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김씨 일가의 일당 독재 하에 심각하게 침해되고 있다. 언론, 종교, 이동의 자유 등이 제한되며, 정치범 수용소, 강제 노동, 식량 부족 등으로 인해 고통받는 주민들이 많다. 특히 정부 비판 시 처벌받고, 외부 정보 접근이 통제되며, 여성과 장애인, 소수자에 대한 차별도 심각하다. 국제 사회는 북한의 인권 침해를 비판하며, 유엔을 중심으로 조사와 제재, 규탄 결의안 채택 등 다양한 대응을 하고 있다. 북한은 자국 내 인권 상황이 보장된다고 주장하지만, 탈북자들의 증언과 국제 사회의 보고는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 신숙자
간호사 출신 신숙자는 독일에서 결혼 후 가족과 함께 북한으로 이주했으나, 강제 노역과 남편의 탈북 후 수용소에 수감되었고, '통영의 딸' 송환 운동에도 불구하고 사망하여 북한 인권 유린의 상징이 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 대북전단과 대남전단
대북전단과 대남전단은 한반도 심리전의 일환으로, 남북 간의 긴장 고조와 완화에 따라 변화를 겪었으며, 표현의 자유, 안보 위협, 효과 논란 등 다양한 쟁점을 야기하며 남북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 인권 - 집회의 자유
집회의 자유는 평화적인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며,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국가별로 보장 범위가 다르고,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는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과도하거나 불법적인 집회에 대한 제한을 인정한다. - 인권 - 복지국가
복지국가는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안정을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사회 시스템으로, 19세기 후반 독일에서 등장하여 20세기 대공황과 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국가에서 확대되었으며, 다양한 모델과 지속적인 논의 및 비판이 존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 |
|---|---|
| 개요 | |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주제 | 북한의 인권 상황 |
| 설명 | 북한에서 발생하는 인권 침해 문제 |
| 인권 문제 유형 | |
| 자유 제한 | 검열 미디어 통제 거주 및 이전의 자유 제한 해외 여행의 자유 제한 |
| 정치 | 정치범 수용소 (관리소) 운영 교화소 운영 출신성분에 따른 차별 |
| 사회 | 매춘 기쁨조 운영 고치 문제 장애인 차별 |
| 종교 | 종교의 자유 제한 카톨릭 박해 |
| 사법 | 사형 집행 학살 사건 발생 인체 실험 의혹 |
| 대외 관계 | 납치 (주로 일본인) 인신매매 |
| 수용 시설 | |
| 정치범 수용소 (관리소) | 온성 (12호) 개천 (14호) 요덕 (15호) 화성 (16호) 북창 (18호) 대흥 (19호) 회령 (22호) 청진 (25호) |
| 재교육 수용소 (교화소) | 개천 (1호) 동림 (2호) 신의주 (3호) 강동 (4호) 사리원 (6호) 강계 (7호) 룡담 (8호) 증산 (11호) 전거리 (12호) 함흥 (15호) 오로 (22호) 단천 (77호) 원산 (88호) 승호리 회령 |
| 납치 문제 | |
| 주요 사건 | 일본인 납치 문제 일본인 납치 사건 도야마현 아베크 납치 미수 사건 한국인 납치 중국인 납치 태국인 납치 말레이시아인 납치 싱가포르인 납치 프랑스인 납치 네덜란드인 납치 이탈리아인 납치 루마니아인 납치 레바논인 납치 요르단인 납치 미국인 납치 |
| 관련 시설 | 초대소 |
| 관련 법률 및 보고서 | |
| 법률 | 미국 북한인권법 (2004년) 일본 북한인권법 (2006년) 한국 북한인권법 (2016년) |
| 보고서 | 유엔 COI 보고서 |
| 관련 활동 | |
| 캠페인 | 풍선 캠페인 |
| 국제 연대 | 국제 연대 |
| 관련 단체 | |
| 피해자 지원 단체 | 가족회 구출회 |
| 연구 및 지원 단체 | 아시아 인권 인류 학회 조사회 지키는 모임 RENK 난민 구원 기금 강제 수용소를 없애기 위한 액션 모임 납치 피해자의 구출에 임하는 법률가 모임 |
| 기타 | |
| 관련 인물 | 오토 웜비어 |
| 관련 사건 | 한류 탄압 |
2. 역사적 배경
북한의 인권 문제는 1948년 국가 수립 이전부터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북한의 인권 이론은 마르크스주의, 유교, 그리고 주체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권리를 보편적인 것이 아닌 조건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집단적 권리를 개인의 권리보다 우선시하며, 복지 및 생존권을 중요하게 여긴다.[24]
김일성은 "사회주의에 반대하는 적대 분자나 인민의 이익에 반하는 불순 분자에게 자유와 권리를 제공할 수 없다"고 말했다.[25]
북한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이 자국민의 인권을 보장하며, 이러한 보장이 법률 및 규정에 의해 완전히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러한 인권 보장과 법률이 전국적으로 모든 개인에 대해 엄격하게 시행된다고 주장한다.[26] 그러나 유엔 인권 이사회가 임명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권 조사 위원회는 2014년 보고서를 통해 북한 정부가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심각한 인권 침해에 연루되었다고 비난했다. 이 보고서는 북한의 인권 침해 사례로 식량권 침해, 수용소 관련 침해, 고문 및 비인도적 처우, 임의 구금, 차별, 표현의 자유 침해, 생명권 침해, 이동의 자유 침해, 강제 실종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침해가 반인도적 범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15] 위원회 의장 마이클 커비는 일부 행위가 나치에 의해 저질러진 행위와 유사하다고 언급했다.[20]
북한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권 조사 위원회 보고서 발표 7개월 후, 자체적인 인권 연구 협회 보고서를 발표하여 북한 주민들이 "진정한 인권"을 누리고 있다고 주장했다.[27] 또한 유엔 인권 이사회의 보편적 정례 검토 과정에서 인권 실적 개선을 위해 제시된 268개 권고 사항 중 113개를 이행하기로 동의했다.[28] 그러나 커비는 북한의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하며, 북한 정부가 진정으로 인권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 아니면 단순히 유엔에서의 임박한 비판에 대비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을 제기했다.[29]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3대 세습 독재 체제 하에서 북한 주민들은 극심한 인권 침해를 겪고 있다. 언론의 자유, 보도의 자유, 정부 비판, 자유 선거, 종교의 자유 등 기본적인 인권은 극히 일부 특권 계급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인정되지 않고 있다.[181]
2. 1. 김일성 시대
김일성은 권력을 집중시키기 위해 반대파를 숙청했고, 이는 인권 탄압으로 이어졌다.[180] 1950년대에는 기독교, 불교 등 종교에 대한 탄압이 자행되었다.[181]북한에서는 언론의 자유, 보도의 자유, 정부 비판, 자유 선거, 종교의 자유 등 기본적인 인권이 정부 간부 등 일부 특권 계급을 제외한 일반 국민에게는 사실상 인정되지 않고 있다.[181] 강제 수용소에는 15만~20만 명이 구금되는 등 심각한 인권 침해가 발생하고 있다.[181]
강제 수용소 수용자들은 고문과 학대를 당하며, 수용소 내 학교에 다니는 죄인의 아이들은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고 굶주린 채 강제 노동에 시달린다.[180] 경찰 조사 과정에서는 고문과 폭행이 빈번하게 발생한다.[180] 권력자와 특권 계급은 부를 독점하여 호화로운 생활을 누리는 반면, 많은 국민들은 극심한 빈곤에 시달리고 있다.[180] 도시와 지방의 격차도 커서 지방에서는 도로조차 제대로 포장되지 않아 탈북자가 끊이지 않고 있다.[180]
대다수의 북한 주민들은 난방을 제대로 하지 못해 겨울 추위를 견디기 어렵다.[182][183][184] 연탄을 살 돈이 없는 사람들은 착화탄을 사용하지만, 이마저도 구하지 못하는 가난한 사람들은 장작이나 마른 풀을 연료로 사용한다.[182][183][184] 하지만 북한에서는 산에서 장작 채취가 금지되어 있어 감시원에게 뇌물을 줘야 하고, 뇌물을 줄 여유가 없는 사람들은 난방 없이 겨울을 나야 한다.[182][183][184]
북한에서는 매주 '자기 비판' 회의가 열려 사람들이 자신의 결점을 말하고 서로를 비판한다.[185] 이 과정에서 중년 여성들이 주도하여 당국에 보고하고, 정치범으로 몰리면 재판 없이, 또는 피고인 없이 재판이 열려 유죄 판결을 받고 수용소로 보내진다.[185]
한국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이산 가족 문제와 관련하여, 북한은 이산 가족 상봉 후 한국 측 가족과 만난 자국 측 이산 가족을 평양에 억류하여 사상 교육을 시키고, 한국 측 가족에게서 받은 돈이나 선물을 조선로동당에 바치도록 강요하고 있다.
2. 2. 김정일 시대
선군정치는 군대 조직을 활용하여 사회 경제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동시에 군대 내부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의 동요를 억제하며, 외부로부터의 침략 위협을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군대를 강화하는 선군정치로 인해 부족한 식량 분배에 있어 군대가 일반 인민보다 우선순위에 놓이게 되었고, 장기간의 군 복무로 인해 일반 인민들의 일상적인 농사 및 공업 생산 등이 영향을 받아 어려움이 커지는 등, 선군정치가 군대를 강화하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회 경제 구조를 왜곡시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의 인권 수준을 더욱 후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특히 군대에 편입될 수 없는 여성, 청소년, 장애인, 노인 등은 차별과 배제를 겪으며 더욱 힘든 삶을 살게 되었다.[244]김정일 시대에는 김씨 일가에 의한 일당 독재 정치가 이어졌으며, 수많은 기아자가 발생하는 등 인권 침해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180] 강제 수용소에는 많은 수용자들이 있었으며, 고문과 학대가 일상적으로 행해져 사망자도 발생하였다.[180] 강제 수용소 내 학교에 다니는 죄인의 아이들은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식사도 거의 제공받지 못한 채 노동을 강요받았다.[180] 경찰의 취조 과정에서는 고문과 폭행이 다반사로 이루어졌다.[180] 권력자와 특권 계급만이 금품을 독점하여 호화로운 생활을 누렸고, 많은 국민들은 극심한 빈곤에 시달렸다.[180] 도시와 지방의 격차도 심각하여, 지방은 도로조차 포장되지 않아 탈북자가 끊이지 않았다.[180]
언론의 자유, 보도의 자유, 정부 비판, 자유 선거, 종교의 자유 등 기본적인 인권은 정부 간부 등 일부 특권 계급을 제외하고 일반 국민에게는 사실상 인정되지 않았다.[181] 강제 수용소에 15~20만 명이 구금되는 등 심각한 인권 침해 상황이 존재하였다.
겨울철 난방 문제도 심각하여, 대다수의 북한 국민이 사용하는 연탄을 구매할 돈이 없는 사람들은 착화탄을 사용했지만, 더욱 가난한 사람들은 착화탄조차 구하지 못해 장작이나 마른 풀을 연료로 사용해야 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산에서 장작 채취가 금지되어 있어 감시원에게 뇌물을 지불해야 했고, 뇌물을 지불할 여유가 없는 사람들은 난방 없이 겨울의 혹한을 견뎌야 했다.[182][183][184]
북한에서는 "자기 비판"(회의)이 전 지역에서 매주 열렸는데, 사람들은 자신의 결점을 말하고 타인을 비판해야 했다.[185] 이러한 자기 비판은 중년 여성들이 주도하여 당국에 보고하였고, 정치범으로 간주될 경우 수용소로 보내졌다. 기소되더라도 재판이 열리지 않거나, 열려도 피고가 없는 상태에서 유죄가 확정되었다.[185]
한국과의 분단으로 발생한 이산 가족 문제도 심각했다. 북한은 이산 가족 상봉 사업 후 한국 측 가족과 만난 자국 측 이산 가족을 석방하지 않고 평양에 합숙시켜 사상 교육을 시켰으며, 한국 측 가족으로부터 받은 금전이나 선물을 신고하여 조선노동당에 헌납하도록 강요하였다.
