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국립공원은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보호하고 국민의 여가 활동을 위해 지정된 공원이다. 1967년 지리산이 최초로 지정된 이후, 산악형, 해양·해안형, 역사형 등 다양한 유형의 국립공원이 조성되었다. 초기에는 입장료가 무료였으나 1974년부터 유료화되었고, 현재는 경주국립공원만 무료로 운영된다. 정부는 자연환경 보호를 위해 관광객 수와 활동을 제한하고 있으며, 예약 시스템과 자연 휴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 팔공산국립공원 지정으로 총 23개의 국립공원이 있으며, 면적은 6,779.982km²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립공원 목록 - 베트남의 국립공원
베트남의 국립공원은 호앙리엔부터 푸끄옥까지 다양한 생태계를 보전하는 보호 구역으로, 희귀 동식물의 서식지이자 베트남 생물 다양성 보전에 기여한다. - 국립공원 목록 - 일본의 국립공원
일본의 국립공원은 자연공원법에 따라 일본의 뛰어난 자연 경관과 생태계를 보호하고 국민의 휴양 및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목적으로 지정된 공원들을 의미하며, 1934년에 최초 지정된 이후 현재 34개의 공원이 있다. -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 치악산
치악산은 강원도 원주시, 횡성군, 영월군에 걸쳐 있는 해발 1,288m의 비로봉을 주봉으로 하는 산으로, '은혜 갚은 꿩' 설화와 관련된 명칭, 비로봉 정상의 돌탑, 다양한 등산로, 총 길이 139.2km의 둘레길, 그리고 약 20억 년 전에 퇴적된 치악산 편마암 분포가 특징이다. -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 북한산
북한산은 서울 북쪽에 위치하며 1983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산으로, 백운대를 비롯한 봉우리와 계곡, 북한산성 등의 유적을 포함하며 수도권 시민들에게 녹지 공간을 제공한다.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
설립일 | 1967년 12월 29일 |
면적 | 6888 (국토 면적의 6.8%, 해상 면적 포함) |
유형 | 산악형 (18개), 해상·해안형 (4개), 사적형 (1개) |
조직 | |
상급 기관 | 국립공원공단 |
웹사이트 | 국립공원공단 공식 웹사이트 |
국립공원 목록 | |
북한산국립공원 | 서울특별시, 경기도 |
변산반도국립공원 | 전라북도 |
치악산국립공원 | 강원도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전라남도 |
덕유산국립공원 | 전라북도, 경상남도 |
가야산국립공원 | 경상남도, 경상북도 |
경주국립공원 | 경상북도 |
계룡산국립공원 |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특별자치도 |
한려해상국립공원 | 경상남도, 전라남도 |
지리산국립공원 |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
주왕산국립공원 | 경상북도 |
내장산국립공원 | 전라북도 |
오대산국립공원 | 강원도 |
설악산국립공원 | 강원도 |
소백산국립공원 | 경상북도, 충청북도 |
속리산국립공원 | 충청북도, 경상북도 |
태안해안국립공원 | 충청남도 |
월출산국립공원 | 전라남도 |
무등산국립공원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
월악산국립공원 | 충청북도 |
태백산국립공원 | 강원도 |
팔공산국립공원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
2. 역사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제도는 1967년 지리산이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대부분 무료였으나 1974년 유료화 정책이 시행된 이후 현재는 경주를 제외한 모든 국립공원이 유료로 운영되고 있다.[3][4]
시·도명 | 존재하는 국립공원 |
---|---|
서울특별시 | 북한산 |
대구광역시 | 팔공산 |
광주광역시 | 무등산 |
대전광역시 | 계룡산 |
경기도 | 북한산 |
강원특별자치도 | 설악산, 오대산, 치악산, 태백산 |
충청북도 | 속리산, 월악산, 소백산 |
충청남도 | 계룡산, 태안해안 |
전북특별자치도 | 지리산, 내장산, 덕유산, 변산반도 |
전라남도 | 지리산, 다도해해상, 월출산, 무등산 |
경상북도 | 경주, 가야산, 주왕산, 월악산, 소백산, 태백산, 팔공산 |
경상남도 | 지리산, 한려해상, 가야산, 덕유산, 다도해해상 |
제주특별자치도 | 한라산 |
2. 1. 제도 도입 초기 (1967년 ~ 1980년대)
초기에는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입장이 무료였으나, 1974년부터 대부분의 국립공원에서 유료 입장 정책으로 전환되었다. 현재는 경주국립공원만이 무료로 운영되고 있다.[3][4] 1993년에는 국립공원 입장료 수입이 공원 전체 수입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컸다.[3][4]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자연 환경 보호를 위해 여러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관광객 수와 활동을 제한하고, 예약 시스템을 통해 방문객 수를 통제한다.[3][4] 피크닉과 캠핑은 지정된 장소에서만 허용되며, 야간 등산은 엄격하게 금지된다.[3][4] 또한, 자연 휴식 프로그램(자연 휴식제)을 통해 훼손을 방지하고 있다.[3][4]
이름 | 사진 | 위치 | 지정 연도 | 면적 | 유형 |
---|---|---|---|---|---|
지리산 | 175px |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 1967년 | 472km2 | 산악형 |
경주 | 175px | 경상북도 | 1968년 | 137km2 | 역사형 |
