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감염 경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염 경로는 병원체가 숙주에게 전파되는 방식을 의미하며, 직접 접촉, 간접 접촉, 공기 매개, 매개체, 수직 감염 등 다양한 경로가 존재한다. 직접 접촉은 신체 접촉, 점막 접촉, 성 접촉, 경피 감염, 타액 감염, 의료 행위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간접 접촉은 오염된 음식, 물건 등을 통해 발생한다. 공기 매개 감염은 비말 또는 비말핵을 통해 전파되며, 매개체 감염은 다른 동물을 통해 전파된다. 수직 감염은 임신, 출산, 모유 수유를 통해 모체에서 자녀에게 전파되는 경우를 말한다. 감염 경로 추적은 질병 감시를 통해 이루어지며, 병원체 확인 여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감염 경로를 추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학 (의학) - 사망률
    사망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사망자 수를 인구 집단 크기로 나눈 비율로, 인구 집단의 건강 상태와 사회 경제적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역학 연구, 세계 보건 동향 분석 등에 활용된다.
  • 역학 (의학) - 감염
    감염은 병원체가 숙주 체내에 침입하여 증식하는 현상으로, 점막이나 상처를 통해 집락화하며, 면역이 약화된 숙주는 기회 감염에 취약하고, 전염병, 유행, 팬데믹, 엔데믹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감염 사슬을 이해하고 차단하는 것이 예방에 중요하다.
  • 감염병 -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를 유전 물질로 사용하고 단백질 껍질로 둘러싸인 비세포성 감염체이며,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감염병 - 결핵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무증상일 수도 있고, 호흡기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
감염 경로
감염 경로
감염 사슬
감염 사슬의 도해
기본 정의
정의병원체가 한 숙주에서 다른 숙주로 이동하는 것
감염 방식
직접 전파직접 접촉: 감염된 사람 또는 동물과의 직접적인 접촉 (예: 악수, 키스)
비말 전파: 감염된 사람이 기침, 재채기, 말할 때 생성되는 비말을 통해 전파
수직 전파: 임신, 출산 또는 모유 수유를 통해 모체에서 자손에게 전파
간접 전파공기 매개 전파: 에어로졸 상태의 병원체가 공기를 통해 전파 (장거리 전파 포함)
매개체 전파: 오염된 물건(fomite)이나 음식, 매개 동물을 통해 전파
구강-분변 전파: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소화기계를 거쳐 전파
기타
관련 용어감염원
숙주
전파 매개체
감수성
추가 정보감염 경로는 질병의 확산 및 통제에 중요한 요소이다.

2. 주요 감염 경로

감염성 질환 병원체는 동일 세대 간의 수평적 전파와 부모에게서 자손으로 전달되는 수직 전파로 나눌 수 있다.[3][5]


  • '''수평적 전파''': 같은 연령대의 동료 간에 전파되는 방식이다. 직접 접촉(핥기, 만지기, 물기), 공기 매개(기침, 재채기), 간접 접촉(매개체, 매개물)을 통해 이루어진다.[3]
  • '''수직적 전파''': 부모에게서 자손에게 병원체가 전달되는 방식이다. (예: 태아기 또는 출생 전후 전파)[5]


병원체의 전파는 직접 접촉, 오염된 음식, 체액 또는 물체, 공기 중 흡입 또는 매개 생물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7]

  • '''감염력''': 생물체가 숙주에 침입하여 생존하고 증식할 수 있는 능력[6]
  • '''전염성''': 질병 병원체가 다른 숙주로 전파되는 상대적 용이성[6]
  • '''전파력''': 감염된 숙주와 비감염된 숙주 간의 접촉을 고려할 때 감염의 확률[8]


역학에서 전파 경로는 중요하다. 사회경제적, 문화적 특징 등에 따라 인구 집단과 그룹 간에 접촉 패턴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깨끗한 물 공급이 부족하여 개인 및 식품 위생이 불량하면 콜레라와 같은 분변-경구 경로를 통한 질병 전파가 증가할 수 있다.

2. 1. 직접 접촉 감염

직접 접촉 감염은 병원체를 가진 사람이나 동물과 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이다.

