | 0.789 |
| 4 | 솔록 시 | 0.782 |
| 5 | 파당판장 시 | 0.779 |
| 6 | 파리아만 시 | 0.769 |
| 7 | 사왈룬토 시 | 0.726 |
| 8 | 아감 군 | 0.724 |
| - | 서수마트라 | 0.723 |
| 9 | 타나 다타르 군 | 0.723 |
| 10 | 다르마스라야 군 | 0.715 |
| 11 | 파당 파리아만 군 | 0.706 |
| 중간 인간 개발 | ||
| 12 | 페시시르 셀라탄 군 | 0.699 |
| 13 | 리마 풀루흐 코타 군 | 0.694 |
| 14 | 솔록 군 | 0.690 |
| 14 | 남솔록 군 | 0.690 |
| 16 | 서파사만 군 | 0.684 |
| 17 | 시준중 군 | 0.677 |
| 18 | 파사만 군 | 0.666 |
| 19 | 멘타와이 제도 군 | 0.610 |
다르마스라야 군은 신설된 군 중에서 100점 만점에 최고 점수인 59.43점을 받았다.[61]
1999년 개혁과 2001년 지역 자치제 시행 이전에는 지구 행정부 산하 최하위 지방 정부 단위가 자바 모델의 마을인 ''desa''였다. 지역 자치제 하에서는 인도네시아 다른 지역의 마을보다 더 큰 전통적인 미낭카바우 ''나가리''가 ''desa''를 대신하여 재도입되었다.[62][63]
서수마트라 주는 인민 대표 위원회 의원 선출을 위한 인도네시아의 84개 전국 선거구 중 2개로 구성된다. '''서수마트라 I 선거구'''는 멘타와이 제도, 페시시르 셀라탄, 솔록, 시준중, 타나 다타르, 남솔록, 다르마스라야 군과 파당판장, 파당, 솔록, 사왈룬토 시로 구성되어 8명의 의원을 선출한다. '''서수마트라 II 선거구'''는 파당 파리아만, 아감, 리마 풀루흐 코타, 파사만, 서파사만 군과 부키팅기, 파리아만, 파야쿰부 시로 구성되어 6명의 의원을 선출한다.[64]
5. 1. 민족
중앙 통계청(Badan Pusat Statistik)에 따르면, 2010년 서수마트라주 인구의 88%가 미낭카바우족이었다.[58] 바탁족(주로 만다일링 하위 민족)과 자바족이 각각 4%를 차지했고, 멘타와이족은 1%였다.[58]2015년에는 주민의 약 44.2%가 도시 지역에 거주했다.[65] 서수마트라의 도시 인구는 주로 주 중서부 해안과 미낭카바우 고원에 집중되어 있다. 인구 10만 명이 넘는 도시는 3곳으로, 파당 (942,940명), 파야쿰부 (144,830명), 부키팅기 (124,050명)이다.[66]
| 연도 | 인구 |
|---|---|
| 1971년 | 280만 명 |
| 1980년 | 340만 명 |
| 1990년 | 400만 명 |
| 2000년 | 425만 명 |
| 2010년 | 485만 명 |
| 2020년 | 553만 명 |
5. 2. 언어
미낭카바우족의 고향인 서수마트라주에서는 미낭카바우어를 사용하며 주로 이슬람교를 믿는다. 서수마트라 사람들은 역사적으로 인도네시아 이슬람 공동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67] 오늘날까지 이 지역은 인도네시아의 이슬람교 강력 거점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들은 상인, 지식인, 그리고 정치 감각이 뛰어난 사람들로 명성이 높으며, 인도네시아 전역에 그들의 문화, 언어, 요리, 그리고 신념을 성공적으로 전파하였다.[68]멘타와이인들은 수마트라 서부 해안에 위치한 멘타와이 제도에 거주하며, 이곳은 또한 서수마트라주의 원주민들이 사는 곳이다. 그들은 멘타와이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인도네시아어나 미낭카바우어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 소수의 멘타와이인들은 현재 기독교인이다. 멘타와이 제도에서는 인구의 대다수가 멘타와이인이기 때문에 미낭카바우인을 찾아보기 드물다.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은 파당, 부키팅기, 파야쿰부와 같은 대도시에만 존재한다. 파당과 파리아만에는 소수의 니아스인과 타밀인도 있다.[69]
5. 3. 종교
서수마트라 주에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미낭카바우어의 여러 방언(부키팅기 방언, 파리아만 방언, 남부 해안 방언, 파야쿰부 방언 등)이다. 북수마트라와 접경한 파사만 및 서파사만 지역에서는 바탁 만다일링 방언도 사용된다. 멘타와이 제도에서는 멘타와이어가 널리 사용되며, 파당에 거주하는 타밀족은 타밀어를 사용한다.인도네시아어는 제2 언어로서 교육 및 민족 간 의사소통에 사용되며 널리 이해되고 있다.
