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야 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야 본선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역과 왓카나이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1898년 개업하여 여러 차례 연장 및 노선 변경을 거쳤으며, 현재는 특급 열차와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2016년 이후, JR 홋카이도의 경영난으로 인해 존폐 논의가 진행되었으며, 일부 역이 폐지되거나 지역 자치단체로 이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 삿쇼선
삿쇼선은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28.9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가쿠엔토시선'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2020년 구간 폐선 이후 현재는 삿포로역에서 홋카이도의료대학역 구간만 운영되고, 일부 구간은 복선 전철화되어 다양한 전동차가 운행된다. -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 네무로 본선
네무로 본선은 홋카이도 다키카와역과 네무로역을 잇는 JR 홋카이도의 철도 노선으로, 2024년 4월 1일 일부 구간 폐지로 분단되었으며, 자동폐색식과 특수자동폐색식으로 운영되고 일부 구간 최고 속도는 120km/h이다. - 189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반에쓰사이선
반에쓰사이선은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역과 니가타현 니이쓰역을 잇는 175.6km의 단선 철도 노선으로, 아이즈 지방과 니가타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이지만 이용객 감소와 수익성 악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1897년 개통 이후 자연재해와 사고를 겪으며 시설 개량과 운영 방식 변화를 거쳐왔다. - 189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마쓰우라 철도 니시큐슈선
마쓰우라 철도 니시큐슈선은 아리타역에서 사세보역까지 총 93.8km를 운행하며, 니모카 사용이 가능하고 일부 구간에서 쾌속 열차가 운행되는 철도 노선이다. - 홋카이도의 철도 노선 - 쓰가루 해협선
1988년 세이칸 터널 개통과 함께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며 운영되던 쓰가루 해협선은 2016년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여객 열차 운행이 중단되어 폐지되었으나, 일부 구간은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되어 운영 중이다. - 홋카이도의 철도 노선 - 삿포로 시영 전차
1909년 설립된 삿포로 시영 전차는 삿포로시의 성장과 함께 발전했으나, 지하철 건설로 노선이 축소되어 현재는 순환 노선으로 운영되며 삿포로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문화유산으로 인정받고 있다.
소야 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종류 | 보통 철도 (재래선, 지방 교통선) |
노선 상태 | 영업 중 |
노선 성격 | 지방 |
개요 | |
노선 이름 | 소야 본선 |
원래 이름 | ja |
로마자 표기 | Sōya-honsen |
노선 색상 | '#954a35' |
약칭 | 소야호세 |
노선 연혁 | |
개통 | 1898년 8월 12일 (덴시오 선 → 소야 선) 1922년 11월 8일 (덴시오 선 → 덴시오 남선) 1924년 6월 25일 (덴시오 북선) |
전체 개통 | 1926년 9월 25일 |
민영화 | 1987년 4월 1일 |
운영 | |
소유자 |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 |
운영자 |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 (전 노선 제1종 철도 사업자) 일본 화물 철도(JR 화물) (아사히카와 - 나요로 구간 제2종 철도 사업자) |
노선 번호 | (아사히카와역 - 신아사히카와역 구간) (나가야마역 - 왓카나이역 구간) |
노선 제원 | |
노선 길이 | 259.4 km |
궤간 | 1,067 mm (협궤) |
선로 수 | 복선 (아사히카와역 - 기타아사히카와역 구간) 단선 (기타아사히카와역 - 왓카나이역 구간) |
전철화 구간 | 아사히카와역 - 기타아사히카와역 구간 (교류 20,000 V, 50 Hz 가공 전차선 방식) |
최대 구배 | 20 ‰ |
최소 곡선 반지름 | 200 m |
폐색 방식 | 자동 폐색식 (CTC・PRC 부대) (아사히카와역 - 기타아사히카와역 구간) 자동 폐색식 (특수) (CTC・PRC 부대) (기타아사히카와역 - 나가야마역 구간) 특수 자동 폐색식 (전자 부호 대사식) (나가야마역 - 미나미왓카나이역 구간) 특수 자동 폐색식 (궤도 회로 검지식) (미나미왓카나이역 - 왓카나이역 구간) |
보안 장치 | ATS-DN (아사히카와역 - 나요로역 구간) ATS-SN |
최고 속도 | 120 km/h (아사히카와역 - 나요로역 구간) 95 km/h (나요로역 - 왓카나이역 구간) |
운행 및 시설 | |
기점 | 아사히카와역 |
종점 | 왓카나이역 |
역 수 | 일반역: 2개, 여객역: 39개, 화물역: 1개, 신호장: 1개소 |
차량 기지 | 아사히카와 운전소 |
사용 차량 | 사용 차량 절을 참조 |
지도 정보 | |
![]() |
2. 역사
소야 본선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일본 제국이 사할린섬 남부를 지배하던 시절, 본토와의 연결을 위해 건설되었다.
