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러 언어에서의 파랑과 녹색의 구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러 언어에서의 파랑과 녹색의 구별'은 언어별로 파란색과 녹색을 구분하는 방식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문서이다. 한국어는 '푸르다'라는 단어로 파란색과 초록색을 모두 아우르며, '파랑'과 '초록'은 각각 파란색과 녹색을 명확히 구분한다. 다른 언어에서도 파란색과 녹색을 구분하는 방식이 다양한데, 일부 언어에서는 두 색을 하나의 단어로 표현하거나, 밝고 어두움을 기준으로 파란색을 세분화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는 밝은 파란색과 짙은 파란색을 다른 단어로 표현하며, 일본어의 '아오'는 파란색과 녹색을 모두 아우르는 경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랑 - 분홍과 파란 리본
  • 언어 문화 - 펜은 칼보다 강하다
    "펜은 칼보다 강하다"는 지식, 사상, 언론의 힘이 무력보다 강력함을 의미하는 문구로, 에드워드 불워-리턴의 희곡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여러 기관의 표어로 사용될 정도로 영향력이 크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가짜 뉴스 문제와 함께 책임감 있는 정보 전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언어 문화 - 국제 해적처럼 말하기 날
    국제 해적처럼 말하기 날은 1995년 9월 19일에 시작된 유머 기념일로, 해적의 언어와 문화를 기념하며, 데이브 배리의 홍보와 여러 매체를 통해 널리 알려졌고, 해적 억양 형성에 영향을 미친 배우 로버트 뉴턴과 소설 『보물섬』 또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여러 언어에서의 파랑과 녹색의 구별
개요
주제언어에서의 파랑-녹색 구별
설명일부 언어에서는 파란색과 녹색을 구별하는 별도의 단어가 없고, 대신 두 색상을 모두 포괄하는 단어가 있다.
색상 인지
설명색상 인지는 색채 과학, 신경 과학, 언어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는 주제이다.
인간의 눈인간의 눈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감지하는 원뿔 세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우리는 수백만 가지의 색상을 구별할 수 있다.
색상 범주화인간의 뇌는 이러한 색상 정보를 처리하여 색상 범주를 형성하는데, 이 범주화 방식은 문화와 언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언어별 구별
일반적인 경우대부분의 현대 유럽 언어에서는 파란색과 녹색을 명확하게 구별하는 어휘가 존재한다.
예외웨일스어: '글라스(glas)'는 파란색과 녹색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
베트남어: '찟(xanh)'은 파란색과 녹색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
한국어: '푸르다'는 파란색, 녹색, 검은색을 아우르는 형용사로 사용될 수 있다.
태국어태국어에서는 녹색을 나타내는 다양한 단어가 존재한다. (เขียว, เขียวชอุ่ม, เขียวขจี, เขียวแปร๊ด)
중국어중국어에서는 파란색과 검은색을 아우르는 '青'이라는 단어가 존재한다.
일본어일본어에서는 '青'가 전통적으로 파란색과 녹색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
역사적 관점
호머의 '오디세이아'호머의 '오디세이아'에서는 바다를 '포도주 색(wine-dark)'이라고 표현하는 등, 고대 그리스에서는 색상 구분이 현대와 달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연구
세계 색상 조사전 세계 다양한 언어에서 색상 어휘를 조사하여 색상 인지의 보편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연구한다.
베를린과 케이의 연구베를린과 케이는 색상 명칭이 언어에 따라 다르지만 특정한 진화 단계를 거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추가 정보
참고 문헌폴 케이와 루이사 마피의 연구: '언어 구조 온라인 세계 아틀라스'에서 기본 색상 범주 수를 다룬다.
데이비드 크리스털의 '언어 백과사전': 언어와 색상 인지에 대한 개괄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2. 한국어의 '푸르다'

순우리말인 '푸르다'는 파란색, 초록색이나 그 둘이 섞인 빛을 나타낸다. '푸른 하늘'은 하늘의 파란 빛을, '푸른 숲'은 나무의 초록 빛을 표현한다. 파란색과 초록색을 각각 따로 나타내는 '파랑'(파란색), '초록'('초록색' 또는 '녹색')과 같은 낱말도 있다. 그러나 '초록'은 한국 고유어가 아니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한다. 과거에는 교통 신호를 '파란불'이라 일컫기도 했다. 일부 언어 순수주의자들은 '초록'을 '초랑'으로, '보라'를 '보랑'으로 바꾸어 '초랗다', '보랗다' 등의 활용을 쓸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2. 1. 한국 전통 색상 체계

