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랠프 월도 에머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랠프 월도 에머슨은 1803년 보스턴에서 태어나 유니테리언 목사였던 윌리엄 에머슨의 아들로, 미국의 사상가이자 시인이자, 에세이 작가이자 강연가로 활동했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목사로 활동하다가, 성찬에 대한 견해 차이로 사임한 후 유럽 여행을 통해 사상을 형성했다. 에머슨은 동양 사상과 청교도적 기독교관을 비판하며, 개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인주의적이고 범신론적인 초월주의 철학을 발전시켰다. 그는 초월주의 클럽을 결성하고, 《자연》, 《미국 학자》, 《자기신뢰》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미국의 문학적 독립을 주장하며, 미국 문학과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에머슨의 사상은 뉴 thought 운동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으며, 한국의 지식인 사회와 민주주의, 개인주의 사상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는 '콩코드의 현인'으로 불리며, 미국의 지적 문화를 이끈 선구적인 강연자이자 웅변가로 평가받지만, 인종에 대한 모호한 태도와 엘리트주의적 경향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월주의 - 콩코드 (매사추세츠주)
    미국 매사추세츠주 미들섹스 카운티의 콩코드는 1635년 정착되어 미국 독립 전쟁의 시작점인 렉싱턴-콩코드 전투의 무대이자 19세기 랠프 왈도 에머슨을 중심으로 초절주의 문학이 번성했던 곳이며, 콩코드 포도 개발지로 미국 최초 PET 생수병 판매 금지 조치를 시행한 도시이다.
  • 초월주의 - 자연 (수필)
    《자연》은 랄프 왈도 에머슨이 쓴 수필로,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영적 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며, 초월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자연을 신성한 존재로 묘사한다.
  • 미국의 일기 작가 - 로널드 레이건
    미국의 배우 출신으로 캘리포니아 주지사를 거쳐 제40대 대통령을 지낸 로널드 레이건은 레이거노믹스 정책으로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소련과의 긴장 완화로 냉전 종식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재정 적자 증가와 소득 불평등 심화, 이란-콘트라 사건 등 논란도 있었다.
  • 미국의 일기 작가 - 헨리 데이비드 소로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미국의 작가이자 철학자, 자연주의자로서, 월든 연못에서의 자급자족 생활을 담은 『월든』과 시민 불복종 사상으로 미니멀리즘, 비폭력 저항 운동, 환경 보호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랠프 월도 에머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랠프 월도 에머슨 (1857년경)
에머슨 (1857년경)
출생일1803년 5월 25일
출생지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사망일1882년 4월 27일
사망지미국 매사추세츠주 콩코드
에머슨 서명
에머슨 서명
다른 이름콩코드의 현자
학력 및 경력
모교하버드 대학교
기관하버드 대학교
종교기독교
교단유니테리언주의
안수1829년 1월 11일
사제직 사임1832년
철학
시대19세기 철학
지역미국 철학
사상초월주의
주요 관심사개인주의, 자연, 신성, 문화 비평
주요 사상자기 신뢰, 투명한 눈알, 이중 의식, 의식의 흐름
영향 받은 인물헨리 데이비드 소로
결혼
배우자엘런 루이자 터커 (1829년 결혼, 1831년 사망)
리디언 잭슨 에머슨 (1835년 결혼)

2. 생애

에머슨은 1803년 5월 25일 보스턴에서 유니테리언주의 교회 목사인 윌리엄 에머슨의 아들로 태어났다.[216] 그의 이름은 어머니의 오빠 랠프와 아버지의 증조할머니 레베카 왈도에서 따온 것이다.[217] 에머슨은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다섯 아들 중 둘째였다.[218]

아버지는 에머슨이 8세가 되기 전인 1811년 5월 12일 위암으로 사망했다.[219] 에머슨은 어머니와 고모 메리 무디 에머슨의 보살핌을 받았으며,[220] 메리 무디 에머슨은 1863년 사망할 때까지 그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221]

에머슨은 1812년 9세 때 보스턴 라틴 스쿨에서 정규 교육을 시작했고,[222] 1817년 14세에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신입생 연락 담당자로 임명되었다.[223] 학비 마련을 위해 학생 식당 웨이터, 매사추세츠주월섬의 삼촌 사무엘의 임시 강사 등으로 일했다.[225] 1821년 18세에 하버드 대학교 졸업식에서 자작시를 발표하고,[227] 59명의 동급생 중 중간 정도로 졸업했다.[228]

1826년 건강 문제로 따뜻한 기후를 찾아 사우스캐롤라이나주찰스턴을 거쳐 플로리다주세인트오거스틴으로 이주했다.[229] 세인트오거스틴에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조카 아킬 뮤라 왕자를 만나 종교, 사회, 철학, 정치에 대해 토론했다.[230]

1832년 12월 25일, 유럽 여행을 시작하여[248] 이탈리아 여러 도시를 방문하고, 존 스튜어트 밀을 만나 토머스 칼라일에게 소개장을 받았다. 파리 자르댕 데 플랑트 식물원에서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통찰을 얻었고,[250] 영국 낭만주의 시인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윌리엄 워즈워스를 만나 모든 사람이 유일하고 중요한 인간 본성을 가지고 있음을 깨달았다.[376] 토머스 칼라일은 에머슨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둘은 1881년 칼라일 사망 때까지 서신을 주고받았다.[252] 에머슨은 1833년 8월 9일 미국으로 돌아왔다.[253]

1835년 리디아 잭슨과 결혼하여 매사추세츠주 콩코드에 정착했다.[259] 콩코드 시 200주년 기념 강연을 하는 등[258] 지역 사회 지도자 중 한 명이 되었다. 에머슨 부부는 왈도, 엘렌, 에디트, 에드워드 왈도 에머슨 네 자녀를 낳았다.[263]

에머슨은 처음에는 노예 제도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세인트 오거스틴에서 노예 경매를 목격한 후 노예제 폐지론자로서 강연을 통해 견해를 피력했다.[28]

1867년부터 건강이 쇠퇴하기 시작했고,[146] 1871년 또는 1872년부터 기억력 문제가 나타나 실어증을 겪었다.[147] 1872년 콩코드 자택에 화재가 발생하여 강연 경력에 종지부를 찍었다.[156] 에머슨은 집 재건 중 영국, 유럽 대륙, 이집트를 여행하고, 1873년 미국으로 돌아왔다.[159]

1879년부터 대중 앞에 서는 것을 중단했고,[164] 1882년 4월 21일 폐렴 진단을 받고 6일 후 사망하여 콩코드, 슬리피 할로우 묘지에 안장되었다.[166]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랠프 월도 에머슨은 1803년 5월 25일 보스턴에서 유니테리언주의 목사인 아버지 윌리엄 에머슨과 어머니 루스 해스킨스 사이에서 태어났다.[10][216] 그의 이름은 어머니의 오빠 랠프와 아버지의 증조할머니 레베카 왈도에서 따온 것이다.[11][217] 에머슨은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다섯 아들 중 둘째였다.[12][218] 그의 가족은 초기 식민 시대부터 뉴잉글랜드에 거주해 온 영국계 혈통이었다.[13][216]

에머슨의 아버지는 그가 8세가 되기 2주 전인 1811년 5월 12일에 위암으로 사망했다.[15][219] 에머슨은 어머니와 그의 고모인 메리 무디 에머슨을 포함한 가족 내 다른 여성들의 보살핌 아래 성장했다. 특히 메리 무디 에머슨은 에머슨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으며,[16][220] 1863년 사망할 때까지 에머슨과 지속적인 서신 왕래를 했다.[17][221]

