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녕 피아노 소나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녕 피아노 소나타'는 스기이 히카루가 쓰고 우에다 료가 삽화를 그린 소설로, 총 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인공 히카와 나오미와 히로인 에비사와 마후유를 중심으로, 음악과 밴드 활동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작품에는 다양한 록 음악과 클래식 음악이 등장하며, 소설 외에도 만화로도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L노벨 - 사쿠라장의 애완 그녀
    사쿠라장의 애완 그녀는 카모시다 하지메가 집필하고 미조구치 케이지가 삽화를 그린 라이트 노벨 시리즈로, 스이메이 예술대학 부속 고등학교의 기숙사인 사쿠라장을 배경으로 칸다 소라타가 시이나 마시로를 만나 함께 생활하며 벌어지는 일상과 성장, 그리고 사쿠라장 거주자들과 스이코 학생들의 꿈과 사랑, 갈등을 그리는 작품이다.
  • L노벨 - 농림
    농림은 시라토리 시로의 라이트 노벨을 원작으로 하는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농업 고등학교 학생들의 일상과 삼각관계를 다루며, 애니메이션 등으로 제작되었다.
  • 피아노와 피아노 연주자를 소재로 한 작품 - 노다메 칸타빌레
    니노미야 도모코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노다메 칸타빌레》는 지휘자를 꿈꾸는 엘리트 음대생 치아키 신이치와 엉뚱한 천재 피아니스트 노다 메구미의 만남과 성장을 그린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다양한 클래식 음악과 함께 유쾌한 코미디와 감동적인 스토리로 전개되며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다.
  • 피아노와 피아노 연주자를 소재로 한 작품 - 피아노의 숲
    이시키 마코토의 만화 《피아노의 숲》은 숲에서 피아노를 치는 천재 소년 이치노세 카이가 아마미야 슈헤이, 아지노 소스케를 만나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 도전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로, 교육열, 계층 갈등, 예술가의 고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전격 문고 - 건퍼레이드 오케스트라
    건퍼레이드 오케스트라는 플레이스테이션 2로 발매된 3부작 슈팅 게임 시리즈로, 각기 다른 배경과 시나리오를 가진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작의 AI 시스템을 계승하고 3인칭 슈팅 전투 방식, 데이터 연동을 통한 추가 콘텐츠, 다양한 캐릭터 및 독특한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 전격 문고 - 사쿠라장의 애완 그녀
    사쿠라장의 애완 그녀는 카모시다 하지메가 집필하고 미조구치 케이지가 삽화를 그린 라이트 노벨 시리즈로, 스이메이 예술대학 부속 고등학교의 기숙사인 사쿠라장을 배경으로 칸다 소라타가 시이나 마시로를 만나 함께 생활하며 벌어지는 일상과 성장, 그리고 사쿠라장 거주자들과 스이코 학생들의 꿈과 사랑, 갈등을 그리는 작품이다.
안녕 피아노 소나타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사요나라 피아노 소나타
장르음악
청춘
연애
소설
저자스기이 히카루
삽화가우에다 료
출판사미디어 웍스 → 아스키 미디어 웍스
디앤씨미디어
카도카와 미디어 타이완
레이블전격 문고
L노벨
시작일2007년 11월 10일
종료일2009년 10월 10일
권수전 5권 (본편 4권 + 단편집 1권)
만화
원작스기이 히카루
캐릭터 원안우에다 료
작화가아카사카 아카
출판사아스키 미디어 웍스
게재지전격 마오우
레이블전격 코믹스
시작호2011년 4월호
종료호2012년 9월호
권수전 3권

