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융커는 "젊은 귀족" 또는 "젊은 영주"를 의미하는 중세 고지 독일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원래는 귀족의 칭호였으나, 점차 엘베 강 동쪽의 토지를 소유한 지주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12세기부터 동방 식민 운동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으며, 프로이센 왕국에서 정치적, 사회적으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융커는 군 장교, 행정 관료를 독점하며 보수주의 세력과 연대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토지 개혁으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이센의 귀족 - 릴리 브라운
릴리 브라운은 프로이센 육군 장군의 딸로 태어나 사회주의 페미니스트 작가로 활동하며 독일 사회민주당 내에서 수정주의 노선을 지지, 여성의 경제적 자유와 사회 참여 확대를 옹호하고 여성 문제와 사회주의에 대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 프로이센의 귀족 - 카를 토마스
카를 토마스는 뢰벤슈타인-베르트하임-로젠베르크 공작의 장남으로 프로이센 육군 소위로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하고 외교 특사로 활동했으며, 가문의 재산을 관리하고 제1의회에서 의석을 차지했으나 정치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오스트리아 제국과 유대감을 유지하며 가톨릭 신앙에 헌신했다. - 프로이센의 역사 - 마주리안 호수 지구
마주리안 호수 지구는 폴란드 북동부에 위치한 빙하 지형으로, 퇴적구릉과 호수가 특징이며 역사적 명소와 다양한 야외 활동으로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이다. - 프로이센의 역사 - 웨스트민스터 조약
웨스트민스터 조약은 1462년부터 1756년까지 잉글랜드-스코틀랜드 귀족, 영국-네덜란드, 영국-프로이센 간에 체결된 여러 조약들을 지칭하며, 영국의 해상 패권, 유럽 세력 균형, 식민지 경쟁 등 다양한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 독일의 귀족 - 발두어 폰 시라흐
발두어 폰 시라흐는 나치 독일 시대 히틀러 유겐트의 국가 지도자였던 독일 정치인으로, 나치즘에 심취하여 히틀러 유겐트를 합법적인 청소년 단체로 성장시키고 빈의 가우라이터 겸 제국총독으로 활동했으며,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반인륜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독일의 귀족 - 예카테리나 2세
예카테리나 2세는 1762년부터 1796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여제로, 계몽주의 정책 추진, 영토 확장, 문화 예술 장려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융커 | |
---|---|
융커 (프로이센) | |
![]() | |
개요 | |
의미 | 프로이센 역사에서 귀족 계급을 지칭하는 비공식 용어 |
상세 정보 | |
정의 | 지주 귀족, 특히 프로이센 동부 지역의 지주 귀족 |
어원 | '젊은 귀족' 또는 '젊은 영주'를 의미하는 독일어 단어 |
역사적 역할 | 프로이센과 독일의 정치, 군사, 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함 |
특징 | 보수적 성향, 군국주의적 성향, 사회적 특권 의식 |
주요 가문 | 폰 비스마르크 가문, 폰 몰트케 가문, 폰 힌덴부르크 가문 등 |
영향력 감소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정치적 영향력 감소 |
나치 시대 | 일부 융커들은 나치에 협력, 일부는 저항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 동독 지역 융커들은 토지 몰수와 추방을 겪음 |
현대적 의미 | 역사적 용어, 사회 계층으로서의 의미는 퇴색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프로이센 귀족 지주 군국주의 |
2. 어원
''융커''(Junker)는 "젊은 귀족"[4] 또는 "젊은 영주"(''jung''과 ''Herr''의 파생어)를 의미하는 중세 고지 독일어 ''Juncherre''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는 기사 서임 전후 또는 없는 상위 ''에델프라이''(제국 직속) 귀족의 칭호였다. 이는 젊거나 덜 귀족적이며 가난하고 정치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시골 지주"로 이해되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진화했다. 마르틴 루터가 바르트부르크에서 "융커 요르크"로 변장한 것이나, 훗날 헨리 8세를 "융커 하인츠"[5]로 조롱한 것을 참고할 수 있다. 귀족의 일원으로서 많은 융커 가문은 더 이상의 계급 없이 성 앞에 ''폰'' 또는 ''추''와 같은 전치사만 사용했다. 칭호의 약자는 Jkr.이며, 이름과 칭호 앞에 가장 자주 사용된다. (예: Jkr. 하인리히 폰 호헨베르크) 여성에 해당하는 ''융크라우''(Junkfrau, Jkfr.)는 드물게 사용되었다. 어떤 경우에는 경칭 Jkr.가 ''자유 남작''(Freiherr)과 ''백작''(Grafen)에게도 사용되었다.
융커는 엘베강 동쪽 프로이센 왕국에서 영향력 있는 지휘관이자 토지 소유자로 성장했다.[6] 18세기부터 융커는 프로이센 군부와 관료 사회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며, 특히 군 장교와 고위 관료직을 독점했다.[39]
원래는 "귀족의 젊은 도련님"이라는 의미였으나, 이윽고 귀족의 성격, 특히 귀족의 오만불손한 태도를 비판적으로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25][26] 1840년 이후 무렵부터는 엘베강 동쪽 지주(地主)의 특성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25]
3. 역사
19세기 초, 프로이센은 나폴레옹 전쟁에서 패배한 후 농노제 폐지를 포함한 개혁을 단행했다. 융커는 자본주의적인 농업 경영 방식을 도입하여 변화에 적응했지만, 여전히 영주 재판권과 경찰권을 유지하며 농민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했다.
