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가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가설은 문제에 대한 임시적인 해결책으로, 증거에 기반한 제안된 결과를 제공하며, 테스트와 검증을 통해 이론이나 법칙으로 발전할 수 있다. 가설은 테스트 가능성, 간결성, 범위, 유용성, 보수성을 평가 기준으로 하며, 과학적 가설, 작업 가설, 통계적 가설 검정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수학에서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지만 반례가 발견되지 않은 명제를 의미하며, 언어학, 철학, 수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추론의 도구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설 - 효율적 시장 가설
    효율적 시장 가설은 자산 가격이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반영하며, 시장 참여자들이 초과 수익을 얻기 어렵다는 이론으로, 시장 효율성은 정보 반영 정도에 따라 약형, 준강형, 강형으로 분류된다.
  • 가설 - 왕조교체설
    왕조교체설은 일본 역사학자들이 《고사기》와 《일본서기》 분석을 통해 일본 왕실 계보에 왕조 교체가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학설로, 미즈노 유의 주장을 기반으로 여러 학자들의 논쟁을 거치며 일본 고대사 연구에 영향을 미쳤으나 증거 부족 비판도 있다.
  • 과학적 방법 - 연구
    연구는 특정 주제나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체계적인 활동으로, 지식과 진리를 탐구하며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해 새로운 지식 발견 및 기존 지식 심화에 기여하는 활동이다.
  • 과학적 방법 - 양적 연구
    양적 연구는 사회 현상이나 자연 현상을 수치화하여 과학적 방법과 통계 분석 등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고 인과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 방법론이다.
가설
가설
정의어떤 현상이나 사실에 대한 설명이나 예측을 제시하는 **잠정적인 진술**
특징검증 가능해야 함
반증 가능해야 함
간결하고 명확해야 함
역할연구 방향 제시
새로운 지식 탐구 동기 부여
이론 구성 요소
가설의 종류
연구 가설연구자가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
통계 가설통계적 검정을 위해 설정하는 가설 (귀무 가설, 대립 가설)
가설 설정 방법
귀납적 방법개별적인 관찰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발견하는 방법
연역적 방법이미 확립된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바탕으로 개별적인 현상이나 사실을 설명하거나 예측하는 방법
가설 검증
정의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가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방법통계적 검정
실험
관찰
가설의 중요성
과학적 연구과학적 연구의 필수적인 요소
문제 해결문제 해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의사 결정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 제공

2. 가설의 정의 및 특징

가설은 관찰된 현상에 대한 잠정적인 설명 또는 예측이다. 이는 실험이나 추가적인 관찰을 통해 검증 가능해야 하며, 반증 가능성을 가져야 한다. 가설은 일반적으로 수학적 모델의 형태를 띠거나, 존재적 양화 또는 전칭 양화로 공식화될 수 있다.[9]

고대 그리스 시대에 '가설'은 줄거리의 요약을 의미했다.[1][2][3][4] 플라톤의 ''메논''에서는 소크라테스가 수학자들이 사용하는 방법처럼 "가설로부터 조사"하는 방식으로 미덕을 탐구했다.[5][6] 17세기 초, 벨라르미노 추기경갈릴레오에게 지구의 움직임을 현실이 아닌 가설로만 취급해야 한다고 경고했다.[8]

오늘날 가설은 그 타당성을 평가해야 하는 임시적인 아이디어를 의미한다. 유용한 가설은 추론을 통해 예측이 가능해야 한다. 칼 포퍼는 가설이 반드시 반증 가능성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12] 가설의 검증은 "예상-실험"의 반복으로 진행되며, 이론적 예언이 일련의 실험 사실과 일치하는 것이 확인되면 이론 또는 법칙으로 불리게 된다.[25]

2. 1. 과학적 가설

문제에 대한 임시적인 해결책은 일반적으로 가설이라고 하며, 흔히 "합리적인 추측"이라고도 한다.[13][14] 이는 증거에 기반한 제안된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과학자들은 "합리적인 추측"이라는 용어가 부정확하다고 생각한다. 실험자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 여러 가설을 테스트하고 기각할 수 있다.

Schick과 Vaughn에 따르면,[15] 연구자들은 대안 가설을 평가할 때 다음을 고려할 수 있다.

