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항공운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항공운공사는 1946년 플라잉 타이거즈의 사령관 클레어 셰놀트에 의해 설립된 민간 항공 운송 회사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지원을 받아, 중국 국민당 정부를 지원하고 국공 내전에 참여했다. 이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첩보 활동 및 비밀 군사 작전을 수행했으며, 1950년대부터는 타이베이를 거점으로 여객 서비스를 시작하여 대한민국, 일본, 필리핀, 태국 등으로 노선을 확장했다. 1968년 항공기 추락 사고와 경영난, 중화항공 우대 정책 등으로 인해 국제선 운항을 중단하고, 1975년 공식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5년 해체된 항공사 - 에어 베트남
에어 베트남은 1951년 바오다이 황제가 설립한 남베트남의 국책 항공사로, 국내선 운항을 시작하여 베트남 전쟁 중 노선을 확장했으나, 남북 베트남 통일과 함께 소멸되었다. - 대만의 없어진 항공사 - V 에어
V 에어는 타이완의 저비용 항공사로, 타이완흑곰을 로고로 사용하며 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 노선을 운항했으나, 경영난으로 인해 운항을 중단하고 해산되었다. - 대만의 없어진 항공사 - 트랜스아시아 항공
트랜스아시아 항공은 1951년 타이완 최초의 민간 항공사로 설립되어 국내선 및 국제선을 운항했으나, 2016년 잇따른 사고로 경영난을 겪으며 모든 운항을 중단하고 해산한 항공사이다. - 1946년 설립된 항공사 - 스칸디나비아 항공
스칸디나비아 항공(SAS)은 1946년 3개국 국영 항공사 컨소시엄으로 설립되어 세계 최초 북극 항로를 개설하고 스타얼라이언스를 창립했으나,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에어프랑스-KLM 컨소시엄에 인수되어 스카이팀에 가입했다. - 1946년 설립된 항공사 - 영국유럽항공
영국유럽항공은 1946년 설립된 영국의 국내 및 유럽 지역 항공 운송 회사로, 여러 항공사 합병을 통해 성장하고 영국산 항공기 도입을 통해 항공기 산업 발전에 기여했으며, 자회사 운영 후 1974년 영국해외항공과 합병하여 영국항공이 되었다.
민항공운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항공사 | 민항공운공사 |
![]() | |
IATA 코드 | CT |
ICAO 코드 | CAT |
호출 부호 | Mandarin |
설립일 | 1946년 |
운항 개시일 | 1946년 |
운항 중단일 | 1968년 2월 16일 |
모기업 | CAT, Inc. |
본사 | 타이완 타이베이시 중산베이루 2단 46호 |
주요 인물 | 클레어 리 셰놀트 및 화이팅 윌라우어 |
운항 정보 | |
허브 공항 | 타이베이 쑹산 공항 |
거점 도시 | 카이탁 공항 돈므앙 국제공항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
보유 항공기 수 | 6 |
취항지 수 | 10 |
코드 | |
IATA | CT |
ICAO | CAT |
호출 부호 | Mandarin |
2. 역사
1946년 플라잉 타이거의 사령관 클레어 셰놀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1] 군대 전용으로 6·25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물자를 날랐다. 처음에는 미국의 대아시아 수호 정책으로 만들어져 중화민국 정부 소유였으나, 후에는 미국 CIA가 소유하였다. 동남아시아 전역에 공산주의가 전파됨에 따라, CAT항공의 임무는 바뀌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6년에 행정원 선후 구제 총서(행총) 관할 하에 '''행총공운대'''로 창립되었다.[4] 창립 당시 미국의 OSS (후의 CIA)가 깊이 관여했으며, 클레어 리 셰노가 임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미 중화민국에서는 중국 항공과 중앙 항공 두 회사가 민간 항공을 과점하는 상태였고, 새롭게 외자가 진입하는 것에 중국 국민당이나 국민 정부 내부에서도 반발이 있었다. 이 때문에 연합국 구제 부흥 기구(UNRRA)의 부흥 원조 물자의 수송과 항공 기관 재건을 담당한다는 목적으로 간신히 참가를 인정받았다.[4]
