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동당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동당 (대한민국)은 2013년 새진보통합당과 사회당의 통합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진보신당에서 당명을 변경하여 출범했으며, 사회주의, 환경주의, 민주사회주의를 이념으로 한다. 역대 선거에서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으며,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이백윤 후보가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019년에는 기본소득당으로 분당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세화 - 남민전 사건
    남민전 사건은 1970년대 유신체제에 저항한 이재문 등의 지하 조직 남조선민족해방전선과 관련된 사건으로, 반정부 활동과 무장 투쟁을 준비하다 관련자 검거 후 중형이 선고되었으며, 민주화운동으로 인정받았으나 여전히 반국가단체로 남아 사회적 논쟁이 있다.
  • 진보신당 연대회의 - 2013년 진보신당 당대회
    2013년 진보신당 당대회는 총선 이후 재창당 요구에 따라 개최되어 강령 제정, 당명 결정 등 주요 안건을 논의했으나, 당명 결정 과정에서 노동당으로의 당명 변경안이 부결되고 부정 투표 논란이 발생했다.
  • 진보신당 연대회의 - 2013년 진보신당 임시당대회
    2013년 7월 21일 관악구청에서 열린 진보신당 임시당대회에서는 당명 결정과 당헌 제정이 주요 안건으로 다루어져, 투표 결과 노동당이 새로운 당명으로, 당헌은 원안대로 최종 결정되었다.
  • 노동당 - 노동당 (영국)
    영국 노동당은 노동계급의 정치적 대변을 위해 노동조합과 좌파 단체들이 결성한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램지 맥도널드, 클레멘트 애틀리, 토니 블레어 등의 지도자 아래 정부를 구성하며 국민보건서비스 설립 등 사회 개혁을 추진했고, 마거릿 대처 시대 이후 야당 생활, 내부 갈등, 이념적 분열, 그리고 키어 스타머 당수 선출 후 중도 노선 회귀를 거쳐 2024년 총선에서 정권을 탈환했다.
  • 노동당 - 노동당 (대만)
    노동당은 1989년 대만에서 창당된 정당으로, 반제국주의, 사회주의, 중국과의 통일을 추구하며 대만 독립에 반대한다.
노동당 (대한민국)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색상 코드빨강
당 대표나도원
국가대한민국
원어 이름노동당
원어 이름 (언어)ko
창당일2013년
부대표송미량
정책위원회 의장정상천
합당새진보정당
사회주의혁명노동자당
중앙당사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7가 29-28 한흥빌딩
신문미래로부터 온 편지
청년 조직청년학생위원회
당원 수 (년도)2020년 12월
당원 수11,045명
사무총장차윤석
이념
이념진보주의 (한국)
민주사회주의
이념 (2021년까지)사회민주주의
정치적 위치
정치적 위치좌파
정치적 위치 (2021년까지)중도좌파 ~ 좌파
색상
색상빨강
의석
국회 의석0석
총 300석
지방의원 의석0석
총 2898석
기타
웹사이트노동당 웹사이트
일본어 정보
일본어 이름労働党
일본어 이름 (원어)노도-당
일본어 로고[[File:Korean Labor Party logo.svg|200px]]
일본어 창당2008년 3월 16일 (진보신당)
2013년 7월 21일 (노동당)
일본어 전신진보신당
사회당
일본어 당사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64 하눙빌딩 407호
일본어 당원 수11,664명 (2012년 12월 31일)
일본어 당비 납부자 수6,701명 (2012년 12월 31일)
일본어 이념중도좌파 - 좌익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에코사회주의
페미니즘
평화주의
소수자 권리
반-북한
반자본주의
일본어 국회 의석0/300
일본어 광역단체장 의석0/17
일본어 광역의회 의석0/789
일본어 기초단체장 의석0/226
일본어 기초의회 의석0/2898
일본어 웹사이트laborparty.kr
일본어 주석최승현 부대표가 대표권한대행을 겸무
한국어 정보
한국어 이름노동당
한국어 한자勞動黨
상징색빨강
창당 (한국어)2008년 3월 16일 (진보신당)
2012년 10월 22일 (진보신당 연석회의)
2013년 7월 21일 (노동당)
구호평등 생태 평화
이념 (한국어)사회주의
생태주의
평화주의
중앙당사 (한국어)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2가 32-4 창덕빌딩 4층
의제조직노동자정치행동
노동당 문화예술위원회
대통령 의석0/1
국회의원 의석0/300
광역단체장 의석0/17
광역의원 의석0/872
기초단체장 의석0/226
기초의원 의석0/2988
웹사이트 (한국어)노동당 웹사이트
노동당 페이스북
당대표이백윤
정책위원회 의장장혜경
부대표 (한국어)김성봉
사무총장 (한국어)정상천

2. 역사

2008년 민주노동당의 친북 노선에 비판적인 그룹이 결성한 '''진보신당'''이 노동당의 전신이다. 당헌은 “평등”, “생태”, “평화”, “연대”이다.

2007년 대선에서 권영길 후보가 3%의 득표율로 패배하면서, 민주노동당 내 자주파와 평등파의 대립이 표면화되었다.[12] 2008년 심상정 비상대책위원장이 제안한 조직 노동 운동 중심 노선 전환, 친북 노선 청산 및 일심회 사건으로 체포된 당 간부 제명 등의 개혁안이 부결되자, 비대위는 총사퇴했다.[13] 이후 평등파 당원들의 탈당이 이어졌고, 노회찬, 심상정 의원 등은 새로운 진보 정당 창당을 표명하며, 진보신당을 창당했다.

