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자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자즈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북서부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으로, 홍해 지구대를 따라 뻗어 있다. 고대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슬람교의 발상지로서 메카와 메디나 두 성지를 포함한다. 1차 세계 대전 이후 헤자즈 왕국으로 독립했으나, 1924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며,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아 독특한 요리 문화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디아라비아의 지리 - 나지드
나지드는 아라비아 반도 중앙 고원 지대로, 과거에는 여러 지역을 지칭했으나 현재는 히자즈, 예멘 산맥에서 동부 아라비아, 이라크, 시리아에 이르는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교역 중심지이자 와하브 운동 발흥지이며, 오늘날 사우디아라비아 일부 지역에 걸쳐 종교적 보수주의 성향을 띤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역사적 지역 - 미디안
미디안은 종교적, 정치적 연관성을 가진 다신교 숭배 집단으로 추정되며, 성경과 쿠란에서 아브라함의 아들, 모세 관련 인물, 예언자 슈아이브에게 멸망당한 백성 등으로 묘사되고, 고고학적으로는 구리 채굴 및 독특한 도자기 문화와 관련이 있고, 사우디 아라비아에는 미디안 산맥이 존재한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역사적 지역 - 나지드
나지드는 아라비아 반도 중앙 고원 지대로, 과거에는 여러 지역을 지칭했으나 현재는 히자즈, 예멘 산맥에서 동부 아라비아, 이라크, 시리아에 이르는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교역 중심지이자 와하브 운동 발흥지이며, 오늘날 사우디아라비아 일부 지역에 걸쳐 종교적 보수주의 성향을 띤다. - 홍해 - 아프리카의 뿔
아프리카의 뿔은 아프리카 대륙 북동부의 반도로, 건조한 기후와 고산지대가 특징이며, 인류의 발상지 중 하나로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등의 국가들이 위치해 다양한 문화와 생태계를 지니고 있지만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 홍해 - 수에즈 운하
수에즈 운하는 이집트를 통과하여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193.3km의 인공 수로로, 세계 무역의 핵심 항로이지만, 건설 과정의 환경 및 인권 문제, 그리고 사고 발생 시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며 이집트 경제에 중요한 수입원이다.
| 헤자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일반 정보 | |
| 이름 | 헤자즈 |
| 로마자 표기 | Al-Ḥijāz |
| 아랍어 | ٱلْحِجَاز |
| 의미 | 장벽 |
| 지리 | |
| 위치 | 사우디 아라비아 |
| 포함 지역 | 알 바하 지역 메카 주 메디나 주 타부크 주 아시르 주 |
| 인구 | |
| 추정 인구 (2011년) | 10,500,000명 |
| 역사 | |
| 관련 국가 | 헤자즈 왕국 (1923년) |
2. 역사
헤자즈는 이슬람 제국의 발상지였으나, 13세기 이후 이집트의 정권이나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아래 메카의 태수(샤리프) 하심 가문의 자치가 이어졌다. 헤자즈에는 메카와 메디나 두 성스러운 도시가 있어,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의 통치를 받았다. 특히 정통 칼리파조의 중심지(632년~656년)였으며, 이후 이집트와 오스만 제국과 같은 지역 강대국의 지배를 받았다.[86]
성경에 나오는 에덴 동산이 헤자즈 일대라는 주장이 있다. 에덴에서 흘러나온 강이 정원에 물을 주었다는 구절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 땅은 하월라로 불렸는데, 처음에는 예멘 북서쪽이나 아라비아 반도 일대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의 연구 결과 헤자즈 지역이 성경의 내용과 유사한 점이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보스턴 대학교의 파로크 엘 바스 박사의 지질학 연구에 따르면, 현재 쿠웨이트 강으로 알려진 유역이 기원전 2500~3000년경에 활성화되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87] 창세기에 나오는 베델리엄이라는 보석 공장도 많다.
1916년, 후세인 빈 알리는 영국의 지원을 받아 헤자즈 왕국을 건국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대영 제국은 후세인-맥마흔 서한을 통해 하심 가문의 후세인 빈 알리에게 아랍 반란을 일으키도록 지원했다. 이 과정에서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아라비아의 로렌스)는 반란군을 도와 오스만 제국이 다마스쿠스에서 메디나까지 헤자즈를 종단하여 부설한 헤자즈 철도를 파괴하는 등 전투에 협력했다.[86]
후세인 빈 알리는 이라크, 시리아, 팔레스타인을 포함하는 아랍 전역으로 왕국을 넓히려 했으나 실패했다. 1924년 나지드의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가 침공하여 후세인 빈 알리는 퇴위하고 키프로스로 망명했다. 이듬해 장남 알리 빈 후세인이 항복하고 이라크 왕국으로 망명하면서 하심 가문의 헤자즈 지배는 막을 내렸다.
1926년 헤자즈를 점령한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는 헤자즈 왕을 칭했고, 1931년에는 헤자즈-나지드 왕국이라는 연합 왕국의 왕이 되었다. 1932년에는 이 왕국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으로 개칭했다.