1948년 UNRRA 원조가 종료되자, '''민항공운대'''가 되었고,[4] 베트남 통치 하의 하이퐁에 취항하는 등 민간 항공으로서의 활동을 본격화했지만, 국공 내전 격화에 따라 국민당 군의 군수 물자 및 병력 운반 지원 업무도 담당했다.[4]
1950년 장제스 군대가 패배하고 타이완으로 후퇴한 후,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다.[2] CIA는 CAT, Inc.라는 자회사를 설립한 에어데일 공사라는 비공개 델라웨어 주식회사를 설립했다. 이 자회사는 민간 항공 운송 회사의 명목상 주식을 매입했다. CAT는 정기 여객 항공편을 운항하는 동시에 함대의 다른 항공기를 사용하여 은밀한 임무를 수행함으로써 민간인의 모습을 유지했다.[2]
1968년 2월 16일, 타이베이발 홍콩행 보잉 727 항공기가 타이베이 쑹산 공항 착륙 과정에서 추락하는 민항공운공사 10편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1] 이 사고로 모든 여객기 운항이 중단되었고, 회사 경영진의 탈세 사실까지 드러나면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3]
1968년 4월 11일 모든 정기 및 부정기 국제선 운항을 중단했고, 5월 29일에는 모든 국내선을 중화항공에 넘기면서 대만에서 사라졌다.[5] 1975년 남베트남에서 철수한 후, 태국에 회사를 유지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에어 아메리카는 1976년 6월 30일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2]
2. 1. 설립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6년 클레어 셰놀트와 와이팅 윌라우어가 민항공운공사를 설립했다.[1] 이들은 C-47 다코타, C-46 코만도 등 제2차 세계 대전의 잉여 항공기를 활용하여 전쟁으로 황폐화된 중국에 물품과 식량을 공수했다.[1]

초기에 민항공운공사는 미국의 대아시아 수호 정책에 따라 중화민국 정부 소유였으나, 이후 미국 CIA가 소유하게 되었다.[1] 셰놀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의용 항공대 (플라잉 타이거즈)를 이끌었던 인물로, 그의 참여는 중국 국민당 및 국민 정부 내부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연합국 구제 부흥 기구(UNRRA)의 부흥 원조 물자 수송과 항공 기관 재건을 담당한다는 명목으로 허용되었다.[4]
1948년 UNRRA 원조가 종료되자, 민항공운공사는 중화민국 교통부 관할의 '민항공운대'로 변경되어 베트남 하이퐁 취항 등 민간 항공 활동을 본격화했다.[4] 그러나 국공 내전이 격화되면서 국민당 군의 군수 물자 및 병력 운반 지원 업무도 동시에 수행했다.[4]
1950년 장제스 군대가 패배하고 타이완으로 후퇴하면서 민항공운공사는 재정난에 직면했다.[2] 이에 CIA는 '에어데일 공사'라는 비공개 델라웨어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그 자회사인 CAT, Inc.를 통해 민간 항공 운송 회사의 명목상 주식을 매입했다.[2] CAT는 정기 여객 항공편 운항과 함께 함대 내 다른 항공기를 이용한 은밀한 임무를 수행하며 민간 항공사로서의 외형을 유지했다.[2]
2. 2. 초기 활동 (1946년 ~ 1950년대)
