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 라데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 라데크는 리투아니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독일어, 이디시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등 여러 언어에 능통했던 인물이다. 그는 14세부터 노동 운동에 참여하여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활동했으며, 1905년 혁명에 참여했다가 감옥 생활을 하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반전 운동을 펼쳤고, 10월 혁명 이후에는 볼셰비키 활동에 참여하여 독일 공산당 결성을 지원했다. 이후 코민테른의 주요 직책을 맡았지만, 독일 혁명 실패와 좌익 반대파 활동으로 실각과 복권을 반복했다. 대숙청 시기에 반역 혐의로 기소되어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했으며, 1988년 사후 복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공산주의자 - 엘프리데 옐리네크
엘프리데 옐리네크는 1946년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소설가, 극작가, 시인으로, 마르크스주의적 시각과 여성의 성, 권력 관계를 다룬 작품으로 유명하며 1998년 게오르크 뷔히너 상과 200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오스트리아의 공산주의자 - 한스 아이슬러
한스 아이슬러는 정치적 신념을 음악에 담아 노동 운동과 사회 변혁에 기여한 오스트리아 태생 독일 작곡가로, 쇤베르크에게 사사 후 브레히트와 협력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나치 정권과 매카시즘을 거쳐 동독에서 국가를 작곡하며 사회주의 국가 건설에 기여했다. - 폴란드의 혁명가 - 레오 요기헤스
레오 요기헤스는 폴란드계 유대인 혁명가이자 사회주의 운동가로, 러시아 제국에서 초기 사회주의 운동을 조직하고 로자 룩셈부르크와 함께 폴란드 왕국 사회민주주의를 창립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스파르타쿠스단의 지하 활동을 이끌다가 암살당했다. - 폴란드의 혁명가 - 펠릭스 제르진스키
펠릭스 제르진스키는 볼셰비키 혁명에 기여하고 비밀경찰 체카를 창설하여 적색 테러를 자행하며 공포 통치를 펼쳤으며, 소련 정부의 요직을 역임했으나 냉전 종식 후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 우크라이나의 혁명가 - 스테판 반데라
우크라이나의 극우 민족주의자이자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의 지도자였던 스테판 반데라는 우크라이나 독립 운동, 나치 독일 협력, 소련 KGB 암살 등으로 점철된 논란의 인물이다. - 우크라이나의 혁명가 - 니콜라이 기칼로
니콜라이 기칼로는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러시아 제국군 군의관으로 복무하다가 볼셰비키에 가입하여 붉은 군대를 지휘했으며,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했으나 대숙청으로 사형당했다가 사후 복권되었다.
카를 라데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카롤 소벨손 |
출생 | 1885년 10월 31일 |
출생지 | 렘베르크, 오스트리아-헝가리 |
사망 | 1939년 5월 19일 |
사망지 | 베르흐네우랄스크,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
국적 | 폴란드 |
시민권 | 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연방 |
직업 | 혁명가, 작가, 저널리스트, 평론가, 정치가, 이론가 |
활동 기간 | 1904년–1939년 |
배우자 | 로자 마브리키예브나 라데크 라리사 미하일로브나 레이스네르 |
자녀 | 소피야 카를로브나 라데크 |
경력 | |
소속 정당 | SDKPiL SPD KPD KAPD VKP(b) |
소속 단체 | 코민테른 |
기타 | |
영향 | 마르크스주의 혁명 운동 |
2. 생애
카를 라데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렘베르크(현재 우크라이나 리비우)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폴란드와 소련의 마르크스주의 혁명가이자 언론인이다. 본명은 '''Karol Sobelsohndeu'''이다. 젊은 시절부터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왕국 사회민주당(SDKPiL)과 독일 사회민주당(SPD)에서 활동했으며, 1905년 러시아 혁명에도 참여했다가 투옥되기도 했다.