  • 테스트 가능성 (위에서 논의된 반증 가능성과 비교)
  • 간결성 (과도한 수의 실체를 가정하는 것을 막는 "오컴의 면도날"의 적용과 같이)
  • 범위 – 알려진 여러 현상에 대한 가설의 명백한 적용 가능성
  • 유용성 – 가설이 미래에 더 많은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전망
  • 보수성 – 기존의 인정된 지식 체계와의 "적합성" 정도

2. 2. 작업 가설

'''작업 가설'''은 추가 연구를 위한 기초로 임시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가설이다. 궁극적으로 가설이 실패하더라도 실행 가능한 이론이 나올 수 있다는 희망을 담고 있다.[16] 모든 가설과 마찬가지로 작업 가설은 탐험적 연구의 목적과 연결될 수 있는 기대 진술로 구성된다. 작업 가설은 종종 질적 연구에서 개념적 틀로 사용된다.[18][19]

작업 가설의 임시적인 성격은 응용 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작업 가설은 아직 형성 단계에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유용한 지침 역할을 한다.[20]

최근 몇 년 동안, 과학 철학자들은 가설과 일반적으로 과학적 방법을 평가하는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합하여 각 접근 방식의 개별적인 관심사를 통합하는 보다 완전한 시스템을 형성하려고 시도했다. 특히 임레 라카토스와 폴 파이어아벤트는 각각 칼 포퍼의 동료이자 제자로서 이러한 종합 시도를 해냈다.

3. 가설의 역사

고대 그리스어 단어 ὑπόθεσις|휘포테시스grc에서 유래한 '가설(hypothesis)'은 원래 "아래에 놓다"라는 뜻으로, 고대 그리스에서는 줄거리의 요약을 의미했다.[1][2][3][4] 플라톤의 ''메논''에서는 소크라테스미덕을 탐구하며 수학자들이 사용하는 "가설로부터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했다.[5][6] 이는 계산을 단순화하는 아이디어나 편리한 접근 방식을 의미했다.[7] 17세기 초, 벨라르미노 추기경갈릴레오에게 지구의 움직임을 현실이 아닌 가설로만 취급하라고 경고했다.[8]

아이작 뉴턴귀납적 방법을 중시하여 "나는 가설을 만들지 않는다"라고 선언하며 과학적 탐구에서 가설을 배제하려 했다. 그러나 이는 빛의 입자설 등 자신의 가설과 모순된다는 비판을 받았다.[25] 반면 라이프니츠는 법칙의 확실성을 부정하며 이론 구축에 가설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현대 과학에서는 가설이 이론 구축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널리 사용된다.

4. 가설, 개념 및 측정

개념은 헴펠의 연역-법칙적 모형에서 가설의 개발 및 테스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형식적 가설은 명제 간의 예상 관계를 명시하여 개념을 연결한다. 일련의 가설이 함께 그룹화되면 일종의 개념적 틀이 된다. 개념적 틀이 복잡하고 인과 관계나 설명을 포함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론이라고 한다. 저명한 과학 철학자 칼 구스타프 헴펠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적절한 경험적 해석은 이론적 체계를 테스트 가능한 이론으로 바꾼다. 구성 요소 용어가 해석된 가설은 관찰 가능한 현상에 대한 참조를 통해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해석된 가설은 종종 이론의 파생된 가설이 될 것이다. 그러나 경험적 데이터에 의한 그들의 확인 또는 부인은 그들이 파생된 원시 가설도 즉시 강화하거나 약화시킬 것이다. [21]

헴펠은 개념적 틀과 관찰되고 아마도 테스트되는 틀(해석된 틀)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유용한 비유를 제공한다. "전체 시스템은 말하자면 관찰 평면 위에 떠 있으며 해석 규칙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것들은 네트워크의 일부가 아니지만 후자의 특정 지점과 관찰 평면의 특정 지점을 연결하는 끈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해석적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는 과학적 이론으로 기능할 수 있다."[21] 관찰 평면에 고정된 개념을 가진 가설은 테스트할 준비가 되었다. "실제 과학적 실천에서 이론적 구조를 구성하고 해석하는 과정은 항상 명확하게 분리되지 않는데, 의도된 해석이 일반적으로 이론가의 구성을 안내하기 때문이다."[21] 그러나 "논리적 설명을 위해 두 단계를 개념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다".[21]

5. 가설 검정

가설 검정은 헴펠의 연역-법칙적 모형에서 가설의 개발 및 테스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형식적 가설은 명제 간의 예상 관계를 명시하여 개념을 연결한다. 일련의 가설이 함께 그룹화되면 일종의 개념적 틀이 된다. 개념적 틀이 복잡하고 인과 관계나 설명을 포함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론이라고 한다.[21]

