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노동자협회 (186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노동자협회(IWA)는 1864년 런던에서 설립된 국제 노동자 조직으로, 차티스트 운동의 영향과 남북 전쟁을 거치며 결성되었다. IWA는 다양한 이념과 세력이 혼재된 가운데, 1866년 제네바 대회에서 창립선언과 규약을 채택하고, 8시간 노동제 쟁취, 프랑스 파업 지원 등의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영국 노동조합주의, 블랑키주의, 프루동주의, 바쿠닌주의 등 다양한 사상적 갈등과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파리 코뮌의 실패, 내부 분열을 겪으며 1872년 헤이그 대회에서 바쿠닌주의자를 제명하고, 본부를 뉴욕으로 이전했으나, 1876년 해산되었다. IWA는 국제 노동 운동과 사회주의 사상 확산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동자협회 - 전독일노동자협회
    페르디난트 라살이 1863년에 창립한 전독일노동자협회는 독일 최초의 전국적인 노동자 정당으로, 노동자들의 정치적 권리 신장과 사회 개혁, 보통 선거권 쟁취, 국가 지원 생산 협동 조합 설립을 목표로 했으나, 라살 사후 사회민주노동당과 통합하여 독일 사회주의 노동자당으로 발전했다.
  • 1864년 설립된 단체 - 국제 적십자 위원회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는 앙리 뒤낭이 목격한 전쟁의 참상을 계기로 설립되어 전쟁 및 폭력 희생자 보호와 지원을 사명으로 하는 중립적이고 독립적인 국제 인도주의 기구이다.
  • 1864년 설립된 단체 -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은 전쟁과 재해 피해자를 구호하는 국제적인 조직으로, 국제 적십자 위원회, 국제 적십자·적신월사 연맹, 각국 적십자사 등으로 구성되며 인도, 공정성 등의 가치를 바탕으로 활동한다.
국제노동자협회 (1864년)
기본 정보
국제노동자협회 로고
약칭IWA
이전 조직국제 협회
후계 조직제2인터내셔널
(법적 후계자는 아님), 국제 노동자 협회(주장됨)
설립일1864년 9월 28일
해산일1876년 7월
유형국제 노동자 조직
노동자와 사회주의자의 국제 조직
목적노동계급 방어
자본주의에 대한 계급 투쟁
사회주의 사회 건설
본부세인트 제임스 홀, 리젠트 스트리트, 웨스트엔드
위치런던 (1864년–1873년)
뉴욕 시 (1873년–1876년)
활동 지역전 세계
회원 수500만 ~ 800만 명
창립자조지 오저
앙리 톨랭
에드워드 스펜서 비슬리
주요 인물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미하일 바쿠닌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주세페 가리발디
주요 기관제1인터내셔널 의회
표어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조직
집행 기관총평의회
역사
설립 배경영국과 프랑스 노동자 단체 간의 협력
마르크스, 비즐리 등 지식인들의 참여
주요 활동노동 조건 개선 및 파업 지원
파리 코뮌 지원
사회주의 정당 조직화 노력 (아나키스트와 대립)
노동자 계급의 국제적 연대 강화
위치 정보
기타
참고제1인터내셔널은 국제적인 사회주의 운동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음.
이 조직은 마르크스주의와 아나키즘 간의 갈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임.
관련 정보
관련 조직국제 노동자 협회 (1881년)
제2인터내셔널
회원수
1866년25,000명
활동 지역
활동 지역[[파일:North America (orthographic projection).svg|20px]] 미 대륙
[[파일:Mainland Europe (orthographic projection).svg|20px]] 유럽 대륙

2. 역대 대회

국제노동자협회는 주요 의사 결정과 활동 방향 설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대회(총회 및 회의)를 개최하였다.

연도개최지비고
1865년런던예비 회의 (Conference)
1866년제네바제1차 총회 (Congress)
1867년로잔제2차 총회 (Congress)
1868년브뤼셀제3차 총회 (Congress)
1869년바젤제4차 총회 (Congress)
1871년런던회의 (Conference)
1872년헤이그제5차 총회 (Congress)


2. 1. 1865년 런던 대회

1865년 런던에서 국제노동자협회의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는 이후 1866년 제네바, 1867년 로잔, 1868년 브뤼셀, 1869년 바젤 등에서 열린 정식 총회(Congress)들과는 달리, 첫 총회를 준비하기 위한 예비적인 성격의 회의(Conference)였다.

2. 2. 1866년 제네바 대회

1866년 제네바에서 대회가 개최되었다.

2. 3. 1867년 로잔 대회

1867년 스위스 로잔에서 국제노동자협회의 대회가 개최되었다. 이는 로잔 회의 (1867)로도 불린다.

2. 4. 1868년 브뤼셀 대회

브뤼셀 회의에서는 토지 국유화와 전쟁 반대 결의를 채택했다.

2. 5. 1869년 바젤 대회

2. 6. 1871년 런던 회의

1871년 런던에서 열린 회의는 공식적인 대회(Congress)가 아닌 비공식 회의(Conference)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파리 코뮌 이후의 상황과 협회 내부에서 발생한 갈등 문제들이 주요하게 논의되었다.

2. 7. 1872년 헤이그 대회

칼 마르크스 (1818–1883)


제5차 국제노동자협회(IWA) 의회는 1872년 9월 초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렸다. 이 대회는 파리 코뮌(1871) 이후 격화된 마르크스와 바쿠닌 사이의 갈등이 정점에 달한 자리였다. 바쿠닌은 마르크스의 사상을 권위주의적이라고 비판하며, 마르크스주의 정당이 권력을 잡으면 그 지도자들이 타도 대상이었던 지배 계급과 다를 바 없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특히 그의 저서 ''국가주의와 무정부주의''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마르크스는 1874년 바쿠닌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글을 작성했다. 마르크스는 바쿠닌의 비판이 국가 이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계급 투쟁과 경제적 요인을 간과한 단순한 정치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10] 이러한 이념적 대립은 결국 협회의 분열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3. 창립 배경

19세기 중반 유럽은 산업 혁명의 확산과 함께 노동 계급이 성장하고 노동 운동이 활발해지던 시기였다. 동시에 여러 지역에서 민족주의 운동이 고조되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의 열망이 커지고 있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노동자들은 국경을 넘어 연대할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했다. 특히 영국의 차티스트 운동 경험과 미국 남북전쟁에 대한 국제적 관심은 노동자들의 계급 의식과 국제 연대 의식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노동자들의 권익을 옹호하고 국제적인 연대를 도모하기 위한 조직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는 국제노동자협회 창립으로 이어졌다.

3. 1. 차티스트 운동의 영향

국제노동자협회(IWA) 설립 배경에는 유럽 민족주의 운동과 노동 계급의 오랜 투쟁 역사가 있으며, 특히 영국의 노동 운동과 정치 운동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차티스트 운동마르크스의 이론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국제 노동 운동의 원형으로 평가받는다.[19] 차티스트 운동의 슬로건인 "모든 민족의 사람들은 형제다", "지구는 만인의 공유 재산이다", "인민헌장", "노동자는 노동의 모든 성과를 향유해야 한다" 등은 이후에도 계속해서 영향을 미쳤다. 1850년, '''공산당 선언'''이 영어로 번역되어 The Red Republican|레드 리퍼블리컨영어에 게재된 사건 등 차티스트의 국제주의적 활동은 훗날 국제노동자협회(IWA) 결성의 기초가 되었다.[20]

3. 2. 남북전쟁의 영향

1860년대는 대영제국의 세계 지배가 완성되는 한편, 신흥국의 산업화와 근대화가 빠르게 진행되던 시기였다. 이 시기 미국에서는 남북전쟁(1861-1865년)이 발발했고, 남유럽에서는 이탈리아 통일 운동, 동유럽에서는 폴란드에서 1월 봉기가 일어나는 등 세계적으로 중요한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했다. 이러한 사건들에 대한 노동자들의 반응은 국제적인 노동자 조직을 창설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1861년, 미국 남부 여러 주가 연방 탈퇴를 선언하고 미합중국 연합을 결성하면서 남북전쟁이 시작되었다. 링컨 대통령은 1862년 9월 노예 해방 선언을 발표하며, 전쟁의 대의명분을 '노예 제도에 대한 투쟁'으로 삼았다.