1848년 혁명과 독일 통일 이후에도 융커는 군과 중앙 관청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19세기 말부터 곡물 가격 하락과 산업화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더욱 보수적인 성향을 띠게 되었다. 이들은 독일 보수당과 농민 연합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보호무역 정책을 옹호하고 자유주의와 사회주의에 반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도 융커는 오스트힐페 정책을 통해 경제적 지원을 받으며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 점령 지역에서 시행된 토지 개혁으로 융커는 토지를 몰수당하고 집단 농장 체제로 편입되면서 몰락했다.
독일 재통일 이후 일부 융커는 토지 반환 소송을 제기했지만, 독일 법원은 토지 개혁의 유효성을 인정하며 이들의 요구를 기각했다.
3. 1. 기원과 동방 식민 운동
''융커''(Junker)는 "젊은 귀족"[4] 또는 "젊은 영주"(''jung''과 ''Herr''의 파생어)를 의미하는 중세 고지 독일어 ''Juncherre''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는 기사 서임 전후 또는 없는 상위 ''에델프라이''(제국 직속) 귀족의 칭호였다. 그것은 젊거나 덜 귀족적이며 가난하고 정치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시골 지주"로 이해되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진화했다. 귀족의 일원으로서 많은 융커 가문은 더 이상의 계급 없이 성 앞에 ''폰'' 또는 ''추''와 같은 전치사만 사용했다. 칭호의 약자는 Jkr.이며, 이름과 칭호 앞에 가장 자주 사용된다(예: Jkr. 하인리히 폰 호헨베르크). 여성에 해당하는 ''융크라우''(Junkfrau, Jkfr.)는 드물게 사용되었다.
상당수의 가난한 융커들은 병사(''Fahnenjunker''), 용병, 영토 제후의 궁정에서 관리(''Hofjunker'', ''Kammerjunker'')로서의 경력을 쌓았다. 이 가문들은 대부분 독일 중세 ''우라델''에 속했으며, ''동방 식민 운동'' 기간 동안 북동부 유럽 영토의 식민지화와 기독교화를 수행했다. 수세기에 걸쳐 그들은 특히 엘베 강 동쪽의 프로이센 왕국에서 영향력 있는 지휘관이자 토지 소유자가 되었다.[6]
12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엘베강 동쪽으로 독일 농민들의 동방 식민이 활발해졌다.[27] 농민은 자기 토지에 세습 소유권을 가지고, 스스로의 사회 내부에서 촌장을 내어 그 재판권에 복종했다.[27] 농민에게 부과된 의무는 영주에게 지대, 군주인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에게 세금과 연간 며칠 정도의 부역을 제공하는 것뿐이었다.[29]
영주는 변경백의 어료지인 경우를 제외하면 변경백에게 영지를 받은 하급 귀족 기사였던 경우가 많았다. 기사는 영지를 받는 대신 변경백에게 전시 봉사 의무를 졌다.[30] 그들이 융커의 선조이다.[31]
14세기부터 15세기에는 잇따른 전쟁으로 군주가 재정난에 빠졌고, 그로 인해 힘을 잃은 군주를 대신해 귀족이 대두했다. 브란덴부르크에서도 영주가 재판권이나 부역권을 획득하여, 영주들이 농민을 직접 지배하게 되었다. 페스트의 대유행으로 농민 수가 감소하고, 영주도 수입을 얻기 어려워져 농민이 도시로 나가지 못하도록 토지에 묶어두는 일도 많아졌다. 이렇게 15세기부터 엘베강 동쪽에서는 귀족 권력의 강화와 농민의 지위 저하가 나타나게 되었고, 16세기 이후에는 그 경향이 급격히 가속화되었다.[32]
3. 2. 융커의 탄생과 구츠헤르샤프트
''융커''(Junker)는 "젊은 귀족"[4] 또는 "젊은 영주"(''jung''과 ''Herr''의 파생어)를 의미하는 중세 고지 독일어 ''Juncherre''에서 유래되었다. 원래는 기사 서임 전후 또는 기사 서임이 없는 상위 ''에델프라이''(제국 직속 ) 귀족의 칭호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시골 지주"로 이해되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변화했다.[6] 융커 가문은 귀족의 일원으로서 성 앞에 ''폰'' 또는 ''추''와 같은 전치사만 사용했다.