순우리말인 '푸르다'는 파란색, 초록색이나 그 둘이 섞인 빛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푸른 하늘'은 하늘의 파란 빛을 표현하며, '푸른 숲'은 나무의 초록 빛을 표현한다. 파란색과 초록색을 각각 따로 나타내는 '파랑'(파란색), '초록'('초록색' 또는 '녹색')과 같은 낱말도 있다. 그러나 초록은 한국 고유어가 아니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한다. 과거에는 교통 신호를 '파란불'이라 일컫기도 했다. 일부 언어 순수주의자들은 초록을 '초랑'으로, 보라를 '보랑'으로 바꾸어 '초랗다', '보랗다' 등의 활용을 쓸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3. 다른 언어에서의 파랑-초록 구분

많은 언어에서 파랑과 초록을 구분하는 단어가 존재하지만, 일부 언어에서는 이 둘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거나, 아예 구별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아이누어노랑, 파랑(초록 포함) 이 세 빛깔을 같은 어휘인 '시우닝'으로 표현한다. 이는 한국어에서 '푸르다'라는 한 단어로 파랑과 초록을 모두 아우르는 것과 유사하다.


  • 몽골어는 파랑과 초록을 각각 쳉ㅎ(ㅔ)ㄹ(цэнхер|쳉헤르mon), 넉언(ногоон|너겅mon)으로 구분하는데, 이는 한자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알타이어족은 어두에 ㄹ이 오는 것을 꺼리는 두음 법칙을 적용하기 때문이다.

※ 튀르크어파는 파랑과 초록을 구분하므로 알타이어족에 포함되지 않는다.

  • 에벤어를 사용하는 에벤족은 시베리아에서 파랑과 초록을 함께 사용하는 깃발을 가진 민족 중 하나로, 이들은 두 색을 모두 '촐바나'라는 하나의 어휘로 표현한다. 어웡키어(에벤키어) 역시 마찬가지이다.

3. 1. 영어

영어는 파란색을 나타내는 blue|블루영어와 초록색을 나타내는 green|그린영어이 따로 존재하며, 둘이 섞인 빛은 bluish green|블루이시 그린영어 등으로 나타낸다. 언어학 용어로 제안된 'grue'(그루)는 다른 언어에서 파란색과 초록색을 구별하지 않는 낱말을 영어로 번역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3. 2. 러시아어

러시아어에는 파란색 계열을 통칭하는 낱말이 없다. 대신, 전통적으로 밝은 파란색은 голубой|골루보이ru로, 보통 또는 짙은 파란색은 синий|시니ru로 나타내는 등 명암에 따라서 다른 낱말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기본 색 일곱 가지를 빨간색 - 주황색 - 노란색 - 초록색 - 밝은 파란색(голубой|골루보이ru, 청록색과 다름) - 짙은 파란색(синий|시니ru) - 보라색으로 나타낸다. 한편, 하늘색과 옥색(cyan)을 다른 빛으로 구별하지 않고, 명암이 차이나는 한 가지 빛으로 인식한다. 이는 영어에서 빨간색을 red|레드영어로, 분홍색을 pink|핑크영어로 나타내 구별하는 것과 달리, 한자문화권에서 빨간색(홍색(紅色))과 분홍색(粉紅色)을 공히 빨갛다는 의미를 지닌 '紅'(홍)을 써서 표현하는 것, 즉 명암, 농도가 차이나는 같은 빨간 빛으로 인식하는 것과 비슷하다.

3. 3. 아프리카의 언어

아프리카의 여러 언어에서는 파랑과 녹색을 구별하는 방식이 다양하다.

  • 아마지그어(베르베르어): 파랑을 뜻하는 단어는 azerwal|아제르왈ber이다. 실하어나 카빌어 등 일부 방언에서는 azegzaw|아제그자우ber라는 단어가 녹색과 파랑을 모두 나타내기도 한다. 이는 영어 단어 'azure'(청색)와 어원이 같을 가능성이 있다.
  • 아랍어: 파란색을 뜻하는 단어는 azraq|아즈라크ar이고, 녹색을 뜻하는 단어는 akhḍar|아크다르ar이다. 고전 아랍 시의 일부 방언에서는 하늘의 색깔을 al-khaḍrāʾ|알카드라ar ("녹색")라고 부르기도 한다.
  • 모로코 아랍어: 옅은 파란색은 šíbi|시비ary, 파란색은 zraq|즈라크ary, 녹색은 khḍar|크다르ary이다. zrag|즈라그ary질식한 사람의 색상을 묘사하거나 "멍청한, 바보"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 이집트어: 고대 이집트어 단어 ''와제트''는 파란색, 청록색, 녹색을 모두 포함했다.
  • 히브리어: כחול|카홀he는 파란색, ירוק|야록he은 녹색을 의미한다. 고전 히브리어에서 ירוק|야록he은 녹색과 노란색 모두를 의미할 수 있었다. 히브리어는 밝은 파란색(תכלת|테켈레트he)을 나타내는 별도의 단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 색상은 유대교와 유대 문화에서 특별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3]