2. 1. 선사 및 고대
헤자즈에는 예로부터 사람들이 거주하며 농경을 했고, 남쪽의 예멘에서 생산되는 유향 등 향료를 북쪽의 이집트 등 지중해 연안으로 운반하기 위한 육로와 해로가 정비되어 교역이 이루어졌다.[86] 고대 로마는 예멘에 군대를 파견했고, 헤자즈의 일부는 로마 제국의 아라비아 속주에 편입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헤자즈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거석 돌멘이 발견되었다.[16]
헤자즈는 "금의 요람"을 뜻하는 ''마흐드 앗-다하브''와 한때 와디 알룸마와 와디 알바틴 시스템을 통해 북동쪽으로 흘러 페르시아만으로 향하던, 현재는 말라버린 수원지를 포함한다. 보스턴 대학교와 카심 대학교의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이 강 시스템은 기원전 25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활동했다.[17]
알마수디에 따르면, 헤자즈 북부는 고대 이스라엘의 속국이었으며,[18] 부트루스 알부스타니에 따르면, 헤자즈의 유대인들은 주권을 가진 국가를 세웠다.[19] 독일의 오리엔탈리스트 페르디난트 뷔스텐펠트는 유대인들이 헤자즈 북부에 국가를 세웠다고 믿었다.[20]
성경의 미디안족은 헤자즈에 살았다.[21] 헤자즈 북부는 로마 속주 아라비아 페트라에의 일부였다.[22]
2. 2. 아브라함과 이스마엘 시대
아랍 및 이슬람 자료에 따르면, 이브라힘(아브라함)이 아들 이스마일(이스마엘)과 아내 하자르(하갈)을 이곳으로 데려와 머물게 하면서 메카 문명이 시작되었다.[23] 아드나니트는 이스마엘(Ishmaelite) 아랍인의 부족 연맹으로, 이슬람 예언자이자 족장인 아브라함의 아들 이스마일과 아내 하갈의 혈통을 아드난을 통해 잇고 있으며, 아드난은 헤자즈에서 기원한다.[23] 예멘의 주르훔 부족 사람들이 그들과 함께 정착했고, 이스마일은 그들 중 한 명과 두 번 결혼했는데, 한 명과 이혼하고 다른 한 명과 재혼했으며, 그의 아버지와 함께 사회적, 종교적, 정치적, 역사적 의미를 갖는 ''카바'' ('큐브')를 건설하거나 재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24][25][26][10][11]아랍 또는 이슬람 신앙에서 쿠라이시 부족은 이브라힘 이븐 이스마일에서 기원하며, 카바 근처에 기반을 두고, 무함마드 이븐 압둘라 이븐 압둘 무탈립 이븐 하심 이븐 압드 마나프를 포함한다.[27] ''자힐리야'' ('무지') 시대부터 무함마드 시대까지, 종종 전쟁을 벌이던 아랍 부족들은 순례 기간 동안 적대 행위를 중단하고, 이브라힘의 영감에 따라 메카로 순례를 갔다.[26] 무함마드가 메디나로 이주하여 메카의 반대자들의 박해를 피하도록 허용한 일부 메디나 사람들을 만난 것은 바로 이러한 때였다.[28][29][30][31][32][33]
2. 3. 살레 시대
사우디아라비아와 헤자즈의 첫 번째 세계 유산은 유네스코에 의해 인정받은 알-히지르이다. "돌의 땅" 또는 "바위가 많은 곳"을 의미하는 ''알-히지르''(Al-Ḥijr)라는 이름은 쿠란에 등장하며,[34] 이 유적지는 페트라와 유사하게 암석에 조각된 구조물로 유명하다.[35][36] 이 구조물은 사무드족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이 지역은 또한 ''마다인 살리''(Madāʾin Ṣāliḥ, "살레의 도시")라고도 불리며,[37][38][39][40][41][42] 이슬람 예언자 살레가 사무드족에게 파견된 도시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마다인 살리에서 사무드족이 사라진 후, 이곳은 수도가 페트라인 나바테아인과 같은 다른 민족의 영향 아래에 놓였다. 나중에는 무슬림 순례자들이 메카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게 되었다.[22][43][44][45]
2. 4. 무함마드 시대

헤자즈는 무함마드가 태어나 일신교 ''움마''를 창시하고 신봉자들을 거느렸던 곳이다. 그는 이곳에서 적들과 인내심을 갖고 대하거나 싸웠으며, 자신의 신념을 전파하고 실천하며 살다가 죽었다. 메카[4]와 메디나[5][6][7]를 포함하는 헤자즈에서는 무함마드의 추종자와 적들이 공존했기에, 여러 전투나 원정이 벌어졌다. 대표적인 예로는 ''알-아흐자브''(연합군), 바드르[46], 후나인 등이 있다. 이 전투에는 함자 이븐 압드 알-무탈립, 우바이다 이븐 알-하르스,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와 같은 메카 출신 동료들과 메디나 출신 동료들이 모두 참여했다.[5][32][33][47][48] 무함마드가 적들에게 승리하면서 헤자즈는 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고, 그의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10][28][30][31][49][50][51]
2. 5. 이후 역사
헤자즈 지역은 로마 제국의 영역에 속했던 유적이 발견되기도 했다.[86] 고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하며 농경을 했고, 남쪽의 예멘에서 생산되는 유향 등의 향료를 북쪽의 이집트 등 지중해 연안으로 운반하기 위한 육로와 해로가 정비되어 교역이 이루어졌다. 고대 로마는 예멘에 군대를 파견했고, 헤자즈의 일부는 로마 제국의 아라비아 속주에 편입되었던 것으로 보인다.이슬람 제국 발상지였으나, 13세기 이후부터 이집트의 정권이나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아래 메카의 태수(샤리프) 하심 가문의 자치가 이어졌다. 헤자즈에는 두 개의 성스러운 도시가 존재했기 때문에, 이 지역은 수많은 제국에 의해 통치되었다. 헤자즈는 특히 수도가 632년부터 656년까지 정통 칼리파조의 중심지였으며, 이후 이 지역은 이집트와 오스만 제국과 같은 지역 강대국의 지배를 받았다.