제19대 총선에서 정당 존립 요건인 유효득표율 2%를 획득하지 못해 해산되었으나, 2012년 10월 7일에 '''진보신당 연대회의'''로 재결성되어, 2013년 7월 21일 당대회에서 현재의 당명인 "노동당"으로 변경되었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광역의회 1명, 기초의회 6명의 당선자를 배출했다. 제20대 총선에서는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당선자를 내지 못했다.

2022년 2월 5일, 미등록 정당인 사회혁명노동자당이 이백윤 후보를 중심으로 202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위한 통합된 사회주의 비전을 만들기 위해 노동당과 합병하는 데 동의했다고 발표되었다.[1]

년도월일주요 사건
2008년3월 2일창당 발기인대회, 준비위원회 결성대회 개최.
2008년3월 16일중앙 창당대회 개최. 진보신당이 정식으로 발족.
2008년4월 9일제18대 총선, 의석을 확보하지 못함.
2008년7월 1일보수계 단체가 당 본부에 난입, 당원 등을 폭행하여 1명이 부상으로 입원.[63]
2009년3월 29일제2차 당대회 개최. 노회찬이 신임 대표로 선출되고, 기존의 5인 대표제에서 단독 대표제로 변경.
2009년4월 29일국회의원 재선거. 울산광역시 북구에서 조승수 후보가 당선되어 원내 의석을 확보.
2010년6월 2일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의회 선거에서 3명, 기초의회 선거에서 22명 당선 (모두 지역구).
2010년10월 15일임시 당대회. 조승수를 새로운 당 대표로 하는 제3기 당 대표단 발족.
2011년1월 20일“진보대통합과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진보진영 대표자 연석회의”(연석회의) 제1차 대표자 회의.
2011년5월 6일연석회의 제3차 회의, 1차 합의문 발표.
2011년6월 1일전날인 5월 31일부터 이어진 연석회의 제6차 회의에서 9월에 새로운 진보정당을 결성하기로 최종 합의.
2011년6월 27일임시 당대회. 민주노동당과의 신설 당 통합 결정을 8월로 연기하는 결의 채택.
2011년8월 28일통합 진보정당 창당대회를 9월 25일에 개최하기로 민주노동당과 합의.
2011년9월 4일당대회, 민주노동당과의 합당안이 필요한 3분의 2에 못 미쳐 최종적으로 부결.
2011년9월 5일조승수 대표, 당 대표직 사퇴 의사 표명.
2011년9월 8일노회찬, 심상정, 조승수 전 대표를 중심으로 민주노동당과의 통합을 추진하는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통합연대” 발족.
2011년9월 14일김은주 권한대행, 사회당 안효상 대표와 회담. 광범위한 진보혁신 세력 결집을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
2011년9월 23일진보신당 창당의 주역, 노회찬, 심상정이 탈당.
2011년10월 6일조승수 의원과 전 시도당 위원장 12명이 탈당. 원내 의석 상실.
2011년11월 25일대표 선거에 단독 출마한 홍세화를 신임 대표로 선출.
2012년2월 7일진보신당과 사회당이 합당에 합의.
2012년2월 19일진보신당과 사회당의 당대회에서 합당을 위한 담당 기관 설치.
2012년3월 4일진보신당과 사회당, 통합 당대회를 개최하고 통합 정당인 “진보신당” 발족.
2012년4월 11일제19대 총선,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당선자를 내지 못하고 득표율도 2% 미만이어서 해당.
2012년10월 7일임시 당대회 개최. “진보신당 연대회의”로 재결성.
2012년10월 27일홍세화 상임대표, 대표직 사퇴 의사 표명.[64]
2012년10월 29일안고형 공동대표, 사퇴.[65]
2013년2월 1일제5기 당 대표에 이용길 후보 당선.
2013년6월 23일재창당 대회. 사회주의 노선을 명확히 한 새로운 강령 채택. 신당명 “녹색사회노동당” 채택안은 부결.
2013년7월 21일임시 당대회. 당명을 당원 투표에서 최다 지지를 얻은 “노동당”으로 개칭.
2014년6월 4일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의회에서 1명, 기초의회에서 6명 당선 (모두 지역구).
2015년1월 30일제6기 당 대표에 나경채 후보 당선.
2015년6월 28일정기 당대회. 진보 세력 결집을 위한 당원 총투표 부의안 부결.
2015년7월 3일나경채, 당 대표 사퇴 의사 표명.
2015년9월 18일제7기 당 대표에 민주노총 위원장 구교현 당선.
2016년4월 13일제20대 총선.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당선자를 내지 못함.
2016년10월 15일제8기 당 대표에 이갑용 후보 당선.


