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산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산당은 카를 마르크스의 저서 『공산당 선언』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계급 없는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하는 정당이다. 1918년 러시아 혁명 이후 각국에서 공산당이 결성되었으며, 초기에는 코민테른의 지부 형태를 띠었다. 현재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수정주의, 유럽공산주의 등 다양한 이념을 포용하며, 각국 공산당은 사회주의 시장 경제를 도입하거나 다당제를 유지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집권 정당으로, 다른 국가에서는 연립 정부나 야당으로 활동하며, 활동이 금지된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제 한자어 - 아연
    아연은 청회색 금속으로, 적당한 반응성을 지닌 환원제이며, 내식성이 뛰어나 도금에 사용되고, 합금의 주요 성분이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이지만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 일본제 한자어 - 연설
    연설은 대중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로, 정보 전달, 설득 등의 다양한 목적을 가지며, 고대부터 중요한 훈련 과목이었고 기술 발전에 따라 더 많은 청중에게 도달하며 연설 기법 훈련과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 공산주의 정당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은 쿠바의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이념으로 하며, 당 대회를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하여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며, 다양한 대중 조직과 연계하여 정책을 전파하고 국제적으로는 좌파 정권 지원과 쿠바 의료 국제주의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공산주의 정당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사상을 기반으로 자본주의적 세계화가 국제 체제 불안정을 심화시킨다고 보며, 유물사관을 통해 국제 체제의 구조와 경제 역할을 강조하고, 다양한 갈래로 발전하여 주류 이론을 비판하며 불평등과 권력 구조 분석 및 사회 정의 실현을 모색한다.
  • 마르크스주의 - 노동계급
    노동계급은 마르크스주의적 정의에 따라 노동력 외에는 판매할 것이 없는 모든 사람을 포함하며, 사회의 부를 창출하지만 고등교육 접근, 노동 환경, 정치 참여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공산당
개요
공산주의의 상징
공산주의의 상징
유형정치 조직
이념적 위치좌익 정치
정치적 입장공산주의
특징
목표공산주의 사회 실현
주요 활동정치 운동, 선거 참여, 사회 운동
조직 구조민주집중제에 기반한 중앙 집권적 구조
이념적 기반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유럽 공산주의, 기타 공산주의 이론
역사
창립 배경산업 혁명 이후의 계급 투쟁과 사회주의 운동의 발전
주요 사건러시아 혁명, 중국 혁명, 냉전, 동유럽 혁명과 소련 붕괴
조직
주요 조직코민테른,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관련 조직노동조합, 청년 조직, 여성 조직
이념적 경향
주요 분파마르크스-레닌주의
트로츠키주의
마오쩌둥 사상
유럽 공산주의
아나키즘 공산주의
각국의 공산당
존속 여부다수 존재 (합법 또는 비합법)
활동 방식합법 정당: 선거 참여, 의회 활동
비합법 정당: 지하 활동, 무장 투쟁
관련 개념
주요 개념계급 투쟁
프롤레타리아 독재
사회주의 혁명
공산주의 사회
관련 이념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
기타
상징낫과 망치, 붉은 별
슬로건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2. 역사

19세기 중반 유럽에서 시작된 사회주의 운동은 공산당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1847년 벨기에의 브뤼셀 공산주의자 연락위원회와 영국의 정의자동맹이 통합하여 공산주의자동맹을 결성했다.[24] 이들은 자본주의 사회의 비인간성을 비판하고 더 나은 사회를 건설할 것을 주장했지만, 지도자 간의 노선 차이로 1852년 해산되었다. 이 때 만들어진 선언문이 바로 『공산당 선언』이다.

이후 제1국제당에서 마르크스주의가 지배적인 사상으로 자리 잡았고, 1869년 '독일 사회민주노동당'이 창당되어 중앙유럽에서 강력한 사회주의 정당으로 부상했다.[25] 1875년 '독일 사회민주당'으로 개칭한 이 정당은 유럽 각국 사회주의 정당의 모델이 되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독일 사회민주당은 전쟁 지지파와 반대파로 나뉘었고, 전쟁 지지파가 다수를 차지하면서 제2국제당은 붕괴되고 독일 사회민주당도 지도력을 상실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을 주도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1918년 '러시아 공산당'으로 당명을 바꾸고 현재까지 이어지는 공산당 조직 형태의 기원이 되었다.[26][27] 러시아 내전 승리 후, 공산당 노선은 크게 세 번의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코민테른(국제공산당)의 지시로 블라디미르 레닌레닌주의를 따랐다.

레닌 사후 이오시프 스탈린이 권력을 잡고 코민테른을 주도하면서 1930년대 중반부터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주요 이념이 되었다. 레온 트로츠키 지지자들은 트로츠키주의를 따르는 새로운 공산당을 창당했다.

1953년 스탈린 사후 탈스탈린화가 진행되자 대부분의 공산당은 수정주의 노선을 채택했다.[40][41] 이에 반발한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은 마오쩌둥엔베르 호자를 지지하며 새로운 정당을 만들었다.

