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임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임목(Chokepoint)은 좁은 해상 통로로, 군사 전략 및 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지점이다. 역사적으로 군사 작전에서 적의 해상 이동을 제한하고 자국의 해상 교통로를 보호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주요 사례로 테르모필레 전투,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 등이 있다. 18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영국 해군은 주요 초크 포인트를 장악하여 해상 무역로를 통제했고, 수에즈 위기는 초크 포인트가 국제 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오늘날 초크 포인트는 석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자원의 원활한 수송에 필수적이며, 호르무즈 해협, 믈라카 해협, 수에즈 운하 등이 주요 해상 초크 포인트로 꼽힌다. 최근에는 해적 활동, 테러, 영유권 분쟁 등으로 안보 위협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제 사회는 초크 포인트의 안전 확보를 위한 다자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크세르크세스 1세가 이끄는 페르시아 군에 맞서 레오니다스 1세가 테르모필레 협곡을 방어한 사례는 조임목을 군사적으로 활용한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 외에도 헤럴드 고드윈슨이 하랄드 하르드라다를 격파한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 윌리엄 월리스가 스털링 브리지 전투에서 잉글랜드군을 상대로 승리한 사건, 아쟁쿠르 전투에서 잉글랜드의 헨리 5세가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한 사건 등이 있다.[1]
초크 포인트는 군사 작전에서 적의 해상 이동을 제한하고, 자국의 해상 교통로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해군력을 투사하여 상대방의 해상 접근을 차단하거나 제한하는 대(對) 접근/지역 거부 전략에서 초크 포인트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냉전 시기 GIUK 갭은 (NATO)와 소련 간의 해상 대립에서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조임목(초크 포인트)은 세계 경제, 특히 석유와 천연가스 같은 에너지 자원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호르무즈 해협은 전 세계 석유 해상 수송량의 20%를 차지하는 핵심적인 조임목이다. 2018년에는 하루 2070만 배럴이 이 해협을 통과했다.[2] 이란은 호르무즈 해협의 가장 큰 안보 위협 중 하나이며, 이 해협을 통과하는 막대한 양의 석유와 천연가스 때문에 세계 에너지 안보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란은 이란 제재로 인해 호르무즈 해협을 여러 차례 폐쇄하겠다고 위협해 왔으며,[10][11] 이는 석유 산업에 심각한 위협을 가한다. 해상 조임목의 전략적 가치는 이 조임목에 대한 위협이 유가 급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20]
세계의 주요 해상 초크 포인트(조임목)는 다음과 같다.
2. 역사적 사례
17세기와 18세기 초, 카리브 해의 많은 섬들은 해적과 사략선들을 끌어들인 여러 해상 조임목을 제공했다. 스페인 보물선은 아메리카를 떠나 북대서양을 가로질러 스페인으로 돌아갈 수 있는 강력한 편서풍을 얻기 위해 그 해역을 통과해야 했다.[1]
18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영국 해군은 전 세계 주요 조임목을 장악하여 대영 제국의 해상 무역로를 통제하고 식민지 지배를 강화했다. 수에즈 위기는 조임목이 국제 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1]
