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칸센 E5계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칸센 E5계 전동차는 E2계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최고 320km/h의 속도로 운행하는 일본의 고속 열차이다. 2009년에 시험 제작 차량이 공개되었고, 2011년부터 도호쿠 신칸센의 하야부사, 하야테, 야마비코, 나스노 열차에 투입되었다. E5계는 10량 편성으로, 세 가지 등급의 객실(그란클래스, 그린샤, 일반실)을 갖추고 있으며, 풀 액티브 서스펜션, 차체 경사 시스템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되었다. H5계는 홋카이도 신칸센에서 운행되는 E5계의 파생 모델로, 2014년부터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 신칸센 - 세이칸 터널
    세이칸 터널은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총 연장 53.85km의 해저터널로, 전략적 목표에서 시작되어 도야마루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본격화, 1조 1,000억 엔의 건설비를 들여 1988년 개통되었으며, 현재 홋카이도 신칸센이 운행 중이고 통신 및 송전 통로 역할도 수행한다.
  • 홋카이도 신칸센 - 삿포로역
    삿포로역은 홋카이도 삿포로시에 위치한 JR 홋카이도 철도역이자 삿포로 시영 지하철 환승역으로, 홋카이도 주요 교통 중심지 역할과 대규모 상업시설 연결, 홋카이도 신칸센 종착역 건설 예정 등으로 교통 중심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미니 신칸센
    미니 신칸센은 일본에서 기존 협궤 선로를 표준궤로 개궤하여 신칸센과 직통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며, 야마가타 신칸센과 아키타 신칸센에 적용되어 건설 비용 절감 등의 장점이 있으나, 속도 제한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E8계 전동차
    야마가타 신칸센에 투입하기 위해 개발된 신칸센 E8계 전동차는 E6계를 기반으로 산업 디자이너 오쿠야마 기요유키가 디자인을 담당하여 2023년부터 도입되어 기존 E3계를 대체하고 최고 속도 향상 및 좌석 개선 등을 통해 서비스 향상을 목표로 하며, 야마가타현의 자연을 모티브로 디자인된 외관과 그린샤와 보통차로 구성된 객실을 갖추고 2026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신칸센 E5계 전동차
개요
E5계 U15 편성 (2022년 5월 18일 오미야 역)
E5계 U15 편성 (2022년 5월 18일 오미야 역)
H5계 H1 편성
H5계 H1 편성, 2022년 6월
기본 정보
이름E5계 및 H5계
원어 이름E5系 및 H5系 (E5-kei 및 H5-kei)
별명신칸센 E5계 및 H5계 전동차
운행 정보
운행 시작E5계: 2011년 3월 5일
H5계: 2016년 3월 26일
운행 종료미정 (현재 운행 중)
운행 노선도호쿠 신칸센 (E5계)
홋카이도 신칸센 (H5계)
뭄바이-아메다바드 고속철도 회랑 (2026년 예정, E5계 기반)
소속 회사동일본 여객철도 (E5계)
홋카이도 여객철도 (H5계)
국립 고속철도 공사 (2026년 예정, E5계 기반)
차량 기지센다이 (E5계)
홋카이도 (H5계)
대체 차량E2계
E4계
병결 운행E3계
E6계
E8계
차량 정보
제작 회사히타치 제작소
가와사키 중공업
제작 연도E5계: 2009년 – 현재
H5계: 2014년 – 2015년
제작 수량E5계: 510량 (51편성)
H5계: 40량 (4편성, 1편성은 폐차)
운행 수량E5계: 510량 (51편성)
H5계: 30량 (3편성)
편성10량 (8M2T)
차량 번호E5계: U1–
H5계: H1–H4
수용 인원731명 (일반실 658석, 그린실 55석, 그랑클래스 18석) -> 723명 (일반실 650석, 그린실 55석, 그랑클래스 18석)
차체알루미늄 합금 더블 스킨 구조
차량 길이253 m
차량 폭3,350 mm
차량 높이3,650 mm (팬터그래프 장착 차량: 4,490 mm)
무게453.5 t
가속도1.71 km/h/s (E3계 병결 시: 1.6 km/h/s)
최고 속도320 km/h (모리오카 이남), 260 km/h (모리오카 이북), 160 km/h (재래선 공용 구간)
설계 최고 속도미제공
주전동기3상 유도 전동기 MT207/N-MT207
주전동기 출력300 kW
편성 출력9,600kW
제어 방식IGBT VVVF 인버터 제어
제동 장치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제동 (응하중 장치 포함)
억속 제동 (H5계)
보안 장치DS-ATC
대차E5계: DT209, DT209A (전동차), TR7008, TR7008A (부수차)
H5계: N-DT209 (전동차), N-TR7008, N-TR7008A (부수차, 차체 경사 장치 탑재)
동력 공급가공 전차선을 통한 교류 25,000V, 50Hz
집전 방식팬터그래프
디자인
수상 내역블루리본상 (2012년, E5계)
굿 디자인상 (2011년, 그랑클래스 차량)
기타
참고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모두 E5계와 H5계를 제조함. 가와사키 중공업은 E5계만 제조함.
폐차
폐차 수량H5계 10량 (1편성, H2 편성, 2022년 후쿠시마 지진으로 인한 손상)
보존6량

2. 개발

JR 동일본2000년에 발표한 중기경영계획 '뉴 프론티어 21'에서 '세계 제일의 철도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제시하였다. 이 계획에는 신칸센의 최고 속도를 360km/h로 운전하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2002년 사내에 '신칸센 고속화 추진 프로젝트'를 발족시켰고, 신칸센 고속 시험 전동차인 '파스텍 360'(E954형·E955형)을 개발하여 2005년부터 지상 설비를 포함한 각종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 결과, 환경 대책 및 비용 대비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고 영업 속도를 320km/h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재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의 E5계 전동차가 개발 및 제조되었다. 1편성(10량)당 제조 비용은 약 45억이다.[174] 개발 당시 사용된 캐치프레이즈는 'MADE IN DREAM.', '21세기의 꿈의 초특급을 만들면, 이렇게 되었습니다'였다.

3. 구조

(내용 없음)

3. 1. 차체

차체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중공 트러스 단면의 더블 스킨 구조를 채용했다. 터널 미기압파를 저감하기 위해 차체 높이를 E954계 (FASTECH 360 S)와 동일하게 3650mm로 하고 차체 폭은 3350mm로 했다. 차체 틸팅을 고려하여 차체 측면을 안쪽으로 기울였다.

선두차의 선두 형상은 E954계 8호차의 "애로우 라인"을 기반으로 한 "더블 커스프" 형상으로 하여 터널 미기압파를 저감하고 있다. 또한 선두부(노즈)의 길이를 E954계의 16m에서 약 15m로 단축했다[61]. 선단부에는 연결기를 수납하는 개폐식 연결기 커버가 있으며, 그 하부에 스노우 플라우가 장착되어 있다. 신하코다테호쿠토(新函館北斗) 방향 선두차인 10호차는 다른 형식과의 병결 운전을 위해 전기 연결기가 달린 밀착 연결기와 자동 개폐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캐노피 형상의 운전대 상부에 전조등(4연)과 미등을 갖추고 있으며, 전면에 와이퍼가 2개 장착되어 있지만, 그 중 하나는 비상용으로 평상시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운전대 후부부터 승무원 출입문 사이에는 기기실을 설치했기 때문에 그 사이는 긴 통로가 되어 있다.

양산 선행차인 U1편성에서는 양쪽 선두차(1호차와 10호차)의 운전대 쪽 승무원 출입문이 안쪽으로 열리는 플러그 도어, 객실 출입문이 안쪽으로 닫히는 플러그 도어였지만, 양산차인 U2편성 이후에는 객실 출입문의 안쪽 플러그 도어가 폐지되어 일반적인 미닫이문으로 변경되었다.

차량 측면에는 풀 컬러 LED식 행선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다. E3계 2000번대에 준하며, 열차 종류·좌석 종류 외에도 중간 정차역 등도 표시할 수 있다.

차체의 색상은 미래를 느끼게 하는 선진적인 이미지와 스피드감을 표현하기 위해, E954계 "FASTECH 360 S"를 기반으로 상부는 "토키와 그린"(常盤|토키와일본어), 하부는 "비운 화이트"(飛雲|히운일본어)로 하고, 그 경계가 되는 중앙에 "하야테 핑크"(はやて|하야테일본어)의 띠를 둘렀다[17][18][62]. 선두 차량(1·10호차)에는 를 모티브로 한 로고 마크가 그려져 있다.

H5계도 기본적으로 E5계를 답습하고 있지만, 띠가 라일락, 루피너스, 라벤더 등을 연상시키는 "사이카 퍼플"(彩香|사이카일본어)로 변경되었다[19][20]. 또한, 로고 마크는 1, 3, 5, 7, 10호차의 양쪽 측면(1편성 10곳)에 배치되어 있으며, "홋카이도의 웅대함"과 홋카이도에 날아오는 "흰매"를 모티브로 한 JR 홋카이도 독자적인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63][64].