2. 1. 당명 변경 이전 (진보신당)

노동당은 2008년 3월, 민주노동당 내 친북 노선에 반대하는 그룹이 결성한 '진보신당'을 전신으로 한다. 2012년 제19대 총선에서 정당 존립 요건인 유효득표율 2%를 얻지 못해 해산되었으나, 같은 해 10월 7일 '진보신당 연대회의'로 재창당되었다.[68]

2007년 대선에서 권영길 후보가 3%의 득표율로 패배하면서,[12] 민주노동당 내 자주파와 평등파의 대립이 표면화되었다. 2008년 1월 심상정 비상대책위원장이 제안한 개혁안이 2월 3일 임시 당 대회에서 부결되자, 비대위는 총사퇴했다.[13] 이를 계기로 평등파 당원들의 탈당이 이어졌고, 2월 15일에는 김혜경 전 대표 등이 탈당하며 분열이 확대되었다.[14]

민주노동당을 탈당한 노회찬, 심상정 의원은 새로운 진보 정당 창당을 표명하고,[15] 2월 24일 토론회를 거쳐[16] 3월 2일 발기인대회,[17] 3월 16일 창당대회[18]를 개최, '진보신당'을 창당했다. 그러나 2008년 4월 총선에서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비례대표 득표율 2.94%).[19]

2009년 3월 29일 제2차 당대회에서 노회찬이 신임 대표로 선출되었고, 2010년 10월 15일 임시 당대회에서는 조승수를 새로운 당 대표로 선출했다. 2011년 9월 4일 당대회에서는 민주노동당과의 합당안이 부결되었고, 이후 노회찬, 심상정, 조승수 등 주요 인사들이 탈당했다. 2011년 11월 25일 홍세화가 신임 대표로 선출되었다.

2012년 2월 7일 진보신당과 사회당이 합당에 합의, 3월 4일 통합 당대회를 개최하여 통합 정당인 '진보신당'이 발족되었다. 그러나 4월 11일 제19대 총선에서 득표율 미달로 다시 해산되었다. 이후 10월 7일 '진보신당 연대회의'로 재창당되었다.[68] 2012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후보를 내지 않고 무소속 김소연 후보를 지지했다.

년도날짜주요 사건
2008년3월 2일창당 발기인대회, 준비위원회 결성대회 개최
3월 16일중앙 창당대회 개최, 진보신당 정식 발족
4월 9일제18대 총선, 의석 확보 실패
7월 1일보수단체 당사 난입, 당원 폭행 사건 발생[63]
2009년3월 29일제2차 당대회, 노회찬 대표 선출, 단독 대표제 전환
4월 29일국회의원 재선거, 울산 북구에서 조승수 후보 당선
2010년6월 2일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 3명, 기초 22명 당선
10월 15일임시 당대회, 조승수 대표 선출
2011년6월 27일임시 당대회, 민주노동당과 신설 당 통합 결정 연기
8월 28일민주노동당과 통합 진보정당 창당대회 9월 25일 개최 합의
9월 4일당대회, 민주노동당과 합당안 부결
9월 8일노회찬, 심상정, 조승수 전 대표,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통합연대 발족
9월 14일김은주 권한대행, 사회당 안효상 대표와 회담, 진보세력 결집 노력 합의
9월 23일노회찬, 심상정 탈당
11월 25일홍세화 대표 선출
2012년2월 7일진보신당과 사회당 합당 합의
2월 19일진보신당과 사회당 당대회, 합당 기관 설치
3월 4일진보신당과 사회당, 통합 당대회 개최, 통합 진보신당 발족
4월 11일제19대 총선, 득표율 미달로 해산
10월 7일임시 당대회, 진보신당 연대회의로 재창당


2. 2. 노동당 창당 이후

2013년 7월 21일, 노동당은 임시 당대회를 개최하여 당명을 '노동당'으로 변경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광역의회 1명, 기초의회 6명의 당선자를 배출하며 성과를 거두었다.[1] 하지만 2015년에는 지도부가 정의당과의 합당을 추진하다 실패하면서, 일부 당원들이 정의당으로 이탈하는 상황을 겪었다.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에서 당선자를 내지 못했다. 같은 해 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발생하자, 노동당은 다른 진보 정당 및 야당들과 함께 박근혜 퇴진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2022년 2월 5일, 미등록 정당인 사회혁명노동자당은 이백윤 후보를 중심으로 202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위한 통합된 사회주의 비전을 만들기 위해 노동당과 합병하는 데 동의했다고 발표되었다.[1]

년도날짜주요 사건
2013년7월 21일임시 당대회 개최. 당명을 당원 투표에서 최다 지지를 얻은 “노동당”으로 개칭.
2014년6월 4일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의회에서 1명, 기초의회에서 6명 당선 (모두 지역구).
2015년1월 30일제6기 당 대표에 나경채 후보 당선.
6월 28일정기 당대회. 진보 세력 결집을 위한 당원 총투표 부의안 부결.
7월 3일나경채, 당 대표 사퇴 의사 표명.
9월 18일제7기 당 대표에 민주노총 위원장 구교현 당선.
2016년4월 13일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당선자를 내지 못함.
10월 15일제8기 당 대표에 이갑용 후보 당선.