영어의 choke point영어는 문자 그대로 "조여서 상대를 괴롭게 할 수 있는 지점"을 어원으로 하며, 군사적인 의미에서도 해협이나 운하 등 해상뿐만 아니라 육상의 협곡이나 교량 등 요충지를 나타낸다.[1]
석유나 천연 가스와 같은 주요 에너지 자원의 거래가 세계 규모로 이루어지면서, 여러 국가 및 지역을 지원하기 위한 물자 수송로로서의 초크 포인트의 안전 보장이 중요해지고 있다.[22]
3. 군사적 중요성
18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영국의 영국 해군은 그 규모를 바탕으로 세계 여러 바다를 통제했다. 대영 제국에게 조임목은 식민지 무역 통제와 방어에 중요했으며, 수에즈 위기와 같이 긴장을 유발하기도 했다. 영국 해군 제독 존 피셔는 조임목의 중요성을 처음으로 인식했다.[1]
오늘날 주요 영국 조임목은 다음과 같다:
GIUK 갭은 영국 해군에게 특히 중요하며, 북유럽 세력이 대서양으로 진출하려면 강력하게 방어된 영국 해협이나 아이슬란드 양쪽 출구 중 하나를 통과해야 한다. 지브롤터의 전략적 요새에 대한 영국의 통제를 고려할 때, 스페인(북부 해안), 프랑스(대서양 해안), 포르투갈만이 영국 해군이 조임목에서 쉽게 봉쇄할 수 없는 방식으로 대서양에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유럽 본토 국가이다. GIUK 갭은 냉전 시기 소련 잠수함을 감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호르무즈 해협은 세계 석유의 20%가 통과하는 중요한 해상 요충지이다. 2018년에는 하루 이 이 해협을 통과했다.[2] 1980년대 이후 이 해협에서는 이란 항공 655편 격추 사건, 2008년 미국-이란 해군 분쟁 등 지속적인 불안이 발생했다.[3]
수에즈 운하와 수메드 파이프라인은 하루 을 수송하며, 2011년에는 운하를 통해 전 세계 무역의 7.5%가 이루어졌다.[7] 6일 전쟁 이후 8년 동안 폐쇄되기도 했으며, 대체 경로는 희망봉을 돌아가야 하므로 약 9656.04km가 더 소요된다.[8]
이란은 호르무즈 해협의 가장 큰 안보 위협 중 하나이며, 이란 제재로 인해 해협을 여러 차례 폐쇄하겠다고 위협해 왔다.[9][10][11] 이란은 대(對) 접근/지역 거부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상 기뢰를 사용하기도 한다.[12][13][14][15][16]
현대에도 초크 포인트는 해상 분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간주되며, 군사적 긴장을 유발할 수 있다.
4. 경제적 중요성
수에즈 운하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최단 해상 경로로, 2011년에는 운하를 통해 전 세계 무역의 7.5%가 이루어졌다.[7] 수에즈 운하와 수메드 파이프라인은 하루 4.5Moilbbl를 수송한다.[7] 수에즈 운하는 6일 전쟁 이후 1967년부터 8년 동안 폐쇄되기도 했다. 수에즈/수메드 노선의 대체 경로는 희망봉을 돌아가야 하므로 약 9656.04km가 더 소요된다.[8]
주요 에너지 자원의 거래가 세계 규모로 이루어지면서, 여러 국가 및 지역을 지원하기 위한 물자 수송로로서 초크 포인트의 안전 보장이 중요해지고 있다.[22]
5. 주요 해상 초크 포인트
조임목은 좁은 지형으로 인해 방어에 유리하여 역사적으로 군사적 요충지로 활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레오니다스 1세는 크세르크세스 1세의 페르시아 대군에 맞서 테르모필레 협곡을 방어했다.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에서는 헤럴드 고드윈슨이 하랄드 하르드라다를 격파했고, 스털링 브리지 전투에서는 윌리엄 월리스가 잉글랜드군을 상대로 승리했다. 아쟁쿠르 전투에서는 잉글랜드의 헨리 5세가 장궁병을 활용하여 프랑스 기병대를 상대로 승리했다.
17세기와 18세기 초, 카리브 해의 여러 섬들은 해적들의 활동 근거지가 되었다. 스페인 보물선은 아메리카에서 스페인으로 돌아가기 위해 이 해역을 통과해야 했기 때문이다.
