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로(Saint-Lô)는 프랑스 망슈 데파르트망 중앙에 위치한 도시로, 캉, 셰르부르, 렌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다. 비르 강과 돌레, 토르트롱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온화한 대서양성 기후를 보인다. 890년 바이킹에게 점령된 후, 1025년 주교좌가 복원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금세공과 섬유 산업으로 번성했다. 1346년 잉글랜드군에 의해 약탈당했으며, 이후 프랑스령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노르망디 전투에서 심하게 파괴되었으나, 전후 재건을 통해 '폐허의 수도'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현재는 농식품 산업과 서비스업이 발달했으며, 국립 종마장이 위치해 있다. 주요 인물로는 천문학자 위르뱅 르 베리에, 작가 옥타브 푀이에 등이 있으며, 노트르담 교회, 생트-크루아 교회, 국립 종마장 등이 명소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망슈주 - 셰르부르옥트빌
    셰르부르옥트빌은 프랑스 노르망디 코탕탱 반도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군항 및 요새로 발전하여 한국 전쟁에도 기여했으며, 어업, 해군 시설, 원자력 관련 산업이 발달했고 해사 박물관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망슈주 - 그랑빌
    그랑빌은 프랑스 영국 해협 연안 코탕탱 반도 끝자락에 위치한 코뮌으로, 몽생미셸 만 북쪽과 {{Interlanguage link|Côte des Havres|fr}} 남쪽 경계에 해당하며, 편암 절벽으로 둘러싸인 반도에 자리 잡고 있고, 쇼지 제도를 관할하며, 15세기 성벽, 해양성 기후, 다양한 해변과 항구, 그리고 패션 디자이너 크리스티앙 디오르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다.
  • 망슈주의 코뮌 - 아브랑슈
    아브랑슈는 프랑스 망슈 현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시대에는 부족의 수도였고 주교구의 중심지였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건을 겪었고, 2019년 생마르탱데샹을 통합했으며, 주요 문화 시설과 축구 클럽을 보유하고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망슈주의 코뮌 - 퐁토보
    퐁토보는 프랑스 브르타뉴에 있는 지명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패튼의 군대가 이 지역의 다리를 건너 진입했으며, 과거에는 트램웨이가 지나다니며 주변 지역을 연결했다.
  • 프랑스의 주도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주도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생로
기본 정보
생로의 노트르담 교회에서 본 생로의 전경
생로의 노트르담 교회에서 본 생로의 전경
지위프랑스의 코뮌, 현의 주도
별칭순교자의 수도
한국어생로
프랑스어Saint-Lô
행정
국가프랑스
레지옹노르망디
데파르트망망슈주
아롱디스망생로
캉통생로-1, 생로-2
INSEE 코드50502
우편 번호50000
시장에마뉘엘 르죈
임기2020–2026
소속 정당DVD
Intercommunality생로 아글로
면적23.19 km²
고도14 m
최소 고도7 m
최대 고도134 m
인구18,931명 (2012년)
인구 밀도816명/km²
거주민Saint-Lois (생루아)
웹사이트생로 공식 웹사이트

2. 지리

코뮌 지도


시내 중심부 평면도


생로(Saint-Lô)는 망슈의 중앙에 위치하며, 생루아 보카주 한가운데에 있다. 에서 서쪽으로 57km, 셰르부르에서 남쪽으로 78km, 에서 북쪽으로 119km 떨어져 있다.

이 도시는 아모리카 대지에 속하는 코탕탱 반도의 편암 바위 노두에서 ''브리오베라''(Briovera)라는 이름으로 탄생했다. 이곳은 시내 중심부를 지배하는 비르와 도시 구역에서 채널화된 두 강, 돌레(Dollée)와 토르트롱(Torteron)이 합류하는 지점이다. 이 도시의 역사적인 중심지는 수동적인 방어에 적합한 장소인 ''랑클로''(L'Enclos)가 되었다.

영토의 동쪽은 1964년에 흡수된 생토마 드 생로(Saint-Thomas-de-Saint-Lô) 남쪽에 위치한 이전 코뮌 생트 크루아 드 생로(Sainte-Croix-de-Saint-Lô)이다.

2. 1. 기후

생로(Saint-Lô)는 온화한 겨울과 온화한 여름이 특징인 온화한 대서양성 기후를 가지고 있다. 연평균 강수량은 연간 800mm에서 900mm 사이이다. 강수량은 연중 상당히 자주 내리지만, 대서양에서 오는 기압골과 관련하여 가을과 겨울에 가장 많다. 드물게 강렬하며 종종 보슬비 형태로 내린다. 평균 기온은 10°C이다.[9] 겨울에는 평균 기온이 1°C에서 7°C 사이이다. 연간 30~40일 정도의 서리가 내린다. 여름에는 평균 기온이 약 20°C이다.

3. 역사

생로(Saint-Lô)는 오랜 기간 노르망디 경제의 중요한 중심지였으나, 잉글랜드 등 주변 세력의 침략을 여러 차례 겪었다. 원래 '''브리오베라'''(Briovère)라는 이름의 골족 정착지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골어로 "비르 강 위의 다리"를 의미한다. 기원전 56년 로마 제국에 정복되었고, 이후 갈로로만 문화가 발전했다.[14] 3세기에는 색슨족의 침입을 받았으며, 이후 프랑크 왕국의 영향력은 미미했다.

기독교는 5세기 이후 전파되었으며, 6세기 쿠탕스의 주교 쿠탕스의 로드가 이곳에 거주하며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사후 도시 이름은 그를 기려 ''생-로드''(Saint-Laud)를 거쳐 8세기부터 ''생-로''(Saint-Lô)로 불리게 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바이킹의 침략으로 파괴되었다가(889년) 11세기 제프리 드 몽브레이 주교 아래에서 재건되어 경제적으로 크게 번영했다. 특히 금세공이 유명했으며, 남부 이탈리아의 노르만 정복에서 얻은 부를 바탕으로 쿠탕스 대성당 재건 등이 이루어졌다. 1204년 프랑스 왕령에 편입된 후 평화 속에서 번성하여 루앙, 에 이어 노르망디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이 시기 무두질, 제조, 직물 산업 등이 발달했다.[17][18] 그러나 백년 전쟁 중인 1346년 영국군에게 약탈당하는 등 시련을 겪었다.[19]

근대에 들어서는 프랑스 종교 전쟁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16세기 프로테스탄트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으나, 1574년 가톨릭 군대에 점령되어 큰 피해를 입었다.[20] 1685년 낭트 칙령 폐지로 많은 장인이 도시를 떠나 경제적으로 타격을 받았다.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자유의 바위'(Rocher de la Liberté)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19세기에는 비르 강 운하 건설과 철도 연결(1860년)이 이루어졌으나, 산업 혁명의 흐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농업 중심지로 남으면서 점차 쇠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 과정에서 연합군의 대규모 폭격으로 도시의 95% 이상이 파괴되어 '폐허의 수도'(Capitale des Ruines)라는 별명을 얻었다.[28] 전쟁 후 대대적인 재건 사업을 통해 현대적인 도시로 복구되었으며, 분권화 정책 등에 힘입어 다시 주요 도시로 성장했다.

3. 1. 중세

도시의 주요 입구였던 성벽


836년부터 살로몬 왕이 이끄는 브르타뉴인들이 코탕탱 반도 서해안을 점령하기 시작했다. 867년 8월, 대머리왕 카를은 살로몬에게 코미타투스 콘스탄티엔시스(Comitatus Constantiensis)를 하사했는데, 이는 당시 카를의 영향력이 거의 미치지 못하던 지역이었다. 889년에는 바이킹이 비르 강을 거슬러 올라와 생로를 포위했다. 전설에 따르면 9세기 초 샤를마뉴가 건설한 견고한 성벽 덕분에 도시는 초기에 저항했으나, 바이킹이 식수 공급을 끊자 결국 항복했다. 바이킹은 쿠탕스 주교를 포함한 주민들을 학살하고 도시를 파괴했으며, 교구의 소재지는 루앙으로 옮겨졌다.

1025년이 되어서야 허버트 주교가 생로로 돌아와 주교좌를 복원했다. 이후 제프리 드 몽브레이 주교 아래에서 이 도시는 남부 이탈리아의 노르만 정복을 통해 얻은 부를 바탕으로 큰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다. 제프리의 측근이었던 로베르 기스카르는 아풀리아 칼라브리아 공국에서 많은 전리품을 가져왔고, 이 재원으로 제프리는 1056년 쿠탕스 대성당을 재건할 수 있었다. 생로는 금세공으로 유명해져, 정복왕 윌리엄의 아내 플랑드르의 마틸다는 캉 여자 수도원에 두 개의 샹들리에를 주문하기도 했다.

이 지역 주민들은 잉글랜드의 노르만 정복에 참여했다. 잉글랜드의 헨리 1세는 코탕탱 백작이자 잉글랜드 왕으로서 1090년에 생로의 방비를 강화했다. 1091년에는 쿠탕스 주교 제프리 드 몽브레이가 비르 강에 갑문과 제분소를 건설했다. 1135년 헨리 1세가 사망한 후, 잉글랜드의 스티븐과 앙주의 조프루아 5세 사이에 왕위 계승 분쟁이 벌어졌다. 생로는 스티븐을 지지했으나, 1139년 조프루아 플랜태저넷 군대에 의해 단 3일 만에 점령되었다. 캔터베리 대주교 토머스 베켓이 생로를 지나갔으며, 그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던 교회는 현재 남아있지 않지만 '생-토마스 거리'라는 이름으로 흔적이 남아있다.

1204년, 생로는 필리프 오귀스트에게 항복하며 프랑스 왕령이 되었다. 이 시기 도시는 평화를 누리며 번성했다. 도시 외곽에는 오텔디외(병원)가 세워졌고, 노트르담 교회의 일부가 건설되었으며, 1234년에는 재단사 길드가 설립되었다. 성왕 루이 9세는 1256년과 1269년 두 차례 이 도시를 방문했다. 당시 생로는 노르망디 공국에서 루앙 다음으로 세 번째로 큰 도시였다. 1275년에는 필리프 3세 (프랑스) 왕으로부터 동전 주조 권한을 얻어 1693년까지 유지했다.