6. 문화
서수마트라 주민의 97%가 이슬람교를 믿고 있으며, 멘타와이 제도를 중심으로 기독교는 약 2.2%, 불교는 약 0.26%, 힌두교는 약 0.01% 정도 분포한다. 힌두교와 불교는 주로 이주민들이 믿는다.
서수마트라 주의 모든 군과 시에는 모스크와 무살라 등 다양한 예배 장소가 있다. 가장 큰 모스크는 파당에 있는 서수마트라 대모스크이며, 가장 오래된 모스크는 파당의 간팅 대모스크와 솔록 군의 투오 카유 자오 모스크이다. 모스크와 무살라의 형태는 전형적인 미낭카바우 건축 양식을 따르는데, 서수마트라 대모스크는 미낭 조각과 서예로 장식된 곤종 모양의 건물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지붕이 있으며,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오목해지는 형태의 모스크도 있다.
미낭카바우족의 전통 가옥은 ''루마 가당''이라고 불린다. ''루마 가당''은 부족 내 부모 가문에 속하는 토지에 지어지며,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다.[73] ''루마 가당'' 단지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예배 장소이자 미혼 성인 남성의 거주지 역할을 하는 ''수라우''도 일반적으로 지어진다. ''루마 가당''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지며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일반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진다. 물소 뿔처럼 눈에 띄는 독특한 지붕(곤종)이 있는 말뚝집 형태인데, 이 지붕은 원래 팜 섬유로 만들어졌으나 나중에는 아연 지붕으로 바뀌었다.[74] 현지 공동체에 따르면 이 ''루마 바곤종''은 조상들이 배를 타고 바다에서 왔다는 것을 알려주는 '탐보'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전통 가옥의 또 다른 특징은 쇠못을 사용하지 않고 나무 못을 사용한다는 점이다.[75][76]
멘타와이족도 땅에서 최대 1m 높이의 바닥 높이를 가진 큰 말뚝집 형태의 전통 가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우마''라고 한다.[77] ''우마''는 5~10가구가 공동으로 거주하며, 못을 사용하지 않고 나무와 상호 연결 시스템으로 조립된다.
서수마트라주의 전통 무기는 호랑이 발톱 모양의 크리스와 카람빗이다. 크리스는 주로 남성이 사용하며, 특히 공식 행사나 결혼식(''바렐렉'')에서 사용된다. 카람빗은 짐승의 발굽에서 영감을 얻은 작고 날카로운 무기로, 미낭 실랏 전사들이 단거리 전투에서 사용한다. 특히 호랑이 무술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비밀 무기로 사용된다. 창, 장검, 화살, 젓가락 등 다양한 유형의 무기도 사용되었다.
6. 1. 전통 음악
미낭카바우의 뉘앙스가 담긴 서수마트라 주의 모든 음악은 현재 어떤 유형의 음악과 섞여도 지역 사회에 유통되는 모든 노래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는 미낭 음악이 어떤 종류의 음악과도 조화를 이루어 듣기 좋고 대중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뉘앙스를 부여하는 음악적 요소는 전통 악기인 살루앙, 반시, 탈렘퐁, 라밥, 푸푸익, 세루나이, 간당 타부익으로 구성된다.또한 살루앙을 동반한 창법인 '살루앙 조 덴당'도 있으며, 이는 '시조방'으로도 알려져 있다.[70]
이 지역의 기악 및 노래 형태의 미낭카바우 음악은 일반적으로 애절하다. 이는 해외로 나가는 습관에 의해 뒷받침되는 높은 형제애, 친족 관계 및 조국애를 가진 공동체의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서수마트라 주의 음악 산업은 현대 음악을 전통 미낭카바우 음악에 융합할 수 있는 미낭카바우 예술가들의 등장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 서수마트라 주의 현대 미낭 음악 발전은 1950년대 구마랑 오케스트라의 탄생과 함께 시작되었다. 엘리 카심, 티아르 라몬, 누르세하는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잘 알려진 서수마트라 가수들이다. 현재 서수마트라의 가수, 작곡가 및 음악 스타일리스트는 PAPPRI (인도네시아 가수 음악 작곡가 협회)와 PARMI (인도네시아 미낭 예술가 협회)의 후원을 받고 있다.
미낭 음악 산업을 지원하는 서수마트라 주의 음반 회사로는 파당에 위치한 Tanama Record, Planet Record, Pitunang Record, Sinar Padang Record, Caroline Record, 부키팅기에 위치한 Minang Record, Gita Virma Record 등이 있다.

