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귀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귀나무는 상록활엽수로, 중국, 일본, 한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며, 높이 10-20m까지 자란다. 회백색의 매끄러운 수피와 둥근 수관을 가지며,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가죽질이다. 암수딴그루로, 열매는 6-7월에 붉게 익으며 식용으로 사용된다. 열매 외에도 수피, 잎, 나무 전체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조경수, 가로수, 약재 등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쿠시마현의 상징 - 백로 (새)
백로는 여러 종의 새를 통칭하며 흰색을 포함한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습지 등에서 집단으로 번식하며 문화적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도쿠시마현의 상징 - 영귤
일본 도쿠시마현에서 주로 재배되는 영귤은 강한 신맛을 가진 작은 감귤류 과일로, 녹색일 때 수확하여 레몬이나 라임처럼 요리에 향을 더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유자와의 잡종으로 추정된다. - 고치현의 상징 - 사카모토 료마
사카모토 료마는 막말 시대에 삿초 동맹을 성사시키고 대정봉환에 기여하는 등 메이지 유신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일본의 사무라이이자 혁명가이며, 그의 혁신적인 사상과 행동은 일본 근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고치현의 상징 - 팔색조
팔색조는 물총새과에 속하며 일곱 가지 색깔의 깃털을 가진 철새로, 동북아시아에서 번식하고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나며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요제프 게르하르트 추카리니가 명명한 분류군 - 밤나무
밤나무는 한국과 일본 원산의 참나무과 낙엽성 교목으로, 밤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목재와 조경용으로도 이용되고, 타원형 잎과 향기로운 꽃, 가시 밤송이가 특징이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식량, 건축, 공예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어 왔다. - 요제프 게르하르트 추카리니가 명명한 분류군 - 잣나무
잣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수로, 잣을 생산하며 목재, 식용, 약용, 조경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한반도,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지역, 일본 혼슈와 시코쿠 등지에 분포한다.
소귀나무 | |
---|---|
지도 | |
기본 정보 | |
학명 | Morella rubra |
동의어 | Morella rubra Lour. Myrica rubra Siebold et Zucc. Myrica rubra var. acuminata Nakai |
일본어 | 야마모모 (ヤマモモ) |
중국어 | 양매 (楊梅/杨梅) |
우어 발음 | ɦiɐ̃².mɛ⁴ |
영어 이름 | red bayberry, wax myrtle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 |
강 | 진정쌍떡잎식물 |
목 | 참나무목 |
과 | 소귀나무과 |
속 | 소귀나무속 |
종 | 소귀나무 |
품종 | 시로야마모모 (M. r. f. alba) |
추가 정보 | |
학명 명명자 | Siebold & Zucc. |
기타 정보 | |
한국어 이름 | 소귀나무 |
일본어 이름 | ヤマモモ |
2. 식물학적 특징
소귀나무는 상록수로, 매끄러운 회색 나무껍질과 균일한 구형 또는 반구형의 수관을 가지고 있다. 잎은 가죽질이고 털이 없으며, 잎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황금색 선점이 있는 경우도 있으며, 윗면은 진한 녹색이다.[1]
자웅이주로, 수꽃은 잎겨드랑이에 개별적으로 또는 소수의 꽃차례가 모여서 달리고, 암꽃은 털이 없는 줄기를 가진 꽃차례에 달린다. 암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여러 개의 꽃이 달린 단일 수상꽃차례이다.
중국에서는 3월부터 4월에 꽃이 피고, 5월부터 6월까지 열매가 열린다. 열매는 구형이며,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고 있고, 과육은 달콤하고 매우 신맛이 난다.
상록활엽수의 대교목으로, 어린 나무는 그늘을 좋아하지만, 성목은 양지를 좋아한다. 잎은 빽빽하게 어긋나기하며, 대부분 가지 끝에 총생한다. 잎 뒷면에는 향기를 내는 유점이 있다. 꽃은 3~4월에 피고 암수딴그루이다. 열매는 6~7월에 익으며, 새 등이 먹고 소화된 후 발아하는 성질이 있다.
근류에 질소고정을 하는 방선균의 일종인 프랑키아를 공생시켜 비교적 영양이 부족한 토양에서도 생육할 수 있다.
