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경의 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경의 뱀은 히브리 성경과 신약 성경, 외경, 영지주의, 한국의 전통 신앙 등 다양한 종교 및 문화적 맥락에서 다르게 해석된다. 히브리 성경에서는 에덴 동산에서 아담과 이브를 유혹하여 타락을 이끈 존재로 묘사되며, 바다 괴물이나 악의 상징으로도 사용된다. 신약 성경에서는 사탄, 악마와 동일시되며, 예수와 제자들의 가르침에서 지혜와 관련된 긍정적인 의미로도 나타난다. 영지주의에서는 지식을 가져다주는 구원자로 숭배되기도 하며, 한국의 전통 신앙에서는 긍정적, 부정적 양면성을 가진 존재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경의 뱀 - 레비아탄
    레비아탄은 고대 근동 신화의 바다 괴물로, 꼬인 뱀 형상으로 혼돈을 상징하며, 우가릿 신화 로탄과 연관, 성경에서 신의 피조물 및 심판 대상으로, 기독교에서 악마 이미지로, 홉스가 국가를 비유, 현대에 거대한 존재 지칭, 멸종 향유고래 속명 등으로 쓰인다.
  • 성경의 뱀 - 네후스탄
    네후스탄은 구약성경 민수기에 등장하는 놋뱀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뱀에 물렸을 때 쳐다본 자들을 살렸다는 이야기와 관련되며, 히스기야 왕에 의해 파괴되었고, 신약 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에 비유되는 등 다양한 종교적 의미를 지닌다.
  • 에덴 동산 - 실낙원
    존 밀턴의 《실낙원》은 창세기를 바탕으로 사탄의 반란과 인류의 타락, 구원의 가능성을 다룬 5음보격 암시경 서사시로, 자유 의지, 선악, 죄와 구원 등의 주제를 탐구하며 기독교 문학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지만 논쟁적인 해석과 비평의 역사를 지닌다.
  • 에덴 동산 - 선악과
    선악과는 여러 종교 경전과 신화에 등장하는 금단의 열매로, 창세기에서는 하나님이 먹지 말라고 금지한 열매이며, 이를 어긴 아담과 이브는 에덴동산에서 쫓겨났고, 꾸란에서는 이 열매를 먹으면 죄인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해석과 함께 유혹과 탐닉의 은유로도 사용된다.
성경의 뱀
성경 속 뱀
낙원에서 아담과 하와를 유혹하는 뱀.
낙원에서 아담과 하와를 유혹하는 뱀.
개요
히브리어(나하쉬)
관련 성경 구절창세기 3장
요한계시록 12:9
요한계시록 20:2
상징기만, 유혹, 악
기원 및 배경
어원히브리어 '나하쉬' (נָחָשׁ)는 뱀, 점쟁이, 매혹적인 존재를 의미함.
역할창세기에서 아담과 하와를 유혹하여 선악과를 먹게 함.
유대교 및 기독교 전통에서 악의 상징으로 해석됨.
요한계시록에서 사탄 또는 악마와 동일시됨.
해석
유대교뱀은 신의 창조물 중 하나로, 인간의 자유 의지를 시험하는 존재로 해석됨.
뱀의 유혹은 인간이 죄를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
원죄 개념은 유대교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음.
기독교뱀은 사탄의 도구로, 인간을 타락시키려는 악의 세력을 상징함.
뱀의 유혹으로 인해 인간은 원죄를 갖게 되었으며,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으로 구원받을 수 있다고 믿음.
이슬람교꾸란에서는 뱀이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지만, 이블리스 (사탄)가 아담과 하와를 유혹하여 낙원에서 쫓겨나게 했다는 이야기가 나타남.
이블리스는 신의 명령을 거역하고 인간을 유혹하는 존재로, 뱀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함.
상징적 의미
일반적 해석뱀은 종종 기만, 유혹, 악, 죽음 등의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됨.
또한 지혜, 변화, 재생 등의 긍정적인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음.
문화적 영향성경 속 뱀 이야기는 서양 문화와 예술에 큰 영향을 미침.
다양한 문학 작품, 영화, 미술 작품 등에서 뱀은 상징적인 존재로 등장함.