에머슨은 9세 때인 1812년에 보스턴 라틴 스쿨에서 정규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18][222] 1817년 10월, 14세의 나이에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학장의 신입생 심부름꾼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불량 학생들을 데려오고 교수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맡았다.[19][223] 3학년 중반, 에머슨은 자신이 읽은 책 목록을 작성하기 시작했고, "와이드 월드"라고 불리는 일련의 노트에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20][224] 그는 학비를 벌기 위해 여러 부업을 했는데, 주니어 커먼스의 웨이터, 삼촌 사무엘 및 이모 사라 리플리와 함께 매사추세츠주 왈섬에서 임시 교사로 일하기도 했다.[21][225] 4학년 때, 에머슨은 미들 네임인 왈도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22][226] 에머슨은 학급 시인으로 활동했으며, 관례에 따라 1821년 8월 29일 18세에 공식 졸업하기 한 달 전 하버드 학급 날에 자작시를 발표했다.[23][227] 그는 학생으로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고, 59명의 동기들 중 정확히 중간 성적으로 졸업했다.[24][228]

2. 2. 초기 경력과 결혼

1826년 하버드 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한 에머슨은 1829년 유니테리언 보스턴 제2교회의 목사가 되었으나, 성찬에 대한 견해 차이로 1832년 사임하였다.[374] 그는 성찬 의식이 성경의 가르침에 어긋난다고 생각했다.[374]

에머슨은 1827년 크리스마스에 뉴햄프셔주 콩코드에서 엘렌 루이자 터커를 처음 만났고, 1829년에 결혼했다.[37] 부부는 보스턴으로 이사했으나, 엘렌은 이미 결핵을 앓고 있었다.[38] 에머슨의 어머니 루스도 엘렌을 간호하기 위해 함께 이사했다.[38] 1831년 2월 8일, 엘렌은 2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9] 에머슨은 아내의 죽음에 큰 슬픔을 느꼈고, 매일 록스베리에 있는 그녀의 묘지를 방문했다.[40] 1832년 3월 29일 일기에는 "나는 엘렌의 무덤을 방문하여 관을 열었다"고 적혀있다.[41]

보스턴의 세컨드 교회는 에머슨에게 부목사로 봉사해 줄 것을 요청했고, 그는 1829년 1월 11일에 서품을 받았다.[42] 그의 초기 연봉은 연간 1200USD였으며, 7월에는 1400USD로 인상되었다.[43] 그는 매사추세츠 주의회의 군목이자 보스턴 학교 위원회의 일원이기도 했다.[44]

아내가 죽은 후, 에머슨은 교회의 방식에 동의하지 않기 시작했다.[45] 1832년 6월 일기에 "훌륭한 목사가 되기 위해서는 목회를 떠나야 한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그 직업은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썼다.[45] 그는 성찬 집행에 대한 교회 관계자들과의 불일치와 공적인 기도에 대한 의구심으로 인해 결국 1832년 사임했다.[46] 그는 "이러한 방식으로 그리스도를 기념하는 것은 나에게 적합하지 않다. 그것이 내가 그것을 포기해야 할 충분한 이유이다"라고 썼다.[46][47]

2. 3. 유럽 여행과 사상 형성

1832년 12월 25일, 에머슨은 재스퍼 호를 타고 몰타로 향하며 유럽 여행을 시작했다.[248] 그는 이탈리아로마, 피렌체, 베네치아 등 여러 도시를 방문했고, 로마에서는 존 스튜어트 밀을 만나 토머스 칼라일에게 소개장을 받았다. 스위스에서는 볼테르의 집을 방문하기도 했다.[249]

에머슨은 유럽 체류 중 두 가지 큰 교훈을 얻었다.[376]

  • 파리의 자르댕 데 플랑트 식물원을 방문하여 자연주의(철학)에 대한 통찰을 얻었다. 그는 자연이 인간 안에 내재되어 있으며, 인간은 자연의 일부라는 것을 깨달았다. 리처드슨은 "Jardin des Plantes에서 에머슨이 사물의 상관 관계에 대해 통찰한 순간은 그를 신학에서 멀어지게 하고 과학으로 향하게 한 거의 신비로운 순간이었다"고 평가했다.[250]
  •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윌리엄 워즈워스를 만나 그들이 평범한 젊은이들임을 발견하고, 모든 사람이 유일하고 중요한 인간 본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376]


토머스 칼라일은 에머슨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에머슨은 훗날 미국에서 칼라일의 비공식 대리인이 되었으며, 1835년 3월에는 칼라일에게 미국 강연을 제안하기도 했다.[251] 두 사람은 1881년 칼라일이 사망할 때까지 서신을 주고받았다.[252]

에머슨은 1833년 8월 9일 미국으로 돌아왔다.[253]

2. 4. 초월주의 운동과 문학 활동

1835년, 에머슨은 유럽에서 귀국한 후 범신론적인 초월주의 철학 입장에 섰다. 그는 자연과 신, 인간이 궁극적으로 하나로 연결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종교적 독단과 형식주의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와 내면의 신성을 강조했다.[216] 이러한 그의 사상은 당시 젊은 미국의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에머슨은 자신의 철학을 바탕으로 1836년, 초월주의 클럽을 결성했다. 이 모임은 뉴잉글랜드 지역의 지식인들이 모여 새로운 사상과 철학을 토론하는 장이 되었다.

같은 해, 에머슨은 그의 첫 번째 저서인 《자연》(Nature)을 익명으로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개인의 영적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초월주의의 핵심 사상을 제시했다. 그는 자연을 단순한 물질적 존재가 아닌, 신성한 의미를 담고 있는 상징으로 보았다.

1837년에는 하버드 대학교파이 베타 카파 학회에서 《미국 학자》(The American Scholar)라는 제목의 연설을 했다. 이 연설에서 에머슨은 미국의 학자들이 유럽의 전통에 얽매이지 않고, 독자적인 사상과 문화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인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자연과 직접 교감하며,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연설은 미국의 지성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미국의 지적 독립선언'으로 불리기도 한다.

1838년, 에머슨은 하버드 신학부에서 《신학부 강연》(Divinity College Address)을 했다. 이 강연에서 그는 기존 기독교 교리의 권위를 부정하고, 개인의 직관과 경험을 통해 신성을 깨달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예수를 위대한 인물로 존경했지만, 그를 신격화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비판했다. 이러한 주장은 당시 기독교계에 큰 논란을 일으켰으며, 에머슨은 유니테리언 교단에서 이단으로 비판받기도 했다.[349]

에머슨은 헨리 데이비드 소로를 비롯한 여러 젊은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소로는 에머슨의 사상에 깊이 공감하여, 월든 호수에서 자연과 함께하는 삶을 실천하고 《월든》을 집필했다. 에머슨은 소로의 재능을 알아보고 그를 격려했으며, 두 사람은 평생 동안 깊은 우정을 나누었다.[328][329]

2. 5. 중년의 삶과 사회 참여

에머슨은 1835년 1월 24일 리디아 잭슨에게 청혼 편지를 썼고, 그녀는 1월 28일에 승낙했다.[256] 1835년 7월, 그는 매사추세츠주 콩코드의 케임브리지-콩코드 유료 도로 근처에 집을 구입했다. 이 집은 나중에 "Bush"라고 불렸으며, 현재는 랠프 월도 에머슨의 집으로 공개되어 있다.[257] 에머슨은 곧 콩코드의 지도자 중 한 명이 되었고, 1835년 9월 12일에는 콩코드 시 200주년 기념 강연을 했다.[258] 이틀 후, 그는 리디아 잭슨과 그녀의 고향인 매사추세츠 주 플리머스에서 결혼했고,[259] 9월 15일에는 에머슨의 어머니와 함께 콩코드의 새 집으로 이사했다.

에머슨은 아내의 이름을 리디안으로 바꾸고, 그녀를 Queenie[260] 또는 Asia라고 불렀다.[261] 아내는 그를 미스터 에머슨이라고 불렀다.[262] 그들은 왈도, 엘렌, 에디트, 에드워드 왈도 에머슨을 낳았다. 엘렌은 첫 번째 아내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리디안은 말했다.[263]

에머슨은 대학 시절 가난했지만,[264] 이후에는 가족을 부양했다.[265][266] 그는 첫 아내 엘렌의 죽음 이후 상당한 액수를 상속받았지만, 1836년에 이를 얻기 위해 터커 가문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야 했다. 1834년 5월, 그는 11600USD를,[267] 1837년 7월에는 추가로 11674USD를 받았다.[268] 1834년, 그는 첫 번째 유산 지급으로 1200USD의 수입을 예상했는데, 이는 목사로서의 수입과 맞먹는 금액이었다.