2. 1. 형태
'''소귀나무'''는 높이 10m에서 최대 20m까지 자라는 상록수이다. 매끄러운 회색 나무껍질과 균일한 구형 또는 반구형의 수관을 가지고 있다.잎은 가죽질이고 털이 없으며, 타원형 또는 난형 피침형이며, 밑부분은 쐐기 모양이고, 끝은 둥글거나 뾰족하거나 좁아진다. 가장자리는 위쪽 절반에 톱니가 있거나 톱니 모양이며, 길이는 5cm에서 14cm이고 너비는 1cm에서 4cm이다.[1] 잎은 가지에 어긋나기하며, 잎자루와 잎몸으로 나뉜다. 잎자루는 2mm에서 10mm 길이이다. 잎의 아랫면은 연한 녹색이고 드물게 또는 중간 정도의 황금색 선점이 있으며, 윗면은 진한 녹색이다.[1]
이 종은 자웅이주이다. 단순하거나 눈에 띄지 않게 가지가 갈라진 포엽을 가진 수꽃은 잎겨드랑이에 개별적으로 또는 때때로 소수의 꽃차례가 모여서 달린다. 암꽃은 1cm에서 3cm 길이이며, 털이 없는 줄기를 가진 꽃차례에 달리고, 포엽은 거의 원형이며 지름이 약 1밀리미터이고, 아랫면에 황금색 선점이 있다. 수꽃에는 2~4개의 달걀 모양의 드문드문한 피침형 잎이 동반된다. 각 수꽃에는 진한 붉은색의 타원형 꽃밥을 가진 4~6개의 수술이 있다.
암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여러 개의 꽃이 달린 0.5cm에서 1.5cm 길이의 단일 수상꽃차례이다. 꽃차례 축은 털이 있고 선점이 있다. 포는 겹쳐지고, 털이 없으며,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선점이 있다. 암꽃에는 4개의 잎이 동반된다. 윗부분의 씨방은 벨벳처럼 털이 있고, 두 개의 갈라진 암술머리가 있다. 두 개의 가는 암술머리 조각은 밝은 붉은색을 띤다.
중국에서는 꽃이 피는 시기가 3월부터 4월까지이며, 5월부터 6월까지 열매가 열린다. 열매는 구형이며, 일반적으로 지름이 1.5cm에서 2.5cm이지만 최대 3센티미터까지 자라고,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진다. 표면은 두꺼운 껍질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진홍색이지만 흰색에서 보라색까지 다양하며, 과육의 색깔과 비슷하거나 약간 옅다. 중앙에는 지름이 전체 열매의 절반 정도인 씨앗 하나가 있다. 과육은 달콤하고 매우 신맛이 난다.
성목은 수고 20미터(m) 정도가 되는 상록활엽수의 대교목이다. 큰 것은 줄기 지름이 1m 이상 되는 것도 있다. 수관은 둥근 모양을 이룬다. 생장이 느리고, 어린 나무는 그늘을 좋아하지만, 성목은 양지를 좋아한다. 줄기의 수피는 회백색으로 매끄럽고, 1년생 가지는 회갈색이며 많은 타원형의 피목이 있다. 오래되면 세로로 갈라지는 경우가 많다.
잎은 빽빽하게 어긋나기하며, 대부분 가지 끝에 총생한다. 엽신은 혁질이며 윤기 있는 짙은 녹색으로, 길이 5~12센티미터(cm), 너비 1~2cm 정도의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성목에서는 잎 가장자리가 매끄럽지만(전연), 어린 나무에서는 거칠고 불규칙한 거치가 있는 경우가 많다. 잎 뒷면에는 향기를 내는 유점이 있다. 엽병은 5~10밀리미터(mm) 정도로 짧다. 잎겨드랑이에는 원통형의 꽃눈이 달린다.
꽃은 3~4월에 핀다. 암수딴그루이다. 잎겨드랑이에서 수상꽃차례를 내밀어, 작은 분홍색 꽃잎 4장의 눈에 띄지 않는 꽃을 이삭 모양으로 피운다.
열매는 6~7월에 익는다. 암그루에 달리는 열매는 지름 1.5~2cm의 거의 구형으로, 뭉쳐서 많이 열리며 6월경에 황적색에서 선홍색을 거쳐 암적색으로 익으며, 생으로 먹을 수 있다. 표면에 과립상 돌기가 밀생한다. 이 돌기는 광택이 있기 때문에 외관상으로는 작은 붉은 구슬을 표면에 가득 붙인 것처럼 보인다. 소귀나무 열매는 새 등이 먹고 소화된 후 발아하는 성질이 있다.