1970년대 후반부터 소련의 지도력이 약해지면서 대부분의 공산당이 '유럽공산주의'라는 온건 노선으로 변화했다. 중국공산당과 베트남공산당은 1990년 시장주의를 도입했다.

현재 공산주의 운동은 크게 다섯 가지 분파로 나뉜다.

분파설명
마르크스-레닌주의스탈린의 레닌주의 해석을 고수하며, 계획 경제, 반미, 반제국주의, 일국혁명, 제3세계 협력을 주장한다.
트로츠키주의트로츠키의 노동자국가론과 영구혁명론을 따르며, 세계혁명과 산업노동자 기반 고립주의를 주장한다.
수정주의1953년 이후 소련의 수정주의 노선을 채택, 의회주의와 자유주의 정당과의 타협을 추구한다.
유럽공산주의선거를 통한 합법적 권력 획득, 계급투쟁 포기, 자유주의 정당과의 연대 등 신좌파적 성격을 가진다.
시장사회주의중국공산당과 베트남공산당의 시장 경제 노선. 자본주의적 소유 구조 회복과 자국우선주의를 채택하여 마르크스주의에서 이탈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레닌은 공산당 당원을 전문 혁명가로 제한했기에, 대중 지지 동원을 위한 별도 전위조직이 필요했다. 코민테른은 여러 국제 전위조직을 결성, 각국 대중 조직을 연결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새로운 국제 조정 기구가 설립되었고, 소련은 코민폼을 통해 동구권에서 코민테른의 목표를 통합했다.

1985년 기준 세계 인구의 약 38%가 공산주의 정부 하에 살았으며, 소련 공산당은 95개 공산당을 공식 인정했다.[2] 1989년-1992년 동구권 붕괴 후 많은 공산당들이 사라지거나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전환했다. 21세기에는 중국, 쿠바, 베트남, 북한, 라오스 5개국만이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을 집권당으로 유지하고 있다.[4][5]

2. 1. 초기 역사: 공산주의자동맹과 공산당 선언

1847년 6월, 런던에서 벨기에의 브뤼셀 공산주의자 연락위원회와 영국의 정의자동맹이 통합하여 공산주의자동맹이 창설되었다.[24]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공산주의자동맹의 강령인 『공산당 선언』(Manifest der Kommunistischen Partei|마니페스트 데어 코무니스티셴 파르타이de)을 집필했다. 『공산당 선언』은 자본주의 사회의 비인간성을 비판하고,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한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주장했다. 그러나 정의자동맹의 지도자였던 빌헬름 바이틀링과 칼 마르크스의 노선 차이로 인해 내부 맹원들이 서로 수시로 다퉜고, 결국 1852년에 동맹은 해산하게 된다.[24]

2. 2. 제1인터내셔널과 마르크스주의의 확산

1864년, 런던에서 국제노동자협회(제1인터내셔널)가 창립되어, 다양한 사회주의 사상이 경합했다.[24] 제1인터내셔널 내에서 마르크스주의는 점차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25] 1869년에는 과거 급진적 공화주의자들의 연락위원회의 조직 구성 방식을 모방한 '독일 사회민주노동당'(Sozialdemokratische Arbeiterpartei|독일 사회민주노동당de)이 창당되었다.[25] 이 정당은 중앙유럽 지역에서 강력한 사회주의 정당으로 급부상하였다.[25]

2. 3. 제2인터내셔널과 사회민주주의의 분열

1889년, 파리에서 제2인터내셔널이 창립되어 각국의 사회주의 정당들이 참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전쟁 지지 여부를 둘러싸고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은 분열되었다. 독일 사회민주당 내 전쟁 지지파가 다수를 차지하면서, 제2인터내셔널은 붕괴되었다.

2. 4. 러시아 혁명과 코민테른

1917년, 러시아에서 볼셰비키 혁명이 성공하여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가 수립되었다.[26] 1918년 3월, 레닌의 볼셰비키파는 당명을 '러시아 공산당'으로 변경하고 독자적인 정당 구조를 갖게 되었는데, 이 조직 구조가 현재까지 존재하는 공산당의 조직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27] 이들은 멘셰비키를 최대한 배제하고, '사회민주주의자'라 불렸던 개량주의 분파와 완전히 결별하였다.[28] 레닌주의를 지도 이념으로 채택했다.

1919년, 코민테른(제3인터내셔널)이 창립되어 각국 공산당의 창당과 활동을 지원했다. 코민테른은 청년 공산주의 국제연맹, 프로핀테른, 크레스틴테른, 국제 적색 원조, 스포르틴테른 등 여러 국제 전위 조직을 결성하여 각국의 대중 조직을 서로 연결했다.

2. 5. 스탈린 시대와 마르크스-레닌주의

블라디미르 레닌 사후, 이오시프 스탈린은 1924년 전연방공산당의 권력을 장악하고 코민테른(국제공산당)을 주도하면서 1930년대 중반부터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주요 이념으로 확립했다.[24] 스탈린은 '일국사회주의'론을 주장하며, 코민테른을 통해 각국 공산당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이에 반발한 레온 트로츠키 지지자들은 기존 공산당을 거부하고 트로츠키의 사상을 따르는 새로운 공산당을 창당하였다. 이들은 트로츠키주의를 표방하며 제4인터내셔널을 결성했다.[24]

2. 6. 냉전 시대와 공산당의 분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유럽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공산당 정권이 수립되었다.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사후, 니키타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운동과 평화공존 노선은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소 분쟁으로 인해 각국 공산당은 친소련파와 친중국파로 분열되었다.[40][41] 알바니아 노동당엔베르 호자는 수정주의를 비판하며 독자 노선을 걸었다.

