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즈베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즈베리는 높이 1m 정도의 떨기나무로, 열매는 식용으로 사용되며 잼, 주스, 파이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어원은 여러 설이 있으며, 프랑스어로는 '고등어 열매'로 불리기도 한다. 유럽, 서아시아 등이 원산지이며, 한국에서도 재배된다. 구즈베리는 19세기 음부털을 가리키는 속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까치밥나무과 - 블랙커런트
중간 크기의 관목에서 자라는 식용 열매인 블랙커런트는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하며 특유의 강한 향과 짙은 보라색을 띠고, 잼, 젤리, 주스, 리큐어 등으로 가공되어 활용되며 폴란드에서 활발하게 재배되고 한때 미국에서 재배가 금지되기도 했다. - 까치밥나무과 - 까치밥나무속
까치밥나무속(_Ribes_)은 전 세계에 약 150여 종이 분포하는 까치밥나무과의 관목 또는 교목으로, 잎은 손바닥 모양이거나 겹잎이고 가시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 총상화서에 달리는 액과 형태의 열매를 맺고, 식용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기도 하지만 오엽송류 수포 녹병의 중간 숙주가 되어 소나무에 피해를 주기도 하며, 한국에는 가시까치밥나무, 개당주나무 등 20여 종이 자생한다. - 북마케도니아의 식물상 - 가시칠엽수
가시칠엽수는 칠엽수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밤나무와 유사한 잎과 가시 있는 열매를 맺으며, 조경수로 널리 심어지고 씨앗은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 북마케도니아의 식물상 - 치커리
치커리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식물로, 잎은 샐러드, 뿌리는 커피 대용품, 일부 품종은 사료로 사용되며 전통 의학에도 활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식용된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식물상 - 양벚나무
양벚나무는 잎자루에 붉은색 샘이 있고, 흰색 꽃이 피며 식용 열매를 맺는 낙엽활엽수로, 관상수, 목재, 약재 등으로 활용된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식물상 - 알레포소나무
알레포소나무는 지중해 연안에 자생하며 붉은 나무껍질과 얇은 잎을 가진 6~25m 크기의 침엽수로, 방풍림 조성이나 레치나 와인 향료로 쓰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구즈베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Ribes uva-crispa L. |
이명 | Grossularia glandulososetosa Opiz Grossularia hirsuta Mill. Grossularia intermedia Opiz Grossularia pubescens Opiz Grossularia reclinata (L.) Mill. Grossularia spinosa (Lam.) Rupr. Grossularia uva Scop. Grossularia uva-crispa (L.) Mill. Grossularia vulgaris Spach Oxyacanthus sativus Chevall. Oxyacanthus uva-crispa (L.) Chevall. Ribes aculeatum Salisb. Ribes caucasicum Adams ex Schult. Ribes crispum Dulac Ribes dubium Jacques Ribes grossularia L. Ribes grossularium St.-Lag. Ribes hybridum Besser Ribes reclinatum L. Ribes spinosum Lam. |
일본어 이름 | 세이요우스구리 (西洋酸塊) |
영어 이름 | gooseberry |
라틴어 이름 | Ribes uva-crispa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미분류) | 속씨식물군 |
강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 범의귀목 |
과 | 까치밥나무과 |
속 | 스구리속 |
종 | 세이요우스구리 |
2. 어원
'구즈베리'의 'goose'는 네덜란드어 kruisbesnld 또는 관련 독일어 Krausbeeredeu[1], 또는 초기 형태의 프랑스어 groseillefra의 변형으로 여겨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 단어가 중고지 독일어 krusgmh ('곱슬, 꼬불꼬불한')와 라틴어 grossularialat[2] (''Ribes'' 속 내 이 식물의 아속 이름이기도 함)와 관련이 있다는 설도 있다.