소음 대책으로서 차체 측면부에 점검 마개를 겸한 판을 설치하여 차체 하반부를 가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차체 연결 부분에는 전주 덮개(全周幌)와 차체간 댐퍼가 장비되어 있어, 소음 저감과 차체간의 흔들림이 저감되었다. 전주 덮개는 캔틸레버 지지방식으로 되어 있어, 지붕 부분과 측면 부분으로 분할되어, 연결시에는 차량의 2위측에 고정되어, 옆 차량의 1위측에 링 기구로 눌러 붙이는 구조가 되어 있다.[193] 또 차체 측면의 대차 부근에는 대차 커버가 채용되어 있다. 대차 커버는 경량화를 위해 카본 파이버 제로 되어 있으며, 흡음재를 채용하는 것으로 소음 저감을 꾀했다[193].

이 열차에 통합된 기술은 JR 동일본이 시험한 Fastech 360S 시험 열차에서 파생되었다. 최초 운행 최고 속도는 300km/h였지만, 2013년 3월 16일 개정된 시간표부터 우츠노미야와 모리오카 구간에서 320km/h으로 상향되었다.[34] 이 열차는 전기식 능동 현가 장치를 갖추고 있다.[9]

H5계는 E5계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최고 운행 속도는 320km/h로 동일하다. 그러나 홋카이도 신칸센에서는 260km/h로 제한되며, 혼슈 본토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해저 세이칸 터널을 통과하는 궤간 가변 선로에서는 160km/h로 제한된다.[10] 모든 차량에는 능동형 현가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틸팅 기능을 통해 곡선 구간에서 최대 1.5도까지 기울어져 4000m 반경의 곡선에서도 최대 속도인 320km/h를 유지할 수 있다.[10] 이 차량들은 선두차에 개선된 제설기, 차량 간 연결부를 보호하는 내구성이 뛰어난 고무,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스테인리스강 하부 프레임(일반적인 알루미늄 하부 프레임 보호 장치에서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업그레이드됨) 등 혹한기 환경을 위한 다양한 개선 사항을 갖추고 있다.[11] 또한 E5계와 비교하여 미세한 실내 디자인 차이도 보인다.[8][12]

3. 2. 주요 기기

차체 연결 부분, 전주 덮개와 차체 간 댐퍼가 장착되어 있다.


바닥 하부 장치는 대차 횡량에서 매달아 소음 대책으로 차체 측면의 밑단 부분에는 점검 덮개를 겸한 막이 판으로 차체 하반부를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차체 연결 부분에는 전주 덮개와 차체 간 댐퍼가 장착되어 소음 감소와 차체 간 흔들림 감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주 덮개는 U27 편성 이전과 U28 편성 이후에 다른 구조가 채용되었다. U27 편성 이전에는 지붕 부분과 측면 부분으로 분할된 외팔 지지 방식이 채용되었다. 연결 시에는 차량의 2위 측에 고정되어 옆 차량의 1위 측에 링크 기구로 밀어붙이는 구조이다. U28 편성부터는 차량 끝에 장착된 서로의 고무제 전주 덮개를 맞닿게 하는 구조로 변경되었다.

또한, 차체 측면의 밑단 부분 대차 부근에는 탄소 섬유제 대차 덮개를 채용하여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65]。흡음재를 사용하여 소음 감소도 도모하고 있다.

3. 2. 1. 대차

E2계의 대차를 기반으로 내구성 및 제동 성능을 강화한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용했다. 제동력 강화를 위해, 이전에는 공압유압변환식이었던 캘리퍼 식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동력대차에 장비)와 캘리퍼 식 차축 디스크 브레이크(부수대차에 장비)를 공압식으로 변경하였다. 또한, 차륜의 휠 부분 양측과 차축에 장착된 브레이크 디스크의 체결 볼트를 내주체결식에서 중앙체결식으로 변경하여 볼트의 부담과 디스크 면의 변형을 최소한으로 억제했다.

대차 형식은 다음과 같다.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속의 H5계는 E5계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대차 형식명에 'N-'이 붙는다.

구분전동대차부수대차선두차 부수대차 (운전대 측)
E5계DT208TR7008TR7008A
H5계N-DT209N-TR7008N-TR7008A



선두차량 운전대 쪽 부수대차(TR7008A, N-TR7008A)에는 레일과 차륜 간의 점착력을 높이기 위한 세라믹 분사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체와 대차 프레임을 토션 바로 연결하여 대차사행동을 억제하는 토션바 식 안티 롤링 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전 차량에는 승차감 향상을 위해 롤러 나사식 풀 액티브 서스펜션과 공기 용수철에 의한 차체 경사 제어 장치가 탑재되었다.[194][195] 액티브 서스펜션은 E2계의 공기식보다 개량된 전자식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회전력으로 좌우의 상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공기 배관이나 탱크가 필요 없어 경량화를 이루었다.[196] H5계 역시 E5계를 기반으로 동일한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10]

3. 2. 2. 집전장치

차량 지붕에 탑재된 PS208형 팬터그래프


영업 최고 속도 증가에 따라 더욱 낮은 소음이 요구되면서, 편성에서 사용하는 팬터그래프는 3호차와 7호차에 탑재된 2기 중 진행 방향 기준 후위에 있는 1기만 사용한다. 이선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12분할 접촉판이 적용된 저소음 팬터그래프를 장비하고 있다. 이 팬터그래프는 E5계의 경우 PS208형[76], H5계의 경우 N-PS208형이다.

이 팬터그래프는 E954형에서 '<'자형 메인 프레임과 일체형 메인 프레임 두 종류의 싱글암 팬터그래프를 시험한 결과 채택된 것으로, E954형에서 사용된 PS9037을 기반으로 한다. 12개로 분할된 접촉판 안에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가선에 부드럽게 추종하며, 팬터그래프 측면의 대형 차음판 외에도 애자 측면에 소형 차음판을 설치하여 소음 발생을 줄이고 있다.

또한 소음 저감을 위해 특고압 인입선은 E2계 0번대와 마찬가지로 차량 내부 천장에 배치했다.

3. 2. 3. 전원·제어기기

주전동기는 농형 3상 유도전동기인 MT207(E5계) 또는 N-MT207(H5계)을 사용한다. 냉각방식은 자기(自己) 통풍이며, 정격출력은 300kW이다. 제어 방식으로는 VVVF 인버터 제어를 채택하고 있다.

팬터그래프는 소음 감소를 위해 편성 당 1기만 사용한다(3호차와 7호차에 탑재된 것 중 진행 방향 후위 측). PS208형(E5계)[76] 또는 N-PS208형(H5계) 싱글 암 팬터그래프를 장착하고 있다. 이는 E954형에서의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채택된 것으로, 12분할된 슬립 플레이트가 전차선에 유연하게 추종하며, 대형 및 소형 방음판을 설치하여 소음을 줄였다. 또한, 소음 저감을 위해 특고압 인입선은 E2계 0번대와 같이 차량 내부 천장에 배치했다.

H5계 전동차는 세이칸 터널 내 연속 내리막 구간 주행을 고려하여 억속 브레이크 기능을 추가로 갖추고 있다.

3. 3. 실내

신칸센 E5계 전동차의 실내는 "여유", "상냥함", "당신의"를 키워드로 하여, 자연의 색을 기본으로 한 따뜻하고 차분한 공간으로 디자인되었다.[61] 실내 디자인, 설비, 그리고 최상위 등급인 그란클래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일반실은 기존 E2계보다 좌석 간격(1040mm)과 폭이 넓어져 더욱 쾌적한 공간을 제공한다. H5계의 경우, 홋카이도의 특색을 살린 독자적인 디자인 요소가 추가되었다.[59]

모든 좌석에는 독서등, 공기 청정기, 풀 컬러 LED식 차내 안내 표시 장치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51][61] 콘센트는 그린샤 전 좌석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반실은 초기 편성의 일부 좌석에서 시작하여 증비분 및 H5계에서는 전 좌석으로 확대 설치되었다.[25][80][79] 이 외에도 휠체어 대응 설비, 다목적실, 짐 보관소, 방범 카메라 등 다양한 편의 및 안전 설비를 갖추고 있다.[51][78]

최상위 등급인 그란클래스는 10호차에 위치하며, 기존 그린샤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한다.[54]

3. 3. 1. 디자인

열차의 외관 디자인은 실험 열차인 Fastech 360S를 기본으로 하며, 상부 차체는 常盤|토키와일본어 녹색, 하부 차체는 飛雲|히운일본어 흰색이며, "하야테" 핑크색 띠로 구분된다.[17][18] H5계의 경우, 이 핑크색 띠는 라일락, 루피너스, 그리고 라벤더 꽃을 연상시키는 彩香|사이카일본어 보라색 띠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홋카이도가 유명한 꽃들이다.[19][20]

일반실 차내(E5계)


그린샤 차내(E5계)


그린샤 차내(H5계)


실내는 "여유", "상냥함", "당신의"를 키워드로 자연의 색을 기본으로 따뜻하고 차분한 공간으로 디자인되었다.[61] 일반실의 시트 간격은 E2계의 980mm에서 1040mm로 확대되었으며, 3인용 시트의 가로 폭도 A·C석은 430mm에서 440mm로, B석은 435mm에서 460mm로 넓어졌다.

