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축 효과는 정부 지출 증가가 민간 투자를 감소시키는 현상을 의미하며, 경제학에서 중요한 논쟁의 대상이다. 고전파 경제학자들은 정부 지출이 민간 투자를 구축한다고 보았지만, 케인스는 불황기에는 구축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주장했다. IS-LM 모형을 통해 재화 시장과 화폐 시장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되며, 다양한 유형과 비판, 논쟁이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외환 위기 이후 재정 건전성 논쟁과 함께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시경제학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거시경제학 - 통화주의
    통화주의는 어빙 피셔의 화폐수량설에 기반하여 화폐 공급과 중앙은행의 역할을 강조하며, 화폐 공급 과잉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고 보는 거시경제학 이론이다.
구축
경제 현상
명칭구축 효과
영문 명칭Crowding out
일본어 명칭クラウディングアウト (Kuraugingu auto)
설명정부 지출 증가가 이자율 상승을 유발하여 민간 투자 및 소비를 감소시키는 현상임.
정부의 재정 정책 효과를 상쇄할 수 있음.
유형
직접 구축 효과정부가 민간 부문과 직접 경쟁하여 민간 투자를 감소시키는 경우임.
간접 구축 효과정부 지출 증가로 인해 이자율이 상승하여 민간 투자가 감소하는 경우임.
영향
경제 성장 둔화민간 투자 감소로 인해 장기적인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 있음.
재정 정책 효과 감소정부 지출의 효과가 민간 부문 감소로 인해 상쇄될 수 있음.
고려 사항
경제 상황경제 상황에 따라 구축 효과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
통화 정책통화 정책이 구축 효과를 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2. 역사적 배경

구축 효과(Crowding-out)라는 용어 자체는 비교적 나중에 등장했지만, 정부 지출 증가가 민간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개념 자체는 적어도 18세기부터 논의되어 왔다.[2] 애덤 스미스와 같은 고전파 경제학자들은 정부의 경제 활동이 본질적으로 비생산적일 수 있으며, 정부 차입과 지출이 민간 부문의 생산적인 자원 활용을 저해할 수 있다는 초기 관점을 제시했다.[15]

이러한 논의는 20세기 영국의 주요 경제 위기 때마다 반복적으로 제기되었으며,[3] 특히 세계 대공황이 발생한 1929년 무렵 미국영국에서 재정 정책의 유효성을 둘러싼 논쟁 과정에서 핵심적인 쟁점으로 부상했다. 당시 균형 예산주의를 강조하던 정부들과 케인스와 같이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주장하는 측 사이의 대립에서 구축 효과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되었다.[16] 구축 효과의 존재 여부와 그 정도는 정부가 재정 정책을 통해 경제에 개입하는 것의 타당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과 연결되며, 이후 경제 정책 논쟁에서 지속적으로 중요한 주제가 되었다.

2. 1. 고전파의 관점

애덤 스미스를 비롯한 고전파 경제학자들은 정부의 경제 활동이 비생산적이라고 보았다.[15] 스미스는 정부가 공공 부문에서 자금을 빌려 소비하는 것은 국가 자본을 파괴하는 행위이며, 본래 생산적인 노동에 사용되었을 자원을 비생산적인 노동으로 돌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15] 이러한 관점에서 고전파 경제학은 일반적으로 완전 고용을 전제로 하며, 정부 지출이 증가하면 그것이 세금으로 조달되든 국채 발행으로 조달되든 민간 지출을 밀어내는 구축(Crowding-out) 효과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구축에 대한 이러한 논의는 세계 대공황이 발생한 1929년 무렵 미국영국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미국에서는 공화당 소속의 후버 행정부가 적자 재정과 국채 발행에 반대하며 균형 예산주의를 지키기 위해 구축 논리를 활용했다. 영국에서도 보수당 정권 하의 재무성이 비슷한 이론을 내세워, 케인스자유당을 위해 입안한 적극적인 재정 정책 제안에 반대했다.[16]

만약 고전파 경제학자들의 주장처럼 항상 완전한 구축이 발생한다면, 정부가 경제에 직접 개입하는 경제 정책은 그 의미를 잃게 된다.

2. 2. 케인즈의 반론

케인스는 과거 영국 재무부가 주장했던 것처럼 정부 지출 확대가 필연적으로 민간 투자를 위축시킨다는 견해에 반론을 제기했다. 그는 실업 상태의 노동력이나 사용되지 않는 자본과 같은 유휴 자원이 존재하는 경제 불황기에는, 정부가 지출을 늘리더라도 민간 투자가 완전히 밀려나는 완전한 구축 효과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7] 이는 대공황 시기 재정 정책을 통한 정부의 적극적인 시장 개입 필요성을 역설한 그의 핵심 논리 중 하나였다.

다만 케인스는 정부 지출 증가에 맞춰 통화 당국이 통화 공급을 충분히 늘리지 않는다면, 이자율 상승을 유발하여 민간 투자를 위축시킬 가능성은 인정했다.[17] 이는 재정 정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통화 정책과의 조화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정부 지출이 일시적이 아닌 항구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이것이 민간의 물가 상승 기대나 자본의 한계 효율(투자에 대한 기대 수익률) 전망, 그리고 화폐 보유 선호도 등에 영향을 미쳐 장기적으로 민간 투자와 경쟁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18]

케인스의 이러한 분석은 구축 효과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이해를 제공했으며, 이후 경제 정책 논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통화주의자들은 여전히 금융 정책의 우위를 주장하며 재정 정책 효과에 회의적이었지만, 신 케인즈학파 등은 특정 조건 하에서 재정 정책의 유효성을 인정하며 케인스의 관점을 발전시켰다. 경제가 폐쇄 경제인지 개방 경제인지에 따라 정책 효과가 달라진다는 만델-플레밍 모형의 논의 역시 케인스의 문제의식과 연결된다.

2. 3. 1970년대 이후의 논쟁

구축 효과에 대한 논의는 18세기부터 존재했지만,[2] 특히 1970년대 이후 경제 상황의 변화와 함께 주요 논쟁점으로 부상했다. 20세기 영국의 주요 경제 위기 때마다 공공 부문 확장이 경제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쟁이 반복되었는데, 제1차 세계 대전 후의 '게데스 도끼',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재무부 견해' 비판, 그리고 1970년대 공공 부문에 대한 '통화주의자'의 공격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공공 부문 성장, 특히 국가 차입을 통한 자금 조달이 국가 경제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3] 1970년대의 논쟁은 주로 한 국가 내 고정된 저축 공급을 가정했지만, 21세기 글로벌 자본 시장 환경에서는 국제 자본 이동성이 단순한 구축 효과 모델의 설명력을 약화시킨다는 지적도 있다.[3]

케인스실업과 유휴 자본이 존재하는 한, 정부 지출 증가가 구축 효과로 완전히 상쇄되지는 않는다고 보았다. 다만, 정부의 자금 조달 과정에서 통화 당국이 통화 공급을 늘리지 않으면 이자율 상승으로 민간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은 인정했다.[17] 또한, 지속적인 재정 지출은 민간의 기대를 변화시켜 물가, 자본의 한계 효율(기대 수익률), 유동성 선호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민간 투자 수요와 경쟁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18]

케인스 이후, 경제 활동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정책이 금융 정책인지 재정 정책인지를 두고 논쟁이 이어졌다. 통화주의자들은 금융 정책의 효과를 강조하며 재정 정책, 특히 정부 재량에 따른 재정 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다. 반면, 신케인즈학파는 금융 정책을 중시하면서도 재정 정책 역시 유효성을 가질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만델-플레밍 모형은 경제가 폐쇄적인지 개방적인지에 따라 재정 정책과 금융 정책의 상대적 유효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실제로 구축 효과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 대표적인 사례는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초 미국 경제 상황이다.[21] 당시 미국 경제는 일본과 유럽 경제의 부상으로 국제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불황과 실업 문제에 직면했다. 또한 1960년대부터 누적된 막대한 국가 부채(1970년 3809억달러, GDP 대비 37.6% / 1980년 9090억달러, GDP 대비 33.3%)도 부담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기 부양을 위해 저금리를 유도하려 하면 FOMC의 시장 개입이 과잉 유동성 (인플레이션)을 유발했고, 반대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융 긴축을 시도하면 장기 금리가 급등하는 악순환에 빠져 있었다.