구즈베리는 떨기나무 또는 관목으로,[12][6] 가지에 날카로운 가시가 많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6] 봄에는 꽃이 피고,[12] 여름에는 다양한 색의 둥근 장과 열매를 맺는다.[12][6] 야생 구즈베리는 재배되는 품종보다 크기는 작지만 맛이 더 좋은 경우가 많다.[6]
그러나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goose'와 'berry'의 문자 그대로의 파생 가능성도 제시한다. 그 근거로 "식물과 과일이 동물과 연관된 이름을 얻게 된 이유는 종종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의미의 부적절성이 반드시 그 단어가 어원적으로 변형되었다는 좋은 근거가 되지는 않는다"는 점을 든다.[2]
프랑스어로 구즈베리는 groseille à maquereaufra인데, 이는 옛 프랑스 요리에서 고등어 소스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고등어 열매'로 번역된다.[4] 영국에서는 구즈베리를 비공식적으로 ''goosegogs''라고 부르기도 한다.[5]
3. 특징
3. 1. 형태
높이는 1m에서 3m 정도 되는 떨기나무 또는 키 작은 관목 덤불이다.[12][6] 너비는 1.5m까지 자라기도 한다.[6] 가지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빽빽하게 나 있다.[6] 일년생 가지의 경우 잎이 달린 밑부분이나 짧은 곁가지, 측면 잎자루 기부에서 가시가 나는데, 길이는 5~10mm 정도이며 1~3개로 갈라진다.[12][6] 단독으로 자라거나 2~3개의 나무가 모여 방사형 덤불을 이루기도 한다.
넓은잎나무로, 둥근 모양의 잎이 어긋나기한다.[12] 잎은 3~5개로 깊게 갈라지며[12][6], 가장자리에는 깊고 둔한 톱니가 있다.[12] 양면에는 털이 많고 잎자루 밑에도 가시가 있다.[12]
4~5월에[12] 종 모양의 하얀[12] 꽃이 핀다.[6][12] 잎 사이[6]나 짧은 가지에 달린 짧은 총상꽃차례에서[12] 1~2개씩[6] 피며 밑으로 처진다.[12] 꽃자루는 짧고 윗부분에 2개의 작은 포가 있다.[12] 꽃받침은 타원형으로 털이 있으며, 5개의 갈래조각은 뒤로 젖혀진다.[12] 꽃잎은 5개로 거꿀달걀모양이고 곧게 서며, 양성꽃이다.[12] 수술 5개는 꽃잎보다 길다.[12]
열매는 지름 2cm 정도 되는 둥근 장과이다.[12] 7~8월에 익으며[12], 보통 잔털이 약간 있지만 털이 없는 변종도 있다. 색깔은 보통 녹색이지만, 붉은색, 노란색, 보라색, 흰색 등 다양한 변종이 있으며, 드물게 짙은 자주색을 띠는 것도 존재한다.[12][6] 야생 구즈베리 열매는 재배 품종보다 크기는 작지만 맛이 더 좋은 경우가 많다.[6]
3. 2. 생태
높이 1m~3m 정도 되는 떨기나무 또는 관목이다.[12][6] 덩굴성으로 자라기도 한다.[6] 가지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빽빽하게 나 있다.[6] 일년생 가지의 경우 잎 밑부분에 길이 5mm~10mm 정도의 가시가 있으며, 이는 1~3개로 갈라진다.[12] 가시는 짧은 곁가지나 잎자루 기부에서 2~3개씩 갈라져 나오기도 한다.[6]
넓은잎나무이며, 둥글고 3~5개로 깊게 갈라지는 잎이 어긋나게 달린다.[12][6] 잎 가장자리에는 깊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는 털이 많다.[12] 잎자루 밑에도 가시가 있다.[12]
4~5월에 하얀색 또는 종 모양의 꽃이 핀다.[12][6] 꽃은 잎 사이에서 1~2개씩 피거나,[6] 짧은 가지의 짧은 총상꽃차례에 2~3개가 달리지만 보통 1개씩 피고 밑으로 처진다.[12] 꽃자루는 짧고 윗부분에 2개의 작은 포(苞)가 있다.[12] 꽃받침은 타원형으로 털이 있으며, 5개의 갈래 조각은 뒤로 젖혀진다.[12] 꽃잎은 5개로 거꿀달걀 모양이고 곧게 서며, 양성꽃이다.[12] 수술 5개는 꽃잎보다 길다.[12]
열매는 지름 2cm 정도 되는 둥근 장과이며, 7~8월에 익는다.[12] 열매 표면에는 보통 잔털이 약간 있지만, 털이 없는 변종도 있다.[12] 색깔은 보통 녹색이지만, 품종에 따라 붉은색, 노란색, 흰색, 보라색 등 다양하다.[6][12] 야생 구즈베리 열매는 재배 품종보다 크기는 작지만 맛이 더 좋은 경우가 많다.[6]
4. 분포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이 원산지이다.[11][7] 구체적인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다.[11]
지역 | 국가 |
---|---|
서아시아 | 이란, 터키 |
캅카스 | 다게스탄, 아르메니아 |
남동유럽 | 그리스, 루마니아,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슬로베니아, 알바니아, 크로아티아 |
동유럽 |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
중앙유럽 | 독일, 스위스, 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체코, 폴란드, 헝가리 |
서유럽 | 네덜란드, 벨기에, 영국, 프랑스 |
남유럽 | 스페인, 이탈리아 |
북아프리카 | 모로코, 알제리 |
프랑스 동부에서 히말라야 산맥에 이르는 지역, 특히 알프스 산맥의 덤불숲이나 바위가 많은 저지대 숲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재배 과정에서 탈출하여 귀화 식물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정확한 원산지 분포는 불분명하다.[7] 예를 들어, 영국의 경우 일부 자료에서는 원산지로 보지만 다른 자료에서는 도입종으로 간주한다.[8] 이 종은 또한 북아메리카의 산재된 지역에서 가끔 귀화한다.
