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자대학은 여성만을 위한 고등 교육 기관으로, 역사적으로 여성의 교육 기회 부족에 대응하여 설립되었다. 일본에서는 구 학제 시대에 여성의 대학 입학이 제한적이었기에, 여자 전문학교가 증가하며 고등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었고, 이러한 배경이 전후 여자대학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전후에는 여자대학 수가 증가했지만, 1998년 이후 감소 추세에 있으며, 2023년에는 69개교가 운영되고 있다. 여자대학은 취업 지원, 리더십 교육, 젠더 관련 교육을 강화하며, 성 정체성이 여성인 남성에게도 문호를 개방하는 등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미국, 영국,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도 여자대학이 존재하며, 각기 다른 역사적 배경과 특징을 지닌다. 미국에서는 세븐 시스터스를 비롯한 여자대학들이 여성 교육에 기여했으며, 영국에서는 최초의 여자 칼리지들이 설립되었다. 한국의 여자대학은 여성 교육의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사회 발전에 기여해왔다.
최근에는 저출산, 남녀공학 추세, 젠더 평등의 가치관 변화에 따라 여자대학의 남녀공학 전환 및 감소가 나타나고 있으며, 역할과 의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여자대학 | |
---|---|
일반 정보 | |
유형 | 여자 대학 |
특징 | 여성에게 고등 교육 제공 |
역사 | |
설립 목적 | 여성의 교육 기회 확대 및 사회적 역할 증진 |
설립 시기 |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대부분) |
교육 | |
교육 과정 | 다양한 학문 분야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 등) |
특징적인 교육 | 여성 리더십 개발 여성 문제 연구 성 평등 교육 |
현황 | |
국가별 분포 | 미국, 영국, 일본, 한국 등 |
운영 형태 | 사립 공립 |
장점 | |
교육 환경 | 여성에게 안전하고 친밀한 학습 환경 제공 여성의 잠재력 개발에 집중 |
커뮤니티 | 강력한 여성 동문 네트워크 형성 여성 간의 연대 강화 |
리더십 | 여성 리더 양성에 기여 사회 각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 확대 |
비판 | |
사회적 역할 | 성 역할 고정관념 강화 |
다양성 부족 | 남성 경험 배제 사회적 다양성 부족 |
시대적 변화 | 남녀공학 대학과의 경쟁 심화 여성 대학의 존립 가치에 대한 의문 제기 |
졸업 후 진로 | |
진출 분야 | 교육계 연구계 법조계 의료계 기업 정부 시민 사회 |
사회적 기여 | 사회 각 분야에서 여성 리더로서 활약 |
관련 단체 | |
협회 | 국제 여성 대학 협회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Women's Colleges) |
참고 | |
관련 정보 | 여성학 성 평등 여성 운동 |
2. 역사적 배경
여자대학은 여성의 교육 기회가 제한적이었던 시대적 배경 속에서 탄생했다. 19세기 중후반,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고등 교육 기관이 남성에게만 입학을 허용했기에, 여성을 위한 고등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여자대학이 설립되기 시작했다.[13]
미국의 여자 대학은 19세기 초중반에 인기를 얻은 "아카데미" 또는 "세미나리"라고 불리는 사립 여학교의 산물이었다. 당시 명망 있는 대부분의 대학은 남성만을 위한 것이었지만, 1833년에 설립된 오벌린 칼리지를 비롯한 몇몇 남녀공학 대학도 있었다.
여학교 세미나리에 대한 비판은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엠마 윌라드를 포함한 개혁 그룹은 세미나리가 "핵심 학문 과목의 교육 강화"를 통해 개혁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캐서린 E. 비처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은 세미나리가 불충분하다고 느껴 "더 지속적인 기관, 즉 여자 대학을 설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13][15] 마운트 홀리요크 칼리지의 설립자인 메리 라이언도 주목할 만한 인물이다.
2. 1. 서구권
19세기 중후반,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고등 교육 기관이 남성에게만 입학을 허용했기에, 여성을 위한 고등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여자대학이 설립되기 시작했다.[13] 여자대학은 학문적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반면, 피니싱 스쿨은 사교적 교양에 중점을 둔다는 차이점이 있다.미국의 여자 대학은 19세기 초중반에 인기를 얻은 "아카데미" 또는 "세미나리"라고 불리는 사립 여학교의 산물이었다. 1833년에 설립된 오벌린 칼리지, 1847년의 로렌스 대학교, 1853년의 앤티오크 칼리지, 1855년의 베이츠 칼리지와 같은 몇몇 남녀공학 대학이 있었지만, 당시 명망 있는 대부분의 대학은 남성만을 위한 것이었다.