전쟁 기간 동안 대영제국은 공식적으로 중립을 표방했지만, 남북전쟁 개입 직전의 상황까지 가기도 했으며, 남부 연합 역시 영국과 프랑스의 개입을 기대하고 있었다. 영국 노동자들의 반응은 처음에는 복잡했다.[21] 영국의 주요 산업인 섬유 산업이 남부 연합의 목화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부 노동자들 사이에서는 남부 연합의 분리 독립을 지지하고 보호무역주의적인 북부 미합중국을 타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많은 노동자들은 경제적 이익을 위해 미국의 민주주의를 저버릴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 특히 전쟁으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겪었던 랭커셔 지역 노동자들은 북부에 대한 군사 개입 요구 없이 자기 희생적인 침묵을 지켰고, 1862년 말이 되자 다수가 북부 지지로 돌아섰다.[22] 이러한 태도 변화에는 특권 계급이 부재한 미국의 정치 풍토, 헌법과 민주주의 정신에 대한 공감, 국제적인 연대 의식, 그리고 미국으로 이민 간 가족과의 유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남북전쟁이라는 위기를 겪으면서 영국 노동자 계급은 국제적 연대를 통해 세계사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되었고, 이는 국제적인 대의를 실현하기 위한 운동 조직 결성에 대한 열망으로 이어졌다.

4. IWA 발족과 주요 세력

국제노동자협회(IWA)는 19세기 중반 유럽의 다양한 노동 운동 및 급진주의 세력들이 모여 결성된 조직이었다. 1864년 런던 세인트 마틴 홀(St Martin's Hall)에서 열린 창립 대회에는 영국의 오웬주의자 및 노동조합주의자, 프랑스의 프루동주의자와 블랑키주의자, 이탈리아의 공화주의자, 독일의 사회주의자 등 각기 다른 이념적 배경을 가진 그룹들이 참여했다.[5]

초기 협회 운영에는 영국의 노동조합 지도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이들은 점차 국내 정치 문제에 집중하며 협회 활동에서 멀어졌다. 특히 1867년 개혁법(Reform Act 1867) 통과로 숙련 노동자의 선거권이 확대되고, 이후 1871년 노동조합법(Trade Union Act 1871) 제정 등 노동조합의 법적 지위가 향상되면서 이들의 주요 목표가 달성되자, 영국 세력은 사실상 IWA에서 이탈했다.[40] 이는 칼 마르크스와의 관계 악화 및 당시 영국 노동자들 사이의 보수화 경향과 맞물려 진행되었다.[41][42]

결과적으로 영국 노동조합주의와 국제적 사회주의 운동의 결합은 성공하지 못했으며, IWA 내에는 블랑키주의, 프루동주의, 바쿠닌아나키즘, 그리고 협회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독일 노동운동에 영향을 미치던 라살주의 등 다양한 사상적 흐름이 공존하며 이후 노선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29][30][31][33]

4. 1. 세인트 마틴 홀 회의



국제노동자협회 창립대회, 1864년 9월 28일


1862년 런던에서 열린 만국박람회는 영국과 유럽 대륙 노동자들 간의 교류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나폴레옹 3세의 지원으로 파견된 300명의 프랑스 노동자 대표단과 12명의 독일 노동자 대표단은 당시 활발했던 런던의 정치 집회에 참여하며 영국 노동자들과 만났다.[23] 이러한 교류 속에서 노동자들의 국제적인 연대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특히 자본가들이 임금 인하 등을 목적으로 외국인 노동자를 이용하는 것에 맞서기 위해 국제 조직 설립 논의가 구체화되었다. 1863년 7월 22일 집회에서는 프랑스 노동자 대표들이 참석하여 연설했고, 영국 측에서는 조지 오저 등을 포함한 위원회를 구성하여 파리 노동자들에게 국제 조직의 필요성을 알리는 선언문을 발표했다.[23]

이러한 준비 과정을 거쳐 1864년 9월 28일, 런던의 세인트 마틴 홀(St Martin's Hall)에서 프랑스 대표단을 환영하는 대규모 국제 노동자 집회가 열렸고, 이 자리에서 '''국제노동자협회(제1인터내셔널)의 설립'''이 공식적으로 선언되었다. 영국 측에서는 조지 오저와 윌리엄 랜덜 크리머 등이 주도했고, 프랑스 대표로는 앙리 톨랭 등이 참석했다. 의장은 런던 대학교 교수이자 실증주의 역사학자인 에드워드 스펜서 비즐리가 맡았다.[5][23] 비즐리는 연설을 통해 각국 정부의 국제법 위반을 비판하고, 정의 실현을 위해 세계 노동자들의 단결을 호소했다.[23]

회의에는 다양한 배경의 유럽 급진주의자들이 모였다. 영국의 오웬주의자들, 프랑스의 피에르조제프 프루동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추종자들, 아일랜드와 폴란드의 민족주의자들, 이탈리아 공화주의자들, 독일 사회주의자들이 참석했다.[5] 당시에는 비교적 덜 알려진 46세의 망명 언론인이었던 칼 마르크스도 이 자리에 참석했으며, 이후 협회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5]

회의는 만장일치로 국제 노동자 조직을 설립하기로 결정하고, 본부를 런던에 두기로 했다. 또한 조직의 강령과 규약 초안 작성을 위해 21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선출했다. 이 위원회에는 영국의 저명한 노동조합 지도자인 오저, 조지 하웰, 사이러스 오스본 워드, 벤자민 루크래프트 등과 오웬주의자, 차티스트들이 포함되었다. 프랑스 대표로는 드누알, 빅토르 르 뤼베즈, 보스케가, 이탈리아 대표로는 폰타나가 참여했다. 이 외에도 루이지 볼프, 요한 에카리우스 등이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개인 자격으로 참여한 마르크스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7]

이 집행 위원회는 다시 강령 작성을 위한 소위원회를 선출했는데, 마르크스도 여기에 포함되었다. 세인트 마틴 홀 회의 약 일주일 후 마르크스의 집에서 모인 소위원회는 결국 마르크스에게 강령과 규약의 작성을 맡겼고, 그는 새로운 조직의 기본 문서인 『'''제1인터내셔널 창립 선언'''』과 『규약』 초안을 작성했다.[5][24] 이 문서들은 이후 총평의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되었으며, 마르크스는 이를 통해 국제노동자협회 내에서 실질적인 지도력을 확보하게 되었다.[24]

10월 5일에는 다른 국적의 대표들이 추가로 참여하여 총평의회가 공식적으로 구성되었고, 본부는 그릭 스트리트 18번지에 있는 산업계 근면한 계층의 물질적 향상을 위한 세계 동맹 본부에 마련되었다.[8]

4. 1. 1. 영국 노동조합주의

차티스트 운동은 1850년대에 쇠퇴하였고, 대영제국의 세계 지배가 확고해지면서 혁명적인 사회 운동의 기세는 약화되었다. 그러나 영국의 노동조합 운동은 꾸준히 성장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키워나갔다. 이 시기 노동 운동을 이끈 주요 인물로는 목수 로버트 애플거스, 오저, 크리머, 벽돌공 조지 하웰 등이 있었는데, 이들은 주로 뛰어난 기술을 가진 숙련 노동자들이었다. 그들은 '아말가메이티드 소사이어티(Amalgamated Society)'라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노동조합, 즉 신모델 노동조합(New Model Union)을 결성하고 지지했다. 이 조합들은 파업보다는 상호 부조 제도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26]

이들 노동조합 지도자들은 정치적 권리 획득과 노동 조건 개선에 집중하며 개혁 연맹이나 노동조합 의회와 같은 조직을 만들었다. 초기에는 노동 시간 단축을 목표로 활동했으나, 점차 선거권 확대, 노동법 정비, 노동조합 활동 및 파업의 합법화를 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러나 이들의 운동 방식은 시위나 로비 활동 등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졌으며, 사회주의 사상이나 이론에는 비판적이었고 혁명이나 계급 투쟁에는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이들 지도자들은 일반 노동자보다 두 배가량 높은 임금을 받는 노동 귀족 계층을 기반으로 했으며, 정치적으로는 자유주의에 우호적인 자유-노동주의 입장을 취했다. 이는 과거 차티스트 운동이나 마르크스주의와는 다른 성격이었다. 19세기 중반 영국 노동 운동은 초기 급진주의에서 벗어나 의회주의와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경제적 목표 달성과 노동 조건 개선에 집중하는 실용적인 노선을 택했다. 레닌은 당시 영국 노동조합주의가 "차티스트의 기개가 부족했다"고 평가하며, 애플거스, 오저, 크리머 등 지도자들이 급진적인 부르주아와 노동자의 중간적 성격을 띠게 되었고, 자본가들은 이를 이용해 "노동자들을 부르주아화하려 했다"고 분석했다.[27]