1975년, 포드 행정부는 840억달러 규모의 국채를 발행했는데, 이는 당시 민간 총투자액의 절반에 달하는 규모였다. 연방 예산 적자를 메우기 위한 이 거액의 국채 발행은 금융 시장에서 민간 자금 수요와 경쟁하며 금리 급등을 초래했고, 구축 효과로 인해 재정 지출 증가의 경기 부양 효과가 상쇄될 수 있다는 논란을 일으켰다.

레이건 행정부 시기에는 대규모 감세와 세출 확대(이른바 레이거노믹스)가 추진되면서 금리가 역사적인 수준으로 치솟았고, 이는 민간 투자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특히 고용 면에서는 실업자가 1,000만 명에 달하는 등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장 어려운 경제 상황을 맞기도 했다. 하지만 예상과는 다른 현상도 나타났다. 해외에서 막대한 투기 자금이 유입되면서 환율달러 강세로 이어졌고, 이는 수출 감소와 수입 증가를 유발해 역설적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해외 자금은 높은 수익률을 좇아 미국 국채 등으로 흘러 들어가 채권 가격을 상승시키고 장기 금리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해외 자본에 의한 투자 확대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는 환율 시장을 통한 또 다른 형태의 구축 효과로 해석될 수 있다.

1982년 중반부터 인플레이션율이 낮아지면서 고금리 정책은 점차 완화되었다. 1983년부터는 경기 회복세가 나타났는데, 이는 주로 감세와 세출 확대라는 재정 정책에 따른 소비 증가(승수 효과)에 힘입은 바가 컸다. 인플레이션이 안정된 후에는 양적 금융 완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미국의 부활"이라 불릴 정도의 급격한 경기 확장이 일어났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한 불균형은 인플레이션 대신 막대한 경상 수지 적자로 나타났고, 이는 결국 플라자 합의로 이어지는 배경이 되었다.

3. 이론적 설명

구축 효과는 정부의 재정 지출 증가가 민간 투자나 민간의 실물 자원 축적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설명하는 거시경제학 개념이다.[4] 이는 주로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발생한다.

첫째, 자원 구축은 정부가 지출을 늘리기 위해 재화나 용역을 구매하면서 민간 부문이 사용할 수 있었던 자원(노동력, 원자재 등)을 정부 부문으로 이전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특히 경제가 완전 고용 상태에 가까워 생산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을 때, 정부 지출 증가는 한정된 자원을 두고 민간 부문과 경쟁하여 민간의 생산 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다. 반면, 경기 침체 등으로 유휴 생산 능력과 실업이 많은 상태에서는 정부 지출 증가가 유휴 자원을 활용하여 총생산을 늘릴 수 있으므로 자원 구축 효과는 미미할 수 있다.[4] 경제학자 로라 D'안드레아 타슨은 이러한 상황에서는 정부 지출 증가가 오히려 수요를 창출하여 민간 투자를 유도하는 '민간 투자 유인 효과(crowding in)'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4] 자레드 번스타인이나 폴 크루그먼 같은 경제학자들도 2008년 금융 위기 이후처럼 과잉 생산 능력과 낮은 금리 상황에서는 정부 차입 증가가 전통적인 구축 효과로 이어지지 않았음을 강조했다.[5][6]

둘째, 이자율 경로를 통한 구축은 정부가 지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국채 발행 등으로 금융 시장에서 자금을 차입할 때 발생한다. 이는 자금 수요를 증가시켜 이자율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며, 상승한 이자율은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을 높여 민간 투자를 위축시킨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주로 IS-LM 모형을 통해 분석되며, 구축 효과의 정도는 화폐 수요의 이자율 탄력성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4] 케인스실업 상태에서는 정부 지출 증가가 완전한 구축 효과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중앙은행이 통화 공급을 늘리지 않으면 이자율 상승으로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은 인정했다.[17][18]

개방 경제에서는 국제적 구축 효과도 고려된다. 변동 환율 제도 하에서 정부 차입 증가로 국내 이자율이 상승하면 해외 자본 유입이 늘어나 자국 통화 가치가 상승할 수 있다. 이는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켜 순수출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먼델-플레밍 모형에서 설명된다.

3. 1. IS-LM 모형

IS-LM 모형은 재화 시장의 균형을 나타내는 IS 곡선과 화폐 시장의 균형을 나타내는 LM 곡선을 이용해 거시경제를 분석하는 틀이다. 이 모형은 정부 지출 증가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구축 효과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정부 지출 증가는 총수요의 구성 요소이므로, 정부 지출이 늘어나면 IS 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4]
'''IS'''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더 높은 이자율(i)과 "실질" 경제(실질 GDP 또는 Y)의 확장을 유발한다.
이는 동일한 이자율 수준에서 더 높은 국민 소득(Y) 수준에서 재화 시장이 균형을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LM 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IS 곡선의 우측 이동은 균형 국민 소득(Y)과 균형 이자율(r)을 모두 상승시킨다.

이렇게 상승한 이자율은 민간 투자(I)를 위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기업은 이자율이 높아지면 자금 조달 비용 부담이 커져 투자를 줄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정부 지출 증가가 이자율 상승을 통해 민간 투자를 감소시키는 현상을 구축 효과(Crowding out effect)라고 부르며[4], 이는 정부 지출 증가가 가져오는 총수요 증대 효과의 일부를 상쇄하게 된다.

구축 효과의 크기는 LM 곡선의 기울기에 따라 달라진다.

  • LM 곡선이 수평에 가까울수록(즉, 화폐 수요의 이자율 탄력성이 매우 클수록), 정부 지출이 증가해도 이자율은 조금만 오르고 국민 소득은 크게 증가한다. 극단적으로 LM 곡선이 수평인 유동성 함정 상태에서는 이자율이 전혀 변하지 않아 구축 효과가 발생하지 않고, 정부 지출 증가는 그대로 국민 소득 증가로 이어진다.
  • LM 곡선이 수직에 가까울수록(즉, 화폐 수요의 이자율 탄력성이 매우 작을수록), 정부 지출이 증가하면 이자율은 크게 오르고 국민 소득은 조금만 증가한다. 극단적으로 LM 곡선이 수직이라면, 정부 지출 증가는 이자율만 큰 폭으로 상승시키고 국민 소득은 전혀 증가시키지 못한다. 이 경우 구축 효과가 100% 발생하여 재정 정책의 효과가 사라지는데, 이는 통화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견해와 유사하다.