리디안 잭슨 에머슨과 아들 에드워드 왈도 에머슨의 은판 사진, 날짜 불명


에머슨은 노예 제도에 대해 처음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세인트 오거스틴에서 노예 경매가 열리는 동안 성경 협회 회의에 참석한 경험을 통해 노예 제도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되었다.[28] 그는 "한쪽 귀로는 기쁨의 기쁜 소식을 듣는 한편, 다른 쪽 귀로는 '갑니다, 신사 여러분, 갑니다!'"라고 기록하며 노예 제도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28] 이후 그는 노예제 폐지론자로서 강연을 통해 자신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피력했다.

2. 6. 말년과 죽음

말년의 에머슨


1867년부터 에머슨의 건강이 쇠퇴하기 시작했고, 글 쓰는 일도 줄어들었다.[146] 1871년 여름이나 1872년 봄부터 기억력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실어증을 겪었다.[147] 말년에는 자신의 이름조차 잊는 경우가 있었고, 기분을 묻는 질문에 "아주 좋습니다. 정신 능력을 잃었지만, 몸은 아주 건강합니다."라고 답하기도 했다.[149]

1871년 봄, 에머슨은 대륙횡단 철도 완공 2년 후 철도 여행을 떠났다. 캘리포니아에서 요세미티를 방문하여 존 뮤어를 만났는데, 이는 뮤어의 경력에 중요한 사건이었다.[150][151]

1872년 7월 24일, 콩코드에 있는 에머슨의 자택에 화재가 발생했다.[152] 이웃들의 도움으로 불을 끄려 했으나, 결국 포기하고 물건을 최대한 구하는 데 집중했다.[152] 화재 진압은 이프라임 웨일스 불의 외팔 아들 이프라임 불 주니어가 하였다.[153] 친구들은 에머슨 부부의 재건을 위해 기부금을 모았고, 프랜시스 캐봇 로웰(5000USD), 르바론 러셀 브리그스(10000USD), 조지 뱅크로프트(1000USD) 등이 개인 기부를 했다.[154] 또한, 앤 린치 보타, 제임스 엘리엇 캐봇, 제임스 T. 필즈 및 애니 애덤스 필즈 등이 거처를 지원했다.[155] 이 화재는 에머슨의 강연 경력에 종지부를 찍는 사건이 되었고, 이후 그는 특별한 경우에만 친숙한 청중 앞에서 강연했다.[156]

집을 재건하는 동안 에머슨은 영국, 유럽 대륙, 이집트를 여행했다. 1872년 10월 23일 딸 엘렌과 함께 떠났고,[157] 아내 리디안은 올드 맨스에서 친구들과 시간을 보냈다.[158] 에머슨과 엘렌은 1873년 4월 15일 친구 찰스 엘리엇 노턴과 함께 배 ''올림푸스''를 타고 미국으로 돌아왔다.[159] 콩코드 마을은 에머슨의 귀환을 축하했고, 학교는 휴교했다.[148]

에머슨의 묘 - 슬리피 할로우 묘지, 콩코드, 매사추세츠


에머슨의 묘비


1874년 말, 에머슨은 시 선집 ''파르나수스''를 출판했다.[160][161] 이 선집에는 안나 라에티티아 바보, 줄리아 캐롤라인 도어, 진 잉글로우, 루시 라컴, 존스 베리, 헨리 데이비드 소로 등 여러 작가의 시가 포함되었다.[160][161]

기억력 문제는 에머슨을 당혹스럽게 했고, 1879년부터는 대중 앞에 서는 것을 중단했다. 옥타비우스 B. 프로팅햄의 은퇴 기념 축하 행사에 초대받았지만, "저는 방문할 형편도 안 되고, 대화에 참여할 수도 없습니다. 노년이 지난 해에 갑자기 닥쳐와 혀를 묶고, 기억력을 잃어 집에서 머무는 것이 의무가 되었습니다."라고 썼다.[164] 홈즈는 "에머슨은 기억력이 감퇴하고 원하는 단어를 얻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사회에서 자신을 신뢰하는 것을 두려워합니다. 때때로 그의 당황스러움을 지켜보는 것은 고통스럽습니다."라고 말했다.[149]

1882년 4월 21일, 에머슨은 폐렴 진단을 받았다.[165] 6일 후 사망했고, 콩코드, 슬리피 할로우 묘지에 안장되었다.[166] 그는 미국 조각가 다니엘 체스터 프렌치가 제공한 흰색 가운을 입고 관에 안치되었다.[167]

3. 사상

1835년 유럽에서 귀국한 에머슨은 동양 사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청교도의 기독교적 인생관을 비판했다. 그는 종교적 독단이나 형식주의를 배척하고, 자신을 신뢰하며 인간성을 존중하는 개인주의적 사상을 주장했다. 또한 자연과 신, 인간은 궁극적으로 하나로 연결된다는 범신론초월주의 철학을 제시했다. 그는 "개인의 무한함"을 가르쳤으며, 이는 니체위버멘쉬 개념에 영향을 주었다.

에머슨은 19세기에 만연했던 염세주의에서 벗어나 인간의 선함을 강조하며 낙천주의를 옹호했다.[375] 그는 성경의 원죄 교리에 반대하며, 블레즈 파스칼이 인간의 부정적인 면만 지나치게 강조했다고 비판했다.

3. 1. 초월주의

에머슨은 청교도의 기독교적 인생관을 비판하며, 편협한 종교적 독단이나 형식주의를 배척하고 자신을 신뢰하며 인간성을 존중하는 개인주의적 사상을 주장했다. 그는 자연과 신과 인간은 궁극적으로 하나로 돌아간다는 범신론적인 초월주의 철학 입장에 섰다.[348] 그는 세속을 싫어하고 자연 속에서 사색을 쌓아 '문학적 철인'이라고 추앙받기도 하였다.

에머슨은 '자신이 가르친 유일한 교리는 "개인의 무한함"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이것은 평범한 개인을 강조한 것이며 니체의 위버멘쉬에도 영향을 미친 개념이다.

에머슨의 초월주의는 신이 진리를 직접 밝힐 필요 없이,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직접, 직관적으로 진리를 체득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한다.[349] 인간은 자연과 마찬가지로 신비로운 언어 활동·문필을 통해 직관으로 파악한 자연의 신비를 표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49]

초월주의 사상은 독일 관념철학과 낭만주의 운동과 호응하여 문학 운동에서 시작되었으며, 에머슨은 독일 시인들의 인지를 초월한 시재의 용출에 촉발되었다.[350] 부분적으로 성서 비평학의 영향을 받았다.[350] 높은 차원에서의 신 의식은 유니테리언 교파의 교의에서 유도된 것이며, "상응"이라는 중심 개념은 스베덴보르그 신학의 영향을 받고 있다. 에머슨은 『자연』에서 종교적 초월을 설파했지만, 스베덴보리처럼 자신 자체가 신비가가 되지는 않았다.

에머슨은 오래된 책이나 역사를 몰라도, 자연과 친밀하게 접하고 동화되면 숙련된 농부가 날씨를 읽는 것처럼 사람은 깊은 신지에 도달하여 창조의 비밀을 알 수 있다고 했다. 이러한 생각은 종교적으로 이단성이 있어, 비평가들은 에머슨이 중심이 되는 신의 상을 없애려 한다고 생각했다. 헨리 웨어 주니어는 에머슨이 "세계의 아버지"를 제거하고 "고아원의 아이들"만 남길 위험성이 있다고 말했다.[351]

3. 2. 개인주의

에머슨은 청교도의 기독교적 인생관을 비판하며, 편협한 종교적 독단이나 형식주의를 배척하고 자신을 신뢰하며 인간성을 존중하는 개인주의적 사상을 주장했다.[375] 그는 자신이 가르친 유일한 교리는 "개인의 무한함"(the infinitude of the private man)이라고 말했는데, 이는 평범한 개인, 즉 귀족이 아닐 뿐 아니라 국가와는 구별된 사적인 의미의 개인을 강조한 것이다. 에머슨의 이러한 사상은 니체위버멘쉬 개념에도 영향을 미쳤다.