2. 7. 유럽공산주의와 신좌파 운동

1970년대 이후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 서방 국가의 공산당들은 "유럽공산주의"를 내세워 소련 공산당과 거리를 두고, 폭력혁명·프롤레타리아 독재·민주집중제·분파금지 등의 노선을 포기하고, 다당제 옹호·의회민주주의 존중으로 전환했다.[11]

2. 8. 냉전 종식 이후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와 1991년 소련 해체로 동유럽 공산당 정권은 붕괴했다.[40][41] 많은 공산당들이 쇠퇴하거나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전환했다. 중국공산당과 베트남공산당은 시장경제를 도입하며 개혁개방 노선을 추진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국제혁명에 관한 소련의 지도력이 약해지면서 대부분의 공산당은 '유럽공산주의'라는 온건화된 노선으로 우경화되었다. 오늘날의 공산당도 대부분 유럽공산주의 노선으로 당을 이끌고 있다.

3. 조직 구성 및 원리

러시아 공산당으로 당 구조를 개편한 볼셰비키는 '민주집중제'라는 조직 원리를 중심으로 하는 기본 골격을 만들었다.[34] 민주집중제는 하급 당 조직과 상급 당 조직으로 나누고, 하급 당의 보고에 의존하되 상급 당이 결정을 내리고 모든 하급 당은 그 결정을 따르는 원칙이다. 이는 당내 분파 행위를 막고 혁명에서 굳건한 단결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34]

상급 조직은 정치국, 중앙위원회, 집행위원회로 나뉘며, 하급 조직은 지역당위원회 내 세포 조직 전체를 아우른다.[35]

3. 1. 민주집중제

민주집중제는 당내 민주주의와 중앙집권적 통제를 결합한 공산당의 조직 원리이다. 하급 당 조직은 상급 당 조직의 결정에 복종해야 하며, 당내 분파 활동은 금지된다.[34] 상급조직은 정치국(Politburo), 중앙위원회(Central Committee), 집행위원회(Executive Committee)로 나뉘며, 하급 조직은 지역당위원회 내 세포 조직 전체를 아우른다.[35]

당내 조직의 인원은 당대회마다 유동적으로 바뀌는데, 이는 공산당의 특징적인 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공산국가의 정치국원은 당대회를 기점으로 기존 인원보다 늘어날 수도, 줄어들 수도 있다. 이는 중앙위원회에도 비슷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방식은 당이 혁명과 통치 활동에서 뛰어난 인재를 미리 선점하거나, 당내에서 능력이 출중하지 못한 인사를 빠르게 강등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3. 2. 중앙위원회

중앙위원회는 공산당의 두뇌라고 할 수 있으며, 흔히 '당중앙'이라고 불린다. 각 국가의 공산당마다 규모가 다르지만, 보통 최소 14명에서 최대 220명 사이로 구성된다.[35] 국가 또는 이와 유사한 공동체를 구성한 공산당의 경우에는 당대회에서 당원들이 중앙위원회를 선출하지만, 착취 사회에서 공산당을 조직한 경우에는 조직에 참가한 핵심 멤버들이 중앙위원회 위원을 직접 맡는다.

중앙위원회는 공산당이 행하는 여러 투쟁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정치국은 중앙위원회의 핵심이지만 중앙위원회를 무시할 수 없으며, 공산당의 투쟁 방침은 정치국과 중앙위원회의 공동 논의에 따라 결정된다.[36]

중앙위원회가 없다면 공산당은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중앙위원회 위원이 체포되면 공산당은 신뢰성 높은 새로운 중앙위원회 위원 후보를 구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중앙위원회 규모만 축소된다. 체포가 계속되면 중앙위원회는 더욱 작아지고, 결국 공산당은 붕괴할 것이다.[36] 1928년 조선공산당 해체도 중앙위원들이 연이어 체포되면서 일어난 사건이다.

3. 2. 1. 정치국

정치국(政治局, Politburo)은 공산당의 제일 중심에 위치한 권력 집단이며, 당의 모든 활동을 통제하고 결정하는 당 최고 기관이다. 공산국가에서 정치국은 통치의 결정체이자 최고 조직이라고 할 수 있다. 최소 8명에서 최대 15명 정도로 구성되는데, 정치국원은 중앙위원회가 선출하기도 하며, 정치국원 집단의 내정에 의해 임명되기도 한다. 대부분 국가의 공산당 정치국은 최일선에서 노동운동을 하다가 공산당 창당에 기여한 핵심 성원들이 맡게 된다. 사회주의국가에서 정치국원은 당중앙에서 가장 기여도가 높은 자가 내정되거나 선출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간부회(幹部會)라고도 불린다.[36]