1946년 플라잉 타이거의 사령관 클레어 리 셰노가 미국 OSS(후의 CIA)의 지원을 받아 민항공운공사를 설립했다. 초기에는 연합국 구제 부흥 기구(UNRRA)의 부흥 원조 물자 수송을 담당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6년에 행정원 선후 구제 총서(행총) 관할 하에 '''행총공운대'''로 창립되었다.[4]1948년 UNRRA 원조가 종료되자, 민항공운공사는 중화민국 교통부 관할 하의 '''민항공운대'''가 되었다.[5] 베트남 통치 하의 하이퐁에 취항하는 등 민간 항공 활동을 본격화했지만, 국공 내전이 격화되면서 중국 국민당 군의 군수 물자 및 병력 운반 지원 업무도 담당했다.[5]
중국 내전 동안, 민항공운공사는 주로 C-47 및 C-46 항공기를 사용하여 중국 본토에 있는 중국 국민당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물자와 탄약을 수송했다.[2] 1949년 국민당의 패배와 함께, 수천 명의 중국인을 타이완으로 대피시키는 데 기여했다.[2]
국공 내전에서 국민당 측이 패배하고 중국 공산당 측이 승리하면서, 민항공운공사는 타이완•타이베이로 천도한 중화민국에서 플래그 캐리어로서의 지위를 담당하게 되었다.[6] 그러나 중국 대륙 내의 노선과 시장을 잃은 타격은 컸으며, CIA의 원조로 간신히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다.[6]
1950년에는 타이완 섬 내의 항공 노선을 개설함과 동시에, 도쿄와 싱가포르(홍콩과 방콕 경유)에도 취항했다.[7] 냉전 하에 발발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과 한국 전쟁 등의 아시아 국가에서 발발한 전쟁에서 미국군을 위한 운송 업무를 하는 한편, 에어 아메리카와 함께 동남아시아와 대륙에서의 미국과 중화민국의 첩보 활동과 비밀 군사 활동을 지원했다.[7]
2. 3. 한국 전쟁과 군사 작전 (1950년대)
1946년 플라잉 타이거의 사령관 클레어 첸널트가 설립한 민항공운공사(CAT)는 6·25 전쟁 동안 미국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수천 톤의 군수 물자를 공수했으며, 버마 주둔 중화민국 잔류 세력 지원(작전명 PAPER)도 포함되었다.[1]1952년 11월 29일, CAT C-47기는 중국 북동부 산기슭에서 반공주의 중국 요원을 구출하기 위해 서울을 출발, "폴 앤 라인" 기술을 사용하려 했다. 그러나 이 작전은 사전에 발각되어 중국군이 대기하고 있었다. C-47기는 낮은 고도로 접근하던 중 소화기 공격을 받아 중국 지린 성 안투 타운 근처에 추락했다. 조종사 로버트 스노디와 노먼 슈워츠는 추락으로 사망했고, 중앙정보국(CIA) 요원 존 T. 다우니와 리처드 G. 펙토는 생존하여 포로로 잡혔다.[1] 1972년 닉슨의 중국 방문 이후 펙토는 석방되었고, 다우니는 1973년 미국이 이들의 첩보 임무를 인정한 후 석방되었다.[1]
당시 조종사 가족들에게는 CIA의 비밀 활동을 숨기기 위해 동해에 추락했다고 알렸다. 2001년 중국은 미국 국방부 포로 및 전사자 (POW/MIA) 사무실의 조종사 유해 수습을 허가했다. 2005년 POW/MIA 사무실은 DNA 분석으로 로버트 스노디의 유해를 확인했다고 발표했으나, 슈워츠의 유해는 아직 수습되지 않았다.[1]
2. 4. 인도차이나 전쟁과 비밀 작전 (1950년대 ~ 1960년대)
1946년 플라잉 타이거의 사령관 클레어 চেন널트(천널트)에 의해 설립된 민항공운공사(CAT)는 6·25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물자를 수송하는 임무를 맡았다. 초기에는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 지원을 위해 중화민국 정부 소유였으나, 이후 미국 CIA가 소유하게 되면서 동남아시아 공산주의 확산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953년 5월 1일, CAT는 '스쿼 작전'을 통해 라오스에서 포위된 프랑스 군대에 물자를 공수하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 처음으로 개입했다.[2] 1953년 11월 '카스터 작전' 동안에는 프랑스군을 위한 물자와 병력을 수송했다.[3]
CAT는 인도차이나 전쟁 기간 동안 C-46 및 C-47 수송기를 이용하여 하노이의 자람 공항 등지에 물자와 장비를 수송하며 프랑스 정부를 지원했다.
