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의 선사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선사 시대는 인류가 100만 년 이상 거주한 시기로, 구석기 시대부터 신석기 시대를 거쳐 고대 이집트 문명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시기를 포괄한다. 이집트의 초기 인류는 올도완, 아슐리안 등의 석기 문화를 사용했으며, 후기 홍적세에는 다양한 문화가 공존했다. 나일강 서부 지역의 제4습윤기에는 종말기 구석기 시대 인류가 번성했고, 나일강 중류 지역에서는 카르툼 중석기 문화가 나타났다. 기원전 7,000년경부터 건조화가 진행되면서 나일강 유역을 중심으로 농경이 시작되었고, 이는 신석기 시대를 열었다.
이집트는 상·하 이집트로 나뉘어 각기 다른 문화가 발달했으며, 파이윰, 메림데, 엘 오마리 등의 문화가 하 이집트에서 번성했다. 상 이집트에서는 타시, 바다리, 나카다 문화가 차례로 등장하며, 특히 나카다 문화는 이집트 전역으로 확산되어 사회 계층 분화와 정치적 발전을 이끌었다. 나카다 문화 시기에는 왕권이 강화되고 문자 사용이 시작되었으며, 상·하 이집트의 문화적 통일이 이루어졌다. 기원전 3150년경 나르메르에 의해 이집트 제1왕조가 시작되면서 통일 왕국이 건설되었고, 고대 이집트 문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집트 선사 시대에 대한 연구는 고대 이집트인들의 기록과 19세기 이후의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플린더스 페트리 등의 연구를 통해 문화 변동과 민족 이동에 대한 가설이 제시되었다. 이후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과 발굴 조사를 통해 이집트 선사 시대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선사 시대 - 타웅 아이
타웅 아이는 레이먼드 다트가 발견한 약 3~4세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두개골 화석으로, 초기에는 논쟁이 있었으나 후속 연구를 통해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초기 호미닌으로 인정받았으며, 두개골 형태와 대후두공 위치는 직립 보행 가능성을 제시한다. - 아프리카의 선사 시대 - 그레이트 짐바브웨
그레이트 짐바브웨는 쇼나족 조상의 고코메레 문화인들이 4세기부터 정착하여 11세기부터 300년간 건설한 남아프리카 최대 석조 유적으로, 한때 무역 중심지였으나 1450년경 쇠퇴하여 현재는 세 개의 건축물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쇼나족 문화유산으로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이집트의 역사 - 아랍 연합 공화국
아랍 연합 공화국은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의 합의로 수립되어 카이로를 수도로 하였으나, 이집트의 일방적인 정책으로 시리아가 반발하여 1961년 해체되었고, 이후 이집트는 1971년까지 국호를 유지했다. - 이집트의 역사 -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이집트 북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헬레니즘 시대에는 중심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현재는 이집트의 주요 도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집트의 선사시대 | |
---|---|
개요 | |
![]() | |
시대 | 시작: 기원전 300,000년 종료: 기원전 3100년 |
후대 |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 |
언어 | 이집트어 |
역사 | |
주요 사건 | 시작: 최초의 인간 정착 종료: 이집트 제1왕조 시작 |
기타 정보 | |
시대 구분 | 선사 시대 |
2. 자연 환경과 구석기 시대
이집트는 100만 년 이상(아마 200만 년 이상) 동안 인류가 거주해 왔지만, 이집트 초기 거주에 대한 증거는 드물고 단편적이다. 이집트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고고학적 유물인 올도완 문화에 속하는 석기들은 연대 측정이 불확실하며, 이 도구들은 아슐리안 문화에 속하는 도구들로 대체되었다.[3] 이집트에서 가장 젊은 아슐리안 유적은 약 40만~30만 년 전에 속한다.[4]
후기 홍적세 동안 이집트가 현생 인류에 의해 점유되었을 때, 실실리안, 파쿠리안, 아피안, 쿠바니안, 이드푸안-슈위크하티안 및 이스난 문화를 포함한 여러 고고학적 문화가 인식된다.[5]
나일강 서부 지역은 원래 광대한 사막 지대였으나, 기원전 12,000년 전부터 기원전 7,000년경까지 제4습윤기라고 불리는 습윤한 시기에 접어들었다. 연간 강수량은 200mm 전후였던 것으로 보이지만, 수단 북부에서 이집트 남부 지역에서는 식물이 번성하고, 노루, 가젤, 오릭스 등이 서식했다. 이 시기는 고고학적으로 "'''종말기 구석기 시대(Terminal Palaeolithic)'''" 또는 "'''속 구석기 시대(Epipalaolithic)'''"로 분류되며[134], 현재 사막이 된 지역에서도 인류의 거주가 확인되고 있다. 특히 하계 강우 후에 물웅덩이가 생기는 저지대나 비교적 얕은 위치에 지하수가 존재하는 장소에 그 거주가 집중되었다.