1945년 일본의 패전 이후, 사할린과의 연결 기능을 상실했지만, 홋카이도 북부를 잇는 주요 간선 노선으로서의 역할을 계속 수행했다. 1980년대 적자 노선 폐지로 인해 여러 지선들을 잃었지만, 여전히 홋카이도 북부 지역의 중요한 교통로로 기능하고 있다.
1965년 7월 15일 산사태 사고 발생 지역을 피하기 위해 1256m 길이의 시모다이라 터널을 만들고 노선을 변경했다.
1984년 11월 10일 자동 폐색 장치가 도입되었고, 대부분의 역(29개 역)이 무인화되었다. 1986년 11월 1일에는 CTC가 도입되어 앞서 언급된 역들이 완전 무인화되었다.
1987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 민영화에 따라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전 노선을 제1종 철도사업으로, 일본화물철도가 아사히카와-나요로 구간을 제2종 철도사업으로 승계하였다. 이때 모든 임시역이 정규역이 되었다.
1995년 와카나이-코르사코프 간 페리가 50년 만에 재개되었지만, 철도와 직접 연결되지는 않았다.
2000년 3월 11일 아사히카와 - 나요로 구간의 고속화 개량 공사가 완료되어, 특급열차 ''슈퍼 소야'' 운행이 시작되었다.
2006년부터는 야간 특급 열차인 리시리호가 임시 열차로 격하되어 여름 성수기에만 운행하고 있다.
왓카나이역은 일본 최북단 철도 역이다.
2010년대 후반부터는 불곰과 에조사슴의 출몰이 잦아져, 열차 운행에 차질을 빚는 경우가 늘고 있다. 특히 사슴과의 충돌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6년간 연평균 464건에 달해, 거의 매일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셈이다.[8]
2. 1. 일제강점기
소야 본선은 2차 세계대전 이전에 일본령이었던 사할린섬 남부와의 연락을 목적으로 건설된 노선이다.1898년 8월 12일 홋카이도 관설 철도의 덴포선으로 아사히카와역 - 나가야마역 구간이 개통된 것을 시작으로, 1922년에 왓카나이역(현재의 미나미왓카나이역)까지 개업하였다. 당시 개통된 오토이넷푸역~왓카나이(현재의 미나미왓카나이 역) 구간은 나중에 덴포쿠 선으로 분리되는, 오호츠크해 연안으로 우회하는 루트였다.
이후 1922년부터 1926년까지 호로노베역을 경유하는 데시오 선이 건설되었고, 1930년에 소야 본선으로 편입된다. 대신 오토이넷푸~하마톤베쓰~미나미왓카나이 구간은 덴포쿠 선으로 분리되었다.
원래 일본 본토와 당시 일본의 북쪽 국경인 가라후토(사할린 섬 남부)를 연결하는 노선의 일부로 건설되었다. 왓카나이 항에서 당시 오도마리(현재의 코르사코프)까지 페리가 운행되었으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지속되었다.
호로노베 경유 루트는 데시오 강이 있어 난공사가 많았던 반면, 하마톤베츠 경유 루트는 원야가 넓어 택지 계획상 유리했기 때문에 먼저 하마톤베츠 경유 루트(후의 덴포쿠 선)가 착공되었다.[10]
그러나 실제로는 호로노베 경유 연선에 많은 어용 소작인, 단독 이주민이 살고 있었던 반면, 하마톤베츠 경유 연선에는 이주민이 적고, 대의원이나 대회사의 미개척 목장뿐이었기 때문에 철도의 필요성은 호로노베 경유 루트에 있었고, 기정선으로 이미 결정되어 있었다.[10]
하지만 헌정회와 정우회의 다툼이 있었고, 사사 토모후사, 아다치 겐조(헌정회 대의원) 등이 하마톤베츠 경유 연선에 광대한 토지를 가지고 있어 기반을 다졌기 때문에, 아다치 등이 철도를 개인적 이익에 악용하여(아전인수), 급히 하마톤베츠 경유 루트로 변경되었다.[10] 후에 호로노베 경유 루트도 전선 개업했다.
