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미다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미다졸은 히스타민을 포함하는 이미다졸아민 계열의 평면형 5원자 고리 화합물로, 두 개의 동등한 호변이성체 형태로 존재하며, 극성이 크고 물에 잘 녹는다. 산과 염기 모두로 작용하는 양쪽성 물질이며, 다양한 합성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히스티딘과 같은 생물학적 화합물에 포함되어 단백질, 효소, 의약품, 살균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금속 양이온에 대한 친화성이 높아 단백질 정제에도 사용된다. 또한, 이미다졸 고리가 양이온인 이미다졸륨 염 형태로 존재하며, 관련 헤테로고리 화합물과 함께 연구되고 있다. 이미다졸은 급성 독성이 낮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미다졸 - 히스티딘
    히스티딘은 이미다졸 곁사슬을 가진 필수 아미노산으로, 효소 촉매 반응, 금속 이온과의 결합, 다른 생물학적 활성 아민으로의 전환 등 다양한 생물학적 역할을 수행하며, 성인의 경우 체중 1kg당 14mg이 권장된다.
  • 이미다졸 - 온단세트론
    온단세트론은 선택적 세로토닌 5-HT3 수용체 길항제로서 화학요법이나 수술 후 메스꺼움과 구토를 예방하고, 임신 중 입덧, 위장염 관련 구토 완화, 설사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증상 개선에 사용되지만, 두통, 변비, 설사 등의 흔한 부작용과 QT 연장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다.
  • 알칼로이드 - 아편제
    아편제는 양귀비에서 추출되는 벤질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 계열 약물로, 모르핀과 유사한 약리 작용을 하며 진통 효과가 강력하지만 중독, 호흡 억제 등의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약물이다.
  • 알칼로이드 - 메스암페타민
    메스암페타민은 강력한 중추신경 자극제로, 필로폰 또는 히로뽕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각성 및 피로 해소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중독성과 심각한 부작용 때문에 엄격히 규제되는 물질이다.
  • 단순 방향족 고리 - 벤젠
    벤젠은 6개의 탄소 원자가 정육각형으로 배열된 방향족 탄화수소로,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유기 화합물 합성에 중요하게 사용되지만 발암물질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 단순 방향족 고리 - 피라진
    피라진은 다양한 유기 합성법을 통해 만들어지는 질소를 포함하는 방향족 헤테로 고리 화합물이며, 슈타이델-루그하이머 합성, 구트크네히트 합성, 가스탈디 합성 등 다양한 합성법이 존재한다.
이미다졸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개요
완전한 구조식
완전한 구조식
골격 구조식 (번호 포함)
골격 구조식 (번호 포함)
볼-앤-스틱 모델
볼-앤-스틱 모델
공간 채우기 모델
공간 채우기 모델
이미다졸 샘플
명명법
IUPAC명1H-이미다졸
다른 이름1,3-다이아졸
글리옥살린 (고어)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288-32-4
ChemSpider ID773
ChEBI16069
ChEMBL540
DrugBankDB03366
EINECS206-019-2
KEGGC01589
PubChem CID795
RTECSNI3325000
UNII7GBN705NH1
UN 번호3263
Beilstein 등록번호103853
Gmelin 등록번호1417
InChI1/C3H4N2/c1-2-5-3-4-1/h1-3H,(H,4,5)
표준 InChI1S/C3H4N2/c1-2-5-3-4-1/h1-3H,(H,4,5)
표준 InChIKeyRAXXELZNTBOGNW-UHFFFAOYSA-N
SMILESc1cnc[nH]1
속성
화학식C3H4N2
몰 질량68.077 g/mol
외형흰색 또는 옅은 노란색 고체
밀도1.23 g/cm³ (고체)
용해도633 g/L
최대 흡수 파장206 nm
녹는점89 ~ 91 °C
끓는점256 °C
pKa6.95 (공액산 기준)
구조
배위평면 5원환
결정 구조단사정계
쌍극자 모멘트3.61 D
위험성
주요 위험부식성
인화점146 °C
GHS 신호어위험

2. 구조 및 성질

이미다졸은 수소가 한쪽 질소 원자에 결합될 수 있어 두 개의 동등한 호변이성체 형태로 존재하는 평면형 5원자 고리 화합물이다. 쌍극자 모멘트가 3.67 D로 매우 극성이며,[12] 에 잘 녹는다. 평면 고리에 6개의 π 전자를 포함하고 있어 방향족성 화합물로 분류된다. 다음은 이미다졸의 공명 구조를 나타낸다.

