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비교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비교인은 아랍어 'Ṣābiʾ'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다양한 어원과 해석이 존재한다. 꾸란에서는 사비교인을 유대교인, 기독교인과 함께 언급하며, 이들이 알라를 믿고 선행을 행하면 상을 받을 것이라고 언급한다. 이슬람 문헌에서는 사비교인을 만다교, 하란의 이교도 등 다양한 집단과 연결하며, 하란의 사비교는 이슬람 체제 내에서 기존 신앙을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를 사비교도로 규정했다. 현대에는 이라크와 이란에서 만다교를 따르는 이들을 사비교인으로 부르며, 이들은 세례자 요한의 가르침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 유대교
    유대교는 야훼를 유일신으로 섬기며 토라를 중심으로 율법과 계명을 지키는 종교로, 바리새파에서 발전하여 기독교와 이슬람교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율법 해석에 따라 여러 분파로 나뉜다.
  •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 아브라함 종교
    아브라함 종교는 아브라함을 공통 조상으로 믿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의 일신교를 통칭하는 용어이며, 이들은 아브라함의 계보와 신과의 언약을 공유하지만 종교적 차이점도 존재하고, 바하이교 등 여러 종파를 포함하여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영지주의 - 데미우르고스
    데미우르고스는 그리스어로 장인을 의미하며, 플라톤 철학에서 물질 세계를 창조한 선량한 존재를 지칭하며, 유대교, 기독교, 영지주의, 신플라톤주의 등 다양한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영지주의 - 드루즈
    드루즈는 11세기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레반트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로, 파티마 칼리프 하킴을 신격화하며 이슬람 신비주의 등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고, 비밀주의적 성향을 띄며 레반트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개종
    개종은 한 종교에서 다른 종교로, 또는 무신론으로 신념을 바꾸는 행위이며, 종교에 따라 개종에 대한 입장이 다르고 개인의 신념 변화, 사회적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하며 종교 간 갈등과 관련될 수 있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탕카
    탕카는 티베트 불교 회화의 한 형태로, 불교 교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7세기경 인도에서 유래하여 만다라, 부처 등을 묘사하고, 천연 안료로 면이나 비단에 그림을 그리며, 채색 탕카, 자수 탕카 등으로 분류된다.
사비교인
개요
샤바카의 신성한 연못에서 흰 옷을 입은 사비교도 신자들이 세례를 받고 있다.
신성한 샤바카의 연못에서 흰 옷을 입은 사비교도 신자들이 세례를 받고 있다.
다른 이름만다야인
나소라야인
종교영지주의
역사
기원논쟁의 여지가 있음
추정: 기원후 1세기 팔레스타인 또는 메소포타미아
초기 역사이슬람 통치 하에서 "책의 백성"으로 인정받음
종교적 자유를 누림
신앙 및 관습
주요 특징세례
정화 의식
신과의 직접적인 관계 추구
경전긴자 랍바
드라샤 디 말키
요한의 책
언어만다야어
인구 및 분포
현재 인구약 100,000명
주요 거주 지역이라크
이란
시리아
디아스포라 공동체 (서구 국가)
이슬람과의 관계
쿠란에서의 언급"알-사비운"이라는 이름으로 세 번 언급됨
무함마드 시대에 존재했던 종교 공동체 중 하나로 여겨짐
"책의 백성"으로 간주되어 종교적 보호를 받음
학자들의 해석다양한 해석 존재:
유대교 또는 기독교의 분파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종교
독자적인 영지주의 종교
추가 정보
관련된 종교영지주의
참고 문헌다양한 학술 연구 및 자료 존재

2. 어원

아랍어 단어 Ṣābiʾ|사비ar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첫 번째 해석은 이 단어가 '돌아서다'라는 의미의 아랍어 어근 ṣ-b-ʾar에서 파생된 분사로, '개종자'를 뜻한다는 것이다.[22] 이 해석은 여러 중세 아랍 사전 편찬자와 언어학자들이 언급했으며,[25] 이븐 히샴(834년 사망)이 기록한 전승에서도 뒷받침된다. 이 전승에 따르면, ṣābiʾa|사비아ar라는 용어는 무함마드와 초기 무슬림들이 기존 종교에서 '돌아섰다'고 본 적대자들(아마도 유대인)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26] 따라서 이 용어는 처음에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이후 초기 무슬림들이 자신들이나 유대 기독교 배경을 가진 다른 개종자들을 지칭하기 위해 긍정적인 의미로 바꾸어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꾸란에 이 용어가 등장하는 맥락을 보면, 자신의 기존 신앙을 버렸지만 아직 이슬람으로 완전히 귀의하지 않은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일 수도 있다. 이런 의미에서 ṣābiʾ|사비ar는 ḥanīf와 비슷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27]