6. 2. 전통 무용
서수마트라주의 춤은 크게 미낭카바우족과 멘타와이족의 전통에서 유래한다. 미낭카바우 춤은 이슬람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모계 사회의 독특함과 공동체의 이주 습관 또한 고전 무용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인 춤으로는 ''따리 빠삼바'', ''따리 삐링'', ''따리 쁘아융'', ''따리 인당'' 등이 있다. 미낭카바우족은 ''실렉''이라 불리는 무술과 춤, 노래, 연극이 결합된 ''란다이''라는 독특한 공연도 선보인다.[71]멘타와이족의 전통 춤은 ''투룩 라가이''라고 불린다. ''투룩 랑가이''는 주로 동물의 행동을 묘사하며, 춤의 제목도 동물의 이름을 따라 ''따리 부룽''(새), ''따리 모냣''(원숭이), ''따리 아얌''(닭), ''따리 울라르''(뱀) 등으로 불린다.[72]
6. 3. 전통 가옥
미낭카바우족의 전통 가옥은 ''루마 가당''이라고 불린다. ''루마 가당''은 일반적으로 부족 내 부모 가문에 속하는 토지에 지어지며,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다.[73] ''루마 가당'' 단지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예배 장소이자 미혼 성인 남성의 거주지 역할을 하는 ''수라우''도 일반적으로 지어진다. ''루마 가당''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지며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일반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진다. 언뜻 보면 물소 뿔처럼 눈에 띄는 독특한 지붕이 있는 말뚝집처럼 보이는데, 현지인들은 이를 ''곤종''이라고 부르며, 이 지붕은 원래 팜 섬유로 만들어졌으나 나중에는 아연 지붕으로 바뀌었다.[74] 현지 공동체에 따르면 이 ''루마 바곤종''은 조상들이 배를 타고 바다에서 왔다는 것을 알려주는 '탐보'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전통 가옥의 또 다른 특징은 쇠못을 사용하지 않고 나무 못을 사용한다는 점이지만, 결합제로서 충분히 튼튼하다.[75][76]한편, 멘타와이족도 땅에서 최대 1m 높이의 바닥 높이를 가진 큰 말뚝집 형태의 전통 가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우마''라고 한다.[77] ''우마''는 5~10가구가 공동으로 거주한다. 일반적으로 이 우마 구조는 못을 사용하지 않고 나무와 상호 연결 시스템으로 조립된다.
6. 4. 전통 무기
서수마트라주의 전통 무기는 호랑이 발톱 모양의 크리스와 카람빗이다. 크리스는 주로 남성이 사용하며, 특히 공식 행사나 결혼식에서 사용된다. 지역에서는 결혼식에서 신랑이 크리스를 사용하는 것을 ''바렐렉''이라고 부른다. 카람빗은 짐승의 발굽에서 영감을 얻은 작고 날카로운 무기로, 미낭 실랏 전사들이 단거리 전투에서 사용한다. 특히 호랑이 무술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비밀 무기로 사용된다. 창, 장검, 화살, 젓가락 등 다양한 유형의 무기도 사용되었다.7. 경제
2009년 수마트라 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서수마트라 주의 경제는 점차 회복되어 긍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09년 4분기 경제 성장은 0.90%에 불과했지만, 2022년에는 4.36%로 성장하여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이러한 성장에 힘입어 빈곤율도 2020년 6.28%에서 2022년 5.92%로 감소했다.[78] 2022년 지역 총생산(GRDP)은 285.4조인도네시아 루피아이며, 1인당 GDP는 5600만인도네시아 루피아였다.
경제 성장과 함께 노동 시장도 개선되고 있다. 2024년 2월 서수마트라 주의 노동 인구는 309만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6,780명 증가했다. 실업률은 5.90%에서 5.79%로 감소했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4.82%)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노동 인구의 상당수는 농업 분야에 종사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전체 노동 인구의 29.27%가 농업 분야에 고용되었다. 상업 분야의 고용 비율 또한 2023년 19.83%에서 2024년 22.81%로 증가했다.
7. 1. 농업

2012년 4분기에 농업 부문은 식량 작물 하위 부문의 확장에 힘입어 비교적 높은 성장을 경험했다. 이 분기 농업 부문의 성장률은 4.14%로, 이전 분기의 2.05%보다 높았다. 2012년의 좋은 농장 부문 실적은 농업 산업의 4.07% 성장을 지속시켰다.[1]
7. 2. 가공 산업

서수마트라 산업은 소규모 산업 또는 가구가 지배적이다. 2001년 기준으로 산업체 수는 47,819개이며, 이 중 소규모 산업체가 47,585개, 대규모 중규모 산업체가 234개로 203:1의 비율을 보인다. 같은 해 대규모 중규모 산업 투자는 3.52조인도네시아 루피아로 전체 투자의 95.60%를 차지한 반면, 소규모 산업 투자는 1.412조인도네시아 루피아로 전체 투자의 4.40%에 그쳤다. 2001년 대규모 중규모 산업 생산액은 1.623조인도네시아 루피아로 전체 생산액의 60%를 차지했고, 소규모 산업 생산액은 1.09조인도네시아 루피아로 전체 생산액의 40%를 차지했다.
