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국립공원은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보호하고 국민의 여가 활동을 위해 지정된 공원이다. 1967년 지리산이 최초로 지정된 이후, 산악형, 해양·해안형, 역사형 등 다양한 유형의 국립공원이 조성되었다. 초기에는 입장료가 무료였으나 1974년부터 유료화되었고, 현재는 경주국립공원만 무료로 운영된다. 정부는 자연환경 보호를 위해 관광객 수와 활동을 제한하고 있으며, 예약 시스템과 자연 휴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 팔공산국립공원 지정으로 총 23개의 국립공원이 있으며, 면적은 6,779.982km²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립공원 목록 - 베트남의 국립공원
    베트남의 국립공원은 호앙리엔부터 푸끄옥까지 다양한 생태계를 보전하는 보호 구역으로, 희귀 동식물의 서식지이자 베트남 생물 다양성 보전에 기여한다.
  • 국립공원 목록 - 일본의 국립공원
    일본의 국립공원은 자연공원법에 따라 일본의 뛰어난 자연 경관과 생태계를 보호하고 국민의 휴양 및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목적으로 지정된 공원들을 의미하며, 1934년에 최초 지정된 이후 현재 34개의 공원이 있다.
  •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 치악산
    치악산은 강원도 원주시, 횡성군, 영월군에 걸쳐 있는 해발 1,288m의 비로봉을 주봉으로 하는 산으로, '은혜 갚은 꿩' 설화와 관련된 명칭, 비로봉 정상의 돌탑, 다양한 등산로, 총 길이 139.2km의 둘레길, 그리고 약 20억 년 전에 퇴적된 치악산 편마암 분포가 특징이다.
  •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 북한산
    북한산은 서울 북쪽에 위치하며 1983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산으로, 백운대를 비롯한 봉우리와 계곡, 북한산성 등의 유적을 포함하며 수도권 시민들에게 녹지 공간을 제공한다.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지도
대한민국 국립공원 (스물한 곳)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스물두 곳). 육상 공원은 빨간색, 해양 공원은 파란색으로 표시됨.
기본 정보
이름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설립일1967년 12월 29일
면적6888 (국토 면적의 6.8%, 해상 면적 포함)
유형산악형 (18개), 해상·해안형 (4개), 사적형 (1개)
조직
상급 기관국립공원공단
웹사이트국립공원공단 공식 웹사이트
국립공원 목록
북한산국립공원서울특별시, 경기도
변산반도국립공원전라북도
치악산국립공원강원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전라남도
덕유산국립공원전라북도, 경상남도
가야산국립공원경상남도, 경상북도
경주국립공원경상북도
계룡산국립공원충청남도,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한라산국립공원제주특별자치도
한려해상국립공원경상남도, 전라남도
지리산국립공원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주왕산국립공원경상북도
내장산국립공원전라북도
오대산국립공원강원도
설악산국립공원강원도
소백산국립공원경상북도, 충청북도
속리산국립공원충청북도, 경상북도
태안해안국립공원충청남도
월출산국립공원전라남도
무등산국립공원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월악산국립공원충청북도
태백산국립공원강원도
팔공산국립공원대구광역시, 경상북도

2. 역사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제도는 1967년 지리산이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대부분 무료였으나 1974년 유료화 정책이 시행된 이후 현재는 경주를 제외한 모든 국립공원이 유료로 운영되고 있다.[3][4]


2. 1. 제도 도입 초기 (1967년 ~ 1980년대)

초기에는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입장이 무료였으나, 1974년부터 대부분의 국립공원에서 유료 입장 정책으로 전환되었다. 현재는 경주국립공원만이 무료로 운영되고 있다.[3][4] 1993년에는 국립공원 입장료 수입이 공원 전체 수입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컸다.[3][4]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자연 환경 보호를 위해 여러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관광객 수와 활동을 제한하고, 예약 시스템을 통해 방문객 수를 통제한다.[3][4] 피크닉과 캠핑은 지정된 장소에서만 허용되며, 야간 등산은 엄격하게 금지된다.[3][4] 또한, 자연 휴식 프로그램(자연 휴식제)을 통해 훼손을 방지하고 있다.[3][4]

1967년 ~ 1980년대 지정된 국립공원
이름사진위치지정 연도면적유형
지리산175px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1967년472km2산악형
경주175px경상북도1968년137km2역사형
계룡산175px충청남도, 대전광역시1968년65km2산악형
한려해상175px전라남도, 경상남도1968년545km2해양·해안형
설악산175px강원도1970년398km2산악형
속리산175px충청북도, 경상북도1970년274km2산악형
한라산175px제주특별자치도1970년153km2산악형
내장산175px전라남도, 전라북도1971년81km2산악형
가야산175px경상남도, 경상북도1972년77km2산악형
덕유산175px전라북도, 경상남도1975년232km2산악형
오대산175px강원도1975년304km2산악형
주왕산175px경상북도1976년107km2산악형
태안해안175px충청남도1978년326km2해양·해안형
다도해해상175px전라남도1981년2325km2해양·해안형
북한산175px서울특별시, 경기도1983년80km2산악형
치악산175px강원도1984년182km2산악형
월악산175px충청북도, 경상북도1984년288km2산악형
소백산175px충청북도, 경상북도1987년322km2산악형
변산반도175px전라북도1988년155km2해양·해안형
월출산175px전라남도1988년56km2산악형