3. 이념 및 정책

노동당은 2013년 6월에 채택된 강령에서 당의 주요 정책 방향을 19개 조항으로 제시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번호분야내용
1정치대의민주주의를 넘어 실질적인 민주화를 추진하고, 지역 사회와 노동 현장에서 연대와 협동의 대안 정치 공동체를 실현한다.
2정부정부 구조와 기능을 평등, 생태, 평화 공화국 방향으로 재편하여 국가 관료 기구를 국민의 민주적 통제 아래 둔다.
3통일남북한 국민의 삶을 개선하고, 남한과 북한 체제를 모두 극복하는 진보적인 통일을 추구하며, 항구적인 한반도 평화 체제를 구축한다.
4외교민족주의적이며 국수주의적인 국가주의에 맞서, 미국 등 강대국 중심의 국제 질서를 극복하고, 녹색 평화 외교를 통해 평화 협력의 국제 연대를 실현한다.
5사법반인권 악법과 억압적인 국가 기구를 폐지하고 경찰, 검찰, 법원 등 사법부를 민주화하여 시민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권리를 보장한다.
6경제신자유주의자본주의를 극복하고 경제 활동 전 영역에 민주주의와 공공성을 확대하여 생태적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새로운 경제 체제로 전환한다.
7복지보편적 복지, 생애 복지, 사회복지, 국민 참여에 의한 하향식 복지를 원칙으로 사회 복지를 확대하여 교육, 의료, 주거 등을 기본권으로 보장한다.
8교육학력 사회를 타파하고 입시 지옥으로부터 한국 사회를 해방시키며, 유아기부터 대학교육, 성인 교육까지 공교육을 확대하고, 경쟁 대신 자아 실현과 발전, 사회적 연대를 위한 교육을 실현한다.
9노동노동 기본권을 보장하고, 노동자 간 차별을 철폐하며, 노동자가 스스로 노동을 선택하고 통제하여 건강한 삶과 자기 계발을 위한 노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10농업소농과 가족농 중심의 생태 농업을 복원하고, 도시와 농촌, 노동자와 농민의 연대를 통해 농업과 농촌을 재생시켜 생존과 새로운 사회의 기반으로 삼는다.
11환경토건 국가를 해체하고, 기후 변화와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는 녹색 전환을 정치, 경제, 사회 전 영역에서 실현하며, 원자력 발전과 핵무기를 폐기한다.
12여성성별에 따른 위계와 분업을 타파하고, 여성의 신체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보장하며, 여성주의적 가치와 관점을 구현한다.
13성소수자성소수자에 대한 비합리적이고 반인권적인 차별을 철폐하고, 다양한 성적 지향과 성 정체성을 존중하며, 자유롭게 가족을 구성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한다.
14이주민이주 노동자, 결혼 이주 여성, 난민 등 다양한 이주민들에게 모든 권리를 원주민과 동등하게 보장한다.
15장애인장애인에 대한 모든 차별을 철폐하고, 다양한 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동등한 일상생활과 완전한 참여 권리가 보장되도록 한다.
16연령/세대연령과 세대에 따른 차별과 불평등을 해소하고, 아동과 청소년의 정치적·사회적 권리, 청년의 자기 실현 권리, 노인의 안락한 노후 생활 권리를 보장한다.
17문화근로 시간 단축을 통한 자율 시간 확대, 문화 시설과 자산의 공공성을 확보하여 시민이 주체적으로 자유롭고 풍요로운 창조적 활동을 향유하도록 한다.
18언론자본과 권력의 지배에 맞서 언론의 공공성을 지키면서, 보편적 접근권과 표현의 자유 보장을 통해 언론을 대중의 일상 활동의 일부로 되돌리고, 지식 네트워크 사회의 진보적 가능성을 실현한다.
19과학 기술과학 기술 개발에 대중이 참여하고 이를 사회적으로 통제하며, 지식 재산권을 사회화하여 과학 기술과 지식이 자본이나 권력의 것이 아니라 국민의 자산이 되도록 한다.


3. 1. 이념

노동당은 민중민주(PD)파, 즉 비국가주의 좌파 성향의 정당으로, 민중민주(PD)파가 이끌고 있다. 노동당은 공식적으로 "확실한 좌파 정치", "환경주의", 그리고 "민주사회주의"를 지지한다.[2] 사회주의혁명노동자당을 흡수하기 전까지는 중도좌파적 사회민주주의 성격을 보이기도 했다.[3] 주요 노동당 정치인들은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진보당에서 주로 나타나는 "자유주의 정치"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진정한 진보주의는 오직 사회주의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노동당은 대한민국 정치를 지배해 온 '좌파 자유주의 정치'와 '보수주의 정치'를 넘어서는 "사회주의 정치"의 실현을 구상한다.[4]

노동당의 주요 정치인인 이갑용(이갑용|李甲用한국어)은 진보당과 정의당이 진정으로 "진보적"이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대한민국 정치적 맥락에서 극좌로 분류되는 진보당은 사회주의를 "포기"했다. (그러나 진보당과 달리 노동당은 북한에 대한 비판적 경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극좌로 분류되지 않는다.)[5]

2013년 6월에 채택된 강령에서는 당의 이념을 “생태주의, 여성주의, 평화주의, 소수자 운동과 결합된 사회주의”로 하고, “철저한 민주주의 원칙에 따라 생산수단을 사회적으로 소유·운영하는 새로운 사회를 건설한다”는 것을 내걸고 있다.