어떤 제안된 치료법이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와 같이 현상 간의 가능한 상관 관계 또는 유사한 관계가 조사될 때, 관계가 존재한다는 가설은 자연의 새로운 법칙을 검토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검토할 수 없다. 그러한 조사에서, 만약 검사된 치료법이 몇몇 경우에서 효과를 보이지 않더라도, 이것이 반드시 가설을 반증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 가설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체 효과가 관찰될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 통계적 검정이 사용된다. 만약 그 가능성이 충분히 작다면 (예: 1% 미만), 관계의 존재가 가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관찰된 모든 효과는 순수한 우연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가설은 어떤 실험 사실이 나타나면 그 가설이 옳다고 말할 수 있는지, 또 틀렸다고 말할 수 있는지 미리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어야 한다. 그 가설이 제창된 당시에는 기술상의 이유로 검증 수단이 갖춰지지 않아도 상관없지만, 원리적으로는 그러한 검증 수단이 명확해야 한다. 어떤 실험 사실이 나타나도 그 가설과 모순되지 않는 등, 얼버무리는 가설은 아무런 구체적인 것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므로, 완전히 공허한 명제이며, 독단이다.

가설이라고 칭하는 것이 진정 가설일 수 있는지 여부는 그 가설의 옳고 그름이 한 번의 현상으로 증명되는 것이 아니라, 원리적으로는 몇 번이라도 따져 물을 수 있어야 하며, 추시할 수 없는 것은 가설이라고 부를 수 없다.

가설의 검증은 일반적인 형태로 직접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하나하나의 개성적인 실험에 의해 처음으로 검증된다. 즉, 가설의 검증은 필연적으로 구체적인 사상에 대한 예상의 형태를 띤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실험만으로는 가설의 옳음을 확정할 수 없다. 가설 검증은 "예상-실험"의 반복으로 진행된다. 가설은 그 이론적 예언이 일련의 실험 사실과 일치하는 것이 확인되고, 그 진실성이 확인되었다고 생각될 수 있게 되면, 이론 또는 법칙이라고 불리게 된다.

그 가설에 의해 다른 새로운 현상의 예측에도 성공하게 됨에 따라, 점차 더 "옳은 법칙"(=패러다임) 등과 같이 사람들에게 인지되게 된다.[25]

5. 1. 통계적 가설 검정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는 귀무 가설대립 가설을 비교한다. 귀무 가설은 조사 중인 현상 간에 관계가 없거나, 대립 가설에서 주어진 형태가 아니라고 명시한다. 대립 가설은 귀무 가설의 대안으로, 어떤 종류의 관계가 "있다"고 명시한다. 대립 가설은 가설 관계의 성격에 따라 양측 검정(예: 아직 알려지지 않은 방향으로 "어떤" 효과가 있다) 또는 단측 검정(가설 관계의 방향, 양수 또는 음수, 가 미리 고정됨)이 될 수 있다.[22]

유의 수준(참된 귀무 가설을 잘못 기각할 가능성)은 가설 검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10, .05, .01을 사용한다. 귀무 가설을 기각하고 대립 가설을 채택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유의 수준은 관찰을 수집하거나 검사하기 전에 미리 결정되어야 한다. 만약 이러한 기준이 나중에, 즉 검사할 데이터를 이미 알고 있을 때 결정된다면, 검정은 유효하지 않다.[23]

위의 절차는 실제로 연구에 포함된 참여자 수(단위 또는 표본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귀무 가설을 기각하기에 표본 크기가 너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처음부터 충분한 표본 크기를 지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가설을 검정하는 데 사용되는 여러 중요한 통계적 검정 각각에 대해 작고, 중간 및 큰 효과 크기를 정의하는 것이 좋다.[24]

6. 가설의 호전성

가설은 때때로 공격적이다. 새로운 가설은 종종 기존 가설을 부정하는 형태로 제시되어 양자 사이에 강한 대립을 만든다. 당연히 그 양자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게 되지만, 이는 종종 상대를 어떻게 부정할 것인가를 경쟁하는 형태가 된다.

극단적인 예 중 하나로, 면역의 메커니즘에 관한 이론이 있다. 에드워드 제너가 종두법의 형태로 발견한 면역은, 루이 파스퇴르에 의해 일반화되어, 약독화된 병원체백신을 예방 접종함으로써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 작용의 본체가 어디에 있는지를 추구한 결과, 그것이 혈청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것이 혈청 요법을 낳았다. 그런데, 일리아 메치니코프는 식세포를 발견하고 이것이 질병을 예방하는 작용을 한다고 판단하자, 그전까지의 혈청의 작용에 관한 지견 전부를 부정했다. 여기에서부터 양측에 의한 자기의 정당성을 증명하고, 상대방이 틀렸다는 증거를 제시하는 경쟁이 일어나, 양측의 대립은 감정적인 것까지 되었다고 한다.