2. 히브리 성경 (구약성경)

히브리 성경에서 뱀은 에덴 동산에서 아담과 하와를 유혹한 존재, 바다 괴물, 이집트와 단을 비유하는 상징, 바빌론의 왕을 비유하는 존재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히브리어 단어 ''נָחָשׁ'' (''나하쉬'')는 히브리 성경에서 창세기에 나오는 에덴 동산의 뱀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W. O. E. Oesterley (1921)와 같은 20세기 학자들은 히브리 성경에 나오는 에덴의 뱀의 역할과 신약 성경에 나오는 "고대 뱀"과의 차이점을 인식했다.[19] 헨리 앤스가 케일리(2006) 및 Wray와 Mobley (2007)와 같은 사탄의 현대 역사학자들은 "사탄의 진화"[20] 또는 "사탄의 발전"[21]에 대해 이야기한다.

게르하르트 폰 라트는 뱀은 악령이나 악마가 아니라 인류의 유혹 충동을 나타내는 존재라고 보았다.

"불뱀"( ''사라프''; "타는")은 토라에 등장하며, 접촉 시 독이 타는 듯한 사나운 뱀의 종을 묘사한다. 빌헬름 게제니우스에 따르면, ''사라프''는 산스크리트어 ''Sarpa'' (جَوْلَقْرَع|Jawl aqra'ar) 뱀; ''sarpin'', 파충류(어근 ''srip, serpere''에서)에 해당한다.[24]

이사야서는 이 불뱀에 대한 묘사를 "날아다니는 사라프" 또는 "날아다니는 용"으로 확장하여 설명하며, 고통과 괴로움의 땅에 존재한다고 한다. 이사야는 이 사라프가 살무사에 비견될 수 있으며, 일반 뱀보다 더 나쁘다고 지적한다.[30] 예언자 이사야는 또한 성전 자체에서 ''스랍''의 환상을 보았는데, 이들은 날개와 인간의 얼굴을 가진 신성한 존재이며, 뱀과 같다기보다는 "불꽃 같다"라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26]

2. 1. 창세기

히브리 성경의 창세기에덴 동산에서 아담과 하와를 유혹하여 금단의 열매를 따먹게 한 뱀에 대해 이야기한다. 뱀은 사기꾼[1]처럼 하나님이 금지한 것을 좋다고 속이며, 특별히 교활한 모습을 보인다. "여호와 하나님의 지으신 들짐승 중에 뱀이 가장 간교하더라."[12]라는 구절에서 그 간교함이 드러난다. 창세기에는 뱀이 이라는 언급은 없지만, 토라에서 말을 하는 두 동물 중 하나이다.[13](다른 하나는 발람의 암나귀이다).



하나님은 아담에게 지식의 나무 열매를 먹지 말라고 경고하며, "네가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14]라고 말씀하셨다. 그러나 뱀은 이브를 유혹하여 열매를 먹게 하고, 이브는 뱀에게 하나님이 하신 말씀을 전한다.[15] 뱀은 이브가 죽지 않을 것이며, 열매를 먹으면 "너희 눈이 밝아져 하나님과 같이 되어 선악을 알 줄을 하나님이 아심이니라."라고 유혹한다. 결국 이브는 열매를 먹고 아담에게도 주어 함께 먹게 된다.

이 일로 인해 아담과 이브는 생명 나무 열매를 먹고 영원히 살 수 없도록 에덴 동산에서 쫓겨나고, 뱀은 인류의 타락에 대한 벌로 저주를 받아 배로 기어 다니며 흙을 먹게 되었다.

에덴 동산의 뱀을 문자 그대로의 동물로 볼 것인지, 아니면 비유적인 존재로 볼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랍비 문학미드라시적 해석에 따르면, 뱀은 성적 욕망[16]이나 예체르 하라를 나타낸다고 한다. 현대 랍비 사상에서는 아담은 이성, 이브는 감정, 뱀은 쾌락적인 성적/육체적 능력을 상징하는 심리적 우화로 해석하기도 한다.[17] 볼테르는 뱀이 실제 뱀이며, 사탄이나 악마가 아니라고 주장했다.[18]

W. O. E. Oesterley (1921)와 같은 20세기 학자들은 히브리 성경에 나오는 에덴의 뱀과 신약 성경에 나오는 "고대 뱀"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지적했다.[19] 게르하르트 폰 라트는 뱀이 악마가 아니라 하나님이 창조한 야생 동물 중 하나이며, 말하는 능력을 가진 것이 특징이라고 보았다. 그는 뱀이 인류의 유혹 충동을 나타내는 존재라고 해석했다.

