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의 식민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의 식민지는 기원전 8세기부터 6세기까지 그리스인들이 모국(motherland)의 경제적 성장, 인구 과잉, 토지 부족 등의 이유로 건설한 해외 도시들을 의미한다. 식민지 건설은 메트로폴리스(모도시)에 의해 조직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해안선을 따라 전략적으로 위치하여 지중해와 흑해 지역에 그리스 문화, 무역 네트워크, 영향력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그리스 식민지 건설은 초기 에우보이아인들의 이탈리아 남부 및 할키디키 정착을 시작으로, 이오니아인, 코린토스인 등 다양한 그리스 도시들에 의해 흑해, 아드리아 해, 북아프리카 등지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식민지들은 그리스 문화, 경제, 정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식민지 - 마그나 그라이키아
    마그나 그라이키아는 기원전 8세기부터 고대 그리스인들이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에 건설한 식민 도시들을 일컫는 명칭으로, 인구 증가, 경제적 필요, 정치적 불안 등의 요인으로 건설되었으며, 헬레니즘 문화를 꽃피웠으나 로마의 팽창으로 로마 문화와 융합되었고, 현재는 칼라브리아와 풀리아 지역에 그리코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 공동체 형태로 남아있는 역사적 지역이다.
  • 그리스 식민지 - 사르디스
    사르디스는 터키 서부의 고대 도시로, 뤼디아 왕국의 수도로서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를 거치며 재건되었지만 지진과 침략으로 쇠퇴했으며,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는 중요성이 감소했으나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존재했고 현재는 다양한 시대의 유물이 발굴되는 고고학적 유적지이다.
그리스의 식민지
개요
시기기원전 8세기 - 기원전 6세기
주요 활동그리스인들의 지중해흑해 연안 지역으로의 이주 및 정착
주요 동기인구 증가
정치적 불안정
경제적 기회 추구
결과그리스 문화와 언어의 확산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들의 번영
지중해 지역의 상업 및 문화 교류 활성화
배경
인구 증가기원전 8세기, 그리스 본토의 인구 급증
식량 부족제한된 농경지와 자원으로 인한 식량 생산의 어려움
정치적 불안정도시 국가 간의 갈등과 내부 분쟁
식민 활동
주도 세력그리스 도시 국가 (주로 밀레토스, 칼키스, 코린토스)
이주 대상 지역이탈리아 남부 (마그나 그라이키아)
시칠리아
프랑스 남부
스페인 동부
흑해 연안
키프로스, 북아프리카
식민 도시 형태아포이키아(apoikia, ἀποικία): 독립적인 도시 국가
엠포리온(emporion, ἐμπόριον): 무역 거점
식민 도시 건설 과정
지도자 (오이키스테스) 임명도시 국가에서 파견된 지도자가 식민 활동을 지휘
정착민 모집자발적인 이주민, 실향민, 범죄자 등으로 구성
새로운 도시 건설토지 분배
신전 및 공공 건물 건설
법률 및 제도 확립
모국과의 관계정치적으로 독립
문화적, 종교적 유대 유지
무역 관계 지속
주요 식민 도시
이탈리아 남부시라쿠사
크로톤
타렌툼
나폴리
시칠리아메시나
프랑스 남부마실리아(현재의 마르세유)
스페인 동부엠포리온(현재의 암푸리아스)
흑해 연안올비아
케르소네소스
트라페주스(현재의 트라브존)
키프로스파포스
쿠리온
북아프리카키레네
영향
그리스 문화 확산그리스어 사용
그리스 신화 및 종교 전파
그리스 미술, 건축, 철학 등 문화 전반에 걸친 영향
경제적 번영지중해 무역 활성화
식민 도시의 농업 및 상업 발전
그리스 본토의 경제 성장 촉진
정치적 변화도시 국가 간의 경쟁 심화
새로운 정치 체제 실험
헬레니즘 시대의 기반 마련

2. 그리스 식민지 건설의 동기

그리스인들이 식민지를 건설한 이유는 모국의 경제 성장과 인구 과잉, 그리고 도시 국가들의 토지 부족 때문이었다.[1] 또한, 식민지화하려 했던 지역은 살기 좋고 비옥했다.[2]

2. 1. 경제적 요인

그리스인들이 식민지를 건설한 이유는 모국(motherland)의 강력한 경제 성장과 그에 따른 인구 과잉, 그리고 이러한 그리스 도시 국가들의 토지가 대규모 도시를 지원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1] 그리스인들이 식민지화하려 했던 지역은 살기 좋고 비옥했다.[2]

2. 2. 인구 과잉

그리스인들이 식민지를 건설한 이유는 모국(母國, motherland)의 강력한 경제 성장과 그에 따른 인구 과잉, 그리고 이러한 그리스 도시 국가들의 토지가 대규모 도시를 지원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1] 그리스인들이 식민지화하려 했던 지역은 살기 좋고 비옥했다.[2]

2. 3. 토지 부족

그리스인들이 식민지를 건설한 이유는 모국(motherland)의 강력한 경제 성장과 그에 따른 인구 과잉, 그리고 그리스 도시 국가들의 토지가 대규모 도시를 지원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1] 그리스인들이 식민지화하려 했던 지역은 살기 좋고 비옥했다.[2]

3. 그리스 식민지의 특징

그리스 식민지는 주로 해안선을 따라 건설되었으며, 특히 기원전 8세기에서 6세기 사이의 식민지 시대에 많이 건설되었다. 많은 그리스 식민지가 무역, 통신 및 해양 자원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해안선 근처에 전략적으로 배치되었다. 이러한 식민지는 지중해흑해 지역 전반에 걸쳐 그리스 문화, 무역 네트워크 및 영향력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일부 식민지는 다양한 이유로 내륙에 건설되기도 했지만, 그리스인들이 바다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해안 지역이 일반적으로 더 선호되었다.[3]

3. 1. 메트로폴리스와의 관계

식민지 건설은 여러 경우 다른 도시와 협력하기도 했지만, 일관되게 ''메트로폴리스''(모도시)에 의해 조직적으로 이루어졌다. 식민지로 선정될 장소는 사업상의 이점을 제공하고 약탈자로부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미리 선택되었다. 새로운 식민지에 안전과 신뢰감을 조성하기 위해, 장소의 선택은 유용성에 따라 결정되었다.[3] 임무에는 항상 식민지 개척자들이 지명한 지도자가 포함되었다. 새로운 도시에서 식민지 개척자들은 농지를 포함한 토지를 분배했다. 통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메트로폴리스와 유사한 형태를 취했다.