소야 본선의 개통 및 연장과 관련된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날짜 | 사건 |
---|---|
1898년 8월 12일 | 홋카이도 관설 철도 덴포선으로 아사히카와 - 나가야마 구간 개통 |
1898년 11월 25일 | 란루까지 연장 |
1899년 11월 15일 | 와사무까지 연장 |
1900년 8월 5일 | 시베츠까지 연장 |
1903년 9월 3일 | 나요로까지 연장 |
1905년 4월 1일 | 일본 제국 철도청으로 이관 |
1911년 11월 3일 | 온네나이까지 연장 |
1912년 9월 21일 | 소야 선으로 개칭 |
1912년 11월 5일 | 오토이넷푸까지 연장 |
1919년 10월 20일 | 소야 본선으로 개칭 |
1921년 10월 5일 | 소야 선으로 개칭 |
1922년 11월 1일 | 훗날의 템포쿠 선을 경유하여 와카나이(현재 미나미와카나이)까지 전 구간 개통 |
1922년 11월 4일 | 소야 본선으로 재개칭 |
1922년 11월 8일 | 오토이넷푸와 폼피라(현재 데시오나카가와) 구간의 데시오 선 (II) 개통 |
1923년 5월 1일 | 치하쿠 연락선이 와카나이 - 오도마리 구간 운행 개시 |
1923년 11월 10일 | 토이캄벳츠까지 연장 |
1924년 6월 25일 | 데시오 북선이 와카나이 - 카부토누마 구간 개통. 데시오 선은 데시오 남선으로 개칭 |
1925년 7월 20일 | 데시오 남선이 호로노베까지 연장 |
1926년 9월 25일 | 데시오 남선과 북선이 연결되어 데시오 선 (II)으로 개칭, 오토이넷푸 - 와카나이 구간 |
1928년 12월 26일 | 와카나이코(현재 왓카나이)까지 연장 |
1930년 4월 1일 | 데시오 선 전 구간이 소야 본선의 일부가 됨. 오토이넷푸 - 하마톰베츠 - 와카나이 구간은 키타미 선, 이후 덴포쿠 선으로 분리됨 |
1935년 6월 30일 | 호로노베에서 데시오 선 (III), 훗날 羽幌線|はぼろせん|하보로 선일본어 개통 |
1945년 8월 25일 | 사할린이 소련에 편입되면서 치하쿠 연락선 운행 중단 |
2. 2. 일본국유철도 시대
1898년 (메이지 31년) 8월 12일 홋카이도 관설 철도에 의해 아사히카와역 - 나가야마역 구간이 개업하면서 소야 본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03년 (메이지 36년) 9월 3일에는 나요로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이후 관설 철도에 의해 건설이 계속되어, 1922년 (다이쇼 11년) 11월 1일에는 하마톤베쓰역을 경유하는 루트로 와카나이역(현재의 미나미와카나이역)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현재의 호로노베역을 경유하는 루트는 1922년(다이쇼 11년) 11월 8일부터 1926년 (다이쇼 15년) 9월 25일에 걸쳐 '''데시오 선'''(데시오센)으로 건설되었으며,[9] 1930년 (쇼와 5년) 4월 1일 소야 본선에 편입되었다. 이와 함께 하마톤베츠 경유 루트는 기타미 선(후의 텐포쿠 선)으로 분리되었다.
당시 호로노베 경유 루트는 데시오 강으로 인해 공사가 어려운 구간이 많았던 반면, 하마톤베츠 경유 루트는 넓은 평야 지대로 택지 조성에 유리하여 먼저 착공되었다.[10] 그러나 실제로는 호로노베 경유 지역에 많은 소작인과 이주민이 살고 있었던 반면, 하마톤베츠 경유 지역에는 이주민이 적고 대규모 목장만이 있었기 때문에 철도의 필요성은 호로노베 경유 루트에 더 컸다.[10]
그럼에도 불구하고 헌정회와 정우회 간의 정치적 갈등 속에서, 사사 토모후사, 아다치 겐조 등 헌정회 의원들이 하마톤베츠 경유 지역에 넓은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의 영향력으로 하마톤베츠 경유 루트가 먼저 건설되는 결과를 낳았다.[10] 이후 호로노베 경유 루트도 전 구간 개통되었다.
소야 본선은 원래 일본 본토와 당시 일본의 북쪽 국경인 가라후토 (사할린 섬 남부)를 연결하는 노선의 일부로 건설되었다. 왓카나이역에서 당시 오도마리(현재의 코르사코프)까지 페리가 운행되었으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지속되었다.