18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영국 해군은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세계 여러 해상 조임목을 통제하며 대영 제국의 무역과 방어를 강화했다. 특히 수에즈 위기에서 볼 수 있듯이, 조임목은 긴장과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영국 해군 제독 존 피셔는 조임목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1]
오늘날에도 조임목은 세계 경제와 상품, 특히 석유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호르무즈 해협은 세계 석유의 20%가 통과하는 핵심적인 해상 수송로이다.[2] 1980년대 이후 이 지역에서는 여러 분쟁이 발생했다. 수에즈 운하는 6일 전쟁으로 인해 1967년부터 1975년까지 폐쇄되기도 했다.[8]
영국 해군은 GIUK 갭과 지브롤터 해협을 포함한 주요 조임목을 전략적으로 중요하게 여긴다. GIUK 갭은 북유럽 세력이 대서양으로 진출하는 것을 막는 요충지이며, 냉전 시기 소련 잠수함을 감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5. 1. 아시아
호르무즈 해협은 페르시아만과 오만만을 연결하는 좁은 해협으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해상 요충지 중 하나이다. 세계 석유의 20%가 이 해협을 통과하며, 2018년에는 하루 2070만 배럴이 수송되었다.[2]
이란은 호르무즈 해협에서 가장 큰 안보 위협 중 하나로 꼽힌다. 이란은 자국에 대한 제재로 인해 여러 차례 해협 폐쇄를 위협해 왔으며,[10][11] 이는 세계 석유 산업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이란은 기관총이 장착된 소형 공격선, 다연장 로켓, 대함 미사일, 어뢰 등 대(對) 접근/지역 거부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12][13][14] 해상 기뢰 역시 이란의 주요 전략 중 하나이다.[15][16] 이란 이슬람 공화국 해군은 해상 훈련과 비전통적인 방법을 통해 해협에서의 군사적 행동 준비를 과시한다.[17][18][19]
호르무즈 해협은 1980년대 이후 지속적인 분쟁을 겪었다. 주요 사건으로는 1988년 미국의 지대공 미사일에 의한 이란 항공 655편 격추 사건, 2007년 핵잠수함 USS ''뉴포트 뉴스''와 원유 유조선 ''모가미가와''의 충돌, 2008년 미국-이란 해군 분쟁, 2011-2012 호르무즈 해협 분쟁, 2015년 MV ''머스크 티그리스'' 나포 사건, 2018년과 2019년 이란의 해협 폐쇄 위협 등이 있었다.[3] 2020년 4월, 이란 군대는 영토 보전을 수호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밝혔다.[4][5][6]
믈라카 해협은 말레이 반도와 수마트라 섬 사이에 위치한 해협이다. 순다 해협은 인도양과 자바해를 잇고, 수마트라 섬과 자바 섬 사이에 위치한다.
바브엘만데브 해협은 홍해와 아덴만을 연결하며, 아라비아 반도와 아프리카 대륙 사이에 있다.
다르다넬스 해협은 에게 해와 마르마라 해를 연결하고,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 반도 사이에 위치한다. 보스포루스 해협은 마르마라 해와 흑해를 잇고,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 반도 사이에 있다.
다음은 아시아의 주요 조임목(해협)들이다.
해협 이름 | 위치 |
---|---|
호르무즈 해협 | 이란, 오만 |
바브엘만데브 해협 | 예멘, 지부티, 에리트레아 |
믈라카 해협과 싱가포르 해협 |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
튀르키예 해협 | 튀르키예 |
보스포루스 해협 | 튀르키예 |
다르다넬스 해협 | 튀르키예 |
티란 해협 |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
카이베르 고개 |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
베링 해협 | 미국, 러시아 |
타타르 해협 | 러시아 |
바시 해협 | 타이완 섬, 바탄 제도 |
순다 해협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자바 섬) |
소야 해협 | 일본 (홋카이도), 사할린 |
쓰가루 해협 | 일본 (혼슈, 홋카이도) |
간몬 해협 | 일본 (혼슈, 규슈) |
쓰시마 해협 | 일본 (규슈), 한반도 |
오스미 해협 | 일본 (규슈, 난세이 제도) |
타이완 해협 | 타이완 섬, 중국 본토 |
롬복 해협 | 인도네시아 (롬복 섬, 발리 섬) |
5. 2. 유럽
튀르키예 해협은 흑해와 카스피해 지역에서 나오는 석유를 지중해와 연결하는 중요한 조임목이다. 튀르키예 해협은 다음으로 구성된다.해협 | 구성 |
---|---|
튀르키예 해협 |
5. 3. 아메리카
카리브 해의 많은 군도는 17세기와 18세기 초 해적 활동이 절정에 달했을 때 해적과 부커니어들을 끌어들인 여러 해상 조임목을 제공했다. 스페인 보물선은 아메리카를 떠나 북대서양을 가로질러 스페인으로 돌아갈 수 있는 강력한 편서풍을 얻기 위해 그 해역을 통과해야 했다.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하는 수역은 다음과 같다.