성경에 나오는 에덴 동산이 이 일대인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에덴에서 흘러나온 강이 정원으로 물을 주었다는 구절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 땅은 하월라로 일컬어지는데, 원래는 예멘의 북서쪽이나 아라비아 반도 일대일 것으로 추정됐었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의 논의 결과 헤자즈 일대가 성경 연구와 흡사한 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당시 흐르는 강이 있었다고 하는데, 파로크 엘 바스 박사(보스턴대)가 진행한 지질학 연구에 따르면 현재의 쿠웨이트 강으로 알려진 유역이 기원전 2500-3000년 정도에 활성화되어 있었다는 것으로 보여 이를 뒷받침하고있다.[87] 창세기에 나오는 베델리엄이라는 보석 공장도 많다.
2. 5. 1. 짧은 독립
오스만 제국과 이집트 등 강대국 사이에 껴있던 헤자즈 왕국은 20세기 초까지 존속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대영 제국의 지원으로 오스만 제국에 반기를 들고 분리되었다.[86] 1916년 독립했으나 1924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으로 편입됐다.[86]1916년,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과 아라비아 통치가 종료된 후, 후세인 빈 알리가 독립적인 헤자즈 국가의 지도자가 되었다.[52] 영국은 오스만 제국의 후방에 있는 아랍인을 일으켜 싸우게 하려고 후세인-맥마흔 서한을 맺고, 아랍 반란을 일으켰다. 이때,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아라비아의 로렌스)는 반란군을 지원하고, 오스만 제국이 다마스쿠스에서 메디나까지 헤자즈를 종단하여 부설한 히자즈 철도를 파괴하는 등의 전투에 협력했다. 1916년 후세인 빈 알리가 영국의 지원으로 헤자즈 왕국을 건국해 헤자즈는 독립했지만 그 기간은 짧았다. 1924년, 알리 빈 후세인이 헤자즈의 왕위를 계승했다. 이후 이븐 사우드가 후세인을 이어 헤자즈와 네지드의 왕이 되었다. 이븐 사우드는 1926년부터 1932년까지 이 두 지역을 헤자즈-네지드 왕국으로 알려진 별개의 단위로 통치했다. 후세인 빈 알리는 결국 왕국을 아랍 전체로 넓히는 데 실패했고, 1924년 나지드에서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가 침공하여 후세인 빈 알리는 퇴위하고 키프로스로 도망쳤지만, 그 이듬해에는 장남 알리 빈 후세인이 항복하고, 동생인 이라크 왕국으로 망명함으로써, 하심 가문의 히자즈 지배는 종언을 맞이한다.
2. 5. 2. 현대 사우디아라비아
오스만 제국 등의 강국 사이에서 헤자즈 왕국으로 20세기 초까지 존재했다. 1차 세계 대전 중 대영 제국의 바람으로 반기를 들어 분리된 나라였다. 1916년 독립했으나 1924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으로 편입됐다.[86]1932년 9월 23일, 헤자즈와 네지드의 두 왕국은 사우디 아라비아 왕국으로 통합되었다.[53] 이 날은 사우디아라비아 국경일로 기념된다.[54]
제1차 세계 대전 때, 영국은 오스만 제국의 후방의 아랍인을 일으켜 싸우게 하려고 하였다. 하심 가문의 후세인 빈 알리는 영국과 후세인-맥마흔 서한을 맺고, 이라크, 시리아, 팔레스타인도 포함하는 아라비아 전역의 독립과 지배를 꾀하며 아랍 반란을 일으켰다. 이 때,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아라비아의 로렌스)는 반란군을 지원하고, 오스만 제국이 다마스쿠스에서 메디나까지 히자즈를 종단하여 부설한 히자즈 철도를 파괴하는 등의 전투에 협력했다. 1916년에는 후세인 빈 알리가 영국의 지원으로 히자즈 왕국을 건국해 히자즈는 독립했지만 그 기간은 짧았다. 후세인 빈 알리는 결국 왕국을 아랍 전체로 넓히는 데 실패했고, 1924년에는 나지드에서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가 침공, 후세인 빈 알리는 퇴위하고 키프로스로 도망쳤지만, 그 이듬해에는 장남 알리 빈 후세인이 항복하고, 동생이 있던 이라크 왕국으로 망명함으로써, 하심 가문의 히자즈 지배는 종언을 맞이한다.
히자즈를 공략한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는 1926년에 히자즈 왕을 칭했고, 1931년에는 히자즈-나지드 왕국이라는 연합 왕국의 왕이 되었으며, 1932년에는 이를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으로 개칭했다.