계룡산 | 175px |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 1968년 | 65km2 | 산악형 |
한려해상 | 175px | 전라남도, 경상남도 | 1968년 | 545km2 | 해양·해안형 |
설악산 | 175px | 강원도 | 1970년 | 398km2 | 산악형 |
속리산 | 175px | 충청북도, 경상북도 | 1970년 | 274km2 | 산악형 |
한라산 | 175px | 제주특별자치도 | 1970년 | 153km2 | 산악형 |
내장산 | 175px | 전라남도, 전라북도 | 1971년 | 81km2 | 산악형 |
가야산 | 175px | 경상남도, 경상북도 | 1972년 | 77km2 | 산악형 |
덕유산 | 175px | 전라북도, 경상남도 | 1975년 | 232km2 | 산악형 |
오대산 | 175px | 강원도 | 1975년 | 304km2 | 산악형 |
주왕산 | 175px | 경상북도 | 1976년 | 107km2 | 산악형 |
태안해안 | 175px | 충청남도 | 1978년 | 326km2 | 해양·해안형 |
다도해해상 | 175px | 전라남도 | 1981년 | 2325km2 | 해양·해안형 |
북한산 | 175px | 서울특별시, 경기도 | 1983년 | 80km2 | 산악형 |
치악산 | 175px | 강원도 | 1984년 | 182km2 | 산악형 |
월악산 | 175px | 충청북도, 경상북도 | 1984년 | 288km2 | 산악형 |
소백산 | 175px | 충청북도, 경상북도 | 1987년 | 322km2 | 산악형 |
변산반도 | 175px | 전라북도 | 1988년 | 155km2 | 해양·해안형 |
월출산 | 175px | 전라남도 | 1988년 | 56km2 | 산악형 |
2. 2. 국립공원 관리 체계 강화 (1980년대 ~ 현재)
초기에는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입장이 무료였으나, 1974년부터 대부분의 국립공원에서 유료 입장 정책으로 전환되었다. 현재는 경주국립공원만이 무료로 운영되고 있다.[3][4] 1993년에는 국립공원 입장료 수입이 공원 전체 수입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컸다.해마다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한국 정부는 국립공원의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관광객 수와 활동을 제한하고, 예약 시스템을 통해 방문객 수를 통제한다.[3][4] 또한, 피크닉과 캠핑은 지정된 장소에서만 허용되며, 야간 등산은 엄격히 금지된다.[3][4]
이와 더불어, 대한민국은 국립공원 내 보존 가치가 높은 지역에 대해서는 자연 휴식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인위적인 훼손을 방지하고 있다.[3][4]
2. 3. 더불어민주당 정부의 국립공원 정책 (참여정부, 문재인 정부)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입장료는 초기에는 무료였으나, 1974년부터 대부분 유료로 전환되었다. 1993년 입장료 수입은 국립공원 총 수입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했다.[3] 그러나 해마다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정부는 자연 환경 보호를 위해 관광객 수와 활동을 제한하고 예약 시스템을 도입했다.[3][4] 피크닉과 캠핑은 지정된 장소에서만 가능하며, 야간 등산은 엄격히 금지된다.[3] 또한, 자연 휴식 프로그램도 시행하여 훼손을 방지하고 있다.[3][4]참여정부(2003년~2008년)와 문재인 정부(2017년~2022년) 시기에는 다음과 같은 국립공원이 지정되었다.
국립공원명 | 지정일 | 위치 | 면적 | 유형 |
---|---|---|---|---|
무등산 | 2012년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 75km2 | 산악형 |
태백산 | 2016년 | 강원도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경상북도 봉화군 | 70km2 | 산악형 |
팔공산 | 2023년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 126km2 | 산악형 |
대한민국의 국립공원은 대부분 개발이 금지된 국유지의 보호 구역으로, 국토 면적의 총 6.6%를 차지하며, 일반적으로 산악 지대 또는 해안 지역에 위치한다. 국내 최대의 산악공원은 지리산국립공원이며, 1967년에 지정된 최초의 국립공원이기도 하다. 최대의 해양공원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이며, 면적은 2200km2가 넘지만 그 대부분이 해상이다.[6] 최소의 국립공원은 월출산국립공원으로, 면적은 56.1km2에 불과하다.[6]
3. 유형별 국립공원
2023년 현재, 대한민국에는 23개의 국립공원이 있다. 한라산국립공원을 제외한 모든 국립공원은 1987년에 설립된 국립공원공단에 의해 관리된다.[7] 공단은 자체 경찰을 보유하고 있으며, 1998년 이후 환경부의 관할 하에 있다.
3. 1. 산악형 국립공원
대한민국의 국립공원은 대부분 개발이 금지된 국유지의 보호 구역이다. 국립공원은 국토 면적의 총 6.6%를 차지하며, 일반적으로 산악 지대 또는 해안 지역에 위치한다. 국내 최대의 산악공원은 남서부의 지리산국립공원이며, 이곳은 1967년에 지정된 최초의 국립공원이기도 하다.
3. 2. 해양·해안형 국립공원
대한민국의 국립공원은 대부분 산악 지대 또는 해안 지역에 위치한다. 최대 해양공원은 2200km2가 넘는 면적을 가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이지만, 그 대부분이 해상이다.[6]
4. 목록
(km2)
전남 구례군,
경남 함양군, 산청군, 하동군
대전 유성구
경남 거제시, 남해군, 사천시, 통영시, 하동군
해면: 395.487km2
경북 상주시
경남 거창군, 합천군
경남 거창군, 함양군
해면: 289.315km2
해면: 1990.441km2
경기 고양시 덕양구, 양주시, 의정부시
경북 문경시
경북 영주시
해면: 9.267km2
전남 담양군, 화순군
경북 봉화군
해면: 2684.51k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