2. 2. 국립공원 관리 체계 강화 (1980년대 ~ 현재)

초기에는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입장이 무료였으나, 1974년부터 대부분의 국립공원에서 유료 입장 정책으로 전환되었다. 현재는 경주국립공원만이 무료로 운영되고 있다.[3][4] 1993년에는 국립공원 입장료 수입이 공원 전체 수입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컸다.

해마다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한국 정부는 국립공원의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관광객 수와 활동을 제한하고, 예약 시스템을 통해 방문객 수를 통제한다.[3][4] 또한, 피크닉과 캠핑은 지정된 장소에서만 허용되며, 야간 등산은 엄격히 금지된다.[3][4]

이와 더불어, 대한민국은 국립공원 내 보존 가치가 높은 지역에 대해서는 자연 휴식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인위적인 훼손을 방지하고 있다.[3][4]

2. 3. 더불어민주당 정부의 국립공원 정책 (참여정부, 문재인 정부)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입장료는 초기에는 무료였으나, 1974년부터 대부분 유료로 전환되었다. 1993년 입장료 수입은 국립공원 총 수입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했다.[3] 그러나 해마다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정부는 자연 환경 보호를 위해 관광객 수와 활동을 제한하고 예약 시스템을 도입했다.[3][4] 피크닉과 캠핑은 지정된 장소에서만 가능하며, 야간 등산은 엄격히 금지된다.[3] 또한, 자연 휴식 프로그램도 시행하여 훼손을 방지하고 있다.[3][4]

참여정부(2003년~2008년)와 문재인 정부(2017년~2022년) 시기에는 다음과 같은 국립공원이 지정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정부 시기 지정된 국립공원
국립공원명지정일위치면적유형
무등산2012년광주광역시, 전라남도75km2산악형
태백산2016년강원도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경상북도 봉화군70km2산악형
팔공산2023년대구광역시, 경상북도126km2산악형


3. 유형별 국립공원

대한민국의 국립공원은 대부분 개발이 금지된 국유지의 보호 구역으로, 국토 면적의 총 6.6%를 차지하며, 일반적으로 산악 지대 또는 해안 지역에 위치한다. 국내 최대의 산악공원은 지리산국립공원이며, 1967년에 지정된 최초의 국립공원이기도 하다. 최대의 해양공원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이며, 면적은 2200km2가 넘지만 그 대부분이 해상이다.[6] 최소의 국립공원은 월출산국립공원으로, 면적은 56.1km2에 불과하다.[6]

2023년 현재, 대한민국에는 23개의 국립공원이 있다. 한라산국립공원을 제외한 모든 국립공원은 1987년에 설립된 국립공원공단에 의해 관리된다.[7] 공단은 자체 경찰을 보유하고 있으며, 1998년 이후 환경부의 관할 하에 있다.

3. 1. 산악형 국립공원

대한민국의 국립공원은 대부분 개발이 금지된 국유지의 보호 구역이다. 국립공원은 국토 면적의 총 6.6%를 차지하며, 일반적으로 산악 지대 또는 해안 지역에 위치한다. 국내 최대의 산악공원은 남서부의 지리산국립공원이며, 이곳은 1967년에 지정된 최초의 국립공원이기도 하다.

3. 2. 해양·해안형 국립공원

대한민국의 국립공원은 대부분 산악 지대 또는 해안 지역에 위치한다. 최대 해양공원은 2200km2가 넘는 면적을 가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이지만, 그 대부분이 해상이다.[6]