3. 문화

헤자즈는 이슬람의 2대 성지인 메카와 메디나가 있어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쿠란은 사우디아라비아의 헌법이며, 샤리아는 주요 법적 근원이다.[55][56] 이슬람은 정부의 정치적 지지뿐 아니라 국민의 문화와 일상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헤자즈 사회는 매우 종교적이고, 보수적이며, 전통적이고, 가족 중심적이다. 많은 태도와 전통은 아랍 문명과 이슬람 유산에서 비롯되었다.
3. 1. 요리
헤자즈 요리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아랍 요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살리크와 같이 헤자즈 고유의 요리도 있다.[57] 만투(منتوacw), 야그무시(يَغْمُشacw), 루즈 부카리(رُز بُخاريacw)는 중앙아시아에서 유래하였고, 부레크(بُريكacw), 슈레크(شُريكacw), 카밥 알미루(كباب الميروacw)는 터키와 발칸반도에서 유래하였으며, 만디(مَنْديacw), 무타바그(مُطَبَّقacw)는 예멘에서, 비르야니(بريانيacw), 카블리(كابليacw) 쌀 요리는 남아시아에서 유래하는 등 다른 문화권에서 다양한 기원을 가진 사우디인들을 통해 유입된 요리들도 있다. 샤와르마, 케밥과 같은 구운 육류 요리도 헤자즈에서 잘 알려져 있다. 헤자즈 요리는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4. 지리

이 지역은 홍해 지구대를 따라 위치해 있으며, 더 어둡고 화산 활동이 활발한 모래로도 유명하다. 헤자즈는 나지드와 테하마를 지형적으로 구분하는 사라와트 산맥의 일부를 포함한다. 몰약 식물 또한 헤자즈에 풍부하다. 사우디아라비아, 특히 헤자즈는 2,000개 이상의 휴화산을 품고 있다.[58] 헤자즈의 용암 지대는 아랍어로 'ḥarrāt' (حَرَّاتar, 단수: 'ḥarrah' (حَرَّةar))로 알려져 있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큰 알칼리 현무암 지역 중 하나를 형성하며, 약 180km2에 달하는 면적을 차지하는데, 이는 미주리 주보다 넓다.[59]
오늘날의 사우디아라비아 북서부에 해당하는 헤자즈는 아라비아 반도의 서쪽 끝에 뻗어 있는 헤자즈 산맥 및 그 남쪽의 아시르 산맥을 포함한다. 아라비아 반도의 홍해 연안은 크게 남북으로 나뉘는데, 북쪽은 헤자즈, 남쪽은 아시르주와 티하마라고 불린다.
헤자즈 산맥은 요르단과 사우디의 국경 부근에서 시작하여 부분적으로 해발 2,000m가 넘는 높이가 되고, 남쪽은 메카 주변에서 600m 정도로 낮아진다. 그 서쪽 기슭은 급격하게 바다로 떨어져 곳곳에 절벽을 이루고, 해안 평야는 좁으며 천연의 양호한 항구는 거의 없다. 대신, 헤자즈 서쪽 기슭에 가끔 일어나는 폭풍우는 비로 산의 흙을 노출시켜 구릉지에는 비옥한 농지가 있다. 헤자즈 동쪽 기슭은 서쪽보다 완만하게 내려가며, 반도 중앙부의 고원 지대인 나지드로 이어진다. 기후는 건조하며, 비가 올 때만 흐르는 와디가 여러 곳에 흐르고, 사람들은 오아시스나 와디 부근에서 소규모로 농경을 하고 있다. 오아시스 중 가장 큰 도시가 메디나이다. 아랍어로 헤자즈는 "'''장벽'''"을 의미하며, 동쪽의 나지드와 남서쪽의 티하마를 나누는 산맥이었다.
4. 1. 주요 도시

헤자즈의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
| 주 | 도시 |
|---|---|
| 알 바하 지역 | 알-바하[60] |
| 메디나 | 알-마디나 알-무나와라[2] |
| 바드르[61] | |
| 얀부 알-바흐르[2] | |
| 메카 주 | 아-타이프[62] |
| 지다[2] | |
| 마카[2] | |
| 라비그[63][64] | |
| 타부크 지역 | 타부크[65] |
| 움루지 |
메카와 메디나는 아랍과 이슬람에게 역사적, 종교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제다는 이 지역의 최대 도시이자 성지로 향하는 바다의 입구이며, 헤자즈의 정치적 중심지로서 중요성을 갖는다.
