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은사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사 운동은 '카리스마'에서 유래된 기독교 운동으로, 성령의 은사를 강조하며 다양한 교파에 영향을 미쳤다. 1900년대 초 찰스 F. 파함과 윌리엄 J. 시모어의 아주사 스트리트 부흥 운동을 거치며 시작되었으며, 오순절 운동과 유사하나 기존 교회의 쇄신을 목표로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1960년대 데니스 베넷의 성령 체험 공개 이후 주류 교회로 확산되었으며, 가톨릭교회, 루터교, 감리교 등 다양한 교파 내에서 성령 세례, 영적 은사, 지속주의를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한국에서는 1960년대 이후 에큐메니컬 진영과 복음주의 진영 간 논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잭 디어, 웨인 그루뎀 등의 신학자들이 이 운동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교파주의 - 서방 기독교
    서방 기독교는 로마 교회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교회의 대분열, 서방교회 대분열, 종교 개혁을 거치며 천주교와 개신교로 나뉘어 전 세계로 확산된 기독교 전통으로, 동방 기독교와 교리, 예식, 조직 구조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 기독교의 교파주의 - 아리우스주의
    아리우스주의는 4세기 초 아리우스가 예수 그리스도가 성부에 의해 창조된 피조물이라고 주장한 기독교 교리로, 삼위일체 교리와 충돌하여 이단으로 정죄되었으나 다양한 형태로 존속하며 게르만족에게 전파되었고 현대 일부 종교 단체에서도 유사한 교리가 나타난다.
  • 개신교 관련 논란 - 근본주의자-현대주의자 논쟁
    20세기 초 미국 장로교회 내에서 성경 해석과 교리 차이로 벌어진 근본주의자-현대주의 논쟁은 5대 근본 교리를 중심으로 대립하며 미국 개신교의 신학적 지형을 변화시킨 격렬한 신학적 논쟁이다.
  • 개신교 관련 논란 - 오직 믿음
    오직 믿음은 마르틴 루터가 주창한 종교 개혁의 핵심 교리 중 하나로, 인간의 구원은 율법의 행위나 선행이 아닌 오직 믿음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기독교 신학적 개념이다.
  • 오순절교회 - 여의도순복음교회
    여의도순복음교회는 조용기 목사와 최자실 목사에 의해 1958년 시작되어 교세 확장을 거쳐 대한민국 기독교를 대표하는 교회로 성장했으며, 세계 최대 교회로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 오순절교회 -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는 한국의 주요 오순절 교단 중 하나로, 1991년 통합 교단인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통합)과 여의도순복음교회, 그리고 서대문총회 통합 교단이 있으며, 조용기 목사 이단 논쟁 이후 독립한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순복음)과 세계하나님의성회 소속의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광화문) 등이 있다.
은사 운동
개요
성령의 상징인 비둘기
성령의 상징인 비둘기
유형기독교 운동
기원20세기 초
창시자다양한 지도자
영향오순절교회, 신오순절교회, 기독교 우파
특징
핵심 신념성령의 은사 강조, 방언, 예언, 신유, 기적
예배 스타일열정적인 찬양, 기도, 간증
성경 해석문자적 해석과 개인적 경험 중시
사회적 영향복음주의 확산, 사회 참여, 정치적 활동
역사
초기20세기 초, 오순절교회에서 시작
확산1960년대 이후, 주류 교단으로 확산
현재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
논쟁
비판광신주의, 사이비 종교 논란, 세속주의 비판
옹호성령 체험의 중요성 강조, 영적 갱신 운동
관련 용어
관련 용어성령 세례, 은사, 오순절주의, 신사도 운동
주요 인물
주요 인물케네스 해긴
베니 힌
조엘 오스틴
릭 워렌
빌 하이벨스
주요 교단
주요 교단하나님의 성회
순복음교회
오순절 성결교회
관련 단체
관련 단체국제 오순절 협의회
세계 복음주의 연맹
기타
참고 문헌다양한 서적 및 논문 존재
외부 링크한국오순절신학회

2. 카리스마의 유래

"카리스마"(χαρισμα|카리스마el)는 그리스어 "카리스"(χαρισ|카리스el)에서 유래되었다. "카리스"는 (신의) 은총을 의미하며, 이는 (영적인) 은사를 뜻한다.

3. 오순절 운동과의 차이점

오순절 운동은 활동 결과로 생긴 신도를 보호하고 선교 활동을 이어가기 위해 교회교단을 새로 만들었다. 반면, 은사 운동은 성령 체험을 한 교직자와 신자들이 원래 속해 있던 교회에 그대로 머물면서, 각 교회의 교리를 따르며 기존 교회를 새롭게 바꾸려는 운동이다.[57] 오순절 운동과 달리, 은사 운동은 세계적으로 성공회, 루터교, 침례교, 메노나이트교, 개혁교회 등 복음주의와 비복음주의의 경계를 넘어 가톨릭까지 확산되었다. 일본에서도 복음주의 계열의 여러 교회, 독립 교회, 일본 기독교단 같은 전통적인 교파뿐 아니라 로마 가톨릭에도 영향을 미쳤다.

하나님의 성회, 오순절 성결교회, 하나님의 교회 등을 탄생시킨 기존의 오순절 운동과 구별하기 위해, 은사 운동을 "근대 오순절 운동", "은사적 쇄신", "신 오순절 운동"(네오 오순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오순절 운동이 "성령의 첫 번째 물결"로 불리는 것에 비해, 은사 운동은 "성령의 두 번째 물결"이라고도 불린다. 더 나아가 1980년대에는 복음주의 진영에서 성령의 세 번째 물결이라고 불리는 성령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최근 은사 운동은 오순절 운동의 특징 중 하나인 '성령 세례'와 함께 나타나는 방언을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여기지 않는 사람들도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오순절 운동과는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또한, 오순절파가 은사 운동과 거리를 두게 된 이유 중 하나로 음주와 흡연에 대한 태도 차이가 꼽힌다. 거룩함을 강조하는 오순절파는 동성애, 간음, 절도, 거짓말과 더불어 음주와 흡연도 비난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에큐메니컬 성향의 교파에서 은사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은 음주나 흡연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부감이 적었다.[57][58]