3. 3. 자연관

에머슨은 만물이 신과 연결되어 있어 모두 신성하다고 믿었다.[348] 그는 신이 진리를 직접 드러낼 필요가 없으며, 인간은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직관적으로 진리를 깨달을 수 있다고 보았다.[349] 이러한 그의 사상은 초절주의의 기초가 되었다.

에머슨은 자연을 통해 신의 창조 활동과 그 효용을 중시했다. 또한 인간의 언어 활동 역시 신이 창조한 것이며, 인간에게만 주어진 '제2의 천지 창조'라고 생각했다.[37] 그는 인간이 자연과 같이 신비로운 언어와 글을 통해 자연의 신비를 표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7]

에머슨은 1826년에 출판된 샘슨 리드의 『마음의 성장에 관한 관찰』을 읽고 큰 영향을 받았다. 그는 리드의 저서를 반복해서 읽고 좌우명으로 삼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집필 활동을 시작했다.[375] 리드의 책에 나타난 상응이라는 개념은 에머슨 사상의 중심이 되었고, 이후 초절주의의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376]

에머슨은 낡은 책이나 역사 지식이 없어도 자연과 친밀하게 교감하면, 숙련된 농부가 날씨를 읽듯이 깊은 신지에 도달하여 창조의 비밀을 알 수 있다고 가르쳤다.[38] 이러한 그의 종교관은 당시에는 급진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비평가들은 에머슨이 신의 중심적인 상을 없애려 한다고 비판했다. 헨리 웨어 주니어는 에머슨이 "세계의 아버지"를 제거하고 "고아원의 아이들"만 남길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351]

에머슨의 대표작인 《자연》(1836)은 그의 자연관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책에서 에머슨은 종교적 초월을 설파했지만, 스베덴보리처럼 신비주의자가 되지는 않았다.[38]

3. 4. 종교관

랠프 월도 에머슨의 종교관은 당시 기준으로 급진적인 면이 있었다. 그는 만물이 신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 결과 모든 것이 신성하다고 믿었다.[348] 에머슨은 신이 창조한 자연의 효용을 중시하는 동시에, 인간에게만 주어진 언어 활동을 통해 제2의 천지 창조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는 신이 진리를 직접 밝힐 필요가 없으며, 인간은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직관적으로 진리를 체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49] 또한 인간은 자연과 같이 신비로운 언어와 문필을 통해 직관으로 파악한 자연의 신비를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초월주의 사상은 독일 낭만주의 운동과도 연결되며, 에머슨은 독일 시인들의 인지를 초월한 시적 재능에 영향을 받았다. 그는 독일 철학과 성서 비평학의 영향도 일부 받았다.[350]

에머슨은 높은 차원에서의 신 의식을 이야기했는데, 이는 유니테리언 교의에서 비롯된 결과로 여겨진다. 그의 중심 개념인 "상응"은 스웨덴보르그 신학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는 저서 《자연》에서 종교적 초월을 설파했지만, 스베덴보르그처럼 신비주의자가 되지는 않았다.

에머슨은 오래된 책이나 역사 지식 없이도 자연과 교감하고 동화되면, 숙련된 농부가 날씨를 읽듯 깊은 신지에 도달하여 창조의 비밀을 알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생각은 당시 종교적으로 이단적인 것으로 여겨졌고, 비평가들은 에머슨이 신의 중심적인 상을 없애려 한다고 비판했다. 헨리 웨어 주니어는 에머슨이 "세계의 아버지"를 제거하고 "고아원의 아이들"만 남길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351]

에머슨은 1829년 유니테리언 교회의 목사가 되었으나, 성찬에 대한 견해 차이로 1832년 사임했다. 그는 성찬 의식이 성경에 따른 현대 교회의 의무가 아니라고 주장했다.[374]

3. 5. 힌두교와 동양 사상의 영향

에머슨은 동양 사상, 특히 힌두교에 심취하여 청교도의 기독교적 인생관을 비판하였다.[377] 그는 베다우파니샤드를 공부했으며, 힌두교를 미국에 도입한 장본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377] 그의 저서 《보상》은 힌두교의 카르마 개념을 해석한 것이다.[377]

에머슨은 브라흐마초영혼(The Over-Soul)으로, 마야를 환상(illusion)으로 해석했다.[377] 그의 초월주의 철학은 자연과 신, 인간이 궁극적으로 하나로 돌아간다는 범신론적 입장을 취하며, 이는 힌두교의 불이론(不二論, Non-dualism)적 관점과 연결된다. 그의 《자기신뢰》에 나타난 '자기 안의 힘', '자기 안의 신'은 힌두교의 아트만 사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378]

에머슨은 이러한 범아일여와 같은 힌두 사상을 기독교와 접목하여 뉴에이지 사상의 원류를 만들었다고 평가받는다.[378]

4. 작품

랠프 월도 에머슨은 에세이, 강연, 시 등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통해 자신의 사상과 철학을 펼쳐냈다. 주요 저서로는 《자연 (수필)》(1836), 《미국인 학자》(1837), 《위인이란 무엇인가》(1849), 《자기신뢰》(1841) 등이 있으며, 특히 《미국인 학자》는 미국의 지적 독립선언으로 일컬어진다.

에머슨의 작품은 한국어로도 번역되어 출간되었는데, 아래 표는 그 일부를 보여준다.

번역서명원제번역자출판사출판연도
《자연》Nature서동석은행나무2014
《위인이란 무엇인가/자기 신념의 철학》정광섭동서문화사2010
《자연》Nature신문수문학과 지성사1998
《자기신뢰》Self-Reliance영어전미영이팝나무2009



이 외에도 에머슨의 여러 작품이 다양한 번역자를 통해 한국어로 소개되어, 그의 사상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4. 1. 주요 저서 목록


  • 자연 (수필)》(Nature, 1836)
  • 《신학부 강연》(Divinity College Address, 1838)
  • 《문학 윤리》 (Literary Ethics, 1838)
  • 《미국인 학자(The American Scholar, 1837) - 미국의 지적 독립선언이라 일컬어짐.
  • 《자시론》(The Method of Nature, 1841)
  • 《초월주의자》 (The Transcendentalist, 1842)
  • 《미국 젊은이》 (The Young American, 1844)
  • 위인이란 무엇인가》(Representative Men, 1849)
  • 《영국인의 특성》(English Traits, 1856)
  • 《브라마》 (Brahma, 1857) - 동양사상의 영향을 보여줌
  • 나날》 (The Conduct of Life, 1860)
  • 《오월제》 (May Day and Other Poems, 1867) - 시집
  • 에세이 1》 (Essays: First Series, 1841)
  • 자기신뢰》(Self-Reliance, 1841)
  • 초영혼》 ( The Over-Soul, 1841 )
  • 《에세이 2》 (Essays: Second Series, 1844) : 수필 시인
  • 사디》(아틀랜틱 월간지, 1864)

''대표적인 인물들''(Representative Men, 1850)


'''선집'''

'''개별 에세이'''

  • 자연(Nature, 1836)
  • 자신감(''에세이: 제1집'')
  • 보상(''제1집'')
  • 오버 소울(''제1집'')
  • 원(''제1집'')
  • 시인(''에세이: 제2집'')
  • 경험(''에세이: 제2집'')
  • 정치(''제2집'')
  • "사디"(Saadi) in the Atlantic Monthly (1864)
  • 미국 학자
  • 뉴잉글랜드 개혁가
  • "역사"
  • "운명"


'''시'''

'''서한'''

  • 마틴 밴 뷰런에게 보낸 편지
  • ''토마스 칼라일과 랠프 월도 에머슨의 서한, 1834–72''[206][207]

4. 2. 시

에머슨의 주요 시로는 콩코드 찬가, 로도라, 브라흐마, 우리엘, 멀린[204][205] 등이 있다.