5. 4. 아프리카
- 수에즈 운하 (이집트): 지중해와 홍해를 연결하며, 전 세계 무역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7] 6일 전쟁 이후 1967년부터 8년간 폐쇄되기도 했다.[8]
- 바브엘만데브 해협 (예멘, 지부티, 에리트레아): 홍해와 아덴만을 잇는 해협이다.
- 희망봉 (남아프리카 공화국 웨스턴케이프주): 수에즈 운하가 폐쇄되었을 때, 더 긴 항해 거리가 필요한 대체 경로이다.[8]
5. 5. 기타
다음은 중요한 위치가 괄호 안에 표시된 몇몇 조임목이다.조임목 | 위치 |
---|---|
호르무즈 해협 | (오만과 이란) |
바브엘만데브 해협 | (예멘, 지부티 및 에리트레아) |
말라카 해협과 싱가포르 해협 | (말레이시아와 수마트라 (인도네시아)) |
튀르키예 해협 | (튀르키예) |
수에즈 운하 | (이집트) |
티란 해협 | (이집트와 사우디아라비아) |
카이베르 고개 |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
지브롤터 해협 | (스페인, 지브롤터 및 모로코) |
도버 해협과 영국 해협 | (영국, 왕실령 및 프랑스) |
올란드 해 | (핀란드와 스웨덴) |
발트해와 북해를 연결하는 수역 | 덴마크 해협 (덴마크와 스웨덴), 카테가트 해협과 스카게라크 해협 (노르웨이, 덴마크 및 스웨덴), 킬 운하 (독일) |
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하는 수역 | 파나마 운하 (파나마), 마젤란 해협 (칠레와 아르헨티나), 비글 해협 (칠레와 아르헨티나), 드레이크 해협 |
베링 해협 | (미국과 러시아) |
타타르 해협 | (러시아) |
풀다 갭은 독일에서 냉전의 결정적인 병목 전투 지역 중 하나로 여겨졌다.
카리브해의 많은 군도는 17세기와 18세기 초 해적 활동이 절정에 달했을 때 해적과 부커니어들을 끌어들인 여러 해상 조임목을 제공했다. 스페인 보물선은 아메리카를 떠나 북대서양을 가로질러 스페인으로 돌아갈 수 있는 강력한 편서풍을 얻기 위해 그 해역을 통과해야 했다.
조임목의 전술적 사용에 대한 몇 가지 역사적 예로는 크세르크세스 1세가 이끄는 침략에 맞서 레오니다스 1세가 테르모필레 협곡을 방어한 사건, 헤럴드 고드윈슨이 하랄드 하르드라다를 격파한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 윌리엄 월리스가 스털링 브리지 전투에서 잉글랜드군을 상대로 승리한 사건 (월리스는 약 2,300명의 병력을 이끌었고 잉글랜드군은 약 9,000~12,000명이었으며, 전투 중 다리가 무너졌음), 아쟁쿠르 전투에서 잉글랜드의 헨리 5세가 소규모 군대(주로 가볍게 무장한 장궁병으로 구성)를 사용하여 훨씬 더 큰 프랑스군의 기병대가 아쟁쿠르 숲의 좁고 진흙투성이 틈새를 통해 영국군을 향해 돌격하도록 강요하여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사건 등이 있다.
6. 한국과 초크 포인트
대한민국은 동북아시아의 요충지에 위치하며, 해상 교통로를 통한 무역 의존도가 매우 높다. 특히 대한 해협은 한국의 해상 안보와 경제에 매우 중요한 초크 포인트이다. 믈라카 해협, 호르무즈 해협 등 주요 해상 초크 포인트의 안정은 한국의 에너지 안보와 경제 발전에 필수적이다. 한국은 해양 국가로서 초크 포인트의 안정을 위한 국제 협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해군력 강화를 통해 자국의 해상 교통로를 보호해야 한다.