'''감염력'''은 생물체가 숙주에 침입하여 생존하고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질병 병원체의 '''전염성'''은 다른 숙주로 전파되는 상대적 용이성을 나타낸다.[6] 병원체는 직접 접촉, 오염된 음식, 체액 또는 물체, 공기 중 흡입, 매개 생물 등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7]

'''전파력'''은 감염된 숙주와 비감염된 숙주 간의 접촉을 고려할 때 감염될 확률이다.[8]

'''지역사회 전파'''는 질병 확산의 감염원을 알 수 없거나, 환자와 다른 사람 간의 접촉에서 연결 고리가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확인된 사례를 넘어 지역사회에서 역학적 연관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다.[9][10][11]

'''국소 전파'''는 감염원이 보고된 위치(국가, 지역, 도시 등) 내에서 확인된 경우를 의미한다.[12]

직접 접촉 감염은 일반적으로 피부 접촉, 점막 접촉, 성 접촉, 경피 감염, 타액 감염, 의료 관련 감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2. 1. 1. 피부 접촉

피부나 점막의 접촉, 또는 의료종사자의 손과 청진기 등의 기구, 난간이나 손잡이 등 환자 주변의 물체 표면을 통한 간접적인 접촉으로 병원체가 부착되어 감염이 일어난다.

직접 접촉은 피부와 피부의 접촉, 키스, 성교를 통해 발생한다. 직접 접촉은 또한 감염성 미생물을 품고 있는 토양이나 식물과의 접촉을 의미한다.[18] 대변-경구 전파는 주로 간접 접촉 경로로 간주되지만, 직접 접촉 또한 대변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19][20]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 있는 질병은 전염성 질환이라고 한다. (전염성은 감염성과 동일하지 않다. 모든 전염병은 감염성이지만, 모든 감염성 질병이 전염성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질병은 수건을 공유하거나(수건이 두 사람의 몸에 세게 문지르는 경우) 몸에 밀착된 의류(예: 양말)를 공유하는 경우에도 세탁하지 않고 사용하면 전파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염병은 수건을 공유하고 탈의실에서 개인 의류가 실수로 바뀌는 학교에서 자주 발생한다.

무좀, 농가진, 매독, 사마귀, 결막염 등이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 있는 질병의 예이다.[21]

2. 1. 2. 점막 접촉

감염자의 혈액이나 체액 등이 눈, 코, 입 등의 점막에 닿아 감염된다. 감염 경로는 직접적인 것과 매개물을 통한 간접적인 것이 있다.[1] 경피감염에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1]

유행성 각결막염 등의 안과 질환이 대표적이다.[1]

2. 1. 3. 성 접촉

성행위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이다. 다른 사람과의 성행위, 질 성교 또는 항문 성교를 포함하며, 드물게 구강 성교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감염 전파는 성교 중 접촉하는 표면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하거나, 감염원을 운반하는 분비물(정액 또는 흥분된 여성이 분비하는 체액)을 통해 발생한다. 이러한 감염원은 음경, 질 또는 직장의 미세한 상처를 통해 파트너의 혈류로 들어간다.

성적 경로를 통해 전파될 수 있는 일부 감염에는 HIV/AIDS, 클라미디아, 성기 사마귀, 임질, B형 간염, 매독, 헤르페스, 트리코모나스증 등이 있다.[22]

2. 1. 4. 경피 감염

피부는 일반적으로 병원체의 침입을 막는 힘을 가지고 있지만, 모기, 곤충, 개 등에게 물리거나 쏘이면 병원체가 체내에 침입할 수 있다. 기생충이 직접 체내로 경피 침입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처나 화상으로 인해 피부의 방어 기능이 상실된 부분으로부터 병원체가 침입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로를 '''경피 감염'''이라고 부른다. 주사 바늘에 찔리는 사고도 경피 감염에 포함된다.[18]

경피 감염의 예로는 , 광견병, 쥐물림병, 에볼라 출혈열, 파상풍, 가스괴저 등이 있다.

2. 1. 5. 타액 감염

타액 속에 서식하는 병원체가 입맞춤 등으로 타액을 통해 감염되는 것을 '''타액 감염'''이라고 한다.