생로는 다양한 산업으로도 명성을 얻었다. 특히 무두질이 발달하여 "생로의 소가죽"(la vache de Saint-Lô)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르네 투스탱 드 빌리(René Toustain de Billy)의 기록에 따르면, 레이스와 가죽 아귈레트(aguillette) 무역량은 1555년에 100만 개에 달했다. 제조 또한 유명하여 16세기에는 ''"좋은 칼을 갖고 싶다면, 생로로 가야 한다"''[16]는 속담이 있을 정도였다. 이 외에도 금세공과 섬유 산업에서 프랑스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다.[17] 2,000명이 넘는 직조공이 있었으며,[18] 이들은 주로 수량이 풍부하고 흐름이 완만한 돌리 강 근처에 자리 잡았다. 양모는 코탕탱 반도 전역에서 수입되었고, 1460년 6월 20일에는 생로에서 생산되는 옷감에 특수한 테두리를 사용하도록 하는 명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생-조르주 거리


백년 전쟁 중인 1346년 7월 22일,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가 이끄는 영국군이 생바스트라우그에 상륙한 후 생로로 진격했다. 역사가 장 프루아사르는 당시 생로를 ''"어려운 시대에도 부유하고 상업적인 콘스탄틴(코탕탱)의 큰 도시"''라고 묘사했다.[19] 그러나 이 침공으로 도시는 약탈당했다.

3. 2. 근대

장-밥티스트 코로, ''라 비르 아 생-로''(1850–1855), 루브르 박물관


평화로운 시대가 다시 찾아왔지만 코탕탱 지역은 과거의 중요성을 잃었다. 프랑수아 1세는 1532년 네프부르 문 앞에서 환영받았다. 16세기에는 프로테스탄트 세력이 강해졌다. 생로는 1555년부터 개혁 교회가 있었고, 초기에 인쇄된 책들은 주로 프로테스탄트 저작물이었다.

생로는 특히 프랑스 종교 전쟁 동안 큰 고통을 겪었다. 위그노들은 1562년 생로와 카랑탕을 점령하고 쿠탕스를 약탈했으며, 아르튀 드 코세-브리사크 주교를 붙잡아 당나귀에 태워 생로 마을로 끌고 갔다. 1574년 2월 앙부아즈 칙령으로 도시가 샤를 9세에게 복종했지만, 노르망디 프로테스탄트 세력은 여전히 생로를 본부로 삼았다. 결국 자크 2세 드 고용 드 마티뇽(마티뇽 원수)이 이끄는 군대가 5월 1일 도시를 포위했고, 10일간의 공격 끝에 6월 10일 점령했다.[20] 이 과정에서 콜롱비에르 영주를 포함해 500명 이상이 사망했지만, 프로테스탄트 지도자 가브리엘 드 몽고메리는 돌레 문을 통해 탈출했다. 도시는 자크 2세 드 고용 드 마티뇽에게 넘어갔고, 그는 이곳에 성채를 건설했다. 2년 후, 쿠탕스 주교가 가졌던 생로에 대한 영주권은 완전히 사라졌다.

전쟁의 여파로 1580년 생로는 재판소 본부 지위를 잃고, 바일리(Bailiwick, 중세 프랑스 행정 구역)의 수도였던 쿠탕스로 이전되었다.[21] 17세기 중반에는 성벽 일부가 허물어졌고, 도시는 '뇌프부르(Neufbourg)'라는 새로운 구역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낭트 칙령이 1685년 철폐되면서 많은 장인이 생로를 떠나 도시 경제에 타격을 주었다. 1636년에는 정부가 코탕탱 지역에 소금세(Gabelle)를 확대하려 하자 바-뉘-피에의 반란(Revolt of the va-nu-pieds)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럼에도 이 지역은 '데스타메(d'estame)' 양말 제조 등으로 번성했다. 1678년에는 성 라우드의 유물이 노트르담 성당으로 돌아왔다.

1761년 파리와 셰르부르-옥트빌을 잇는 도로가 생로를 지나면서 교역이 활발해졌다. 1789년 프랑스 혁명은 프랑스 행정 구역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1794년과 1796년 사이 망슈 데파트망의 수도가 잠시 쿠탕스로 정해지기도 했다. 생로는 혁명 시기 동안 '로셰 드 라 리베르테(Rocher de la Liberté, 자유의 바위)'라는 공화주의 이름으로 불렸고, '샹 드 마르스(Champ de Mars)'에는 자유를 상징하는 나무가 심어졌다. 공포 정치 시기에는 비교적 큰 피해를 입지 않았으나, 왕당파인 슈앙(Chouans)과의 충돌은 있었다.

1930년 화재 후 유일하게 남은 제지 공장 굴뚝


나폴레옹 시대에는 국립 종마장이 설립되었다. 1827년, 마리 테레즈 드 프랑스, 앙굴렘 공작부인이 생로를 지나가며 풍경의 아름다움에 감탄하고, 비르 강을 항해 가능하게 만들어 바닷길을 열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따라 1833년 비르 및 토트 운하가 건설되어 카랑탕과 생로 사이를 연결했다. 1835년 7월 10일 명령으로 비르 강은 공식적으로 항해 가능한 강으로 지정되었다. 알프레드 모셀만 남작은 약 250명의 군 수감자와 스페인 포로를 동원하여 생로에 항구를 건설했다. 조선소도 세워졌고, 운송량은 1841년 50ton에서 1846년 132ton 이상으로 증가했다. 모셀만 가문은 바지선을 운항하고 수로의 견인로를 정비하여 말을 이용한 운송 방식을 도입했다. 주로 퐁-에베르와 카비니 채석장에서 나오는 탕그(Tangue, 해안 퇴적물)와 석회가 운송되었으며, 석회 생산량은 1841년 1233ton에서 1858년 30000ton으로 크게 늘었다. 1867년에는 여수로 근처에 발비르(Valvire) 제지 공장[22]이 세워져 포장지를 생산했으나, 1930년 화재로 공장 굴뚝 외에는 거의 남지 않고 파괴되었다.

생로는 산업 발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주민들이 파리와 연결되는 망트-라-졸리-셰르부르 철도 건설을 거부하여 철도 연결이 늦어졌고, 1860년에야 철도망에 포함되었다. 19세기 동안 생로는 비옥한 농업 지역의 중심지로서 가축 거래의 중요한 장소로 자리 잡았지만, 산업 혁명에 대한 농촌 인구의 불안감은 도시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한때 강 운송량은 53000ton에 달했으나 식료품은 6%에 불과했다. 운하에서 누수가 발견되면서 1926년 비르 강 운하는 폐쇄되었다. 이 지역은 심각한 농촌 인구 유출을 겪었고, 1870년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발비르 제지 공장은 1930년대 화재 이후 재건되지 않았다. 망슈 데파트망의 인구는 1850년부터 계속 감소했으며, 생로는 쇠퇴하는 상황 속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을 맞이하게 되었다.

1914년과 1915년 사이, 생로에는 제10군단 임시 병원 제2호가 운영되었다.

장 필립(Jean Philippe)의 형사 사건은 생로에서 발생했으며, 1940년 12월 9일 쿠탕스에서 망슈 배심 법원의 재판을 받았다.[23]

3. 3. 제2차 세계 대전

성벽 지하 입구


1940년 프랑스 침공 이후, 에르빈 롬멜이 지휘하는 독일 제7 기갑사단이 노르망디에 진입했다. 독일군은 셰르부르 점령을 목표로 1940년 6월 17일 밤, 전략적 요충지인 생로를 점령하며 망슈주 중심부를 장악했다. 점령 기간 동안, 지역 정치인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아서 르 뒤크(Arthur Le Duc)가 제작한 노르만 유제품 판매원 조각상과 하빈(Havine) 조각상이 독일군에 의해 팔려나가 대포 제작에 사용되었다. 1943년 3월, 독일군은 바위 아래에 터널을 파기 시작했는데, 이 터널의 정확한 용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아그노(Hague) 연구소와 동시에 굴착되었다. 강제 노역 부서(STO)의 노동자들이 노르망디 전투 시작 전까지 동원되었으며, 건설 중이던 지하 시설은 인근 오텔-디외(Hôtel-Dieu) 병원의 환자와 일부 생로 주민을 수용할 예정이었다.[24]

1944년 1월, 독일군 병사 한 명이 사살되는 사건이 발생하자 여러 지역 주민이 체포되었다. 이로 인해 영화관, 극장, 술집이 문을 닫았고, 라디오가 압수되었으며 통행금지 시간이 오후 8시로 앞당겨졌다.[25]

1944년 7월 미군의 폭격 이후 생로


파괴된 생로 기차역


해방 과정에서 생로는 노르망디 전투 중 두 차례의 큰 공습을 겪었다. 첫 번째는 1944년 6월 6일 밤부터 7일까지 이어진 미군의 공습이었다.[26] 이 공습으로 약 800명의 민간인이 사망했으며, 연합군은 일주일 동안 매일같이 발전소와 철도 시설을 공격했다.[27]

두 번째 공습은 7월 17일에 시작되었으며, 이번에는 독일군이 도시를 폭격했다. 이 시기 벌어진 격렬한 전투는 생로 전투로 알려졌으며, 미 해군 호위 항공모함 USS ''St. Lo''의 이름은 이 전투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주요 교통 중심지였던 생로는 노르망디 상륙 초기부터 독일군을 노르망디에서 몰아내기 위한 코브라 작전까지 군사 활동의 핵심 지역이었다. 계속된 공중 및 지상 공격으로 생로는 도시의 90~95%가 파괴되는 등 거의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 이 참상으로 인해 작가 사무엘 베케트는 생로를 "폐허의 수도"라고 불렀다.[28] 생로는 연합군이 독일군을 북부 프랑스에서 몰아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팔레즈 포위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거점 중 하나였다.