467x467px


병에 담긴 이미다졸


이미다졸은 뿐만 아니라 에탄올 등 극성이 높은 유기 용매에도 잘 녹지만, 벤젠에는 약간 녹고 헥산에는 거의 녹지 않는다. 염기성은 아졸류 중에서 가장 강하며 피리딘보다 강하다(공액산 pKa = 6.95, 피리딘은 pKa = 5.29). 전이 금속에 대해 좋은 배위자로 작용한다.

이미다졸은 1번 위치의 양성자가 떨어지거나 3번 위치의 질소가 양성자화되어도 대칭적인 구조를 유지하며 방향족성을 잃지 않고 전하를 분산시켜 안정화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이미다졸은 유기 합성에서 폭넓게 응용된다.
(참고: 하위 섹션 '양쪽성'에서 이미다졸의 산, 염기로서의 작용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이 이어진다.)

2. 1. 양쪽성

이미다졸은 양쪽성 물질로, 산과 염기 모두로 작용할 수 있다. 산으로 작용할 때, 이미다졸의 p''K''a는 14.5로, 카복실산, 페놀, 이미드보다 산성이 약하지만 알코올보다는 약간 더 강하다. 산성 양성자는 질소에 결합된 것이다. 탈 양성자화는 대칭적인 이미다졸리드 음이온을 생성한다. 염기로서, 짝산의 p''K''a(두 값 사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p''K''BH+로 표시)는 약 7로, 이미다졸은 피리딘보다 약 60배 더 염기성이다. 염기성 부위는 고립 전자쌍을 가진 질소(수소에 결합되지 않은 질소)이다. 양성자화는 대칭적인 이미다졸륨 양이온을 생성한다.

3. 합성법

이미다졸은 글리옥살, 암모니아, 폼알데히드를 반응시켜 처음 합성되었다.[13]

글리옥살과 폼알데히드가 암모니아 중에서 반응하여 이미다졸이 합성되는 화학 반응식


이후 다양한 합성법이 개발되었지만, 공업적으로는 암모니아와 폼알데히드로부터 고압 하 액상에서 합성된다. 에틸렌디아민을 사용한 방법도 알려져 있지만, 반응이 2단계로 진행되어 비용 및 실용성이 낮다.

3. 1. 다양한 합성법

이미다졸은 1858년 독일 화학자 하인리히 데부스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지만, 다양한 이미다졸 유도체는 1840년대 초반부터 발견되었다. 글리옥살, 포름알데히드 및 암모니아가 축합하여 이미다졸(원래는 글리옥살린으로 명명됨)을 형성한다는 것이 밝혀졌다.[13] 이 합성은 비교적 낮은 수율을 보이지만 여전히 ''C''-치환된 이미다졸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250px


하나의 마이크로파 화학 변형에서 반응물은 벤질, 벤즈알데히드 및 빙초산 내 암모니아로, 2,4,5-트리페닐이미다졸("로핀")을 형성한다.[14]

이미다졸은 데부스 방법 외에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법의 대부분은 반응물의 작용기를 변경하여 다른 치환된 이미다졸 및 이미다졸 유도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이미다졸 고리를 만들기 위해 어떤 결합이 형성되고 몇 개의 결합이 형성되는지에 따라 일반적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데부스 방법은 각 반응물을 고리의 조각으로 사용하여 이미다졸에서 (1,2), (3,4) 및 (1,5) 결합을 형성하므로 이 방법은 3개의 결합 형성 합성법이 된다.

  • 결합 형성에 따른 이미다졸 합성 방법 분류


합성 방법반응 물질 및 특징비고
(1,5) 또는 (3,4) 결합 형성이미데이트와 α-아미노알데히드 또는 α-아미노아세탈 반응. (R1 = R2 = 수소일 때 이미다졸에 적용)
447x447px
(1,2) 결합과 (2,3) 결합 형성고온에서 1,2-다이아미노알케인알코올, 알데히드, 또는 카복실산으로 처리. 알루미나에 담긴 백금과 같은 탈수소 촉매 필요.
이미다졸 두 결합 형성
(1,2) 및 (3,4) 결합 형성N-치환된 α-아미노케톤과 폼아미드를 가열. 생성물은 1,4-이치환된 이미다졸. (R1 = R2 = 수소일 때 이미다졸 생성). 1,4-치환 생성에 효과적.
세 결합 형성
3개 결합 형성 (데부스 방법 변형)치환된 글리옥살, 알데히드, 아민, 암모니아 또는 암모늄 염 반응. Debus-Radziszewski 이미다졸 합성이라고 불리는 Debus 방법의 변형. 치환된 이미다졸에 대해 좋은 수율.
500px
광분해1-비닐테트라졸의 광분해. 1-비닐테트라졸이 2-트리부틸스타닐테트라졸과 같은 유기주석 화합물로부터 만들어진 경우 상당한 수율. (R1 = R2 = R3 = 수소일 때 이미다졸 생성).
기상 반응폼아미드, 에틸렌디아민 및 수소와 알루미나에 담긴 백금 사이의 반응. 340~480 °C에서 진행. 매우 순수한 이미다졸 생성물 형성.
반 르우센 반응TosMIC와 알디민 사용. 반 르우센 이미다졸 합성은 토실메틸 이소시아나이드(TosMIC)와의 반응을 통해 알디민으로부터 이미다졸 제조. 반 르우센 삼중성분 반응(vL-3CR)으로 확장 가능.