HIV와 B형 간염성병이지만, 구강 접촉으로는 일반적으로 전파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구강 성교 중에는 생식기와 구강 사이에 일부 성병이 전파될 수 있으며, HIV의 경우 이러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생식기 감염에서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일반적으로 구강 감염을 일으킴)의 발생률 증가와 구강 감염에서 2형 바이러스(생식기에 더 흔함)의 발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

주로 구강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은 키스와 같은 직접적인 구강 접촉이나, 컵이나 담배를 함께 사용하는 것과 같은 간접적인 접촉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키스나 기타 직접 또는 간접적인 구강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진 감염에는 비말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모든 감염과 (적어도) 모든 형태의 헤르페스 바이러스(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헤르페스 단순 바이러스(특히 HSV-1), 전염성 단핵구증 등)가 포함된다.

2. 1. 6. 의료 관련 감염 (의원성 감염)

의료 절차로 인한 전파(의원성 감염)는 상처를 만지거나 오염된 의료 장비를 사용하거나, 감염된 물질의 주사 또는 장기 이식 등으로 발생한다. 크로이츠펠트-야코브병, HIV 등 여러 질병이 의원성으로 전파될 수 있다.[24][25]

주사, 수혈, 치과 치료 등 의료 행위 과정에서 MRSA, HIV, B형 간염, C형 간염,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 등이 감염될 수 있다.[24][25] 다량 노출 시 매독 감염도 고려된다.

정맥 주사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바늘이나 주사기를 여러 사람이 공유하면 혈액 매개 질환(C형 간염, HIV 등)에 감염될 수 있다.[26]

2. 2. 간접 접촉 감염

간접 접촉 감염은 오염된 물체나 환경을 통해 병원체가 간접적으로 전파되는 경우이다. 감염성 질환 병원체는 직접 접촉 외에도 공기(기침, 재채기)나 간접 접촉을 통해 수평적으로 전파될 수 있다.[3] 또는 수직 전파를 통해 부모에게서 자손에게 병원체가 전달될 수도 있다.[5]

병원체는 직접 접촉, 오염된 음식, 체액 또는 물체, 공기 중 흡입, 매개 생물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7]

'''감염력'''은 생물체가 숙주에 침입하여 생존하고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이며, '''전염성'''은 질병 병원체가 다른 숙주로 전파되는 상대적 용이성을 나타낸다.[6] '''전파력'''은 감염된 숙주와 비감염된 숙주 간의 접촉을 고려할 때 감염의 확률이다.[8]

간접 접촉 감염은 크게 매개물 감염과 경구 감염으로 나눌 수 있다.

2. 2. 1. 매개물 감염

오염된 물건 등을 매개로 하여 감염되는 경우이다. 식중독, 디프테리아, B형 간염, 결핵 등이 이에 해당한다.[18]

매개물 전파는 비생물체의 오염을 통한 전파를 포함한다. 감염원을 간접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매개물에는 식품, 물, 혈액과 같은 생물학적 제품 및 손수건, 침구 또는 외과용 메스와 같은 매개물(fomite)이 포함된다. 매개물은 식품이나 물이 A형 간염 바이러스를 운반하는 경우처럼 수동적으로 병원체를 운반할 수 있다. 또는 부적절하게 캔에 담긴 식품이 ''보툴리눔균''에 의한 보툴리눔 독소 생성을 지원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매개물은 병원체가 성장, 증식 또는 독소를 생성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18]

피부점막의 접촉, 또는 의료종사자의 손과 청진기 등의 기구, 난간이나 손잡이 등 환자 주변의 물체 표면을 통한 간접적인 접촉으로 병원체가 부착되어 그 결과 감염이 일어날 수 있다.

2. 2. 2. 경구 감염

병원체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여 감염되는 경우이다.

경구 감염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18]



1940년 미국 WPA 포스터. 현대식 변기를 장려하는 내용


분변-경구 경로


분변-경구 경로는 사람의 분변 입자에 있는 병원체가 다른 사람의 입으로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18] 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한 간접 접촉 경로로 간주되지만, 분변이나 오염된 신체 부위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19][20] 또한 오염된 화장실에서 나오는 에어로졸을 통한 비말 또는 공기 전파를 통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28][29]

분변-경구 질병 전파의 주요 원인으로는 적절한 위생 시설 부족과 열악한 위생 습관이 있다. 사람들이 화장실 사용 후 음식을 준비하거나 환자를 돌보기 전에 손을 제대로 씻지 않을 때, 오염된 식품이나 물을 통해 분변-경구 전파가 일어날 수 있다.