3. 3. 1. 아마지그어 (베르베르어)

아마지그어(베르베르어)에서 파랑을 뜻하는 단어는 azerwal|아제르왈ber이다. 실하어 또는 카빌어 등 아마지그어의 일부 방언에서는 azegzaw|아제그자우ber라는 단어가 녹색과 파랑을 모두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는 파랑과 청록색 사이의 색상을 나타내는 영어 단어 'azure'(청색)와 어원이 같을 가능성이 있다.

3. 3. 2. 아랍어

고전 아랍 시의 일부 방언에서는 하늘의 색깔을 "녹색"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al-khaḍrāʾ|알카드라ar이다. 아랍어에서 파란색을 뜻하는 단어는 azraq|아즈라크ar이다. 녹색을 뜻하는 아랍어 단어는 akhḍar|아크다르ar이다.

모로코 아랍어에서는 옅은 파란색을 šíbi|시비ary라고 하며, zraq|즈라크ary는 파란색, khḍar|크다르ary는 녹색을 나타낸다. zrag|즈라그ary질식한 사람의 색상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며, "멍청한, 바보"의 비속어 동의어로도 사용된다.

3. 3. 3. 이집트어

고대 이집트어 단어 ''와제트''는 파란색, 청록색, 녹색 범위를 포괄했다. 이는 하이집트의 수호신인 여신의 이름이었으며, "녹색의 존재"라는 의미의 와제트라는 코브라 또는 같은 이름을 가진 호루스의 눈으로 묘사되었다. 동시에, ''웨제트''는 도자기인 파이앙스에서 이집션 블루를 지칭하는 단어였다.

3. 3. 4. 히브리어

히브리어에서 כחול|카홀he는 파란색을 의미하며, ירוק|야록he은 녹색을 의미한다. 이 두 단어는 "채소"(ירקות|예라코트he)라는 단어와 동일한 셈어 어근 י־ר־קhe (''j-r-q'')를 공유한다. 고전 히브리어에서 ירוק|야록he은 녹색과 노란색 모두를 의미할 수 있었는데, 이 때문에 노란색을 제외한 녹색을 특정하기 위해 ירוק כרישה|야록 카리샤he '파 녹색'(티베리아 히브리어)과 같은 표현이 생겨났다. 러시아어, 이탈리아어와 마찬가지로 히브리어는 하늘과 의례용 의복인 탈리트(tallit)의 치치트(tzitzit)의 색상인 밝은 파란색(תכלת|테켈레트he)에 대한 별도의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이 색상은 유대교와 유대 문화 모두에서 특별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3]

3. 4.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에서는 파랑과 녹색을 구별하는 방식이 다양하다.

  • '''초크토어''': 초크토어에는 okchʋko|옥차코cho와 okchʋmali|옥차말리cho라는 두 단어가 있는데, 시대에 따라 의미가 변해왔다. 초기에는 옥차코가 옅은 파랑 또는 녹색, 옥차말리가 짙은 파랑, 회색, 녹색, 하늘색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었다. 현대에는 밝기 구분 없이 옥차코는 파랑, 옥차말리는 녹색으로 사용된다.[4][5][6][7][8]
  • '''카니엔케하어 (모호크어)''': 카니엔케하카족은 파랑(oruía|오루이아moh), 녹색(óhute|오후테moh) 등 다양한 색에 대한 고유 용어를 가지고 있다. 보라색 용어(arihwawakunéha|주교의 색moh)는 기독교화 이후 만들어진 신조어이다.[9]
  • '''라코타어''': 라코타어에서는 tȟó|토lkt가 파랑과 녹색 모두를 지칭하며, tȟózi|토지lkt (tȟó|토lkt와 zí|지lkt의 혼합)는 녹색에 사용된다.[10]
  • '''마푸둥군어 (마푸체어)''': 마푸체어는 검정(kurü|쿠뤼arn), 파랑(kallfü|칼퓌arn), 녹색(karü|카뤼arn)을 구분한다. karü|카뤼arn는 '익지 않은', '미숙한'이라는 뜻도 있다.[11]
  • '''마야어''': 마야어에서는 파랑/녹색을 나타내는 단일 단어(예: 유카텍 마야어의 yax|파랑/녹색yua)를 사용한다.
  • '''투피어족 언어''': 투피어족 언어들은 원래 파랑과 녹색을 구별하지 않았으나, 스페인어포르투갈어의 영향으로 구별하게 되었을 수 있다. 고대 투피어과라니어의 oby|오비tpn/hovy|호비gn는 파랑과 녹색을 모두 의미했다. 현대 녜엥가투어에서는 녹색에 suikiri|수이키리yrl, 파란색에 iakira/akira|이아키라/아키라yrl를 사용하지만, iakira/akira|이아키라/아키라yrl는 미숙함을, suikiri|수이키리yrl는 파란색을 의미할 수도 있다. 현대 과라니어에서는 hovy|호비gn가 파란색, hovy'û|호비으gn가 녹색에 사용된다.
  • '''예바마사어''': 콜롬비아의 예바마사족은 파랑과 녹색 모두를 지칭하는 단어로 sumese|수메세bsn를 사용한다.[12]