그리스 식민지는 종종 해안선을 따라 건설되었으며, 특히 기원전 8세기에서 6세기 사이의 식민지 시대에 많이 건설되었다. 많은 그리스 식민지는 무역, 통신 및 해양 자원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해안선 근처에 전략적으로 배치되었다. 이러한 식민지는 지중해흑해 지역 전반에 걸쳐 그리스 문화, 무역 네트워크 및 영향력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일부 식민지는 다양한 이유로 내륙에 건설되었지만, 그리스인들이 바다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해안 지역이 일반적으로 더 흔했다.

3. 2. 전략적 위치 선정

그리스 식민지는 주로 해안선을 따라 건설되었으며, 특히 기원전 8세기에서 6세기 사이의 식민지 시대에 많이 건설되었다. 많은 그리스 식민지가 무역, 통신 및 해양 자원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해안선 근처에 전략적으로 배치되었다. 이러한 식민지는 지중해흑해 지역 전반에 걸쳐 그리스 문화, 무역 네트워크 및 영향력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 일부 식민지는 다양한 이유로 내륙에 건설되기도 했지만, 그리스인들이 바다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해안 지역이 일반적으로 더 선호되었다.

3. 3. 자치적인 통치 시스템

식민지 건설은 여러 경우 다른 도시와 협력하기도 했지만, 일관되게 ''메트로폴리스''(모도시)에 의해 조직적으로 이루어졌다. 식민지로 선정될 장소는 사업상의 이점을 제공하고 약탈자로부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미리 선택되었다. 새로운 식민지에 안전과 신뢰감을 조성하기 위해, 장소의 선택은 유용성에 따라 결정되었다.[3] 임무에는 항상 식민지 개척자들이 지명한 지도자가 포함되었다. 새로운 도시에서 식민지 개척자들은 농지를 포함한 토지를 분배받았다. 통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메트로폴리스와 유사한 형태를 취했다.

4. 그리스 식민지 건설의 역사

기원전 8세기 초, 에우보이아인들이 이탈리아 남부 피테쿠사와 그리스 할키디키에 올린토스를 건설하면서 그리스의 식민지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후 쿠마이, 장클레, 레기움, 낙소스 등의 식민지가 건설되었다.[3]

렐란틴 전쟁으로 에우보이아가 쇠퇴했지만, 이오니아인과 코린토스인 등 다른 그리스인들이 식민지 건설을 이어갔다.[2] 이오니아인들은 기원전 7세기경 이탈리아 남부, 트라키아, 흑해에 최초의 식민지를 건설했다. 테라키레네안드로스를, 사모스는 북부 에게해에 여러 식민지를 건설했다.[4]

흑해 남안의 헤라클레아 폰티카는 메가라와 보이오티아의 식민지로, 기원전 560-550년에 건설되었다.[26] 흑해 북안에서는 밀레투스가 폰토스 올비아와 판티카파이온(현재의 케르치)을 건설했다. 기원전 560년경 밀레토스인들은 현재 우크라이나 지역에 오데사를 건설했다.[25] 크림 반도(당시 타우리케 헤르소네소스 또는 "황소 반도")에는 심페로폴리스, 님파이움, 헤르모나사 등의 도시가 건설되었다. 아조프해(고대 마이오티스 호수)에는 타나이스(로스토프), 티리타케, 미르메케움, 케크리네, 테오스의 식민지 파나고리아가 건설되었다.

현재 조지아와 압하지야 자치 공화국에 위치한 콜키스 동해안에는 파시스와 디오스쿠리스 도시가 건설되었다. 디오스쿠리스는 로마인과 비잔틴인에 의해 ''세바스토폴리스''로 불렸으며, 현재는 수후미이다.

헤라클레아 폰티카는 기원전 6세기루마니아 남부 해안에 칼라티스를 건설했다.[27] 그리스 고전 시대에는 기원전 493년 메가라인의 메셈브리아(현대 네세바르)[28][29], 기원전 5세기 말 또는 기원전 4세기 초 헤라클레아 폰티카의 케르소네소스 타우리카가 건설되었다.

기원전 4~3세기 크림반도 바헤로베 마을 근처의 고대 그리스 정착지 마니트라는 2018년에 발견되었다.[30]

4. 1. 초기 식민지 건설 (기원전 8세기)

그리스인들은 기원전 8세기 초경, 에우보이아인들이 이탈리아 남부에 피테쿠사, 그리스 할키디키에 올린토스를 건설하면서 식민지 건설을 시작했다. 이후 쿠마이, 장클레, 레기움, 낙소스 등의 식민지를 건설했다.[3]

기원전 8세기 말, 렐란틴 전쟁 발발로 에우보이아가 쇠퇴했지만, 이오니아인과 코린토스인 등 다른 그리스인들에 의해 식민지 건설은 계속되었다.[2] 이오니아인들은 기원전 7세기경에 이탈리아 남부, 트라키아, 흑해에 최초의 식민지를 건설했다. 테라키레네안드로스를 건설했으며, 사모스는 북부 에게해에 여러 식민지를 건설했다.[4]

4. 2. 식민지 건설의 확장 (기원전 7-6세기)

기원전 8세기 초, 에우보이아인들이 이탈리아 남부에 피테쿠사를, 그리스 할키디키에 올린토스를 건설하면서 그리스인들은 식민지 건설을 시작했다. 이후 쿠마이, 장클레, 레기움, 낙소스 등의 식민지를 건설했다.[3]

기원전 8세기 말, 렐란틴 전쟁 발발로 에우보이아가 쇠퇴했지만, 이오니아인과 코린토스인 등 다른 그리스인들에 의해 식민지 건설은 계속되었다.[2] 이오니아인들은 기원전 7세기경에 이탈리아 남부, 트라키아, 흑해에 최초의 식민지를 건설했다. 테라키레네안드로스를 건설했으며, 사모스는 북부 에게해에 여러 식민지를 건설했다.[4] 흑해 남안에 세워진 가장 중요한 식민지는 메가라와 보이오티아의 식민지인 헤라클레아 폰티카로, 기원전 560-550년에 건설되었다.[26]

흑해 북안에서는 폰토스 올비아와 판티카파이온(현재의 케르치)을 건설한 밀레투스가 가장 먼저 시작했다. 기원전 560년경 밀레토스인들은 현재 우크라이나 지역에 오데사를 건설했다.[25] 크림 반도(그리스인들은 당시 이곳을 타우리케 헤르소네소스 또는 "황소 반도"라고 불렀다)에는 심페로폴리스, 님파이움, 헤르모나사 등의 도시를 건설했다. 아조프해(고대인들에게는 마이오티스 호수로 알려짐)에는 타나이스(로스토프), 티리타케, 미르메케움, 케크리네, 그리고 테오스의 식민지인 파나고리아를 건설했다.