2. 3. 김정은 시대
김정은 시대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침해는 계속되고 있다.[180] 김씨 일가에 의한 일당 독재 정치 아래, 극심한 빈곤으로 많은 기아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강제 수용소에서는 고문과 학대가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다.[180]언론의 자유, 보도의 자유, 정부 비판, 자유 선거, 종교의 자유 등 기본적인 인권은 정부 간부 등 일부 특권 계급을 제외한 일반 국민에게는 사실상 인정되지 않고 있다.[181] 강제 수용소에는 15-20만 명이 구금되어 있는 등 심각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북한 주민들은 겨울철 난방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다수의 주민이 사용하는 연탄을 구매할 돈이 없는 사람들은 착화탄을 사용하지만, 이마저도 구하지 못하는 극빈층은 장작이나 마른 풀을 연료로 사용한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산에서 장작 채취가 금지되어 있어 감시원에게 뇌물을 주어야 하며, 뇌물을 줄 여유가 없는 사람들은 난방 없이 겨울을 보내야 한다.[182][183][184]
북한에서는 매주 '자기 비판' 회의가 열려 사람들이 자신의 결점을 말하고 타인을 비판한다.[185] 이 과정에서 당국에 보고되어 정치범으로 간주되면 수용소로 보내지며, 재판 없이 유죄가 확정되는 경우도 있다.[185]
한국 전쟁으로 인한 이산 가족 문제도 여전하다. 북한은 남북 이산 가족 상봉 이후 한국 측 가족과 만난 자국 측 이산 가족을 석방하지 않고 평양에 합숙시켜 사상 교육을 시키며, 한국 측 가족에게서 받은 금전이나 선물을 조선노동당에 헌납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3. 정치 및 시민적 권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서는 김일성이 정권에 반대하는 사람들에 대한 시민권 개념을 거부한 이래[1] 정치 및 시민적 권리가 심각하게 침해되고 있다. 북한 전역에는 주민들을 감시하는 광범위한 정보원 시스템이 존재하며,[31] 유엔 인권 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북한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광범위한 인권 침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32]
2005년 유엔 인권 결의안 2005/11은 북한 내 인권 유린의 구체적인 유형을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33]
- 고문 및 기타 잔혹하고 비인간적이거나 굴욕적인 대우 또는 처벌, 공개 처형, 초법적이고 임의적인 구금, 적법 절차와 법의 지배 부재, 정치적 이유로 사형 선고, 다수의 수용소 존재 및 광범위한 강제 노동 사용.
- 해외에서 송환된 북한 주민에 대한 제재 (출국을 반역으로 간주하여 징역, 고문, 비인간적이거나 굴욕적인 대우, 사형 등 처벌).
- 사상, 양심, 종교, 의견 및 표현, 평화로운 집회 및 결사의 자유, 모든 사람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한 전반적이고 심각한 제한, 국내 및 해외 이동의 자유 제한.
- 여성의 인권과 기본적인 자유에 대한 지속적인 침해 (성매매 또는 강제 결혼을 위한 여성 인신매매, 인종적 동기의 강제 낙태, 송환된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영아 살해 등).
북한에서는 김씨 일가의 일당 독재 정치가 이어지면서 인권 침해가 다발하고 있다.[180] 강제 수용소에는 많은 수용자가 있으며, 고문과 학대가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사망자도 발생한다.[180] 경찰의 취조 과정에서도 고문과 폭행이 빈번하게 일어난다.[180]
언론의 자유, 보도의 자유, 정부 비판, 자유 선거, 종교의 자유 등 기본적인 인권은 일반 국민에게 사실상 인정되지 않고 있다.[181] 북한 주민들은 매주 '자기 비판' 회의에 참석하여 자신의 결점을 말하고 타인을 비판해야 하며,[185] 이 과정에서 정치범으로 간주되면 재판 없이 수용소로 보내진다.[185]
3. 1. 표현의 자유 제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헌법은 언론 및 집회의 자유를 명시하고 있지만,[38] 실제로는 다른 조항들이 우선시되어 시민들의 자유로운 표현을 억압한다. 정부와 지도자에 대한 비판은 엄격히 제한되며, 이를 어길 시 '재교육' 수용소로 보내질 수 있다.[31]북한에는 정부가 운영하는 시민 단체들만 존재하며, 이들은 모두 정기적으로 정부를 칭찬하고 김씨 일가에 대한 개인 숭배를 영속화한다.[39] 탈북자들은 개인 숭배 조장이 국내에서 제작되는 거의 모든 영화, 연극, 서적의 주요 기능 중 하나라고 증언한다.[39]
외부 세계에 대한 정보는 엄격하게 통제된다. 극소수의 북한 주민을 제외하고는 인터넷 사용이 금지되어 있으며, 정부는 전 세계 인터넷과 연결되지 않은 인트라넷인 광명을 운영한다.[31] 정부는 모든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배포하며, 시민들이 다른 국가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개조하는 것을 금지하고, 이를 어기면 엄중한 처벌을 받는다.[31] 외국 미디어의 소비는 엄격히 금지되며, 심지어 사형에 처해질 수도 있다.[40]
북한 주민들은 매주 '자기 비판' 회의에 참석하여 자신의 결점을 말하고 타인을 비판해야 한다.[185] 이 과정에서 당국에 보고되어 정치범으로 간주되면 재판 없이 수용소로 보내질 수 있다.[185]
3. 2. 정보 접근 제한
북한 헌법은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실제로는 사회주의적 생활 방식을 따르도록 하는 조항이 우선시된다.[38] 정부와 지도자에 대한 비판은 엄격히 제한되며, 이를 어기면 체포되어 "재교육" 수용소로 보내질 수 있다.[31]대부분의 북한 주민은 인터넷 접근이 금지되어 있으며, 정부가 운영하는 인트라넷인 광명만이 허용된다.[31] 정부는 모든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배포하며, 시민들이 다른 국가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개조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이를 위반하면 엄중한 처벌을 받는다.[31] 외국 미디어를 보는 것은 엄격히 금지되며, 심지어 사형에 처해질 수도 있다.[40]
3. 3. 종교의 자유 탄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에는 종교의 자유가 명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종교 활동이 심하게 탄압받고 있다.[238] 1949년부터 1952년까지 북한 당국은 교회들을 없애고 성직자들을 강제 수용소에 가두었다.2006년에 탈북한 최해연 씨의 증언에 따르면, '제9관리소'라는 정치범수용소에는 기독교인들이 알몸으로 갇혀 지내면서도 종교 탄압에 굴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북한에는 '성황당'이라는 연극이 있는데, 이 연극은 사람들이 종교에 속으면 안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중국으로 탈출했다가 북한으로 강제 송환된 주민들은 종종 구타를 당하고 수용소에 보내지는데, 특히 기독교 등 종교 단체나 대한민국 관련 비정부 기구(NGO)와 접촉한 경우에는 더 심한 고문과 처형을 당하기도 한다.[77]
유엔 인권 최고대표 사무소(OHCHR)는 북한에서 일어나는 인권 침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며, 특히 종교의 자유를 포함한 여러 기본권이 심각하게 제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187] 2005년 유엔 인권 결의에서는 북한의 종교, 신념, 표현의 자유에 대한 광범위하고 엄격한 제한을 비판했다.[188]
3. 4. 거주 이전 및 이동의 자유 제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거주 이전뿐만 아니라 국내 여행 및 해외여행 모두 허가를 얻고 통행증을 발급받아야 가능하다.[38] 이는 북한 주민들의 이동의 자유를 크게 제한한다.3. 5. 사생활 침해
북한의 창립자 김일성은 정권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위한 시민권 개념을 거부했다.[1] 북한 전역에는 형식적인 시민권과 관계없이 정치적 및 기타 위반 사항에 대해 북한 주민들을 감시하는 광범위한 정보원 시스템이 존재한다.[31] 유엔 인권 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북한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광범위한 인권 침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32]북한에서는 "자기 비판"(회의)이 전 지역에서 매주 열리고, 사람들이 자신의 결점을 말하고 타인을 비판한다.[185] 중년 여성이 주도하여 당국에 보고하고 정치범으로 간주될 경우 수용소로 보내지며, 기소되어도 재판이 열리지 않거나, 열려도 피고가 부재한 채 유죄가 확정된다.[185]
4. 경제, 사회 및 문화적 권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김일성 정권 수립 이후 정권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위한 시민권 개념을 부정해왔다.[1] 북한 전역에는 주민들을 감시하는 광범위한 정보원 시스템이 존재하며,[31] 유엔 인권 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북한에서 광범위한 인권 침해가 정기적으로 발생한다고 지적했다.[32]
북한은 국제 사회권 규약(ICESCR)과 아동 권리 협약(CRC)의 당사국으로서, 자국민을 차별하지 않아야 할 국제적 의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러한 국제 규범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주민들은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 침해를 겪고 있다.
유엔 인권 결의안 2005/11은 북한 내 인권 유린의 구체적인 유형을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고문 및 기타 잔혹하고 비인간적이거나 굴욕적인 대우 또는 처벌, 공개 처형, 초법적이고 임의적인 구금, 적법 절차와 법의 지배 부재, 정치적 이유로 사형 선고, 다수의 수용소 존재 및 광범위한 강제 노동 사용[33]
- 해외에서 송환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시민에 대한 제재 (출국을 반역으로 간주하여 징역, 고문, 비인간적이거나 굴욕적인 대우 또는 사형 등)[33]
- 사상, 양심, 종교, 의견 및 표현, 평화로운 집회 및 결사의 자유, 정보 접근권, 국내 이동 및 해외여행의 자유에 대한 전반적이고 심각한 제한[33]
- 여성의 인권과 기본적인 자유에 대한 지속적인 침해 (성매매 또는 강제 결혼을 위한 여성 인신매매, 인종적 동기의 강제 낙태, 영아 살해 등)[33]
북한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명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정부가 통제하는 종교 활동 외에는 엄격하게 제한된다.[42][43][44] 탈북자, 선교사 등의 보고에 따르면, 해외 개신교 단체와 연관되어 선교 활동을 하거나 외국인과 접촉한 개인은 체포되어 가혹한 처벌을 받을 수 있다.[45]
북한에서는 난방 문제도 심각하다. 무난방으로 겨울을 보내는 사람이 많고, 대다수 국민이 사용하는 연탄을 구매할 돈이 없는 사람은 착화탄을 사용하며, 더욱 가난한 사람은 장작이나 마른 풀을 연료로 사용한다.[182][183][184] 그러나 산에서 장작 채취는 금지되어 있어, 감시원에게 뇌물을 지불해야 하며, 그럴 여유가 없는 사람은 무난방으로 혹한을 견뎌야 한다.[182][183][184]
또한, 북한에서는 "자기 비판"(회의)이 전 지역에서 매주 열려, 사람들이 자신의 결점을 말하고 타인을 비판한다.[185] 이 과정에서 정치범으로 간주되면 수용소로 보내지며, 기소되어도 재판이 제대로 열리지 않거나 피고인 없이 유죄가 확정되기도 한다.[185]
북한과 한국의 분단으로 발생한 이산 가족 문제도 심각하다. 북한은 이산 가족 재회 사업 후 한국 측 가족과 만난 자국 측 이산 가족을 석방하지 않고 평양에 합숙시켜 사상 교육을 시키며, 한국 측 가족에게서 받은 금전이나 선물을 신고하여 조선노동당에 헌납할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4. 1. 식량권 침해
국제앰네스티는 2004년 1월 보고서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자국민을 먹여 살리기 위해 여전히 식량 원조에 의존하고 있지만, 정부 정책으로 인해 원조가 신속하고 공정하게 분배되지 못하고 있으며, 주민들은 식량을 찾아 이동할 자유를 박탈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95] 이 보고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식량권을 "유지하고 보호해야 할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고 밝혔으며, 정권의 행동이 "기근과 식량 위기의 영향을 악화시켰다"고 결론지었다.[95]1990년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근(고난의 행군) 시기, 식량 부족은 인위적인 현상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합리적인 정책 조정을 통해 기근을 피할 수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인도적 지원을 막고 군대로 자원을 돌리는 등 자원 보존에만 집중했다.[96]
경제 개혁으로 과거 식량 배급제가 폐지되면서 도시 가구는 수입의 75~85%를 식량에 지출하는 반면, 국영 농민들은 수입의 3분의 1만 식량에 소비하는 불균형이 발생했다. 이는 북한이 가정주부, 노인 등 사회적 약자를 보호할 안전망을 갖추지 못했음을 보여준다.[95]
식량 위기 초기에는 식량 접근이 공공 배급 시스템(PDS)을 통해 이루어졌고, 정치적 지위에 따라 권리가 부분적으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계획 경제가 붕괴되면서 시장이 발전했고, 현재의 식량 부족은 시장 경제에서 식량 접근이 시장에서의 자원 통제 능력에 의해 결정되는 식량 비상사태와 유사하다.[98]
식량은 국영 및 협동 농장의 노동자와 PDS를 통해 공급받는 인구에게 분배된다. PDS는 직업, 연령에 따라 식량을 월별 또는 격주로 배급하는데, 고위 당, 정부 및 군 관계자는 별도 배급 채널을 통해 더 많은 배급량을 받는다.[98]