분변-경구 전파 경로는 적절한 위생 시설에 접근할 수 없는 도시 빈민가에 사는 개발도상국 사람들에게 공중 보건 위험이 될 수 있다. 인간 배설물이나 처리되지 않은 하수가 음용수원(지하수 또는 지표수)을 오염시켜, 오염된 물을 마시는 사람들이 감염될 수 있다. 일부 개발도상국에서는 노상 배변 또한 분변-경구 경로를 통한 질병 전파의 원인이 된다.

선진국에서도 정기적인 시스템 고장으로 인해 하수 역류가 발생하여 콜레라, A형 간염, 폴리오, 로타바이러스, ''살모넬라'' 및 기생충(예: ''회충'')과 같은 감염원이 전파될 수 있다.

2. 3. 공기 매개 감염

공기 매개 감염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병원체를 흡입하여 감염되는 경우이다. 공기 매개 전파는 감염성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말핵(증발된 비말의 잔여물)을 통해 퍼진다.[13] 이러한 미생물은 체외에서 생존하여 오랫동안 공기 중에 떠 있을 수 있다.[13]

감염성 질환 병원체는 같은 연령대의 동료 간 수평적 전파, 부모에서 자손으로 전달되는 수직 전파 등으로 전파될 수 있다.[3][5] '''감염력'''은 생물체가 숙주에 침입하여 생존하고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질병 병원체의 '''전염성'''은 질병 병원체가 다른 숙주로 전파되는 상대적 용이성을 나타낸다.[6] 병원체의 전파는 직접 접촉, 오염된 음식, 체액 또는 물체, 공기 중 흡입 또는 매개 생물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7]

'''전파력'''은 감염된 숙주와 비감염된 숙주 간의 접촉을 고려할 때 감염의 확률이다.[8] '''지역사회 전파'''는 질병 확산의 감염원이 알 수 없거나 환자와 다른 사람 간의 접촉 측면에서 연결 고리가 누락된 경우를 의미한다.[9][10][11] '''국소 전파'''는 감염원이 보고 위치(국가, 지역 또는 도시 등) 내에서 확인된 경우를 의미한다.[12]

전파 경로는 역학자들에게 중요한데, 접촉 패턴은 사회경제적, 문화적 특징 등에 따라 인구 집단과 그룹 간에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깨끗한 물 공급이 부족하여 개인 및 식품 위생이 불량하면 콜레라와 같은 분변-경구 경로를 통한 질병 전파가 증가할 수 있다.

2. 3. 1. 비말 감염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해 튀어나오는 침방울(비말)은 병원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것이 다른 사람의 점막에 부착하여 감염이 일어난다.[49] 비말은 크기가 커서 공중에 오래 떠 있지 못하고, 보통 짧은 거리에서 흩어진다.[49] 비말 입자는 5 마이크로미터 이상이다.[46] 비말에 의한 감염은 눈, 코, 입 등 감염에 취약한 점막 표면에 부착되거나, 오염된 표면에 닿은 손으로 얼굴을 만졌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비말 감염을 통해 퍼지는 병원체는 다음과 같다:

비말 감염 병원체[16][17]
바이러스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RS 바이러스, 인간 메타뉴모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세균백일해균, 폐렴구균, 화농성 연쇄상구균, 디프테리아, 풍진



수술용 마스크 착용은 착용자로부터의 호흡기 비말 전파를 줄일 수 있다.[15]

2. 3. 2. 비말핵 감염 (공기 감염)

비말핵 감염은 공기 중에 흩어진 병원체가 비말에서 수분이 증발한 후에도 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가벼운 입자(비말핵) 상태로 병원성을 유지하며 전파되는 감염 방식이다.[45] 비말핵은 장시간 공기 중에 떠다니며 90cm 이상의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고,[45] 호흡을 통해 흡입되어 감염을 일으킨다. 먼지와 함께 바이러스를 흡입해도 감염될 수 있다.

결핵, 수두, 홍역, 천연두가 대표적인 비말핵 감염 질환이다.[47] 노로바이러스도 주로 경구 감염으로 전파되지만, 비말핵 감염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40] 이러한 질환들은 병원 내에서 원내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 감염 관리가 중요하다.