고대에는 콜키스로 알려졌으며, 현재 조지아와 압하지야 자치 공화국에 위치한 동해안에서는 그리스인들이 파시스와 디오스쿠리스 도시를 건설했다. 후자는 로마인과 비잔틴인에 의해 ''세바스토폴리스''라고 불렸으며, 현재는 수후미로 알려져 있다.

헤라클레아 폰티카는 기원전 6세기 말에 루마니아 남부 해안에 칼라티스를 건설했다.[27] 그리스 고전 시대에는 몇 개의 식민지만이 건설되었는데, 여기에는 기원전 493년 메가라인에 의해 건설된 메셈브리아(현대 네세바르)가 포함된다.[28][29] 헤라클레아 폰티카는 기원전 5세기 말 또는 기원전 4세기 초에 크림반도에 케르소네소스 타우리카를 건설했다.

기원전 4~3세기에 크림반도 바헤로베 마을 근처에 있던 고대 그리스 정착지인 마니트라는 2018년에 발견되었다.[30]

4. 3. 주요 식민지 지역

그리스인들은 기원전 8세기 초부터 식민지 건설을 시작했다. 에우보이아인들이 이탈리아 남부에 피테쿠사와 그리스 할키디키에 올린토스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고, 이후 쿠마이, 장클레, 레기움, 낙소스 등의 식민지가 건설되었다.[3] 렐란틴 전쟁으로 에우보이아가 쇠퇴했지만, 이오니아인과 코린토스인 등 다른 그리스인들이 식민지 건설을 이어갔다.[2]
할키디키와 트라키아 지역
트라키아의 고전 도시였던 압데라 유적, 현재 그리스에 위치


수많은 식민 도시들이 북부 그리스에 세워졌는데, 주로 할키디키 지역과 트라키아 지역에 건설되었다. 할키디키는 에우보이아인들이 정착했으며, 그들은 주로 칼키스 출신이었고, 이 식민 도시들에 그들의 이름을 부여했다. 할키디키에 세워진 에우보이아인들의 가장 중요한 정착지는 올린토스(고대 아테네인들과 협력하여 건설), 토로네, 멘데, 세르밀레, 아피티스, 그리고 아토스 산 반도의 클레오나이였다. 다른 중요한 식민 도시로는 안드로스 출신 식민자들이 세운 아칸토스[5]코린토스의 식민 도시인 포티데아가 있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동안, 아테네인들은 암피폴리스 북쪽 "언덕 133" 위치에 엔네아 호도이(Ἐννέα ὁδοὶ) 도시를 건설했다.[6] 트라키아 지역에는 마로네이아와 압데라 등의 식민 도시들이 건설되었다. 밀레토스인들은 헬레스폰토스에 아비도스와 카르디아를, 프로폰티스에 레데스투스를 건설했다. 사모스인들은 사모트라케 섬을 식민지화했다. 파로스인들은 타소스를 식민지화했다.

기원전 340년, 알렉산드로스 3세는 알렉산드로폴리스 마이디카 도시를 건설했다.[7]
마그나 그라이키아 (남부 이탈리아)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고대 그리스 식민지와 그 방언 그룹


현재 이탈리아에 있는 콩코르디아 신전, 발레 데이 템플리


리체 청동상은 레조 칼라브리아에 있는 마그나 그라이키아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아풀리아 도자기는 기원전 380-370년에 밀라노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되었다.


아레투사와 사두마차를 묘사한 시라쿠사 테트라드라크마(–405 BC)


마그나 그라이키아[8]로마인이 현재 칼라브리아, 풀리아, 바실리카타, 캄파니아 및 시칠리아의 이탈리아 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정착한 해안 지역에 붙인 이름이다.[9] 그리스인들은 기원전 8세기에 남부 이탈리아에 정착하기 시작했다.[10]

에우보이아인들은 이스키아 섬의 피테쿠사에서 시작하여 쿠마이, 메시나 해협, 시칠리아의 장클레와 레기움을 건설했다.[11] 아카이아인들은 이오니아 해안(메타폰티온, 포세이도니아, 시바리스, 크로토네)에 집중했다.[12][13] 아테네인들은 스키레티움을 건설했다.[15]

시칠리아에서 에우보이아인들은 낙소스를 건설했고, 시라쿠사는 코린토스인들이 건설했다. 스파르타 난민들은 타란토를 건설했다. 메가라는 메가라 히블라이아와 셀리누스를, 포카이아는 벨리아를, 로도스는 겔라를, 리파리는 크니도스와 함께, 로크리인들은 에피제피리안 로크리스를 건설했다.[3]

식민지화와 함께 그리스 문화가 이탈리아로 수출되었고, 독창적인 헬레니즘 문명이 발전했다. 키알키데/쿠마이의 그리스 문자는 에트루스칸에 의해 채택되었고, 고대 이탈리아 문자는 라틴 문자로 발전했다.

다음은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주요 도시들과 건설 연도(기원전)를 정리한 표이다.

도시건설 연도(기원전) - 작성자[19]
투키디데스유세비우스제롬기타
쿠마이Κύμη--1050(?)-
메타폰티움Μεταπόντιον-773(?)--
장클레Ζάγκλη-757/756-756
낙소스Νάξος734735741-
시라쿠사Συρακκούσες733733738/737733
레온티니Λεοντῖνοι728---
카타니아Κατάνη728733737/736-
메가라Μέγαρα727---
레지오Ερυθρά / Ρήγιον---c. 730
밀라초Μύλαι-715(?)716(?)-
시바리스Σύβαρις-708-707709-708721/720
크로토네Κρότων-709-709/708
타란토Τάρας--706-
로크리Λοκροί Ἐπιζεφύριοι-673679c. 700
포세이도니아Ποσειδωνία---700(?)
겔라Γέλα688688691/690-
카울로니아Καυλωνία---c. 675
아크레663---
카스메네Κασμέναι643---
셀리눈테Σελινούς627757(?)650/649650
히메라Ιμέρα---648
리파리Μελιγουνίς-627(?)629(?)580/576
카마리나Καμάρινα598598/597601/600598/596
아그리젠토Ακράγας580--580/576


이오니아 해와 일리리아 지역

아드리아 해 연안의 그리스 식민지


이오니아 해 지역과 일리리아 지역은 코린토스에 의해 철저하게 식민지화되었다. 코린토스인들은 레우카다, 아스타쿠스, 아낙토레움, 악티움, 암브라키아, 코르키라 등을 건설했다. 또한 일리리아아폴로니아와 에피담누스를 건설했다. 님파이움은 일리리아의 또 다른 그리스 식민지였다. 에우보이아의 아반테스는 일리리아에 스론니온 도시를 건설했다.[21]

기원전 385년, 파로스에서 온 식민지인들이 스타리 그라드 부지에 파로스 식민지를 건설했다.[4] 기원전 4세기 초,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우스 1세는 비스 섬에 이사 식민지를 건설했고, 이사에서 온 상인들은 트로기르)와 스토브레치)에 엠포리움을 건설했다. 1877년 룸바르다에서 기원전 3~4세기에 이사에서 온 식민지인들이 그곳에 또 다른 그리스 정착지를 건설했다는 내용의 그리스 비문(룸바르다 프세피스마)이 발견되었다.[22]
흑해 지역
흑해 연안의 그리스 식민지, 해당 세기로 표시됨


그리스인들은 흑해 해안에 70개에서 90개의 식민지를 건설했다.[24] 흑해 식민지화는 메가라와 밀레투스, 포카이아, 테오스와 같은 일부 이오니아 도시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흑해와 프로폰티스 지역의 식민지의 대부분은 기원전 7세기에 설립되었다.

