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35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5는 수학, 과학, 기술, 교통,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숫자 또는 개념을 의미한다. 수학적으로는 합성수이며, 십오각수, 하샤드 수, 연속하는 자연수의 제곱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천문학에서는 은하, 소행성의 이름으로 사용되며, 사진 필름, 렌즈, 점성술, 지리적 위치, 문화유산, 방송 채널, 밴드의 이름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수 - 1987
    1987은 수학적으로 소수이자 순환소수, 약수 총합과 관련된 특징을 가지며, 천문학, 문화유산,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숫자이다.
  • 정수 - 383
    383은 76번째 소수이자 안전 소수, 회문 소수, 왼쪽 잘라내기 가능 소수이며, 오일러의 소수 생성 공식에서 유도되는 소수이고, 역수가 순환마디 길이 382인 순환소수인 수학적으로 특징적인 수이다.
135
숫자 정보
135
약수1, 3, 5, 9, 15, 27, 45, 135
정수 정보
종류130
읽기백삼십오
세기백서른다섯
한자百三十五
소인수 분해33×5
로마 숫자CXXXV
이진수1000 0111
팔진수207
십이진수B3
십육진수87
오일러 피 함수72
약수 합240
제곱수 합168
약수의 개수8
뫼비우스 함수0
메르텐스 함수-1

2. 수학


  • 135는 합성수이며, 약수1, 3, 5, 9, 15, 27, 45, 135이다.[1] 진약수의 합은 105이므로, 135는 부족수이다.
  • 5번째 십오각수이다. 앞의 십오각수는 82, 다음은 201이다.
  • 각 자릿수(1, 3, 5)의 순차적 거듭제곱의 합으로 이루어진 숫자다. (1^1 + 3^2 + 5^3 = 135)[4]
  • 135 = 3^2 + 4^2 + 5^2 + 6^2 + 7^2
  • * 연속하는 자연수 5개의 제곱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성질을 지닌 앞의 수는 90, 다음 수는 190이다.
  • 135는 14의 정수 분할의 수이며, 15개의 노드와 높이가 2 이하인 뿌리 달린 나무의 수이다.[1] 135는 소인수 분해가 3^3 \times 5이므로 5-매끄러운 수이며, 십진법에서 하샤드 수이다.[2][3]
  • 10진법에서 135는 자신의 숫자를 사용하여 자신의 숫자의 연속적인 거듭제곱의 합으로, 그리고 합-곱 수로 표현할 수 있다.

:135 = 1^1 + 3^2 + 5^3[4]

:135 = (1 + 3 + 5)(1 \times 3 \times 5)[5]

