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타 산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타 산화는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 일어나는 지방산 분해 과정으로, 탄소 두 개 단위로 아세틸-CoA를 생성한다. 지방산은 세포질에서 활성화된 후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여 카르니틴 셔틀을 통해 내막을 통과한다. 베타 산화는 4단계의 반복 과정을 거치며, 짝수 탄소 지방산은 아세틸-CoA를, 홀수 탄소 지방산은 아세틸-CoA와 프로피오닐-CoA를 생성한다. 불포화 지방산은 이성질화효소와 환원효소를 필요로 한다. 과산화소체에서도 베타 산화가 일어나며, ATP 생산량은 지방산의 탄소 수와 종류에 따라 다르다. 베타 산화 관련 유전자 이상은 다양한 대사 질환을 유발하며, MCAD 결핍증, LCHAD 결핍증, VLCAD 결핍증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트르산 회로 - 센트죄르지 얼베르트
    센트죄르지 얼베르트는 비타민 C 발견과 근육 생물물리학 연구로 193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헝가리 출신의 생리학자이자 생화학자이다.
  • 시트르산 회로 -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키네이스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키네이스(PDK)는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PDC)를 인산화하여 비활성화시키는 효소로, 사람에게는 4가지 동질효소가 있으며, ATP, NADH 등에 의해 활성화되고 ADP, NAD+ 등에 의해 저해되며, 비만, 당뇨병, 암과 같은 질병과 관련되어 연구되고 있다.
  • 대사경로 - 스테로이드
    스테로이드는 4개의 융합된 고리 구조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로, 콜레스테롤, 스테로이드 호르몬, 담즙산 등 생물학적 활성 분자를 포함하며, 메발론산 경로를 통해 생합성되어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고 의학적으로 사용되지만 오남용 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 대사경로 - 시트르산 회로
    시트르산 회로는 아세틸-CoA를 이산화탄소로 산화시켜 NADH와 FADH₂를 생성, ATP 생산 및 생합성에 기여하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를 연결하는 중심적인 대사 경로이다.
  • 세포 호흡 - 유비퀴논
    유비퀴논(CoQ10)은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의 주요 구성 요소인 지용성 유기 화합물로, 세포 호흡과 에너지 생산에 필수적이며 항산화 작용을 통해 세포를 보호하고 면역 반응에도 관여한다.
  • 세포 호흡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베타 산화
개요
명칭β 산화 (베타 산화)
영어 명칭β-oxidation (베타 산화)
다른 명칭지방산 산화
티올 분해
생화학적 과정
위치진핵세포: 미토콘드리아 기질, 퍼옥시좀
원핵생물: 세포질
관여 효소아실-CoA 탈수소 효소, 에노일-CoA 수화 효소, 3-하이드록시 아실-CoA 탈수소 효소, 티올레이스
기질지방산
생성물아세틸-CoA, FADH2, NADH
관련 경로지방산 대사, 케톤체 생성

2. 지방산 활성화와 수송

세포질에서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아실-CoA가 운반되는 과정(지방산 수송 시스템)


유리 지방산은 음전하를 띠기 때문에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고, SLC27족 지방산 수송체와 같은 수송체 단백질에 의해 세포 내로 들어간다.[25][26] 세포질액에 들어온 지방산은 긴 사슬 아실-CoA 합성효소(synthetase)에 의해 활성화된다. 지방산은 ATP와 반응하여 아데닐산과 무기 인산을 공급받고, 유리 조효소 A와 반응하여 지방산 아실-CoA 에스터와 AMP를 생성한다. 아실-CoA 에스터는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여 산화되거나 세포질에 남아 막지질을 합성하는데 쓰인다.[27]

지방산 산화를 위한 일차처리(priming영어)는 카르니틴 왕복통로[27][28]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아실-CoA가 카르니틴의 하이드록시기로 전이된다. 이 반응은 세포질 (사이토졸)에 위치하는 카르니틴 팔미토일 전이효소 I(팔미토일전이효소)이 촉매 작용한다.

# 미토콘드리아막에 위치한 카르니틴-아실카르니틴 수송체(translocase)가 아실카르니틴을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이동시킨다.

#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있는 카르니틴 아실 전이효소 II(팔미토일 전이효소)가 아실카르니틴을 다시 아실-CoA로 전환한다. 유리 카르니틴은 다시 세포질로 돌아간다.