제1차 세계대전 중에는 스위스에서 레닌 등 볼셰비키 지도자들과 교류하며 국제적인 반전 운동을 펼쳤고, 좌파 언론인으로서 명성을 얻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에 가담하여 러시아로 갔으며,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협상에 참여하고 코민테른 창설에 기여했다. 이후 독일 공산당(KPD) 창당을 지원하고 코민테른의 주요 간부로 활동하며 1923년 독일 혁명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920년대 중반 스탈린과의 정치적 갈등 속에서 좌익 반대파에 가담하여 트로츠키를 지지했다. 이로 인해 당 중앙위원회 위원직 등에서 해임되고 추방되었으나, 1929년 스탈린에게 전향하여 복권되었다. 1930년대 초반에는 당 중앙위원회 국제 정보국을 이끌고 1936년 소련 헌법 제정에도 참여했지만, 대숙청 시기에 다시 트로츠키파로 몰려 체포되었다. 1937년 모스크바 재판에서 반역 혐의를 일부 인정하고 10년의 강제 노동형을 선고받고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
처음에는 수용소에서 동료 죄수와의 다툼으로 사망했다고 알려졌으나, 흐루쇼프 시대에 내무인민위원회 요원에 의해 암살당한 사실이 밝혀졌다.[18] 1988년 고르바초프 시대에 소련 최고법원에 의해 공식적으로 명예가 회복되었다.
2. 1. 초기 생애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렘베르크(현재 우크라이나 리비우)에서 리트바크(리투아니아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카롤 조벨존'''(Karol Sobelsohnde)이다. 아버지 베른하르트는 우체국에서 근무했으며, 라데크가 어렸을 때 사망했다.[10] 독일어를 모어로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이디시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등 여러 언어에 능통했다. '라데크'라는 가명은 스테판 제롬스키의 소설 ''시지포스의 노동''(1897)에 등장하는 인물 '안제이 라데크'에서 따온 것이다.[10]크라쿠프 대학교와 베른 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14세 무렵부터 갈리치아에서 노동 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1904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왕국 사회민주당(SDKPiL)에 가입했다. 1905년 러시아 혁명 때는 바르샤바에서 혁명 활동에 참여했으며, 당 기관지 ''Czerwony Sztandar|체르보니 슈탄다르pl''의 책임자였다.[11] 이 시기 활동으로 인해 체포되어 1년간 러시아 감옥에서 복역했다. 1908년 망명하여 라이프치히, 브레멘 등지에서 독일 사회민주당 관련 신문 편집에 참여하며 극좌파로 활동했다.
2. 2. 초기 정치 활동
오스트리아-헝가리 렘베르크(현재의 우크라이나 리비우)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카롤 조벨존'''(Karol Sobelsohnde)이다. 독일어를 모어로 사용한 것으로 보이나, 이디시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등도 능숙하게 구사했다. "라데크"라는 가명은 좋아했던 스테판 제롬스키의 소설 등장인물에서 따왔다고 한다. 크라쿠프 대학교와 베른 대학교에서 공부했다.14세부터 노동 운동에 참여했으며, 처음에는 갈리치아에서 활동했다. 1898년부터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당원이었고, 1904년에는 폴란드 왕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사회민주주의(SDKPiL)에 입당했다. 바르샤바에서 1905년 혁명에 참가했다가 러시아 당국에 체포되어 1년간 감옥 생활을 했다. 1908년에 망명하여 이후 4년 동안 독일의 라이프치히, 브레멘 등지에서 독일 사회민주당이 발행하는 독일어 신문의 편집에 종사했으며, 독일 사회민주당에서는 극좌파로 활동했다.