인도주의 단체는 식량 원조가 취약 계층에 전달되는지 감시하는 전략을 추구해 왔다. 그러나 북한 정부의 비협조적인 태도로 인해 식량 원조의 10~30%가 군대, 당 엘리트, 또는 시장으로 전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98]
가장 심각한 기근을 겪은 원격 지역은 식량 공급 중단과 지역 산업 붕괴로 인해 주민들의 구매력이 감소했다.[99] 이동의 자유 제한은 '적대 계층'이 식량 접근 제한으로 고통받게 했다.[95]
2019년 5월 유엔 인권 사무소 보고서는 북한, 특히 북동부 및 농촌 지역에서 약 1,090만 명이 "끔찍한" 수준의 기아를 겪고 있다고 강조했다.[1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근으로 인해 24만에서 42만 명이 사망했으며, 1993년부터 2008년까지 초과 사망자는 60만에서 85만 명 사이로 추정된다.[171] 이 기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경제 정책[172] 또는 고의적인 "공포-기아"의 결과로 묘사된다.[173] 북한에서는 1994년 기아가 발생하여 1996년부터 1998년까지 3년간 대량 아사자가 발생했으며, 1999년까지 이어져 총 300만 명에 달한다는 추정치도 있다.[212]
4. 2. 강제 노동
북한은 김일성 정권 수립 이후 정권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위한 시민권 개념을 부정해왔다.[1] 북한 전역에는 주민들을 감시하는 광범위한 정보원 시스템이 존재한다.[31]유엔 인권 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북한에서 광범위한 인권 침해가 정기적으로 발생한다고 지적했다.[32] 특히, 다수의 수용소 운영 및 광범위한 강제 노동 사용을 심각한 문제로 언급했다.[33]
북한은 국제 노동 기구(ILO)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ILO 협약은 국제 노동 기준으로 간주된다.[34] 조선로동당은 유일한 노동조합 조직인 조선직업총동맹을 강력하게 통제한다.[34]
북한에서는 정부 지시에 따른 강제 노동이 제도화되어 있다. 11세[37]의 어린이를 포함한 아동들은 농장과 건설 현장에서 강제 노동을 하며, 학교에서는 고철 및 기타 자재를 수집하도록 요구받는다. 또한 어린이들은 강변 청소 및 나무 심기와 같은 조경 작업도 해야 한다.[35][36] 북한의 관리소 (구금 시설)에 수감된 어린이들 또한 고된 노동에 시달린다.[37]
유엔 인권 최고대표 사무소 보고서는 북한 주민들이 국가의 이익을 위해 운영되는 광범위하고 다층적인 강제 노동 시스템에 의해 착취당하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 제도화된 강제 노동 시스템은 학교에 다니는 어린이부터 시작하여 성인까지 이어진다. 군 징집병들은 농업 및 건설 분야에서 강제로 노동을 해야 한다. 학교와 군 복무를 마친 후 북한 주민들은 직업 선택의 자유 없이 국가에 의해 직업이 할당되며, "돌격대"에 동원되어 육체 노동을 해야 할 수 있다. 강제 노동에 종사하는 북한 주민들은 임금 없이 열악한 작업 조건에 시달리며 구타를 당하고 여성들은 성폭력의 위험에 처해 있다. 보고서는 노동을 위한 수감자 착취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노예제를 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36] 강제 수용소 내 학교에 다니는 죄인의 아이들은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식사도 거의 제공받지 못한 채 노동을 강요받는다.[180]
4. 3. 여성 인권 침해
북한은 국제 사회권 규약과 아동 권리 협약의 당사국으로서 여성 차별을 하지 않아야 할 국제적 의무가 있지만, 현실에서는 심각한 여성 인권 침해가 자행되고 있다.중화인민공화국은 탈북자를 불법 이민자로 취급하여 북송하며, 이 과정에서 중국인 남성과 관계하여 임신한 것으로 의심되는 여성들은 강제 낙태를 당하고, 살아있는 채로 태어난 아기는 영아 살해를 당한다.[104] 만삭에 이르는 낙태는 주사를 통해 유도되며, 살아있는 미숙아 또는 만삭 신생아는 때때로 살해되지만, 더 흔하게는 양동이나 상자에 버려진 후 매장된다.[105]
"여성의 목소리 국제 연대"(A Woman's Voice International)라는 단체는 북한 정권이 14세 소녀들을 강제로 징집하여 이른바 기쁨조에서 일하게 한다고 주장했는데, 여기에는 매춘 팀도 포함된다.[103] 이들은 25세가 되면 "김정일의 경호원이나 국가 영웅과 결혼하라는 명령을 받는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03]
4. 4. 아동 인권 침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김씨 일가에 의한 일당 독재 정치가 이어지면서, 극심한 빈곤으로 굶주림에 시달리는 아동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심각한 인권 침해로 이어진다.[180] 강제 수용소에 수용된 아동들은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식사도 거의 제공받지 못한 채 강제 노동에 동원된다.[180]북한은 국제 사회권 규약과 아동 권리 협약의 당사국으로서 아동의 인권을 보호해야 할 국제적 의무가 있다. 아동 권리 협약 제2조는 어떠한 종류의 차별도 없이 아동의 권리를 존중하고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현실은 이러한 국제적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 탈북 의사 리광철은 2006년 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선천적 결함을 가지고 태어난 아기들이 살해되어 매장된다고 증언했다.[88] 또한, 탈북자들은 장애 아동들이 "특수 수용소"로 보내진다고 증언했다.[89]
2003년 초, 인권위원회는 "장애 아동에 대한 학대와 차별"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2006년 이후, 총회는 "장애인의 권리를 침해하고 기본적 자유를 침해하는 지속적인 보고"를 비난했다.[93]
"여성의 목소리 국제 연대"는 북한 정권이 14세 소녀들을 강제로 기쁨조에 징집하여 매춘을 강요한다고 주장했다.[103] 이들은 마사지와 카바레 춤 등의 활동도 강요받으며, 25세가 되면 "김정일의 경호원이나 국가 영웅과 결혼하라는 명령을 받는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03]
4. 5. 장애인 인권 침해
국제 사회권 규약(ICESCR)과 아동 권리 협약(CRC) 당사국인 북한은 장애인을 차별하지 않아야 할 국제적 의무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2006년 AP 통신(Associated Press)은 탈북한 의사 리광철의 증언을 인용, 선천적 결함을 가진 아기들이 살해되어 매장된다고 보도했다.[88] 북한 인권 특별 보고관의 보고서 역시 탈북자들의 증언을 인용하여 장애인들이 "특수 수용소"로 보내진다고 전했다.[89]핸디캡 인터내셔널(Handicap International)과 같은 자선 단체는 1999년부터 북한에서 장애인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고 보고했다.[90] 국제 적십자 위원회는 2006년 평양에 장애인 재활 센터 설립을 지원했고,[91] 지뢰금지 국제운동(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은 북한이 장애인 지원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경제 상황으로 인해 제한적이라고 밝혔다.[92] 북한은 2012년 처음으로 패럴림픽에 참가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엔 인권 이사회는 북한의 장애 아동에 대한 학대와 차별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장애인의 자녀 수와 간격을 자유롭고 책임 있게 결정할 권리를 침해하는 강제 조치에 대해 비난했다.[93] 2006년 특별 보고관은 장애인들이 수도에서 멀리 보내지고, 정신 장애인은 '49호 병동'으로 알려진 가혹한 환경에 억류된다고 언급했다.[93]
북한은 2003년 장애인 차별 금지 법률을 채택하고 국제 사회권 규약을 준수한다고 주장했지만, 이 법은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94] 탈북자들은 한국 전쟁 상이 군인을 제외한 장애인들이 심각한 차별을 받고 있다고 증언한다.[94]
4. 6. 소수자 인권
국제 사회권 규약(ICESCR)과 아동 권리 협약(CRC) 당사국인 북한은 장애 등 여러 기준에 따라 자국민을 차별하지 않아야 할 국제적 의무가 있다.[88] 그러나 탈북자 증언에 따르면, 선천적 결함(birth defect)이 있는 아기는 살해 후 매장되거나, 장애인은 '특수 수용소'로 보내지는 등 차별이 심각하다.[88][89]핸디캡 인터내셔널(Handicap International), 국제 적십자 위원회 등 일부 자선 단체가 북한에서 장애인을 지원하고 있지만,[90][91] 지뢰금지 국제운동(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은 북한의 장애인 지원 체계가 국가 경제 상황 때문에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92] 북한은 2012년 처음으로 패럴림픽에 참가했다.
북한은 2003년 장애인 차별 금지 법률을 채택하고 국제 사회권 규약 준수를 주장했지만,[94] 법은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으며, 장애인이 심각한 차별을 받는다는 증언이 나온다.[94] 특히 정신 장애인은 '49호 병동'이라는 가혹한 환경에 억류된다는 보고도 있다.[93]
5. 형사 사법 제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형사 사법 제도는 인권 침해의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형사 사법 시스템은 광범위한 재량권을 가지며, 주민의 공식적인 법적 권리와 관계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고 알려져 있다.[31]
사형은 정치범죄와 일반 범죄를 포함한 광범위한 범죄에 대해 적법한 사법 절차 없이 집행된다. 북한이나 북한 내 강제 수용소에서의 탈출 시도는 즉결 처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31]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의 삼촌인 장성택의 경우처럼, 정권 내에서 불우하게 된 인물들이 실종되거나 처형되기도 한다.[106]
북한에서는 언론의 자유, 보도의 자유, 정부 비판, 자유 선거, 종교의 자유 등 기본적인 인권이 일반 국민에게는 사실상 인정되지 않고 있다.[181] 경찰의 취조에서는 고문과 폭행이 다반사로 이루어지며,[180] 정치범으로 간주될 경우 재판이 열리지 않거나, 열려도 피고인이 없는 상태에서 유죄가 확정되는 경우가 많다.[185] 북한 주민들은 "자기 비판"(회의)에 참여하여 자신의 결점을 말하고 타인을 비판해야 하며, 이는 당국에 보고되어 정치범으로 간주될 수 있는 위험을 초래한다.[185]
다음은 북한 형사 사법 제도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몇 가지 사례들이다.
- 2013년 7월, 국경을 넘어 중국으로 탈북한 주현건은 강도·살인 미수 혐의로 11년 3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2021년 10월 18일, 주현건은 출소 후 북한으로 강제 송환될 것을 우려하여 탈옥했다가 체포되었다.[233]
- 2022년 2월, 평안북도 신의주시에서 한 가족이 불법 동영상 시청으로 인해 오지로 추방되었다.[228][229]
- 2022년 10월, 양강도 김형직군에서 한 가족 4명이 탈북하여 구속되어 강제 송환되었다.[230]
- 2022년 11월, 함경북도 청진시에서 고급중학교 학생 7명이 한국 드라마 시청으로 무기 노동 교화형, 노동 교화형 5년을, 양강도 혜산시에서 초급중학교 학생 1명이 한국 드라마 시청으로 노동 교화형 14년을 선고받았다.[231][232]
- 2022년 10월, 함경북도 종성에서 국경 경비 중이던 특수부대 병사가 상관을 살해하고 도주했다.[227]
- 2022년 12월, 양강도 김정숙군에서 제7군단 소대장이 무장하고 중국으로 탈북했다.[227]
- 2023년 3월 1일, 병사 A는 소대장 B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보복으로 B의 부모를 살해하고 아내에게 부상을 입혔다.[227]
5. 1. 정치범수용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총 6개의 정치범 수용소가 있으며, 수감자는 154,000여 명으로 추정된다. 현재 존재하는 정치범 수용소는 평안남도 개천(14호 관리소), 북창(18호 관리소), 함경남도 요덕(15호 관리소), 함경북도 화성(16호 관리소), 청진(25호 관리소), 회령(22호 관리소)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북한인권정보센터(NKDB)의 발표에 따르면, 정치범수용소의 최소 노동 연령은 만 6세이며, 하루 10시간의 노동과 연간 1.1일의 휴일만이 주어지는 등 가혹한 환경에서 강제 노동이 이루어지고 있다.[239] 특히 함경북도 회령시의 '22호 관리소'는 '완전통제구역'으로 분류되어 최대 규모로 운영되며, 수감자들은 죽을 때까지 노동해야 한다.
| 소재지 | 번호 | 수용자 규모[240] | 면적[241] |
|---|---|---|---|
| 평안남도 개천시 | 14호 정치범수용소 | 15,000명 | 155km2 |
| 함경남도 요덕군 | 15호 정치범수용소 | 50,000명 | 378km2 |
| 함경북도 화성군 | 16호 정치범수용소 | 10,000명 | 549km2 |
| 평안남도 북창군 | 18호 정치범수용소 | 50,000명 | 73km2 |
| 함경북도 회령시 | 22호 정치범수용소 | 50,000명 | 225km2 |
| 함경북도 청진시 | 25호 정치범수용소 | 5,000명 | 0.25km2 |
유엔 인권 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북한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광범위한 인권 침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32] 특히 정치범 수용소에서는 고문, 비인간적이거나 굴욕적인 대우, 공개 처형, 초법적이고 임의적인 구금, 강제 노동 등이 만연하다.[33]
많은 단체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교도소 환경은 가혹하고 생명을 위협한다.[117] 수감자들은 고문과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으며,[31][118][119] 탈출 시도, 특히 어린이 수감자에 대한 공개 및 비밀 처형이 자주 발생하고,[120] 강제 낙태와 영아 살해도 빈번하다.[31][121] 굶주림,[122] 질병,[123] 작업 사고, 고문 등으로 인한 사망률도 매우 높다.
