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네시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리네시아인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사용하며, 타이완, 해양 동남아시아, 미크로네시아, 마다가스카르 원주민과 유전적, 언어적, 고고학적 기원을 공유하는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한 갈래이다. 라피타 문화를 거쳐 태평양 섬들로 확산되었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약 200만 명의 폴리네시아인과 혼혈 인구가 존재한다. 폴리네시아인들은 사회 구조, 생계 활동, 문화적 특징, 언어, 예술 등에서 다양한 지역적 특성을 보인다. 특히 스포츠 분야에서 뛰어난 신체 능력을 발휘하며, 럭비, 미식축구, 프로레슬링, 스모 등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리네시아인 | |
|---|---|
| 폴리네시아인 | |
![]() | |
| 인구 | |
| 총 인구 | 약 3,200,000명 |
| 거주 지역 | 폴리네시아 |
| 주요 거주 국가 | 뉴질랜드 (1,157,478명) 미국 (988,519명) 오스트레일리아 (409,805명)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약 215,000명) 사모아 (192,342명) 통가 (103,036명) 쿡 제도 (17,683명) 캐나다 (10,760명) 투발루 (10,645명) 칠레 (9,399명) |
| 언어 | |
| 주요 언어 | 폴리네시아어군 (하와이어, 마오리어, 라파누이어, 사모아어, 타히티어, 통가어, 투발루어 등)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
| 종교 | |
| 주요 종교 | 기독교 (96.1%) 폴리네시아 신화 |
| 문화 및 기타 | |
| 관련 민족 |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인 유라시아인 |
| 기원 | 타이완 섬 |
| 추가 정보 | |
| 마오리족 인구 추정 (2022년 6월 30일) | 통계청 웹사이트 참조 |
| 유럽인 접촉 이전 동폴리네시아 초기 인간 정착 시기 | 연구 논문 참고 |
| 고구마의 태평양 횡단 경로 | NPR 기사 참고 |
2. 유래

태평양 폴리네시아 제도에 사람이 처음 살기 시작한 것은 약 3천년 전으로 여겨진다. 고고학적 증거와 언어 및 유전학 연구를 통해, 이들의 유래에 대한 가설은 약 4천년 전 타이완에서 시작돼 남쪽과 동쪽으로 간 이주민들 가운데 후기 행렬에 속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영국, 호주, 중화민국 과학자들은 현재 폴리네시아 주민들의 조상이 6천~8천년 전 지금의 뉴기니와 가까운 여러 섬에 이미 자리잡고 살던 아시아 본토 이주민들[70]로 밝혀졌다고 발표했다.
200여 년 전 유럽인들이 태평양을 탐험하면서 폴리네시아인들을 처음 발견했을 때, 이들은 여전히 석기 시대와 같은 삶을 살고 있었다.
넓은 태평양 바다를 항해할 수 있었던 방법에 대한 의문이 많았지만, 문자 언어가 없어 구전되는 이야기는 생략되거나 허구적인 부분이 많아 진위 여부 판가름에 어려움이 있었다.[68]
폴리네시아인들은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한 부분집합으로, 타이완, 해양 동남아시아, 미크로네시아, 마다가스카르 원주민들과 같은 기원을 공유한다.[13]
폴리네시아인의 직계 조상은 신석기 시대의 라피타 문화인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기원전 900년경 피지, 사모아, 통가 등 서쪽 폴리네시아 섬에 도달하며 확장이 일시 중단되었다가, 서기 700년경 이주를 재개하여 쿠크 제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마르키즈 제도로 확산되었다. 이후 서기 900년경 하와이, 1000년경 이스터 섬, 1200년경 뉴질랜드로 확장되었다.[21][22]
2020년 연구에 따르면 폴리네시아인과 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유럽인들이 두 집단과 상호 작용하기 수 세기 전인 1200년경에 접촉했다고 한다.[39][40]
2. 1. 타이완 기원설과 반론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폴리네시아인들은 타이완, 해양 동남아시아, 미크로네시아, 마다가스카르의 원주민들과 같은 기원을 공유한다.[13] 이는 유전적[14], 언어적[15], 그리고 고고학적 증거[16]에 의해 뒷받침된다.오스트로네시아인의 기원과 확산 방식에 대한 여러 가설이 있지만,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현대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기원전 3000년에서 1000년 사이에 타이완에서 이주한 것이라는 "타이완 기원설"이다. 이들은 카타마란, 아웃리거 카누, 게 집게 돛과 같은 발전된 해양 기술을 이용하여 인도양과 태평양의 섬들을 빠르게 식민지화했다. 이들은 바다를 항해하는 배를 타고 광대한 수역을 건너간 최초의 인류였다.[18]
그러나, "타이완 기원설"은 영국, 호주, 중화민국 과학자들이 미국 인류 유전학저널에 발표한 연구 보고서를 통해 반박되었다.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현재 폴리네시아 주민들의 조상은 6천~8천년 전 지금의 뉴기니와 가까운 여러 섬에 이미 자리잡고 살던 아시아 본토 이주민들[70]로 밝혀졌다.