여학교 세미나리에 대한 비판은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엠마 윌라드를 포함한 개혁 그룹은 세미나리가 "핵심 학문 과목의 교육 강화"를 통해 개혁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캐서린 E. 비처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은 세미나리가 불충분하다고 느껴 "더 지속적인 기관, 즉 여자 대학을 설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13][15]
미국의 대표적인 대학으로 알려진 하버드 대학교는 창립 이래 오랫동안 남자만 입학할 수 있는 대학이었다. 따라서 하버드 대학교와 관련된 여학생이 입학할 수 있는 대학으로 래드클리프 여자대학교가 있었으며, 하버드 대학교의 교원에 의해 설립되었다.
미국에서는 처음에는 대부분의 대학이 남자 학생만을 받았기 때문에, 이에 대항하여 여성의 고등 교육의 장으로서 여자대학이 만들어졌다. 최초의 남녀공학 대학인 오벌린 대학교는 1833년에 창립되었다. 그 후, 여자대학이 탄생했으며, 특히 1837년부터 1889년에 걸쳐 창립된 미국 동부의 7개의 여자대학은 "세븐 시스터스"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중에서 여자만 받아들이고, 또한 다른 대학에 종속되지 않은 곳은 4개 대학뿐이다. 1860년까지 남녀공학이 된 대학은 5개에 불과했다.
처음에는 부유한 집안의 딸이 입학하여 교양을 쌓는 "현모양처"를 육성하는 의미가 강했다. 웰즐리 대학교에는 매너 강좌가 있었고, 실제로 1950년대에는 재학 중에 결혼하는 여학생이 많았다. 남녀공학의 4년제 대학이 증가함에 더해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점차 인기가 떨어지기 시작하여, 1960년대에 250개교가 있던 여자대학은 점차 남녀공학으로 전환했고, 현재에는 60개교 미만만 남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여성 기업가에 대표되는 "자주성"을 육성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대학이나, 마이너리티의 수용 등에 나서면서, 급격한 학생 감소는 없어지고 있다.
여자대학 출신으로 유명한 인물은 웰즐리 대학교를 졸업하고 예일 대학교로스쿨(예일 대학교 로스쿨)에 진학한 힐러리 클린턴(미국 대통령빌 클린턴의 부인)이다. 이처럼 현재의 여자대학은 남녀공학의 4년제 대학과 다름없는 성격을 가진다. 학부 중심의 교육을 하고 있기 때문에 유명 대학의 대학원에 합격할 확률이 높은 대학도 있다. 또한, 여자대학 중에는 학부 과정 프로그램의 일부나 대학원 과정에 약간의 남학생을 받아들이는 곳도 있다.
2. 2.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여자대학은 2022년 현재 대학 7개교, 전문대학 7개교로 총 14개교가 있으며, 모두 사립 대학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1]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여성 교육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설립되기 시작했다. 이화여자대학교(1886년)는 한국 최초의 여성 교육 기관으로, 여성 교육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숙명여자대학교(1906년)는 대한제국 황실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민족 여성 교육 기관이다. 이들 대학은 여성에게 고등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여성 지도자를 양성하여 한국 사회 발전에 기여해 왔다. 특히, 이화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등은 한국 여성 운동과 민주화 운동에 적극 참여하며 사회 개혁에 앞장섰다.2. 3. 일본
메이지 정부는 남자 학교 설립을 우선시하여 여자 교육에는 소극적이었다.[18] 당시 일본에서 여자 교육을 이끌던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해 사립 기독교 계열 미션 스쿨 여학교가 다수 설립되었다.[18]가톨릭 계열 여자 대학으로는 후지 여자 대학(홋카이도삿포로시), 세이신 여자 대학(도쿄도), 세이센 여자 대학(도쿄도), 시라유리 여자 대학(도쿄도), 노트르담 세이신 여자 대학(오카야마시) 등이 있다. 프로테스탄트 계열 여자 대학으로는 미야기 학원 여자 대학(센다이시), 도쿄 여자 대학, 페리스 여학원 대학(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 도요 에이와 여학원 대학(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 킨조 학원 대학(아이치현나고야시), 도지샤 여자 대학(교토시), 고베 여학원 대학, 히로시마 여학원 대학, 마쓰야마 시노노메 여자 대학, 캇스이 여자 대학(나가사키시) 등이 대표적이다. 프로테스탄트 계열 여자 대학이 가톨릭 계열보다 역사가 더 오래되었다. 이들 기독교 계열 여자 대학은 대부분 영문학 계열을 중심으로 교양(리버럴 아츠) 계열 학과가 중심이며, 대학 규모도 대체로 소규모이다.