정치적 범죄 혐의를 받거나 정치적으로 불신임된 사람들을 위한 수용소는 국가안전부에 의해 운영된다. 과거에는 가족 연좌제가 적용되어 정치범의 직계 가족도 수감되었으나, 1994년 이후에는 거의 폐지되었다.[131][132]
수용소는 북한의 중부와 북동부의 외딴 산골짜기에 위치하며, 외부 세계와 완전히 격리되어 있다.[31][133] 총 수감자 수는 8만에서 12만 명으로 추산된다.[134] 요덕과 북창 수용소는 종신형을 선고받은 정치범 구역과 재교육 수용소로 나뉜다.
수감자들은 원시적인 수단으로 광산 및 농업에서 힘들고 위험한 노예 노동을 강요받는다. 식량 배급량이 매우 적어 굶주림에 시달리며, 고된 노동과 결합되어 많은 수감자들이 사망한다. 수감자의 약 40%가 영양실조로 사망한다.[135] 또한 작업 사고, 동상, 고문으로 불구자가 되는 경우도 많다. 음식을 훔치거나 탈출을 시도하는 수감자는 공개 처형된다.
북한반인도범죄철폐 국제연대(ICNK)는 북한의 수용소에서 매년 10,000명 이상이 사망한다고 추정한다.[140]
5. 2. 교화소
유엔 인권 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북한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광범위한 인권 침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32] 유엔 인권 결의안 2005/11은 북한 내 특정 유형의 인권 유린을 언급했다.많은 단체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교도소 환경은 가혹하고 생명을 위협한다.[117] 수감자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에 의해 고문과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는다.[31][118][119] 사망률이 매우 높으며, 많은 수감자들이 굶주림,[122] 질병,[123] 작업 사고, 또는 고문으로 사망한다.
이순옥은 2002년 미국 하원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도소에서의 처우에 대한 자세한 증언을 했다. 그녀는 "1987년 제가 수감되었을 때 그곳에 있던 6,000명 대부분의 수감자들이 1992년 제가 석방될 때쯤에는 가혹한 교도소 환경에서 조용히 사망했습니다"라고 말했다.[127] 강철환과 같은 다른 많은 전 수감자들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도소의 인권 범죄에 대해 자세한 증언을 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도소 시설은 정치범을 위한 대규모 수용소(관리소)와 재교육 교도소(교화소)로 나눌 수 있다.[129]
범죄자를 위한 교화소는 내무성에 의해 운영된다. 일반 범죄와 정치범죄 사이에는 유동적인 통로가 있는데, 영향력 있는 당원들의 미움을 산 사람들은 종종 허위 혐의로 고발되기 때문이다. 그들은 구금 시설로 보내져 잔혹한 고문을 받으며 허위 자백을 강요받는다. 예를 들어, 이순옥은 다른 수감자들과 함께 얼음처럼 차가운 물을 뒤집어쓰며 무릎을 꿇어야 했고, 그 중 6명은 살아남지 못했다.[141] 그런 다음 짧은 공개 재판에서 장기 징역형을 선고받는다. 북한에서는 정치범죄가 국경 침범에서 정치 질서 교란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엄격하게 처벌된다.[142] 굶주림과 고문으로 인한 열악한 수감 환경 때문에[143] 수감자 중 상당수가 형기를 마치지 못하고 사망한다.
교화소는 높은 벽으로 둘러싸인 대규모 감옥 건물 단지이다. 수감자들의 처지는 정치범 수용소와 매우 유사하다. 그들은 감옥 공장에서 노예 노동을 해야 한다. 작업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고문을 받고, (적어도 개천 수용소에서는) 일어 서거나 완전히 누울 수 없는 좁은 특수 감방에 갇힌다.[127]
정치범 수용소와는 달리, 교화소 수감자들은 노동 후에 이념 교육을 받으며 김일성과 김정일의 연설을 암기하고 자기 비판 의식을 강요받는다. 많은 수감자들이 다른 국가에서도 처벌받는 일반 범죄를 저질렀지만, 종종 경제적 필요에 의해 저질러졌다. 예를 들어 불법 국경 침범, 식량 절도 또는 불법 거래 등이 있다.[144]
북한에는 약 15~20개의 교화소가 있다.[145]
두 개의 수용소는 좌표, 위성 이미지, 전 수감자들의 증언과 함께 문서화되어 있다.
| 교화소 | 공식 명칭 | 크기 | 수감자 |
|---|---|---|---|
| 개천 교화소 | 제1교화소 | 300x | 6,000 |
| 청거리 교화소 | 제12교화소 | 150x | 2,000 |
다른 수용소들은 전 수감자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짧은 증언과 함께 문서화되어 있다.[146]
- 신의주 제3교화소 (수감자 약 2,500명), 평안북도
- 강동 제4교화소 (수감자 약 7,000명), 평안남도
- 룡담 제8교화소 (수감자 약 3,000명), 강원도
- 중산 제11교화소 (수감자 약 3,300명), 평안남도[147]
- 함흥 제15교화소 (수감자 약 500명), 함경남도
- 오로 제22교화소 (수감자 약 1,000명), 함경남도
- 단천 제77교화소 (수감자 약 6,000명), 함경남도
- 회령 교화소 (수감자 약 1,500명), 함경북도
2014년 10월, 북한은 처음으로 노동 수용소가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 최명남은 "법과 관행 모두에서 우리는 노동 구금을 통한 개혁, 즉 구금 시설을 가지고 있는데, 그곳에서 사람들은 정신적 개선을 통해 자신의 잘못을 돌아보게 된다"고 말했다.[149]
- A(여, 함경북도 청진시 부령구 출신)는 2013년에 인신매매 피해를 입어 중국으로 팔려갔다.[223] 2019년에 가출했지만, 공안에 체포되어 신의주로 강제 송환되었다.[223] 청진시에 보내진 후, 재판에서 5년의 교화형을 선고받고 함흥 9호 교화소에 수감되었으나, 동상으로 발가락 10개가 썩어 떨어져 제대로 걷지 못하게 되었다.[223]
- 2019년 1월 2일 전거리 교화소에서 수감자에 의한 간수 보안원 살해 사건이 발생했다.[224]
- 2019년 12월 신의주에서 A(남, 50대)는 목선을 만들었다가 발각되어 체포되었다.[226] 보위부는 A가 탈북하려 했다고 단정하고, 2개월간 혹독한 고문과 심문을 했다.[226] 2020년 3월 재판에서 무기징역형을 선고받고 1호 교화소에 수감되었다.[226]
5. 3. 공개 처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2000년대 이후 국제사회의 비판으로 공개 처형을 억제하는 듯했으나, 2007년 10월에 재개했다.[189] 공개 처형은 정치범뿐만 아니라 일반 범죄자에게도 광범위하게 적용된다.주요 공개 처형 사례는 다음과 같다:
- 2007년 10월, 평안남도의 한 공장장이 공장 지하에 설치한 전화기로 국제 전화를 걸었다는 혐의로 15만 명의 군중 앞에서 총살형으로 처형되었다.[111][190]
- 2008년에는 중국으로 국경을 넘은 혐의로 15명이 공개 처형되었다.[112]
- 2011년, 남한에서 날아온 선전 삐라를 취급한 혐의로 2명이 500명의 관중 앞에서 처형되었다.[114][193]
이 외에도 살인, 강도, 강간, 마약 거래, 밀수, 해적 행위, 기물 파손 등 다양한 범죄에 대해 공개 처형이 집행된 것으로 알려졌다.[110] 처형 방법은 주로 총살형이 사용된다.[110]
2019년 6월, 서울의 인권 단체인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은 북한 내 최소 323곳의 공개 처형 장소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115][196]
2007년 유엔 총회 위원회는 공개 처형을 포함한 북한의 인권 침해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113] 북한은 결의안이 부정확하고 편향되었다고 비난했다.[113] 2014년 11월 18일, 유엔 총회 제3위원회도 비슷한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하였다.[192]
최근에는 한류 유포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면서 공개 처형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194]
5. 4. 고문 및 비인도적 대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서는 수사 및 구금 과정에서 고문 및 비인도적 대우가 만연하다는 보고가 있다. 유엔 인권 최고대표 사무소(OHCHR)는 북한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광범위한 인권 침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다.[187]흥남감옥에서는 죄수들에게 극심한 강제노동을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형사 사법 시스템은 광범위한 재량권을 가지며, 주민의 공식적인 법적 권리와 관계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고 전해진다.[31] 경찰의 취조에서는 고문과 폭행이 다반사로 이루어진다.[180]
2019년 6월, 서울에 거점을 둔 인권 단체 "임시 사법 워킹 그룹"은 공개 처형이 이루어진 북한 거점 중 최소 323개 지점을 특정했다고 주장했다.[196]
다음은 북한에서 보고된 고문 및 비인도적 대우의 사례들이다.
- 2013년, 인신매매 피해로 중국에 팔려간 A(여)는 강제 결혼과 가정폭력을 겪다 탈출했지만, 중국 공안에 체포되어 북한으로 강제 송환되었다. A는 혹한기에 트럭 짐칸으로 1000km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동상을 입었고, 재판에서 5년의 교화형을 선고받았다. 동상으로 발가락이 썩어 제대로 걷지 못하게 되자 교화소에서 석방되었지만, 갈 곳 없는 A는 결국 교화소로 돌려보내달라고 간청했다.[223]
- 2019년 12월, 신의주에서 목선을 만든 A(남, 50대)는 탈북 혐의로 체포되어 2개월간 혹독한 고문과 심문을 받았다. A는 재판에서 무기징역형을 선고받고 교화소에 수감되었다.[226]
- 2020년 11월, 함경남도에서 탈북하려던 일가족 4명이 체포되었다. 아버지는 심문에서 혐의를 부인했지만, 고문을 견디지 못하고 자백했다. 일가족은 극빈한 생활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보위부는 "조국을 배신하고 남조선으로 도망가려는 자는 3대를 멸하고 근절시켜야 한다"며 2020년 2월 9일에 일가족을 정치범 강제 수용소에 수감했다.[225]
- 2021년 3월 1일, 병사 A는 소대장 B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보복으로 B의 집에 침입하여 B의 부모를 살해하고 아내에게 부상을 입혔다.[227]
5. 5. 재판 절차 문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지 않는다. 헌법에는 법원이 독립적이고 사법 절차가 법률에 따라 엄격하게 진행되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독립적인 사법부가 존재하지 않는다.[107] 공식적인 형사 사법 절차 및 관행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으며, 외부인의 접근은 극히 제한된다.[107]사회안전부는 정치적 사건의 경우 재판을 생략하고 수감자를 국가안전보위부로 보내 처벌한다.[107] 대부분의 수용소 수감자들은 재판 없이, 자신에 대한 혐의도 모른 채, 변호사도 없이 수용소에 도착한다.[107] 탈북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수감자 중 극히 일부만이 재판을 받는다고 한다.[109]
정치범으로 간주될 경우 재판이 열리지 않거나, 열려도 피고인이 없는 상태에서 유죄가 확정되는 경우가 많다.[185]
6. 국제 납치 문제
한국 전쟁 이후 수십 년 동안, 북한이 대한민국과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사람들을 납치했다는 보고가 있었다. 유럽인 9명과 미국인 여러 명도 북한에 납치되었다는 증언이 많다.[150] 이러한 납치 의혹은 오랫동안 북한 정권 비판자들에 의해 음모론으로 치부되기도 했다.
2002년 9월, 김정일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내각총리대신에게 1977년부터 1983년까지 북한 "특수 기관"이 일본인을 납치했음을 부분적으로 인정했다.[151] 김정일은 일본 정부가 납치 피해자로 지목한 17명 중 13명의 납치를 공식 인정하고, 책임자 처벌을 언급했다.[152]
그러나 북한은 일본인 외 다른 국적의 외국인 납치에 대해서는 부인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루마니아, 태국 등 여러 국가에서 납북 피해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6. 1. 일본인 납치 문제
한국 전쟁 이후 수십 년 동안 북한은 한국인과 일본인을 중심으로 많은 외국인을 납치했다는 보고가 있다.[197] 9명의 유럽 시민과 몇 명의 미국 시민도 북한에 납치되었다는 많은 증언이 있다.[197] 수년 동안, 이러한 주장들은 체제 측의 많은 논자들에 의해 "음모론", "날조"로 치부되어 왔다.그러나 2002년 9월, 김정일 총비서는 1977년부터 1983년까지 6년 동안 일본 국민을 납치한 북한의 "특별 기관"의 연루를 인정하고, 일본의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게 주권 침해가 있었다는 것을 부분적으로 인정했다.[198] 김정일은 일본 정부가 북한이 납치했다고 하는 17명 중 13명의 일본인을 납치한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그리고 그는 책임자가 처벌되었다며 납치 문제는 해결되었다고 주장했다.[199]
생존한 5명의 납치 피해자는 일본 방문을 허가받았고, 그들은 북한으로 돌아가지 않기로 결심했다. 게다가 8명의 일본인 납치 피해자에 대해서는, 북한 당국은 사고나 질병에 의한 사망을 주장했다. 일본 측은 사망한 것으로 여겨지는 이들의 목격 증언이 있다며 이를 부정하고, 특히 북한이 요코타 메구미의 유골이라고 제시한 유골에 대해서는 조사 결과, 그녀의 것이 아니라고 하고 있다.