지방산에서 지방산 아실 CoA로의 전환


세포 내로 유입된 지방산은 미토콘드리아 바깥막의 세포질 쪽에 존재하는 효소 '''아실-CoA 합성효소'''(acyl-CoA synthetase)에 의해 촉매되어 다음 반응에 의해 활성화된다.

:지방산 + CoA + ATP \rightleftharpoons 지방산 아실 CoA + AMP + PPi

아실-CoA 합성효소는 지방산 티오키나아제 (fatty acid thiokinase)라고도 불린다. 이 반응은 두 단계로 일어난다. 먼저 지방산의 카르복실산 이온이 ATP인산 (β, γ 인산)과 치환되어 지방산 아실 아데닐산 (fatty acyl adenylate)과 피로인산 (PPi)이 생성된다. 다음으로 보조 효소 A의 티올기가 아실기의 탄소를 친핵성 공격하여 지방산 아실 CoA와 AMP를 생성한다. 생성된 지방산 아실 CoA는 미토콘드리아 안쪽막으로 운반되어 β 산화를 받거나 세포질에서의 막 지질 합성에 이용된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은 아실 CoA를 직접 투과하지 않으므로, 카르니틴이 지방산 아실 운반체 역할을 한다. 지방산 아실 CoA는 카르니틴과 일시적으로 결합하여 지방산 아실 카르니틴을 생성한다. 이 반응은 미토콘드리아 바깥막에 내장된 '''카르니틴 아실트랜스퍼라아제 I'''(carnitine acyltransferase I)에 의해 촉매된다. 지방산 아실 카르니틴은 막간 공간에서 생성되는 경우와 바깥막의 세포질 쪽에서 생성되는 경우가 생각되지만, 현재로서는 어느 기전인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지방산 아실 카르니틴은 아실 카르니틴/카르니틴 수송체 (acyl-carnitine/ carnitine transporter)를 통한 촉진 확산에 의해 내막을 통과하여 매트릭스 내로 이동한다. 그리고 지방산 아실기가 내면에 존재하는 효소 '''카르니틴 아실트랜스퍼라아제 II'''(carnitine acyltransferase II)의 촉매에 의해 카르니틴에서 미토콘드리아 내에 존재하는 보조 효소 A로 전이됨으로써 지방산 아실 CoA가 재생된다. 유리 카르니틴은 아실 카르니틴/카르니틴 수송체를 통해 다시 막간 공간으로 이동한다.[22] 이러한 지방산 아실 CoA 수송계를 '''카르니틴 셔틀'''이라고 한다.

3. 지방산의 베타 산화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지방산은 베타 산화 과정을 통해 아세틸-CoA로 분해된다. 이 과정은 탄소 수에 따라 다른 경로를 거치며, 4단계로 구성된다.[2]

베타 산화의 일반적인 메커니즘


1. 긴 사슬 지방산은 C2와 C3 사이에 트랜스 이중 결합을 생성하기 위해 탈수소화된다. 이는 아실 CoA 탈수소효소에 의해 촉매되어 트랜스-델타 2-에노일 CoA를 생성한다. 이 효소는 전자 수용체로 FAD를 사용하며 FADH2로 환원된다.

2. 트랜스-델타 2-에노일 CoA는 에노일-CoA 수화효소에 의해 이중 결합에서 수화되어 L-3-하이드록시아실 CoA를 생성한다.

3. L-3-하이드록시아실 CoA는 3-하이드록시아실 CoA 탈수소효소에 의해 다시 탈수소화되어 3-케토아실 CoA를 생성한다. 이 효소는 전자 수용체로 NAD를 사용한다.

4. 3-케토아실 CoA의 C2와 C3 (알파 및 베타 탄소) 사이에서 티올 분해가 일어난다. 티올레이스 효소는 새로운 코엔자임 A 분자가 C3에 대한 친핵성 공격을 통해 결합을 끊을 때 반응을 촉매한다. 이렇게 되면 처음 두 개의 탄소 단위가 아세틸 CoA로 방출되고, 지방 아실 CoA에서 두 개의 탄소가 제거된다. 이 과정은 지방산의 모든 탄소가 아세틸 CoA로 전환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 아세틸-CoA는 미토콘드리아의 시트르산 회로(TCA 회로)로 들어간다. 지방산 베타 산화와 TCA 회로 모두 NADH와 FADH2를 생성하며, 이는 ATP를 생성하기 위해 전자 전달계에서 사용된다.