리즈 대학교에서 발표된 분자 생물학 및 진화 저널에 게재된 연구 또한 미토콘드리아 DNA 계보 검사를 통해 폴리네시아인들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동남아시아 섬 지역(ISEA)에서 더 오랫동안 진화해 왔음을 나타낸다. 폴리네시아인의 조상들은 적어도 6,000년에서 8,000년 전에 파푸아뉴기니의 비스마르크 제도에 도착했다.[32] 소아레스(Soares) 등(2008)은 미토콘드리아 DNA를 기반으로 홀로세 이전의 순다랜드(Sundaland) 기원을 동남아시아 섬 지역(ISEA)에서 주장했다.[31]
카이저(Kayser) 등(2008)의 분석에 따르면, 폴리네시아인의 상염색체 유전자 풀의 21%만이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 기원이며, 나머지 79%는 오스트로네시아 기원이라고 한다.[24] 프라이들랜더(Friedlaender) 등(2008)의 또 다른 연구는 일부 폴리네시아인이 미크로네시아인, 타이완 원주민, 동남아시아 섬 주민들과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폴리네시아인들이 멜라네시아를 상당히 빠르게 이동하여 오스트로네시아인과 파푸아인 사이의 혼혈이 제한적이었음을 결론지었다.[25]
리프슨(Lipson) 등(2014)이 전장 유전체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행한 연구는 카이저(Kayser) 등의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 현대 폴리네시아인들은 섬 멜라네시아의 오스트로네시아인보다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인과의 혼혈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집단 모두 타이완 외부의 다른 오스트로네시아 집단과 함께 혼혈을 보여주어, 유입된 신석기 시대 오스트로네시아 정착민과 기존의 구석기 시대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 동남아시아 섬 지역 및 멜라네시아 인구 사이의 다양한 정도의 혼인을 나타낸다.[33][34][35]
2016년과 2017년의 연구는 최초의 라피타 정착민들이 대부분 뉴기니를 우회하여 타이완이나 필리핀 북부에서 직접 왔다는 생각을 뒷받침한다. 현대 폴리네시아인(그리고 섬 멜라네시아인)의 유전학에서 분명한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 파푸아인과의 혼인과 혼혈은 통가와 바누아투 정착 이후에 일어났다.[36][37][38]
2. 2. 라피타 문화와의 연관성
폴리네시아인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민족으로, 타이완 원주민, 해양 동남아시아, 미크로네시아, 마다가스카르 원주민들과 기원을 공유한다.[13] 이는 유전적[14], 언어적[15], 고고학적 증거[16]로 뒷받침된다.오스트로네시아인의 기원과 확산에 대한 여러 가설 중 가장 유력한 것은 이들이 기원전 3000년에서 1000년 사이 타이완에서 이주해 왔다는 것이다. 이들은 카타마란, 아웃리거 카누, 게 집게 돛 등 발전된 해양 기술을 이용, 인도양과 태평양 섬들을 빠르게 식민지화했다.[18]
폴리네시아인의 직계 조상은 신석기 시대 라피타 문화인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기원전 1500년경 서쪽 섬 동남아시아와 북쪽 미크로네시아로의 초기 오스트로네시아 이주 과정에서 섬 멜라네시아와 미크로네시아에 나타났다. 라피타 문화는 치아 모양 무늬가 새겨진 토기로 구별된다. 기원전 900년경 피지, 사모아, 통가 등 서쪽 폴리네시아 섬에 도달하며 확장이 일시 중단되었고, 약 1,500년 동안 이 섬들의 라피타 문화는 토기 제작 기술을 잃었다. 이후 서기 700년경 이주를 재개, 쿠크 제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마르키즈 제도로 확산되었고, 서기 900년경 하와이, 1000년경 이스터 섬, 1200년경 뉴질랜드로 확장되었다.[21][22]
토르 헤이에르달의 남아메리카 기원설과 아시아 기원설이 있었지만, 1975년 하와이에서 건조된 이중 선체 항해 카누 호클레아의 실험 항해와 언어학적·인류학적 검증을 통해 현재는 동남아시아 기원설이 정설로 굳어졌다.
폴리네시아인의 조상은 오스트로네시아어를 사용하는 몽골로이드 계열 민족으로, 화남이나 타이완에 살다가 기원전 2500년경 남하, 필리핀을 거쳐 기원전 2000년경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에 도착했다. 뉴기니섬 연안, 멜라네시아로 동진하며 파푸아 원주민, 멜라네시아 원주민과 혼혈, 폴리네시아인의 시조가 되었다. 이들은 5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나와 인도를 거쳐 온 오스트랄로이드로, 애보리진과 같은 조상이다. 즉 폴리네시아인은 몽골로이드에 오스트랄로이드가 섞인 인종이다.