에머슨의 "콩코드 찬가"는 1837년 7월 4일 콩코드의 미국 독립 기념일 축제를 위해 쓰여졌으며, 당시 지역 합창단이 찬송가로 읽고 불렀는데, 익숙한 곡조인 "올드 헌드레드"를 사용했다. 찰스 아이브스는 에머슨의 시 "자원자들"(미국 남북 전쟁을 위해 싸운 병사들에게 바치는 헌사[208])의 한 구절을 "의무"라는 제목의 노래로 작곡했으며, 그의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컬렉션인 ''114 Songs''(1919–24)에 포함시켰다.[209] 에른스트 토흐는 에머슨의 시 "안녕"을 혼성 무반주 합창을 위한 그의 작품 ''The Inner Circle''(1945, 1953년 개정)의 여섯 번째이자 마지막 악장으로 설정했다.[210]

4. 3. 한국어 번역

다음은 랠프 월도 에머슨의 작품 중 한국어로 번역된 도서 목록이다.

번역서명원제번역자출판사출판연도비고
《자연》Nature서동석은행나무2014
《위인이란 무엇인가/자기 신념의 철학》정광섭동서문화사2010
《자연》Nature신문수문학과 지성사1998
《(세상 모든 것으로부터의) 정중한 초대》이창기하늘아래2014〈자신감〉, 〈경험〉, 〈보상〉, 〈자연〉, 〈정치〉, 〈역사〉, 〈초영혼〉 수록
《천 년을 같이 있어도 한번의 이별은 있다》차전석나래북2014〈사랑〉, 〈우정〉, 〈자기〉, 〈경험〉, 〈비극적인 것〉, 〈운명〉, 〈힘〉, 〈부〉, 〈수상여록〉, 〈환상〉, 〈일과 일상〉, 〈정치에 대하여〉 수록
《나다움: 나를 믿고 사랑하게 하는 52가지 멘토링》최유나좋은생각사람들2011
《영혼에 대한 이해》이창배누멘2011〈자기신뢰론〉, 〈대령론〉, 〈보상론〉 수록
《자기신뢰》Self-Reliance영어전미영이팝나무2009
《세상의 중심에 너 홀로 서라》강형심씽크뱅크2009
《자기신뢰의 힘》박윤정타커스2016
《스스로 행복한 사람: 랠프 왈도 에머슨 잠언집》박윤정끌레마2009
《사회는 결코 진보하지 않는다》이창배황금두뇌1999
《에머슨 隨想錄》윤삼하범우사1977
《에머슨 隨想錄》이창배서문당1973
《에머슨 수상록》이창배서문당1996개정판 (2009)


5. 영향

2006년 5월, 하버드 신학대학원은 에머슨이 "신학교 강연"을 한 지 168년 후, 에머슨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 협회 교수직을 설립했다.[369] 하버드 대학교1900년에 시설을 에머슨 홀이라고 명명했다.[370] 뉴욕스태튼아일랜드 근교의 에머슨 힐은 1837년부터 1864년까지 거주했던 그의 형 윌리엄 에머슨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371] 1976년에 결성된 에머슨 현악 사중주단은 랠프 월도 에머슨의 이름에서 유래했다.[372] 고등학생 역사 부문의 평론에 대해 매년 랠프 월도 에머슨 상이 수여된다.[373] 작가 랠프 앨리슨 (1914년 3월 1일 - 1994년 4월 16일)은 에머슨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에머슨의 사상은 초월주의를 넘어, 개인의 가능성과 자유를 중시하는 여러 사상 조류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철학은 미국의 문화적, 철학적 유산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있다.

5. 1. 미국 문학과 철학에 미친 영향

에머슨 우표, 1940년 발행


에머슨은 '콩코드의 현인'으로 불리며, 강연과 웅변을 통해 미국의 지적 문화를 이끌었다.[186] 제임스 러셀 로웰은 에머슨을 "미국에서 가장 꾸준히 매력적인 강사"이자 "강연 시스템의 선구자 중 한 명"이라고 평가했다.[187] 허먼 멜빌은 처음에 에머슨에게 결함이 있다고 생각했지만, 나중에는 그를 "훌륭한 사람"이라고 인정했다.[188] 테오도르 파커는 에머슨이 다른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능력에 대해 언급하며, 그의 "빛나는 천재성"이 젊은이들을 새로운 길과 희망으로 이끌었다고 말했다.[189]

에머슨의 초월주의 사상은 1830년대에서 1840년대 보스턴을 중심으로 유행했으며, 그의 사상은 문학 사상으로서 평가가 확고해졌다.

에머슨의 작품은 월트 휘트먼, 헨리 데이비드 소로 등 동시대인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미국과 전 세계의 사상가와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190] 니체를 포함한 주목할 만한 사상가들이 에머슨의 영향을 인정했다. 월트 휘트먼, 헨리 데이비드 소로, 윌리엄 제임스는 에머슨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허먼 멜빌, 너새니얼 호손, 헨리 제임스는 그의 낙관적인 개인주의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364] T. S. 엘리엇에게 에머슨의 에세이는 "짐"과 같았지만,[364] 로버트 프로스트, 월리스 스티븐스, 하트 크레인과 같은 주요 미국 시인들의 작품에서 에머슨의 사상은 다시 빛을 발하게 되었다.[191]

해럴드 블룸은 에머슨을 "미국 종교의 예언자"라고 칭하며, 미셸 드 몽테뉴에 비유했다.[192] 블룸은 에머슨의 에세이 중 "자립", "원", "경험" 등이 최고라고 평가했으며, 그의 시가 호흡에 따라 결정된다는 믿음은 찰스 올슨의 이론을 예견했다고 보았다.[193]

5. 2. 국제적인 영향

에머슨의 사상은 국제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알려져 있으나, 주어진 자료에서는 그의 국제적인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찾을 수 없다. 대신, 그의 생애와 관련된 몇 가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하버드 신학대학원: 2006년 5월, 에머슨이 "신학교 강연"을 한 지 168년 후, 하버드 신학대학원은 에머슨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 협회 교수직 설립을 발표했다.[369]
  • 에머슨 홀: 하버드 대학교1900년에 시설을 에머슨 홀이라고 명명했다.[370]
  • 에머슨 힐: 뉴욕스태튼아일랜드 근교의 에머슨 힐은 1837년부터 1864년까지 거주했던 형 윌리엄 에머슨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371]
  • 에머슨 현악 사중주단: 1976년에 결성된 에머슨 현악 사중주단은 랠프 월도 에머슨에서 유래했다.[372]
  • 랠프 월도 에머슨 상: 고등학생 역사 부문의 평론에 대해 매년 수여된다.[373]
  • 랠프 앨리슨: 작가 랠프 앨리슨 (1914년 3월 1일 - 1994년 4월 16일)은 에머슨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5. 3. 한국에 미친 영향

에머슨의 사상이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내용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다. 그러나 그의 사상은 개인의 무한한 가능성과 개인주의를 강조하며, 이는 니체의 위버멘쉬 개념에도 영향을 미쳤다. 에머슨은 "자신이 가르친 유일한 교리는 '개인의 무한함'(the infinitude of the private man)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6. 유산

랠프 월도 에머슨은 매사추세츠주보스턴에서 태어나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했다.[216][222][227] 14세에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신입생 연락 담당자로 활동했고, 졸업식에서 자작시를 발표했다.[223][227] 그는 학생 시절 에마누엘 스베덴보리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그의 사상에 큰 영향을 주었다.[227]

에머슨은 건강 문제로 사우스캐롤라이나주찰스턴플로리다주세인트오거스틴으로 이주했다.[229] 세인트오거스틴에서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조카인 아킬 뮤라 왕자를 만나 종교, 사회, 철학, 정치에 대한 토론을 나누며 지적 교류를 했다.[230] 에머슨은 샘슨 리드의 저서를 통해 "상응"이라는 개념을 접하고, 이를 자신의 사상 중심 개념으로 삼았다.

