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군정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의 군정기는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한반도가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된 시기를 의미한다. 미국은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남한을, 소련은 북한을 각각 점령하여 군정을 실시했다. 미국은 한국의 독립 능력에 회의적이었고, 신탁통치안을 추진했으나, 소련군의 한반도 진주로 인해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이후 모스크바 3상 회의에서 신탁통치안이 제시되자, 찬탁과 반탁으로 나뉘어 좌우 대립이 격화되었고, 미소공동위원회는 결렬되었다. 1948년 남한에서 단독 총선거가 실시되어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고, 북한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분단이 고착화되었다.
1945년 5월 나치 독일이 항복한 후, 미국은 일본 제국 본토 공격을 계획하면서 소련의 참전을 유도했다. 미국은 한반도를 단독 점령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고, 한국의 독립 능력에 회의적이었다. 미국은 전후 뉴 월드 오더 구상에 따라 한국을 강대국 관리 하에 두는 신탁통치안을 추진했다.[19]
1945년 8월, 소비에트연방군은 한반도 북부에, 미군은 필리핀에 주둔하며 한반도 남쪽에 진주하였다. 당시 미국은 소련이 한반도에 야심을 갖고 있다고 판단했으나,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묵살했다.[20] 여운형은 건국준비위원회를 결성하여 독립을 준비했으나, 미군정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21] 조선총독부는 미군에게 남한 주민들이 소련 편이며 일본인에게 횡포를 부린다는 거짓말을 하여 미군의 통제를 강화했다.[21]
2. 배경
1945년 8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되고 소련이 참전하면서 일본은 항복했다. 얄타 회담에서 미국, 영국, 소련은 전후 조선을 4개국(미, 영, 중, 소)의 신탁통치 하에 두는 것을 결정했다.[4] 소련군의 한반도 진입으로 미국의 계획에 차질이 생겼고, 38선을 경계로 남쪽에는 미군, 북쪽에는 소련군이 진주하게 되었다.
2. 1. 38선 획정
1945년 5월 초 나치 독일 항복 이후, 미국은 소비에트연방군의 참전을 유도했다. 당시 미국은 한반도를 단독 점령할 의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소련이 8월 8일 선전포고를 하고 한반도에 진입을 시도하자 8월 9일 나가사키에 핵무기를 투하하여 일본의 항복을 재촉했다. 그러나 소련은 8월 11일 선봉을 점령하고, 8월 13일~8월 15일 청진 전투를 벌이는 등 8월 15일 일본 제국이 항복했음에도 미국의 한반도 단독 점령은 불가능해졌다.[20]
8월 13일 미국의 주 모스크바 특사 폴리와 주소련 대사 해리먼은 소련의 한반도 점령을 막기 위해 조선 및 만주의 신속한 점령을 트루먼 대통령에게 건의했다. 그러나 8월 14일 일본이 포츠담 선언을 수락했을 때, 이미 소련군은 만주와 조선 북부에 진주를 시작했고, 주력이 필리핀에 있던 미군을 즉시 투입하는 것은 비현실적이었다.
결국 국무·육군·해군 조정 위원회의 딘 러스크와 찰스 H. 본스틸 3세는 한반도가 소련에 점령되는 것을 막기 위해 북위 38도선으로 미·소의 점령 지역을 분할하는 안을 제시했고, 8월 14일 트루먼 대통령의 승인을 받았다. 8월 16일 소련은 이 안에 동의했다.
3. 정치
소련군 진주 초기, 북한에서는 약탈과 폭력이 만연했다. 소련군 장교는 "조선사람 절반을 교수형에 처하겠다"는 극언을 하기도 했다.[22]
1946년 3월, 서울에서 미소공동위원회가 열렸으나, 미국은 친미적인 통일을, 소련은 친소적인 통일을 원했기 때문에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1946년 5월 6일 무기한 휴회에 들어갔다.[24][25] 이승만의 '정읍발언'으로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 움직임이 본격화되자, 중도파 세력들은 여운형, 김규식, 안재홍 등을 중심으로 1946년 7월 좌우합작위원회를 결성하고 좌우합작운동을 추진했다. 그러나 우익의 한민당과 좌익의 박헌영과 남로당 세력은 참여하지 않았다.