원 폴리네시아인(라피타인)은 동쪽으로 이동, 기원전 1100년경 피지 제도에 도착했다. 현재 폴리네시아로 불리는 지역으로의 이주는 기원전 950년경부터이며, 사모아와 통가에서 라피타인 토기가 출토된다. 사모아 도착 시점에서 라피타인의 동진은 일시 중단되었지만, 이 시기 현재 폴리네시아 문화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mtDNA 연구 결과, 폴리네시아인은 동남아시아에 먼저 도착한 원주민 오스트랄로이드의 혈통을 잇고 있다.[50][51][52] Y염색체 연구에서는 파푸아멜라네시아인과 동아시아인의 혼혈임이 밝혀졌다(파푸아·멜라네시아인 유래 C, MS, K*]가 6~7%, 동아시아 유래
3. 언어
폴리네시아인이 사용하는 마르키즈어, 하와이어, 타히티어, 라파누이어, 마오리어, 사모아어, 통가어 등은 서로 매우 유사하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내의 가지 끝에 해당하는 하나의 분파를 구성한다. 지리적으로 다소 떨어진 외곽 폴리네시아의 여러 언어(누쿠오로어, Rennellese language|렌넬어영어 등)도 여기에 포함된다.[45]
언어의 전파 변천과 상호 관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타이완이나 말레이시아를 기점으로 해상 교역 등의 교류를 거치는 과정에서 동남쪽으로 확산되어 갔다고 생각된다.[48] 음운 체계의 단순함이 특징이며, 일반적으로 동사, 명사, 형용사에 형태상의 차이가 없고, 음절은 모두 개음절이다.[45]
4. 문화적 특징
폴리네시아 사회는 피라미드 구조를 기반으로 통치자, 지도자, 공유지로 구성되며, '마나'라고 불리는 통치자는 종교적 힘을 가진 신의 연장선상으로 여겨졌다.[69] 이들은 감자와 빵나무 재배와 같은 농업과 어업을 주 생계 활동으로 삼았다.[69]
폴리네시아 섬에 정착한 원주민들은 섬의 크기, 자원, 기후에 따라 다양한 문화를 이루었다. 하와이와 통가는 생사여탈권을 가진 절대적인 추장이 다스리는 원시 국가 체제로 수만 명의 인구를 부양하고 추장의 무덤이나 거대한 신전 같은 기념물을 세웠다. 반면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은 자원은 풍부했지만 부족들이 나뉘어 소규모 부족들이 할거하고 있었으며, 채텀 제도의 모리오리족은 아남극권의 한랭한 기후로 인해 농사를 짓지 못하고 수렵채집으로 삶을 이어가는 기술적 퇴보 현상을 겪어야 했다.[69]
폴리네시아인들은 태평양 섬에 정착한 후 본국과의 교류가 끊기는 특징을 보인다. 마오리족은 자신들이 하와이키에서 왔다고 믿지만 그 위치를 모르며, 마오리족과 타히티의 마오히족은 언어학적 연관성은 있지만 문화 교류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69]
4. 1. 사회 구조
폴리네시아 사회는 대부분 피라미드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통치자, 지도자, 공유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마나라고 부르는 통치자가 종교적 힘을 갖고 있으며 신의 연장선상으로 생각한다.[69] 폴리네시아인들은 주요 생계 활동으로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69]폴리네시아 섬에 정착한 원주민들은 섬의 크기와 자원, 기후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문화를 이루어냈다. 하와이와 통가에서는 절대적인 추장이 다스리는 원시적인 국가 체제가 이루어져 수만 명의 인구를 부양했으며, 추장의 무덤이나 거대한 신전 같은 기념물을 세우기도 하였다. 반면에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은 부족들이 나뉘어 소규모 부족들이 할거하고 있었으며, 채텀 제도의 모리오리족은 농사를 짓지 못하고 수렵채집으로 삶을 이어가는 기술적 퇴보현상을 겪어야 했다.[69]
폴리네시아인들은 태평양 도서에 자리 잡았지만, 정착 후에는 본국과 연락이 끊어져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마오리족은 자신들이 하와이키에서 왔다고 여기지만 정작 하와이키가 어디인지 아는 사람은 없고, 마오리족과 타히티의 마오히족은 서로 연관이 있지만 문화교류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69]
폴리네시아의 전통 사회는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원시적인 수렵채집 사회, 화전 농업을 하는 사회, 집약적이고 대규모의 농업을 행하며 관개 시설을 정비하고 높은 인구 밀도를 가진 사회도 있었다.
주요 농작물로는 타로, 야얌, 바나나, 코코넛, 빵나무, 고구마 등이 있지만, 농업 기술의 지역 차이가 있으며, 기후적으로도 아한대에서 열대에 걸쳐 있기 때문에 각 지역에 적합한 작물이 재배 또는 채취되었다. 어업 또한 낚싯바늘조차 없는 사회도 있었고, 대규모 인공 연못을 만들어 양식업을 하는 사회도 있었다. 가축은 개, 돼지, 닭 3종류에 한정되었고, 지역에 따라 그 3종류 중 1종 또는 2종만 전파된 경우도 있었다.
사회적으로 많은 섬에서는 자급자족이었지만, 고도의 분업 사회를 형성하여 농업과 더불어 물품 제조에 종사하고, 그 기술을 세습으로 이어받는 장인 계급을 형성한 사회도 있었다.
모리오리족처럼 평등하고 상하 관계가 없는 사회도 있었고, 하와이처럼 엄격한 계급이 존재하는 사회도 있었다. 계급 사회가 엄격한 경우에는 다른 계급 간의 혼인이 엄격하게 규제된 사례도 있었다. 정치 권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일 섬에 단일 정치 세력만 존재하는 경우도 있었고, 여러 정치 세력이 분립하는 경우도 있었다. 통가처럼 침략 전쟁용 군대를 가지고 다른 섬에 주둔하여 여러 섬에 걸쳐 정치 지배를 행하는 사회도 있었다.
사회의 형성에 비례하여 각 지역의 종교에도 차이가 있었다. 고도의 정치·계급 사회를 형성한 경우에는 종교도 엄격해지고, 엄격한 계율(하와이의 타부 등)을 만들었다.