3. 4. 1. 초크토어

초크토어에는 okchʋko|옥차코cho와 okchʋmali|옥차말리cho라는 두 단어가 있으며, 출처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닌다. 1852년에는 okchakko|옥차코cho가 옅은 파랑 또는 옅은 녹색으로 다양하게 번역되었고, okchakko chohmi|옥차코 초미cho는 거무스름한 것으로, okchamali|옥차말리cho는 짙은 파랑, 회색, 녹색 또는 하늘색으로 정의되었다.[4] 1880년에는 okchakko|옥차코cho와 okchʋmali|옥차말리cho가 모두 파랑으로 제시되었으며, 녹색은 특정 색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5] 1892년 사전에서는 okchamali|옥차말리cho는 짙은 파랑 또는 녹색, okchakko|옥차코cho는 옅은 파랑 또는 밝은 녹색, 세 번째 단어 kili̱koba|킬리코바cho는 밝은 녹색(앵무새의 일종인 kili̱kki|킬리키cho와 유사)으로 나타났다.[6] 1915년 바이잉턴 사전에서는 okchako|옥차코cho를 파랑, okchamali|옥차말리cho를 녹색, 파랑, 회색, 푸르른 색으로 제시했다.[7] 2001년 교재에서는 밝기를 기준으로 okchʋko|옥차코cho를 밝은 파랑/녹색, okchʋmali|옥차말리cho를 옅거나 흐린 파랑/녹색으로 구분했다.[8] 오클라호마 초크토 부족 언어 학교에서는 밝기에 대한 구분 없이 okchʋko|옥차코cho를 파랑, okchʋmali|옥차말리cho를 녹색으로 사용하는 것이 현대적인 사용법이다.

3. 4. 2. 카니엔케하어 (모호크어)

아퀴스새스네에 있는 카니엔케하카족의 언어는 베를린-케이 척도의 7단계에 있으며, oruía|파랑moh, óhute|녹색moh, kahúji|검정moh, karákA|흰색moh, atakArókwa|회색moh과 같은 넓은 범위의 스펙트럼 색상과 비스펙트럼 색상에 대한 고유한 용어를 가지고 있다. 한 연구자에 따르면, 보라색에 대한 카니엔케하카어 용어 arihwawakunéha|주교의 색moh는 최근 기독교화 이후에 만들어진 신조어이다.[9] 이 용어가 추가되기 전에 보라색이 어떻게 분류되고 언급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3. 4. 3. 라코타어

라코타어에서 tȟólkt는 파랑과 녹색 모두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tȟózilkt (tȟólkt와 zílkt의 혼합)라는 단어가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zítȟolkt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오렌지색에 zíša/šázilkt(šálkt는 빨강을 의미함)를 사용하는 것과, šátȟo/tȟóšalkt를 자주/보라색에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10]

3. 4. 4. 마푸둥군어 (마푸체어)

마푸체어칠레아르헨티나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검정색은 kurü|쿠뤼arn, 파랑색은 kallfü|칼퓌arn, 녹색은 karü|카뤼arn로 구분한다. karü|카뤼arn는 '익지 않은', '미숙한'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payne|파이네arn이라는 단어는 예전에 하늘색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돌의 푸르스름한 색을 나타내기도 한다.[11]

3. 4. 5. 마야어

마야어에서도 파랑/녹색을 나타내는 단일 단어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카텍 마야어에서 yax|파랑/녹색yua는 파랑/녹색을 의미한다.