이 외에도 여의사 양성을 위한 도쿄 여자 의과 대학, 간호학 계열 전문 세인트 루크 간호 대학[19], 체육 전문 교육을 실시하는 일본 여자 체육 대학, 도쿄 여자 체육 대학도 있다.
학부·학과 구성으로는 영문학 등의 어학 계열, 일본 문학(국문학) 계열, 교육학, 영양학 등을 중심으로 한 가정학 학부가 많다.[20] 음악 계열 학과도 여자 대학에 설치된 예가 많으며,[20] 최근에는 복지, 간호학, 약학 계열 학과를 설치하는 여자 대학도 늘고 있다. 일본 여자 대학, 오츠마 여자 대학, 교리츠 여자 대학, 지센 여자 대학, 스기야마 여학원 대학 등은 현모양처를 목표로 하는 가정 학교를 기원으로 하여 가정 계열이 중심이다. 최근에는 사회 과학 계열[21]이나 국가 자격(영양사, 간호사, 의사, 약사)을 취득할 수 있는 실학 계열 학부 학과(영양학과, 간호학과, 의학부, 약학부, 공학부)[22]를 확충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구 학제 시대에 구제 대학에 여성의 입학은 예외적으로만 인정되었다. 많은 여성들은 도쿄 여자 고등사범학교(현재의 오차노미즈 여자대학)나 구제 여자 전문학교와 같은 여성 전문 고등 교육 기관으로 진학했다. 황족과 화족의 딸들을 위해 1877년(메이지 10년) 가쿠슈인 여자부, 1885년(메이지 18년) 화족 여학교가 개교했다.[23] 오야마 스테마츠는 화족 여학교 창설에 힘썼고,[23] 쓰다 우메코는 사학 여자 영학숙을 1900년(메이지 33년)에 개교했다.[24] 여자 영학숙과 일본 여자대학교를 효시로 여자 전문학교가 증가하면서 여성에 대한 고등 교육 기회가 어느 정도 보장되었다.[25]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여자 고등 교육 기관은 전후 여자대학 탄생의 기반이 되었다.[25]
전후 1948년 사립 여자대학 5개교가 신제 대학으로 발족했다.[25] 1949년 국립 여자대학 2개교, 공립 여자대학 3개교, 사립 여자대학 20개교가 추가되었고, 1964년부터 1967년에는 36개교가 신설되어 1998년에는 98개교까지 증가했다.[25] 그러나 1998년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23년에는 69개교가 되었다.[26] 일본은 여자대학 비율과 수 모두 세계에서 가장 많다.[25]
남녀 고용 기회 균등법이 공포·시행된 1980년대 후반부터 4년제 대학으로의 여대생 진학이 증가했고,[25] 단기대학에서 4년제 여자대학으로 이행하는 대학도 늘었다.[25] 여자대학은 취업 지원, 취업률, 리더십 교육, 젠더 교육을 포함한 커리큘럼 개혁과 시설 확충을 했다.[25] 취업 빙하기에 여대생은 자격증 지향을 높였다.[25] 이에 따라 자격증이나 면허 취득을 목표로 하는 학부, 비즈니스·정보 계열 학부, "국제" 학부 등이 증설되었다.[25]
여자대학 창설은 여성이 교육 기회에서 소외되어 정식 대학에 입학할 수 없었던 것이 이유이다(교육의 기회 균등, 여성 교육).[18] 여자대학으로 남는 것을 선택한 대학의 대부분은 "여성 엘리트·리더 육성"을 목표로 여성의 주체성을 내세우고 있다.[27][28]
남녀 고용 기회 균등법 중 동성 간 사상에 관한 사항이 기재되었고,[29] 젠더 평등과 LGBT 등의 개념이 중요해지면서 성별의 틀로는 말할 수 없는 부분이 생겨나고 있다. 2020년대 성 정체성이 여성이라면 육체적으로 남성에게도 문호를 개방하는 여자대학도 늘고 있다.[26]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젠더 연구소 등 젠더 연구와 여성학에 힘쓰는 대학이 많다.