케인스실업과 유휴 자본이 존재하는 경제에서는 정부 지출 증가가 완전한 구축 효과를 일으키지는 않는다고 보았다. 다만, 중앙은행이 통화 공급을 함께 늘리지 않으면 이자율 상승으로 인해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은 인정했다.[17][18]

이러한 논의는 경제 상황에 따라 구축 효과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경제가 완전 고용 상태에 가까울 때는 정부 지출 증가가 민간 부문과 자원을 두고 경쟁하게 되어 구축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반면, 경제 침체로 유휴 생산 능력이 많을 때는 정부 지출 증가가 이자율 상승보다는 유휴 자원을 활용하여 생산과 고용을 늘리는 효과가 더 클 수 있다. 경제학자 로라 D'안드레아 타슨은 2012년 글에서, 경제에 상당한 유휴 생산 능력이 있을 때 정부 적자 증가는 민간 투자를 구축하기보다는 오히려 수요 증대를 통해 고용과 생산을 늘리고 추가적인 민간 투자를 유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부 지출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인프라 투자 등에 사용된다면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높일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4]

IS-LM 모형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을 위해 폐쇄 경제를 가정)

  • 재화 시장 균형 (IS 곡선):

국민 소득(Y)은 소비(C), 투자(I), 정부 지출(G)의 합이다: Y = C + I + G .

소비 C가 소득의 일정 비율(c, 한계 소비 성향)이라 하면 C = cY 이다.

투자 I는 이자율 r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함수 I = I(r) 이다.

이를 정리하면 IS 곡선은 Y = cY + I(r) + G 또는 Y = (I(r)+G)/(1-c)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은 Y와 r 사이의 우하향 관계를 보여준다.

  • 화폐 시장 균형 (LM 곡선):

화폐 수요 L은 소득 Y가 증가할수록, 이자율 r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함수 L = L(Y, r) 이다.

화폐 시장은 화폐 수요와 화폐 공급 M/P가 같을 때 균형을 이룬다: L(Y, r) = M/P .

이 식을 Y에 대해 정리하면 LM 곡선 Y = LM(r) 을 얻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Y와 r 사이의 우상향 관계를 나타낸다.

  • 균형:

거시경제의 균형은 IS 곡선과 LM 곡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결정된다.

LM(r) = (I(r)+G)/(1-c)

이 식에서 정부 지출 G가 증가하면, 우변이 커지므로 균형을 맞추기 위해 좌변의 LM(r)도 커져야 한다. LM(r)은 r의 증가 함수이므로, 이는 이자율 r의 상승을 의미한다. 이자율 r이 상승하면 투자 I(r)은 감소하게 되는데, 이것이 구축 효과를 수학적으로 보여준다.

'''수치 예시:'''

다음과 같은 경제 모형을 가정해 보자.

  • 총 소비: C = 0.9Y
  • 총 투자: I = 100 - 4r
  • 정부 지출: G = 100
  • 총 화폐 수요: L = Y - 10r
  • 총 화폐 공급: M/P = 1500


이 경제의 초기 균형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IS 곡선: Y = 0.9Y + (100 - 4r) + 100 \Rightarrow 0.1Y = 200 - 4r \Rightarrow Y = 2000 - 40r
  • LM 곡선: Y - 10r = 1500 \Rightarrow Y = 1500 + 10r
  • 균형점: 2000 - 40r = 1500 + 10r \Rightarrow 50r = 500 \Rightarrow r = 10 . 이때 Y = 1500 + 10(10) = 1600 , I = 100 - 4(10) = 60 .


이제 정부 지출을 G = 120으로 20만큼 늘린다고 가정하자. 새로운 IS 곡선은 Y = 2200 - 40r 가 된다. LM 곡선은 변하지 않는다.

  • 새로운 균형점: 2200 - 40r = 1500 + 10r \Rightarrow 50r = 700 \Rightarrow r = 14 . 이때 Y = 1500 + 10(14) = 1640 , I = 100 - 4(14) = 44 .


정부 지출이 20 증가하자 이자율은 10에서 14로 상승했고, 그 결과 민간 투자는 60에서 44로 16만큼 감소했다. 국민 소득은 1600에서 1640으로 40만큼 증가했다. 정부 지출 증가분(20)보다 국민 소득 증가분(40)이 크지만, 만약 구축 효과(투자 감소 16)가 없었다면 소득은 더 크게 증가했을 것이다. 즉, 구축 효과로 인해 재정 정책의 소득 증대 효과가 일부 상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만약 정부가 재정 정책과 함께 통화 정책을 실시하여 이자율 상승을 억제하고 r = 10으로 유지했다면, 국민 소득은 새로운 IS 곡선 Y = 2200 - 40r 에서 Y = 2200 - 40(10) = 1800 까지 증가했을 것이다.

3. 2. 예외적인 경우

일반적으로 정부 지출이 증가하면 이자율이 상승하여 민간 투자가 위축되는 구축 효과가 발생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반대로 극대화될 수 있다.

경제가 가상적인 유동성 함정에 빠진 경우가 대표적인 예외 상황이다. 이 경우, 화폐 수요가 이자율에 극도로 민감하여 "유동성-화폐"(LM) 곡선이 수평에 가깝거나 완전히 수평이 된다. LM 곡선이 수평이면 정부 지출이 증가해도 이자율이 변하지 않으므로, 민간 투자 지출이 줄어들지 않는다. 따라서 구축 효과는 발생하지 않으며, 정부 지출 증가는 국민 소득에 완전한 승수 효과를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재정 정책의 효과가 극대화되는 반면, 통화 정책은 이자율이나 소득에 영향을 주지 못해 효과가 거의 없다.

반대로 LM 곡선이 수직인 경우도 예외적인 상황이다. 이는 화폐 수요가 이자율 변화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정부 지출이 증가하면 이자율만 상승시킬 뿐 균형 국민 소득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상승한 이자율은 정부 지출 증가분과 정확히 같은 규모의 민간 지출(주로 투자) 감소를 유발한다. 이를 완전 구축이라고 하며, LM 곡선이 수직일 때는 재정 정책이 국민 소득 증대에 전혀 기여하지 못하고 무력화된다.

케인스실업과 유휴 자원이 존재하는 한, 정부 지출 증가가 완전한 구축을 유발하지는 않는다고 보았다. 다만, 통화 공급이 함께 늘어나지 않으면 이자율 상승으로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은 인정했다.[17][18]

3. 3. 수식 및 수치 예시

구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먼저 IS-LM 분석 모형을 사용한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외부와의 거래가 없는 폐쇄 경제를 가정한다.

=== 재화 시장 균형 (IS 곡선) ===

국민 소득 Y는 가계의 소비 C, 기업의 투자 I, 정부 지출(재정 정책) G의 합으로 구성된다.

: Y = C + I + G

소득 중 일정 비율 c만큼 소비한다고 가정하면(한계 소비 성향), 소비 C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C = cY

기업의 투자 I는 이자율 r의 함수로, 이자율이 낮을수록 투자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r에 대해 감소하는 함수 I(r)로 나타낸다.

: I = I(r)

위 식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하며, 이를 IS 곡선이라고 한다. 이 식은 이자율(r)과 국민 소득(Y)의 관계를 나타낸다. (G와 c는 상수라고 가정)

: Y = \frac{I(r) + G}{1 - c}

=== 화폐 시장 균형 (LM 곡선) ===

화폐 시장의 균형은 총 화폐 수요 L과 총 화폐 공급 M/P가 일치할 때 달성된다. 화폐 수요 L은 국민 소득 Y와 이자율 r의 함수 L(Y,r)로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증가하면 화폐 수요가 늘고, 이자율이 상승하면 화폐 보유의 기회비용이 커져 화폐 수요가 감소한다(유동성 선호 설).

: L(Y, r) = \frac{M}{P}

이 균형 조건을 만족하는 Y와 r의 관계를 LM 곡선이라고 하며, Y = LM(r)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LM 곡선은 우상향한다.

=== IS-LM 균형과 구축 효과 ===

경제 전체의 균형은 IS 곡선과 LM 곡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달성된다(IS-LM 분석).