김정일이 고이즈미 총리에게 범행을 인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 정부는 다른 외국인의 유괴를 계속 부정하고, 납치 의혹이 있는 사건을 조사하기 위한 협력을 거부하고 있다. 2017년, 전 일본인 납치 피해자인 렌케 가오루는 "일본의 수상은 다시 북한을 방문할 필요가 있다"고 공언하며, 아베 신조 수상에게 2002년의 북일 평양선언을 이용하여 북한과 일본 사이의 납치 문제를 논의할 것을 촉구했다.[200]
2007년 6월 28일, 도희륜(납북 탈북자 인권연대 사무총장)은 탈북자에 의한 증언을 발표했다.[201] 탈북자에 따르면, 수 명의 일본인 납치 피해자가 북한의 관리소에 수용되어 있었고, 2003년 7월에 량강도 북부 지역의 관리소를 순시했을 때, 일본인 납치 피해자가 있다고 들었다고 한다.[201] 그 일본인은 약 60세였으며, 집단 작업을 하던 사람들과는 달리, 혼자 허리를 굽힌 채 보일러에 석탄을 때는 작업을 하고 있었고, 경비병이 근처에서 감시하고 있었다고 한다. 또 수용소 책임자로부터 일본인 납치 피해자가 3, 4명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한다.[201]
6. 2. 한국인 납치 문제
한국 전쟁 이후 수십 년 동안, 북한은 한국인과 일본인을 중심으로 많은 외국인을 납치했다는 보고가 있다.[197] 9명의 유럽 시민과 몇 명의 미국 시민도 북한에 납치되었다는 많은 증언이 있다.[197]2002년 9월, 김정일은 1977년부터 1983년까지 6년 동안 일본 국민을 납치한 북한 "특별 기관"의 연루를 인정하고,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에게 주권 침해가 있었다는 것을 부분적으로 인정했다.[198] 김정일은 일본 정부가 북한이 납치했다고 주장하는 17명 중 13명의 일본인을 납치한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그리고 그는 책임자가 처벌되었다며 납치 문제는 해결되었다고 주장했다.[199]
생존한 5명의 납치 피해자는 일본 방문을 허가받았고, 그들은 북한으로 돌아가지 않기로 결심했다. 북한 당국은 다른 8명의 일본인 납치 피해자에 대해서는 사고나 질병으로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일본 측은 사망한 것으로 여겨지는 이들에 대한 목격 증언이 있다며 이를 부정하고, 특히 북한이 요코타 메구미의 유골이라고 제시한 유골에 대해서는 조사 결과 그녀의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김정일이 고이즈미 총리에게 범행을 인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 정부는 다른 외국인 납치를 계속 부정하고, 납치 의혹 사건 조사에 대한 협력을 거부하고 있다. 2017년 전 일본인 납치 피해자 하스이케 가오루는 "일본 총리는 다시 북한을 방문해야 한다"고 말하며, 아베 신조 총리에게 2002년 북일 평양선언을 활용하여 북한과 일본 간의 납치 문제를 논의할 것을 촉구했다.[200]
대한민국 정부 당국은 한국 전쟁 이후 486명의 한국인(주로 어부)이 납치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02] 이들은 정부가 납북자들의 자유를 되찾기 위해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203] 대한민국은 북한에 구금된 한국인 납북 피해자 480명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204] 그 후에도 2000년 1월 16일, 중국에 있는 북한 공작원은 한국인 목사 Kim Dong-shik|김동식영어을 납치했고, 2004년 8월 8일에는 탈북한 조선인 여성 Jin Gyeong-suk|진경숙영어을 다시 북한으로 연행하여 고문한 뒤 살해했다.
2013년 11월, 한국 전쟁 중 북한에 납치된 한국인 가족으로 구성된 시민 단체 '한국전쟁 납북 피해자 가족 협회'(KWAFA)는 북한 지도자 김정은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하겠다고 밝혔다.[205]
6. 3. 기타 국가 피해자
한국 전쟁 이후 수십 년 동안, 북한이 대한민국과 일본뿐만 아니라 여러 외국인을 납치했다는 보고가 있었다. 9명의 유럽 시민과 여러 명의 미국 시민도 북한으로 납치되었다는 증언이 많다.[150] 2002년 9월, 김정일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내각총리대신에게 1977년부터 1983년까지 일본인 납치에 북한 "특수 기관"이 관여했음을 부분적으로 인정했으나,[151] 다른 외국인 납치 사건은 계속 부인하고 있다.2013년 11월, 한국전쟁납북인사가족협회(KWAFA)는 북한 지도자 김정은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할 것이라고 밝혔다.[156]
북한에 의해 납치된 비 한국인 또는 비 일본인의 예로는 루마니아 출신 도이나 범베아와 태국 출신 아노차 판조이 등이 있다.
7. 국제사회의 비판과 대응
국제사회는 북한의 인권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비판하고 대응해 왔다. 2009년 미국의 샘 브라운백 상원의원 등은 북한에 억류 중인 미국 여기자 2명의 석방을 요구하며 북한의 인권 유린 실태를 강하게 비판했다.[245]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포르투갈이 북한에 대승을 거둔 후, 포르투갈 선수들은 북한 선수들이 처벌받을 것을 우려하기도 했다.
2011년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는 대북 식량지원이 김일성 출생 100주년 행사에 전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고,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는 식량지원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대로 전달되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246] 2012년 캐나다 의회는 '통영의 딸' 신숙자 씨 모녀 구출 결의안을 상정하여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247] 보츠와나는 2014년 북한의 인권 유린을 이유로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248] 2007년 미국 국무부 연례 보고서는 북한을 "세계에서 가장 고립되고 억압적인 체제"라고 비난하며, 북한 내 강제 수용소에 15만~20만 명이 구금되어 있다고 보고했다.
여러 국가와 다자간 기구들이 북한의 인권 침해를 비판해 왔지만,[158] 중국, 수단, 베네수엘라, 쿠바 등 일부 국가들은 다른 입장을 보였다.[159][160]
2020년 9월, 유엔 인권 최고 대표 사무소는 북한 시민들의 목소리가 억압되고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하고, 북한과의 협상에서 인권 문제를 제기할 것을 촉구했다.[169] 2024년 7월, 북한과 러시아의 동맹 강화로 인해 대한민국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북한의 인권 문제를 안보 위협과 연계하여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170]
7. 1. 유엔(UN)의 역할
유엔 인권 이사회는 201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권 조사 위원회(COI)를 설치하여 북한의 인권 침해 실태를 조사했다.[14] 2014년 2월 17일 발표된 최종 보고서는 김정은을 비롯한 북한 지도층이 반인도적 범죄에 대한 형사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249]조사 위원회는 북한에서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심각한 인권 침해가 자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여기에는 식량권 침해, 수용소 운영, 고문, 비인도적 처우, 임의 구금, 차별, 표현의 자유 침해, 생명권 침해, 이동의 자유 침해, 강제 실종 등이 포함된다.[15] 위원회는 이러한 인권 침해가 반인도적 범죄에 해당한다고 결론 내렸다.[15]
2005년부터 유엔 총회는 매년 북한 인권 상황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해 왔다.[158] 2006년 유엔 총회 결의안은 고문, 공개 처형, 낙태 강요, 외국인 납치, 의사 표현의 자유 박탈 등 북한 정권의 조직적인 인권 침해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21]
2021년 11월 17일, 유엔 총회 제3위원회(인권)는 북한의 인권 침해를 비난하는 유럽 연합(EU) 제출의 결의안을 컨센서스 방식(의장의 총의)으로 무투표 채택했다. 이는 17년 연속 채택된 것이다.[170] 같은 해 연내에 열리는 총회 본회의에서 채택되어 정식 총회 결의가 된다. 일본은 결의안에 대한 찬성을 나타내는 공동 제안국에 참여했다. 중국과 러시아는 특정 국가의 인권 문제를 다루는 것에 반대하며, 결의안을 지지하는 "총의"에는 참여하지 않겠다고 표명했다. 북한의 김성 유엔 대사는 연설에서 "인권 침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결의안은 미국과 유럽의 적대 정책의 발현이다"라고 반발했다.
7. 2. 개별 국가의 노력
2004년 10월, 미국은 북한 인권법을 통과시켰고, 2008년에 재승인했다. 이 법은 국무부에 북한 인권 문제를 전담하는 사무실을 설치했으며, 초대 특사로 제이 레프코위츠가 임명되었다. 2009년 4월 28일, 공화당의 샘 브라운백 상원의원과 하원 외교위 공화당 간사 일리아나 로스 레티넌은 워싱턴에서 열린 북한인권주간 집회에서 북한에 억류 중인 미국 여기자 2명의 석방을 요구하며, 북한 주민들의 기본적 인권이 무시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245] 2011년 6월 2일,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에서는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청문회가 열렸다. 일레나 로즈-레티넨 위원장은 대북 식량지원이 김일성 출생 100주년 행사에 전용될 것을 우려했고,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는 식량지원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대로 전달되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246]일본은 일본인 납북 사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북한은 일본인 납북 사건이 완전히 해결되었다고 주장하며 인권 침해 보고서를 거부하고, 탈북자들이 반북 의제만을 홍보한다고 비난한다.[168] 2006년 12월 20일, 유엔 총회 본회의에서 채택된 "북한의 인권 상황" 결의안은 북한 정권에 의한 조직적인 인권 침해, 고문, 공개 처형, 외국인 납치 등을 비난하며, 일본과 EU가 주도하여 제출했다. 한국은 기권에서 찬성으로 돌아섰고, 중국과 러시아는 반대표를 던졌다.[181]
유럽 연합(EU)은 2005년부터 매년 유엔 총회에서 북한 인권 상황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제출해 왔다.[158] 2005년 12월 16일, 유엔 총회 본회의에서 "북한의 인권 상황" 결의안이 채택되었는데, EU가 작성하고 일본과 미국 등이 공동 제안국으로 참여했다. 2021년 11월 17일, 유엔 총회 제3위원회는 EU 제출의 결의안을 컨센서스 방식으로 무투표 채택했다. 이는 17년 연속 채택된 것으로, 일본은 공동 제안국으로 참여했다. 중국과 러시아는 특정 국가의 인권 문제를 다루는 것에 반대하며 "총의"에 참여하지 않았다.[181]
캐나다 의회는 2012년 4월 25일(현지시간) ‘통영의 딸’ 신숙자 씨 모녀의 생사확인과 구출 관련 결의안을 본회의에 정식으로 상정했다. 이 결의안은 유엔 사무총장에게 이들의 생사확인과 구출에 나서달라고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247] 보츠와나는 2014년 2월 19일부로 북한과의 외교관계를 단절했는데, 이는 북한이 대량 학살을 자행하고 국민을 노예로 전락시키며 굶주리게 하고 있다는 UN 보고서와 관련이 있다.[248]
7. 3. 대한민국 정부의 노력
대한민국은 북한 인권 문제 개선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2004년 미국에서 북한 인권법이 제정된 이후, 대한민국 내에서도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245]2005년부터 유엔 총회는 매년 북한 인권 상황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해 왔으며, 대한민국 정부도 이러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동참해왔다.[158] 특히 2006년 유엔 총회에서 "북한의 인권 상황" 결의안이 채택되었을 때, 대한민국은 이전의 기권 입장에서 찬성으로 전환하여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158]
2020년 9월 9일, 서울에 있는 유엔 인권 최고 대표 사무소는 북한 주민들의 목소리가 억압되고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하며, 미국과 대한민국이 북한과의 협상에서 인권 문제를 제기할 것을 촉구했다.[169] 2024년 7월, 대한민국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으로서 북한의 인권 침해 문제를 안보 위협과 연계하여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170]
그러나 북한 인권 문제 개선을 위한 노력은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북한은 인권 침해 보고서를 전면 부인하며, 탈북자들을 반북 의제 홍보에 이용한다고 비난하고 있다.[168] 또한, 북핵 문제에 비해 북한 인권 문제는 국제사회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7. 4. 국제 NGO의 활동
유엔 총회는 2005년부터 매년 북한의 인권 상황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해 왔다.[158] 이와 더불어, 북한 주민들의 인권 침해를 구제하고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국제 NGO들이 설립되어 활동하고 있다.프리덤 하우스는 1973년부터 북한을 "세계 자유도" 평가에서 최하위로 평가해 왔다.[161] 2013년 조사에서 북한은 정치적 권리와 시민 자유 모두에서 최저 등급을 받았다.[162]
북한 전략 센터는 북한 주민들에게 인권과 민주주의를 장려하는 비디오, 음악 등 외부 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165] 자유 북한 연합은 중국을 통해 북한을 탈출하려는 탈북자들을 위한 구조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자선 기부를 모금한다.[166] 서울에 본부를 둔 NGO인 새터민은 탈북자들이 이용 가능한 치료 옵션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한민국 내 탈북자들에게 의료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67]
휴먼 라이츠 워치는 북핵 문제에 비해 북한의 인권 문제는 일본을 제외하고 전 세계 거의 모든 국가로부터 무시에 가까운 상태라고 보고하고 있다.