엘베 강 동쪽에 영지를 소유한 중세 기사들이 직접 농지 경영에 나선 것에서 융커가 시작되었다. 이들은 영지 내에 직영 농지인 ""을 소유하고, 구츠헤르샤프트라고 불리는 영지 경영을 했다. 또한 농민에게 부역을 부과하고, 영주 재판권·경찰권을 행사함으로써 농민을 강력하게 지배했다. 이는 영주가 지대 취득자에 불과하며, 직접 농지 경영을 하지 않고 영주 재판권도 가지지 않는 서부 독일의 그룬트헤르샤프트 영지 경영과는 대조적이었다.[7]
16세기에는 해양 국가(네덜란드)와 잉글랜드를 중심으로 도시가 번성하면서 곡물 수요가 증가했다. 동유럽은 이 곡물 수요를 충족시키는 공급지 역할을 하며 이익을 얻을 기회를 얻었다. 프로이센 귀족들 또한 이 흐름에 발맞춰 농업 경영에 직접 참여했다.[33]
군사 체제가 기사의 전시 봉사에서 용병으로 구성된 상비군으로 이행함에 따라 귀족들이 기사로서의 역할에서 해방되어 농업 경영에 전념할 수 있게 된 것도 융커의 탄생을 뒷받침했다.[34]
이처럼 엘베 강 동쪽에 영지를 가진 귀족들은 근대적인 농업 경영자인 "융커"로 변모해 갔다. 그들의 직영 농업지를 굿츠헤르샤프트라고 불렀다.[35]
3. 3. 구츠헤르샤프트의 완성
엘베강 동쪽에 영지를 소유한 중세 기사들이 직접 농지 경영에 나선 것에서 구츠헤르샤프트가 시작되었다. 그들은 영지 내에 직영 농지인 구츠헤르샤프트라고 불리는 영지 경영을 했다. 또한 농민에게 부역을 부과하고, 영주 재판권·경찰권을 행사함으로써 농민을 강력하게 지배했다. 영주가 지대 취득자에 불과하며, 직접 농지 경영을 하지 않는 그룬트헤르샤프트라고 불리는 영지 경영을 하며, 영주 재판권도 가지지 않는 서부 독일의 귀족과는 대조적인 존재였으며, 농지가 풍부한 동부 독일 특유의 귀족이었다.[36]
17세기 절대주의 시대에 융커의 구츠헤르샤프트 체제가 완성되었다. 융커는 도시에 의존하지 않고 외국 상인과 자유롭게 거래하게 되면서 더욱 대규모의 농업 생산을 하게 되었다. 융커는 30년 전쟁으로 황폐해진 토지와 농민의 토지를 차례차례 병합하여 직영지를 늘려갔다.[36]
융커의 농민 지배 또한 더욱 강화되어, 농민의 농지 소유권은 소수의 자유 농민을 제외하고는 융커의 의지에 따라 쉽게 빼앗기게 되었다. 또한 농민은 융커의 허락 없이는 결혼, 이주, 직업 변경이 허용되지 않았으며, 농민에 대한 부역도 점점 늘어나 주 2일에서 5일의 노동을 부과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 또한 농민은 자녀를 3년 정도 융커에게 머슴으로 제공할 의무를 졌다. 게다가 융커는 국가와는 별개로 영주 재판권과 영주 경찰권을 가지고 있어, 농민들에게 융커는 제1심 재판관이었다. 또한 융커는 영내의 교회에 대해 보호·후견권을 가지고 있었는데, 당시 교회는 학교를 장악하고 있었으므로 융커는 교육을 통해 농민을 정신적으로 지배했다. 융커는 영내에 국왕 등 상위 권력이 개입하는 것을 최대한 피하려 했기 때문에, 농민들에게 융커는 유일한 지배자가 되어갔다.[37]
3. 4. 프로이센 군부와 관료 사회의 독점
융커는 엘베강 동쪽의 독일 제국 영토에서 독일 농업을 거의 독점하다시피 했다. 융커의 토지는 장자 상속 원칙에 따라 장남에게만 상속되었으므로, 교육 수준이 높고 귀족적 배경을 가진 차남들은 문무 관료로 진출하여 고위 공직과 장교단을 장악했다.[8] 18세기 절대 왕정 시대에 프로이센에서 융커는 군 장교와 행정 관료(특히 장교)를 차지했는데, 이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정책 결과이자 융커에게도 차남, 삼남의 취업 자리로 편리했기 때문이다. 1806년 프로이센 장교 7,000~8,000명 중 평민은 700명 미만이었고 나머지는 융커를 포함한 귀족 출신이었다.[39] 군대는 왕권의 지주였으며, 이를 통해 프로이센 국왕과 융커는 영지 개입을 둘러싼 대립뿐 아니라 일체화도 진행되었다.[40]
1900년경 융커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농업 운영을 현대화했다. 덜 생산적인 토지를 매각하고, 새로운 품종의 소와 돼지에 투자했으며, 새로운 비료를 사용하고 곡물 생산량과 노동자 1인당 생산성을 향상시켰다.[8] 이들의 정치적 영향력은 미국산 곡물과 육류의 경쟁을 줄이는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데 기여했다.[8]