두 번째 해석은 1856년 다니엘 크볼손이 제안한 것으로,[23] '담그다' 또는 '세례를 주다'라는 의미의 아람어 어근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24] 이 해석은 꾸란에 언급된 사비아인을 엘카사이트나 만다교와 같이 세례 의식을 중시하는 종파와 동일시하는 견해와 잘 맞는다.[25] 또한, 이븐 히샴의 기록처럼 무함마드와 추종자들이 '사비아인'으로 불렸던 이유를, 그들이 기도 전에 행하는 의식적인 세척이 다양한 세례 종파들의 관행과 유사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28]

그 외에도 다른 어원 설들이 있다. 주다 세갈은 이 용어가 상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니시비스의 시리아어 이름인 Ṣōbā|소바syc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29] 또한, 히브리어로 '하늘의 군대'를 의미하는 ṣābā|차바he와 관련지어 천체 숭배를 의미한다는 설도 있다.[30]

3. 꾸란에서의 사비아교

쿠란 5:69절의 첫 부분, 마그레비 서체 필사본, c. 1250–1350


쿠란은 사비교인(الصابئون|알사비운ar)을 2장 62절, 5장 69절, 22장 17절의 세 구절에서 언급한다.[15] 이 구절들에서 사비교인은 유대교인, 기독교인과 함께 나열되며, 알라와 최후의 날을 믿고 선행을 하는 이들은 구원을 받을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언급 때문에 사비교인은 일반적으로 경전의 백성( أهل الكتاب|아흘 알키타브ar)의 하나로 해석되어 왔다.[31]

그러나 꾸란은 사비교인이 구체적으로 어떤 집단이며 무엇을 믿었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25] 꾸란이 이들을 아브라함 계통 종교의 일신교도 맥락에서 언급했다는 점을 들어, 하란의 다신교도나 만다교인일 가능성은 낮다는 견해도 있다.[25] 따라서 꾸란에서 언급된 '사비아교도'의 정확한 정체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아랍어 '사비아'(صَابِئَةٌ|사비아ar)의 어근( ص ب ء|사바아ar)이 '물에 담그다'는 의미를 가져 세례 의식과의 연관성을 시사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

3. 1. 이슬람 자료

꾸란에서는 사비아교도를 유대교도, 기독교도와 함께 세 차례 언급하며 '경전의 백성' 중 하나로 분류하지만, 꾸란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종교 집단을 지칭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32] 꾸란의 해당 구절들은 다음과 같다. (인용문에서는 사비아교도가 "사바인"으로 표기됨)

> 진실로, 믿음을 가진 사람들, 유대교를 받드는 사람들, 기독교인들, 그리고 '''사바인''' 등, 누구든지 알라를 믿고 마지막 날을 믿으며 올바른 일을 행하는 자, 그러한 자는 마침내 주님으로부터 보상을 받을 것이다. 그들에게는 아무것도 두려운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결코 슬픈 눈으로 만날 일도 없을 것이다.

> — 『꾸란』카이로판 2장 62절 (플뤼겔판 2장 59절)

> 진실로, 믿음을 가진 사람들, 유대교를 받드는 사람들, '''사바인''', 기독교인, 모두 알라와 마지막 날을 믿고 의로운 행위를 하는 자, 이 모든 사람들은 어떤 무서운 일도 당하지 않으며, 슬픈 일도 당하지 않을 것이다.

> — 『꾸란』카이로판 5장 69절 (플뤼겔판 5장 73절)

> 믿음을 가진 사람들, 유대교를 받드는 사람들, '''사바인''', 기독교인, 배화교도, 다신교도 -- 부활의 날이 오면, 알라가 반드시 이들 사이에 명확한 구분을 두실 것이다. 알라는 모든 일에 참여하여 모든 것을 지켜보신다.