정치국은 공산당의 핵심 권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정치국원이 경제, 군사, 내무, 문화, 사상 면에서의 핵심 권력을 겸직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 소련의 경우는 중앙위원회 서기국이 권력의 최정점에 선 집단이었는데 서기국원은 모두 정치국원이 겸직하였다. 정치국은 서기국의 역할을 기본적으로 겸하나, 일부 공산당의 경우는 중앙위원회에서 별도의 서기국을 둔다.[37]

3. 2. 2. 군사위원회

군사위원회(軍事委員會, Military Committee)는 중앙위원회가 관리하는 군사에 관련된 당 최고 조직이다. 군대에 대한 민간의 확고한 통제를 담당하며, 사회주의 국가가 군대에 파견하는 정치위원(Commissar)을 총괄한다.[38] 그러나 모든 공산당이 군사위원회를 산하에 두는 것은 아니다.

중국공산당의 경우, 1927년 8월에 홍군을 조직하면서 만든 인민혁명군사위원회(人民革命軍事委員會)가 이와 유사한 조직에 속한다. 중화인민공화국마오쩌둥 사상의 '당군주의'에 영향을 받았기에 아직도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 실질적인 지도자 역할을 하는 직책으로 되어있다.

역사적으로 존재했거나 현재도 존재하는 각 공산국가의 군사위원회는 다음과 같다.

정당군사위원회
볼셰비키당볼셰비키당 군사혁명위원회 (1917년 10월 ~ 1918년 3월)
중국공산당중국공산당 인민혁명군사위원회 (1927년 8월 ~ 1954년 9월)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1954년 9월 ~ )
베트남 공산당베트남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1946년 5월 ~ )
조선로동당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1962년 12월 ~ )


3. 2. 3. 당위원회

당위원회는 각급 행정 단위에 설치된 모든 일선 당세포를 일컫는다. 당위원회는 해당 행정 구역에서 제기된 모든 군중 관련 문제를 해결할 의무가 있으며, 현장에서 제기된 문제, 당위원회의 회의 내용을 당중앙에 보고할 의무를 갖고 있다.[36]

공산당의 지역 세포에서 가장 기본 단위는 군당위원회 또는 현당위원회이며, 행정 단위인 군 또는 현에서 발생하는 모든 당적 문제를 처리한다. 주요 사업은 당과 군중 사이의 자발적인 연대를 이루기 위한 정치사업, 군중의 의견 반영 등이다.[36] 군/현당위원회는 당의 하급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조직이며, 기본 골격이므로, 당중앙 정책 결정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대부분의 일선 당 간부는 군/현당위원회에서 자잘한 업무를 지도하며, 여러 부서로 나눠져 있다.[36]

3. 2. 4. 통일전선조직

조선로동당은 중앙위원회 산하에 통일전선부를 두어 한반도 통일 조직 및 조총련과의 연대를 강화·발전시킨다. 중국공산당 역시 중앙위원회 산하에 통일전선부를 두어 대륙 내 민주당파와 긴밀한 협의를 이끌었으며, 특히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초기에는 중국국민당 내 친공파(親共派)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 흡수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베트남 공산당은 항불(抗佛) 투쟁 과정에서 베트남의 민족주의 정치 세력을 흡수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베트남 독립동맹회(약칭 월맹)라는 통일전선조직이 등장하였다.[35]

식민지 지역의 공산당은 자체 기반이 매우 열악했기 때문에 통일전선조직으로 다양한 세력을 묶는 데 주력하였다.

3. 3. 당교

당교(黨校)는 당원의 교육을 담당하는 최고 기관이다. 공산당에 입당한 사람은 일정한 기간마다 당교에서 주관하는 교육을 이수해야 하며, 당교에서 치르는 시험을 통과해야 당원 자격을 유지할 수 있다.[35] 당교는 또한 당 간부 양성을 위한 간부학교(공산대학, 도당학교 등으로도 불린다.)를 운영하며, 당직 적격자를 판단하기 위한 교육, 수양 수준을 평가한다. 당교가 초빙하는 교육자는 당에 소속되지 않은 외부의 학자일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외국의 전문가도 초빙한다.

3. 4. 집행위원회

집행위원회(執行委員會, Executive Committee)는 공산당이 권력을 장악한 후, 행정 및 입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구이다. 집행위원회는 처음부터 존재하는 조직이 아니라, 공산당이 일정한 영토를 획득하여 기타 행정, 입법 처리를 해야 할 상황이 생기면 조직된다.[34] 그러나 이 상황에서도 행정, 입법 행위의 향방을 결정하는 핵심 기관은 중앙위원회이기 때문에 집행위원회는 사실상 중앙위원회의 뜻을 집행하는 형식적인 기관에 불과하다. 국가 성립 이후에는 없어지거나, 민간 입법기관의 권한을 견제하여 공산당의 독재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존재한다.[35]

3. 5. 기율위원회

기율위원회는 당 간부의 관리·감독 및 당원 기율을 심사하는 기관으로, 당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당 기관이다.[36] 해당 기관은 오로지 당내 문제만 처리하며, 당 외부의 문제에는 관여하지 않는다.[36]

4. 활동 목적 및 이념

공산당은 궁극적으로 계급 없는 평등 사회인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한다.[29] 공산주의 사회는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이 존재하지 않고, 인간의 노동이 인간 추상 행위 그 자체로서 완전히 발현되는 사회로 여겨진다.