1946년 5월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은 미군정과 조선공산당의 정면 충돌을 야기했고, 이후 9월 총파업과 대구 10.1 사건이 발생하였다.
미소공동위원회가 무기한 휴회에 들어가자, 미군정은 38선 이남 지역에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을 설치하여 1946년 12월 12일 개원하였다.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은 미군정에 대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남조선과도입법의원법, 하곡수집법, 미성년자노동보호법, 민족반역자·부일협력자·간상배에 대한 특별법 등을 제정했다.
좌우합작운동은 초기에 미군정의 지원을 받았으나, 1947년 3월 미군정의 지원이 철회되면서 중도파 세력만의 운동으로 축소되었다. 1947년 7월 19일에는 여운형이 암살되면서 좌우합작운동은 구심점을 잃게 되었다.
미소공동위원회는 1947년 8월 아무런 합의 없이 해산되었다. 미국은 1947년 9월 유엔 총회에 한국 문제 해결을 요청했고, 유엔을 통해 독자적인 한국 정부 수립을 추진했다.[26] 1947년 11월 총회에서 미국의 한국 통일 결의안이 통과되었다.[27]
1947년, 미국은 한국 문제를 유엔에 이관했고, 유엔은 남한 단독 선거를 결의했다.[14][15] 1948년 남한에서는 5.10 총선거를 통해 제헌 국회가 구성되었고,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하는 대한민국이 수립되었다.[17][18] 같은 해 북한에서는 김일성을 지도자로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48년 4월, 제주도에서는 남한 단독 정부 수립에 반대하는 제주 4.3 사건이 발생했고, 이 과정에서 많은 민간인이 학살당했다.
3. 1. 미국과 소련의 진주
1945년 8월, 소비에트연방군은 한반도 북부에 진입했고, 미군은 필리핀에 주둔하고 있어 한반도 진입이 늦어졌다.[20] 당시 미국의 모스크바 특사 에드윈 폴리와 소비에트연방 대사 해리먼은 8월 13일 트루먼 대통령에게 소비에트 연방이 한반도에 야심을 갖고 있으니 당장 한반도 전역과 만주를 점령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이미 소련군은 한반도 동북부를 폭격하고 있었고, 미군은 필리핀에 위치해 있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이유로 묵살되었다. 결국, 한반도 남쪽에는 미군이, 북쪽은 소련군이 진주하였다.
1945년 8월, 여운형은 건국준비위원회를 결성하여 독립을 준비했으나, 미군정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21] 조선총독부는 미군에게 남한 주민들이 소련 편이며, 일본인에게 횡포를 부린다는 거짓말을 하여 미군의 통제를 강화했다.[21]
소련군 진주 초기, 북한에서 약탈과 폭력이 만연했고, 소련군 장교는 "조선사람 절반을 교수형에 처하겠다"는 극언을 하기도 했다.[22] 1945년 8월 26일 평양비행장에 도착한 소련 극동군 연해주군관구 25군 사령관 치스차코프는 자신들을 ‘해방군’으로 규정하며 “조선 인민들이여, 여러분은 자유와 독립을 찾았다. 행복은 이제 여러분 손 안에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보고서에 따르면 치스차코프 사령관은 북한에서 소련군이 한 약탈과 관련해 봉기가 일어난다면 “조선사람 절반을 교수형에 처하겠다.”는 극언을 서슴지 않았다고 한다. 또 258 소총사단장 드미트리예프 대좌는 “조선사람은 35년간 노예로 있었다. 좀 더 노예로 있게 하자”는 말도 남겼다고 보고서는 기록하고 있다.[22]
3. 2. 미소공동위원회와 좌우합작운동
1946년 3월, 서울에서 한국의 통일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과 소련의 대표들이 모여 미소공동위원회를 열었다.[24] 그러나 미국은 친미적인 통일을, 소련은 친소적인 통일을 원했기 때문에 합의점을 찾기 어려웠다.[25] 결국 1946년 5월 6일, 미소공위는 무기한 휴회에 들어가며 1차 협상이 결렬되었다. 이 무렵 이승만의 '정읍발언'으로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 움직임이 본격화되자, 중도파 세력들은 남북 분단의 위기감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여운형, 김규식, 안재홍 등 중도파 정치인들은 1946년 7월 좌우합작위원회를 결성하고 좌우합작운동을 추진했다. 이들은 좌우 이념을 넘어 남북한이 통합된 중도적 성향의 임시 통일 정부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좌익과 우익 세력 간의 연대를 통해 합작을 이루고, 남북 연합을 추진하며, 최종적으로 미국과 소련을 설득하여 통일 임시 정부를 수립하고 미소공동위원회를 재개하려 했다. 그러나 우익의 한민당과 좌익의 박헌영과 남로당 세력은 참여하지 않았다.