3. 4. 6. 투피어족 언어

투피어족 언어들은 원래 파랑과 녹색을 구별하지 않았지만, 현재는 과라니어의 경우 스페인어, 녜엥가투어의 경우 포르투갈어의 영향을 받아 구별하게 되었을 수 있다. 고대 투피어 단어 oby|오비tpn는 파랑과 녹색 둘 다를 의미했으며, 과라니어의 hovy|호비gn도 마찬가지였다. 현대 투피어 (녜엥가투어)에서는 suikiri|수이키리yrl라는 단어를 녹색에, iakira/akira|이아키라/아키라yrl라는 단어를 파란색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iakira/akira|이아키라/아키라yrl는 pakua akira|파쿠아 아키라yrl (녹색 바나나/덜 익은 바나나)와 같이 미숙하다는 의미도 있으며, suikiri|수이키리yrl는 파란색을 의미할 수도 있다. 현대 과라니어에서는 hovy|호비gn라는 단어가 파란색에 사용되고, hovy'û|호비으gn (글자 그대로 "어두운 녹색/파란색"을 의미)라는 단어가 녹색에 사용된다. 녜엥가투어의 akira|아키라yrl와 어원이 같은 aky|아키gn라는 단어도 '녹색/미숙한'을 의미한다.

3. 4. 7. 예바마사어

바우페스 주 남동부 콜롬비아 리오 피라파라나 지역의 예바마사족은 바라사나-에두리아어에서 파랑과 녹색 모두를 지칭하는 단어로 sumese|수메세bsn를 사용한다.[12]

3. 5.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에서는 파랑과 녹색을 구별하는 다양한 방식이 나타난다.

타갈로그어 화자들은 파랑과 녹색을 표현할 때 주로 스페인어 차용어를 사용한다. 파랑은 아술|아술tl (스페인어 azules에서 유래), 녹색은 베르데|베르데tl (스페인어 verdetl에서 유래)이다. 타갈로그어에는 고유 단어인 부그하우|부그하우tl(파랑), 룬티(안)|룬티(안)tl(녹색)도 있지만, 이들은 주로 격식 있는 글이나 문학, 예술 분야에서 사용된다.

자바어의 경우, 현대 자바어는 파랑(birujv)과 녹색(ijojv)을 구별하는 단어를 가지고 있다.[13] 이 단어들은 고대 자바어의 birūkaw와 hijokaw에서 파생되었다.[14] 그러나 고대 자바어에서 birūkaw는 옅은 파랑, 회색빛 파랑, 녹색빛 파랑, 심지어 터키석색까지 의미할 수 있었고, hijokaw는 맑은 물의 청록색을 의미하기도 했다. 현대 자바어의 Birukaw와 ijokaw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의 birums와 hijaums와 같은 어원을 가진다.

마오리어는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에는 파란색과 녹색을 구별하지 않고 'namu'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식물의 초록색이나 새를 묘사하는 단어는 19세기 사전에 주로 나타났다. "파란색"에 대한 묘사는 하늘과 관련되어 발전했으며, 어두운 색조는 검은색에 가깝게 인식되었다.[15]

3. 5. 1. 필리핀어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 화자들은 파랑과 녹색을 표현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스페인어 차용어를 사용한다. 즉, 파랑은 아술|아술tl (스페인어 azules에서 유래), 녹색은 베르데|베르데tl (스페인어 verdetl에서 유래)이다. 이 단어들이 구어체에서 훨씬 더 흔하게 사용되지만, 타갈로그어에는 고유한 단어가 있다. 파랑은 부그하우|부그하우tl, 녹색은 룬티(안)|룬티(안)tl인데, 이는 고풍스럽고 더 미사여구적인 표현으로 여겨진다. 이 단어들은 주로 격식 있는 학술적 글쓰기, 문학, 음악, 시와 같은 예술 분야에서 사용된다.

3. 5. 2. 자바어

현대 자바어는 파랑 birujv과 녹색 ijojv을 구별하는 단어가 있다.[13] 이 단어들은 고대 자바어 birūkaw와 hijokaw에서 파생되었다.[14] 그러나 고대 자바어에서 birūkaw는 옅은 파랑, 회색빛 파랑, 녹색빛 파랑 또는 심지어 터키석색을 의미할 수 있었고, 녹색을 의미하는 hijokaw는 맑은 물의 청록색을 의미할 수도 있었다. 현대 자바어의 Birukaw와 ijokaw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 birums와 hijaums의 동족어로, 둘 다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3. 5. 3. 마오리어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에 마오리어는 파란색과 녹색을 구별하지 않았으며, 두 가지 모두에 ''namu''(예: ''푸''나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반면, 식물의 초록색(예: ''오타'', ''마타'') 또는 새(''카카리키'')를 묘사하는 단어는 19세기 사전에 주로 나타났다. 새롭게 등장한 앵글로 중심의 "파란색"에 대한 묘사는 하늘(''랑기''; 예: ''키코랑기''와 ''카후랑기'')과 관련되어 발전했으며, 어두운 색조는 ''파코''(''팡고''의 변형)와 ''우리우리''와 같이 검은색에 가깝게 인식된다.[15]

3. 6. 드라비다어족 언어

칸나다어는 파랑(ನೀಲಿ|neelikn), 녹색 (ಹಸಿರು|hasirukn), 노랑(ಹಳದಿ|haladikn)을 구별한다. 접두어 ಕಡು-|kadu-kn는 더 어두운 색상을 나타내고, 접두어 ತಿಳಿ-|tili-kn는 밝은 색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ಕಡುನೀಲಿ|kaduneelikn는 어두운/짙은 파랑을 의미하고, ತಿಳಿನೀಲಿ|tilineelikn는 밝은 파랑을 의미한다.