지방산은 신체의 대부분의 조직에서 산화된다. 그러나 포유류의 적혈구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지 않음) 및 중추 신경계의 세포와 같은 일부 조직은 에너지 요구 사항에 지방산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탄수화물(적혈구 및 뉴런) 또는 케톤체 (뉴런만 해당)를 사용한다.

많은 지방산이 완전히 포화되지 않거나 짝수 개의 탄소를 갖지 않기 때문에, 여러 다른 메커니즘이 진화했다.

세포 내로 유입된 지방산은 안정적인 C-C 결합을 극복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바깥막의 세포질 쪽에 존재하는 효소 '''아실-CoA 합성효소'''에 의해 활성화된다.

:지방산 + CoA + ATP \rightleftharpoons 지방산 아실 CoA + AMP + PPi

아실-CoA 합성효소는 지방산 티오키나아제라고도 불린다. 이 반응은 두 단계로 일어난다. 먼저 지방산의 카복실산 이온이 ATP인산과 치환되어 지방산 아실 아데닐산과 피로인산(PPi)이 생성된다. 다음으로 조효소 A의 티올기가 아실기의 탄소를 친핵성 공격하여 지방산 아실 CoA와 AMP를 생성한다. 생성된 지방산 아실 CoA는 미토콘드리아 안쪽막 (식물의 경우 글리옥시솜이라는 세포 내 소기관의 경우도 있다)으로 운반되어 β 산화를 받거나 세포질 졸에서의 막 지질 합성에 이용된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은 아실 CoA를 직접 투과하지 않으므로, 카르니틴이 지방산 아실 운반체의 역할을 한다(동물과 식물 공통). 지방산 아실 CoA는 카르니틴과 일시적으로 결합하여 지방산 아실 카르니틴을 생성한다. 이 반응은 미토콘드리아 바깥막에 내장된 '''카르니틴 아실트랜스퍼라아제 I'''에 의해 촉매된다. 지방산 아실 카르니틴은 막간 공간에서 생성되는 경우와 바깥막의 세포질 졸 측에서 생성되는 경우가 생각되지만, 현재로서는 어느 기전인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지방산 아실 카르니틴은 아실 카르니틴/카르니틴 수송체를 통한 촉진 확산에 의해 내막을 통과하여 매트릭스 내로 이동한다. 그리고 지방산 아실기가 내면에 존재하는 효소 '''카르니틴 아실트랜스퍼라아제 II'''의 촉매에 의해 카르니틴에서 미토콘드리아 내에 존재하는 조효소 A로 전이됨으로써 지방산 아실 CoA가 재생된다. 유리 카르니틴은 아실 카르니틴/카르니틴 수송체를 통해 다시 막간 공간으로 이동한다.[22] 이러한 지방산 아실 CoA 수송계를 '''카르니틴 셔틀'''이라고 한다. 미토콘드리아 내로 들어온 지방산 아실 CoA는 매트릭스 내 효소에 의해 산화를 받는다.

β 산화 반응은 4단계 반응의 반복으로 이루어지며, 한 사이클마다 지방산 아실 사슬의 카르복시 말단에서 2개의 탄소가 아세틸 CoA로 분리되어 나간다. β 산화의 4가지 효소와 앞서 언급한 아실 CoA 합성효소를 통틀어 β 산화 효소군이라고 부른다.

#아실 CoA 합성효소(중쇄: EC6.2.1.2, 장쇄: EC6.2.1.3)

#아실 CoA 탈수소효소(EC1.3.99.2, EC1.3.99.3)

#에노일 CoA 수화효소(EC4.2.1.17)

#3-하이드록시아실 CoA 탈수소효소(EC1.1.1.35)

#β-케토아실 CoA 티오레이스(EC2.3.1.16)

3. 1. 짝수 탄소 포화 지방산

미토콘드리아에 들어온 짝수 포화 지방산은 다음과 같이 4단계의 베타 산화를 반복하면서 한 번에 탄소 두 개 단위(아세틸-CoA)로 방출한다.