2. 등장인물

히카와 나오미 ()는 본작의 주인공으로, 여자같은 이름이라는 이유로 보통 '나오'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음악 평론가 히카와 테츠로의 아들로, 몇 번 대신 원고를 쓰고 이것이 각종 음악 관계자들에게 인정받기도 한다. 음악 감상과 기계 만지는 것과 같은 인도어(Indoor) 취미를 가지고 있으며, 악기는 자주 만져보긴 하지만 연주는 잘 하지 않는다. 기계 부품을 구하기 위해 가끔 가는 기차로 몇 시간 정도 걸리는 해변의 쓰레기장에서 버려진 피아노를 연주하던 마후유와 만났고, 고등학교 입학 후에 전학 온 마후유와 다시 만나게 되었다. 음악 연습실의 사용권을 두고 마후유와 기타 대결을 벌이며, 이를 계기로 밴드(민속 음악 연구부)에서 활동하게 된다. 파트는 베이스 기타·보컬. 베이스 기타 '아리아프로Ⅲ'를 직접 개조해서 사용하고 있다. 연주 기술은 작중에서 많은 성장을 보이지만, 다른 멤버에 비해 저조하다. 가창력은 꽤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덧붙여, 본명이 밝혀진 것은 2권에서였다. 1권에서는 히카와 나오(桧川ナオ일본어)였다.
에비사와 마후유()는 본작의 히로인. 유명한 오케스트라 지휘자 에비사와 치사토의 딸이며, 동유럽의 국제 콩쿠르에서 사상 최연소 우승 기록을 남긴 천재 피아니스트. 헝가리인 어머니를 둔 혼혈이다. 바흐의 곡을 중심으로 한 레퍼토리와 정확한 리듬, 비판을 받기 쉬운 주법 등이 특징인데, 작가는 글렌 굴드를 마후유의 모델로 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13] 오른손 손가락이 잘 움직이지 않는 것을 이유로 피아노를 중단하고 일렉트릭 기타만을 연주하게 되었다(이 때문에 특이한 피크를 사용한다). 나오미와 같은 고등학교에 전학 온 처음에는 폐쇄적이고 공격적인 태도를 취하지만, 나오미와 기타 승부를 한 이후 조금씩 나아진다. 밴드 이름 '페케테리코'는 마후유가 명명했으며, 이는 본작의 주요 곡인 비틀즈의 'Black Bird'(앨범 The Beatles에 수록)를 헝가리어로 번역한 것이다. 파트는 기타. 펜더 스트라토캐스트의 60년대 빈티지모델을 사용한다.
아이하라 치아키()는 나오미가 어릴 적부터,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모두 같은 반인 친구. 중학생 시절에는 유도에 열중했으며, 현 대회에 출전할 정도의 실력자였지만, 허리 통증으로 그만두었다. 카구라자카 쿄코를 만나 한눈에 반해, 그녀가 필요로 하는 밴드 멤버가 되기 위해 악기를 시작했다. 밝고 곧은 성격으로, 불과 반년만에 쿄코도 인정할 정도의 실력으로 발전했다. 파트는 드럼(원베이스 드럼). 나오미에게는 분명히 호의를 갖고 있지만, 전해지지 않는다.
카구라자카 쿄코()는 나오미의 고등학교 한 학년 선배. 민속 음악 연구부[14] 부장, 밴드 리더. 혁명가를 자칭하는 기교(奇矯)한 인물로, 학교에서도 아주 유명한 인물이다. 언변이 좋고, 훌륭한 연주 실력과 가창력을 겸비, 남녀를 불문하고 반할 만하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수많은 피해자들에게 트라우마를 심어놓을정도의 책략가의 모습을 갖고있어서 여러모로 위험한 인물[15] 마후유를 자신의 밴드에 데려오기 위해 나오미에게 베이스 기타를 쥐어주고 승부를 벌이게 한다. 위의 세 명과 함께 밴드를 완성한다. 파트는 기타·보컬. 검은 깁슨 레스폴을 사용한다. 이것은 아르바이트를 하는 악기점의 점장의 약점을 쥐고 강탈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외전에서 진상이 밝혀진다.
히카와 테츠로()는 나오미의 아버지. 음악 평론가(업계의 빈대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나오미가 여섯 살 때 이혼하고, 그 어떤 집안일도 스스로 잘 하지 못하는 생활 능력 부족자. 에비사와 치사토와는 고등학교·대학교 동기생. 주요 등장 인물 중 유일하게 삽화가 그려져 있지 않다.
에비사와 치사토()는 마후유의 아버지.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지휘자. 미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시카고보스턴의 악단의 상임지휘자를 역임하고 있다. 역시 이혼 경험이 있다. 테츠로가 붙인 '에비칠리(칠리 새우)'라는 별명으로 세상에 불리고 있다.
줄리앙 플로베르(Julien Flaubert)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천재 소년 바이올리니스트. '유리'라는 애칭으로 자주 불린다. 에비사와 치사토와 함께 미국 연주 여행을 돌고 있었으며, 마후유와도 친한 사이이다. 일본어는 완벽. 여자로 착각하기 쉬운 외모로, 자신을 숨기기 위해 자주 여장을 한다.