1946년 5월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은 미군정과 조선공산당의 정면 충돌을 야기했다. 이후 9월 총파업과 대구 10.1 사건이 발생하였다.
미소공동위원회가 무기한 휴회에 들어가자, 미군정은 38선 이남 지역에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을 설치하여 1946년 12월 12일 개원하였다.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은 미군정에 대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남조선과도입법의원법, 하곡수집법, 미성년자노동보호법, 민족반역자·부일협력자·간상배에 대한 특별법 등을 제정했다.
좌우합작운동은 초기에 미군정의 지원을 받았으나, 1947년 3월 미군정의 지원이 철회되면서 중도파 세력만의 운동으로 축소되었다. 김규식, 여운형, 안재홍 등 중도파 인사들은 극우 및 극좌 세력으로부터 테러와 위협을 받았다. 1947년 7월 19일에는 좌우합작운동의 중심 인물이었던 여운형이 암살되면서 좌우합작운동은 구심점을 잃게 되었다.
미소공동위원회는 1947년 8월 아무런 합의 없이 해산되었다. 소련과의 협상에 실패한 미국은 신탁통치안을 철회하고 1947년 9월 유엔 총회에 한국 문제 해결을 요청했다. 미국은 유엔을 통해 독자적인 한국 정부 수립을 추진했다.[26] 당시 공산 블록을 제외한 대부분의 회원국들은 미국의 영향 아래 있었기 때문에, 미국의 한국 통일 결의안은 1947년 11월 총회에서 통과되었다.[27] 제2차 미소공위마저 결렬되면서 좌우합작운동도 실패로 끝났다.
3. 3. 남과 북의 정권 수립
1947년, 미국은 한국 문제를 유엔에 이관했고, 유엔은 남한 단독 선거를 결의했다.[14][15] 1948년, 북한에서는 김일성을 지도자로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같은 해 남한에서는 5.10 총선거를 통해 제헌 국회가 구성되었고,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하는 대한민국이 수립되었다.[17][18] 1948년 4월, 제주도에서는 남한 단독 정부 수립에 반대하는 제주 4.3 사건이 발생했고, 이 과정에서 많은 민간인이 학살당했다.
3. 4. 군사
1946년 1월 15일 미군정은 남조선국방경비대를 창설했고(1개 연대 병력), 이후 병력을 증강하여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대한민국 육군의 기반이 되었다.[30]
4. 경제와 사회
해방 직후 여론조사 결과, 대다수의 국민들은 사회민주주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46년 8월 미군정청 여론국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지지하는 이념에 관한 질문에 자본주의 14%, 공산주의 7%, 사회민주주의 70%로 조사되었다.[31] 동아일보의 해방 후 어떤 국가 수립을 원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8,453명 가운데 70%(6,037명)가 사회민주주의를, 7%(574명)가 공산주의를 선호한다고 답했다.[32]
미군정청의 문교 정책 자문기구로는 조선교육심의회가 있었고 "홍익인간의 건국이상"을 교육이념으로 정하고 6-3-3-4의 미국식 학제를 채택하였다. 1946년 7월부터 국립 서울대학교의 설립을 둘러싸고 국대안 파동이 일어났다. 미군정은 1945년 9월 7일부터 야간통행금지를 실시하여 이는 제5공화국 당시인 1982년 1월 5일 폐지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당시 화폐는 엔화에서 원화로 바뀌었다.