5. 국제 관광 개발
사우디 비전 2030의 일환으로, 28000km2 면적의 관광지가 개발 중이다.[66] 이 관광지는 움루지와 알 와지 사이, 홍해 해안에 위치해 있다. 이 프로젝트는 해안을 따라 위치한 90개 이상의 섬 중 22개의 섬을 개발하여 "완전 통합된 고급 복합 용도 목적지"를 조성하는 것을 포함한다.[68] 또한 "국제 표준에 준하는 법률에 의해 관리"될 것이다.[69]
6. 인구 통계
헤자즈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8] 사우디아라비아 인구의 35%가 거주한다.[70] 헤자즈 주민 대부분은 수니파이며, 메디나, 메카, 제다에는 시아파 소수가 거주한다. 많은 사람들은 스스로를 더욱 국제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헤자즈가 수세기 동안 우마이야 왕조에서 오스만 제국에 이르기까지 이슬람 제국의 일부였기 때문이다.[71] 메카와 메디나의 성지에 특히 깊은 유대감을 느끼는 헤자즈 사람들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어떤 지역 집단보다도 가장 뚜렷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72]
7. 인물
| 인물 | 상세 |
|---|---|
| 쿠사이 이븐 킬라브 | 무라 이븐 카아브 이븐 루아이 이븐 갈리브 이븐 피흐르 이븐 말리크 이븐 안나드르 이븐 키나나[74] 이븐 후자이마 이븐 무드리카 이븐 일야스 이븐 무다르 이븐 니자르 이븐 마아드 이븐 아드난, 이스마일 이븐 이브라힘 이븐 아자르 이븐 나홀 이븐 세룩 이븐 레우 이븐 펠렉 이븐 에베르 이븐 셸라흐의 후손,[75][76] 쿠라이쉬 부족의 족장이자 무함마드의 조상[77] |
| 쿠사이의 아들 압드 알 다르[78][79] | 우스만의 아버지이자 압드 알 우자의 아버지이며, 무함마드의 외할머니인 바라의 아버지 |
| 압드 마나프 이븐 쿠사이 | 무함마드의 부계 조상[80] |
| 쿠사이의 아들 압드 알 우자 | 바라 빈트 압드 알 우자의 조상 |
| 압드 마나프의 아들 하심 | 무함마드의 부계 증조부이자 쿠라이쉬 부족의 바누 하심의 시조 |
| 압드 알 무탈리브 이븐 하심 | 무함마드의 부계 조부 |
| 후바 빈트 후라일 | 후브쉬이야 이븐 살룰 이븐 카브 이븐 암르 알-후자아, 쿠사이의 아내이자 무함마드의 조상 |
| 아티카 빈트 무라 | 힐랄 이븐 팔리 이븐 다크완, 압드 마나프의 아내이자 무함마드의 조상[80] |
| 무사 알카짐 | 무함마드의 후손[73] |
7. 1. 알-아브와
- 무사 알카짐 이븐 자파르 알사디크는 무함마드의 후손이다.[73]
7. 2. 메카
메카와 메디나는 아랍과 이슬람에게 역사적, 종교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두 성지이다. 이 지역의 최대 도시인 지다는 성지로 향하는 바다의 입구일 뿐만 아니라 헤자즈의 정치적 중심지이기도 했다.7. 2. 1. 기원전 6세기 이전
성경에 나오는 에덴 동산이 이 일대인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에덴에서 흘러나온 강이 정원으로 물을 주었다는 구절에서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이 땅은 하월라로 일컬어지는데, 원래는 예멘의 북서쪽이나 아라비아 반도 일대로 추정했었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이 논의한 결과 헤자즈 일대가 상당히 성경 연구와 흡사한 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당시 흐르는 강이 있었다고 하는데, 파로크 엘 바스 박사(보스턴대)가 진행한 지질학 연구에 따르면 현재의 쿠웨이트 강으로 알려진 유역이 기원전 2500-3000년 정도에 활성화되어 있었다는 것으로 보여 이를 뒷받침하고있다.[87]
창세기에 나오는 베델리엄이라는 보석 공장도 많다.
| 인물 | 상세 |
|---|---|
| 쿠사이 이븐 킬라브 | 무라 이븐 카아브 이븐 루아이 이븐 갈리브 이븐 피흐르 이븐 말리크 이븐 안나드르 이븐 키나나[74] 이븐 후자이마 이븐 무드리카 이븐 일야스 이븐 무다르 이븐 니자르 이븐 마아드 이븐 아드난, 이스마일 이븐 이브라힘 이븐 아자르 이븐 나홀 이븐 세룩 이븐 레우 이븐 펠렉 이븐 에베르 이븐 셸라흐의 후손,[75][76] 쿠라이쉬 부족의 족장이자 무함마드의 조상[77] |
| 쿠사이의 아들 압드 알 다르[78][79] | 우스만의 아버지이자 압드 알 우자의 아버지이며, 무함마드의 외할머니인 바라의 아버지 |
| 압드 마나프 이븐 쿠사이 | 무함마드의 부계 조상[80] |
| 쿠사이의 아들 압드 알 우자 | 바라 빈트 압드 알 우자의 조상 |
| 압드 마나프의 아들 하심 | 무함마드의 부계 증조부이자 쿠라이쉬 부족의 바누 하심의 시조 |
| 압드 알 무탈리브 이븐 하심 | 무함마드의 부계 조부 |
| 후바 빈트 후라일 | 후브쉬이야 이븐 살룰 이븐 카브 이븐 암르 알-후자아, 쿠사이의 아내이자 무함마드의 조상 |
| 아티카 빈트 무라 | 힐랄 이븐 팔리 이븐 다크완, 압드 마나프의 아내이자 무함마드의 조상[80] |
7. 2. 2. 이후
로마 제국의 영역이 헤자즈 일대에 미쳤음을 증명하는 여러 유적이 존재한다.[86] 20세기 초까지 헤자즈 왕국은 오스만 제국과 이집트 등 강대국 사이에서 존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대영 제국의 영향으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분리 독립하였으나, 1916년 독립 이후 1924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에 편입되었다.성경에 나오는 에덴 동산이 이 지역일 가능성이 제기되는데, 에덴에서 흘러나온 강이 정원에 물을 주었다는 구절이 이를 뒷받침한다.