2. 1. 주요 인물

히카와 나오미 ()는 본작의 주인공으로, 여성스러운 이름 때문에 '나오'라는 애칭으로 불린다.[13] 음악 평론가인 아버지 히카와 테츠로의 영향으로 음악에 대한 조예가 깊지만, 내성적인 성격 탓에 악기 연주에는 소극적이다.[13] 아버지 대신 원고를 쓰기도 하며, 음악 관계자들에게 인정받을 정도의 실력을 갖추고 있다. 해변의 쓰레기장에서 우연히 마후유를 만나고, 고등학교 입학 후 전학 온 마후유와 다시 만나 밴드 활동을 시작하며, 베이스 기타와 보컬을 맡는다.[13] 사용 베이스는 아리아 프로 II MAB-60을 개조한 것이다.
에비사와 마후유 ()는 본작의 히로인으로, 저명한 오케스트라 지휘자 에비사와 치사토의 딸이다.[13] 동유럽 국제 콩쿠르에서 최연소 우승을 기록한 천재 피아니스트였으나, 어떤 사건으로 인해 피아노 대신 일렉트릭 기타를 연주하게 된다.[13] 헝가리인 어머니를 둔 혼혈이며, 글렌 굴드를 모델로 한 캐릭터이다.[13] 바흐를 중심으로 한 레퍼토리와 정확한 리듬, 비판을 받기 쉬운 주법 등이 특징이다. 나오미와의 만남을 통해 밴드 '페케테리코'를 결성하고 기타를 담당한다.[13] 밴드명 '페케테리코'는 헝가리어로 '검은새'를 의미하며, 비틀즈의 'Blackbird'에서 따왔다.[13] 펜더 스트라토캐스터 60년대 빈티지 모델을 사용한다.
아이하라 치아키 ()는 나오미의 소꿉친구로,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같은 반이었다.[13] 유도 유망주였으나 허리 부상으로 은퇴하고, 카구라자카 쿄코에게 반해 밴드에 합류, 드럼을 맡는다.[13] 나오미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지만, 그 마음은 전해지지 않는다.
카구라자카 쿄코 ()는 나오미의 고등학교 선배이자 민속 음악 연구부[14]의 부장이다. 밴드 '페케테리코'의 리더이며, 기타와 보컬을 담당한다.[13] 혁명가를 자처하는 기이한 인물로, 뛰어난 언변과 음악적 재능을 지녔지만, 책략가적인 면모도 보인다.[15] 검은색 깁슨 레스폴을 사용하는데, 이는 아르바이트를 하는 악기점 점장의 약점을 쥐고 강탈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외전에서 진상이 밝혀진다.
히카와 테츠로 ()는 나오미의 아버지로, 음악 평론가이다. 나오미가 여섯 살 때 이혼했으며, 생활 능력이 부족하다. 에비사와 치사토와는 고등학교·대학교 동기생이다.
에비사와 치사토 ()는 마후유의 아버지로,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지휘자이다. 미국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시카고보스턴 악단의 상임 지휘자를 역임했다. 테츠로에게 '에비칠리'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줄리앙 플로베르(Julien Flaubert)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천재 소년 바이올리니스트로, '유리'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에비사와 치사토와 함께 미국 연주 여행을 했으며, 마후유와도 친하다. 일본어에 능숙하며, 여장을 자주 한다.

2. 2. 주변 인물

히카와 테츠로(히카와 데쓰로/桧川 哲朗일본어)는 나오미의 아버지로, 음악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16] 업계에서는 '업계의 빈대'라고 불리기도 한다. 에비사와 치사토와는 고등학교, 대학교 동기이다. 생활 능력이 부족하여 아들 나오미에게 집안일을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16]

에비사와 치사토(에비사와 지사토/蛯沢 千里일본어)는 마후유의 아버지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지휘자이다.[16] 미국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시카고보스턴 악단의 상임 지휘자를 역임했다. 히카와 테츠로와 동기이며, '에비칠리(칠리 새우)'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이혼 경험이 있다.[16]

줄리안 플로베르(Julien Flaubert)는 세계적인 천재 소년 바이올리니스트이다. '유리'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에비사와 치사토와 함께 미국에서 연주 여행을 한 경험이 있다. 마후유와도 친분이 있으며, 일본어에 능통하다. 소녀로 오해받기 쉬운 미모를 가졌으며, 신분을 숨기기 위해 여장을 즐겨 한다.