가설은 이와 같이 극단적인 형태를 취하는 예가 적지 않다. 이는 그 대립에 의해서야말로 논의나 연구가 진전되는 면이 있기 때문이며, 때로는 학자는 모든 사실에 부합하지 않아도,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가설을 제출한다. 그레고어 멘델은 그의 유전 법칙에 맞지 않는 실험 결과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발생학의 아버지"라고도 불리는 칼 에른스트 폰 베어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불정확하더라도 딱 잘라 단언된 일반적인 문제의 결론은, 그 부정확한 면을 수정하려는 의욕을 자극하기 때문에, 정확하지만 조심스러운 주장보다 과학의 발전에 유익하다.

7. 수학에서의 가설

수학에서 가설(또는 추측)은 아직 증명되지 않았지만, 반례도 발견되지 않은 명제를 의미한다. 이러한 명제는 "언젠가 증명될 것으로 기대되는 문제"가 된다. 리만 가설(일본에서는 리만 추측이라는 호칭이 일반적이다)이 대표적인 예이다.

연속체 가설과 같이 "증명도 반증도 할 수 없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 가설도 있다.

8. 다양한 분야의 가설 (예시)


  • 언어의 기원 : 멍멍 설 / 풉풉 설 / 둥둥 설 / 에이야코라 설(막스 뮐러가 제창). 타타 설(서 리처드 파제트가 제창). / 「모・어」가설 / 의식・발화의 공진화 설(로이 라파포트 외 제창) / 언어 과정설
  • 언어와 인식의 관계 : 사피어-워프 가설
  • 과거 존재의 확실성, 불확실성 : 5분 전 세계 가설(인식론, 회의주의)
  • 진위 : 닫힌 세계 가설
  • 자연수 안에 소수는 어떻게 분포하는가? : 베르트랑의 가설, 리만 가설(ζ(s)의 자명하지 않은 영점 s는 모두 실부가 1/2의 직선상에 존재하는가? 수론), "소수는 무작위로 분포한다" 설 / "소수의 분포에는 어떤 규칙성이 있다" 설[1]
  • 가산 농도와 연속체 농도의 관계 : 연속체 가설(집합론)
  • 의 본질・정체 : 운동설 / 칼로릭 설
  • 연소의 본질・정체 : 사원소설 / 플로지스톤 설 / "산소와의 결합" 설
  • 의 정체 : 입자설 / 파동설 / 광자설 / 이중성
  • 빛의 전파 방식 : 에테르 이론 / 특수 상대성 이론
  • 중력의 방식 : 볼텍스 이론 / 만유인력 / 중력장. "원격 작용 설"/ "근접 작용 설"
  • 물질적 현상의 본질 : 원자 가설 / "진공의 에너지 Vacuum energy" 론, 암흑 에너지[2]
  • 우주의 기원, 우주의 역사 (우주론) : 정상 우주론 / 진동 우주론 / 빅뱅 가설 / 순환 우주론
  • 태양계의 기원(태양계 기원설) : 데카르트의 볼텍스 이론 / 성운설(칸트 1755년, 라플라스 1796년) / 조석설(진스와 제프리스, 1916년) / 전자기 포획설(알벤, 1942년) / 난류 소용돌이설(「신성운설」 「소용돌이 성운설」 「바이체커=카이퍼설」등으로도. 바이체커, 1944년) / 광압성운설(휘플, 1947년) / 호일의 성운설
  • 달의 기원 : 부모 설 / 형제 설 / 타인 설 / 거대 충돌 가설
  • 은하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메커니즘으로 형태가 변하는가? : "별이 많이 생겼기 때문에 중심의 블랙홀이 커질 수 있었다" 가설 / "우선 거대한 블랙홀이 있었기 때문에, 그 주변에서 별의 형성이 활발해졌다" 가설
  • * 은하의 회전 곡선 문제 : 암흑 물질(암흑 물질) / 수정 뉴턴 역학
  • * 왜소 타원 은하의 기원 : 「계층적 병합」 설 / 「은하 괴롭힘」 설
  • 에르고드 가설(확률론, 통계역학)
  • 우주 검열 가설(블랙홀, 일반 상대성 이론)
  • 화학 반응의 메커니즘과 다이내믹스 (더 나아가 화학 반응의 반응 속도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결정되는가? 라는 문제) : 해먼드의 가설 / 국소 평형 가설 / 준평형 가설 / 비재교차 가설
  • 게이-뤼삭의 기체 반응의 법칙과 존 돌턴의 원자설 사이의 모순 : 아보가드로의 가설
  • 생명의 기원(생명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 초자연설(창조설) / 자연 발생설 / 화학 진화설 / DNA 월드 가설 / RNA 월드 가설 / 프로틴 월드 가설 / 범종설 / ID 설
  • 진화(생물의 형태가 세대와 함께 변화하고 있다는 것[3]의 메커니즘 : 용불용설 / 자연 선택설 / 이마니시 진화론 / 중립 진화설
  • 격리 분포(동일 생물이 멀리 떨어진 지역에 분포하는 이유) : 육교설 / 대륙 이동설(생물지리학)
  • 화석이 존재하는 것 (이미 멸망한 생물의 흔적이 지층에서 계속 발견되는 것) : 대변동설 / 동일 과정설
  • 발생의 메커니즘 : 형성설 / 후성설(발생학)
  • 인류의 진화(원숭이에서 어떻게 사람이 생겨났는가?) : 수렵 가설 / 킬러 에이프 가설 / 마키아벨리적 지능 가설 / 아쿠아 설
  • 주기 매미(소수 매미)의 수명이 정확히 13년 또는 17년인 이유 : "교잡할 가능성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설 / "포식자의 생활 주기와의 일치를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설 / "소수가 되는 것은 우연이며, 전혀 의미가 없다" 설[4]
  • 붉은 여왕 가설(진화, 집단 유전학)
  • 얀젠-코넬 가설(생태학, 식물학)
  • 중규모 교란 가설(생물 다양성, 생태학)
  • 전신의 혈관 구조, 연결 방식 : "통기계・영양 배분계의 2계통" 설 (갈레노스의 설) / 혈액 순환설
  • 왜 치아 상아질에서 통증을 느끼는가? : 수력 역학 설
  • 냄새를 느끼는 메커니즘 (후각이 구별하는 대상) : "분자의 형태" 설 / "분자의 진동" 설
  • 인간과 인간의 연결 구조 : 6단계 분리
  • 사이 현상, 초능력, 폴터가이스트 현상, 호안팅 현상 : 생존 가설 / 슈퍼 PSI 가설(초심리학). 심령설 (심령주의). 오류설 / 사기 설 (회의론자).
  • 파프로츠키스 : 토네이도 원인 설, 새 원인 설, 비행기 원인 설, 장난 설 외
  • 공시성, 불가사의한 일치 : 셸드레이크의 가설
  • "만약 항성간 항행을 가능하게 하는 외계인이 있다면, 왜 이 지구에 오지 않는가?" (페르미의 역설) : 동물원 가설
  • 동일 인물 설(역사상의 인물에 관해)