공산주의를 이루는 과정은 각국 공산당이 발을 붙이고 있는 지역의 사회경제적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볼셰비키당러시아 제국을 제국주의의 약한 고리로 보고 혁명의 단계를 설정했다. 반면, 중국공산당신해혁명 이후에도 중국을 신식민지 반봉건사회로 규정하고 인민민주주의 혁명을 목표로 했다.[29] 조선공산당(ML당) 역시 '정우회선언'을 통해 식민지 조선을 반봉건사회로 규정하고 인민민주주의 혁명을 목표로 설정했다.[30]

1960년대 말, 서유럽 공산당들은 수정주의 노선을 채택하여 폭력혁명 노선을 버리고, 일부는 계급투쟁 노선까지 포기했다. 유럽공산주의 이전까지 공산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견지하며 국제 혁명을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이 지도하는 것으로 이해했다.[31] 그러나 유럽공산주의는 엔베르 호자 등에게 비판받았고, '수정주의 논쟁'을 통해 공산당 노선은 유럽공산주의, 친소주의, 반수정주의로 나뉘게 되었다.[33]

공산당의 활동 지역은 주로 경제적으로 어려운 계층이 많은 곳이다. 신식민지 사회에서는 농촌 및 산악 지대에 분포하며, 도시에서는 빈민층과 빈곤한 산업노동자를 지지 기반으로 한다. 개발도상국의 급속한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절대극빈층과 철거민 증가는 공산당 성장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각국 정부는 사회복지제도를 통해 공산당의 영향력을 축소하려 하지만, 실패할 경우 무력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공산당의 역사적 중요성은 인정되지만, 그 활동과 기능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다. 일부 학자들은 모든 공산당을 중앙집권적 통제와 엄격한 당규율을 가진 동일한 유형으로 보지만,[7] 다른 연구들은 공산당들 간의 차이점을 강조한다.[8] 공산당이 오랫동안 통치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서도 의견이 갈린다. 일부는 권력 독점과 국가 독점을 통한 반대 분쇄를,[9] 다른 연구들은 변화에 대한 적응 능력을 강조한다.[10]

많은 공산당은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블라디미르 레닌 등의 학설을 이론적 기초로 하며, 레닌주의 원칙에 따라 전위당 이론과 민주집중제를 내세운다. 그러나 그 실질적 내용은 각국 공산당 간에 차이가 있다.

4. 1. 공산주의 사회

공산주의 사회는 사유재산과 계급이 없고, 모든 사람이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사회이다. 공산당은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를 타도하고, 공산주의 사회를 건설하는 것을 역사적 사명으로 여긴다.[29] 공산주의 사회는 가난한 자와 부유한 자도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의 노동이 인간 추상 행위 그 자체로서 완전히 발현되는 사회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공산주의를 이루는 과정은 각국 공산당이 발을 붙이고 있는 지역의 사회경제적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볼셰비키당러시아 제국을 제국주의의 약한 고리로 여겼으며, 혁명의 제1단계를 부르주아 혁명(2월 혁명)이라고 규정하였다. 2월 혁명이 성공한 후에는 ‘4월 테제’를 발표하여 사회주의 혁명을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1921년에 형성된 중국공산당의 경우는 1911년 신해혁명이 일어나 청나라가 붕괴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중국 지역을 신식민지 반봉건사회(半封建社會)라고 여겼으며, 당면 혁명의 목표를 인민민주주의 혁명이라고 규정하였다.[29] 마찬가지로, 제3차 조선공산당(ML당)은 1926년 11월 ‘정우회선언’(正友會宣言)을 통하여 식민지 조선의 사회를 반봉건사회라고 규정하였으며, 당면 혁명의 목표를 인민민주주의 혁명으로 규정하였다.[30]

1960년대 말, 서유럽의 공산당은 수정주의 노선을 채택하여 폭력혁명 노선을 버릴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일부 공산당은 계급투쟁 노선을 포기하기도 했다. 서유럽의 공산당이 유럽공산주의라는 독자적인 노선을 따르기 전까지 공산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견지하는 정당이며, 국제 혁명은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이 지도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었다.[31]

유럽공산주의는 공산주의자들에게 비판받기도 했다. 엔베르 호자는 “유럽공산주의는 반공주의에 불과한 것이다.”라고 비판했다.[33] 이러한 논쟁을 ‘수정주의 논쟁’이라고 하며, 이 논쟁으로 공산당의 노선은 유럽공산주의, 친소주의, 반수정주의라는 세 가지 노선으로 나뉘게 되었다.