4. 은사 운동의 역사

오순절주의 운동의 영향 아래, 1960년대부터 성령 세례와 방언 등 영적 은사를 강조하는 흐름이 기존 개신교 주류 교단 내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는 이전 오순절주의자들이 기존 교파에서 분리되었던 것과는 다른 양상으로, 자신의 교파에 머물면서 활동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은사 운동의 본격적인 시작은 1960년 미국 성공회의 데니스 J. 베넷 사제가 자신의 오순절 체험을 공개한 사건[4][5]을 계기로 여겨진다. 이후 은사 운동은 다른 주류 교단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1962년에는 루터교와 장로교에 영향을 미쳤고,[6] 1967년에는 듀케인 대학교를 중심으로 가톨릭 카리스마 쇄신이 시작되었으며,[7] 감리교는 1970년대에 이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8]

은사 운동은 영의 검이나 말씀의 공동체와 같은 초교파적 공동체의 설립으로 이어지기도 했는데, 이는 다양한 교파의 신자들이 함께 신앙생활을 한다는 점에서 에큐메니즘 운동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다.[9][10][11]

한편, 복음주의 교회에는 비교적 늦게 영향을 미쳐, C. 피터 와그너는 1985년경 복음주의 내에서의 은사 운동 확산을 성령의 제3의 물결이라고 명명했다. 이 제3의 물결은 기존 교단 중심의 은사 운동과는 구별되는 신 카리스마 운동으로 이어졌으며, 빈야드 운동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13]

4. 1. 초기 역사

전형적인 오순절주의 운동은 일반적으로 20세기 초 찰스 F. 파함과 그 후 윌리엄 J. 시모어가 이끈 아주사 스트리트 부흥을 그 기원으로 본다.[1] 이 운동은 성령 세례와 같은 하느님과의 극적인 만남을 강조했으며, 일부는 방언이 이러한 경험의 증거라고 믿었다.[2]

1955년 이전까지 주류 교단들은 오순절 교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만약 교회 신자나 성직자가 이러한 견해를 공개적으로 표현하면, 기존 교파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1960년대에 이르러 오순절주의의 특징적인 가르침들이 주류 개신교 교파 내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도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

은사 운동은 이전과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오순절 영성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 원래 속해 있던 교파에 머물기로 선택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에는 1946년부터 1958년까지 일어난 치유 부흥 운동이 영향을 미쳤다. 윌리엄 브래넘, 오럴 로버츠, A. A. 앨런과 같은 부흥사들이 성령의 은사를 강조하는 대규모 초교파 모임을 열면서, 오순절 신앙과 실천에 대한 인식이 넓어지고 수용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었다.[3]

미국 성공회고교회파는 새로운 운동의 영향을 받은 최초의 전통적인 교회 조직 중 하나였다. 은사 운동의 공식적인 시작은 일반적으로 1960년 4월 3일 일요일로 여겨진다. 이날 캘리포니아주 밴 누이스에 위치한 성 마가 성공회 교회의 교구 사제 데니스 J. 베넷이 자신의 오순절 경험, 즉 방언을 동반한 성령 세례 체험을 교인들에게 공개적으로 이야기했다.[59] 그는 이후 부활절(4월 17일)을 포함한 두 번의 주일 예배에서도 이 경험을 나누었고, 그 과정에서 많은 교인들이 비슷한 성령 체험을 공유했다. 하지만 이 일로 인해 베넷은 결국 사임해야 했다.[4][5] 당시 자유주의 신학 입장이었던 베넷은 성령 세례를 받은 후 성경을 읽고 기도하는 신앙인으로 변화했다고 전해진다.[59]

2,600명 규모의 큰 교회 사제였던 베넷이 성령 카리스마 체험으로 인해 사임하게 된 이 사건은 타임뉴스위크 같은 주요 언론 매체에 보도되면서 큰 파장을 일으켰고, 새롭게 부상하던 은사 운동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59] 베넷은 이후 워싱턴주 시애틀의 쇠퇴한 교회로 옮겨갔으나, 이 교회는 빠르게 성장하여 성 루카 성공회 (St. Luke's Episcopal Church)가 되었고, 은사 운동의 중요한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59]

이 사건 이후, 다른 주류 교파들에서도 성직자들이 자신의 오순절 경험을 받아들이고 공개적으로 발표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신앙적 체험을 추구하는 이들을 위한 모임과 치유 예배를 열었으며, 여기에는 환자를 위한 기도와 병자성사 등이 포함되었다. 은사 운동은 점차 확산되어 1962년에는 루터교와 장로교에까지 영향을 미쳤다.[6]

4. 2. 카리스마 운동의 확산

1960년 4월 3일, 미국 성공회사제 데니스 베넷은 주일 예배 설교에서 방언을 동반한 성령 세례를 받았다고 말해 사임하게 되었다. 자유주의 신학 입장이었던 베넷은 성령 세례를 받은 후 성경을 읽고 기도하는 사람으로 변했다고 한다. 2,600명이나 되는 회원을 가진 성공회 사제가 성령 카리스마 체험으로 쫓겨난 사건은 일반 잡지 타임뉴스위크에서도 보도되었다. 베넷은 캘리포니아주의 대교회에서 시애틀의 쇠퇴한 교회의 사제로 부임했으며, 그 교회는 급성장하여 성 루카 성공회(St. Luke's Episcopal Church)가 되었고, 카리스마파의 거점이 되었다.[59]

이 운동의 추진력이 된 조직 중 하나는 1953년 미국에서 데모스 샤카리안을 회장으로 창설된 국제 전복음 실업가 친교회(Full Gospel Business Men's Fellowship International, 약칭 FGBMFI)이다. 이 회는 초교파 조찬 기도회, 만찬 기도회를 세계 각지에서 개최하며 착실하게 성장해 왔다. 그 회에서는 "전복음(Full Gospel)"을 제창한다.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 성령의 세례 수여자, 치유자, 오실 왕(재림)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 회는 결성 이후, 기관지 「보이스(Voice)」를 발행하고 있다.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스위스, 홍콩, 남아프리카 등에 회원을 넓혀, 일반 신도에 의한 선교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1960년대부터 텔레비전 등의 미디어를 통해 일반에 소개되고 있다.

1961년에는, 진 스토 부인에 의한 기관지 「트리니티」가 발행되어 카리스마 운동을 소개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기관지 「로고스 저널」이 격월로 발행되고 있다. FGBMFI는, 로마 가톨릭의 교수와 대학생을 지도하여, 가톨릭 카리스마 쇄신으로 이끌었다.