공기 매개 전파는 감염성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말핵(증발된 비말의 잔여물)을 통해 퍼지는 감염원을 가리킨다.[13] 이러한 미생물은 체외에서 생존하여 오랫동안 공기 중에 떠 있을 수 있다.[13] 공기 매개 감염의 입자 크기는 5 μm 미만이어야 하며,[14] 건조 및 습윤 에어로졸을 모두 포함한다. 일반적인 오염을 피하기 위해 별도의 환기 시스템이나 음압 환경이 필요하다.

인플루엔자코로나바이러스 등이 공기 감염(엄밀히는 에어로졸 감염)을 일으키는지, 그리고 이것이 주요 감염 경로인지는 여전히 논쟁 중이다.[48]

2. 4. 매개체 감염

체체파리


다른 동물(특히 절지동물)이 매개체(벡터)가 되어 병원체를 전파함으로써 감염이 성립하는 경우가 있다. 매개체 감염은 병원체의 생활환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 병원체가 매개체 내에서 발육, 증식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 (생물학적 전파)

# 단순히 매개체의 몸 표면에 부착한 병원체가 기계적으로 전파되는 경우 (기계적 전파)

각 유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2. 4. 1. 생물학적 매개체

병원체는 매개체 내에서 증식하거나 생활사의 일부를 거친다. 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다.[27]

생물학적 매개체는 병원체를 자신의 몸속에 보유하고 있으며, 보통 물림을 통해 새로운 숙주에게 병원체를 적극적으로 전달한다. 혈액 매개 질환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생물학적 매개체는 대개(항상 그런 것은 아님) 절지동물이며, 모기, 진드기, 벼룩, 등이 해당된다. 병원체의 생활 주기에서 매개체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27]

2. 4. 2. 기계적 매개체

매개체의 몸 표면에 병원체가 부착하여 기계적으로 전파되는 경우이다. 파리에 의한 장출혈성 대장균이질균의 매개, 조류 인플루엔자의 닭장 간 매개가 그 예시이다.[27]

2. 5. 수직 감염 (모자 감염)

수직 감염은 어머니에게서 자녀에게 병원체가 전파되는 경우이다. 이는 임신, 출산(주산기 감염) 과정이나 출산 후 신체 접촉, 모유 수유를 통한 유즙 전파 등으로 발생한다. HIV, B형 간염, 매독 등이 수직 감염으로 전파될 수 있다.[23]

수직 감염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태내 감염 (경태반 감염, 경양수 감염)
  • 산도 감염 (경질 감염)
  • 모유 감염

2. 5. 1. 태내 감염

태반을 통해 혈액으로 감염된다. 풍진 바이러스, HIV, 거대세포바이러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5. 2. 산도 감염 (주산기 감염)

출산할 때 출혈이나 피부 찰과상을 통해 감염된다. B형 간염이나 HIV 등이 이에 해당한다.[1]

2. 5. 3. 모유 감염

HIV와 성인 T세포 백혈병 등은 모유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23]

Brocky, Karoly - Mother and Child (1846-50)

3. 감염 경로 추적 및 식별

감염병 전파 추적은 질병 감시라고 한다. 공공 영역에서의 감염병 감시는 전통적으로 국제적, 국가적 또는 지역적 차원에서 보건 기관의 책임이었다. 보건 담당자는 의료 종사자와 미생물학 실험실이 신고 대상 질병 사례를 보고하도록 의존하며, 집계 데이터 분석은 질병 확산을 보여주는 역학 전문 분야의 핵심이다.[30]

신고 대상이 아닌 대부분의 질병 확산을 이해하려면 특정 연구, 보험 회사 데이터, 항균 약품 판매와 같은 기존 데이터 집합을 활용해야 한다. 병원, 교도소, 요양원, 기숙학교, 고아원, 난민 캠프 등 기관 내 전파는 감염 관리 전문가가 의료 기록을 검토하여 분석한다.

전통적인 방법은 느리고 노동 집약적이어서, 대리 지표가 모색되었다. 예를 들어 유행성 독감 유사 질환 추적이 하나의 대리 지표이다.[30] 특정 웹 검색어 활동 패턴을 통해 인플루엔자 유행병을 추적하는 도구가 개발되었고, 인플루엔자 관련 웹 검색 빈도는 감염자 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웹 검색어의 시공간적 관계를 조사하면 인플루엔자[31]뎅기열[32] 확산을 근사할 수 있다.