2. 3. 독일에서의 활동
1907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왕국 사회민주당(SDKPiL) 활동 중 체포되었다가 탈출한 라데크는 독일 라이프치히로 이주하여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했다. 그는 당의 지역 신문인 Leipziger Volkszeitung|라이프치거 폴크스차이퉁de에서 활동하며 좌파적 입장을 대변했다.[11] 1911년에는 브레멘으로 이주하여 Bremer Bürgerzeitung|브레머 뷔르거차이퉁de에서 일했으며,[11] 1912년 5월에는 SPD의 주요 이론지 Die Neue Zeit|디 노이에 차이트de에 카를 카우츠키의 제국주의 분석을 비판하는 글을 기고하는 등 활발한 이론 활동을 펼쳤다.[11]그러나 1910년 9월, 라데크는 폴란드 사회주의당(PPS)의 일부 세력으로부터 과거 동지들의 물품을 훔쳤다는 반유대주의적 비난에 휩싸였다. 당시 SDKPiL의 지도자였던 로자 루셈부르크와 레오 요기헤스는 이러한 비난에 맞서 라데크를 적극적으로 변호했다. 하지만 1911년, SDKPiL 내부에서 요기헤스와 블라디미르 레닌 사이의 노선 갈등이 격화되면서 상황이 변했다. 라데크를 포함한 젊은 당원들이 레닌을 지지하자, 요기헤스는 과거의 절도 혐의를 다시 문제 삼아 라데크를 압박했다. 요기헤스는 1911년 12월 당 위원회를 소집해 조사를 시작했고, 1912년 8월에는 당 법원을 통해 라데크를 SDKPiL에서 제명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 과정에서 라데크의 본명까지 공개되어 그의 안전을 위협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3]
1912년, 아우구스트 탈하이머의 초청으로 라데크는 괴핑겐으로 이주하여 재정난에 시달리던 지역 SPD 신문 Freie Volkszeitung|프라이에 폴크스차이퉁de의 운영을 맡았다. 그는 신문에 비판적인 지역 당 지도부가 신문의 재정난을 방치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3]
1913년, 독일 사회민주당(SPD) 당 대회는 SDKPiL에서의 제명을 이유로 라데크의 당원 자격을 소급하여 박탈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제2 인터내셔널의 규정, 즉 자매 정당에서 제명된 인물은 다른 회원 정당에 가입할 수 없다는 원칙에 따른 것이었다. 그러나 이 결정에 대해 당내 좌파인 안톤 판네쿠크와 카를 리프크네히트를 비롯하여, 국제 사회주의 운동의 주요 인물인 레온 트로츠키와 블라디미르 레닌 등 많은 이들이 절차와 정치적 의도에 문제를 제기하며 반대했다.[3][11]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라데크는 일관되게 전쟁에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그는 스위스 언론에 '파라벨룸'(Parabellum)이라는 필명으로 통렬한 반전 논문을 기고하며 국제적인 반전 운동에 기여했다. 이 시기 스위스에서 블라디미르 레닌을 비롯한 볼셰비키 지도자들과 교류하며 관계를 맺었다.
2. 4.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라데크는 일관되게 전쟁 반대 입장을 취했고, 오스트리아 군대 징집을 피해 스위스로 이주했다. 스위스에서 그는 레닌과 브레멘 좌파 사이의 연락 담당자로 활동했으며, 독일 활동 시절부터 긴밀한 관계를 맺어온 브레멘 좌파의 파울 레비를 레닌에게 소개하기도 했다.[11] 그는 1915년 짐머발트 회의에 참여하여 짐머발트 좌파의 입장을 지지했다.[11]
전쟁 기간 동안 라데크는 1916년 아일랜드 부활절 봉기를 두고 레닌과 논쟁을 벌였다. 레닌은 봉기가 대영 제국에 타격을 입힌 사건으로 보고 이를 지지했으나, 라데크는 신 페인 운동을 소부르주아적으로 평가하며 반대 입장을 취했다. 그는 아일랜드 농민층이 이미 영국 정부에 의해 회유되었다고 보았으며, 아일랜드어 복원 노력 등을 "중세적"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레프 트로츠키는 이 논쟁에서 라데크와 레닌 사이의 중간적인 입장을 보였다.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 이후, 라데크는 레닌을 비롯한 다른 러시아 혁명가들과 함께 독일을 경유하는 밀봉 열차에 탑승하여 러시아로 향했다.[11] 그러나 러시아 입국이 거부되자[11] 스톡홀름으로 이동하여 활동했다. 그는 이곳에서 볼셰비키 관련 문서와 정보를 독일어로 번역하고 제작하여 ''Russische Korrespondenz-Pravda''와 ''Bote der Russischen Revolution'' 등의 정기간행물을 통해 배포했다.[11]
10월 혁명과 러시아 내전이 시작된 후, 라데크는 페트로그라드에 도착하여 외무 인민 위원회 부위원장직을 맡았다. 그는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협상에 트로츠키와 함께 참여했으며, 독일군과 전쟁 포로들을 대상으로 볼셰비키 선전물을 배포하는 임무를 담당했다.[11] 또한 독일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러시아 혁명을 옹호하는 내용의 팸플릿을 제작하여 독일 병사들에게 배포하기도 했다. 조약 체결을 둘러싼 논의 과정에서 라데크는 혁명 전쟁을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1]
2. 5. 코민테른과 독일 혁명

볼셰비키 정권의 공식 대표로 인정받지 못한 후,[11] 카를 라데크는 아돌프 요페, 니콜라이 부하린, 크리스티안 라코프스키 등 다른 대표들과 함께 독일 소비에트 회의에 참석하려 했으나 국경에서 입국이 거부되었다.[2] 이에 라데크는 1918년 12월 홀로 독일 국경을 불법으로 넘어 베를린에 도착했고,[3] 독일 공산당(KPD) 창당을 위한 논의와 회의에 참여했다.[2] 그는 스파르타쿠스단과 접촉하여 망설이던 로자 룩셈부르크 등을 설득해 KPD 창당을 이끌었으며, 1918년 말 열린 창립 대회에도 참석했다.