원래 하월라로 불리던 이 땅은 예멘 북서쪽이나 아라비아 반도 일대로 추정되었으나, 여러 학자들의 연구 결과 헤자즈 일대가 성경 연구와 유사한 점이 많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당시 흐르던 강은 현재 쿠웨이트 강으로 알려진 유역으로, 보스턴 대학교의 파로크 엘 바스 박사의 지질학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2500-3000년경에 활성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87]
창세기에는 베델리엄이라는 보석 공장도 많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헤자즈는 예로부터 사람들이 거주하며 농경을 했고, 남쪽의 예멘에서 생산되는 유향 등 향료를 북쪽의 이집트 등 지중해 연안으로 운반하기 위한 육로와 해로가 정비되어 교역이 이루어졌다. 고대 로마는 예멘에 군대를 파견했고, 헤자즈의 일부는 로마 제국의 아라비아 속주에 편입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헤자즈는 이슬람 제국의 발상지였으나, 13세기 이후부터 이집트의 정권이나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아래 메카의 태수(샤리프) 하심 가문의 자치가 이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때, 영국이 오스만 제국의 후방의 아랍인을 일으켜 싸우게 하려고 했을 때 변화가 일어났다. 하심 가문의 후세인 빈 알리는 영국과 후세인-맥마흔 서한을 맺고, 이라크, 시리아, 팔레스타인을 포함하는 아라비아 전역의 독립과 지배를 꾀하며 아랍 반란을 일으켰다. 이 때,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아라비아의 로렌스)는 반란군을 지원하고, 오스만 제국이 다마스쿠스에서 메디나까지 헤자즈를 종단하여 부설한 헤자즈 철도를 파괴하는 등의 전투에 협력했다. 1916년 영국의 지원으로 헤자즈 왕국을 건국하여 헤자즈는 독립했지만 그 기간은 짧았다. 후세인 빈 알리는 결국 왕국을 아랍 전체로 넓히는 데 실패했고, 1924년 나지드에서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가 침공하여 퇴위하고 키프로스로 도망쳤다. 이듬해 장남 알리 빈 후세인이 항복하고 동생인 이라크 왕국으로 망명함으로써 하심 가문의 헤자즈 지배는 막을 내렸다.
헤자즈를 공략한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는 1926년 헤자즈 왕을 칭했고, 1931년 헤자즈-나지드 왕국이라는 연합 왕국의 왕이 되었으며, 1932년에는 이를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으로 개칭했다.
7. 3. 메디나
메카와 함께 헤자즈에 위치한 메디나는 아랍과 이슬람에게 역사적, 종교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땅이었다. 헤자즈는 오늘날의 사우디아라비아 북서부에 해당하며, 헤자즈 산맥이 뻗어 있다. 헤자즈 동쪽 기슭은 서쪽보다 완만하게 내려가며, 반도 중앙부의 고원 지대인 나지드로 이어진다. 기후는 건조하며, 와디가 여러 곳에 흐르고, 사람들은 오아시스나 와디 부근에서 소규모로 농경을 한다. 오아시스 중 가장 큰 도시가 메디나이다. 아랍어로 헤자즈는 "장벽"을 의미하며, 동쪽의 나지드와 남서쪽의 티하마를 나누는 산맥이었다.헤자즈에는 예로부터 사람들이 거주하며 농경을 했고, 남쪽의 예멘에서 생산되는 유향 등 향료를 북쪽의 이집트 등 지중해 연안으로 운반하기 위한 육로와 해로가 정비되어 교역이 이루어졌다. 고대 로마는 예멘에 군대를 파견했고, 헤자즈의 일부는 로마 제국의 아라비아 속주에 편입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7. 3. 1. 기원전 6세기 이전
성경에 나오는 에덴 동산이 이 일대인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에덴에서 흘러나온 강이 정원에 물을 주었다는 구절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이 땅은 하월라로 일컬어지는데, 원래는 예멘의 북서쪽이나 아라비아 반도 일대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의 연구 결과 헤자즈 일대가 성경 연구와 상당히 흡사한 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당시 흐르는 강이 있었다고 하는데, 파로크 엘 바스 박사(보스턴대)가 진행한 지질학 연구에 따르면 현재의 쿠웨이트 강으로 알려진 유역이 기원전 2500-3000년 정도에 활성화되어 있었다는 것으로 보여 이를 뒷받침하고있다.[87]
창세기에 나오는 베델리엄이라는 보석 공장도 많다.