나일강 중류역(현재 수단 중부)에서도 다수의 취락이 형성되었다.[134] 이 나일강 중류역의 유적에서 발견된 문화는 카르툼(하르툼) 중석기 문화(Khartoum)라고 불린다. 이 카르툼 중석기 문화 유적에서는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단계의 토기가 발견되었으며, 풍부한 동식물 자원, 수산 자원에 힘입어 정착도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136]
기원전 7,000년 전부터 아프리카 대륙 북동부에서는 건조화가 서서히 진행되기 시작했다. 이에 맞춰 인류의 생활 환경도 연중 물을 얻을 수 있는 나일강 유역이 중심이 되어 갔다.[137]
2. 1. 와디 할파
발데마르 츠미엘레프스키(Waldemar Chmielewski)는 수단 와디 할파 인근 남부 국경 지역의 아르킨 8(Arkin 8) 유적지에서 이집트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구조물 중 일부를 발견했다. 츠미엘레프스키는 이 구조물의 연대를 기원전 10만 년으로 추정했다.[7] 구조물의 잔해는 깊이 약 30cm, 크기 2 × 1미터의 타원형 함몰 부분이다. 많은 곳이 돔 형태의 가죽 또는 나뭇가지 덮개를 지지하는 텐트 고리 역할을 하는 평평한 사암 조각으로 덮여 있었다. 이러한 유형의 주거지는 생활 공간을 제공했지만, 필요에 따라 쉽게 해체하고 운반할 수 있었다. 이는 이동식 구조물로, 쉽게 해체하고, 옮기고, 재조립할 수 있어 수렵 채집인들에게 반 영구적인 거주지를 제공했다.[7]2. 2. 아테리안 문화
기원전 4만 년경 아테리안의 도구 제작 기술이 이집트에 전파되었다.[7] 이 시기부터 후기 구석기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와디 할파에 반영구적 주거지가 나타났고, 동물 뼈, 적철광, 기타 돌로 만든 도구 등이 발견되었다.[7]2. 3. 코르무산 문화
코르무산 문화는 기원전 42,000년에서 32,000년 사이에 이집트에서 발달했다.[7] 코르무산인들은 석기뿐만 아니라 동물의 뼈와 적철광으로 도구를 만들었다.[7] 그들은 또한 아메리카 원주민의 것과 유사한 작은 화살촉을 개발했지만,[7] 활은 발견되지 않았다.[7] 코르무산 문화는 기원전 16,000년경에 게마이안을 포함한 다른 문화가 이 지역에 나타나면서 종말을 맞이했다.[6]2. 4. 후기 구석기 시대
이집트의 후기 구석기 시대는 기원전 30,000년경에 시작되었다.[7] 나즐레트 카테르 유골은 1980년에 발견되었으며, 1982년에 35,100년에서 30,360년 사이의 9개 표본을 기반으로 33,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었다.[8] 이 표본은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후기 석기 시대의 유일하고 완전한 현생 인류 골격이다.[9]상 이집트의 파쿠리안 후기 구석기 산업은 홍적세 후기에 나일 계곡에 균질한 인구가 존재했음을 보여주었다. 골격 자료 연구 결과, 그들은 와디 할파, 제벨 사바 및 콤 옴보 인구의 파편에서 발견된 변동 범위 내에 있었다.[10]
- 기원전 4만 년경부터 후기 구석기 시대
- * 아테르 문화의 도구 제작[7]
- * 와디 할파에 반영구적 주거지[7]
- * 동물 뼈, 적철광, 기타 돌로 만든 도구[7]
3. 중석기 시대
고고학자 발데마르 츠미엘레프스키는 수단 와디 할파 인근 남부 국경 지역의 아르킨 8(Arkin 8) 유적지에서 이집트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구조물 중 일부를 발견했다. 이 구조물의 잔해는 깊이 약 30cm, 크기 2 × 1미터의 타원형 함몰 부분이다. 많은 곳이 돔 형태의 가죽 또는 나뭇가지 덮개를 지지하는 텐트 고리 역할을 하는 평평한 사암 조각으로 덮여 있었다. 이러한 유형의 주거지는 생활 공간을 제공했지만, 필요에 따라 쉽게 해체하고 운반할 수 있어 수렵 채집인들에게 반 영구적인 거주지를 제공했다.[7]
후기 구석기 시대 말(기원전 4만 년경)부터 이집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3. 1. 할판 문화와 쿠바니안 문화
할판(Halfan)과 쿠바니안(Kubbaniyan)은 상나일강 계곡을 따라 번성했던 밀접하게 관련된 두 문화이다. 할판 유적은 수단의 최북단에서 발견되며, 쿠바니안 유적은 상 이집트에서 발견된다. 할판 문화는 대략 기원전 22,500년~22,000년(현재로부터 보정된 연도)에 존재했다.[11]할판 사람들은 대형 가축 무리와 코르무산(Khormusan) 전통의 어업을 식량으로 생존했다. 유물의 더 큰 밀집도는 그들이 계절적인 방랑에 얽매이지 않고 더 오랜 기간 정착했음을 시사한다. 할판 문화는 전문적인 사냥, 어업, 채집 기술에 의존했던 코르무산에서 파생되었다.[12][13] 이 문화의 주요 유물은 석기, 박편, 그리고 수많은 암각화이다.
3. 2. 세빌 문화
세빌 문화는 기원전 13,000년경에 시작되어 기원전 10,000년경에 사라졌다. 이집트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된 꽃가루 분석 결과, 세빌 문화(에스나 문화라고도 함)의 사람들이 곡물을 수집했음을 알 수 있지만, 가축화된 씨앗은 발견되지 않았다.[17] 곡물 수집가들의 정주 생활 증가는 전쟁으로 이어졌고, 이는 정주 생활에 해로워 이 시기를 종식시켰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17]3. 3. 카단 문화
카단 문화(기원전 13,000년~9,000년)는 중석기 시대의 고고학적 산업으로,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약 15,000년 전 상 이집트(오늘날의 남부 이집트)에서 시작되었다.[14][15] 약 4,000년 동안 지속된 카단 문화의 생계 방식은 사냥뿐만 아니라 야생 풀과 곡물의 준비와 소비를 포함하는 식량 채집에 대한 독특한 접근 방식으로 특징지어졌다.[14][15] 카단 사람들은 지역 식물에 물을 주고, 돌보고, 수확하기 위해 체계적인 노력을 기울였지만, 곡물은 정돈된 줄로 심어지지 않았다.[16]상 누비아의 약 20개 고고학 유적지에서 카단 문화의 곡물 제분 문화의 존재에 대한 증거가 발견된다. 카단 문화를 만든 사람들은 사하라 사막의 건조로 인해 리비아 오아시스의 주민들이 나일 계곡으로 물러났을 때 사하바 다루 나일 단계 초기에 나일 강을 따라 야생 곡물을 수확했다.[17] 카단 문화 유적지 중에는 중석기 시대에 속하는 제벨 사하바 묘지가 있다.[18]
카단족은 최초로 낫을 개발했으며, 식용 전에 이러한 식물성 식량을 수집하고 가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맷돌을 독립적으로 개발했다.[7] 그러나 기원전 10,000년 이후에는 이러한 도구의 사용에 대한 징후가 없으며, 수렵 채집인들이 이를 대체했다.[7]
4. 신석기 시대와 선왕조 시대
기원전 7000년경부터 아프리카 대륙 북동부에서는 건조화가 서서히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연중 물을 얻을 수 있는 나일강 유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137] 이 시기부터 나일강 유역에서 농경이 시작되었으며, 이를 신석기 시대의 시작으로 본다. 고고학적 관점에서는 이 시점을 선왕조 시대의 시작으로 보기도 한다.[133]