에머슨 사후, 그의 업적과 유산을 기리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하고 있다. 에머슨 칼리지하버드 대학교 에머슨 홀이 그의 이름을 따서 설립되었고,[226] 랠프 월도 에머슨 상이 제정되어 매년 고등학생들에게 수여된다. 또한, 에머슨의 정신을 기리는 여러 단체들이 설립되었고, 그의 생가는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6. 1. 에머슨의 이름을 딴 것들


  • 에머슨 칼리지(Emerson College)
  • 하버드 대학교 철학과가 있는 [https://harvardplanning.emuseum.com/sites/319/emerson-hall 에머슨 홀](Emerson Hall) (1900년 건립)
  • 하버드 신학대학은 2006년 5월, 에머슨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 협회 교수직 신설을 발표했다. 이는 1838년 에머슨의 "신학대학 연설" 168년 만의 일이다.
  • 작가 랠프 앨리슨(Ralph Waldo Ellison)
  • 20세기 주요 에머슨 학자 중 한 명인 스티븐 에머슨 휘처
  • 1976년에 결성된 에머슨 현악 사중주단(Emerson String Quartet)
  • 랠프 월도 에머슨 상(Ralph Waldo Emerson Prize)은 역사적 주제에 관한 에세이에 대해 매년 고등학생들에게 수여된다.
  • 사회 변화를 위한 회사인 에머슨 컬렉티브(Emerson Collective)
  • 뉴질랜드 네이피어의 에머슨 거리(Emerson Street)
  • 뉴저지주 에머슨 (뉴저지)(Emerson, New Jersey)
  • 칼튼 칼리지(Carleton College) 육상 선수 [https://www.tfrrs.org/athletes/8233214/Carleton/Emerson_Lange.html 에머슨 랑](Emerson Lange)

6. 2. 기념 및 연구

랠프 월도 에머슨에 대한 기념 및 연구 활동은 그의 사상과 업적을 기리고 후대에 계승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에머슨 사후, 그의 정신을 기리는 여러 단체들이 설립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1919년에 창립된 랠프 월도 에머슨 협회(Ralph Waldo Emerson Society)는 매년 학술지를 발간하고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에머슨 연구를 활성화하고 있다.

매사추세츠주 콩코드에 위치한 에머슨의 생가인 랠프 월도 에머슨 하우스(Ralph Waldo Emerson House)는 현재 박물관으로 운영되며, 그의 삶과 작품을 엿볼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7. 비판

랠프 월도 에머슨의 사상과 활동은 여러 측면에서 비판받았다. 에머슨은 낙천주의를 옹호하며 인간의 선함을 강조했지만,[375] 그의 초월주의 사상은 현실 문제 해결보다는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논의에 치중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한계는 그의 사회 참여 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있다. 또한, 그의 사상이 일반 대중보다는 지식인 엘리트층을 대상으로 한다는 비판도 존재하며, 그의 저작에서 엘리트주의적 요소가 나타난다는 분석도 있다.

7. 1. 인종 및 노예제에 대한 모호한 태도

랠프 월도 에머슨은 노예제 폐지론자였지만, 초기에는 인종적 편견을 드러냈다는 비판을 받았다.[180] 1822년에 쓰여진 그의 일기에는 흑인들이 백인에 비해 이성적인 능력이 부족하다는 개인적인 관찰이 기록되어 있다.[182] 그는 흑인 노예의 능력이 백인 노예 소유자와 같지 않다고 생각했지만, 노예제 자체는 도덕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불의라고 여겼다.[182]어떤 독창적인 궤변도 타락하지 않은 정신을 노예제의 용서와 화해시킬 수 없으며, 엄청난 친숙함과 사적 이익에 대한 편견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영어[182]

에머슨은 자신을 "색슨족 후손"이라고 생각했으며,[184] 민족 정체성을 기반으로 인종과 인간 본질 사이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보았다. 그는 미국에서 태어나 영국계 조상을 가진 백인 미국인들이 다른 인종보다 우월하다고 믿었다.[180]

그러나 에머슨의 인종에 대한 생각은 폐지론 운동에 더 깊이 관여하면서 바뀌었다.[183] 그는 인종 갈등의 잠재적 결과에 초점을 맞추면서 인종과 인종 위계의 철학적 함의를 더욱 철저하게 분석하기 시작했다. 그는 서로 다른 유럽 인종들이 결국 미국에서 섞여 미국의 우월성에 기여할 우월한 인종이 탄생할 것이라고 믿었다.[185]

7. 2. 엘리트주의적 경향

에머슨의 사상은 일반 대중보다는 지식인 엘리트층을 대상으로 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의 저작에는 엘리트주의적 요소가 나타난다는 분석도 있다.

7. 3. 관념론적 한계

에머슨은 19세기에 만연했던 염세주의에서 벗어나 인간에게는 선함이 악함보다 미세하게나마 더 많이 있다고 주장하며 낙천주의를 옹호했다.[375] 그는 성경의 원죄 교리에 반대하며, 블레즈 파스칼이 인간의 부정적인 면만을 지나치게 강조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그의 초월주의 사상은 현실 문제 해결보다는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논의에 치중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며, 이러한 한계는 그의 사회 참여 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있다.