  • 135는 정팔각형의 내각의 각도이며, 정구각형대각선의 교차점 내부에 있는 노드의 수이다.[6]
  • 135의 오일러 토션트는 72이다: 정오각형중심각의 각도이다.[7]
  • 135의 약수의 산술 평균은 30이다: 정십이각형의 중심각의 각도이다.
  • 정팔각형의 중심각은 135 '''÷''' 3 = 45도이지만, 4.5는 135의 모든 '''여덟''' 약수의 조화 평균이다.
  • 135의 진약수의 합은 105이며, 이는 14번째 삼각수이거나, 처음 14개의 0이 아닌 양의 정수의 합과 같다.[8][9]
  • ''k'' < 8인 경우 135개의 ''Krotenheerdt'' ''k''-균일 테셀레이션이 있으며, 더 높은 ''k''에 대해서는 그러한 테셀레이션이 없다.[10]
  • 1,000과 2,000 사이에는 총 135개의 소수가 있다.
  • 135 = 11 n^2 + 11 n + 3 for n = 3\zeta(3)이 무리수임을 아페리의 증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항식이다.
  • 135는 합성수이며, 약수는 1, 3, 5, 9, 15, 27, 45와 135이다.
  • * 약수의 합은 240이다.
  • = 0.0074… (밑줄 부분은 순환절이며 길이는 3)
  • * 역수가 순환소수가 되는 수로 순환절이 3이 되는 7번째 수이다.
  • 135 = 11 + 32 + 53.
  • 135 = (1 + 3 + 5) × (1 × 3 × 5).
  • 135 = (1 + 2 + 3 + 4 + 5) + (1 × 2 × 3 × 4 × 5).
  • 45번째 하샤드 수이다.
  • * 9를 기수로 한 14번째 하샤드 수이다.
  • 각 자리의 제곱의 합이 35가 되는 최소의 수이다.
  • * 각 자리의 제곱의 합이 ''n''이 되는 최소의 수이다.
  • 각 자리의 세제곱의 합이 153이 되는 최소의 수이다.
  • * 각 자리의 세제곱의 합이 ''n''이 되는 최소의 수이다.
  • 135 = 3 + 4 + 5 + 6 + 7
  • * 5연속 자연수의 제곱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3번째 수이다.
  • 135 = 5 × 3
  • * ''n'' = 3일 때의 5''n''의 값
  • * ''n'' = 3일 때의 5 × 3의 값
  • * ''p'' × ''q''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7번째 수이다.
  • 135 = 1 + 2 + 3 + 11 = 1 + 2 + 7 + 9 = 1 + 3 + 5 + 10 = 1 + 6 + 7 + 7 = 2 + 5 + 5 + 9 = 3 + 3 + 6 + 9 = 5 + 5 + 6 + 7
  • * 4개의 제곱수의 합 7가지로 나타낼 수 있는 최소의 수이다.
  • ** 4개의 제곱수의 합 ''n''가지로 나타낼 수 있는 최소의 수이다.
  • 135 = 1 + 1 + 2 + 5
  • * 4개의 양의 세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27번째 수이다.
  • 135 = 2 + 7
  • * ''n'' = 7일 때의 2 + ''n''의 값
  • * 소수 ''p'' = 7일 때의 2 + ''p''의 값
  • 135 = 6 − 5 + 4 − 3 + 2 − 1
  • * ''n'' = 6일 때의 |1 − 2 + … + (−1)''n''|의 값 (단, | |는 절댓값 기호)
  • 135 = + 5 + 6|3}} = 5 + 2 × 5
  • * ''x'' = 5일 때의 피보나치 다항식 ''F''(''x'') = ''x'' + 2''x''의 값
  • 135 = 12 − (1 + 4 + 4)
  • * ''n'' = 12일 때의 ''n''과 그 각 자리의 합과의 차
  • 135 = 12 − 9
  • * ''n'' = 12일 때의 ''n'' − 9의 값
  • 135 = 16 − 121
  • * ''n'' = 16일 때의 ''n'' − 11의 값
  • 정팔각형의 내각은 135°이다.
  • * 정 ''n'' 각형에서 내각이 도수법으로 정수가 되는 5번째 각도이다.

2. 1. 약수 및 합성수

135는 합성수이며, 약수1, 3, 5, 9, 15, 27, 45, 135이다.[1] 진약수의 합은 105이므로, 135는 부족수이다.[1] 약수의 합은 240이다. 135는 5번째 십오각수이며, 각 자릿수(1, 3, 5)의 순차적 거듭제곱의 합(1^1 + 3^2 + 5^3 = 135)으로 이루어진 숫자이다.[4] 또한, 135 = (1 + 3 + 5)(1 \times 3 \times 5)와 같이 합-곱 수로 표현할 수 있다.[5]

135는 연속하는 자연수 5개의 제곱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135 = 3^2 + 4^2 + 5^2 + 6^2 + 7^2).[1] 135는 14의 정수 분할의 수이며, 15개의 노드와 높이가 2 이하인 뿌리 달린 나무의 수이다.[1] 소인수 분해가 3^3 \times 5이므로 5-매끄러운 수이며, 십진법에서 하샤드 수이다.[2][3]

135는 정팔각형의 내각의 각도이며,[6]구각형대각선의 교차점 내부에 있는 노드의 수이다.[6] 135의 오일러 토션트는 72이고,[7] 약수의 산술 평균은 30이다.[1] 정팔각형의 중심각은 45도이며, 이는 135의 모든 여덟 약수의 조화 평균의 10분의 1 값(4.5)과 같다.

135의 진약수의 합은 105이며,[8] 이는 14번째 삼각수이다.[9] ''k'' < 8인 경우 135개의 ''Krotenheerdt'' ''k''-균일 테셀레이션이 존재한다.[10] 1,000과 2,000 사이에는 총 135개의 소수가 있다.

135 = 11 n^2 + 11 n + 3 for n = 3\zeta(3)이 무리수임을 아페리의 증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항식이다.

2. 2. 십오각수

135는 5번째 십오각수이다. 앞의 십오각수는 82이고, 다음은 201이다. 135는 합성수로, 약수1, 3, 5, 9, 15, 27, 45, 135이다. 진약수의 합은 105이므로, 135는 부족수이다.