2. 1. 1. 에덴 동산의 뱀과 한국의 구렁이 설화

14-15세기 빈자 성경에 실린 에덴 동산의 뱀과 이브의 중세 삽화.


한국 구렁이 설화에서 구렁이는 인간으로 변신하여 사람을 유혹하거나 해치는 존재로 자주 등장한다. 이는 에덴 동산의 뱀과 유사하며, 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한국 문화에도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한국 설화 속 구렁이는 복수를 통해 인간의 탐욕과 배신을 응징하기도 한다. 이는 뱀이 단순한 악의 상징이 아니라 복잡한 의미를 지닌 존재임을 나타낸다.[1]

2. 2. 출애굽기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을 노예 상태에서 이끌라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지만, 백성들이 자신의 부르심을 의심할 것을 예상했다. שְׁמוֹת|출애굽기he 4장 1절부터 5절에서 모세는 하나님께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여쭈었고, 하나님은 그에게 지팡이를 땅에 던지라고 하셨다. 그러자 지팡이가 뱀(''나하쉬'')이 되었고, 모세는 그것을 보고 피했다. 하지만 하나님은 그에게 돌아가서 꼬리를 잡으라고 하셨고, 뱀은 다시 지팡이가 되었다.[22]

이후 שְׁמוֹת|출애굽기he 7장에서 모세와 아론의 지팡이가 뱀으로 변했는데, 모세의 지팡이는 ''나하쉬''였고, 아론의 지팡이는 ''탄닌''이었다.[23] 이 기적은 하나님의 권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해석된다.

2. 3. 민수기

민수기에서 모세는 광야에서 "세라핌", 즉 "불타는 자들"에게 물린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청동 뱀을 기둥에 매달았다. 민수기 21장 9절의 "청동 뱀"이라는 구절은 히브리어에서 "뱀" (''네하쉬'')과 "청동" (''네호쉐트'')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말장난으로, ''네하쉬 네호쉐트''이다.[2]

주류 학자들은 불뱀의 이미지가 마법적인 부적의 역할을 했다고 본다. 고대 근동에서는 공감 마법 치료 의식을 통해 질병과 독의 영향을 막거나 줄이고자 했다.[2] 구리 및 청동 뱀 형상이 발굴되어 이러한 관행이 널리 퍼져 있었음을 보여준다.[27] 기독교적 해석은 청동 뱀이 이스라엘 백성이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의 구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상징이었다는 것이다.[2] 청동 뱀은 하나님과 백성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하였다.[27]

히스기야는 예루살렘 성전[2] 성소에 보관되어 있던, 모세가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청동 뱀을 느후스탄[31]이라 부르며 부수었는데, 이는 이스라엘 백성이 그 대상에게 제물을 바치고 향을 피우며 우상 숭배를 했기 때문이다.[30]

2. 3. 1. 놋뱀과 한국의 뱀 신앙

놋뱀은 뱀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하나님의 치유 능력을 상징하는 존재로, 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한 예시이다. 민수기 21장 9절에 따르면, 모세가 광야에서 "불타는 자들" (세라핌)에게 물린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구리 뱀을 기둥에 매달았는데, 히브리어로 "뱀"(''네하쉬'')과 "구리"(''네호쉐트'')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네하쉬 네호쉐트"라는 말장난이 사용되었다.[2]

주류 학자들은 불뱀 이미지가 마법적인 부적 역할을 했다고 본다. 고대 근동에서는 질병이나 독의 영향을 막기 위해 공감 마법 치료 의식을 행했고, 구리 및 청동 뱀 형상이 발굴되어 이러한 관행이 널리 퍼졌음을 보여준다.[2] 기독교적 해석에 따르면, 청동 뱀은 이스라엘 백성이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의 구원을 필요로 함을 깨닫게 하는 상징이었다.[2]