제1차 세계 대전 중, 아일랜드 민족주의 국회의원 톰 케틀은 앵글로-아일랜드 지주 계급을 프로이센 융커에 비유하며 "영국은 유럽의 자유를 위해 싸우지만 아일랜드에서는 융커 지배를 위해 싸운다"고 말했다.[9]
융커의 정치적 영향력은 1871년부터 1918년까지의 독일 제국과 1919년부터 1933년까지의 바이마르 공화국까지 이어졌다. "프러시아가 독일을 지배하고, 융커가 프러시아를 지배하며, 이를 통해 제국 자체를 지배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였다.[10] ''오스트힐페(Osthilfe)'' 정책을 통해 융커에게 의 보조금이 지급되어 부채를 갚고 장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11] 융커는 점점 더 많은 보조금을 요구하고 받았으며, 이는 그들의 정치적 권력을 강화했다. 곡물 독점을 이용하여 가격을 올리고 정치적 공직을 통제하면서, 융커는 원하는 사람을 공직에 유지할 수 있었다.[12] 융커는 정치인들에게 농민의 부채 징수를 금지하는 법을 만들도록 영향력을 행사하여 더 많은 돈을 챙기고 권력을 강화했다.[13]
1848년 혁명 당시 보수주의 군주주의 세력과 연대한 융커는 자유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에게 반동, 반민주적, 보호주의적으로 여겨졌다. 그들의 정치적 이익은 독일 보수당과 농민 연합(''Bund der Landwirte'')에 의해 대변되었다. 이들은 프로이센 삼계급 선거권을 통해 산업 계급과 정부 모두에 막대한 권력을 행사했다. 1890년대 독일 재상 레오 폰 카프리비가 곡물 수입에 대한 보호 관세를 낮추자, 이들은 그의 해임을 요구하고 관철시켰으며, 1902년 독일 관세에서는 자국 제품의 가격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식료품에 대한 관세를 부활시켰다.
"융커"라는 용어는 19세기 독일 제국의 국내 정책에 대한 논쟁 중에 부정적인 의미를 획득했다.[14] 이 용어는 막스 베버와 같은 사회학자들이 사용했으며, 토지 소유 계급 구성원들 스스로도 채택했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 재상은 유명한 융커였지만, 그의 비스마르크 가문은 엘베강 서쪽의 알트마르크 지역 출신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프로이센 농업가들은 국가 보수주의 독일 국가 인민당(DNVP)에 모였다. 이 용어는 서프로이센의 오그로드지에니에츠의 영주였던 제국 대통령 파울 폰 힌덴부르크와, 아돌프 히틀러를 독일 총리로 임명하도록 촉구한 오스카 폰 힌덴부르크와 엘라르트 폰 올덴부르크-야누샤우 등 "카마릴라"에게도 적용되었다. 이들은 1932/33년 ''오스트힐페'' 스캔들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많은 제2차 세계 대전 원수들도 융커 출신이었으며, 특히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페도르 폰 보크, 에리히 폰 만슈타인이 두드러졌다. 많은 융커는 폴란드와 소련에서 온 강제 노동자들을 사용했다.[15] 그러나 헬무트 야코브 폰 몰트케는 나치 정권에 대한 저항의 일환으로 크라이사우 서클을 결성했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나치 독일에 불리하게 돌아가자, ''국방군''의 여러 융커 고위 장교들이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대령의 1944년 7월 20일 암살 시도에 참여했다. 그들 중 58명이 음모가 실패하면서 처형되거나,[16] 에르빈 폰 비츠레벤과 하인리히 그라프 폰 레흐도르프-슈타인오르트를 포함하여 자살했는데, 헤닝 폰 트레츠코프와 같다. 전쟁의 마지막 몇 달 동안 붉은 군대의 진격과 그 이후 대부분의 융커는 1945년 5월 8일 독일의 항복 이후 오데르-나이세 선의 시행에 따라 재건된 폴란드 인민 공화국에 넘겨진 동부 영토에서 도피해야 했다.
3. 5. 19세기: 개혁과 저항
18세기 이후 융커는 프로이센 왕국 귀족 계급의 중심이 되어 프로이센의 장교나 관료 지위를 독점했다. 19세기 초 농지 개혁으로 농노제가 폐지되면서, 융커는 부역 노동 대신 임금을 지불하는 자본주의적인 "융커 경영"으로 전환해 갔다.