프로폰티스 지역에서 메가라인은 비티니아의 아스타쿠스, 칼케돈, 비잔티움을 건설했다. 밀레투스는 키지코스를, 포카이아인들은 람프사쿠스를 건설했다.[25]

흑해 서쪽 해안에서 메가라인은 셀림브리아를 건설했고, 네세바르를 건설했다. 루마니아 지역에서 밀레토스인들은 히스트리아, 아르가메, 아폴로니아를 건설했다.

흑해 남부에서 가장 중요한 식민지는 시노페였다.[25] 시노페는 트레비존드, 케라수스, 키토루스, 코티오라, 크롬네, 프테리아, 티움 등을 건설했다.

다뉴브 강 삼각주에서 그리스인들은 보리스테네스 식민지로 발전했다. 흑해 남안에 세워진 가장 중요한 식민지는 헤라클레아 폰티카였다.[26]

흑해 북안에서는 밀레투스가 폰토스 올비아와 판티카파이온(현재의 케르치)을 건설했다. 기원전 560년경 밀레토스인들은 오데사를 건설했다.[25] 크림 반도에는 심페로폴리스, 님파이움, 헤르모나사 등의 도시를 건설했다. 아조프해에는 타나이스(로스토프), 티리타케, 미르메케움, 케크리네, 그리고 테오스의 식민지인 파나고리아를 건설했다.

조지아와 압하지야 자치 공화국에 위치한 동해안에서는 그리스인들이 파시스와 디오스쿠리스 도시를 건설했다.

헤라클레아 폰티카는 기원전 6세기 말에 칼라티스를 건설했다.[27] 그리스 고전 시대에는 메셈브리아(현대 네세바르)가 건설되었다.[28][29] 헤라클레아 폰티카는 케르소네소스 타우리카를 건설했다. 기원전 4~3세기에 크림반도 바헤로베 마을 근처에 있던 고대 그리스 정착지인 마니트라는 2018년에 발견되었다.[30]
기타 지역그리스 식민지는 이베리아 반도와 북아프리카까지 확장되었다. 북아프리카의 키레나이카 반도에는 키레네를 건설했고, 바르카, 에우에스페리데스(현대 벵가지), 타우케이라, 아폴로니아 등의 식민지가 건설되었다.

7세기 중반에는 이집트에 나우크라티스가 세워졌다.[31] 프삼티크 1세는 밀레토스 상인들에게 나일강 기슭에 한 곳의 상업 특권을 부여했다. 2023년 토니스-헤라클레이온 이집트에서의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그리스인들이 이집트 제26왕조 시대부터 그곳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32]

나일강 삼각주에 세워진 엠포리온과 마찬가지로, 기원전 8세기 초 알미나 지역인 오론테스강 하구의 시리아 해안에 에우보이아인들에 의해 그리스 무역 식민지가 세워졌을 가능성이 있다. 포시데온은 기원전 7세기 후반에 식민화되었다.[33]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트로이 전쟁 이후 그리스인들이 북아프리카 해안에 건설한 도시인 메스켈라 (Μεσχέλα)를 언급한다.[34][35]

마르세유의 북쪽 지중해 연안에는 포카이아인들이 갈리아 해안에 마살리아를 건설했다. 포카이아인들은 코르시카에 알랄리아를, 사르데냐올비아를 건설했다. 포카이아인들은 이베리아 반도의 해안에 엠포리에스를 건설했고, 헤메로스코페이온을 건설했다.

5. 주요 그리스 식민지

그리스는 지중해 전역에 걸쳐 많은 식민지를 건설했다. 주요 식민지는 다음과 같다.