주로 고산 지역과 바위가 많은 숲에서 자란다.[9] 영국에서는 덤불숲, 울타리, 오래된 폐허 등에서도 발견되는데, 오랜 재배 역사 때문에 그레이트브리튼 섬 고유종인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알프스 산맥 기슭의 피에몬테 주나 사보이 지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로마인들이 구즈베리를 잘 알고 있었는지는 불확실하지만,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이탈리아의 더운 여름은 생육에 적합하지 않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어느 정도 알려져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중세 독일이나 프랑스에서는 야생 구즈베리의 산성 과즙을 발열 치료에 사용하기도 했으나, 당시 널리 자생했던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영어의 옛 이름인 'Fea-berry'가 일부 지방 방언에 남아있는 것은 영국에서도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정원에서 재배되었음을 시사한다.
5. 재배
한국에서는 전국에서 심어 키울 수 있다.[12] 여름이 시원한 곳에서 꽃이 잘 피고 열매를 잘 맺으며, 추위와 공해를 잘 견디고 바닷바람에도 강하다.[12] 번식은 원줄기에서 나오는 뿌리움을 포기나누기하여 묘목을 얻거나, 3월 또는 8~9월에 꺾꽂이 또는 휘묻이를 통해 할 수 있다.[12]
5. 1. 품종
19세기에 구즈베리 재배가 인기를 끌었다. 1879년 기록에 따르면, 영국에서는 구즈베리가 작은 숲이나 울타리 곁, 오래된 폐허 주변에서 자주 발견되지만 오랜 재배 역사 때문에 야생종과 재배종을 구별하거나 영국 자생 식물인지 판단하기 어렵다고 한다. 현재 피에몬테와 사보이 알프스 낮은 경사면에서는 흔하지만, 고대 로마인들이 구즈베리를 알았는지는 불확실하며,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에 모호하게 언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탈리아의 더운 여름 날씨는 예나 지금이나 구즈베리 재배에 불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독일과 프랑스에는 구즈베리가 풍부하지만, 중세 시대에는 많이 재배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야생 열매는 산성 즙의 냉각 효과 때문에 열병 치료 약으로 어느 정도 사용되었다. 영국의 옛 이름인 "Fea-berry"(일부 지방 방언에 남아있음)는 영국에서도 비슷한 약효를 인정받아 비교적 일찍 정원에 심어졌음을 시사한다.[9]윌리엄 터너는 16세기 중반 그의 저서 『본초학』에서 구즈베리를 묘사했으며, 몇 년 후 토머스 터서는 그의 시에서 구즈베리를 일반적인 정원 작물로 언급했다. 개량된 품종은 아마도 네덜란드의 숙련된 정원사들이 처음 개발했을 것으로 보이며, 네덜란드어 이름 "Kruisbezie"가 영어 속어 단어로 변형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18세기 말, 구즈베리는 특히 랭커셔 지역에서 코티지 원예(cottage gardening, 소규모 자급자족형 정원 가꾸기)의 인기 대상이 되었다. 당시 노동자 계층이었던 면화 방적공들은 씨앗에서 수많은 품종을 길러냈는데, 주로 열매의 크기를 키우는 데 집중했다.[9]
6. 이용
말매자나무속 식물인 구즈베리는 북미 지역의 오침엽 소나무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오엽송류 발진 녹병(white pine blister rust)의 원인균 ''Cronatrium ribicola''의 중간 숙주이다. 이 때문에 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미국 동부 일부 지역에서는 구즈베리를 포함한 말매자나무속 식물의 재배를 금지하고 있다.