이러한 실용주의적 태도는 국제노동자협회(IWA)에 대한 그들의 입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영국 노동조합 지도자들은 IWA를 주로 대륙 노동자들과의 경제적 이해관계 충돌을 피하는 수단 정도로 여겼으며, IWA의 주도권을 잡거나 활동을 발전시키는 데에는 소극적이었다. 이로 인해 마르크스 및 엥겔스와 영국 노동조합주의 사이의 갈등은 깊어졌고, 결국 양측의 결별로 이어졌다.[28]

한편, 1859년 런던 건축 노동자 파업 등으로 촉발된 노동 시간 단축 운동은 정치적 파장을 일으켰고, 숙련 노동자들의 선거권 확대 요구로 이어졌다. 1865년 개혁 동맹(Reform League)이 결성되었고, 이들은 에드먼드 비얼스(Edmond Beales)의 지도 아래 하이드 파크에서의 집회의 자유 보장 요구 등 대중 동원과 정치적 전략을 통해 보수당 정부를 압박했다. 결국 디즈레일리 내각은 도시 지역 노동자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1867년 개혁법(Reform Act 1867)을 통과시켰다. 이 개혁으로 영국에서는 약 100만 명의 숙련 노동자가 선거권을 얻게 되었고, 유권자 중 노동자 비율이 과반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는 의회가 노동조합의 요구에 더 귀 기울이게 만드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IWA의 명예직에 있던 영국 노동조합 지도자들은 이 기회를 활용하여 상당한 정치적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1867년 개혁법과 이후 1871년 노동조합법(Trade Union Act 1871) 제정으로 노동조합 지도자들의 주요 목표가 달성되면서, 그들은 점차 IWA 활동에서 멀어지기 시작했고 사실상 영국 세력은 IWA에서 철수했다.[40] 1869년 마지막 차티스트 지도자 중 한 명인 어니스트 찰스 존스가 사망한 것도 마르크스와 영국 노동 운동 사이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마르크스 자신도 1867년 『자본론』 1권 출간을 앞두고 저술 활동에 집중해야 했고, 개혁 운동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둔 후에는 직접적인 관여를 줄였다고 술회했다.[41]

또한 당시 영국 노동자들 사이에서는 정치에 직접 관여하지 않으려는 '비정치적(No Politics)' 태도가 강했다. 동시대 기계공이자 사회 평론가였던 토마스 라이트는 자신의 저서에서 당시 노동자들이 노동과 자본의 문제, 보통선거권 등에 대해 피상적으로 이야기할 뿐 깊이 있는 고민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42] 1860년대와 1870년대 영국 노동자들은 점차 보수화되고 자본가에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노동조합 지도자들은 정치적 이익을 위해 IWA에 참여했지만, 정신적으로는 사회주의 사상과 거리를 두었다. 이러한 경향 속에서 영국 노동자들의 계급적 자립성은 약화되었고, 개혁 동맹 역시 사회주의보다는 자유당과의 연대를 선택했다. 결국 차티스트 운동 이후 시도되었던 영국 노동조합주의와 사회주의의 결합은 좌절되었다.

4. 1. 2. 블랑키주의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는 1830년대부터 활동한 혁명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바부프(Gracchus Babeuf)를 존경한 전투적인 공산주의자로서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주장했으며, 그의 주장은 모든 사회 입법과 개혁을 거부하는 급진적인 것이었다. 블랑키는 무장봉기를 투쟁의 핵심으로 여겼으며, 비밀결사를 이용하여 음모를 꾸미고 정세 불안을 이용해 정부를 전복하려는 전술 이론을 가지고 있었다. 블랑키주의는 프랑스 혁명 사상의 발전된 형태이지만, 제1인터내셔널(IWA) 내에서 극좌파 세력을 이루어 파리 코뮌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파리 코뮌의 붕괴와 함께 블랑키주의자들은 대부분 목숨을 잃었고, 이 반체제 혁명 사상은 마르크스주의로 합류하게 된다. 그리고 우연히도 블랑키주의는 마르크스의 의도를 넘어서는 형태로 마르크스주의 그 자체로 해석되기도 했다.[29]

4. 1. 3. 프루동주의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은 프랑스의 인쇄공 출신 지식인 노동자로, ''무엇이 소유인가?''와 ''빈곤의 철학'' 등의 저서를 통해 "자유로운 상호부조적 공동체"를 이상적인 사회로 제시하며 아나키즘 사상의 기초를 마련했다. 그는 '''"무엇이 재산인가? 재산이란 도둑질이다"'''라고 주장하며 재산, 특히 노동 없이 소득을 창출하는 자본에 의한 대규모 소유를 부정했다. 그러나 소상공인이나 숙련 노동자가 소유한 소규모 재산은 옹호했으며, 토지 사유 자체의 포기를 주장하지는 않았다. 자본주의의 운영 "방식"을 비판했지만, 자본주의의 "본질" 자체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았다.

프랑스의 권위주의적인 정치 상황 속에서 프루동은 협동조합과 토지 소유가 개인의 자유를 지키는 데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는 상호 부조에 기반한 협동조합의 발전을 통해 점진적으로 국가를 폐지할 수 있다는 이상을 추구했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기술을 가진 장인이나 토지를 소유한 농민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프루동은 농민이나 장인들의 상호 협력을 사회 변화의 주요 수단으로 삼으면서도, 노동자들의 단결과 투쟁은 범죄로 여기는 한계를 보였다. 그는 노동조합, 파업, 임금 협상, 노동 관련 입법 등 노동자 권익 향상을 위한 활동에 반대했으며, 더 나아가 여성의 사회 진출에도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국제노동자협회(IWA) 내에서는 트랑(Tran), 프리부르(Fribourg), 외젠 바를랭 등이 프루동주의를 지지했다. 프루동의 사상은 이후 미하일 바쿠닌에게 계승되어 발전하게 된다.[30]

4. 1. 4. 바쿠닌주의

미하일 바쿠닌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바쿠닌은 러시아 귀족 출신이었으나, 관료로서 러시아의 폴란드 지배에 관여하면서 점차 정치에 의문을 품게 되었고 혁명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1848년 혁명 당시 혁명 운동에 참여했다가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러시아 정부로 인도되어 1855년 시베리아로 유형되었다. 1861년, 바쿠닌은 수용소를 탈출하여 일본과 미국을 거쳐 유럽으로 돌아왔다. 그는 피에르 조셉 프루동의 영향을 받아 반권력 사상과 자유로운 생산자들의 연대를 기반으로 하는 아나키즘 사상을 발전시켰다.[31]

바쿠닌은 노동조합 발전기에 노동 운동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노동조합을 통해 생산 공동체를 만들고 그 연합에서 새로운 사회의 기초를 찾고자 했다. 바쿠닌주의의 강령은 무신론, 국가 폐기, 폭력 혁명, 노동조합을 단위로 하는 생산 공동체, 그리고 공동체들의 느슨한 연합을 주장했다. 또한 바쿠닌은 반권력의 입장에서 칼 마르크스의 이론에 반대하며 권력 집중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마르크스는 과도기적 국가 형태로 프롤레타리아가 부르주아를 착취하는 사회주의 국가 모델과 프롤레타리아 독재 개념을 제시했다. 그러나 바쿠닌은 이러한 마르크스의 국가 이론에 강력히 반대했다. 그는 사회 최하층 노동자가 혁명의 주체라고 보았으며, 폭력 혁명을 통한 권력 전복을 지지했지만, 마르크스가 주장하는 권력 주도의 공산주의 사회 실현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주장하면서도 의회정부를 통한 민주적 방식의 사회주의 정책 추진 가능성도 열어두었으나, 바쿠닌은 이러한 현실 타협적인 태도에도 반대하며 폭력 혁명 노선을 고수했다. 그는 지배 계급과의 타협이나 설득 같은 이성적 수단을 거부하여 사상적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32]

바쿠닌과 마르크스의 사상적, 실천적 차이는 결국 제1인터내셔널(IWA) 내에서 극심한 논쟁과 분열을 야기했고, 이는 조직 해체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33]

4. 1. 5. 라살주의

페르디난트 라살(Ferdinand Lassalle)은 프로이센 초기 사회주의 운동의 지도자이다.