국가식민지
알바니아님파이움, 에피담노스, 아폴로니아, 아울론, 히마라, 부트로톤, 오리쿰, 스로니온
불가리아메셈브리아, 오데소스, 아폴로니아/안테이아, 아가토폴리스, 카르바나, 포모리에, 나울로코스, 크로이노이, 피스티로스, 안키알로스, 비존, 데벨토스, 헤라클레아 신티카, 베로에
크로아티아살로나, 트라기리온, 아스팔라토스, 에피다우루스, 이사, 디모스, 파로스, 코르키라 멜라이나, 에피다우룸, 나로나, 룸바르다, 에페티온[36]
키프로스키트리(Chytri), 키레니아(Kyrenia), 골기(Golgi)
이집트나우크라티스
프랑스아그드, 마살리아, 타우로엔티움/타우로에이스[39], 올비아, 니카이아, 모노이코스, 안티폴리스, 알랄리아, 로다누시아, 아테노폴리스, 페르간티움[40][41]
조지아바티스, 트리글리테, 피티우스, 디오스쿠리아스, 파시스, 게노스
그리스포티다이아, 스타기라, 아칸토스, 멘데, 암브라키아, 코르키라, 마로네이아, 크리니데스, 올린토스, 압데라, 테르마, 아레투사, 레우카스, 에이온, 사네, 암피폴리스, 아르길루스, 아스타쿠스, 갈렙수스, 오에시메, 파그레스, 다투스, 스트리메, 피스티루스, 라에켈루스, 디케아, 메토니, 트라키스 헤라클레아, 아카르나니아 헤라클레아, 아낙토리움, 살레, 드리스, 토로니, 아모르 고스, 악티움, 스카발라, 필리피, 콜로니데스, 올리아루스, 테라, 미르키누스, 타르페, 솔리움[42]
이탈리아올비아, 아드리아, 안코나, 파르테노페, 쿠마에, 프로치다, 디카이아르키아, 네아폴리스, 포세이도니아, 메타폰툼, 시바리스, 투리, 타라스, 시리스, 크로토나, 갈리폴리, 엘레아, 메시나, 칼레 악테, 시라쿠사, 디디메, 히케시아, 포이니쿠사, 테라시아, 리파라/멜리구니스, 에피제페리안 로크리스, 레기움, 렌티니, 셀리눈타스, 메가라 히블라이아, 낙소스, 타우로메니움[43], 아크라가스, 히메라, 젤라, 카타니아, 레온티니[44], 에레이코우사, 에우오니모스, 카마리나, 메드마, 히포니온, 헤라클레아 미노아, 카울로니아, 트로틸론, 퓌쿠스, 밀라이에, 라우스, 테리나, 틴다리, 마칼라, 테메사, 메타우로스, 크림이사, 코네, 사투로, 헤라클레아 루카니아, 스킬레티움[45], 아타티르눔, 아드라논, 아크릴라이, 카스메나에, 아크라이, 엔기온, 탑소스, 피테쿠사이, 카스텔메차노, 리카타, 오르티지아, 라가리아, 히드루스[46][47], 막토륨[48][49], 헬로루스[50]
리비아바르케, 키레네, 발라그라에, 타우케이라, 프톨레마이스, 헤스페리데스, 안티피르구스, 아폴로니아, 키니프스, 메넬라이 포르투스
몬테네그로부토에
북마케도니아/세르비아*다마스티온, 헤라클레아 린케스티스
팔레스타인안테돈(팔레스타인)
루마니아토미스, 히스트리아/이스트로스, 아이기수스, 스트라토니스, 악시오폴리스, 칼라티스
러시아타나이스, 케포이, 파나고리아, 바타, 고르기피아, 헤르모나사, 코로콘다메, 타간로크, 티람바, 파트라에우스, 토리코스
스페인포르투스 일리치타누스, 아크라 레우케, 알로니스, 헤메로스코페움, 자킨토스, 살라우리스, 로데, 엠포리온, 칼라토사, 마이네케, 메네스테우스의 리민, 킵셀라, 헬리케
시리아포시디움
튀르키예셀림브리아, 헤라클레아 폰티카, 키우스, 에페소스, 디오스 히에론, 이아소스, 민두스, 셀게, 프리에네, 할리카르나소스, 밀레투스, 트랄레스, 파셀리스, 아스펜도스, 시데, 실리온, 제피리온, 켈렌데리스, 말루스, 아모스, 비잔티움, 아마세이아, 아마스트리스, 아이노스, 베르제, 페린토스, 카르디아, 칼케돈, 니코메디아, 아비도스, 세스토스, 람프사쿠스, 파노르모스, 키지쿠스, 일리온, 시게이온, 시노페, 티레볼루, 아미소스, 트리폴리스, 코티오라, 폴레모니온, 파르나키아, 케라수스, 트라페주스, 테미스키라, 비티니아의 아스타쿠스, 아소스, 피타네, 포카이아, 스미르나, 페르가몬, 테오스, 콜로폰, 파타라, 카나에, 바르길리아, 마디투스, 엘라에우스, 티에이온, 아파메아 미르레아[53], 클라조메나이, 노티온, 파리온, 헤라이온 테이코스, 비산테, 에리트라이, 프리아푸스, 알로페코네수스, 림나에, 크리토테, 팍티아, 페린투스, 티움, 테이키우사[54], 트리오피움, 플라키아, 스킬라케, 아리스바, 아폴로니아, 아폴로니아 아드 린다쿰, 미리나, 피토폴리스, 키토루스, 아르메네, 콜로네이, 파에수스[55], 스케프시스, 뮈우스, 몹수스, 카리안다, 아테네, 시르나, 키메, 마라테시움, 크리소폴리스, 네온테이코스, 아르타케, 세미스트라, 코브리스, 키파시스, 키도니에스, 코리파스, 헤라클레아(아이올리스), 가르가라, 람포네이아[56], 엘라에아, 마리안딘, 클라로스, 크니도스, 프루시아스 아드 휘피움, 다르다누스, 피게라, 테므노스, 그리네이움, 아이가이, 로이테이온, 카드레마, 다미논 테이코스, 히드렐라[57][58], 아팀브라, 카루사[59], 테르메라[60], 하마시투스[61], 마스티아[62], 나기소스[63][64][65]
우크라이나보리스테네스[69], 티라스, 올비아, 니코니온[70][71], 오데사, 판티카파이움, 님파이온, 티리타케, 테오도시아, 케르소네소스, 차락스, 미르메키온, 케르키니티스, 키메리콘, 칼로스 리멘, 얄리타, 아크라, 마니트라[30], 겔로누스*, 타르판치[72]



그리스 식민지, 지중해흑해, 그리고 그들의 본토 도시들을 빨간색으로 표시, 페니키아 식민지는 노란색으로 표시

5. 1. 마케도니아와 트라키아 지역



할키디키와 트라키아 지역을 중심으로 북부 그리스에 수많은 식민 도시들이 세워졌다.

할키디키에는 에우보이아인들이 정착했는데, 이들은 주로 칼키스 출신이었으며 식민 도시들에 자신들의 이름을 부여했다. 할키디키에 세워진 에우보이아인들의 가장 중요한 정착지는 올린토스(고대 아테네인들과 협력하여 건설), 토로네, 멘데, 세르밀레, 아피티스, 아토스 산 반도의 클레오나이였다. 안드로스 출신 식민자들이 세운 아칸토스[5]코린토스의 식민 도시인 포티데아도 할키디키의 중요한 식민 도시였다. 타소스인들은 아테네의 칼리스트라토스의 도움을 받아 다투스를 건설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동안, 아테네인들은 니키아스의 아들 하그논과 함께 현재 세레스암피폴리스 북쪽 "언덕 133" 위치에 아홉 개의 길을 의미하는 엔네아 호도이(Ἐννέα ὁδοὶ) 도시를 건설했다.[6]

소아시아 해안에서 온 이오니아인들은 트라키아 지역에 여러 식민 도시를 건설했다. 마로네이아와 압데라가 중요한 식민 도시였다. 밀레토스인들은 헬레스폰토스에 아비도스와 카르디아를, 프로폰티스에 레데스투스를 건설했다. 사모스인들은 사모트라케 섬을 식민지화하여 섬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 파로스인들은 시인이자 아르킬로코스의 아버지인 오이키스트 텔레시클레스의 지도 아래 타소스를 식민지화했다.