고대 이집트인들은 오늘날의 이집트 땅을 상 이집트 (타·셰마)와 하 이집트 (타·메후)라고 하는 두 개의 나라, 혹은 두 개의 땅으로 나누어 이해했다. '상'과 '하'는 나일강의 상류와 하류를 의미하며, 상 이집트는 남쪽, 하 이집트는 북쪽이다. 상 이집트는 나일강이 한 줄기로 흐르고 좁은 충적 평야와 하안 단구를 생활 터전으로 삼았으며, 조금만 벗어나면 불모의 사막 지대가 펼쳐져 있었다. 반면 하 이집트는 나일강의 광대한 델타 지대가 부채꼴로 펼쳐져 온통 녹지로 뒤덮여 있었고 바다와도 접해 있었다. 이러한 자연 환경의 차이는 생활 습관과 문화의 차이로 이어졌으며, 선왕조 시대에는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에서 각각 독자적인 문화가 발달했다.[141] 이후 이집트가 통일된 후에도 이 두 지역의 차이는 이집트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경계 부근에는 파이윰 저지대가 있었다. 나일강 지류가 흘러들어 형성된 카룬 호를 중심으로 하는 이 지역은 중왕국 시대에 간척되기 전까지 넓은 습지대가 펼쳐져 독특한 경관을 이루었으며, 지속적으로 사람들의 생활 터전이 되었다.[142]
나일강 중류역(현재 수단 중부)에서도 여러 취락이 형성되었다.[134] 이 지역에서 발견된 문화는 카르툼(하르툼) 중석기 문화(Khartoum)라고 불린다. 카르툼 중석기 문화 유적에서는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토기가 발견되었으며, 풍부한 동식물 자원과 수산 자원을 바탕으로 정착 생활이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36]
나일강 서부 지역은 12,000년 전부터 기원전 7천 년경까지 제4습윤기라고 불리는 습윤한 시기였다. 연간 강수량은 200mm 전후였지만, 수단 북부에서 이집트 남부 지역에서는 식물이 번성하고, 노루, 가젤, 오릭스 등이 서식했다. 이 시기는 고고학적으로 "종말기 구석기 시대(Terminal Palaeolithic)" 또는 "속 구석기 시대(Epipalaolithic)"로 분류되며,[134] 현재 사막이 된 지역에서도 인류의 거주가 확인된다. 특히 하계 강우 후에 물웅덩이가 생기는 저지대나 비교적 얕은 곳에 지하수가 존재하는 장소에 거주가 집중되었다. 현재 서부 사막 지방에 있는 나브타 플라야 유적 주변의 종말기 구석기 시대 유적에서 발견되는 인류가 포획한 동식물 유존체에는 노루와 가젤 외에도 타조의 알과 조류의 뼈 조각, 아카시아, 갯버들, 대추야자 등이 포함되어 있어, 당시의 환경이 현재보다 훨씬 생물 밀도가 높았음을 보여준다.[135]
4. 1. 하 이집트
마토마르에서 하마미야에 이르는 나일강 동쪽 기슭에서 발견된 바다리 문화는 기원전 4500년경부터 기원전 4000년경까지 존속했다. 바다리 문화는 사막 변두리에 집단 묘지를 조성하고, 부장품과 함께 죽은 자를 매장하는 풍습을 이집트에 처음으로 도입했다. 유해는 남쪽으로 머리를 두고 매장되었으며, 토기, 장신구, 팔레트 등과 함께 묻혔다. 이 시기부터 계층 분화가 나타났다.[161]바다리 사람들은 엠머 밀과 여섯 줄 보리를 재배하고 소, 양, 염소를 사육했으며, 가젤, 악어, 하마, 거북 등 야생 동물을 사냥하기도 했다. 이들은 농경과 목축을 주로 하면서도 야생 동물 사냥과 어로로 생활을 보완했다.[162]
4. 1. 1. 파이윰 문화
파이윰 B 문화는 카룬 호수 또는 카룬 지역에 위치해 있다는 의미에서 카루니안이라고도 불리며, 후기 구석기 시대(중석기 시대라고도 함) 문화로 파이윰 A 문화보다 앞선다. 도자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발견된 칼날 유형으로는 일반 칼날과 미세석기 칼날이 있다. 끌과 화살촉 세트는 사하라와 접촉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기원전 6500년~5190년경).[22][23]마체이 헤네베르크(Maciej Henneberg, 1989)는 카루니안에서 발견된 8,000년 된 여성 두개골을 기록했다. 이 두개골은 와디 할파, 현대 흑인, 호주 원주민과 가장 유사성을 보였으며, 메크타-아팔루 (고대 베르베르인) 또는 후기 원시 지중해 유형(캅시안)으로 분류되는 북아프리카의 후기 구석기 시대 유물과는 상당히 달랐다. 이 두개골은 가늘지만 큰 이빨과 튼튼한 턱을 가지고 있었다.[24] 2021년 SOY 케이타(SOY Keita)의 보고서에서도 카루니안 두개골과 테이타 계열과의 유사성이 발견되었다.[25]
나일강 유역의 농경과 목축은 기원전 6천년기 후반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138] 20세기 후반, 나일강 서쪽의 사막 지대에서 관련 유적이 다수 발견되어, 나일강 유역의 농경·목축 문화가 현재 사막화된 서부 사막 지방에 기원을 둔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서부 사막 지방과 나일강 유역의 관계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138]
아프리카 대륙 북동부에서는 기원전 7000년경 소의 가축화가 독자적으로 시작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양과 염소는 서아시아에서 가축화되어[139] 기원전 6000년기 후반에 도입되었다.
농경(식물 재배)과 관련하여, 현재 확인 가능한 가장 오래된 예는 기원전 5000년경 파이윰에서 발견된 밀이다. 다만, 기원전 6000년경에는 수수와 기장이 현재의 서부 사막 지방에서 재배되었다는 설도 있다.
4. 1. 2. 메림데 문화

카이로 남서쪽의 메림데 베니 살라마 유적에서는 기원전 5,000년에서 4,200년경까지 메림데 문화가 번성했다.[61] 이들은 농경과 목축을 병행했으며, 시리아 지방과 교류했다.[59]
4. 1. 3. 엘 오마리 문화
현대 카이로 근처의 엘 오마리 유적에서는 기원전 4600년에서 4400년경까지 엘 오마리 문화가 존재했다. 이들은 농경, 목축, 어로 등을 통해 생활했으며, 석기를 사용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4. 1. 4. 마아디-부토 문화
마아디-부토 문화는 나일강 하류 지역에서 발전한 문화로, 마아디 유적과 부토 유적을 중심으로 기원전 4000년에서 3500년경까지 번성했다. 이들은 농경, 목축, 어로 활동뿐만 아니라 구리를 가공하는 기술도 보유하고 있었다.[64] 이 시기에 이미 금속(구리)이 알려져 있었다는 점이 중요하다.[64]4. 2. 상 이집트
나일 계곡의 초기 신석기 문화는 주로 이집트 북부에 위치했으며, 기원전 6천 년대 후반부터 발달된 농경 생활, 정착 생활, 도자기 생산을 보여주었다.[26] 1947년 프리드리히 팔켄버거는 약 1,800개의 선사시대 이집트 두개골 표본을 연구하여 표본 간의 큰 이질성을 확인했다. 그는 코 지수, 머리와 얼굴 형태, 너비, 눈 구멍 구조 등을 기준으로 두개골을 크로마뇽인, "흑인", 지중해 유형 및 혼합 유형으로 분류했다.[19] 1971년 유진 스트로할도 초기 이집트인의 두개골 계측학을 북아프리카의 크로마뇽인, 지중해인, 동아프리카의 "흑인", 그리고 중간/혼합 유형으로 분류했다.[20]페크리 A. 하산 교수는 고고학적 및 생물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이집트 나일 계곡의 인구 형성이 연안 북아프리카인, "신석기" 사하라 사막인, 나일 강 유역 사냥꾼, 그리고 레반트 지역에서 약간의 영향과 이주가 있었던 강 유역의 원시 누비아인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의 결과라고 보았다(Hassan, 1988).[21]
상 이집트 지역의 주요 발전은 다음과 같다.