3. 2. 강령 (노동당 선언)

2013년 6월 23일 과천 당대회에서 재창당 이후 새롭게 변신할 당의 새 강령을 마련했다. 새 강령은 전문(前文)에 해당하는 4개 부분과 19개 조항의 '노동당의 길'로 이루어져 있다. 전문은 당의 존속 이유와 그 당위성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또한 '자본주의 극복'을 당의 궁극 목표로 하며, '사회주의, 여성주의, 생태주의, 평화주의'를 명시하여 당의 이념을 정식화했다. 구 민주노동당 강령, 구 사회당 강령, 구 진보신당 강령을 부속문서로 채택하여 기존 진보정당에 대한 단절보다는 계승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이들을 '1기 진보정당 운동'으로 규정하며, 이 시기가 '자유주의 정당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지 못한 진보정당 주역들의 오류와 한계로 일단락되었음'을 선언하고 있다.[4]

'노동당의 길'은 전문에서 밝힌 '위기의 시대를 넘어설 사회주의 대전환'을 위한 노동당의 구체적 활동 방향을 19개 조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진보신당과 사회당 통합 이후, 재창당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에 2013년 정기당대회를 앞두고 '2013당대회준비위원회'를 설치, 정기당대회 실무를 준비하는 한편으로 당대회준비위원회 1차 회의에서 산하에 강령위원회, 당헌당규위원회, 장기성장전략위원회를 설치하기로 결의했다. 당대회준비위원 중 장석준을 위원장으로 김현우, 박은지가 강령위원회에 배정되어 강령 초안 작성과 당대회 상정안을 마련하였다.

당초 강령안 작성 당시에는 당명 변경을 염두에 두고 'OO당 선언'이라는 이름을 붙였으나, 과천 당대회에서 당명 결정의 건이 부결됨에 따라 한동안 '진보신당 선언'으로 존재하였다. 2013년 7월 21일 관악 임시당대회에서 당명이 '노동당'으로 확정됨에 따라 강령 명칭 역시 '노동당 선언'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 6월에 채택된 강령에서는 당의 이념을 “생태주의, 여성주의, 평화주의, 소수자 운동과 결합된 사회주의”로 하고, “철저한 민주주의 원칙에 따라 생산수단을 사회적으로 소유·운영하는 새로운 사회를 건설한다”는 것을 내걸고 있다.

3. 3. 주요 정책 (노동당의 길)

노동당은 당 강령에서 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넘어 실질적인 민주화를 추구하며, 지역 사회와 노동 현장에서 연대와 협동을 통한 대안적 정치 공동체를 지향한다고 밝히고 있다.[2] 정부 구조와 기능을 평등, 생태, 평화 공화국 방향으로 재편하고, 국가 관료 기구를 국민의 민주적 통제 아래 두는 것을 목표로 한다.[3]

남북한 국민의 삶을 개선하고, 남한과 북한 체제를 모두 극복하는 진보적인 통일을 추구하며, 이를 위해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체제 구축을 우선 목표로 한다.[4] 호전적이고 민족주의적이며 국수주의적인 국가주의에 반대하고, 미국 등 강대국 중심의 국제 질서를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녹색 평화 외교를 통해 모든 인류가 공존하는 평화 협력의 국제 연대를 실현하고자 한다.[5]

반인권 악법과 억압적인 국가 기구를 폐지하고, 경찰, 검찰, 법원 등 사법부를 민주화하여 모든 시민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고자 한다. 신자유주의자본주의를 극복하고, 경제 활동 전반에 다수 대중의 민주주의와 공공성을 확대하여 생태적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새로운 자본주의 경제 체제로 전환을 추구한다.

보편적 복지, 생애 복지, 사회복지, 국민 참여에 의한 하향식 복지를 원칙으로 사회 복지를 확대하고, 모든 시민에게 교육, 의료, 주거 등을 기본권으로 보장하고자 한다. 학력 사회를 타파하고 입시 지옥으로부터 한국 사회를 해방시키며, 유아기부터 대학교육, 나아가 성인 교육까지 공교육을 확대하고, 경쟁 대신 자아 실현과 발전, 사회적 연대를 위한 교육을 실현하고자 한다.

노동 기본권을 완전히 보장하고, 노동자 간 모든 차별을 철폐하며, 노동자가 스스로 자신의 노동을 선택하고 통제하여 건강한 삶과 자기 계발을 위한 노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소농과 가족농 중심의 생태 농업을 복원하고, 도시와 농촌, 노동자와 농민의 연대를 통해 농업과 농촌을 재생시켜 우리 생존과 새로운 사회의 주요 기반으로 삼고자 한다.

토건 국가를 해체하고, 기후 변화와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는 녹색 전환을 정치, 경제, 사회 전 영역에서 실현하며, 인류 생존을 위협하는 모든 원자력 발전과 핵무기를 폐기하고자 한다. 성별에 따른 위계와 분업을 타파하고, 여성의 신체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보장하며, 정치와 사회 모든 영역에서 여성주의적 가치와 관점을 구현하고자 한다.

성소수자에 대한 비합리적이고 반인권적인 차별을 철폐하고, 다양한 성적 지향과 성 정체성을 존중하며, 누구든 자유롭게 가족을 구성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진보적 가치를 실현한다. 이주 노동자, 결혼 이주 여성, 난민 등 다양한 이주민들에게 모든 권리를 원주민과 동등하게 보장하는 사회를 추구한다.

장애인에 대한 모든 차별을 철폐하고, 다양한 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동등한 일상생활과 완전한 참여 권리가 보장되도록 실천한다. 연령과 세대에 따른 차별과 불평등을 해소하고, 특히 아동과 청소년의 정치적·사회적 권리, 청년의 자기 실현 권리, 노인의 안락한 노후 생활 권리를 보장한다.