1946년 10월 이범석은 ‘국가지상, 민족지상’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우익 민족 청년 운동 단체인 조선민족청년단(족청)을 창설하였다. 1946년 11월 30일에는 선우기성이 서북청년회를 조직하여 우익 활동을 하였다.
1945년 11월 5일 허성택에 의해 남로당 계통의 노동조합인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이 세워졌다. 전평은 신탁통치 찬성운동으로 민족주의 진영으로부터 반발을 샀다. 그래서 1946년 3월 10일 우익계열 노동조합 중 하나로 대한독립촉성전국노동총동맹(한국노동조합총연맹의 전신)이 설립되었다.
5. 여론 조사
해방 직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는 여운형, 이승만, 김구, 박헌영 등이 차기 지도자로 거론되었다.
조선을 이끌어갈 지도자 - 선구 여론조사 | ||
---|---|---|
순위 | 이름 | 득표율 |
1위 | 여운형 | 33% |
2위 | 이승만 | 21% |
3위 | 김구 | 18% |
4위 | 박헌영 | 16% |
5위 | 이관술 | 12% |
6위 | 김일성 | 9% |
7위 | 최현배 | 7% |
8위 | 김규식 | 6% |
9위 | 서재필 | 5% |
10위 | 홍남표 | 5% |
백분율 합이 100%를 넘는 것은 복수 응답이 있었기 때문임. |
1946년 8월 11일, 한국여론협회는 종로, 본정 입구, 노량진에서 통행인 4782명을 대상으로 미군정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대다수는 식량 정책(53%)과 산업 운영 및 주택 관리(31%)에 불만을 나타냈다. 군정이 잘한 점에 대해서는 98%가 기권했으며, 2%만이 위생 시설을 꼽았다.
군정에 대하여 잘했다고 생각하는 점 | |||
---|---|---|---|
1위 | 기권 | 4686명 | 98% |
2위 | 위생 시설 | 96명 | 2% |
군정에 대하여 잘못했다고 생각하는 점 | |||
1위 | 식량 정책 | 2534명 | 53% |
2위 | 산업 운영과 주택 관리 | 1485명 | 31% |
1947년 7월 6일, 조선일보에 실린 조선신문기자회의 여론조사에서는 서울시내 주요 지점 10곳에서 통행인 2495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응답자의 대다수는 조선인민공화국 국호(70%), 인민위원회 정권 형태(71%), 무상몰수 무상분배 토지개혁 방식(68%)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호 | |||
---|---|---|---|
1위 | 조선인민공화국 | 1708표 | 70% |
2위 | 대한민국 | 604표 | 24% |
3위 | 기타 | 8표 | 1% |
4위 | 기권 | 139표 | 4% |
정권 형태 | |||
1위 | 인민위원회 | 1757표 | 71% |
2위 | 종래 제도 | 327표 | 14% |
3위 | 기타 | 262표 | 10% |
4위 | 기권 | 113표 | 5% |
토지개혁 방식 | |||
1위 | 무상몰수 무상분배 | 1673표 | 68% |
2위 | 유상몰수 유상분배 | 427표 | 17% |
3위 | 유상몰수 무상분배 | 260표 | 10% |
4위 | 기권 | 99표 | 5% |
6. 역대 통치자
이름 | 직책 | 재임 기간 |
---|---|---|
존 하지 | 미 육군 중장, 군정사령관 | 1893년 6월 12일 ~ 1963년 11월 12일 |
아치볼드 아놀드 | 미 육군 소장, 군정장관 | 1945년 9월 11일 ~ 1945년 12월 17일 |
아서 러치 | 미 육군 소장, 군정장관 | 1945년 12월 18일 ~ 1947년 9월 11일 (재직 중 사망) |
윌리엄 F. 딘 | 미 육군 소장, 군정장관 | 1947년 10월 30일 ~ 1948년 8월 15일 |
안재홍 | 민정장관, 과도입법위원회 의원 겸임, 윌리엄 F. 딘과 공동 통수권자 | 1947년 10월 30일 ~ 1948년 8월 15일 |
찰스 핼믹 | 미 육군 준장, 군정장관 직무대리 | 1948년 8월 15일 ~ 1949년 6월 |
6. 1. 38도선 이남

1948년 5월 10일 38선 이남에서는 미국의 제의에 따라 대한민국 제헌국회를 구성하기 위한 총선거가 실시되었으나, 소련의 반대로 남한에서만 실시되었다.[29] 이승만 대통령은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을 국내외에 선포하였다. 대한민국(제1공화국) 수립 이후 미군정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으나, 미국 정부가 대한민국 정부를 공식적으로 승인한 것은 1949년 1월이었다. 이후 1949년 6월까지 군정은 유지되었고, 군정장관 직무대리 찰스 핼믹은 군정장관 직무대리 겸 한국정부 고문단 대표로 활동하였다.