1945년 8월 25일 사할린이 소련에 편입되면서 왓카나이와 코르사코프를 잇는 치호 항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2. 3. 민영화 이후 (JR 홋카이도)
1987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 민영화로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가 전 노선을 제1종 철도사업으로, 일본화물철도가 아사히카와-나요로 구간을 제2종 철도사업으로 승계했다. 모든 임시역이 정규역으로 재분류되었다.[8]1995년에는 와카나이-코르사코프 간 페리가 50년 만에 재개되었지만, 철도와 직접 연결되지는 않았다.[8]
2000년 3월, 아사히카와-나요로 구간 선로가 고속 운행을 위해 개량되었고, 특급열차 ''슈퍼 소야'' 운행이 시작되었다.[8]
2010년대 후반부터 연선에서 불곰과 에조사슴의 출몰이 빈발했다. 선로 내에 침입한 야생 동물의 발견, 충돌로 인해 열차 지연 및 운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사슴과의 충돌 건수는 2018년부터 2023년까지 6년간 평균 464건(/년)에 달해, 단순 계산으로 하루 1건 이상 충돌이 발생하는 상황이다.[8]
3. 운행 형태
삿포로역 - 왓카나이역 구간에는 특급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매일 삿포로와 왓카나이 사이를 왕복하는 특급 열차 '''소야''' 1편과, 아사히카와역와 왓카나이 사이를 왕복하는 특급 열차 '''사로베쓰''' 2편이 운행된다.
각 역에 정차하는 보통 열차는 아사히카와와 나요로역 사이에서 약 1~2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며, 나요로와 왓카나이 사이에서는 약 3~4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쾌속 '''나요로''' 열차는 매일 나요로와 아사히카와 사이를 4회 왕복한다.[8]
2022년부터 매년 5월 - 6월에는 아사히카와역 - 왓카나이역 구간에서 임시 급행 열차 "하나타비 소야"가 운행되고 있다.[37]
3. 1. 광역 운송
삿포로역 - 왓카나이역 구간을 직통하는 특급 "소야"가 매일 1회 왕복 운행하며, 아사히카와역 - 왓카나이역 구간을 운행하는 특급 "사로베쓰"는 매일 2회 왕복 운행한다. "사로베쓰"는 삿포로 역 - 아사히카와 역 간 특급 "라일락"과 간접 환승으로 연결되는 시간표로 운행된다.[8]이 외에도, 세키호쿠 본선 계통의 열차로 특급 "오호츠크", "다이세쓰", 특별 쾌속 "기타미"를 운행하고 있다.
각 역에 정차하는 보통 열차는 아사히카와와 나요로 사이에서 약 1~2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며, 나요로와 왓카나이 사이에서는 약 3~4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4개의 쾌속 '''나요로''' 열차가 매일 나요로와 아사히카와 사이를 왕복한다.[8]
3. 2. 지역 운송
특급 열차를 보완하기 위해 주요 역에만 정차하는 쾌속 "나요로"가 아사히카와역 - 나요로역 구간에서 하루 4회 왕복 운행된다. 이 중 아침 상행 1편은 나요로역 이북 구간을 보통 열차로 오토이네푸역까지 직통 운행한다.보통 열차는 세키호쿠 본선 연결 열차를 제외하고, 아사히카와역 - 나요로역 구간에서 하루 8회 왕복(이 중 아침 하행 1편은 왓카나이역까지 직통), 아사히카와역 - 핏푸역 구간은 3회 왕복, 아사히카와역 - 나가야마역 구간은 2회 왕복[38] 운행한다. 기타나가야마역, 미즈호역은 일부 열차가 통과한다. 2021년 3월 13일 개정으로 아사히카와역 - 핏푸역 구간 열차 상하 각 1편이 감편되었다.
2021년 3월 시간표 개정 이후에는 주로 H100형이 사용되지만, 나요로역 이북 직통 열차 1왕복 및 쾌속 "나요로 4호"는 키하 54형 디젤 동차가 사용된다. 이 중 오토이네푸역까지 운행하는 열차는 키하 40형이 사용되기도 한다. 보통 1-2량 편성으로 운행되지만, 나요로역 발 아사히카와역 행 상행 첫차는 3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나요로역 - 왓카나이역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는 하루 하행 2편, 상행 3편이다.(그 중 아침 하행 1편은 아사히카와역부터 보통 열차로 직통) 나요로역 - 오토이네푸역 구간 열차는 2회 왕복 운행된다.(그 중 아침 상행 1편은 나요로역에서 쾌속 "나요로 2호"로 아사히카와역까지 직통) 오토이네푸역 - 왓카나이역 구간 열차는 이른 아침 하행 1편, 왓카나이역 - 호로노베역 구간 열차는 야간 상행 1편이 운행된다. 구간별로는 나요로역 - 오토이네푸역 구간이 하행 4편, 상행 5편, 오토이네푸역 - 호로노베역 구간이 상하 각 3편, 호로노베역 - 왓카나이역 구간이 하행 3편, 상행 4편이다.
야간 상행 오토이네푸 출발 나요로행 1편은 데시오가와온센역, 지호쿠역을 통과한다.