4. 2. 1. 타시 문화
상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4500년경 타시 문화가 나타났다. 이 문화 집단은 아시우트와 아크밈 사이 나일강 동쪽 둑에 위치한 데르 타사에서 발견된 매장을 따서 명명되었다. 타시 문화 집단은 가장 초기의 흑두 도자기를 생산한 것으로 유명하며, 이는 상단과 내부가 검은색으로 칠해진 적갈색 도자기의 일종이다.[60] 이 도자기는 선왕조 이집트의 연대 측정에 매우 중요하다.타시 도자기와 바다리 문화 도자기 사이에는 거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타시 문화는 바다리 문화의 범위와 상당 부분 겹친다.[73] 타시 시대부터 상 이집트는 하 이집트의 문화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74] 고고학적 증거는 "타시와 바다리의 나일 계곡 유적지는 바다리, 사하라, 누비아, 나일족이 정기적으로 순환하는 초기 아프리카 문화의 주변 네트워크였다"고 시사한다.[75]
타시 문화는 상 이집트에서 처음으로 토기를 도입한 문화이다.[159] 이 문화의 거주지 유적에서는 화덕과 석기, 토기밖에 발견되지 않아, 아마도 사람들은 이동형 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53]
4. 2. 2. 바다리 문화
البداريar 문화는 기원전 4400년에서 4000년경까지 상 이집트에서 번성했다.[128] 이 문화는 농경과 목축을 주 생업으로 삼았으며, 이집트 파이앙스를 비롯한 석기를 제작했다. 바다리 문화에서는 가구, 식기, 직사각형 집 모형, 냄비, 접시, 컵, 그릇, 꽃병, 조각상, 빗 등이 발견되었다.[126] 이 시기에는 계층 분화의 흔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4. 2. 3. 나카다 문화
نقادة|나카다ar 문화는 기원전 4000년경에 등장한 이집트 선사 시대의 중요한 문화이다. 이 문화는 크게 세 시기로 나뉜다.- 나카다 I기 (암라티안 문화): 이 시기에는 사회 계층 분화가 시작되었으며, 흑두 도자기가 특징적이다.
- 나카다 II기 (게르제 문화): 이 시기에는 사회 계층 분화가 더욱 심화되었고, 팔레스타인 지역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팔레스타인 토기의 영향을 받았다. 메소포타미아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유물도 발견되는데, 특히 라피스 라줄리가 대표적이다.[184] 원통 인장과 같은 유물도 발견되지만, 대부분은 이집트에서 제작된 모조품으로 보인다.
- 나카다 III기: 이 시기에는 대규모 취락, 즉 도시가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문자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여러 왕명이 확인되기도 한다. 전쟁터 팔레트에는 나카다 III기 이집트 통치자들에게 굴복한 부토-마아디 문화 사람들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을 수 있다.[66]
나카다 문화는 누비아, 팔레스타인, 메소포타미아 등 주변 지역과 활발하게 교류했다. 특히 히에라콘폴리스 왕묘에서 발견된 벽화와 부조 중에는 메소포타미아의 영웅(또는 신)인 길가메시의 도상으로 보이는 것이 있어 주목할 만하다.[187]
5. 왕권의 성립과 통일
각지에 성립한 "왕국"의 지배자들이 정확히 어떤 사람들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그들이 만든 "왕국"이나 "왕권"은 이후 이집트 왕조의 기초가 되었다. 그들의 무덤에서 발견된 위세품을 통해 이를 짐작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상아 제품[185](부적이나 빗 등), 물결 모양 손잡이 토기, '''곤봉''', '''팔레트'''[186] 등이 있다. 이 중 곤봉과 팔레트는 후세 이집트 역대 왕조를 통해 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물건으로 사용되었으며, 선왕조 시대 말, 혹은 초기 왕조 시대 초기의 왕인 전갈왕과 나르메르의 메이스헤드, 팔레트로 이어진다. 곤봉으로 적을 쳐부수는 모습의 그림이 이 시기의 히에라콘폴리스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이 그림의 표현 형식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까지 3000년 이상 이집트에서 계속 사용된다.[187] 히에라콘폴리스에서는 100호 무덤이라고 불리는 큰 무덤에서, 위에서 말한 그림 외에 왕권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그림 표현이 많이 발견되었다. 나카다 2기 중반까지는 히에라콘폴리스는 인구도 증가하고, 상이집트 지역을 통합한 정치 연합(국가)의 중심 역할을 했다는 설도 있다.[188]
나카다 문화는 나카다 2기 무렵까지 상하 이집트 전역으로 퍼져 "문화적으로 이집트가 통일"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상황이 나타났다.[191] 그러나 이 나카다 문화의 확대 과정과 이집트의 정치적 통합을 단순히 같다고 할 수 있는지는 알 수 없다.
기본적인 흐름으로 상 이집트의 정권에 의해 이집트가 통일되었다는 점까지는 많은 학자들의 의견이 일치한다. 그 이유는 나카다 문화가 상 이집트에서 시작되었다는 점과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히에라콘폴리스 등 상 이집트에서 발견된 왕권과 관련된 그림에는 이후 고대 이집트 시대를 통틀어 사용되는 모습이 있기 때문이다.[187] 게다가 그림 증거로서 나카다 유적에서 발견된 기원전 3500년경의 토기 조각에 새겨진 붉은 왕관의 릴리프가 있다. 이 붉은 왕관은 왕조 시대에는 하 이집트의 왕관으로 여겨졌으며, 상 이집트의 왕관인 흰 왕관과 짝을 이룬다. 상 이집트에 있는 나카다 유적에서 이 붉은 왕관의 그림이 발견되었고, 그것이 선왕조 시대의 것이라는 것은 "하 이집트 왕관인 붉은 왕관"의 형태가 하 이집트 고유의 것이 아니라 상 이집트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통일 왕조 성립 과정을 생각할 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192]
그러나 통일의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르다.