: LM(r) = \frac{I(r) + G}{1 - c}

이 식을 G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G = (1 - c) LM(r) - I(r)

LM(r)은 r에 대해 증가하고, I(r)은 r에 대해 감소하므로, 우변 전체는 r에 대해 단조 증가한다. 따라서 정부 지출 G가 증가하면 균형 이자율 r이 상승하게 된다. 이자율 r이 상승하면 투자 함수 I(r)의 특성에 따라 기업의 총 투자 I는 감소한다. 즉, 정부 지출 증가는 이자율 상승을 유발하여 민간 투자를 위축시키는 구축 효과를 발생시킨다.

다만, 구축 효과가 발생하여 민간 투자가 감소하더라도, 정부 지출 증가로 인한 총수요 증대 효과가 더 크다면 전체 국민 소득 Y는 증가할 수 있다. 구축 효과의 크기는 LM 곡선의 기울기에 따라 달라진다.

  • LM 곡선이 수직에 가까울수록(화폐 수요의 이자율 탄력성이 작을수록) 구축 효과는 커져 재정 정책의 효과가 작아진다. 극단적으로 LM 곡선이 수직이면 구축 효과는 완전해져 재정 정책은 소득 증대 효과를 내지 못한다.
  • LM 곡선이 수평에 가까울수록(유동성 함정 상태 등) 구축 효과는 작아져 재정 정책의 효과가 커진다. 극단적으로 LM 곡선이 수평이면 구축 효과는 0이 되어 재정 정책의 효과가 완전히 발휘된다.


=== 수치 예시 ===

다음과 같은 경제 모형을 가정해 보자.

  • 국민 소득: Y = C + I + G
  • 총 소비: C = 0.9Y (한계 소비 성향 c = 0.9)
  • 총 투자: I = 100 - 4r
  • 정부 지출: G = 100
  • 총 화폐 수요: L = Y - 10r
  • 총 화폐 공급: M/P = 1500


==== 초기 균형 ====

재화 시장 균형 (IS 곡선):

Y = 0.9Y + (100 - 4r) + 100

0.1Y = 200 - 4r

Y = 2000 - 40r

화폐 시장 균형 (LM 곡선):

Y - 10r = 1500

Y = 1500 + 10r

두 시장의 균형점에서 Y와 r을 구하면:

2000 - 40r = 1500 + 10r

500 = 50r \implies r = 10

Y = 1500 + 10(10) = 1600

따라서 초기 균형 상태는 다음과 같다.

  • 이자율 (r) = 10
  • 국민 소득 (Y) = 1600
  • 총 투자 (I) = 100 - 4(10) = 60


==== 정부 지출 증가 (G = 120) ====

정부 지출이 100에서 120으로 20만큼 증가했다고 가정하자. 새로운 IS 곡선은 다음과 같다.

Y = 0.9Y + (100 - 4r) + 120

0.1Y = 220 - 4r

Y = 2200 - 40r

LM 곡선은 변하지 않으므로, 새로운 균형점을 찾는다.

2200 - 40r = 1500 + 10r

700 = 50r \implies r = 14

Y = 1500 + 10(14) = 1640

정부 지출 증가 후의 균형 상태는 다음과 같다.

  • 이자율 (r) = 14
  • 국민 소득 (Y) = 1640
  • 총 투자 (I) = 100 - 4(14) = 100 - 56 = 44


정부 지출이 20 증가하자 이자율은 10에서 14로 상승했고, 민간 투자는 60에서 44로 16만큼 감소했다. 이것이 구축 효과이다. 정부 지출 증가로 인한 국민 소득 증대 효과(단순 승수 효과는 20 * (1/(1-0.9)) = 200)가 이자율 상승에 따른 투자 감소로 인해 일부(1600 -> 1640, 즉 40 증가) 상쇄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정부 지출 증가 + 금융 정책 병행 ====

만약 정부 지출을 120으로 늘리는 재정 정책과 동시에 중앙은행이 통화 공급을 늘리는 금융 정책을 통해 이자율을 이전 수준인 10으로 유지시킨다면, 국민 소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새로운 IS 곡선 Y = 2200 - 40r 에 r = 10을 대입하면,

Y = 2200 - 40(10) = 1800

이 경우, 구축 효과가 발생하지 않아 정부 지출 증가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

정부 지출 변화에 따른 경제 지표 변화
구분정부 지출 (G)이자율 (r)총 투자 (I)국민 소득 (Y)
초기 균형10010601600
정부 지출 증가12014441640
정부 지출 증가 + 이자율 고정
(금융 정책 병행)
12010601800


4. 구축 효과의 유형

보건 경제학에서는 공공 보험 프로그램 신설이나 확대 시 기존 민간 보험 가입자가 공공 프로그램으로 이동하는 현상(수요 구축)을 구축 효과의 한 유형으로 본다. 이는 1990년대 후반 미국메디케이드 및 주 아동 건강 보험 프로그램(SCHIP) 확대 과정에서 나타났다.[7]

또한, 정부 정책이 전통적인 사적 자선 활동 영역에 개입하여 기부를 위축시키거나,[12] 정부의 금융 시장 개입이 민간 벤처 자본 투자를 밀어내는 현상(공급 구축)도 구축 효과의 예시이다.[13]

거시경제학에서는 주로 다음과 같은 구축 효과를 논의한다.


  • 금융 구축: 정부 지출 증가가 이자율 상승을 유발하여 민간 투자를 위축시키는 효과.
  • 자원 구축: 정부의 자원 사용 증가로 민간 부문이 사용할 수 있는 실물 자원이 감소하는 효과.
  • 국제적 구축: 변동 환율 제도 하에서 정부 지출 증가가 환율 절상을 통해 순수출을 감소시키는 효과.[20]


이러한 구축 효과에 대한 논의는 고전파 경제학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15] 세계 대공황 시기 정책 논쟁에서도 중요한 쟁점이었다.[16] 케인스실업과 유휴 자본 존재 시 완전한 구축은 일어나지 않지만, 이자율 상승을 통한 투자 억제 가능성은 인정했다.[17][18] 다양한 유형의 구축 효과는 정부 정책의 실제 파급 효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4. 1. 자원 구축

정부 지출이 늘어나면 민간 부문의 고정 투자나 실물 자원 축적이 줄어들 수 있는데, 이를 자원 구축이라고 한다. 정부가 지출을 늘리면 경제 전체의 실물 자원이 민간 대신 공공 부문으로 더 많이 흘러가게 된다. 이처럼 정부가 자본재나 다른 자원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면 민간 부문이 쓸 수 있는 자원은 자연히 줄어든다. 하지만 이는 공공 목적의 자원 사용이 장기적으로 비생산적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현대 거시경제학에서는 정부의 차입 증가에 대해 가계나 금융 시장이 어떻게 반응할지에 대한 견해가 다양하여, 자원 구축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다.

자원 구축이 발생하는 정도는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경제가 완전 고용 상태거나 생산 능력의 한계에 도달했을 때 정부가 갑자기 재정 적자를 늘리면 (예: 경기 부양책을 통해), 한정된 자원을 두고 민간 부문과 경쟁하게 되어 자원 배분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경기 부양의 효과는 구축 효과로 인해 일부 상쇄될 수 있다. 반면, 경제가 생산 능력에 미치지 못하고 유휴 자원이 많을 때는 정부의 적자 증가가 민간 부문과의 심각한 경쟁을 유발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는 경기 부양책이 훨씬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즉, 경제가 생산 능력 아래에 있을 때 정부의 재정 적자 변화가 GDP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예를 들어,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 경제는 생산 능력을 크게 밑돌았고 활용 가능한 유휴 생산 능력이 많았기 때문에, 정부가 재정 적자를 늘려 투자를 집행하는 것이 오히려 놀고 있을 자금을 활용하는 결과를 낳았다.[4]

고전파 경제학에서의 구축 논의는 오래전부터 존재했다. 애덤 스미스는 정부의 경제 활동은 본질적으로 비생산적이며, 정부가 자금을 빌려 소비하는 것은 국가 자본을 파괴하고 생산적인 활동에 쓰였어야 할 자원을 비생산적인 곳으로 돌리는 행위라고 보았다.[15] 일반적으로 완전 고용을 가정하는 고전파 경제학에서는 정부 지출 증가는 재원 조달 방식(세금 또는 국채 발행)과 상관없이 민간 지출을 밀어내는(구축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본다.