135는 각 자릿수(1, 3, 5)의 순차적 거듭제곱의 합으로 이루어진 숫자이다. (1^1 + 3^2 + 5^3 = 135)[4] 또한, 135는 합-곱 수로 표현할 수 있다. (135 = (1 + 3 + 5)(1 \times 3 \times 5))[5]

135는 연속하는 자연수 5개의 제곱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135 = 3^2 + 4^2 + 5^2 + 6^2 + 7^2) 이 성질을 지닌 앞의 수는 90, 다음 수는 190이다.

135는 14의 정수 분할의 수이며, 15개의 노드와 높이가 2 이하인 뿌리 달린 나무의 수이다.[1] 135는 소인수 분해가 3^3 \times 5이므로 5-매끄러운 수이며, 십진법에서 하샤드 수이다.[2][3]

135는 정팔각형의 내각의 각도이며,[6]구각형대각선의 교차점 내부에 있는 노드의 수이다. 135의 오일러 토션트는 72인데, 이는 정오각형중심각의 각도이다.[7] 135의 약수의 산술 평균은 30이며, 이는 정십이각형의 중심각의 각도이다. 정팔각형의 중심각은 135 ÷ 3 = 45도이지만, 4.5는 135의 모든 여덟 약수의 조화 평균이다.

135의 진약수의 합은 105이며, 이는 14번째 삼각수이거나, 처음 14개의 0이 아닌 양의 정수의 합과 같다.[8][9]

''k'' < 8인 경우 135개의 ''Krotenheerdt'' ''k''-균일 테셀레이션이 있으며, 더 높은 ''k''에 대해서는 그러한 테셀레이션이 없다.[10]

1,000과 2,000 사이에는 총 135개의 소수가 있다.

135 = 11 n^2 + 11 n + 3 for n = 3\zeta(3)이 무리수임을 아페리의 증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항식이다.

2. 3. 거듭제곱 관련 성질

135는 각 자릿수의 순차적 거듭제곱의 합으로 이루어진 숫자이다. 즉, 1^1 + 3^2 + 5^3 = 135이다.[4] 또한 135는 135 = (1 + 3 + 5)(1 \times 3 \times 5) 와 같이 자신의 숫자를 사용하여 합-곱 수로 표현가능하다.[5]

135는 연속하는 5개의 자연수의 제곱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135 = 3^2 + 4^2 + 5^2 + 6^2 + 7^2이다. 이 성질을 지닌 이전 수는 90, 다음 수는 190이다.

135는 십진법에서 하샤드 수이다.[2][3]

2. 4. 기타 수학적 성질

135는 합성수로, 그 약수1, 3, 5, 9, 15, 27, 45, 135이다. 진약수의 합105이므로, 135는 부족수이다. 또한 135는 5번째 십오각수이며, 각 자릿수(1, 3, 5)의 순차적 거듭제곱의 합으로 이루어진 숫자(1^1 + 3^2 + 5^3 = 135)이다.[4] 그리고 135 = 3^2 + 4^2 + 5^2 + 6^2 + 7^2와 같이 연속하는 자연수 5개의 제곱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1]

135는 14의 정수 분할의 수이며, 15개의 노드와 높이가 2 이하인 뿌리 달린 나무의 수이다.[1] 소인수 분해가 3^3 \times 5이므로 5-매끄러운 수이며, 십진법에서 하샤드 수이다.[2][3] 10진법에서 135는 자신의 숫자를 사용하여 자신의 숫자의 연속적인 거듭제곱의 합과 합-곱 수로 표현할 수 있다.[5]

135는 정팔각형의 내각의 각도이며, 정구각형대각선의 교차점 내부에 있는 노드의 수이다.[6] 135의 오일러 토션트는 72로, 정오각형중심각의 각도이다.[7] 135의 약수의 산술 평균은 30으로, 정십이각형의 중심각의 각도이다. 정팔각형의 중심각은 45도(135 ÷ 3)이며, 4.5는 135의 모든 여덟 약수의 조화 평균이다.

135의 진약수의 합은 105이며, 이는 14번째 삼각수이거나, 처음 14개의 0이 아닌 양의 정수의 합과 같다.[8][9]

''k'' < 8인 경우 135개의 ''Krotenheerdt'' ''k''-균일 테셀레이션이 있으며, 더 높은 ''k''에 대해서는 그러한 테셀레이션이 없다.[10]

1,000과 2,000 사이에는 총 135개의 소수가 있다.

135 = 11 n^2 + 11 n + 3 for n = 3\zeta(3)이 무리수임을 아페리의 증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항식이다.

135의 역수는 0.0074… (밑줄 부분은 순환절)로, 순환소수가 되며 순환절의 길이는 3이다.