시멘트 가공 산업의 경우, 2012년 서수마트라의 생산량은 6,522,006톤으로 전년도(6,151,636톤)보다 증가했다. 2012년 판매량은 6,845,070톤으로 전년도(6,211,603톤)보다 10.20% 증가했다.
7. 3. 서비스업
서수마트라주의 경제 회복은 지진 피해 복구와 세계 경제, 특히 수마트라 중부 지역의 경제 회복에 힘입어 서비스 부문(7.38%)의 성장을 이끌었다. 서수마트라주에서 중요한 서비스 부문은 금융, 호텔, 레스토랑, 여행사 등이다. 지난 3년간 서수마트라주의 호텔 성장은 상당히 빠르게 진행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 수가 증가하는 추세와 일치한다. 2012년 한 해 동안 서수마트라주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36,623명으로, 전년도 33,827명보다 8.27% 증가했다.[1]7. 4. 광업
서수마트라주는 A, B, C 그룹의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A 그룹 광물 자원인 석탄은 사와흘룬토 시에서 발견된다. B 그룹 광물 자원은 수은, 유황, 철사, 구리, 납, 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준중, 다르마스라야, 솔록, 남솔록, 리마풀루 코타, 파사만, 타나 다타르에 분포되어 있다. C 그룹의 광물 자원은 모든 군과 시에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모래, 돌, 자갈로 구성되어 있다.7. 5. 은행업
2012년 4분기 서수마트라주의 각종 은행 지표는 지진 이후 경제 상황이 회복되면서 함께 개선되었다. 2012년 주 상업 은행의 총자산은 40.1조원에 달했고, 상업 은행의 대출액은 33.8조원에 달했다. 한편, 주 농촌 은행의 총자산은 1.53조원에 달했고, 은행의 대출액은 1.03조원에 달했다.8. 교통

서수마트라주는 2005년 7월에 개항한 미낭카바우 국제공항을 통해 운송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며, 이 공항은 파당에서 북서쪽으로 23km 떨어진 파당 파리아만 군 케타핑에 있다. 이 공항은 쿠알라룸푸르로 가는 직항 국제선과 인도네시아의 대부분의 주요 도시로 가는 노선을 운행한다.
주요 도로로는 트랜스 수마트라 고속도로가 있으며, 이 도로는 주 전체를 관통하며 북서쪽으로는 메단, 남동쪽으로는 자카르타로 이어진다. 또한 파당과 부키팅기 사이의 도로, 부키팅기와 페칸바루 사이의 도로가 있다. 주 정부는 향후 몇 년 동안 이 두 도로를 개선하여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할 계획이다.[79]
2012년 1월, 970m 길이의 켈록 9 고가도로가 대중에게 공개될 준비를 마쳤으며, 2012년 4월에 차량 운행을 시작하는 시범 단계를 거쳤다. 켈록 9는 9개의 급커브를 의미하며, 좁은 굽이길이 계곡 중간의 구릉 지형을 통과하는 지역으로,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지만 교통 체증을 유발한다.[80] 고가도로가 개통된 후에도 관광객을 위해 기존의 켈록 9 도로와 새로운 켈록 9 도로가 모두 개방되어 있다.
파당과 부키팅기, 그리고 수마트라의 다른 주요 도시 간에는 정기적인 버스 노선이 운행된다. 주 내의 다른 대중교통 수단으로는 기차, 오플렛, 택시, 말 마차(''벤디'')가 있다.
파당에 있는 텔루크 바유르 항구는 수마트라 서해안에서 가장 크고 분주한 항구이다. 이곳은 서수마트라에서 생산된 상품뿐만 아니라 인근 주의 일부 지역에서 생산된 상품을 수출하는 데 사용된다.
기차는 파당과 파리아만 사이를 하루 4번 왕복 운행하며, 공항 철도는 파당과 카유타남 노선을 운행한다.
9. 관광


서수마트라주의 주요 관광 명소는 자연 환경과 미낭카바우족, 멘타와이족의 문화와 역사이다.