W. 카이저의 연구(1956년)에서는 나카다 문화가 남북으로 퍼지는 과정의 연대를 자세하게 조사하여 그것을 정치적 통합 과정과 거의 같다고 보았다.[193] 그러나 이 나카다 문화의 확대 과정은 주로 무덤의 분석으로 확인되었으며, 그것을 그대로 정치적 집단의 확대 과정으로 볼 수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B. J. 켐프(1989년)는 통일 왕조의 성립 과정을 3단계로 나누는 가설을 제시했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제1단계로 나일강 하류에 여러 작은 정치 세력이 생긴다. 제2단계로 상 이집트에 아비도스(티스), 나카다, 히에라콘폴리스를 중심으로 하는 3개의 왕국이 성립한다. 제3단계로 히에라콘폴리스가 이 3개의 왕국을 통합한 상 이집트의 왕국을 만들고, 이 나라가 하 이집트를 정복하여 통일 왕조가 성립한다는 것이다. 이 설은 나르메르의 팔레트 등에서 추측되어 온 통일 왕조의 성립 과정과 왕조 시대의 전설도 고려하고 있다.[194]
T. A. H. 윌킨슨(2000년)은 나카다 1기 후기에 아비도스(티스), 아바디야, 나카다, 게벨레인, 히에라콘폴리스의 5곳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 세력이 존재했다고 주장하며, 나카다 2기 초기에 아바디야가 사라진다. 나카다 3기에는 나카다와 게벨레인의 정치 세력도 힘을 잃어 아비도스와 히에라콘폴리스가 2대 세력이 되었으며, 나카다 3기 후기에는 아비도스의 왕 나르메르가 2개의 정치 세력을 통합하여 최초의 통일 왕조를 세운다는 가설을 제시했다.[195]
또한, 고왕국 시대(기원전 27세기경~)에 제작된 『카이로 연대기』에는 제1왕조 이전의 왕들이 상하 이집트 왕관을 쓴 모습으로 그려져 있으며, 이를 근거로 실제 이집트 통일을 제1왕조 이전으로 보는 학자도 소수지만 존재한다.[196]
어느 가설이든, 문자 자료가 기본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시대이므로 완전한 증명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 참고
고대 이집트의 역사 기록에서 최초의 왕은 전설적인 왕 메니 (메네스)였다. 그러나 고고학적으로 최초의 통일 왕조의 왕일 가능성이 높은 것은 나르메르이다.[197][196][198] 일반적으로 그의 존재가 확인되는 기원전 3150년경 ~ 기원전 3050년경부터를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라고 하며, 나르메르로 시작되는 왕조를 이집트 제1왕조라고 부른다. 이후 로마 제국에 의한 정복까지 이어지는 고대 이집트 왕조의 시대가 시작된다.
6. 연구사
고대 이집트인들은 자신들의 국가 기원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예로부터 왕조의 기원이 주로 왕명표 등의 형태로 남아 있다. 기원전 2400년경에 작성된 이집트 최고(最古)의 연대기인 『팔레르모 석』과 그 별본인 『카이로 연대기』에는 통일 왕조 이전에도 왕으로 보이는 인물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역사 기록은 읽을 수 없다.[199]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작성된 『토리노 왕명록』에는 이집트의 첫 번째 왕으로 메니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며[200], 기원전 5세기의 그리스인 역사학자 헤로도토스의 『역사』는 이집트 신관들의 증언으로 초대 왕 민을 언급한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 마네토[201]가 저술한 『아이깁티아카』에서는 초대 왕으로 메네스(메니의 그리스어 형태)가 등장한다. 이처럼 왕조 시대의 고대 이집트에서는 메니(메네스)에서 시작하는 이집트 역사가 공유되었다. 『토리노 왕명록』에는 왕조 이전 시대에 "호루스의 신봉자들"이라고 불리는 반신들의 왕조가 있었다고도 기록되어 있다.[199][202]
고대 역사가 마네토의 기록에서도 초대 왕 메니 이전 시대는 신, 반신들의 시대였다.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마네토의 기록은 3권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1권은 헤파이스토스(이집트 신화에서의 프타를 의미)를 필두로 하는 신, 2권은 신인, 즉 죽은 자의 정령에 대해[203], 3권에서 메네스로 시작하는 인간 왕에 대해 언급했다고 한다.
로마 시대 후반 이후, 고대 이집트의 문헌 기록은 단절되었고, 왕조 이전의 이집트에 대한 연구도 진전이 없었다. 1822년, 프랑스인 연구자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이 상형 문자의 해독에 성공하면서 근대 이집트학이 확립되었고, 이집트 왕조 시대 왕들의 역사가 다시금 밝혀지기 시작했다. 19세기 말까지, 이집트 역사의 새벽은 왕조 시대의 기록과 그리스어 문헌 기록에 기초하여 초대 왕 메니를 비롯한 초기 왕조 시대 왕들의 업적에서 찾아졌다.[204]
19세기 말경, 고고학적 발견과 함께 문명 탄생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플린더스 페트리에 의한 나카다 유적 주변의 발굴 조사(1894년-1895년)와 J. 드 모르강에 의한 이집트 남부 및 나카다 유적의 조사(1896년-1897년)는 왕조 시대 이전부터 초기 왕조 시대에 걸친 유적에 대한 최초의 본격적인 조사였다. 이들 조사에서 발견된 문화는 나카다 문화라고 불리게 되었다.[205]
이후, 20세기 전반까지의 조사를 통해 수많은 왕조 시대 이전의 유적이 조사되었고, 문명 탄생기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지견이 축적되면서, 이집트 제1왕조 개벽에 앞선 시대는 "'''선왕조 시대'''(Predynastic Period영어)"라는 명칭이 부여되어, 이집트학 안에서도 독립된 연구 분야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갔다.[206]
초기 연구를 이끈 페트리는 나카다 문화기부터 초기 왕조 시대에 걸친 문화 변화를 "암라", "게르제", "세마이네"의 세 가지 문명의 교체로 파악하고, 그 배경에는 동방(서아시아)으로부터의 이민족 침입이 있었다고 보았다.[206] 이 생각은 왕조 민족 침입설이라고 불리며, 매를 토템으로 하는 왕조 민족(호루스족)이 동방에서 이집트로 와서 이집트에 왕조를 세웠다는 것으로, W.B. 에머리 등 당시 이집트학의 권위자들로부터도 지지를 받았다.[206][207]
그 후의 조사에서, 이집트 북부에서는 마아디 문화, 메림데 문화, 파이윰 문화, 오마리 문화 등 나카다 문화와 양상을 달리하는 여러 문화가 발견되었다. 아비도스 유적에서 초기 왕조 시대 왕들의 무덤이 발견되면서, 메니 왕을 동시대 왕과 동일시하려는 시도가 활발해졌다.[208]
1944년, H.J. 칸터 등의 연구로, 피트리 이래의 민족 침입에 의해 선왕조 시대의 변천을 설명하려는 견해가 부정되었다. 그녀는 토기의 발전 과정을 조사하여 이집트에서 토기의 진화에 특별한 변혁기는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206][209] 베르너 카이저의 연구 결과, 상 이집트에서 발상한 나카다 문화가 시대와 함께 남북으로 분포를 확대해 가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선왕조 시대의 문화·사회의 변천을 외적 요인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이집트 내부에 그 주요 요인을 찾는 흐름이 형성되었다. 나카다 문화의 확장이 분명해지면서, 통일 왕조 형성 과정에서 그것이 큰 역할을 했다는 것이 강하게 인식되게 되었다.[210]
20세기 후반, 과정고고학과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이 크게 기여하여, 여러 문화의 편년 관계, 매장 형태, 집락 형태의 연구가 크게 진전되었다. 이를 통해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문헌 사료의 영향에서 본격적인 탈피가 이루어졌다.[211]