미 제29보병사단장 찰스 H. 게르하르트 소장의 명령에 따라, 토마스 D. 하위 소령의 시신은 성조기를 덮은 지프에 실려 가장 먼저 생로 시내로 진입했다. 그는 "생로의 소령"으로 불리며 도시 해방의 상징적인 인물로 기억되었다.[29]

생로, 폐허의 수도 포스터


옛 감옥 문의 잔해


전후 생로는 1948년 6월 2일, "국가의 운명에 대한 완전한 신뢰를 유지한 망슈주의 수도. 6월 6~7일 밤, 영웅적인 침착함으로 공습을 견뎌내 주민들이 스스로를 폐허의 수도 시민이라 부를 정도였다"는 공로를 인정받아 레지옹 도뇌르 훈장과 1939–1945 전쟁 십자 훈장을 받았다. 시상식은 6월 6일 뱅상 오리올 대통령이 주관했다. 이후 생로에 흡수된 생트-크루아-드-생-로(Sainte-Croix-de-Saint-Lô)와 생-토마-드-생-로(Saint-Thomas-de-Saint-Lô) 코뮌도 1948년 11월 11일에 1939–1945 전쟁 십자 훈장을 받았다.[30]

전쟁 이후, 도시를 재건할 것인지 아니면 폭격의 참상을 증언하는 폐허로 남겨둘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한 미국 군인은 "우리가 이곳을 확실히 지옥으로 만들었다"고 말하기도 했다.[31] 거의 완전히 파괴된(97%) 생로는 '폐허의 수도'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을 얻었는데, 이는 베르나르 자클린(Bernard Jacqueline) 대주교의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별명은 사무엘 베케트가 1946년 6월 10일에 쓴 글 '폐허의 수도'에서도 언급되며, 그가 생로에서 겪은 경험이 얼마나 강렬했는지를 보여준다.[32] 성벽에 위치한 노트르담 교회는 여전히 폭격과 전투의 상흔을 간직하고 있다. 주민들은 조심스럽게 도시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1944년 8월 12일에는 180명에 불과했으며, 미군 당국은 거주 허가증을 발급하며 통제했다. 주민과 군인의 시신 수습을 포함한 대대적인 청소 작업이 1944년 10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 그러나 관계자들은 생로 재건을 망설였고, 일부는 폐허를 도시의 순교 증거로 남기고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자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하지만 결국 주민들의 의사에 따라 도시를 재건하기로 결정했다.

전후 임시 막사의 모습


1945년 4월, 프랑스의 재건부 장관 라울 도트리는 임시 목조 막사 건설을 추진했다. 이 막사들은 기부금으로 지어졌는데, 스위스 전쟁 피해자 기부 협회는 주택과 커뮤니티 센터 건설을 위해 62만스위스 프랑를 지원했고, 1949년 10월 10일에는 649,490 스위스 프랑 상당의 금괴를 제공했다. 1948년에는 10개의 주택 단지가 조성되었으며, 일부 단지는 70채 이상의 주택을 포함했다. 막사는 조립식으로 배송되어 현장에서 조립되었으며, 스웨덴, 핀란드, 스위스, 프랑스, 미국, 캐나다 등 다양한 국가에서 지원했다. 아일랜드 적십자사는 1945년 8월부터 174ton의 장비를 투입하여 25개 건물로 구성된 100개 병상 규모의 병원 건설을 지원했다.[33] 이 병원은 1946년 4월 7일에 개원했으며, 아일랜드 의료진은 1947년 1월 초까지 머물렀다. 목조 판잣집 형태의 이 병원은 1956년까지 운영되었다.[34]

재건의 첫 삽을 뜨는 모습


1948년부터는 영구적인 도시 재건이 시작되었다. 재건 총괄 건축가 앙드레 힐트(André Hilt, 1946년 사망)가 설계한 계획을 바탕으로, 도시의 기본적인 구조는 유지하면서 현대적인 요구에 맞게 재건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뱅상 오리올 대통령은 노르망디 상륙 4주년에 맞춰 재건의 첫 돌을 놓았다.

폭격의 피해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미국은 현대적인 병원 건설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건축가 폴 넬슨(Paul Nelson)이 설계를 맡아[35] 현대적인 스타일의 건물을 계획했다. 이 병원은 빌디외레포엘(Villedieu-les-Poêles) 도로에 위치하며, 1949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56년 5월 10일에 완공되었다. 병원에는 페르낭 레제가 제작한 기념 모자이크가 설치되었는데, 이는 꽃이 핀 사과나무 가지를 향해 뻗은 두 손을 통해 평화와 프랑스-미국 간의 우정을 상징한다. 당시 이 병원은 유럽에서 가장 큰 병원 중 하나였다. 한편, 재건 기간 동안 임시로 쿠탕스로 이전했던 망슈 현청을 생로로 복귀시키지 않으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2,400명 이상의 주민 서명을 통해 반대 여론이 형성되었고, 결국 현청은 1953년 새로운 건물과 함께 생로로 돌아왔다.

생로는 콘크리트를 기반으로 한 신지역주의 기능주의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그러나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외관은 곧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건축 양식은 당시 생로가 처한 긴급한 주택 문제 해결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지만, 르아브르로리앙의 재건 사례와 비교되며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로의 재건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 시대의 중요한 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일부 거리(뇌프부르 거리, 크루아카네 거리, 팔루르델 거리, 생조르주 거리, 포르 오 푸 거리)에는 옛 생로의 흔적이 일부 남아 있으며, 특히 포르 오 푸 거리에는 생로의 마지막 중세 시대 길이 보존되어 있다.

3. 4. 전후 재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도시를 재건해야 할지 아니면 폭격의 증거로 폐허 그대로 보존해야 할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한 미국 군인은 "우리는 이곳을 확실히 지옥으로 만들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31]

거의 완전히 파괴된(97%) 생로는 '폐허의 수도'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을 얻었는데, 이는 베르나르 자클린 대주교의 말로 여겨진다. 이 때문에 폐허 속에서 에두아르 르바스(Édouard Lebas) 지사는 쿠탕스로 이주해야 했다. ‘폐허의 수도’라는 표현은 작가 사무엘 베케트가 1946년 6월 10일에 쓴 동명의 글에서도 언급되는데, 이는 그가 생로에서 보고 겪은 참상이 얼마나 깊이 각인되었는지를 보여준다.[32] 성벽에 위치한 노트르담 교회는 여전히 폭격과 격렬했던 전투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주민들은 조심스럽게 도시로 돌아왔다. 1944년 8월 12일에는 180명에 불과했으며, 미군 당국은 거주 허가 없이 통행증만 발급했다. 주민과 군인의 시신을 수습하고 잔해를 치우는 대대적인 청소 작업이 1944년 10월 15일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당국은 생로 재건을 망설였다. 일부에서는 폐허를 도시가 겪은 순교의 증거로 남겨두고 나중에 새로운 생로를 건설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인구는 줄었지만, 주민들은 도시 재건을 선호했다.

1945년 4월, 프랑스 임시정부의 재건 장관 라울 도트리는 임시 목조 막사 건설을 추진했다. 이 막사들은 기부금으로 지어졌다. '전쟁 피해자를 위한 스위스 기부'(Don suisse pour les victimes de la guerre) 협회는 주택과 커뮤니티 센터 건설을 위해 62만스위스 프랑를 지원했다. 1949년 10월 10일, 스위스는 649,490CHF에 해당하는 금괴를 도시에 제공했다. 1948년에는 10개의 주택 단지가 조성되었으며, 일부 단지는 70채 이상의 주택을 포함했다. 막사는 조립식으로 배송되어 현장에서 조립되었다. 각 막사는 지원 국가(스웨덴, 핀란드, 스위스, 프랑스, 미국, 캐나다)에 따라 다른 특징을 가졌다. 아일랜드 적십자사는 100개 병상 규모의 병원 건설에 참여하여, 1945년 8월부터 174ton의 장비를 투입해 25개의 건물을 지었다(현재 파스퇴르 중학교 위치).[33] 이 병원은 1946년 4월 7일에 개원했으며, 아일랜드 의료진은 1947년 1월 초에 생로를 떠났다. 목조 판잣집으로 지어진 이 임시 병원은 1956년까지 운영되었다.[34]

1948년부터는 영구적인 도시 재건이 시작되었다. 재건 책임 건축가 앙드레 힐트(André Hilt, 1946년 사망)가 설계한 계획을 바탕으로, 도시의 기본적인 구조는 유지하되 현대적인 요구에 맞게 재건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4주년을 맞아 뱅상 오리올 대통령이 재건의 첫 돌을 놓았다.

폭격을 주도했던 미국은 도시 재건을 위한 보상의 일환으로 현대적인 병원 건설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건축가 폴 넬슨(Paul Nelson)이 설계를 맡아 현대적인 스타일의 건물을 계획했다.[35] 병원은 ''빌디외레포엘''(Villedieu-les-Poêles)로에 위치하며, 1949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56년 5월 10일에 완공되었다. 병원에는 화가 페르낭 레제가 제작한 기념비적인 모자이크 작품이 설치되어 평화와 프랑스-미국 간의 우정을 기리고 있다. 이 작품은 꽃이 핀 사과나무 가지로 상징되는 코탕탱 반도를 향해 뻗은 두 손을 묘사하고 있다. 당시 이 병원은 유럽에서 가장 큰 병원이었다. 한편, 1949년 11월 29일, 언론인 프레데릭 포테셰르는 망슈 의 현청을 생로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지 않는다는 가설을 제기했다. 현청은 재건 기간 동안 임시로 쿠탕스에 있었다. 이에 생로 주민 2,400명 이상이 서명 운동을 벌이며 반발했다.

결국 현청은 1953년 새로운 건물로 생로에 복귀했다.

재건된 광장의 종탑


생로는 재건되었지만, 콘크리트를 주로 사용한 신지역주의 기능주의 양식이 주를 이루어 단조롭고 낡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러한 건축 양식은 당시 생로의 긴급한 주택 문제 해결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으며, 오늘날 아쉬움을 남기기도 하지만 르아브르로리앙보다는 작은 규모로나마 재건 시대의 중요한 증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일부 거리에는 옛 생로의 흔적이 남아 있다. ''뇌프부르 거리''(Rue de Neufbourg), ''크루아카네 거리''(Rue de la Croix-Canuet), ''팔루르델 거리''(Rue des Pallourdes), ''생조르주 거리''(Rue Saint-Georges), ''포르 오 푸 거리''(Rue du Port-au-Four) 등이 대표적이며, 특히 포르 오 푸 거리에는 생로의 마지막 중세 시대 길이 남아 있다. 1964년, 생로는 인접한 두 코뮌인 생트크루아드생로(Sainte-Croix-de-Saint-Lô, 1962년 인구 660명,[36] 동쪽 지역)와 생토마드생로(Saint-Thomas-de-Saint-Lô, 306명[37], 남쪽 지역)를 흡수 통합했다. 도시는 영광의 30년이라 불리는 경제 성장기의 혜택을 받아 1968년과 1975년 사이에 인구가 30% 증가했다. 이 시기 돌리(Dollée) 계곡과 발생장(Balcan) 계곡에 건물이 들어섰고, 1963년에는 극장이 개관했다.