기원전 340년, 알렉산드로스 3세가 마케도니아의 섭정으로 있을 때, 현지 트라키아 부족을 물리친 후 알렉산드로폴리스 마이디카를 건설했다.[7]

5. 2. 마그나 그라이키아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

마그나 그라이키아[8]로마인이 현재 칼라브리아, 풀리아, 바실리카타, 캄파니아 및 시칠리아의 이탈리아 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정착한 해안 지역에 붙인 이름이다.[9]

그리스인들은 기원전 8세기에 남부 이탈리아에 정착하기 시작했다.[10]

서부 지중해로 향한 첫 번째 대규모 이주 물결은 에우보이아인들이었고, 그들은 이스키아 섬의 피테쿠사에서 시작하여 이탈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그리스 정착지였으며, 그 후 인근의 쿠마이를 본토의 첫 번째 식민지로 건설한 다음 메시나 해협, 시칠리아의 장클레와 그 반대편 해안의 레기움을 건설했다.[11]

두 번째 물결은 아카이아인들로, 기원전 720년경에 이오니아 해안(메타폰티온, 포세이도니아, 시바리스, 크로토네)에 처음 집중했다.[12][13] 기원전 8세기와 6세기 사이의 미상의 시기에, 이오니아 혈통의 아테네인들은 오늘날의 카탄자로 근처에 있는 스키레티움을 건설했다.[15]

시칠리아에서 에우보이아인들은 후에 낙소스를 건설했는데, 이 도시는 레온티니, 타우로메니온카타니아 도시의 건설 기지가 되었다. 소수의 도리아인과 이오니아인들이 동행했는데, 아테네인들은 식민지화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했다.[16] 시칠리아 식민지 중 가장 강력한 도시는 시라쿠사였는데, 기원전 8세기에 코린토스인들이 건설한 식민지였다.

스파르타에서 온 난민들은 타란토를 건설했는데, 이 도시는 이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도시 중 하나로 발전했다. 메가라는 메가라 히블라이아와 셀리누스를 건설했고, 포카이아는 벨리아를 건설했으며, 로도스는 겔라를 크레타인과 함께 건설했고, 리파리는 크니도스와 함께 건설했으며, 로크리인들은 에피제피리안 로크리스를 건설했다.[3] 전설에 따르면, 투리와 신니 강 사이에 있는 라가리아는 포키아인들이 건설했다.

그리스 정착민과 토착민 사이의 빈번한 접촉의 증거는 팀포네 델라 모타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 지역은 오이노트리아인 도자기에서 그리스 양식의 영향을 보여준다.[17]

이 지역의 많은 도시들은 차례로 시칠리아 남부에 있는 카마리나를 건설한 시라쿠사인이나 히메라 식민지의 건설을 주도한 장클레인과 같이 새로운 식민지를 위한 ''모도시''가 되었다. 마찬가지로 낙소스는 많은 식민지를 건설했고, 시바리스는 포세이도니아 식민지를 건설했다. 겔라는 자체 식민지 아크라가스를 건설했다.[18]

식민지화와 함께 그리스 문화고대 그리스어의 방언, 종교 의식, 독립적인 ''폴리스''의 전통과 함께 이탈리아로 수출되었다. 독창적인 헬레니즘 문명이 곧 발전하여 나중에 토착 이탈리아 문명과 상호 작용했다. 가장 중요한 문화적 이식 중 하나는 키알키데/쿠마이의 그리스 문자로, 에트루스칸에 의해 채택되었다. 고대 이탈리아 문자는 이후 라틴 문자로 발전하여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문자가 되었다.

도시건설 연도(기원전) - 작성자[19]
투키디데스유세비우스제롬기타
쿠마이Κύμη--1050(?)-
메타폰티온Μεταπόντιον-773(?)--
장클레Ζάγκλη-757/756-756
낙소스Νάξος734735741-
시라쿠사Συρακκούσες733733738/737733
레온티니Λεοντῖνοι728---
카타니아Κατάνη728733737/736-
메가라Μέγαρα727---
레지오Ερυθρά / Ρήγιον---c. 730|기원전 730년경grc
밀라초Μύλαι-715(?)716(?)-
시바리스Σύβαρις-708-707709-708721/720
크로토네Κρότων-709-709/708
타란토Τάρας--706-
로크리Λοκροί Ἐπιζεφύριοι-673679c. 700|기원전 700년경grc
포세이도니아Ποσειδωνία---700(?)
겔라Γέλα688688691/690-
카울로니아Καυλωνία---c. 675|기원전 675년경grc
아크레663---
카스메네Κασμέναι643---
셀리눈테Σελινούς627757(?)650/649650
히메라Ιμέρα---648
리파리Μελιγουνίς-627(?)629(?)580/576
카마리나Καμάρινα598598/597601/600598/596
아그리젠토Ακράγας580--580/576


5. 3. 이오니아 해, 아드리아 해, 일리리아 지역



이오니아 해와 일리리아 지역은 코린토스에 의해 철저하게 식민지화되었다. 코린토스인들은 남부 이탈리아와 서쪽으로 향하는 해상 항로에 중요한 해외 식민지를 건설했는데, 이 식민지들은 지중해 서부 지역의 주요 무역 중심지가 되는 데 성공했다. 코린토스의 중요한 식민지로는 오늘날 서부 그리스에 위치한 레우카다, 아스타쿠스, 아낙토레움, 악티움, 암브라키아, 코르키라 등이 있었다.

코린토스인들은 또한 오늘날 알바니아에 위치한 아폴로니아와 에피담누스와 같이 중요한 도시로 발전한 일리리아에 중요한 식민지를 건설했다. 기원전 6세기경 에피담누스 시민들이 올림피아에 도리스 양식의 보물 창고를 건설했다는 사실은 이 도시가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 중 하나였음을 확인해준다. 고대 기록에는 에피담누스가 '강대하고 매우 인구가 많은' 도시로 묘사되어 있다.[20] 님파이움은 일리리아의 또 다른 그리스 식민지였다. 에우보이아의 아반테스는 일리리아에 스론니온 도시를 건설했다.[21]

더 서쪽으로 가면, 기원전 385년 그리스 도시 국가 파로스에서 온 식민지인들이 오늘날 크로아티아의 스타리 그라드 부지에 아드리아 해의 흐바르 섬에 파로스 식민지를 건설했다.[4] 기원전 4세기 초, 시라쿠사의 그리스 폭군 디오니시우스 1세는 오늘날의 비스 섬에 이사 식민지를 건설했고, 이사에서 온 상인들은 기원전 3세기에 일리리아 본토의 트라기리온(트로기르)과 에페티온(스토브레치)에 엠포리움을 건설하기 위해 이동했다.