본토의 자연 명소로는 고지대의 열대 우림, 산, 화산, 호수, 계곡, 강과 폭포, 동식물, 그리고 파당 주변의 해변이 있다. 많은 지역이 국립 공원 및 보호 구역의 일부로 보호되고 있다. 부키팅기는 건축, 공예, 춤, 음악, 음식을 포함한 미낭카바우족의 문화와 역사를 탐험하기 위한 고지대의 인기 있는 중심지이며, 많은 박물관과 문화 센터가 있다. 파리아만에는 유명한 축제 중 하나인 타부익이 있다. 멘타와이 제도는 서퍼와 멘타와이족의 문화와 더 원시적인 생활 방식을 경험하려는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여행지이다. 서수마트라 관광 개발을 위해 2006년 정부는 파당 - 파당판장 - 사와룬토 간 관광 열차 철도 서비스를 개통했다. 싱카라크 투어 국제 사이클 경주는 서수마트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 수를 증가시켰다.[81] 외국인 관광객의 대다수는 말레이시아인과 호주인이다.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 자မ် 가당 - 부키팅기 시내의 시계탑
- 파노라마 - 시아노크 계곡 조망
- 에어 마니 해변 - 파당 해안의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 있는 해변
- 파당 산
- 캐롤라인 해변
- 바투상카르의 파가루융 궁전
- 하라우 계곡
- 마닌자우 호수
- 싱카라크 호수
- 디아타스 호수 및 디바와 호수
- 시쿠아이 섬
페시시르 슬라탄 리젠시에 25개의 섬이 관광지로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쿠바다크 섬(9헥타르), 파강 섬(12헥타르) 및 풀라우 페뉴(거북이 섬)가 잘 개발되었다. 북쪽에는 스망기 베사르 섬, 스망기 케칠 섬, 마락 섬, 세탄 테루산 섬, 카라오 섬이 개발될 것이다. 남쪽에는 케라박 케텍 섬, 케라박 가당 섬, 코송 섬이 개발될 것이다.[82]
전통 무용은 서수마트라 솔록에서 유래된 타리 피링 또는 접시 춤이다.
10. 교육
미낭카바우 문화에서는 교육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기 때문에,[83] 서수마트라주는 한때 수마트라 섬의 교육 중심지였으며, 특히 모스크를 주요 거점으로 한 이슬람 교육이 발달했다.[84]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이슬람 학교는 더 현대적이라고 여겨지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모델에 비해 소외되었다.[85] 이슬람 학자들이 많은 마을 학교를 후원했기 때문에 서수마트라주는 인도네시아에서 문맹률이 가장 낮은 지역 중 하나였다.
서수마트라주에는 여러 대학교가 있으며, 그중 가장 유명한 곳은 안달라스 대학교이다. 이곳은 자바 섬 외부에 있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11. 스포츠
서수마트라에는 여러 프로 축구 클럽이 있다. 가장 인기 있는 팀은 세멘 파당 FC로, 하지 아구스 살림 경기장에서 정기적으로 경기를 치른다. 하지 아구스 살림 경기장은 서수마트라에서 가장 큰 경기장이다. 2024년, 인상적인 시즌을 보낸 후 세멘 파당 FC는 BRI 리가 1 (인도네시아 프리미어 리그)에 복귀했다.[86]
2009년부터 시작된 연례 도로 사이클 경기인 투르 드 싱카락은 국제 사이클 연맹(UCI)의 UCI 아시아 투어 공식 토너먼트 시리즈이다. 이 경기는 파당에서 시작하여 싱카락 호수를 지나 서수마트라 내륙 도시들을 통과하며 700km 이상을 달린다. 이 스포츠 행사는 서수마트라 관광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12. 요리
파당 음식은 미낭카바우족의 요리이다. 파당 음식은 육즙이 풍부한 코코넛 밀크와 매운 칠리 소스로 유명하다.[87] 미낭 요리는 ''굴라이''(카레), ''라도''(고추) 및 ''바레''(쌀)의 세 가지 요소에 중점을 둔다. 매운 칠리 소스, 걸쭉한 카레, 완벽하게 찐 쌀 없이는 전통적인 파당 식사는 완성되지 않는다.[88] 인도네시아 요리의 요리 전통 중 미낭카바우 요리와 대부분의 수마트라 요리는 인도 요리와 중동 요리의 영향을 보여주며, 카레 소스에 코코넛 밀크와 다양한 향신료를 사용하여 요리한다.
대부분의 미낭카바우족은 무슬림이기 때문에 미낭카바우 요리는 할랄 식단 규정을 엄격하게 따른다. 단백질 섭취는 주로 쇠고기, 물소, 염소, 양고기, 가금류 및 생선에서 이루어진다. 미낭카바우족은 내장을 포함한 소고기 제품을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기, 갈비, 혀, 꼬리, 간, 양, 뇌, 골수, 지라, 창자, 연골, 힘줄, 피부 등 소의 거의 모든 부위가 미낭카바우 진미로 만들어진다. 해산물은 서수마트라 해안 도시에서 인기가 있으며, 대부분 매운 칠리 소스 또는 카레 육수로 구워지거나 튀겨진다. 생선, 새우, 문어도 비슷한 방식으로 요리된다. 대부분의 미낭카바우 음식은 뜨거운 찐 쌀이나 ''카투페크''(케투팟)와 같은 압축 쌀과 함께 먹는다. 채소는 주로 삶은 카사바 잎과 같이 삶거나 어린 잭프루트 또는 양배추의 굴라이와 같이 얇은 카레에 졸여서 제공된다.