19세기 초,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끄는 프랑스 군에 프로이센이 패배하면서 엘베강 서쪽 영토를 상실했다.[43] 프로이센은 근대화와 재건을 위해 농민 해방을 포함한 개혁을 추진했다. 이 개혁으로 토지 매매, 직업 선택, 토지 분할 및 통합의 자유가 인정되었고, 농노제가 폐지되었으며, 농민의 토지 소유권이 보호되었다. 또한, 부역을 상환하여 영주에게 농지 일부나 상환금을 제공함으로써 부역을 없앨 수 있게 되었다.[44]
이러한 변화는 융커에게도 불리하지만은 않았다. 융커는 상환을 통해 직영 농지를 더욱 확대할 수 있었고, 영주 재판권과 영주 경찰권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군 의회에 융커뿐만 아니라 농민 대표도 참석할 수 있도록 하는 개혁은 융커의 반대로 좌절되었다.[45]
융커는 직영 농지(기사령)를 확대하면서, 농업 노동자에게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농업 경영을 전환하며 자본주의화·합리화를 추구했다.[46] 한편, 토지 매매 자유화로 부유한 시민이나 농민이 융커로부터 기사령을 매입하는 경우도 늘어났다. 1850년에는 전체 1만 2339개의 기사령 중 57% 정도만이 귀족(융커) 소유였다.[47]
1848년 혁명으로 융커의 영주 재판권이 폐지되었고, 독일 통일 후 1872년에는 영주 경찰권이 폐지되었다. 융커는 독일 통일에 소극적이었으나, 통일의 중심이었던 프로이센 재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융커 출신이었다. 독일 제국 수립 후, 융커는 군과 중앙 관청에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21]
19세기 말, 곡물 가격 하락과 급속한 산업화로 융커는 경제적으로 어려워졌고, 이는 그들을 더욱 보수적으로 만들었다.[21] 융커는 독일 농업의 거의 독점적인 지위를 누렸으며, 엘베강 동쪽의 독일 제국 영토에서 두드러졌다. 장자 상속 원칙에 따라 장남만이 토지를 상속받았기 때문에, 교육받은 귀족 출신 차남들은 문무 관료로 진출하여 고위 공직과 장교단을 장악했다. 1900년경에는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새로운 품종의 소, 돼지에 투자하고, 새로운 비료를 사용하며, 곡물 생산량과 노동자 1인당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 농업 운영을 현대화했다. 또한, 미국산 곡물과 육류의 경쟁을 줄이기 위해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8]
제1차 세계 대전 중, 아일랜드 민족주의 국회의원 톰 케틀은 앵글로-아일랜드 지주 계급을 프로이센 융커에 비유하며 "영국은 유럽의 자유를 위해 싸우지만 아일랜드에서는 융커 지배를 위해 싸운다"고 말했다.[9]
융커의 정치적 영향력은 1871년부터 1918년까지의 독일 제국과 1919년부터 1933년까지의 바이마르 공화국에 이르기까지 컸다. "프러시아가 독일을 지배하고, 융커가 프러시아를 지배하며, 이를 통해 제국 자체를 지배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였다.[10] ''오스트힐페(Osthilfe)'' ("동부 지원") 정책을 통해 융커에게 의 보조금이 지급되어 부채를 갚고 장비를 개선하는 데 사용되었다.[11] 융커는 더 많은 보조금을 요구하고 받았으며, 곡물 독점을 이용하여 가격을 올렸다. 이들은 정치적 공직을 통제하며 제품 가격을 높게 유지하고 원하는 사람을 공직에 앉힐 수 있었다.[12] 또한, 정치인들에게 농민 부채 징수 금지 법안을 만들도록 영향력을 행사하여 더 많은 돈을 챙기고 권력을 강화했다.[13]
1848년 혁명 당시 보수주의 군주주의 세력과 연대했던 융커는 군주제와 군사적 전통을 지지하며, 자유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에게 반동, 반민주적, 보호주의적으로 여겨졌다. 독일 보수당과 농민 연합(''Bund der Landwirte'')이 융커의 정치적 이익을 대변했다. 이들은 프로이센 삼계급 선거권을 통해 산업 계급과 정부 모두에 막대한 권력을 행사했다. 1890년대 독일 재상 레오 폰 카프리비가 곡물 수입에 대한 보호 관세를 낮추자, 융커는 그의 해임을 요구하고 관철시켰으며, 1902년 독일 관세에서는 자국 제품 가격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식료품 관세를 부활시켰다.