4. 2. 생계 활동
폴리네시아인들은 주요 생계 활동으로 농업과 어업에 종사했다. 감자와 빵나무 재배 등이 이에 해당한다.[69]하와이와 통가에서는 생사여탈권을 가진 절대적인 추장이 다스리는 원시적인 국가 체제가 발달하여 수만 명의 인구를 부양했으며, 추장의 무덤이나 거대한 신전 같은 기념물을 세우기도 하였다. 반면에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은 자원은 풍부했지만 부족들이 나뉘어 소규모 부족들이 할거하고 있었으며, 채텀 제도의 모리오리족은 아남극권의 한랭한 기후로 인해 농사를 짓지 못하고 수렵채집으로 삶을 이어가는 기술적 퇴보 현상을 겪어야 했다.[69]
주요 농작물로는 타로, 야얌, 바나나, 코코넛, 빵나무, 고구마 등이 있지만, 농업 기술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기후도 아한대에서 열대에 걸쳐 있어 각 지역에 적합한 작물이 재배 또는 채취되었다. 어업 또한 낚싯바늘조차 없는 사회가 있는가 하면, 대규모 인공 연못을 만들어 양식업을 하는 사회도 있었다. 가축은 개, 돼지, 닭 3종류에 한정되었고, 지역에 따라서는 이 중 1종 또는 2종만 기르기도 했다.[69]
4. 3. 지역별 다양성
폴리네시아인 사회는 대부분 피라미드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통치자, 지도자, 공유지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마나라고 부르는 통치자가 종교적 힘을 갖고 있으며 신의 연장선상으로 생각했다. 폴리네시아인들은 주요 생계 활동으로 감자와 빵나무 재배와 같은 농업과 어업에 종사했다.[69]폴리네시아 섬에 정착한 원주민들은 섬의 크기, 자원, 기후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문화를 이루어냈다. 하와이와 통가에서는 생사여탈권을 가진 절대적인 추장이 다스리는 원시적인 국가 체제가 이루어져 수만 명의 인구를 부양했으며, 추장의 무덤이나 거대한 신전 같은 기념물을 세우기도 하였다. 반면에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은 자원은 풍부했지만 부족들이 나뉘어 소규모 부족들이 할거하고 있었으며, 채텀 제도의 모리오리족은 아남극권의 한랭한 기후로 인해 농사를 짓지 못하고 수렵채집으로 삶을 이어가는 기술적 퇴보 현상을 겪어야 했다.[69]
폴리네시아인들은 수천 년간에 걸쳐 천천히 태평양 도서에 자리 잡았지만, 일단 정착하고 나서는 본국과 연락이 끊어져 더 이상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마오리족은 자신들이 하와이키에서 왔다고 여기지만 정작 하와이키가 어디인지 아는 사람은 한 명도 없고, 언어학적으로 볼 때 마오리족과 타히티의 마오히족은 서로 연관이 있지만 그들 간의 문화 교류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69]
폴리네시아의 전통 사회는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원시적인 수렵채집 사회, 화전 농업을 하는 사회, 집약적이고 대규모의 농업을 행하며 관개 시설을 정비하고 높은 인구 밀도를 가진 사회도 있었다.
주요 농작물로는 타로, 야얌, 바나나, 코코넛, 빵나무, 고구마 등이 있지만, 농업 기술의 지역 차이가 있으며, 기후적으로도 아한대에서 열대에 걸쳐 있기 때문에 각 지역에 적합한 작물이 재배 또는 채취되었다. 어업 또한 낚싯바늘조차 없는 사회도 있었고, 대규모 인공 연못을 만들어 양식업을 하는 사회도 있었다. 가축은 개, 돼지, 닭 3종류에 한정되었고, 지역에 따라 그 3종류 중 1종 또는 2종만 전파된 경우도 있었다.
사회적으로 많은 섬에서는 자급자족이었지만, 고도의 분업 사회를 형성하여 농업과 더불어 물품 제조에 종사하고, 그 기술을 세습으로 이어받는 장인 계급을 형성한 사회도 있었다.
모리오리족처럼 극히 평등하고 상하 관계가 없는 사회도 있었고, 하와이처럼 엄격한 계급이 존재하는 사회도 있었다. 계급 사회가 엄격한 경우에는 다른 계급 간의 혼인이 (때로는 근친혼을 하더라도) 엄격하게 규제된 사례도 있었다. 정치 권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일 섬에 단일 정치 세력만 존재하는 경우도 있었고, 여러 정치 세력이 분립하는 경우도 있었다. 통가처럼 침략 전쟁용 군대를 가지고 다른 섬에 주둔하여 여러 섬에 걸쳐 정치 지배를 행하는 사회도 있었다.
사회의 형성에 비례하여 각 지역의 종교에도 차이가 있었다. 고도의 정치·계급 사회를 형성한 경우에는 종교도 엄격해지고, 엄격한 계율(하와이의 타부 등)을 만들었다.
4. 4. 고립성
폴리네시아인들은 수천 년에 걸쳐 천천히 태평양 도서에 자리 잡았지만, 일단 정착하고 나서는 그들의 본국과 연락이 끊어져 더 이상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69] 예를 들어 마오리족은 자신들이 하와이키에서 왔다고 여기지만 정작 하와이키가 어디인지 아는 사람은 한 명도 없고, 언어학적으로 볼 때 마오리족과 타히티의 마오히족은 서로 연관이 있지만 그들 간의 문화 교류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69]4. 5. 항해 기술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한 갈래인 폴리네시아인들은 카타마란, 아웃리거 카누, 게 집게 돛과 같은 발전된 항해 기술을 이용하여 광대한 태평양을 항해했다.[18] 이들은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간 최초의 인류였다.[18]고대 폴리네시아인들은 육분의, 크로노미터, 나침반과 같은 항해 도구 없이 수천 킬로미터에 달하는 대양을 항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항해 기술은 현재 외해 폴리네시아의 타우마코 섬에만 일부 남아있다. 1980년대 하와이 원주민과 백인의 혼혈인 나이노아 톰프슨은 미크로네시아식 항해 기술에 근대 서양 천문학 지식을 더해 새로운 항해 기술(웨이파인딩)을 창시하여 쿡 제도, 아오테아로아 등 폴리네시아 각지에 퍼뜨리고 있다. 이 새로운 항해 기술은 폴리네시아 원주민의 민족 정체성의 기반 중 하나가 되고 있다.