찰스 핼믹은 1949년 6월까지 군정장관 직무대리로 미군정을 이끌었다. 1948년 9월 15일 정권 이양 이후 미군정은 한국정부 군사고문단이라는 이름으로 7개월간 남한에 존속하였다. 한편 미군정청은 1946년 10월 10일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 의원 선거를 실시하여 12월부터 1948년 5월 30일 해체시까지 과도입법위원회를 운영하였다.
- 존 하지 (John Reed Hodge, 1893년 6월 12일 ~ 1963년 11월 12일): 미 육군 중장, 군정사령관
- 아치볼드 아놀드 (A. V. Arnold, 1945년 9월 11일 ~ 1945년 12월 17일): 미 육군 소장, 군정장관
- 아서 러치 (Archer L. Lerch, 1945년 12월 18일 ~ 1947년 9월 11일): 미 육군 소장 (재직 중 사망), 군정장관
- 윌리엄 F. 딘 (W. F. Dean, 1947년 10월 30일 ~ 1948년 8월 15일): 소장, 군정장관
- 안재홍 (1947년 10월 30일 ~ 1948년 8월 15일): 민정장관, 과도입법위원회 의원 겸임, 윌리엄 F. 딘과 공동 통수권자
- 찰스 핼믹 (Charles G. Helmick, 1948년 8월 15일 ~ 1949년 6월): 준장
1945년 8월 25일, 미국군이 인천에 상륙했고, 9월 7일 미국 극동군 사령부가 남조선에 군정을 실시할 것을 선언했다.[1] 같은 날, 야간 통행 금지령이 내려졌으며[1], 1982년에 해제되었다.[8]
1945년 9월 9일 경성부에서 조선총독부로부터 항복을 받은 미국군은 총독부의 통치 기구를 접수하고, 9월 11일 주조선 미국 육군 사령부 군정청 (USAMGIK)을 신설하여 남조선을 직접 통치했다. 그러나, 미 군정청은 현지 사정에 어두웠고, 통치 경험과 능력도 부족했기 때문에 조선총독부에 종사했던 일본인과 친일파 조선인 인사 일부를 등용하여 실질적으로 조선총독부의 통치 기구를 계승했다. 1945년 12월 6일, 미 군정청은 남조선 내 일본 정부 재산 및 일본인 사유 재산 몰수에 착수[9][10]하는 동시에, 조선 거주 일본인의 귀환을 추진했다.
1945년 12월, 소련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모스크바 삼상 회의에서 조선을 미국, 영, 소련, 중 4개국의 신탁 통치 하에 최장 5년간 두는 것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동아일보의 오보로 인해 신탁 통치에 반대(반탁)하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 계열의 우파 (민족주의)와 신탁 통치에 찬성(찬탁)하는 여운형 등 좌파 (사회주의) 간의 대립이 격화되었다.[11] 1946년 1월 7일, 이승만의 신탁 통치 반대 성명서 발표[12] 직후부터 경성에서 개최된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는 반탁파 처리를 둘러싸고 미소가 대립하여 5월 8일에 무기한 휴회되었다. 중도 좌파·중도 우파에 의한 좌우 합작 운동이 진행되었지만, 좌우 양쪽으로부터의 암살 등 테러로 인해 운동은 붕괴되었다.