데 론셰트(Des Ronchettes) 물탱크


1990년대에는 시청 광장이 완전히 재개발되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50주년을 기념하는 대규모 행사가 열렸으며, 비르 강변은 견인로를 정비하고 ''콰이-아-탕그 광장''(Place du Quai-à-Tangue)에 녹색 해변을 조성하는 등 새롭게 단장되었다. 과거 강을 이용한 교통을 기념하기 위해 바지선이 복원되어 강을 오가기도 했다. 2004년에는 부아-주강(Boisjugan)의 농촌 지역이 도시화되어 녹지 공간을 보존하면서 주택과 대규모 수영장이 건설되었다. 데 론셰트(Des Ronchettes) 물탱크는 당시 특이한 방식으로 건설되었는데, 탱크 부분(마치 비행접시와 유사한 형태)을 지상에서 만든 후, 기둥 부분을 링 형태로 제작하면서 유압 잭 시스템으로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지어졌다. 이 물탱크의 높이 덕분에 현재는 휴대 전화, WiMAX, FM 라디오 등 통신 네트워크의 중계 지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4. 인구

생로의 역사적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생로의 인구 변화[109][110]
연도인구
17937,304
18006,987
18067,601
18218,271
18318,421
18369,065
18418,951
18469,185
18519,682
18569,768
18619,810
18669,693
18729,287
18769,706
188110,121
188610,580
189111,445
189611,121
190111,604
190612,181
191111,855
192110,661
192610,718
193110,985
193611,814
19466,010
195411,778
196215,388
196818,615
197523,221
198223,212
199021,546
199920,090
200719,320
201218,931
201719,116
출처: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Cassini (1999년까지)[109]INSEE (1968-2017)[110]
주석: 1962년부터 1999년까지: 이중 계산 제외 인구; 이후 연도: 시 인구.



1964년 생로에 흡수된 코뮌들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생트크루아드생로(Sainte-Croix-de-Saint-Lô)의 인구 변화 (1964년 흡수)[36]
연도인구
1793718
1800750
1806767
1821820
1831752
1836706
1841763
1846757
1851765
1856767
1861739
1866722
1872715
1876731
1881676
1886676
1891674
1896682
1901729
1906744
1911701
1921553
1926608
1931632
1936607
1946605
1954658
1962660
출처: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36]
주석: 1962년까지: 이중 계산 제외 인구.



생토마드생로(Saint-Thomas-de-Saint-Lô)의 인구 변화 (1964년 흡수)[37]
연도인구
1793397
1800411
1806402
1821316
1831316
1836288
1841325
1846308
1851325
1856353
1861307
1866303
1872330
1876310
1881305
1886286
1891270
1896312
1901282
1906276
1911266
1921250
1926278
1931283
1936266
1946339
1954328
1962306
출처: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37]
주석: 1962년까지: 이중 계산 제외 인구.



2017년 기준 생로의 연령별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생로의 연령별 인구 분포 (2017년, %)[58]
연령대남성 (%)여성 (%)
0–14세16.712.7
15–29세23.119.6
30–44세16.715.5
45–59세17.918.7
60–74세16.418.3
75–89세8.012.5
90세 이상1.12.6
출처: 국립 통계 경제 연구소(INSEE)[58]


5. 정치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대부분의 기록 보관소가 파괴되어 확실한 결과를 얻기 어렵다.

생로 시장 목록, 1784–1799
시작종료이름정당기타 세부 정보
17841789년 7월프랑수아 베르트랑 드 바시 드 라 퐁테리[38]
1789년 7월1789년 말피에르 루이 데니에 데 프렌[39](1751–1797)[40]
1789년 말1790년 11월자크-미셸-프랑수아 오리 드 부아발
1790년 11월?앙투안 비예르 드 부아마르탱[41](1747–1815)
?1791년 11월M. 뒤뷔송1789년 국민 민병대 대위
1791년 11월1792년 12월 3일자크-미셸-프랑수아 오리 드 부아발
1792년 12월 3일1794년 1월 8일앙투안 비예르 드 부아마르탱[42]
1794년 1월 8일?자크-미셸-프랑수아 오리 드 부아발
?1799장-밥티스트 앙투안 베르나르[43] (1815)[44]



생로 시장 목록, 1799–1870
시작종료이름정당기타 세부 사항
17991803François-Alexandre-Léonor Le Jolis de Villiers프랑스어[45] (1760–1845)[46]
18031811루이 알렉상드르 펠릭스 기요
18111815년 2월앙투안 비예르 드 부아마르탱
18151818년 11월 11일피에르 앙투안 테오도르 피넬 드 보발 (1767–1848)생-소뵈르-르-비콩트의 변호사
1818년 11월 11일1832년 3월 30일피에르 루이 클레망[47] (1776–1852)
1832년 3월 30일1840년 8월 30일질 르 메뉘에 드 라 쥐가니에르 (1773–1860)변호사이자 치안 판사
1840년 8월 30일1843년 8월 15일폴 루이 클레망
1843년 8월 15일1848년 3월 6일피에르 필리프 레카르도넬 (1792–1860)
1848년 3월 6일1849년 6월 20일폴 루이 클레망
1849년 6월 20일1868에르네스트 뒤부아[48] (1800–1873)
18681870루이 오브레[49] (1808–1871)폴리테크니크 출신



생로 시장 목록, 1870–1944
시작종료이름정당기타 세부 사항
18701874년 2월 7일오귀스트 우생 뒤마누아(Auguste Houssin Dumanoir)(1808–1889)의사
1874년 2월 7일1888년 5월 20일귀스타브 폴 로린(Gustave Paul Rauline)(1822–1904)
1888년 5월 20일1896년 12월 20일앙리 아미아르(Henri Amiard)(1841–1896)
1896년 12월 20일1904년 5월 15일알프레드 뒤소(Alfred Dussaux)(1848–1915)좌파로 자처하며 당선
1904년 5월 15일1907년 4월 7일쥘 다리(Jules Dary)(1839–...)좌파로 당선전 상인
1907년 4월 7일1908년 5월 10일르네 토마(René Thomas)(1856–1937)우파로 당선의사
1908년 5월 10일1915알프레드 뒤소(Alfred Dussaux)좌파로 자처하며 당선
19151919오귀스트 르튀르크(Auguste Leturc)(1852–1924)의사
19191925앙투안 루제(Antoine Ludger)(1958년 사망)[53]수의사
19251926에밀 에노(Émile Enault)(1871–1926)라 망슈 저널(Journal de la Manche)의 국장
19271929쥘 에루(Jules Herout)[54]현청의 명예 부서장
19291944아네짐 페리에(Anésime Périer)(1876–1958)상인



1944년, 시의회는 해산되었고 조르주 라발리(Georges Lavalley)가 의장을 맡은 시 대표단이 임시로 도시 행정을 담당했다.

생로 시장 목록, 1944년–현재
시작종료이름정당기타 세부 사항
1945년 5월 18일1953년 5월 4일조르주 라발리(Georges Lavalley, 1894–1959)상인
1953년 5월 4일1971년 3월 29일앙리 리에바르(Henri Liébard, 1909–1986)토목 기사
1971년 3월 29일1977년 3월 31일장 파투나스(Jean Patounas, 1916–1995)RI[55]외과 의사
1977년 3월 31일1983년 3월 11일베르나르 뒤퓌(Bernard Dupuis, 1937–2018)PS농업 기술자
1983년 3월 11일1989년 3월 24일장 파투나스(Jean Patounas, 1937–)UDF-PR[56]외과 의사
1989년 3월 24일1995년 6월 15일베르나르 뒤퓌PS농업 기술자
1995년 6월 15일2014년 4월 6일프랑수아 디가르 (François Digard, 1948–2017)UMP광고 컨설턴트
2014년 4월 6일[57]현직프랑수아 브리에르(François Brière, 1973–)DVD법학 교수


6. 경제

비르 강 유역에서 바라본 생로


생로는 카앙, 셰르부르, 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망슈 보카주 지역의 자연스러운 시장 역할을 수행해왔다. 전통적으로 장인과 무역의 도시였으며, 이러한 지위는 도시 번영의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산업화는 비교적 늦게 진행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지역 농식품 산업을 육성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생로 지역은 여전히 노르망디 내에서 산업화가 덜 된 곳 중 하나로 남아있다. 6.7%의 실업률은 젊은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찾아 인근의 카앙이나 지역으로 떠나는 현상을 반영한다.[61] RN 174 도로의 개통은 망슈 중심부의 접근성을 높이고 새로운 산업 구역(ZAC 넵튠) 조성을 가능하게 했다.

2008년에는 기업과 개인이 초고속 인터넷(기업 약 1 Gbps, 개인 100 Mbit/s)을 이용할 수 있도록 광섬유 케이블망 구축을 시작했다. 기업은 2008년 9월, 개인은 2009년 9월부터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었으며, 이는 프랑스에서 비슷한 규모의 도시 중 최초로 광섬유 인터넷망을 갖추는 사례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62]

데이터(%)2002200320042005[63]2006[1]2007[1]2008[1]20092010
주택세14.0814.0814.0814.0814.0814.0814.0814.0814.08
생활 폐기물08.4908.49
건축 토지세17.8117.8117.8117.8117.8117.8117.81
미건축 토지세39.7139.7139.7139.7139.7139.7139.71
사업세12.1712.1712.1712.17



생로 시의 경제는 서비스업 중심이며, 프랑스-미국 기념 병원이 주요 고용주이다. 현청 소재지로서 행정 관련 일자리도 많고, 보카주 중심지로서 농업 관련 서비스업도 유지되며, 순환도로 주변으로 상업 시설이 발달했다.

6. 1. 산업

CEV 그룹-알리오스(CEV Group-Alios)


베르봄(Verbom)


생로 시는 서비스업에 매우 집중되어 있으며, 과거 주요 고용주였던 물리넥스 공장의 축소 이후 프랑스-미국 기념 병원이 시의 최대 고용주가 되었다. 현청 소재지로서 행정 분야에도 많은 일자리가 있다. 보카주 중심부에 위치하여 역사적으로 농업과 관련된 서비스업도 유지되고 있다.

주요 산업 시설 및 기업은 다음과 같다.