글리옥살암모니아와 폼알데히드를 반응시켜 처음 합성되었다. (Debus, 1858년)

다양한 합성법이 존재하지만, 공업적으로는 암모니아와 폼알데히드로부터 고압 하 액상에서 합성된다. 에틸렌디아민을 사용한 방법도 알려져 있지만, 반응이 2단계로 진행되어 비용적, 실용적으로 유용성이 낮다.

4. 생물학적 중요성 및 응용

이미다졸은 히스티딘, 히스타민, 테오필린 등 여러 중요한 생물학적 화합물에 포함되어 있다. 히스티딘은 이미다졸 측쇄를 가진 아미노산으로, 많은 단백질효소에 존재한다. 히스타민은 생체합성물질로 생체아민으로 분류될 수 있다. 테오필린은 차잎과 커피콩에서 발견되며 중추신경계를 자극한다.

일부 이미다졸 유도체는 곤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설코나졸 질산염은 케라틴을 소화하는 호주 카펫 딱정벌레 유충 ''Anthrenocerus australis''에 강력한 항섭식 효과를 보이며, 에코나졸 질산염은 일반적인 옷좀나방 ''Tineola bisselliella''에도 유사한 효과를 보인다.[23]

이미다졸은 에 잘 녹으며, 염기성은 아졸류 중에서 가장 강하고 피리딘보다 강하다(공액산 = 6.95, 피리딘은 = 5.29). 에탄올 등 극성이 높은 유기 용매에도 잘 녹지만, 벤젠에는 약간 녹고, 헥산에는 거의 녹지 않는다. 전이 금속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좋은 배위자가 된다.

이미다졸은 1번 위치의 양성자가 떨어져 나가도, 3번 위치의 질소가 양성자화되어도 대칭적인 구조를 이루며, 방향족성을 유지한 채 전하를 분산 안정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산성·염기성 어느 쪽에서도 좋은 이탈기가 될 수 있어, 유기 합성에서 폭넓게 응용된다. 예를 들어 이미다졸을 아실화한 아실이미다졸은 친핵 반응을 받기 쉬우며, 소위 활성 아실 신톤으로 카르복실산 유도체 합성에 이용된다. 수산기에 실릴 클로라이드를 작용시켜 실릴 에테르로 보호하는 경우에도 이미다졸을 염기 겸 촉매로 첨가한다. 카르보닐디이미다졸 (CDI)은 카르보닐화제, 아미드의 축합제로서 유용하다.

공업적으로는 의약·농약 원료, 에폭시 수지 경화제, 우레탄 경화 촉매, 구리 방청제 등으로 이용된다.

이미다졸은 필수 아미노산인 히스티딘 잔기를 시작으로 널리 생체 물질 일반에서 발견된다. 비타민 B12처럼 중심 금속에 배위하거나 아실화 효소에서의 비오틴이나 펩타이드 합성 분해 효소 등 효소의 활성 중심으로서 작용한다. 히스티딘이 대사된 히스타민 또한 이미다졸 고리를 가지며, 그 생리 활성 발현에 이미다졸 고리의 존재가 중요하다.

4. 1. 의약품 유도체

이미다졸은 항암제 머캅토푸린을 비롯한 여러 의약품에서 발견된다. 이미다졸기는 많은 살진균제, 항진균제, 항원충제, 항고혈압제 약물에 존재한다.[18][19] 이미다졸 약효기단의 또 다른 생물학적 활성은 세포 내 Ca2+K+ 플럭스의 하향 조절, 번역 개시 간섭과 관련이 있다.[20]

치환된 이미다졸 유도체는 여러 전신 진균 감염 치료에 유용하다.[21] 이미다졸은 케토코나졸, 미코나졸, 클로트리마졸을 포함하는 아졸 항진균제 계열에 속한다.