가지 끝에는 잎눈이 달리며, 원추형으로 노란색 선점으로 덮여 있다. 암수딴그루이므로, 암꽃눈과 수꽃눈은 서로 다른 그루에 달리고, 암꽃눈이 약간 가늘다.
근류에 질소고정을 하는 방선균의 일종인 프랑키아를 공생시켜 비교적 영양이 부족한 토양에서도 생육할 수 있다.
그 모습과 형태는 다소 호르토노키(홀트노키)와 비슷하여 혼슈 남부 이남에서는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 호르토노키(홀트노키)는 낙엽이 붉게 변하며, 항상 소수의 잎이 붉게 물드는 것이 좋은 구별점이 된다.
2. 2. 생태
楊梅중국어 (*Myrica rubra*)는 높이 10m에서 20m까지 자라는 상록수로, 매끄러운 회색 나무껍질과 균일한 구형 또는 반구형의 수관을 가지고 있다. 잎은 가죽질이고 털이 없으며, 타원형 또는 난형 피침형이며, 밑부분은 쐐기 모양이고, 끝은 둥글거나 뾰족하거나 좁아진다. 가장자리는 위쪽 절반에 톱니가 있거나 톱니 모양이며, 길이는 5cm에서 14cm, 너비는 1cm에서 4cm이다. 잎은 가지에 어긋나게 배열되며, 잎자루와 잎몸으로 나뉜다. 잎자루는 2mm에서 10mm 길이이다. 잎의 아랫면은 연한 녹색이고 드물게 또는 중간 정도의 황금색 선점이 있으며, 윗면은 진한 녹색이다.[1]이 종은 자웅이주이다. 단순하거나 눈에 띄지 않게 가지가 갈라진 포엽을 가진 수꽃은 잎겨드랑이에 개별적으로 또는 때때로 소수의 꽃차례가 모여서 달린다. 암꽃은 털이 없는 줄기를 가진 꽃차례에 달리고, 포엽은 거의 원형이며 지름이 약 1밀리미터이고, 아랫면에 황금색 선점이 있다. 수꽃에는 2~4개의 달걀 모양의 드문드문한 피침형 잎이 동반된다. 각 수꽃에는 진한 붉은색의 타원형 꽃밥을 가진 4~6개의 수술이 있다.
암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여러 개의 꽃이 달린 단일 수상꽃차례이다. 꽃차례 축은 털이 있고 선점이 있다. 포는 겹쳐지고, 털이 없으며,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선점이 있다. 암꽃에는 4개의 잎이 동반된다. 윗부분의 씨방은 벨벳처럼 털이 있고, 두 개의 갈라진 암술머리가 있다. 두 개의 가는 암술머리 조각은 밝은 붉은색을 띤다.
중국에서는 개화기가 3월부터 4월까지이며, 5월부터 6월까지 열매가 열린다. 열매는 구형이며, 일반적으로 지름이 1.5cm에서 2.5cm이지만 최대 3센티미터까지 자라고,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진다. 표면은 두꺼운 껍질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진홍색이지만 흰색에서 보라색까지 다양하며, 과육의 색깔과 비슷하거나 약간 옅다. 중앙에는 지름이 전체 열매의 절반 정도인 씨앗 하나가 있다. 과육은 달콤하고 매우 신맛이 난다.

상록활엽수의 대교목으로, 성목은 수고 20미터(m) 정도가 된다. 큰 것은 줄기 지름이 1m 이상 되는 것도 있다. 수관은 둥근 모양을 이룬다. 생장이 느리고, 어린 나무는 그늘을 좋아하지만, 성목은 양지를 좋아한다. 줄기의 수피는 회백색으로 매끄럽고, 1년생 가지는 회갈색이며 많은 타원형의 피목이 있다. 오래되면 세로로 갈라지는 경우가 많다.
잎은 빽빽하게 어긋나기하며, 대부분 가지 끝에 총생한다. 엽신은 혁질이며 윤기 있는 짙은 녹색으로, 길이 5~12센티미터(cm), 너비 1~2cm 정도의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성목에서는 잎 가장자리가 매끄럽지만(전연), 어린 나무에서는 거칠고 불규칙한 거치가 있는 경우가 많다. 잎 뒷면에는 향기를 내는 유점이 있다. 엽병은 5mm~10mm 정도로 짧다. 잎겨드랑이에는 원통형의 꽃눈이 달린다.