파당 음식점에서는 손으로 음식을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신선한 향을 내기 위해 조각의 라임이 들어 있는 수돗물이 담긴 ''카바수아'' 그릇을 제공한다. 이 물은 식사 전후에 손을 씻는 데 사용된다. 맨손으로 먹고 싶지 않은 고객은 숟가락과 포크를 요청할 수 있다.
요리는 일반적으로 하루에 한 번 요리된다. 레스토랑에서 ''나시 파당''을 먹으려면 창문에 높이 쌓아놓은 접시에 전시된 요리 중에서 선택한다. ''히당''(서빙) 스타일의 파당 레스토랑에서는 고객이 자리에 앉으면 주문할 필요가 없다. 웨이터가 즉시 요리를 테이블로 직접 제공하며 테이블에는 쇠고기 렌당, 카레 생선, 찐 채소, 칠리 가지, 카레 쇠고기 간, 양, 내장 또는 발 힘줄, 튀긴 쇠고기 폐, 튀긴 닭고기, 삼발 등 향이 강한 음식으로 채워진 수십 개의 작은 접시가 빠르게 차려진다. 고객은 이 배열에서 원하는 것만 가져가서 지불한다.[89] 가장 잘 알려진 파당 요리는 매운 고기 스튜인 렌당이다. ''소토 파당''(매운 수프 속의 바삭한 쇠고기)은 현지 주민들이 아침 식사로 가장 즐겨 먹는 음식이며, ''사테''(케투팟과 함께 제공되는 카레 소스의 쇠고기 사테)는 저녁에 즐겨 먹는 음식이다.
미낭카바우 부키팅기 스타일인 ''나시 카파우'' 음식 가판대에서는 서빙 스타일이 다르다. 고객이 자리에 앉으면 원하는 요리를 묻는다. 선택한 요리는 찐 쌀 위에 직접 올려지거나 별도의 작은 접시에 담겨 제공된다.
''이카탄 와룽 파당 인도네시아''(Iwapin) 또는 와룽 파당 본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및 지역 전역에 수많은 파당 음식점이 있다. 자카르타 광역 지역에만 최소 20,000개의 파당 레스토랑이 있다.[90] 몇몇 유명한 미낭카바우 레스토랑 체인으로는 Sederhana, Garuda, Pagi Sore, Simpang Raya, Sari Ratu, Sari Minang, Payakumbuah 및 Natrabu가 있다.
2016년 자카르타 시 공무원들이 자카르타 광역 지역의 ''나시 파당'' 가격 인상에 따라 ''우앙 라우크 파우크''(식대, 공무원 급여의 구성 요소) 인상을 요구하면서, 도시 지역 인도네시아 노동자들의 점심 시간에 파당 음식점(''와룽'' 또는 ''루마 마칸'' 파당)이 갖는 중요성이 입증되었다.[91]
참조
[1]
간행물
Provinsi Sumatera Barat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2]
서적
Indonesia's Population: Ethnicity and Religion in a Changing Political Landscap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3]
웹사이트
Produk Domestik Regional Bruto (Milyar Rupiah), 2022
https://www.bps.go.i[...]
Badan Pusat Statistik
[4]
웹사이트
Produk Domestik Regional Bruto Per Kapita (Ribu Rupiah), 2022
https://www.bps.go.i[...]
Badan Pusat Statistik
[5]
웹사이트
Capaian Indikator Utama Pembangunan
https://simreg.bappe[...]
Badan Pembangunan Nasional
[6]
웹사이트
Indeks Pembangunan Manusia 2024
https://www.bps.go.i[...]
Statistics Indonesia
2024-11-15
[7]
웹사이트
Law No. 17 of 2022 on West Sumatra Province
https://peraturan.bp[...]
[8]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9]
간행물
Provinsi Sumatera Barat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10]
서적
Competitiveness Analysi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33 Indonesian Provinces
http://www.worldscie[...]
World Scientific
2022-03-02
[11]
서적
Tambo Minangkabau
Balai Pustaka
[12]
서적
Hikayat Raja-raja Pasai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3]
서적
Nāgarakrětāgama; Lofdicht van Prapanjtja op Koning Radjasanagara, Hajam Wuruk, van Madjapahit, Naar Het Eenige Daarvan Bekende Handschrift, Aangetroffen in de Puri te Tjakranagara op Lombok
[14]
웹사이트
Southeast Asia in the Ming Shi-lu: An Open Access Resource
http://www.epress.nu[...]