이러한 논의는 세계 대공황이 발생한 1929년 무렵 미국영국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미국에서는 공화당후버 행정부가 적자 재정과 국채 발행에 반대하며 균형 예산주의를 지키기 위해 구축 논리를 활용했다. 영국에서도 보수당 정권 하의 재무성이 비슷한 논리로 J.M. 케인스자유당을 위해 입안한 적극적 재정 정책 제안에 맞섰다.[16]

구축 문제는 정부의 경제·재정 정책에서 중요한 논점이다. 만약 고전파의 주장처럼 항상 완전한 구축이 발생한다면, 정부의 직접적인 경제 개입(경제 정책)은 의미를 잃게 된다. 구축 현상은 경제 균형 과정에서 자원 배분이 조정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정부가 금융 시장에서 자금을 빌려 투자하면 시장에 유통되는 자금이 줄어들고, 이는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민간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 즉, 금융 시장을 통해 경제 자원이 정부 투자로 더 많이 배분되는 대신 민간 투자에 대한 배분은 줄어드는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양적 금융 완화 정책과 같은 완화적 금융 정책을 함께 사용하면, 민간 투자를 제약하지 않으면서 공공 투자를 늘릴 수도 있다.

이러한 정책 조합은 경제에 여유 자원(유휴 자본, 낮은 시중 금리, 낮은 설비 가동률, 실업 상태 등)이 있을 때 효과적일 수 있다. 하지만 경제 자원에 여유가 없는 상태에서 이러한 정책을 사용하면 명목 경제 성장률만 높아지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1960년대 미국 경제는 명목 성장의 내용이 실질 성장에서 물가 상승으로 점차 변화해 간 사례로 볼 수 있다.

이론적으로 구축 효과는 호황으로 완전 고용 생산 수준에 도달한 경제에서 정부가 추가 재정 지출을 할 때 전형적으로 나타난다고 설명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경상수지나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되고, 실업 대책이나 사회 보장 관련 의무 지출 증가로 재정 적자가 누적된 상황에서 추가적인 국채 발행이 채권 시장의 금리를 의도치 않게 상승시키는 경우가 문제로 지적되기도 한다.

일본의 경우, 1990년대의 재정 정책이 구축 효과를 일으켜 민간 투자를 감소시켰다는 시각도 있지만, 앞서 언급한 만델-플레밍 효과에 의해 금리 상승이 아닌 엔고 형태로 영향이 나타났다는 점, 그리고 저축 초과 상태가 지속되어 국채가 안정적으로 소화된 점 등으로 인해 뚜렷한 실질 금리 상승은 일어나지 않았다. 오히려 90년 이후의 재정 억제 정책은 "정관민 유착"에서 보이는 동기 부여의 구축 효과와 관련된 문제나, 불황으로 인한 세수 부족과 함께 증대되는 사회 보장비로 인해 상환 자금 마련을 위한 차환 국채 문제 등이 쟁점이 되었다.

90년대에는 실질 금리를 높이는 디플레이션이 발생했기 때문에, 재정 정책의 부족이 민간 투자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 시기에는 금융 기관의 부실 채권 처리나 BIS 규제에 대처하기 위한 무리한 대출 거부·회수 (신용 수축)가 문제가 되었으며, 재정 지출을 통한 유효 수요 확대와 통화 공급 확대 (헬리콥터 머니나 인플레이션 목표)를 요구하는 국회의 요구가 높아졌지만, 하시모토 정권의 긴축 재정 방침이나 오부치 정권의 대규모 재정 지출, 2000년 일본은행에 의한 금융 긴축 등 경제 정책이 우왕좌왕했던 점 (스톱 앤 고 정책)으로 인해 신용 수축이 극에 달했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사람들이 합리적으로 미래를 예상한다고 가정하면, 소비자나 기업은 장래의 증세를 예상하여 미래에 대비해 재정 지출의 확대분과 거의 같은 만큼의 저축을 늘리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총수요의 증가폭은 상쇄되어 작게 유지되고, 재정 정책은 효과가 줄어들게 된다. 특히, 공적 채무가 어떤 임계치를 넘어서 축적된 상태에서는, 이와 같은 장래의 증세를 위한 저축이 일어나기 쉬워진다는 분석이 있다.[22][23]

4. 2. 금융 구축

정부의 재정 정책 중 하나인 정부 지출 증가는 총수요를 늘려 국민 소득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정부가 지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국채 발행 등을 통해 금융 시장에서 차입을 늘리면, 이는 자금 수요 증가로 이어져 이자율 상승 압력을 유발할 수 있다. 상승한 이자율은 기업의 투자 비용을 높여 민간 투자를 위축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는데, 이를 금융 구축 효과(financial crowding out) 또는 이자율 구축 효과라고 한다. 즉, 정부 지출 증가가 이자율 상승을 통해 민간 투자를 밀어내는(구축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이는 정부 지출의 경기 부양 효과를 일부 상쇄시킬 수 있다.[4]

IS-LM 분석 모형을 통해 금융 구축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정부 지출 증가는 재화 시장의 균형을 나타내는 IS 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화폐 시장의 균형을 나타내는 LM 곡선이 우상향하는 일반적인 경우, IS 곡선의 이동은 더 높은 이자율과 더 높은 국민 소득(Y) 수준에서 새로운 균형점을 형성하게 한다. 여기서 이자율 상승으로 인해 민간 투자가 감소하는 정도가 구축 효과의 크기를 결정한다.

구축 효과의 크기는 IS 곡선과 LM 곡선의 기울기에 따라 달라진다.

  • LM 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할수록(즉, 화폐 수요의 이자율 탄력성이 클수록) 정부 지출 증가 시 이자율 상승폭은 작아지고 국민 소득 증가 효과는 커져 구축 효과는 작아진다. 극단적으로 LM 곡선이 수평인 유동성 함정 상태에서는 이자율이 변하지 않아 구축 효과는 발생하지 않는다.
  • IS 곡선의 기울기가 가파를수록(즉, 투자의 이자율 탄력성이 작을수록) 정부 지출 증가 시 이자율 상승폭은 커지고 국민 소득 증가 효과는 작아져 구축 효과는 커진다.
  • 반대로 LM 곡선이 수직(화폐 수요의 이자율 탄력성 0)인 고전파의 극단적인 경우에는 정부 지출 증가가 이자율만 상승시키고 국민 소득은 전혀 증가시키지 못하는 완전 구축이 발생하여 재정 정책이 무력해진다.


