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멜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멜루는 장미과에 속하는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열매를 의미하며, 원산지는 카스피해 남쪽의 히르카니아 숲이다. 신석기 시대부터 재배되었으며, 고대 그리스에서는 "황금 사과"로 불리며 아프로디테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열매는 떫고 단단하여 생으로 먹기 어렵지만, 잼, 마멀레이드, 젤리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발칸 반도에서는 증류주를 만들기도 한다. 마르멜루는 영양 성분으로 비타민 C를 함유하며, 문화적으로는 다산, 사랑, 생명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과나무족 - 마가목
    마가목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붉은 열매와 아름다운 단풍이 특징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줄기 껍질은 약재로, 열매는 과실주나 잼 등으로 활용된다.
  • 사과나무족 - 모과나무
    모과나무는 가을에 향기로운 열매를 맺는 높이 10~18m의 낙엽 활엽수로, 관상수, 과수, 분재용으로 재배되며 열매는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인다.
  • 분재에 사용되는 식물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분재에 사용되는 식물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과일 - 배나무
    배나무는 꽃눈 형성이 잘 되고 잎은 달걀 모양이며 흰색 꽃이 피고 이과 열매가 맺는 식물로, 주요 품종은 초주로, 코스이, 호스이 등이 있으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재배되고 요리 및 선물용으로 사용되며 혈액 정화, 피로 회복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 과일 -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중국 남부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여름에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재배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마르멜루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뱅상 콤파니가 그린 마르멜로 열매와 나무 삽화
뱅상 콤파니가 그린 마르멜로 열매와 나무 삽화 (1835년 이전)
학명Cydonia oblonga
이명Cydonia vulgaris
포르투갈어marmelo
일본어 (일반)マルメロ (마루메로)
일본어 (다른 이름)セイヨウカリン (세이요우카린, 서양모과)
분류
식물계
문 (계급 없음)속씨식물군
강 (계급 없음)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목
장미과
아과시모츠케아과
상련나시아상련
나시련
아련나시아련
마르멜루속 (Cydonia)
영양 정보 (생것)
열량238 kJ
수분84 g
단백질0.4 g
지방0.1 g
탄수화물15.3 g
섬유질1.9 g
칼슘11 mg
철분0.7 mg
마그네슘8 mg
17 mg
칼륨197 mg
나트륨4 mg
아연0.04 mg
비타민 C15 mg
티아민 (비타민 B1)0.02 mg
리보플라빈 (비타민 B2)0.03 mg
니아신 (비타민 B3)0.2 mg
판토텐산 (비타민 B5)0.081 mg
비타민 B60.04 mg
엽산3 ug
출처미국 농무부 데이터베이스

2. 역사

마르멜루는 카스피해 남쪽 히르카니아 숲이 원산지로, 신석기 시대부터 재배되어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아카드어로는 '수푸르길루'라고 불렸으며, 그리스인들은 크레타 섬의 키도니아와 연관시켜 "키도니아 열매"라고 불렀다. 아프로디테의 신성한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플리니우스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다양한 품종을 언급했다. 로마 시대에는 마르멜루를 꿀과 와인에 담가 보관하기도 했다.[5][6][7][9][10][11][12][13]

포르투갈어에서는 마르멜루가 과실 이름이고, 나무는 마르멜레이루(marmeleiropt)라고 한다. 영어 이름은 '''퀸스'''(quince영어)이며, "서양 모과"[46]라고도 한다. 과실은 모과와 매우 흡사하며[47], 나가노현스와시 등 일부 지역에서는 "모과"라고 불리거나 "목과"라는 글자를 사용하기도 한다.[46] 그러나 서양 모과, 모과, 모과 (목과)는 모두 다른 속이다.

학명(속명)의 유래는 그리스 남쪽 지중해에 있는 크레타섬의 고대 도시 시도니아(Cydonia)이다. 는 제거되었다.