1919년 1월 스파르타쿠스단 봉기 이후, 라데크는 2월 12일에 체포되어 1920년 1월까지 모아비트 감옥에 수감되었다.[2] 수감 기간 동안 독일과 러시아 등 베르사유 조약으로 어려움을 겪던 국가들 간의 연대 가능성이 모색되면서, 라데크는 감옥에서 발터 라테나우, 아르투어 홀리처, 엔베르 파샤, 루스 피셔 등 다양한 독일 인사들과 만날 수 있었다.[4][5]
석방 후 러시아로 돌아온 라데크는 코민테른의 비서가 되어 독일 문제에 대한 주요 책임을 맡았다. 그는 독일 공산주의 노동자당 대표들의 제2차 코민테른 회의 초청에 반대하며 KPD를 지지했으나, 이로 인해 코민테른 집행부 및 소련 공산당과 대립하게 되어 비서직에서 해임되었다.[11] 그는 슈투트가르트 공산주의자들이 제안한 다른 노동계급 조직과의 통일 전선 전략을 채택했으며, 이는 이후 코민테른의 주요 전략으로 발전했다.[6]
1923년 중반, 프랑스군의 루르 점령에 저항 운동을 벌이다 처형된 독일 프라이코르 장교 레오 슐라게터 사건이 발생하자, 라데크는 공산주의 인터내셔널 집행위원회(ECCI) 공개 회의에서 '레오 슐라게터: 허무로의 방랑자'[7]라는 제목의 논란적인 연설을 했다.[10] 이 연설에서 그는 슐라게터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슐라게터와 같은 민족주의적 인물들의 불만을 맹목적 애국심에서 공산주의 운동 지지로 유도하려 시도했다.[10] 이는 우익 민족주의 세력과의 연대를 모색한 '민족 볼셰비즘' 노선의 일환으로 평가받는다.
1923년 11월 함부르크 봉기가 취소될 당시 라데크는 켐니츠에 없었으나, 이후 KPD 중앙위원회의 결정을 승인하고 옹호했다.[8] 그러나 독일 혁명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이후 그리 고리 지노비예프는 러시아 공산당 및 ECCI 회의에서 혁명 실패의 책임을 라데크와 하인리히 브란들러에게 돌렸고, 라데크는 결국 코민테른 제5차 대회에서 ECCI 위원직에서 해임되었다.[10]
2. 6. 좌익 반대파 활동과 몰락
1923년 코민테른 대표 자격으로 독일로 돌아가 제2차 공산혁명을 준비했으나 봉기가 실패하자, 스탈린은 그에게 책임을 물어 코민테른 서기 및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직에서 해임시켰다. 같은 해, 라데크는 좌익 반대파에 가담했으며, 레닌이 뇌졸중으로 쓰러진 직후 '레온 트로츠키: 승리의 조직자'라는 글을 발표하며 트로츠키를 지지했다.[9][10] 그 해 말 제13차 당대회에서 라데크는 중앙위원회에서 다시 해임되었다.[10] 1924년에는 중앙 위원 자격을 완전히 잃고 트로츠키와 더욱 긴밀히 제휴했다.1925년 여름, 라데크는 정치적으로 덜 민감한 자리인 모스크바 쑨얏센 대학교의 초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10] 그는 학생들을 통해 중국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코민테른의 공식 정책에 조심스럽게 이의를 제기했다.[10] 그러나 그의 연인이자 동료 혁명가였던 라리사 레이스너가 1926년 불치병으로 사망하자[10] 라데크는 점차 자제력을 잃고 공산 아카데미 등에서 스탈린의 일국 사회주의 노선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기 시작했다.[10] 결국 1927년 5월, 그는 쑨얏센 대학교 총장직에서 해임되었다.[10]