3. 6. 경제적 어려움과 보수화
1848년 혁명으로 융커의 영주 재판권이 폐지되었고, 독일 통일 후 1872년에는 영주 경찰권이 폐지되었다. 융커는 독일 통일에 소극적이었으나, 통일의 중심 인물이었던 프로이센 재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융커 출신이었다. 독일 제국 수립 후, 융커는 군과 중앙 관청 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21]
19세기 말부터 곡물 가격 하락과 급속한 산업화로 융커는 경제적으로 어려워졌지만, 이는 그들을 더욱 보수적으로 만들었다.[21] 융커는 독일 농업에서 거의 독점적인 지위를 누렸으며, 엘베강 동쪽 독일 제국 영토에서 두드러졌다. 융커의 토지는 장자 상속 원칙에 따라 장남에게만 상속되었기 때문에, 교육 수준이 높고 귀족적 배경을 가진 차남들은 문무 관료로 진출하여 고위 공직과 장교단을 장악했다. 1900년경에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농업 운영을 현대화했다. 덜 생산적인 토지를 매각하고, 새로운 품종의 소, 돼지에 더 많은 투자를 했으며, 새로운 비료를 사용하고, 곡물 생산량을 늘리고, 노동자 1인당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이들의 정치적 영향력은 미국산 곡물과 육류의 경쟁을 줄이는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데 기여했다.[8]
융커의 정치적 영향력은 1871년부터 1918년까지의 독일 제국과 1919년부터 1933년까지의 바이마르 공화국에 이르기까지 미쳤다. "프러시아가 독일을 지배하고, 융커가 프러시아를 지배하며, 이를 통해 제국 자체를 지배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였다.[10] ''오스트힐페(Osthilfe)'' ("동부 지원") 정책을 통해 융커에게 특정 부채를 갚고 장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의 보조금이 지급되었다.[11] 융커는 점점 더 많은 보조금을 요구하고 받았으며, 이는 그들의 재력을 늘려 정치적 권력을 강화했다. 융커는 곡물 독점을 이용하여 곡물을 저장하여 가격을 올렸다. 더 많은 이익을 얻으면서 정치적 공직을 통제할 수 있었다. 융커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제품에 대해 더 많은 돈을 계속 지불하도록 강요하는 동시에 원하는 사람을 공직에 유지할 수 있었다.[12] 융커는 막후에서 정치를 통제함으로써 정치인들에게 농민의 부채 징수를 금지하는 법을 만들도록 영향력을 행사하여 더 많은 돈을 챙기고 권력을 강화했다.[13]
군주제와 군사적 전통을 지지하는 융커는 자유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에게 반동, 반민주적, 보호주의적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그들이 1848년 혁명 당시 보수주의 군주주의 세력과 연대했기 때문이다. 그들의 정치적 이익은 독일 보수당과 의회 외 조직인 농민 연합(Bund der Landwirte)에 의해 대변되었다. 이 정치 계급은 특히 프로이센 삼계급 선거권을 통해 산업 계급과 정부 모두에 막대한 권력을 행사했다. 1890년대 독일 재상 레오 폰 카프리비가 곡물 수입에 대한 보호 관세를 낮추자, 이들 토지 소유주들은 그의 해임을 요구하고 얻어냈으며, 1902년 독일 관세에서는 자국 제품의 가격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식료품에 대한 관세를 부활시켰다.
3. 7. 몰락과 해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 점령 지역(동독)에서 1945년 9월 공산주의 ''보덴레폼''(토지 개혁)이 시행되면서 100ha를 초과하는 모든 사유 재산은 몰수되었고, 이후 대부분은 계속 경작하는 조건으로 '새로운 농부'에게 할당되었다. 브란덴부르크와 서포메라니아의 대규모 토지는 대부분 융커의 소유였기 때문에,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은 동독 대통령 빌헬름 피에크의 구호 "융커의 토지를 농민의 손으로!"(Junkerland in Bauernhand!)를 내세워 이 계획을 추진했다.[17] 이전 소유주들은 독일 전쟁 범죄와 나치 정권에 가담한 혐의로 독일 주둔 소련 군정청과 SED에 의해 기소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체포되어 잔혹하게 구타당하고 NKVD 특별 수용소 (''Speziallager'')에 수감되었고, 그들의 재산은 약탈당하고 영주 저택은 파괴되었다. 일부는 처형되었고, 많은 여성들이 강간을 당했다.[18] 1952년부터 이러한 개별 농장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집단 농업으로 통합되어 ''농업 생산 조합''(Landwirtschaftliche Produktionsgenossenschaften, LPG)으로 통합되거나 ''국유화''(Volkseigene Güter, VEG)로 국유화되었다.
독일 재통일 이후 일부 융커들은 민사 소송을 통해 이전 토지를 되찾으려 했지만, 독일 법원은 토지 개혁을 지지하고 완전한 보상 요구를 거부하여, 독일에 관한 최종 해결에 관한 조약(2+4 조약) (그리고 독일 연방 공화국 기본법에 포함됨) 내의 조건의 법적 유효성을 확인했는데, 이는 소련 점령 하의 토지 몰수를 되돌릴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마지막 결정적인 사건은 2006년 9월 하노버의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왕자가 제기한 소송의 실패였으며, 이때 독일 연방 행정 법원은 왕자가 작센안할트의 블랑켄부르크 성 주변 하노버 가문의 몰수된 토지에 대한 보상을 받을 권리가 없다고 결정했다. 그러나 다른 가족들은 현재 소유주(종종 신탁자로서의 독일 연방 정부)로부터 조용히 조상의 집을 다시 구매하거나 임대했다.[19] 몰락한 토지 소유주에 대한 공식적인 복권을 위한 청원은 2008년 독일 연방 하원에서 거부되었다.
3. 8. 전후 융커의 재산 회복 노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 점령 지역(동독)에서 1945년 9월 공산주의 ''보덴레폼''(토지 개혁)이 시행되면서 100ha를 초과하는 모든 사유 재산은 몰수되었고, 이후 대부분은 계속 경작하는 조건으로 '새로운 농부'에게 할당되었다.[17]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은 동독 대통령 빌헬름 피에크의 구호 "융커의 토지를 농민의 손으로!"(Junkerland in Bauernhand!)를 내세워 이 계획을 추진했다.[17] 이전 소유주들은 독일 전쟁 범죄와 나치 정권에 가담한 혐의로 독일 주둔 소련 군정청과 SED에 의해 기소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체포되어 잔혹하게 구타당하고 NKVD 특별 수용소에 수감되었고, 그들의 재산은 약탈당하고 영주 저택은 파괴되었다. 일부는 처형되었고, 많은 여성들이 강간을 당했다.[18] 1952년부터 이러한 개별 농장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집단 농업으로 통합되어 ''농업 생산 조합''(Landwirtschaftliche Produktionsgenossenschaften, LPG)으로 통합되거나 ''국유화''(Volkseigene Güter, VEG)로 국유화되었다.