3. 작중에 등장하는 곡

작품에는 록 음악과 클래식 음악이 다양하게 등장한다.


  • 록 음악


비틀즈는 여러 노래에서 피아노 소나타의 영향을 보여주었다. 척 베리의 Roll Over Beethoven은 베토벤에게 경의를 표하는 곡이다. 더 클래쉬의 London Calling, 데프 레퍼드, 이글스, 지미 헨드릭스성조기, 레드 제플린, 의 Somebody To Love 등이 이 작품에 영향을 받은 록 음악으로 언급된다.

  • 클래식 음악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토카타와 푸가 라단조,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영국 조곡, 마태오 수난곡,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파르티타 제2번 다단조, 푸가의 기법, 음악의 헌정, 골드베르크 변주곡, 이탈리아 협주곡 등이 작중에 등장한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12번 내림가장조 <장송>, 에로이카 변주곡, 피아노 협주곡 2번 내림나장조, 피아노 소나타 26번 마장조 《고별》, 피아노 소나타 30번 마장조, 피아노 협주곡 5번 내림마장조 <황제>, 바이올린 협주곡, 바이올린 소나타 9번 가장조 <크로이처>, 교향곡 9번 라단조 《합창》, 바이올린 소나타 5번 바장조 <봄>, 피아노 소나타 31번 내림가장조, 피아노 소나타 29번 내림나장조 <함머클라이비어>, 바이올린 소나타 7번 다단조 등이 언급된다. 특히, 피아노 소나타 26번 마장조 《고별》은 이 작품의 제목의 유래가 되었다.

프레데리크 쇼팽의 연습곡 작품10 3번 마장조 <이별의 곡>, 연습곡 작품10 12번 다단조 <혁명>, 피아노 소나타 2번 내림나단조 <장송>, 연습곡 작품25 9번 사장조 <나비들>이 등장한다.

안토닌 드보르자크교향곡 9번 마단조 《신세계에서》, 교향곡 3번 마장조, 교향곡 5번 바장조가 작중에 등장한다.

프란츠 리스트헝가리 광시곡 2번 올림다단조, 파가니니에 따른 대연습곡 1번 트레몰로가 언급된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작은 별 변주곡, 피가로의 결혼, 가짜 여정원사에서 <당신이 버려도 내 마음은 변하지 않는다>, 아베 베룸 코르푸스가 등장한다.

이 외에도 밀리 발라키레프이슬라메이, 알반 베르크의 바이올린 협주곡, 요하네스 브람스헝가리 무곡, 하이든 주제에 따른 변주곡, 대학 축전 서곡, 교향곡 4번 마단조, 피아노 협주곡 2번 내림나장조, 안톤 브루크너의 교향곡,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의 아우리스의 이피게네이아에서 <오오, 나의 사랑하는 딸아>, 샤를 구노의 아베 마리아, 샤를 루이 아농의 연습곡 43번, 아르튀르 오네게르의 크리스마스 칸타타, 교향적 단장 1번 《퍼시픽 231》, 레오시 야나체크의 현악 4중주 1번 《크로이처 소나타》, 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라 마르세예즈, 펠릭스 멘델스존한여름 밤의 꿈, 올리비에 메시앙새의 카탈로그, 모데스트 무소륵스키의 전시회의 그림, 니미 도쿠히데의 들리다(聞こえる), 자크 오펜바흐천국과 지옥에서 갤럽, 자코모 푸치니토스카에서 <별은 빛나건만>, 라 보엠에서 로돌프의 모티프, 투란도트에서 <아무도 잠들지 못하리>, 모리스 라벨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피아노 협주곡 2번 다단조, 파가니니 주제에 따른 광시곡, 에리크 사티의 스포츠와 기분전환 16번 <탱고>, 장 시벨리우스핀란디아, 요한 슈트라우스 1세라데츠키 행진곡, 이고리 스트라빈스키의 불새,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의 만프레드 교향곡, 현악 세레나데, 주세페 베르디리골레토에서 <여자의 마음>, 안토니오 비발디바이올린 협주곡집 《화성과 창의에 대한 시도》 제1곡 마장조 <봄>, 리하르트 바그너니벨룽의 반지 등이 작중에 등장한다.