고대 폴리네시아인이 사용한 항해용 카누는, 특히 동폴리네시아 해역에서는 두 개의 선체를 나란히 놓고 그 사이에 갑판을 깐 이중 잔선이었던 것으로 추측되지만, 외해 폴리네시아에서는 외팔 아웃리거 카누 형식의 항해 카누도 사용되었다.
폴리네시아에서 발명되었다고 추측되는 항해 기술에는 이중 카누 외에 클럽클로우 세일이 있다. 이것은 라틴 세일과 같이 곧은 붐대가 아닌, 곡선형 붐대를 돛대 아래에서 위쪽으로 설치하고, 거기에 게의 발톱과 같은 모양의 돛을 펼치는 방식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클럽클로우 세일은 라틴 세일과 같거나 그 이상의 풍상 항해 능력을 가지고 있어, 고대 폴리네시아인의 대양 항해, 특히 서폴리네시아에서 테 헤누아 에나나(마르키즈 제도)로 무역풍을 거슬러 항해할 때 강력한 수단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 6. 예술
폴리네시아의 미술은 각 섬마다 독자적인 색채가 잘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목각이 발달하여 신상뿐만 아니라 가옥에서 식기까지 기하학 무늬를 넣은 조각이 새겨졌다. 마오리족의 투각이나 부조 기법이 사용된 뉴질랜드의 신상이나, 하와이 제도의 신상, 마르키즈 제도의 남성상(티키) 등이 알려져 있다.[45]
또한, 폴리네시아인은 토기를 제작하지 않았다고 여겨지지만, 통가 제도, 사모아 제도 등에서는 오래된 토기 파편이 여러 곳에서 출토되고 있다.
4. 7. 음악
폴리네시아 음악은 하와이안 음악이 압도적인 인지도를 자랑하지만, 다른 문화권에서도 본질적으로 공통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악기에는 야자껍질, 대나무, 나무, 돌 등이 사용되며, 춤추는 사람이 연주와 노래를 동시에 담당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큰 비브라토와 중창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적이고 부드러운 음악이 많다. 최근에는 기타와 우쿨렐레의 도입과 함께 새로운 표현 형식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45]4. 8. 수공예품
폴리네시아인들은 자급자족을 위한 생활용품을 만들었으며, 식물로 만든 타파(천), 라우할라(바구니에서 지붕, 돛까지) 등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현재는 이러한 물품들이 공예품으로 재평가되어 수공예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4. 9. 복식
라바라바(Lava-lava)라고 불리는 스커트 모양의 전통 의상이 있는데, 이 옷은 평상복으로 일상에서 착용할 뿐만 아니라 태평양 국가의 공공기관 제복으로도 도입되어 있다.[69]5. 인종적 특징
폴리네시아인은 꽤 키가 큰 편이고, 밝은 피부색과 직모 또는 곱슬머리가 특징이다. 물리적인 거리와 각 섬을 분할하고 있는 개빙 구역에도 불구하고 폴리네시아인들은 비슷한 외모와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데, 이는 폴리네시아인들이 섬에 정착한 후 상대적으로 최근에 각 섬으로 흩어졌기 때문으로 여겨진다.[68] 각 섬 사이에는 광대한 해역이 있지만, 모든 폴리네시아인의 신체적 특징은 거의 동일하다.
카이저(Kayser) 등(2008)의 분석에 따르면, 폴리네시아인의 상염색체 유전자 풀의 21%만이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 기원이며, 나머지 79%는 오스트로네시아 기원이라고 한다.[24] 리프슨(Lipson) 등(2014)의 전장 유전체 데이터 연구는 카이저 등의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 현대 폴리네시아인들은 섬 멜라네시아의 오스트로네시아인보다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인과의 혼혈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33] 프라이들랜더(Friedlaender) 등(2008)의 연구는 일부 폴리네시아인이 미크로네시아인, 타이완 원주민, 동남아시아 섬 주민들과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는 것을 확인했다.[25] 폴리네시아인들은 주로 해피로그룹 B(mtDNA), 특히 mtDNA B4a1a1(폴리네시아 모티프)에 속하며, mtDNA B4의 높은 빈도는 유전적 부동의 결과이고, 파푸아 남성과 혼혈된 소수의 오스트로네시아 여성의 후손을 나타낸다.[26] 폴리네시아 인구는 소수의 조상으로 인해 창시자 효과와 유전적 부동을 경험했으며,[27][28] 그 결과, 모집단과 유전적으로나 표현형적으로 구별된다.[29][30] 2020년 연구에 따르면 폴리네시아인과 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유럽인들이 두 집단과 상호 작용하기 수 세기 전인 1200년경에 접촉했다고 한다.[39][40]
폴리네시아인은 몽골로이드로 분류되어 왔으나,[58] 몽골로이드 중에서는 예외적으로 큰 체격과 깊이 파인 얼굴 때문에 코카소이드가 아닐까 생각하는 백인도 많았다. 현재는 유전자 연구를 통해 오스트랄로이드와의 혼혈임이 밝혀졌다.[59]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도 폴리네시아인의 한 계통이며, 럭비의 아오테아로아(뉴질랜드) 대표팀 "올블랙스"가 경기 전에 선보이는 하카는 마오리어이다.
걸리버 여행기의 거인국 사람들의 모델이라고 일컬어진다(특히 통가 사람들에 대해 그렇게 말해진다).