독일 재통일 이후 일부 융커들은 민사 소송을 통해 이전 토지를 되찾으려 했지만, 독일 법원은 토지 개혁을 지지하고 완전한 보상 요구를 거부하여, 독일에 관한 최종 해결에 관한 조약(2+4 조약) (그리고 독일 연방 공화국 기본법에 포함됨) 내의 조건의 법적 유효성을 확인했는데, 이는 소련 점령 하의 토지 몰수를 되돌릴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마지막 결정적인 사건은 2006년 9월 하노버의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왕자가 제기한 소송의 실패였으며, 이때 독일 연방 행정 법원은 왕자가 작센안할트의 블랑켄부르크 성 주변 하노버 가문의 몰수된 토지에 대한 보상을 받을 권리가 없다고 결정했다.[19] 그러나 다른 가족들은 현재 소유주(종종 신탁자로서의 독일 연방 정부)로부터 조용히 조상의 집을 다시 구매하거나 임대했다.[19] 몰락한 토지 소유주에 대한 공식적인 복권을 위한 청원은 2008년 독일 연방 하원에서 거부되었다.
4. 주요 융커
다음은 주요 융커 목록이다.
인물 | 설명 |
---|---|
오토 폰 비스마르크 | 프로이센 왕국 재상, 독일 통일을 주도한 "철혈 재상" |
알브레히트 폰 론 | 프로이센 왕국 육군상, 재상 |
파울 폰 힌덴부르크 |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독일 참모총장,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독일 대통령 |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독일 육군 원수 |
베르너 폰 브라운 | 우주 공학자 |
게르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뵐처 | |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 | |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슈토이벤 | |
크리스토프 2세 폰 도나 | |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제이들리츠 | |
알프레트 폰 발더제 | |
알프레트 폰 슐리펜 | |
베르너 폰 지멘스 | |
레온하르트 그라프 폰 블뤼멘탈 | |
요시아스 폰 헤에린겐 | |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 |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 | |
페르디난트 폰 실 | |
한스 요아힘 폰 지텐 | |
루트비히 요르크 폰 바르텐부르크 | |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카를 vom und zum 슈타인 | |
헬무트 폰 몰트케 (대(大)) | |
헬무트 폰 몰트케 (소(小)) | |
구스타프 폰 방겐하임 | |
알렉산더 폰 린징겐 | |
프란츠 폰 히퍼 | |
카를-예스코 폰 푸트카머 | |
쿠르트 프라이헤어 폰 함머슈타인-에크보르트 | |
클라우스 폰 슈타펜베르크 | |
하인리히 그라프 폰 아이젠지델 | |
귄터 폰 라이프니츠 | |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 |
에리히 폰 팔켄하인 | |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
발터 폰 브라우히치 | |
페도르 폰 보크 | |
오스카 폰 힌덴부르크 | |
빌헬름 폰 레프 | |
에리히 폰 만슈타인 | |
한스-위르겐 폰 아르님 | |
헤르만 폰 아이히호른 | |
오토 리만 폰 산더스 | |
헬무트 제임스 그라프 폰 몰트케 | |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 |
페터 요르크 폰 바르텐부르크 | |
마리온 폰 뢴호프 | |
엘라르트 폰 올덴부르크-야누샤우 | |
페루스카 폰 레르도르프 | |
파울 에밀 폰 레토프-보르베크 | |
쿠르트 폰 슐라이허 | |
한스 폰 젝트 | |
베른하르트 폰 뷜로 | |
알렉산더 폰 클루크 | |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 |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시크 | |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 |
베른하르트 폰 브라운 | |
발터 폰 라이헤나우 | |
발터 폰 제이들리츠-쿠르츠바흐 | |
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 | |
아우구스트 폰 그나이제나우 | |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 |
알브레히트 폰 론 | |
카를 폼 슈타인 zum 알텐슈타인 | |
오이겐 안톤 테오필 폰 포트비엘스키 | |
아돌프 빌트 폰 호엔보른 | |
에르빈 폰 비츠레벤 | |
요브 폰 비츠레벤 (역사가) | |
루트비히 프라이헤어 폰 운트 주 데어 탄-라트삼하우젠 | |
히아친트 그라프 슈트라흐비츠 폰 그로스-차우헤 운트 카미네츠 | |
고트프리트 그라프 폰 비스마르크-쇤하우젠 | |
베셀 프라이탁 폰 로링호펜 | |
귄터 폰 클루게 | |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
울리히 폰 하셀 | |
하인리히 그라프 폰 레르도르프-슈타인오르트 | |
게오르크 폰 데르플링거 | |
에리히 폰 드리가르스키 | |
루트비히 폰 볼초겐 | |
루돌프 폰 베니히센 | |
하인리히 프라이헤어 폰 뤼트비츠 | |
레무스 폰 보이르슈 | |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 |
로타어 폰 리히트호펜 | |
파울 루드비히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 |
알프리트 크루프 폰 보렌 운트 할바흐 | |
페르디난트 폰 삼메른-프랑케네크 | |
에리히 폰 데어 바흐-젤레프스키 | |
프란츠 폰 파펜 |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
프란츠 페퍼 폰 잘로몬 | |
베르너 폰 프리치 | |
발두어 폰 시라흐 | |
클라우스 폰 뷜로 | |
프리드리히 베르너 폰 데어 슐렌부르크 | |
구스타프 크루프 폰 보렌 운트 할바흐 |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 |
막시밀리안 폰 바이히스 | |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린데이네르-빌다우 | |
클로트비히 주 호엔로에-실링스퓌르스트 | |
게오르크 폰 헤르틀링 | |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 |
한스-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 | |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 |
아돌프 폰 바이어 |
참조
[1]
서적
The Course of German History: a survey of the development of German history since 181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서적
A History of the Prussian Junkers
[3]
서적
Bismarck a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Meaning of Junker, in German
http://www.duden.de/[...]