차량은 원칙적으로 모두 키하 54형이며, 종일 1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단, 오토이네푸역까지의 열차에는 키하 40형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3. 3. 화물 운송
아사히카와역 - 기타아사히카와역 간에는 하코다테 본선 및 무로란 본선으로 직통하는 고속 화물 열차 및 전용 화물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이들 모두 DF200형 디젤 기관차가 견인한다. 고속 화물 열차 중 상행 2개는 삿포로 화물 터미널역을 경유하지 않고 이와미자와역 - 도마코마이역 간을 무로란 본선 경유로 운행하는 혼슈행 직행편이며, 나머지는 하코다테 본선 삿포로 화물 터미널역행이다. 또한 매년 가을부터 다음 해 봄까지는 세키호쿠 본선의 임시 화물 열차(통칭 "양파 열차")가 기타아사히카와역(화물역) - 기타미역 간에 3왕복 운행되고 있다. 이 열차는 운행 경로상, 신아사히카와역과 엔가루역에서 방향 전환을 하기 때문에 선두와 꼬리에 기관차가 연결되는 푸시풀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다.3. 4. 제설
2017년을 기준으로, 일본에서 유일하게 정기 제설 열차가 아사히카와 운전소의 DE15형을 사용하여 12월 하순부터 이듬해 3월 중순까지 하루 1회 왕복 운행되고 있다. 이 제설 열차는 사쿠역이나 밧카이역 등 정기 열차가 열차 교환을 하지 않는 역에서도 열차 교환을 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 JR 홋카이도 등은 러셀차의 운행 시간표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제설 작업에는 기본적으로 단선형 러셀 헤드가 사용되지만, 아주 드물게 복선형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4. 차량
과거에는 증기 기관차나 객차도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기동차로 운행되고 있다. 아사히카와 운전소 관련 회송 열차는 아사히카와역 - 기타아사히카와역 구간을 운행한다.
4. 1. 현재 사용 차량
여객 열차는 모두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로 운행되고 있다. 이 외에도, 아사히카와 운전소 관련 회송 열차가 아사히카와 - 기타아사히카와 사이를 주행한다.- 특급 열차
- * 키하261계(기본 번대):특급 「소야」, 「사로베쓰」
- 보통 열차 (쾌속 「나요로」 포함)
- * 키하40계:아사히카와 - 오토이넷푸 구간[40]
- * 키하54형:아사히카와역 - 왓카나이역 구간
- * H100형:아사히카와역 - 나요로역 구간 (쾌속 「나요로」 포함)
- 화물 열차
- * DF200형:아사히카와역 - 기타아사히카와역 구간
4. 2. 과거 사용 차량
- 객차
- * 14계: 특급 리시리, 급행 소야, 텐포쿠
- * 스하43계: 급행 리시리
- * 50계 51형: 보통 열차
- 기동차
- * 키하183계: 특급 사로베츠, 리시리
- * 키하22형: 준급·보통 열차
- * 키하27형·키하56형: 준급·급행 열차
- * 키하400형·키하480형: 급행 열차
5. 역 목록
역 번호 | 역명 | 역간(km) | 누계(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A28 | 아사히카와역 | - | 0.0 |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 후라노선 | 아사히카와시 | ||||
A29 | 아사히카와시조역 | 1.8 | 1.8 | ||||||
A30 | 신아사히카와역 | 1.9 | 3.7 |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48] | |||||
(화)기타아사히카와역 | 2.9 | 6.6 | ∨ | ||||||
W31 | 나가야마역 | 2.7 | 9.3 | ◇ | |||||
W32 | 기타나가야마역 | 2.1 | 11.4 | | | |||||
W34 | 비후역 | 5.7 | 17.1 | ◇ | 가미카와군[49] 비후정 | ||||
W36 | 란루역 | 5.7 | 22.8 | ◇ | |||||
W37 | 시오카리역 | 5.6 | 28.4 | ◇ | rowspan="3" | 와사무정 | |||
W38 | 와사무역 | 7.9 | 36.3 | ◇ | |||||
W40 | 겐부치역 | 8.9 | 45.2 | ◇ | 겐부치정 | ||||
W42 | 시베쓰역 | 8.7 | 53.9 | ◇ | 시베쓰시 | ||||
W44 | 타요역 | 7.8 | 61.7 | | | |||||
