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잔(ʾadhān)은 '알림'을 뜻하는 아랍어 단어로, 이슬람교에서 예배 시간을 알리는 행위 또는 그 소리를 의미한다. 무슬림들은 아잔을 순나로 여기며, 모스크의 무앗진(무에진)이 아랍어로 낭송한다. 아잔은 지역과 종파에 따라 내용과 억양에 차이가 있으며, 수니파와 시아파의 아잔 내용이 조금 다르다. 현대에는 소음 문제로 인해 각국에서 아잔의 공적 사용에 대한 법적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중문화에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슬람 신학 - 쿠란
쿠란은 무슬림들이 알라의 말씀으로 믿는 이슬람교의 중심 경전으로, 23년간 무함마드에게 계시되어 구전으로 전승되다 아부 바크르와 우스만 시대에 편찬 및 표준화되었으며, 114개의 수라와 6,236개의 아야로 구성되어 이슬람 신앙과 법, 윤리,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이슬람 신학 - 울라마
울라마는 이슬람 신학, 법, 철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슬람 법학자 및 학자들을 지칭하며, 꾸란과 순나 해석을 통해 샤리아를 구체화하고 이슬람 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지만, 근대화 이후 영향력에 변화를 겪고 있음에도 여전히 정신적 영향력을 행사한다.
아잔 | |
---|---|
개요 | |
![]() | |
종류 | 이슬람교의 예배 소환 |
의미 | 알라에게 예배하라는 부름 |
시행 시기 | 파즈르 주흐르 아스르 마그리브 이샤 |
상세 내용 | |
어원 | 아랍어 "أَذَان (adhān)"에서 유래, "알림", "소식", "부름"을 의미 |
목적 | 무슬림에게 예배 시간을 알리고 예배에 참여하도록 초대 |
수행자 | 무아딘 (아잔을 외는 사람) |
방법 | 특정 문구를 큰 소리로 외침 |
장소 | 모스크의 미나레트 기타 높은 장소 |
언어 | 아랍어 (전통적) |
중요성 | 이슬람교의 중요한 의식 중 하나 하루 다섯 번의 예배를 알림 공동체 의식을 강화 |
기타 명칭 | إِقَامَة (Iqāmah, 예배 시작을 알리는 두 번째 부름) نداء الصلاة (Nidā' aṣ-Ṣalāt, 예배의 부름) |
아잔 문구 (수니파) | |
1 | الله أكبر (Allāhu akbar) |
2 | أَشْهَدُ أَنْ لَا إِلَٰهَ إِلَّا ٱللَّٰهُ (ʾašhadu ʾan lā ʾilāha ʾilla-llāh) |
3 | أَشْهَدُ أَنَّ مُحَمَّدًا رَسُولُ ٱللَّٰهِ (ʾašhadu ʾanna muḥammadan rasūlu-llāh) |
4 | حَيَّ عَلَى ٱلصَّلَاةِ (ḥayya ʿala ṣ-ṣalāh) |
5 | حَيَّ عَلَى ٱلْفَلَاحِ (ḥayya ʿala l-falāḥ) |
6 | ٱلصَّلَاةُ خَيْرٌ مِنَ ٱلنَّوْمِ (aṣ-ṣalātu ḫayrun mina n-nawm) |
7 | الله أكبر (Allāhu akbar) |
8 | لَا إِلَٰهَ إِلَّا ٱللَّٰهُ (lā ʾilāha ʾilla-llāh) |
번역 | 알라는 가장 위대하시다. (4번) 알라 외에 숭배할 가치가 있는 신은 없음을 증언한다. (2번) 무함마드는 알라의 메신저임을 증언한다. (2번) 예배하러 오세요. (2번) 성공하러 오세요. (2번) 예배는 잠보다 낫다. (파즈르 예배 시에만 추가) 알라는 가장 위대하시다. (2번) 알라 외에 숭배할 가치가 있는 신은 없다. (1번) |
아잔 문구 (시아파) | |
1 | الله أكبر (Allāhu akbar) |
2 | أَشْهَدُ أَنْ لَا إِلَٰهَ إِلَّا ٱللَّٰهُ (ʾašhadu ʾan lā ʾilāha ʾilla-llāh) |
3 | أَشْهَدُ أَنَّ مُحَمَّدًا رَسُولُ ٱللَّٰهِ (ʾašhadu ʾanna muḥammadan rasūlu-llāh) |
4 | حَيَّ عَلَى ٱلصَّلَاةِ (ḥayya ʿala ṣ-ṣalāh) |
5 | حَيَّ عَلَى ٱلْفَلَاحِ (ḥayya ʿala l-falāḥ) |
6 | حَيَّ عَلَىٰ خَيْرِ ٱلْعَمَلِ (ḥayya ʿalā ḫayri l-ʿamal) |
7 | الله أكبر (Allāhu akbar) |
8 | لَا إِلَٰهَ إِلَّا ٱللَّٰهُ (lā ʾilāha ʾilla-llāh) |
번역 | 알라는 가장 위대하시다. (4번) 알라 외에 숭배할 가치가 있는 신은 없음을 증언한다. (2번) 무함마드는 알라의 메신저임을 증언한다. (2번) 예배하러 오세요. (2번) 성공하러 오세요. (2번) 가장 좋은 행위를 하러 오세요. (2번) 알라는 가장 위대하시다. (2번) 알라 외에 숭배할 가치가 있는 신은 없다. (1번) |
역사 | |
시작 | 무함마드 시대 |
최초의 무아딘 | 빌랄 이븐 라바 |
기원 | 무함마드의 동반자들이 예배 시간을 알리는 다양한 방법을 논의한 후, 꿈을 통해 아잔의 문구가 계시되었다고 전해짐 |