설명반응효소산물
FAD에 의한 산화(탈수소화): 아실-CoA 탈수소효소에 의해 지방산이 산화되는 첫 번째 단계이다. C-2와 C-3 사이에 이중 결합을 형성한다.
400px
아실-CoA 탈수소효소트랜스-Δ2-에노일-CoA
수화: C-2와 C-3 사이 결합의 수화. 이 반응은 입체특이적으로, L이성질체만 생성한다.
400px
에노일-CoA 수화효소L-β-하이드록시아실-CoA
NAD+에 의한 산화: L-β-하이드록시아실-CoA의 하이드록시기가 산화되어 케톤기로 전환된다.
400px
3-하이드록시아실-CoA 탈수소효소β-케토아실-CoA
가(加) 싸이올분해(싸이올분해): 새로운 조효소 A 분자의 싸이올기가 β-케토아실-CoA를 자른다. 싸이올은 C-2와 C-3 사이에 결합한다.
400px
β-케토싸이올레이스아세틸-CoA 분자 하나와 탄소 2개가 짧아진 아실-CoA 분자 하나



이 과정은 지방산 사슬 전체가 아세틸-CoA 단위로 쪼개질 때까지 반복된다. 마지막 베타 산화 주기에는 아실-CoA 대신 아세틸-CoA가 생성되므로 최종 산물로 아세틸-CoA 두 개가 생성된다. 각 주기마다 아실-CoA가 탄소 원자 두 개씩 짧아지고, FADH2와 NADH, 아세틸-CoA 각각 한 분자가 생성된다.[3]

예를 들어 탄소 수가 짝수인 지방산인 팔미트산(C16)은 팔미토일-CoA로서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산화를 받으며, 이러한 반응을 7번 반복하여 아세틸-CoA 7분자를 생산한다. 마지막으로 남은 2개의 탄소도 아세틸-CoA이므로, 반응 전체에서 8분자의 아세틸-CoA가 생산된다.

3. 2. 홀수 탄소 포화 지방산

반추동물혹위에서 탄수화물발효시켜 탄소가 3개인 프로피온산을 다량 생산한다.[29]

탄소 수가 홀수인 지방산 사슬은 짝수인 사슬과 같은 방식으로 산화되지만, 마지막에 생성되는 것은 아세틸-CoA 두 분자가 아니라 프로피오닐-CoA와 아세틸-CoA이다.

프로피오닐-CoA는 중탄산염의 탄소가 프로피오닐-CoA의 가운데 탄소에 부가되어 D-메틸말로닐-CoA가 된다. 이 반응에는 바이오틴 보조인자와 ATP, 프로피오닐-CoA 카복실레이스가 참여한다. D형 입체형태(conformation영어)는 효소 메틸말로닐-CoA 에피머레이스에 의하여 L형 입체형태로 전환되고, 메틸말로닐-CoA 뮤테이스(조효소 B12가 필요)는 L형 입체형태 분자 내 원자를 재배치하여 석시닐-CoA를 생산한다. 석시닐-CoA는 시트르산 회로로 들어간다.

아세틸-CoA가 이미 존재하는 옥살아세트산과의 축합으로 시트르산 회로에 들어가는 반면, 석시닐-CoA는 그 자체로 반응에 참여하므로 석신산염은 회로를 순환하는 분자들과 섞여 실제로 대사되지는 않는다. 시트르산 회로의 중간체가 과도하게 많아 아스파르트산이나 글루탐산 합성과 같이 중간체를 쓰는 반응(cataplerotic reaction)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나면, 콩팥(신장)에서 중간체 일부가 포스포엔올피루브산 카복시키네이스를 통하여 포도당신생합성 경로로 빠져 유리 포도당으로 전환된다.[30]

홀수 탄소 지방산의 베타 산화 후 프로피오닐-CoA 변형

3. 3. 불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의 베타 산화


불포화 지방산은 시스 결합을 가지고 있어서 ''트랜스''-Δ2 결합 형성을 방해한다. 에노일-CoA 이성질화효소와 2,4-다이에노일-CoA 환원효소가 이 문제를 해결한다.[8]

불포화 지방산의 베타 산화는 시스 결합의 위치 때문에 ''트랜스''-Δ2 결합이 형성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형태는 효소가 촉매 작용을 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 아실-CoA가 ''시스''-Δ3 결합을 포함하고 있으면 ''시스''-Δ3-에노일 CoA 이성질화 효소가 시스 결합을 ''트랜스''-Δ2 결합으로 전환하여 정상적인 기질이 되도록 한다.
  • 아실-CoA가 ''시스''-Δ4 결합을 포함하고 있어 탈수소반응을 통하여 2,4-다이에노일 중간체를 형성하면 에노일 CoA 수화 효소의 기질이 될 수 없다. 그러나 2,4-디에노일 CoA 환원 효소가 NADPH를 사용하여 중간체를 ''트랜스''-Δ3-에노일 CoA로 환원시킨다. 이 화합물은 3,2-에노일 CoA 이성질화 효소에 의해 적절한 중간체로 전환되고 β-산화가 계속된다.