> — 『꾸란』카이로판 22장 17절 (플뤼겔판 22장 17절)

초기 이슬람 문헌에서는 사비아교도의 정체에 대해 다양한 설명을 제시한다. 일부 수니파 ''하디스''는 그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고 묘사한다.[32] 메소포타미아의 무슬림 정복 초기, 만다교 지도자 아누쉬 바르 단카는 무슬림 당국 앞에서 만다교 성서인 긴자 라바를 보여주고, 자신들의 주요 예언자가 꾸란에도 야흐야 이븐 자카리야라는 이름으로 언급된 세례자 요한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근거로 무슬림 칼리파들은 만다교도를 꾸란의 사비아교도로 인정하고 '경전의 백성'으로 대우했다.[33]

987년경 이븐 알-나딤이 저술한 ''피흐리스트''에는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사비아교도 분파인 ''모그타실라''(Mughtasila, "스스로 정화하는 자들")가 언급되는데, 이들은 만다교도 또는 엘케사이트와 동일시되기도 한다.[34][35][36] 한편, 11세기 초 알-비루니는 "진정한 사비아교도"를 키루스 대왕과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시대에 다른 부족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갈 때 바빌로니아에 남았던 유대 부족의 잔존자로 보았다. 이들은 마기즘과 유대교가 혼합된 신앙 체계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37]

830년,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마문은 아랍-비잔틴 전쟁 원정길에 하란에 들러 주민들에게 이슬람교, 기독교, 유대교, 마기교 중 어떤 보호받는 종교에 속하는지 물었다. 하란 주민들이 이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고 답하자, 알-마문은 그들을 불신자로 규정하고 원정에서 돌아올 때까지 이슬람교로 개종하거나 꾸란에서 인정하는 다른 종교를 선택하지 않으면 처형하겠다고 위협했다.[38] 위기에 처한 하란 주민들은 법률 자문을 통해 꾸란에서 사비아교도가 용인된다는 구절을 찾아내어 자신들을 '사비아교도'라고 칭하기로 했다. 당시 '사비아교도'가 정확히 누구를 의미하는지는 불분명했기에, 하란의 이교도들은 이슬람의 보호를 받으며 자신들의 고유한 신앙을 유지하기 위해 이 명칭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39][41][40]

여러 중세 자료에 따르면, 이렇게 사비아교도를 자칭한 하란 주민들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를 자신들의 예언자로 인정했다고 한다.[42] 이는 꾸란 19장 57절과 21장 85절에서 헤르메스를 이드리스(성경의 에녹)와 동일시하는 해석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43] 이 때문에 현대 학자들은 종종 하란의 사비아교도를 헤르메스주의자로 간주하기도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명확한 추가 증거는 부족하다.[42]

하지만 알-마문 시대 이전에도 하란 지역에 사비아교도가 존재했다는 기록이 있어, 하란 주민들의 자칭 이야기가 사비아교도의 기원에 대한 전부는 아님을 시사한다. 770년 이전에 사망한 우사마 이븐 아이드는 이미 하란이 있는 지역에 사비아교도 도시가 있다고 언급했으며,[44] 767년에 사망한 법학자 아부 하니파는 제자들과 함께 하란 사비아교도의 법적 지위에 대해 논의한 기록이 있다.[45]

19세기 학자 다니엘 츠볼슨은 그의 저서 『사비교와 사비교도』(1856)에서 이라크 늪지대의 만다교도를 '진정한 사비아교도'로, 알-마문 시대 이후 사비아교도를 자칭한 하란의 이교도들을 '가짜 사비아교도'로 구분했다. 그는 또한 엘카사이파를 만다교도 및 에세네파와 연결 짓기도 했다.[52]

아랍어로 '사비아교도'(صابئی|사비이ar)를 뜻하는 단어의 어근 ص ب ء|사바아ar(ṣ-b-ʾ)는 "물에 담그다", "물에 적시다" 등의 의미를 가지는데, 이는 꾸란이 언급한 사비아교도가 어떤 형태의 세례 의식을 행했음을 시사한다. 일부 고대 문헌에서는 사비아교도를 별을 숭배하는 집단으로 묘사하기도 하지만, 이는 후대의 하란 '가짜 사비아교도'와의 혼동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고대 남아라비아의 사바 왕국과 연관 짓는 설도 있으나, 학계에서는 이슬람 성립 당시 이라크 남부에 존재했던 영지주의적 기독교 분파나 만다교도를 꾸란의 사비아교도로 보는 견해가 더 유력하게 받아들여진다. 어쨌든 후대의 이슬람 역사에서 '사비아교도'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주로 하란 주민들의 후손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4. 하란의 사비아교