현재 로마 가톨릭은 로마 교황 요한 23세의 기도를 인용하여 "새로운 성령 강림으로, 지금 주님의 기적을 새롭게 하소서"라고 기도한다. 교황 바오로 6세의 "교회는 영원히 지속되는 오순절을 필요로 한다"라는 말도 인용된다. 가톨릭에서는 카리스마 운동을 "가톨릭 카리스마 쇄신(가톨릭 카리스마 갱신)"이라고 부른다. 가톨릭 카리스마 쇄신은 1967년 펜실베이니아주 듀케인 대학교에서 시작되었다. 가톨릭 카리스마 쇄신은 프로테스탄트의 오순절파와 카리스마 운동의 영향을 받았지만, 교리적으로는 프로테스탄트의 카리스마 운동 개념과는 다르다. 카리스마 운동처럼 "성령 세례"를 새로운 체험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성사(사크라멘트)를 통해 받은 세례의 "실제화"이며, 은총의 "확인"이라고 한다.

4. 3. 카리스마 운동의 신학적 특징

은사주의 기독교인들은 성령 세례의 경험을 믿으며, 신약 성경에 묘사된 성령의 영적 은사(그리스어 χαρίσματα|카리스마타grc, χάρις|카리스grc, '은혜')가 현대 기독교인들에게 성령의 충만함 또는 세례를 통해, 또는 안수와 함께 또는 없이, 제공된다고 믿는다.[14]

은사 운동은 성령 세례가 "자신의 삶에서 성령의 새로운 부어주심을 갈망하며 순종하는 마음으로 기도하는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행위"라고 주장한다.[14][15] 또한, "성령 세례는 우리 안에 이미 존재하는 성령을 해방시키며, 성례전적 세례를 통해 받은 은혜를 되살린다."[15] 성령 세례는 "봉사, 선교, 제자 훈련 및 삶을 위해 개인을 준비시키고 영감을 준다."[14][16] 브렌튼 코르데이로 목사는 성령 세례를 받은 사람들은 "그 경험을 통해 삶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실재와 임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었고, 하나님의 말씀, 성례전에 대한 새로운 갈망을 갖게 되었으며, 거룩함을 향한 새로운 열망으로 가득 찼다고 증언한다."[15]

성경은 영적 은사를 많이 열거하지만, 고린도전서 12장 8절부터 10절에 언급된 아홉 가지 은사는 초자연적인 성격을 띠고 은사 운동의 핵심이자 특징으로 여겨진다. 이 아홉 가지 은사는 다음과 같다:

  • 지혜의 말씀
  • 지식의 말씀
  • 믿음
  • 치유의 은사
  • 능력 행함
  • 예언
  • 영 분별
  • 방언
  • 방언 통역


오순절주의자와 은사주의자는 이러한 믿음을 공유하지만 차이점도 있다. 많은 은사주의자는 문화적, 신학적 이유로 오순절주의에서 의도적으로 거리를 두었다. 신학적 이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많은 오순절주의자가 방언을 하는 것이 항상 성령 세례를 받는 최초의 육체적 징표라고 주장하는 경향이다. 특정 가르침은 교단에 따라 다르지만, 은사주의자는 일반적으로 성령이 이미 중생 때부터 그 사람 안에 존재한다고 믿으며, 성령과의 후속 만남을 "충만함"과 같은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16] 오순절주의자와 달리, 은사주의자는 다양한 초자연적 경험(예: 예언, 기적, 치유 또는 "의식 상태의 변화")을 성령 세례를 받았거나 성령으로 충만해졌다는 증거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17]

오순절주의자는 또한 스타일을 기준으로 은사 운동과 구별된다.[18] 또한, 오순절주의자는 전통적으로 전도선교에 높은 가치를 두었다. 반면에 은사주의자는 자신의 운동을 자신의 교회 전통 내에서의 활성화 및 갱신의 동력으로 보려는 경향이 있었다.

중단주의자는 이러한 징조와 계시적 은사가 신약 성경에 특정한 목적으로 나타났으며, 그 목적이 달성되면 이러한 징조는 철회되어 더 이상 효력을 발휘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19] 중단주의자는 이러한 은사에 대한 보고가 교부 시대 이후 급격히 감소했다는 점을 들어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20] 비중단주의자는 하나님이 징조, 기사, 기적을 행하신다는 간증이 특히 교회의 처음 3세기 동안에 발견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21] 성례적 은사주의자는 또한 초기 교회에서 은사적 은사의 분배 수단이 정경 사도들의 안수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세례 성례전에 연결된 기도의 수용성과 결부되었다는 점을 지적한다.[22] 은사 운동은 이러한 은사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믿음에 기반한다.

"카리스마"(χάρισμα|카리스마grc)는 그리스어 "카리스"(χάρις|카리스grc - (신의) 은총 → (영적인) 은사)에서 유래되었다. 오순절 운동은 그 활동의 결과로 생겨난 신도를 보호하고 선교 사역을 지속하기 위해 "교회·교단"을 결성한 반면, 은사 운동은 성령 체험을 한 교직자와 신자들이 각자의 교회에 머물면서 각 교회의 교리를 믿고 참여하여 조직화된 기존 교회의 쇄신을 목표로 하는 운동이다. 오순절 운동과 달리, 세계적으로 성공회, 루터교, 침례교, 메노나이트교, 개혁교회 등 복음주의·비복음주의의 틀을 넘어 가톨릭까지 확산된 운동이다.

하나님의 성회, 오순절 성결교회, 하나님의 교회 등을 낳은 기존의 오순절 운동과 구별하여, "근대 오순절 운동"이나 "은사적 쇄신" 또는 "신 오순절 운동"(네오 오순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오순절 운동의 "성령의 첫 번째 물결"에 대해 "성령의 두 번째 물결"이라고도 한다. 나아가 1980년대에는 복음주의에서 성령의 세 번째 물결이라고 불리는 성령 운동이 일어났다.

또한 최근, 은사 운동은 '''오순절 운동의 특성인 "성령 세례"에 수반되는 방언'''을 필수 요소로 하지 않는 사람들도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 의미에서도, 오순절 운동과는 떨어진 운동이 되었다.