8. 북한의 입장
북한은 1948년 국가 수립 이전부터 인권 담론을 전개해 왔다. 이들은 마르크스주의, 유교,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인권 이론을 정립했으며, 집단적 권리가 개인의 권리보다 우선하고 복지 및 생존권이 중요하다고 본다.[24]
김일성은 "사회주의에 반대하는 적대 분자나 인민의 이익에 반하는 불순 분자에게는 자유와 권리를 제공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25]
북한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이 자국민의 인권을 보장하며, 관련 법률 및 규정을 통해 이러한 보장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러한 인권 보장과 법률이 전국적으로 모든 개인에게 엄격하게 시행된다고 강조한다.[26]
북한은 자체적인 인권 연구 협회 보고서를 통해 북한 주민들이 "진정한 인권"을 누리고 있다고 주장했다.[27] 더불어 유엔 인권 이사회의 보편적 정례 검토 과정에서 제시된 268개 권고 사항 중 113개를 이행하기로 동의했다.[28] 그러나 마이클 커비는 북한의 이러한 움직임을 "매력 공세"라고 칭하며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했다.[29] 그는 북한 인권 연구 협회 보고서가 조사위원회 보고서에서 제기된 문제에 대해 논의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30]
북한의 창시자인 김일성은 체제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시민권 개념을 거부했다.[186]
9. 현재 상황과 전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인권 상황은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탈북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강제수용소 내에서 비인간적인 행위가 벌어지고 있다는 충격적인 증언이 나오기도 했다.[250] 인민보안부 자료에서도 식량 부족으로 인한 범죄가 심각하며, 심지어 인육을 섭취하거나 판매하는 사건도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251]
2011년 미국 국무부의 인신매매실태 보고서에서 북한은 미얀마, 이란, 쿠바 등과 함께 최악의 인신매매 국가인 '3등급 국가'로 분류되었다.[252]
북한은 김씨 일가에 의한 일당 독재 체제가 유지되면서, 극심한 빈곤과 기아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고통받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권 침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180] 강제 수용소에는 많은 사람들이 수용되어 있으며, 고문과 학대가 일상적으로 발생하고 사망자도 발생하고 있다.[180] 수용소 내 아이들은 제대로 된 교육과 식사를 제공받지 못한 채 강제 노동에 시달린다.[180] 경찰 조사 과정에서도 고문과 폭행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180]
권력자와 특권층만이 부를 독점하고 호화로운 생활을 하는 반면, 대다수 국민들은 극심한 빈곤에 시달리고 있다.[180] 도시와 지방 간의 격차도 심각하여, 지방에서는 도로조차 제대로 포장되지 않아 탈북자가 끊이지 않고 있다.[180]
언론의 자유, 보도의 자유, 정부 비판, 자유 선거, 종교의 자유 등 기본적인 인권은 극히 일부 특권층을 제외하고는 보장되지 않는다.[181] 강제 수용소에는 15만~20만 명이 구금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난방 문제도 심각하여, 겨울철에 난방 없이 혹한을 견뎌야 하는 사람들이 많다.[182][183][184] 북한에서는 '자기 비판'이라는 명목 하에 매주 회의가 열리고, 여기서 정치범으로 몰리면 재판 없이 수용소로 보내지는 경우도 있다.[185] 이산 가족 상봉 후에도 북한 측 가족들은 한국 측 가족에게서 받은 금품이나 선물을 당에 헌납해야 하는 등 감시와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도 북한 내 인권 침해 사례는 계속 보고되고 있다.
- 2021년 2월, 평안북도 신의주시에서 한 가족이 불법 동영상 시청으로 오지로 추방되었다.[228][229]
- 2021년 3월, 혜산시 운총리에서 병사가 소대장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보복으로 소대장 가족에게 총격을 가해 2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27]
- 2021년 10월, 양강도 김형직군에서 일가족 4명이 탈북했다가 구속되어 강제 송환되었다.[230]
- 2021년 11월, 함경북도 청진시에서 고급중학교 학생 7명이 한국 드라마 시청으로 무기 노동 교화형 또는 노동 교화형 5년을 선고받았고,[231][232] 양강도 혜산시에서는 초급중학교 학생 1명이 한국 드라마 시청으로 노동 교화형 14년을 선고받았다.[231][232]
- 2013년 7월 탈북한 주현건은 중국에서 강도·살인 미수 혐의로 복역 중, 2021년 10월 탈옥했다가 11월에 체포되었다.[233]
이러한 상황들을 종합해 볼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상황은 여전히 심각하며,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10. 미디어 및 관련 단체
- Chosun Journal영어은 북한 인권 관련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독립 비영리 웹사이트이다.[253]
- 한보이스(Hanvoice)는 북한 난민을 지원하는 캐나다에 본부를 둔 인권 단체이다.
- ''North Korea Uncovered영어''는 북한의 수천 개의 건축물, 기념물, 미사일 저장 시설, 집단 묘지, 비밀 노동 수용소, 관저, 레스토랑, 관광지, 주요 도로를 보여주는 포괄적인 지도 세트이다.
- ''서울 트레인''은 중국을 경유하거나 중국으로 탈출하는 북한 탈북자들을 다룬 2004년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 ''14번 수용소 탈출''은 북한에서 태어나 수용소 환경에서 삶을 살아간 아이에 대한 책이다.
- ''살기 위하여''는 2015년에 출판된 회고록으로, 북한 소녀가 자유를 찾아가는 여정을 이야기한다.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열린 원 영 월드 정상 회담에서 연설한 것으로 알려진[237] 북한 탈북자 박연미가 쓴 이 회고록은 북한의 삶과 탈북 과정에 대한 자세한 묘사를 제공한다.
- ''비밀 국가의 아이들''은 북한 고아들의 비참한 삶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춘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이 영화는 수용소, 기근, 영양 실조와 같은 북한의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한 많은 시각적 증거를 담고 있다.[176][236] 2001년에 개봉되었으며, 영화 평론가 앨리슨 고먼은 이 영화가 "극소수를 위한 권력과 돈의 심각한 남용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
- 2008년에 개봉된 대한민국 영화 ''크로싱''은 2002년에 탈북자 25명이 베이징의 스페인 대사관으로 달려간 사건을 모티브로 하며, 가족을 위해 약과 식량을 구하러 북한을 떠난 아버지와 아버지를 찾아 나선 11살 아들의 엇갈림을 그린다.
- 2009년에 개봉된 다큐멘터리 영화 ''김정일리아''는 탈북자들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 ''Camp 14: Total Control Zone영어''는 독일·대한민국 합작으로 2012년에 제작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강제 수용소에서 태어나 자란 탈북자이자 인권 운동가인 신동혁을 그렸다.
- ''The Defector: Escape from North Korea영어''는 북한을 탈출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2012년 캐나다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 일본·인도네시아 합작의 ''트루 노스''는 2020년 제작된 3D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강제 수용소의 실태를 3D 애니로 그렸다.
- 2021년 개봉된 일본 영화 ''메구미에게 맹세''는 13세 때 북한에 납치된 일본 여성 요코타 메구미를 중심으로 납치 피해자와 그 가족들의 고뇌와 투쟁을 그렸다.
참조
[1]
웹사이트
Issues North Korea
https://www.amnesty.[...]
2014-07-01
[2]
서적
Report of the Commission of Inquiry on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nited Nations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2014-02-17
[3]
서적
World Report 2014: North Korea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4-01-21
[4]
웹사이트
North Korea
http://dynamic.csw.o[...]
2014-07-01
[5]
웹사이트
ICNK welcomes UN inquiry on North Korea report, calls for action
http://www.stopnkcri[...]
2014-02-20
[6]
뉴스
North Korea: Human Rights Concern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6-11-28
[7]
뉴스
U.S. Releases Rights Report, With an Acknowledgment
https://www.nytimes.[...]
2007-03-07
[8]
웹사이트
The Stories from inside North Korea's Prison Camps Are Horrifying
http://www.businessi[...]
2017-03-24
[9]
웹사이트
North Korean Refugees NGO
http://www.northkore[...]
Northkoreanrefugees.com
2008-10-20
[10]
웹사이트
UNHCR Freedom in the World 2008 – North Korea
http://www.unhcr.org[...]
Unhcr.org
2008-07-02
[11]
뉴스
KCNA Assails Role Played by Japan for UN Passage of "Human Rights" Resolution against DPRK
http://www.kcna.co.j[...]
KCNA
2005-12-22
[12]
뉴스
KCNA Refutes U.S. Anti-DPRK Human Rights Campaign
http://www.kcna.co.j[...]
KCNA
2005-11-08
[13]
웹사이트
February 2012 DPRK (North Korea)
http://www.securityc[...]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2012-02
[14]
News release
Council President appoints Members of Commission of Inquiry o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in Korea
http://www.ohchr.org[...]
2013-05-07
[15]
웹사이트
Resolution adopted by the Human Rights Council: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daccess-dds-n[...]
United Nations
2013-04-09
[16]
뉴스
North Korean Defectors Tell U.N. Panel of Prison Camp Abuses
https://www.nytimes.[...]
2013-08-20
[17]
뉴스
UN Panel Hears from Relatives of Japanese Abducted by N. Korea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News
2013-08-29
[18]
뉴스
UN human rights probe on DPR Korea set to begin hearings in Japan
https://www.un.org/a[...]
UN News Centre
2013-08-23
[19]
웹사이트
Report of the Commission of Inquiry on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www.ohchr.org[...]
2014-02-17
[20]
웹사이트
North Korea human rights abuses resemble those of the Nazis, says UN inquiry
https://www.theguard[...]
2024-02-18
[21]
뉴스
UN panel on North Korea details horrific torture, appeals to world to act
https://archive.toda[...]
Asia Bulletin
2014-02-17
[22]
뉴스
North Korea: UN moves closer to ICC human rights probe
https://www.bbc.com/[...]
2014-11-19
[23]
웹사이트
Un votes against North Korea on human rights - CNN.com
http://www.cnn.com/2[...]
cnn.com
2014-11-18
[24]
논문
The Evolution of Human Rights Thinking in North Korea
2008-06
[25]
문서
Human Rights Discourse in North Korea: Post-Colonial, Marxist, and Confucian Perspectives
Taylor & Francis US
[26]
웹사이트
NATIONAL REPORT SUBMITTED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A) OF THE ANNEX TO HUMAN RIGHTS COUNCIL RESOLUTION 5/1*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lib.ohchr.org[...]
United Nations
2009-11-30
[27]
뉴스
North Korea wrote a 53,558-word report on its human rights record. The conclusion? It's pretty good.
https://www.washingt[...]
2014-09-17
[28]
웹사이트
Yongusil 50: A Cause for Optimism—Michael Kirby in Hong Kong
http://sinonk.com/20[...]
2014-10-26
[29]
Video
North Korea defends human rights record in report to UN – BBC News
https://www.bbc.com/[...]
2014-10-08
[30]
웹사이트
Epic Exchange Between Justice Kirby and DPRK Councilor Kim Song
https://www.youtube.[...]
The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14-10-24
[31]
웹사이트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for 2011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32]
웹사이트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daccess-dds-n[...]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2012-04-03
[33]
웹사이트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uman Rights Resolution 2005/11
https://ap.ohchr.org[...]
2005-04-14
[34]
뉴스
Labor Right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3
[35]
뉴스
North Korea: Child exploitation lands country in hot water
http://www.news.com.[...]
News.Com.Au
2017-02-10
[36]
웹사이트
Institutionalised forced labour in North Korea constitutes grave violations of human rights – UN report
https://www.ohchr.or[...]
[37]
간행물
Child Labor Is Declining Worldwide, But It's Thriving in These Six Countries
https://foreignpolic[...]
2017-02-10
[38]
웹사이트
DPRK's Constitution (Full Text)
http://www.novexcn.c[...]
2007-11-19
[39]
간행물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https://2009-2017.st[...]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U.S. Department of State
2013-09-25
[40]
웹사이트
North Korea steps up efforts to stamp out consumption of illegal foreign media – but entertainment-hungry citizens continue to flout the ban
https://theconversat[...]
[41]
웹사이트
Exclusive Buddhist Temple Tour of North Korea
http://uritours.com/[...]
Uri Tours
[42]
웹사이트
Socialist Constitu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www.servat.un[...]
2012-01-11
[43]
웹사이트
Thank You Father Kim Il Sung
http://www.uscirf.go[...]
2012-01-11
[44]
웹사이트
2010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https://www.state.go[...]
2012-01-11
[45]
보고서
2019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www.state.go[...]
Office of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2024-02-21
[46]
웹사이트
North Korea
http://www.worldwatc[...]
World Watchlist, 2012
2013-09-25
[47]
간행물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https://2009-2017.st[...]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U.S. Department of State
2013-09-25
[48]
웹사이트
World Watch List 2012: North Korea No. 1 Persecutor of Christians for 10th Straight Year
http://www.opendoors[...]