근로 시간 단축을 통한 자율 시간 확대, 문화 시설과 자산의 공공성을 확보하여 모든 시민이 주체적으로 자유롭고 풍요로운 창조적 활동을 향유하도록 한다. 문화 예술인의 창작권과 생존권, 노동권을 보장하는 문화 민주 사회로 나아가고자 한다. 자본과 권력의 지배에 맞서 언론의 공공성을 지키면서, 보편적 접근권과 표현의 자유 보장을 통해 언론을 대중의 일상 활동의 일부로 되돌리고, 지식 네트워크 사회의 진보적 가능성을 실현하고자 한다.

과학 기술 개발에 대중이 참여하고 이를 사회적으로 통제하며, 지식 재산권을 사회화하여 과학 기술과 지식이 자본이나 권력의 것이 아니라 국민의 자산이 되도록 민주화하고 공유한다.

4. 조직

2013년 2월, 녹색사회주의를 당의 핵심 노선으로 내세운 이용길이 새로운 대표로 선출되었다.[50] 2015년 1월 30일 당 대표 선거에서는 정의당과의 합류를 통한 진보세력 결집을 공약으로 내건 나경채가 대표로 선출되었다.[56] 그러나 진보세력 결집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컸고, 관련 당원 총투표 안건은 6월 28일 정기당대회에서 부결되었다.[57] 9월 18일, 구경현이 당원 투표에서 과반수 득표로 당선되어 당 재건을 도모하게 되었다.[59] 2016년 10월 당 대표단 선거에서는 이갑영이 새 대표로 선출되었다.[61]

5. 역대 지도부

6. 주요 선거 기록

대표2008년 4월 9일제18대 총선0002.94%진보신당으로 참여.2012년 4월 11일제19대 총선0001.13%진보신당으로 참여.2016년 4월 13일제20대 총선0000.38%



지방선거
선거날짜광역
단체장
기초
단체장
광역의회기초의회비고
합계지역구비례대표득표율합계지역구비례대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6월 2일003303.1%22220진보신당으로 참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년 6월 4일001101.17%660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6월 13일00000-000



노동당은 총선과 지방선거에서 여러 차례 후보를 냈지만, 국회의원 당선에는 실패했다. 2010년 제5회 지방 선거에서는 진보신당 시절 민주당 중심의 야당연합에 참여했다가 수도권 후보 조정 갈등[23]을 계기로 탈퇴하여 독자적으로 선거를 치렀다.

6. 1. 대통령 선거

사회변혁노동자당노동당 및 사회주의 좌파 성향 시민단체들은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공동 경선을 치르기로 하고 "한국사회 체제전환을 위한 사회주의 좌파 공동투쟁본부"를 설립했다. 경선에서는 사회변혁노동자당이백윤이 단일 후보로 선출되었다. 이후 법외 정당인 사회변혁노동자당은 노동당과 합치기로 하고 구성원들이 노동당에 입당하여 2022년 2월 노동당 통합 전당대회에서 이백윤을 노동당의 후보로 추대하고, 당명은 당분간 노동당을 유지하기로 하였다. 사회변혁노동자당 이종회 대표도 노동당 공동대표가 되었다. 당명은 2022년 6월 이후 새로 변경할 예정이었으나 하지 않았다. 2023년 당대표가 이백윤으로 바뀌었다.

선거후보득표수%결과
2022이백윤9,1760.03낙선


6. 2. 국회의원 선거

총선
선거대표지역구비례대표의석 수순위현황
득표수%의석 수변동득표수%의석 수변동총계변동
2016년구교현46,9490.20신규91,7050.390신규0신규11위원외정당
2020년현린15,7520.050동일34,2720.120동일0동일19위원외정당
2024년나도원7,4650.030동일25,9370.090동일0동일19위원외정당


6. 3. 지방 선거

지방선거 결과
선거날짜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광역의회기초의회비고
합계지역구비례대표득표율합계지역구비례대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6월 2일003303.1%22220진보신당으로 참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년 6월 4일001101.17%660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6월 13일00000-000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6월 1일00000-000



2010년 제5회 지방 선거에서 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야당은 시민운동 단체와 협력하여 한나라당(자유한국당)에 승리하기 위해 선거 연합을 결성했다. 초기에 진보신당도 선거 연합에 참여했으나, 수도권에서의 후보 조정을 둘러싼 갈등[23]을 계기로 연합을 탈퇴하고 독자적으로 선거전을 치르게 되었다.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는 당 대표인 노회찬(서울시장 후보)과 심상정(경기도지사 후보) 등 9명[24]이 출마했지만, 심상정 경기도지사 후보는 야당 진영의 후보 단일화를 목적으로 출마를 사퇴했다[25]. 선거 결과, 광역의회 선거에서 3명, 기초의회 선거에서 22명이 당선되었지만, 야당 연합에 대한 대응 등에서 일관성을 잃은 선거 운동을 펼치는 등 혼란이 나타났고, 당원들 사이에서는 지도부에 대한 반발이 거세졌다[26].