2. 1. 고대 및 중세

마르멜루는 카스피해 남쪽 히르카니아 숲이 원산지이다.[5][6] 이곳에서 기원전 5000년에서 3000년경 신석기 시대 농부들에 의해 터키,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아프가니스탄, 이란, 시리아와 같은 곳으로 널리 퍼졌다. 그 후, 마르멜루의 토착 품종은 유럽, 러시아, 중국, 인도, 북아프리카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16세기에 영국에 전해졌고, 17세기에 정착민들에 의해 북아메리카로, 18세기에 중앙 및 남아메리카로 전해졌다.[39]

아카드어로는 '수푸르길루(supurgillu)'라고 불렸으며, "마르멜루" (복수형)를 의미했다.[7] 이 단어는 아람어로 ספרגלין|스파르글린(sparglin)arc으로 차용되었으며, 미쉬나 히브리어 시대의 유대에서는 פרישין|프리신(prishin)hbo(유대 팔레스타인 아람어에서 차용된 단어 פרישין|기적의 [과일]jpa)으로 알려졌다.[8] 마르멜루는 사과가 자라지 못하는 메소포타미아 평원의 더위 속에서 잘 자랐으며, 지중해 주변의 고대 시대부터 재배되었다. 일부 고대인들은 이 과일을 "황금 사과"라고 불렀다.[9]

그리스인들은 이 과일을 크레타 섬의 키도니아와 연관시켜 "키도니아 열매"라고 불렀으며, 테오프라스토스는 그의 저서 《식물 탐구》에서 마르멜루가 씨앗으로는 제대로 자라지 않는 많은 과일 식물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10]

아프로디테의 신성한 상징으로서, 마르멜루는 칼리마코스의 유실된 시에 등장하는데, 이 시는 산문 요약본으로 남아 있다. 아콘티우스는 아프로디테 신전 뜰에서 그의 연인을 보고, "아프로디테의 과수원"에서 마르멜루를 따서 그 껍질에 글을 새긴 다음, 글을 모르는 그녀의 유모 발치에 몰래 굴렸다. 호기심이 발동한 유모는 소녀에게 그것을 읽어보라고 건넸고, 소녀는 "나는 아프로디테의 이름으로 아콘티우스와 결혼할 것을 맹세한다"라고 말하게 되었다. 여신의 ''테메노스''에서 맹세한 서약은 깨뜨릴 수 없었다.[11] 플리니우스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수많은 품종"의 마르멜루를 언급하며 네 가지를 묘사했다.[12]

마르멜루는 나무에서 잠깐 동안만 익는다. 아피키우스의 로마 요리책 《요리에 관하여(De re coquinaria)》는 마르멜루를 보관하기 위해 완벽하고 흠집 없는 과일을 선택하고 줄기와 잎을 그대로 유지하며 꿀과 와인을 졸인 것에 담가 보관하도록 명시하고 있다.[13]

3. 특징

마르멜로는 키가 최대 4m에서 6m이고 폭이 3m에서 4.5m인 관목 또는 작은 나무이다. 어린 가지는 회색 솜털로 덮여 있고,[2] 잎은 타원형이며 뒷면에 솜털이 있다. 늦봄에 잎이 나온 후 피는 단독 꽃은 흰색 또는 분홍색이다.[3] --

잎과 익어가는 열매


잘 익은 열매는 향이 강하지만 딱딱하며, 과육에는 거친 돌 세포가 흩어져 있다.[2] 많은 사과보다 크며, 무게가 1kg까지 나가고, 종종 배 모양이지만 때로는 거의 구형이다.[2] 씨앗에는 니트릴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장미과 씨앗에서 흔히 발견된다. 위에서 효소나 위산 등에 의해 일부 니트릴이 가수 분해되어 독성 시안화 수소를 생성하며, 이는 휘발성 가스이다. 씨앗은 대량으로 먹을 경우에만 독성이 있다.[4]

수피는 회갈색으로 세로줄이 있고 매끄러우며, 성목이 되면 차츰 얇은 조각 형태로 벗겨지지만 얼룩무늬가 되지는 않는다.[45] 1년생 가지는 적갈색으로 회색 털로 덮여 있다.[45] 겨울눈은 원추형이나 난형으로 가지와 같은 색이다.[45] 가지 끝에 가정아가 붙고, 가지에는 곁눈이 어긋나게 난다.[45] 잎자국은 삼각형이고, 관다발 흔이 3개 붙는다.[45]

개화기는 봄(4 - 5월)으로[45] 모과보다 늦으며, 잎이 나온 후에 꽃이 피고, 크기는 5 cm, 색은 흰색이 도는 분홍색으로 5장의 꽃잎이 있다.