נְחֻשְׁתָּןhe (느후스탄)은 모세가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청동 뱀으로, 예루살렘 성전 성소에 보관되어 있었다.[2][30] 이스라엘 백성은 이 뱀에게 제물을 바치고 향을 피우며 우상 숭배를 하였고, 히스기야 왕은 이를 느후스탄이라 부르며 부수었다.[31] 학자들은 모세의 청동 뱀과 히스기야의 느후스탄 사이의 관계에 대해 논쟁하지만, 전통적으로는 이 둘을 연결한다.[2]

한국의 뱀 신앙, 특히 제주도의 뱀 신앙은 뱀이 지닌 생명력과 치유 능력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며, 놋뱀과 유사한 측면을 지닌다.

3. 신약성경

신약성경에서 뱀은 주로 부정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요한계시록에서는 뱀을 사탄 또는 악마와 동일시하며, 마태오 복음서에서는 세례자 요한예수가 뱀을 부정적으로 언급한다.

200px


하지만 예수는 열두 사도를 파견하면서 "뱀같이 지혜롭고 비둘기같이 순결하라"고 말하며 뱀을 지혜의 상징으로 제시하기도 한다. 요한 복음서에서는 십자가형모세가 장대 위에 뱀을 든 사건에 비유하기도 한다.

예수의 유혹 장면에서 악마시편 91편을 인용하며 뱀을 언급하지만, 기독교에서는 이 뱀을 사탄으로 해석한다. 짐승을 밟는 그리스도 도상학에서는 뱀이 악마를 상징하는 존재로 자주 등장한다. 카롤링거 미술 시대부터 약 13세기까지 예수의 십자가형 묘사에서 십자가 발치에 감겨 있는 뱀은 창세기 3:15에서 뱀에 대한 하나님의 저주의 성취로 여겨졌다.

3. 1. 요한계시록

요한계시록에서 "옛 뱀"(ὄφις|오피스grc)은 "용",[43] 사탄,[44] 악마와 동일시되는 존재이다.[43][12:9, 20:2] 이 뱀은 일곱 머리와 열 개의 뿔을 가진 붉은 용으로 묘사되며, 각 뿔에는 왕관이 달려있다. 뱀은 대천사 미카엘과의 천상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땅으로 쫓겨난다.[43] 땅에서 뱀은 요한 계시록의 여인을 쫓고 짐승에게 권세를 주지만, 결국 그녀를 얻지 못하고 그녀의 후손들과 전쟁을 벌인다 (요한계시록 12:1-18).[43] 무저갱의 열쇠와 큰 쇠사슬을 가진 자가 뱀을 천 년 동안 묶어 ''무저갱''에 가두지만, 뱀은 풀려날 때까지 갇혀 있게 된다 (요한 계시록 20:1-3).[43]

기독교 전통에서 "옛 뱀"은 창세기의 뱀과 사탄을 동일시하며,[45] 이는 히브리 성경의 사탄 개념("적대자")을 재정의하여, 사탄/뱀이 창조부터 그리스도의 재림까지 이어지는 신성한 계획의 일부가 되도록 만들었다.[45]

3. 2. 복음서

마태오 복음서에서 세례자 요한은 자신을 찾아온 바리새인들과 사두개인들을 "독사의 자식들"이라고 불렀다. 예수 또한 "뱀들아, 독사의 종족들아, 너희가 어떻게 지옥의 심판을 피하겠느냐?"라고 말하며 뱀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반면, 예수는 열두 사도를 파견하면서 "너희는 뱀같이 지혜롭고 비둘기같이 순결하라"고 훈계하며 뱀을 지혜의 상징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빌헬름 게세니우스는 고대 히브리인들 사이에서도 뱀이 지혜의 상징이었다고 언급한다.[32]

요한 복음서에서 예수는 십자가형을 예언하면서 모세의 뱀에 대해 언급했다.[29] 예수는 모세가 장대 위에 뱀을 든 행위를 사람의 아들을 십자가에 매달리는 것에 비유했다.[33]

3. 2. 1. 예수의 유혹

예수의 유혹에서 악마시편 91편 11-12절을 인용하며, "그가 너를 위하여 그의 천사들을 명하시리니 그들이 그들의 손으로 너를 받들어 네 발이 돌에 부딪히지 않게 하리로다."라고 말한다.[35] 악마는 13절인 "네가 사자와 독사를 밟으며 젊은 사자와 용(tanniyn)[36]을 발로 밟으리로다."[37][38]라는 구절 앞에서 말을 끊는다.