H5계는 기본적으로 E5계를 따르면서도, "홋카이도 여행의 서장으로서, 그 이후의 여행에 대한 마음을 연주한다~Prologue of the North Experience~"를 콘셉트로 하여 내장에 독자적인 디자인을 채용했다. 예를 들어 일반차의 바닥 깔개에는 눈의 결정을 디자인하고, 블라인드에는 조몬·아이누 토기를 디자인했다.[59] 오시마 종합진흥국은 차량 내장에 도난삼나무 사용을 요구했으나, 당시 JR홋카이도 내부 문제로 인해 충분히 검토되지 못한 채 차량 발주가 이루어져 실현되지 못했다.[77]

3. 3. 2. 설비

전 좌석에 독서등, 공기 청정기, 풀 컬러 LED식 차내 안내 표시 장치,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51][61] 그린샤는 모든 좌석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반실은 초기 편성의 경우 창가 좌석과 맨 앞뒤 열 좌석에만 설치되었으나, 2015년 이후 증비된 U29편성부터는 모든 좌석에 설치되었다.[25][80] H5계는 처음부터 일반실 모든 좌석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79] 차내 조명은 LED를 사용하며, 이는 H5계와 E5계 후기 증비분(U29편성 이후)에 적용되었다.[79][80]

화장실은 2량당 1곳씩 홀수 호차의 신하코다테호쿠토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각 화장실에는 양변기 2곳, 남성용 소변기 부스 1곳, 세면소 2곳이 있다. 단, 5호차에는 세면소가 1곳만 있다.

배리어 프리 설비로 5호차와 9호차에는 휠체어 대응 설비(출입구 확장, 휠체어 대응 좌석, 핸들식 전동 휠체어 대응 화장실 등)가 마련되어 있다.[51] 또한, 5호차에는 다목적실도 설치되어 있다.

외국인 이용객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2017년 7월부터 2018년 2월에 걸쳐 일반실 짝수 호차의 도쿄 방향 좌석(1번 D·E석)과 9호차 그린샤 데크 공간에 짐 보관소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었다.[78]

보안 강화를 위해 차량 데크에는 방범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51]

객실 출입문과 데크는 그린샤와 그란클래스의 경우 신하코다테호쿠토 방향 차량 끝단 1곳에, 일반실은 각 차량 양쪽 끝단 2곳에 설치되어 있다.

차내 안내 표시 장치


일반실 콘센트

3. 3. 3. 그란클래스

그란클래스 차내


그란클래스(Gran Class)는 기존 그린샤보다 상위 등급인 퍼스트 클래스 좌석이다.[54] 2008년 8월에는 "슈퍼 그린차"(가칭)라는 이름으로 도입 계획이 발표되었으나[54], 2010년 5월 11일에 정식 명칭이 그란클래스로 결정되었다.[81] 디자인 컨셉은 "특별한 여행의 한때를 당신에게 -Exclusive Dream-"을 키워드로 하여 객실과 좌석이 디자인되었다.[81]

그란클래스는 10호차(E514형, Tsc)에 설치되어 있으며, 정원은 18명(3명 × 6열)이다.[54][21] 좌석은 2+1 배열로 배치된 가죽 시트 커버가 있는 전동식 쉘형 시트이다.[21] 좌석 간격은 1300mm이고[20][22], 좌석 폭은 520mm이며 최대 45도까지 젖혀진다.[21]

양산 선행차(S11편성) 제작 당시에는 그란클래스 좌석이 설치되지 않았고 준비 공사만 이루어졌다.[61] 이는 좌석 자체가 개발 중이었고 최종 사양이 2010년 초에 결정되었기 때문이다.[82]

4. 성능

영업 운전에서의 최고 속도는 320km/h이며, 3‰의 오르막 경사에서의 균형 속도는 360km/h이다. 표준 편성은 10량으로 구성되며, 전동차(M)와 부수차(T)의 비율(MT비)은 8:2이다.[75] 기동 가속도는 1.71km/h/s이지만, E3계와 연결하여 운행할 때는 E3계의 성능에 맞춰 기동 가속도를 1.6km/h/s로 조정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곡선 구간 통과 시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기 용수철을 이용한 차체 경사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이를 통해 곡선 바깥쪽 궤도를 따라 차체를 최대 1.5도까지 기울일 수 있으며, 반경 4,000m의 곡선에서도 320km/h의 속도로 주행이 가능하다.[65] 또한 전기식 능동 현가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9]

이 열차에 적용된 기술들은 JR 동일본의 시험 열차였던 Fastech 360S에서 개발된 것이다. 최초 운행 시 최고 속도는 300km/h였으나, 2013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 이후 우츠노미야역과 모리오카역 사이 구간에서 최고 속도가 320km/h로 향상되었다.[34]

10호차 그랜클래스

5. 운행 노선

2011년 11월, 하야테 열차로 운행하는 E5계 U6편성


E5계 전동차는 2011년 3월 5일, 도쿄신아오모리를 잇는 새로운 ''하야부사'' 등급 열차로 처음 운행을 시작했다. 당시 최고 속도는 300km/h였다.[14] 2011년 11월 19일부터는 운행 편성이 늘어나면서 일부 ''하야테'' 및 ''야마비코'' 등급 열차에도 투입되었다. 이 중 ''하야테'' 열차는 E3계 ''코마치'' 열차와 병결하여 운행했으며, 최고 속도는 275km/h로 제한되었다.[15] 이후 2012년 3월 17일 시간표 개정부터는 각역정차 등급인 ''나스노'' 열차에도 일부 투입되기 시작했다.[16]

5. 1. 현재 운행 노선

(2015년 7월 27일 나스시오바라역)]]

E5계와 H5계 전동차는 서로 함께 운행하며,[13] 도호쿠 신칸센홋카이도 신칸센 노선에서 다음 열차 등급으로 운행된다:[14]

E5계는 E6계도쿄역센다이역 - 모리오카역 구간에서 병결 운행이 이루어진다.[157] 운행 최고 속도는 열차 등급 및 구간에 따라 다르다. "하야부사"는 우츠노미야역 - 모리오카역 구간에서 320km/h로 운행한다. "야마비코"는 E8계 "츠바사"와 병결하는 열차에 한해 우츠노미야역 - 후쿠시마역 구간에서 300km/h로 운행하며, 그 외 "하야테"[153], "야마비코"[154], "나스노"에서는 최고 속도 275km/h로 운행된다.[155]

6. 형식

본 계열에 속하는 각 형식명과 그 차종은 다음과 같다. 편성은 전체 4개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동차(중간차)는 홀수차(M1 계열: E515형, E525형)와 짝수차(M2 계열: E526형)로 1유닛을 구성하고, 거기에 선두 및 마지막의 부수차(제어차, T1c, Tsc) 2량을 더하여 10량으로 하고 있다. 편성 기호는 E5계가 U편성, H5계가 H편성이다. 또한, 차호 구분은 E5계, H5계 모두 공통이다.

'''E5계/H5계 전동차 편성 및 형식 (10량 편성)'''

호차형식차종주요 탑재기기 및 객실 설비비고
1E523형 / H523형T1c보통차, 보조 전원 장치, 공기 압축기, 축전지, 변소, 세면소도쿄 방면 제어차 (부수차)
2E526형 / H526형 (100번대)M2보통차, 주 변압기, 주 변환 장치, 변소, 세면소전동차 (중간차)
3E525형 / H525형 (0번대)M1보통차, 주 변환 장치, 집전 장치, 공중 전화, 변소, 세면소전동차 (중간차)
4E526형 / H526형 (200번대)M2보통차, 주 변압기, 주 변환 장치, 변소, 세면소전동차 (중간차)
5E525형 / H525형 (400번대)M1k보통차, 주 변환 장치, 보조 전원 장치, 공기 압축기, 축전지, 휠체어 대응 설비 (넓은 출입문: 1230mm), 다목적실, 차내 판매 준비실, 자동 제세동기 (AED), 휠체어 대응 변소, 변소, 세면소전동차 (중간차)
6E526형 / H526형 (300번대)M2보통차, 주 변압기, 주 변환 장치, 변소, 세면소전동차 (중간차)
7E525형 / H525형 (100번대)M1보통차, 주 변환 장치, 집전 장치, 보조 전원 장치, 축전지, 변소, 세면소전동차 (중간차)
8E526형 / H526형 (400번대)M2보통차, 주 변압기, 주 변환 장치, 변소, 세면소전동차 (중간차)
9E515형 / H515형M1s그린샤, 주 변환 장치, 공기 압축기, 축전지, 휠체어 대응 설비 (변소, 세면소, 넓은 출입문: 1230mm), 서비스 공간, 승무원실(차장실)전동차 (중간차)
10E514형 / H514형Tsc그란클래스, 전동 공기 압축기, 보조 전원 장치, 분할·병합 장치, 전용 어텐던트 준비실신하코다테호쿠토 방면 제어차 (부수차)


7. 편성표

E5계와 이를 기반으로 한 H5계 전동차는 모두 10량 편성으로 구성되며, 8량의 동력차(M)와 2량의 부수차(T) (8M2T)로 이루어진다.[10][26] 열차 진행 방향 기준으로 1호차는 도쿄 방면(남쪽), 10호차는 신아오모리 또는 신하코다테호쿠토 방면(북쪽)에 해당한다.[10][26]

각 편성의 3호차와 7호차에는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1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통상 영업 운전 시에는 둘 중 하나만 사용한다.[10][27]

각 형식별 세부적인 차량 구성, 제원, 설비, 편성 목록 등은 아래 하위 섹션을 참조하라.