또한, 오순절파가 은사 운동으로부터 거리를 둔 이유 중 하나는 음주 흡연에 대한 태도가 있다고 한다. 거룩함(홀리니스)을 강조하는 오순절파는 동성애, 간음, 절도, 거짓말과 함께 음주, 흡연도 비난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에큐메니컬파에서 은사 운동에 참여한 교파의 사람들은 음주 흡연에 저항이 없었다[57][58].

5. 은사 운동의 신앙

은사주의 기독교인들은 성령 세례의 경험을 믿으며, 신약 성경에 묘사된 성령의 영적 은사(그리스어 χαρίσματα|카리스마타grc, χάρις|카리스grc, '은혜')가 현대 기독교인들에게 성령의 충만함 또는 세례를 통해, 또는 안수와 함께 또는 없이 주어진다고 믿는다.[14]

은사 운동은 성령 세례가 "자신의 삶에서 성령의 새로운 부어주심을 갈망하며 순종하는 마음으로 기도하는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행위"라고 주장한다.[14][15] 또한, "성령 세례는 우리 안에 이미 존재하는 성령을 해방시키며, 성례전적 세례를 통해 받은 은혜를 되살린다"고 본다.[15] 성령 세례는 "봉사, 선교, 제자 훈련 및 삶을 위해 개인을 준비시키고 영감을 준다."[14][16] 브렌튼 코르데이로 목사는 성령 세례를 받은 사람들은 "그 경험을 통해 삶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실재와 임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었고, 하나님의 말씀, 성례전에 대한 새로운 갈망을 갖게 되었으며, 거룩함을 향한 새로운 열망으로 가득 찼다고 증언한다"고 전한다.[15]

성경에는 많은 영적 은사가 열거되어 있지만, 특히 고린도전서 12장 8절부터 10절에 언급된 아홉 가지 은사는 초자연적인 성격을 띠며 은사 운동의 핵심이자 특징으로 여겨진다. 이 아홉 가지 은사는 다음과 같다.


  • 지혜의 말씀
  • 지식의 말씀
  • 믿음
  • 치유의 은사
  • 능력 행함
  • 예언
  • 영 분별
  • 방언
  • 방언 통역


오순절주의자와 은사주의자는 이러한 영적 은사에 대한 믿음을 공유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많은 은사주의자는 문화적, 신학적 이유로 오순절주의와 의도적으로 거리를 두었다. 신학적으로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방언에 대한 견해이다. 많은 오순절주의자는 방언을 하는 것이 성령 세례를 받는 최초의 육체적 징표라고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은사주의자는 일반적으로 성령이 이미 중생 때부터 신자 안에 존재한다고 믿으며, 성령과의 후속적인 만남을 '성령 세례'보다는 "충만함"과 같은 다른 용어로 부르기를 선호한다.[16] 오순절주의자와 달리, 은사주의자는 다양한 초자연적 경험(예: 예언, 기적, 치유 또는 "의식 상태의 변화")을 성령 세례를 받았거나 성령으로 충만해졌다는 증거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17]

오순절주의자는 또한 스타일을 기준으로 은사 운동과 구별된다.[18] 오순절주의자는 전통적으로 전도선교 활동 및 새로운 교단 설립에 중점을 두었지만, 은사주의자는 주로 자신이 속한 기존 교단 내에서의 영적 활성화와 갱신 운동으로 스스로를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은사 운동은 성령 체험을 한 교직자와 신자들이 각자의 교회에 머물면서 교회의 교리를 따르고 활동에 참여하여, 조직화된 기존 교회의 쇄신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은사 운동은 오순절 운동과 달리 성공회, 루터교, 침례교, 메노나이트, 개혁교회 등 복음주의 및 비복음주의 교파는 물론 가톨릭까지 폭넓게 확산되었다. 일본에서도 복음주의 계열의 여러 교회, 독립 교회, 일본기독교단 등 전통적인 교파 및 로마 가톨릭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은사 운동은 하나님의 성회, 오순절 성결교회, 하나님의 교회 등을 낳은 기존의 오순절 운동과 구별하여 "근대 오순절 운동", "은사적 쇄신", "신 오순절 운동"(네오 오순절)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오순절 운동을 "성령의 첫 번째 물결"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비하여 은사 운동을 "성령의 두 번째 물결"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후 1980년대에는 복음주의 진영에서 성령의 세 번째 물결이라고 불리는 성령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최근에는 은사 운동 내에서 오순절 운동의 특성이었던 '성령 세례에 수반되는 방언'을 필수적인 요소로 여기지 않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오순절 운동과의 거리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 또한, 일부 오순절파가 은사 운동과 거리를 둔 이유 중 하나로 음주 및 흡연에 대한 태도 차이가 언급되기도 한다. 거룩함(홀리니스)을 강조하는 오순절파는 동성애, 간음, 절도, 거짓말과 함께 음주, 흡연도 비난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에큐메니컬 운동의 영향을 받은 은사 운동 참여자 중 일부는 음주 흡연에 저항이 없었다.[57][58]

영적 은사의 지속성에 대한 신학적 논쟁도 존재한다. 중단주의자는 방언, 예언, 치유와 같은 특정 은사들이 신약 시대에 특정한 목적을 위해 주어졌으며, 그 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19] 이들은 이러한 은사에 대한 기록이 교부 시대 이후 급격히 감소했다는 점을 근거로 든다.[20] 반면, 은사 운동을 포함한 지속주의자들은 하나님이 행하시는 징조, 기사, 기적이 교회의 처음 3세기 동안에도 기록되었으며[21], 이러한 은사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믿는다. 특히 성례전적 은사주의자들은 초기 교회에서 은사적 은사가 정경 사도들의 안수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세례 성례전에 연결된 기도의 수용성과 결부되었다는 점을 지적한다.[22] 은사 운동은 이러한 지속주의적 신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6. 교파별 영향

오순절 운동이 활동 결과로 생겨난 신자들을 보호하고 선교 사역을 지속하기 위해 새로운 교단이나 교회를 결성한 것과 달리, 은사 운동은 성령 체험을 한 교직자와 신자들이 각자 속한 기존 교회에 머물면서 그 교회의 교리를 따르고 활동에 참여하며 교회의 쇄신을 목표로 하는 운동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은사 운동은 오순절 운동과 달리 성공회, 루터교, 침례교, 메노나이트교, 개혁교회 등 복음주의와 비복음주의 진영을 넘어 가톨릭에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일본에서도 복음주의 계열의 여러 교회, 독립 교회, 일본 기독교단 등 전통적인 교파뿐만 아니라 로마 가톨릭교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기존의 오순절 운동과 구별하기 위해 "근대 오순절 운동", "은사적 쇄신", "신 오순절 운동"(네오 오순절)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오순절 운동을 "성령의 첫 번째 물결"로 본다면 은사 운동은 "성령의 두 번째 물결"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이후 1980년대에는 복음주의 진영에서 성령의 세 번째 물결이라 불리는 성령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최근에는 은사 운동 내에서 오순절 운동의 주요 특징 중 하나였던 '성령 세례'에 반드시 방언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벗어나, 방언을 필수 요소로 여기지 않는 사람들도 포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 점에서도 은사 운동은 오순절 운동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흐름을 보인다.