과거 여자대학은 신부 수업을 위해 진학한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지금은 사회에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여성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여자대학의 의의도 시대와 함께 변화하고 있다. 여자대학으로 남는 것을 선택한 대학의 대부분은 "여성 엘리트·리더 육성"을 목표로 한다.[25][28] 그러나 이도 마사에에 따르면, 여전히 조부모나 부모로부터 "시집가는 것을 생각하면 여자애는 그 정도 현명하지 않아도 괜찮아. 여자대학이나 단기대학이 딱 좋아"라거나 "진학은 남동생 우선"이라는 말을 듣는 학생이 적지 않다고 한다.[30]
3. 국가별 여자대학 현황
아시아에서는 방글라데시의 아시아 여자 대학교(2008년 설립), 남아시아 최초의 여자 대학인 베튠 칼리지(1879년 설립), 인도 델리의 인다라프라스타 여자 칼리지(1924년 설립), 파키스탄 카라치의 진나 여자 대학교(1998년 설립), 일본의 케이센 대학교(1988년 설립) 등이 있다. 인도 뉴델리에는 레이디 어윈 칼리지(1932년 설립)와 미란다 하우스(1948년 설립)가 있으며, 파키스탄에는 라호르 여자 대학교(1922년 설립)가 있다. 인도에는 여자 칼리지, 알리가르(1906년 설립)도 있다.[6]
중화인민공화국은 근대 이후 여자대학이 존재했지만, 대학 재편으로 현재 공립 여자대학은 중화여자학원, 산둥 여자학원, 후난 여자학원 3개교만 남았으며, 이들 모두 조건부로 공학화하고 있다. 4년제 대학 외에도 여자 고등 전문 학교 등의 여자 고등 교육 기관이 있으며, 2014년에는 중국여자고등원교연맹이 설립되었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여자대학은 2022년 현재 대학 7개교, 전문대학 7개교로 총 14개교가 있으며, 모두 사립 대학이다.- 덕성여자대학교 (1920년 개교)
- 동덕여자대학교 (1950년 개교)
- 이화여자대학교 (1886년 개교)
- 서울여자대학교 (1961년 개교)
- 숙명여자대학교 (1906년 개교)
- 성신여자대학교 (1936년 개교)
3. 2. 미국
1960년대에는 미국에 240개의 여자대학이 있었지만, 2015년 기준으로는 약 40개만 남아있다.[6] 하버드 대학교와 통합된 래드클리프 칼리지의 한 교사는 "만약 여자대학이 불필요해지고, 여자대학이 무의미해진다면, 그것이 우리 [여성]의 성공의 신호가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7]미국의 여자 대학은 19세기 초중반에 인기를 얻은 "아카데미" 또는 "세미나리"라고 불리는 사립 여학교의 산물이었다. Irene Harwarth 외에 따르면,[13] "여자 대학은 당시 대부분의 고등 교육 기관에서 여성이 입학이 허용되지 않았던 시기에 여성을 위한 고급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으로 19세기 중후반에 설립되었습니다." 오벌린 칼리지(1833년 설립), 로렌스 대학교(1847년), 앤티오크 칼리지(1853년), 베이츠 칼리지(1855년) 같은 남녀공학 대학도 있었지만, 당시 명망 있는 대부분의 대학은 남성만을 위한 것이었다.
여학교 세미나리에 대한 비판은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엠마 윌라드를 포함한 개혁 그룹은 세미나리가 "핵심 학문 과목의 교육 강화"를 통해 개혁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했다. 다른 사람들은 세미나리가 불충분하다고 느껴 "더 지속적인 기관, 즉 여자 대학을 설립해야 한다"고 제안했으며, 그중에는 캐서린 E. 비처도 있었다. 그녀는 『여성의 잘못에 대한 진정한 치료법』(1851년)에서 "세미나리는 충분하고 영구적인 기부, 건물 및 도서관을 제공할 수 없었습니다. 이는 주어진 계획에 따라 기관을 영속시키는 것이 의무인 법인입니다."라고 지적했다.[13][15]
마운트 홀리요크 칼리지의 설립자인 메리 라이언(1797-1849)은 주목할 만한 인물이었다. 그녀의 동시대 인물로는 세라 피어스(리치필드 여성 아카데미, 1792), 캐서린 비처(하트포드 여성 세미나리, 1823), 질파 P. 그랜트 배니스터(입스위치 여성 세미나리, 1828), 조지 워싱턴 도인(세인트 메리 홀, 1837, 현재 도인 아카데미)이 있었다. 마운트 홀리요크를 설립하기 전에 라이언은 하트포드 여성 세미나리와 입스위치 여성 세미나리의 발전에 기여했다. 그녀는 또한 1834년 휘튼 여성 세미나리(현재 매사추세츠 휘튼 칼리지)의 설립에도 관여했다.[16]
여대 연합(Women's College Coalition)은 2년제 및 4년제, 공립 및 사립, 종교 관련 및 비종교 관련 여대 및 대학교(일부 단성 중/고등학교 관찰자/참가자 포함)의 연합체이다. 이 연합은 1972년에 설립되었으며, 당시에는 시민권 운동, 여성 운동, 타이틀 IX 뿐만 아니라 1960년대의 인구 통계 및 기술 변화로 인해 미국에서 급격하고 복잡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가 일어났다.