열매(이과)는 거짓 열매이며, 밝은 황등색의 서양배 모양을 하고 있다.[47] 길이는 7 - 12 cm, 폭은 6 - 9 cm이다. 사과나 서양배의 열매보다 크며, 울퉁불퉁하다. 미숙한 열매는 녹색이고 익으면 황색이 되며, 표면은 회색에서 흰색의 연모로 덮여 있다.[45] 열매는 떫고 단단하여 생식에는 적합하지 않다.

3. 1. 식물학적 분류

벚나무아과(Amygdaloideae)에 속한다.[14]

학명(속명)의 유래는 그리스 남쪽 지중해에 있는 크레타섬의 고대 도시 시도니아(Cydonia)이다. 마르멜로속은 마르멜로 1종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과속과는 가막살나무속(가막살나무속)과 함께 매우 근연 관계에 있다.[42][48] 모과속(서양모과속), 모과나무속(모과속), 사과나무속(사과속), 배나무속(배속) 등과도 상세한 계통 관계는 불분명하지만 장미과 내에서는 비교적 가깝고, 같은 배아족에 포함된다.

4. 재배

모과는 내한성과 가뭄에 강한 관목으로, pH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다양한 토양에 적응한다. 햇볕과 그늘 모두에 잘 견디지만, 더 큰 꽃을 피우고 과일 숙성을 위해서는 햇빛이 필요하다. 내한성이 강한 식물로 관리가 많이 필요하지 않으며, 수년간의 가지치기나 심각한 해충 및 질병 문제 없이 잘 견딘다.[40]

온대 및 온난 기후의 모든 대륙에서 재배되며, 적절한 개화를 위해서는 연중 7°C 이하의 서늘한 기간이 필요하다. 꺾꽂이(cutting (plant)) 또는 휘묻이로 번식하며, 꺾꽂이가 더 나은 식물을 생산하지만 휘묻이보다 성숙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명명된 품종은 모과 대목에 접목하여 꺾꽂이 또는 휘묻이로 번식한다. 씨앗으로 번식하는 것은 상업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모과는 덤불을 이루며, 상업적 용도로 열매를 맺는 나무를 재배하려면 가지치기를 하고 단일 줄기로 줄여야 한다. 이 나무는 자가수분을 하지만, 교차수분을 할 때 더 많은 수확량을 얻는다.[40]

과일은 일반적으로 나무에 남겨두어 완전히 익게 한다. 더 따뜻한 기후에서는 먹을 수 있을 정도로 부드러워질 수 있지만, 더 서늘한 기후에서는 추가 숙성이 필요할 수 있다. 늦가을, 첫 서리가 내리기 전에 수확한다.[40] 모과는 특정 배 품종의 대목으로 사용된다.[40]

유럽에서는 모과가 여름이 과일이 완전히 익을 정도로 충분히 더운 중부 및 남부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재배된다. 대량으로 재배되지는 않으며, 일반적으로 여러 사과 및 기타 과일 나무와 함께 혼합 과수원에 한두 그루의 모과 나무가 심어진다. 예를 들어, 18세기 뉴잉글랜드 식민지에서는 뉴햄프셔주 포츠머스와 매사추세츠주 뉴버리포트의 기록에서 앤 레이튼(Ann Leighton)이 언급한 바와 같이 채소 정원의 아래쪽 모퉁이에 항상 모과가 있었다.[15] 샤를마뉴는 모과를 풍성한 과수원에 심도록 지시했다. 영국에서 모과는 1275년경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에드워드 1세가 런던 타워에 몇 그루를 심었다.[16]

일본에는 에도 시대포르투갈 배에 의해 나가사키에 전래되었다. 마르멜루는 모과보다 약간 서늘한 곳이 재배 적지이다. 원산지는 여름이 덥고 겨울의 추위가 심한 곳으로, 매년 최고 기온이 7도 미만인 날이 2주 이상 있는 토지여야 꽃이 잘 핀다.