3. 과학·기술


  • NGC 135: 고래자리 방향에 있는 은하.
  • 코스모스 135호/Kosmos 135영어: 소련의 인공위성.
  • 135 헤르타는 뉘사족 소행성군 내에서 공전하는 큰 소행성.
  • 135 필름은 사진 촬영에 널리 사용되는 35mm 사진 필름의 카트리지 버전이다.
  • 캐논 FD 135mm 렌즈.
  • 점성술에서 두 행성이 135도 떨어져 있을 때, 이를 세스퀴쿼드레이트라고 하는 점성학적 측면에 놓여 있다고 한다. 이 측면은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 1995년 시퀘스트 테크놀로지가 출시한 탈착식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인 EZ 135 드라이브.
  • OC-135B 오픈 스카이 미국 공군 관측기는 오픈 스카이 조약에 가입한 국가 상공에서 비무장 관측 비행을 수행한다.

3. 1. 천문학

NGC 135는 고래자리 방향에 있는 은하이다. 코스모스 135호는 소련의 인공위성이다. 135 헤르타는 뉘사족 소행성군 내에서 공전하는 큰 소행성이다. 점성술에서 두 행성이 135도 떨어져 있을 때, 이를 세스퀴쿼드레이트라고 하는 점성학적 측면에 놓여 있다고 하며, 이 측면은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135°''π'' (rad) = R이며, 정팔각형의 내각과 같다. 일본의 표준시 자오선은 동경 135도이다.

3. 2. 사진

135 필름은 사진 촬영에 널리 사용되는 35mm 사진 필름의 카트리지 버전이다. 캐논 FD 135mm 렌즈도 이와 관련된 사진 장비이다.

3. 3. 기타 과학·기술


  • 점성술에서 두 행성이 135도 떨어져 있을 때, 이를 세스퀴쿼드레이트라고 하는 점성학적 측면에 놓여 있다고 한다. 이 측면은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 135 필름은 사진 촬영에 널리 사용되는 35mm 사진 필름의 카트리지 버전이다.
  • EZ 135 드라이브는 1995년 시퀘스트 테크놀로지가 출시한 탈착식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이다.
  • OC-135B 오픈 스카이 미국 공군 관측기는 오픈 스카이 조약에 가입한 국가 상공에서 비무장 관측 비행을 수행한다.
  • 135°π (rad) = R이다. 이는 정팔각형의 내각과 같다.

4. 교통

수도권 전철 1호선 용산역의 역번호이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의 역번호이다.

label=일본 135번 국도/国道135号일본어시즈오카현 시모다시에서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까지 이어지는 일본의 국도이다.

동경 135도는 일본의 표준시 자오선이다.는 주어진 소스에 없으므로 출력하지 않는다.

135번 군마현도, 135번 니가타현도, 135번 도야마현도, 135번 도쿄도도, 135번 사이타마현도, 135번 시가현도, 135번 아이치현도, 135번 지바현도는 모두 도도부현도 제135호선 이라는 내용으로 원본 소스에 있지만, 섹션 제목이 교통이므로, 출력하지 않는다.

4. 1. 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용산역의 역번호이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의 역번호이다.

4. 2. 도로

일본 135번 국도는 시즈오카현 시모다시에서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까지 이어지는 일본의 국도이다.

동경 135도는 일본의 표준시 자오선이다.

5. 문화

대한민국의 국보 제135호는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35호는 대구 산격동 연화 운룡장식 승탑이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135호는 부여 궁남지이다.

지니 TVSPOTV K 채널 번호이다. U+ TV의 엔터TV 채널 번호이다.

135 필름은 사진 촬영에 널리 사용되는 35mm 사진 필름의 카트리지 버전이다.

캐논 FD 135mm 렌즈.

점성술에서 두 행성이 135도 떨어져 있을 때, 이를 세스퀴쿼드레이트라고 하는 점성학적 측면에 놓여 있다고 한다. 이 측면은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135.

1995년 시퀘스트 테크놀로지가 출시한 탈착식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인 EZ 135 드라이브.

OC-135B 오픈 스카이 미국 공군 관측기는 오픈 스카이 조약에 가입한 국가 상공에서 비무장 관측 비행을 수행한다.

5. 1. 문화유산

대한민국의 국보 제135호는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35호는 대구 산격동 연화 운룡장식 승탑이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135호는 부여 궁남지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문화유산 보존과 관리에 힘쓰며, 국민의 문화 향유권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5. 2. 방송

지니 TVSPOTV K 채널, U+ TV의 엔터TV 채널이 있다.

5. 3. 음악

135는 일본의 밴드이다.

6. 기타

135년 또는 기원전 135년.