지난 몇 년 동안 여대 연합은 21세기 여성 고등학교 및/또는 대학 교육의 이점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전국 학생 참여 설문조사(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NSSE)와 하드윅-데이(Hardwick-Day)가 여성 대학과 남녀공학 기관의 학생 및 졸업생의 만족도 수준에 대해 수행한 연구 결과, 미국 대학 및 대학교 연합(Association of Ameri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NAICU 및 기타 기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합은 여성 교육 및 여성 고등학교와 대학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대학인 하버드 대학교는 창립 이래 오랫동안 남자만 입학할 수 있었다. 하버드 대학교와 관련된 여학생이 입학할 수 있는 대학으로 래드클리프 여자대학교가 있었으며, 하버드 대학교의 교원에 의해 설립되었다.
미국에서는 처음에는 대부분의 대학이 남자 학생만을 받았기 때문에, 여성의 고등 교육을 위해 여자대학이 만들어졌다. 최초의 남녀공학 대학인 오벌린 대학교는 1833년에 창립되었다. 그 후, 여자대학이 탄생했으며, 특히 1837년부터 1889년에 걸쳐 창립된 미국 동부의 7개의 여자대학은 "세븐 시스터스"로 알려졌다. 1860년까지 남녀공학이 된 대학은 5개에 불과했다.
처음에는 부유한 집안의 딸이 입학하여 교양을 쌓는 "현모양처"를 육성하는 의미가 강했다. 웰즐리 대학교에는 매너 강좌가 있었고, 1950년대에는 재학 중에 결혼하는 여학생이 많았다. 남녀공학 대학이 증가하고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여자대학의 인기가 떨어지기 시작하여, 1960년대에 250개교가 있던 여자대학은 점차 남녀공학으로 전환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여성 기업가로 대표되는 "자주성"을 육성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대학이나, 마이너리티의 수용 등에 나서면서, 급격한 학생 감소는 없어지고 있다.
여자대학 출신으로 유명한 인물은 웰즐리 대학교를 졸업하고 예일 대학교 로스쿨(예일 대학교 로스쿨)에 진학한 힐러리 클린턴(빌 클린턴의 부인)이다.
3. 3. 영국
메리 애스텔은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합리적이며 교육받을 자격이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1694년에 처음 출판된 그녀의 저서 ''여성의 진정한 이익 증진을 위한 숙고할 제안''[9]은 여성이 학문을 추구할 수 있는 여대 설립 계획을 제시한다.[10] 애스텔의 계획을 부분적으로 실현한 최초의 칼리지는 1841년 잉글랜드 교회의 종교 교육 진흥을 위한 전국 협회에 의해 설립된 여자 교사 양성 칼리지인 화이트랜드 칼리지였으며, 2004년부터 로햄턴 대학교의 일부가 되었다.[11] 화이트랜드에 이어 1848년 퀸스 칼리지와 1849년 베드퍼드 칼리지가 런던에 설립되었다. 퀸스 칼리지는 여자 공립학교로 발전했고, 베드퍼드 칼리지는 다른 여자 칼리지와 합병되기 전 런던 대학교의 일부가 되었다. 1869년 처음 히친에 문을 연 케임브리지 여자 칼리지 중 최초인 기튼 칼리지는 여성에게 학위 수준의 교육을 제공한 영국 최초의 기숙 칼리지라고 주장한다.[12] 서머빌과 옥스퍼드의 레이디 마거릿 홀은 1879년에 문을 열었다.현존하는 여자 칼리지는 다음과 같다.
- 머레이 에드워즈 칼리지, 케임브리지 (1954년 설립, 이전 명칭: 뉴 홀)
- 뉴넘 칼리지, 케임브리지 (1871년 설립)
과거 여자 칼리지였으나 남녀공학으로 전환된 칼리지는 다음과 같다.