7. 최근의 위협과 과제
오늘날에도 조임목은 세계 경제와 상품, 특히 석유 수송에 있어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다. 특히 호르무즈 해협은 세계 석유의 20%가 통과하는[2] 매우 중요한 해상 요충지이다.
이란은 호르무즈 해협에서 가장 큰 안보 위협 중 하나로 꼽힌다. 이란은 자국에 부과된 제재에 대응하여 여러 차례 해협을 폐쇄하겠다고 위협해 왔으며,[10][11] 이는 세계 석유 산업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이란은 기관총이 장착된 소형 공격선, 다연장 로켓, 대함 미사일, 어뢰, 해상 기뢰 등 다양한 군사적 수단을 보유하고 있으며,[12][13][14][15][16] 해상 훈련과 비전통적인 방법을 통해 역량을 과시하고 있다.[17][18][19]
수에즈 운하와 수메드 파이프라인 또한 중요한 조임목으로, 하루 4.5Moilbbl의 석유를 수송하며, 2011년에는 전 세계 무역의 7.5%가 이 운하를 통과했다.[7] 그러나 6일 전쟁 이후 8년 동안 폐쇄되기도 했으며, 대체 경로인 희망봉 경로는 약 9656.04km가 더 소요되어 비효율적이다.[8]
이처럼 주요 에너지 자원의 수송로로서 초크 포인트의 안전 보장은 여러 국가 및 지역을 지원하기 위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22]
참조
[1]
서적
Breverton's Nautical Curiosities
Quercus Publishing PLC
[2]
웹사이트
Why U.S.–Iran Feud Keeps Focus on Strait of Hormuz
https://www.bloomber[...]
2020-05-10
[3]
뉴스
Iran says ready for U.S. waivers end, as Guards threaten to shut Hormuz
https://www.reuters.[...]
2020-05-10
[4]
뉴스
Top Iranian general warns U.S. against 'dangerous behavior' in Persian Gulf after Trump threat
https://www.washingt[...]
2020
[5]
웹사이트
Strait of Hormuz
https://www.crisisgr[...]
2020-05-10
[6]
뉴스
War of words raises fresh fears of US–Iran Gulf clash
https://www.bbc.com/[...]
2020-05-10
[7]
웹사이트
Egypt: Will U.S. And NATO Launch Second Suez Intervention?
http://www.scoop.co.[...]
Scoop.co.nz
2014-11-26
[8]
웹사이트
World Oil Transit Chokepoints
https://www.eia.gov/[...]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20-09-23
[9]
서적
Security and Territoriality in the Persian Gulf: A Maritime Political Geography
Routledge
[10]
간행물
Iran’s Threat to the Strait of Hormuz
CRS Report for Congress
[11]
웹사이트
Strait of Hormuz: Why does Iran threaten to close it?
https://www.euronews[...]
2020-05-10
[12]
논문
Not Time to Attack Iran: Why War Should Be a Last Resort
2012
[13]
논문
Iran's Military Capability: The Structure and Strength of Forces
2019
[14]
웹사이트
Iran Deploys Missiles Covering The Strait Of Hormuz
https://www.forbes.c[...]
2020-05-10
[15]
서적
"Left of Splash" Legal Issues Related to the Use of Force to Counter Mining in the Strait of Hormuz. In: Schildknecht, J., Dickey, R., Fink, M. & Ferris, L. (eds.) Operational Law in International Straits and Current Maritime Security Challenges
Springer
[16]
서적
Independence without Freedom: Iran's Foreign Policy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13
[17]
논문
Iran's Threat to the Strait of Hormuz: A Realist Assessment
2010
[18]
간행물
Deterring Iran after the Nuclear Deal
Rowman & Littlefield
[19]
웹사이트
Explainer: Could Iran close the Strait of Hormuz?
https://www.navytime[...]
2020-05-10
[20]
논문
The Strait of Hormuz: Assessing and Neutralizing the Threat.
2012
[21]
문서
地政学事典
[22]
웹사이트
海上航路ネットワークとエネルギー資源の国際輸送におけるチョークポイント分析
http://www.gisa-japa[...]
地理情報システム学会
2024-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