꽃은 3~4월에 핀다. 암수딴그루이다. 잎겨드랑이에서 수상꽃차례를 내밀어, 작은 분홍색 꽃잎 4장의 눈에 띄지 않는 꽃을 이삭 모양으로 피운다.
열매는 6~7월에 익는다. 암그루에 달리는 열매는 지름 1.5~2cm의 거의 구형으로, 뭉쳐서 많이 열리며 6월경에 황적색에서 선홍색을 거쳐 암적색으로 익으며, 생으로 먹을 수 있다. 표면에 과립상 돌기가 밀생한다. 이 돌기는 광택이 있기 때문에 외관상으로는 작은 붉은 구슬을 표면에 가득 붙인 것처럼 보인다. 야마모모 열매는 새 등이 먹고 소화된 후 발아하는 성질이 있다.
가지 끝에는 잎눈이 달리며, 원추형으로 노란색 선점으로 덮여 있다. 암수딴그루이므로, 암꽃눈과 수꽃눈은 서로 다른 그루에 달리고, 암꽃눈이 약간 가늘다.
근류에 질소고정을 하는 방선균의 일종인 프랑키아를 공생시켜 비교적 영양이 부족한 토양에서도 생육할 수 있다.
3. 분포 및 서식지
소귀나무는 동아시아가 원산지로, 주로 중국 대륙 남중부의 푸젠성, 광둥성, 광시성, 구이저우성, 하이난성, 후난성, 장쑤성, 장시성, 쓰촨성, 윈난성, 저장성 등에서 자생한다.[1] 일본, 한국, 필리핀의 산비탈과 계곡의 숲, 해발 100~1500m 고도에서도 서식한다.[1] 씨앗은 일본원숭이[6]와 야쿠시마원숭이[7]에 의해 퍼진다.
일본에서는 간토 지방 이남(보소반도 남부, 후쿠이현 이서)의 혼슈, 시코쿠, 규슈, 오키나와의 저지대나 산지에 자생한다. 혼슈 남부 이남에서는 해안이나 저산의 건조한 능선 등 척박한 땅에서 숲을 구성하는 중요한 수종이다.
조선반도 남부, 중국, 타이완, 필리핀에도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장쑤성, 저장성이 유명한 산지이며, 특히 닝보시에 속하는 위야오시와 자시시, 또는 원저우시 우하이구는 예로부터 알려진 산지로, 1000년에 이르는 고목도 많이 남아 있다. 그 외 푸젠성,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타이완 등도 산지이다.
자연 분포 외에도 사람의 손으로 공원, 정원, 도시의 가로수 등에도 심어진다.
4. 재배 및 품종
소귀나무는 양자강 이남 지역에 집중적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적어도 2000년 이상 재배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8]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중요성을 지닌다. 이 나무는 공원이나 거리의 조경수로 사용되며, 동아시아 전통 정원을 조성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4. 1. 재배 방법


소귀나무는 척박한 산성 토양에서도 잘 자란다. 뿌리계는 깊이 5~60cm이며, 뚜렷한 주근은 없다.[8]
비교적 그늘에서도 잘 견디지만, 암꽃에 열매를 맺게 하려면 양지바른 곳에 심어야 한다. 토양은 건조한 양토가 적합하며, 뿌리는 깊게 뻗는다. 식재 적기는 6월~7월 상순 또는 9월 중순~10월 중순이다. 전정은 3월~4월 또는 6월~7월에 실시하며, 너무 길게 자란 가지를 잘라 수형을 다듬는다. 시비는 2월~3월과 5월에 한다.
병충해로는 세균(박테리아)에 의한 병인 세균성혹병에 걸릴 수 있으며, 가지나 줄기에 울퉁불퉁한 혹이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
재배 품종야생종 외에도 다양한 재배품종이 있으며, 농작물로 재배되고 있다.
품종 (중국) | 품종 (일본) |
---|---|
일본에서는 시코쿠(四国)의 도쿠시마현이 재배 및 생산이 가장 활발하며, 주요 산지로 여겨진다. 고치현과 와카야마현도 야마모모 산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수확 후 신선도가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시장에는 거의 유통되지 않는다.