  • 르카피테인(Le Capitaine프랑스어): 쁘띠 포레스티에( Petit Forestier프랑스어)의 자회사로, 자동차 차체 및 냉동 설비 제조업체이다. 직원 수는 320명이며 매출은 3300만유로에 달한다.
  • 물리넥스(Moulinex프랑스어): 물리넥스 공장은 오랫동안 생로에서 가장 큰 공장이었다. 2004년 그룹이 파산했을 당시, 공장은 SEB의 자회사였으며, 전기 모터 제조 부문은 Euromoteurs|유로모터프랑스어라는 이름으로 재출범하여 SEB를 유일한 고객으로 삼았다. 그러나 생산 라인의 일부는 해체되어 중국으로 팔렸고, Green de Gourfaleur|그린 드 고르팔뢰르프랑스어 회사가 이를 재설치했다. 생로 부지에 남은 유로모터는 직원 150명 규모로 중소형 전동기를 제조했으나, 단일 고객에 의존하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2007년에 결국 청산되었다.
  • Alios|알리오스프랑스어/CEV: 알리오스는 스마트 카드 및 전자 거래 관리 회사인 CEV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두 회사는 같은 건물에 위치해 있다 (직원 80명). Groupe Chèque Déjeuner|그룹 쉐크 데주네프랑스어(그룹 업)의 자회사이며, Pôle de compétitivité en France|프랑스 경쟁력 클러스터프랑스어의 핵심 주체 중 하나이다.
  • MT Verbom|MT 베르봄프랑스어: 프레스 공구 전문 회사이다. 1985년 Promenade des ports|프롬나드 데 포르프랑스어에 Martignoni-Traisnel|마르티뇨니-트라니엘프랑스어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자동차 부품 생산을 전문으로 했으며, 1990년에 Chevallerie|슈발리에리프랑스어 구역으로 이전했다. 1998년 캐나다 그룹 Verbom|베르봄프랑스어과 제휴 관계를 맺었으며, 2008년 기준으로 65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노르망디 지역 농업신용은행의 지역 기금 중 하나가 위치해 있었으나 2010년 6월 폐쇄가 발표되었다. 보험사인 그룹AMA와 농업사회상호부조( Mutualité sociale agricole프랑스어)도 자리 잡고 있으며, 순환도로를 따라 많은 상업 시설들이 발달해 있다.

6. 2. 농업

이 도시는 사육과 관련된 활동을 주최한다. 과거 매주 레 론체트 근처에서 열리던 송아지 시장은 2008년 12월 30일을 끝으로 폐쇄되었고, 2009년 1월부터는 토리니쉬르비르의 송아지 시장에 통합되었다. 또한, 종마장 옆에는 가축 진흥 센터가 자리 잡고 있으며, 이곳에서는 매년 8월 노르망디 말 쇼의 승마 대회가 열린다.

1990년부터는 농식품 분야 기업 유치를 목표로 농식품 클러스터가 개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여러 공공 또는 준공공 기관이 들어섰다.

  • 아드리아 노르망디(Adria normandie): 농산물 가공에 대한 기술 자문 센터.
  • 농식품 보육 센터.
  • 릴라노(Lilano): 노르망디 산업 간 낙농 실험실 Laboratoire interprofessionnel laitier de Normandiefra.
  • 생로 농식품 교육 센터: 르 호메 다르트네에 위치한 테르 농업학교의 부설 기관.
  • 아르데파(Ardefa): 식품 산업 고용 및 훈련 개발을 위한 지역 협회 Association régionale pour le développement de l'emploi et des formations dans les industries alimentairesfra.
  • 농식품 회전 공장.
  • 생 조르주 몽코크 / 르 메닐 루셀랭의 농식품 단지: 이곳에는 주요 유제품 공장이 설립되어 있지만, 일부 지역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2008년 기준으로, 농식품 분야에서는 2007년에 많은 상을 수상한 프랑스 케밥(France Kebab) 기업의 성공이 두드러졌다.

7. 교통

생로(Saint-Lô프랑스어)는 망슈(Manche) 데파르트망의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따라서 노르-코탕탱과 망슈 남부 사이의 교통의 요지이다.

7. 1. 도로

코탕탱 반도 지역의 도로망


생로(Saint-Lô)는 쿠탕스바유 축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Route nationale 172|RD 972프랑스어 도로가 지나간다. 1980년대에는 도시 남쪽의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우회도로가 건설되었다.

셰르부르 항구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이 지역과 망슈주는 복선도로인 Route nationale 174|RN 174프랑스어 건설을 결정했다. 이 도로는 유럽 고속도로 E03의 일부이며, 길베르빌의 나들목(IC)을 통해 남쪽으로 유럽으로 직접 연결된다. 현재 완공된 남부 구간은 생로를 A84 고속도로와 직접 연결하여 캉과 으로의 고속도로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건설 중인 북부 구간이 완공되면 프랑스 국도 13호선을 통해 셰르부르와 잉글랜드로 접근이 더욱 용이해질 전망이다.

RN 174 건설은 기존의 남부 순환도로를 서쪽으로 확장하여 도시 외곽을 순환하는 진정한 우회도로 기능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도로망 확충은 새로운 산업 및 상업 지구가 조성되고 확장되는 기반을 마련하여 현재 도시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7. 2. 철도

코탕탱 반도 지역의 철도망


생로역은 철도 노선의 TER 열차가 운행한다. 이 역은 리종을 경유하여 방면이나 쿠탕스 방면으로 가는 대부분의 열차가 정차한다. 하루 두 번 왕복하는 일부 열차는 아브랑슈를 경유하여 까지 운행한다.

2006년 리종과 생로 사이의 철도 구간이 전철화된 후, SNCF와 지역 사회는 2008년 12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2년간 파리의 생 라자르 역까지 환승 없는 직통 Intercités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러나 승객 수가 충분하지 않아 이 서비스는 유지되지 못했다.[11]

또한, 콩데쉬르비르로 이어졌던 옛 산업선은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 구르팔뢰르와 콩데쉬르비르 사이의 구간[12]은 비르 강을 따라 나 있으며, 2007년부터는 비르 계곡의 ''벨로레일''(철도 자전거) 노선으로 활용되고 있다.

7. 3. 항공

생로 시는 현의 지위에도 불구하고, 시가지 인근에는 비행장이 없다. 가장 가까운 곳은 레세이며, 캉-카르피케 공항, 셰르부르-모페르튀 공항 또는 렌-생 자크 공항을 이용할 수 있다.

8. 문화

Tendance Ouest 스튜디오.


생로에는 여러 지역 매체가 사무실을 두고 있다.

  • La Manche libre|라 망슈 리브르프랑스어: 주간 신문으로, 본사가 생로에 있다.
  • Ouest-France: 일간지이며, 망슈 데파르트망 소식을 다룬다.
  • 라 프레스 드 라 망슈: 일간지이다.
  • Tendance Ouest|탕당스 우에스트프랑스어: 이전 '라디오 망슈'로 알려졌던 라디오 방송국이다.
  • France Bleu Cotentin|프랑스 블뢰 코탕탱프랑스어: 라디오 방송국이다.


루이 파스퇴르 중학교


레이몽 브뤼레 초등학교


생로시는 Académie de Caen|아카데미 드 캉프랑스어 교육청에 속해 있다.[65]

과정공립 교육 기관사립 교육 기관
초등학교오로르 초등학교
레이몽 브뤼레 초등학교
칼메트-에-게랭 초등학교
쥘 베른 초등학교
쥘 페리 초등학교
갱드랭 유치원 및 초등학교
이세르 학교 단지
생트 잔 다르크 학교 (교구)
생트-제네비에브 학교 (본-소뵈르)
중학교조르주 라발리 중학교: 학생 371명[66]
루이 파스퇴르 중학교: 학생 458명[67]
본-소뵈르 중학교
교구 중학교
고등학교피에르-에-마리 퀴리 고등학교: 학생 903명[68][69]
위르뱅 르 베리에 고등학교: 학생 803명[70]
카미유 코로 고등학교: 학생 347명[71]
본-소뵈르 고등학교
고등 교육국립 예술 공예원
국립 유제품 산업 기술관
경영 및 비즈니스 학교
농업 경영 대학원
ESIX 노르망디
간호 훈련원
IUFM
IUT



생로 IUT 지부


생로 캠퍼스는 Institut universitaire de technologie Cherbourg-Manche|앵스티튀 위니베르시테르 드 테크놀로지 셰르부르-망슈프랑스어 (셰르부르-망슈 기술 대학교, IUT)의 일부이며, 다음과 같은 과정을 제공한다.

  • Diplôme universitaire de technologie en métiers du multimédia et de l'Internet|디플롬 위니베르시테르 드 테크놀로지 앙 메티에 뒤 뮐티메디아 에 드 랭테르네프랑스어 (멀티미디어 및 인터넷 직업 기술 대학 졸업장, DUT MMI)
  • Diplôme universitaire de technologie en génie thermique et énergie|디플롬 위니베르시테르 드 테크놀로지 앙 제니 테르미크 에 에네르지프랑스어 (열 공학 및 에너지 기술 대학 졸업장, DUT GTE)
  • 전문 학사: 문화 유산 개발 및 보호 (가상 현실 및 멀티미디어 교육 옵션 포함)
  • 전문 학사: 관리 유지보수 및 산업 활용


또한,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de Centre et Sud-Manche|샹브르 드 코메르스 에 드 랭뒤스트리 드 상트르 에 쉬드-망슈프랑스어 (중앙 및 남망슈 상공회의소, CCI)와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de Cherbourg-Cotentin|샹브르 드 코메르스 에 드 랭뒤스트리 드 셰르부르-코탕탱프랑스어 (셰르부르-코탕탱 상공회의소)의 교육 기관인 FIM 그룹 소속의 경영 및 상업 학교가 있다. 1988년 설립된 이 학교는 책임감 있는 마케팅, 상업화 및 관리에 대한 3년 과정의 Études de commerce en France|에튀드 드 코메르스 앙 프랑스프랑스어 (대학 입학 자격 취득 후 상업 교육)를 제공하며, 매년 약 40명의 신입생을 받는다.

8. 1. 시설

시네모비킹 영화관


생로에는 다양한 문화 및 스포츠 시설이 있다.