7. 1. E5계 (U 편성)

E5계 전동차의 양산차는 10량 편성(8량의 동력차와 2량의 부수차, 8M2T)으로 구성되며, 1호차는 도쿄 방면, 10호차는 신아오모리 방면에 위치한다.[26]

호차 번호12345678910
기호T1cM2M1M2M1kM2M1M2M1sTsc
차량 번호E523E526-100E525E526-200E525-400E526-300E525-100E526-400E515E514
중량 (t)41.9ton45.9ton46ton46.3ton46.1ton46.8ton46.8ton46ton45.8ton42.7ton
정원291008510059100851005518
설비화장실화장실, 공중전화화장실, AED, 공중전화, 휠체어 공간화장실화장실, 휠체어 공간, 차장실style="background: #FFFDF5"|



3호차와 7호차에는 각각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1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영업 운전 시에는 일반적으로 1개만 사용한다.[27]

2023년 10월 기준, 총 51개 편성(U1 ~ U51)이 도입되어 운행 중이다.[39]

편성 번호제조사인도일비고
U1히타치/가와사키 중공업2009년 6월 15일선행 양산 편성, 원래 S11번, 2013년 2월 개조
U2가와사키 중공업2010년 12월 13일정식 생산 편성
U3히타치2011년 1월 31일
U42011년 2월 18일
U52011년 8월 19일
U6가와사키 중공업2011년 9월 27일
U7히타치2011년 10월 13일
U8가와사키 중공업2011년 11월 14일
U92011년 12월 5일
U10히타치2012년 1월 30일
U11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2월 17일
U122012년 4월 2일
U13히타치2012년 4월 26일
U14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5월 31일
U15히타치2012년 6월 11일
U162012년 7월 26일
U17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8월 24일
U182012년 9월 14일
U192012년 10월 12일
U20히타치2012년 11월 22일
U21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12월 25일
U22히타치2013년 1월 31일
U23가와사키 중공업2013년 2월 22일
U24히타치2013년 3월 28일
U25가와사키 중공업2013년 4월 10일
U26히타치2013년 5월 30일
U27가와사키 중공업2013년 6월 7일
U28히타치2013년 7월 26일
U29가와사키 중공업2015년 12월 7일
U30히타치2016년 1월 15일
U31가와사키 중공업2016년 2월 1일
U32히타치2017년 2월 3일
U33가와사키 중공업2017년 1월 16일
U34히타치2017년 10월 13일[40]
U35가와사키 중공업2017년 7월 19일
U362017년 8월 25일
U372017년 9월 21일
U382018년 2월 9일
U39히타치2018년 8월 24일
U402019년 1월 11일
U41가와사키 중공업2018년 3월 23일
U42히타치2019년 2월 4일
U43가와사키 중공업2019년 3월 4일
U44히타치2019년 5월 29일
U452020년 2월 25일
U46가와사키 중공업2021년 9월 21일
U47가와사키 차량2023년 4월 10일
U48가와사키 중공업2023년 6월 12일
U49히타치2023년 6월 23일
U502023년 8월 5일
U512023년 10월 3일


7. 2. H5계 (H 편성)

H5계는 E5계를 기반으로 홋카이도 신칸센 구간 운행을 위해 제작된 차량이다. 최고 운행 속도는 320km/h로 E5계와 동일하지만, 홋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는 260km/h로 제한된다. 특히 혼슈홋카이도를 연결하는 해저 터널인 세이칸 터널 구간에서는 안전상의 이유로 속도가 160km/h로 더욱 제한된다.[10]

모든 차량에는 능동형 현가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틸팅 기능을 통해 곡선 구간에서 차체를 최대 1.5도까지 기울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반경 4000m의 곡선에서도 최고 속도인 320km/h를 유지하며 주행할 수 있다.[10] 홋카이도의 추운 기후와 많은 눈에 대비하기 위해 선두차에는 개선된 제설기가 설치되었고, 차량 간 연결부를 보호하는 고무 부품의 내구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차체 하부의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 재질이 기존 알루미늄에서 내구성이 더 뛰어난 스테인리스강으로 변경되었다.[11] E5계와 비교하여 실내 디자인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8][12]

편성은 "H1"부터 시작하는 10량 편성으로 구성되며, 8량의 동력차(M)와 2량의 무동력 객차(T) (8M2T)로 이루어진다. 열차 진행 방향 기준으로 1호차가 남쪽(도쿄 방면)에 해당한다.[10] 3호차와 7호차에는 각각 N-PS208형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1개씩 설치되어 있다.[10]

H5계 편성 구성, 설비 및 제원[52]
호차12345678910
형식H523형
(T1c)
H526형
(M2)
H525형
(M1)
H526형
(M2)
H525형
(M1k)
H526형
(M2)
H525형
(M1)
H526형
(M2)
H515형
(M1s)
H514형
(Tsc)
번대0번대100번대0번대200번대400번대300번대100번대400번대0번대0번대
좌석 구분보통차그린차그랜클래스
정원 (명)29988598599885985518
설비화장실화장실, 카드식 공중전화화장실, AED, 카드식 공중전화, 휠체어 공간화장실화장실, 휠체어 공간, 차장실style="background:#ff9;"|
탑재 기기APU
CP,BT
MTr,CICI,CPMTr,CICI,APU
CP,BT
MTr,CICI,APU
BT
MTr,CICI
CP,BT
APU
CP,BT
자중 (t)42.1ton46ton46.1ton46.4ton46.3ton46.6ton47.1ton46ton45.9ton42.6ton
유닛1유닛2유닛3유닛4유닛



'''범례'''


  • MTr: 주 변압기, CI: 주 변환 장치, APU: 보조 전원 장치, CP: 공기 압축기, BT: 축전지[52]


총 4개의 H5계 편성이 도입되었으며, 2023년 4월 1일 기준으로 3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H2 편성은 2022년 후쿠시마현 해역 지진 당시 탈선 사고로 인해 심하게 손상되어 2022년 4월에 운행을 중단하고 폐차되었다.[2] 폐차된 H2 편성의 해체 작업은 2022년 12월에 완료되었으며, 일부는 홋카이도 나나에의 신칸센 차량 기지로 옮겨져 직원 훈련용으로 활용될 예정이다.[41]

H5계 편성 목록
편성 번호제조사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H1가와사키 중공업2014년 11월 1일운행 중
H2히타치 제작소2014년 11월 8일2022년 4월2022년 후쿠시마현 해역 지진으로 인한 탈선 사고로 폐차[2]
H3가와사키 중공업2015년 5월 23일운행 중
H42015년 8월 3일


8. 연혁

2009년 5월, 양산에 앞서 제작된 시험 차량 S11편성이 도호쿠 신칸센 센다이 차량소에 반입되어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28][87][88][89] 같은 해 12월 9일 도쿄역에서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되었다.[30][91][92]

2010년 12월, 첫 번째 양산 편성인 U2편성이 센다이 차량소에 도입되었다.[27]

2011년 3월 5일, 도호쿠 신칸센에서 최고 속도 300km/h로 영업 운전을 시작했으며, 이와 함께 최속달 등급인 '하야부사'가 신설되었다.[96][97][98]

2012년 5월, 일본 철도우호회로부터 우수 차량에게 수여하는 블루리본상을 수상했다.[31] 정식 시상식은 같은 해 11월 20일 도쿄역에서 열렸다.[32]

2013년 2월, 시험 제작 차량이었던 S11편성은 양산 차량과 동일한 사양으로 개조되어 U1편성으로 변경되었다.[33] 같은 해 3월 16일 시간표 개정을 통해 우츠노미야-모리오카 구간의 최고 영업 속도가 일본 내 최고 속도인 320km/h로 상향 조정되었다.[34][183]

2014년 4월, JR 홋카이도2016년 개통 예정인 홋카이도 신칸센에서 운행할 차량으로 E5계를 기반으로 한 H5계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7] H5계 첫 편성은 같은 해 10월 하코다테 차량기지로 옮겨졌으며[35], 12월부터 홋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37]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 개통과 함께 H5계가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8. 1. E5계

동일본여객철도(JR 동일본)는 2000년 중기경영계획 '뉴 프론티어 21'에서 신칸센 최고 영업 속도를 360km/h로 운행하는 목표를 포함한 '세계 제일의 철도 시스템 구축'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2002년 '신칸센 고속화 추진 프로젝트'를 발족하고, 고속 시험 차량 파스텍 360(E954형, E955형)을 개발하여 2005년부터 각종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 결과, 환경 문제와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하여 최고 영업 속도를 320km/h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 E5계 전동차가 개발 및 제조되었다. 1개 편성(10량)당 제조 비용은 약 45억이다.[174]

E5계는 도호쿠 신칸센에서 최고 속도 320km/h 운전을 목표로 개발되어 2011년 3월 5일 영업 운전을 시작했으며, 이와 함께 최속달 등급인 '하야부사'가 신설되었다. 열차 애칭 '하야부사'는 공모를 통해 결정되었으며, 'MADE IN DREAM.', '21세기의 꿈의 초특급을 만들면, 이렇게 되었습니다'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사용했다. E2계의 실질적인 후계 차량으로 현재 도호쿠 신칸센의 주력으로 운행 중이다.