한편, 오순절파가 은사 운동과 거리를 두게 된 배경 중 하나로 음주와 흡연에 대한 태도 차이가 지적되기도 한다. 성결 운동의 영향을 받아 거룩함을 강조하는 오순절파는 동성애, 간음, 절도, 거짓말 등과 더불어 음주와 흡연도 금기시하는 경향이 강했으나, 에큐메니컬 운동 진영에서 은사 운동에 참여한 다른 교파 소속 신자들은 음주나 흡연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대한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57][58]

에큐메니컬 운동 진영에서는 남인도 교회 주교 레슬리 뉴비긴, 프린스턴 신학교 교장 존 매케이(John A. Mackay), 유니온 신학교의 헨리 밴 듀슨과 같은 신학자들을 통해 세계 교회 협의회(WCC) 내로 은사 운동의 영향력이 확산되었다는 평가도 있다([61]).

6. 1. 성공회

미국에서 성공회 사제 데니스 베넷은 때때로 은사 운동의 중요한 영향력 중 하나로 언급된다.[23] 1960년 4월 3일, 당시 캘리포니아주 밴 누이스의 세인트 마크스 성공회 교회의 교구 목사였던 베넷은 주일 예배 설교에서 방언을 동반한 성령 세례를 받았다고 교인들에게 발표했다.[24][59] 이전까지 자유주의 신학 입장이었던 그는 성령 세례를 경험한 후 성경을 읽고 기도하는 사람으로 변했다고 전해진다.[59] 당시 2,600명의 신도를 가진 교회의 사제였던 그의 고백은 큰 파장을 일으켰고, 결국 그는 교회를 사임하게 되었다. 이 사건은 타임뉴스위크 같은 주요 언론에도 보도되었다.[59] 이후 베넷은 시애틀에 있는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던 성 루카 성공회(St. Luke's Episcopal Church)에 부임하여 교회를 크게 성장시켰으며, 이 교회는 은사 운동의 중요한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59] 그는 시애틀에서 사역하며 성령의 역사에 관한 많은 워크숍과 세미나를 열었다.[25]

영국에서는 콜린 어쿼트, 마이클 하퍼, 데이비드 왓슨, 트레버 데어링 등이 성공회 내에서 유사한 영적 운동의 흐름을 이끌었다.

뉴질랜드에서는 1964년 매시 대학교에서 열린 컨퍼런스에 레이 뮬러 목사를 비롯한 여러 성공회 신자들이 참여했다. 뮬러 목사는 1966년에 데니스 베넷을 뉴질랜드로 초청하여 '성령 안에서의 삶' 세미나를 개발하고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빌 서브리츠키 역시 뉴질랜드 은사 운동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

21세기 초 현재, 잉글랜드 성공회 내에서는 "은사적 복음주의"라고 불리는 신학적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보수적 복음주의나 앵글로-가톨릭과 같은 다른 경향과는 구분된다. 런던의 홀리 트리니티 브롬턴 교회는 이러한 은사적 복음주의 운동에서 영향력 있는 교회로 알려져 있다. 2013년부터 캔터베리 대주교를 맡고 있는 저스틴 웰비는 이러한 은사적 복음주의 배경을 가지고 있다.[26]

6. 2. 루터교

캘리포니아주 산페드로에 거주하는 루터교 신학자 래리 크리스텐슨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루터교 신자들을 위해 은사 운동을 해석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당시 미니애폴리스에서는 매우 큰 규모의 연례 회의가 열렸다.[27] 미국의 일부 루터교 은사주의자들은 갱신 교회 연합을 결성하기도 했다.

리처드 A. 옌센의 저서 『성령에 닿다』(1974)는 루터교의 은사 운동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외에도 하랄드 브레데센과 모리스 바게네스 등이 루터교의 은사주의 지도자로 활동했다. 핀란드에서는 은사주의 교회가 성장하면서 일부 지역에서 루터교 교회의 출석률 감소 현상이 반전되기도 했다.[28]

6. 3. 개혁교

전통적으로 칼뱅주의 또는 개혁신학을 따르는 회중교회와 장로교회에서는 오늘날 성령의 은사(''카리스마'')가 계속되는지 여부(계속주의 또는 중단주의)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있다.[19][29] 일반적으로 개혁주의적 은사주의자들은 믿음의 말씀 운동, 토론토 블레싱, 브라운스빌 부흥, 레이크랜드 부흥과 같이 지나치게 감정적인 경향을 보이는 갱신 운동과는 거리를 둔다.

주요 개혁주의 은사주의 교단으로는 미국에 소버린 그레이스 교회와 에브리 네이션 교회가 있다. 영국에서는 테리 버고가 설립한 뉴프론티어스 교회와 관련 운동이 개혁주의 은사주의 교회로 분류된다.[30]

6. 4. 로마 가톨릭교회

가톨릭 카리스마 갱신 치유 봉사 중의 찬양과 숭배.


로마 가톨릭교회 내에서는 이 운동을 가톨릭 카리스마 쇄신(Catholic Charismatic Renewal, CCR)이라고 부른다. 이 운동은 1967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 위치한 듀케인 대학교에서 시작되었으며, 이 대학은 가톨릭 수도회인 성령회가 설립한 곳이다. 케빈 라나간과 같은 인물들과 인디애나주의 노트르담 대학교 역시 운동의 초기 확산에 기여했다.