현대의 아잔 | |
기술 발전 | 마이크와 스피커 사용 녹음된 아잔 방송 아잔 앱 및 웹사이트 |
논란 | 소음 공해 문제 종교적 자유와 관련된 논쟁 |
기타 | |
관련 문화 | 신생아의 귀에 아잔을 속삭이는 전통 여행 중 아잔을 듣고 기도하는 풍습 |
음악 | 아잔은 그 자체로 종교적인 음악의 한 형태이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독특한 멜로디와 스타일로 발전해왔음 |
2. 용어
Adhān|아잔ara은 '알림'을 뜻하는 아랍어 단어로, 어근 أَذِنَ|아디나ara(`adhina`)에서 파생되었으며 '듣다, 들리다, 통보받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방식으로 음역된다.[1][2]
언어 | 표기 |
---|---|
프랑스어 | athan 또는 adhane[1] |
페르시아어, 다리어, 파슈토어, 힌디어, 벵골어, 우르두어, 펀자브어 (이란, 남아시아) | azan |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동남아시아) | adzan |
터키어, 보스니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라틴 문자) | ezan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키릴 문자), 불가리아어 | езан |
알바니아어 | ezani[2] |
아잔의 관행과 낭송 내용은 마디나 시대의 무함마드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정해졌다고 전해지며, 이는 순나(관행)로서 이슬람교도들이 지키고 있다.
(파즈르만 해당)
인도의 말라바르 해안과 인도 및 파키스탄의 펀자브 지역을 포함한 남아시아의 많은 무슬림들은 공적인 기도 소집을 위해 페르시아어 단어 بانگ|방그fas(`bāng`)를 사용하기도 한다.[6]
Adhān|아잔ara의 또 다른 파생어는 '귀'를 의미하는 أُذُن|우둔ara(`ʾudhun`)이다.
3. 역사
하디스에 따르면, 무함마드의 동료 중 한 명인 압둘라 이븐 자이드(عبد الله بن زيد|압둘라 이븐 자이드ara)가 꿈에 나타난 천사에게 아잔을 배우고, 이를 무함마드에게 전했다고 한다. 아잔에는 아랍어만으로 현재까지 6가지 별칭이 있으며, 아잔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타아진(التأذين|앗타진ara) 또는 니다(النداء|안니다ara)라고 불렸다.
아잔의 낭송 구절은 종파나 지역에 따라 변화를 거쳐 7세기 중반에 정형화되었다.
4. 무앗진 (무에진)
무앗진( مُؤَذِّن|무앗딘ar, muʾaḏḏin)은 모스크에서 아잔을 낭송하는 사람이다.[7][8] 무앗진은 아잔을 명확하고 선율적이며, 모든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큰 소리로 낭송하는 능력으로 선택된다. 이는 모스크에서 중요한 임무 중 하나로, 공동체는 무슬림들이 예배에 참여하도록 이끄는 무앗진의 역할에 의존한다.[10]
과거에는 모스크의 높은 곳(미나렛)에서 아잔을 직접 외쳤으나, 현대에는 확성기를 사용하여 방송하는 경우가 많다.[9] 때로는 아잔을 미리 녹음하여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방송하기도 한다. 이는 하루 다섯 번의 아잔을 정확한 시간에 알리고, 모스크 운영자가 음량 등을 조절하며, 전임 무앗진이 없거나 부재중일 때도 차질 없이 아잔을 내보낼 수 있게 한다. 이 때문에 런던 중앙 모스크 등 여러 이슬람 국가의 모스크에서 시간대나 모스크별로 동일한 아잔 소리가 들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와 같이 이드 알 피트르와 같은 종교적 휴일에는 '칼리마'(연설)를 하루 종일 큰 소리로 낭송해야 할 때, 녹음된 소리를 반복 재생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맘이 예배를 인도하기 전, 무앗진은 예배 시작을 알리는 이카마(إقامة)를 낭송하는 역할도 한다. 이카마는 아잔의 구절을 거의 반복하지만, 아잔보다 더 빠르고 짧은 호흡으로, 그 자리에 있는 사람들에게만 전달될 정도의 작은 음량으로 낭송된다. 이카마는 '두 번째 아잔'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아잔과 이카마를 합쳐 '두 개의 아잔'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슬람의 첫 번째 무앗진은 아비시니아인 출신의 해방 노예였던 빌랄 이븐 라바였다.[11][12]
5. 아잔의 내용
None ٱلصَّلَاةُ خَيْرٌ مِنَ ٱلنَّوْمِara aṣ-ṣalātu khayrun mina n-nawm 기도는 잠보다 낫다 2회 ٱللَّٰهُ أَكْبَرُara allāhu akbar 알라는 가장 위대하다 1회 2회 1회 لَا إِلَٰهَ إِلَّا ٱللَّٰهُara lā ilāha illā llāh 알라 외에 다른 신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