칼리지 명칭 | 설립 연도 | 남녀공학 전환 연도 |
---|---|---|
베드퍼드 칼리지, 런던 | 1849년 | 1965년 |
비숍 오터 칼리지, 현재 치체스터 대학교 | 1873년 | 1957년 |
디그비 스튜어트 칼리지, 로햄턴 대학교 | 1874년 | 1971년 |
프로벨 칼리지, 로햄턴 대학교 | 1892년 | 1965년 |
기튼 칼리지, 케임브리지 | 1869년 | 1976년 |
휴즈 홀, 케임브리지 | 1885년 | 1973년 |
레이디 마거릿 홀, 옥스퍼드 | 1878년 | 1979년 |
로열 할로웨이, 런던 대학교 | 1879년 | 1965년 |
세인트 에이던스 칼리지, 더럼 | 1947년 | 1981년 |
세인트 앤스 칼리지, 옥스퍼드 | 1879년 | 1979년 |
세인트 힐즈 칼리지, 더럼 | 1858년 | 1975년 |
세인트 힐다스 칼리지, 옥스퍼드 | 1893년 | 2008년 |
세인트 휴스 칼리지, 옥스퍼드 | 1886년 | 1986년 |
세인트 메리스 칼리지, 더럼 | 1899년 | 2005년 |
서머빌 칼리지, 옥스퍼드 | 1879년 | 1994년 |
사우스랜드 칼리지, 로햄턴 대학교 | 1872년 | 1965년 |
트레빌리언 칼리지, 더럼 | 1966년 | 1992년 |
웨스트필드 칼리지, 런던 | 1882년 | 1964년 |
화이트랜드 칼리지, 로햄턴 대학교 | 1841년 | 1965년 |
루시 캐번디시 칼리지, 케임브리지 | 1965년 | 2020년 |
3. 4. 아시아
- 아시아 여자 대학교(Asian University for Women)는 방글라데시 치타공에 2008년 설립된 국제적인 여자대학이다.
- 베튠 칼리지(Bethune College)는 남아시아 최초의 여자 칼리지로 1879년에 설립되었다.
- 인다라프라스타 여자 칼리지(Indraprastha College for Women)는 델리에 위치하며 1924년에 설립되었다.
- 진나 여자 대학교(Jinnah University for Women)는 파키스탄 카라치에 1998년 설립되었다.
- 케이센 대학교(Keisen University)는 일본에 1988년 설립되었다.
- 레이디 어윈 칼리지(Lady Irwin College)는 뉴델리에 위치하며 1932년에 설립되었다.
- 라호르 여자 대학교(Lahore College for Women University)는 파키스탄에 1922년 설립되었다.
- 미란다 하우스(Miranda House)는 뉴델리에 1948년 설립되었다.
- 여자 칼리지, 알리가르(Women's College, Aligarh)는 인도에 1906년 설립되었다.
- 산 로렌조 아순시온 대학교(Assumption College San Lorenzo)는 마카티 시티에 1959년 설립되었다.
- 미리엄 칼리지(Miriam College)는 케손 시티에 1926년 설립되었다.
- 필리핀 여자대학교(Philippine Women's University)는 필리핀 및 아시아 최초의 여자대학교로 1919년에 설립되었다.
- 마닐라 성 바오로 대학교(St. Paul University Manila)는 1912년에 설립되었다.
- 마닐라 성 스콜라스티카 대학교(St. Scholastica's College Manila)는 1906년에 설립되었다.
3. 5. 중동
;바레인- 여성 왕립 대학교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 여자 대학교
;쿠웨이트
- [http://www.bhck.edu.kw 박스 힐 칼리지 쿠웨이트]
- 쿠웨이트 대학교 여성 단과대학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대학교는 대부분 여성 전용 분교와 남성 전용 분교로 구성되어 있다.
- 사우드 대학교
- 이맘 대학교
- 압둘아지즈 대학교
- 파이살 왕립 대학교
- 프린스 술탄 대학교
다음은 여성 전용 교육 기관이다.
- 에파트 대학교
- 누라 공주 대학교
;이란
- 알자흐라 대학교
3. 6. 기타 국가
캐나다 유일의 여자대학은 브레시아 대학교이다. 브레시아 대학교는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와 제휴 관계에 있으며, 온타리오주 런던에 있는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8]마운트 세인트 빈센트 대학교는 노바스코샤주 핼리팩스에 있으며, 1875년 여성 대학으로 설립되었으나 1967년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
수단에는 아흐파드 여자대학교가 있다.
소말릴란드에는 [https://barwaaqouniversity.org/ 바르와코 대학교]가 2017년 발리가 카스에 설립되었다.