1927년, 라데크는 레닌그라드에서 그리고리 지노비예프와 함께 10월 혁명 10주년을 기념하는 반정부 시위를 조직하는 것을 도왔고, 이로 인해 당에서 제명되었다.[1] 1928년 초, 다른 저명한 반대파들과 함께 소련 내 외딴 지역으로 추방되었는데, 라데크는 처음 토볼스크로 보내졌다가[11] 몇 달 후 톰스크로 이송되었다.[10]
1929년 7월 10일, 라데크는 다른 반대파인 이바르 스밀가, 예브게니 프레오브라젠스키와 함께 스탈린에게 항복하는 문서에 서명하며 전향했다.[12] 그는 터키에 망명 중이던 트로츠키의 비밀 서신을 전달하려던 야코프 블룸킨을 당국에 밀고하여 반대파 동지들 사이에서 큰 비난을 받았다.[13]
1930년 당에 복귀한 라데크는 러시아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국제 정보국을 이끌었고, 1934년 소비에트 작가 연맹 제1차 회의에서 외국 문학에 대한 연설을 하는 등 한동안 당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유지했다.[13][10] 이 연설에서 그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작품을 "낡은 세계가 어떤 행동도 할 수 없는 옴이 생긴 개처럼 햇볕 아래서 뒹굴며 끊임없이 상처를 핥는 것"에 비유하고,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를 "현미경을 통해 영화 촬영 장치로 촬영한 벌레가 기어 다니는 똥 무더기"라고 혹평했다.[14]
만년에는 소련 정부가 독일과 가까워져야 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1934년 그는 한 독일 정치인과의 인터뷰에서 양국 정부의 적대적인 분위기를 개탄하며 "SA와 SS에도 좋은 청년들이 있다"는 논란이 된 발언을 하기도 했다.[15] 1936년에는 미하일 투하체프스키와 함께 독일이 라인란트 재무장을 단행한 날 에른스트 쾨스트링 장군에게 축하 인사를 보내기도 했다.[16] 그는 1936년 소련 헌법 제정 작업에도 참여했지만, 1930년대 대숙청의 광풍 속에서 다시 트로츠키파로 몰려 실각했다. 두 달 반의 혹독한 심문 끝에[13] 1937년 제2차 모스크바 재판(17인 재판)에서 반역 혐의를 자백했고, 10년의 강제 노동형을 선고받았다.
2. 7. 사망과 복권
1937년 제2차 모스크바 재판에서 반혁명 음모 혐의로 10년 유배형을 선고받고[24] 베르흐네우랄스크의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 당초에는 그가 수용소에서 동료 죄수와의 다툼 끝에 1939년 사망했다고 알려졌으나[17], 흐루쇼프 시대 스탈린 격하 운동 과정에서 내무인민위원회(NKVD) 요원에 의해 암살당한 사실이 밝혀졌다.[18]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KGB의 조사 결과, 이 암살은 NKVD 고위 간부 표트르 쿠바트킨의 지시로 조직적으로 이루어졌음이 드러났다.[18]이후 수십 년이 지나 미하일 고르바초프 시대인 1988년, 라데크는 소련 최고법원에 의해 공식적으로 사면되어 부하린 등 다른 숙청 피해자들과 함께 명예를 회복했다.