1877년에는 오늘날 크로아티아에 있는 코르출라 섬 동쪽 끝자락의 룸바르다에서 기원전 3~4세기에 이사에서 온 식민지인들이 그곳에 또 다른 그리스 정착지를 건설했다는 내용의 그리스 비문이 발견되었다. 이 유물은 룸바르다 프세피스마로 알려져 있다.[22] 일리리아인과 그리스인 사이의 무역에 사용된 일리리아 해안의 주화 증거는 기원전 4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사와 파로스와 같은 아드리아 해 식민지에서 주조되었다.[23]

5. 4. 흑해와 프로폰티스 지역



그리스인들은 한때 흑해 해안을 "불친절한" 곳이라고 불렀지만, 고대 자료에 따르면 결국 70개에서 90개의 식민지를 건설했다.[24] 흑해 식민지화는 메가라, 밀레투스, 포카이아, 테오스와 같은 일부 이오니아 도시들이 주도했다. 흑해와 프로폰티스 지역의 식민지 대부분은 기원전 7세기에 설립되었다.

프로폰티스 지역에서 메가라인은 비티니아의 아스타쿠스, 칼케돈, 비잔티움을 건설했는데, 이들은 특권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밀레투스는 키지코스를, 포카이아인들은 람프사쿠스를 건설했다.[25]

흑해 서쪽 해안에서 메가라인은 셀림브리아를 건설했고, 그보다 조금 늦게 네세바르를 건설했다. 조금 더 북쪽의 오늘날 루마니아 지역에서 밀레토스인들은 히스트리아, 아르가메, 아폴로니아를 건설했다.

흑해 남부에서 가장 중요한 식민지는 시노페였는데, 지배적인 견해에 따르면 기원전 7세기 중반경 밀레투스에 의해 건설되었다.[25] 시노페는 폰토스 지역의 일련의 다른 식민지와 함께 건설되었다: 트레비존드, 케라수스, 키토루스, 코티오라, 크롬네, 프테리아, 티움 등.

다뉴브 강 삼각주에서 더 북쪽으로 그리스인들은 바리트메니스(오늘날의 베레잔) 섬을 식민지화했는데, 아마도 당시에는 반도였을 것이며, 다음 세기에는 보리스테네스 식민지로 발전했다.

5. 5. 기타 지중해 지역



그리스 식민지는 이베리아 반도와 북아프리카까지 확장되었다.

포카이아인들은 갈리아 해안의 마살리아를 건설했고, 마살리아는 스페인 지역에 추가적인 식민지를 건설하는 기반이 되었다. 포카이아인들은 코르시카에 알랄리아를, 사르데냐올비아를 건설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포카이아인들은 이베리아 반도의 해안에 도착했고, 지역 왕은 이들에게 식민지 건설을 요청하며 도시 요새화에 도움을 주었다. 포카이아인들은 이 지역에 엠포리에스를 건설했고, 이후 헤메로스코페이온을 건설했다.

6. 그리스 식민지의 영향

그리스 식민지들은 키레나이카 반도에 키레네를 건설하는 등 여러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키레네는 이 지역에서 강력한 도시로 발전했으며, 이후 바르카, 에우에스페리데스(현재의 벵가지), 타우케이라, 아폴로니아 등의 식민지가 건설되었다.[3]

기원전 7세기 중반, 이집트에는 유일한 그리스 식민지인 나우크라티스가 세워졌다.[31] 파라오 프삼메티쿠스 1세밀레토스 상인들에게 나일강 기슭에 상업 특권을 부여하여 무역 거점을 만들었는데, 이곳은 기원전 525년 페르시아의 이집트 원정 당시 번영하는 도시였다.

2023년 토니스-헤라클레이온 이집트에서의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그리스인들은 이집트 제26왕조 시대부터 그곳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으며, 그리스 용병들이 도시를 방어하기 위해 고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2]

기원전 8세기 초, 알미나 지역인 오론테스강 하구의 시리아 해안에 에우보이아인들에 의해 그리스 무역 식민지가 세워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포시데온의 그리스 식민지는 오론테스 강 어귀 바로 남쪽에 위치한 라스 알-바시트 곶에 기원전 7세기 후반에 식민화되었다.[33]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트로이 전쟁 이후 그리스인들이 북아프리카 해안에 건설한 도시인 메스켈라 (Μεσχέλα)를 언급한다.[34][35]

6. 1. 문화 전파

키레나이카 반도에는 테라 출신의 식민주의자들이 키레네를 건설했는데, 이곳은 이 지역에서 매우 강력한 도시로 발전했다.[3] 나중에 키레나이카에는 바르카, 에우에스페리데스(현대 벵가지), 타우케이라, 아폴로니아 등의 식민지가 건설되었다.

7세기 중반에는 이집트에 유일한 그리스 식민지인 나우크라티스가 세워졌다.[31] 파라오 프삼메티쿠스 1세는 밀레토스 상인들에게 나일강 기슭에 한 곳의 상업 특권을 부여하여 무역 거점을 설립했는데, 이곳은 기원전 525년 페르시아의 이집트 원정 당시 번영하는 도시로 발전했다.

2023년 토니스-헤라클레이온 이집트에서의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이미 그 도시에서 무역이 허용되었던 그리스인들이 이집트 제26왕조 시대부터 그곳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으며, 그리스 용병들이 도시를 방어하기 위해 고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2]

나일강 삼각주에 세워진 엠포리온과 마찬가지로, 기원전 8세기 초 알미나 지역인 오론테스강 하구의 시리아 해안에 에우보이아인들에 의해 그리스 무역 식민지가 세워졌을 가능성이 있다. 포시데온의 그리스 식민지는 오론테스 강 어귀 바로 남쪽에 위치한 라스 알-바시트 곶에 기원전 7세기 후반에 식민화되었다.[33]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트로이 전쟁 이후 그리스인들이 북아프리카 해안에 건설한 도시인 메스켈라 (Μεσχέλα)를 언급한다.[34][35]