1954년 1월 29일 승인된 '스쿼 작전-II'에 따라, CAT는 12대의 C-119 운용을 위해 24명의 조종사를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CAT는 프랑스 공군 휘장이 새겨진 비밀 USAF C-119를 이용하여 프랑스 주둔군에 병력과 물자를 낙하산으로 공급하는 위험한 임무를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CAT 조종사 제임스 B. 맥거번 주니어와 윌리스 버포드가 1954년 5월 디엔비엔푸 포위 공격 중 사망했다.[2] 이들은 베트남 전쟁으로 불리게 된 전쟁의 첫 번째 미국인 사상자로 기록되었다.[3] 맥거번의 유해는 2002년에 수습되어 2006년에 신원이 확인되었다.[2][4] 전투에 참여한 37명 중 생존한 CAT 조종사 7명은 2005년 2월 워싱턴 주재 프랑스 대사관에서 열린 특별 행사에서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3]

2. 5. 민간 항공사로서의 활동 (1950년대 ~ 1968년)
1952년부터 타이베이 쑹산 공항을 거점으로 대한민국, 필리핀, 홍콩, 태국, 일본에 민간 항공 노선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커티스 C-47 코만도를 사용했고, 이후 컨베어 880, 보잉 727 등을 도입하며 중화항공과 경쟁하며 성장했다.[7]
중화항공(CAT)은 정기 여객 서비스를 시작하여 홍콩을 시작으로 일본, 대한민국, 필리핀, 태국으로 국제선을 확장하고, 대만 내 국내선도 운영했다. 초기에는 C-46 및 C-54 스카이마스터를 사용했고, 1958년 DC-6B 서비스를 시작했다. 1961년에는 컨베어 880M을 도입하여 극동 지역에서 최초로 제트 여객 서비스를 시작했다.[7] 1968년 1월, 보잉 727로 기종을 교체했다. 같은 해 2월 16일, 홍콩에서 타이베이로 향하던 727기가 대만 북부 린커우구 근처에 추락하면서 23년간의 민간 항공사로서의 운항을 종료했다.
1950년에는 타이완 섬 내 노선을 개설하고, 도쿄와 싱가포르(홍콩과 방콕 경유)에도 취항했다. DC-6B 등 대형 여객기를 운항하여 중화민국 내 노선뿐만 아니라 도쿄(하네다 공항)나 오사카 (이타미 공항), 홍콩, 마닐라, 사이공, 방콕 등 국제선도 운항했다.
1959년 중화항공이 설립되었지만, 당시 중화우정 당국이 발행한 중화민국 민간 항공 40주년 기념 우표에는 청천백일기와 함께 민항공운공사의 보유 기체가 그려져 있어, 당시 중화민국의 사실상 국책 항공사로 취급받았다.
1960년대에는 최초의 대형 제트기인 컨베어 880 (등록 기호:B-1008)을 도입했다. 이 기체는 금색으로 중화풍의 화려한 마킹(기체 도색)과 특별 사양의 호화로운 중화풍 객실 인테리어 장식을 하여 "만다린 제트"라는 애칭을 얻었다. 1968년 이후에는 효율이 좋은 보잉 727로 갱신되었고, 이 기체는 캐세이퍼시픽 항공으로 인수되었다.
일본행 국제 여객편은 1950년 타이베이 발 오키나와·이와쿠니 경유 도쿄 편을 시작으로, 오사카 편과 오키나와(당시 미국 통치 하)에 취항했다. 일본 내 영업 거점은 도쿄도 지요다구·오사카시 외에 미 공군 다치카와 기지 내(군사 항공 운송 서비스(MATS) 여객 터미널)에도 있었다.
2. 6. 폐업과 해산 (1968년 ~ 1975년)
1968년 2월 16일, 타이베이발 홍콩행 보잉 727 항공기가 타이베이 쑹산 공항 착륙 과정에서 추락하는 민항공운공사 10편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1] 이 사고로 민항공운공사는 유일한 보잉 727[3] 항공기를 잃었고, 모든 여객기 운항이 중단되었다. 게다가 회사 경영진의 탈세 사실까지 드러나면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3]당시 중화민국 정부는 외국 자본의 영향이 큰 민항공운공사보다 국민당이 깊이 관여한 중화항공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펴고 있었다.[4] 또한 1960년대 베트남 전쟁이 격화되면서 미국의 첩보 활동은 동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로 중심을 옮겼고, CIA에게 민항공운공사의 중요성은 낮아졌다.[4]
결국 1968년 4월 11일, 민항공운공사는 모든 정기 및 부정기 국제선 운항을 중단했고, 5월 29일에는 모든 국내선을 중화항공에 넘기면서 대만에서 사라졌다.[5]
1975년 남베트남에서 철수한 후, 태국에 회사를 유지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에어 아메리카는 1976년 6월 30일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2]
3. 운항 기체
민항공운공사는 커티스 C-47 코만도, 더글러스 DC-4, 더글러스 DC-6, 더글러스 C-47 스카이트레인, 컨베어 880, 보잉 727 등을 운용하였다. 1961년에는 컨베어 880M을 도입하여 극동 지역에서 순수 제트 여객 정기 서비스를 운항하는 최초의 항공사가 되었다.[7] 1968년 1월 보잉 727로 대체되었다.