타밀어는 녹색(பச்சை|paccaita), 파랑(நீலம்|nīlamta), 검정(கருப்பு|karupputa)색을 구별한다. 접두사 karu-|கரு-ta는 어두운 색을 나타내고, 접미사 -iḷam|-இளம்ta은 밝은 색을 나타낸다. 따라서 கரும்பச்சை|karumpaccaita는 어두운 녹색을 의미한다.

텔루구어는 녹색과 노란색을 모두 지칭하는 단어 పచ్చ|paccate를 사용한다. 두 색상을 구분하기 위해, 몇몇 경우에는 다른 단어를 앞에 붙인다. 예를 들어, 녹색은 ఆకుపచ్చ|ākupacca|잎-paccate로, 노란색은 పసుపుపచ్చ|pasupupacca|강황-paccate로 불린다.

말라얄람어에는 파랑(നീല|nīlaml), 녹색(പച്ച|paccaml) 및 노랑(മഞ്ഞ|maññaml)에 대한 별개의 단어가 있다.

4. 동아시아 언어

아이누어노랑·파랑(초록 포함) 이 세 빛깔을 '시우닝'이라는 같은 어휘로 표현한다.

몽골어는 청색과 녹색을 각각 쳉헤르(цэнхерmon), 너겅(ногоонmon)으로 구분하는데, 이는 한자어에서 유래했다고 추정된다. 알타이어족은 두음법칙을 적용하여 'ㄹ'로 시작하는 말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튀르크어파는 두 색을 구분하므로 이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에벤족은 어웡어(에벤어)를 사용하며, 시베리아에서 청색과 녹색을 함께 쓰는 깃발을 가진 민족 중 하나로, '촐바나'라는 하나의 어휘를 사용한다. 에벤키족은 어웡키어(에벤키어)를 사용하며, 에벤족과 마찬가지로 '촐바나'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4. 1. 중국어

현대 표준 중국어는 파랑과 녹색을 구별한다(藍|lán중국어는 파랑, 綠|lǜ중국어는 녹색). 그러나 현대 구어체보다 오래된 다른 단어인 青|qīng중국어도 여러 맥락에서 사용된다.[16]한자는 어린 식물의 싹을 묘사하며 "푸릇푸릇한"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이 단어는 연한 노란 녹색에서 짙은 파랑, 검정까지 색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玄青|xuánqīng중국어와 같다. 예를 들어, 중화민국 국기는 青天,白日,滿地紅|qīng tiān, bái rì, mǎn dì hóng중국어(파란 하늘, 흰 해, 온통 붉은 땅)로 불리는 반면, 青菜|qīngcài중국어는 "녹색 채소"를 뜻하는 중국어 단어로 청경채를 가리키며, 고대 시대의 육박 게임의 반대편은 검은색과 흰색 말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青|qīng중국어과 흰색으로 알려졌다.[17] 青|qīng중국어은 중국어 역사 대부분 동안 파란색과 녹색을 모두 지칭하는 전통적인 명칭이었으며, 藍|lán중국어은 원래 남색 염료와 의 염료를 지칭했다.[18] 그러나 천과 의류에 적용되는 青|qīng중국어의 특정 '색조'인 綠|lǜ중국어[19]는 ''시경'' (기원전 1000~600년)의 "《邶風·綠衣》"(녹색 웃옷)인 시 27편의 제목에서와 같이 증명되었다. 고전 중국어가 현대 구어 중국어로 대체된 후, 파랑과 녹색에 대한 현대 용어는 青|qīng중국어이 많은 일반 명사구의 일부로 남아 있지만, 독립적인 색상 용어로서 青|qīng중국어보다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두 형태는 또한 青藍중국어 및 青綠중국어으로 결합되어 발견될 수 있으며, 여기서 青|qīng중국어은 강조사로 사용된다. 현대 과학적 맥락에서, 青|qīng중국어은 파랑과 녹색 사이의 좁은 범위의 색상인 청록색을 나타내며, 다른 파란색이나 녹색의 색조를 지칭할 때는 현대적인 색상 이름이 사용된다.