7. 3. 2. 이후
로마 제국의 여러 유적이 헤자즈 일대에 미쳤음을 증명하고 있다.[86] 20세기 초까지 헤자즈는 이집트와 오스만제국 등의 강국 사이에서 헤자즈 왕국으로 존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헤자즈는 대영 제국의 바람으로 반기를 들어 분리된 나라였다. 1916년 독립했으나 1924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으로 편입됐다.13세기 이후부터 헤자즈는 이슬람 제국 발상지였으나, 이집트의 정권이나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아래 메카의 태수(샤리프) 하심 가문의 자치가 이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때, 영국은 오스만 제국의 후방의 아랍인을 일으켜 싸우게 하려고 하심 가문의 후세인 빈 알리와 후세인-맥마흔 서한을 맺었다. 후세인 빈 알리는 이라크나 시리아, 팔레스타인도 포함하는 아라비아 전역의 독립과 지배를 꾀하며 아랍 반란을 일으켰다. 이 때,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아라비아의 로렌스)는 반란군을 지원하고, 오스만 제국이 다마스쿠스에서 메디나까지 헤자즈를 종단하여 부설한 히자즈 철도를 파괴하는 등의 전투에 협력했다. 1916년 후세인 빈 알리는 영국의 지원으로 헤자즈 왕국을 건국해 헤자즈는 독립했지만 그 기간은 짧았다. 1924년 나지드에서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가 침공하자 후세인 빈 알리는 퇴위하고 키프로스로 도망쳤다. 이듬해 장남 알리 빈 후세인이 항복하고 동생이 통치하는 이라크 왕국으로 망명함으로써, 하심 가문의 헤자즈 지배는 종언을 맞이한다.
히자즈를 공략한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는 1926년에 히자즈 왕을 칭했고, 1931년에는 히자즈-나지드 왕국이라는 연합 왕국의 왕이 되었으며, 1932년에는 이를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으로 개칭했다.
7. 4. 타이프
الطائف|알타이프ar는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주에 있는 도시로, 헤자즈 지역에 속한다.7. 4. 1. 6-7세기
여러 유적이 로마 제국의 헤자즈 일대에 대한 영향을 증명하고 있다.[86] 20세기 초까지 헤자즈는 이집트와 오스만 제국 등의 강국 사이에서 헤자즈 왕국으로 존재했다. 1차 세계 대전 중 대영 제국의 영향으로 반기를 들어 분리 독립했으나, 1924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으로 편입됐다.성경에 나오는 에덴 동산이 이 일대인 것으로 추정되기도 하는데, 에덴에서 흘러나온 강이 정원에 물을 주었다는 구절이 이를 시사한다.
본래 하월라로 일컬어지던 이 땅은 예멘의 북서쪽이나 아라비아 반도 일대로 추정됐었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의 논의 결과, 헤자즈 일대가 성경 연구와 상당히 흡사한 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당시 흐르는 강이 있었다고 하는데, 파로크 엘 바스 박사(보스턴대)의 지질학 연구에 따르면 현재의 쿠웨이트 강으로 알려진 유역이 기원전 2500-3000년 정도에 활성화되어 있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87]
창세기에 나오는 베델리엄이라는 보석 공장도 많다.
참조
[1]
문서
"The Western Province, or the Hejaz[...]"
[2]
서적
Merriam-Webster's Ge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Merriam-Webster
2013-03-17
[3]
서적
Britain and Saudi Arabia, 1925–1939: The Imperial Oasi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웹사이트
Mecca: Islam's cosmopolitan heart
https://web.archive.[...]
2014-07-08
[9]
서적
Nations Without States: A Historical Dictionary of Contemporary National Movement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996
[10]
서적
Muhammad: His Life Based on the Earliest Sources
Islamic Texts Society
[11]
간행물
Kaaba
https://books.google[...]
HarperSanFrancisco
[12]
간행물
Cradle of Islam: the Hijaz and the quest for an Arabian identity
I.B. Tauris
[13]
서적
A History of Saudi Arab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A Brief overview of Hejaz
http://www.rogersstu[...]
[15]
논문
The Hejaz
1931-02
[16]
서적
Megalithic Jordan: an introduction and field guide
https://books.google[...]
ACOR
2012-10-05
[17]
뉴스
Science Watch; Signs of Ancient Riv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3-03-30
[18]
문서
Kitāb al-ʻIbar wa-Dīwān al-Mubtadaʼ wa-l-Khabar
Dar Al-Fikr publication
[19]
문서
Daerat Al-Maaref
Dar Al-Marifa Publication
[20]
문서
Tarikh Al-Yahood Fi Belad Al-Arab
Al-Nafezah Publication
[21]
문서
Egyptian Chariots, Midianites from Hijaz/ Midian (Northwest Arabia) and Amalekites from the Negev in the Timna Mines: Rock drawings in the Ancient Copper Mines of the Arabah – new aspects of the region's history II
[22]
웹사이트
Saudi Aramco World (May/June 2001): Well of Good Fortune
http://www.saudiaram[...]
2014-04-07
[23]
웹사이트
Family Tree of Muhammad
https://slife.org/fa[...]
2018-12-26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서적
Ibn Ishaq's Sirat Rasul Allah – The Life of Muhamma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Islam: A Short History
Random House Publishing
[30]
서적
Journeys in Holy Lands: The Evolution of the Abraham-Ishmael Legends in Islamic Exegesi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1]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 Vol. 2: Prophets and Patriarch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Y Press
[32]
서적
Ar-Raḥīq Al-Makhtūm ("The Sealed Nectar")
Darussalam
2014-10-06
[33]
간행물
The Life of Muhammad
https://books.google[...]