미소 대립을 겪으면서 미 군정은 공산주의 세력에 대한 단속을 강화했고, 1946년 5월 8일 남조선 경찰이 조선공산당 본부 건물을 수색하게 했으며, 5월 15일 당원들에 의한 조선 은행 100원권의 대량 위조가 발각되었다고 발표했다. 미 군정은 이를 계기로 공산당의 비합법화로 전환했고, 9월에는 박헌영 등의 지도자에게 체포 영장이 발부되어 박헌영은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가 수립되어 있던 북조선으로 월북, 평양에서 남조선노동당 (남로당)을 지도하여 우파와의 항쟁을 일으켰다.[13] 1946년 10월 1일, 대구부에서 남로당의 선동을 받은 남조선인 230만 명이 미 군정에 항의하여 봉기했고,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대구 10월 사건) 이 무렵부터 남조선에서는 남조선 국방 경비대 (후일 대한민국 국군) 및 남조선 경찰에 의한 공산 세력 단속이 가혹해졌고, 극우 단체인 서북청년회에 의한 백색 테러도 공공연하게 행해졌다.
1947년 5월부터 열린 제2차 미소 공동 위원회는 10월 20일에 다시 무기한 휴회되었다. 미국은 미소 공동 위원회에서의 문제 해결을 단념하고, 조선 독립 문제를 국제 연합으로 이관했다. 미국은 "유엔 감시 하에 남북 조선 총선거를 실시하고 국회에 의한 정부 수립을 감시하는 유엔 임시 조선 위원단(UNTCOK)을 조선에 파견한다"는 제안을 유엔 총회에 상정, 11월 14일에 가결되었다. 1948년 1월, UNTCOK는 남조선에서 이승만, 김구 등 유력 정치 지도자와의 회담[14] 및 총선거 실시 가능성 조사 등을 실시했다.[15] UNTCOK는 1948년 2월 20일 유엔 소총회에 "'임무 수행 가능한 지역'(남조선)에서의 단독 선거 실시안"을 제출했고, 2월 26일 유엔 소총회에서 가결되었다.
유엔 의결에 따라 5월 10일 UNTCOK 감시 하에 남조선 단독으로 총선거가 실시될 것이 결정되었지만, 이는 신정부의 통치가 남조선에만 한정되고 조선의 남북 분단이 고착화되는 것을 의미했다. 그 때문에 조선의 즉시 독립을 주장하는 반탁파도 남조선 단독 정부 수립을 인정하는 이승만 (한국민주당) 파와 남북 통일 정부 수립을 고집하는 김구 (대한민국 임시 정부) 파로 나뉘었고, 이러한 정치적 대립으로 남조선은 소란 상태가 되어 파업과 주요 인물의 암살이 잇따랐다.
미 군정·한국민주당의 단독 정부 수립 강행 움직임에 대해, 1948년 3월 12일 김구, 김규식, 김창숙, 조소앙 등은 남조선 단독 총선거 반대 성명을 발표했고,[16] 남부 단독 선거에 반대하는 북조선 인민 위원회와 협력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4월 3일에는 단독 정부 수립을 인정하지 않는 제주도 주민 및 좌파 세력 등에 의한 제주 4.3 사건이 일어났지만, 미 군정은 남조선 국방 경비대, 경찰, 서북청년회 등 우익을 한반도로 보내 반란 주민 진압을 시도했다. 당시 진압 부대에 의한 섬 주민 학살이 다발하여, 적지 않은 섬 주민들이 일본으로 밀항하여 재일 한국인이 되었다.
1948년 5월 10일, UNTCOK의 감시 하에 600명 이상의 테러 희생자를 내면서도, 남조선에서는 제헌 국회를 구성하기 위한 총선거가 실행되었다.[17] 제헌 국회는 이승만을 의장으로 선출했고, 7월 17일 제헌 헌법을 제정했으며, 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하여 독립 국가로서의 준비를 서둘러 진행했다.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대통령은 대한민국 정부('''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수립을 선언,[18] 실효 지배 지역을 38선 이남으로 한정하는 대한민국 독립과 함께 공식적으로 미 군정이 폐지되었다. 다만, 미국 정부에 의한 한국의 독립 승인은 늦어져 대한민국 정부 승인 비준안이 미국 의회에서 가결된 것은 1949년 1월이었다.