감염병 확산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사용되었다.[33] 인간 집합은 전파, 감염병의 계절적 변화, 발병을 유발할 수 있다. (예: 연례 개학, 신병훈련소 입소, 연례 하지) 최근 휴대전화 데이터가 인구 이동을 포착하여 홍역 등의 감염병 전파를 예측할 수 있다.[34]

3. 1. 병원체 확인 가능 시

환자가 공유하는 난간이나 의료기기 등의 표면을 닦아 배양(환경 검사)하여 병원체가 검출되면 그 물체가 감염 경로 중 하나라고 추정한다. 또한 세균 감염의 경우, 펄스필드겔전기영동을 통해 유전자형의 유사성을 조사하면 벡터감염의 시간적 순서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처음 집단 내에 병원체가 유입된 경위를 알 수 있는 경우가 많다.[30]

3. 2. 병원체 확인 불가 시

역학 조사를 통해 감염자와 비감염자의 행동 양식, 생활 환경, 접촉력 등을 비교 분석하여 감염 경로를 추정한다.[34] 초기 SARS와 같이 병원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우선 환자와 건강한 사람을 격리하여 각각의 행동 패턴, 생활 환경, 타인과의 접촉 이력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중에서 감염 유무와 상관관계가 있는 요인을 역학적으로 분석하여 감염 경로를 추정한다. 예를 들어, 환자로부터 떨어져 앉은 같은 방 사람 여러 명에게 발병이 확인된 경우, 비말핵 감염(공기 감염)이 의심된다.

4. 한국 사회와 감염병

한국은 밀집된 도시 환경, 활발한 대중교통 이용, 잦은 회식 문화 등으로 인해 감염병 전파 위험이 높은 편이다.[1] 특히,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 유행을 겪으면서 감염병 예방 및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2] 더불어민주당은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국가의 적극적인 역할과 공공의료 강화, 취약 계층 지원 확대를 주장해 왔다.[3]