리놀레산 (불포화 지방산)의 완전한 β-산화.


요약하자면, 이중결합을 홀수 개 가진 지방산은 이성질화효소가 처리하고, 짝수 개 가진 지방산은 환원효소를 통해 이중결합을 홀수 개 가진 지방산으로 변환한다.[8]

올레산(C18) 등 이중 결합이 하나만 있는 지방산의 경우, 2,4-다이에노일-CoA 환원 효소가 작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에노일-CoA 이소머라아제에 의한 이성질화만 받는다. 또한 이중 결합이 트랜스형인 트랜스 지방산은 이성질화할 필요조차 없이 β 산화에 의해 대사된다.

4. 과산화소체(퍼옥시좀)에서의 산화

과산화소체(퍼옥시좀)에서의 지방산 산화는 미토콘드리아와는 몇 가지 다른 특징을 가진다. 과산화소체는 매우 긴 사슬 지방산(탄소수 22개 이상), 가지 달린 지방산,[31]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라이엔의 일부[32]를 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과산화소체에서의 산화는 옥타노일-CoA에서 멈추며, 이후 미토콘드리아에서 산화가 계속된다.[33]

과산화소체 산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ATP 합성과 짝지어지지 않는다. 대신 고에너지 전자가 산소로 전달되어 과산화수소(H2O2)를 생성하고 열이 발생한다.[34] 생성된 과산화수소는 카탈레이스에 의해 산소로 전환된다.
  • 과산화소체 베타 산화에는 특이적인 효소가 필요하다. 미토콘드리아의 카르니틴 아실전이효소 I 및 II 대신 과산화소체 카르니틴 아실전이효소가 필요하며, 활성화된 아실기를 미토콘드리아로 수송하여 추가 분해를 돕는다.
  • 과산화소체에서 일어나는 산화 첫 단계는 아실-CoA 산화효소가 촉매 작용한다.
  • 지방산 산화 세 번째 단계에서 생성된 NADH는 과산화소체에서 다시 산화되지 못하므로, 환원 당량이 세포질액으로 운반된다.
  • 과산화소체의 β-케토티올라아제는 미토콘드리아의 β-케토티올라아제와 다른 효소 특이성을 갖는다.


지방 비율이 높은 식사를 하거나 클로피브레이트(clofibrate|클로피브레이트영어)와 같은 저지질혈증 약물을 투여하면 과산화소체에서 지방산 산화가 유도된다.[34]

5. 에너지 생산량

이론적으로 탄소 두 개가 한 번에 분해되는 각 베타 산화 사이클에서 17 ATP가 생성된다. 각 NADH는 3 ATP, FADH2는 2 ATP를 생성하고, 시트르산 회로에서 아세틸-CoA가 완전히 회전하면 12 ATP가 생성되기 때문이다.[13] 실제로는 각 NADH 분자당 2.5 ATP, FADH2 분자당 1.5 ATP가 생성되며, 아세틸-CoA는 시트르산 회로에서 회전당 10 ATP를 생성하므로, 완전한 산화 사이클의 ATP 수율은 14 ATP에 가깝다.[13] (P/O 비율에 따름).

SourceATPTotal
1 FADH2x 1.5 ATP= 1.5 ATP (이론상 2 ATP)[13]
1 NADHx 2.5 ATP= 2.5 ATP (이론상 3 ATP)[13]
1 아세틸 CoAx 10 ATP= 10 ATP (이론상 12 ATP)
합계= 14 ATP



짝수 탄소 포화 지방산(Cn)의 경우, 0.5 * n - 1 번의 산화가 필요하며, 마지막 과정에서 추가적인 아세틸 CoA가 생성된다. 또한 지방산 활성화 과정에서 ATP 2개가 손실된다. 따라서 총 ATP 수율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0.5 \times n - 1) \times 14 + 10 - 2 = ATP[14]

또는

: 7n-6

예를 들어, 팔미테이트 (C16, ''n = 16'')의 ATP 수율은 다음과 같다.