라살은 1825년 프로이센 동부 브레슬라우(Wrocław)의 부유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베를린 대학교에서 헤겔 철학을 공부했다. 그는 1848년 혁명에 참여했으며,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 연구로 학문적 성공을 거두었다. 한때 마르크스엥겔스와 교류했으나, 이탈리아 통일 운동의 지도자 주세페 가리발디의 영향을 받아 정계에 진출한 후 마르크스와는 다른 길을 걸으며 대립하게 되었다.[34]

마르크스와 라살은 노동자 보호라는 목표는 공유했지만, 방법론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마르크스는 임금이 자본가의 의지에 따라 결정되므로 임금 인상 투쟁이 노동자의 생활 수준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았고, 이를 위해 노동조합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또한 영국과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전위 정당에 의한 폭력 혁명과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통해 자본주의를 타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라살은 이른바 '임금의 철칙'을 내세우며 임금 투쟁이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실질적인 생활 개선 효과가 없다고 보았기 때문에 노동조합이나 파업과 같은 노동쟁의에 부정적이었다.[35] 그는 국가의 지원을 받는 협동조합 연합이 자본주의를 대체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혁명 대신 만 21세 이상 남성의 보통선거권 확보를 통한 의회 진출을 추구했다. 1863년, 라살은 최초의 노동자 정당인 전독일 노동자 협회(ADAV)를 창설하고, 프로이센 의회 진출을 위해 비스마르크와 협력하기도 했다. 1864년 라살이 결투로 사망한 후에도 전독일 노동자 협회는 강한 영향력을 유지했다. 라살주의자들은 국가를 옹호하는 입장이었기에 제1인터내셔널(IWA)에는 가입하지 않았지만, 독일, 체코, 오스트리아 및 독일계 이민자가 많은 미국 등지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경쟁 세력으로 남았다.[31]

5. 주요 활동 및 논쟁

국제노동자협회(IWA, 인터내셔널)는 창립 이후 유럽 각국의 노동 운동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며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주요 활동은 노동자들의 파업 지원, 8시간 노동제와 같은 노동 조건 개선 요구, 선거권 확대 등 정치적 권리 확보 운동 등이었다. 특히 1867년 파리 청동 노동자 파업 지원 성공은 인터내셔널의 국제적 연대 역량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이다.[39]

협회 내부에서는 활동 방향과 이념을 둘러싼 다양한 논쟁이 벌어졌다. 초기에는 마르크스 지지자들과 푸루동주의자들 간의 영향력 다툼이 있었으며[39], 점차 토지 국유화, 전쟁 반대, 민족 해방 운동(특히 아일랜드 문제) 지지 등 구체적인 현안에 대한 입장 차이가 드러났다. 이러한 논쟁은 제네바 대회(1866), 로잔 대회(1867), 브뤼셀 대회(1868), 바젤 대회(1869) 등 연례 대회를 통해 표출되고 때로는 격화되었다.

영국에서는 차티스트 운동 이후 성장한 노동조합들이 선거법 개정 운동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자유-노동주의 성향을 보였는데, 이는 대륙의 혁명적 사회주의 운동과는 다소 다른 양상이었다. 마르크스는 영국 노동운동이 노동 귀족 중심으로 운영되며 혁명성이 부족하다고 비판하기도 했다.[27]

프랑스-프로이센 전쟁(1870-1871)과 뒤이은 파리 코뮌(1871)은 인터내셔널 활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협회는 전쟁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으나, 전쟁의 경과와 알자스-로렌 할양 문제는 내부 논쟁을 심화시켰다. 마르크스는 파리 코뮌을 지지하고 그 경험을 분석하여 『프랑스 내전』을 저술했으며, 이는 이후 사회주의 운동과 프롤레타리아 독재 이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67][68] 이러한 격동기를 거치며 협회 내 이념 갈등은 더욱 첨예해졌고, 결국 조직 분열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5. 1. 제네바 대회 (1866)

국제노동자협회 (IWA)의 당면 목표 중 하나는 8시간 노동제 쟁취였다. 이는 당시 노동 운동의 주요 요구 사항으로, 영국에서는 1851년 기계공 파업과 런던 건축공 파업 (1859)에서 노동 시간 단축이 주요 쟁점이었고, 미국에서도 1866년 전국노동연합(NLU) 창립 대회에서 논의된 바 있다.

1866년 경제 공황으로 인해 파업이 격화되고 사회 불안이 커지는 상황 속에서, IWA는 폭력 혁명보다는 파업 지원에 활동의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1867년 파리 청동공 파업 지원은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고용주들의 직장 폐쇄에 맞서 IWA가 1000GBP의 지원금을 보내며 노동자들의 저항을 돕자, 고용주들은 결국 노동자 측의 요구를 수용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열린 1866년 제네바 대회는 노동조합의 역할, 특히 파업 지원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자리가 되었다. 칼 마르크스는 당시 시대 상황에 맞춰 파업 지원 활동을 강조함으로써, 대회 내에서 푸루동주의자들로부터 조직의 주도권을 가져오고자 했다.[39]

5. 2. 프랑스에서의 투쟁

국제노동자협회(IWA)는 창립 초기부터 노동자들의 국제적 연대와 투쟁 지원에 힘썼다. 특히 프랑스에서의 활동은 IWA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였다.

1867년, 파리의 청동 노동자들이 파업에 돌입했을 때, IWA는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고용주들이 직장폐쇄로 맞서자, IWA는 1000GBP의 지원금을 보내 노동자들의 저항을 도왔다. IWA의 국제적 연대에 힘입어 노동자들은 결국 고용주들의 항복을 받아내고 요구 조건을 관철시킬 수 있었다. 이는 IWA가 단순한 토론 클럽이 아니라 실제 노동자 투쟁에 힘을 실어주는 조직임을 보여주었다.[39] 카를 마르크스는 이러한 파업 지원을 통해 푸루동주의자들의 영향력을 줄이고 협회의 주도권을 확보하고자 했다.[39]

세당 전투 이후 항복한 나폴레옹 3세(왼쪽)와 프로이센의 비스마르크(오른쪽)가 회담하는 모습. 이 전쟁은 프랑스 제2제정의 몰락과 파리 코뮌의 배경이 되었다.


1870년 7월 19일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이 발발하자 IWA는 즉각 반전 입장을 표명하고 제2제정의 전쟁 도발을 비판했다. 그러나 전쟁 초기, 마르크스는 개인적으로 프로이센의 승리가 독일 노동자 계급의 성장에 도움이 되고, 유럽 노동 운동의 중심을 프랑스에서 독일로 옮겨와 자신의 이론적 우위를 확립할 기회가 될 것으로 보았다. 그는 7월 20일 엥겔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프랑스인들은 곤봉이 필요하다"며, 프로이센의 승리가 가져올 독일 노동 운동의 집중과 이론적 우월성을 기대했다.[64] 이는 당시 프랑스 노동 운동이 프루동주의의 영향 아래 있던 반면, 독일에서는 마르크스주의 세력이 성장하고 있던 상황을 반영한 것이었다.

그러나 마르크스의 예상대로 프로이센이 세당 전투에서 압승하고 나폴레옹 3세가 항복한 뒤, 전쟁의 양상은 변했다. 프로이센이 프랑스에게 알자스로렌 지방의 할양을 요구하면서 방어 전쟁은 침략 전쟁으로 변모했다. 마르크스는 이러한 영토 병합 요구가 프랑스의 깊은 원한을 사게 되어 결국 더 큰 전쟁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했다. 그는 1870년 8월 말, 독일 사회민주노동당 지도자 베벨에게 보낸 편지에서 "독일이 알자스와 로렌을 빼앗는다면 프랑스는 러시아와 손을 잡고 독일과 전쟁을 할 것"이라며, 이것이 가져올 파멸적 결과를 경고했다.[65] 이는 훗날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지는 유럽 열강 간의 갈등을 예견한 것으로 볼 수 있다.[65] 프랑스-프로이센 전쟁과 그 결과는 프랑스 노동 운동뿐 아니라 유럽 전체의 정치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IWA 활동에도 새로운 국면을 가져왔다.