당시 신앙교리성 장관이었던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훗날 교황 베네딕토 16세)은 1983년, 교황의 가톨릭 카리스마 갱신 대표였던 레오 조셉 수엔스 추기경의 저서 서문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시기를 언급하며 운동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 합리주의적 회의론으로 가득 찬 세상의 중심에서 성령에 대한 새로운 경험이 갑자기 터져 나왔다. 그리고 그 이후로 그 경험은 전 세계적인 갱신 운동의 폭을 차지했다. 신약성경이 카리스마에 대해 말하는 것—성령의 임재를 나타내는 가시적인 표지로 여겨졌던 것—은 고대 역사일 뿐 아니라, 다시 한 번 매우 시의적절해지고 있다.

그는 또한 교회의 책임자들(본당 사제부터 주교까지)이 갱신 운동을 환영하고, 동시에 운동의 회원들이 전체 교회 및 사목자들과의 연결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고 덧붙였다.[31]

가톨릭 카리스마 쇄신은 특히 미국필리핀인, 한국인, 히스패닉 공동체와 필리핀,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특히 브라질)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 운동과 관련된 사제나 평신도들이 본당을 방문하여 '카리스마 미사'를 봉헌하기도 한다. 약 1억 2천만 명의 신자가 참여하는 것으로 추산되며, 전통 가톨릭교 다음으로 가톨릭 교회 내에서 두 번째로 큰 독자적 흐름으로 여겨진다.[32]

가톨릭 카리스마 쇄신은 개신교의 오순절 운동 및 카리스마 운동의 영향을 받았지만, '성령 세례'에 대한 이해는 교리적으로 차이가 있다. 일부 카리스마 성향의 가톨릭 신자들이 성령 세례를 보편적이고 필수적인 체험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지만, 가톨릭 교회는 이를 견진성사와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보며, 성령의 은사를 받는 여러 방식 중 하나로 이해한다.[33] 즉, 성령 세례는 성사(세례와 견진)를 통해 이미 받은 은총의 '실제화' 또는 '확인'으로 간주되며, 반드시 성령 체험의 가장 완전한 형태는 아니다. 이는 성 프란치스코나 아빌라의 성녀 테레사와 같은 성인들의 신비 체험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34] 예를 들어, 파드레 피오(성 비오)는 12세 때 받은 견진성사를 회상하며 성령의 강렬한 임재와 황홀경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 나는 그날 지극히 거룩하신 성령께서 나에게 느끼게 하신 것을 기억하기 때문에, 내 삶에서 유일하고 잊을 수 없는 날인 그날을 생각할 때마다 위안으로 울었다! 위로자께서 그날 나에게 느끼게 하신 달콤한 황홀경이여! 그날의 생각에 머리에서 발끝까지 타오르고, 소모하지만 고통을 주지 않는 찬란한 불꽃을 느낀다.

이러한 경험은 '성령 세례'와 유사한 경험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그의 여러 영적 체험 중 하나였다.[35]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본은 카리스마(성령의 특별한 은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160. 카리스마는 무엇인가? 799–801. 카리스마는 다른 사람의 유익, 세상의 필요, 특히 교회를 세우기 위해 개인에게 부여되는 성령의 특별한 은사이다. 카리스마의 분별은 교도권의 책임이다.

역대 교황들은 가톨릭 신자들에게 성령과의 깊은 관계를 강조해왔다. 교황 요한 23세는 "새로운 성령 강림으로, 지금 주님의 기적을 새롭게 하소서"라고 기도했으며, 교황 바오로 6세는 "교회는 영원히 지속되는 오순절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교황 프란치스코 역시 가톨릭 카리스마 쇄신 단체에 격려의 메시지를 보냈다. 특히 교황 프란치스코는 2019년 6월 8일, 카리스마 쇄신 참여자들에게 "교회의 모든 사람과 성령 세례를 나누도록" 격려했다.[36]

이에 발맞춰 2019년 6월 6일, 교황 프란치스코는 CHARIS(Catholic Charismatic Renewal International Service, 카리스마 갱신 국제 봉사 기구)를 공식 출범시켰다. CHARIS는 로마 가톨릭 교회 내에서 '공적 법인격'을 가지며 교황의 직접적인 주도로 설립되었다.[37] 주요 목표는 "교회 전체에 성령 세례의 은총을 깊게 하고 촉진하며, 가톨릭 카리스마 쇄신뿐만 아니라 교회 전체에서 카리스마의 행사를 촉진하는 것"이다.[38]

6. 5. 감리교

감리교 전통(성결 운동 포함)에서는 성령 세례를 전통적으로 거듭남 이후에 오는 은혜의 두 번째 사역으로 이해한다. 이는 온전한 성화라고도 불리며, 이 과정을 통해 원죄가 제거되고 사람이 사랑 안에서 완전하게 된다고 본다(기독교적 완전).[39][40] 온전한 성화는 즉각적으로 또는 점진적으로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령자의 마음을 모든 죄로부터 정결하게 하고(요한일서 1:7, 9; 사도행전 15:8, 9), 그를 구별하여 그가 부르심을 받은 모든 것을 성취할 능력을 부여한다(누가복음 24:49; 사도행전 1:8)."[41][42]

감리교 운동 초기에는 런던, 옥스퍼드, 브리스톨 등지에서 초자연적인 치유, 환상, 꿈, 영적 감동, 복음 전파의 능력, 특별한 지혜 부여 등이 보고되었다.[43] 감리교의 창시자인 존 웨슬리는 "영적 은사는 진정한 성결과 사람 안에 거하는 하나님의 영의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강하게 주장했다.[43] 이러한 배경 속에서 감리교회들은 신학적으로 지속주의(영적 은사가 현대에도 계속된다는 믿음) 입장을 지지해왔다.[43] 성결과 경험적 신앙을 중시하는 역사적 전통에 따라, 많은 감리교회가 은사 운동의 영향을 받아 은사적 예배를 드리기도 하지만, 일부 감리교 연결체와 회중들은 이러한 흐름과 거리를 두고 있다.[44][45]

특히, 방언을 동반하는 은혜의 세 번째 사역이라는 오순절주의의 교리는 필그림 성결 교회와 같은 일부 감리교 전통의 연결체에서 비판받는다. 이 교회는 사람이 사랑 안에서 완전해지는 기독교적 완전 상태가 신앙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가르치며 다음과 같이 강조한다:[42]