'''문화 시설'''

  • 장 뤼르카 문화 센터: 미디어 라이브러리, 생로 미술관, 강당, 드로잉 학교 및 커뮤니티 건물을 포함한다.
  • 시립 음악 학교
  • 로제 페르디낭 극장
  • 노르망디: 최신 음악 콘서트홀이다.
  • 돌리 계곡에 있는 ''Lieu Pluri-artistique Art Plume'' [다중 예술 펜 아트 장소]
  • ''에스플라네 장-그레미용''에 있는 ''시네모비킹'' 영화관: 2009년 4월 1일에 개관했으며, 바스노르망디 최초로 3D 영화를 상영한 영화관이었다.[73]


'''스포츠 시설'''

수영장

  • 생로 스포츠 단지 (구 ''Exode 거리''의 실내 수영장): 웨이트 트레이닝 룸, 마르셀 세르당 복싱 체육관, 양궁을 위한 체육관 내 짚 벽, 경기장, 테니스 코트를 갖추고 있다.
  • 앙드레-길베르 – 마레샬-줴앵 체육관
  • 부아 아르당 체육관 & 도장 알랭-크레피외 도장 – ''조르주 퐁피두 광장''
  • 탁구장 – ''르 뒤 메닐크로''
  • 보셀 단지: 장-베르텔렘 경기장과 카누 기지가 있다.
  • 루이-빌메르 경기장 – 롱셰트: 축구장이다.
  • 오로라 경기장 – 롱셰트: 럭비 경기장이다.
  • 페르낭-보필스 스포츠 센터 – 샹 드 마르스: 농구장과 펜싱 룸이 있다.
  • 수영장 – 부아 주강: 2005년 1월에 개장했다. 수심 조절이 가능한 가동식 바닥이 있는 25m 수영장, 레저 수영장(와일드 리버, 좌석 마사지 등), 유아 풀, 연중 개방되는 야외 수영장 및 체육관(냉탕, 자쿠지, 하맘, 피트니스 룸 및 마사지 샤워)을 갖추고 있다.
  • 메모리얼 테니스 클럽의 테니스 코트 – 프랑스 – 미국 기념 병원
  • 구르메트 생-루아즈의 승마 센터
  • 스쿼시 – 부아 주강 (수영장 근처)
  • 컴팩트 골프 – 부아 주강
  • 양궁장 – ''발비르 거리'' (끝 부분)
  • 야구

8. 2. 축제

음악 축제 2013, 생로에서


생로에서는 연중 다양한 축제와 행사가 열린다.

  • 2월: 아시아 문화 축제 및 만화 축제가 열린다.
  • 2월 말: 주택 박람회가 ''Parc des expos''에서 개최된다.
  • 6월: 돌리 계곡의 목가적인 분위기 속에서 거리 극장, 곡예, 음악 공연을 선보이는 ''Hétéroclites'' 축제가 열린다.
  • 6월 마지막 주말: 비르 강변의 ''Plage verte''에서 비르 축제가 개최된다.
  • 음악 축제: 프랑스 라디오 방송국 Tendance Ouest가 주최하는 텐당스 라이브 쇼(Tendance Live Show)가 열린다.
  • 7월 초: 체스 축제가 열린다.
  • 7월 마지막 주 수요일: ''Enclos'' 주변에서 생로 성벽의 크리테리움(자전거 경주)이 열린다.
  • 7월, 8월: 생로 종마장에서 ''Jeudis du haras'' (종마장의 목요일) 행사가 진행된다.
  • 8월: 말 복합 단지에서 노르망디 말 쇼(승마)가 개최된다.[84]
  • 9월: 시내 중심가에서 ''Foire aux Croûtes et à la brocante'' (크루트와 벼룩시장의 박람회)가 열린다. 이 행사에서는 지역 예술가들의 그림 전시 및 판매와 벼룩시장이 함께 열린다.[74]
  • 10월:
  • Polyfollia 합창 축제가 격년으로 열렸으나, 2014년에 종료되었다.[75]
  • 매년 둘째 주말에는 생로 사격 클럽 주최로 ''Salle Saint-Ghislain''에서 생로 시 사격 챌린지가 열린다 (소총, 권총, 야전 석궁).
  • ''Parc des expos''에서 생로 박람회가 열린다.[76]
  • 전국 종마 경연 대회가 열린다.
  • 11월: 음악 축제인 소닉 미팅이 열린다.[77]

9. 자매 도시

생로 시는 다음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103]

국가도시결연일
벨기에생길랭1962년 9월 9일
독일알렌1979년 6월 3일
영국크라이스트처치1985년 4월 20일[104]
프랑스로리앙 (케르베네넥)1988년 9월 11일
미국로어노크1999년 6월 19일



또한 생로 시는 프랑스 해군의 P400급 초계함인 La Tapageuse|라 타파죄즈프랑스어의 스폰서이다. 이 초계함은 배타적 경제 수역(EEZ) 보호 또는 공공 서비스 임무를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105]

10. 주요 인물

장 퉈, 생로 출신의 프랑스 소설가

  • 자크 다비 뒤페롱 (1556–1618), 시인이자 외교관.[78]
  • Daniel Saint (1778–1847), 19세기 세밀화가.[79]
  • 위르뱅 르 베리에 (1811–1877), 천문학자이자 수학자. 생로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다. 그가 살았던 건물인 ''Champ-de-Mars 광장''에 명판이 설치되어 있다.[80]
  • Alexandre Blanchet (1819–1867), 의사
  • Léonor Charles Julien Couraye du Parc (1820–1893), 망슈의 법률 및 예술계 인사이자 마지막 자작 그랑빌의 손자, François Léonor Couraye du Parc.
  • 옥타브 푀이에 (1821–1890), 작가, 생로에서 태어나 사망했다. 그의 출생지는 생 조르주 거리 2번지이다. 제2제국 시대에 성공을 거둔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그 시대의 '부르주아 작가'로 여겨졌으며, 40세에 프랑스 학사원에 선출되었다.
  • Valérie Feuillet (1832–1906), 문학가이자 푀이에의 부인
  • Daniel de Losques (1880–1915), 만화가
  • 레이몽 브룰레 (1897–1944), 레지스탕스, 추방 중 사망
  • 자크 다탱 (1920–1973), 프랑스 갈, 줄리에트 그레코, 세르주 라마, 클로드 누가로, 에디트 피아프 등을 위해 작곡한 작곡가
  • Jean-Pierre Brulé (1929), IT 기업 대표, 레이몽 브룰레의 아들
  • Michel Brulé (1932), 레이몽 브룰레의 아들
  • 클로드 롤리 (1933–2007), 고고학자, 명예 부르고뉴 대학교 교수, 갈리아와 고대 그리스 미술 저술가, Académie du Morvan 회장
  • 장 퉈 (1953), 소설가, 영화 및 텔레비전 출연
  • 자키 비몽 (1961), 1986년 세계 챔피언이 된 최초의 프랑스 모토크로스 선수
  • Stéphane Puisney, 디자이너 작가
  • Éric Levallois, 2002년 국제 승마 연맹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리스트
  • 플로리앙 앙고 및 Reynald Angot, 아테네 올림픽 프랑스 팀의 기수
  • 알렉시스 로레 (1975), 발레리 기냐보데의 영화 ''Mariages !''에 출연한 배우
  • 위그 뒤보스크, 프랑스 수영 선수, 2004년2008년 하계 올림픽 100m 평영 동메달리스트
  • 브누아르 르소미에, 스타드 브레스투아 29에서 뛰는 프로 축구 선수.
  • 플로리앙 제프로와 (1988), 10종 경기 선수.
  • 프랑수아 레오노르 쿨레 뒤 파르크 (1746–1818), 마지막 자작 그랑빌 출신으로, 1818년 8월 30일 생로에서 사망했으며, 당시 생로 초심 법원장이었다.
  • 피에르 르 메누에 드 라 쥐간니에르 (1746–1835), 생로 부시장, 검사, 망슈 형사 법원장, 원로원의 망슈 대표.
  • 에두아르 레오노르 아방 (1755–1829), 생로 변호사이자 국민 공회 의원.
  • 루이 카이예메 (1764–1827), 군인.
  • 피에르 이베르 (1768–1826), 망슈 정치인으로 제국 시대에 생로 시의원이었다.
  • 장 폴랭, 작가로, 청소년기를 보낸 생로를 배경으로 한 책 ''Chef-lieu'' (1950)를 썼다. 많은 관련 자료가 생로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사무엘 베케트,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로, 생로의 아일랜드 병원에서 관리인으로 복무했다. 그는 현재 생로 미술관 입구에 새겨진 네 줄의 시를 헌정했다.[81]
  • 폴-자크 봉종, 청소년 소설가.
  • 알베르 2세, 현 모나코 대공으로, 그의 여러 작위 중 생로의 남작 작위를 가지고 있다.
  • 앤트 미들턴, 영국의 전 특수부대 군인, TV 연예인, 작가로,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에 가족과 함께 이 도시에서 살았다.

11. 명소

생-로 유니콘 조각상.


교회의 전체 모습


Église Notre-Dame de Saint-Lô|생로 노트르담 교회fra는 13세기 말부터 4세기에 걸쳐 세워진 플랑부아양 고딕 양식의 기념물로, 이전 성의 예배당을 대체하기 위해 지어졌다.[86] 이 교회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앙클로''에 위치해 있으며 1840년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야외 설교단은 빅토르 위고가 주목하여 그림을 그렸으며,[87] 그는 아델 푸셰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를 '독특하다'고 칭했다. 그는 1863년 도시 재건 전에 계획되었던 철거로부터 이를 보호했다.

이 건물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88] 1944년 폭격 이후 유일하게 서 있던 건물 중 하나였다. 스테인드글라스는 전쟁 중 임시로 제거된 이후 항상 보존되어 있었지만, 본당은 독일 포병의 포격으로 북탑이 붕괴되면서 파괴되었다. 지붕과 정면, 그리고 다른 탑의 상단도 파괴되었다. 역사 기념물 건축가는 교회를 동일하게 재건하는 대신, 전쟁으로 남겨진 상처를 강조하기 위해 녹색편암 정면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노트르담 뒤 필리에' 조각상은 1467년 작품이며, 여러 번 파괴되고 다시 만들어져 현재 후진 예배당의 기둥에 보관되어 있다.

생로(Saint-Lô)의 Église Sainte-Croix de Saint-Lô|생트-크루아 교회fra는 전통에 따르면 4세기에 성 헬레나가 이곳에 세운 예배당과 샤를마뉴 대제가 설립한 수도원의 후신이다. 더 잘 알려진 사실은 1132년 쿠탕스의 새로운 주교(이전에는 콘월의 보드민 수도원 원장이었던) 알가르에 의해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이 창설되었다는 것이다.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는 1202년에 봉헌되었으며, 이후 수 세기에 걸쳐 여러 차례 개축되었다. 성가대는 16세기에 개축되었고, 종탑은 1860년부터 1863년 사이에 지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측면에 있던 종탑이 무너졌고, 그 폐허 위에 하위 소령의 시신이 안치되었다. 1957년에는 정면에 현대적인 스타일의 새로운 종탑이 재건되었다. 교회 광장에는 2005년에 개관한 알제리 전쟁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희생자를 기리는 현(departmental)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생로 묘지는 생-크루아 교회와 국립 종마장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리송로'에 있다. 이 묘지는 1944년 폭격으로 인한 민간인 희생자 묘역, 블랑셰 가족의 묘, 그리고 도시 해방 전에 최초의 지휘소를 설치한 글로버 S. 존스 주니어 소령의 묘역 등 제2차 세계 대전의 흔적이 깊이 남아있다. 다고베르의 묘도 찾을 수 있다. 또한 파편의 흔적이 남아있는 조각상, F. 뤼드의 제자인 카베의 청동 조각상도 주목할 만하다.