5. 3. 영국의 선거법 개정 운동

차티스트 운동이 1850년대에 약화된 이후, 대영제국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혁명적인 사회 운동은 잠시 주춤했다. 그러나 영국의 노동조합 운동은 꾸준히 성장하며 점차 정치적인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 시기 노동 운동을 이끈 주요 인물로는 숙련 기술자였던 목수 로버트 애플거스(Robert Applegarth), 오저(George Odger), 크리머(William Randal Cremer), 벽돌공 조지 하웰(George Howell) 등이 있었다. 이들은 '아말가메이티드 소사이어티'(Amalgamated Society)라는 새로운 형태의 노동조합, 즉 '신모델 노동조합'(New Model Union)을 조직했다. 이 신모델 노동조합은 파업보다는 조합원 간의 상호 부조(Mutual aid) 제도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징을 가졌다.[26]

이들 노동조합 지도자들은 노동자들의 정치적 권리를 확보하고 노동 조건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개혁 연맹(Reform League)이나 노동조합 의회(Trades Union Congress, TUC)와 같은 조직을 결성했다. 처음에는 노동 시간 단축을 목표로 활동을 시작했지만, 점차 선거권 확대노동법 정비, 노동조합 활동 및 파업의 합법화를 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러나 이들의 운동 방식은 주로 시위나 로비 활동 같은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졌다. 사회주의 사상이나 이론에는 비판적이었으며, 혁명이나 계급 투쟁에는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당시 영국 노동조합 지도자들은 일반 노동자보다 두 배가량 높은 임금을 받는 숙련 노동자 계층, 이른바 '''노동 귀족'''(Labour aristocracy)을 주요 지지 기반으로 삼았다. 이들은 자유주의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며 자유-노동주의(Liberal-Labour) 입장을 취했는데, 이는 과거 차티스트 운동이나 마르크스주의와는 다른 성격이었다. 19세기 중반 영국 노동 운동은 초기 급진주의에서 벗어나 의회주의와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경제적 목표 달성과 노동 조건 개선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레닌은 당시 영국 노동조합주의가 "차티스트의 기개가 부족했다"고 평가하며, 애플거스, 오저, 크리머 같은 노동 운동 지도자들이 급진적인 부르주아와 노동자의 중간적 존재가 되었고, 자본가들은 이를 이용해 노동자들을 부르주아화하려 했다고 분석했다.[27]

5. 4. 로잔 대회 (1867)

국제노동자협회1867년 스위스 로잔에서 대회를 개최했다. 이 대회는 1866년 제네바 대회 이후, 1868년 브뤼셀 대회 이전에 열렸으며, 국유화 문제와 정치 참여 요구를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5. 5. 브뤼셀 대회 (1868)

1868년 브뤼셀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토지 국유화와 전쟁 반대 결의가 채택되었다.

5. 6. 바젤 대회 (1869)

1869년 바젤 대회 시기, 인터내셔널아일랜드의 독립 문제와 민족 해방 운동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아일랜드 독립 투쟁에 깊이 공감하고 있었다.

엥겔스는 1856년 배우자 메리 번즈와 함께 아일랜드를 처음 여행하며 참혹한 현실을 목격했다.[59] 그는 아일랜드 농촌의 아일랜드 감자 기근(1845-1852) 피해와 영국 지주들에 의한 강제적인 소작농 퇴거(Eviction영어) 및 토지 몰수로 인한 빈곤 상황을 생생하게 기록했다. 기근과 강제 이주로 인해 100만 명이 사망하고 100만 명 이상이 해외 이주(Irish diaspora영어)를 떠나야 했으며, 아일랜드 농촌 프롤레타리아는 붕괴 상태에 이르렀다.[60]

엥겔스는 영국의 아일랜드 지배(History of Ireland (1801–1923)영어)를 단순한 문명의 확산이 아닌, 제국주의적 억압으로 파악했다. 그는 마르크스보다 앞서 "아일랜드는 영국의 최초의 식민지"이며 "영국인의 자유는 식민지 억압에 기반한다"고 분석하며, 자본주의와 영국 제국주의의 침략 행위를 연결지었다.[61]

1867년 아일랜드 공화국 동맹(Irish Republican Brotherhood영어)이 주도한 더블린의 피니언 봉기(Fenian Rising영어)는 실패로 끝났지만,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이 사건을 계기로 아일랜드 독립이 대영제국 해체의 시작점이자 영국 내 계급 투쟁 및 전 세계 민족 해방 투쟁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확신하게 되었다.

1869년 11월, 인터내셔널 총평의회는 영국 정부에 사형 선고를 받은 아일랜드 혁명가들의 사면을 요구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이는 인터내셔널이 아일랜드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마르크스는 1870년 3월 "비공개 통지"에서 영국 노동운동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인터내셔널 총평의회가 영국 노동계급에게 혁명적 사회주의 정신을 고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국인은 사회 혁명에 필요한 모든 물질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그들에게 부족한 것은 일반화하는 정신과 혁명적인 열정이다. 그것을 보충하고, 이것에 의해 이 나라, 따라서 어디에서나 진정으로 혁명적인 운동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총평의회뿐이다.…… 영국 노동자 지도자에게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던…급진파 의원은 공공연하게, 우리가 노동 계급의 영국 정신을 독살하여 거의 소멸시키고, 혁명적 사회주의로 몰아넣었다고 비난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낳는 한 가지 방법은, 국제 협회 총평의회로서 행동하는 것이다. 총평의회로서 우리는, 여러 방책(예를 들어 “토지 노동 연맹”의 설립)을 발기할 수 있고, 그것은, 나중에 그 실행에 있어서, 공중 앞에는 영국 노동 계급의 자연 발생적인 운동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만약, 총평의회의 밖에 지방 평의회가 만들어진다면, 그 직접적인 결과는 어떻게 될 것인가? 총평의회와 노동 조합 협의회 사이에 놓여, 지방 평의회는 아무런 권위도 가지지 못할 것이다. 한편, 총평의회는 이 큰 지렛대를 놓게 될 것이다.…… 영국은 단순히 다른 여러 나라와 나란히 취급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영국은 자본의 본국으로서 취급되어야 한다.」[62]

마르크스는 엥겔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아일랜드 문제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며, 아일랜드가 영국 지주 제도와 자본주의의 핵심적인 약점이라고 분석했다.

:「(5) 아일랜드 사면에 관한 총평의회의 결의에 관한 문제.

:영국이 유럽의 지주 제도와 자본주의의 보루라면, 아일랜드야말로 공적 영국에 큰 타격을 가할 수 있는 유일한 지점이다.