4. 현대 사회와 여자대학
현대 사회에서 여자대학의 존속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초기에 대부분의 대학이 남학생만 입학을 허용했기 때문에, 여성의 고등 교육을 위해 여자대학이 설립되었다. 1837년부터 1889년 사이에 설립된 미국 동부의 7개 여자대학은 "세븐 시스터스"로 알려져 있다. 초창기 여자대학은 부유한 집안의 딸들이 입학하여 교양을 쌓고 '현모양처'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기도 했다. 웰즐리 대학교에는 매너 강좌가 있었고, 1950년대에는 재학 중 결혼하는 여학생이 많았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여자대학은 여성 기업가와 같이 "자주성"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는 데 힘쓰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은 웰즐리 대학교를 졸업하고 예일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한 대표적인 여자대학 출신 인물이다. 이처럼 현재의 여자대학은 남녀공학의 4년제 대학과 다름없는 성격을 가진다. 학부 중심의 교육을 하고 있기 때문에 유명 대학의 대학원에 합격할 확률이 높은 대학도 있다. 또한, 여자대학 중에는 학부 과정 프로그램의 일부나 대학원 과정에 약간의 남학생을 받아들이는 곳도 있다.
4. 1. 남녀공학 전환 및 감소 추세
1960년대 이후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확대되고 남녀공학 대학이 증가하면서 여자대학 수는 감소하는 추세이다.[5] 1960년대 미국에는 240개의 여자대학이 있었지만, 2015년에는 약 40개만 남았다.[6] 많은 여자대학이 재정적 어려움, 학생 수 감소 등의 이유로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일본에서도 저출산에 따른 대학 입학 인구 감소와 남녀 공동 참여 등의 영향으로 여자대학이 남녀공학으로 개편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대학 명칭에서 '여자'를 빼거나(무사시노 여자대학→무사시노 대학, 교토 타치바나 여자대학→교토 타치바나 대학 등), 부분적으로 교명을 변경하거나(분쿄 여자대학→분쿄학원대학 등), 완전히 새로운 명칭을 붙이는 경우(가고시마 여자대학→시가쿠칸 대학 등)가 있다. 오사카 여자대학, 히로시마 여자대학, 고치 여자대학 등 과거의 공립 여자대학 대부분은 인근 공립대학과의 흡수 합병 또는 통합·재편으로 남녀공학이 되었다.
가쿠슈인 여자대학, 오쓰마 여자대학 등 일부 대학은 대학원만 남녀공학으로 운영하거나, 일본 여자대학, 페리스 여학원 대학 등은 일부 대학원 연구과, 야간부, 통신교육 과정에서 남녀공학을 인정하고 있다. 오차노미즈 여자대학처럼 논문 박사 대상을 남성에게 확대하는 등 부분적인 남녀공학화를 하는 여자대학도 많다.
4. 2. 역할 및 의의
여자대학은 여성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사회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특별한 교육 기관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여자대학은 여성에게 특화된 교육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여성들이 남녀공학 환경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 없이 학업에 집중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여성 리더십 함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여성들이 사회 각 분야에서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준다.
미국의 경우, 초기에는 대부분의 대학이 남학생만 입학을 허용했기 때문에, 여성의 고등 교육을 위한 여자대학이 설립되었다. 1837년부터 1889년 사이에 설립된 미국 동부의 7개 여자대학은 "세븐 시스터스"로 알려져 있다. 초창기 여자대학은 부유한 집안의 딸들이 입학하여 교양을 쌓고 '현모양처'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기도 했다. 웰즐리 대학교에는 매너 강좌가 있었고, 1950년대에는 재학 중 결혼하는 여학생이 많았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여자대학은 여성 기업가와 같이 "자주성"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는 데 힘쓰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은 웰즐리 대학교를 졸업하고 예일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한 대표적인 여자대학 출신 인물이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정부가 여자 교육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에,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해 많은 사립 기독교 계열 미션 스쿨 여학교가 설립되었다.[18] 이들 학교는 영문학을 중심으로 교양 교육에 중점을 두었으며, 대한민국의 이화여자대학교와는 달리 소규모로 운영되었다.
여자대학은 영문학, 일본 문학, 교육학, 영양학, 가정학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제공하며, 최근에는 복지, 간호학, 약학 분야로도 확장하고 있다. 또한, 사회 과학 계열 학과를 신설하거나, 영양사, 간호사, 의사, 약사 등 국가 자격 취득을 위한 실용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추세이다.[21][22]
이처럼 여자대학은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와 양성평등 사회 실현에 기여하는 중요한 교육기관으로서, 여성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사회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Rodney O. Felder Dies at 69; Finch College's Last President
https://www.nytimes.[...]
2014-03-01
[2]
웹사이트
Flashback Photo: Miss Porter's School Finishes Socialites, Scholars and a First Lady - New England Historical Society
http://www.newenglan[...]
2015-03-31
[3]
웹사이트
Editorial
http://www.forgotten[...]
The Sweet Briar Magazine
2015-03-15
[3]
웹사이트
Alumna: Sweet Briar College is no finishing school. It must not close.
https://www.washingt[...]
2015-03-15
[4]
서적
History of Pittsburgh and Environs: From Prehistoric Days to the Beginning of the American Revolution ...
https://books.google[...]