기독교인들은 시편 91편 13절의 뱀을 사탄으로 해석한다.[39] 라틴 불가타 성경에서는 이 구절이 "''super aspidem et basiliscum calcabis conculcabis leonem et draconem''"으로 번역되어 있는데, 이는 "독사와 바실리스크를 발로 밟을 것이며, 사자을 밟을 것이다"라는 의미이다. 이 구절은 일반적으로 그리스도가 사탄을 물리치고 승리하는 것을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구절은 후기 고대와 초기 중세 시대의 도상학인 짐승을 밟는 그리스도로 이어졌으며, 여기에는 종종 두 마리의 짐승(보통 사자와 뱀 또는 용), 때로는 네 마리(보통 불가타 성경의 사자, 용, 독사(뱀), 바실리스크)가 묘사된다. 카시오도루스와 비드는 시편 91편에 대한 주석에서 이 짐승들이 모두 악마를 나타낸다고 설명했다.[40]

4. 성경 외경과 위경

신명기 외경에서 뱀을 악마와 연결하는 최초의 자료는 솔로몬의 지혜일 수 있다.[46] 이 주제는 악마가 뱀과 함께 일하는 위경-외경 모세의 묵시록(아담과 하와의 생애)에서 더욱 발전되었다.[47]

5. 영지주의

영지주의는 서기 1세기 후반 비 랍비 유대교초기 기독교 종파에서 시작되었다.[49] 이들은 신앙(''피스티스'')보다 내면의 신성한 불꽃에 대한 영적 지식(''노시스'')을 강조했다.[50][51][52][53] 영지주의는 가장 높고 알 수 없는 신과 물질적 우주의 "창조주"인 데미우르고스를 구별한다.[50][51][52][54]

영지주의에서, 성경의 뱀은 에덴 동산에서 아담과 이브에게 지식(''노시스'')을 가져다주어 악의적인 데미우르고스의 통제로부터 그들을 해방시킨 것에 대해 칭찬과 감사를 받았다.[54] 영지주의 기독교 교리는 뱀을 해방자이자 구원자로, 그리고 인류에게 지식을 주는 자로 보았으며, 이는 구약의 히브리 신으로 동일시되는 창조주 신인 데미우르고스 또는 창조신에 반대되는 존재였다.[51][54]

영지주의 기독교인들은 구약의 히브리 신을 악하고 거짓 신이며 물질적 우주의 창조주로, 복음서의 알 수 없는 신을 참되고 선한 신으로 여겼다.[50][51][54][55] 아르콘파, 세트파, 오피테 체계에서, 야르다바오트(야훼)는 악의적인 데미우르고스로 여겨진다.[56][57][58]

그러나 모든 영지주의 운동이 물질적 우주의 창조주를 본질적으로 악하게 여기지는 않았다.[55][59] 예를 들어, 발렌티누스파는 데미우르고스가 단지 무지하고 무능한 창조주일 뿐이라고 믿었다.[55][59] 모든 영지주의자들은 원시 정통 초대 교회 교부들에 의해 이단으로 여겨졌다.[50][51][52][54]

6. 한국 전통 신앙과 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해당 섹션을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참조