1948년 9월 22일, 대한민국은 반민족행위처벌법을 공포하고, 반민족행위 특별조사 위원회를 설치하여 친일파 숙청을 시작으로 과거와의 결별을 시도했다. 그러나, 친일파 청산 사업은 1950년에 추구가 불충분한 채 활동을 정지했기 때문에 그 후의 한국 사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남기고 있다.
6. 2. 38도선 이북
- 이반 치스차코프 상장 (Иван Михайлович Чистяковru, 제25군 사령관 (1947년 4월까지))[34]
- 데렌티이 시트코프 상장 (Терентий Фомич Штыковru, 제1극동전선군 및 연해주군관구 군사위원)[34]
- 니콜라이 레베데프 소장 (Николай Георгиевич Лебедевru, 제25군 군사위원)[34]
- 안드레이 로마넨코 소장 (Андрей Алексеевич Романенкоru, 소련민간관리부 부장)[34]
- 겐나디이 코로트코프 중장 (Геннадий Петрович Коротковru, 1947년 4월부터 1948년 4월까지 제25군 사령관)[34]
참조
[1]
뉴스
今日の歴史(9月7日)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9-07
[2]
뉴스
今日の歴史(9月9日)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9-09
[3]
웹사이트
カイロ宣言
https://www.ndl.go.j[...]
[4]
서적
図説 朝鮮戦争
河出書房新社
2011-04-30
[5]
서적
地図で読むビジュアル日本史
日本文芸社
2011-08-10
[6]
웹사이트
朝鮮人民共和国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金日成主席革命活動史 第6節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の創建。国の政治的・経済的・軍事的威力を強化
http://kcyosaku.web.[...]
[8]
뉴스
【반세기 전엔…】동아일보로 본 7월 둘째주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4-07-04
[9]
뉴스
今日の歴史(12月6日)
http://japanese.yonh[...]
聨合ニュース
2008-12-06
[10]
문서
USAMGIK Ordinance 33
[11]
서적
図説 朝鮮戦争
河出書房新社
2011-04-30
[12]
뉴스
今日の歴史(1月7日)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1-07
[13]
서적
図説 朝鮮戦争
河出書房新社
2011-04-30
[14]
문서
미군정의 남조선 좌익단체 탄압
[15]
문서
소련군정과 북조선인민위원회의 총선거 반대 및 국제연합 조선위원단의 북한 방문 불가
[16]
뉴스
今日の歴史(3月12日)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3-12
[17]
서적
The Korean War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 Pr of Kentucky
[18]
뉴스
国定教科書の「1948年建国」は抗日・臨時政府の否定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5-11-09
[19]
논문
1948~50년 주한미대사관의 설치와 정무활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08
[20]
웹사이트
8월 13일 소련군 한반도서 일본군 패배 결정적 역할한 청진상륙작전 실시
http://kr.sputniknew[...]
2015-11-14
[21]
Youtube
KBS 광복절 특집 조선총독부 최후의 25
https://www.youtube.[...]
2014-09-03
[22]
뉴스
1945년 北 진주 소련의 붉은 군대는 해방군 아닌 약탈군이었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0-03-10
[23]
논문
신탁통치문제와 미소공동위원회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08
[24]
백과사전
한국과 미국의 관계〔서설〕
[25]
백과사전
한국과 미국의 관계〔서설〕
[26]
논문
1948~50년 주한미대사관의 설치와 정무활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08
[27]
백과사전
한국과 미국의 관계〔서설〕
[28]
문서
38선과 휴전선의 차이
[29]
백과사전
한국과 미국의 관계〔서설〕
[30]
문서
남조선국방경비대
[31]
서적
조소앙이 꿈꾼 세계
지영사
[32]
뉴스
동아일보
1946-08-13
[33]
뉴스
1945년 北 진주 소련의 붉은 군대는 해방군 아닌 약탈군이었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0-03-10
[34]
웹사이트
http://www.dailynk.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