참조

[1] 서적 Richardson
[2] 백과사전 Britannica
[3] 서적 Richardson
[4] 서적 Essays and English Traits P.F.Collier & Son Corporation 1841
[5] 웹사이트 Ralph Waldo Emerson – Essays http://www.transcend[...] 2017-08-10
[6] 서적 American Philosophy: An Encyclopedia Routledge 2007
[7] 서적 The Emerson Dilemm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15-06-29
[8] 저널 Journal 1840-04-07
[9] 웹사이트 Emerson & Thoreau http://www.wisdompor[...] 2000-06-06
[10] 서적 Richardson
[11] 서적 Allen
[12] 서적 Baker
[13] 서적 Ralph Waldo Emerson
[14] 웹사이트 Notable Descendants http://mayflowerhist[...]
[15] 서적 McAleer
[16] 서적 Richardson
[17] 서적 Baker
[18] 서적 McAleer
[19] 서적 McAleer
[20] 서적 Richardson
[21] 서적 McAleer
[22] 서적 Richardson
[23] 서적 McAleer
[24] 서적 Buell
[25] 웹사이트 Ralph Waldo Emerson : The Schoolmaster of Franklin Park https://www.franklin[...] 2022-02-28
[26] 서적 Richardson
[27] 서적 Ralph Waldo Emerson: The Making of a Democratic Intellectual Rowman & Littlefield 2003
[28] 서적 Richardson
[29] 서적 Richardson
[30] 서적 McAleer
[31] 서적 Richardson
[32] 웹사이트 Ralph Waldo Emerson: The Schoolmaster of Franklin Park (pdf format) https://www.franklin[...] Boston Parks and Recreation Department 2018-07-11
[33] 서적 Catalogue of the Harvard Chapter of Phi Beta Kappa, Alpha of Massachusett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2017-09-11
[34] 서적 Richardson
[35] 서적 Richardson
[36] 서적 Richardson
[37] 서적 Richardson
[38] 서적 McAleer
[39] 서적 Richardson
[40] 서적 Richardson
[41] 서적 Journals and Miscellaneous Notebooks of Ralph Waldo Emerson
[42] 서적 Richardson
[43] 서적 Richardson
[44] 웹사이트 Ralph Waldo Emerson {{!}} Biography, Poems, Books, Nature, Self-Reliance,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9-11
[45] 서적 Sullivan
[46] 서적 Packer
[47] 웹사이트 The Lord's Supper http://www.emersonce[...] 1832
[48] 서적 The Journals and Miscellaneous Notebooks of Ralph Waldo Emerson Belknap Press 1964
[49] 서적 McAleer
[50] 서적 Baker
[51] 서적 Richardson
[52] 서적 Richardson
[53] 서적 Richardson
[54] 서적 Packer
[55] 서적 Richardson
[56] 서적 Richardson
[57] 서적 Early Lectures 1833–36 Harvard University Press 1959
[58] 서적 Richardson
[59] 서적 Literary Trail of Greater Boston Houghton Mifflin 2000
[60] 서적 Richardson
[61] 문서 Lydia (Jackson) Emerson's Ancestry
[62] 서적 Richardson
[63] 웹사이트 Ideas and Thought http://www.vcu.edu/e[...] Vcu.edu 2012-10-26
[64] 서적 Richardson
[65] 서적 Richardson
[66] 서적 Baker
[67] 서적 Dedham: Historic and Heroic Tales From Shiretown The History Press 2009
[68] 서적 Richardson
[69] 서적 Richardson
[70] 서적 Richardson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Ideas: A History of Thought and Invention, from Fire to Freud Harper Perennial 2005
[79] 서적 The Victorian Age Senate 1995
[80] 서적 The Metaphysical Club: A Story of Ideas in America Farrar, Straus and Giroux 2001
[81] 서적
[82] 문서 Rosenwald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In Search of Margaret Fuller Delacorte Press 1978
[91] 서적
[92] 웹사이트 Essays: First Series (1841) http://www.emersonce[...] 2015-08-25
[93] 서적 The Bedside Baccalaureate Sterling 2008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논문 Emerson as Lectur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05] 서적
[106] 서적 India in the United States: Contribution of India and Indian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P Press International
[107] 서적 The Over-Soul
[108] 서적 Emerson and the light of India : an intellectual history National Book Trust, India 2007
[109] 서적 American Veda : from Emerson and the Beatles to yoga and meditation—how Indian spirituality changed the West
[110] 문서 Buell
[111] 서적 Waldo Emerson Penguin Books
[112] 서적 Ralph Waldo Emerson in Europe: Class, Race and Revolution in the Making of an American Thinker https://books.google[...] I.B.Tauris
[113] 웹사이트 VI. The Fugitive Slave Law – Address at Concord. Ralph Waldo Emerson. 1904. The Complete Works http://www.bartleby.[...] 2022-10-11
[114] 웹사이트 Impact of the Fugitive Slave Law of 1850 https://web.archive.[...] 2017-02-18
[115] 문서 Baker
[116] 문서 Von Mehren
[117] 문서 Von Mehren
[118] 서적 Margaret Fuller: From Transcendentalism to Revolution Addison-Wesley
[119] 문서 Von Mehren
[120] 문서 Kaplan
[121] 서적 From Noon to Starry Night: A Life of Walt Whitman Ivan R. Dee
[122] 서적 Walt Whitman Twayne Publishers
[123] 서적 Walt Whitman's America: A Cultural Biography Vintage Books
[124] 서적 From Noon to Starry Night: A Life of Walt Whitman Ivan R. Dee
[125] 서적 Walt Whitman's America: A Cultural Biography Vintage Books
[126] 서적 The Early Years of the Saturday Club 1855–1870 Houghton Mifflin
[127] 서적 Letters of James Russel Lowell Harper & Brothers
[128] 서적 A Not Too Greatly Changed Eden – The Story of the Philosophers Camp in the Adirondacks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129] 서적 May-Day and Other Pieces https://en.wikisourc[...] Ticknor and Fields
[130] 서적 Nature https://books.google[...] The Roycrofters
[131] 문서 Gougeon
[132] 문서 Gougeon
[133] 문서 McAleer
[134] 문서 Richardson
[135] 문서 Gougeon
[136] 서적 The Conduct of Life Ticknor & Fields
[137] 문서 Baker
[138] 문서 McAleer
[139] 서적 The Essential Writings of Ralph Waldo Emerson Modern Library
[140] 문서 Gougeon
[141] 서적 undefined
[142] 서적 undefined
[143] 서적 undefined
[144] 웹사이트 E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06
[145]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4-21
[146] 서적 undefined
[147] 서적 undefined
[148] 서적 undefined
[149] 서적 undefined
[150] 서적 A Western Journey with Mr. Emerson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and Company 2014-08-01
[151] 서적 The California Days of Ralph Waldo Emers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52] 서적 undefined
[153] 서적 undefined
[154] 서적 undefined
[155] 서적 undefined
[156] 서적 undefined
[157] 서적 undefined
[158] 서적 undefined
[159] 서적 undefined
[160] 서적 Encyclopedia of Transcendental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61] 웹사이트 Parnassus: An Anthology of Poetry http://www.bartleby.[...] 2018-01-26
[162] 서적 undefined
[163] 서적 undefined
[164] 뉴스 undefined The New York Times 1879-04-23
[165] 서적 undefined
[166] 서적 undefined
[167] 서적 undefined
[168] 서적 undefined
[169] 서적 undefined
[170] 서적 undefined
[171] 서적 The Second Great Awakening and the Transcendentalists Greenwood Press
[172] 서적 Uncollected Lectures
[173] 서적 The Library: An Illustrated History https://archive.org/[...] Skyhorse Pub.
[174] 서적 undefined
[175] 서적 undefined
[176] 서적 McAleer
[177] 서적 Packer
[178] 서적 Richardson
[179] 서적 Against Slavery: An Abolitionist Reader Penguin Classics
[180] 논문 The Strange Career of Emerson and Race
[181] 논문 Emerson, Slavery, and Citizenship
[182] 서적 The Journals and Miscellaneous Notebooks of Ralph Waldo Emerson Belknap
[183] 논문 Evolution, Cosmopolitanism, and Emerson's Antislavery Politics
[184] 서적 The Early Lectures of Ralph Waldo Emerson Harvard University Press
[185] 서적 Field
[186] 서적 Buell
[187] 서적 Emerson in His Own Time
[188] 서적 Sullivan
[189] 서적 Baker
[190] 서적 Delphi Complete Works of Ralph Waldo Emerson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191] 뉴스 The Quest of Laurene Powell Jobs New York Times 2008-10-12
[192] 서적 The Western Canon Papermac
[193] 서적 The Lives of the Poets Weidenfeld & Nicolson
[194] 웹사이트 Emerson Hall Opened https://www.thecrims[...] 1906-01-03
[195] 보도자료 Emerson Unitarian Universalist Association Professorship Established at Harvard Divinity School https://web.archive.[...] Harvard Divinity School 2006-05
[196] 웹사이트 Full Biography 2012–2013 | Emerson String Quartet http://www.emersonqu[...] Emersonquartet.com 2012-10-26
[197] 웹사이트 Varsity Academics: Home of the Concord Review, the National Writing Board, and the National History Club https://web.archive.[...] Tcr.org 2011-04-22