W45 | 미즈호역 | 2.8 | 64.5 | | | |||||
W46 | 후렌역 | 3.6 | 68.1 | ◇ | 나요로시 | ||||
W47 | 나요로 고등학교역 | 6.0 | 74.1 | | | |||||
W48 | 나요로역 | 2.1 | 76.2 | ◇ | |||||
W49 | 닛신역 | 4.0 | 80.2 | | | |||||
W51 | 지에분역 | 11.0 | 91.2 | | | |||||
W52 | 지호쿠역 | 2.1 | 93.3 | | | |||||
W54 | 미후카역 | 5.0 | 98.3 | ◇ | rowspan="8" | 미후카정 | |||
(W58) | 토요키요 신호장 | - | 117.9 | ◇ | |||||
W59 | 테시오가와온천역 | 23.2 | 121.5 | | | 오토이놋푸촌 | ||||
W60 | 사쿠라이역 | 3.2 | 124.7 | | | |||||
W61 | 오토이놋푸역 | 4.6 | 129.3 | ◇ | |||||
W62 | 오사시마역 | 6.3 | 135.6 | | | |||||
W63 | 사쿠역 | 18.0 | 153.6 | | | 나카가와정 | ||||
W64 | 테시오나카가와역 | 8.3 | 161.9 | ◇ | |||||
W66 | 토칸베쓰역 | 13.9 | 175.8 | | | rowspan="12" | rowspan="8" | 호로노베정 | ||
W67 | 누카난역 | 2.2 | 178.0 | | | |||||
W68 | 오시나이역 | 5.7 | 183.7 | ◇ | |||||
W70 | 미나미호로노베역 | 7.9 | 191.6 | | | |||||
W72 | 호로노베역 | 7.8 | 199.4 | ◇ | |||||
W73 | 시모누마역 | 7.8 | 207.2 | | | |||||
W74 | 토요토미역 | 8.7 | 215.9 | ◇ | 토요토미정 | ||||
W76 | 가부토누마역 | 15.0 | 230.9 | ◇ | |||||
W77 | 유치역 | 5.8 | 236.7 | | | 왓카나이시 | ||||
W78 | 밧카이역 | 8.3 | 245.0 | | | |||||
W79 | 미나미왓카나이역 | 11.7 | 256.7 | ◇ | |||||
W80 | 왓카나이역 | 2.7 | 259.4 | | |
6. 존폐 논의
소야 본선은 일본 최북단을 지나는 철도 노선으로, 과거 가라후토 (사할린)와의 연결 통로이자 목재, 광물, 수산물 등을 수송하는 중요한 화물 노선이었다. 그러나 소련의 남사할린 점령으로 가라후토 연락이라는 역할이 사라지고, 1995년까지 텐포쿠선, 신메이선 등 연결 지선들이 모두 폐선되면서 존폐 논의에 직면했다.[8]
2000년 아사히카와역-나요로역 구간 고속화 개량 공사가 완료되어 특급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지만, 여전히 노선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010년대 후반부터는 불곰과 에조사슴 등 야생동물 출몰이 잦아져 열차 운행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8] 특히 사슴과의 충돌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6년간 연평균 464건으로, 하루에 1건 이상 발생하는 심각한 수준이다.
6. 1. 아사히카와 - 나요로 구간
아사히카와역 - 나요로역 구간에는 특급 열차를 보완하기 위해 주요 역에만 정차하는 쾌속 "나요로"가 하루 4회 왕복 운행된다. 이 중 아침 상행 1편은 나요로역 이후 구간을 보통 열차로 오토이네푸역까지 직통 운행한다.[38]보통 열차는 세키호쿠 본선 연결 열차를 제외하고, 아사히카와역 - 나요로역 구간을 하루 8회 왕복(이 중 아침 하행 1편은 와카나이역으로 직통), 아사히카와역 - 피푸역 구간 3회 왕복, 아사히카와역 - 나가야마역 구간 2회 왕복 운행한다.[38] 키타나가야마역, 미즈호역은 일부 열차가 통과한다. 2021년 3월 13일 개정으로 아사히카와역 - 피푸역 구간 열차 상하 각 1편이 감편되었다.
2021년 3월 시간표 개정 이후에는 주로 H100형이 사용되지만, 나요로역 이북과의 직통 열차 1왕복 및 쾌속 "나요로 4호"의 총 1.5왕복은 키하 54형 디젤 동차가 사용된다. 이 중 오토이네푸역까지 운행하는 열차는 키하 40형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통상 1-2량 편성으로 운전되지만, 나요로역 발 아사히카와역 행 상행 첫차는 3량 편성으로 운전된다.
6. 2. 나요로 - 왓카나이 구간
이 구간의 보통 열차는 2016년 3월 26일 시간표 개정으로 감편되어 현재의 편수가 되었다. 오토이넷푸역, 호로노베역에서 정차 중에 열차 번호가 바뀌는 열차가 존재하지만, 여기에서는 1편의 열차로 다룬다.
운전 편수는 다음과 같다.