1970년대 이후, 중동 정세의 안정에 따라 이집트에서의 발굴 조사가 활발해졌다. 이 시기 이후의 조사는 과정고고학의 영향을 받아, 종래의 묘지를 중심으로 한 조사보다, 집락 유적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현저했다. 하 이집트의 델타 지대에서의 발굴 조사가 진전되었다. 이러한 조사에서 기존 하 이집트의 문화(마아디 문화) 안에 점차 나카다 문화가 침투해 가는 모습이 밝혀졌다. 아비도스 유적에서의 재조사로 초기 왕조 시대 여명기의 상세한 정보가 제공되었다.[212]
이스라엘·팔레스타인에서 행해진 발굴 조사는, 기원전 4천년기의 이집트가 팔레스타인 남부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F. 웬돌프 등에 의한 미국·폴란드 합동 조사대는, 주변의 사막 지대에서의 조사를 진전시켜, 나일강 근처에서 미발견되었던 말기 구석기 시대의 유적을 각지에서 발견하여, 역사의 공백을 메웠다.[213]
참조
[1]
서적
The great name : ancient Egyptian royal titulary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3
[2]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1992
[3]
간행물
The Oldowan in the Egyptian Nile Valley
http://dx.doi.org/10[...]
2020-07-21
[4]
간행물
A Window into the Early–Middle Stone Age Transition in Northeastern Africa—A Marine Isotope Stage 7a/6 Late Acheulean Horizon from the EDAR 135 Site, Eastern Sahara (Sudan)
https://www.tandfonl[...]
2021-11-17
[5]
간행물
Technological variability in the Late Palaeolithic lithic industries of the Egyptian Nile Valley: The case of the Silsilian and Afian industries
2017-12-27
[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Blackwell
1994
[7]
웹사이트
Ancient Egyptian Culture: Paleolithic Egypt
http://www.mnsu.edu/[...]
Minnesota State University
2012-04-13
[8]
웹사이트
Dental Anthropology
http://anthropology.[...]
Anthropology.osu.edu
2013-10-25
[9]
간행물
The inner ear of Nazlet Khater 2 (Upper Paleolithic, Egypt)
[10]
서적
The Fakhurian: A Late Paleolithic Industry from Upper Egypt
https://books.google[...]
Ministry of Petroleum and Mineral Wealth, Geological Survey of Egypt and Mining Authority
1974
[11]
백과사전
Oxbow Books
[12]
웹사이트
Prehistory of Nubia
http://numibia.net/n[...]
Numibia.net
2013-10-25
[13]
서적
The Prehistory of Egypt: From the First Egyptians to the First Pharohs
Wiley-Blackwell
[14]
서적
African Archa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5]
서적
A Dictionary of Archaeology
Blackwell Publishers Ltd
2002
[16]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Archa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7]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Librairie Arthéme Fayard
1988
[18]
간행물
The evolution of lethal intergroup violence
2005-10
[19]
간행물
Noirs ou blancs : une histoire de l'anthropologie biologique de l'Égypte
https://journals.ope[...]
1995-12-31
[20]
간행물
Evidence of the early penetration of Negroes into prehistoric Egypt
https://www.cambridg[...]
1971-01-01
[21]
간행물
The Predynastic of Egypt
https://doi.org/10.1[...]
1988-06-01
[22]
웹사이트
Fayum, Qarunian (Fayum B) (about 6700-5300 BC?)
https://www.ucl.ac.u[...]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4-09-23
[23]
웹사이트
General history of Africa, abridged edition, v. 1: Methodology and African prehistory
https://unesdoc.unes[...]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09-23
[24]
웹사이트
IFAO - Bibliographie de l'Égypte des Origines : #2998 = The Early Neolithic, Qarunian burial from the Northern Fayum Desert (Egypt)
https://www.ifao.egn[...]
2024-09-24
[25]
간행물
Title: Short Report: Morphometric Affinity of the Qarunian Early Egyptian Skull Explored With Fordisc 3.0
https://www.academia[...]
2020-08-01
[26]
간행물
Neolithic in the Nile Valley (Fayum A, Merimde, el-Omari, Badarian)
https://www.persee.f[...]
2011
[27]
웹사이트
Fayum, Qarunian (Fayum B) (about 6000-5000 BC?)
https://www.ucl.ac.u[...]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4-09-23
[28]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1992
[29]
간행물
The questionable contribution of the Neolithic and the Bronze Age to European craniofacial form
[30]
간행물
Y genetic data support the Neolithic demic diffusion model
[31]
웹사이트
Estimating the Impact of Prehistoric Admixture on the Genome of Europeans, Dupanloup et al., 2004
http://mbe.oxfordjou[...]
Mbe.oxfordjournals.org
2012-05-01
[32]
간행물
Origin, Diffusion, and Differentiation of Y-Chromosome Haplogroups E and J: Inferences on the Neolithization of Europe and Later Migratory Events in the Mediterranean Area, 2004
2004-05
[33]
간행물
Paleolithic and Neolithic lineages in the European mitochondrial gene pool
http://www.pubmedcen[...]