3. 1. 록 음악

비틀즈는 여러 노래에서 피아노 소나타의 영향을 보여주었다. 척 베리의 Roll Over Beethoven은 베토벤에게 경의를 표하는 곡이다. 더 클래쉬의 London Calling, 데프 레퍼드, 이글스, 지미 헨드릭스성조기, 레드 제플린, 의 Somebody To Love 등이 이 작품에 영향을 받은 록 음악으로 언급된다.

3. 2. 클래식 음악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토카타와 푸가 라단조,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영국 조곡, 마태오 수난곡,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파르티타 제2번 다단조, 푸가의 기법, 음악의 헌정, 골드베르크 변주곡, 이탈리아 협주곡 등이 작중에 등장한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12번 내림가장조 <장송>, 에로이카 변주곡, 피아노 협주곡 2번 내림나장조, 피아노 소나타 26번 마장조 《고별》, 피아노 소나타 30번 마장조, 피아노 협주곡 5번 내림마장조 <황제>, 바이올린 협주곡, 바이올린 소나타 9번 가장조 <크로이처>, 교향곡 9번 라단조 《합창》, 바이올린 소나타 5번 바장조 <봄>, 피아노 소나타 31번 내림가장조, 피아노 소나타 29번 내림나장조 <함머클라이비어>, 바이올린 소나타 7번 다단조 등이 언급된다. 특히, 피아노 소나타 26번 마장조 《고별》은 이 작품의 제목의 유래가 되었다.

프레데리크 쇼팽의 연습곡 작품10 3번 마장조 <이별의 곡>, 연습곡 작품10 12번 다단조 <혁명>, 피아노 소나타 2번 내림나단조 <장송>, 연습곡 작품25 9번 사장조 <나비들>이 등장한다.

안토닌 드보르자크교향곡 9번 마단조 《신세계에서》, 교향곡 3번 마장조, 교향곡 5번 바장조가 작중에 등장한다.

프란츠 리스트헝가리 광시곡 2번 올림다단조, 파가니니에 따른 대연습곡 1번 트레몰로가 언급된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작은 별 변주곡, 피가로의 결혼, 가짜 여정원사에서 <당신이 버려도 내 마음은 변하지 않는다>, 아베 베룸 코르푸스가 등장한다.

이 외에도 밀리 발라키레프이슬라메이, 알반 베르크의 바이올린 협주곡, 요하네스 브람스헝가리 무곡, 하이든 주제에 따른 변주곡, 대학 축전 서곡, 교향곡 4번 마단조, 피아노 협주곡 2번 내림나장조, 안톤 브루크너의 교향곡,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의 아우리스의 이피게네이아에서 <오오, 나의 사랑하는 딸아>, 샤를 구노의 아베 마리아, 샤를 루이 아농의 연습곡 43번, 아르튀르 오네게르의 크리스마스 칸타타, 교향적 단장 1번 《퍼시픽 231》, 레오시 야나체크의 현악 4중주 1번 《크로이처 소나타》, 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라 마르세예즈, 펠릭스 멘델스존한여름 밤의 꿈, 올리비에 메시앙새의 카탈로그, 모데스트 무소륵스키의 전시회의 그림, 니미 도쿠히데의 들리다(聞こえる), 자크 오펜바흐천국과 지옥에서 갤럽, 자코모 푸치니토스카에서 <별은 빛나건만>, 라 보엠에서 로돌프의 모티프, 투란도트에서 <아무도 잠들지 못하리>, 모리스 라벨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피아노 협주곡 2번 다단조, 파가니니 주제에 따른 광시곡, 에리크 사티의 스포츠와 기분전환 16번 <탱고>, 장 시벨리우스핀란디아, 요한 슈트라우스 1세라데츠키 행진곡, 이고리 스트라빈스키의 불새,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의 만프레드 교향곡, 현악 세레나데, 주세페 베르디리골레토에서 <여자의 마음>, 안토니오 비발디바이올린 협주곡집 《화성과 창의에 대한 시도》 제1곡 마장조 <봄>, 리하르트 바그너니벨룽의 반지 등이 작중에 등장한다.