4. 1. 품종

마르멜루의 품종은 다음과 같다.[21]



'브란자' 네나도비치 품종과 '세르비안 골드' 품종은 왕립 원예 학회의 가든 메리트 상을 받았다.[22][23]

4. 2. 생산 현황

2021년 전 세계 마르멜루 생산량은 697,563톤이었으며, 터키와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43%를 차지했다.[20]

마르멜루 생산량 – 2021년
국가
Türkiye|터키tr192,012
China|중국중국어111,377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97,536
ایران|이란fa90,564
المغرب|모로코ar54,641
전 세계697,563
출처: UN FAOSTAT[20]



마르멜루 생산량 – 2017년
국가
Türkiye|터키tr174,038
China|중국중국어112,783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109,516
ایران|이란fa78,777
المغرب|모로코ar45,746
Azərbaycan|아제르바이잔az29,602
전 세계692,262
출처: UN FAOSTAT[53]



세계에서 마르멜루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나라는 터키로, 세계 생산량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49] 일본에서는 주로 나가노현에서 재배된다.[45]

5. 이용

마르멜루는 강렬한 향과 맛, 신맛 때문에 주로 가공하여 섭취한다. 대부분의 품종은 단단하고 떫어서 생으로 먹기 어렵지만, '아로마트나야'와 '쿠간스카야'와 같은 몇몇 품종은 생식이 가능하다.[24] 마르멜루는 펙틴 함량이 높아 , 젤리, 푸딩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껍질을 벗겨 굽거나 끓여 먹기도 한다. 설탕과 함께 오래 조리하면 붉은색을 띤다.[26]

마멀레이드라는 단어는 마르멜루 잼을 의미하는 포르투갈어 ''marmelo''에서 유래했다.[27][28][29] 마르멜루 치즈는 설탕과 함께 마르멜루를 조려 만든 단단한 페이스트로, 이베리아 반도에서 유래했으며, 스페인어권에서는 dulce de membrilloes라고 불리며 만체고 치즈와 함께 먹는다.[30][31] 레반트 지역, 특히 시리아에서는 닭고기나 키베 요리에 마르멜루를 첨가하여 키베 사파르잘리예와 같이 독특한 맛을 내기도 한다.[32]

발칸 반도에서는 마르멜루로 라키야의 일종인 오드비를 만들며,[33][34] 프랑스 알자스와 스위스 발레 지역에서는 ''coing''이라는 디제스티프를 만든다. 1709년 캐롤라이나에서는 마르멜루 음료가 사과주나 배주보다 선호되기도 했다.[35]

마르멜루 치즈

5. 1. 식품

대부분의 마르멜루 품종은 너무 단단하고 떫어서 생으로 먹기에는 부적합하지만, 조리하거나 구워서 잼, 마멀레이드, 젤리 또는 푸딩에 사용할 수 있다.[40] '아로마트나야'와 '쿠간스카야'와 같은 몇몇 품종은 생으로 먹을 수 있다.[24] 펙틴이 풍부하여 , 젤리 및 마르멜루 푸딩을 만드는 데 사용하거나 껍질을 벗긴 후 굽거나, 굽거나, 끓일 수 있다. 펙틴 수준은 과일이 익을수록 감소한다.[25] 설탕과 함께 오래 조리하면 과육의 색소가 있는 안토시아닌 성분으로 인해 과육이 붉게 변한다.[26]

강한 맛 때문에 사과 파이와 잼에 소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다진 마르멜루를 사과 소스에 넣으면 사과 소스의 맛이 향상된다. "마멀레이드"라는 용어는 원래 마르멜루 잼을 의미했으며, 이 과일에 대한 포르투갈어 단어인 ''marmelo''에서 파생되었다.[27][28][29]