해외 도입''Myrica rubra''는 프랭크 니콜라스 마이어(Frank Nicholas Meyer)가 일본 요코하마 너서리(Yokohama Nursery Co.)에서 구입한 종자를 통해 미국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1918년 외래 식물 도입 회보(Bulletin of Foreign Plant Introductions)에 게재되었다.[9] 채집된 식물들은 데이비드 페어차일드(David Fairchild)에 의해 캘리포니아주 치코(Chico)와 플로리다주 브룩스빌(Brooksville)에서 재배되어 열매를 맺었다.[10] ''M. rubra''는 캘리포니아 주식회사인 칼메이(Calmei)에 의해 캘리포니아에서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다.[11][12] 나무는 다산성으로, 한 그루에서 약 100kg의 과일을 생산한다.[13] 2007년 기준으로 중국에서는 양매 생산에 865000acres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미국의 사과 생산에 사용되는 면적의 두 배에 달한다.[14]
5. 이용
소귀나무는 식품, 약재, 조경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식품: 열매는 생으로 먹거나 잼, 통조림, 설탕절임 등으로 가공한다. 중국에서는 백주에 담가 양매주를 만들기도 한다.
- 약재: 나무껍질은 '양매피'라는 생약으로, 타닌 성분이 풍부하여 지사제나 소염제로 쓰인다.
- 조경: 대기오염에 강해 가로수나 정원수로 심으며, 잎이 빽빽해 방풍, 시야 차단용으로도 활용된다.
- 기타: 염료(나무껍질), 어업(고치현) 등에 이용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현화나 시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5. 1. 식품
소귀나무 열매는 지름이 최대 4cm에 달하는 크기로, 여러 품종들이 개발되었다. 생과로 먹는 것 외에도 건조, 통조림, 중국 술인 ''백주''에 절이거나 와인, 맥주, 칵테일 등 알코올 음료로 발효시킬 수 있다. 건조된 열매는 감초 등을 첨가한 ''화매''와 비슷하게 만든다. "Yumberry"라는 브랜드 이름으로 주스가 상업화되었으며, EU에 상표 등록되었다. 윈난성에는 신맛이 나는 건조 과일용과 단맛이 나는 주스 및 생과용 두 가지 주요 양매 유형이 있다.필리핀에서는 소금물과 식초에 절여 건조시켜 중국식 ''화매''의 현지 버전인 참포이를 만든다.[15][16]
열매는 달콤하고 시큼하며, 생으로 먹거나 잼, 통조림, 설탕절임, 리큐르 등으로 가공한다.[28] 중국에서는 백주에 설탕을 넣고 소귀나무 열매를 담근 리큐르인 "양매주"를 널리 만든다. 소귀나무 생과는 보존 기간이 짧고 운송이 어렵다.[29]
5. 2. 기타 이용
대기오염에 강하며, 녹화를 목적으로 하는 조림에 이용된다. 정원수, 공원수, 가로수로도 심어진다.[32] 잎이 빽빽하게 자라 건물의 방풍 및 시야 차단을 위해 울타리처럼 심는 경우도 있다.[33]번식 방법으로는 접목 외에 휘묻이가 있다. 암수딴그루이므로 결실에는 수그루가 필요하지만, 도시 지역에서는 가로수로 심어진 수그루가 곳곳에 있어 암그루의 결실률은 비교적 높다.
열매는 달콤하고 시큼하며 생으로 먹을 수 있다.[33] 잼, 통조림, 설탕절임, 리큐르 등으로 가공된다. 중국에서는 백주에 설탕을 넣고 소귀나무 열매를 담근 리큐르인 "양매주"가 널리 만들어진다. 소귀나무 생과일은 보존 기간이 짧고 운송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수피는 '''복숭아 껍질''', '''떫은 나무''', '''떫은 껍질'''이라고 불리며 염료로 사용되었다.[32] 수피에 포함된 타닌에는 방부, 방수, 방충 효과가 있으며, 옛날에는 어망을 염색하는 데 사용되었다. 수피는 '''양매피'''라는 생약이 되어, 타닌이 풍부하여 지사 작용이 있고, 소염 작용도 있어 근육통이나 요통용 고약에 배합되기도 한다.
고치현에서는 시이라 절임에 사용하는 잎이 달린 소귀나무 가지를 늘어뜨려, 숨으려는 작은 물고기를 유인하고, 작은 물고기를 노리고 모여드는 시이라를 끌어들이는 어업에 사용된다.
고치현의 현화, 도쿠시마현의 현목[34], 지타시, 니시토시, 나카가와시, 시모마쓰시의 시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소귀나무의 꽃말은 「교훈」,「일편단심」으로 여겨진다.