4. 2. 마르크스-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마르크스주의레닌주의를 결합한 사상으로, 공산당의 주요 이념이다. 프롤레타리아 독재, 계획 경제, 국제주의 등을 강조한다.[31] 초기 공산당은 코민테른(Comintern, 국제공산당)의 지시에 따라 블라디미르 레닌의 이념인 '레닌주의'를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레닌 사후, 이오시프 스탈린이 1924년에 전연방공산당의 권력을 잡고 코민테른을 주도하면서 1930년대 중반부터 스탈린식 공산주의인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주요 이념이 되었다. 레온 트로츠키를 지지하던 각국의 공산주의자들은 기존 공산당을 거부하고 트로츠키의 사상을 따르는 새로운 공산당을 창당하였다.

1953년 스탈린이 사망한 후, 흐루쇼프에 의해 탈스탈린화가 진행되자, 대부분의 공산당은 흐루쇼프의 수정주의 노선을 채택하였다.[40][41] 이에 따라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은 마오쩌둥엔베르 호자를 지지하면서 기존의 공산당을 지지하지 않고 새로운 정당을 만들어서 교조적인 노선을 이어나갔는데, 주로 'ML당', '공산당 ML파', '노동자공산당' 등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오늘날 마르크스-레닌주의파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레닌주의 해석을 고수하는 이른바 '반수정주의(Anti-revisionism)' 그룹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에는 마오쩌둥 사상호자주의, 그리고 주체사상을 따르는 공산당을 일컫는 말로, 극단적인 계획 경제 추구와 반미반제국주의, 일국혁명, 제3세계와의 적극적 협력 등을 고수하고 있다. 주로 ML당, 공산당 ML파, 노동자공산당이라는 당명을 사용한다.

4. 3. 수정주의 논쟁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사망 후, 니키타 흐루쇼프의 탈스탈린화에 따라 대부분의 공산당은 흐루쇼프의 수정주의 노선을 채택했다.[40][41]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마오쩌둥엔베르 호자를 지지하며 새로운 정당을 창당하고 교조적인 노선을 이어갔다. 이들은 주로 'ML당', '공산당 ML파', '노동자공산당' 등의 명칭을 사용했다.

1950년대 후반,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운동 이후 국제 공산주의 운동 내에서 수정주의 논쟁이 발생했다. 중국공산당알바니아 노동당소련의 수정주의를 비판하며 마르크스-레닌주의 원칙을 고수했다. 알바니아 노동당 제1서기 엔베르 호자는 “유럽공산주의는 반공주의에 불과하다.”라고 비판했다.[33] 이 논쟁으로 공산주의자들은 유럽공산주의, 친소주의, 반수정주의 세 노선으로 나뉘었다.

4. 4. 유럽공산주의

1970년대 이후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 서방 국가의 공산당들은 유럽공산주의를 내세워 소련 공산당과 거리를 두고, 폭력혁명, 프롤레타리아 독재, 민주집중제, 분파 금지 등의 노선을 포기하고, 다당제 옹호와 의회민주주의 존중으로 전환했다.[11]

4. 5. 시장사회주의

중국공산당베트남 공산당은 시장경제를 도입하며 개혁개방 노선을 추진했다.[40][41] 시장사회주의는 계획 경제와 시장 경제를 결합한 경제 체제로, 사회주의 초급 단계의 특수한 형태라고 주장된다.

5. 성분 및 지지 기반

공산당은 주로 노동자, 농민, 빈민, 혁명적 지식인 등을 주요 지지 기반으로 한다. 현대 사회에서 권력을 잡지 못한 공산당은 대중 정당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몇몇 공산당은 의회주의를 극도로 멀리하여 불법 지하 활동을 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대중 정당이 아닌, 투쟁 지도의 중추 역할을 하는 엘리트 집단으로 기능한다.[39] 현재 존재하는 사회주의 국가의 공산당은 대중 정당이 아니며, 노동자 중 우수한 능력이 인증된 자에 한해서만 가입할 수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 2001년부터 자본가의 입당도 허락하고 있다.[39]

블라디미르 레닌의 조직 이론에 따르면, 공산당원은 중앙위원회를 선출할 자격과 중앙위원회 위원이 될 수 있는 피선거권을 갖는다. 당원은 비당원에 비해 높은 권리를 누리는 대신, 생활 면에서 엄격해야 하며, 자기 정예화를 위해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로동당원의 도덕성 강화에 치중하는 사업을 벌이기도 하며, 예술영화인 《생명의 기사》, 《인민이 너를 아는가》, 《자신에게 물어보라》 등을 통해 당원이 갖춰야 할 자세와 희생 정신을 선전하고 있다. 레닌의 정예주의는 공산당이 전체주의 국가에서 독단적 엘리트 집단으로 변질될 가능성을 부여하였다는 역설적인 측면도 있다.

5. 1. 초기 지지 기반

초기에 공산당의 주요 지지 기반은 산업 노동자, 빈농, 혁명적 지식인이었다. 특히 러시아 볼셰비키당의 경우 당원의 20%가 귀족 출신 혁명적 지식인이었다.[39] 냉전 시기에도 산업 노동자와 혁명적 지식인이 주요 지지 기반이었다. 1991년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에는 산업 노동자 계층의 지지 기반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고, 사회적 빈곤층과 혁명적 지식인이 주요 지지 기반이 되고 있다.