- 나요로역 - 왓카나이역 간: 하루 하행 2편, 상행 3편 (하행 1편은 아사히카와역부터 보통 열차로 직통)
- 나요로역 - 오토이넷푸역 간: 2회 왕복 (하행 1편을 제외하고 아사히카와역부터 쾌속, 보통 열차로 직통)
- 오토이넷푸역 - 왓카나이역 간: 하행 1편
- 왓카나이역 - 호로노베역 간: 상행 1편
구간별 운행 편수는 다음과 같다.
이 중, 아침 상행 1편은 미나미비후카역을, 야간 상행 1편은 데시오가와온센역, 몬포나이역, 하쓰노역, 미나미비후카역, 지호쿠역, 호쿠세이역을 통과한다.
차량은 (旭川駅|아사히카와 역일본어) - 나요로역 - 오토이넷푸역 간 2회 왕복은 기하 40계이며, 나머지는 모두 기하 54계로, 모두 1량 편성으로 운전한다.
7. 소야 터널 계획
왓카나이시에서 더 나아가 소야 해협에 해저 터널을 뚫어 사할린 철도와 연결하려는 구상이 있지만, 이를 추진하는 것은 거의 러시아 측뿐이며, 일본 정부나 JR 홋카이도가 이 계획을 제대로 검토한 적은 없다. 또한, 해당 노선은 "자사 단독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노선"으로 지정되어 있어, 실현될 전망은 전혀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JR Hokkaido says it can't maintain half of its railways
http://www.japantime[...]
2013-05-10
[2]
문서
Staffed station
[3]
문서
Station with passing loop
[4]
웹사이트
来春のダイヤ見直し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2020-12-09
[5]
웹사이트
Notice on train timetable changes in March 2024
https://www.jrhokkai[...]
2023-12-15
[6]
웹사이트
旧深名線 第三雨竜川橋梁
https://www.google.c[...]
Google
2021-12-31
[7]
서적
鉄道電報略号
null
1959-09-17
[8]
웹사이트
鹿・熊による列車運行への影響件数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JR北海道
2024-07-19
[9]
문서
なお、天塩線の名称は数度にわたり用いられている。詳細は年表および[[天塩線]]を参照。
[10]
서적
中川町史
中川町
1975-04
[11]
문서
大久保邦彦・三宅俊彦編『鉄道運輸年表』(『時刻表復刻版<戦後編>』付録)[[日本交通公社]]、1977年。
[12]
뉴스
一日から開所 北星臨時停車所近く完成
1956-06-29
[13]
문서
なお、福山(1961)では応急復旧を[[2月23日]]16時30分としている。
[14]
문서
現存する日本の鉄道トンネルとしては最北に位置する。トンネルの延長は出典により若干の違いがあるが、太田(2011)記載のものとした。
[15]
서적
稚内市史第2巻
稚内市
[16]
뉴스
来月からの国鉄貨物廃止 9線区を認定 本道11線区に
1984-01-20
[17]
뉴스
宗谷線、20駅無人化へ 特殊自動閉そく装置導入工事進む
交通協力会
1986-09-17
[18]
서적
時刻表完全復刻版 1988年3月号
JTBパブリッシング
[19]
웹사이트
こだま 【写真説明】13日のダイヤ改正から駅の読み方が「あさひがわ」から「あさひかわ」に変わるJR旭川駅で11日、ホーム8カ所の駅名標が掛け替えられた
http://photodb.hokka[...]
北海道新聞社
1988-03-12
[20]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2-07-01
[21]
뉴스
富良野線などワンマン化 JR北海道、10月1日から
交通新聞社
1992-09-16
[22]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8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8-07-01
[23]
간행물
「小樽」と「永山」駅間でPRCの運用を開始 JR北海道
https://doi.org/10.1[...]
総合交通社
1998-04
[24]
웹사이트
命令項目 3. さらなる安全確保へ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17-10-17
[25]
웹사이트
“風っこそうや”の運転開始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9-07-30
[26]
웹사이트
地域交通を持続的に維持するために|企業・採用|JR北海道- Hokkaido Railway Company
https://www.jrhokkai[...]
[27]
웹사이트
宗谷本線の無人駅、廃止が加速…幌延町が2駅廃止を容認 2021年3月のダイヤ改正で
https://response.jp/[...]