: 알려지지 않은 방언으로 말하는 것과 같은 특별한 현상이 성령 세례의 증거를 구성한다고 가르치는 사람들은 자신과 그들의 청취자를 위험한 광신에 노출시킨다. 아마도 이 문제에 관해 존 웨슬리보다 더 현명한 조언은 없었을 것이다. 그는 현대의 "방언" 운동이 나타나기 훨씬 전에 이렇게 썼다. "수천 가지 실수의 근거는 사랑이 하나님의 가장 높은 선물이라는 것을 깊이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 겸손하고, 부드럽고, 인내하는 사랑 - 모든 환상, 계시, 나타남은 사랑에 비하면 작은 것이다. 이것을 철저히 인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하늘의 하늘은 사랑이다. 종교에는 더 높은 것이 없으며, 사실상 다른 것도 없다. 만약 당신이 더 많은 사랑 외에 다른 것을 찾고 있다면, 당신은 표적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왕도를 벗어나고 있다. 그리고 당신이 다른 사람들에게 '당신은 이 축복이나 저 축복을 받았습니까?'라고 질문할 때, 만약 당신이 더 많은 사랑 외에 다른 것을 의미한다면, 당신은 잘못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들을 길에서 벗어나게 하고 거짓 냄새에 놓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당신을 모든 죄에서 구원하신 순간부터, 당신은 고린도전서 13장에서 묘사된 사랑을 더 많이 얻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목표로 삼지 않도록 마음속에 정착시켜라. 아브라함의 품에 안기기 전까지는 이보다 더 높이 갈 수 없다." ―교리, 필그림 성결 교회[42]

미국의 은사적 감리교인들은 굿 뉴스 모임과 연합하여 활동하며, 영국에서는 평신도 증인 운동의 지원을 받는다.[46] 이들은 감리교 복음주의자들과 협력하기도 한다.[44] 연합감리교회 내에서는 Aldersgate Renewal Ministries|알더스게이트 갱신 사역eng이라는 은사적 사도직 단체가 "성령의 능력으로 교회의 갱신을 위해 함께 기도하고 헌신하기 위해" 조직되었다.[47] 이 단체는 지역 연합 감리교회, 자유 감리교회, 글로벌 감리교회 등에서 행사를 주관하며 초자연적 사역을 위한 감리교 학교도 운영하고 있다.[47]

6. 6. 모라비안교

모라비안 교회의 일부 구성원은 은사 운동이 확산되면서 그 운동의 특정 요소를 받아들였다.[48]

6. 7. 재림교

오늘날 소수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인들은 은사적이다. 그들은 더 "진보적인" 재림교 신념을 가진 사람들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다. 교회의 초기 수십 년 동안 은사적 또는 황홀경적 현상은 흔한 일이었다.[49][50]

6. 8. 동방 정교회

은사 운동은 다른 주류 기독교 교파에 비해 동방 정교회에 동일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일부 동방 정교회 사제들이 자신의 교구에서 은사주의적 실천을 장려했지만, 교회 내부의 저술가들은 이 운동을 정교회와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학술지 ''정교회 전통''에 실린 한 기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은사 운동에는 정교회적인 것이 전혀 없다. 그것은 정교회와 양립할 수 없는데, 그것이 교부들의 메시지를 왜곡하여 그리스도의 교회가 갱신을 필요로 하며, 오순절교적 컬트주의의 신학적 이미지를 탐닉함으로써 정당화되기 때문이다."[51]


일부 사제들은 안티오키아 정교회 대교구, 성 시므온 형제단 및 기타 정교회 교회에서 은사주의적 갱신을 추진한다.[52]

러시아에는 라에스타디우스주의 루터교의 영향을 받은 복음주의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들 사이에 은사 운동이 있었는데, 이들을 우슈코바예츠라고 불렀으며, 그 수행자들은 헤쿨리테스 또는 히크훌리테스라고 알려졌다.[53] 라에스타디우스 은사주의는 오늘날 많은 라에스타디안들이 속해 있는 사미의 샤머니즘적 엑스터시 종교 관습의 영향으로 여겨진다.

6. 9. 초교파

2013년 텍사스주 휴스턴레이크우드 교회에서 열린 복음주의적 은사 운동 예배.


이 운동은 성령 부흥에 더 부합하는 독립적인 복음주의적 은사 교회 창설로 이어졌다. 이러한 교회들은 흔히 초교파적 성격을 띤다. 캘리포니아주 코스타 메사에 있는 갈보리 채플은 1965년에 설립된 최초의 복음주의적 은사 교회 중 하나였다.[54] 빅토리 아웃리치 인터내셔널은 1967년 동부 로스앤젤레스에서 설립되었다. 영국에서는 1969년에 설립된 예수 군대가 미국 외 지역에서 나타난 유사한 흐름을 보여주는 사례이다.[55] 이 외에도 많은 유사한 회중들이 세계 각지에 세워졌다.[56]

7. 한국에서의 은사 운동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한국에서의 은사 운동'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자료는 주로 일본에서의 은사 운동 확산과 특징, 그리고 오순절 운동과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요청하신 '한국에서의 은사 운동'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8. 은사 운동의 신학자 및 학자

9. 참고 문헌


  • 멘지스, 윌리엄 W; 멘지스, 로버트 P (2000). 《성령과 능력: 오순절 경험의 기초》. 존더반. ISBN 978-0-310-86415-8.
  • 리드, 다니엘 G. (다니엘 G. 리드); 린더, 로버트 딘; 셸리, 브루스 레온; 스타우트, 해리 S., 편집. (1990). 《미국 기독교 백과사전》. 다운어스 그로브, 일리노이: 인터바시티 출판사. ISBN 0-8308-1776-X. [https://archive.org/details/dictionaryofchri0000unse_n6x8/page/n1/mode/1up (등록 필요)].
  • 로빈스, 조엘 (2004년 10월). 브렌니스, 돈 (돈 브렌니스); 스트리어, 카렌 B. (카렌 B. 스트리어), 편집. “오순절 및 카리스마 기독교의 세계화”. 《인류학 연보》 ( 연보) 33: 117–143. doi:10.1146/annurev.anthro.32.061002.093421. ISSN 1545-4290. JSTOR 25064848. S2CID 145722188.