6. 한국 문화 속 양매
소귀나무는 중국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백의 시에 여러 차례 등장할 정도로 중국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23] 중국어 이름은 양매(楊梅)이며, 잎 모양이 버드나무(楊)와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산앵도(山桜桃), 화실(火実) 등의 다른 이름도 가지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중국어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여 dương mai|즈엉마이vn라고 부른다.
6. 1. 역사
고고학적 및 문헌 자료에 따르면 소귀나무 재배는 2,000년 전 한나라 시대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13] 소귀나무는 중국 문학 전반에 걸쳐 언급되며, 이백의 시에도 여러 차례 등장한다.[23]일본에서는 고치현의 현화(현의 꽃)이자 도쿠시마현의 현목(현의 나무)이다. 이 식물의 이름은 많은 오래된 일본 시가에 등장한다. 일본어 이름인 야마모모(ヤマモモ)에 대해 식물학자 쓰지이 다쓰이치(辻井達一)는 “역시 산의 모모(桃)일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일본에 자생하는 야마모모는 ‘모모’라고 불렸으며, 모모는 과일의 총칭이기도 했다. 도래종인 복숭아는 처음에 ‘케모모’(ケモモ)라고 불렸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복숭아가 생활에 깊이 들어오면서 ‘모모’라고 불리게 되었고, 야마모모는 산의 모모라는 뜻으로 ‘야마모모’라고 불리게 되었다. 류큐 방언에 남아 있다.[27] 류큐 방언은 3모음(O→U, E→I)[28]로 야마모모를 ‘무무’(ムム)[29], 모모를 ‘키무무’(キームム)[30]라고 한다. 모모의 ‘모’(モ)는 열매를 나타내며, 부드러운 외피의 ‘모’와 단단한 핵의 ‘모’로 이중성을 나타낸다.[31]
중국어 이름은 '''양매'''(楊梅, ようばい)[32], 또는 '''양매'''(楊梅, yángméi|양메이중국어)[24] [33]이며, 잎의 모양이 버드나무(楊)와 비슷한 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산앵도(山桜桃), 화실(火実) 등의 다른 이름이 있으며, 고대부터 와카 등에 등장한다. 베트남에서는 중국어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여 dương mai|즈엉마이vn라고 부른다.
6. 2. 상징
일본에서는 고치현의 현화(현의 꽃)이자 도쿠시마현의 현목(현의 나무)이다. 이 식물의 이름은 많은 오래된 일본 시가에 등장한다.일본어 이름인 야마모모(ヤマモモ)에 대해 식물학자 쓰지이 다쓰이치(辻井達一)는 “역시 산의 모모(桃)일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일본에 자생하는 야마모모는 ‘모모’라고 불렸으며, 모모는 과일의 총칭이기도 했다. 도래종인 복숭아는 처음에 ‘케모모’(ケモモ)라고 불렸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복숭아가 생활에 깊이 들어오면서 ‘모모’라고 불리게 되었고, 야마모모는 산의 모모라는 뜻으로 ‘야마모모’라고 불리게 되었다. 류큐 방언에 남아 있다.[27] 류큐 방언은 3모음(O→U, E→I)[28]로 야마모모를 ‘무무’(ムム)[29], 모모를 ‘키무무’(キームム)[30]라고 한다. 모모의 ‘모’(モ)는 열매를 나타내며, 부드러운 외피의 ‘모’와 단단한 핵의 ‘모’로 이중성을 나타낸다.[31]
중국어 이름은 '''양매'''(楊梅, ようばい)[32], '''양매'''(楊梅, yángméi|양메이중국어)[24] [33]이며, 잎의 모양이 버드나무(楊, ヤナギ)와 비슷한 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산앵도(山桜桃), 화실(火実) 등의 다른 이름이 있으며, 고대부터 와카 등에 등장한다. 베트남에서는 중국어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여 dương mai|즈엉마이vn라고 부른다.
6. 3. 현대
현대에 소귀나무 재배는 고고학적 및 문헌 자료에 따르면 2,000년 전 한나라 시대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13] 이백의 시에도 여러 차례 등장하는 등 중국 문학 전반에 걸쳐 언급된다.[23]일본에서는 고치현의 현화(현의 꽃)이자 도쿠시마현의 현목(현의 나무)이다. 소귀나무는 많은 오래된 일본 시가에 등장한다.