[5]
간행물
'Henry VIII: September 1540, 26–30', Letters and Papers, Foreign and Domestic, Henry VIII, Volume 16: 1540–1541 (1898), p. 51
http://www.british-h[...]
2012-06-10
[6]
서적
Ordinary Prussians – Brandenburg Junkers and Villagers, 1500–1840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Ordinary Prussians – Brandenburg Junkers and Villagers, 1500–1840
[8]
문서
Torp
[9]
서적
The Lost Voices of World War I
[10]
서적
The Governments of Europe
[11]
웹사이트
Heilig
https://history.hano[...]
2018-10-29
[12]
웹사이트
Heilig
https://history.hano[...]
2018-10-29
[13]
웹사이트
Heilig
https://history.hano[...]
2018-10-29
[14]
서적
The European Nobilities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Basingstoke
[15]
서적
The Russians in Germany: A History of the Soviet Zone of Occupation, 1945–1949
Cambridge: Belknap Press
[16]
문서
MacDonogh, p. 204
[17]
서적
The Russians in Germany: A History of the Soviet Zone of Occupation, 1945–1949
Cambridge: Belknap Press
[18]
서적
The Russians in Germany: A History of the Soviet Zone of Occupation, 1945–1949
Cambridge: Belknap Press
[19]
웹사이트
The Prussians are coming
http://www.prospectm[...]
2011-01-26
[20]
문서
'[[#成瀬(1996,2)|成瀬、山田、木村(1996) 2巻]] p.87'
[21]
문서
'[[#世界大百科事典(1988)|世界大百科事典(1988年版)]]「ユンカー」の項目'
[22]
문서
'[[#林(1993)|林(1993)]] p.74-75'
[23]
문서
'[[#望田(1979)|望田(1979)]] p.20'
[24]
문서
'[[#成瀬(1996,2)|成瀬、山田、木村(1996) 2巻]] p.206'
[25]
문서
'[[#望田(1972)|望田(1972)]] p.66'
[26]
문서
'[[#林(1977)|林(1977)]] p.190'
[27]
문서
'[[#林(1993)|林(1993)]] p.82'
[28]
문서
'[[#成瀬(1996,2)|成瀬、山田、木村(1996) 2巻]] p.88'
[29]
문서
'[[#成瀬(1996,2)|成瀬、山田、木村(1996) 2巻]] p.88/89'
[30]
문서
'[[#林(1993)|林(1993)]] p.83'
[31]
문서
'[[#成瀬(1996,2)|成瀬、山田、木村(1996) 2巻]] p.88'
[32]
문서
'[[#成瀬(1996,2)|成瀬、山田、木村(1996) 2巻]] p.89-90'
[33]
문서
'[[#成瀬(1996,2)|成瀬、山田、木村(1996) 2巻]] p.91'
[34]
문서
'[[#林(1993)|林(1993)]] p.83'
[35]
문서
'[[#成瀬(1996,2)|成瀬、山田、木村(1996) 2巻]] p.91'
[36]
서적
成瀬、山田、木村(1996) 2巻
[37]
서적
成瀬、山田、木村(1996) 2巻
[38]
서적
成瀬、山田、木村(1996) 2巻
[39]
서적
成瀬、山田、木村(1996) 2巻
[40]
서적
成瀬、山田、木村(1996) 2巻
[41]
서적
成瀬、山田、木村(1996) 2巻
[42]
서적
成瀬、山田、木村(1996) 2巻
[43]
서적
成瀬、山田、木村(1996) 2巻
[44]
서적
成瀬、山田、木村(1996) 2巻
[45]
서적
成瀬、山田、木村(1996) 2巻
[46]
서적
成瀬、山田、木村(1996) 2巻
[47]
서적
成瀬、山田、木村(1996) 2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