3. 저서
주요 저서로는 《독일혁명》(3권, 1918)과 《코민테른의 5년간》(2권, 1924)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수의 저작을 남겼다.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09/03/unity.htm 노동계급의 단결] (1909)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14/xx/war.html 마르크스주의와 전쟁의 문제] (1914)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16/05/1916rising.htm 노래의 종말] (1916)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18/xx/devsoc.html 과학에서 행동으로의 사회주의의 발전] (1918)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19/01/liebknecht.htm 카를 리프크네히트 – 순교자의 묘 앞에서] (1919)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19/11/06.htm 반의회주의] (1920)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0/dictterr/index.htm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테러] (1920)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0/07/labour-and-third.htm 노동 운동, 상점 위원회 및 제3 인터내셔널] (1920)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0/07/polish.htm 폴란드 문제와 국제 문제] (1920)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0/07/01.htm 영국과 동방] (1920)
- [https://www.marxists.org/history/ussr/government/pravda/1920/10/24.htm 버트런드 러셀의 감상적인 여정] (1921)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1/12/russrev1.html 러시아 혁명은 부르주아 혁명인가?] (1921)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1/05/downfall_levi.htm 레비의 몰락] (1921)
- [https://www.marxists.org/history/international/comintern/2nd-congress/ch09.htm#v2-p62 노동조합에 관하여], 코민테른 제2차 대회, 토론에 대한 응답 (1921)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1/10/outline.htm 세계 정치 개요] (1921)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2/paths/index.html 러시아 혁명의 길] (1922)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2/ci/two-half.htm 2와 1/2 인터내셔널의 기초] (1922)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2/ci/fusion.htm 제2인터내셔널과 2와 1/2 인터내셔널의 융합 직전] (1922)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2/ci/essen.htm 헤이그에서 에센까지] (1922)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2/10/21.htm 그리스 혁명] (1922)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2/versailles/index.html 베르사유 조약의 정리], 코민테른 제4차 대회 보고서 (1922)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3/xx/trotsky.htm 레프 트로츠키, 승리의 조직자] (1923)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3/xx/ruhr.htm 루르와 함부르크] (1923)
- [https://www.marxists.org/history/international/comintern/sections/britain/periodicals/communist_review/1923/01/lenin.htm 레닌] (1923)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3/06/international-outlook.htm 국제 전망] (1923)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3/06/schlageter.htm 레오 슐라게터: 공허 속으로의 방랑자] ("슐라게터 연설") (1923)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3/07/fascism.htm 파시즘과 공산주의] (1924)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4/xx/train.htm 봉인된 마차로 독일을 지나] (1924)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6/november/index.html 11월: 회고의 페이지] (1926)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6/12/zetkin.htm 클라라 체트킨에게 보내는 편지] (1926)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7/xx/reisner.htm 라리사 라이스너] (1927)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28/10/trotsky.htm 트로츠키를 위한 호소] (1928)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31/xx/capslavery.htm 자본주의적 노예 제도 대 사회주의적 노동 조직] (1931)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31/01/rolland.htm 로맹 롤랑에게 보내는 인사] (1931)
- 베르사유 조약의 수정 (Labour Monthly, 1933)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34/birth-international.htm 제1인터내셔널의 탄생] (1934)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34/communist-international.htm 공산주의 인터내셔널 15주년] (팸플릿) (1934)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34/sovietwritercongress.htm 현대 세계 문학과 프롤레타리아 예술의 과제], 소비에트 작가 회의 연설 (1934)
- [https://www.marxists.org/archive/radek/1935/dzerzhinski.htm 펠릭스 제르진스키] (1935)
4. 평가 및 유산
라데크는 러시아 혁명기의 팸플릿 작가로서 서유럽에 잘 알려진 인물이었다. 러시아 혁명 이전에는 국제주의자로서 레닌의 민족 자결론에 반대하며, 사회주의자는 민족 분열을 없애기 위해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체결 당시에는 독일과의 단독 강화에 반대하고 제국주의 독일에 맞선 혁명 전쟁을 주장했다.
라데크의 초기 경력과 정치적 지향은 로자 룩셈부르크와 매우 유사했으나, 기질의 차이로 인해 두 사람은 갈등했다. 룩셈부르크는 평생 라데크를 싫어했으며, 라데크가 폴란드를 떠나기 전 노동조합 자금을 횡령했다는 소문까지 믿었던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혁명 직전 스톡홀름에서의 활동을 두고, 그가 어떤 혁명을 어떻게 추진하려 했는지 불분명하다는 평가도 있다. 1919년 독일 감옥에서는 비공식적으로 후한 대우를 받으며 독일 각계 대표들과 면회하기도 했다. 이 면담의 구체적인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역사가 E.H. 카는 라데크가 이후 독일-소련 간의 협력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스탈린은 "라데크의 이성을 지배하는 것은 혀다"라는 말로 그를 평가했다. 트로츠키는 1918년에 "라데크의 활기 넘치는 지력과 정치적 성실을 신뢰한다"고 평가했지만, 그와의 제휴는 오래가지 못했다.