금융 구축 효과가 실제로 발생하는 정도는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 경제가 잠재 생산량 수준에 근접하여 완전 고용 상태에 가까울 때는, 정부 지출 증가는 제한된 자원을 두고 민간 부문과 경쟁하게 되며 물가 상승 압력을 유발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은행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통화 정책을 긴축하여 이자율을 인상하면 구축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다.[4]
  • 반면, 경제에 실업과 유휴 설비 등 상당한 초과 생산 능력이 존재할 때는 정부 지출 증가가 이자율 상승을 유발하지 않거나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오히려 증가된 정부 지출이 총수요를 진작시켜 기업의 투자 의욕을 고취함으로써 민간 투자를 유인하는 효과(crowding-in)가 나타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경제학자 로라 D'안드레아 타슨은 정부 적자가 생산적인 인프라 투자 등에 사용될 경우 장기 성장을 촉진할 수 있으며, 특히 경제 내에 상당한 유휴 생산 능력이 있을 때는 정부 적자 증가가 민간 투자를 구축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4] 미국의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은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미국에서 대규모 재정 적자에도 불구하고 이자율이 오히려 하락했다는 점을 근거로 들며, 경기 침체 시 구축 효과에 대한 우려는 과장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6] 자레드 번스타인 역시 2011년 당시 미국의 경제 상황(초과 생산 능력, 제로 금리, 기업의 풍부한 현금 보유)을 고려할 때, 높은 이자율 때문에 기업이 투자를 못 하는 구축 효과 시나리오는 현실성이 낮다고 평가했다.[5]


한편, 포스트 케인즈 경제학과 차탈리즘 경제학자들은 금융 구축 효과의 전제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이들은 정부 지출 증가가 은행 시스템에 지급준비금을 공급하여 단기 이자율을 하락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자율은 기본적으로 중앙은행의 정책 결정에 의해 설정된다고 본다. 또한 민간 신용 공급은 '대출 가능한 자금의 양'에 의해 제약되는 것이 아니라, 은행의 자기자본 규제나 차입자의 신용도 등 다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4. 3. 국제적 구축

변동 환율 제도가 보편화되면서 나타날 수 있는 또 다른 종류의 구축 효과를 '''국제적 구축'''이라고 부르며, 이는 먼델-플레밍 모형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정부 지출 증가를 위한 국채 발행 등이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이나 시장 금리 상승 압력으로 이어지면, 높아진 금리는 외국 자본의 유입을 유도한다. 자본 계정을 통해 국내 통화 표시 자산으로 외국 자금이 유입되는 것이다.

변동 환율 제도 하에서는 이러한 자본 유입이 환율의 가치 상승(절상)을 유발한다. 자국 통화 가치가 높아지면 외국 통화로 표시되는 수출품 가격이 비싸져 수출 경쟁력이 약화되고, 반대로 수입품 가격은 저렴해져 수입이 늘어난다. 결과적으로 순수출(수출 - 수입)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것이 수출 부문에서 발생하는 구축 효과이다.[20] 순수출 감소는 정부 지출 증가로 인한 총수요 증대 효과를 일부 상쇄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국제적 구축이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명백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변동환율제 하에서의 구축 효과는 금리 상승 압력이 해외 자금 유입으로 상쇄되어 실제 금리 상승은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금리 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서 재정 정책의 효과가 크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국제적 구축 효과가 나타난 사례로는 1980년대미국레이건 행정부 시기를 들 수 있다.[21] 당시 레이건 행정부는 대규모 감세와 세출 확대 정책을 추진했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의 금리를 유발했다. 높은 금리는 민간 투자를 위축시켜 실업자가 1000만 명에 달하는 등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을 초래했다. 한편, 높은 금리는 해외로부터 대량의 투기 자금을 유입시켰고, 이는 달러 강세로 이어졌다. 달러 강세는 수출 감소와 수입 증가를 유발하여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왔다. 유입된 해외 자본은 미국 국채 등으로 흘러 들어가 채권 가격 상승(장기 금리 하락)과 투자 확대로 이어지기도 했으나, 이는 당초 예상과는 다른 전개였으며 환율 시장을 통한 구축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경상수지 적자 확대로 이어져 플라자 합의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일본의 경우, 1990년대 재정 정책이 구축 효과를 일으켜 민간 투자를 위축시켰다는 분석도 있지만, 먼델-플레밍 모형에 따라 금리 상승보다는 엔화 강세(엔고) 형태로 나타났다는 시각이 있다. 또한 당시 일본 경제는 저축 초과 상태가 지속되어 국채가 안정적으로 소화되었기 때문에 뚜렷한 실질 금리 상승은 나타나지 않았다.

4. 4. 수요 구축 (보건 경제학)

보건 경제학 분야에서 '구축'(crowding out)은 주로 보험 미가입자를 대상으로 하는 공공 보험 프로그램이 신설되거나 확대될 때, 이미 민간 보험에 가입되어 있던 사람들이 새로운 공공 프로그램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1990년대 후반 미국에서 메디케이드(Medicaid)와 주 아동 건강 보험 프로그램(State Children's Health Insurance Program, SCHIP)이 확대되었을 때 관찰된 바 있다.[7]

이처럼 새로운 공공 보험 프로그램의 가입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단순히 보험이 없던 사람들이 새로 가입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기존에 민간 보험에 가입해 있던 사람들이 공공 보험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환은 해당 정책 변화가 가져올 것으로 기대했던 의료 서비스 개선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SCHIP 확대 논의 과정에서 미국 의회 예산처(Congressional Budget Office, CBO)는 프로그램 재정 지원 증가의 효과를 분석하면서, 많은 아동이 새로 등록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그중 일부는 이미 민간 보험 가입 자격이 있는 경우일 수 있다고 예측했다.[8] 실제로 연방 빈곤선(4인 가족 기준 약 4만 달러)의 두 배가 넘는 소득 계층까지 가입을 허용한 주에서도, 대다수는 자녀를 위한 적절한 민간 건강 보험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SCHIP 확장의 대표적 사례로 여겨지는 뉴저지 주의 경우, 자체 분석 결과 CHIP 프로그램에서 약 14%의 구축 현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했다.[9]

또한, 메디케이드나 CHIP의 경우 자격 요건을 충족함에도 불구하고 등록하지 않은 아동이 많다는 문제가 지적된다. 이는 64세 이상 노인에게 거의 자동으로 등록 자격을 부여하는 메디케어(Medicare)와는 대조적이다. 아동의 보호자는 때때로 17쪽에 달하는 신청 서류를 작성하고, 여러 달 치의 급여 명세서를 제출하며, 1년 또는 그 이상의 간격으로 자격을 갱신해야 한다. 심지어 자격 증명을 위해 직접 방문 면담을 요구받는 경우도 있다.[10] 이러한 복잡한 등록 절차는 구축 현상을 막기 위한 의도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아동이 지속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기 어렵게 만들고, 의료 기관과의 관계를 단절시켜 건강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11]

4. 5. 공급 구축 (자선 및 벤처 투자)

공공 정책이 전통적으로 사적 자선 활동의 영역에 개입하여 사적 자선 활동을 불필요하게 만들 때, 자선 기부에서도 구축 효과가 발생한다고 한다.[12] 구축 효과는 벤처 자본 분야에서도 관찰되었으며, 이는 정부의 금융 시장 개입이 상업적 기업 사모 펀드의 사적 금융을 구축함을 시사한다.[13]

5. 비판 및 논쟁

구축 효과는 정부 지출 증가가 이자율 상승을 유발하여 민간 투자를 위축시키는 현상을 의미하지만, 이러한 효과의 실제 발생 여부와 그 정도에 대해서는 여러 비판과 논쟁이 존재한다. 구축 효과의 정도는 IS-LM 모형에서 LM 곡선과 IS 곡선의 기울기, 그리고 재정 승수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설명된다.