7. 평가 및 비판

노동당은 민중민주(PD)파, 즉 비국가주의 좌파 성향의 정당으로, 민중민주(PD)파가 이끌고 있다. 노동당은 공식적으로 "확실한 좌파 정치", "환경주의", 그리고 "민주사회주의"를 지지한다.[2] 사회주의혁명노동자당을 흡수하기 전까지는 중도좌파적 사회민주주의 성격을 보이기도 했다.[3] 주요 노동당 정치인들은 "자유주의 정치"(주로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진보당에서 나타남)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진정한 진보주의는 오직 사회주의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노동당은 대한민국 정치를 지배해 온 '좌파 자유주의 정치'와 '보수주의 정치'를 넘어서는 "사회주의 정치"의 실현을 구상한다.[4]

노동당의 주요 정치인인 이갑용(이갑용|李甲用한국어)은 진보당과 정의당이 진정으로 "진보적"이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대한민국 정치적 맥락에서 극좌로 분류되는 진보당은 사회주의를 "포기"했다. (그러나 진보당과 달리 노동당은 북한에 대한 비판적 경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극좌로 분류되지 않는다.)[5]

8. 대일 관계

노동당 대표 홍세화일본한국 양국의 민족주의를 비판했다. 그는 민족주의가 철저히 자본가들을 위한 이념이라고 생각한다. 일본의 "전범 기업"에 강제 동원된 조선 노동자의 인권을 논하기 전에, 한국인 노동자의 인권부터 이야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62]