5. 2. 냉전 시기 지지 기반

초기에 공산당의 주요 지지 기반은 산업 노동자, 빈농과 혁명적 지식인이었는데, 특히 러시아 볼셰비키당의 경우 당원의 20%가 귀족에서 자진 이탈한 혁명적 지식인이었다. 냉전 시기에도 마찬가지로 산업 노동자와 혁명적 지식인을 주요 지지 기반으로 삼았다.[39]

5. 3. 현대의 지지 기반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공산당의 지지 기반은 산업 노동자 계층이 약화되고 사회적 빈곤층과 혁명적 지식인이 중심이 되었다. 초기 공산당은 산업 노동자, 빈농, 혁명적 지식인을 주요 지지 기반으로 삼았으며, 특히 러시아 볼세비키당의 경우 당원의 20%가 귀족 출신 혁명적 지식인이었다. 냉전 시기에도 산업 노동자와 혁명적 지식인이 주요 지지 기반이었다. 그러나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산업 노동자 계층의 지지는 상대적으로 약화되었고, 사회적 빈곤층과 혁명적 지식인이라는 두 축을 형성하고 있다.[39]

일부 공산당은 대중 정당의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계층의 지지를 확보하려 노력한다. 그러나 몇몇 공산당은 의회주의를 극도로 멀리하여 불법 지하 활동을 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대중 정당이 아닌, 투쟁 지도의 중추 역할을 하는 엘리트 집단으로 기능한다.[39]

6. 현재의 공산당

러시아 내전에서 볼셰비키파가 승리한 후, 공산당의 노선은 크게 세 번의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레닌주의'를 따랐으나, 이오시프 스탈린 집권 후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주류가 되었다. 레온 트로츠키 지지자들은 별도의 공산당을 창당했다.

1953년 스탈린 사후, 니키타 흐루쇼프수정주의 노선이 채택되면서,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은 마오쩌둥엔베르 호자를 지지하며 'ML당', '공산당 ML파', '노동자공산당' 등의 이름으로 교조적 노선을 이어갔다.[40][41]

1970년대 후반, 소련의 영향력이 약해지면서 '유럽공산주의'라는 온건 노선이 등장했다. 중국공산당베트남 공산당1990년 시장주의를 도입했다.

오늘날 공산주의 운동은 크게 다섯 분파로 나뉜다.

# '''마르크스-레닌주의파''': 스탈린의 레닌주의 해석을 고수하며, 극단적 계획 경제와 반미, 일국혁명을 추구한다.

# '''트로츠키주의파''': 레온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을 따르며, 세계혁명과 산업노동자 중심의 고립주의적 전술을 택한다.

# '''수정주의파''': 의회주의 전술과 자유주의 정당과의 타협을 통해 제도권 진입을 추구한다. 미국 공산당, 영국 공산당 등이 해당된다.

# '''유럽공산주의파''': 선거를 통한 합법적 권력 획득, 계급투쟁 노선 포기, 자유주의 정당과의 연대 등 신좌익적 성격을 보인다. 이탈리아 공산당, 프랑스 공산당이 대표적이다.

# '''시장사회주의파''': 중국공산당베트남 공산당의 시장 경제 노선으로, 자본주의적 소유 구조를 회복하고 자국우선주의를 채택하여 마르크스주의에서 이탈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1985년 기준으로 세계 인구의 약 38%(44억 명 중 16억 7천만 명)가 공산주의 정부 하에 있었다.[2] 공산당은 20세기 자유민주주의 정당의 주요 도전자로 간주될 수 있다.[3] 1989년 동구권 붕괴 이후, 많은 공산당이 사라지거나 변화했다. 2023년 기준, 중국공산당은 9천 9백만 명이 넘는 당원을 보유하여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정당이다.[6]

6. 1. 집권 공산당

2024년 현재, 세계에서 공산당이 집권하고 있는 국가는 다음과 같다.


6. 2. 연정 참여 공산당


6. 3. 비집권 공산당

현재 의회에 의석을 보유하고 있는 비집권 공산당은 다음과 같다.


6. 4. 공산당 활동 금지 국가

국가내용
-- 라트비아1991년 반공법 제정 이후부터 공산당 활동이 금지되었다.
-- 리투아니아1991년 반공법 제정 이후부터 공산당 활동이 금지되었다.
-- 에스토니아1991년 반공법 제정 이후부터 공산당 활동이 금지되었다.
-- 인도네시아1998년 군사 독재가 끝난 후에도 반공법이 유지되어 공산당 활동이 금지되었다.
-- 말레이시아1960년 국가보안법 제정으로 공산당 활동이 금지되었고, 2012년 폐지 후 안보위반특별조치법으로 공산당 활동이 금지되었다.
-- 태국1952년 쁠랙 피분송크람의 쿠데타로 군사 독재 정부가 들어선 후 반공법이 제정되어 현재까지 공산당 활동이 금지되고 있다.


6. 5. 과거의 집권 공산당/존재했던 공산당

7. 한국의 공산주의 운동

일제강점기에 한국의 공산주의 운동은 독립운동의 한 갈래로 시작되었다.