9. 현대 사회에서의 가설

기업가적 환경에서 가설은 제품 또는 비즈니스 모델의 속성에 대한 임시적인 아이디어를 공식화하는 데 사용된다. 공식화된 가설은 인증 또는 반증 가능성 지향 실험을 통해 평가된다.[10][11]

참조

[1] 서적 The ecological detective: confronting models with dat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08-22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서적 Socratic studies Cambridge
[7] 서적 An introduction to logic and scientific method Harcourt, Brace, and Company
[8] 웹사이트 Hypothesis
[9] 서적 The Great Equations
[10] 간행물 Harvard Business Review (2013) "Why Lean Startup Changes Everything" https://hbr.org/2013[...] 2013-05
[11] 웹사이트 Lean Startup Circle "What is Lean Startup?" http://leanstartup.p[...]
[12] 문서
[13] 서적 Selected Scientific Works of Hans Christian Ørsted
[14] 서적 The Character of Physical Law
[15] 서적 How to think about weird things: critical thinking for a New Age McGraw-Hill Higher Education
[16]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y of Sports Science & Medicine http://www.answers.c[...]
[17] 문서
[18] 간행물 Intermediate Theory: The Missing Link in Successful Student Scholarship http://ecommons.txst[...]
[19] 서적 Research in Public Administration http://ecommons.txst[...]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2011-07-07
[20] 서적 A Playbook for Research Methods: Integrating Conceptual Frameworks and Project Management New Forums Press
[21] 서적 Fundamentals of Concept Formation in Empirical Scie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서적 Practical Statistics for Medical Research CRC Press
[23] 서적 Advising on Research Methods: A consultant's companion Johannes van Kessel Publishing
[24] 서적 Practical Statistics for Medical Research CRC Press
[25] 문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