4. 목록

(km2)비고지리산전북 남원시,
전남 구례군,
경남 함양군, 산청군, 하동군1967년 12월 29일471.625km2경주경북 경주시1968년 12월 31일137.091km2계룡산충남 공주시, 계룡시,
대전 유성구1968년 12월 31일64.602km2한려해상전남 여수시,
경남 거제시, 남해군, 사천시, 통영시, 하동군1968년 12월 31일544.958km2육지: 149.471km2
해면: 395.487km2설악산강원 속초시, 고성군, 양양군, 인제군1970년 3월 24일398.222km2속리산충북 괴산군, 보은군,
경북 상주시1970년 3월 24일274.449km2한라산제주 제주시, 서귀포시1970년 3월 24일153.112km2제주특별자치도 직속 관할내장산전북 정읍시, 순창군1971년 11월 17일81.452km2가야산경북 성주군
경남 거창군, 합천군1972년 10월 13일77.063km2덕유산전북 무주군, 장수군
경남 거창군, 함양군1975년 2월 1일231.649km2오대산강원 강릉시, 평창군, 홍천군1975년 2월 1일303.546km2주왕산경북 영덕군, 청송군1976년 3월 30일107.273km2태안해안충남 태안군1978년 10월 20일326.329km2육지: 37.014km2
해면: 289.315km2다도해해상전남 고흥군, 신안군, 여수시, 완도군, 진도군1981년 12월 23일2325.236km2육지: 334.795km2
해면: 1990.441km2북한산서울 강북구, 도봉구, 성북구, 은평구, 종로구,
경기 고양시 덕양구, 양주시, 의정부시1983년 4월 2일76.922km2치악산강원 원주시, 횡성군1984년 12월 31일181.572km2월악산충북 제천시, 충주시,
경북 문경시1984년 12월 31일287.777km2소백산충북 단양군,
경북 영주시1987년 12월 14일322.051km2변산반도전북 부안군1988년 6월 11일154.65km2육지: 145.383km2
해면: 9.267km2월출산전남 강진군, 영암군1988년 6월 11일56.053km2무등산광주 동구, 북구,
전남 담양군, 화순군2013년 3월 4일75.425km2태백산강원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경북 봉화군2016년 8월 22일70.052km2팔공산대구광역시 동구군위군,
경상북도 경산시영천시 그리고 칠곡군2023년 12월 31일126.058km2합계6779.982km2육지: 4095.472km2
해면: 2684.51km2



시·도명국립공원 유무존재하는 국립공원
서울특별시--북한산
부산광역시--없음
대구광역시--팔공산
인천광역시--없음
광주광역시--무등산
대전광역시--계룡산
울산광역시--없음
세종특별자치시--없음
경기도--북한산
강원특별자치도--설악산
오대산
치악산
태백산
충청북도--속리산
월악산
소백산
충청남도--계룡산
태안해안
전북특별자치도--지리산
내장산
덕유산
변산반도
전라남도--지리산
다도해해상
월출산
무등산
경상북도--경주
가야산
주왕산
월악산
소백산
태백산
팔공산
경상남도--지리산
한려해상
가야산
덕유산
다도해해상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


5. 관리

초기에는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입장이 무료였다. 1974년, 대한민국 국립공원 대부분은 무료 입장 정책을 폐지했다. 현재 경주국립공원만 무료이다.[3][4] 1993년, 한국 국립공원의 입장료 수입은 공원 총 수입의 65%를 차지했다. 해마다 관광객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 정부는 공원의 자연 환경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관광객 수와 활동을 제한하고, 예약 시스템을 통해 관광객 수를 통제하고 있다. 관광객들의 피크닉과 캠핑은 지정된 지역에서만 가능하며, 야간 등산은 엄격히 금지된다. 또한, 대한민국은 국립공원 내 보존 가치가 높은 일부 지역에 인위적인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자연 휴식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3][4]

2023년 현재, 대한민국에는 23개의 국립공원이 있다. 한라산국립공원을 제외한 모든 국립공원은 1987년에 설립된 국립공원공단에 의해 관리된다.[7] 공단은 자체 경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건설부의 관할 하에 있었지만 1998년 이후 환경부의 관할 하에 있다.

6. 보전 노력

초기에는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입장이 무료였으나, 1974년부터 대부분 유료화되었다. 현재는 경주국립공원만 무료로 운영되고 있다.[3] 1993년에는 국립공원 입장료 수입이 공원 총 수입의 65%를 차지할 정도였다.[3]

매년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한국 정부는 자연 환경 보호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정책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e-나라지표 국립공원현황 http://www.index.go.[...] Statistics Korea 2016-09-19
[2] 웹사이트 National Parks: About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http://english.knp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6-09-19
[3] 웹사이트 特别保护区指南 http://chinese.knps.[...] 国立公园管理公团 2015-07-29
[4] 논문 韩国国立公园概况 2002-02
[5] 웹사이트 About National Parks http://english.knp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0-09-18
[6] 웹사이트 月出山国立公園(Korea Trip Tips) http://www.koreatrip[...]
[7] 웹사이트 韓国国立公園公団のご紹介(国立公園公団) https://japanese.knp[...]
[8] 뉴스 八公山 23カ所目の国立公園に https://jp.yna.co.kr[...] 2023-05-23
[9] 웹인용 팔공산 이달 31일자 국립공원 승격, 도립공원 지정 후 43년 만 https://www.imaeil.c[...] 매일신문 2023-12-28
[10] 웹인용 우리나라 국립공원 https://www.knps.or.[...] 국립공원공단 2024-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