이미다졸과 트리아졸의 차이점은 시토크롬 P450 효소 억제 메커니즘과 관련이 있다. 이미다졸 화합물의 N3는 제2철 시토크롬 P450의 헴 철 원자에 결합하는 반면, 트리아졸의 N4는 헴 그룹에 결합한다. 트리아졸은 이미다졸보다 시토크롬 P450에 대한 특이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이미다졸보다 더 강력하다.[22]

아졸계 항진균제는 이미다졸 구조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의약품이다. 또한, 치환기를 갖는 광의의 이미다졸류로는 시메티딘 (항궤양제), 로사르탄 (항고혈압제), 오자그렐 (항천식제) 등 많은 의약품이 알려져 있다.

4. 2. 생체 내 완충 작용

이미다졸은 히스티딘을 비롯한 여러 중요한 생물학적 화합물에 포함되어 있다. 히스티딘은 이미다졸 측쇄를 가진 아미노산으로, 많은 단백질효소에 존재하며 헤모글로빈처럼 금속 보조 인자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17]

이미다졸 기반 히스티딘 화합물은 세포 내 완충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7] 히스티딘은 탈카복실화되어 히스타민이 될 수 있으며, 히스타민은 알레르기 반응 중에 생성될 때 두드러기를 유발한다.

5. 산업적 응용

이미다졸은 자체로는 직접적인 응용 분야가 거의 없지만, 에닐코나졸, 클림바졸, 클로트리마졸, 프로클로라즈, 비포나졸 등 다양한 농화학 물질의 전구체로 사용된다.[24]

프로클로라즈는 이미다졸 유도 농화학 물질 중 하나이다.


이미다졸은 공업적으로 의약, 농약 원료, 에폭시 수지 경화제, 우레탄 경화 촉매, 구리 방청제 등으로 이용된다.

의약품으로는 아졸계 항진균제가 이미다졸 구조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예이며, 시메티딘 (항궤양제), 로사르탄 (항고혈압제), 오자그렐 (항천식제) 등 다양한 의약품에 이미다졸 구조가 포함되어 있다.

5. 1. 배위 화학

이미다졸과 그 유도체는 금속 양이온에 대한 친화력이 높다. 이미다졸의 응용 분야 중 하나는 고정 금속 친화 크로마토그래피(IMAC)에서 His-tag가 부착된 단백질을 정제하는 것이다. 이미다졸은 니켈 이온에 결합된 태그 단백질을 용출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의 비드 표면에 부착된다. 과량의 이미다졸이 컬럼을 통과하여 His-tag을 니켈 배위로부터 치환하여 His-tag 단백질을 유리한다. 이미다졸은 전이 금속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좋은 배위자가 된다.

6. 생물학적 연구에서의 이용

이미다졸은 pH 6.2~7.8 범위에서 완충 작용을 하는 물질이다.[25] 순수한 이미다졸은 단백질 관련 파장(280 nm)에서 빛을 거의 흡수하지 않지만,[26][27] 순도가 낮은 이미다졸은 280 nm에서 상당한 흡광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미다졸은 로우리의 단백질 정량법을 방해할 수 있다.[28]

이미다졸은 단백질 정제에도 자주 사용된다. 폴리히스티딘 꼬리표가 있는 재조합 단백질을 니켈 수지에 고정시킨 후, 높은 농도의 이미다졸로 용출시키는 방식으로 단백질을 정제할 수 있다.

7. 이미다졸 염

단순한 이미다졸륨 양이온


이미다졸 고리가 양이온인 이미다졸의 염은 이미다졸륨 염(예: 이미다졸륨 염화물 또는 질산염)으로 알려져 있다.[29] 이러한 염은 이미다졸의 질소에서 양성자화 또는 치환에 의해 형성된다. 이 염들은 이온 액체 및 안정 카벤의 전구체로 사용되어 왔다. 탈양성자화된 이미다졸이 음이온인 염 또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염은 이미다졸레이트로 알려져 있다(예: 이미다졸레이트 나트륨, NaC3H3N2).

이미다졸륨염은 이미다졸 고리를 갖는 양이온으로 구성된 으로, 특히 1,3-디알킬이미다졸륨염, 1,2,3-트라이알킬이미다졸륨염의 대부분은 융점이 낮아 이온 액체가 된다.