마르멜루 치즈 또는 마르멜루 젤리는 설탕과 함께 마르멜루를 천천히 조려 만든 단단하고 끈적하며 달콤하고 붉은 색의 굳은 페이스트로, 이베리아 반도에서 유래되었다.[30] 스페인어권에서는 dulce de membrilloes라고 부르며, 만체고 치즈와 함께 먹는다.[31]

마르멜루는 레반트 지역, 특히 시리아에서 사용된다. 닭고기 또는 키베에 첨가하여 키베 사파르잘리예와 같이 강렬하고 독특한 맛을 낸다.[32]

열매는 향기가 있지만 강한 산미가 있으며, 단단한 섬유질과 석세포 때문에 생식은 할 수 없지만, 과실주, 꿀절임이나 설탕절임, 등을 만들 수 있다.[47] 흰 과육을 충분히 가열하면 선명한 루비색으로 변한다.

마멀레이드는 마르멜루의 설탕절임이 어원이라고 한다. 에도 시대, 남만에서 전래된 마르멜루로 만든 잼을 사용한 남만 과자 "가세이다"는 구마모토 번주 호소카와 가문의 납품업체가 되었고, 조정과 막부에도 헌상되었다.[47]

영국에서는 생으로 먹을 수 있는 단 과일이 19세기에 보급되기 전까지는 어느 가정의 부엌에도 마르멜루 열매가 있었다고 한다. 또한 지중해 연안에서는 고전 시대부터 마르멜루가 요리나 문화의 풍경 속에 있었고, 현대에도 단 요리나 짠 요리에 사용되고 있다.

5. 2. 음료

발칸 반도에서는 마르멜루 오드비(라키야)를 만든다. 더 달콤한 품종의 잘 익은 마르멜루를 씻어 썩은 부분과 씨를 제거한 다음 으깨거나 갈아 차갑거나 뜨거운 설탕물을 섞고 효모를 넣고 몇 주 동안 발효시킨다. 발효된 매시는 한 번 증류주를 증류하여 20~30 ABV를 얻거나 두 번 증류하여 약 60% ABV의 술을 생산한다. 두 증류액을 섞거나 증류수로 희석하여 42~43% ABV의 최종 제품을 얻을 수 있다.[33][34]

프랑스 알자스 지역과 스위스 발레 지역에서는 마르멜루로 만든 ''디제스티프''인 ''coing'' 리큐어를 사용한다.

1709년 캐롤라이나에서 존 로슨은 "이 과일로 그들은 마르멜루 음료라고 부르는 와인이나 술을 만드는데, 많은 양의 사과주와 배주가 만들어지지만, 나는 그들이 제공하는 어떤 것보다 이것을 더 좋아한다. 마르멜루 음료는 가장 일반적으로 하제를 한다"고 언급했다.[35]

마르멜로는 향기가 있지만 강한 산미가 있으며, 단단한 섬유질과 석세포 때문에 생식은 할 수 없지만, 모과보다 과육이 부드럽고, 같은 요령으로 과실주를 만들 수 있다.[47]

5. 3. 기타

모과는 낙엽성 분재 표본으로 가장 인기 있는 종 중 하나이며, 매력적인 꽃으로 널리 재배된다.[40][36]

6. 영양 성분

생 마르멜루는 84%의 물, 15%의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방과 단백질은 거의 없다(표). 100g 기준량에서 이 과일은 238kJ의 식품 에너지와 적당량의 비타민 C (1일 권장량의 18%)를 제공하며, 다른 미량 영양소는 1일 권장량에서 유의미한 비율을 차지하지 않는다(표).