역사적으로 구축 효과에 대한 논의는 오래전부터 존재했다. 고전파 경제학의 시조인 애덤 스미스는 정부의 경제 활동은 모두 비생산적인 노동이며, 정부가 공공 부문에서 자금을 빌려 소비하는 것은 민간의 생산적인 활동에 사용되었을 자본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보았다.[15] 고전파는 일반적으로 완전 고용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정부 지출 증가는 조세 또는 국채 발행 등 재원 조달 방식과 관계없이 필연적으로 민간 지출을 완전히 밀어낸다고(완전 구축) 주장했다. 이러한 논리는 1929년 대공황 시기 미국공화당 소속 허버트 후버 행정부나 영국 재무성이 균형 재정을 옹호하고 케인스가 입안한 적극적 재정 정책 제안에 반대하는 근거로 사용되기도 했다.[16]

이에 대해 존 메이너드 케인스실업과 유휴 자본(설비)이 존재하는 경제 상황에서는 정부 지출 증가가 민간 투자를 완전히 구축하지는 않는다고 반박했다. 다만, 정부의 자금 조달 및 재화 조달 시 통화 당국이 통화 공급을 함께 늘리지 않으면, 이자율 상승을 초래하여 민간 투자를 어느 정도 억제할 가능성은 인정했다.[17] 또한, 항구적인 재정 지출이 민간의 기대와 예측을 통해 물가, 자본의 한계 효율(기대 수익률), 유동성 선호 등에 영향을 미쳐 민간 투자 수요와 경합할 가능성도 지적했다.[18]

현대에 이르러서도 구축 효과의 현실성에 대한 다양한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경제가 침체 국면에 있거나 상당한 유휴 생산 능력이 존재할 경우, 정부 지출 증가는 이자율 상승을 유발하기보다 오히려 총수요를 진작시켜 민간 투자를 촉진하는 '구축 효과(crowding in)'를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4][5][6] 또한, 정부 지출이 실제로 단기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아니라 은행 시스템에 유동성을 공급하여 금리를 낮추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이나, 완전한 구축 효과는 화폐 수요의 이자율 탄력성이 0인 경우와 같이 매우 특수한 조건에서만 발생 가능하며 현실 경제에서는 나타나기 어렵다는 비판도 존재한다.[19] 변동 환율 제도 하에서는 재정 적자가 자국 통화 가치 상승을 유발하여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형태의 '국제적 구축'이 발생할 수 있다는 논의도 있다.

결론적으로 구축 효과에 대한 논쟁은 재정 정책의 유효성에 대한 핵심적인 쟁점 중 하나이다. 고전파의 완전 구축론부터 케인스의 반론, 그리고 현대 경제학의 다양한 비판과 실증 연구들은 구축 효과가 경제 상황, 정책 조합, 재원 조달 방식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5. 1. 앨런 블라인더와 로버트 솔로의 비판

앨런 블라인더로버트 솔로는 정부 지출 증가가 민간 투자를 완전히 밀어내는 완전 구축 효과가 현실에서는 일어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화폐 수요가 이자율 변화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 즉 화폐 수요의 이자율 탄력성이 0인 경우에만 완전 구축이 발생하는데, 실증적으로 볼 때 이러한 경우는 없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정부 지출 증가는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는 케인스 경제학적 입장을 지지했다.[19]

이러한 견해는 LM 곡선이 수직이라는 비현실적인 가정을 고수하며 정부 지출의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보는 통화주의 경제학자들(예: 밀턴 프리드먼)의 시각과 대비된다. 통화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국채를 발행하여 정부 지출을 늘리더라도 IS 곡선에 큰 변화가 없어 효과가 미미하다고 본다.[19]

그러나 정부 지출의 재원을 국채 발행이 아닌 화폐 발행(지폐 증쇄)으로 조달할 경우, 경제를 활성화시킨다는 점에 대해서는 통화주의자와 케인스주의자 모두 동의한다. 다만, 통화주의자는 이를 금융 정책으로, 케인스주의자는 재정 정책으로 간주하는 용어상의 차이가 있다.[19]

또한 로버트 솔로 등의 연구는 가격 수준이 고정된 단기적인 IS-LM 분석을 넘어, 확장적 재정 정책이 장기적으로 실질적인 소득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정부가 국채를 발행하여 지출을 늘릴 경우, 발생하는 이자 지급이 채권 보유자의 소득을 증가시켜 장기적으로는 화폐 발행을 통한 재정 지출보다 더 큰 소득 증대 효과(승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있어 정부 지출 확대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9]

5. 2. 통화주의와의 논쟁

케인스 이후, 경제의 활동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금융 정책인가, 재정 정책인가를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통화주의자는 금융 정책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재정 정책, 특히 정부의 재량에 따른 재정 정책 개입에 대해서는 그 효과를 제한적으로 보거나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통화주의자인 밀턴 프리드먼은 정부가 공채를 발행하여 지출을 확대하더라도 IS 곡선에 유의미한 이동을 일으키지 못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보았다.[19]

반면, 신 케인즈학파를 포함한 케인즈학파 경제학자들은 금융 정책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재정 정책 역시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로버트 솔로와 같은 학자들은 적극적인 재정 정책이 설령 공채 발행을 통해 재원을 조달하더라도 경제 성장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9] 또한, 경제가 폐쇄적인지 개방적인지에 따라 재정 정책과 금융 정책 중 어느 쪽의 유효성이 더 높은지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먼델-플레밍 모형 등을 통해 제시되기도 했다.

주목할 점은, 정부 지출의 재원을 공채 발행이 아닌 화폐 발행(지폐 증쇄)으로 충당할 경우 경제를 활성화시킨다는 점에 대해서는 통화주의자와 케인즈주의자 모두 동의한다는 것이다. 다만, 통화주의자는 이를 금융 정책의 효과로 해석하는 반면, 케인즈주의자는 이를 재정 정책의 일환으로 간주하는 시각 차이가 있다.[19]

로버트 솔로 등의 연구는 확장적인 재정 정책이 장기적으로 실질적인 소득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정부가 국채를 발행하여 지출을 늘릴 경우, 발생하는 이자 지급이 채권 보유자의 소득을 증가시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부 지출의 승수 효과가 화폐 발행으로 재원을 조달했을 때보다 오히려 더 클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었다.[19] 이는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있어 정부 지출 확대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되기도 한다.

5. 3. 장기적 효과

로라 D'안드레아 타슨과 같은 경제학자들은 정부 적자가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따라 장기적인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물리적 및 인적 인프라에 대한 생산성 높은 국가 투자는 인구의 생산 잠재력을 확장시켜 장기적인 성장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다. 특히 경제 내에 상당한 잉여 생산 능력이 있을 때, 즉 경기 침체 시에는 정부 적자 증가가 민간 부문의 투자를 위축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수요 증가를 통해 고용과 산출량을 직접적으로 늘리고, 결과적으로 민간 지출을 장려하거나 '구축(crowding in)'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4]

이러한 관점은 자레드 번스타인과 폴 크루그먼과 같은 다른 경제학자들에 의해서도 뒷받침된다. 번스타인은 2011년 당시 미국 경제 상황(과잉 생산 능력, 제로 금리, 기업의 풍부한 현금 보유)을 고려할 때, 정부 지출 증가가 민간 투자를 구축한다는 주장은 현실성이 낮다고 지적했다.[5] 크루그먼 역시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미국 연방 정부의 막대한 차입 증가에도 불구하고 금리가 하락했던 사실을 지적하며, 구축 효과에 대한 경고가 실제와 달랐음을 강조했다.[6] 총수요가 낮은 상황에서는 정부 지출이 재정 승수 효과를 통해 민간 부문 제품에 대한 시장을 확대하고, 이는 가속도 효과를 통해 오히려 기업의 고정 투자를 자극하거나 "구축(crowding in)"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심각한 경기 침체나 공황 시기에 두드러진다.