Asia Research Institute and the Singapore E-Pres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022-03-02
[15]
서적
Les Inscriptions Malaises de Çrivijaya
BEFEO
[16]
서적
Riwajat Indonesia
Jajasan Pembangunan
[17]
서적
Prasasti Indonesia II
Dinas Purbakala Republik Indonesia
[18]
서적
Alam Terkembang Jadi Guru: Adat dan Kebudayaan Minangkabau
Grafiti Pers
[19]
서적
Malay Annals
Longman, Hurst, Rees, Orme, dan Brown
[20]
서적
(제목 없음)
[21]
서적
Leaves of the Same Tree: Trade and Ethnicity in the Straits of Melak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22]
서적
Sanskrit in Southeast Asia
Sanskrit Studies Centre, Silpakorn University
[23]
학술지
Peranan Adityawarman Putera Melayu di Asia Tenggara
[24]
서적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West Sumatra
Pusat Penelitian Purbakala dan Peninggalan Nasional, Departemen P & K
[25]
서적
Runtuhnya Kerajaan Hindu-Jawa dan Timbulnya Negara-negara Islam di Nusantara
PT LKiS Pelangi Aksara
[26]
서적
Sejarah nasional Indonesia: Jaman kuno
PT Balai Pustaka
[27]
서적
The Suma Oriental of Tomé Pires
Hakluyt Society
[28]
서적
Tambo Minangkabau dan Adatnya
Balai Pustaka
[29]
서적
Wapenfeiten van het Nederlands Indische Leger; 1816–1900
M.M. Cuvee
[30]
학술지
Achehnese Control over West Sumatra up to the Treaty of Painan of 1663
[31]
잡지
Begin en Voortgang van onzen Handel en Voortgang op Westkust
1847
[32]
서적
Islamic revivalism in a changing peasant economy: central Sumatra, 1784–1847
Curzon Press
[33]
문서
SWK 1703 VOC 1664
[34]
서적
Sumatra Barat hingga Plakat Panjang
Penerbit Sinar Harapan
[35]
서적
Naar midden Sumatra in 1684
Albrecht & Co.-M. Nijhoff
[36]
서적
Adat Minangkabau dan merantau dalam perspektif sejarah
PT Balai Pustaka
[37]
서적
Memoir of the life and public services of Sir Thomas Stamford Raffles
J. Duncan
[38]
서적
The history of Sumatra: containing an account of the government, laws, customs and manners of the native inhabitants, with a description of the natural productions, and a relation of the ancient political state of that island
[39]
서적
To live as brothers: southeast Sumatra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University of Hawaii Press
[40]
학술지
Traditional Sumatran Trade
1985
[41]
서적
Memoir of the Life and Public Services of Sir Thomas Stamford Raffles: Particularly in the Government of Java, 1811–1816, Bencoolen and Its Dependencies, 1817–1824: With Details of the Commerce and Resources of the Eastern Archipelago, and Selections from His Correspondence
James Duncan
1835
[42]
서적
Herinneringen uit den Levensloop van een Indisch Ambtenaar van 1815 tot 1851: Medegedeeld in briefen door E. Francis
van Dorp
[43]
서적
Memorie Tuanku Imam Bonjol (MTIB)
PPIM
[44]
서적
De vestiging en uitbreiding der Nederlanders ter westkust van Sumatra
P.N. van Kampen
1849
[45]
서적
Het einde Padri Oorlog: Het beleg en de vermeestering van Bondjol 1834–1837
De Bataafsche Leeuw
[46]
간행물
Pidato Prof. Dr. Hamka dalam upacara pemakaman kembali Sultan Alam Bagagar Syah di Balai Kota Jakarta
Penerbit Pustaka Panjimas
1975-02-12
[47]
간행물
Mededelingen...Kwantan
[48]
서적
Perang Paderi di Sumatra Barat, 1803–1838
Balai Pustaka
[49]
서적
Memikir ulang regionalisme: Sumatra Barat tahun 1950-an
Yayasan Obor Indonesia
[50]
서적
Change and continuity in Minangkabau: local, region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on West Sumatra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2012-08-07
[51]
서적
Subversion as Foreign Policy: The Secret Eisenhower and Dulles Debacle in Indone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7
[52]
서적
The Rise of Indonesian Communism
https://books.google[...]
Equinox Publishing
2012-08-07
[53]
서적
Capitalism and Confrontation in Sumatra's Plantation Belt, 1870–1979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4]
학술지
Neotectonics of the Sumatran fault, Indonesia
2000
[55]
웹사이트
Indonesia–Padang
http://www.globalbio[...]
Centro de Investigaciones Fitosociológicas
2015-06-18
[56]
웹사이트
Station 96163: Mia Padang
ftp://ftp-cdc.dwd.de[...]