[1] 서적 Round Trip to Hade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Tradition: Visits to the Underworld from Antiquity to Byzantium Brill Publishers
[2] 서적
[3] 서적 Eve and Adam: Jewish, Christian, and Muslim Readings on Genesis and Gender Indiana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Religion and Sexuality: The Perversion of a Natural Marriage Springer Verlag 2003-06
[5] 서적 Satan's Tragedy and Redemption: Iblīs in Sufi Psychology Brill Publishers
[6] 간행물 The Creation Story in 'Sūrat Al-Baqara," with Special Reference to Al-Ṭabarī's Material: An Analysis http://www.jstor.org[...]
[7]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Adam http://www.newadvent[...]
[8] 서적 Thinking about God: Jewish View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Jewish Publication Society
[9] 백과사전 Issues in Jewish Ethics: Judaism's Rejection of Original Sin https://www.jewishvi[...] American–Israeli Cooperative Enterprise (AICE) 2021-04-10
[10] 서적 Roads to Paradise: Eschatology and Concepts of the Hereafter in Islam Brill Publishers
[11] 백과사전 Fall of Man Brill Publishers
[12] bible
[13] 서적 Genesis: A Commentar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4] bible
[15] bible
[16] 문서 Barton, SO "Midrash Rabba to Genesis", sec 20, p. 93
[17] 문서 Hakira, Vol. 5: Reclaiming the Self: Adam’s Sin and the Human Psyche By Menachem Krakowski
[18] 서적
[19] 문서 Oesterley ''Immortality and the Unseen World: a study in Old Testament religion'' (1921) "... moreover, not only an accuser but one who tempts to evil. With the further development of Satan as the arch-fiend and head of the powers of darkness we are not concerned here, as this is outside the scope of the Old Testament."
[20] 서적 "The idea of [[Zoroastrian]] influence on the evolution of Satan is in limited favor among scholars today, not least because the satan figure is always subordinate to God in Hebrew and Christian representations, and Angra Mainyu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The birth of Satan : tracing the devil's biblical roots Palgrave Macmillan
[22] 웹사이트 Keil and Delitzsch, OT Commentary on Exodus 4 http://biblehub.com/[...] 2015-10-09
[23] 웹사이트 A tale of two staffs https://www.israelna[...] 2024-06-17
[24] 서적 Genenius's Hebrew and Chaldee lexicon to the Old Testament Scriptures J. Wiley & Sons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The Bronze Serpent in the Israelite Cult The Bronze Serpent in the Israelite Cult JOBL, 87
[32] 서적 Genenius's Hebrew and Chaldee lexicon to the Old Testament Scriptures J. Wiley & Sons
[33] 웹사이트 C. H. Spurgeon, "The Mysteries of the Brazen Serpent" http://www.spurgeon.[...] 1857
[34] image The basilisk and the weasel by Wenceslas Hollar
[35] bible
[36] Strong's Concordance H8577
[37] 성경 Psalm 91:13
[38] 서적 Studies in the Gospels Biblia, Cannock
[39] 문서 Psalm 91 in the Hebrew/Protestant numbering, 90 in the Greek/Catholic liturgical sequence – see [[Psalms#Numbering]]
[40] 서적 Medieval images, icons, and illustrated English literary texts: from Ruthwell Cross to the Ellesmere Chaucer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41] 문서 Schiller, I, pp. 112–13, and many figures listed there. See also Index.
[42] Strong's Concordance G3789
[43] Strong's Concordance G744
[44] Strong's Concordance G4567
[45]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46] 간행물 The Wisdom of Solomon deserves to be remembered for the fact that it is the first tradition to identify the serpent of Genesis 3 with the devil: 'Through the devil's envy death entered the world' (2:24)
[47] 문서 The Old Testament Pseudepigrapha: Expansions of the "Old ... James H. Charlesworth – 1985 "He seeks to destroy men's souls (Vita 17:1) by disguising himself as an angel of light (Vita 9:1, 3; 12:1; ApMos 17:1) to put into men "his evil poison, which is his covetousness" (epithymia, ..."
[48] 서적 Iconography of Christian Art, Vol. I Lund Humphries, London
[49] 백과사전 Gnosticism: Gnosticism from its origins to the Middle Ages (further considerations) Macmillan Inc.
[5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1: Origins to Constant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서적 Lost Christianities: The Battles for Scripture and the Faiths We Never Knew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The Gnostics: Myth, Ritual, and Diversity in Early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3] 서적 Doctrinal Diversity: Varieties of Early Christianity Garland Publishing, Inc
[54] 서적 Eve and Adam: Jewish, Christian, and Muslim Readings on Genesis and Gender Indiana University Press
[55] 백과사전 Valentinus and the Valentinians
[56] 서적 Desiring Divinity: Self-deification in Early Jewish and Christian Mythmaking Oxford University Press
[57] 학술지 Yaldabaoth: The Gnostic Female Principle in Its Fallenness Brill Publishers 1990-01
[58] 백과사전 Demiurge
[59] 서적 The Early Christian World Routledge
[60] harvn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