3. 1. 주요 운항 기체
1952년부터 타이베이 쑹산 공항을 허브로 대한민국, 필리핀, 홍콩, 태국, 일본에 민간 항공 노선을 운항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커티스 C-46 코만도와 더글러스 C-47 스카이트레인을 운용하였고, 이후 더글러스 DC-4, 더글러스 DC-6, 컨베어 880, 보잉 727 등을 도입하였다.기종 | 도입 시기 | 비고 |
---|---|---|
커티스 C-46 코만도 | 1952년 이전 | |
더글러스 C-47 스카이트레인 | 1952년 이전 | |
더글러스 DC-4 | 1952년 이후 | |
더글러스 DC-6 | 1952년 이후 | |
컨베어 880 | 1960년대 | "만다린 제트"라는 별칭 |
보잉 727 | 1968년 이후 | 캐세이퍼시픽 항공에 인수됨 |
1958년 타임지는 민항공운공사(CAT) 항공기 20대가 수카르노 대통령의 인도네시아 정부에 대항하는 PRRI/Permesta 운동에 물자를 공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5][6]
4. 운항 노선
민항공운공사는 1952년부터 타이베이 쑹산 공항을 거점으로 대한민국, 필리핀, 홍콩, 태국, 일본 등지에 민간 항공 운항을 시작했다.[7] 초기에는 커티스 C-47 코만도와 같은 프로펠러 항공기를 사용했으나, 이후 컨베어 880, 보잉 727과 같은 제트기를 도입하며 중화항공과 함께 성장했다.[7]
민항공운공사의 주요 취항지는 다음과 같다.
4. 1. 주요 운항 노선
5. 사건 및 사고
민항공운공사(CAT)는 운항 중 여러 사건 및 사고를 겪었다. 다음은 주요 사건 및 사고 목록이다.
발생일 | 항공기 종류 | 등록번호 | 사고 내용 및 결과 | |
---|---|---|---|---|
1947년 10월 17일 | 더글러스 DC-3 | 허베이성 공군 기지 인근 추락, 승무원 3명 전원 사망.[8] | ||
1948년 7월 29일 | 커티스 C-46D | XT-822 | 칭다오 공항 이륙 직후 추락, 탑승자 19명 전원 사망.[9] | |
1949년 11월 8일 | 더글러스 C-47B | XT-805 | 베트남 하이퐁으로 가던 중 멍쯔 인근 추락.[10] | |
1949년 12월 9일 | 커티스 C-46D | XT-820 | 베이징에서 란저우로 가던 중 산악 충돌, 탑승자 38명 전원 사망.[11] | |
1949년 12월 10일 | 커티스 C-46D | XT-814 | 중국 내전 중 청두에서 하이커우로 피난 중 추락, 탑승자 40명 중 17명 사망.[12] | |
1950년 12월 8일 | 커티스 C-46 | XT-44 | 원산 비행장 착륙 중 추락, 승객 1명 사망.[13] | |
1950년 12월 9일 | 커티스 C-46F | XT-852 | 한국으로 가던 중 후지산 해발 약 2438.40m 지점 충돌, 승무원 3명 전원 사망.[14] | |
1952년 11월 29일 | 더글러스 C-47 | 중앙정보국(CIA) 요원 구출 작전 중 지린성에서 격추, 조종사 로버트 스노디와 노먼 슈워츠 사망. CIA 요원 존 T. 다우니와 리처드 G. 펙토는 생포되어 장기간 억류.[15] | ||
1954년 5월 6일 | 페어차일드 C-119C | 149 | 디엔비엔푸 전투 중 베트민의 대공포화로 피격 후 라오스 반 솟 인근 추락. 조종사 제임스 B. 맥거번 주니어와 부조종사 월리스 버포드 포함 승무원 6명 중 5명 사망. 이들은 베트남 전쟁 최초의 미국인 전사자로 기록됨.[16][17] | |
1954년 10월 20일 | 더글러스 C-47A | B-811 | 태국 후아힌 앞 타이 만 추락, 탑승자 7명 중 6명 사망.[18] | |
1964년 6월 20일 | 민항공운공사 106편 | 커티스 C-46[19] | 타이중 선강 인근 추락, 탑승자 57명 전원 사망. 사망자 중에는 로크 완 토 부부 등 제11회 아시아 영화제 말레이시아 대표단 포함.[20] | |
1968년 2월 16일 | 민항공운공사 10편 | 보잉 727-92C | B-1018[19] | 홍콩에서 타이베이로 비행 중 타이베이 쑹산 공항 착륙 실패, 린커우 인근 추락. 승객 및 승무원 52명 중 21명 사망, 지상 1명 사망.[21] |
6. 평가 및 비판