차탈리즘 및 포스트 케인즈 경제학자들은 정부 지출이 실제로 은행 시스템에 유동성을 공급하여 단기 금리를 낮추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며, 명목상의 자금 구축 가설에 의문을 제기한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통제하며, 민간 신용은 단순히 '자금의 양'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은행의 자본 및 위험 규제 내에서 신용 가치 있는 차입자에게 공급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대출이 이루어지면 동시에 예금이 생성되어 내생적 통화 공급이 증가하게 된다.

구축 효과가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상황은 경제가 이미 잠재 생산량 또는 완전 고용 상태에 도달했을 때이다. 이 경우 정부의 확장적 재정 정책은 물가 상승 압력을 유발하고, 이는 화폐 수요 증가로 이어져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을 유발할 수 있다. 상승한 금리는 금리에 민감한 민간 지출(특히 투자)을 위축시킨다. 잠재 생산량 수준에서는 기업들이 이미 생산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으므로 정부 지출 증가가 민간 부문의 자원을 직접적으로 가져가는 '실질적 구축'이 발생할 수 있다.

변동 환율 제도 하에서는 '국제적 구축'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먼델-플레밍 모형에서 설명된다. 정부 차입 증가로 인한 금리 상승은 해외 자본 유입을 유도하고(자본 계정), 이는 자국 통화 가치 상승(통화 가치 상승 및 하락)으로 이어진다. 통화 가치 상승은 수출품 가격을 높여 수출을 감소시키지만("구축"), 동시에 수입품 가격을 낮춰 수입을 증가시킨다("구축"). 이러한 순수출 변동은 정부 적자의 수요 증진 효과에 상반된 영향을 미치지만,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하지 않다.

앨런 블라인더로버트 솔로의 연구에 따르면, 화폐 수요의 이자율 탄력성이 현실적으로 0이 아니기 때문에 정부 지출 증가는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국채 발행을 통해 재원을 조달하는 확장 재정 정책은 장기적으로 실질 소득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19] 국채 발행은 이자 지급을 발생시키는데, 이는 채권 보유자의 자본 이득과 가처분 소득을 증가시켜 소비를 촉진할 수 있다. 솔로 등의 연구는 장기적인 정부 지출 승수가 통화 발행으로 재원을 조달할 때보다 국채 발행으로 조달할 때 더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있어 정부 지출 확대, 특히 적절한 방식의 재원 조달을 동반한 재정 정책의 중요성을 보여준다.[19]

장기적인 정상 상태에서 정부 지출(G) 변화가 소득(Y)에 미치는 영향, 즉 정부 지출 승수는 재원 조달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세금 함수를 T, 국채 발행액을 B라고 할 때, 국채 발행으로 재원을 조달하는 경우 장기 승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19]

:\frac{d Y}{d G} = \frac{1 + (1-T') \frac{dB}{dG} }{T'}



여기서 T'는 한계 세율을 의미한다. 국채 발행 증가는(\frac{dB}{dG} > 0) 이자 지급 증가를 통해 승수 효과를 확대할 수 있다. 반면, 통화 발행으로 재원을 조달하는 경우(\frac{dB}{dG} = 0) 승수는 \frac{1}{T'}이 된다. 이는 국채 발행을 통한 재정 확대가 장기적으로 더 큰 성장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6. 한국의 경우

대한민국에서는 1997년 외환 위기를 겪은 이후 재정 건전성 확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정부의 재정 지출 확대가 민간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구축 효과가 주요한 경제적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외환 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정책 필요성과 함께, 이것이 장기적으로 민간 부문의 활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공존하며 관련 논쟁이 이어졌다.

6. 1. 1990년대의 논쟁

1990년대 일본재정 정책이 구축 효과를 일으켜 민간 투자를 위축시켰다는 시각이 존재한다. 그러나 만델-플레밍 효과에 따라 금리 상승보다는 엔화 가치 상승(엔고) 형태로 영향이 나타났고, 저축 초과 상태가 지속되어 국채가 안정적으로 소화되면서 뚜렷한 실질 금리 상승은 일어나지 않았다는 반론도 있다. 오히려 1990년 이후의 재정 억제 정책은 "정관민 유착"에서 나타나는 동기 부여의 구축 효과와 관련된 문제나, 불황으로 인한 세수 부족 속에서 사회 보장비가 증가함에 따라 상환 자금 마련을 위한 차환 국채 문제 등을 더 큰 쟁점으로 부각시켰다.

1990년대에는 실질 금리를 높이는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서, 부족한 재정 정책이 민간 투자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 시기에는 금융 기관의 부실 채권 처리나 BIS 규제 준수를 위한 무리한 대출 거부 및 회수(신용 수축)가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 이에 국회에서는 재정 지출을 통한 유효 수요 확대와 헬리콥터 머니나 인플레이션 목표 설정 같은 통화 공급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그러나 하시모토 정권의 긴축 재정 방침, 오부치 정권의 대규모 재정 지출, 2000년 일본은행의 금융 긴축 등 경제 정책이 일관성 없이 오락가락하면서(스톱 앤 고 정책) 신용 수축을 더욱 악화시켰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사람들이 합리적으로 미래를 예상한다고 가정하면, 정부 지출 확대는 미래의 세금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 때문에 소비자와 기업이 저축을 늘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총수요 증가 효과는 상쇄되어 재정 정책의 효과가 줄어들게 된다는 분석도 있다. 특히 공공 부채가 특정 임계치를 넘어 누적된 상태에서는 이러한 미래 증세에 대비한 저축 경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22][23]

참조

[1] 간행물 crowding out http://www.dictionar[...] 2008
[1] 논문 The 'Crowding Out' of Private Expenditures by Fiscal Policy Actions http://research.stlo[...] 1970-10
[2] 논문 How economic theory came to ignore the role of debt http://www.paecon.ne[...] 2011-09-06
[3] 웹사이트 History and Policy.org-Jim Tomlinson-Crowding Out-December 5, 2010 http://www.historyan[...]
[4] 웹사이트 Confusion about the Deficit https://economix.blo[...] 2012-06-01
[5] 웹사이트 Cut and Grow? I Say No. http://jaredbernstei[...] 2011-05-25
[6] 웹사이트 Fancy Theorists of the World Unite https://krugman.blog[...] 2011-08-20
[7] 웹사이트 Does Public Insurance Crowd Out Private Insurance? http://ideas.repec.o[...] Ideas.repec.org 1995-02-02
[8] 웹사이트 Congressional Budget Office http://www.cbo.gov/f[...]
[9] 웹사이트 http://energycommerc[...] 2009-03-26
[10] 웹사이트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 Barriers to Medicaid Enrollment:… http://www.ajph.org/[...]
[11] 웹사이트 Simplifying Children's Medicaid and SCHIP http://content.healt[...]
[12] 논문 An experimental test of the crowding out hypothesis http://econ.ucsd.edu[...] 2005
[13] 논문 Crowding out private equity: Canadian evidence 2006
[14] 웹사이트 goo辞書「クラウディングアウト」 http://dictionary.go[...]
[15] 서적 The Wealth of Nations Random House,Inc. 1937
[16] 논문 <学界展望>Crowding-Out問題について https://doi.org/10.2[...] 神戸大学経済経営学会 1976-07
[17] 서적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Interest and Money 1936
[18] 서적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Interest and Money 1936
[19] 논문 1973
[20] 뉴스 自公2兆円バラマキは完全に意味がない 2008-09-18
[21] 웹사이트 年次世界経済報告 http://wp.cao.go.jp/[...] 経済企画庁
[22] 논문 財政政策と長期金利 ―国債暴落の可能性 https://doi.org/10.3[...] 共愛学園前橋国際大学 2003-03
[23] 서적 "新しいクラウディングアウト"「日本経済の罠」 日本経済新聞社 20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