생 마르멜루 영양 성분 (100g 기준)[1]
영양소함량영양소함량
84 g비타민 B60.04 mg
탄수화물15.3 g엽산3 μg
단백질0.4 g칼슘11 mg
지방0.1 g철분0.7 mg
식이섬유1.9 g마그네슘8 mg
비타민 C15 mg17 mg
티아민0.02 mg칼륨197 mg
리보플라빈0.03 mg나트륨4 mg
니아신0.2 mg아연0.04 mg
판토텐산0.081 mg


7. 문화적 상징

마르멜루는 아프로디테의 신성한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칼리마코스의 유실된 시에는 아프로디테 신전 뜰에서 마르멜루를 따서 껍질에 글을 새겨 사랑을 고백하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1]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마르멜루의 다양한 품종을 언급했다.[12] 아피키우스의 로마 요리책 《요리에 관하여(De re coquinaria)》에는 마르멜루를 꿀과 와인을 졸인 것에 담가 보관하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13] 발칸 반도에서는 아기가 태어나면 다산, 사랑, 생명의 상징으로 마르멜루 나무를 심는 풍습이 있다.[40]

포르투갈어에서 마르멜루는 과실을, 마르멜레이루(marmeleiropt)는 나무를 뜻한다. 영어 이름은 '''퀸스'''()이며, "서양 모과"[46]라고도 불린다. 일본 나가노현 스와시 등 일부 지역에서는 "모과"라고 부르기도 한다.[46] 마르멜루의 꽃말은 "행복", "매혹"이다.[50]

7. 1. 문학 작품 속 마르멜로

고대 그리스 시인 이비코스와 아리스토파네스는 어린 소녀의 가슴을 가리키는 다소 저속한 단어로 모과(''kydonia'')를 사용했다.[37]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에는 솔론이 "신부와 신랑은 방에 갇혀 함께 모과를 먹어야 한다"고 칙령을 내렸다고 전해진다.[38] 영웅 헤라클레스는 황금 사과와 관련이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아마도 모과였을 것이라고 생각한다.[39]

에드워드 리어의 1870년 넌센스 시 ''올빼미와 고양이''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41]

> 그들은 민스 파이와 모과 조각을 먹었고

> 그것을 런시블 숟가락으로 먹었다.

> 그리고 손을 잡고 모래 가장자리에 서서

> 달빛 아래서 춤을 추었다.

마르멜루는 "사랑의 양식"에도 비유되며, 그리스 신화에서 영웅 파리스가 여신 아프로디테에게 바친 황금 사과는 마르멜루 열매를 가리킨다. 아탈란테와 히포메네스가 싸웠을 때, 히포메네스에게 주어진 황금 사과도 마르멜루라고 한다.[51] 기원전 600년경 고대 그리스의 도시 아테네에서는 결혼식 날 밤에 신부에게 마르멜루 열매를 먹이면, 마음씨가 좋고 입 냄새나 목소리가 좋은 아내가 된다고 믿었다. 고대 로마인은 침실의 방향제로 마르멜루 열매를 두었고, 르네상스 미술에서는 정열, 충성, 풍요의 상징이 되었다.

현대 그리스에서도 전통적인 웨딩 케이크에 마르멜루 열매가 사용되고 있다. 마르멜루 열매가 최음제가 된다는 속설은, 방에 두면 강한 향기가 나는 것에서 유래한 것이 아닐까 한다.