4. 미디어 믹스

4. 1. 소설

안녕 피아노 소나타 1일본어판2007년 11월 10일한국어판2009년 2월 10일2さよならピアノソナタ2일본어
안녕 피아노 소나타 2일본어판2008년 3월 10일한국어판2009년 5월 10일3さよならピアノソナタ3일본어
안녕 피아노 소나타 3일본어판2008년 8월 10일한국어판2009년 7월 10일4さよならピアノソナタ4일본어
안녕 피아노 소나타 4일본어판2008년 12월 5일한국어판2009년 9월 10일외전さよならピアノソナタencore pieces일본어
안녕 피아노 소나타 encore pieces일본어판2009년 10월 10일한국어판2010년 2월 10일


4. 2. 만화

스기이 히카루(원작), 우에다 료(캐릭터 원안), 아카사카 아카(작화)의 『안녕 피아노 소나타』는 아스키 미디어 웍스의 전격 코믹스를 통해 발매되었으며, 전 3권이다.[9][10][11]

5. 한국어판 출판 정보

wikitable

순번제목발행일ISBN
1안녕 피아노 소나타 12009년 2월 10일
2안녕 피아노 소나타 22009년 5월 10일
3안녕 피아노 소나타 32009년 7월 10일
4안녕 피아노 소나타 42009년 9월 10일
외전안녕 피아노 소나타 encore pieces2010년 2월 10일


참조

[1] 서적 このライトノベルがすごい!2009 宝島社 2008-12-06
[2] 서적 おすすめ文庫王国 2008 本の雑誌社 2008-12-10
[3] 간행물 電撃文庫総合目録2015 2015-10-04
[4] 웹사이트 "さよならピアノソナタ"杉井光 [電撃文庫] https://www.kadokawa[...] KADOKAWA 2024-10-26
[5] 웹사이트 "さよならピアノソナタ2"杉井光 [電撃文庫] https://www.kadokawa[...] KADOKAWA 2024-10-26
[6] 웹사이트 "さよならピアノソナタ3"杉井光 [電撃文庫] https://www.kadokawa[...] KADOKAWA 2024-10-26
[7] 웹사이트 "さよならピアノソナタ4"杉井光 [電撃文庫] https://www.kadokawa[...] KADOKAWA 2024-10-26
[8] 웹사이트 "さよならピアノソナタ encore pieces"杉井光 [電撃文庫] https://www.kadokawa[...] KADOKAWA 2024-10-26
[9] 웹사이트 "さよならピアノソナタ(1)"赤坂アカ [電撃コミックス] https://www.kadokawa[...] KADOKAWA 2024-10-26
[10] 웹사이트 "さよならピアノソナタ(2)"赤坂アカ [電撃コミックス] https://www.kadokawa[...] KADOKAWA 2024-10-26
[11] 웹사이트 "さよならピアノソナタ(3)"赤坂アカ [電撃コミックス] https://www.kadokawa[...] KADOKAWA 2024-10-26
[12] 문서 제목의 '안녕'은 만나서 반갑다는 의미의 안녕이 아니라, 작별을 고하는 안녕이며, 이것은 [[루드비히 판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26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26번 <고별>]]의 의미이기도 하다. 참고로, 피아노 소나타 26번에는 작별의 의미도 있지만, '다시 만나자'는 의미도 있다.
[13] 문서 2권 작가 후기
[14] 문서 약칭은 '민음({{lang|ja|民音|민온}})'인데, 당초 밴드의 이름을 이렇게 쓰려고 하자 식당 이름 같다는 나오미의 반박에, 쿄코는 뒤에 '!'를 붙이자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것은 만화 [[케이온!]]의 패러디로 보인다.
[15] 문서 나오의 평가로 말하자면 '선배에게 승부방법을 정하게 하는순간 이미 진것이나 다름없다.'라고. 이런 부분은 작품 전체에 걸쳐서 여러번 등장한다.
[16] 문서 외전 작가 후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