참조

[1] 서적 Parasitism: The Diversity and Ecology of Animal Parasi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 학술지 New WHO proposed terminology for respiratory pathogen transmission https://www.nature.c[...] 2024-07-03
[3] 웹사이트 Horizontal Disease Transmission http://www.online-me[...]
[4] 웹사이트 Routes of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agents http://www.vet.uga.e[...] The University of Georgia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5] 웹사이트 Vertical transmission http://www.medterms.[...]
[6] 웹사이트 Glossary of Notifiable Conditions http://www.doh.wa.go[...]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Health 2010-02-03
[7] 서적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McGraw Hill
[8] 웹사이트 Notes on R0 https://web.stanford[...] Department of Anthropological Sciences, Stanford University 2007-05
[9] 웹사이트 Novel Coronavirus (COVID-19) Resources https://asm.org/Pres[...]
[10] 웹사이트 Gainers and losers in the time of nCoV https://www.manilati[...] 2020-02-10
[11] 웹사이트 Global economy looks woozy https://www.pressrea[...] 2020-02-28
[12] 웹사이트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Situation Report – 47 https://www.who.int/[...] 2020-03-08
[13] 웹사이트 Clinical Educators Guide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Infection in Healthcare https://www.nhmrc.go[...] Commonwealth of Australia 2020-11-10
[14] 웹사이트 Prevention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s http://apps.who.int/[...]
[15] OSH Answers Fact Sheets Respiratory Protection Against Airborne Infectious Agents for Health Care Workers: Do surgical masks protect workers? http://www.ccohs.ca/[...] Canadian Centre fo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2017-02-28
[16] 웹사이트 What is Diseases contagious from droplets? http://www.rightdiag[...]
[17] 웹사이트 Pass the message: Five steps to kicking out coronavirus https://www.who.int/[...] 2020-03-24
[18] 웹사이트 Principles of Epidemiology: Chain of Infection https://www.cdc.gov/[...] 2020-07-21
[19] 웹사이트 Common Vehicle Spread https://sphweb.bumc.[...] 2020-07-21
[20] 백과사전 Fecal-Oral Transmission John Wiley & Sons, Inc. 2017-04-16
[21] 서적 Jawetz, Melnick & Adelberg's Medical Microbiology McGraw-Hill Education 2019
[22] 서적 Great Relationships and Sex Educ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2023-07-11
[23] 학술지 The Epidemiology and Evolution of Symbionts with Mixed-Mode Transmission 2013
[24] 웹사이트 Creutzfeldt-Jakob disease https://www.nhs.uk/c[...] 2023-09-12
[25] 학술지 Massive Iatrogenic Outbreak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in Rural Cambodia, 2014-2015 2018-05
[26] 웹사이트 HIV and Injection Drug Use {{!}} HIV Transmission {{!}} HIV Basics {{!}} HIV/AIDS {{!}} CDC https://www.cdc.gov/[...] 2023-09-12
[27] 웹사이트 Pathogens and vectors http://www.metapatho[...]
[28] 학술지 Lifting the lid on toilet plume aerosol: a literature review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2013-03
[29] 학술지 Aerosol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 2015-05
[30] 학술지 Optimizing influenza sentinel surveillance at the state level 2009-11
[31] 학술지 Detecting influenza epidemics using search engine query data http://li.mit.edu/St[...] 2009-02
[32] 학술지 Using web search query data to monitor dengue epidemics: a new model for neglected tropical disease surveillance 2011-05
[33] 학술지 Mathematical modeling of infectious disease dynamics 2013-05
[34] 학술지 Quantifying seasonal population fluxes driving rubella transmission dynamics using mobile phone data 2015-09
[35] 학술지 Externalities, public goods, and infectious diseases. http://www.paecon.ne[...] 2022-03
[36] 논문 Mom knows best: the universality of maternal microbial transmission 2013
[37] 논문 Defensive microbial symbionts in Hymenoptera 2013
[38] 논문 Horizontal endosymbiont transmission in hydrothermal vent tubeworms 2006-05-00
[39] 웹사이트 用語の解説 https://www.mhlw.go.[...]
[40] 뉴스 「エアロゾル感染」「空気感染」違いはあるの? 新型コロナめぐり混乱、専門家の見解 https://www3.j-cast.[...]
[41] 웹사이트 医学辞書 空気伝播 https://medical-dict[...] 2021-01-09
[42] 웹사이트 WHO airborne tansmission definition https://www.who.int/[...] WHO 2021-01-09
[43] 서적 日本標準化学辞典 第2版 丸善 2005
[44] 간행물 「空気感染」を誤解していませんか? https://medical.nikk[...] 2020-08-08
[45] 웹사이트 Clinical Educators Guide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Infection in Healthcare https://www.nhmrc.go[...] 2015-09-12
[46] 웹사이트 Prevention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s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0-03-00
[47] 문서 通常は口腔内に帯状疱疹が生じ、それが飛沫として拡散された場合に限定される。
[48] 웹사이트 新型インフルエンザ対策に関するエビデンスのまとめ インフルエンザの伝播経路 http://www.virology.[...] 2020-12-15
[49] 웹사이트 Clinical Educators Guide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infection in healthcare https://www.nhmrc.go[...] NHMRC, Commonwealth of Australia 2010
[50] 웹사이트 What is Diseases contagious from droplets? http://www.rightdiag[...] 2015-07-00
[51] 웹사이트 Pass the message: Five steps to kicking out coronavirus https://www.who.int/[...] 2020-03-24
[52] OSH Answers Fact Sheets Respiratory Protection Against Airborne Infectious Agents for Health Care Workers: Do surgical masks protect workers? http://www.ccohs.ca/[...] Canadian Centre fo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2017-02-28
[53] 웹사이트 新型コロナ デルタ株“空気感染”する?! いま分かっていること https://www3.nhk.or.[...] 2021-09-14
[54] 웹사이트 Principles of Epidemiology: Chain of Infection https://www.cdc.gov/[...] 2019-02-18
[55] 웹사이트 Common Vehicle Spread https://sphweb.bumc.[...] 2016-01-06
[56] 논문 Fecal-Oral Transmission http://doi.wiley.com[...] John Wiley & Sons, Inc. 2017-04-16
[57] 웹사이트 Warding off germs this winter: What's helpful, what's not https://www.health.h[...] 2023-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