[28]
문서
各修繕工事実施期間において、日中時間帯の普通列車上下各1本および特急列車上下各1本がそれぞれ部分運休した。
[29]
문서
各修繕工事実施期間において、日中時間帯の普通列車上下各1本および特急列車上下各1本がそれぞれ運休または部分運休した。
[30]
간행물
202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3-12-15
[31]
뉴스
JR北海道 初野駅、恩根内駅が廃止 来年3月16日ダイヤ改正で(名寄新聞、2023年12月17日)
[32]
뉴스
「[https://www.hokkaido-np.co.jp/article/184967 宗谷線の無人29駅、管理見直し協議へ 沿線自治体とJR]」『北海道新聞』2018年4月28日
[33]
뉴스
「[https://www.asahi.com/articles/ASNCB3WMKNC4IIPE005.html 挑め260キロ JR宗谷線カード全制覇への道]」[[朝日新聞デジタル]](2020年11月13日)2020年11月15日閲覧
[34]
뉴스
【岐路の鉄路】恩根内駅 廃止一転、存続へ/宗谷線 廃駅方針の12駅で初/美深町民、維持管理に協力約束『[[朝日新聞]]』朝刊2020年7月31日(北海道面)
[35]
뉴스
恩根内駅、地域住民の要望で一転存続へ JR宗谷線
https://www.hokkaido[...]
2020-07-22
[36]
문서
2017年(平成29年)3月4日より、旭川駅で改札口を出ずに特急列車同士を乗り継ぐ場合に限り、札幌 - 旭川 - 稚内間各停車駅相互間の各種料金を通しで計算する特例が設けられている。
[37]
웹사이트
観光列車「花たび そうや」出発 旭川―稚内間、今季の運行開始 停車時間を延長
https://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24-05-11
[38]
문서
うち下り1本は休日運休。
[39]
URL
https://web.archive.[...]
[40]
문서
当線の音威子府駅は、キハ40系気動車系列の国鉄キハ40系気動車 (2代)#JR北海道|キハ400・480形気動車で運転されていた急行列車|急行宗谷 (列車)|「宗谷」「サロベツ」利尻 (列車)|利尻の特急格上げによる使用車両変更に伴い、現在定期列車でキハ40系気動車が運転される北限の駅となっている。
[41]
문서
貨物列車の運行は旭川駅 - 北旭川駅間のみで、北旭川駅 - 名寄駅間は全てトラックによる代行輸送となっている。
[42]
문서
本線上での電化架線・複線区間は北旭川駅・旭川運転所の分岐点までだが、実際には旭川運転所構内まで架線が続いている(向かい側の北旭川駅構内は非電化)。この区間はJR最北端かつ最東端の電化区間である。2003年(平成15年)9月1日、旭川駅周辺の高架化事業により、旭川運転所が北旭川駅隣接地に移転したのに伴う出入庫列車の運転のためのもので、通常、営業運転には使用されない。ただし、2009年(平成21年)10月3日には、711系電車を使用した団体臨時列車が旭川駅 - 北旭川駅間に乗り入れており、電車としては初めて旭川四条駅に停車した。
同様に入出庫用に電化された路線や区間はほかに西日本旅客鉄道|JR西日本の境線米子駅 - 後藤駅間と九州旅客鉄道|JR九州の豊肥本線大分駅 - 下郡信号場間がある。
[43]
간행물
稚内駅(厳選!◎ターミナル駅)
朝日新聞出版
2013-10-03
[44]
문서
宗谷本線全体でも、特定地方交通線#第3次廃止対象路線|第3次廃止対象路線に当たる輸送密度ではあったが、ピーク時の乗客が一方向1時間あたり1,000人を超すことから除外された経緯がある。
[45]
문서
ジャパンレールパス#Hokkaido Rail Pass|北海道レールパス、大人の休日倶楽部|大人の休日俱楽部パス(東日本・北海道)の利用について、計上方法見直し。
[46]
문서
ジャパンレールパス#Hokkaido Rail Pass|北海道レールパス、大人の休日倶楽部|大人の休日俱楽部パス(東日本・北海道)の利用について、収入・計上方法見直し。車両の減価償却費について、特急型気動車、一般型気動車、のような大まかな区分から、系列ごとの区分に変更して反映。
[47]
문서
ジャパンレールパス#Hokkaido Rail Pass|北海道レールパス、大人の休日倶楽部|大人の休日俱楽部パス(東日本・北海道)の利用について、収入・計上方法見直し。車両の減価償却費について、特急型気動車、一般型気動車、のような大まかな区分から、系列ごとの区分に変更して反映。
[48]
문서
石北本線の旅客列車は全て旭川駅へ乗り入れる。
[49]
문서
比布町の属する上川郡と和寒町・剣淵町が属する上川郡、十勝地方の上川郡 (十勝国)|上川郡は境界を接しているが由来が異なり、全く同名の別の郡である。
[50]
뉴스
JR恩根内駅、初野駅 地域に根差した駅、別れ惜しむ 住民たちが列車見送る 自治会で「さよならイベント」
名寄新聞
2024-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