:첫째, 아일랜드는 영국 지주 제도의 보루이다. 그것이 아일랜드에서 붕괴하면 영국에서도 붕괴하게 될 것이다. 아일랜드에서는 작전이 100배나 더 용이하다. 왜냐하면, 거기서는 경제 투쟁이 오로지 토지 소유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며, 거기의 사람들이 영국 사람들보다 더 혁명적이며, 분노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일랜드의 지주 제도는 오로지 영국의 군대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이 두 나라 사이의 강제된 합병이 없어지는 순간, 늦은 형태이기는 하지만, 곧바로 사회 혁명이 아일랜드에서 폭발할 것이다. 영국의 지주 제도는 그 큰 부를 잃을 뿐만 아니라, 그 최대의 정신적인 힘, 즉 아일랜드에 대한 영국의 지배를 대표한다는 힘도 잃을 것이다. 한편, 영국의 프롤레타리아는, 아일랜드에서 영국에서의 지주의 권력을 유지함으로써, 그들을 영국 그 자체에서도 난공불락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영국의 부르주아지는 아일랜드의 빈곤을 이용하여, 가난한 아일랜드인의 강제 이주로 영국에서의 노동 계급의 상태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프롤레타리아를 두 개의 대립하는 진영으로 갈라놓았다. 켈트계 노동자의 혁명의 불꽃은, 앵글로색슨계 노동자의 견실하지만 완만한 성격과는 결합되지 않고, 오히려 영국의 모든 대공업 지대에서는, 아일랜드 프롤레타리아와 영국 프롤레타리아 사이에 심각한 대립이 있다. 영국의 거친 노동자는 아일랜드인 노동자를, 임금과 생활 수준을 저하시키는 경쟁자로서 증오하고 있다. 또, 이에 대해 민족적인 반감과 종교적인 반감을 품고 있다. 영국의 거친 노동자는 아일랜드인 노동자를, 대체로, 북아메리카 남부 주의 가난한 백인이 흑인 노예를 보았던 것과 마찬가지로 보고 있다. 이 영국 자체에서의 프롤레타리아 사이의 대립은, 부르주아지에 의해 인위적으로 길러지고, 유지되고 있다. 부르주아지는, 이 분열야말로 그 권력 유지의 진정한 비결임을 알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아일랜드는 영국 정부에 있어서, 대상비군을 유지하기 위한 유일한 구실이다. 이 대상비군은 필요할 경우에는, 이미 보여진 바와 같이, 아일랜드에서 군인으로서의 훈련을 쌓은 후, 영국의 노동자들에게도 향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대 로마가 엄청난 대규모로 보여준 것이, 오늘날 영국에서 반복되고 있다. 다른 민족을 예속시키는 민족은, 자기 자신의 쇠사슬을 단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일랜드 문제에 대한 국제 협회의 입장은 매우 명확하다. 그 첫째로 해야 할 일은 영국에서 사회 혁명을 추진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일랜드에서 큰 타격을 가해야 한다.」[63]

결론적으로 마르크스는 아일랜드가 영국 지배계급의 권력 기반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영국 노동계급 내 분열을 조장하는 수단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그는 제국주의 열강에 의한 식민지주의에 저항하고 각지에서 민족 해방 전선을 형성하는 것이 영국 사회 혁명과 세계 혁명의 필수적인 출발점이라고 주장했다.

5. 7. 프랑스-프로이센 전쟁과 파리 코뮌



1870년 7월 19일 발발한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으로 인해 IWA의 연례 대회는 2년간 연기되었지만, 협회의 활동은 계속되었다. IWA는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 반대하고 프랑스 제2제정에 대한 비판을 강화했다. 그러나 마르크스 개인의 생각은 다소 달랐다. 1870년 7월 20일, 마르크스는 엥겔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프로이센의 승리가 독일 노동자 계급의 집중에 유리하며, 서유럽 노동 운동의 중심을 프랑스에서 독일로 옮길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독일 노동자 계급이 이론과 조직 면에서 프랑스보다 우월하며, 이는 푸루동 등의 이론에 대한 자신의 이론의 우월성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64] 마르크스는 영국이나 프랑스 같은 기존 산업국보다 미국이나 독일 같은 신흥 산업국의 노동 운동이 미래를 주도할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했다.

마르크스의 예측대로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은 프로이센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났고, 나폴레옹 3세는 항복했다. 강화 조건으로 프랑스 영토인 알자스로렌의 할양이 요구되자, 마르크스는 프로이센의 방어 전쟁이 침략 전쟁으로 변질되고 양국 간의 적대감이 깊어지는 것을 우려했다. 1870년 8월 말,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베벨에게 보낸 편지에서 "독일이 알자스와 로렌을 빼앗는다면 프랑스는 러시아와 손잡고 독일과 전쟁을 할 것"이라며 미래의 더 큰 충돌, 즉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 가능성'''을 예견했다.[65] 프로이센 왕국은 독일 통일을 목표로 주변 강대국과의 경쟁 속에서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과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을 거치며 패권을 확립해 나갔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이러한 과정 속에서 독일 제국의 성립을 역사적 필연으로 보았을 수 있지만, 프랑스에 대한 영토 할양 강요가 결국 보복 전쟁을 불러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마르크스는 1870년 9월 9일, IWA 총평의회 명의로 프로이센의 알자스-로렌 합병을 비난하는 성명을 채택하고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반대 제2선언』을 발표했다. 그는 전쟁 이후 정세 불안 속에서 파리 봉기가 일어날 것을 우려하여, 프로이센군과의 전쟁 중에 혁명을 시도하는 것은 무모하다고 보고 프랑스 신정부와의 협력을 주장했다. 그러나 파리 코뮌 혁명이 선포되자 마르크스는 코뮌 정부를 지지했다.[66] 파리 코뮌의 경험은 마르크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는 『프랑스 내전』(The Civil War in France영어)을 집필하여 총평의회 이름으로 발표했다. 이 저서에서 그는 코뮌 혁명의 과정을 되짚어보고 성과를 정리했으며, 붕괴 원인을 분석했다.[67] 또한, 사회주의 정당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반혁명 세력 청산과 프롤레타리아 독재 확립, 사회주의 국가 건설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제시했다. 이러한 마르크스의 코뮌 분석은 훗날 볼셰비키를 이끈 블라디미르 레닌에 의해 깊이 연구되어 마르크스-레닌주의 사상으로 발전했고, 러시아 10월 혁명의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68]

6. IWA의 분열과 해산

파리 코뮌 진압 이후 국제노동자협회(IWA)는 각국 정부의 탄압과 내부 이념 갈등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특히 마르크스를 중심으로 한 마르크스주의 세력과 바쿠닌이 이끄는 아나키즘 세력 간의 사상적, 정치적 대립이 격화되면서 조직의 분열이 가속화되었다.[69][70]

1871년 런던에서 열린 임시 회의(협의회)는 이러한 갈등이 표면화된 중요한 계기였다. 마르크스파는 이 회의를 통해 노동자 계급의 독자적 정당 결성과 정치 활동 참여의 필요성을 재확인하며, 바쿠닌파의 핵심 주장인 '정치 불참주의'를 비판하고 사실상 이들을 조직에서 배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71] 이에 반발한 바쿠닌과 그의 지지자들은 '손빌리에 통달'이라는 문서를 통해 마르크스파의 중앙집권적 운영 방식을 비판하며 IWA의 분열은 더욱 깊어졌다.[72]

결정적인 분열은 1872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5차 대회에서 일어났다. 격렬한 논쟁 끝에 마르크스파는 바쿠닌과 그의 주요 동료들을 IWA에서 제명하는 데 성공했으며, 동시에 조직의 총평의회를 런던에서 뉴욕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76][77] 이 결정은 마르크스파가 조직의 주도권을 유지하려는 의도였지만, 결과적으로 유럽 노동 운동과의 연계를 약화시키고 IWA의 쇠퇴를 촉진하는 요인이 되었다.

헤이그 대회에서 축출된 아나키스트들은 즉시 스위스 생티미에에서 별도의 대회를 열고 아나키스트 생티미에 인터내셔널을 결성하여 독자적인 노선을 걷기 시작했다.[12] 이들은 헤이그 대회의 결정들을 부정하고, 중앙 권력 없이 각 지부의 자유로운 연합을 추구하는 아나키즘적 원칙을 내세웠다.[80] 이로써 제1인터내셔널은 사실상 마르크스주의 인터내셔널과 아나키스트 인터내셔널로 양분되었다.