[198] 뉴스 The Quest of Laurene Powell Jobs https://www.washingt[...] 2018-08-31
[199] 웹사이트 Arches gave Napier 33 illuminating years https://www.nzherald[...] 2018-06-15
[200] 웹사이트 Emerson, N.J.: A Small, Manageable, 'Family Town https://www.nytimes.[...] 2022-10-05
[201] 서적 Representative men https://archive.org/[...] H. Altemus
[202] 서적 The conduct of life https://archive.org/[...] Ticknor and Fields 1860
[203] 서적 Natural History of the Intellect: The Last Lectures of Ralph Waldo Emerson https://web.archive.[...] Wrightwood Press
[204] 웹사이트 Merlin, by Ralph Waldo Emerson https://archive.vcu.[...]
[205] 서적 The Norton Anthology American Literature, Shorter Seventh Edition Volume 1, Beginnings to 1865 W.W. Norton
[206]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Thomas Carlyle and Ralph Waldo Emerson, 1834–72 https://catalog.hath[...] James R. Osgood & Company
[207] 학술지 Review of ''The Correspondence of Thomas Carlyle and Ralph Waldo Emerson, 1834–72'' https://babel.hathit[...] 1883-04-07
[208] 웹사이트 Voluntaries https://www.theatlan[...] 2011-11-23
[209] 웹사이트 114 Songs (Ives, Charles) - IMSLP https://imslp.org/wi[...]
[210] 서적 The Choral Music of Ernst Toch https://ufdcimages.u[...] University of Florida, PhD Thesis
[211] 웹사이트 True Fire {{!}} Kaija Saariaho https://www.wisemusi[...] 2023-12-17
[212] 웹사이트 367日誕生日大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1-28
[213] 문서 Richardson
[214] 문서 Ward
[215] 웹사이트 Emerson & Thoreau http://www.wisdompor[...] Wisdomportal.com 2000-06-06
[216] 문서 Richardson
[217] 문서 Allen
[218] 문서 Baker
[219] 문서 McAleer
[220] 문서 Richardson
[221] 문서 Baker
[222] 문서 McAleer
[223] 문서 McAleer
[224] 문서 Richardson
[225] 문서 McAleer
[226] 문서 Richardson
[227] 문서 McAleer
[228] 문서 Buell
[229] 문서 Richardson
[230] 서적 Ralph Waldo Emerson: The Making of a Democratic Intellectual Rowman & Littlefield 2003
[231] 문서 Richardson
[232] 문서 McAleer
[233] 문서 Richardson
[234] 문서 Richardson
[235] 문서 Richardson
[236] 문서 Richardson
[237] 문서 McAleer
[238] 문서 Richardson
[239] 문서 Richardson
[240] 서적 Journals and Miscellaneous Notebooks of Ralph Waldo Emerson, Volume IV
[241] 문서 Richardson
[242] 문서 Richardson
[243] 문서 Sullivan
[244] 문서 Packer
[245] 웹사이트 The Lord's Supper http://www.emersonce[...] 1832-09-09
[246] 서적 Introduction to The Journals and Miscellaneous Notebooks of Ralph Waldo Emerson, Volume IV Belknap Press 1964
[247] 서적
[248] 서적
[249] 서적
[250] 서적
[251] 서적
[252] 서적
[253] 서적
[254] 서적
[255] 서적 Early Lectures 1833-36 Harvard University Press 1959
[256] 서적
[257] 서적 Literary Trail of Greater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2000
[258] 서적
[259] 문서 Lydia (Jackson) Emerson's Ancestry
[260] 웹사이트 Ideas and Thought http://www.vcu.edu/e[...] Vcu.edu 2012-10-26
[261] 서적
[262] 서적
[263] 서적
[264] 서적
[265] 서적
[266] 서적
[267] 서적
[268] 서적
[269] 서적
[270] 서적
[271] 서적
[272] 서적
[273] 서적
[274] 서적 Ideas: A History of Thought and Invention, from Fire to Freud Harper Perennial 2005
[275] 서적 The Victorian Age Senate 1995
[276] 서적 The Metaphysical Club: A Story of Ideas in America Farrar, Straus and Giroux 2001
[277] 서적
[278] 서적
[279] 서적
[280] 서적
[281] 문서 Packer, 73
[282] 문서 Buell, 161
[283] 문서 Sullivan, 14
[284] 문서 Gura, 129
[285] 문서 Von Mehren, 120
[286] 서적 In Search of Margaret Fuller Delacorte Press 1978
[287] 문서 Gura, 128-129
[288] 웹사이트 Essays: first series https://emersoncentr[...] 2019-03-05
[289] 서적 The Bedside Baccalaureate Sterling 2008
[290] 문서 Cheever, 93
[291] 문서 McAleer, 313
[292] 문서 Baker, 218
[293] 문서 Packer, 148
[294] 문서 Richardson, 381
[295] 문서 Baker, 219
[296] 문서 Packer, 150
[297] 문서 Baker, 221
[298] 문서 Gura, 130
[299] 문서 Richardson, 418
[300] 간행물 Emerson as Lectur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301] 문서 Richardson, 114
[302] 서적 India in the United States: Contribution of India and Indian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P Press International, Inc. 1996
[303] 간행물 ヨガ : 文化のグローバル化をめぐって https://cir.nii.ac.j[...] 甲南女子大学 2014
[304] 문서 The Over-Soul from Essays: First Series (1841)
[305] 문서 Buell, 31
[306] 서적 Waldo Emerson Penguin Books 1982
[307] 서적 Ralph Waldo Emerson in Europe: Class, Race, and Revolution in the Making of an American Thinker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12
[308] 문서 Baker, 321
[309] 문서 Von Mehren, 340
[310] 서적 Margaret Fuller: From Transcendentalism to Revolution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87
[311] 문서 Von Mehren, 342
[312] 문서 Kaplan, 203
[313] 서적 From Noon to Starry Night: A Life of Walt Whitman Ivan R. Dee 1992
[314] 서적 Walt Whitman Twayne Publishers, Inc. 1962
[315] 서적 Walt Whitman's America: A Cultural Biography Vintage Books 1995
[316] 서적 From Noon to Starry Night: A Life of Walt Whitman Ivan R. Dee
[317] 서적 Walt Whitman's America: A Cultural Biography Vintage Books
[318] 문서 Gougeon
[319] 문서 Gougeon
[320] 문서 McAleer
[321] 문서 Richardson
[322] 문서 Gougeon
[323] 서적 The Conduct of Life Ticknor & Fields
[324] 문서 Baker
[325] 문서 McAleer
[326] 서적 The Essential Writings of Ralph Waldo Emerson Modern Library
[327] 문서 Gougeon
[328] 문서 Richardson
[329] 문서 Packer
[330] 문서 Baker
[331]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E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06
[332] 문서 Gougeon
[333] 문서 Baker
[334] 문서 Richardson
[335] 문서 McAleer
[336] 문서 Richardson
[337] 문서 Baker
[338] 문서 Baker
[339] 문서 McAleer
[340] 문서 Richardson
[341] 문서 Richardson
[342] 문서 Baker
[343] 문서 McAleer
[344] 문서 Richardson
[345] 문서 Baker
[346] 문서 Sullivan
[347] 문서 McAleer
[348] 문서 Richardson
[349] 서적 The Second Great Awakening and the Transcendentalists Greenwood Press
[350] 문서 Packer
[351] 문서 Buell
[352] 문서 McAleer
[353] 문서 Packer
[354] 문서 Richardson
[355] 서적 Against Slavery: An Abolitionist Reader Penguin Classics
[356] 서적 The Crimson Letter St Martens Press
[357] 문서 Kaplan
[358] 문서 Richardson
[359] 문서 Richardson
[360] 문서 Buell
[361] 문서 Emerson in His Own Time
[362] 문서 Sullivan
[363] 문서 Baker
[364] 뉴스 October 12, 2008, 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 Times 2008-10-12
[365] 서적 The Western Canon Papermac
[366] 서적 The Lives of the Poets Wiedenfeld & Nicholson
[367] 웹사이트 New Thought https://www.patheos.[...] 2022-07-23
[368] 웹사이트 New Thought Movement https://www.encyclop[...] 2022-07-23
[369] 보도자료 Emerson Unitarian Universalist Association Professorship Established at Harvard Divinity School http://www.hds.harva[...] Harvard Divinity School 2006-05
[370] 웹사이트 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Philosophy: About the Department http://www.fas.harva[...] Harvard University 2019-03-05
[371] 웹사이트 Staten Island on the Web: Famous Staten Islanders http://www.nypl.org/[...] Nypl.org 2014-02-20
[372] 웹사이트 Full Biography 2012-2013 | Emerson String Quartet http://www.emersonqu[...] Emersonquartet.com 2012-10-26
[373] 웹사이트 Varsity Academics | Home of the Concord Review, the National Writing Board, and the National History Club http://www.tcr.org/t[...] Tcr.org 2011-04-22
[374] 웹인용 Ralph Waldo Emerson -- The Last Supper https://archive.vcu.[...] 2022-03-17
[375] 웹인용 Optimism of Ralph Waldo Emerson. News The Harvard Crimson https://www.thecrims[...] 2023-01-10
[376] 웹인용 Ralph Waldo Emerson https://www.theschoo[...] 2022-10-05
[377] 서적 American Renaissanc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78] 웹인용 . 랄프 왈도 에머슨 저. 전미영 역. 창해 https://booknmeditat[...] 창해 2021-09-24
[379] 웹인용 문학과 지성사 http://moonji.com/bo[...] 문학과 지성사
[380] 웹인용 Accept Terms and Conditions on JSTOR https://www.jstor.or[...] 2021-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