개신교 사원


생로 교구에는 다른 가톨릭 건물이 있다.

  • 발 생-장(Val Saint-Jean)에 위치한 생 장-외드(Saint Jean-Eudes) 교회
  • 기념 병원 예배당
  • 생 장(Saint Jean) 클리닉 예배당
  • 봉-소뵈르(Bon-Sauveur) 정신 병원 예배당
  • 돌리(Dollée) 구역의 요한 23세 예배당


이 도시에는 또한 프랑스 개혁 교회의 개신교 사원이 있다. 이 사원은 건축가 베리(Verrey)가 설계하고, 막스 앵그랑(Max Ingrand)이 유리를 제작하여 1955년 10월 23일에 봉헌되었다.

다음과 같은 여러 유적지가 역사 기념물로 등록되어 있다:[89]

  • 마들렌 예배당.
  • 1975년 7월 11일에 등록된 보셀 성(Château de la Vaucelle|샤토 드 라 보셀fra).
  • 1840년에 기록된 노트르담 교회는 역사 기념물로 분류된 10개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 생트-크루아 교회.
  • 1993년 2월 18일에 등록된 국립 종마장(National Stud)과 그 공원.
  • Centre hospitalier mémorial France – États-Unis|France-United States Memorial Hospitalfra의 병동 및 로비.
  • 16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건설된 보스델 영지(Manor of Bosdel)는 1946년 4월 1일 역사 기념물로 등록되었다.
  • 1945년 12월 12일에 기록된 성벽의 잔해, 그러나 Rue de la poterne|포테른 거리fra와 Place des Beaux-Regards|보-레가르 광장fra은 1937년 10월 22일에 이미 등록되었다.


교회 맞은편에 위치하고 15세기 후반에 지어진 마종-디유 [신의 집] (오텔-디유(Hôtel-Dieu)와 혼동하지 말 것)는 1944년 폭격으로 파괴되었다. 이 부르주아 건축물은 캔틸레버와 조각이 있는 목골조 파사드를 가지고 있었다.[90] 1929년 10월 3일에 역사 기념물에 포함된 "앙클로"(Enclos)의 티에르 거리 11번지에 위치한 "푸아 로얄"(Poids Royal)이라고 불리는 또 다른 건물도 파괴되었다.[91]

생로의 성벽과 보-레가르 탑


생로에는 중세 시대 성벽의 잔해가 남아있다. 울타리의 4면 중 3면에 성벽이 여전히 존재한다. 유적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도시의 가장 가파른 부분에 위치한 ''보-레가르 탑''(Tour des Beaux-Regards, "아름다운 시선의 탑")과 구 시타델의 인상적인 군사 유물인 ''푸드리에 탑''(Tour de la Poudrière, "화약 저장고의 탑")이 성벽의 가장 주목할 만한 요소이다. 남쪽 측면에서는 1944년의 전쟁 재앙으로 인해 역설적으로 Rue du Torteron|토르테론 거리fra 주변에 집들이 들어섰던 기저부가 정리되었다.

생로 국립 종마장


Haras national de Saint-Lô|생로 국립 종마장fra은 프랑스 23개의 국립 종마장 중 가장 큰 곳이다. 1806년 나폴레옹은 생로에 Haras sous le Premier Empire|제1제국 하의 종마장fra에 따라 종마를 공급했다.[92] 종마장은 처음부터 구 생트-크루아 수도원의 건물과 버려진 땅에 설치되었다(처음에는 3ha를 임대하다가 1807년 9월 22일부터 소유). 그 후 종마장은 르 팽 종마장의 종마를 모집했다.[92]

1826년, 군사용 재보급 창고가 종마장이 제공한 부지로 이전했다; 종마장의 대부분의 종마는 기병을 공급하기 위해 가져갔다. 1874년 5월 28일, 보셰 법은 연대의 할당을 감독할 수 있게 했고 종마장에 230마리 이상의 말을 제공할 수 있게 했다. 1881년 6월 28일, 시의회는 종마장을 Route de Bayeux|바유 도로fra에 인접한 곳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따라서 현재의 종마장 건물은 1884년에 지어졌으며(첫 번째 돌은 1884년 6월 11일에 놓였다), 이전은 3년 후에 완료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6마리의 암말 중 5마리가 징발되었지만 종마는 징발되지 않았다. 마부들은 전선에서 싸웠고, 독일군 포로들은 연못을 팠다. 1939년, 낡은 마구간은 독일군의 돌파 당시 스트라스부르 종마장의 직원들(40마리의 종마와 직원)을 수용했다. 그 후 1944년, 폭격으로 50마리의 말이 죽었고 다른 종마들은 도주하는 독일군에 의해 훔쳐졌다.[93] 낡은 종마장은 파괴되었고 시가 소유하게 되었다. 따라서 같은 이름의 거리와 이전에는 승마 학교였던 노르망디 건물만 남아있다. 그 후 새로운 종마장이 건설되었다. 샤를 드골 장군은 모로코의 술탄에게 2년 동안 종마장에 주둔했던 서러브레드 'Bois de Rose'를 제공했다. 종마장은 그 후 인공 수정 센터, 정액 냉동 센터, 배아 이식 시설에 투자하여 번식 분야에서 점차 성장했다. 따라서 생로 선거구는 프랑스에서 번식 종마장이 가장 밀집된 곳이다.

샤토 드 라 보셀


비르 강둑에 위치한 Château de la Vaucelle|샤토 드 라 보셀fra는 17세기 일기 작가 뤼크 뒤슈맹의 생-로 출신 후손 소유이다. 생트-페르넬 예배당은 보셀 영주이자 루이 11세의 고해 신부였으며, 당시 노르망디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도서관이었던 생-로 교구 도서관의 설립자인 장 부카르의 작품이다. 세 명의 왕이 보셀에 거주했다. 에드워드 3세는 백년 전쟁 초기에 1346년에 이 도시가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프랑수아 1세는 1532년에 방문했고, 샤를 9세도 방문했다. 비둘기집과 북쪽 벽의 틈새는 보호 대상 요소로 지정되어 있다.

곰보와 마세의 사랑 융단의 로툰다


건축가 외젠 르세네가 설계한 장-뤼르카 문화 센터는 생-크루아 교회 맞은편, ''샹 드 마르스 광장''에 위치해 있다. 이곳에는 1989년부터 시에서 수집한 미술품을 소장하고 있는 Musée des beaux-arts de Saint-Lô|생로 미술관fra이 있다. 소장품에는 장 폴랭의 저작과 스케치, 코로, 기욤 푸아스, 외젠 부댕의 그림이 있다. 또한 브뤼헤 작업장에서 제작된 8점의 융단으로 구성된 Les Amours de Gombault et Macée|곰보와 마세의 사랑fra(16세기) 융단이 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라이''를 주제로 한 초안도 포함되어 있다.[94]

Musée du bocage normand|노르망디 보카주 박물관fra은 부아쥐강 농장에 위치하며, 17세기부터 1970년까지 사용된 농가이다. 박물관으로 개조되어 18세기부터 노르망디 보카쥬 지역의 농업 관행, 말과 소의 사육 등 농업의 역사와 민족지학을 추적한다. 전형적인 장소(작업장, 마구간, 헛간, 크림 공장)가 재현되어 있다.[95]

La Madeleine 기념관과 예배당


Chapelle de la Madeleine de Saint-Lô|생로의 라 마들렌 예배당fra은 국립 종마장 바로 옆, 바유로 가는 길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14세기의 옛 나환자 수용소의 유적이다. 1974년 8월 3일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1988년부터 1994년 사이에 복원되었다. 1944년 생로를 해방시킨 제29사단과 제35사단의 군인들을 기리기 위해 1995년 5월 기념관이 세워졌다. 사진, 기념 명판, 표와 깃발이 전시되어 있다.[96]

생로에는 1944년 7월 18일 시를 해방시킨 미국 육군 제29사단 제116보병연대 제3대대 지휘관인 토머스 하위 소령을 기리는 기념비가 있다. 하위는 그의 부대가 도시에 진입하기 직전에 전사했으며, 그의 부하들은 그를 매우 존경하여 그의 시신에 깃발을 덮어 지프차 앞에 두어 그가 도시로 들어가는 첫 번째 미국인이 되도록 했다. 그는 "생로의 사령관"으로 유명해졌다.

''La Laitière normande'' [노르망디 여인], 아르튀르 르 뒥의 작품


아르튀르 르 뒥 이후 루이 데르브레의 ''La Laitière normande''.


1990년에 재설계된 Place de l'Hôtel de Ville|시청 광장fra은 검은 아스팔트로 덮여 있으며 바닥의 스포트라이트가 비추고 있다. 밤에는 공항 활주로와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광장 상단에는 낙농업 여성, 즉 Femme d'Isigny|이시니 여인fra의 동상을 볼 수 있다. Arthur Le Duc|아르튀르 르 뒥fra (1848–1918)는 1887년, 힘든 노동에 지친 노르망디 여인이 어깨에 우유 막대기(전형적인 노르망디 용기)를 짊어진 석고 조각상을 선보였다. 몇 년 후, 청동상이 생로에 도착했다. 이 동상은 노트르담 교회 앞, Place des Beaux-Regards|보-레가르 광장fra의 분수를 둘러싼 둥근 받침대 위에 놓여 있다. 이 조각상은 대 전쟁의 푸알루가 설치되었을 때 조금 더 옮겨졌다. 이후 1942년 2월 8일, 독일군은 무기 산업에 사용할 청동을 회수하기 위해 이 동상을 해체하여 녹였다. 1984년 1월, 생로의 상인 앙드레 르플랑케는 이 동상의 복제품을 만들고 싶어했다. 모금 활동을 통해 주민들로부터 상당한 기부를 받았다. 자금이 모이자 에르네의 유명한 조각가 Louis Derbré|루이 데르브레fra가 원본 도면을 바탕으로 새로운 조각상을 만들었다. 여러 번 옮겨진 이 조각상은 광장 계단 근처에서 찾을 수 있다. 받침대와 화강암 분수는 원본이다.