2012-01-11
[49]
웹사이트
North Korea: A case to answer, a call to act
http://docs-eu.lives[...]
2012-01-11
[50]
웹사이트
50,000 Christians imprisoned in North Korea
http://www.radiovati[...]
2012-01-11
[51]
웹사이트
Death of Kim Jong-Il may not change much for North Korean Christians
http://www.opendoors[...]
2012-01-11
[52]
웹사이트
North Korea crushing churches
http://www.canada.co[...]
2012-01-11
[53]
웹사이트
New Reports Tell of Executions, Torture of Christians in North Korea
http://www.christian[...]
2012-01-11
[54]
웹사이트
North Korea executes woman for giving out bibles
http://www.nypost.co[...]
2012-01-11
[55]
웹사이트
A prison without bars, Eyewitness accounts of the persecution of members of religious groups and repatriated refugees (p. 27–31)
http://northkoreanch[...]
2012-01-11
[56]
학술저널
North Korea: Harsher Policies against Border-Crossers
https://www.hrw.org/[...]
2012-01-11
[57]
간행물
N. Korea escalates 'cult of Kim' to counter West's influence
http://www.csmonitor[...]
2012-01-11
[58]
뉴스
North Korea's missionary position
http://www.atimes.co[...]
2012-08-04
[59]
웹사이트
Destroyed Church in Wonsan Vicinity
http://picasaweb.goo[...]
2012-01-10
[60]
웹사이트
First Church Building Opened in Communist North Korea
http://www.forerunne[...]
2012-01-10
[61]
웹사이트
N. Korea martyrs slated for sainthood
http://www.religiona[...]
2012-01-10
[62]
웹사이트
The Martyrs of Tokwon: Historical Preliminary Notes
http://www.missionsb[...]
2012-01-10
[63]
웹사이트
North Korean Martyrs, the first process for beatification gets underway
http://www.asianews.[...]
2012-01-10
[64]
웹사이트
White Pape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11 (p. 303 – 310)
http://www.kinu.or.k[...]
2012-05-08
[65]
웹사이트
A prison without bars, Eyewitness accounts of the persecution of members of religious groups and repatriated refugees (p. 19 – 21)
http://northkoreanch[...]
2012-05-08
[66]
웹사이트
White Pape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11 (p. 310)
http://www.kinu.or.k[...]
2012-05-08
[67]
뉴스
Eyewitness: Christianity in North Korea
http://news.bbc.co.u[...]
BBC
2012-08-04
[68]
웹사이트
2010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https://www.state.go[...]
2012-01-11
[69]
웹사이트
Giving Out Bibles Leads to Executions
http://www.washingto[...]
2014-10-07
[70]
웹사이트
Bongsu Church in Pyongyang a Fraud, Only for False Propagation of Freedom of Religion
http://www.dailynk.c[...]
2012-01-11
[71]
웹사이트
Korea: North, Amnesty
http://migration.ucd[...]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2013-05-10
[72]
문서
Freedom of Movement in North Korea
https://repo.kinu.or[...]
[73]
뉴스
Travel permits in N. Korea
https://www.koreatim[...]
[74]
웹사이트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https://2001-2009.st[...]
US Department of State
2007-11-03
[75]
문서
A Sense of Terror Stronger than a Bullet
https://www.hrw.org/[...]
[76]
문서
Studying abroad with your family held hostage
https://www.nknews.o[...]
[77]
간행물
Quandary on the Yalu: International Law, Politics, and China's North Korean Refugee Crisis
http://heinonline.or[...]
2004
[78]
뉴스
Kim Jong-un bans all weddings, funerals and freedom of movement in North Korea
https://www.independ[...]
2016-05-02
[79]
웹사이트
Human rights report details 'heartbreaking' accounts of women detained in DPRK
https://news.un.org/[...]
2020-07-28
[80]
웹사이트
North Korea
https://rsf.org/en/n[...]
Reporters Without Borders
2017-04-28
[81]
웹사이트
Kim Jong Il's leadership, key to victory
http://www.kcckp.net[...]
2006-01-27
[82]
웹사이트
North Korea – Annual report 2005
http://www.rsf.org/a[...]
Reporters Without Borders
2006-01-25
[83]
뉴스
N. Korea human rights 'abysmal'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1-04-06
[84]
뉴스
North Korea, where minders keep visitors in check
https://www.telegrap[...]
2002-04-06
[85]
웹사이트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Consular Information Sheet
https://travel.state[...]
2007-11-20
[86]
뉴스
North Korea slams U.N. human rights report because it was led by gay man
https://www.washingt[...]
2014-04-23
[87]
웹사이트
KCNA Commentary Slams Artifice by Political Swindlers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4-04-22
[88]
뉴스
Nation under a nuclear cloud: 'Racially not impure' children killed
http://www.timesonli[...]
2007-11-19
[89]
웹사이트
U.N.: N. Korea puts disabled in camps
http://v1.dpi.org/la[...]
2007-11-19
[90]
웹사이트
North Korea
http://www.handicap-[...]
Handicap International
2012-07-29
[91]
뉴스
North Korea: ICRC inaugurates a second physical rehabilitation centre
http://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14-06-20
[92]
웹사이트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Mine Ban Policy
http://www.the-monit[...]
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
2013-01-23
[93]
간행물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94]
서적
Marked for Life: Songbun, North Korea's Social Classification System
http://www.hrnk.org/[...]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14-02-03
[95]
웹사이트
Starved of Right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4-01
[96]
서적
Hunger and Human Rights: The Politics of Famine in North Korea
http://hrnk.org/uplo[...]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97]
간행물
Nutrition and Health in North Korea: What's New, What's Changed and Why It Matters
https://www.academia[...]
2016
[98]
서적
Hunger and Human Rights: The Politics of Famine in North Korea
http://hrnk.org/uplo[...]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14-02-03
[99]
서적
The Politics of Famine in North Korea
US Institute of Peace
[100]
웹사이트
People in North Korea trapped in vicious cycle of deprivation, corruption and repression – UN human rights report
https://www.ohchr.or[...]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2019-05-28
[101]
웹사이트
North Koreans trapped in 'vicious cycle of deprivation, corruption, repression' and endemic bribery: UN human rights office
https://news.un.org/[...]
UN News
2019-05-28
[102]
웹사이트
Testimony of Kim to Amnesty International on 2 and 7 December 2002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3-09-25
[103]
웹사이트
Intervention Agenda Item 12: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http://www.awomansvo[...]
[104]
뉴스
N. Koreans Talk of Baby Killings
https://www.nytimes.[...]
2012-08-03
[105]
서적
The Hidden Gulag Second Edition The Lives and Voices of "Those Who are Sent to the Mountains"
https://www.hrnk.org[...]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12-06-16
[106]
뉴스
Even by North Korean standards, this announcement of Jang Song Thaek's execution is intense
https://www.washingt[...]
2013-12-13
[107]
웹사이트
The Hidden Gulag
http://www.hrnk.org/[...]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Washington, D.C.)
2013-09-25
[108]
웹사이트
North Korea: Witness to Transformation
http://www.piie.com/[...]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13-09-25
[109]
웹사이트
Economic Crime and Punishment in North Korea
http://www.piie.com/[...]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10-03
[110]
웹사이트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21-07-25
[111]
뉴스
150,000 Witness North Korea Execution of Factory Boss Whose Crime Was Making International Phone Calls
https://www.foxnews.[...]
Fox News
2007-11-27
[112]
웹사이트
Public executions by North Korea is another injustice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8-03-07
[113]
웹사이트
North Korea resumes public executions
http://english.pravd[...]
English-language version of Pravda
2007-12-19
[114]
뉴스
Public Executions over Leaflets
http://www.rfa.org/e[...]
Radio Free Asia (RFA)
2013-07-12
[115]
웹사이트
Mapping the fate of the dead: killings and burials in North Korea
https://en.tjwg.org/[...]
2019-06-10
[116]
웹사이트
Hundreds of North Korean execution sites identified, says rights group
https://www.theguard[...]
2019-06-11
[117]
웹사이트
2009 Human Rights Report: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www.state.go[...]
2010-05-04
[118]
뉴스
Survivors Report Torture in North Korea Labor Camps
https://www.nytimes.[...]
2012-08-03
[119]
웹사이트
North Korea: Torture, death penalty and abductions
https://www.amnesty.[...]
2010-05-04
[120]
웹사이트
White pape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09 (page 74–75)
http://www.kinu.or.k[...]
2010-05-04
[121]
웹사이트
The Hidden Gulag – Part Five: Summary of torture and infanticide information (page 148 – 154)
http://www.hrnk.org/[...]
2010-09-14
[122]
간행물
Running Out of the Darkness
http://www.time.com/[...]
2006-10-31
[123]
뉴스
N. Korean Defectors Describe Brutal Abuse
https://www.cbsnews.[...]
2008-12-16
[124]
웹사이트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age 7)
http://lib.ohchr.org[...]
2010-05-11
[125]
웹사이트
Submission to the UN Universal Periodic Review o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age 8)
http://lib.ohchr.org[...]
2010-05-11
[126]
웹사이트
Report by the Special Rapporteur on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Theo van Bove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derechos.org/[...]
2010-05-11
[127]
웹사이트
Testimony of Ms. Soon Ok Lee, North Korean prison camp survivor
http://judiciary.sen[...]
2010-11-11
[128]
문서
National Geographic: Inside North Korea
History Channel
2006
[129]
웹사이트
The Hidden Gulag – Part Two: Kwan-li-so political panel-labor colonies (page 25 – 82), Part Three: Kyo-hwa-so long-term prison-labor facilities (page 82 – 110)
http://www.hrnk.org/[...]
2010-11-11
[130]
웹사이트
North Korea: Horrific Pretrial Detention System
https://www.hrw.org/[...]
2020-10-19
[131]
뉴스
The Surprising News From North Korea's Prison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7-05-01
[132]
뉴스
"Escapee Tells of Horrors in North Korean Prison Camp", Washington Post, December 11, 2008
https://www.washingt[...]
2010-08-23
[133]
뉴스
North Korean Prison Camps Massive and Growing
https://www.nytimes.[...]
2011-05-05
[134]
UN doc
Report of the commission of inquiry on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14-02-07
[135]
뉴스
Report: Torture, starvation rife in North Korea political prisons
http://edition.cnn.c[...]
CNN
2011-05-04
[136]
웹사이트
"5000 Prisoners Massacred at Onsong Concentration Camp in 1987", Chosun Ilbo, December 11, 2002
http://english.chosu[...]
2012-12-18
[137]
뉴스
North Korea's Hard Labor Camps
https://www.washingt[...]
2010-08-23
[138]
웹사이트
The Hidden Gulag – Part Two: Kwan-li-so political panel-labor colonies (page 25–82)
http://www.hrnk.org/[...]
2012-09-14
[139]
뉴스
North Korea gulag spurs a mission
https://www.latimes.[...]
2010-08-23
[140]
웹사이트
Human Rights Groups Call on UN Over N.Korea Gulag
http://english.chosu[...]
2012-04-10
[141]
웹사이트
United States Senate Hearings: Testimony of Ms. Soon Ok Lee, June 21, 2002
http://judiciary.sen[...]
Judiciary.senate.gov
2010-08-23
[142]
웹사이트
North Korea – The Judiciary
http://www.country-d[...]
Country-data.com
2010-08-23
[143]
뉴스
Brutality beyond belief: Crimes against humanity in North Korea
http://www.dailynk.c[...]
2010-08-23
[144]
서적
Prisoners in North Korea Today
Database Center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2011-07-15
[145]
웹사이트
Hidden Gulag (2003 edition) – Satellite imagery: Selected North Korean Prison Camp Locations (page 89)
http://www.hrnk.org/[...]
2012-09-14
[146]
웹사이트
The Hidden Gulag – Part Three: Kyo-hwa-so Long-Term Prison-Labor Facilities (p. 82 – 110)
http://www.hrnk.org/[...]
2012-09-14
[147]
웹사이트
"N.Korea's Worst Concentration Camp Exposed", Chosun Ilbo, March 23, 2010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10-03-23
[148]
웹사이트
US Senate Hearings: Testimony of Ms. Soon Ok Lee, June 21, 2002
http://judiciary.sen[...]
Judiciary.senate.gov
2010-08-23
[149]
뉴스
North Korea Acknowledges Labor Camps for 1st Time
http://hosted.ap.org[...]
Associated Press
2014-10-07
[150]
뉴스
Les captives étrangèresde la Corée du Nord
Le Figaro
2015-06-03
[151]
웹사이트
ABDUCTION - An Unforgivable Crime - - Japanese Government Internet TV
2015-06-03
[152]
웹사이트
North Korea trip not a winner in Japan
http://www.atimes.co[...]
2006-01-26
[153]
웹사이트
Former Abductee Hasuike Urges Abe to Visit North Korea to Discuss Abduction Issue
https://www.japantim[...]
2017-10-09
[154]
웹사이트
Daughter Calls for Abducted Father's Return From North
http://times.hankook[...]
2006-01-26
[155]
웹사이트
Useful Materials
http://www.sukuukai.[...]