시리아 북부의 도시 하란아시리아 시대부터 달의 신 신 숭배의 중심지였으며, 고대 후기부터 헬레니즘 문화의 중요한 거점이었다.[71]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슬람 시대의 하란에서는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은 독특한 별 숭배 신앙이 유지되었다. 실제로 하란의 사비교도 가택 유적에서 발굴된 문 손잡이에는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인용한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고 전해진다.[71]

830년, 아바스 왕조의 제7대 칼리파 알-마문은 동로마 제국 원정 중 하란을 지나게 되었다. 그는 하란 주민들이 이슬람교, 기독교, 유대교, 조로아스터교 등 꾸란에서 인정하는 경전의 백성에 속하지 않는 독자적인 신앙을 가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알-마문은 이들을 불신자로 규정하고, 원정에서 돌아올 때까지 이슬람교나 꾸란이 인정하는 다른 종교로 개종하지 않으면 지하드의 대상으로 삼겠다고 선언했다.[38]

이에 하란 주민들은 법률가와 상의했고, 꾸란의 구절(2장 59절)에서 언급된 '사비교도'는 보호받는 대상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자신들을 사비교도라고 칭하기로 했다.[39] 당시 '사비교도'가 정확히 어떤 집단을 의미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았기에, 하란 주민들은 이 명칭을 사용하여 기존의 종교적 신념과 관습을 유지하면서 이슬람의 보호를 받을 수 있었다.[41][40]

그러나 하란의 사비교도에 대한 이러한 설명은 알-마문 시대 이전의 기록과 일부 상충된다. 예를 들어, 770년 이전에 사망한 우사마 이븐 아이드는 이미 하란 지역에 사비교도 도시가 있다고 언급했으며,[44] 767년에 사망한 법학자 아부 하니파 역시 제자들과 하란 사비교도의 법적 지위에 대해 논의한 기록이 있다.[45]

하란의 사비교도들은 헬레니즘화된 셈족 다신교를 믿었으며,[15] 특히 별(행성) 숭배로 유명했다. 시리아 기독교의 이단 연구가들은 그들을 별 숭배자로 묘사했으며,[14] 행성에 의례적인 제물을 바쳤다는 기록도 있다.[63] 이들의 신앙에는 바빌론 종교와 헬레니즘 종교의 요소가 혼합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63] 또한, 여러 중세 자료에 따르면 하란의 사비교도들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를 자신들의 예언자로 인정했는데,[42] 이는 꾸란에서 헤르메스를 이드리스(에녹)와 동일시한 것(꾸란 19:57, 21:85)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43] 이 때문에 현대 학자들은 종종 하란의 사비교도들을 헤르메스주의자로 간주하기도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명확한 추가 증거는 부족하다.[42] 마찬가지로 그들을 (신)플라톤주의자나 영지주의자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64]

하란의 사비교도 중 일부는 바그다드로 이주하여 독자적인 공동체를 형성했으며, 이들 중에는 학문 연구를 통해 이슬람 문화사에 큰 공헌을 한 인물들이 많았다. 특히 9세기에서 11세기 동안 아바스 왕조와 부와이 왕조의 궁정에서 활동했던 학자들 중 '사비교도'로 알려진 이들은 대부분 하란 출신이거나 그 후손이었다.[61] 이들은 그리스어, 시리아어, 아랍어에 능통하여 고대 그리스의 다양한 학문을 아랍어로 번역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이슬람 과학 발전의 초석이 되었다. 바그다드의 사비교도 가문들은 원래 하란의 종교와는 다른, 좀 더 철학적인 형태의 신앙을 가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62]

중세 이슬람 세계에서 '사비교도'라는 명칭은 점차 하란의 주민과 그 후손을 가리키는 말로 통용되었고, 때로는 본래 꾸란의 의미와 관계없이 별 숭배자들의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하란의 사비교도는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주변의 이슬람 사회에 동화되어 결국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 그 정확한 쇠퇴와 소멸 과정은 불분명하다. 일부에서는 이들의 신앙이 현재 쿠르드족 사이에서 믿어지는 야지디교의 전신이라는 설도 제기하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

다음은 하란의 사비교도 후손 중 이슬람 문화사에 이름을 남긴 주요 인물들이다.