운행 초기 최고 속도는 300km/h였으나, 2013년부터 일본 내 최고 속도인 320km/h로 증속 운행을 시작했다. 또한, 그린샤보다 상위 등급인 그란클래스가 처음 도입된 차량이며, 그란클래스는 2011년 굿 디자인 상을 수상했다[58]。 E5계는 2012년 철도우호회로부터 블루리본상을 수상했다.[181][31] 공식 시상식은 2012년 11월 20일 도쿄역에서 열렸다.[182][32]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는 2016년 3월 26일 부분 개통한 홋카이도 신칸센용으로 E5계를 기반으로 한 H5계를 도입했다. H5계는 차체 중앙 띠 색상(아야카 퍼플), 측면 로고, 내장 등에서 E5계와 차이가 있으며[59], JR 동일본 소유 차량과 구별하기 위해 계열명에 'H'가 부여되었다[60]

=== 양산 선행 차량 (S11 편성 → U1 편성) ===

2009년 5월, 양산 선행 차량인 S11편성[84]이 완성되었다[85]。 1~5호차는 히타치 제작소(야마구치현), 6~10호차는 가와사키 중공업(효고현)에서 제작했으며[176][55][29], 센다이항을 통해 해상 운송되어[86] 5월 24일부터[87] 30일까지[86] 하역 후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로 반입되었다.[175][28] 6월 15일부터 센다이 - 기타카미 구간에서 주행 시험을 시작했고[88][89], 10월 17일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 공개 행사에서 전시되었다[90]12월 9일에는 도쿄역에 처음 입선하며 언론에 공개되었다.[177][91][92][30]

2010년 1월 중순부터 E3계 R21편성과[93], 10월 26일부터는 E6계와 연결 시험 주행을 실시했다[94]

2013년 2월 28일부로 양산화 개조를 거쳐 편성 번호가 U1으로 변경되었고[178][33][113][114], 영업 운전에 투입되었다. 초기에는 일반실 일부 좌석 시트가 선행 차량 사양이었으나, 이후 양산차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U1편성은 양산차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 선두차(1, 10호차) 객실 출입문이 플러그 도어 (양산차는 미닫이문)[33]
  • 선두차 대차 커버 최전방 해치 (양산차에는 없음)
  • 운전실 측 창문 선단부 창틀 분할
  • 9호차 차장실 창문 위 물받이
  • 9호차 그린샤 객실 조명
  • 일반실 (1~8호차) 객실 조명
  • 일반실 (1~8호차) 짐 선반(C석 쪽 천장) 독서등 설치


2009년 7월 센다이 종합 차량소의 시험 제작 차량 S11


=== 양산 차량 ===

2010년 5월, 열차 애칭이 '하야부사'로 결정되었다.[201] 11월 22일과 23일, 첫 양산차인 U2편성이 센다이 차량기지에 반입되었다.[95][27] 이후 추가 편성이 도입되어 하코타테 신칸센 차량 센터에도 배치되었다.[179][180]

2011년 3월 5일, 3개 편성이 '하야부사'로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96][97][98] 당시 단독 편성으로 오미야-우츠노미야역 구간 최고 275km/h, 우츠노미야-모리오카역 구간 최고 300km/h로 운행했다. (도쿄-신아오모리 2왕복, 도쿄-센다이 1왕복)[99] 그러나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발생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4월 29일 전선 복구와 함께 운행을 재개했지만, 임시 운행 계획으로 300km/h 운전은 잠시 중단되었다. 이후 7월 9일[100]과 9월 23일[101] 시간표 개정을 통해 순차적으로 300km/h 운행 구간이 복원되었다.

2011년 11월 19일부터 3개 편성이 추가 투입(총 6개 편성)되어 '하야테', '야마비코' 등급에도 투입되었다. 이 열차들은 E3계 0번대와 병결 운행 시 최고 속도가 275km/h로 제한되었다[102]2012년 3월 17일에는 4개 편성 추가(총 10개 편성)로 '나스노' 등급에도 투입되었고[103][104][105], 4월 27일 1개 편성[103], 9월 29일 5개 편성이 추가 투입되었다[106][107]2013년 1월 26일 4개 편성 추가(총 20개 편성)로 E5계 단독 운행 '하야테', '야마비코', '나스노'가 설정되었으나, 최고 속도는 275km/h였다[108]

E6계 "코마치"를 병결하여 320km/h로 운행되는 E5계 (2015년 7월 27일 나스시오바라역)


2013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3개 편성이 추가(총 23개 편성, U1 포함)되었고, 단독 운행 '하야부사'는 우츠노미야역 - 모리오카역 구간에서 최고 속도 320km/h 운전을 시작했다.[183][34] 또한 E6계 '슈퍼 코마치'와의 병결 운행이 시작되었으며[109], 병결 열차는 '하야부사'로 통합되었다. E6계는 E5계와 병결하여 일부 '야마비코', '나스노'에도 운용된다[110][111][112]。 같은 해 9월 28일에는 4개 편성이 추가 투입되어 총 28개 편성이 되었다[115][116]

2014년 3월 15일 시간표 개정으로 아키타 신칸센 병결 차량이 E6계로 통일되면서 '하야부사' 전 열차가 최고 속도 320km/h 운행이 가능해졌다[109][117][118][119][120]4월에는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 관련 세부 계획이 발표되었고[184], JR 동일본 소속 H1편성이 하코타테 신칸센 차량 센터에 배치되었다.[185] 10월 H2편성 반입 후[186] 홋카이도 신칸센 구간(최고 260km/h)[187]2015년 11월 도호쿠 신칸센 구간[188] 시범 운행이 이루어졌다.

2017년 3월 25일에는 도호쿠 신칸센 개업 35주년 기념으로 조에쓰 신칸센 노선에서 특별 운행(니가타 ~ 하치노헤 임시 열차)이 있었다.[189]

이후에도 꾸준히 추가 투입되어 2024년 4월 1일 기준 총 51개 편성이 JR 동일본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에 배치되어 있다。 2024년 3월 16일부터는 야마가타 신칸센 E8계 투입에 따라 '쓰바사'(E3계 2000번대 포함) 병결 '야마비코'에도 투입된다[121]

현재 운행 등급 및 최고 속도는 다음과 같다.

COVID-19 영향으로 인한 이용객 감소 및 편성 조정으로 E3계 0번대와의 병결 운용은 2020년 10월 31일 종료되었다[156]

=== 기술적 특징 ===

차체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의 더블스킨 구조를 채택했다. 터널 미기압파 감소를 위해 차체 높이는 E954형과 같은 3650mm, 차체 폭은 3350mm로 설계했다. 차체 경사(틸팅)를 고려하여 측면이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다.[192]

선두 형상은 E954형 8호차의 '애로우 라인'을 기반으로 한 '더블 카스프' 형태로 터널 미기압파 저감을 도모했으며, 노즈 길이는 E954형의 16m에서 약 15m로 단축했다. 캐노피형 운전대 상부에 전조등(4개)과 미등을 설치했다. 양산 선행차 U1편성은 선두차(1, 10호차) 운전대 쪽 출입문이 플러그 도어였으나, 양산차(U2편성 이후)는 모두 미닫이식으로 통일되었다.

차체 도색은 E954형 'FASTECH 360S'를 기본으로 상부 '토키와 그린', 하부 '비운 화이트'이며, 중앙 경계선에 '하야테 핑크' 띠를 배치했다. (H5계는 '아야카 퍼플' 띠)

8. 2. H5계

2015년 11월 시험 운행 중인 H5계 H1편성


JR 홋카이도는 2014년 4월, 홋카이도 신칸센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 개통에 맞춰 새로 주문한 H5계 열차의 세부 정보를 발표했다.[7] 총 4편성 40량이 도입될 예정이었다.[150][151]

첫 편성인 H1편성은 2014년 10월 8일부터 11일에 걸쳐 가와사키 중공업 차량 컴퍼니에서 출고되어[122][123][124], 13일 하코다테항에 첫 2량이 하역되었다.[125][126] 두 번째 편성(H2편성) 역시 같은 해 10월에 인도되었고[36], 10월 22일까지 총 2편성 20량이 하코다테 종합 차량 기지(현 하코다테 신칸센 종합 차량소)로 옮겨졌다. 11월 1일에는 해당 기지에서 언론에 처음 공개되었다.[127] 2015년 6월까지 예정된 4편성 모두 하역이 완료되었다.[152]

2014년 11월, JR 홋카이도는 열차 측면에 부착될 로고 디자인을 공개했다. 이 로고는 홋카이도의 지형과 섬에 서식하는 흰꼬리수리의 이미지를 결합한 것이다.[19]

H5계(H2편성)
(2015년 11월 17일 모리오카역)


시험 운행은 2014년 12월 1일 하코다테 종합 차량 기지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에서 저속으로 시작되었으며, 신하코다테호쿠토역에서는 환영 행사가 열렸다.[128][129][130][131] 12월 2일부터는 키코나이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 본선에서 본격적인 시험 주행에 들어갔고[132][133], 7일부터는 오쿠쓰가루이마베쓰역까지 구간을 연장하여 처음으로 세이칸 터널을 통과해 혼슈로 진입했다.[134][135] 최고 속도는 단계적으로 올려 12월 13일에 130km/h,[136] 12월 26일에는 260km/h에 도달했다.[37][137][138][139][130][140]

2015년 1월 30일부터 3월 1일까지는 겨울철 성능 검증 시험이 진행되어, 적설 시 주행 안정성, 낙설 영향, 저온 환경에서의 기기 작동, 세이칸 터널 내 기기 영향 등을 확인했다.[141][142][143]

2015년 4월 21일부터 오쿠쓰가루이마베쓰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에서 주행 시험이 재개되었고[144][145][146][147], 5월 24일부터는 신아오모리역까지 구간을 연장하여 신아오모리역에 처음 진입했다.[144][145][146][147][148][149] 해당 구간 시험은 7월 30일에 종료되었고, 가을부터는 승무원 훈련이 시작되었다.[144][147] 신아오모리 이남의 도호쿠 신칸센 구간에서는 2015년 11월부터 시험 운행이 이루어졌다.[38]

오미야역에 진입하는 E6계와 병결된 H5계 H1편성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과 함께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2023년 4월 1일 기준으로 H1, H3, H4 편성 총 3개 편성이 JR 홋카이도 하코다테 신칸센 종합 차량소에 배치되어 운행 중이다. 당초 4개 편성이 있었으나, H2 편성은 2022년 3월 16일 발생한 후쿠시마현 해역 지진으로 인해 폐차되었다. 지진 발생 당시 H2 편성은 "야마비코" 223호로 운행 중이었으며, 후쿠시마역시로이시자오역 사이를 주행 중 탈선했다.