7. 1. 일제강점기

1925년, 조선공산당이 창당되어 항일 독립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을 전개했다. 조선공산당은 코민테른의 지도를 받았으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 1930년대, 김일성은 만주에서 항일 유격대를 조직하여 활동했다.

7. 2. 해방 이후

해방 이후, 남한에서는 미군정 하에서 조선공산당이 재건되었으나, 미군정과 갈등을 빚었다. 1946년, 남조선로동당(남로당)이 결성되었으나, 미군정의 탄압과 국가보안법 제정으로 불법화되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남한에서 공산주의 운동은 불법화되었다. 1949년, 북한에서 남로당북로당이 통합하여 조선로동당이 창당되었다.

참조

[1] 서적 Vanguard of the Revolution: The Global Idea of the Communist Par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
[2] 잡지 Checklist of Communist Parties in 1985 https://v-dem.net/en[...] 1986-03-01
[3] 서적 Vanguard of the Revolution: The Global Idea of the Communist Par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
[4] 웹사이트 [Table] Major Amendments to the Rules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https://www.yna.co.k[...] 2021-06-01
[5] 저널 Marxism and Theravada Buddhism: The Legitimation of Political Authority in Lao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983-09-01
[6] 웹사이트 China’s Communist Party on track for 100 million members by year’s end https://www.scmp.com[...] 2024-07-01
[7] 서적 The Soviet Tragedy: A History of Socialism in Russia, 1917–1991 Free Press 1995
[8] 서적 Vanguard of the Revolution W. W. Norton & Company 1969
[9] 서적 Marxism and the Leap to the Kingdom of Freedom: The Rise and Fall of the Communist Utopi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7
[10] 서적 Why Communism Did Not Collapse: Understanding Authoritarian Regime Resilience in Asia and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1] 웹사이트 7月第60回ユーロコミュニズムの台頭」 http://www.sinsya-hi[...] 新社会党広島支部 2009-07-31
[12] 문서 아나키즘, 아날코-신디칼리즘이 좌익정당, 노동운동에서 큰 세력을 차지했던 나라도 있었다.
[13] 문서 사회당,사회민주당,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서의 "노동당"을 포함한다.
[14] 문서 또한, 이들 정당 중 중국 공산당이나 알바니아 노동당과 가까운 입장을 취한 공산주의 정당은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 약칭 ML)"이라고 자칭하는 경우도 있었다.
[15] 뉴스 Street scenes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16] 웹사이트 외교부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https://www.mofa.go.[...]
[17] 뉴스 베트남: 공산당 이외는 500석 중 42명 국회의원 선거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1-06-04
[18] 뉴스 【사설】공산주의의 간판을 내린 북한의 「10대 원칙」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13-08-13
[19] 뉴스 스페인 신정권 장관의 절반이 여성 84년 만에 공산당원 2명 입각 https://www.jcp.or.j[...] 신문 아카하타 2020-01-15
[20] 웹사이트 폭력혁명의 방침을 견지하는 일본공산당(경찰청) https://www.npa.go.j[...]
[21] 뉴스 칠레 대통령 선거 결선 투표로, 우익 과반수 미달, 의회 선거 공산당 36년 만의 의석 https://www.jcp.or.j[...] 신문 아카하타 2009-12-15
[22] 웹사이트 https://www.idnes.cz[...]
[23] 웹사이트 https://www.let.osak[...]
[24] 서적 Introduction to Karl Marx, The Revolutions of 1848 Random House 1973
[25] 서적 The people's stage in Imperial Germany: social democracy and culture 1890-1914 2005
[26] 서적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1914-1943, Vol 2 1980
[27] 문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 급진파
[28] 문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 온건파였다. 이들은 10월 혁명까지 '정통마르크스주의'를 표방하고 있었으나, 10월 혁명 이후부터는 급격히 우경화되어 독일 사회민주당의 개량주의를 받아들이게 된다.
[29] 서적 마오쩌둥 주요 문선 학고방 2018
[30] 서적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돌베개 2015
[31] 웹사이트 Definition of Eurocommunism http://www.merriam-w[...] Webster's Dictionary
[32] 저널 E. H. Carr—A Personal Memoir http://newleftreview[...] New Left Review 1983-01-01
[33] 웹사이트 Eurocommunism is Anti-Communism http://www.marxists.[...]
[34] 서적 History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Bolsheviks). Short Course International Publishers 1939
[35] 서적 민주집중제 녹두 1991
[36] 서적 레닌 선집 3-1 민족출판사
[37] 웹사이트 Politburo (Soviet political body) –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14-06-16
[38] 웹사이트 Military Revolutionary Committees http://bse.sci-lib.c[...]
[39] 뉴스 관련 경향신문 기사문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1-07-03
[40] 문서 북한의 숙청
[41] 문서 중국과 알바니아의 소련 이탈
[42] 문서 공산주의와의 거리 및 논란의 여지
[43] 법률 국가보안법 http://www.law.go.kr[...] 1991-05-31
[44] 웹사이트 미국의 반공법 http://academic.nave[...]
[45] 뉴스 대만의 반공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