뉴욕으로 이전한 IWA 본부는 프리드리히 아돌프 조르게와 같은 인물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점차 영향력을 상실해갔다.[84] 유럽과의 지리적 거리, 미국 내 노동 운동의 복잡한 상황, 그리고 각국에서 독자적인 사회주의 정당들이 성장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국제적 연대 조직으로서의 IWA의 역할은 점차 축소되었다.[87][89] 아나키스트 인터내셔널 역시 초기에는 일부 지역에서 영향력을 발휘했으나, 내부 동력 상실과 시대 변화에 따라 점차 쇠퇴했다.[82][83]

결국, 조직 운영의 어려움과 시대적 역할의 한계에 직면한 IWA 중앙 평의회는 1876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마지막 대회를 통해 공식적인 해산을 선언했다. 1876년 7월 15일, 제1인터내셔널은 창립 1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90]

6. 1. 런던 협의회와 손빌리에 통달

파리 코뮌 붕괴 이후, 국제노동자협회(IWA)는 각국 정부로부터 테러 조직으로 여겨지는 등 거센 탄압에 직면했다. 회원 개인과 단체는 감시 대상이 되었고, 1871년 프랑스 정부는 IWA 가입을 범죄로 규정하고 코뮌 망명자들의 인도를 요구하는 법령까지 발표했다. 독일에서는 베벨(August Bebel)과 리프크네히트(Wilhelm Liebknecht)가 체포되어 2년형을 선고받았다. 이러한 마르크스주의 지도자들의 부재는 IWA 내부의 분열을 더욱 심화시켰다. 미국에서는 전국노동조합(National Labor Union)이 세력을 잃었고, 영국에서는 분파주의가 심해지는 등 각국 지부의 상황도 악화되었다.[69]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바쿠닌(Mikhail Bakunin)을 중심으로 한 아나키스트 세력은 파리 코뮌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내놓으며 마르크스주의에 맞섰다. 그들은 혁명이란 계획된 것이 아니라 자연 발생적인 것이며, 하층 민중의 봉기를 통한 권력 전복과 폐지가 혁명의 본질이라고 주장했다. 파리 코뮌의 경험은 마르크스에게 사회주의 국가의 모습을 구체화하는 계기가 되었지만, 동시에 아나키스트들에게는 자신들의 사상을 선전하는 좋은 소재가 되었다. 프랑스 내에서 푸루동주의(Proudhonism)와 블랑키주의(Blanquism)가 약화되면서 바쿠닌주의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커져갔다.[70]

1864년 런던에서의 첫 만남 이후 마르크스(Karl Marx)와 바쿠닌은 직접 만나지 않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사상적, 정치적 대립은 격화되었다. 1871년 9월 17일부터 23일까지 런던에서 임시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는 17명의 중앙위원회 위원과 마르크스, 엥겔스(Friedrich Engels)를 포함한 23명의 주요 인사가 참여했다. 회의의 주요 목적은 IWA 내 바쿠닌파 세력과 그들의 아나키즘 사상, 특히 "정치 불참주의"를 몰아내는 것이었다. 회의에서는 노동자 계급이 독자적인 정당을 조직하여 정치 활동에 참여할 필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되었다.[71]

런던 회의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은 선언을 발표했다.

  • 노동계급이 지배 계급의 집단적 권력에 맞서기 위해서는 기존 정당과 구별되는 독립적인 노동자 정당을 조직해야 한다.
  • 이러한 정치 조직은 사회 혁명과 계급 폐지라는 최종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이다.
  • 노동조합 등 경제 투쟁 조직과의 연대는 정치 투쟁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회의는 "경제 운동과 정치 활동은 분리될 수 없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모든 회원에게 상기시켰다. 또한, 회의에서는 바쿠닌과 그의 지지 기반인 스위스의 주라 연맹에 대한 비판적 보고가 있었고, 독일 사회민주노동자당의 선거 승리가 축하되었다. 사실상 바쿠닌파를 축출하려는 의도가 명확했던 회의였다.

이에 반발하여 1871년 12월, 바쿠닌은 마르크스파에 대항하여 즉각적인 전체 회의 소집을 요구하고, 마르크스가 장악한 중앙위원회의 독재를 비판하는 내용의 '손빌리에 통달(Sonvillier Circular)'이라는 문서를 작성하여 IWA의 모든 지부에 발송했다.[72]

6. 2. 헤이그 대회와 뉴욕 이전



1871년 파리 코뮌 이후 바쿠닌은 마르크스의 사상을 권위주의적이라고 비판하며, 마르크스주의 정당이 집권하면 그 지도자들이 기존 지배 계급과 다를 바 없이 변질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의 저서 ''국가주의와 무정부주의''에서 이러한 주장을 펼쳤다. 1874년 마르크스는 바쿠닌의 주장에 대해 국가 이론의 부재와 계급 투쟁 및 경제적 요인에 대한 이해 부족을 지적하며 단순한 정치적 수사라고 반박했다.[10]

1872년 9월 초,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제5차 국제노동자협회(IWA) 대회가 열렸다. 이 대회는 마르크스주의자들과 아나키스트(특히 바쿠닌 지지자들) 사이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자리였다. 바쿠닌은 자유로운 정치 조직들의 느슨한 연합을 주장한 반면, 마르크스는 중앙 집권적인 권위와 규율을 강조했다.

1872년 헤이그 대회에 참석한 마르크스와 엥겔스.


대회는 시작부터 중앙평의회에 대한 신임 문제를 놓고 40명의 마르크스파와 24명의 반대파로 나뉘어 격렬하게 대립했다. 영국 대표단은 바쿠닌의 사상에는 반대했지만 마르크스의 중앙 통제 방식에도 동의하지 않아 중앙평의회 신임안에 반대표를 던졌다.[73]

정치 권력 장악 문제에 대한 표결에서는 마르크스파가 29표, 바쿠닌파가 5표, 기권 9표로 마르크스파의 주장이 관철되었다. 이 결과로 IWA 규약 제7조 부칙에 '노동자 계급의 정당 결성'과 '정치 권력 탈취'가 명기되었으며, 평화적 수단을 통한 의회 진출 가능성도 열어두었다.[74][75] 마르크스는 중앙평의회에 반대하며 아나키즘을 내세운 바쿠닌과 그의 동료들(제임스 기욤, 아데마르 슈비츠게벨 등)을 제명할 것을 제안했고, 이는 받아들여져 이들은 IWA에서 추방되었다.[76] 또한 9월 6일, 중앙평의회를 런던에서 뉴욕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IWA의 미래를 위한 조치로 여겨졌으나, 결과적으로 조직의 쇠퇴를 가져오는 요인이 되었다.[77]

헤이그 대회 종료 후, 마르크스는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공개 집회에서 연설했다. 그는 "노동자 계급은 정치와 사회 양 영역에서 낡은 사회를 공격해야 한다"고 선언하며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78]

> “노동자는 새로운 노동 조직을 세우기 위해 마침내 정치 권력을 잡아야 한다. 노동자는 낡은 제도를 지탱하는 낡은 정치를 뒤엎어야 한다. (단) 각국의 제도와 관습과 전통에 특별한 고려를 해야 한다. 또한, 우리는 미국이나 영국처럼 노동자가 평화적인 수단으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나라가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유럽 대륙 국가에서는 실력이 혁명의 지렛대가 되어야 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79]

이 연설은 각국의 민주주의 발전 정도와 정치적 자유도에 따라 노동자 계급의 투쟁 방식(개혁 또는 혁명)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며, 사회주의 운동의 다양한 전술적 접근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6. 3. 두 개의 인터내셔널



제1인터내셔널의 아나키스트 계열은 1872년 9월 스위스 생티미에에서 별도의 회의를 열었다. 이들은 헤이그 총회에서 결정된 바쿠닌과 기욤의 제명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헤이그 총회 자체의 대표성과 절차적 정당성을 부정했다. 1872년 9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열린 생티미에 회의에서, 이들은 아나키스트 생티미에 인터내셔널을 결성하고 자신들이 인터내셔널의 진정한 후계자라고 선언했다. 당시 IWA 스페인 지역 연맹은 이 아나키스트 연합의 가장 큰 국가 지부였다.[12]

바쿠닌을 따르는 아나키스트들은 기존 인터내셔널 총평의회의 “정치 활동에 대한 적극적 참여” 방침에 강하게 반발하며 독자 노선을 걸었다. 헤이그 총회에서 제명된 이후, 이들은 인터내셔널 본부의 뉴욕 이전을 계기로 중앙의 결정에 따른 조직 운영을 거부하고, 각 지부 간의 연락과 통계 교환에 기반한 자유로운 연합체를 만들고자 했다. 이것이 아나키스트 인터내셔널의 조직 원리가 되었다. 이들은 '사회민주동맹' 시절부터 이어져 온 '연합'의 원칙과 정치 활동 거부를 새로운 조직의 강령으로 내세웠다.[80]