4. 2. 일본어

일본어 단어 青|ao|extra=명.일본어 및 青い|aoi|extra=형.일본어한자를 사용하며, 상황에 따라 파란색 또는 녹색을 모두 지칭할 수 있다. 현대 일본어에는 녹색을 나타내는 緑|midori일본어이라는 단어가 있지만 비교적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고대 일본어에는 이러한 구분이 없었다. midori일본어라는 단어는 헤이안 시대에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그 당시와 그 이후 오랫동안 midori일본어는 여전히 ao일본어의 한 종류로 여겨졌다. 녹색과 파란색을 구별하는 교육 자료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사용되기 시작했다.[20] 따라서, 대부분의 일본인들은 녹색으로 간주하지만, ao일본어라는 단어는 여전히 특정 채소, 사과, 그리고 초목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 Ao일본어는 또한 운전자에게 "진행"을 신호하는 신호등의 색상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단어이다. 그러나 다른 대부분의 사물들—녹색 차량, 녹색 스웨터 등—은 일반적으로 midori일본어라고 불릴 것이다. 일본 사람들은 또한 "green"이라는 영어 단어에서 파생된 グリーン|gurīn일본어이라는 단어를 색상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일본어에는 또한 녹색과 파란색의 특정 색조를 의미하는 다른 여러 단어가 있다.

4. 3. 한국어 (재언급)

순우리말 낱말인 '푸르다'는 파란색, 초록색이나 그 둘이 섞인 빛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푸른 하늘'은 하늘의 파란 빛을 표현하며, '푸른 숲'은 나무의 초록 빛을 표현한다. 파란색과 초록색을 각각 따로 나타내는 '파랑'('파란색'), '초록'('초록색' 또는 '녹색')과 같은 낱말도 있다. 그러나 초록은 한국 고유어가 아니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한다. 교통 신호를 과거에 '파란불'이라 일컫기도 했다.[1] 일부 언어 순수주의자들은 초록을 '초랑'으로, 보라를 '보랑'으로 바꾸어 '초랗다', '보랗다' 등의 활용을 쓸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1]

푸르다한국어는 파란색을 명확하게 지칭하지만, 녹색 또는 청록색을 의미하기도 한다. 형용사 푸르다한국어는 푸른 하늘한국어과 같이 파란색을 나타내거나, 푸른 숲한국어과 같이 녹색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푸른한국어은 명사를 수식하는 형태이다. 또 다른 단어 파랗다한국어는 보통 파란색을 의미하지만, 때로는 파란 불한국어과 같이 녹색을 의미하기도 한다. 녹색과 파란색을 나타내는 한자어 표현도 있다. 초록한국어/ (형용사/명사), 초록색한국어/ (명사) 또는 줄여서 녹색한국어/ (명사)은 녹색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중국어에서 차용된 또 다른 표현인 청한국어/는 청바지한국어/와 청와대한국어/와 같이 주로 파란색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청와대대한민국 대통령의 이전 집무실이자 공식 거처였지만, 청과물한국어/ 및 청포도한국어/와 같이 녹색을 나타낼 때도 사용된다.[1]

4. 4. 티베트어

티베트어에서 སྔོན་པོ།|sngon poxct(와일리 sngon po|sngon poxct)는 전통적으로 하늘과 풀의 색을 지칭하는 용어이다.[21] 이 용어는 또한 po|poxct 접미사를 붙여 색의 이름을 짓는 일반적인 패턴에 속하며, mar po|mar poxct (빨강), ser po|ser poxct (노랑), nag po|nag poxct (검정), dkar po|dkar poxct (하양) 등이 있다. 눈에 띄게도, 녹색에 해당하는 용어는 ljang khu|ljang khuxct이며, 이는 ljang bu|ljang buxct와 관련이 있고, "밀 또는 보리의 grue (sngon po) 싹"으로 정의된다.[22]

4. 5. 베트남어

베트남어는 한때 파랑과 녹색을 xanhvi이라는 단어로 함께 묶어 사용했다. 이는 중국어일본어와 마찬가지로 thanhvi()의 구어적 표현이다. 현대에는 파랑과 녹색이 분리되었다. 파란색은 구체적으로 xanh da trờivi(하늘의 파란색 피부), 또는 xanh dương, xanh nước biểnvi(바다의 파란색)으로 묘사된다. 녹색은 xanh lá câyvi(잎의 녹색)으로 묘사된다.