: 7 \times 16 - 6 = 106 ATP

SourceATPTotal
7 FADH2x 1.5 ATP= 10.5 ATP
7 NADHx 2.5 ATP= 17.5 ATP
8 아세틸 CoAx 10 ATP= 80 ATP
활성화= -2 ATP
합계= 106 ATP



홀수 포화 지방산(Cn)의 경우, 0.5 * n - 1.5 산화가 필요하며, 최종 과정에서 아세틸 CoA 8개와 프로피오닐 CoA 1개가 생성된다. 그런 다음 카르복실화 반응에 의해 숙시닐 CoA로 전환되어 추가로 5 ATP가 생성된다(1 ATP는 카르복실화 과정에서 소비되어 순 4 ATP를 생성). 또한, 지방산 활성화 과정에서 ATP 2개가 손실된다. 따라서 총 ATP 수율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0.5 \times n - 1.5) \times 14 + 4 - 2 =

ATP

또는

: 7n-19

예를 들어, 노나데칸산 (C19, ''n = 19'')의 ATP 수율은 다음과 같다.

: 7 \times 19 - 19 = 114 ATP

소스ATP합계
8 FADH2x 1.5 ATP= 12 ATP
8 NADHx 2.5 ATP= 20 ATP
8 아세틸 CoAx 10 ATP= 80 ATP
1 숙시닐 CoAx 4 ATP= 4 ATP
활성화= -2 ATP
합계= 114 ATP


6. 임상적 의의

베타 산화 경로에는 최소 25개의 효소 또는 특이적 수송 단백질이 관여한다.[35] 이들 중 18개가 인간 질병과 연관되어 있으며, 선천성 대사 이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16] 지질 장애는 종양 발생의 다양한 측면에 관여하며, 지방산 대사는 악성 세포가 저산소 환경에 더 강하게 저항하도록 만든다. 암세포는 지방산 합성 및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산화와 관련하여 불규칙한 지질 대사를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종양 발생 및 세포 성장의 다양한 측면에 관여한다.[17]

몇 가지 특정 β-산화 장애가 확인되었다.

질환증상치료
중간 사슬 아실-CoA 탈수소효소(MCAD) 결핍증[18]
장쇄 하이드록시아실-CoA 탈수소효소(LCHAD) 결핍[19]
극장쇄 아실-조효소 A 탈수소효소(VLCAD) 결핍증[20]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베타 산화와 LCHAD 결핍증의 영향을 보여주는 개략도

7. 추가 정보 (일본어판 내용)

생물이 에너지를 얻기 위해 이용하는 지방산과 글리세롤지방 세포에 저장된 트리아실글리세롤 등의 에스터로부터 얻는다.[21] 트리아실글리세롤은 세포 내에서 지질 방울로 응집되어 세포질삼투압을 높이지 않고 존재하며, 수화도 되지 않는다. 또한 같은 질량단백질이나 탄수화물보다 2배 이상 많은 완전 산화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22]

지질 방울의 트리아실글리세롤을 에너지 생산을 위해 각 조직(골격근, 심장, 신장 피질 등)으로 운반할 때는 다음 절차를 거친다.

1.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가 지질 방울 표면으로 이동한다.

2. 리파아제에 의해 트리아실글리세롤이 가수 분해되어 지방산이 유리된다 (인지질은 포스포리파아제에 의해 가수 분해된다).

3. 혈액 중에 나온 지방산이, 가용성 단백질인 혈청 알부민과 결합하여 불용성이 무효화된다.

4. 혈류를 타고 근육 조직 등으로 운반되어, 혈청 알부민으로부터 유리된 지방산이 지방산 수송체로부터 세포 내로 섭취된다.

이처럼 각 세포에 섭취된 후, 지방산의 활성화, β 산화를 거쳐, 아세틸 CoA가 생성된다.

β-산화는 최종 산물로서 다량의 아세틸-CoA를 생산하는데, 아세틸-CoA는 다양한 대사계에 사용되는 범용성이 풍부한 물질이다. 아세틸-CoA가 담당하는 반응에는 다음이 있다.