Deutscher Wetterdienst
2015-06-18
[57]
웹사이트
Review UU Nomor 5 Tahun 1979 dan UU Nomor 22 Tahun 1999 Relasi Vertikal dan Horizontal Desa
https://www.academia[...]
2019-03-23
[58]
문서
Biro Pusat Statistik
[59]
문서
Provinsi Sumatera Barat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60]
웹사이트
Indeks Pembangunan Manusia (IPM) Provinsi Sumatera Barat Menurut Kabupaten/Kota [Metode Baru] 2018–2020
https://sumbar.bps.g[...]
2020-12-27
[61]
뉴스
Awards note progress in regional autonomy
http://www.thejakart[...]
2011-04-26
[62]
서적
Re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in West Sumatra
[63]
뉴스
West Sumatra reinvents its original roots
http://www.thejakart[...]
2008-01-25
[64]
법률
Law No. 7/2017 (UU No. 7 Tahun 2017)
[65]
웹사이트
BPS – Persentase Penduduk Daerah Perkotaan Menurut Provinsi 2010–2035
https://www.bps.go.i[...]
2017-12-28
[66]
문서
Provinsi Sumatera Barat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67]
서적
Competitiveness Analysi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33 Indonesian Provinces
World Scientific
[68]
웹사이트
West Sumatra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7-02-28
[69]
웹사이트
Kampung Keling, Tempat Tinggal Muslim India di Pariaman dan Padang
http://www.jambi-ind[...]
[70]
서적
Sijobang: sung narrative poetry of West Sumat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서적
Theater and martial arts in West Sumatra: Randai and silek of the Minangkabau
Ohio University Press
1998
[72]
웹사이트
Sajian Tarian Khas Mentawai
http://www.indosiar.[...]
2010-07-25
[73]
서적
Asal usul elite Minangkabau modern: respons terhadap kolonial Belanda abad XIX/XX
Yayasan Obor Indonesia
2007
[74]
간행물
Sistem ekonomi tradisional sebagai perwujudan tanggapan aktif manusia terhadap lingkungan daerah Sumatra Barat
Departemen Pendidikan dan Kebudayaan, Proyek Inventarisasi dan Dokumentasi Kebudayaan Daerah
1985
[75]
서적
Cerita Rakyat dari Sumatra Barat 3
Grasindo
[76]
서적
Mengenal Rumah Adat, Pakaian Adat, Tarian Adat, Dan Senjata Tradisional
PT Niaga Swadaya
[77]
서적
Mainan bagi roh: kebudayaan Mentawai
PT Balai Pustaka
1991
[78]
보고서
Central Statistics Agency West Sumatra Province
2017-2022
[79]
웹사이트
6 Infrastructure projects to boost West Sumatra's rank
http://www.kkppi.go.[...]
2005-04-25
[80]
웹사이트
Kelok Sembilan overpass set to open in April
http://www.thejakart[...]
2012-01-19
[81]
뉴스
West Sumatra attracts 3,051 foreign tourists
http://www.antaranew[...]
2017-02-28
[82]
뉴스
25 Pulau di Pesisir Selatan Berpotensi sebagai Tempat Wisata
http://www.mediaindo[...]
2011-05-30
[83]
서적
The Transnational and the Local in the Politics of Islam: The Case of West Sumatra, Indonesia
Springer
2015
[84]
서적
The History of Sumatra
BiblioBazaar
2009
[85]
서적
Education Transformative Islam
PT Pelangi LKiS Literacy
2008
[86]
웹사이트
Semen Padang FC Promosi ke Liga 1 Usai Taklukkan Malut United
https://www.detik.co[...]
2024-05-07
[87]
뉴스
Marco's Bofet: Authentic Padang food
https://web.archive.[...]
2010-09-22
[88]
뉴스
By the way ... I just can't live without Padang food
http://www.thejakart[...]
2019-03-23
[89]
웹사이트
A Unique of Padang
https://web.archive.[...]
Padangbaycity.com
2010-09-22
[90]
뉴스
Harian Kompas
http://www.kompas.co[...]
2003-05-25
[91]
뉴스
Gara-gara Nasi Padang, Belanja Negara Terpaksa Ditambah
http://metrobatam.co[...]
2019-03-23
[92]
웹사이트
Statistik Indonesia 2022
https://www.bps.go.i[...]
中央統計庁
2022-08-28
[93]
웹사이트
Indonesia: Provinces & Cities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2-08-28
[94]
웹인용
Indonesia–Padang
https://web.archive.[...]
Centro de Investigaciones Fitosociológicas
2015-06-18
[95]
웹인용
Station 96163: Mia Padang
https://wayback.arch[...]
Deutscher Wetterdienst
2015-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