6. 1. 요리
수박같이 줄무늬가 있는 열매를 과일로 먹거나, 통조림, 잼, 주스, 파이 등을 만들 때 쓴다.[12] 생으로 먹을 수도 있지만, 일본에서는 주로 잼 등으로 가공하여 유통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 홋카이도 도동(道東)의 도카치 지방에서는 '구즈베리의 소금 절임'이라는 음식이 언급되기도 했다. 일본 내에서는 나가노, 도호쿠 지방 등 추운 지역에서 주로 재배된다.프랑스 작가 엑토르 말로의 소설 《집 없는 아이》를 기쿠치 유호가 번역할 때, 구즈베리 타르트를 말매자나무 타르트로 잘못 번역한 사례가 있다. 또한 1937년 디즈니 영화 《백설 공주》에서는 구즈베리 파이를 딸기 파이로 번역하기도 했다.
6. 2. 약용
(내용 없음)7. 문화
구즈베리 부시는 19세기 음부털을 가리키는 속어였으며, 여기에서 아기가 "구즈베리 부시 아래에서 태어난다"는 말이 유래되었다.[4]
7. 1. 문학 작품
프랑스 작가 엑토르 말로의 소설 《집 없는 아이》에서 기쿠치 유호는 구즈베리 타르트를 말매자나무 타르트로 번역했다. 또한 디즈니의 1937년 애니메이션 영화 《백설 공주》에서는 구즈베리 파이를 딸기 파이로 번역했다.7. 2. 영화
백설 공주 (1937년 디즈니 영화)에서는 구즈베리 파이를 딸기 파이로 번역했다.8. 기타
구즈베리는 특정 식물 질병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재배가 제한되는 등 사회적인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관련 내용은 병충해 및 사회적 문제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8. 1. 병충해
말매자나무속은 미국의 오침엽 소나무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오엽송류 발진 녹병 (white pine blister rusteng)의 원인균 ''Cronartium ribicola''의 중간 숙주이다. 이 질병의 만연을 막기 위해 미국 동부 일부 자치 단체에서는 구즈베리를 포함한 말매자나무속 식물의 재배를 금지하고 있다.8. 2. 사회적 문제
구즈베리가 속한 말매자나무속 식물은 미국의 오침엽 소나무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오엽송류 발진 녹병( white pine blister rust|화이트 파인 블리스터 러스트영어)의 원인균 ''Cronatrium ribicola''의 중간 숙주 역할을 한다. 이 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미국 동부 일부 지역에서는 구즈베리를 포함한 말매자나무속 식물의 재배를 금지하고 있다.참조
[1]
논문
On False Etymologies
https://babel.hathit[...]
[2]
웹사이트
Gooseberry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Douglas Harper
2018
[3]
서적
Flora von Deutschland, Österreich und der Schweiz
[4]
뉴스
QI: Quite Interesting facts about costermongers
https://www.telegrap[...]
2009-03-23
[5]
웹사이트
Goosegog
https://en.oxforddic[...]
Oxford Dictiona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6]
서적
Growing Fruit
https://books.google[...]
Octopus Publishing Group
[7]
웹사이트
"Ribes uva-crispa'' L. – European gooseberry"
http://www.agroatlas[...]
2003–2009
[8]
서적
New Flora of the British Isl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Gooseberry
https://books.google[...]
C. Scribner's sons
[10]
웹인용
"''Ribes uva-crispa'' L."
http://www.theplantl[...]
큐 왕립식물원
2012-03-23
[11]
웹인용
"''Ribes uva-crispa'' L."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2-01-27
[12]
웹인용
구즈베리 ''Ribes grossularia'' L.
http://www.nature.go[...]
국립수목원
2018-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