참조

[1] 웹사이트 '노동당·사회변혁노동자당' 통합정당 2월5일 출범 https://www.labortod[...] 2022-01-18
[2] 웹사이트 노동당 강령 http://www.laborpart[...] 2017-08-27
[3] 서적 진보주의 정치철학, 수운 최제우, 안토니오 그람시 https://books.google[...] e퍼플 2019-01-11
[4] 뉴스 노동당 이향희 "보수·자유주의 정치, 싹 다 갈아엎겠다" http://www.newscham.[...] 2021-04-09
[5] 뉴스 "준비된 사회주의 후보, 공약만으로 충분한 지지 얻을 수 있다" http://www.newscham.[...] 2021-09-11
[6] 웹사이트 2012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12年度政党の活動概況と会計報告) http://nec.go.kr/por[...] 中央選挙管理委員会 2013-10-01
[7]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Criminology https://books.google[...]
[8] 웹사이트 노동당 강령 http://www.laborpart[...] 2017-08-27
[9] 뉴스 종북 좌파는 진보 아니다.(従北左派は革新ではない。)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2-05-18
[10] 뉴스 ‘반북 좌파’의 커밍아웃을 환영한다.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0-11-02
[11] 웹사이트 노동당 강령 http://www.laborpart[...] 2017-08-27
[12] 뉴스 惨敗の権永吉候補「国民の判断謙虚に受け入れる」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7-12-19
[13] 뉴스 シム・サンジョン非常対策委総辞職 http://www.labornetj[...] 2008-02-04
[14] 뉴스 民主労働党の分裂が加速、金恵敬元代表らが離党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8-02-15
[15] 뉴스 民主労働党離党予定の2議員、進歩政党旗揚げへ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8-02-21
[16] 뉴스 シム・サンジョン-ノ・フェチャン、進歩新党推進討論会を開催 http://www.labornetj[...] 2008-02-24
[17] 뉴스 進歩新党結成へ発起人大会・準備委結成大会を開催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8-03-03
[18] 뉴스 進歩新党公式に創党 http://www.labornetj[...] 2008-03-22
[19] 기타
[20] 뉴스 進歩新党ノ・フェチャン単独代表で新出発 http://www.labornetj[...] 2009-03-29
[21] 뉴스 再選・補欠選挙に「無所属」突風、与党は完敗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9-04-30
[22] 기타
[23] 뉴스 야4당 수도권 경쟁방식 합의 진보신당 ‘논의 불가’ 반발 http://www.hani.co.k[...] 2010-03-15
[24] 웹사이트 시·도지사선거 정당별 후보자수 http://info.nec.go.k[...]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5] 뉴스 〔경기지사〕‘심상정 사퇴 결단’ 막판 표심 흔들까 촉각 http://www.hani.co.k[...] 2010-05-30
[26] 뉴스 민주노동당, 진보신당...격랑 속으로 http://www.newscham.[...] 2010-06-03
[27] 웹사이트 제3기 당대표단 선거 당선자 공고 http://www.newjinbo.[...]
[28] 뉴스 ‘북 문제’ 진보신당 양보 http://www.hani.co.k[...] 2011-06-01
[29] 뉴스 진보대통합 사회당 빼고 합의, 직권조인 내홍 예고 http://www.newscham.[...] 2011-06-01
[30] 뉴스 북한 문제에 발목 잡힌 협상, 패권극복은 어디로 http://www.newscham.[...] 2011-06-02
[31] 뉴스 진보신당, 민노당과 신설합당 결정 8월로 미뤄 http://www.newscham.[...] 2011-06-27
[32] 뉴스 민노-진보, 새달 25일 ‘통합정당 창당’ 합의 http://www.hani.co.k[...] 2011-08-28
[33] 뉴스 민노당-진보신당 통합 끝내 무산 http://www.hani.co.k[...] 2011-09-04
[34] 뉴스 진보신당 조승수 대표직 사퇴, “진보대통합 무산 책임” http://www.newscham.[...] 2011-09-05
[35] 뉴스 노회찬·심상정·조승수 새 조직 만들어 3지대로 http://www.newscham.[...] 2011-09-06
[36] 뉴스 韓国:進歩新党権限代行、盧沈趙に統合連帯の解体を要求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1-09-15
[37] 웹사이트 [브리핑] 진보신당 김은주 대표 권한대행-사회당 안효상 대표 회담 결과([ブリーフィング]進歩新党キム・ウンジュ代表権限代行-社会党アンヒョサン代表会談結果) http://www.newjinbo.[...] 2011-09-22
[38] 뉴스 노회찬·심상정, 진보신당 탈당 “진보대통합 불씨 되살리겠다”(魯会燦・沈相奵、進歩新党脱党“進歩大統合の火種蘇らせる”)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11-09-23
[39] 뉴스 조승수 탈당, “진보신당서 할 수 있는 일 없다”(趙承洙脱党“進歩新党では何もできない”) http://www.newscham.[...] 民衆言論チャムセサン 2011-10-06
[40] 뉴스 진보신당 신임대표에 홍세화(進歩新党新任代表に洪世和)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1-11-26
[41] 뉴스 社会党、進歩新党と先合党に重心を置き足早な動き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2-01-08
[42] 뉴스 社会党と進歩新党、吸収党統合の形式での統合に合意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2-02-22
[43] 뉴스 進歩新党-社会党が3月4日に合党大会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2-02-22
[44] 뉴스 社会党+進歩新党統合、「看板ではなく人生を変える」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2-03-06
[45] 뉴스 進歩新党の政党支持率1.11%...政党法により解散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2-04-14
[46] 뉴스 進歩新党解散、『創党準備委員会』で『第2の創党』に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2-04-14
[47] 뉴스 진보신당연대회의 정식 재창당(進歩新党連帯会議、正式に再創党) http://www.redian.or[...] レディアン 2012-10-28
[48] 뉴스 洪世和、キム・ソヨン選対委員長に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2-11-26
[49] 뉴스 이정희·김소연·김순자 후보등록 심상정 등록않고 ‘문 연대’ 가능성(李正姫・金ソヨン・金スンジャ候補登録 沈サンジョン登録せず‘文連帯’可能性)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本国版) 2012-11-27
[50] 뉴스 進歩新党、緑色社会主義を掲げるイ・ヨンギルが当選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3-02-05
[51] 뉴스 進歩新党、進歩政治再建のために結集を呼び掛け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3-04-07
[52] 뉴스 進歩新党、社会主義綱領だけ通過..党名はすべて否決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3-06-25
[53] 뉴스 진보신당, 노동당으로 개명…재창당 마무리(進歩新党、労働党へ改名・・・再創党幕引き) http://www.newsis.co[...] ニュースイズ 2013-07-22
[54] 뉴스 進歩正義党は「正義党」、進歩新党は「労働党」…各自の道へ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3-07-23
[55] 뉴스 '진보정당 전국 유일' 광역 당선자의 승리 비결(‘進歩政党全国唯一’広域当選者の勝利の秘訣)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5-01-29
[56] 뉴스 労働党党代表ナ・ギョンチェ候補が当選...国民の会に弾み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5-02-01
[57] 뉴스 韓国:労働党、正義党-国民の会との統合推進の中断を決定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5-07-06
[58] 뉴스 韓国:ナ・ギョンチェ労働党代表が辞任、「総選挙に責任持てない」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5-07-06
[59] 뉴스 30대 구교현 노동당 새 대표로 당선 “당 활력 되찾고 노동당의 길 가겠다”...사회운동적 정당 고민(30代のク・ギョヒョン労働党新代表に当選”"党活力取り戻す、労働党の道行く"…社会運動的政党悩み”) http://www.newscham.[...] 民衆言論チャムセサン 2017-02-26
[60]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中央選挙管理委員会 選挙統計システム) http://info.nec.go.k[...] 2017-02-26
[61] 웹사이트 8기 당대표단선거 투표결과(8期党代表団選挙投票結果) http://www.laborpart[...] 労働党 2017-02-26
[62] 칼럼 관제 민족주의의 함정(官制民族主義の落とし穴) http://www.hani.co.k[...] 한겨레
[63] 뉴스 保守団体の会員が進歩新党党舎に乱入..チン・ジュングォン教授に暴行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08-07-02
[64] 뉴스 洪世和、進歩新党の常任代表職を辞任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2-10-31
[65] 뉴스 進歩新党、11月1日に大統領選挙対応方針で手順 http://www.labornetj[...] レイバーネット 2012-10-31
[66] 웹사이트 全国民主労働組合総連盟 - 613地方選挙民主労総と進歩制、政党の地方選挙の共同要求案と民主労総候補、支持候補発表の記者会見 http://nodong.org/st[...]
[67] 웹사이트 노동당 당헌/강령/당규 http://www.laborpart[...]
[68] 웹사이트 http://www.idomin.co[...]
[69] 뉴스 노동당, '청와대 무단점거' 박前대통령 고발 https://news.naver.c[...] 2017-03-11
[70] 웹사이트 http://www.newscham.[...]
[71] 웹인용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공고 - 공지 - laborparty.kr http://www.laborpart[...] 2016-09-02
[7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laborpart[...] 2016-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