Islamic Book Trust
[34]
문서
[35]
서적
Oman, UAE & Arabian Peninsul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0-10-01
[36]
웹사이트
Al-Hijr Archaeological Site (Madâin Sâlih)
https://whc.unesco.o[...]
UNESCO
2014-04-07
[37]
qref
[38]
qref
[39]
qref
[40]
qref
[41]
qref
[42]
qref
[43]
웹사이트
Madain Saleh: Arabia's Hidden Treasure – Saudi Arabia
http://www.bootsnall[...]
World Heritage Center
2009-09-17
[44]
웹사이트
ICOMOS Evaluation of Al-Hijr Archaeological Site (Madâin Sâlih) World Heritage Nomination
https://whc.unesco.o[...]
World Heritage Center
2009-09-16
[45]
웹사이트
Information at nabataea.net
http://nabataea.net/[...]
2009-09-17
[46]
qref
[47]
Hadith
[48]
웹사이트
Witness Pioneer "Pre-Badr Missions and Invasions"
https://web.archive.[...]
[49]
encyclopedia
Muhammad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A History of the Arab Peoples
Faber & Faber
[53]
encyclopedia
History of Arabia
https://www.britanni[...]
[54]
웹사이트
History of Saudi Arabia. ( The Saudi National Day 23, Sep )
https://www.pmu.edu.[...]
2018-09-21
[55]
웹사이트
Saudi Arabia – Religion
https://www.britanni[...]
2019-02-05
[56]
웹사이트
Islam {{!}} The Embassy of The Kingdom of Saudi Arabia
https://www.saudiemb[...]
2019-02-05
[57]
웹사이트
Saleeg — a Saudi dish that won't let you down
https://www.arabnews[...]
2021-06-23
[58]
웹사이트
The Tourists Guide To The 10 Amazing Volcanoes in Saudi Arabia
https://insidesaudi.[...]
2021-01-09
[59]
웹사이트
VOLCANIC ARABIA: It started with tremors
https://archive.aram[...]
2021-01-09
[60]
웹사이트
Al-Baha City Profile
http://www.the-saudi[...]
The Saudi Network
2012-10-02
[61]
간행물
إمـارة مـنـطـقـة الـمـديـنـة الـمـنـورة
https://web.archive.[...]
أمـانـة الـمـديـنـة الـمـنـورة
1419
[62]
웹사이트
Brief about Ta'if City
http://www.taifcity.[...]
Taif Municipality
2016-04-26
[63]
웹사이트
Rābigh
http://www.geonames.[...]
GeoNames
2017-11-28
[64]
웹사이트
Al-Juhfah {{!}} Hajj & Umrah Planner
http://hajjumrahplan[...]
2017-04-10
[65]
웹사이트
Tabouk City Profile, Saudi Arabia
http://www.the-saudi[...]
2017-05-04
[66]
뉴스
Construction underway on Saudi Red Sea project site
https://www.zawya.co[...]
2019-02-27
[67]
뉴스
Red Sea project master plan wins approval
http://saudigazette.[...]
2017-09-17
[68]
뉴스
Hospitality is 'anchor' of Red Sea project
http://www.arabnews.[...]
2019-01-27
[69]
뉴스
Saudi Arabia to allow women in bikinis at new beach resort
https://www.usatoday[...]
2017-08-04
[70]
웹사이트
Saudi Arabia Population Statistics 2011 (Arabic)
http://www.relooney.[...]
[71]
논문
Brezhnev in the Hejaz
http://www.relooney.[...]
2012-04-23
[72]
논문
Divided We Survive: A Landscape of Fragmentation in Saudi Arabia
https://www.brandeis[...]
2009-01
[73]
웹사이트
The Infallibles Taken from Kitab al Irshad By Sheikh al Mufid
http://www.al-islam.[...]
2008-11-20
[74]
웹사이트
The Prophet's Line Family No 3 – Qusayy, Hubbah, and Banu Nadr to Quraysh
http://www.ruqaiyyah[...]
Ruqaiyyah Waris Maqsood Dawah
2013-07-01
[75]
문서
Book of Genesis
[76]
문서
1 Chronicles
[77]
서적
The Life of the Prophet Muhammad
[78]
웹사이트
SUNY Press :: History of al-Tabari Vol. 39, The
http://www.sunypress[...]
[79]
웹사이트
Adab of Islam
http://www.masud.co.[...]
Masud
2017-08-08
[80]
웹사이트
The Prophet's Family Line No. 4 – Amr (Hashim), the Founder of the Hashimites
http://www.ruqaiyyah[...]
Ruqaiyyah Waris Maqsood Dawah
2011-08-03
[81]
서적
A Shi'ite Antholog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82]
서적
Lady Fatima Masuma (a) of Qom
http://www.al-islam.[...]
Jami'at al-Zahra: Islamic Seminary for Women
2018-06-05
[83]
간행물
Islamic Medicine
Goodword Books
[84]
웹사이트
Pusat Sejarah Brunei
http://www.history-c[...]
www.history-centre.gov.bn
2016-08-23
[85]
URL
http://www.saudiaram[...]
[86]
웹인용
Well of Good Fortune
http://www.saudiaram[...]
2009-03-17
[87]
웹인용
The Pishon River - Found. by C.A. Salabach at Focus Magazine
http://focusmagazine[...]
2009-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