이 중 주요 대사계는 시트르산 회로의 통합이며, 팔미트산(C16) 1분자가 시트르산 회로, 전자 전달계와 산화적 인산화를 거쳐 완전 산화됨으로써, NADH와 FADH2의 P/O비가 각각 2.5와 1.5라고 하면 ATP 108분자가 합성된다. 이 대사는 진핵 세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원핵 세포에서는 세포질 내에서 이루어진다. 지방산 몰당 ATP 합성량이 당 등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포도당의 완전 산화에서는 38분자 정도).

참조

[1] 논문 SLC27 fatty acid transport proteins 2013
[2] 논문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biochemistry of mitochondrial fatty acid β-oxidation 2010
[3] 간행물 Biochemistry, Fatty Acid Oxidation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3-12-03
[4]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 H. Freeman and Company 2005
[5] 서적 Harper's Illustrated Biochemistry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6] 간행물 Chapter 3 Oxidation of fatty acids https://www.scienced[...] Elsevier 2023-12-03
[7] 웹사이트 Gluconeogenesis: Synthesis of New Glucose http://themedicalbio[...] themedicalbiochemistrypage.org, LLC 2013-03-20
[8] 논문 Beta oxidation of fatty acids https://dx.doi.org/1[...] 1991-01-28
[9] 논문 Biochemistry of peroxisomes in health and disease 1997-02
[10] 서적 Peroxisomes: Biology and Importance in Toxicology and Medicine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3-04-08
[11] 논문 Rat liver peroxisomes catalyze the beta oxidation of fatty acids http://www.jbc.org/c[...] 1978-03
[12] 논문 Mitochondrial catalase and oxidative injury
[13] 서적 Harper's illustrated Biochemistry, 30th edition McGraw Hill Education
[14] 논문 A student centric method for calculation of fatty acid energetics: Integrated formula and web tool 2021-01
[15] 논문 Biosynthesis of Iso-Fatty Acids in Myxobacteria: Iso-Even Fatty Acids Are Derived by a-Oxidation from Iso-Odd Fatty Acids http://dx.doi.org/10[...] 2023-11-07
[16] 서적 Pediatric Neurology Part III
[17] 논문 Downregulation of fatty acid oxidation by involvement of HIF-1α and PPARγ in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nd its related clinical significance https://pubmed.ncbi.[...] 2021-05
[18] 논문 Fatty Acid Beta-Oxidation Disorders: A Brief Review 2016
[19] 간행물 "Long-Chain Hydroxyacyl-CoA Dehydrogenase Deficiency / Trifunctional Protein Deficiency" 1993
[20] 간행물 Very Long-Chain Acyl-Coenzyme A Dehydrogenase Deficiency http://www.ncbi.nlm.[...]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2023-12-04
[21] 서적 ホートン生化学(第3版) 東京化学同人 2003-09
[22] 서적 『レーニンジャーの新生化学[下]‐第4版‐』 廣川書店 2007-02
[23] 서적 ボルハルト・ショアー 現代有機化学(第4版)〔上〕 化学同人 2004-04
[24] 서적 ハーパー生化学 原書25版 丸善 2001
[25] 저널 A current review of fatty acid transport proteins (SLC27) 2004-02
[26] 저널 SLC27 fatty acid transport proteins http://www.ncbi.nlm.[...]
[27] 서적 레닌저 생화학 월드사이언스 2010-05-30
[28] 웹인용 Activation and Transportation of Fatty Acids to the Mitochondria via the Carnitine Shuttle with Animation http://pharmaxchange[...] PharmaXChange.info 2013-10-06
[29] 서적 레닌저 생화학 월드사이언스 2010-05-30
[30] 웹인용 Gluconeogenesis: Synthesis of New Glucose http://themedicalbio[...] themedicalbiochemistrypage.org, LLC 2013-03-20
[31] 저널 Biochemistry of peroxisomes in health and disease 1997-02
[32] 서적 Peroxisomes: Biology and Importance in Toxicology and Medicine http://books.google.[...] CRC Press 2014-10-21
[33] 웹인용 Fatty Acid Oxidation http://oregonstate.e[...] 2014-10-21
[34] 서적 레닌저 생화학 월드사이언스 2010-05-30
[35] 저널 Disorders of fatty acid oxid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