1929년 OGPU의 공작원 야코프 블룸킨이 터키로 망명한 트로츠키를 비밀리에 방문했다가 체포되어 처형된 사건과 관련하여, 트로츠키가 블룸킨에게 라데크 앞으로 보내는 소포를 맡겼다는 정황 증거 때문에 라데크가 밀고했을 것이라는 추정이 있다. 또한 1937년 숙청 재판(제2차 모스크바 재판)에서 비교적 가벼운 판결을 받은 점을 들어, 그가 부하린 등 다른 인물들을 밀고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제2차 모스크바 재판에서 라데크가 사형을 면한 이유에 대해, 전 소련 공산당원이었던 다카야 가쿠조는 라데크가 미국의 소련 승인 과정에 큰 역할을 했기 때문에, 그를 사형시킬 경우 미국의 반감을 사 미·소 국교가 파탄 날 위험을 스탈린이 고려했기 때문이라는 견해를 제시했다.
참조
[1]
서적
My Life: An Attempt at an Autobiography
Pathfinder
1970
[2]
웹사이트
Karl Radek: November (Introduction by E.H. Carr)
https://www.marxists[...]
2019-10-14
[3]
서적
Rosa Luxemburg
Oxford University Press
1969
[4]
간행물
Karl Radek in Berlin : ein Kapitel deutsch-russischer Beziehungen im Jahre 1919
http://library.fes.d[...]
2019-05-01
[5]
서적
Stalin and German Communism: A Study in the Origins of the State Party
Transaction Publishers
2006
[6]
간행물
Spartacism, Bolshevism and Ultra-Leftism in the Face of the Problems of the Proletarian Revolution in Germany (1918–1923)
https://www.marxists[...]
1972
[7]
웹사이트
Karl Radek: "Schlageter Speech" (June 1923)
https://www.marxists[...]
2019-10-14
[8]
서적
The German Revolution, 1917–1923
Haymarket Books
2006
[9]
웹사이트
Karl Radek: Leon Trotsky, Organizer of Victory (1923)
https://www.marxists[...]
2019-10-14
[10]
서적
The Last Internationalist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0
[11]
간행물
The Bolshevik-Leninist Faction
https://www.marxists[...]
1988
[12]
서적
The Challenge of the Left Opposition
Mehring Books
1981
[13]
서적
1937: Stalin's Year of Terror
Mehring Books
1998
[14]
서적
Fear and the Muse Kept Watch
The New Press
2015
[15]
웹사이트
Last of the War Criminals:The Mystery of Erich Koch
https://www.commenta[...]
2020-08-30
[16]
간행물
New 'Evidence' against Marshal Tukhachevsky
1974
[17]
서적
The House of Government : a saga of the Russian Revolution
https://www.worldcat[...]
2017-08-07
[18]
웹사이트
Сталинский заказ. Как убивали Сокольникова и Радека. Поименно, лично и отдельно. Правда ГУЛАГа
https://novayagazeta[...]
2022-01-08
[19]
서적
Our Own Peop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
문서
라틴文字化|ラテン文字表記の例
[21]
뉴스
中央執行委員からも除名『東京日日新聞』昭和3年1月4日(『昭和ニュース事典第1巻 昭和元年-昭和3年』本編p362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刊 1994年)
[22]
뉴스
トロツキーら反革命で流刑『東京朝日新聞』昭和3年1月18日(『昭和ニュース事典第1巻 昭和元年-昭和3年』本編p362 )
[23]
뉴스
公判廷でスパイ行為を認める陳述『東京朝日新聞』(昭和12年1月26日)『昭和ニュース事典第6巻 昭和12年-昭和13年』本編p340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刊 1994年
[24]
뉴스
十三人を銃殺、ラデックは流刑の判決『大阪毎日新聞』(昭和12年1月30日)『昭和ニュース事典第6巻 昭和12年-昭和13年』本編p341
[25]
문서
コミンテルンは挑戦する P.243 高谷覚蔵 193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