H5계는 E5계와 마찬가지로 E6계와 병결하여 도쿄역・센다이역 - 모리오카역 구간에서 운행된다.[157] 2020년 3월 14일 기준 운행 정보에 따르면, 주로 "하야부사" 3왕복(하행 21・39・95호 / 상행 10・28・42호)과 "야마비코" 하행 1편(223호)에 투입된다. 다만, 차량 검사나 운행 지연 시에는 E5계가 대신 투입될 수 있으며, 성수기 등 필요시 다른 열차 운행에도 사용된다.

9. 향후 계획

E5계는 당초 59개 편성을 투입하여 쓰바사와 코마치를 제외한 도호쿠 신칸센의 모든 정규 열차를 교체할 계획이었다.[170] 그러나 호쿠리쿠 신칸센 가나자와 연장(2014년),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 피해 복구(2020년), 조에츠 신칸센 차량 통일(2022년) 등에 따른 E7계 증비가 우선되면서 E5계 증비는 계획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결과, 2024년 4월 1일 기준으로 51개 편성이 재적 중이다.

홋카이도 신칸센삿포로 연장(개통 시기 미정)에 대비하여, 시리베시 관내의 더 가혹한 기후 조건에 대응할 수 있는 한랭지 사양 차량 개발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있었으나, JR 홋카이도 측은 이를 부인하였다.[171]

한편, E5계를 기반으로 한 차량 24개 편성(일부 자료에서는 25개 편성[172])이 인도의 뭄바이-아마다바드 고속철도 노선에 수출될 예정이다.[44][172] 이 노선은 국립 고속철도 공사 유한회사(NHSRCL)가 뭄바이아메다바드 구간에 건설 중이며, 2026년 6~7월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45][46][173] 첫 6개 편성에 대한 계약은 2024년 3월 말까지 체결될 예정이었다.[45][46]

인도 수출 차량은 현지 환경에 맞춰 일부 사양이 변경된다. 히타치가와사키 중공업인도 철도와 협력하여, 최대 50°C의 고온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공기 조절 장치(HVAC)를 개조하고, 먼지 유입에 대비해 필터 청소 빈도를 늘리는 등의 기술적 조정을 진행 중이다.[47][48][49] 또한, 인도 자체 기술의 바이오 화장실을 탑재하고, 시설 안내는 힌두어와 영어로 제공된다.[47][48] 냉각 장비와 평균 승객 무게(짐 포함)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좌석 수를 줄여 차량 중량을 일본 내 운행 차량과 유사하게 유지할 계획이다.[49] 인도 고속철도 투입 차량의 최고 속도는 350km/h, 정원은 비즈니스 클래스 55명, 스탠다드 클래스 698명으로 예정되어 있다.[173]