참조

[1] 웹사이트 Magna Grecia https://www.treccani[...] 2023-07-09
[2] 논문 Greek colonization movement, 8th–6th centuries http://dx.doi.org/10[...] 2013-02-04
[3] 서적 Ιστορία του ελληνικού έθνους Ekdotike Athenon 1971
[4] 논문 Greek colonization: small and large islands http://dx.doi.org/10[...] 2012-06
[5] 간행물 Ακάνθος-Εριίσσος-Ιερίσσος http://www.archaiolo[...] 1997-06
[6] 문서 Thucydides, The Peloponnesian War, 4.102 https://www.perseus.[...]
[7] 문서 Plutarch, Alexander, 9 http://www.perseus.t[...]
[8] 문서 IPAc-en|UK|ˌ|m|æ|ɡ|n|ə|_|ˈ|ɡ|r|iː|s|i|ə|,_|-|_|ˈ|ɡ|r|iː|ʃ|ə}}, {{respell|MAG|nə|_|GREE|see|ə|,_-_|GREE|shə}}, {{IPAc-en|US|-|_|ˈ|ɡ|r|eɪ|ʃ|ə}} {{respell|-_|GRAY|shə}}, {{IPA|la|ˈmaŋna ˈɡrae̯ki.a|lang}}; {{lit|Great[er] Greece}}; {{langx|grc|Μεγάλη Ἑλλάς|Megálē Hellás}}, {{IPA-grc|meɡálɛː hellás|IPA}}, with the same meaning; {{langx|it|Magna Grecia}}, {{IPA|it|ˈmaɲɲa ˈɡrɛːtʃa|IPA}}.
[9]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eo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0-30
[10] 서적 The Greek Cities of Magna Graecia and Sicily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11] 문서 STEFANIA DE VIDO 'Capitani coraggiosi'. Gli Eubei nel Mediterraneo C. Bearzot, F. Landucci, in Tra il mare e il continente: l'isola d'Eubea (2013) ISBN 978-88-343-2634-3
[12] 문서 Strabo 6.1.12
[13] 문서 Herodotus 8.47
[14] 웹사이트 MAGNA GRECIA https://www.treccani[...] 2023-07-07
[15] 문서 Strabo, ''[[Geographica]]'', 6.1.10
[16] 서적 Geographica
[17] 논문 Book Review of Meetings of Cultures: Between Conflict and Coexistence, edited by Pia Guldager Bilde and Jane Hjarl Petersen 2010-10
[18] 서적 Geographica
[19] 문서 LA COLONIZZAZIONE E LE ORIGINI DEI COLONI https://www.locriant[...]
[20] 서적 Greek Colonisation: An Account of Greek Colonies and Other Settlements Overseas https://books.google[...] Brill
[21] 문서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5.22.4 https://www.perseus.[...]
[22] 논문 Reviewed work: Grčki utjecaj na istočnoj obali Jadrana/ Greek Influence along the East Adriatic Coast.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in Split from September 24th to 26th 1998, N. Cambi, S. Čače, B. Kirigin https://www.jstor.or[...] 2003
[23] 논문 Keria 2019-01-28
[24] 문서 Ancient Europe 8000 B.C-A.D 1000 Vol. 2
[25] 백과사전 Αποικισμός του Εύξεινου Πόντου http://www.ehw.gr/l.[...] 2003-05-09
[26] 문서 Hind, J., “Megarian Colonization in the Western Half of the Black Sea: Sister‑ and Daughter‑Cities of Herakleia”, in Tsetskhladze, G.R. (ed.), The Greek Colonization of the Black Sea Area.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Archaeology, (Historia Einzelschriften 121) (Stuttgart 1998), pp. 135‑137
[27] 문서 Ewa Stanecka, Callatis as a Seaport, Studies in Ancient Art and Civilisation, 10.12797/SAAC.17.2013.17.28, 17, (325-333), (2013)
[28] 문서 Herodotus 6.33
[29] 문서 Hind, J., “Megarian Colonization in the Western Half of the Black Sea: Sister‑ and Daughter‑Cities of Herakleia”, in Tsetskhladze, G.R. (ed.), The Greek Colonization of the Black Sea Area.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Archaeology (Historia Einzelschriften 121, Stuttgart 1998), pp. 137‑138.
[30] 웹사이트 Russian archaeologists said they discovered an ancient Greek settlement in Crimea https://web.archive.[...] 2018-11-16
[31] 웹사이트 The Archaic Period:Economy:Trade Station http://www.fhw.gr/ch[...] The Foundation for the Hellenic World
[32] 웹사이트 Sunken ancient temples were found in a mysterious underwater city, with Egyptian and Greek treasures https://www.business[...] businessinsider 2023-09-20
[33]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Greece Facts On File 1997
[34] 문서 The Library of History of Diodorus Siculus https://penelope.uch[...]
[35]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Meschela https://www.perseus.[...] Tufts University 2023-09-30
[36] 웹사이트 Institute of Archaeology, Field research of the Institute, Stobreč (Epetion) https://www.iarh.hr/[...]
[37]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Golgi https://www.perseus.[...]
[38] 웹사이트 Brill, Golgi https://referencewor[...]
[39]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Tauroeis https://www.perseus.[...]
[40] 서적 Marins de Provence et du Languedoc, p.43 https://books.google[...]
[41] 서적 Géographie historique et administrative de la Gaule romaine, p.734 https://www.google.c[...]
[42]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Palaerus https://www.perseus.[...]
[43]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Tauromenium https://www.perseus.[...]
[44]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Leontini https://www.perseus.[...]
[45]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Scylacium https://www.perseus.[...]
[46]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Hydruntum https://www.perseus.[...]
[47] 서적 A History of Gree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웹사이트 Stephanus of Byzantium, Ethnica, 429.7 https://topostext.or[...]
[49] 웹사이트 Brill, Mactorium https://referencewor[...]
[50]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Helorum https://www.perseus.[...]
[51] 웹사이트 Gaza at the Crossroad of Civilisations: Two Contemporary Views https://muslimherita[...] The Foundation for Science, Technology and Civilisation UK (FSTC UK) 2009-01-24
[52] 웹사이트 Les Villes Philistines, Gaza, Ascalon http://www.antikfore[...] antikforever.com
[53]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Myrlēa https://www.perseus.[...]
[54] 웹사이트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Teichiussa https://www.perseus.[...]
[55]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Paesus https://www.perseus.[...]
[56]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Lamponeia https://www.perseus.[...]
[57]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Hydrela https://www.perseus.[...]
[58] 웹사이트 The British museum, Hydrela https://www.britishm[...]
[59]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Carusa https://www.perseus.[...]
[60]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Termera https://www.perseus.[...]
[61]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Hamaxitus https://www.perseus.[...]
[62] 웹사이트 Pliny the Elder, The Natural History, 6.2 https://www.perseus.[...]
[63] 웹사이트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NAGIDOS (Bozyazi) Turkey https://www.perseus.[...]
[64]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Samos https://www.perseus.[...]
[65] 웹사이트 Pomponius Mela, Chorographia https://www.thelatin[...]
[66] 웹사이트 Herodotus, The Histories, 4.108 https://www.perseus.[...]
[67] 웹사이트 Perseus Encyclopedia, Geloni https://www.perseus.[...]
[68]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Geloni https://www.perseus.[...]
[69] 웹사이트 Perseus Encyclopedia, Borysthenes https://www.perseus.[...]
[70] 웹사이트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Richard Stillwell, William L. MacDonald, Marian Holland McAllister, Stillwell, Richard, MacDonald, William L., McAlister, Marian Holland, Ed., Nikonion https://www.perseus.[...]
[71] 서적 North Pontic Archaeology: Recent Discoveries and Studies Brill
[72] 웹사이트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Tarpanchi, Crimea https://www.perse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