7. 연구
다양한 종류의 ''Myrica''에 대한 생리활성물질 과학적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1951년부터 원예 관련 문헌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들이 포함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yrica rubra in Flora of China @ efloras.org
http://www.efloras.o[...]
2020-07-30
[2]
서적
Flora cochinchinensis
https://www.biodiver[...]
2020-07-30
[3]
논문
Genetic diversity of Chinese bayberry (''Myrica rubra'' Sieb. et Zucc.) accessions revealed by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4]
논문
Genetic diversity of male and female Chinese bayberry (''Myrica rubra'') populations and identification of sex-associated markers
2015-05-19
[5]
웹사이트
Name - Myrica rubra (Lour.) Siebold & Zucc.
http://legacy.tropic[...]
2020-07-30
[6]
논문
Microsatellite analysis of the maternal origin of ''Myrica rubra'' seeds in the feces of Japanese macaques
2008-08-26
[7]
논문
Rapid shifting of foraging pattern by Yakushima macaques (''Macaca fuscata yakui'') in response to heavy fruiting of ''Myrica rubra''
[8]
논문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hinese bayberry (''Myrica rubra'' Sieb. et Zucc.): A review
[9]
서적
Bulletin of Foreign Plant Introductions
https://books.google[...]
2020-07-30
[10]
서적
Journal of the Washington Academy of Sciences
https://books.google[...]
Washington Academy of Sciences
2020-07-30
[11]
웹사이트
Calmei
http://calmei-yangme[...]
[12]
웹사이트
Yum's the word
http://www.californi[...]
2020-07-30
[13]
서적
Red bayberry – a new and exciting crop for Australia?
http://tropicalfruit[...]
Rural Indust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2009-06-23
[14]
뉴스
From China, Only in a Bottle, a Berry With an Alluring Name
https://www.nytimes.[...]
2018-09-14
[15]
서적
Philippine Food, Cooking, & Dining Dictionary
Anvil Publishing, Inc.
2017
[16]
웹사이트
Tsampoy
https://www.tagalogl[...]
2021-11-01
[17]
논문
Consequences of Sporangial Development for Nodule Function in Root Nodules of ''Comptonia peregrina'' and ''Myrica gale''
1984-11
[18]
논문
Diversity and Specificity of ''Frankia'' Strains in Nodules of Sympatric ''Myrica gale'', ''Alnus incana'', and ''Shepherdia canadensis'' Determined by ''rrs'' Gene Polymorphism
2001-05
[19]
논문
Diversity of ''Frankia'' strains associated to ''Myrica gale'' in Western Europe: impact of host plant (''Myrica'' vs. ''Alnus'') and of edaphic factors
2004-10
[20]
논문
Density and activity of microorganisms of the carbon cycle under the canopy of ''Myrica gale'' L.
1992-04
[21]
논문
Niche characteristics of dominant populations in natural forest in north Guangdong
2003-01
[22]
논문
Mode of Pollen-Tube Growth in Pistils of ''Myrica rubra'' (Myricaceae): A Comparison with Related Families
2006-01
[23]
웹사이트
Ancient and Modern Yangmei Poems
https://www.douban.c[...]
2018-09-14
[24]
웹사이트
Morella rubra Lour. ヤマモモ(標準)
2023-03-29
[25]
웹사이트
Myrica rubra Siebold et Zucc. ヤマモモ(シノニム)
2023-03-20
[26]
웹사이트
Myrica rubra Siebold et Zucc. var. acuminata Nakai ヤマモモ(シノニム)
2023-03-20
[27]
서적
植物の名前の話
八坂書房
[28]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s://bibdb.ninjal[...]
2022-11-24
[29]
웹사이트
しまくとぅば単語一覧|読谷村史編集室へようこそ
https://yomitan-sons[...]
2022-11-24
[30]
웹사이트
モモ | 亜熱帯生物資源データベース
https://iicc.skr.u-r[...]
2022-11-24
[31]
서적
植物の名前の話
八坂書房
[32]
웹사이트
跡見群芳譜(樹木譜 ヤマモモ)
http://www.atomigunp[...]
2023-03-26
[33]
웹사이트
Plant of Kunming [その6] 楊梅(ヤマモモ)|東アジア植物記|読みもの|サカタのタネ 家庭菜園・園芸情報サイト 園芸通信
https://sakata-tsush[...]
2023-03-26
[34]
웹사이트
徳島県のシンボル
https://www.pref.tok[...]
2019-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