폴리네시아인은 체중 대비 근육량과 뼈량의 비율이 다른 모든 인종을 크게 웃돈다.[61] 이러한 점에서 '지구 최강의 민족'(가장 강한 신체를 가진 사람들)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비만 인구가 많다.[62] 세계보건기구의 조사는 주민의 비만율에서 세계 상위 10개국 중 4개국을 폴리네시아계 국가가 차지한다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쿡 제도가 세계 3위, 통가가 세계 4위, 니우에가 세계 5위, 사모아가 세계 6위이며, 8위 쿠웨이트와 9위 미국을 제외하면 모두 폴리네시아와 그 주변의 섬나라가 차지했다.[63]
많은 폴리네시아계 이민 인구를 가진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는 신체를 혹사하는 스포츠에서 폴리네시아인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세계 최고의 럭비 팀으로 유명한 뉴질랜드 럭비 대표팀에서는 소위 상위권의 대부분이 사모아계/통가계 및 마오리족계 인재로 구성되어 있다.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소수의 폴리네시아계 이민자를 품고 있는 미국에서도 그 매우 적은 인구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적으로 많은 미식축구 최고급 선수를 배출하고 있다. GQ지가 1999년에 실시한 조사는 아메리칸사모아 소년이 NFL에 프로로 입장할 확률이 미국 본토 소년의 그것의 40배에 달한다는 추정치를 제시하고 있다.[65]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일반적으로 폴리네시아계 아동과 백인계 아동의 체격(키 포함)이 어른과 아이만큼 다르기 때문에 소년 럭비 리그에서 폴리네시아계 아동을 전문으로 하는 헤비급 부문 설치라는 논의가 자주 일어나고 있다.[66]
다른 스포츠와 비교해도 특히 신체를 혹사하는 프로레슬링에서도 사모아 조, 와일드 사모안즈, 킹 하쿠, 지미 스누카, 자말, 로지, 더 락 등 폴리네시아인의 피를 이어받은 선수들이 많이 활약하고 있다. "궁극의 헤비급 스포츠"라고 불리는 일본의 스모에서도 최고급 선수에 해당하는 요코즈나에 오른 아케보노 다로(어머니가 폴리네시아인)와 무사시마루 미쓰히로, 외국 출신자 최초의 입막을 이룬 다카미야마 다이고로를 시작으로 6대 고니시키 야스키치와 난카이 류타로 등 뛰어난 역사들을 많이 배출해 왔다.
6. 현대 폴리네시아 사회
뉴질랜드(아오테아로아)의 마오리족, 사모아의 사모아인, 타히티의 타히티인(마오히), 하와이의 하와이 원주민(마올리), 통가의 통가인, 쿡 제도의 쿡 제도 마오리족 등 폴리네시아인들은 고유한 민족 및 문화 집단을 이루고 있다. 이 외에도 니우에인, 로투마인, 투발루인, 토켈라우인, 투아모투인, 마르키즈 제도 원주민, 라파누이인, 오스트랄 제도 원주민, 망가레바인, 모리오리족, 우베아인, 푸투나인 등이 있다. 폴리네시아 외곽 지역에는 카핑아마랑기, 누쿠오로, 누구리아, 누쿠마누, 타쿠우, 아누타, 벨로나, 온통 자바, 레넬, 시카이아나, 티코피아, 바에아카우-타우마코, 에마에, 마카타, 멜레섬(에라코로, 에라타푸), 아니와섬, 푸투나섬, 파가우베아, 키오아 등이 있다.
6. 1. 인구 분포



전 세계적으로 약 200만 명의 폴리네시아계 원주민과 많은 폴리네시아계 혼혈 인구가 있으며, 대부분은 폴리네시아,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 거주한다.[41] 폴리네시아인들은 그들의 독특한 민족 및 문화적 집단으로 아래와 같이 나열되며, 더 큰 집단에 대한 추정치가 제공된다.
| 지역 | 인구 |
|---|---|
| 마오리족: 뉴질랜드(아오테아로아) | 약 89만 2,200명[42] (오스트레일리아 거주 17만 57명 제외,[43] 전 세계: 약 106만 2,257명)[44] |
| 사모아인: 사모아, 아메리칸사모아 | 약 24만 9,000명 (전 세계: 약 50만~60만 명, 미국 거주 10만 9,000명과 뉴질랜드 거주 14만 5,000명 포함) |
| 타히티인(마오히): 타히티 | 약 17만 8,000명 (혼혈 포함: 25만 명 이상) |
| 하와이 원주민(마올리): 하와이 | 약 14만 명 (혼혈 포함: 40만 명) |
| 통가인: 통가 | 약 10만 4,000명 (전 세계: 약 30만 명, 오스트레일리아 거주 4만 3,465명, 미국 거주 6만 7,221명, 뉴질랜드 거주 8만 2,839명 포함) |
| 쿡 제도 마오리족: 쿡 제도 | 9만 8,000명 이상 (뉴질랜드 거주 6만 2,000명과 오스트레일리아 거주 1만 6,000명 포함) |
| 니우에인: 니우에 | 약 2만~2만 5,000명 (95%가 뉴질랜드에 거주) |
| 로투마인: 로투마 | 약 1만 5,000~2만 명 (5%가 로투마 섬에 거주, 75%가 피지 본토에 거주, 20%가 다른 곳, 특히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 거주) |
| 투발루인: 투발루 | 약 1만 명 (뉴질랜드 거주 3,500명 포함) |
| 토켈라우인: 토켈라우 | 약 1,500명 (뉴질랜드 거주 6,500명 포함) |
| 투아모투인: 투아모투 제도 | 약 1만 6,000명 |
| 마르키즈 제도 원주민: 마르키즈 제도 | 약 1만 1,000명 |
| 라파누이인: 이스터섬 | 약 5,000명 (혼혈과 칠레 거주자 포함) |
| 오스트랄 제도 원주민: 오스트랄 제도 | 약 7,000명 |
| 망가레바인: 감비에 제도 | 약 1,600명 |
| 모리오리족: 채텀 제도(레코후) | 약 738명 (2013년 뉴질랜드 인구 조사) |
| 우베아인과 푸투나인: 왈리스 푸투나 | |
| 폴리네시아 외곽 지역 | |
| 카핑아마랑기와 누쿠오로: 미크로네시아 연방 | |
| 누구리아, 누쿠마누, 타쿠우: 파푸아뉴기니 | |
| 아누타, 벨로나, 온통 자바, 레넬, 시카이아나, 티코피아, 바에아카우-타우마코: 솔로몬 제도 | |
| 에마에, 마카타, 멜레섬(에라코로, 에라타푸), 아니와섬, 푸투나섬: 바누아투 | |
| 파가우베아: 우베아(뉴칼레도니아) | |
| 키오아(피지 제도) |
6. 2. 경제