10. 기타


  • 도호쿠・홋카이도 신칸센의 검측 업무는 기본적으로 E926형 전동차(East-i)로 수행되지만, 재해 대책 및 예비차 확보 관점에서 E5계의 U28편성에도 검측 장치가 탑재되어 영업 열차로 검측을 실시하고 있다[159]
  • 2011년 4월 29일부터 1호차에 동일본 대지진 부흥 추진 캠페인 스티커가, 10호차에 아오모리 데스티네이션 캠페인의 슬로건인 "힘내라 일본! 힘내라 도호쿠!" 스티커가 부착되었다[160]
  • 2012년 11월 17일에는 조에쓰 신칸센 개업 30주년을 기념하여, 단체 전용 열차 "조에츠 신칸센 개업 30주년 호"가 E5계 U8편성[161]으로 운행되었다. 조에츠 신칸센에서 본 계열이 영업 운전에 투입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162]
  • 2016년 3월 19일부터 E5계 1호차와 10호차에 "Treasureland TOHOKU-JAPAN" 로고 마크 스티커가 순차적으로 부착되고 있다[163]。 이는 2016년도 이후 증비차도 마찬가지다.
  • 2018년 7월 5일 리뉴얼 오픈한 철도박물관에는 E5계 선두차(E514형)의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164][165][166]
  • 차내 차임은 H5계에서도 JR 동일본의 차임을 채용하고 있다. 서로 다른 JR 타사가 공동 개발한 신칸센 차량에서는 유일하게 차내 차임을 통일하고 있다.
  • 2024년 10월 10일부터 2025년 6월 말까지의 예정으로, 도쿄 디즈니씨에 판타지 스프링스가 개업한 것을 기념하여, E5계 U6편성에 "Magical Journey Shinkansen" 래핑이 씌워졌다[169]。 JR 동일본의 신칸센에서 디즈니 래핑을 적용한 차량이 운행되는 것은 2023년 12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운행되었던 E2계 J69편성의 "Magical Dream Shinkansen" 이후이다.
  • 애니메이션 《신칸센 변형 로보 신카리온》 시리즈에 E5계를 기반으로 한 로봇이 등장한다. 1기 《신칸센 변형 로보 신카리온》에서는 "신카리온 E5 하야부사"와 후속기 "신카리온 E5 하야부사 MkII"가 등장했으며, 2기인 《신칸센 변형 로보 신카리온 Z》에서는 "신카리온 Z E5 하야부사"가 등장한다. 또한 H5계를 기반으로 한 "신카리온 H5 하야부사"도 등장하며, 이들 E5/H5계 기반 신카리온은 프랜차이즈의 주요 작품에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福島県沖地震で脱線したままだった新幹線"H5系"...北海道に帰ってきた 社員教育用として車両活用へ https://www.uhb.jp/n[...] 2022-12-12
[2] 웹사이트 福島県沖地震で脱線したH5系H2編成が廃車へ http://fortysonseaso[...] 2022-04-29
[3] 간행물 東北新幹線に導入予定の新型高速新幹線車両(E5系)に係る安全性確認書の交付を行います (9 June 2009) http://www.tht.mlit.[...] MLIT 2009-06-09
[4] 서적 Sanei Shobo Publishing 2009-07
[5] 웹사이트 http://www.jreast.co[...] JR East 2010-05-11
[6] 웹사이트 http://www.iza.ne.jp[...] Sankei News 2009-02-03
[7] 웹사이트 https://www.jrhokkai[...] Hokkaido Railway Company 2014-04-16
[8] 웹사이트 http://www.yomiuri.c[...] The Yomiuri Shimbun 2014-10-13
[9] 웹사이트 NSSMC's Active Suspensions for Railway Cars Are Adopted for Kyushu Railway Company's Cruise Train "Seven Stars in Kyushu" https://www.nipponst[...]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2019-08-01
[10] 간행물 Koyusha Co., Ltd. 2015-07
[11] AV media Special Preview: Hokkaido Shinkansen – Hopes and Challenges http://www3.nhk.or.j[...] NHK 2016-02-28
[12] 웹사이트 http://www.hokkaido-[...] The Hokkaido Shimbun Press 2014-03-13
[13] 웹사이트 Hokkaido Shinkansen inaugurated http://www.railwayga[...] DVV Media International 2016-03-29
[14] 서적 Kotsu Shimbunsha
[15] 웹사이트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1-09-12
[16] 웹사이트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1-12-16
[17] 웹사이트 http://www.jreast.co[...] JR East 2009-02-03
[18] 보고서 50 Years of High Speed Railways – Measures taken by JR East to expand Shinkansen network and increase train speeds https://www.ejrcf.or[...] Japan Railway & Transport Review 2021-04-01
[19] 웹사이트 http://www.jrhokkaid[...] Hokkaido Railway Company 2014-11-20
[20] 웹사이트 http://www.jrhokkaid[...] Hokkaido Railway Company 2014-12-09
[21] 웹사이트 http://www.jreast.co[...] JR East 2010-05-11
[22] 웹사이트 First Introduction of a 1st Class "Super Green Car" (tentative name) for New "Hayate" Shinkansen Trains (E5 Series)! http://www.japanrail[...] JR East 2009-02-03
[23] 웹사이트 JR Hokkaido reveals design of new bullet train series http://ajw.asahi.com[...] The Asahi Shimbun Company 2014-04-17
[24] 간행물 Kotsu Shimbun 2009-08
[25] 웹사이트 http://toyokeizai.ne[...] Toyo Keizai Inc. 2014-06-23
[26] 간행물 Kotsu Shimbun 2011-02
[27] 서적 JRR 2011-10
[28]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09-05-25
[29] 간행물 Kōtsū Shimbun 2009-09
[30]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09-12-11
[31] 웹사이트 http://www.jrc.gr.jp[...] Japan Railfan Club 2012-05-29
[32] 간행물 Koyusha Co., Ltd. 2013-02
[33] 웹사이트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2013-02-28
[34] 서적 Kotsu Shimbunsha 2015-11-18
[35] 웹사이트 H5系が川崎重工から出場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4-10-13
[36] 웹사이트 A complete Hokkaido Shinkansen trainset proudly takes to the rails http://www.hokkaido-[...] The Hokkaido Shimbun Press 2014-11-01
[37] 간행물 Hokkaido Shinkansen H5 series: Test-running proceeds in the snow Koyusha Co., Ltd. 2015-03-01
[38] 웹사이트 H5 series test run on Tohoku Shinkansen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5-11-04
[39] 서적 JR EMU Formations – Winter 2018 Kotsu Shimbunsha 2017-11-15
[40] 간행물 JR rolling stock changes Kotsu Shimbun 2018-03-01
[41] 웹사이트 The "H5 series" Shinkansen, which was derailed in the Fukushima Prefecture Offshore Earthquake, returned to Hokkaido to be used as a vehicle for employee training https://www.uhb.jp/n[...] 2022-12-08
[42] 웹사이트 Earthquake derails Japan's bullet train, cuts supply chains https://asia.nikkei.[...] 2022-04-27
[43] 뉴스 Southbound Tohoku Shinkansen "Yamabiko 223" confirmed derailed; 96 passengers uninjured https://www3.nhk.or.[...] 2022-03-17
[44] 웹사이트 Indian high speed rail project launched by Prime Ministers https://www.railwayg[...] DVV Media International 2017-09-14
[45] 웹사이트 India's first bullet train run likely in June-July 2026: Report https://www.hindusta[...] 2024-03-07
[46] 뉴스 Deal to procure 24 bullet trains from Japan to be concluded by month-end https://timesofindia[...] 2024-03-07
[47] 웹사이트 Japanese companies Hitachi, Kawasaki vying for India's bullet train sets https://www.thehindu[...] 2024-05-20
[48] 웹사이트 IR-DRDO Bio-Toilet System in Indian Railways https://indianrailwa[...] Ministry of Railways
[49] 웹사이트 Based on Japan's Shinkasen technology, will the Mumbai-Ahmedabad Bullet Train adapt to India's hot and humid climate? https://www.financia[...] 2024-09-30
[50] 문서 荷物置き場の設置により、座席数を変更。
[51] 보도자료 東北新幹線に導入予定の新型高速新幹線車両(E5系)に係る安全性確認書の交付を行います。 http://www.tht.mlit.[...] 国土交通省東北運輸局 2009-06-09
[52] 문서 日本鉄道車輌工業会『車両技術』251号(2016年3月)「JR北海道 H5系新幹線電車」pp.8 - 9。
[53] 문서 『東洋電機技報』通巻123号、p.38
[54] 보도자료 新型「はやて」(E5系)に国内初のファーストクラス「スーパーグリーン車(仮称)」を導入!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08-04-08
[55] 뉴스 新型「E5系」来月中旬までに完成 http://www.toonippo.[...] 東奥日報社 2009-05-06
[56] 뉴스 北海道新幹線「H5系」函館へ! 車両、神戸から初出荷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0-08
[57] 뉴스 北海道新幹線H5系に熟練の技 山口の工場で車両製造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2-24
[58] 웹사이트 鉄道車両 https://www.g-mark.o[...] 2024-11-15
[59] 뉴스 北海道新幹線「H5系」、内装には雪の結晶も http://www.yomiuri.c[...] 読売新聞社 2014-04-16
[60] 문서 形式にHのついたJR北海道の車両は、在来線にはJR北海道H100形気動車|H100形気動車が存在する(こちらもJR東日本のJR東日本GV-E400系気動車|GV-E400系がベースとなっている)。
[61] 뉴스 JR東日本 東北新幹線に投入するE5系の車両デザイン発表 交通新聞社 2009-02-05
[62] 보도자료 新型高速新幹線車両(E5系)のデザイン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09-02-03
[63] 보도자료 北海道新幹線用車両H5系のシンボルマーク決定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14-11-20
[64] 뉴스 七飯基地で組み立て 道新幹線H5系 第2編成も近く函館上陸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0-15
[65] 뉴스 JR東日本 新幹線高速化へ量産先行車を製作 交通新聞社 2008-07-31
[66] 문서 「新型新幹線車両"E5系"向け車両情報管理装置"S-TIMS"」 https://www.giho.mit[...] 三菱電機 2010-01-01
[67] 문서 『車両技術』通巻241号、p.4
[68] 문서 『東洋電機技報』通巻123号、p.37
[69] 문서 『車両技術』通巻241号、p.28
[70] 문서 『鉄道ファン』通巻651号 101頁
[71] 서적 『鉄道ピクトリアル2016年10月号臨時増刊号』
[72] 문서 『車両技術』通巻241号、p.27
[73] 문서
[74] 문서 『車両技術』通巻241号、p.23
[75] 간행물 新幹線高速化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07-07-27
[76] 간행물 新幹線用低騒音パンタグラフの開発 http://bunken.rtri.o[...] 鉄道総合技術研究所 2015-10
[77] 뉴스 道南スギ内装の北海道新幹線 幻に JR「木材は使用できない」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04-07
[78] 간행물 JR東日本グループのインバウンド戦略の推進について 〜訪日外国人旅行者の受入れの環境づくりに継続的に取り組んでいます〜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7-05-09
[79] 뉴스 北海道新幹線「H5系」 内部を公開 雪の結晶や乳製品イメージ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1-21
[80] 서적 『鉄道ピクトリアル2016年10月号臨時増刊号』
[81] 간행물 新型高速新幹線車両(E5系)「スーパーグリーン車(仮称)」の正式名称・インテリアデザイン決定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0-05-11
[82] 웹사이트 【開発物語】東北新幹線「グランクラス」 国内最強のサービスを https://web.archive.[...] SankeiBiz 2010-12-14
[83] 간행물 JR東日本 E5系新幹線電車(量産車) 日本鉄道車輌工業会 2011-03
[84] 문서
[85] 뉴스 E5系S11編成仙台港に陸揚げ http://railf.jp/news[...] 交友社 2009-05-25
[86] 뉴스 新型の東北新幹線を搬入 国内最速の時速320キロ http://www.47news.jp[...] 전국신문넷(共同通信社) 2009-05-30
[87] 뉴스 疾走の“長鼻”仙台上陸 東北新幹線新型車両 http://www.kahoku.co[...] 河北新報社 2009-05-25
[88] 뉴스 新幹線「E5系」 走行試験始まる http://www.toonippo.[...] 東奥日報社 2009-06-16
[89] 뉴스 国内最速・新型新幹線E5系が走行試験 仙台駅に初お目見え http://sankei.jp.msn[...] 産業経済新聞社 2009-06-16
[90] 간행물 新潟新幹線車両センター公開! http://www.jrniigata[...] 東日本旅客鉄道新潟支社 2009-10-02
[91] 뉴스 東北新幹線の新型車「E5系」、東京デビュー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09-12-09
[92] 뉴스 E5系が東京へ初入線 http://railf.jp/news[...] 交友社 2009-12-09