2012-05-01
[34]
간행물
Clines of nuclear DNA markers suggest a largely Neolithic ancestry of the European gene
1998-07-21
[35]
간행물
The Natufian Culture in the Levant, Threshold to the Origins of Agriculture
[36]
서적
Hunters in Transition: Mesolithic Societies and the Transition to Farm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37]
서적
First Farmers: The Origins of Agricultural Societies
Blackwell
[38]
간행물
Physical Anthropology in Czechoslovakia: Recent Developments
1961
[39]
간행물
On the transition to farming in Europe, or what was spreading with the Neolithic: a reply to Ammerman (1989)
[40]
문서
The palaeo-biological evidence for admixture between populations in the southern Levant and Egypt in the fourth to third millennia BC
Smith, P.
2002
[41]
간행물
Early Nile Valley Farmers from El-Badari: Aboriginals or "European" Agro-Nostratic Immigrants? Craniometric Affinities Considered With Other Data
[42]
문서
Ancient Egypt Anatomy of a Civilisation
Kemp, B.
2005
[43]
서적
The Archaeology of the First Farmer-Herders in Egypt: New Insights into the Fayum Epipalaeolithic
Leiden University Press
2010
[44]
서적
Archaeology of Africa
Routledge
[45]
간행물
Le Capsien typique et le Capsien supérieu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46]
간행물
Genetics, Egypt and History: Interpreting Geographical Patterns of a Y-Chromosome Variation
https://muse.jhu.edu[...]
[47]
간행물
The Origins of Afroasiatic a response to Diamond and Bellwood (2003)
[48]
서적
Ancient Africa: A Global History, to 300 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6-20
[49]
간행물
Population continuity or population change: Formation of the ancient Egyptian state
https://onlinelibrar[...]
2007-04
[50]
웹사이트
Ideas about 'Race' in Nile Valley Histories: A Consideration of 'Racial' Paradigms in Recent Presentations on Nile Valley Africa, from 'Black Pharaohs' to Mummy Genomest
https://egyptianexpe[...]
2022-09
[51]
간행물
Cultural convergence in the Neolithic of the Nile Valley: a prehistoric perspective on Egypt's place in Africa
2014-03
[52]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53]
서적
Ancient Egyptian society: challenging assumptions, exploring approaches
Routledge
2022
[54]
서적
Ancient Africa: A Global History, to 300 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6-20
[55]
간행물
A new topology of the human Y chromosome haplogroup E1b1 (E-P2) revealed through the use of newly characterized binary polymorphisms
2011
[56]
간행물
Tracing Past Human Male Movements in Northern/Eastern Africa and Western Eurasia: New Clues from Y-Chromosomal Haplogroups E-M78 and J-M12
https://academic.oup[...]
2007-06
[57]
서적
Egypt in its African context: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held at the Manchester Museum, University of Manchester, 2-4 October 2009
Archaeopress
2011
[58]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7-03
[59]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3-10-23
[60]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University Press
1964
[61]
웹사이트
Naqada IId, Birth of an Empire
https://www.academia[...]
[62]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1992
[63]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9
[64]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9
[65]
웹사이트
El-Omari
http://www.mnsu.edu/[...]
Minnesota State University
[66]
서적
Another Mouthful of Dust: Egyptological Studies in Honour of Geoffrey Thorndike Martin
https://www.academia[...]
Peeters
2016
[67]
웹사이트
Maadi
https://www.ucl.ac.u[...]
University College London
[68]
웹사이트
Buto – Maadi Culture
https://ancientegypt[...]
[69]
백과사전
Predynastic Period in Egypt
https://www.worldhis[...]
2016-01-18
[70]
백과사전
Ma'adi and Wadi Digla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9
[71]
웹사이트
On the Transition Between the Neolithic and Chalcolithic in Lower Egypt and the Origins of the Lower Egyptian Culture: a Pottery Study
https://web.archive.[...]
2018
[72]
서적
Masking the Blow: The Scene of Representation in Late Prehistoric Egyptian Ar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73]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74]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Librairie Arthéme Fayard
1988
[75]
서적
Egypt in its African context: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held at the Manchester Museum, University of Manchester, 2–4 October 2009
https://books.google[...]
Archaeopress
2011
[76]
서적
Egypt in Africa
Indianapolis Museum of Art
1996
[77]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8]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Librairie Arthéme Fayard
1988
[79]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80]
문서
A re-examination of the Badarian Culture
https://www.academia[...]
2012
[81]
간행물
Population continuity or population change: Formation of the ancient Egyptian state
https://onlinelibrar[...]
2007-04
[82]
간행물
Early Nile Valley Farmers From El-Badari: Aboriginals or 'European' Agro-Nostratic Immigrants? Craniometric Affinities Considered With Other Data
https://www.jstor.or[...]
2005
[83]
웹사이트
A biological perspec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gypt, Nubia, and the Near East during the Predynastic period
https://www.research[...]
2022-02-20
[84]
간행물
Temporal variation in phenetic affinity of early Upper Egyptian male cranial series
https://pubmed.ncbi.[...]
2008
[85]
간행물
An examination of Nubian and Egyptian biological distances: support for biological diffusion or in situ development?
https://pubmed.ncbi.[...]
2009
[86]
서적
Ancient Africa: A Global History, to 300 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6-20
[87]
간행물
Anthropology of the Egyptian Nubian Men - Strouhal - 2007 - ANTHROPOLOGIE
http://puvodni.mzm.c[...]
[88]
간행물
Early Nile Valley Farmers From El-Badari: Aboriginals or 'European' Agro-Nostratic Immigrants? Craniometric Affinities Considered With Other Data
https://journals.sag[...]
2005-11
[89]
웹사이트
Dental Morphological Analysis of Roman Era Burials from the Dakhleh Oasis, Egypt
https://www.academia[...]
Institute of Archaeology,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7-06-02
[90]
간행물
Population continuity or population change: Formation of the ancient Egyptian state
https://onlinelibrar[...]
2007-04
[91]
간행물
Studies and Comments on Ancient Egyptian Biological Relationships
https://www.jstor.or[...]
1993
[92]
웹사이트
Analysis of Naqada Predynastic Crania: a brief report
https://web.archive.[...]
2022-02-22
[93]
간행물
An examination of Nubian and Egyptian biological distances: support for biological diffusion or in situ development?
https://pubmed.ncbi.[...]
2009
[94]
학술회의
A biological perspec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gypt, Nubia, and the Near East during the Predynastic period
https://www.research[...]
Peeters
[95]
서적
Ancient Africa: A Global History, to 300 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6-20
[96]
웹사이트
Analysis of Naqada Predynastic Crania: a brief report (1996)
https://web.archive.[...]