인물주요 분야비고
타비트 이븐 쿠라번역가, 의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알 바타니수학자, 천문학자이슬람으로 개종
이븐 와시야농학자『나바테아인의 농서』 저자 (10세기)
아부 이스하크 앗 사비역사가, 서기
힐랄 앗 사비역사가아바스 왕조 궁정 서기, 이슬람으로 개종


5.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사비아교

9세기와 10세기에 쿠란에 언급된 사비교인으로 식별된 다양한 종교 그룹 중 적어도 두 그룹은 이교였으며, 두 그룹 모두 별 숭배에 참여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란의 사비교인 외에도, '늪의 사비교인'(아랍어: Ṣābiʾat al-baṭāʾiḥ|사비아트 알바타이흐ar)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종교 집단이 메소포타미아 늪지에 거주했다.[65] 이 명칭은 종종 만다교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했지만, 실제로는 이라크 남부 늪지대에 최소한 다른 종교 집단이 하나 더 존재했다.[66] 이 집단은 고대부터 메소포타미아 신들을 행성과 별의 형태로 숭배하는 다신교적인 바빌론 종교 또는 이와 유사한 종교를 따랐다.[67] '늪의 사비교인'에 속하는 이 특정 집단에 대한 유일한 자료로 알려진 이븐 알나딤에 따르면, 그들은 "고대 나바테아인들의 교리(ʿalā maḏāhib an-Nabaṭ al-qadīm|알라 마다히브 안나바트 알카딤ar)를 따르고 별들을 숭배한다"고 기록되어 있다.[68] 또한, 이븐 와시야(c. 930년 사망)의 저서, 특히 그의 유명한 나바테아 농업은 사와드에 거주하던 이라크 사비교인들의 관습과 신념(그중 상당수가 메소포타미아 모델에 기반함)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69]

6. 현대의 사비아교

오늘날 이라크이란에서 사비교인으로 불리는 이들은 주로 만다교도로 알려져 있다.[70] 이들은 이라크 남부의 메소포타미아 늪지대를 중심으로 오랜 기간 독자적인 종교적 전통을 이어왔으며,[59] 과거 레이어드는 이들을 "사비교인 혹은 세례 요한의 기독교도"로,[57] 개빈 맥스웰은 습지 아랍인들이 부르는 이름인 "수비"로 기록하며 은세공 등 금속 세공에 능한 장인 집단으로 묘사했다.[58]

결혼 분쟁 해결을 위한 만다교 사비교 법정, 아흐바즈, 이란 (2015년)


2003년 이라크 침공 이후 만다교 공동체는 심각한 폭력과 박해에 직면하여 그 수가 크게 줄었다. 2007년에는 5,000명 미만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70] 침공 전에는 이라크 남부의 아마라, 나시리야, 바스라이란의 아흐바즈 지역, 그리고 바그다드에 주로 거주했으나, 현재는 바그다드 주변과 상대적으로 안전한 이라크 쿠르디스탄 지역 등으로 거주지가 변화하고 있다.[70] 현대 이라크 관련 뉴스 등에서 언급되는 사비교도는 대부분 이 만다교도를 가리킨다.

6. 1. 만다교

만다교도(만다야교도, 만데인)를 사비교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본래 꾸란이 사비교도라는 이름으로 지칭한 대상이 만다교도라는 견해도 있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 이슬람의 이라크 정복 이후, 하란의 성신 숭배자들처럼 안전 보장을 위해 스스로 사비교도를 칭했거나, 혹은 이슬람 측의 오해로 인해 사비교도로 간주되었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만다교도는 요르단강 유역에서 시작되어, 3세기경에 이라크 남부로 이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세례 의례를 중시하며, 교의는 유대교미트라교와도 관련성을 보이지만 근본적으로 영지주의적인 세계관을 가진다. 만다교에서는 지상과 인간을 창조한 프타힐을 하등신으로 여기며, 모세, 예수, 무함마드를 거짓 예언자로 간주한다. 세례자 요한을 숭배하는데, 이는 이슬람 지배하에서 경전의 백성으로 인정받기 위해, 요르단 강 및 세례와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후대에 추가된 요소로 보는 시각이 있다.