[93] 뉴스 E5系+E3系の併合試験が始まる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0-01-26
[94] 뉴스 E5系はやぶさ・E6系こまち初の連結走行試験 https://web.archive.[...] 読売新聞社 2010-10-27
[95] 뉴스 E5系量産車が陸揚げされる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0-11-25
[96] 간행물 東北新幹線 「はやぶさ」 3月5日 デビュー!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0-11-11
[97] 간행물 東北新幹線「はやぶさ」の運転開始日・運転時刻について http://www.jr-sendai[...] 東日本旅客鉄道仙台支社 2010-11-11
[98] 뉴스 E5系“はやぶさ”がデビュー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1-03-06
[99] 간행물 新しい東北新幹線の列車愛称等の決定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0-05-11
[100] 간행물 東北新幹線の一部徐行解除に伴う「特別ダイヤ」への変更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11-06-03
[101] 간행물 東北新幹線全面復旧に伴う「通常ダイヤ」での運転開始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1-08-11
[102] 간행물 東北新幹線「はやぶさ」に投入しているE5系車両を「はやて」「やまびこ」に導入!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1-09-12
[103] 간행물 201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1-12-16
[104] 간행물 201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sendai[...] 東日本旅客鉄道仙台支社 2011-12-16
[105] 간행물 201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秋田支社 2011-12-16
[106] 간행물 2012年9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2-07-06
[107] 간행물 2012年9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sendai[...] 東日本旅客鉄道仙台支社 2012-07-06
[108] 간행물 E5系車両を東北新幹線に追加投入! E2系車両を上越新幹線に投入!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07-11-16
[109] 문서
[110] 간행물 2013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2-12-21
[111] 간행물 2013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sendai[...] 東日本旅客鉄道仙台支社 2012-12-21
[112] 간행물 2013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秋田支社 2012-12-21
[113] 문서
[114] 뉴스 E5系U1編成が新幹線総合車両センターから出場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3-03-01
[115] 간행물 2013年9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3-07-05
[116] 간행물 2013年9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秋田支社 2013-07-05
[117] 간행물 201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3-12-20
[118] 간행물 201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sendai[...] 東日本旅客鉄道仙台支社 2013-12-20
[119] 간행물 201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moriok[...] 東日本旅客鉄道盛岡支社 2013-12-20
[120] 간행물 201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秋田支社 2013-12-20
[121] 간행물 202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3-12-15
[122] 뉴스 これが北海道新幹線車両 きょうにも神戸から搬出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0-08
[123] 뉴스 函館行きH5系、神戸の運河進む 北海道新幹線、初の搬出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0-09
[124] 뉴스 H5系が川崎重工から出場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4-10-12
[125] 뉴스 北海道新幹線H5系、来月13日函館入り JR準備着々、担当部署新設へ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09-26
[126] 뉴스 「H5系」新幹線、北海道へ初上陸…海上輸送で http://www.yomiuri.c[...] 読売新聞社 2014-10-14
[127] 뉴스 フル編成、堂々 北海道新幹線、線路に 七飯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1-01
[128] 간행물 北海道新幹線(奥津軽いまべつ・新函館北斗間)の平成26年度列車走行試験について http://www.jrtt.go.j[...] 鉄道建設・運輸施設整備支援機構 2014-10-01
[129] 뉴스 北海道新幹線「H5系」が走行試験開始 車両基地から新函館北斗を往復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2-01
[130] 뉴스 北海道新幹線、試験走行始まる 新函館北斗駅でセレモニー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社 2014-12-01
[131] 뉴스 北海道新幹線 試験走行始まる http://www3.nhk.or.j[...] 日本放送協会 2014-12-01
[132] 뉴스 木古内駅、初めまして 北海道新幹線H5系、営業区間を走行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2-02
[133] 뉴스 北海道新幹線:初めて木古内駅に 「H5系」車両 http://mainichi.jp/s[...] 毎日新聞社 2014-12-02
[134] 뉴스 北海道新幹線、海峡を抜け青森に 青函トンネルで走行試験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2-07
[135] 뉴스 北海道新幹線の車両、初めて青函トンネルを通過 http://www.yomiuri.c[...] 読売新聞社 2014-12-07
[136] 뉴스 北海道新幹線:H5系車両で速度130キロ試験 http://mainichi.jp/s[...] 毎日新聞社 2014-12-13
[137] 간행물 北海道新幹線(新青森・新函館北斗間)速度向上試験における260km/h達成のお知らせ http://www.jrtt.go.j[...] 鉄道建設・運輸施設整備支援機構 2014-12-26
[138] 뉴스 北海道新幹線H5系、初の260キロ走行へ 26日の走行試験で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2-12
[139] 뉴스 北海道新幹線、時速260キロ達成 新函館北斗―木古内間で試験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2-26
[140] 뉴스 北海道新幹線「H5系」試験走行、12月1日から 来年3月まで厳冬期の性能確認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0-02
[141] 간행물 北海道新幹線 冬期対策設備の概要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15-01-15
[142] 간행물 北海道新幹線の「冬期性能検証」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15-02-12
[143] 뉴스 北海道新幹線H5系、今冬の走行試験終了 61日間延べ9000キロ http://dd.hokkaido-n[...] 北海道新聞社 2015-03-02
[144] 간행물 北海道新幹線の開業準備に関する今後の取り組み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14-09-10
[145] 간행물 北海道新幹線(新青森・新函館北斗間)の平成27年度列車走行試験について http://www.jrtt.go.j[...] 鉄道建設・運輸施設整備支援機構 2015-02-20
[146] 뉴스 北海道新幹線 全線で走行試験実施へ 新函館北斗-新青森 http://dd.hokkaido-n[...] 北海道新聞社 2015-04-21
[147] 뉴스 H5系 全線通し走行試験 北海道新幹線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5-05-18
[148] 뉴스 北海道新幹線H5系車両、新青森駅に初乗り入れ 沿線自治体関係者ら歓迎 http://dd.hokkaido-n[...] 北海道新聞社 2015-05-24
[149] 뉴스 北海道新幹線の試験走行、新青森駅に初乗り入れ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5-05-24
[150] 뉴스 北海道新幹線4編成40両、年内に納入開始 JR社長会見、総額180億円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03-13
[151] 뉴스 北海道新幹線車両、函館港に10月陸揚げ 今年まず20両、基地へ陸送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03-19
[152] 뉴스 北海道新幹線H5系車両、陸揚げ終盤 函館港 http://dd.hokkaido-n[...] 北海道新聞社 2015-06-25
[153] 문서
[154] 문서
[155] 문서
[156] 뉴스 さらば「初代こまちカラー」 定期運用廃止の元・秋田新幹線E3系 今後どうなる? https://trafficnews.[...] 2020-11-10
[157] 간행물 新幹線H5系、会いたいけれど… 新函館北斗発着1日わずか4本 http://dd.hokkaido-n[...] 2016-02-19
[158] 웹사이트 福島県沖地震で脱線したままだった新幹線"H5系"…北海道に帰ってきた 社員教育用として車両活用へ https://www.uhb.jp/n[...] 2022-12-08
[159] 웹사이트 新幹線における営業列車への慣性正矢軌道検測装置の搭載 http://library.jsce.[...] 土木学会第70回年次学術講演会 2015-09-18
[160] 문서
[161] 뉴스 団体臨時列車「上越新幹線開業30周年記念号」,E5系で運転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2-11-18
[162] 웹사이트 上越新幹線大宮〜新潟間開業30周年記念イベントの開催について http://shinkansen-ye[...] 東日本旅客鉄道新潟支社 2012-09-12
[163] 간행물 東北新幹線車両に 「Treasureland TOHOKU-JAPAN」ロゴマークを貼り付けます。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6-03-18
[164] 문서
[165] 뉴스 鉄道博物館、新館誕生で進化! 本物?のE5系「はやぶさ」、歴史的新幹線も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18-06-26
[166] 뉴스 たった1両だけ製造「特殊用途のE5系新幹線」とは “一度も走ったことがない” 異端車両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23-08-27
[167] 뉴스 地震で廃車の新幹線 異色の「第二の人生」を歩んでいた!? 解体免れた活用先とは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23-05-25
[168] 웹사이트 JR北海道グループ 2021年度決算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株式会社 2022-05-01
[169] 웹사이트 特別車両「Magical Journey Shinkansen」が10月10日(木)より運行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2024-10-02
[170] 뉴스 青森延伸で東北新幹線刷新 新型E5系に統一、2階建て「MAX」姿消す http://sankei.jp.msn[...] 産経新聞社 2009-02-12
[171] 뉴스 新幹線札幌延伸時は新型車両 寒冷地対策強化、JR北海道検討 http://dd.hokkaido-n[...] 北海道新聞社 2016-05-21
[172] 문서 Indian Railways to order 25 high speed trains http://www.railwayga[...] 2017-09-08
[173] 웹사이트 MAHSRプロジェクト運営計画 {{!}} NHSRCL https://nhsrcl.in/ja[...] 2023-03-21
[174] 문서
[17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09-05-24
[176] 서적 Kōtsū Shimbun 2009-09
[17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09-12-11
[178] 웹인용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2013-02-28
[179] 뉴스 「H5系」新幹線、北海道へ初上陸…海上輸送で http://www.yomiuri.c[...] 読売新聞社 2014-10-20
[180] 뉴스 フル編成、堂々 北海道新幹線、線路に 七飯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1-01
[181] 웹인용 http://www.jrc.gr.jp[...] Japan Railfan Club 2012-05-29
[182] 서적 Koyusha Co., Ltd. 2013-02
[183] 서적 Kotsu Shimbunsha 2015-11-18
[184] 간행물 北海道新幹線用車両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14-04-16
[185] 웹인용 H5系が川崎重工から出場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4-10-13
[186] 웹인용 http://www.hokkaido-[...] The Hokkaido Shimbun Press 2015-01-16
[187] 서적 Koyusha Co., Ltd. 2015-03
[188] 웹인용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5-11-04
[189] 웹인용 直通列車 乗り換えなしでラクラク E5系で行く「岩手・青森」の旅 ~東北新幹線の開業35周年記念!~ http://www.jreast.co[...] [[동일본여객철도]] 2017-06-13
[19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jreast.co[...] JR East 2009-02-03
[19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jrhokkaid[...] Hokkaido Railway Company 2014-12-09
[192] 문서 『鉄道ジャーナル 2009년 10월호』 鉄道ジャーナル사 2009년
[193] 문서 鉄道のテクノロジー 5 新幹線2011 三栄書房
[194] 문서 『鉄道ダイヤ情報』2011年2月号 交通新聞社 2011년
[195] 간행물 新幹線高速化について http://www.jreast.co[...] JR東日本プレスリリース 2007年7月27日付
[196] 서적 鉄道のテクノロジー 5 新幹線2010 [[三栄書房]]
[197] 뉴스 JR東日本 新幹線高速化へ量産先行車を製作 交通新聞(交通新聞社) 2008年7月31日付
[198] 서적 鉄道のテクノロジー 5 新幹線2010 [[三栄書房]]
[199] 서적 鉄道ジャーナル2009年10月号 鉄道ジャーナル社
[200] 잡지 Kōtsū Shimbun 2011-02
[201] 서적 JRR 20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