American historical society, Incorporated
[4]
서적
Hugo L. Black : Cold Steel Warrior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6-08-12
[4]
웹사이트
Why Sweet Briar Is Closing
http://www.styleweek[...]
2015-03-06
[4]
웹사이트
Sweet Briar Memories
https://www.insidehi[...]
2015-03-07
[4]
웹사이트
Another Girl Down: Sweet Briar College Closes
http://www.washingto[...]
2015-03-10
[4]
웹사이트
The Independent Women of Sweet Briar
https://www.nytimes.[...]
2015-04-23
[5]
웹사이트
Sweet Briar College to close: Are women's colleges still relevant? (+video) - CSMonitor.com
http://www.csmonitor[...]
2015-03-16
[5]
웹사이트
Are Same-Sex Colleges Still Relevant? - Room for Debate
https://www.nytimes.[...]
2015-03-16
[6]
웹사이트
Mills College fights back in a tough era for women's schools
http://www.sfchronic[...]
2015-03-16
[6]
웹사이트
Sweet Briar College to close because of financial challenges
https://www.washingt[...]
2015-03-16
[6]
웹사이트
Sweet Briar's last class? Why some all-women colleges are disappearing (+video) - CSMonitor.com
http://www.csmonitor[...]
2015-05-19
[7]
웹사이트
US Women's Colleges Hit Hard
https://news.google.[...]
2015-03-16
[8]
문서
About Brescia University College
http://www.brescia.u[...]
[9]
웹사이트
Serious Proposal to the Ladies for the Advancement of their True and Greatest Interest: in two parts (1697)
https://archive.org/[...]
Printed for Richard Wilkin
2013-09-12
[10]
웹사이트
Women in the Literary Marketplace (1800-1900): Mary Astell
http://rmc.library.c[...]
Cornell University
2013-09-12
[11]
서적
Bluestockings
Penguin
[12]
웹사이트
Girton Past
https://www.girton.c[...]
Girton College
2019-04-24
[13]
서적
Women's Colleges in the United States: History, Issu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National Institute on Postsecondary Education, Libraries, and Lifelong Learning, U.S. Dept. of Education
2013-09-12
[14]
서적
True Remedy for the Wrongs of Women; with a history of an enterprise having that for its objective.
Phillips, Samson & Co.
[15]
서적
Paths to Success: Factors Related to the Impact of Women's Colleges
[16]
서적
Alma Mater: Design and Experience in the Women's Colleges from Their Nineteenth-Century Beginnings to the 1930s
https://books.google[...]
Alfred A. Knopf, NY (1984);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2013-09-12
[17]
문서
鳴尾・武庫川女子大前駅(阪神本線)のように、公共施設の正式名称となっている場合もある。
[18]
웹사이트
日本で「名門女子校」が生まれた理由
https://president.jp[...]
PRESIDENT Online
2022-03-03
[19]
문서
2000年から共学化。2014年に聖路加国際大学と改称。
[20]
문서
例として宮城学院女子大学、フェリス女学院大学、同志社女子大学、神戸女学院大学、活水女子大学などに音楽学部または音楽(学)科が設けられている。
[21]
문서
2011年には京都女子大学で女子大学初の法学部が新設された。
[22]
문서
令和4年(2022年)に国立大学法人の奈良女子大学に日本の女子大学史上初の工学部工学科が開設され、令和5年(2023年)にはお茶の水女子大学にも工学系の共創工学部が開設予定である。
[23]
웹사이트
華族女学校の創設
https://www.meijijin[...]
明治神宮
2023-11-12
[24]
웹사이트
津田塾の歴史
https://www.tsuda.ac[...]
津田塾大学
2023-11-12
[25]
간행물
アメリカ・日本・韓国における女子大学の動向と特性比較
実践女子大学
2022-03
[26]
뉴스
女子大5校 性自認女性に門戸/3校方針 なりすまし懸念も 本紙調査
https://www.sankei.c[...]
2023-11-12
[27]
문서
飯野正子,津田塾大学「男性の役割を女性が果たすので決断力がつく」、湊晶子,東京女子大学「18~22歳の時期に男性が近くにいると依存してしまう」など。
[28]
웹사이트
存在意義 探る女子大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2-03-03
[29]
웹사이트
LGBT最前線 変わりゆく世界の性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22-03-03
[30]
웹사이트
東京女子大の「ルワンダ」広告炎上が起きた理由…ジェンダー平等へのバックラッシュは過去の出来事ではない(井戸 まさえ) @gendai_biz
https://gendai.media[...]
2024-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