참조

[1] 서적 "The Azusa Street Mission And Revival: The Birth Of The Global Pentecostal Movement" Thomas Nelson 2006
[2] 서적 "The New Charismatic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2
[3] 서적 The New Charismatics Zondervan
[4]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us Controversies in the United States, Volume 1" ABC-CLIO 2013
[5] 웹사이트 DENNIS BENNETT BIOGRAPHY https://web.archive.[...] 2018-01-16
[6] 서적 Ecumenism and Charismatic Renewal: Theological and Pastoral Orientations Servant Books 1978
[7] 서적 Language, Charisma, and Creativity: The Ritual Life of a Religious Movemen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1-01-08
[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ethodist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9-24
[9] 서적 The Century of the Holy Spirit: 100 Years of Pentecostal and Charismatic Renewal, 1901-2001 Thomas Nelson 2012-01-30
[10] 서적 Global Pentecostal and Charismatic Heal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1] 서적 Headship and Hierarchy University of Michigan 1995
[12] 간행물 Pentecostals and the Bible https://glyndwr.repo[...] 2019-12-04
[13] Citation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Pentecostal and Charismatic Movements" Zondervan
[14]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Baker Academic 2001
[15] 웹사이트 Baptism in the Holy Spirit: Why Every Catholic Should Consider Receiving It https://catholic-lin[...] Catholic Link 2021-05-26
[16] 웹사이트 Baptism in the Holy Spirit http://www.ccr.org.u[...] Catholic Charismatic Renewal 2021-05-26
[17] Citation The Assemblies of God: Godly Love and the Revitalization of American Pentecostalism New York University Press
[18] Citation David Watson, a Biography Hodder
[19] 서적 Charismatic Phenomenon https://archive.org/[...] Wakeman 1988-06
[20] 서적 Counterfeit miracles https://archive.org/[...] Banner of Truth Trust 2019-12-10
[21] 서적 Charismatic Gifts in the Early Church. An Exploration into the Gifts of the Spirit during the first Three Centuries of the Christian Church. Peabody, MA: Hendrickson Publishers
[22] 서적 Christian Initiation and Baptism in the Holy Spirit: Evidence from the First Eight Centuries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1991
[23] Citation Encyclopedia of Evangelicalism: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Baylor
[24] 문서 Dennis J. Bennett, ''Nine O'Clock in the Morning'' (Gainesville; 1970. Reprinted 2001, 2004)
[25] 웹사이트 Anglican Pioneer in Renewal https://web.archive.[...] Telus 2008-01-31
[26] 뉴스 I pray in tongues every day, says archbishop of Canterbury https://www.theguard[...] 2019-01-21
[27] 웹사이트 Charismatic Renewal Pioneer Larry Christenson Dies from Icy Fall https://www1.cbn.com[...] 2017-12-28
[28] 간행물 An emerging trend of charismatic religiosity in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of Finland https://journal.fi/a[...] 2019-12-04
[29] 서적 Healing Epidemic Wakeman Trust 1988
[30] 웹사이트 Presbyterian and Reformed Churches https://web.archive.[...] 2015-07-19
[31] 서적 Renewal and the Powers of Darkness (Malines document) Darton, Longman & Todd
[32] Citation Christian World Communions: Five Overviews of Global Christianity, AD 1800–2025
[33] Citation Christian Initiation and Baptism in the Holy Spirit: Evidence from the First Eight Centuries Michael Glazier Books
[34] Citation Study Seminar organized in Brazil 2005-11-04
[35] Citation Padre Pio: The True Story Our Sunday Visitor
[36] 웹사이트 To participants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Leaders of the Catholic Charismatic Renewal International Service - Charis (8 June 2019) {{!}} Francis https://www.vatican.[...] 2020-09-23
[37] 웹사이트 Memorandum {{!}} CHARIS https://www.charis.i[...] 2020-09-23
[38] 웹사이트 Statuts_Charis (1).pdf https://drive.google[...] 2020-09-23
[39] 웹사이트 Guidelines: The UMC and the Charismatic Movement http://www.umc.org/w[...]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9-07-31
[40] 서적 Major United Methodist Beliefs Abingdon Press
[41] 서적 Exploring Protestant Traditions InterVarsity Press 2009-08-20
[42] 웹사이트 Doctrine http://www.pilgrimho[...] Pilgrim Holiness Church of New York, Inc. 2018-05-31
[43] 논문 Wesley and Charisma: An Analysis of John Wesley's View of Spiritual Gifts
[44] 서적 Pentecostal Currents in American Protestantism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45] 웹사이트 Tongues Speaking: Study Commission On Doctrine https://scod.fmcusa.[...] Free Methodist Church 2021-03-22
[46] 웹사이트 Lay Witness Movement http://www.methodist[...] Methodist Evangelicals Together 2017-07-19
[47] 서적 American Methodism: A Compact History Abingdon Press 2012-10-01
[48] 서적 All about the Moravians: History, Beliefs, and Practices of a Worldwide Church Moravian Church in America 1990
[49] 웹사이트 Early Adventist worship, Ellen White and the Holy Spirit: Preliminary Historical Perspectives http://www.sdanet.or[...] SDAnet AtIssue 2008-02-15
[50] 웹사이트 Later Adventist Worship, Ellen White and the Holy Spirit: Further Historical Perspectives http://www.sdanet.or[...] SDAnet AtIssue 2008-02-15
[51] 논문 The Charismatic Movement and Orthodoxy http://orthodoxinfo.[...] 2019-12-04
[52] 웹사이트 What is Renewal? https://ocl.org/what[...] 2019-12-04
[53] 웹사이트 Karelian religious movement Uskhovayzet http://uralistica.co[...] 2019-03-10
[54] 서적 The American Evangelical Story: A History of the Movement Baker Academic
[55] 서적 Fire in Our Hearts: The Story of the Jesus Fellowship/Jesus Army Multiply Publications
[56]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Charismatic Movement http://www.christian[...] 2015-07-19
[57] 서적 『教会を病気にしない』
[58] 문서
[59] 서적 『リバイバルの源流を辿る』
[60] 서적 『新キリスト教辞典』
[61] 서적 『リバイバルの源流』
[62] 서적 『聖霊と教会(カトリック・ペンテコスタリズム)』
[63] 서적 『日本における福音派の歴史』
[64] 서적 『ペンテコステ神学』
[65] 웹사이트 오순절주의와 은사주의는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http://www.kscoram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