뉴질랜드를 제외한 대부분의 폴리네시아 섬들은 외국의 원조와 해외 거주자들의 송금에 의존하고 있다. 젊은이들은 소득을 얻고 송금할 수 있는 곳으로 일자리를 찾으려는 경향이 있다. 이스터 섬처럼 관광으로 경제를 유지하는 곳도 많다. 투발루는 인터넷 도메인 이름 ".tv"를 판매하고 있으며, 쿡 제도는 우표 판매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매우 적지만 서구 문명이 들어오기 전의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섬도 있다.6. 3. 스포츠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도 폴리네시아인의 한 계통이며, 럭비의 아오테아로아(뉴질랜드) 대표팀 "올블랙스"가 경기 전에 선보이는 하카는 폴리네시아어 계열의 마오리어이다.폴리네시아인은 체중 대비 근육량과 뼈량의 비율이 다른 모든 인종을 크게 웃돈다.[61] 이러한 점에서 '지구 최강의 민족'(가장 강한 신체를 가진 사람들)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비만 인구가 많다.[62] 세계보건기구의 조사는 주민의 비만율에서 세계 상위 10개국 중 4개국을 폴리네시아계 국가가 차지한다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쿡 제도가 세계 3위, 통가가 세계 4위, 니우에가 세계 5위, 사모아가 세계 6위라는 결과이며, 8위 쿠웨이트와 9위 미국을 제외하면 모두 폴리네시아와 그 주변의 섬나라가 차지했다.[63]
많은 폴리네시아계 이민 인구를 가진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는 신체를 혹사하는 스포츠에서 폴리네시아인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세계 최고의 럭비 팀으로 유명한 뉴질랜드 럭비 대표팀에서는 소위 상위권의 대부분이 사모아계/통가계 및 마오리족계 인재로 구성되어 있다.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소수의 폴리네시아계 이민자를 품고 있는 미국에서도 그 매우 적은 인구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적으로 많은 미식축구 최고급 선수를 배출하고 있다. GQ지가 1999년에 실시한 조사는 아메리칸사모아 소년이 NFL에 프로로 입장할 확률이 미국 본토 소년의 그것의 40배에 달한다는 추정치를 제시하고 있다.[65]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일반적으로 폴리네시아계 아동과 백인계 아동의 체격(키 포함)이 어른과 아이만큼 다르기 때문에 소년 럭비 리그에서 폴리네시아계 아동을 전문으로 하는 헤비급 부문 설치라는 논의가 자주 일어나고 있다.[66]
다른 스포츠와 비교해도 특히 신체를 혹사하는 프로레슬링에서도 사모아 조, 와일드 사모안즈, 킹 하쿠, 지미 스누카, 자말, 로지, 더 락 등 폴리네시아인의 피를 이어받은 선수들이 많이 활약하고 있다. "궁극의 헤비급 스포츠"라고 불리는 일본의 스모에서도 최고급 선수에 해당하는 요코즈나에 오른 아케보노 다로(어머니가 폴리네시아인)와 무사시마루 미쓰히로, 외국 출신자 최초의 입막을 이룬 다카미야마 다이고로를 시작으로 6대 고니시키 야스키치와 난카이 류타로 등 뛰어난 역사들을 많이 배출해 왔다.
참조
[1]
간행물
Population Movement in the Pacific: A Perspective on Future Prospects
http://www.dol.govt.[...]
New Zealand Department of Labour
[2]
웹사이트
Chuukese and Papua New Guinean Populations Fastest Growing Pacific Islander Groups in 2020
https://www.census.g[...]
[3]
서적
Landfalls of Paradise: Cruising Guide to the Pacific Islands
University of Hawaii Press
[4]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2017-02-08
[5]
웹사이트
Population of communities in Tuvalu
http://tuvalu.popgis[...]
world-statistics.org
2012-04-11
[6]
웹사이트
Síntesis de Resultados Censo 2017
https://www.censo201[...]
[7]
간행물
Christianity in its Global Context, 1970–2020 Society, Religion, and Mission
https://web.archive.[...]
Center for the Study of Global Christianity
[8]
웹사이트
Art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ttp://www.victoria.[...]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2017-12-01
[9]
웹사이트
Māori population estimates: At 30 June 2022
https://www.stats.go[...]
[10]
서적
The Penguin History of New Zealand
Penguin
[11]
논문
High-precision radiocarbon dating shows recent and rapid initial human colonization of East Polynesia
2011-02-01
[12]
웹사이트
How The Sweet Potato Crossed The Pacific Way Before The Europeans Did
https://www.npr.org/[...]
2013-01-23
[13]
서적
The Austronesians: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ANU E Press
[14]
논문
Mitochondrial DNA Provides a Link between Polynesians and Indigenous Taiwanese
[15]
웹사이트
Pacific People Spread From Taiwan, Language Evolution Study Shows
https://www.scienced[...]