인도네시아에서 민항공운공사(CAT)는 수카르노 대통령의 인도네시아 정부에 대항하는 PRRI/Permesta 운동을 지원했다.[5][6] 1958년 ''타임''지는 CAT 항공기 20대가 이 운동에 물자를 공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이 운동이 공산주의 성향을 가질 것을 우려했다.[5][6]
1958년 4월, CAT 조종사 2명은 Permesta의 ''Angkatan Udara Revolusioner'' ("혁명 공군", AUREV)을 위해 전투 임무를 수행했다. 윌리엄 H. 빌과 앨런 포프는 중앙정보국(CIA) 더글러스 B-26 침략자를 AUREV를 위해 조종했다. CIA는 이들에게 인도네시아군뿐만 아니라 무장하지 않은 외국 상선도 공격하도록 지시하여 인도네시아 경제를 약화시키고 수카르노 정부를 붕괴시키려 했다.[5] 같은 해 4월 28일, 빌은 동칼리만탄 발릭파판의 로열 더치 쉘 터미널을 공격하여 영국 유조선을 침몰시켰고,[5] 포프는 술라웨시 중앙 팔루 근처 동갈라 항구에서 그리스, 이탈리아, 파나마 상선을 침몰시켰다.[5]
1958년 5월 18일, 암본 섬 서쪽에서 포프는 정부군을 수송하던 인도네시아 상선 두 척 중 한 척을 공격하다가 격추되어 체포되었다. 포프는 CIA의 지원 수준을 드러내는 여러 문서를 소지하고 있었다.[5] 당황한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Permesta에 대한 CIA 지원을 종료하고 AUREV에서 요원과 남은 항공기를 철수시켰다.
1960년 초, 포프는 인도네시아 군사 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1962년 로버트 F. 케네디의 협상으로 석방되어 미국으로 돌아갔다.
1959년, CAT는 에어 아메리카로 재편되어 인도차이나 전역에서 비밀 작전을 지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CIA's Airlines: Logistic Air Support of the War in Laos 1954 to 1975
http://www.vietnam.t[...]
2014-03-17
[2]
웹사이트
A Chronological Summary of Some CAT Historical Milestones
https://www.catassoc[...]
CAT Association
2021-05-19
[3]
웹사이트
French Embassy in the USA, February 25, 2005
http://ambafrance-us[...]
2010-02-17
[4]
웹사이트
A Look Back ... Earthquake McGoon's Final Flight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2-10-10
[5]
간행물
Indonesia: The Man from Florida
https://content.time[...]
1958-06-09
[6]
뉴스
Indonesia: The Mystery Pilots
http://search.time.c[...]
2011-11-21
[7]
citation
Civil Air Transport
http://www.civilairt[...]
[8]
ASN accident
[9]
ASN accident
XT-822
[10]
ASN accident
XT-805
[11]
ASN accident
XT-820
[12]
ASN accident
XT-814
[13]
ASN accident
XT-44
[14]
ASN accident
XT-852
[15]
Criminal
[16]
Criminal
"149"
[17]
웹사이트
The Shootdown of "Earthquake McGoon"
http://www.check-six[...]
[18]
ASN accident
B-811
[19]
문서
Ci - Cz
http://www.planecras[...]
[20]
뉴스
Villagers see blast as 57 die in crash
https://news.google.[...]
2011-06-01
[21]
citation
ASN Aircraft accident Boeing 727-92C B-1018 Taipei
http://aviation-saf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