2022-02-22
[97]
간행물
Concordance of cranial and dental morphological traits and evidence for endogamy in ancient Egypt
https://pubmed.ncbi.[...]
1996-10
[98]
간행물
Concordance of cranial and dental morphological traits and evidence for endogamy in ancient Egypt
https://pubmed.ncbi.[...]
1996-10
[99]
서적
Ancient Africa: A Global History, to 300 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6-20
[100]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10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Librairie Arthéme Fayard
1988
[102]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103]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104]
문서
The Relative chronology of PNC I
Academia.Edu
2012
[105]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106]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University Press
1992
[107]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108]
서적
The Study of the Ancient Near East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William Foxwell Albright Centennial Conference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1996
[109]
서적
The Dictionary of Ancient Egypt
British Museum Press
1995
[110]
간행물
What do the Figurines of "Bird Ladies" in Predynastic Egypt represent?
OAJAA
2023
[111]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University Press
1992
[112]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University Press
1992
[113]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University Press
1992
[114]
웹사이트
Naqada III
http://www.faiyum.co[...]
Faiyum.com
2012-05-01
[115]
웹사이트
Maadi Culture
http://www.ucl.ac.uk[...]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8-04-03
[116]
백과사전
Egyptians, physical anthropology of
Routledge
1999
[117]
백과사전
Egyptians, physical anthropology of
https://ia600208.us.[...]
Routledge
1999
[118]
웹사이트
Neolithic Skywatchers
http://www.archaeolo[...]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1998-05-27
[119]
웹사이트
Late Neolithic megalithic structures at Nabta Playa (Sahara), southwestern Egypt
http://www.comp-arch[...]
Comparative Archaeology Web
2000-11-26
[120]
학술지
Satellite Imagery Measures of the Astronomically Aligned Megaliths at Nabta Playa
http://www.rhodes.ae[...]
[121]
서적
Le Proche-Orient et l'Égypte antiques
https://books.google[...]
Hachette Éducation
2012
[122]
서적
Holocene Settlement of the Egyptian Sahara: Volume 1: The Archaeology of Nabta Playa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123]
서적
Holocene settlement of the Egyptian Sahara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001
[124]
서적
Handbook of Archaeoastronomy and Ethnoastronomy
https://www.academia[...]
Springer
2015
[125]
서적
Ancient Africa: A Global History, to 300 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6-20
[126]
서적
Handbook of Archaeoastronomy and Ethnoastronom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127]
간행물
Heritage Sites of Astronomy and Archaeoastronomy in the context of the UNESCO World Heritage Convention: A Thematic Study
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128]
웹사이트
linen fragment
http://www.digitaleg[...]
Digitalegypt.ucl.ac.uk
2012-05-01
[129]
문서
Shaw (2000), p. 61
[130]
학술지
Cultural responses to aridity in the Middle Holocene and increased social complexity
[131]
뉴스
Iron Age, Answers.com
http://www.answers.c[...]
Columbia Encyclopedia
[132]
문서
古谷野 1998, p.2
[133]
문서
吉成 1994, pp.202-204
[134]
문서
高宮 2003, p.25
[135]
문서
近藤 1997, p.34
[136]
문서
高宮 2003, p.26
[137]
문서
高宮 2003, p.39
[138]
문서
高宮 2003, p.21
[139]
문서
高宮 2003, p.36
[140]
문서
高宮 2003 pp.33, 37
[141]
서적
高宮 2006, p.9
[142]
서적
高宮 2006, p.14
[143]
서적
高宮 2006, pp.41-45
[144]
서적
高宮 2003, p.45
[145]
서적
吉成 1994, p.205
[146]
서적
近藤 1997, pp.43-44
[147]
서적
高宮 2003, p.48
[148]
서적
吉成 1994, pp.206
[149]
서적
高宮 2003, p.50
[150]
서적
大城 2009, p.19
[151]
서적
高宮 2003, p.51
[152]
서적
高宮 2003, p.52
[153]
서적
高宮 2003, p.55
[154]
서적
高宮 2003 pp.71-72
[155]
서적
高宮 2003, p.72
[156]
서적
大城 2009, p.24
[157]
서적
高宮 2003, p.75
[158]
서적
高宮 2003, p.76
[159]
서적
高宮 2003, p.54
[160]
서적
高宮 2003, p.57
[161]
서적
高宮 2003, p.58
[162]
서적
高宮 2003, p.59
[163]
서적
高宮 2003, pp.77-78
[164]
서적
高宮 2003, p.80
[165]
서적
大城 2009, p.29
[166]
서적
大城 2009, pp.36-37
[167]
서적
大城 2009, p.25
[168]
서적
高宮 2003, p.65
[169]
서적
大城 2009, p.26
[170]
서적
古谷野 1998, p.5
[171]
서적
高宮 2003, pp.131-133
[172]
서적
高宮 2003, p.136
[173]
서적
大城 2009, p.41
[174]
서적
高宮 2003, p.98
[175]
문서
後の王朝時代にはエジプト人達は金、紫水晶、象牙、閃緑岩、ダチョウの卵、ヒョウの毛皮、黒檀等をヌビアから輸入していた。
[176]
서적
高宮 2003
[177]
서적
大城 2009
[178]
서적
近藤 2003
[179]
서적
大城 2009
[180]
서적
近藤 2003
[181]
서적
高宮 2003
[182]
서적
高宮 2003
[183]
서적
高宮 2003
[184]
서적
高宮 2003
[185]
서적
高宮 2003
[186]
서적
高宮 2003
[187]
서적
近藤 2003
[188]
서적
近藤 2003
[189]
서적
高宮 2003
[190]
서적
高宮 2003
[191]
서적
高宮 2003
[192]
서적
近藤 2003
[193]
서적
高宮 2003
[194]
서적
高宮 2003
[195]
서적
高宮 2003
[196]
서적
高宮 2003
[197]
서적
大城 2009
[198]
서적
クレイトン 1999
[199]
서적
高宮 2003
[200]
서적
大城 2009
[201]
문서
紀元前3世紀のエジプトの歴史家。彼はエジプト人であったが、ギリシア系王朝プトレマイオス朝に仕えたためギリシア語で著作を行った。
[202]
서적
フィネガン 1983
[203]
서적
フィネガン 1983
[204]
서적
高宮 2003
[205]
서적
高宮 2003
[206]
서적
高宮 2003
[207]
서적
大城 2009
[208]
서적
高宮 2003
[209]
서적
大城 2009
[210]
서적
高宮 2003
[211]
서적
高宮 2003
[212]
서적
高宮 2003
[213]
서적
高宮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