2009-01-27
[16]
서적
Austronesian Disapora and the Ethnogenesis of People in Indonesian Archipelago.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LIPI Press
2006
[17]
서적
eLS
[18]
웹사이트
Climate Change and Postglacial Human Dispersals in Southeast Asia
http://www.physorg.c[...]
Oxford Journals
[19]
논문
White-Skinned Gods: Thor Heyerdahl, the Kon-Tiki Museum, and the Racial Theory of Polynesian Origins
2016-03-01
[20]
논문
Trouble in Paradise: Revising Identity in Two Texts by Thor Heyerdahl
2016
[21]
서적
New Perspectives in Southeast Asian and Pacific Prehistory
ANU Press
[22]
논문
The Pottery Trail From Southeast Asia to Remote Oceania
2013-01-01
[23]
서적
The Hawaiian Kingdom: 1874–1893, the Kalakaua dynas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67
[24]
논문
Genome-wide analysis indicates more Asian than Melanesian ancestry of Polynesians
[25]
논문
The genetic structure of Pacific Islanders
[26]
간행물
Assessing Y-chromosome Variation in the South Pacific Using Newly Detected
[27]
논문
Paths and timings of the peopling of Polynesia inferred from genomic networks
2021
[28]
논문
Testing migration patterns and estimating founding population size in Polynesia by using human mtDNA sequences
1998-07-21
[29]
논문
Ernst Mayr: Genetics and speciation
http://www.genetics.[...]
[30]
논문
The theory of speciation via the founder principle
http://www.genetics.[...]
[31]
웹사이트
Climate Change and Postglacial Human Dispersals in Southeast Asia
http://www.physorg.c[...]
Oxford Journals
[32]
뉴스
DNA Sheds New Light on Polynesian Migrati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1-02-07
[33]
논문
Reconstructing Austronesian population history in Island Southeast Asia
2014
[34]
논문
Reconstructing Austronesian population history in Island Southeast Asia
2014-08-19
[35]
논문
Melanesian and Asian Origins of Polynesians: mtDNA and Y Chromosome Gradients Across the Pacific
2006-11-01
[36]
논문
Genomic insights into the peopling of the Southwest Pacific
2016-10-27
[37]
논문
Genomic insights into the peopling of the Southwest Pacific
2016-10-03
[38]
웹사이트
First ancestry of Ni-Vanuatu is Asian: New DNA Discoveries recently published
https://islandsbusin[...]
Island Business
2016-12
[39]
웹사이트
DNA reveals Native American presence in Polynesia centuries before Europeans arrived
https://api.national[...]
[40]
논문
Native American gene flow into Polynesia predating Easter Island settlement
2020
[41]
웹사이트
The Pacific Islands & New Zealand
https://teara.govt.n[...]
[42]
웹사이트
Māori population estimates: At 30 June 2022 {{!}} Stats NZ
https://www.stats.go[...]
[43]
웹사이트
Ancestry {{!}} Australia {{!}} Community profile
https://profile.id.c[...]
[44]
웹사이트
Cultural diversity: Census, 2021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https://www.abs.gov.[...]
2022-01-12
[45]
참고문헌
矢野1990
[46]
참고문헌
片山2002
[47]
서적
銃・病原菌・鉄――1万3000年にわたる人類史の謎(上・下)
草思社
2000
[48]
참고문헌
近藤2005:1
[49]
웹사이트
Tests on Captain Cook's sweet potato fuel row over how crop reached Polynesia
http://www.theguardi[...]
2018-04-12
[50]
웹사이트
Climate Change and Postglacial Human Dispersals in Southeast Asia
http://mbe.oxfordjou[...]
Oxford University Press
[51]
웹사이트
New DNA evidence overturns population migration theory in Island Southeast Asia
http://www.physorg.c[...]
Phys.org
2008-05-23
[52]
웹사이트
Australoid mtDNA and Y-DNA in Southeast Asians and Austronesians
http://s1.zetaboards[...]
AnthroScape: Human Biodiversity Forum
[53]
논문
Unexpected NRY Chromosome Variation in Northern Island Melanesia
[54]
논문
Reduced Y-Chromosome, but Not Mitochondrial DNA, Diversity in Human Populations from West New Guinea
[55]
논문
Genome-wide analysis indicates more Asian than Melanesian ancestry of Polynesians
[56]
논문
The genetic structure of Pacific Islanders.
2008
[57]
웹사이트
Assessing Y-chromosome Variation in the South Pacific Using Newly Detected
https://books.google[...]
[58]
웹사이트
モンゴロイドの形成
http://www.museum.ky[...]
[59]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60]
잡지
パワーの楽園超人王国
[61]
웹사이트
やしの実大学:ミクロネシア講座
https://web.archive.[...]
[62]
서적
身体が語る人間の歴史 人類学の冒険
筑摩書房
[63]
웹사이트
World's Fattest Countries
http://www.forbes.co[...]
2007-02-08
[64]
웹사이트
日本人は肥満に弱い民族! BMI25以上の肥満症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社
[65]
웹사이트
『ちっぽけなアメリカンサモアから来た天才選手らがフットボールの様相を一変させている』
http://www.seattlepi[...]
[66]
웹사이트
Is Fotu, 9 and 85kg, too big for his teammates' boots?
http://www.smh.com.a[...]
[67]
기타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68]
웹사이트
해양문화 박물관 공식 사이트
http://oki-park.jp/k[...]
2012-12-12
[69]
블로그
태평양의 바이킹, 폴리네시아인의 아우투리거 카누
http://blog.naver.co[...]
[70]
뉴스
<과학> 폴리네시아인의 이주경로 DNA로 규명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