2019-06-19
[156]
뉴스
Civic group to file suit with ICC against NK leader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3-11-18
[157]
뉴스
N. Korea kidnap victim's brother wants Pyongyang to come clean
https://www.bangkokp[...]
2014-03-17
[158]
웹사이트
Resolution on N. Korea's human rights violations presented to U.N. committee
http://english.yonha[...]
2016-10-28
[159]
웹사이트
Palestinian Self-Determination, Human Rights I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ddressed In Texts Approved By Third Committee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05-11-17
[160]
웹사이트
DisplayNews
http://www.ohchr.org[...]
Ohchr.org
2010-03-25
[161]
간행물
The Worst of the Worst: The World's Most Repressive Societies
http://www.freedomho[...]
Freedom House
2012
[162]
간행물
Country ratings
http://www.freedomho[...]
Freedom House
2013
[163]
웹사이트
Freedom in the World 2015 – North Korea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164]
웹사이트
Past news
http://www.kcna.co.j[...]
Kcna.co.jp
2010-08-23
[165]
간행물
The plot to free North Korea with smuggled episodes of 'Friends'
https://www.wired.co[...]
2015-03-01
[166]
웹사이트
Refugee Rescues
http://www.libertyin[...]
2015-03-09
[167]
웹사이트
Improving Cooperation and Medical Treatment for North Korean Refugees
https://www.nmc.or.k[...]
National Medical Center
2013-07-15
[168]
뉴스
Ridiculous Move of S. Korean Pro-U.S. Elements under Fire
http://www.kcna.co.j[...]
KCNA
2005-12-20
[169]
웹사이트
Don't Ignore North Korea Human Rights, UN Says
https://www.voanews.[...]
2020-09-08
[170]
뉴스
Put North Korea's Human Rights Issues Front and Center
https://www.hrw.org/[...]
2024-07-01
[171]
논문
Demographic Changes in North Korea: 1993–2008
2012-03
[172]
서적
Famine in North Kore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173]
서적
Red Holocaust
Routledge
2009
[174]
서적
The Black Book of Communism
Harvard University Press
[175]
문서
ROK civilians "liquidated" during 3 months of DPRK occupation
McFarland
2002
[176]
웹사이트
5 Eye-Opening Documentaries about North Korea
https://www.pastemag[...]
2019-05-11
[177]
뉴스
"拷問の苦しみを理解する」北朝鮮の若者が残した遺書の壮絶な中身"
https://news.yahoo.c[...]
[178]
문서
崔銀姫・申相玉『闇からの谺(下)』(1989)pp.33-39
[179]
문서
申英姫(1998)
[180]
웹사이트
北朝鮮帰国者の生命と人権を守る会
https://web.archive.[...]
2022-10-15
[181]
웹사이트
講演録「私の生まれた北朝鮮」—言論の自由もないし、全ての自由が無いんです。
https://www.huffingt[...]
HUFFPOST
2021-11-13
[182]
웹사이트
氷点下17.2度、極寒の北朝鮮で暖房なし…究極の耐乏生活(高英起) - 個人 - Yahoo!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10-15
[183]
웹사이트
氷点下17.2度、極寒の北朝鮮で暖房なし…究極の耐乏生活 (2021年11月27日) - エキサイト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10-15
[184]
웹사이트
氷点下17.2度、極寒の北朝鮮で暖房なし…究極の耐乏生活(デイリーNKジャパン) - goo 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10-15
[185]
웹사이트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北朝鮮):
https://www.amnesty.[...]
アムネスティ・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21-12-26
[186]
서적
Human Rights Discourse in North Korea: Post-Colonial, Marxist, and Confucian Perspectives
Taylor & Francis US
[187]
웹사이트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daccess-dds-n[...]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2012-08-03
[188]
웹사이트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uman Rights Resolution 2005/11
https://ap.ohchr.org[...]
2005-04-14
[189]
웹사이트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21-07-25
[190]
뉴스
"150,000 Witness North Korea Execution of Factory Boss Whose Crime Was Making International Phone Calls"
http://www.foxnews.c[...]
Fox News
2007-11-27
[191]
뉴스
Public executions by North Korea is another injustice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8-03-07
[192]
뉴스
第69回国連総会第3委員会における北朝鮮人権状況決議の採択(外務大臣談話)
https://www.mofa.go.[...]
2017-02-12
[193]
뉴스
"Public Executions over Leaflets"
http://www.rfa.org/e[...]
Radio Free Asia (RFA)
2011-01-24
[194]
뉴스
妻子の目前でズタズタに…北朝鮮「ある市役所職員」の罪と罰
https://dailynk.jp/a[...]
2021-05-27
[195]
뉴스
北朝鮮の女性経営者が「ハンマーで処刑」された理由
https://dailynk.jp/a[...]
2021-05-27
[196]
웹사이트
Hundreds of North Korean execution sites identified, says rights group
https://www.theguard[...]
2019-06-11
[197]
뉴스
Les captives étrangèresde la Corée du Nord
Le Figaro
2015-06-03
[198]
뉴스
ABDUCTION - An Unforgivable Crime - - Japanese Government Internet TV
Japanese Government Internet TV
2015-06-03
[199]
웹사이트
North Korea trip not a winner in Japan
http://www.atimes.co[...]
2006-01-26
[200]
웹사이트
Former Abductee Hasuike Urges Abe to Visit North Korea to Discuss Abduction Issue
https://www.japantim[...]
2018-01-05
[201]
웹사이트
北朝鮮の政治犯収容所で日本人拉致被害者目撃か│北朝鮮│wowKora(ワウコリア)
https://web.archive.[...]
2022-10-15
[202]
웹사이트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for 2011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1-08-03
[203]
웹사이트
Daughter Calls for Abducted Father's Return From North
http://times.hankook[...]
2006-01-26
[204]
웹사이트
Useful Materials
http://www.sukuukai.[...]
2019-06-19
[205]
뉴스
"Civic group to file suit with ICC against NK leader"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3-11-18
[206]
웹사이트
中国政府、北朝鮮による「人道に対する罪」に共謀
http://www.hrw.org/j[...]
ヒューマン・ライツ・ウォッチ
2014-08-11
[207]
뉴스
北朝鮮の人権侵害の非難決議案を17年連続で採択…国連総会委、拉致問題にも「重大な懸念」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1-11-25
[208]
뉴스
北朝鮮人権決議案を採択 拉致問題非難―国連総会委
https://web.archive.[...]
2021-11-25
[209]
간행물
Demographic Changes in North Korea: 1993–2008
2012-03
[210]
서적
Famine in North Kore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211]
서적
The Black Book of Communism
Harvard University Press
[212]
웹사이트
人口も食糧生産も水増し-北朝鮮の食糧統計 救う会事務局長 平田隆太郎
http://www.sukuukai.[...]
2021-02-16
[213]
간행물
ROK civilians “liquidated” during 3 months of DPRK occupation
Micheal Clodfelter, Warfare and Armed Conflicts:A Statistical Reference to Casualty and Other Figures, 1500-2000, 2nd ed. (Jefferson, NC: McFarland, 2002)
[214]
웹사이트
女性部隊27名が全員死亡…北朝鮮空軍「史上最悪」の悲劇(高英起) - 個人 - Yahoo!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01-21
[215]
웹사이트
<北朝鮮>[動画] 日韓で放映されたホームレス女性が死亡 {{!}} アジアプレス・ネットワーク
https://web.archive.[...]
2021-01-20
[216]
웹사이트
<北朝鮮> 飢える23歳の女性ホームレス... - YouTube
https://web.archive.[...]
2013-07-20
[217]
웹사이트
「禁断の書」を持っていた北朝鮮女性、密告され処刑 (2020年7月25日) - エキサイト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0-09-17
[218]
Youtube
「韓国スパイ」に無期懲役 北朝鮮、拘束の男性2人
https://www.youtube.[...]
2021-12-25
[219]
Youtube
"「韓国スパイ」2人を拘束 北朝鮮で会見、揺さぶりか 2 S. Korean men captured as ""spies"" in North"
https://www.youtube.[...]
2021-12-25
[220]
웹사이트
毎日8時間穴掘り、北朝鮮で服役中の韓国系カナダ人インタビュー 写真2枚 国際ニュース:AFPBB News
https://web.archive.[...]
2021-12-25
[221]
웹사이트
北朝鮮の女子大生が拷問に耐えきれず選んだ道とは… {{!}} DailyNK Japan(デイリーNKジャパン)
https://web.archive.[...]
2016-08-01
[222]
Youtube
北朝鮮、脱北者を拘束 「子供を誘拐」と記者会見
https://www.youtube.[...]
2021-12-25
[223]
웹사이트
「生きて出られない刑務所」に入りたがる北朝鮮女性の残酷な身の上(高英起) - 個人 - Yahoo!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0-10-27
[224]
웹사이트
「死刑囚は体が半分なくなった」北朝鮮、公開処刑の生々しい実態 - LINE NEWS
https://web.archive.[...]
2021-12-25
[225]
웹사이트
拷問で告白させられた北朝鮮「極貧家族」の残酷な運命(高英起) - 個人 - Yahoo!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0-02-28
[226]
웹사이트
木造船で脱北を試みた北朝鮮男性に無期懲役判決(デイリーNKジャパン) - goo 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1-12-25
[227]
웹사이트
北朝鮮軍で相次ぎ発生する「いじめ報復殺人」(デイリーNKジャパン) - goo 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1-12-25
[228]
웹사이트
北朝鮮、14歳少年を「たった5分」で容赦なき見せしめ(高英起) - 個人 - Yahoo!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1-12-07
[229]
웹사이트
韓国映画『アジョッシ』5分間見たのを理由に…中学生に懲役14年言い渡した北朝鮮 {{!}} Joongang Ilbo {{!}} 中央日報
https://web.archive.[...]
2021-12-25
[230]
웹사이트
「一家4人を麻袋に入れ…」金正恩も激怒した重大事件の顛末(高英起) - 個人 - Yahoo!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1-12-02
[231]
웹사이트
ドラマを地で行く公開銃殺…北朝鮮「イカゲーム」で高校生に重罰(高英起) - 個人 - Yahoo!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1-11-24
[232]
웹사이트
韓国映画『アジョッシ』5分間見たのを理由に…中学生に懲役14年言い渡した北朝鮮 {{!}} Joongang Ilbo {{!}} 中央日報
https://web.archive.[...]
2021-12-25
[233]
웹사이트
中国を騒がせた脱北脱獄犯「朱賢健」の知られざる身の上 (2021年12月3日) - エキサイト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1-12-02
[234]
웹사이트
「安倍元首相が撃たれた」秘密を知った北朝鮮女性を逮捕(高英起) - 個人 - Yahoo!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08-18
[235]
웹사이트
北朝鮮の2家族8人を待ち構える「陸の孤島」の残酷生活(高英起) - エキスパート
https://news.yahoo.c[...]
2023-10-13
[236]
웹사이트
5 Eye-Opening Documentaries about North Korea
https://www.pastemag[...]
2019-10-10
[237]
웹사이트
北朝鮮から、自由を求めて - One Young World(YouTubeチャンネル:Raising awaresness for North Korean)
https://www.youtube.[...]
2021-11-25
[238]
문서
http://www.voanews.c[...]
[239]
웹인용
"북수용소 최소 노동연령 만 6세...반항땐 즉시사살"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40]
웹인용
The hidden gulag – exposing North Korea’s prison camps (증언과 위성 사진)
http://www.hrnk.org/[...]
2009-12-15
[241]
뉴스
On the Map: Five Major North Korean Prison Camps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범수용소 지도)
http://www.washingto[...]
Washington Post
2010-12-15
[242]
서적
평화를 사랑하는 세계인으로
김영사
[243]
웹인용
유엔, "북한 인권 상황 악화돼"
http://www.ytn.co.kr[...]
YTN
[244]
웹인용
선군정치가 빠질 함정
http://sarangbang.or[...]
인권운동 사랑방, 천주교인권위원회
2011-02-05
[245]
뉴스
“북한, 지구상의 지옥… 인권문제 침묵해선 안돼"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9-04-29
[246]
간행물
p. 68
미래한국
2011-07-18
[247]
뉴스
캐나다 의회, ‘통영의 딸’ 생사확인 및 구출 결의안
http://www.christian[...]
크리스천투데이
2012-04-27
[248]
뉴스
보츠와나, "북한과 외교관계 단절" 선언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4-02-20
[249]
뉴스
UN "북한 김정은, 인권 침해 형사책임"
https://news.naver.c[...]
MBN
2014-02-18
[250]
웹인용
“아들 죽여 돼지고기로 팔기도”탈북 여성 충격 증언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51]
웹인용
소문으로 떠돌던 북한 참상, 사실로 드러나
http://www.futurekor[...]
미래한국
2011-07-04
[252]
뉴스
미, 북한을 인신매매 최악국가로 재지정
http://www.ytn.co.kr[...]
[253]
뉴스
현금 주고 北 정치범 빼온다…인권위, 독일모델 도입 검토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0-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