베트남어는 때때로 xanh lamvi(파란색)과 xanh lụcvi(녹색)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두 번째 음절은 각각 중국어 藍중국어과 綠중국어에서 파생되었으며, 공식적이거나 과학적인 대화에서는 파란색과 녹색을 나타내기 위해 때때로 xanhvi 음절을 생략하기도 한다. Xanhvi은 또한 파란색과 녹색 사이의 모든 색상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데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4. 6. 몽골어

현대 몽골어는 녹색(ногоон|nogoonmn)과 파란색을 구분하며, 파란색은 밝은 파란색(цэнхэр|tsenhermn)과 어두운 파란색(хөх|höhmn)으로 세분화된다. 역사적으로 몽골어는 신선한 풀과 같은 녹색을 höh|höhmn 범주에 포함시켰으며,[23] nogoon|nogoonmn은 현대 시대에 더 흔한 용어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Number of Basic Colour Categories https://wals.info/ch[...]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1-05-04
[2] 서적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Techelet http://www.chabad.or[...] Chabad-Lubavitch Media Center 2014-05-18
[4] 서적 An English and Choctaw Definer
[5] 서적 Choctaw in English Definition
[6] 서적 Complete Choctaw Definer
[7] 서적 A Dictionary of the Choctaw Language
[8] 서적 Choctaw language and culture : Chahta Anumpa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01
[9] 논문 Mohawk Color Terms
[10] 서적 New Lakota Dictionary Lakota Language Consortium
[11] 서적 Mapudungun. El habla mapuche Centro de Estudios Públicos
[12] 문서 Fieldword Deltgen/Scheffer in 1977
[13] 서적 Javanese English Dictionary Periplus
[14] 서적 Old Javanese-English Dictionary KITLV
[15] 논문 The colonisation of the colour pink: variation and change in Māori’s colour lexicon 2024-11
[16] 서적 Thinking colours: perception, translation and representation Cambridge Scholars Publications 2015
[17] 문서 The manuscript Rules of Liubo (《六博棋谱》), discovered 2011 in the tomb of the Marquis of Haihun in Jiangxi.
[18] 문서 The Shuowen Jiezi defines lán as 'grass for qīng dye': 藍,染青艸也。
[19] 문서 The Shuowen Jiezi defines lǜ as 'cloth of yellowish qīng color': 綠,帛青黃色也。
[20] 뉴스 The Crayola-fication of the World: How We Gave Colors Names and It Messed with our Brains http://www.empirical[...] 2012-06-05
[21] 문서 Yisun Zhang. "Bod rgya tshig mdzod chen mo". University of Virginia: Mi rigs dpe skrun khaṅ. (1993: 718)
[22] 문서 Yisun Zhang. "Bod rgya tshig mdzod chen mo". University of Virginia: Mi rigs dpe skrun khaṅ. (1993: 921)
[23] 논문 Color Terms in Mongolian Place Names: A Typological Perspective https://elar.urfu.ru[...] Ural University Press 2023
[24] 서적 A Concise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Albanian language Brill
[25] 서적 Albanian Etymological Dictionary Brill
[26] 서적 A Concise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Albanian language Brill
[27] 웹사이트 What is the history of the rainbow flag? http://www.gmax.co.z[...] Gmax.co.za 2004-06-28
[28] 웹사이트 About Rainbows http://www.eo.ucar.e[...] Eo.ucar.edu 2015-04-17
[29] 논문 Definition of the Color Indigo http://en.wikisource[...] 1880-04-10
[30] 웹사이트 Fran/Etimološki https://fran.si/193/[...] 2019-11-17
[31] 웹사이트 Bibiloni.cat http://bibiloni.cat/[...] 2016-01-23
[32] 웹사이트 Grande Dizionario Italiano http://dizionari.hoe[...] 2011-07-09
[33] 웹사이트 Dizionario Italiano – Celeste http://dizionari.cor[...] 2011-07-09
[34] 웹사이트 Grande Dizionario Italiano http://www.grandidiz[...] 2017-02-06
[35] 웹사이트 Dizionario Italiano – Glauco http://dizionari.cor[...] 2011-07-09
[36] 백과사전
[37] 서적 PLSI Languages of Himachal Pradesh Orient BlackSwan
[38] 서적 A Descriptive Grammar & Vocabulary of Chinali Himachal Pradesh Academy of Arts, Culture & Languages (HPAACL)
[39] 웹사이트 The Kamusi Project http://kamusiproject[...]
[40] 간행물 Colours in Tsakhur: First account of the basic colour terms of a Nakh-Daghestanian language. http://epubs.surrey.[...] 2021-01-18
[41] 웹사이트 Learners' Wordlist of Eastern & Central Arrernte https://arrernte-ang[...]
[42] 서적 Euskarak erakutsi koloreak ikusten http://www.euskara.e[...] 2015-04-17
[43] 논문 Värinnimitysten synty suomalais-ugrilaisissa kielissä, lähtökohtana 'musta' http://www.doria.fi/[...] University of Helsinki 2011-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