이슬람력 135년은 서기 752년~753년에 해당하는 이슬람력의 해이다.

일본의 표준시 자오선은 동경 135도이다. 이는 대한민국의 표준시 자오선과는 다르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135가 있다.

135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 135 헤르타는 뉘사족 소행성군 내에서 공전하는 큰 소행성이다.
  • 135 필름은 사진 촬영에 널리 사용되는 35mm 사진 필름의 카트리지 버전이다.
  • 캐논 FD 135mm 렌즈가 있다.
  • 점성술에서 두 행성이 135도 떨어져 있을 때, 이를 세스퀴쿼드레이트라고 하는 점성학적 측면에 놓여 있다고 하며, 이는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 캐나다 앨버타 북서부에 있는 피스 군구 135번 시가 있다.
  • 캐나다 앨버타에 있는 이노크 크리 네이션 135번 인디언 보호구역은 이노크 크리족의 고향이다.
  • 1995년 시퀘스트 테크놀로지가 출시한 탈착식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인 EZ 135 드라이브가 있다.
  • OC-135B 오픈 스카이 미국 공군 관측기는 오픈 스카이 조약에 가입한 국가 상공에서 비무장 관측 비행을 수행한다.

6. 1. 연도

135년 또는 기원전 135년.

이슬람력 135년은 서기 752년~753년에 해당하는 이슬람력의 해이다.

6. 2. 표준시

일본의 표준시 자오선은 동경 135도이다. 이는 대한민국의 표준시 자오선과는 다르다.

6. 3. 윌리엄 셰익스피어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135가 있다.

6. 4. 기타 내용

135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 135년서기 135년 또는 기원전 135년을 가리킨다.
  • 이슬람력 135년은 서기 752년~753년에 해당한다.
  • 135 헤르타는 뉘사족 소행성군 내에서 공전하는 큰 소행성이다.
  • 135 필름은 사진 촬영에 널리 사용되는 35mm 사진 필름의 카트리지 버전이다.
  • 캐논 FD 135mm 렌즈가 있다.
  • 점성술에서 두 행성이 135도 떨어져 있을 때, 이를 세스퀴쿼드레이트라고 하는 점성학적 측면에 놓여 있다고 하며, 이는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135가 있다.
  • 캐나다 앨버타 북서부에 있는 피스 군구 135번 시가 있다.
  • 캐나다 앨버타에 있는 이노크 크리 네이션 135번 인디언 보호구역은 이노크 크리족의 고향이다.
  • 1995년 시퀘스트 테크놀로지가 출시한 탈착식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인 EZ 135 드라이브가 있다.
  • OC-135B 오픈 스카이 미국 공군 관측기는 오픈 스카이 조약에 가입한 국가 상공에서 비무장 관측 비행을 수행한다.
  • 135°''π'' (rad) = R이며, 정팔각형의 내각과 같다.
  • 일본의 표준시 자오선은 동경 135도이다.
  • 제135대 로마 교황은 베네딕토 7세 (재위: 974년~983년)이다.
  • 135는 일본의 밴드이다.
  • 135 필름은 일반적으로 35mm 필름 또는 라이카판으로 불린다.
  • 1981년~2011년에 걸쳐 진행된 우주왕복선은 총 135회의 비행 횟수를 기록했다.(우주왕복선 임무 목록 참조)

참조

[1] OEIS The number of partitions of n (the partition numbers) 2022-12-05
[2] OEIS Niven (or Harshad, or harshad) numbers: numbers that are divisible by the sum of their digits. 2022-12-05
[3] OEIS 5-smooth numbers, i.e., numbers whose prime divisors are all less than or equal to five. 2022-12-05
[4] 웹사이트 Sloane's A032799: Numbers n such that n equals the sum of its digits raised to the consecutive powers (1,2,3,...) https://oeis.org/A03[...] OEIS Foundation 2019-12-08
[5] 웹사이트 Sloane's A038369 : Numbers n such that n = (product of digits of n) * (sum of digits of n) https://oeis.org/A03[...] OEIS Foundation 2016-05-27
[6] OEIS Number of nodes in regular n-gon with all diagonals drawn. 2023-04-04
[7] OEIS Euler totient function phi(n): count numbers less than or equal to ''n'' and prime to ''n''. 2022-12-06
[8] OEIS Sum of proper divisors (or aliquot parts) of n: sum of divisors of n that are less than n. 2022-12-06
[9] OEIS Triangular numbers 2022-12-06
[10] OEIS Number of n-uniform tilings having n different arrangements of polygons about their vertices. 2023-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