과일 바구니 속의 모과
카라바조, 1597–1600

참조

[1] 간행물 Cydonia oblonga 2021
[2] 웹사이트 View crop: Cydonia oblonga https://ecocrop.app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24-11-02
[3] 웹사이트 Cydonia oblonga (F): quince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24-11-02
[4] 웹사이트 Cydonia oblonga Quince https://pfaf.org/use[...] Plants For A Future
[5] 서적 Domestication of Plants in the Old World: The Origin and Spread of Domesticated Plants in Southwest Asia,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Basin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7] 웹사이트 supurgillu http://www.premiumwa[...]
[8] 서적 Mishnah commentary to tractate Uksin Mossad HaRav Kook
[9]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Edible Wild Plants, Mushrooms, Fruits, and Nuts: How to Find, Identify, and Cook Them FalconGuides
[10] 서적 Enquiry
[11] 서적 Catullus in Verona: a Reading of the Elegiac Libellus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2] 서적 Natural History https://www.perseus.[...]
[13] 서적 Apicius https://penelope.uch[...]
[14] 학술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Rosaceae http://biology.umain[...]
[15] 서적 American Gardens in the Eighteenth Century: "For Use Or for Deligh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86
[16] 뉴스 Quince recipes https://www.theguard[...] 2011-10-07
[17] 웹사이트 Common Pests Of Quince Trees – Tips On Treating Quince Tree Pests https://www.gardenin[...] 2021-04-05
[18] 웹사이트 Quince leaf blight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6-11-22
[19] 웹사이트 Cedar-Quince Rust http://www.missourib[...] Missouri Botanical Garden 2016-11-22
[20] 웹사이트 Quince production in 2021; Crops/World regions/Production total from picklists http://www.fao.org/f[...]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2023
[21] 웹사이트 Agroforestry news quince cydonia oblonga http://www.agrofores[...]
[22] 웹사이트 Cydonia oblonga 'Vranja' Nenadovic http://apps.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3-07-22
[23] 웹사이트 Cydonia oblonga 'Serbian Gold' (F)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23-07-22
[24] 서적 Online Database: National Germplasm Resources Laboratory http://www.ars-grin.[...] USDA, ARS, National Genetic Resources Program.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GRIN) 2011-02-20
[25] 서적 The cook's companion Penguin Australia
[26] 서적 On Food and Cooking https://archive.org/[...] Hodder & Stoughton
[27] 서적 The Book of Marmalade: Its Antecedents, Its History and Its Role in the World Today (Together with a Collection of Recipes for Marmalades and Marmalade Cooke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8] 웹사이트 Marmalade http://dictionary.re[...]
[29] 웹사이트 Why Portugal's Marmelada Tastes Nothing Like Marmalade https://www.atlasobs[...] Atlas Obscura 2018-12-05
[30] 웹사이트 Quince Jelly https://www.bbcgoodf[...] BBC Good Food 2024-11-02
[31] 서적 Culinary Nutrition Elsevier
[32] 웹사이트 Kubbah safarjalīyah https://www.tasteatl[...] 2024-11-01
[33] 웹사이트 Dunjevača izuzetne arome i ukusa https://poljoprivred[...] Poljoprivreda.info 2003-11-22
[34] 웹사이트 Kako da napravite kvalitetnu dunjevaču http://www.agropress[...] Agropress 2015-10-11
[35] 서적 A New Voyage to Carolina
[36] 논문 "''Cydonia oblonga'': The unappreciated quince" https://www.ars.usda[...]
[37] 논문 Notes on the Symbolism of the Apple in Classical Antiquity
[38] 문서 Wikisource: ''Lives'' by Plutarch, translated by John Dryden: ''Solon'' https://en.wikisourc[...]
[39] 서적 Temperate fruits Apple Academic Press
[40] 서적 Encyclopedia of Cultivated Plants: From Acacia to Zinnia, Volume III ABC-CLIO 2013
[41] 뉴스 Food in books: Quince, Meringue and Cream from The Owl and the Pussycat https://www.theguard[...] 2015-11-12
[42] 간행물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Rosaceae http://biology.umain[...]
[43] YList 2023-02-01
[44] 웹사이트 榲桲 https://kotobank.jp/[...] デジタル大辞泉(コトバンク) 2021-08-09
[45] Harvnb
[46] 문서 広辞苑
[47] 서적 かしこく選ぶ・おいしく食べる 野菜まるごと事典 成美堂出版 2012-07-10
[48] 간행물 Phylogeny of subtribe Pyrinae (formerly the Maloideae, Rosaceae): Limited resolution of a complex evolutionary history http://biology.umain[...]
[49] 서적 ビジュアルで学ぶ木を知る図鑑 グラフィック社 2024-05-25
[50] 웹사이트 マルメロ(西洋カリン)の花言葉|種類、特徴、色別の花言葉 https://lovegreen.ne[...] 2020-08-16
[51] 서적 366日 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52] 웹인용 Agroforestry news quince cydonia oblonga http://www.agrofores[...]
[53] 웹인용 Quince production in 2017; Crops/World regions/Production total from picklists http://www.fao.org/f[...]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