아르튀르 르 뒥이 1887년에 제작한 하뱅 분수 또한 생로 박물관 근처에 위치해 있었으며, 그 조각상 역시 독일군에 의해 녹여졌지만, 복제품은 제작되지 않았다. 근처에는 1944년 폭격의 잔해인 감옥 입구가 있다. 그 발치에는 강제 이주민의 유해가 담긴 항아리가 놓여 있다. 나치 탄압 희생자를 기리는 기념비는 레지스탕스의 현 기념비가 되었다. 종루는 또한 도시의 중심부에서 솟아오르는 것처럼 보이는 광장에서 관찰할 수 있다. 1954년에 건설되었으며, 한때 소방관의 호스를 말리는 데 사용되었다. 1990년 이후 여러 번 개조되었으며, 도시 재건의 상징이다. 꼭대기에는 유니콘 모양의 풍향계와 전망대가 있어, 이곳에서 온 지역을 감상할 수 있다. 이전에는 관광 안내소에서 일반인에게 공개되었지만, 현재는 접근이 금지되어 있다.

생로에서는 까스 데파르뉴 은행 그룹의 로고인 다람쥐를 묘사한 화강암 조각상을 볼 수 있다. 이 조각상은 Rue Saint-Thomas|생토마스 거리fra에 위치해 있다. 언뜻 부조화스러워 보일 수 있지만, 이 그룹의 은행은 근처에 없다. 그러나 이 은행은 이전에 바로 앞에 지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1990년대에 이전했다. 이후 광고 목적으로 조각상을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생로 사람들은 그 다람쥐에 애착을 가지게 되었고, 결국 그 자리에 남겨두기로 결정했다.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2023-06-06
[2]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Saint-Lô 2019-08-26
[3] dictionary Saint-Lô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4] Merriam-Webster Saint-Lô 2019-08-26
[5] 웹사이트 Commune de Saint-Lô (50502) https://www.insee.fr[...] INSEE
[6] 문서 Municipal population 2012
[7] 서적 Petit Robert
[8] 문서 The expression "Capitale des Ruines" is attributed to [[Bernard Jacqueline]], former apostolic nuncio and erudite historian. It was taken over by [[Samuel Beckett]] in his text ''The Capital of Ruins'' of 10 June 1946.
[9] 웹사이트 climat de la Manche http://www.meteofran[...]
[10] 웹사이트 Normales et records pour Conde sur Vire SAPC (50) https://www.meteocie[...] Meteociel 2024-11-16
[11] 웹사이트 Bientôt plus de train entre Saint-Lô et Paris! http://www.lamanchel[...] 2010-09-29
[12] 웹사이트 Le principe du vélorail http://www.velorail-[...] 2015-09-28
[13] 웹사이트 La Manche, carrefour de l'Arc Atlantique http://transports.ma[...] 2015-09-29
[14] citation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15] 서적 Annuaire du département de la Manche
[16] 서적 Le livre des proverbes français précédé de recherches historiques sur le proverbes français https://archive.org/[...] A. Delahays
[17] 서적 Lettres concernant les marchands drapiers https://books.google[...] 1479-11-11
[18] 간행물 ? 2006-12-10
[19] 웹사이트 Appendix A. Edited Text of M804de Jean Froissard http://www.csc.liv.a[...]
[20] citation Notices, mémoires et documents Jacqueline
[21] 간행물 Une page de l'histoire de Saint-Lô
[22] 문서 Information board
[23] 서적 Les Nouvelles Affaires criminelles de la Manche de Borée
[24] citation Itinéraire de la Libération de Saint-Lô
[25] citation
[26] 웹사이트 Saint-Lô sous les bombes http://www.unicaen.f[...] 2015-10-02
[27] 서적 Breakout and Pursuit; The United States Army in World War II. Macedon Printing 2018-08-05
[28] 간행물
[29] 웹사이트 75 years ago, the major of Saint-Lô https://today.citade[...] The Citadel 2020-06-19
[30] 웹사이트 Communes décorées de la croix de guerre 1939–1945 http://memorialdorma[...] 2015-10-02
[31] 문서 Reagan, Geoffrey. Military Anecdotes (1992) p. 33 Guinness Publishing {{ISBN|0-85112-519-0}}
[32] 문서 Knowlson James, ''Beckett'', Paris : Solin, Actes Sud, 1999, trad : Bonis Oristelle, p. 451 and 969
[33] 문서 Gaffney, Phyllis. Healing Amid the Ruins (1999) {{ISBN|978-1899047338}}
[34] 웹사이트 The Hospital the Irish Shipped to France https://www.rte.ie/c[...] 2020-09-05
[35] 웹사이트 1956–2014 : l'hôpital de Saint-Lô se raconte http://www.ouest-fra[...] 2015-10-03
[36] 간행물 Sainte-Croix-de-Saint-Lô
[37] 간행물 Saint-Thomas-de-Saint-Lô
[38] 문서
[39] 문서
[40] 문서 Journal de L.A
[41] 문서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Journal de L.A.
[45] 문서
[46] 문서 Ann. Manche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55] 웹사이트 Le recours à la jeunesse dans l'espace politique local http://pagesperso-or[...]
[56] 웹사이트 Le Midi Rouge http://www.histoire-[...] 2012-06
[57] 웹사이트 Municipales à Saint-Lô. Installé maire François Brière nomme 9 adjoints http://www.ouest-fra[...]
[58] 웹사이트 Évolution et structure de la population en 2017 https://www.insee.fr[...] INSEE
[59] 간행물 Saint-Lô
[60] 웹사이트 Évolution et structure de la population en 2017, Département de la Manche (50) https://www.insee.fr[...]
[61] 웹사이트 Le Saint-Lois se cherche un avenir http://www.lepoint.f[...] 2015-10-02
[62] 뉴스 page Saint-Lô édition Saint-Lô Coutances 2008-07-31
[63] 웹사이트 Procès-verbal du Conseil municipal http://www.saint-lo.[...] 2009-03-27
[64] 웹사이트 France Kebab mise tout sur les nouveaux goûts http://www.lamanchel[...] 2015-10-07
[65] 웹사이트 Centre d'information et d'orientation de Saint Lô http://www.ac-caen.f[...]
[66] 웹사이트 CLG GEORGES LAVALLEY SAINT-LO http://www.ac-caen.f[...]
[67] 웹사이트 CLG LOUIS PASTEUR SAINT-LO http://www.ac-caen.f[...]
[68] 웹사이트 LGT PIERRE ET MARIE CURIE SAINT-LO http://www.ac-caen.f[...]
[69] 웹사이트 LP PIERRE ET MARIE CURIE SAINT-LO http://www.ac-caen.f[...]
[70] 웹사이트 LG LE VERRIER SAINT-LO http://www.ac-caen.f[...]
[71] 웹사이트 LP CAMILLE COROT SAINT-LO http://www.ac-caen.f[...]
[72] 웹사이트 Site des Troupes de Marine – 1er Régiment d'Infanterie de Marine http://www.troupesde[...] 2015-10-01
[73] 웹사이트 Premières séances au Cinémoviking http://www.ouest-fra[...] 2015-10-04
[74] 웹사이트 Saint-Lô. La foire aux croûtes et à la brocante à la plage verte le 22 septembre http://www.ouest-fra[...] 2013-09-12
[75] 웹사이트 Saint-Lô. " Le festival 2014 va signer le clap de fin de Polyfollia " http://www.ouest-fra[...] 2013-10-26
[76] 웹사이트 Foire de Saint-Lô : sur la route des vins d'Alsace http://www.lamanchel[...] 2013-04-10
[77] 웹사이트 LES RENDEZ-VOUS SONIQUES http://www.lenormand[...]
[78] citation Le Cardinal Du Perron https://books.google[...]
[79] 웹사이트 Saint-Lô http://www.normandie[...]
[80] 웹사이트 Urbain Le Verrier est-il célèbre à Saint-Lô ? http://www.ouest-fra[...] 2011-03-11
[81] 문서
[82] 웹사이트 FC St-Lô Manche http://bassenormandi[...]
[83] 웹사이트 U. S. Ste-Croix-de-St-Lô http://bassenormandi[...]
[84] 웹사이트 Normandie Horse Show. L'excellence au pôle hippique de Saint-Lô http://www.ouest-fra[...] 2014-05-15
[85] 웹사이트 TEAM NISSAN FRANCE DESSOUDE http://www.teamdesso[...] 2003-12-03
[86] 웹사이트 L'église Notre-Dame de Saint-Lô http://www.normandie[...]
[87] 웹사이트 Eglise Notre-Dame http://www.saint-lo.[...]
[88] 웹사이트 Que visiter à Saint-Lô ? http://www.notrefran[...]
[89] 웹사이트 Présentation des bases Architecture et Patrimoine http://www.culture.g[...] 2015-10-06
[90] 웹사이트 Une visite de Saint-Lô avec un guide d'avant-guerre http://www.saint-lo.[...] 2015-10-06
[91] Base Mérimée
[92] 웹사이트 Haras national de Saint Lô http://www.ifce.fr/h[...]
[93] citation Le haras national de Saint-Lô, l'univers d'un patrimoine normand
[94] citation Les Amis des Musées et la ville de Saint-Lô
[95] citation Musée du Bocage Normand; redécouvrez le bocage
[96] citation Itinéraire de la Libération, 15 sites à découvrir
[97] 문서
[98] 웹사이트 canne à lait http://www.culture.g[...]
[99] 웹사이트 Monument à Havin, ou La Presse guide l'Enfance à la Vérité http://e-monumen.net[...] 2015-09-30
[100] 웹사이트 Notice no AR502239 http://www.culture.g[...] 2015-09-30
[101] 웹사이트 Villes et Villages Fleuris http://www.cnvvf.fr/[...]
[102] 웹사이트 Liste des jardins protégés http://www.parcsetja[...]
[103] 웹사이트 Jumelages http://www.saint-lo.[...]
[104] 웹사이트 British towns twinned with French towns ''[via WaybackMachine.com]'' http://www.completef[...] 2013-07-20
[105] 웹사이트 Patrouilleur La Tapageuse http://www.netmarine[...]
[106] 웹사이트 Le blason de Saint Lô http://www.phil-oues[...] 2015-09-27
[107] 뉴스 独軍反撃、連合軍の進撃鈍る 毎日新聞(東京) 1944-06-17
[108] 기타 フイエ null 2023-06-04
[109] 기타 Saint-Lô null
[110] 웹사이트 Évolution et structure de la population en 2017 https://www.insee.fr[...] INSE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