새롭게 출범한 아나키스트 인터내셔널은 여러 지역 연맹에 참여를 호소했지만, 실제로 가입 의사를 밝힌 곳은 벨기에네덜란드, 그리고 영국의 일부 지부에 그쳤다. 대부분의 지방 지부들은 기존의 인터내셔널에 남기로 결정했다.[80]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인터내셔널 내의 두 세력 간 갈등이 특히 격렬하게 나타났다. 총평의회(마르크스파)는 새로 결성된 마드리드 연맹과 포르투갈 인터내셔널리스트들을 통해 아나키스트들의 영향력을 견제하려 했다. 반면, 당시 스페인 노동운동에서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아나키스트들은 포르투갈의 사회주의자들을 자신들의 진영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노력했다.[13]

아나키즘은 사회주의와 유사한 이상을 공유했지만, 방법론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보였다. 아나키즘은 혁명의 자연 발생성을 강조하고 조직의 중앙 통제에 반대했으며, 집단보다는 개인의 자유를 우선시했다. 또한 폭력 혁명을 통한 급격한 사회 변혁과 느슨한 '연합'에 의한 사회 통합을 지향했다. 이는 마르크스가 목표로 했던 공산주의 사회의 이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81]

그러나 마르크스의 사회주의는 계급 투쟁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현실 인식 아래, 혁명 또는 선거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여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확립하고, 의회 활동을 통해 사회 입법을 추진하며 계급 격차를 줄여나가는 등 단계적인 국가 운영 비전을 제시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공산주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현실적인 입장을 취했다.[81]

바쿠닌 등의 아나키즘은 반권력 사상과 자율적인 공동체 이념을 바탕으로 남유럽의 하층 노동자, 러시아남미의 빈농층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갔다.[81] 특히 산업화가 더디고 전제적인 통치가 강했던 지역에서 아나키즘과 그 급진적인 방법론이 지지를 얻었다. 예외적으로 농업 국가이면서도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미국이나 프랑스에서도 일부 지지 기반을 확보했다. 반면, 산업화가 앞섰던 독일, 프랑스, 그리고 대불황을 겪은 영국 등 노동 운동의 중심지에서는 점차 마르크스주의의 영향력이 강해졌다.[81]

아나키스트 인터내셔널은 여러 차례 연차 대회를 개최하고 스페인이탈리아에서 봉기를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82] 바쿠닌이 사망한 이후에는 점차 동력을 잃어갔다. 19세기 말,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사회 입법이 확대되고 압제적인 통치가 완화되면서, 아나키즘은 점차 개인적인 테러리즘으로 변질되며 쇠퇴의 길을 걸었다.[83] 반면, 현실 노선을 채택하고 강력한 조직을 갖춘 사회주의 정당을 통해 국가 권력 장악을 추구했던 마르크스주의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83]

6. 4. 해산

1870년대 들어 마르크스주의는 신흥 공업 국가인 독일과 미국에서 주로 발전했으며, 이들 국가에서는 사회주의 정당 결성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 국제노동자협회(IWA)는 점차 구심력을 잃어가고 있었다.

특히 미국에서는 새로운 국면이 전개되었다. 핵심 인물은 IWA 미국 지부 서기장이었던 프리드리히 조르게 Friedrich Adolf Sorge영어였다.[84] 조르게는 1857년 뉴욕 공산주의 클럽 New York Communist Club영어을 설립하여 독일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활동했고, 1866년 IWA에 가입했다. 1870년 12월 IWA 미국 지부가 발족했으며, 이듬해인 1871년 10월 1일에는 조르게를 중심으로 2만 명의 노동자(흑인 노동자 포함)들이 파리 코뮌 지지 선언과 8시간 노동제 요구를 내걸고 적기를 들고 시위를 벌이는 등 활발한 정치 운동을 전개했다.[85] 이후 IWA 본부가 뉴욕으로 이전하면서 조르게는 IWA 전체의 서기장이 되었다.[86] 1874년에는 IWA 주도로 전년도 공황으로 실직한 뉴욕 노동자 집회가 열리는 등 뉴욕은 미국 노동 운동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IWA의 활동은 주로 북부에 한정되었고, 남부의 흑인 문제나 당시 활발했던 여성 참정권 운동, 중서부 농민 운동과는 연계가 부족했다는 한계를 지녔다.[87] 또한 1874년 시카고의 "일리노이 노동당"이나 뉴욕의 "북미 사회민주노동자당"처럼 노동조합 운동에 소극적인 라살파 정당들이 등장하면서 마르크스파에게 타격을 주었다.[88]

이러한 분열 속에서 IWA 마르크스파 지도부는 필라델피아에서 대회를 열어 미국 지부를 중앙 평의회 직할로 두어 내부 쇄신을 시도했다. 하지만 이 결정은 무정부주의자 배척과 영국 지부의 탈퇴로 이미 약화된 IWA를 사실상 유럽 노동자 협회에서 미국 노동자 협회로 변질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미국 내 각 지부의 분열은 더욱 심화되었고, 이러한 상황에 지친 조르게는 서기장직을 사임했다. 이후 아일랜드 이민자 존 P. 맥도넬이 이끄는 "미국 통일 노동당"이 가입하며 회원 수가 늘기도 했지만, 이미 핵심을 잃고 혼란에 빠진 IWA는 조직을 유지하기 어려웠다. 세계적으로도 각국에서 독자적인 사회주의 정당들이 설립되어 활동하면서 국제적 연대를 논의할 단계가 지나고 있었다.[89]

결국 1876년, 중앙 평의회는 시대적 어려움을 감안하여 해산을 결정하고, 필라델피아에서 마지막 연례 대회를 열었다. 독일 사회민주노동자당 대표와 미국 지부 평의회 위원 10명이 해산 절차를 진행했으며, '''1876년 7월 15일, "국제 노동자 협회 중앙 평의회는 해산한다"는 결의에 따라 국제노동자협회(IWA)는 공식적으로 해산했다.'''[90]

7. IWA의 역사적 역할과 유산

제1인터내셔널은 비록 짧은 기간 동안 존속했지만, 국제적인 노동 운동의 발전과 사회주의 사상의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노동 운동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한국 사회의 진보적 가치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참조

[1] 서적 The Forging of American Socialism: Origins of the Modern Movement https://archive.org/[...] The Bobbs-Merrill Company, Inc. 1964
[2] 서적 Dictionary of politics: selected American and foreign political and legal terms https://archive.org/[...] Brunswick Publishing Corp 2010-01-27
[3] 학술지 Association International des Travailleurs https://gallica.bnf.[...] 1871-05-29
[4] 서적 Marx: A Biography Simon and Schuster 1968
[5] 서적 Introduction: Marx's Role in the First International McGraw-Hill Book Company 1971
[6] 서적 Respectable Radical: George Howell and Victorian Working Class Politics Weidenfeld and Nicolson 1971
[7] 서적 Las internacionales obreras en América 1971
[8] 서적 Respectable Radical Weidenfeld and Nicolson 1971
[9] 서적 Political and Historical Encyclopaedia of Wome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8-26
[10] 웹사이트 Conspectus of Bakunin’s Statism and Anarchy – Extract https://www.marxists[...]
[11] 학술지 The First International Seen from the Periphery: The Portuguese Case (1871–1876) https://www.liverpoo[...] 2023-04-07
[12] 서적 Anarchism: A History of Libertarian Ideas and Movements Broadview 2004
[13] 학술지 The First International Seen from the Periphery: The Portuguese Case (1871–1876) https://www.liverpoo[...] 2024-07-30
[14] 웹사이트 インターナショナル https://kotobank.jp/[...] 2018-10-15
[15] 웹사이트 インターナショナル https://kotobank.jp/[...] 2018-10-15
[16] 웹사이트 第1インターナショナル https://kotobank.jp/[...] 2018-10-15
[17] 웹사이트 第1インターナショナル https://kotobank.jp/[...] 2018-10-15
[18] 웹사이트 インターナショナル https://kotobank.jp/[...] 2018-10-15
[19] 서적 1975
[20] 서적 1956
[21] 서적 1972
[22] 서적 1972
[23] 서적 1956
[24] 서적 1956
[25] 서적 1956
[26] 서적 1956
[27] 서적 1956
[28] 서적 1956
[29] 서적 1956
[30] 서적 1956
[31] 서적 1956
[32] 서적 1956
[33] 서적 1956
[34] 서적 1956
[35] 서적 1956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ハーグ大会についての演説」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