오늘날 만다교도는 이라크 남부의 습지대와 아랍계 주민이 다수 거주하는 이란후제스탄주 일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현대 이라크 관련 뉴스 등에서 언급되는 사비교도는 대부분 이 만다교도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6. 2. 수빠 (Subba)

이라크 남부에서 이란에 걸쳐 분포하는 소수 종교 집단으로, 수빠(صُبَّا|Ṣubbāar)라고 불린다. 때로는 사비교인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수빠'라는 이름은 아랍어로 "세례의 신도"를 의미하며, 실제로 이들은 일종의 세례 의례를 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빠의 구체적인 역사나 신앙 체계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 세례 의례의 존재 때문에 이들이 유대교기독교 계열에 속할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게 제기된다.

한편, 마찬가지로 세례 의례를 중시하는 만다교도 역시 '수빠'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어, 이 둘을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2] 간행물
[3] 간행물
[3] 간행물
[4] 간행물
[5] 간행물
[5] 간행물
[5] 간행물
[5]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6] 간행물
[7] 간행물
[7] 간행물
[8] 간행물
[8] 간행물
[8] 간행물
[8] 간행물
[8] 간행물
[9] 간행물
[9] 간행물
[10] 간행물
[10] 간행물
[10] 간행물
[10] 간행물
[10] 간행물
[11] 간행물
[11] 간행물
[11] 간행물
[11] 간행물
[12] 간행물
[12] 간행물
[12]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13]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간행물
[17] 간행물
[18] 간행물
[19] 간행물
[20] 서적 Ginza Rabba Drabsha
[21] 웹사이트 Sacred Text and Esoteric Praxis in Sabian Mandaean Religion http://isamveri.org/[...]
[22] 간행물
[22] 간행물
[22] 간행물
[22] 간행물
[22] 간행물
[23] 간행물
[23] 간행물
[24] 간행물
[25] 간행물
[26] 간행물
[26] 간행물
[27] 간행물
[28] 간행물
[29] 간행물
[29] 간행물
[30] 웹사이트 Sabaism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31] 간행물
[32] 문서 Sahih Bukhari
[33] 서적 The Mandaeans: ancient texts and modern people http://mandaeannetwo[...] Oxfo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al-Fihrist
[35] 웹사이트 Sacred Text and Esoteric Praxis in Sabian Mandaean Religion http://isamveri.org/[...]
[36] 웹사이트 ALCHASAI https://iranicaonlin[...] 2011-07-29
[37] 웹사이트 Extracts from Ethel Stefana Drower, 1937, ''Mandaeans of Iraq and Iran'' https://web.archive.[...] 2010-05-24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Volume IX The Last Years of the Prophe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0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문서 'The Guide for the Perplexed, Book Three, Chapter 37 p. 334' http://www.sacred-te[...] Dover Publications, Inc. 1956
[47] 서적
[48] 문서 Á'ín-i Sábi'ín Institute for Baháʼí Studies 1994
[49] 서적 The Promulgation of Universal Peace http://reference.bah[...] Baháʼí Publishing Trust
[50] 서적 Tablets of Bahá'u'lláh Revealed After the Kitáb-i-Aqdas http://reference.bah[...] Baháʼí Publishing Trust
[51] 웹사이트 The Secret of Divine Civilization https://www.bahai.or[...] 2022-01-31
[52] 서적
[53] 문서 The Mandaeans: The Last Gnostics https://books.google[...]
[54] 문서 Survival Among The Kurds https://books.google[...]
[55] 문서 'Gnostic John the Baptizer: Selections from the Mandaean John-Book'
[56] 문서 The Edinburgh Review 1880
[57] 서적 Early adventures in Persia, Susiana, and Babylonia, including a residence among the bakhtiyari and other wild tribes before the discovery of Nineveh John Murray
[58] 서적 A Reed Shaken By the Wind: A Journey Through the Unexplored Marshlands of Iraq Harper and Row 1957
[59] 문서 Ideologies as intercultural phenomena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ntercultural Studies of the [[MELAMMU]] Project 2002
[60] 문서 First, the books of the Nabatean corpus themselves claim to be translations from "ancient Syriac" (e.g. Filaha 1:5) made by Ibn Wahshiyya and transmitted to a student of his, Ibn az-Zayyat. The real authors of, e.g., Filaha, according to... 2002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Translation by
[69] 서적
[70] 웹사이트 Sabian sect keeps the faith http://usatoday30.us[...] 2007-09-27
[71] 논문 Sābiens coraniques et “Sābiens” de Harran 1986
[72] 서적 The Jews of Islam 1987
[73] 기타 Sahih Bukhari
[74] 서적 The Invisible History of the Rosicrucians Inner Traditions / Bear & Co 2009-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