또한 염화철(III)산 1-메틸,3-부틸이미다졸륨은 안정하고 자성을 띠는 액체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8. 관련 헤테로고리


  • 히스타민: 이미다졸아민 계열의 생체합성물질로, 생체아민으로 분류될 수 있다.
  • 벤즈이미다졸: 융합된 벤젠 고리를 가진 유사체이다.
  • 디히드로이미다졸 (이미다졸린): 4,5-이중 결합이 포화된 유사체이다.
  • 피롤: 1번 위치에 질소 원자가 하나만 있는 유사체이다.
  • 옥사졸: 1번 위치의 질소 원자가 산소로 대체된 유사체이다.
  • 티아졸: 1번 위치의 질소 원자가 으로 대체된 유사체이다.
  • 피라졸: 인접한 두 개의 질소 원자를 가진 유사체이다.
  • 트리아졸류: 세 개의 질소 원자를 가진 유사체이다.

9. 안전성

이미다졸은 970mg/kg(랫트, 경구)의 LD50으로 나타나듯이 급성 독성이 낮다.[24]

참조

[1]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2] 논문 Acidity constants of some arylimidazoles and their cations 1961
[3] 웹사이트 Imidazole https://pubchem.ncbi[...] 2024-02-17
[4] 웹사이트 Imidazole https://molekula.com[...] Molekula Group 2018-10-19
[5] 서적 Comprehensive Heterocyclic Chemistry 1984
[6] 서적 Imidazole and Benzimidazole Synthesis Academic Press 1997
[7] 서적 Ring Nitrogen and Key Biomolecules Kluwer Academic Press 1998
[8] 서적 Heterocycles in Life and Society John Wiley & Sons 1997
[9] 서적 Heterocyclic Chemistry Bath Press 1985
[10] 논문 The Chemodiversity of Purine as a Constituent of Natural Products
[11] 간행물 "Ueber Verbindungen des Thiazols (Pyridins der Thiophenreihe)" https://babel.hathit[...] 1887
[12] 논문 The Microwave Spectrum of Imidazole; Complete Structure and the Electron Distribution from Nuclear Quadrupole Coupling Tensors and Dipole Moment Orientation 1981
[13] 논문 Ueber die Einwirkung des Ammoniaks auf Glyoxal https://babel.hathit[...] 2016-10-01
[14] 논문 Microwave-Mediated Synthesis of Lophine: Developing a Mechanism To Explain a Product 2006
[15] 특허 Process for Manufacture of Imidazoles 2001-01-23
[16] 논문 Chemistry of sulfonylmethyl isocyanides. 12. Base-induced cycloaddition of sulfonylmethyl isocyanides to carbon, nitrogen double bonds. Synthesis of 1,5-disubstituted and 1,4,5-trisubstituted imidazoles from aldimines and imidoyl chlorides 1977
[17] 서적 Biochemical Adaptation: Mechanisms and Process in Physiological 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8] 논문 Design, synthesis, and evaluation of potential inhibitors of nitric oxide synthase https://digital.csic[...] 2018-07-24
[19] 논문 Effect of anti-fungal imidazoles on mRNA levels and enzyme activity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1994
[20] 논문 Inhibition of tumor growth and prolonged survival of rats with intracranial gliomas following administration of clotrimazole 2005
[21] 서적 Comprehensive Pharmacy Review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2] 서적 Veterin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Wiley-Blackwell
[23] 논문 The efficacy of antifungal azole and antiprotozoal compounds in protection of wool from keratin-digesting insect larvae 2014
[24] 간행물 Imidazole and Derivatives
[25] 서적 Data for biochemical research Clarendon Press
[26] 웹사이트 1H-Imidazole https://webbook.nist[...] 2021-05-13
[27] 웹사이트 Optimizing Purification of Histidine-Tagged Proteins https://www.sigmaald[...] 2021-05-13
[28] 논문 Determination of proteins in the presence of imidazole buffers Elsevier BV
[29] 논문 Design of Ionic Liquid 3-Methyl-1-sulfonic Acid Imidazolium Nitrate as Reagent for the Nitration of Aromatic Compounds by in Situ Generation of NO2 in Acidic Media 2012-04-06
[30]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31] 논문 Acidity constants of some arylimidazoles and their cations 1961
[32] 웹인용 Imidazole https://molekula.com[...]
[33] 서적 Comprehensive Heterocyclic Chemistry 1984
[34] 서적 Imidazole and Benzimidazole Synthesis Academic Press 1997
[35] 서적 Ring Nitrogen and Key Biomolecules Kluwer Academic Press 1998
[36] 서적 Heterocycles in Life and Society John Wiley & Sons 1997
[37] 서적 Heterocyclic Chemistry Bath Press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